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생태유아교육연구 2010. 9권 제4, 213 - 229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이 채 호 * 김 선 진 ** 요 약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 리더십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4곳의 유아 200명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수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 , 운동놀이와 리더십간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비놀이에서는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민감성에서만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 리더십에 대한 놀이유형의 영향력을 살 펴본 결과 주도성에서는 언어놀이, 사교성에서는 사회놀이, 민감성에서는 정서놀이, 비놀이, 사회놀이, 자발적 몰입에서는 운동놀이가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놀이(play) 놀이유형(play style) 리더십(leadership) 논문 접수 : 2010. 07. 31 / 수정본 접수 : 2010. 09. 06 / 게재 승인 : 2010. 10. 18 * 성균관대학교 박사수료 ** 성균관대학교 박사과정(교신저자: [email protected])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생태유아교육연구

2010. 제9권 제4호 , 213 - 229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

이 채 호* ․ 김 선 진**

요 약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 과

리더십간의 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해 서울시에 치한 유치원 4곳의 유아

200명의 담임교사를 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수거하여 자료를 분석하 다. 수집된 자료

는 SPSS 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목 에 맞게 기술통계, Pearson 상 계수, 단계 다회귀

분석을 실시하 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

이, 운동놀이와 리더십간에 정 상 계가 나타났으나 비놀이에서는 리더십의 하 요인인

민감성에서만 정 상 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 리더십에 한 놀이유형의 향력을 살

펴본 결과 주도성에서는 언어놀이, 사교성에서는 사회놀이, 민감성에서는 정서놀이, 비놀이,

사회놀이, 자발 몰입에서는 운동놀이가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놀이(play)

놀이유형(play style)

리더십(leadership)

※ 논문 수 : 2010. 07. 31 / 수정본 수 : 2010. 09. 06 / 게재 승인 : 2010. 10. 18

* 성균 학교 박사수료

** 성균 학교 박사과정(교신 자: [email protected])

Page 2: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Ⅰ. 서 론

21세기는 첨단기술로 인해 빠른 속도와 고도로 복잡한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

서는 이러한 변화무 한 시 에 발 맞추어가기 해서는 그 어느 시 보다도 진정한 리더의

필요성이 인식되어지고 있다(강 수ㆍ이채호ㆍ최인수, 2010; 이은진, 2005; Bass, 1985;

David, 2007; Northouse, 2001).

이러한 리더십에 해 과거에는 기질 특성 인기도 등과 같은 개인 인 능력으로 여기

고 이에 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최근 리더십에 한 연구들(서성교, 2003; 이형득, 1993;

Gardner, 2007; Northouse, 2007)을 살펴보면,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들의 특징들이 보통 사

람들과는 다른 특별한 한 사람이 리더의 자질과 능력을 타고 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

다. 즉 리더십이란 구나 가지고 있는 잠재력 능력이며 나아가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고 있다(Northouse, 2007). 리더십과 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고

재일, 2002; 박연경, 2007; 김성동, 2003; 박일화, 2008; 엄완용, 2007; 이 은, 2009), 부분의

연구들이 성인과 청소년을 상으로 연구들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리

더십은 교육을 통해 발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유아기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김기 , 2006; 이명숙, 2006; 이은진, 2005; Kanes et al., 1999; Manz & Sims, 1995). 특

히 Campbell(1991)과 Lynham(2000)의 연구를 살펴보면, 생애 기의 경험이 성인이 되었을

때의 리더십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며, Mitchell(1997)도 리더십 발휘는 유아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하 다. 한 Boulais(2002), Fukada, Fukada & Hicks(1994), Kagan(1993)의 연

구에서도 리더십 교육은 유아기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아기에 교육을 하기 해 가장 효과 인 방법은 놀이를 통한 교육이다. 이러한 놀이는

유아에게 폭넓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그들의 인지, 신체, 정서, 사회성, 언어발달에 요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 ,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 , 2002; Oliver &

Klugman, 2003). 특히 유아들은 놀이 활동을 통하여 놀잇감 탐색 놀이상황을 악하여 놀

이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 을 인식하고 해결하기도 하며, 자신의 감정 정서를 인지할 뿐

