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
중소기 R&D 혁신량강화 지원체 구 (Strategy to build innovation capabilities for SMEs) 아주대학교 K-12-IA-31-01P-1

중소기업 R&D 혁신역량강화 지원체제 연구 (Strategy to build …img.kisti.re.kr/tr_img/2015006/rttrko000000220522.pdf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프로세스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중소기업 R&D 혁신역량강화 지원체제 연구(Strategy to build innovation capabilities for

SMEs)

아주대학교

K-12-IA-31-01P-1

제 출 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중소기업 R&D 혁신역량강화 지원체제 연구”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 09. 30

위탁연구기관명 : 아주대학교 (인)

위탁연구책임자 : 이성주 (인)

연 구 원 : 강영모 (아주대)

김지은 (아주대)

노희용 (아주대)

이경표 (아주대)

조찬우 (아주대)

보고서 요약서

보고서 번호 K-12-IA-31-01P-1 연구기간 2012. 3. 1 -

2012. 9. 30

본과제명 산업시장 정보분석 체제구축

연구과제명 과제명: 중소기업 R&D 혁신역량강화 지원체제 연구 (영문과제명): Strategy to build innovation capabilities for SMEs

연구책임자 이 성 주 참여연구원수 총 : 6 명 내부 : 6 명 외부 : 0 명

연구비정부: 50,000 천원기업: 천원 계: 5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소속부서명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참여기관명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이내)보고서면수

○ 본 연구과제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음

- 첫째, 중소기업 R&D혁신역량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R&D 혁신역량 평가기준을 도출함

- 둘째, (중소)기업 역량평가에 대한 기존 연구 및 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평가주체,

평가자료, 평가결과, 평가방법의 관점에서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평가체계를 개발함 - 셋째, 개발된 혁신역량 평가체계에 따라 혁신역량 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설문과 회의를 통해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평가를 위한 40개의 핵심 평가지표와 평가지침을 개발함

- 넷째, R&D혁신역량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해 줄 수 있도록 지원 프로그램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운영방안을 제안함

-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방안을 도출하고자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의 개념 및 작성 프레임워크를 제안함

색인어(각 5개 이상)

한 글 혁신, 혁신역량, 혁신역량 진단, 기술로드맵, 중소기업

영 어 Innovation, innovation capabilities, innovation capability audit,

technology roadmap, SMEs

요 약 문

Ⅰ. 연구과제명

○ 중소기업 R&D 혁신역량강화 지원체제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글로벌화로 인한 경쟁이 심화되고 과학기술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함에 따라 중소기업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품질관리나 비용절감과 같은 전통적인 경쟁 전략을 가지고 지속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졌으며, 이에 혁신역량 강화는 중소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필수요소로 대두됨

○ 대기업의 경우 혁신역량의 자체적인 평가를 통해 혁신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전반적인 프로세스가 잘 구축되어 있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역량 수준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함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혁신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체계적인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및 R&D 기획지원방안을 도출하고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을 개발함으로써 국내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국내외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및 지원 시스템 조사 및 벤치마킹

- 진단 프레임워크의 경우 평가목적, 평가지표, 평가체계, 평가척도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

- 지원 시스템의 경우 진단 프로그램 운영방안(온/오프라인 등)과 진단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등에 초점을 맞추며 공공 서비스 및 솔루션의 경우 지원 범위와 지원 프로세스 등에 대한 조사를 추가

○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진단 프레임워크 및 지표를 개발하고, 진단

프로세스를 구성 -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에 앞서 평가의 방향과 목적을 명확히 정

의하고 R&D 혁신역량에 대한 정확한 범위를 설정 - 평가 프레임워크에 따라 적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지표의 특성

에 맞게 적합한 평가체계를 개발 - 평가지표와 체계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평가 프로세스를

제안 - 혁신역량 진단결과에 따라 부족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방안

도출

○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 개발

-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와 현재 KISTI, 중소기업청의 대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

- KISTI 보유역량에 기반한 신규 지원 프로그램 도출 및 운영방안 개발 - 혁신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맞춤화된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작성 프

로세스 제안

Ⅳ. 연구 결과

○ 중소기업 R&D혁신역량 개념 및 평가기준 도출 - 평가의 목적을 고려하면서 일반혁신역량, 기술혁신역량, 경영혁신역량

등 유사개념과 차별화 될 수 있도록 R&D 혁신역량에 대한 개념 정립 - R&D혁신역량은 R&D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역량임과 동시에 평가

결과가 KISTI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 가능한 역량으로 정의

- 기존 연구와 개념 정립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 R&D혁신역량을 평가 하기 위한 기준 도출

○ R&D 혁신역량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개발 - 기존 연구 및 사례에 대한 검토결과를 토대로 평가주체, 평가자료 형 태, 평가결과 형태, 평가방법의 관점에서 개발 - 기존 문헌 및 사례연구에 기반하여, R&D 혁신역량 평가기준을 잘 나 타낼 수 있고 중소기업 평가에 적합한 평가 지표 70개를 도출 - 도출한 평가 지표를 3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와 전문가 설문조사를 거 쳐 중소기업 적합성, 지표 타당성이 높은 40개의 핵심지표를 선정하였 으며, 나머지 30개의 지표는 부가지표로 선정 - 40개의 핵심지표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진단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

○ R&D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 제안 - 개발한 R&D 혁신역량 평가체계, 평가지표에 기반하여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를 제안 - 혁신역량 진단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진단 리포트 템플릿을 개발 - 국내 5개 중소기업에 대해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pilot

test를 수행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프로세스 개발 - 국내·외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사례 조사 및 벤치마킹 -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및

기술기획 지원에 대한 니즈 도출 - 기존사례에 대한 조사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형

로드맵 작성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 개발

Ⅴ. 연구결과의 활용

○ 연구결과는 기술혁신 역량에 대한 중소기업 자가진단/감사평가 도구로써 중소기업들의 수준을 평가하고 개선하는데 활용

- 중소기업 측면에서는 자사의 혁신역량의 변화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

링과 타사와의 역량비교를 통해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수 있는 토대로 활용 가능

- 진단기관 측면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체계적 시스템 확충 방안으로 활용 가능

- 혁신역량 진단결과에 따라 KISTI, 중소기업청 혹은 정부가 시행하는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추천하도록 함으로써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혁신역량의 개선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며, 정부 입장에서는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 프로세스는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기술기획 역량을 높이기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중소기업 R&D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KISTI의 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로 활용되거나 더 나아가서는 KISTI 중소기업 정보지원 사업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Summary

Ⅰ. Title

Strategy to build innovation capabilities for SMEs

Ⅱ. Objective of the study and its importance

○ As competition is becoming more intense due to the globalization

of market and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changing rapidly,

there is a great need for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strengthen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nowadays, it has become difficult for them to realize

sustainable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competitive strategy

methodology focusing on quality control or cost reduction.

○ While large firms tend to have their own methodologies to increase

innovation capabilities based on an assessment of their current

status and future needs, most of SMEs are lack of such

methodologies; the assessment of innovation capability level must

take precedence to strengthen SME's innovation capabilities.

○ In order to support SMEs to increase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a

study on a systematic framework for appraising the innovation

capabilities is neede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ssessing SMEs' R&D innovation capability and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ir technology planning practices;

ultimately, it attempts to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Korean SMEs by developing a program to support

SMEs.

Ⅲ. Content and scope of the study

○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and benchmarking on a framework

to assess SMEs' innovation capabilities

- A review on assessment frameworks considers such items including

an assessment purpose, assessment criteria and indexes, assessment

scale and an assessment system.

- A review on support systems focuses the way to mange an

assessment program and follow-up service provided by the assessor;

if the program is provided by government agencies, the target of

service beneficiary and detailed process for the program is reviewed

as well.

○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framework to increase SMEs' R&D

innovation capabilities

- A framework and criteria to evaluate SMEs' R&D innovation

capabilities is developed.

- Before the development of framework, the purpose of assessment

and the scope of R&D innovation capabilities are clearly defined.

- According to the framework, assessment indexes are derived and

assessment scales suitable for each index are developed; detailed

assessment processes are designed using the indexes and scales.

