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영어교재개발학과 교수 1. 머리말 크리넥스라든가 스카치테이프처럼 원래 고유명사였던 것이 보통명사 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시소러스(Thesaurus)’ 보고(寶庫)’ 를 뜻하는 그리스어계 라틴어 보통명사 테사우루스에서 유래한 낱말인데, 이 말이 오늘날에 이르러 주제별 사전또는 유의어 사전을 통칭하는 보통명사로 굳어지게 된 데에는 영국의 피터 마크 로제(Peter Mark Roget, 1779~1869) 시소러스에 힘입은 바가 크다. 1) 지금으로부터 약 160년 전쯤인 1852년에 발간된 시소러스는 출간과 동시에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고, 이후 유럽 및 미국에까지 유사한 형식의 사전을 양산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로제의 시소러스는 놀라운 속도로 영어권 시민과 영어를 배우는 외국인 들에게 보급되었고, 급기야 성경웹스터 사전과 더불어 교양 있는 가정의 3 대 필수 소장 도서에 포함될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와 권위를 얻게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시소러스가 대중에게서 받아 온 전폭적인 사랑과 신뢰에 대해서라면, 제임스 매슈 배리의 피터팬(1930) 1) 16~17세기에도 일반 사전의 제목에 시소러스(Thesaurus)가 붙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 예로 로버트 에티엔(Robert Estienne)의 Thesaurus linguæ lainæ(1735)가 있다. 세계의 언어 사전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영어교재개발학과 교수

1. 머리말

‘크리넥스’라든가 ‘스카치테이프’처럼 원래 고유명사였던 것이 보통명사

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시소러스(Thesaurus)’는 ‘보고(寶庫)’를 뜻하는

그리스어계 라틴어 보통명사 ‘테사우루스’에서 유래한 낱말인데, 이 말이

오늘날에 이르러 ‘주제별 사전’ 또는 ‘유의어 사전’을 통칭하는 보통명사로

굳어지게 된 데에는 영국의 피터 마크 로제(Peter Mark Roget, 1779~1869)

의 ≪시소러스≫에 힘입은 바가 크다.1) 지금으로부터 약 160년 전쯤인

1852년에 발간된 ≪시소러스≫는 출간과 동시에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고,

이후 유럽 및 미국에까지 유사한 형식의 사전을 양산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로제의 ≪시소러스≫는 놀라운 속도로 영어권 시민과 영어를 배우는 외국인

들에게 보급되었고, 급기야 ≪성경≫과 ≪웹스터 사전≫과 더불어 교양

있는 가정의 3 필수 소장 도서에 포함될 정도로 중적인 인기와 권위를

얻게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시소러스≫가 중에게서 받아 온

전폭적인 사랑과 신뢰에 해서라면, 제임스 매슈 배리의 ≪피터팬≫(1930)

1) 16~17세기에도 일반 사 의 제목에 시소러스(Thesaurus)가 붙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 로

로버트 에티엔(Robert Estienne)의 ≪Thesaurus linguæ lainæ≫(1735)가 있다.

세계의 언어 사전

Page 2: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4

의 이 구절만큼 더 명확한 묘사는 없을 것이다. “훅 선장이 완전히 사악한

인간은 아닌지도 모르겠다. ≪시소러스≫를 갖고 있는 걸 보면… ….”

로제의 ≪시소러스≫의 정식 제목은 다음과 같다. ‘The Thesaurus of

English Words and Phrases, Classified and Arranged so as to Facilitate

the Expression of Ideas and Assist in Literary Composition’ 그 로

옮기면 ‘의도에 맞는 표현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단어를 분류하고

배열한 작문용 어휘 모음집’이라는 긴 제목이 된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 사전이 상정한 이용 맥락은 표현 활동(작문)을 할 때이다. 그 기능은

글쓴이의 생각을 가장 적확하게 드러내는 표현을 찾아 주는 것이다. 참조의

방향이 개념에서 어휘로 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목에서 명확히 드러나

지는 않지만, 로제가 염두에 둔 사전의 이용자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일반 시민이었다. 거듭 말하면, 로제의 ≪시소러스≫는 글 쓰는 영어 원어민