만 아니라, 래의 감정을 이해하여 한 말과 행동을 표 한다. 한 다양한 역할을 함으

로써 사회에 응하고 처할 수 있는 사회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신수경, 2008). 유아의

다면 인 발달에 도움을 주는 놀이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난다. 놀이를 하는

유아들을 살펴보면, 신체 으로 많은 움직임을 하면서 놀기를 좋아하는 유아, 래와 이야기

를 하면서 놀이를 즐기는 유아, 혼자서 놀기를 좋아하는 유아 등 놀이를 하는 동안에 유아들

Page 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15

은 다양한 방법으로 놀이에 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백지연, 2007; Aguilar, 1985;

Barnett, 1991; Liberman, 1965; Singer & Rummo, 1973). 즉 유아들의 다양한 형태로 놀이에

근한다는 것은 유아들에게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놀이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

으며 이에 해 유아들의 놀이유형에 해 Parten(1932)은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유

아들의 놀이를 찰하여 사회 참여도에 따라 5가지 놀이유형으로 나 었다. 비참여행동은

래의 놀이를 바라보지만, 놀이에 직 으로 참여하지 않는 행동을 말하며, 래에게 심

이 없고, 혼자서 놀이하는 형태를 단독놀이라고 한다. 병행놀이는 래와 유사한 놀이를 하지

만 래와 함께 놀려는 시도를 하지 않고, 독립 으로 놀이하는 형태이다. 래와 함께 놀이

를 하면서 화를 하거나 놀잇감을 빌려주지만 놀이에 리더가 없는 상태를 연합놀이라 하고,

동놀이는 한두 명의 유아가 지휘권을 가지고 역할을 분담하여 공동의 목표를 해 진행되

는 놀이형태이다. Iwanaga(1973)는 래 계에서 놀이구조형태를 가지고 래와 련이 없

는 독립놀이, 래와 물리 으로 가까이 있고 래활동을 의식하나 독립 으로 하는 병행놀

이, 약간의 상호작용이 있으나 래행동에 거의 응하지 않는 각각 다른 놀이를 하는 보완

놀이, 타인을 의식하고 상호작용하며 타인의 놀이에 응하는 통합놀이로 분류하 다.

Howes & Matheson(1992)는 유아 놀이 형태를 래 계에서의 상호작용과 상호작용의 복합

성, 의사소통의 정도에 따른 유형으로 나 었다. 두 유아가 유사한 놀이를 하고 있지만 상호

작용이 없는 병행놀이, 두 유아가 가까운 거리에 있어 놀이를 하면서 상 방을 의식하는 상

호인식 병행놀이, 유사한 놀이를 하면서 서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사회 놀이, 한 유아가

어떤 놀이를 하면 다른 유아가 그 놀이를 역으로 하여 상 방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으로 공

을 주고받는 놀이, 쫓고 쫓기는 형태의 상호보완 놀이, 상호보완 놀이를 하면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동 사회 놀이이다.

유아교육기 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놀이들은 유아의 사회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사회 유능감이 놀이에 미치

는 향(박화윤․마지순․천은 , 2004; 황윤세․이혜원, 2005), 유아의 놀이와 사회 능력간

의 계(이정은․이채호, 2008), 놀이성과 사회 능력간의 계(이경실, 1997) 연구 등이 이

루어 졌다. 즉,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래 계 친사회 행동을 통해 사회 인 계를 유

지하는 방법을 배우게 됨으로써 놀이가 사회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다(신유림,

2003; 지성애, 1994; Connolly & Doyle, 1984; Fromberg, 2002; Randy & Michelle, 2008). 이

러한 사회 능력은 김기 (2006), 나미순(2006), 이은진(2005)의 연구에서는 유아 리더십을

측정하기 해 활용되었다. 즉 사회 능력이란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역할에 해 학습하고, 래와 정 계의 네트워크 내에서 잘 응하는 능력

Page 4: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Raver & Zigler, 1997)으로 이러한 능력이 높은 유아는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성취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정 인 래 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쉽다고 보고

하고 있다(Perry & Bussey, 1984; 이채호․이찬숙, 2009 재인용). 이러한 사회 능력은 래

간의 계를 정 으로 유지하기 해 필요한 기술로 유아 리더십과 한 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련하여 최근 유아 리더십에 한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새