- On a basis of assessment results, ways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SMEs are proposed.

○ Development of a program to support SMEs' assessing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ts operation process

- An assessment program is linked to the current programs provided

by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or

SMBA(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stration) to support SMEs.

- A new program to help SMEs analyze and understand their own

innovation capabilities is desinged.

- A customized roadmapping process to increase SMEs' innovation

capabilities is proposed.

Ⅳ. Result of the study

○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MEs' R&D innovation capability

and its evaluation criteria

- The concept of R&D innovation capability should be different from

similar other concepts including general innovation capability,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management innovation

capability; the R&D innovation capability is directly related to R&D

and the lacking capability can be supplemented by the support of

KISTI via KISTI's program for SMEs.

- Two perspectives - 'general capability' and 'R&D capability' and two

sub-perspectives - 'management capabil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for general capability, and 'R&D planning capability' and

'R&D process capability' are introduced based on the concept of

R&D innovation capability.

○ Development of R&D innovation capability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criteria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benchmarking, a set of indexes

consisting of 70 items that can well represent the concept of R&D

innovation capability and are suitable for SMEs was developed.

- Among the indexes, 40 indexes were selected as a core one

according to a series of three sessions to hear from experts; the

remaining 30 indexes fell into the category of supplementary

indexes.

- For the 40 core indexes, an assessment guideline that can be used

to obtain an index value was produced.

○ Proposal of process to assess R&D innovation capability

- A process to evaluate SMEs' R&D innovation capability on a basis

of evaluation system and criteria developed in this research was

proposed.

- A template to effectively visualize an assessment results was

developed; a pilot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template.

○ Development of roadmapping process of SMEs

- A literature review and benchmarking was conducted on technology

roadmapping process for SMEs.

-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for technology

roadmapping process and government support for technology

planning in SMEs.

- A framework and a process for technology roadmapping for SM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view and survey results.

Ⅴ. Application schemes

○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self-assessment or

appraisal tool for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Es to understand a

firm's current level of the capability and improve it.

- For SMEs, it will be possible for them to monitor their R&D

innovation capabilities and compare their capabilities with

competitors'; assessment results can be a basis to develop a strategy

to increase the capabilities.

- For KISTI, the assessment tool will help get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MEs regarding innovation capabilities; more

effective support from KISTI will be possible using the assessment

results, which will ultimately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in SMEs.

- A recommendation algorithm that suggests a program provided by

KIST or SMBA to support SMEs based on assessment results

enables SMEs to improve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easily; the

governmen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SMEs.

○ Technology roadmapping process for SMEs can be used for SMEs

to increase their capabilities for technology planning, which is

essential to increase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by themselves.

○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one of programs

provided by KISTI to increase SMEs' R&D innovation capabilities or

further can be an infra for programs of KISTI's support for SMEs.

Contents

I. Introduction ··············································································································· 1

I.1.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study ·················································· 1

1. Background of research ·············································································· 1

2. Necessity of research ················································································· 10

I.2. Purpose of the study ·················································································· 12

I.3. Content and scope of the study ······························································ 13

II. Literature review ·································································································· 17

II.1. Assessment criteria for innovation capability ······································ 17

1. General capability ······················································································· 17

2. Management innovation capability ························································ 20

3.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 23

II.2. Assessment frameworks for innovation capability ····························· 26

1. General capability ······················································································· 26

2. Management innovation capability ························································ 29

3.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 40

II.3. Assessment service provision ·································································· 45

III. An assessment framework for SMEs' R&D innovation capabilities ····· 50

III.1. Definition of R&D innovation capability ············································ 50

1. Similar concepts ·························································································· 50

2. R&D innovation capability ······································································· 51

III.2. An assessment system for R&D innovation capability ··················· 52

1. Basic analysis ······························································································· 52

2. Detailed analysis ························································································· 55

III.3. An overall development process ··························································· 59

IV. Assessment indexes for SMEs' R&D innovation capabilities ················· 62

IV.1. Assessment perspectives ·········································································· 62

IV.2. Assessment criteria and indexes ··························································· 65

IV.3. Assessment scales ······················································································ 70

V. Assessment service for SMEs' R&D innovation capabilities ···················· 86

V.1. Applications of the assessment service ················································· 86

V.2. Processes to provide the assessment service ······································· 94

V.3. Pilot test results ·························································································· 99

VI. Technology roadmap for SMEs ···································································· 105

VI.1. Concept of technology roadmap for SMEs ······································ 105

1. Necessity of technology roadmap for SMEs ····································· 105

2. The existing technology roadmap methodologies for SMEs ········· 106

VI.2. Needs of technology roadmap for SMEs ········································· 131

1. Survey outlines ·························································································· 131

2. Survey results ···························································································· 133

3. Implications ································································································ 147

VI.3. Development of technology roadmap for SMEs ····························· 150

1. Development process ··············································································· 150

VII. Conclusions and future research ································································ 155

1. Results of study ························································································ 155

2.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 159

References ·················································································································· 161

[Appendixes] ············································································································· 164

1. An evaluation sheet for assessment criteria ·········································· 164

2. An evaluation sheet for assessment scales ·········································· 168

3. Assessment guidelines for core indexes ················································· 173

4. Assessment guidelines for supplementary indexes ···························· 190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 국내외 기술현황, 문제점 및 전망 ····························································· 1

2. 연구의 필요성 ······························································································ 10

제 2절 연구의 목적 ····························································································· 12

제 3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13

제2장 기존 연구 ········································································································· 17

제 1절 혁신역량 평가지표 ················································································· 17

1. 일반역량 ······································································································ 17

2. 경영혁신역량 ······························································································ 20

3. 기술혁신역량 ······························································································ 23

제 2절 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 26

1. 일반역량 ······································································································ 26

2. 경영혁신역량 ······························································································ 29

3. 기술혁신역량 ······························································································ 40

제 3절 서비스 제공 방안 ··················································································· 45

제3장 중소기업 R&D혁신역량 진단체계 개발 ·················································· 50

제 1절 R&D혁신역량 개념 정의 ······································································ 50

1. R&D 혁신역량 정의를 위한 유사 개념 ················································· 50

2. R&D 혁신역량 ····························································································· 51

제 2절 R&D혁신역량 진단체계 ········································································ 52

1. 진단체계 개발을 위한 기본분석 ······························································ 52

2. 진단체계 개발을 위한 심층분석 ······························································ 55

제 3절 진단체계 개발 프로세스 ······································································· 59

제4장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평가지표 개발 ·················································· 62

제 1절 진단 관점 ································································································· 62

제 2절 진단 기준 ································································································· 65

제 3절 평가 방법 ································································································· 70

제5장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진단서비스 제공 ·············································· 86

제 1절 혁신오디트 활용방안 ············································································· 86

제 2절 진단 서비스 제공방안 ··········································································· 94

제 3절 Pilot test 수행결과 ················································································· 99

제6장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개발 ····································································· 105

제 1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 105

1. 필요성 ·········································································································· 105

2. 기존연구 ······································································································ 106

제 2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니즈분석 ····················································· 131

1. 설문개요 ······································································································ 131

2. 설문분석 결과 ···························································································· 133

3. 시사점 ·········································································································· 147

제 3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개발 ····························································· 150

1. 개발 방법 ···································································································· 150

제7장 결론 및 추후연구 ························································································· 155

제 1절 연구 결과 ······························································································· 155

제 2절 한계점 및 추후과제 ············································································· 159

참고문헌 ····················································································································· 161

[부 록] ························································································································· 164

1. 진단기준 가중치 평가표 ·············································································· 164

2. 진단방법 평가표 ·························································································· 168

3. 핵심지표 평가표 ·························································································· 173

4. 부가지표 평가표 ···························································································· 190

- 19 -

표차례

<표 1-1> 국내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사례 ················································· 2

<표 1-2> 국외 공공기관의 혁신역량 진단 프로그램 ··········································· 3

<표 1-3> 국외 민간기관의 혁신역량 진단 프로그램 ··········································· 4

<표 1-4> 국외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관련 대표 연구 ····························· 5

<표 1-5> 연구개발 목표 ··························································································· 12