화자가 나타내고 싶은 생각(idea)에 가장 근접한 표현을 제시해 주는 용도

로 만들어진 사전이다. 따라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을 공통분모로 갖고

있는 어휘를 폭넓게 제시해서 이 중에서 글쓴이가 의도하는 문맥에 가장

적절한 것을 골라 쓸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로제는 이 과정을 효율적으

로 만들기 위해 어휘를 주제별로 배열하는 거시 구조 체계를 채택했다.

로제의 ≪시소러스≫가 철자순 거시 구조가 아닌 주제별 거시 구조를

취했다는 점은, 현 는 물론이고 당시에도 완전히 새로운 시도는 아니었다.

주제별 사전은 ‘로제’ 이전에도 많았다. 사전이나 백과사전 같은 공구서

편찬의 역사를 놓고 볼 때, 주제별 배열이 철자순 배열보다 더 오래되고

친숙한 체제임은 주지의 사실이다(McArthur, 1998). 더욱이 1852년이면

그리 옛날이 아니다. 주제별 사전이든 유의어 사전이든, 철자순의 일반 언어

사전이든, 19세기 중반까지 영국과 유럽은 이미 풍성한 언어 사전 편찬의

전통을 축적해 놓았다. 영국만 놓고 보더라도 일반 언어 사전으로는 1755년

에 발간된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이 있고, 주제별 어휘 사전(목록)

Page 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5

으로는 그보다도 더 전인 1668년의 존 윌킨스(John Wilkins)가 있다. 유의

어 사전으로는 1816년의 조지 크래브(George Crabb)이 있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세계적 사전들은 집단적인 작업물인 경우가 많지만

≪시소러스≫는 처음부터 끝까지 로제 개인이 집필했다. 외부의 후원도

없었고 일을 거들어 주는 사람도 없었다. 더구나 로제는 본업이 따로 있었다.

영재였던 그는 스무 살 이전에 이미 외과 의사 면허를 취득했고 런던과

에든버러 등지의 지식인들과의 활발한 교류와 왕성한 학문 활동을 통해

생리학자로도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는 20 후반이었던 1805년경에

≪시소러스≫의 체계를 잡고 초고를 쓰기 시작했는데, 은퇴하여 사회 활동

이 한유해지고서야 원고를 다듬고 집필에 온전히 힘을 쏟을 수 있었다.

그렇게 기획부터 출간까지 걸린 시간이 47년이었다. 한 과학자의 취미 활동

으로 시작하여 여가 활동의 결과로 나온 사전으로, 로제라는 이름은 사전

편찬사상 불멸의 반열에 올랐다. 로제는 당 에 굵직한 과학적 업적을 상당

히 남겼지만, 이제 그를 과학자로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렇듯 ≪시소러스≫는 규모의 공적인 프로젝트와는 한참 거리가 멀

고, 전문적인 사전 편찬 원칙이나 언어학적 원리보다는 어휘 수집에 취미가

있는 과학자의 직관에 의해 편찬된, 주제별 배열이라는 평범한 구조를 가진

사전이었다. 그런 사전이 출간과 동시에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160여

년의 세월에도 그 명성이 마모되지 않은 채 오늘날까지도 작지만 귀하게

반짝이는 보석 같은 사전으로 남아 있다. ≪시소러스≫에 어떤 특별한 점이

있기에 이 사전은 그처럼 독보적이고도 지속적인 인기를 얻을 수 있었을까?

그리고 중적인 인기와는 별개로, 사전 편찬과 언어학의 측면에서는 이

사전이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을까? 본 소고는 이 같은 질문에서 출발하여

로제의 ≪시소러스≫의 특징과 의의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다음 장에서는 ≪시소러스≫의 기획 배경 및 편찬 목적을 알아본다.

