1
15 M&A 구글의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알파 고'(AlphaGo)가 이세돌 9단을 내리 완파하면 서 전 세계 인류에 적지 않은 충격을 던졌다. 해외 일류 정보통신기술(IT)기업들은 차세대 먹거리가 될 수 있는 드론, VR(가상현실), AI ( 인공지능) 등 신(新)산업에 대한 진출 기회를 꾸 준히 노려왔다. 이번 세기의 바둑대결은 이들 신산업 가운데 인공지능의 ‘위세’를 여실히 보 여준 셈이어서 향후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폭 발하면서 인공지능 산업이 일대 전기를 맞이할 계기를 마련했다 하겠다. 세기의 바둑대결은 알파고의 승리로 막을 내 렸지만 실질적으로는 알파고를 인수한 구글의 인수합병(M&A) 혜안이 더욱 빛나보이는 한 수(手)라 할 수 있다. KB투자증권 이기근•이동륜•정승규 연구원 은 “구글은 다양한 분야에 공격적 M&A를 시 행하고 있다”며 “구글의 역사는 사실상 M&A 역사와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바둑 대국을 통해 주목받고 있는 알파 고의 개발사인 영국의 딥마인드(Deepmind)를 지난 2014년 3억 파운드 (1750원 기준 한화 5250 억원)에 사들였다. 알파고는 강화학습 기술로 무장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인공지능 스스로 성공과 실패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 를 토대로 성공 확률을 끌어올리는 기계학습법 이다. 머신 러닝이나 딥 러닝은 인공지능에 일 종의 교과서'인 학습데이터를 던져주고 익히 도록 하는 학습법이라 할 수 있다. 구글은 모토로라의 인수와 같이 M&A 실패 사례를 겪기도 했지만 지금의 구글을 있게 한 비즈니스 모델 중 M&A를 통해 얻어진 것들이 상당하다. 이기근 연구원은 “구글의 대표적인 M&A로 유튜브를 들 수 있다”며 “현재의 스마트폰 운영 체계(OS)를 장악한 안드로이드 역시 아주 소규 모 M&A에서 출발이 됐다”고 소개했다. 구글이 보는 첫번째 미래는 AI를 기반으로 한 로봇으로 추정된다. 구글이 로봇에 집중한 지 는 꽤 오래 됐으며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의 이 름도 ‘안드로이드(인간의 형상을 한 로봇)’인 것 을 감안하면 로봇에 대한 강한 집념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구글은 굵직한 AI관련 기업들을 빠르게 인수 해 나가고 있다.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한 네스 트랩까지 AI와 엮게 되면 약 4개 이상의 AI관 련 기업을 인수한 셈이다. 구글의 로봇 사업의 시초는 2013년에 로봇 전 문기업인 ‘보스턴다이나믹스’를 인수한 시점이 라고 볼 수 있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1992년 MIT의 교수였던 마크 레이버트가 설립한 로봇 전문 회사다. 구글이 하드웨어(HW)로서 보스턴다이나믹 세기의 바둑대결 진정한 승자는 ‘구글의 M&A’ 혜안 허사비스 딥마인드 대표 “의료와 로봇, 스마트폰에도 활용하겠다” KB투자증권, “구글의 역사는 사실상 M&A 역사와 함께 하고 있다” ▶롯데쇼핑 “베트남 ‘Big C 마트’ 인수 예비 입찰 참여” 롯데쇼핑은 베트남 ‘Big C 마트’ 인수 추진설 에 대해 “베트남 유통 업체 Big C 인수 추진 여 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지난 10일 예비 입찰에 참여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 은 없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하이트진로홀딩스, 하이트진로에탄올 매 각 양해각서 체결 하이트진로홀딩스는 자회사 하이트진로에탄 올 매각 추진에 대해 “그룹의 사업 역량 강화 및 재무 건전성 제고 방안의 하나로 2월 25일 창해 에탄올과 하이트진로에탄올 지분 100% 매각 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신일산업, 최대주주 지분매각 우선 협상 대상자 찾지 못해 일정 취소 신일산업은 최대주주 지분매각 추진설에 대 해 “최대주주 등은 지분매각과 관련해 비공개 입찰을 진행했으나 적정한 우선 협상 대상자를 찾지 못해 매각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홍콩 ISPC, 소리바다 지배주주 지위 획득 홍콩 소재 유한회사인 ISPC는 소리바다 주식 340만6689주(10.25%)를 보유해 사실상 지배주 주지위를 갖게 됐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CJ대한통운이 700억원 규모의 홍콩SPC 지 분을 처분한다. CJ대한통운은 국민연금과 공 동 출자한 홍콩SPC(CJKX Rokin Holdings Limited)의 주식 5773만여주를 700억원에 처 분한다고 최근 공시했다. CJ대한통운은 홍콩SPC 지분 처분 목적 에 대해 당초 “올해 1월 인수한 중국 물류업 체 CJ Rokin Logisitcs and Supply Chain Co.LTD(CJ Rokin)의 재무적 투자자인 국민 연금의 지분투자를 추가 유치하기 위한 것”이 라고 밝혔다. 