<표 2-1> 일반역량 평가지표 요약 ········································································· 17

<표 2-2>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측정변수 ··························································· 18

<표 2-3>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세부 측정변수 ················································· 19

<표 2-4> 경영혁신역량 평가지표 요약 ································································· 20

<표 2-5> 혁신역량 평가지표 가중치 ····································································· 21

<표 2-6> 기술혁신역량 평가지표 요약 ································································· 23

<표 2-7> 혁신역량 평가 세부영역 및 평가기준 ················································· 24

<표 2-8> 기존 혁신역량 평가기법 간 비교분석 ················································· 25

<표 2-9> 일반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 26

<표 2-10> 지표측정 결과에 따른 평가 기준 ······················································· 28

<표 2-11> 경영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 29

<표 2-12> 세부 평가지표 ························································································· 31

<표 2-13> 세부 평가지표 (경영혁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 33

<표 2-14> 세부 평가지표 (New Venture Template) ········································· 35

<표 2-15> 평가영역 및 세부지표 ··········································································· 38

<표 2-15> 평가영역 및 세부지표 ··········································································· 38

<표 2-15> 평가영역 및 세부지표 ··········································································· 38

- 20 -

<표 2-16>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 (The Desai group) ····································· 39

<표 2-17> 기술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 40

<표 2-18>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1 (중소기업청) ············································· 42

<표 2-19>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2 (중소기업청) ············································· 43

<표 2-20>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 (INNOVATIONLABS) ······························· 44

<표 2-21> 국내 혁신오디트 서비스 제공방식 ····················································· 45

<표 2-22> 국외 혁신오디트 서비스 제공방식 ····················································· 47

<표 3-1> R&D 혁신역량 평가방법의 장⦁단점 ·················································· 54

<표 4-1> 진단을 위한 사전조사 항목 ··································································· 65

<표 4-2> 일반역량 평가기준 및 핵심 평가지표 ················································· 66

<표 4-3> R&D 혁신역량 평가기준 및 핵심 평가지표 ······································ 67

<표 4-4> 일반역량 평가기준 및 부가 평가지표 ················································· 68

<표 4-5> R&D 혁신역량 평가기준 및 부가 평가지표 ······································ 69

<표 4-6> 5-point likert scale 예시 ········································································· 70

<표 4-7> 다지선다 예시-1 ························································································ 70

<표 4-8> 다지선다 예시-2 ························································································ 71

<표 4-9> 체크리스트 예시 ······················································································· 71

<표 4-10> 핵심지표 평가방안-1 ·············································································· 72

<표 4-11> 핵심지표 평가방안-2 ·············································································· 73

<표 4-12> 핵심지표 평가방안-3 ·············································································· 74

<표 4-13> 핵심지표 평가방안-4 ·············································································· 75

<표 4-14> 핵심지표 평가방안-5 ·············································································· 76

<표 4-15> 핵심지표 평가방안-6 ·············································································· 77

<표 4-16> 핵심지표 평가방안-7 ·············································································· 78

<표 4-17> 핵심지표 평가방안-8 ·············································································· 79

<표 4-18> 부가지표 평가방안-1 ·············································································· 80

<표 4-19> 부가지표 평가방안-2 ·············································································· 81

- 21 -

<표 4-20> 부가지표 평가방안-3 ·············································································· 82

<표 4-21> 부가지표 평가방안-4 ·············································································· 83

<표 4-22> 부가지표 평가방안-5 ·············································································· 84

<표 4-23> 부가지표 평가방안-6 ·············································································· 85

<표 5-1> KISTI 주요사업 성과 (2011년 기준) ···················································· 88

<표 5-2>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KISTI 역량 간 매칭결과 ······························ 89

<표 5-3>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KISTI 세부사업 간 매칭결과 ······················ 90

<표 5-4>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중소기업청 수행사업 간 매칭결과-(1) ······ 92

<표 5-5>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중소기업청 수행사업 간 매칭결과-(2) ······ 93

<표 5-6> Pilot test 대상기업 사전조사 결과 ······················································· 99

<표 5-7> Pilot test 결과 (핵심역량; 중분류) ····················································· 100

<표 5-8> Pilot test 결과 (세부역량; 소분류) ····················································· 100

<표 5-9> Pilot test 결과 (세부지표) ···································································· 101

<표 6-1> 기술로드맵 지원 분야 ··········································································· 106

<표 6-2> 내부환경 평가항목 및 방법 ································································· 112

<표 6-3> 로드맵 사례별 세부 Step 비교 ··························································· 126

<표 6-4> 사례별 환경 분석 ··················································································· 127

<표 6-5> 사례별 시장 분석 ··················································································· 127

<표 6-6> 사례별 제품 및 서비스 분석 ······························································· 128

<표 6-7> 사례별 기술 분석 ··················································································· 128

<표 6-8> 사례별 세부 Step 분류 ········································································· 129

<표 6-9> 세부 Step 통합 정의 ············································································· 129

<표 6-10> 로드맵 작성에 관한 중소기업 니즈 ················································· 130

<표 6-11>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지원도구 개발을 위한 설문 항목 ········· 131

<표 6-12> 설문대상 기업 규모 및 성장률 ························································· 133

<표 6-13> 설문대상 기업 정규직 종업원 수, R&D 종사자 수, 매출액 성장률 ····································································································································· 133

- 22 -

<표 6-14> 설문대상 기업 주요 목표시장 ··························································· 134

<표 6-15> 설문대상 기업 주요 고객 ··································································· 134

<표 6-16> 설문대상 기업 주요 제품 ··································································· 134

<표 6-17> 설문대상 기업 주요 수익원 ······························································· 134

<표 6-18> 설문대상 기업 주요 경쟁전략 ··························································· 135

<표 6-19> 설문대상 기업 보유 핵심기술 ··························································· 135

<표 6-20> 설문대상 기업의 기술로드맵에 대한 인지도 ································· 135

<표 6-21> 설문대상 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도 ··············································· 136

<표 6-22>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작성 이유 ····························· 136

<표 6-23>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결과 ······························· 136

<표 6-24>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최근 기술로드맵 작성 년도 ··················· 136

<표 6-25>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성과 수준 ··················· 137

<표 6-26>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효과 ····························· 137

<표 6-27>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시 애로사항 ··············· 138

<표 6-28>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획결과물 실현에 있어서의 애로사항 138

<표 6-29>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계획 ····························· 138

<표 6-30>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한 정책지원 니즈 ····································································································································· 139

<표 6-31>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템플릿에 대한 니즈 ··········· 139

<표 6-32>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미활용 이유 ····················· 140

<표 6-33>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계획 ························· 140

<표 6-34>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한 정책지원 니즈 ····································································································································· 140

<표 6-35>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R&D 성과 수준 ···································· 141

<표 6-36>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주체 ······················································· 141

<표 6-37>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의 특징 ································· 142

<표 6-38> 중소기업 기획에 있어서의 기술로드맵의 필요성 ························· 142

- 23 -

<표 6-39>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의 핵심성공요인 ··································· 142

<표 6-40>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활용의 핵심성공요인 ··································· 143

<표 6-41> 중소기업의 정기적 기술기획 수립 여부 ········································· 143

<표 6-42>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수립 주기 ······················································· 143

<표 6-43> 중소기업이 기술로드맵 작성에 매주 투자 가능한 시간 ············· 144

<표 6-44> 중소기업이 기술로드맵 작성에 투자 가능한 전체 기간 ············· 144

<표 6-45> 중소기업이 기술로드맵 작성에 투자 가능한 인력 규모 ············· 144

<표 6-46> 중소기업 기술로드맵핑 프로세스의 제품, 기술, 시장, 서비스 기획 비중 ····························································································································· 145

<표 6-47> 기술기획 과정에서 활용중인 방법론과 그 중요도 ······················· 145

<표 6-48> 중소기업청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 ····· 145

<표 6-49>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 의향 ········································· 146

<표 6-50>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핵심성공요인 ············································· 146