3장에서는 ≪시소러스≫의 특징을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 표제항의 내용이

Page 4: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6

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이 사전이 기존의 유의어 사전 및 주제별

사전과 어떤 면에서 차별화되었는지를 짚어 본다. 그 과정에서 ≪시소러스≫

의 사전 편찬 및 언어학적 의의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시소러스≫의 기획 배경과 편찬 의도

≪시소러스≫를 편찬한 피터 마크 로제는 1779년 영국 런던에서 스위스

계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신경 쇠약을 앓던

홀어머니와 여동생과 더불어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못한 소년 시절을 보냈

다. 유년 시절부터 라틴어 및 수학에 탁월한 재능을 보인 로제는 불과 19세에

에든버러 학교의 의과 학을 졸업하고 외과 의사 면허를 취득하게 된다.

이후 그는 삼촌인 새뮤얼 로 리 경의 주선으로 브리스틀, 맨체스터, 런던,

에든버러 등지의 지식인들과 활발히 교류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지식인과

의 교류를 통해 그는 자신의 전공 분야인 의학 및 생리학과 관련된 지식을

심화하는 한편 당시 영국 사회를 지배하던 공리주의 사상에 깊은 감화를

받게 된다. 청년 로제는 브리스틀 지역의 병원에서 외과의 수련을 하는

동시에 공리주의 사상가인 제러미 벤담과 함께 음식 보관용 냉저장고(프리

기다리움)를 개발하는 데에 힘쓰기도 했다. 로제가 ≪시소러스≫의 초고를

만든 시기도 이 무렵이다. 직업상 집필 활동의 기회가 많았던 그는 자신의

글쓰기 활동에 참고하기 위해 어휘집을 만들었다. 동물분류학의 가인

퀴비에에게서 큰 영향을 받은 그는 자연과학의 분류법에서 착안한 어휘

분류 체계를 구상하고 이 체계에 따라 어휘를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수련 후 수년간의 유럽 체류를 마친 로제는 서른 살이 되던 1809년,

런던에 정착하여 이후 평생 동안 ‘노선 디스펜서리(북부 진료소)’라는 자선

병원에서 외과 의사로 일하였다. 의사로 재직하면서 동시에 학술 활동도

Page 5: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7

활발히 펼쳐 나갔다. 그는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의과 학의 전신인

그레이트 윈드 스트리트 스쿨(the Great Windmill Street School)에서

외과학, 해부학 및 생리학을 가르치는 한편 영국외과학회(the Medical and

Chiurgical Society)의 창립에 공을 세우기도 했다. 1834년에는 두 권의 식물

및 동물 생리학 저술을 남겼으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Encyclopaedia

Britannica)≫(1842)의 생리학 부문에 표제항 여러 편을 작성하기도 했다.

1827년 그는 영국학술원(Royal Academy)의 총무 이사로 추 되어 20년간

봉직하였다.

활발한 연구 활동과 강연, 학술원에서의 활동, 광범위한 기고문과 정부

보고서 집필 등으로 당시 로제의 중적 인지도와 명망은 상당히 높았다.

공리주의에 큰 영향을 받은 그는 과학 기술의 보급과 지식의 중화에 열의

를 품은 중 참여적인 지식인에 속했다. 또한 그는 생리학 및 해부학자로서

근 적 실증주의의 지지자이기도 했다. 선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분류 체계

에서 탈피하여, 관찰과 실험에 입각한 체계적이고 증명 가능한 방법으로

자연을 분류하고 조직화하려는 실증주의적 세계관은 과학자로서의 로제를

넘어 사전 편찬자로서의 로제를 규정하는 특징이기도 하다. 1847년 동료

과학자인 찰스 배비지와 학술원의 운영 문제로 다툼을 겪은 후 그는 20년간

몸담아 온 학술원의 총무이사직을 사임하였고, 이를 계기로 1805년부터

수집해 왔던 어휘집의 원고를 돌아볼 시간적인 여유를 얻게 된다. 그로부터

5년 후인 1852년, 로제의 나이 일흔셋에 ≪시소러스≫의 초판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시소러스≫의 머리말을 보면, 로제 자신이 수십 년간

자신의 어휘집을 무척 요긴하게 사용했기에 노년의 여가를 이용해 이를

다듬어서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다는 그의 바람이 드러나 있다.