그러나 곧바로 “CJ Rokin에 대 한 스틱글로벌투자제1호 사모투자 합자회사의 지분 투자”라는 정정공시를 냈다. 국민연금의 지분 투자가 이뤄지는 데 대해서 는 명백하게 밝히지 않았다. CJ대한통운이 처음 금융감독원에 신고할 때 에는 CJ Rokin 인수 시 국민연금과 공동투자 정신에 입각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왔다고 명시 되어 있다. 또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국민연금 과의 안정적이고 우호적인 관계(relationship) 를 유지하고, 향후 추가 인수합병(M&A) 시에 도 전략적 파트너십(partnership)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정정공시에 서는 국민연금과의 관계에 대한 부분이 삭제돼 투자자들에게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퇴직 등으로 소득원을 잃을 경우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로 지 난 1988년 1월 1일부터 실시해 오고 있으며 사 실상 국민에게 부과된 세금과 유사한 기금 성 격이 있다. 국민연금이 재벌 기업의 M&A 시 전략적 파 트너십으로 투자를 할 때 정확한 투자내용을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 같은 맥락이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9월 중국 룽칭(Rokin) 의 지분 71.4%를 4550억원의 가격에 인수하기 로 결정한 바 있다. 이어 올해 1월에는 룽칭 인 수 잔금 조달을 위해 단기차입금을 2300억원 늘리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김대성 기자 kimds@ CJ대한통운, 홍콩SPC 지분 700억원 처분 까닭? 국민연금 지분 추가 유치 목적, 곧바로 정정공시 2016년 3월 16일 스를 인수한 이후 곧바로 인수한 업체가 영국 딥마인드다. 현재 딥마인드는 알파고와 DQN을 가지고 있 는데, 알파고는 바둑계에서, DQN은 각종 비 디오 게임에서 스스로 경험을 통해 해법을 찾 아내면서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원은 “구글이 현재 개발 중인 로봇, 구 글 자동차, 드론 등에 높은 수준의 학습 능력을 가진 AI 탑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좀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이라 고 분석했다. 세기의 바둑대결 기간 중 알파고를 개발한 구 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대표가 한국을 찾았다. 또 구글의 공동창업자인 세르게이 브 린 알파벳 대표이사 사장도 한국을 방문했다. 알파벳은 구글의 지주회사이다. AI는 자체 로봇 사업도 가시화되겠지만 드 론, 스마트카의 플랫폼 초기 시장 장악을 노리 는 구글, 애플, 인텔 등의 경쟁에서 구글이 한 수 앞서 나갔음을 보여주는 계기이기도 하다. 허사비스 대표는 대국이 진행되는 동안 알파 고의 AI 프로젝트를 바둑에 그치지 않고 의료 와 로봇, 스마트폰에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수 차례 밝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M&A거래소 이창헌 회장은 “잘 나갈 수 있는 기업일수록 M&A를 해야 한다”면서 “구 글이 M&A와 함께 ‘사업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기업가치를 높여가고 있어 세계 1위의 시가총 액 기업으로 군림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성 기자 kimds@ ҡ۰Ο ଗଞ ߾οए ҡ۰Ο ۏଟ Ь ӂ "ࡁݦɼҚ ҡ۰Ο Ьݛݤޏшݛઝչ ܙՔ ܊ݛଔչݛձ ࡈیݦ ߅ҡɼ ҿଞ ୪˕ձ γ Еए ଢТЬ 3D ɼ˃ۿԻਫ਼ ॲ ଥ ߶Қ ߾οएձ ۏɼ࠹ࢠҮ एѦ ؿγ Е ؏ئ ॸˈ ݡТЬ ए˱ ˱۱˱۱ए ܖɼМଞ ߾οएձ бଟ "ࡁۿ Ԏɼ ҿଟए չ ଜԮ طଞ Ο؆ ଗଢТЬ 3DS.COM/ENERGY ଜЖ ҿ ЬТЕ ה۴ ԯ ਫ਼ ٺė Ьݛݤޏܕઝɼ ݨଟ Е ͵ТЬ