<표 6-51> 기술로드맵 지원사업 개선을 위한 추가지원 방안에 대한 니즈 146

<표 6-52> 중소기업형 로드맵 사례분석 결과 도출된 주요 모듈 ················· 150

<표 6-53> 중소기업형 로드맵에 대한 니즈 ······················································· 146

- 24 -

그림차례

<그림 1-1> 싱가포르 OTR의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7

<그림 1-2> 연구의 내용 ··························································································· 13

<그림 1-3>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 ·································· 15

<그림 1-4> 중소기업 형 기술로드맵 개념도 ······················································· 16

<그림 2-1> 사업성, 지속성에 따른 기업 유형화 프레임워크 ·························· 36

<그림 2-2> 향후 사업방향에 대한 advice 예시 ·················································· 36

<그림 3-1> R&D 혁신역량 진단프로세스(안) ······················································ 57

<그림 4-1> R&D 혁신역량 평가 관점 개발 모형 ·············································· 62

<그림 6-1>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117

<그림 6-2> Performance envelope ······································································ 118

<그림 6-3> 로드맵작성 프로세스 ········································································· 124

<그림 6-4> 기술로드맵 업데이트 항목 ······························································· 125

<그림 6-5> 로드맵 프로세스 concept 1 ····························································· 152

<그림 6-6> 로드맵 프로세스 concept 2 ····························································· 153

<그림 6-7> 로드맵 프로세스 concept 3 ····························································· 154

- 1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국내외 기술현황, 문제점 및 전망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의 필요성

○ 글로벌화로 인한 경쟁이 심화되고 과학기술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함에 따라 중소 기업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품질관리나 비용절감과 같은 전통적인 경쟁 전략을 가지고 지속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졌으며, 때문에 혁신을 통한 경쟁력 제고가 기업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고, 나아가 혁신역량 강화는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필수요소로 대두됨 (Bullinger et al., 2007)

○ 대기업의 경우 혁신역량의 자체적인 평가를 통해 혁신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전반적인 프로세스가 잘 구축되어 있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프로세 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임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역량 수준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 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혁신역량 평가지표 개발, 체계적인 평가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요구됨

- 또한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진단 프로그램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함

- 국내의 경우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프레임워크 제안, 혁신역량의 기업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청 등 정부기관 및 국책연구소를 중심으로도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음

- 국외의 경우 영국의 Queen’s Award, 미국의 New Venture Template, 싱가포르의 Innovation class, 유럽의 INNOVA program 등 혁신역량 진단을 위한 평가 프레임워크 구축 및 적용 사례가 다수 존재함

○ 혁신역량 진단결과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혁신

- 2 -

역량 진단 도구의 개발과 더불어 평가 결과와 연계된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지원 프로그램은 진단결과에 따라 기업에 가장 적합한 지원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함

- 특히 혁신성과에 직결되는 성공적인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혁신역량 진단도구 및 지원체제의 필요성이 절실함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프레임워크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과거 공공연구기관과 학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 (<표 1-1> 참고)

- 국내의 경우 정부기관 및 공공연구기관에서 혁신역량 평가 및 인증제도 구축을 주도해 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증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수행해오고 있음

- 학계에서는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이나 진단도구 개발보다는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기존 혁신역량 평가지표를 개선하려는 노력도 진행됨

<표 1-1> 국내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사례사례 목적 혁신역량 평가영역 평가 프로세스

신인화,

김원중 (2007)

기존 혁신역량 인증제도의 평가지표 가중치 재설정

-경영혁신 인프라-경영혁신 활동-경영혁신 성과

-

김주일(199

9)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이 중소기업의 상대적인 비교우위를 제고시켜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향상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밝힘

-지식역량-조직역량-인적자원 관리-경영성과

①기초조사를 통한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②실증분석을 통한 가설확인

김길선 등 (2003)

우리나라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 개발

-기술개발능력-제품화능력-생산화능력-기술적 성과

-

중소기업청 Inno-biz

기술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선정,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것

-기술혁신 -기술사업-기술혁신 경영능력-기술혁신 성과

①현장평가 ②혁신성 평가 (2단계

로 구성)

③이노비즈 인증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

뛰어난 경영 능력을 보유한 기업을 인증하고 경영, 마케팅 혁신능력 등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우수기업들 또한 체계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제도

-경영혁신 인프라-경영혁신 활동-경영혁신 성과

①혁신역량 평가 ②경영혁신 기업, 경영

혁신 잠재기업으로 인증

③인증기업 및 잠재기업 지원

- 3 -

○ 국외의 경우 미국,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중심의 혁신역량 평가 프로세스 및 평가도구 개발 사례가 조사되고 있음

-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의 국가의 공공기관에서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를 통해 기업에 대한 진단, 인증 및 개선방향 제시 등을 목적으로 한 혁신역량 진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진단 프로그램은 실제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있어 유의미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오고 있음 (<표 1-2> 참고)

<표 1-2> 국외 공공기관의 혁신역량 진단 프로그램

프로그램 목적 혁신역량 평가영역 평가 프로세스

영국 Queen’s Award

혁신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기업에 대한 시상

경영혁신 역량관련 30개 세부지표

①혁신역량 자체평가 ②기술 평가③서류 조사

미국 New

Venture

Template

벤처기업의 핵심역량에 대한 진단과 개선방향 제시

-시장전략-경영전략-핵심역량

①벤처사업평가 템플릿을 활용한 진단

싱가포르 Innovation

class

혁신역량 우수기업 인증

리더십, 전략계획,

정보활용, 인적구성,

프로세스, 고객, 성과

①혁신역량 자가평가②전문가 검토③혁신기업 인증

- INNOVATIONLABS, The Desai group, IMP3rove 등의 국외 민간기관들 또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를 위한 진단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음 (<표 1-3>참고)

- INNOVATIONLABS는 기업의 혁신 프로세스, 프랙티스 상에서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 히 찾아내고, 성과 향상을 위한 가장 최적의 솔루션을 찾기 위해 크게 5단계로 이루어진 혁신 오디트 프로세스를 개발하였으며, 기술적 요소(Technical factors), 암묵적, 문화적 요소(Tacit & Cultural factors)에 대해 평가함

- The Desai group은 기업의 혁신 성향(propensity)을 평가하여 기업이 혁신 장벽 (Innovation barrier)을 없애고 혁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3대 평가영역(Alignment, Insights, Mobilization), 15가지 요소, 45가지 세부 지표에 대한 혁신 준 비성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음

- IMP3rove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같은 분야, 국가 등에 속한 다른 기업을 벤치마킹 함 으로써 혁신 관리(Innovation Management)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지속 성장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 오디트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혁신전략, 혁신조직 및 문화, 혁신수명주기 프로세스, 혁신영향요소, 혁신결과 등 5가

- 4 -

지 영역에 대해 진단을 수행함

<표 1-3> 국외 민간기관의 혁신역량 진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요

INNOVATIONL

ABS

① Step 1 (Setting the stage): 혁신 오디트의 범위, 주요 테마들을 정의② Step 2 (Anonymous survey): 혁신 Master Plan 프레임워크에 따라 설문조사③ Step 3 (Detailed interview): 혁신 프로세스, 결과, 강점과 약점, 긍정적

요소들 (positive factors), 몇몇 고려사항들(concerns)에 대한 면대면 인터뷰 실시

④ Step 4 (Executive briefing): 설문조사 결과, 인터뷰 결과에 기반 하여 혁신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recommendation 들을 제시

⑤ Step 5 (Rapid adoption): 혁신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액션 item

들을 조직 내에 빠르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전사적인 워크샵을 실시함

The Desai

group

① Alignment: 사업 팀, 사업부서, 사원 개개인이 개개인의 역할에 대해 얼마만큼 이해하고 있는지, 해당 역할이 혁신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지를 평가함

② Insights: Idea generation이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한 조직 내 모든 위치에 있는 구성원들, 파트너,

공급업체, 고객 등의 참여를 통해 정확한 insight를 얻고 있는지 등을 평가함③ Mobilization: 혁신을 위해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지, 의사 결정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혁신 아이디어의 실제 적용이 잘 이루어지는 지 등을 평가함

IMP3rove

① 자체 평가(Non-assisted assessment): 온라인 상에서의 평가도구를 통해 각 기업이 스스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