로운 놀이를 제안하거나, 친구들에게 역할을 부여하거나 지시 내리기, 친구들을 놀이에 참여

시키기, 친구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주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유아들에게 리더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한다(Bohlin, 2000; Bonstingl, 2006; Fukada, Fukada & Hicks, 1994, 1997; Lee

& Recchia, 2008; Shin, Recchia, Lee, Lee & Mullarkey, 2004). 유아 리더십에 한 정의를

살펴보면 Fukada, Fukada & Hicks(1994)는 놀이 진과 놀이 친구의 배려-평가 차원이라고

정의하 으며, 이연실(2010)은 래집단 내에서 래와 함께 융화하면서 집단에 향력을 미

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 다. 김성숙(2008)은 유아 리더십을 놀이 상황 속에서 새로운

놀이의 규칙 제안 고안, 래에게 놀이 참여 허락, 구체 인 행동 지시 등으로 리더는 유

아 집단의 구성원들과 함께 놀이를 공유할 수 있고 놀이에 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정의하

으며,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이채호․최인수(2008)는 유아 리더십을 “놀이 상황에서

래와 함께 놀이를 진하고 친구들을 배려․평가함으로써 놀이에 몰입할 수 있게 도와주

는 능력”이라고 정의하 다.

유아 리더십에 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의 특성이나 행동에 한 연구(김민선,

2004; 김성숙, 2008; 남정선, 2009; 오정임, 2006; 이 선, 2007; 조경서, 1992), 유아의 가정환

경 부모 양육태도와의 계(김지연, 2007; 나미순, 2006; 이은미, 2006; Corsaro, 1994), 성,

연령, 기질 기타변인과의 계(김기 , 2006; 서기남, 2009), 놀이성(이연실, 2010)연구 등이

이루어 졌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유아 리더십과 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살펴 으로써 유

아 리더십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하 다. 그러나 유아 리더십은 유아들의 놀이를 통

하여 가장 잘 나타나고 유아교육기 에서 이루어지는 놀이 형태는 다양하다. 따라서 유아에

게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놀이 어떠한 놀이유형이 유아의 리더십발달에 도움을 주는지 살

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다양한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를 살펴 으로써 놀이를 통한 유아 리더십교육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

구목 을 달성하기 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를 알아 으로써 놀이 상황에서의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는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성하기 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 다.

Page 5: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17

<표 1> 유아 리더십 척도의 하 요인

하 요 인 내 용

주 도 성 유아가 놀이 상황을 주도 으로 이끌어 가는 것

사 교 성 유아가 놀이 상황에서 다른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격려하는 것

민 감 성 유아가 놀이 상황에서 다른 친구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돕는 것

자발 몰입 유아가 놀이 상황에서 놀이에 집 하는 것

연구문제 1. 유아의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과

유아 리더십간의 상 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리더십에 한 유아 놀이유형의 향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에서는 2010년 7월 1일부터 9일까지 서울시에 치한 4곳의 유치원에 재원 인 만

5세 유아 200명(남아: 110, 여아: 90)을 상으로 하 다. 교사는 유아의 일상 행동 찰 결

과를 기 로 객 으로 유아를 평정하게 하 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10명으로 교사

들의 평균 근무경력은 6년 2개월이다.

2. 연구도구

1) 유아 리더십 척도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해서 이채호․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 다. 이 척도는 담임교사가 유치원의 일과에서 유아를 찰

하고, 그 결과에 기 하여 유아의 행동과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평정하는 척도이다. 문항별 척

도는 Likert의 5 척도로서 ‘ 그 지 않다’의 1 에서부터 ‘매우 그 다’의 5 까지 응답

하도록 되어있다. 이 척도의 하 요인 신뢰도(Cronbach α)는 주도성(7문항) .87, 사교성(6

문항) .84, 민감성(4문항) .83, 자발 몰입(3문항) .66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 신뢰도(Cronbach α)는 .93이다. 유아 리더십 척도의 하 요인에 한 설명은 표 1과 같다.