≪시소러스≫의 머리말에는 로제의 편찬 의도가 세 가지의 측면에서

명확히 드러나 있다. 하나는 ≪시소러스≫의 명의적(名義的) 구성 체계

(Onomasiological Programme)와 그것의 기능이다. 로제는 자신의 ≪시

Page 6: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8

소러스≫가 기호에서 출발해 의미를 기술하는 알파벳순의 사전과는 정반

의 구성, 즉 의미에서 출발해서 기호를 기술하는 주제별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그 기능이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의미)을 가장 정확하면

서도 적절하게 찾아 주는 것임(the idea being given to find the word,

or words, by which hat idea may be most fitly and aptly expressed)’을

명시하고 있다(1852: v). 또한 자신의 주제별 어휘 분류 체계에 한 구상은

윌킨스의 어휘 분류 체계(1668)와 저자 미상의2) ≪파지그라피(Pasigraphie)≫

(1779)에서 얻어 온 것임을 언급하고 있다.

머리말을 통해 알 수 있는 또 다른 주요한 편찬 의도는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분류했는가’라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표제어를 주제별로 분류하

는 것은 고 의 두 언어 어휘 목록집에서부터 근 의 백과사전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참조 문헌들이 채택하는 방식이다. 로제의 ≪시소러스≫ 역시

주제별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이 사전이 분류한 상은 백과사전처럼 사물

이나 사건, 사회적 실체 등의 상이나 지식의 아이템이 아니라 ‘언어로

표현되는 생각(a classification of ideas which are expressed by language)’

그 자체이다(1852: xi). 존 로크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로제는 어휘의 의미

체계는 객관적인 실체가 아니라 인간의 정신이 구조화한 심적 체계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그는 어휘로 표현되는 개념들을 분류

상으로 삼아 이를 주제에 따라 갈래지었다. 그래서 그의 분류 목록을

보면 분류의 차원이 매우 추상적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red(빨강)라든

가 blue(파랑)라는 표제항 신에 redness(붉음), blueness(푸름)이라는

표제항을 볼 수 있다. 로제는 인간의 심적 어휘 체계는 언어 보편적인 것이라

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는 어떤 언어의 어휘라도 자신의 분류 체계에 따라

2) 로제는 “작자 미상”이라고 하 으나, ≪ 지그라피≫의 자는 랑스의 장 드메미외(Jean

De Maimieux)이다.

Page 7: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19

목록화할 수 있으며, 그런 방식으로 여러 언어 간에 통일된 ‘철학적 언어

(Philosophical Language)’, 즉 일종의 다언어의 개념적 어휘 체계를 구축

할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1852: xxiv).

≪시소러스≫의 가장 중요한 의도는 유용성(utility)이다. 그는 자신의

사전을 ‘연장’에 비유하며, 목수가 작업을 잘하려면 자신에게 필요한 연장이

손 닿는 데에 구비되어 있어야 하듯이, 글을 쓰거나 연설을 준비하는 이에게

는 “어휘라는 연장 일습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he possess an entire