② 지원 평가(Assisted assessment): 컨설턴트들이 기업의 현재 혁신 관리에 대한 평가를 지원함

③ 인증 워크샵(Certification workshop): 컨설턴트들의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혁신 오디트를 진행함

- 해외 학계에서의 연구들의 경우 국내와 유사하게 주로 혁신역량 평가지표 개발 또는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 제안에 중점을 두고 있음 (<표 1-4 참고>)

- 5 -

<표 1-4> 국외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평가 관련 대표 연구

프로그램 목적 혁신역량 평가영역 평가 프로세스

Romijn & Albaladejo

(2002)

기업의 제품혁신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도출

-외적 혁신역량-내적 혁신역량 -

Burgelman & Van den Poel (1988)

기업의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 개발

-자원가용성과 배분-시장환경 분석능력-기술환경 분석능력-조직문화-전략적 경영능력

①사업별 진단②전사적 진단③진단 결과 도출

Chiesa et

al.(1996)

기업의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 개발

제품혁신, 제품개발, 공정혁신, 기술습득, 리더십, 자원배분, 시스템과 도구, 경쟁력

①혁신프로세스 진단②혁신성과 진단③혁신프로세스와 성과

간 Gap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지원 도구

○ 기술로드맵은 일반적으로 비즈니스와 기술을 연계하는 기술기획 기법으로 현재 미래기획에 있어 가장 활발히 적용되는 기법이자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여 혁신역량을 강화해 줄 수 있는 핵심 기법으로 알려져 있음

- 기업들은 기술로드맵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로드맵의 형태나 작성 프로세스가 유연하여 많은 기업들이 관련기법을 도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기술로드맵 작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도구는 기술로드맵 가이드라인으로,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은 기술로드맵이 처음 발전되어 온 대기업 혹은 정부연구소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대단위 기술기획에 적합한 경우가 많음

- 가이드라인 외에도 기술로드맵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컨설팅 업체가 존재하며 중소기업 작성 지원 시스템(Alignment사)이 존재하여 기술로드맵 프로세스를 기업에 내재화 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중소기업들이 활용하기에는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지원을 위한 기술로드맵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영국의 T-plan과 싱가포르의 OTR이 있음

- 6 -

○ T-plan은 영국 University of Cambridge의 Institute for Manufacturing 내 기술경영센터에서 개발한 기술로드맵 작성 가이드라인으로 “중소기업용”으로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기술로드맵을 처음 작성하고자 하는 기업에 적합하게 개발된 만큼, 중소기업들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임(Phaal et al., 2004)

- T-plan은 복잡한 기획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반나절 4회의 워크샵을 통해 시장기획, 제품기획, 기술기획, 로드맵핑의 네 가지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짐

- 2002년 개발된 이후 200개 이상의 기관을 대상으로 그 효과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싱가포르, 일본, 중국,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관련 기법을 전수받아 활발히 사용되고 있음

- T-plan 매뉴얼에는 각 워크샵의 목적, 산출물 템플릿, 운영 팁 등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가이드라인만을 보고도 중소기업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적임

○ 싱가포르 OTR(Operation and Technology Roadmap)은 T-plan과 더불어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가이드라인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임(Holmes and Ferrill, 2005)

- OTR은 싱가포르 A-star(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산하 SERC(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Council)에서 2002년 T-plan을 도입한 뒤, 이를 일부 변경하여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 가이드라인으로 개발한 것으로, 산업계와 연구소 간의 연계를 촉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함

- OTR 방법론에서는 T-plan과 유사하게 반나절 워크샵을 기본으로 하되, 5회에서 7회 워크샵을 수행하여 1개월 이내에 기술로드맵 작성을 완료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 특히 KISTI에서와 같이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에 기술로드맵 전문가와 기술전문가를 파견하여 중소기업의 로드맵 작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의 촉진을 위해 중소기업 로드맵핑 Facilitation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고 있음

- 그러나 T-plan과 달리 기술로드맵의 갱신을 통해 현실성을 높이고자 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OTR은 2003년 개발된 이후 140개 이상 중소기업에서 160회 이상 적용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그 적용대상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7 -

<그림 1-1> 싱가포르 OTR의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국내, 외 관련연구의 한계점

○ 지난 십여 년간 기업의 혁신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혁신역량 측정에 관한 다양한 모형과 측정방법들이 산발적으로 개발되어 공통된 모형이나 측정방법들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

- 혁신역량을 측정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으며 혁신역량의 정의나 범위, 개념적 모형, 측정방식에 있어 각 연구가 상이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이에 기존 모형들은 서로 대립적이고 미완적인 수준에 그침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관리, 인사관리, 자원관리 등 경영적인 측면에서의 혁신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연구개발(R&D)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혁신역량의 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기존의 혁신역량 평가 지표는 주로 기업의 경영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적 측면을 평가하는 지표들에 대한 가중치는 낮은 편임

- 기술적 측면을 평가하는 지표의 경우 현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절대적인 기준에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니며, 대부분 상대적인 기술수준, 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 관련인력 등 다소 과거지향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어 ‘혁신역량’이라는 미래지향적인 평가에 있어서는 일부 한계가 있음

- 이와 같이 기존 혁신역량 진단 도구들은 R&D 혁신역량 보다는 경영 혁신역량의 진단에 중점을 두는 진단 프로세스를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최종적인 진단 결과는 경영적인 입장에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음

-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혁신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기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기업 스스로가 자의적으로 판단해 오고 있으며

- 8 -

국내에서는 이러한 R&D 혁신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해 줄 수 있는 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및 관련도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함

○ 기존의 혁신역량 진단 도구들은 진단결과에 대한 상세한 보고와 경영적 측면에서의 혁신성과 향상 방안의 제공 등에 있어서는 우수하지만, 기술적 측면에서의 기술경쟁력 강화, 기술 사업화역량 강화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 혁신역량 진단결과는 단순히 진단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단결과에 따라 기업이 앞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혁신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데 활용되어야 함

- 또한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를 통한 현황파악과 재무적 측면에서의 지원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경영적, 기술적 측면에서의 개선책 및 지원방안이 함께 제시되어야 함

- 혁신역량 진단 결과를 토대로 부족한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개선책 및 지원방안으로 ‘R&D 기획 지원 방안’ 및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을 사업화와 연계할 수 있는 ‘기술로드맵 작성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 그러나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는 기획 프로세스로, 기업의 특성, 니즈, 역량에 따라 맞춤화된 프로세스가 개발되어야 하지만, 이에 중소기업이 자사에 적합한 기술로드맵을 스스로 개발하고 이에 따라 기술기획을 수립하는 것은 쉽지 않음

- 기존에 기술로드맵 또한 대규모 기획을 중심으로 개발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또한 시간과 자원의 측면에서 제약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중소기업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드맵 작성 toolkit에 대한 연구가 부재함

- KISTI의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지원 사업은 수혜 대상이 한정적이므로, hands-on-tool을 개발함과 동시에 중소기업의 역량에 따라 지원 범위를 차별화 하여 보다 많은 기업들이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함

○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일부 해외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국내 실정에 맞는 지원체제에 대한 연구는 부재하여 혁신역량 진단 결과가 실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향상으로 연계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함

- 혁신역량 강화 지원 방안은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진단 및 후속조치’ 자체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의 개발

- 9 -

이며, 둘째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진단 결과에 따른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제공’에 대한 내용임

- 첫 번째 방안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진단하는 도구가 개발되지 못하였으며, 이에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에 대한 통합 지원체제에 대한 전략 개발은 부족함

- 두 번째 방안과 관련하여 현재 KISTI와 정부의 대 중소기업 사업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관련 정보가 산재되어 있어 실제 중소기업들이 적합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여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음

- 10 -

2. 연구의 필요성

□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의 필요성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평가와 관련하여 다수의 수요기업이 존재하며, 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는 관점에서 따라 매우 상이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으므로 평가대상 기업, 즉 국내 중소기업에 적합한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혁신역량 강화 지원체제의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연구가 필요함

-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와 관련된 기존의 사례 및 연구들을 벤치마킹하여 “R&D 혁신역량 강화와 지원 체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형 혁신역랑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