Page 6: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2) 유아 놀이 척도

본 연구에서 유아의 놀이유형을 측정하기 한 평정도구는 지성애(2007)가 개발한 ‘유아놀

이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 다. 이 척도는 담임교사가 유치원의 자유선택시간에 유아를

찰하고, 그 결과에 기 하여 유아의 행동과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평정하는 척도이다. 문항별

척도는 Likert의 5 척도로서 ‘매우 그 지 않다’의 1 에서부터 ‘매우 그 다’의 5 으로 응

답하도록 되어있고, 유아놀이척도의 하 요인 신뢰도는(Cronbach α)는 인지놀이(8문항)

.94, 언어놀이(8문항) .92, 사회놀이(8문항) .91, 정서놀이(8문항) .87, 운동놀이(9문항) .92, 비놀

이(4문항) .81으로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 신뢰도(Cronbach α)는 .97로 나타났다.

유아 놀이유형 척도의 하 요인에 한 설명은 표 2와 같다.

<표 2> 유아 놀이유형 척도의 하 요인

하 요 인 내 용

인 지 놀 이 유아들이 놀이상황을 탐색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

언 어 놀 이 놀이상황과 역할, 감정을 표 하는 화의 능력

사 회 놀 이 규칙을 래와 지켜 놀이를 지속시키는 능력

정 서 놀 이 자신의 감정을 인식 조 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

운 동 놀 이신체움직임의 활발 감정을 자유롭게 표 하고 신체 응으로 놀이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비 놀 이 놀이에 직 참여하지 않는 유아들의 행동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를 알아보기 해 각 변인

들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고 간 변인들의 간의 계를 알아보기 해 Pearson 상 계수를 구

하 다. 그리고 유아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이

리더십에 한 상 향력을 알아보기 해 단계 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 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SPSS program을 통해 분석을 하 다.

Page 7: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19

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자발몰입

인지놀이

1

언어놀이

.78** 1

사회놀이

.78** .78** 1

정서놀이 .71** .68** .78** 1

운동놀이

.68** .74** .75** .73** 1

비놀이 -.10 -.01 -.08 -.07 -.14 1

주도성 .36** .37** .35** .33** .35** -.08 1

사교성 .39** .38** .44** .36** .38** .08 .70** 1

민감성 .41** .42** .40** .51** .44** .22** .52** .63** 1

자발몰입

.26** .25** .29** .31** .42** .02 .49** .57** .52** 1

평균 27.54 27.61 28.41 27.62 32.10 12.73 22.40 20.03 14.14 10.45

표편차

4.33 5.11 4.23 4.46 5.27 2.68 3.93 3.41 2.47 1.95

**p<.01

Ⅲ. 연구결과

1.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 수 평균, 표 편차 상 계는 표 3과 같다.

<표 3> 유아 놀이유형과 리더십 수의 평균, 표 편차 상 계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인지놀이와 리더십 하 요인인 주도성(r=.36, p<.01), 사교성

(r=.39, p<.01), 민감성(r=.41, p<.01), 자발 몰입(r=.26, <.01)간에 정 상 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언어놀이와 리더십 하 요인인 주도성(r=.37, p<.01), 사교성(r=.38, p<.01), 민감

Page 8: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종속변인 독립변인 B β t R2

adjR2

F

주도성 언어놀이  .28 .37 5.79*** .14 .13 33.52***

사교성 사회놀이 .36 .44 7.19*** .20 .19 51.69***

1 정서놀이 .28 .51 8.69*** .26 .26 75.50***

2정서놀이 .29 .53 9.42***

.33 .32 52.00***비 놀 이 .24 .26 4.61***

3

정서놀이 .18 .331 3.75***

.36 .35 38.81***비 놀 이 .25 .27 4.81***

사회놀이 .15 .26 2.94**

자발

몰입운동놀이 .16 .42 6.71*** .18 .17 45.01***

성(r=.42, p<.01), 자발 몰입(r=.25, p<.01)간에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놀이와 리더십 하 요인인 주도성(r=.35, p<.01), 사교성(r=.44, p<.01), 민감성(r=.40, p<.01),

자발 몰입(r=.29, p<.01)간에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놀이와 리더십 하

요인인 주도성(r=.33, p<.01), 사교성(r=.36, p<.01), 민감성(r=.51, p<.01), 자발 몰입(r=.31,

p<.01)간에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놀이와 리더십 하 요인인 주도성

(r=.35, p<.01), 사교성(r=.38, p<.01), 민감성(r=.44, p<.01), 자발 몰입(r=.42, p<.01)간에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놀이와 리더십 하 요인인 민감성(r=.22,

p<.01)간에서만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 리더십에 한 놀이유형의 향력

회귀분석 시 다 공선성은 독립변수간의 상 계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다 공선성