command of all the resources and appliances of his language)”라고

말한다(1852: ix). 여기서 어휘 레퍼토리를 연장에 비유한 점에 주목할 필요

가 있다. 그에게 있어 ‘유용성’의 기준은 질이 아닌 ‘양’에 있었다. 목수라면

이미 다양한 연장들에 익숙할 터이므로 그들에게 연장 하나하나의 사용법을

세세하게 설명하고 안내하는 것보다는 가급적 다양한 연장들을 찾기 좋게

분류해서 제공하는 것이 작업을 하는 목수에게는 더욱 긴요할 것이다. 바꿔

말하면, 로제가 상정한 ≪시소러스≫의 사용자는 영어를 모어로서 자연스

럽게 습득한 일반 영어 화자이므로, 그가 생각하는 이 사전의 일차적 유용성

은 유의어들 간의 의미 차이와 특질을 세세하게 분석하여 밝히는 것에 있지

않고 특정 개념을 공유하는 어휘를 망라함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선택 사양

을 제시하는 데에 있었던 것이다. 그는 사용자들이 제시된 단어들의 뜻을

이미 알고 있지만 당장 떠올릴 수 없을 뿐이라는 맥락을 전제하였다. 따라서

로제는 뜻풀이를 생략하였고, 어휘의 종류 역시 표제 개념을 공유하는 다양

한 스펙트럼의 어휘를 가급적 많이 제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시소

러스≫의 유용성은 말뜻 그 로 검색(retrieval)의 유용성을 의미하는 것이

었다.

로제의 ≪시소러스≫에 낱말들에 한 설명이나 정의가 없다는 점은

종종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학술 어휘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청소년층에게 ≪시소러스≫가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되어야 하는 도구로

Page 8: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0

인식되어 온 것도 뜻풀이가 없는 ‘불친절한’ 정보 제시 방식 탓이 컸다.

그러나 로제 자신은 정확히 이 점 때문에 자신이 편찬한 사전의 유용성이

극 화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은 당시의 유의어 사전의 편찬 관행을

비춰 볼 때에라야 이해할 수 있다. 당시 유의어 사전들은 부분 알파벳순의

거시 구조를 취하고 있었으며, 수록한 표제항도 수백 개 정도에 그쳤다.

표제항의 선정도 편찬자의 자의에 의한 것이었기에 표제어의 범위와 종류에

있어서 체계성이 부족했다. 부분은 헷갈리기 쉬운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

들이라든가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논하기에 좋은 어휘 쌍들이 표제어로 선정

되었다.3) 그러나 로제가 사전을 편찬한 목적은 유의어 간의 뜻 차이를 음미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개념을 표현할 수 있는 어휘를 찾아 주는

사전을 만드는 것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유의어 사전의 전통에서 탈피하여

개별 어휘가 아닌 개념을 표제항의 단위로 삼았으며 표제항(표제 개념)의

선정과 배열을 할 때 객관성과 포괄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어휘

선정의 범위 역시 최 한 확보하기 위해 뜻풀이라는 기존 유의어 사전의

관행을 완전히 생략했던 것이다.

3. 로제의 ≪시소러스≫의 구성과 특징

로제의 초판 ≪시소러스≫(1852)는 모두 1,000개의 어휘 개념(표제항)이

6개의 분류 항목과 24개의 중분류, 100여 개에 이르는 소분류 항목으로

나뉘어 제시되어 있으며, 초판에 수록한 어휘는 총 1만 5천여 개다. ≪시소러

스≫의 거시 구조는 사전에 제공되는 두 종류의 목차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바로 ‘ 분류표(Plan of Classification)’와 ‘분류요목표(Tabular

3) 18세기에 출간되어 19세기에 선풍 인 인기를 끌었던 가 리엘 지라르(Gabriel Girard)의 ≪유

의어 사 ≫(1769)이 형 이다.

Page 9: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1

Synopsis of Categories)’, 이렇게 두 종류의 목차이다. ‘ 분류표’는 사전의

가장 거시적인 구성을 보여 주며, 6개의 분류와 하위 24개의 중분류, 그리

고 각각의 중분류에 딸린 표제항 번호를 간략히 보여 준다. 분류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대분류표(Plan of classification) 요약

CLASS(대분류)

SECTION(중분류) ARTICLES(표제항)

표제항 소계

I.

ABSTRACT

RELATIONS

(추상 계)

1. EXISTENCE(존재)

2. RELATION( 계)

3. QUANTITY(양)

4. ORDER(순서)

5. NUMBER(수)

6. TIME(시간)

7. CHANGE(변화)

8. CAUSATION(원인)

1—8

9—24

25—57

58—83

84—105

106—139

140—152

153—179

8개

16개

33개

26개

22개

34개

13개

27개

II.