- 기존에 다양한 관점에서 산발적으로 연구된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종합한 뒤, R&D 혁신역량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해야 함

○ 혁신역량 평가를 위해 활용되는 평가지표들은 대부분 경영혁신 측면에서의 혁신역량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은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고려한 R&D 혁신역량 평가지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

- 기업의 혁신은 기술의 성공적인 사업화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경영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혁신역량 강화 방안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함

- 기존의 혁신역량 평가지표들은 기업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평가가 이루어지더라도 정성적인 평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술혁신역량 평가지표의 개발은 혁신역량 강화에 있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 즉 경영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함께 고려한 혁신역량 평가지표의 개발과 더불어 혁신 역량 진단결과에 기반 한 혁신역량 강화 방안(경영적, 기술적)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 지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진단 도구의 개발이 요구됨

□ 혁신역량과 연계된 R&D 기획지원 방안 도출의 필요성

○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조사결과를 참고로 중소기업

- 11 -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R&D 기획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R&D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R&D 부문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며, KISTI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KISTI의 역량을 고려하여 R&D 기획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확대하여 R&D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법으로 기술로드맵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로드맵 작성 방법론 및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이 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Compact한 형태의 로드맵핑 프로세스가 구성되어야 하며,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기법들이 hands-on-tool의 형태로 개발되어야 함

- 특히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진단 결과와 연계하여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한 방향으로 맞춤화된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가 제안된다면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의 필요성

○ 혁신역량 평가결과에 기반하여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KIST형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

- 혁신역량 평가를 수행한 기업들은 진단결과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를 제공받고 이를 통해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진단결과에 기반 한 세부적인 혁신역량 강화 방안은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 때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역량 진단결과는 매우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각 기업의 역량과 상황에 가장 적합한 혁신역량 강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진단결과에 기반 하여 가용한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추천해 줄 필요가 있음

- 또한, 진단결과에 따라 현재 운영 중인 KISTI 사업과 기타 정부지원 사업에 대한 맞춤화 된 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KISTI가 보유한 기술, 정보 관련 역량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추가적인 지원 프로그램과 운영방안이 필요함

○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진단하고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운영전략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12 -

제2절 연구의 목적

○ 국내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기존 진단 프레임워크 및 지원 시스템 등을 조사한 뒤, 이를 토대로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강화의 목적에 부합하는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함

- 혁신역량 진단결과에 따라 부족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R&D 기획 전략과 맞춤화된 기술로드맵 프로세스를 제안함

○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을 개발함으로써 국내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함

- 특히 진단 결과에 따라 부족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KISTI 및 국가 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 적합한 프로그램을 추천하거나 신규 프로그램을 제안함

<표 1-5> 연구개발 목표

구분 세부업무 연구개발 목표

조사연구•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관련

프로그램 및 지원시스템 벤치마킹과 관련 연구 검토

• 기존 사례 및 연구에서의 평가기준과 평가 방법론 검토

모형개발

•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 한국 중소기업형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프레임워크 개발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및 Hands-on-toolkit

전략수립

• 중소기업 R&D 기획지원 방안 도출 • 혁신역량 프레임워크 기반 R&D

기획지원 방안

•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지원 전략 수립

• 중소기업 혁신역량 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

• 기존의 KISTI R&D 기획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

•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 제안 알고리듬

- 13 -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연구의 구성

○ 연구의 전체적인 범위는 다음 <그림 1-2>와 같으며 크게 4개의 상위 모듈과 6개의 세부 모듈로 구성됨

- 모듈 1.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 모듈 1-1. 국내외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관련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벤치마킹• 모듈 1-2.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 모듈 2.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 도출

- 모듈 3. 중소기업 형 기술로드맵 개발

- 모듈 4.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도출 및 운영방안 개발• 모듈 4-1. R&D 혁신역량 진단, 운영, 후속조치 지원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 모듈 4-2.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추천 알고리듬 개발

<그림 1-2> 연구의 내용

□ 국내외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관련 프로그램 및 지원시스템 등 벤치마킹

○ 한국, 유럽, 미국 중심의 공공/민간 서비스 및 솔루션을 대상으로 기존의 혁신역량 진단관련 프로그램 및 지원시스템에 대한 철저한 조사․분석을 수행

○ 진단 프로그램의 경우 평가목적(혁신역량 진단의 목적 등), 평가지표(주요 평가대상

- 14 -

등), 평가체계(평가자, 피평가자, 평가자료 수집방안 등), 평가척도(정량/정성평가 등 측정방법, 기준 등)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

○ 지원 시스템의 경우 진단 프로그램 운영방안(온/오프라인 등)과 진단결과에 따른 후속조치 등에 초점을 맞추며 공공 서비스 및 솔루션의 경우 지원 범위와 지원 프로세스 등에 대한 조사를 추가함

○ 이외에도 중소기업 혁신역량 관련 연구를 조사하여 최신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을 위한 혁신역량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진단 프레임워크 및 지표 개발, 진단 프로세스 구성

○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에 앞서 평가의 방향과 목적을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R&D 혁신역량에 대한 정확한 범위를 설정함

○ 평가 프레임워크에 따라 적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지표의 특성에 맞게 적합한 평가체계를 개발함

○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와 체계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와 평가 방법론을 개발함

□ 중소기업 혁신역량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 도출

○ R&D 혁신역량진단을 통한 R&D 기획지원 솔루션 및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되, KISTI의 역량에 기반 한 KISTI형 R&D 기획지원 방안 개발

○ KISTI의 정보사업 역량을 토대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을 제안

○ 혁신역량 진단 결과에 따라 보완이 요구되는 영역의 기획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맞춤형 기술로드맵 작성 방안을 제안

○ 혁신역량 진단 결과에 따라 KISTI(혹은 정부)에서 수행 중인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추천 프로그램을 제안하되, 적합한 사업이 없을 경우 신규프로그램을 제안(R&D 기획지원 방안과도 연계)

- 15 -

<그림 1-3>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

□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을 위한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방안 도출 및 Hands-on-toolkit 개발

○ 싱가포르 A-Star의 OTR 프로세스와 지원방안 등 중소기업 형 기술로드맵 작성 방안에 대한 벤치마킹을 수행하고 국내 중소기업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Hands-on-toolkit 개발

- 제안 방법론은 T-plan과 OTR을 기반으로 하되, 중소기업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participatory, active), 빠른 시간 내에(quick), 창의적이고(creative), 탐험적으로(exploratory), 관련분야의 지식을 수집, 구조화, 공유하여 기술기획을 수행하는데 초점을 맞춤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은 형태 측면에서 간단하고, 작성 프로세스 측면에서 작성이 용이하며, 한정된 시간과 인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형태로 개발

○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기술로드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1~2년 단위를 대상으로 1주 1회, 3인 이하가 참여하여 최대 3개월 이내(가능하면 1개월 내)에 작성을 완료할 수 있는 범위의 작업을 포함하는 프로세스”가 될 수 있도록 개발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은 Compact형과 Extended형으로 구성하되, 혁신역량 진단결과에 따라 부족한 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로드맵핑 프로세스의 맞춤화를 제안함

- 16 -

<그림 1-4> 중소기업 형 기술로드맵 개념도

□ 중소기업 혁신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 도출 및 운영방안 개발

○ 중소기업 R&D 혁신역량강화 진단, 운영, 후속 지원 프로그램 구성하고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수립

○ 해외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 후속지원 방안에 있어서는 KISTI(혹은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혁신역량 강화를 직접적으로 지원함

- 17 -

제 2장 기존 연구

제 1절 혁신역량 평가지표

1. 일반역량

□ 일반역량 평가지표 요약

<표 2-1> 일반역량 평가지표 요약문헌 역량 평가 영역

국내 한경석, 노미현 (2000)

유통, 해외수출입, 환경, 기술개발, 생산설비, 성장성,

생산투입요소, 자동화 및 정보화 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국외

Romijn and

Albaladejo (2002)내적 혁신 역량, 외적 혁신 역량의 관정에서 평가지표를 도출

Burgelman and van

den Poel (1988)

자원가용성과 배분, 시장환경 분석능력, 기술환경 분석능력,

조직문화, 전략적 경영 능력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Martinez-Roman et

al. (2011)

경제 환경, 기업 전반에 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Harvas-Oliver et al.