이 높은 독립변수는 회귀분석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다 공선성을 진단하기

해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즉 분산팽창계수를 사용하여 단하는데 일반 으로 10

을 넘지 않으면 다 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단한다(김계수, 2004). 본 연구에서는 VIF

가 2.58 이하로 다 공선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리더십에 향을 미치는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 변인들에 한 상 인 향력을 알아보기 해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자발 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놀이유형의 하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

여 각 변인들에 한 단계 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유아 리더십에 한 놀이유형의 다회귀분석 결과

Page 9: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21

리더십총

1 사회놀이 1.11 .48 7.89*** .23 .22 62.31***

2사회놀이 .68 .29 3.27**

.25 .25 35.74***운동놀이 .45 .24 2.71**

**p<.01, ***p<.001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아 리더십에 한 회귀분석 결과를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주도성에 ‘언어놀이’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성에 한 설명력을 살펴

보면 언어놀이(F=33.52, p<.001)가 1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사교성에 ‘사회놀이’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성에 한 설

명력을 살펴보면 사회놀이(F=51.69, p<.001)가 2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으로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민감성에 ‘정서놀이’, ‘비놀이’, ‘사회놀이’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성에 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정서놀이(F=75.50, p<.001)가 26%

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비놀이(F=52.00, p<.001)가 첨가되면 7%

의 설명력이 증가하고, 마지막으로 사회놀이(F=38.81, p<.001)가 첨가되면 3%의 설명력이 증

가하여 총 3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자발 몰입에 ‘운동놀이’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발 몰입에 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운동놀이

(F=45.01, p<.001)가 1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리더십 총 에

‘사회놀이’, ‘운동놀이’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리더십 총 에 한 설

명력을 살펴보면 사회놀이(F=62.31, p<.001)가 2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으로 운동놀이(F=35.74, p<.001)가 첨가되면 2%의 설명력이 증가하여 총 25%의 설명력을 나

타냈다.

Ⅳ. 논의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유아 놀이유형(인지놀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 비놀이)

과 리더십간의 계를 살펴 으로써 유아 리더십 증진을 한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 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놀이유형과 리더십의 상 계 분석 결과, 유아 리더십과 놀이유형 인지놀

이, 언어놀이, 사회놀이, 정서놀이, 운동놀이와 정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Page 10: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한 결과는 안미원(1998), 우수경(2008), 이경실(1997), 이정은, 이채호(2008), 최윤미(2010),

Connolly & Dolye(1984), Fanutizzo, et al., (1995)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유아

들이 놀이를 통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래의 감정 상태를 악하여 정 인 계를 만들어

감으로써 놀이를 지속할 수 있는 리더십과 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유아의

리더십과 비놀이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상 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비

참여행동(Parten, 1932), 독립놀이(Iwanago, 1973)에서 래와의 놀이에 한 상호작용이 이

루어지지 않는 놀이로서 사회성, 래유능감,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본다는 주장과 유

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Harper & Hule(1985)와 Roper와 Hinde(1979)는 놀이형태를 통해

사회 능력의 정도를 볼 수 없다고 주장 하 다. 즉, 고립놀이(혼자놀이)는 사회 능력이

결핍된 것이 아니라, 유아들이 놀이형태를 선택하는 것이라고 하 다.

둘째,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유아 놀이유형에 한 상 인 향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

보면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주도성은 놀이유형의 하 요인인 언어놀이가 추가될수록 그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배선 ㆍ이은해(2001), 윤은숙(2003), 남

정선(2009)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유아가 놀이 상황을 주도 으로 이끌어가기

해서는 논리 언어 사용, 뛰어난 언어 표 력 다른 유아들을 할 때 부드러운 말투

등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유아 리더십을 증진시키기 해서는 다른 사람

들의 말을 귀 기울여 들을 수 있는 경청하고 설득할 수 있는 능력, 자기의 감정과 주장을 표

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이 사회 계를 유지시키기 해 필요한 교육을 언어를 통해 교육