SPACE

(공간)

1. SPACE IN GENERAL(공간 일반)

2. DIMENSIONS(차원)

3. FORM(형태)

4. MOTION(운동)

180—191

192—239

240—263

264—315

12개

48개

24개

52개

III.

MATTER

(물질)

1. MATTER IN GENERAL(물질 일반)

2. INORGANIC MATTER(무기물)

3. ORGANIC MATTER(유기물)

316—320

321—356

357—449

5개

36개

93개

IV.

INTELLECT

(사고)

1. FORMATION OF IDEAS

(생각의 형성)

2. COMMUNICATION OF IDEAS

(생각의 소통)

450—515

516—599

66개

84개

V.

VOLITION

(의지)

1. INDIVIDUAL VOLITION(개별 의지)

2. INTERSOCIAL VOLITION(사회 의지)

600—736

737—819

137개

83개

VI.

AFFECTIONS

(정서)

1. AFFECTION IN GENERAL(정서 일반)

2. PERSONAL AFFECTIONS(개별 정서)

3. SYMPATHETIC AFFECTIONS(공감)

4. MORAL AFFECTIONS(도덕 정서)

5. RELIGIOUS AFFECTIONS(종교 정서)

820—826

827—887

888-921

922—975

976—1000

7개

61개

34개

54개

25개

Page 10: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2

이어지는 ‘분류요목’은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을 찾아서 들어갈

수 있도록 1,000개의 표제항을 ‧중‧소분류와 함께 13쪽에 걸쳐 나열해

놓은 목차이다. 분류표와 달리 분류요목표에서는 소분류 목록이 더불어

제시되는데, 분류의 수준이 분류에서 소분류로 내려갈수록 검색 길잡이말

(signpost)들도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해진다. 예를 들어 분류 I. AB

STRACT RELATION(추상적 관계)라든가 중분류인 5. Number(수)까

지는 길잡이말의 추상성이 높아서 사용자가 무슨 뜻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은데, 1. Number in the abstract(추상적 수 개념), 2. Determinate

number(정해진 수), 3. Indeterminate number(정해지지 않은 수)와 같은

소분류 항목의 길잡이말은 상당히 구체적인 개념으로 검색의 범위를 좁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좀 더 쉽게 해당 분류 항목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같은 소분류 항목은 전체 분류 체계에서 백여 개 정도 되며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한다.

소분류 아래에는 표제항 번호와 함께 표제어가 제시되어 있다. 위의

<표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어떤 중분류는 단지 5개의 표제항만 있는

반면(예: III. Matter→1. Matter in general→표제항 316부터 320) 어떤

중분류에는 표제항의 수가 137개에 이른다(예: V. Volition→1. Individual

volition→표제항 600부터 736). 이렇게 표제항의 수가 많은 항목을

살펴보면 소분류 아래에 더 작은 단위의 분류 항목이 등장하기도 한다.

<표 2>에서 예시한 것처럼 가장 간단한 검색 구조는 ‘ 분류→중분류→

표제항’의 3단계 검색 경로를 거치는 반면, 가장 복잡한 검색 구조는 ‘ 분류

→중분류→소분류→하위 소분류→하하위 소분류→표제항’의 6단계

검색 경로를 거치게 된다. 즉 ≪시소러스≫는 표제항별로 다양한 위계의

검색 구조를 지니고 있다.

Page 11: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3

표 2 표제항의 검색 구조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하위

소분류하하위 소분류

표제항

VI.

AFFECTIONS

I.

Affections

in general

820. Affections

821. Feeling

822. Sensibility

823. Insensibility

825. excitability

826. Inexcitability

III.

MATTER

III.