(2011)

연구개발(R&D), 비-연구개발(non-R&D) 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가. 국내

□ 한경석, 노미현 (2000)

○ 기관들이 중소기업에서 자금지원 시 고려할 평가요소를 제공하며, 업종별, 산업별, 규모별, 성장기간별로 차별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분석하여 합리적 평가기준을 제공함

○ 평가요인을 크게 유통관련 요인, 해외수출입 관련 요인, 환경관련 요인, 기술개발관련 요인, 생산설비관련 요인, 성장성 요인, 생산투입요소 관련 요인, 자동화 및 정보화 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함

- 각 요인에 속하는 세부문항은 요인 분석을 통해 결정되었으며, cronbach α 계수를 활용하여 그 신뢰도를 계산함

- 18 -

- 또한 39개 개별요인을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9개 공통요인으로 추출하고, 39개 개별요인을 종속변수로 업종, 산업, 규모, 성장기간을 독립변수로 놓고 분산분석을 수행함

나. 국외

□ Romijn and Albaladejo (2002)

○ 기업의 제품혁신으로 평가범위를 한정하여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도출함- 소규모의 반도체, 전자회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함

○ 크게 내적혁신, 외적혁신의 관점에서 세부 평가지표 및 측정변수를 도출하였음 (<표 2-2> 참고)

<표 2-2>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측정변수 (Romijn and Albaladejo, 2002)

혁신역량 평가지표 측정변수

내적혁신 역량

기업주의 전문성 및 전공 배경

경영/재무 분야의 학위과학/기술 분야의 학위타 분야의 학위다른 소기업에서의 업무경험다국적 혹은 대기업에서의 업무경험공공연구기관에서의 업무경험

인력의 전문역량정도

전체 직원 중 학사학위자 비율전체 직원 중 기술자의 비율

기술개발을 위한노력

근무인원당 총 R&D 지출비용판매수익에서 총 R&D가 차지하는 비율총 직원 중 R&D 종사자 비율직원당 총 교육/훈련비용판매수익에서 총 교육/훈련비용이 차지하는 비율기술허가의 숫자

외적혁신 역량

네트워킹의 강도 고객, 공급업체, 경쟁업체, 금융기관, 교육/훈련기관, R&D 기관, 서비스 제공업체, 산업체 조직

근접이익 고객, 공급업체, 경쟁업체, 금융기관, 교육/훈련기관, R&D 기관, 서비스 제공업체, 산업체 조직

- 19 -

□ Burgelman and Van den Poel (1988)

○ 혁신역량은 ‘혁신전략을 촉진하고 보조하는 일련의 포괄적 기업 특성’으로 정의하고, 전사적인 차원에서 혁신역량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으며 혁신역량 평가지표는 다음과 같음

<표 2-3> 혁신역량 평가지표 및 세부 측정변수 (Burgelman and Van den Poel, 1988)

혁신역량 평가지표 측정변수

자원가용성과 배분R&D 투자 수준보유기술의 수준과 폭기술 경쟁력과 R&D 자원 배분

시장환경 분석능력 경쟁자의 혁신전략과 산업 진화에 대한 이해정도기술환경 분석능력 기술환경에 대한 이해정도

조직문화 구조-문화적 환경전략적 경영 능력 최고경영자-중간관리자층-사업부 수준의 경영능력

□ Martinez-Roman et al. (2011)

○ 기술혁신측정을 위해 쓰이는 보통의 지표는 혁신역량을 가늠하기에 충분한 자료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 여기에 경제 환경 및 기업 전반의 변수들을 포함하여 혁신역량을 가늠할 수 있는 개념적인 모델을 제안함

- 33개의 혁신역량 관련 변수들을 활용하여 혁신역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음

- 기존 연구들의 경우 연구개발요소(R&D)를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간주해 왔기 때문에, 연구개발 활동이 드물거나 비-기술기반 기업의 혁신역량을 계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제안된 모형을 활용하면 이러한 기업 또한 혁신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 짐

□ Harvas-Oliver et al. (2011)

○ 오직 제품에 대한 혁신만이 연구개발(R&D)의 요인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낮은 단계의 기술(medium-low technology)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이나 공정혁신의 경우는 연구개발만으로 혁신을 설명할 수 없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때까지는 연구개발(R&D)만을 기업혁신의 요인으로 보고 정책을 펴왔기 때문에 마케팅, 디자인과 같은 비-연구개발(non-R&D) 요인들 역시 기업혁신 정책에서 고려할 요소로 쓰여야함

- 20 -

○ 2005년과 2006년의 2023개의 스페인 제조업 회사들을 표본으로 한 연구개발 요인 및 비-연구개발 요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역량 평가지표로 활용함

- 2005년, 2006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시점의 혁신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함

- 연구를 통해 연구개발 혁신형과 비-연구개발 혁신형을 비교하여 그룹을 나누어 각 기업의 자원이용 차이를 파악하고, 혁신관점에서 이들의 수행역량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를 두 개 그룹의 통계량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음

2. 경영혁신역량

□ 경영혁신역량 평가지표 요약

<표 2-4> 경영혁신역량 평가지표 요약문헌 역량 평가 영역

국내

신인화, 김원중 (2007)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점에서 관련 요인을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김주일 (1999)지식역량, 조직역량, 모기업관계, 인적 자원 관리, 경영성과

측면에서 평가지표를 도출

김길선 외 (2003)가치사슬 평가를 위해 내부 관점과 외부 관점 측면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국외 Eikebrokk & Olsen

(2007)

전략 및 비전, IT와 사업 프로세스간 통합정도, IT관리, 시스템 및 인프라, 자원배분 및 연계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도출

가. 국내

□ 신인화, 김원중 (2007)

○ 경영혁신형 중소기업인증제도 평가지표에 대해 항목별 쌍대비교에 의한 판단을 통해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인 AHP를 활용하여 각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함

○ 기존의 인증 평가점수체계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구분이 없이 동일 평가지표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따른 평가지표를 새롭게 도출함

- 21 -

-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기존 인증평가지표를 대상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대한 T-test를 실시

-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항목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

- 가중치 도출 결과와 전문가 설문에 기반하여 기존 평가 배점을 수정, 제안함

<표 2-5> 혁신역량 평가지표 가중치 (신인화, 김원중, 2007)

중분류 가중치 결정값

제조업

관리프로세스- 업무환경 및 복지에 대한 평가 0.06 55

조직프로세스- 인적자원 관리와 평가보상, 고객접점관리에 대한 평가 0.10 80

지식/정보관리- 지식정보관리, 정보검색 및 분석능력에 대한 평가 0.07 65생산설비현황- 생산설비 보유능력, 생산설비 가동률로 제조업의 생산설비를 평

가하는 지표0.07 65

마케팅관리- 마케팅 역량강화, 신규 마케팅 채널 확보에 대한 평가 0.08 65

서비스업

동종업계의 사업방식과 차별화된 점이 존재하는가? (동종업계 사업모델 및 방식과의 차이점을 의미함) 0.08 65

사업을 수행하는 인력의 구성 중 우수인력 확보 현황은 어떠한가? (우수인력은 석박사급의 비율을 의미함) 0.06 45

사업을 수행하는 인력의 구성 중 전문인력 확보 현황은 어떠한가? (전문인력은 동종업계 경력의 숙련자를 의미함) 0.06 55

제품/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며, 고객의 불만사항에 대한 대응프로세스가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는가? (고객대응체계를 의미함)

0.06 55

교육 및 성과, 보상시스템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원칙을 수립하고 운영하고 있는가? (경영혁신 활동에 대한 평가 및 보상시스템을 의미함)

0.05 45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분야의 시장분석과 함께 기업의 외형적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수익창출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동종업계 대비 성장성, 수익성을 의미)

0.06 50

□ 김주일 (1999)

○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이 중소기업의 상대적인 비교우위를 제고시켜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향상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함