하는 것은 필요할 것이다.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사교성은 사회놀이가 추가될수록 그 설

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민선(2004), 이은진(2005), 이명숙(2006)

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사회놀이는 유아들이 놀이감을 공유하고 교환하며

래와의 놀이에서 필요한 규칙을 지켜 놀이를 하는 것으로 놀이 상황에서 다른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격려하는 모습이 매우 요하다. 따라서 유아의 사교성을 증진시키기 해서는 사

회놀이를 통한 교육이 가장 효과 일 것으로 생각된다.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민감성은

정서놀이, 비놀이, 사회놀이가 추가될수록 그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리더십을 설명하는데 있어 놀이 에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조 하며 다른 친구들의 감정

을 악하고 공감하는 측면이 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민감성에 비놀이가 추가될수

록 설명력이 증가하는 면을 살펴보면, 혼자 놀이 행동에 한 연구를 보면(Coplan, Rubin,

Fox, Calkins, & Stewart,1994), 혼자놀이를 단 하나의 놀이형태로 보지 않고, 유아의 혼자 놀

이에서 나타나는 사회 개입과 놀잇감에 한 흥미도의 질을 따라서 망 태도(reticent

behavior), 수동 혼자 놀이(solitary-passive play), 능동 혼자 놀이(solitary-active play)

Page 11: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23

행동으로 나 어 분류하 다. 그리고 Harrist, Zaia, Bates, Dodge, & Pettit(1997)는 혼자 놀

이를 하는 유아들은 망 태도, 수동 혼자 놀이, 능동 혼자 놀이 유형에 따라 사회

정보처리능력이 련이 있다고 보았으며, 수동 혼자 놀이를 하는 유아들은 부모와 교사 그

리고 래들에게 정 으로 받아들여진다고 하 다(Coplan et al, 1994). 여기에서 수동 혼

자 놀이는 래에게 정 으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은 다른 친구들의 감정을 악하고 공감

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민감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유아 리더십을 발달시키기 해서는

정서놀이, 사회놀이를 통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아 리더십의 하 요인인 자발

몰입은 운동놀이가 추가될수록 그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

식(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유아들은 놀이상황에서 신체활동 그 자체만으로도

자발 으로 몰입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유아들은 놀이상황이 주어지는 것만으로도

자발 인 몰입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유아 리더십 증진 로그램을

개발에 있어 운동놀이는 필수 으로 포함되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유아

리더십 총 은 놀이유형의 하 요인인 사회놀이와 운동놀이가 추가될수록 그 설명력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용식(1988), 오나연(1994), 방 식(2003)의 연구결과

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유아의 놀이 유형이 사회놀이, 운동놀이와 같이 신체활동을 통한

놀이경험이 리더십을 발달시키는데 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후속 연구를 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 놀이유형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을 하 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유아 놀이를 직 찰하여 계연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만 5세를 상으로 유아 리더십을 알아보았으나 연구 상

을 좀 더 다양하게 한다면 각 연령에 따른 좀 더 다양한 의미 있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Page 12: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참 고 문 헌

강 수․이채호․최인수(2010). 유아 리더십과 다 지능 인기도간의 계. 생활과학, 13, 25-34.

고소 (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계. 연세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고재일(2002). 기업내 리더십 유형과 리더십 유효성과의 상 성 연구. 연세 학교 교육 학원 석

사학 논문.

김계수(2004). AMOS 조 정식 형 . 서울: 한나래.

김근희(2006). 유아의 놀이성과 래 유능성과의 계. 숙명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기 (2006). 래 상호작용 속에서의 유아리더십. 숙명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민선(2004). 정 유아 리더의 특성에 한 문화기술 연구.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성동(2003). 리더십 유형이 집단 ·개별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 호텔 조직을 심

으로. 경기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성숙(2008).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타당화. 앙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김지연(2007).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과의 계. 북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나미순(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계. 충남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남정선(2009). 만 4세 바다반 유아 리더의 특성에 한 문화기술 연구. 성신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박연경(2007).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한 연구. 경기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박일화(2008). 변 리더십과 자기희생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조직구

성원의 상사신뢰와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심으로. 숭실 학교 일반 학원 석사학 논문.