M&A 세기의 바둑대결 진정한 승자는 ‘구글의 M&A’ 혜안nimage.globaleconomic.co.kr/phpwas/pdffile.php?sp=... · 홍콩 ispc, 소리바다 지배주주 지위 획득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M&A 세기의 바둑대결 진정한 승자는 ‘구글의 M&A’ 혜안nimage.globaleconomic.co.kr/phpwas/pdffile.php?sp=... · 홍콩 ispc, 소리바다 지배주주 지위 획득

15M&A

구글의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알파

고'(AlphaGo)가 이세돌 9단을 내리 완파하면

서 전 세계 인류에 적지 않은 충격을 던졌다.

해외 일류 정보통신기술(IT)기업들은 차세대

먹거리가 될 수 있는 드론, VR(가상현실), AI (

인공지능) 등 신(新)산업에 대한 진출 기회를 꾸

준히 노려왔다. 이번 세기의 바둑대결은 이들

신산업 가운데 인공지능의 ‘위세’를 여실히 보

여준 셈이어서 향후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폭

발하면서 인공지능 산업이 일대 전기를 맞이할

계기를 마련했다 하겠다.

세기의 바둑대결은 알파고의 승리로 막을 내

렸지만 실질적으로는 알파고를 인수한 구글의

인수합병(M&A) 혜안이 더욱 빛나보이는 한

수(手)라 할 수 있다.

KB투자증권 이기근•이동륜•정승규 연구원

은 “구글은 다양한 분야에 공격적 M&A를 시

행하고 있다”며 “구글의 역사는 사실상 M&A

역사와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바둑 대국을 통해 주목받고 있는 알파

고의 개발사인 영국의 딥마인드(Deepmind)를

지난 2014년 3억 파운드 (1750원 기준 한화 5250

억원)에 사들였다.

알파고는 강화학습 기술로 무장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인공지능 스스로 성공과 실패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

를 토대로 성공 확률을 끌어올리는 기계학습법

이다. 머신 러닝이나 딥 러닝은 인공지능에 일

종의 ‘교과서'인 학습데이터를 던져주고 익히

도록 하는 학습법이라 할 수 있다.

구글은 모토로라의 인수와 같이 M&A 실패

사례를 겪기도 했지만 지금의 구글을 있게 한

비즈니스 모델 중 M&A를 통해 얻어진 것들이

상당하다.

이기근 연구원은 “구글의 대표적인 M&A로

유튜브를 들 수 있다”며 “현재의 스마트폰 운영

체계(OS)를 장악한 안드로이드 역시 아주 소규

모 M&A에서 출발이 됐다”고 소개했다.

구글이 보는 첫번째 미래는 AI를 기반으로 한

로봇으로 추정된다. 구글이 로봇에 집중한 지

는 꽤 오래 됐으며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의 이

름도 ‘안드로이드(인간의 형상을 한 로봇)’인 것

을 감안하면 로봇에 대한 강한 집념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구글은 굵직한 AI관련 기업들을 빠르게 인수

해 나가고 있다.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한 네스

트랩까지 AI와 엮게 되면 약 4개 이상의 AI관

련 기업을 인수한 셈이다.

구글의 로봇 사업의 시초는 2013년에 로봇 전

문기업인 ‘보스턴다이나믹스’를 인수한 시점이

라고 볼 수 있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1992년

MIT의 교수였던 마크 레이버트가 설립한 로봇

전문 회사다.

구글이 하드웨어(HW)로서 보스턴다이나믹

세기의 바둑대결 진정한 승자는 ‘구글의 M&A’ 혜안허사비스 딥마인드 대표 “의료와 로봇, 스마트폰에도 활용하겠다”

KB투자증권, “구글의 역사는 사실상 M&A 역사와 함께 하고 있다”

▶롯데쇼핑 “베트남 ‘Big C 마트’ 인수 예비

입찰 참여”