Organic

matter

SensationSpecial

sensation

Sound

/in

general

402. Sound

403. Silence

404. Loudness

405. Faintness

로제의 ≪시소러스≫가 취한 개념 분류 체계는 칼 폰 린네의 식물 분류

체계 및 조르주 퀴비에의 동물 분류 체계와 유사한 방법론적 특성을 지닌다.

그 자신이 동식물 생리학자로서 자연 분류 체계에 조예가 깊었던 로제이기

때문에 개념 분류에도 그 같은 과학적 방법론을 은연중에 적용하였을 것이

다. ≪시소러스≫는 어휘를 여섯 개의 분류(class)로 나눈 다음 그 아래에

중분류(section), 또 그 아래에 소분류(group)를 두고 최종적으로 표제항

(article)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류 체계는 동물 분류에서의 강(class),

목(order), 속(genus), 그리고 종(species)을 연상케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 ≪시소러스≫의 분류법은 뉴턴과 데카르트 이후의 근

적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는 듯하다. 분류 I과 그 하위의 중분류들에서는

인과율에 따라 정확한 법칙에 종속되어 있는 객관적 세계에 한 믿음이

투사되어 있으며, 분류 Ⅱ와 Ⅲ에서는 인식 상으로서의 공간과 물질에

한 관심이 드러나 있다. 이어지는 Ⅳ, Ⅴ, Ⅵ은 인간을 지성과 의지와

감정의 주체로 인식하는 근 적 인간관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로제의

분류 체계는 프랑스 백과사전과 매우 다르며, 의사소통이 중요한 개념 항목

Page 12: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4

으로 설정되어 있다(IV. INTELLECT→2. Communication of Ideas)는

점도 매우 흥미롭다.

앞서 2장에서 언급하였듯이 ≪시소러스≫는 당시의 유의어 사전들과는

달리 의미 정보가 거의 없다는 미시 구조상의 특징을 갖고 있다. ≪시소러스≫

의 미시 구조는 최소한의 요소들만 있어 간략하다. 표 개념을 나타내는

표제어 아래 표제항에는 낱말들이 별도의 뜻풀이 설명 없이 표제어와의

의미적 근접도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표제어 부분이 추상 명사인 ≪시소

러스≫의 특성상 처음 오는 어휘군은 추상 명사이며 뒤이어 지시적인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의 순으로 어휘가 묶음 지어 제시된다. 표제 개념이

다의성을 띠는 경우에는 그 뜻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간략한 의미 구분

표시 정보가 덧붙여질 때도 있다.

그런데 ≪시소러스≫는 당시의 주제별 사전들과도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바로 표제어의 종류이다. 당시의 주제별 어휘집(또는 사전)은 지칭의

미론(referential semantics)의 관점에 따른 백과사전식 어휘 목록에 가까

웠다. ‘혈족 관계’라는 뜻의 Consanguinity 항목을 찾으면 ‘progenitor(선

조)/descendant(후손)’, ‘parent(부모)/child(자녀)’, ‘uncle(삼촌)/nephew

(조카)’, ‘brother(남자 형제)/sister(여자 형제)’와 같은 어휘들이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로제의 ≪시소러스≫에서 Consanguinity의 항목을 찾으면

다음과 같은 어휘들이 제시되어 있다.

CONSANGUINITY — consanguinity, relationship, kindred, blood;

[...] affiliation, lineage, connection [...]; family, fraternity, brotherhood,

sisterhood, cousinship [...]

혈족 관계 — 혈족 관계, 친척 관계, 일가친척, 혈족; [...] 소속, 가계,

인척 [...]; 가족, 동지, 형제간, 자매간, 사촌지간 [...]