박화윤․마지순․천은 (2004).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 래놀이의 한 연구. 열 아

연 , 9(4), 285-298.

배선 ․이은해(2001). 아동의 친구 계 질과 갈등해결 략의 계, 생활과학논집, 15, 80-88.

백지연(2007).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의 놀이성과 실제 놀이주도성의 계 연구. 덕성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서기남(2009). 유아의 리더십과 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심으로. 가톨

릭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서성교(2003). 학생의 체육수업 인식도 척도개발 실태분석. 경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신수경(2008). 놀이유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 략과 사회 행동 문제해결 능력 분석.

남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신유림(2003). 상상놀이에서의 갈등, 내 상태의 표 의사소통 략에 한 연구. 한가정학

Page 1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25

회 , 41(11), 123-133.

안미원(1998). 등학교 아동의 놀이유형 선호도와 사회성과의 계. 공주 학교 교육 학원 석사

학 논문.

엄완 (2007).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향상을 한 로그램 개발 연구. 명지 학교 학원 박사

학 논문.

오정임(2006). 추종자의 에서 본 리더와 추종자 간의 계 특성-구성(블록ㆍ모래) 놀이를

심으로. 아주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우수경(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사회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향, 미래 아 학

회, 15(1), 259-280.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한 찰연구.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윤은숙(2003). 등학교 학년 리더의 유형에 한 연구. 주교육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이 은(2009). 청소년 리더십 교육 로그램 만족수 에 한 연구. 동아 학교 교육 학원 석사

학 논문.

이경실(1997).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 능력과의 계. 이화여자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이명숙(2006). 유아 셀 리더십 척도 개발 타당호 연구. 숙명여자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 선(2007). 유치원 실외놀이에서 신체활동게임에 참여하는 래집단 탐구. 성신여자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이연실(2010).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계. 한 놀 료학회, 13(1), 33-48.

이은미(2006). 유아 인 계 리더십 로그램의 효과에 한 연구. 숙명여자 학교 학원 석사

학 논문.

이은진(2005). 유아 인 계 리더십 로그램의 효과에 한 연구. 숙명여자 학교 학원 석사

학 논문.

이정은․이채호(2008). 유아의 놀이에 향을 미치는 사회 능력과 어머니 양육태도 간의 구조모

형 분석. 미래 아 학회 , 15(4), 369-387.

이채호․이찬숙(2009). 유아 리더십과 사회 능력, 기질 어머니 양육태도간의 계. 미래 아

학회, 16(4), 289-303.

이채호․최인수(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연구. 열 아 연 , 13(3), 23-37.

이형득(1993). 상담 . 서울: 교육과학사.

조경서(1992). 래집단의 리더에 한 연구. 앙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지성애(1994). 도시와 농어 남녀 유아들의 사회놀이 행동에 한 비교연구. 아 연 , 14(1),

133-150.

지성애(2007). 유아놀이척도 타당화 연구. 아 학논집, 11(1), 65-84.

최윤미(2010).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 유능감에 한 연구, 한국교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Page 14: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한미 (2002).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정서지능과의 계. 숙명여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황윤세․이혜원(2006). 도시와 농어 유아의 놀이성 사회ㆍ정서 련 변인간의 계. 한

아보 학, 47, 315-335.

Aguilar, T. E. (1985). Social and environment barriers to playfulness. In J. L. Frost & S.

Sunderlin (Eds.). When children play(pp.73-36). Wheaton: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1-74.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Bohlin, C. F. (2000). Determinan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dominance strategies

during 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onstingl, J. J. (2006). Every child is leader. Leadership, 35(3), 34-36.

Boulais, N, A. (2002). Leadership in children's literature: Qualitative analysis from a study

based on the Kouzes and Posner leadership framework. The Journal on Leadership

Studies, 8(4), 54-63

Campbell, D. (1991). The challenge of assessing leadership characteristics. Issue &

Observation, 11(2), 1-8. Greensboro, NC: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Connolly, J. A. & Dolye, A. B. (1984). Relation of social fantasy play to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0(5), 797-806.

Coplan, R. J., & Rubin, K. H., Fox, N. A., Calkins, S. D., & Stewart, S. L. (1994). Being Alone,

Playing Alone, and Acting Alone: Distinguishing among Reticent and Passive and Active

Solitude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5, 129-137.