롯데쇼핑은 베트남 ‘Big C 마트’ 인수 추진설

에 대해 “베트남 유통 업체 Big C 인수 추진 여

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지난 10일 예비 입찰에

참여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

은 없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하이트진로홀딩스, 하이트진로에탄올 매

각 양해각서 체결

하이트진로홀딩스는 자회사 하이트진로에탄

올 매각 추진에 대해 “그룹의 사업 역량 강화 및

재무 건전성 제고 방안의 하나로 2월 25일 창해

에탄올과 하이트진로에탄올 지분 100% 매각

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신일산업, 최대주주 지분매각 우선 협상

대상자 찾지 못해 일정 취소

신일산업은 최대주주 지분매각 추진설에 대

해 “최대주주 등은 지분매각과 관련해 비공개

입찰을 진행했으나 적정한 우선 협상 대상자를

찾지 못해 매각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홍콩 ISPC, 소리바다 지배주주 지위 획득

홍콩 소재 유한회사인 ISPC는 소리바다 주식

340만6689주(10.25%)를 보유해 사실상 지배주

주지위를 갖게 됐다고 지난 11일 공시했다.

CJ대한통운이 700억원 규모의 홍콩SPC 지

분을 처분한다. CJ대한통운은 국민연금과 공

동 출자한 홍콩SPC(CJKX Rokin Holdings

Limited)의 주식 5773만여주를 700억원에 처

분한다고 최근 공시했다.

CJ대한통운은 홍콩SPC 지분 처분 목적

에 대해 당초 “올해 1월 인수한 중국 물류업

체 CJ Rokin Logisitcs and Supply Chain

Co.LTD(CJ Rokin)의 재무적 투자자인 국민

연금의 지분투자를 추가 유치하기 위한 것”이

라고 밝혔다. 그러나 곧바로 “CJ Rokin에 대

한 스틱글로벌투자제1호 사모투자 합자회사의

지분 투자”라는 정정공시를 냈다.

국민연금의 지분 투자가 이뤄지는 데 대해서

는 명백하게 밝히지 않았다.

CJ대한통운이 처음 금융감독원에 신고할 때

에는 CJ Rokin 인수 시 국민연금과 공동투자

정신에 입각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왔다고 명시

되어 있다. 또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국민연금

과의 안정적이고 우호적인 관계(relationship)

를 유지하고, 향후 추가 인수합병(M&A) 시에

도 전략적 파트너십(partnership)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정정공시에

서는 국민연금과의 관계에 대한 부분이 삭제돼

투자자들에게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퇴직 등으로 소득원을

잃을 경우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로 지

난 1988년 1월 1일부터 실시해 오고 있으며 사

실상 국민에게 부과된 세금과 유사한 기금 성

격이 있다.

국민연금이 재벌 기업의 M&A 시 전략적 파

트너십으로 투자를 할 때 정확한 투자내용을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 같은 맥락이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9월 중국 룽칭(Rokin)

의 지분 71.4%를 4550억원의 가격에 인수하기

로 결정한 바 있다. 이어 올해 1월에는 룽칭 인

수 잔금 조달을 위해 단기차입금을 2300억원

늘리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김대성 기자 kimds@

CJ대한통운, 홍콩SPC 지분 700억원 처분 까닭?국민연금 지분 추가 유치 목적, 곧바로 정정공시

2016년 3월 16일

스를 인수한 이후 곧바로 인수한 업체가 영국

딥마인드다.

현재 딥마인드는 알파고와 DQN을 가지고 있

는데, 알파고는 바둑계에서, DQN은 각종 비

디오 게임에서 스스로 경험을 통해 해법을 찾

아내면서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원은 “구글이 현재 개발 중인 로봇, 구

글 자동차, 드론 등에 높은 수준의 학습 능력을

가진 AI 탑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좀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이라

고 분석했다.

세기의 바둑대결 기간 중 알파고를 개발한 구

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대표가 한국을

찾았다. 또 구글의 공동창업자인 세르게이 브

린 알파벳 대표이사 사장도 한국을 방문했다.

알파벳은 구글의 지주회사이다.

AI는 자체 로봇 사업도 가시화되겠지만 드

론, 스마트카의 플랫폼 초기 시장 장악을 노리

는 구글, 애플, 인텔 등의 경쟁에서 구글이 한

수 앞서 나갔음을 보여주는 계기이기도 하다.

허사비스 대표는 대국이 진행되는 동안 알파

고의 AI 프로젝트를 바둑에 그치지 않고 의료

와 로봇, 스마트폰에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수

차례 밝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M&A거래소 이창헌 회장은 “잘 나갈 수

있는 기업일수록 M&A를 해야 한다”면서 “구

글이 M&A와 함께 ‘사업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기업가치를 높여가고 있어 세계 1위의 시가총

액 기업으로 군림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성 기자 kimds@

3D

3DS.COM/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