Page 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5

마찬가지로 Color 항목을 찾으면 기존의 주제별 어휘집에서는 red(빨강),

green(초록), violet(보라)과 같은 색깔 이름을 명명한 어휘들을 나열되어

있는 반면 로제의 ≪시소러스≫에는 color(색), hue(색조), tint(엷은 색),

tinge(아주 엷은 색), shade(미묘한 색) 등, 색을 나타내는 개념을 공유하는

어휘가 제시되어 있다. 이 점은 사전 편찬사적으로 결코 사소하지 않은 전환

점으로 인정된다. 로제의 ≪시소러스≫의 역사를 연구한 베르너 휄렌(Werner

Hüllen)은 상의 명명으로서의 어휘가 아닌 인지적 구성 체계로서 어휘를

개념적 주제에 따라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로제의 ≪시소러스≫에서 최초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기점으로 지칭적 의미 기술을 넘어 의미인지론(cognitive

semantics)으로 도약하는 밑그림이 그려졌다고 보고 있다(Hüllen, 2004).

4. 맺음말

로제의 ≪시소러스≫는 1852년 초판 출간 이후 지금까지 절판된 적이

없었다. 로제는 일흔셋에 초판을 출간한 후 아흔 살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시소러스≫의 개정 작업을 이끌었다. 그의 사망 후에는 아들

인 존 루이스가 책임 편집을 담당하였다. 로제가 ≪시소러스≫를 출간하던

때에는 저작권에 한 보호가 이뤄지지 못해서 이후 수많은 출판사에서

유사한 유의어 사전을 만들고 그의 이름을 제목에 넣으면서 비슷비슷한

이름의 ‘시소러스’들이 나왔다. 이런 관행은 계속 이어져 지금도 ‘Roget(로

제)’라는 이름을 단 ‘시소러스’가 수십 종이 넘는데, 이들 부분은 실제

로제의 ≪시소러스≫와는 관련이 없는 것들이다. ‘로제’라는 이름이 사전의

종류(주제별 관련어 사전)를 뜻하는 수식어로 보편화한 셈이다.

로제가 고안한 개념적 분류 체계와 의미 군집을 통한 관련어 제시 방식은

검색상의 편의 여부를 떠나 의미장 이론과 심적 어휘, 의미인지론 등 현

Page 14: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6

언어학의 관점들과 공명하면서 다시 한번 재조명되고 있다. 초판의 ≪시소

러스≫에는 1,000개의 표제항과 15,000여 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었다.

2000년 에 나온 로제의 ≪시소러스≫에 실린 단어의 수효는 30만 가까이로

불어났다. 하지만 표제항의 항목 수와 개념 분류 체계는 초판의 그것에서

크게 바뀌지 않았다. 이는 로제의 ≪시소러스≫가 확립한 의미 분류의 체계가

언어 보편의 특징을 훌륭하게 담아내었다는 방증이 아닐까?

톰 맥아더는 ‘미래의 영어’라는 기고문에서 미래의 사전은 갈수록 주제

중심의 구조(thematization)를 취하게 될 것이라 예견한 바 있다(McArthur,

1998). 지난날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기호 중심으로 배열되었던 사전

구조는 데이터 처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필연적으로 의미 중심의 구조로

바뀌어 갈 것이다. 로제의 ≪시소러스≫는 그런 의미에서 여전히 ‘이 시 의

사전’이다.

Page 15: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 2017-10-10 · 113 주제별 어휘 사전의 바탕을 확립한 로제의 ≪시소러스≫ 배연경

127

참고 문헌

Crabb, George(1816), ≪English Synonyms Explained≫, London: Baldwin

and Cradock.

Emblem, D. L.(1970), Peter Mark Roget: The World and the Man, London:

Longman.

Hüllen, W.(2004), ≪A History of Roget’s Thesaurus: Origins, Developmet,

and Desig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Johnson, S.(1755),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London: W.

Strahan for J. and P. Knapton. Reprinted in London: Times Books,

1979.

McArthur, T.(1998), Guides to tomorrow’s English, English Today, 14(3):

21-26.

Roget, P. M.(1852), ≪Roget’s Thesaurus of English Words and Phrases≫,

Ed. George Davidson. 150th Anniversary edition. London: Penguine

Books.

Wilins, John.(1668), ≪An Essay towards a Real Character, And a

Philosophical Language≫, London: Sa. Gellibrand for John Martin.

Reprinted in Menston: Scholar Press,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