Corsaro, W. A. (1994) Discussion, debate, and friendship processes: Peer discourse in U.S. and

Italian nursery schools, Sociology in Education, 67(1), pp. 1-25.

David M. T. (2010). 십 (홍정희 역). 리드리드출 (원 2007 출 ).

Fanutizzo, J., Sutton-Smith, B., Coolhan, K., Manz, P.,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 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105-120.

Fromberg, D. P. (2002). Play and mea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oston, MA : Allyn

and Bacon.

Fukada, H., Fukada, S., & Hicks,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leadership and

sociometric status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8(4),

481-486.

Page 15: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27

Fukada, S., Fukada, H., & Hicks, J. (1994). Structure of leadership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5(4), 389-395.

Gardner, H. (2007). 찰과 포 .(송기동 역). 서울: 북스넛. (원 은 1995년에 출 ).

Harper, L. V., & Hule, K. S. (1985). The Effects Prior Group Experience, Age and Familiarity

on the Quality and Organization of Preschoolers Soci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56, pp. 704-717.

Harrist, A. W., Zaia, A. F., Bates, J. E., Dodge, K. A., & Pettit, G. S.(1997). Subtypes of social

withdrawal in early childhood: Sociometric status and social-cognitive differences across

four years. Child Development, 68(2), 278-294.

Howes, C. & Matheson(1992).Sequences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play with peers:

Social and social preten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8, 961-974.

Iwanaga. M. (1973).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play structure in three, four, and five

year-old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6, 71-82.

Kagan, L. S. (1993). Leadership training for collaboration, draft. The Northcentral Regional

Education Saboratory Regional Early Childhood Forum, October 3.

Karnes, F. A., & Stephen. K. R. (1999). Lead the way to leadership education. Education

Digest, 64(8), 62-65.

Lee, Y. J., & Recchia, S. L. (2008). “Who's the Boss?” Young children's power and influence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10(1), 123-129.

Li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Lynham, S. A. (2000). Leadership development: A review of the theory and literature. In P. K.

Kuchinke(Ed.) Proceedings of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pp285-292).

Baton Rouge, LA: AHRD.

Manz, C. C., & Smis, H. P. (1995). Super 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New

York Berkley Books.

Mitchell, A. (1997). Reflection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S. L. Kagan, & B. T. Bowman(Eds.),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pp.

85-96). Washington, DC: NAEYC.

Northouse, P. G. (2001). 십(김난 ․김정원 역). 서울: 경문사(원 2001 출 ).

Northouse, P. G. (2007).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Oliver, S., & Klugman, E.(2003). Play and learning day by day incorporating constructive play

Page 16: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2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149, 62-65.

Parten, M. B. (1932). Social play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7, pp.243-269.

Perry, D. G., & Bussey, K. (1984). Social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Randy, S., & Michelle, J. B. (2008). Exploring the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on social skill

development on student behavior. National Forum of Special Education Journal, 19(1).

Raver, C. D., & Zigler, E. F. (1997). Social competence: An Untapped dimension in evaluating

Head Start's succ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363-385.

Roper, R, & Hinde, R. A. (1979). Social Behavior in a Play Group : Consistency and

Complexity. Child Development, 49, pp. 570-579.

Shin, M. S., Recchia, S. L., Lee, S. Y., Lee, Y. J., & Mullarkey, L. S. (2004).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leadership emerging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2(3), 301-316.

Singer, D. G & Rummo, J. (1973). Ideational creativity and behavioral style in kindergarten

aged children. Development Psychology, 8, 154-161.

Page 17: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 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고소영, 2003; 김근희, 2006; 유애열, 1994; 한미현, 2002; Oliver & Klugman, 2003)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계․229

Abstract

Relationships Between Play Style and Leadership

Chae-Ho Lee ․ Sun-Ji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style and leadership

of preschool children. Participants included a combination of total 200 childhood teachers in

Seou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r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made between

cognitive, language, social, emotional and movement play of preschool children and leadership.

Positive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sensitive of leadership and non-play. Second, initiative

was predicted by language play. Sociability was predicted by social play. Sensitivity was

predicted by emotional play, non-play, and social play. Concentration was predicted by social

play, movement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