- 22 -

- 지식역량, 조직역량, 모기업관계, 인적자원 관리, 경영성과의 측면에서 혁신역량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가설에 기반한 혁신역량 평가 체계를 제안함

□ 김길선 외 (2003)

○ 기존문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가치사슬의 성과를 측정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측정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부터 수행가능한 가치사슬 성과 측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함

- 가치사슬 평가를 위해 내부관점과 외부관점으로 나누어 혁신역량 평가지표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가치사슬의 성과측정 방법들은 재무적 관점에서의 성과에 중심을 맞추고 있거나, 단기성과 중심, 과거 지향적 평가, 부문 최적화 유도, 전략적 초점 부족, 지속적 개선보다 기본 유지를 유도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함

나. 국외

□ Eikebrokk and Olsen (2007)

○ 경험적으로 볼 때, 이비즈니스 기술(e-business technology) 활용이 중소기업들의 경쟁력(competence)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역량을 이비즈니스 기술 활용 정도에 따라 평가하고자 함

- 이비즈니스는 원거리 통신(telecommunication)에 관련된 기업의 활동 혹은 원거리 통신을 바탕으로 하는 도구로 정의

○ 8명의 중소기업 대표들과 오픈 엔드 인터뷰를 통해서 5가지의 요소와 관련된 기업의 역량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조사함

- Strategy and vision, IT-business process integration, IT management, Systems and infrastructure, Sourcing and alignment

- 23 -

3. 기술혁신역량

□ 기술혁신역량 평가지표 요약

<표 2-6> 기술혁신역량 평가지표 요약

문헌 역량 평가 영역

국내

조영삼 (2009)혁신체계성, 혁신경험, 혁신수준, 혁신성과 관점에서

요인을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신현재, 이재하 (1999)기술개발 능력, 제품화 능력, 생산화 능력, 기술적

성과의 4개 영역에서 평가지표를 개발

장지호 외 (2006)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결정 요인과 혁신활동

진단방법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

국외 Chiesa et al. (1996)혁신역량의 진단을 혁신프로세스와 혁신 성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도출

가. 국내

□ 조영삼 (2009)

○ 2009년 6월 산업연구원이 실시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 의 기술혁신 역량과, 특성, 정책수요 등을 파악하고 향후 정책 추진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 기술혁신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유효응답 기업 수는 1,021개사임

○ 4개 혁신영역(혁신체계성, 혁신경험, 혁신수준, 혁신성과), 10개 세부 영역으로 세분하고,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외부 전문가 평가를 활용하여 각 영역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였음

- 혁신영역별 세부영역 및 평가기준은 아래 <표 2-7>과 같음

□ 신현재, 이재하 (1999)

○ 우리나라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함

- 24 -

○ 기술개발능력,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기술적 성과의 4개 영역에서 혁신역량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총 85개 문항 1000점 만점의 평가체계를 제안함

<표 2-7> 혁신역량 평가 세부영역 및 평가기준 (조영삼, 2009)혁신영역 세부영역 평가 기준

혁신체계성

혁신조직 및 보유자원

연구개발활동의 조직 형태기술장비의 보유 및 관리기술개발인력 비율기술개발인력 관리기술개발인력의 경력

사전기획성 기술개발 중장기전략 수립신제품의 기술경쟁력 분석능력

경영자 리더십 경영자의 기술혁신 추진력 및 위기관리 능력경영자의 보유기술 이해도

혁신경험혁신경험의 양적측면

혁신활동 빈도기술도입 및 기술이전 실적정부 혁신지원제도 활용 유무 및 정도

혁신경험의 질적측면 외부기관과의 기술개발 협력 실적혁신활동(과제)의 포기 및 중단 비중

혁신수준

자금조달 및 기술적 능력R&D 자금의 내부조달 능력핵심 보유기술의 주요 경쟁국(세계최고)대비 수준주력제품 기술의 외부 모방소요기간주력제품의 제품수명기간

혁신 수준R&D 투자비율혁신 중점분야혁신의 선점성(신규성)

제품화 능력 기술의 제품화를 위한 핵심기술 보완능력지적재산권 관련 대책

혁신성과기술적 성과 지적재산권 취득 실적

기술경쟁력 향상도

상업적 성과혁신결과 시장출시 건수시장경쟁력 향상도재무적 성과

□ 장지호 외 (2006)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결정요인과 혁신활동에 대한 진단방법에 대한 이론과 학술연구를 고찰하고 중기청의 기술통계조사, STEPI의 기술혁신활동 조사 등 국내 통계조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 기존 조사와 지표체계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기초현황 자료만을 제공할 뿐, 정책 담당자들이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함

○ 각 평가기법이 가진 한계점이 명확하므로 국가차원에서 관련지표들을 조정, 통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표설계가 필요하며, 활용목적 또는 기업특성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와 활용목적 및 기업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의

- 25 -

분리가능성을 모색,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고 제안

<표 2-8> 기존 혁신역량 평가기법 간 비교분석 (장지호 외, 2006)

국가기술혁신지표 중소기업기술통계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

기술혁신조사

Korea R&DScoreboard

혁신자원투입지표

연구개발인력 ◎ ● ◎ ○연구개발서비스업체 ●

연구기관연구개발비 ◎ ● ◎ ◎

기술금융투자 ○

혁신과정지표

산학연 협력활동 ○ ○국제공동연구

기술도입 및 라이센싱 ● ○ ●연구인력 유동성기술혁신활동특성 ○ ●

혁신성과지표

신기술사업화 ● ●무역수지 ● ○

경제적 파급효과 ● ● ●세계일류상품 ● ●

논문 ●특허 ◎ ◎ ◎

혁신환경지표

인력양성ICT인프라

이공계인력노동시장국제무역

과학 / 혁신문화

나. 국외

□ Chiesa et al. (1996)

○ 혁신역량의 진단을 혁신프로세스와 혁신성과의 두 부분으로 구분하고 다섯 가지 세부영역에 걸쳐 평가함

○ 제품혁신, 제품개발, 공정혁신, 기술습득, 리더십, 자원배분, 시스템과 도구, 경쟁력 등에 대해 4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와 성과측정치 간의 Gap분석을 통해 진단결과를 도출함

- 26 -

제 2절 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1. 일반역량

□ 일반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표 2-9> 일반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문헌 진단목적 평가영역 평가방법 서비스 제공방식

국내 KISTI

연구사례

기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지원 방안

제안

지속성장 판단,

경쟁우위 속성,

기본속성으로 구분자가진단 공공기관에서

주관

국외영국

Queen's

Award

기업의 혁신성과에 대한 수상

국제무역, 혁신,

지속가능 개발의 세 분야

설문조사 영국통상부 웹사이트를 통해 평가

가. 국내

(1) KISTI 연구사례

□ 진단 목적

○ 기업이 가진 문제점을 객관적인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진단하고,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기업 진흥형 제안 시스템을 개발함

○ 주요 진단 대상은 중소기업, 벤처기업으로 해당 기업들에 긍정적인 사업 마인드를 제고시킴과 동시에 KISTI의 중소기업 정보지원 사업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함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기업의 역량평가를 위해 7개의 경쟁력 요소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① 지속성장 판단: 기업 vision 및 strategy, 기업의 성과② 경쟁우위 속성: 기술 및 상품, 인적자원, 인프라③ 기본속성: CEO의 기업가적 마인드, 시장정보의 분석역량

- 27 -

○ 평가 체계

- 중소기업 자가진단 시스템① 자가진단 설문 모듈: 사용자에게 중소기업 경쟁력 자가 진단평가 모형에 의해서 구

성된 설문항목을 제시하고 응답을 받는 기능② 진단평가 결과 리포팅: 설문항목별 응답에 대한 진단과 대응방안에 대한 가이드라

인을 제시③ 지원사업 추천 기능: 정부 또는 지자체등에서 실시하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이용자의 진단평가 결과의 유형별로 제공하는 기능

- 7개 평가 지표에 대한 자가진단을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역량 개선 방향을 제시

- 7개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24개 중분류항목을 구성하고, 각 중분류항목에 대해 2~6개의 소분류항목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질문서를 개발

□ 진단 서비스 제공방식

○ 공공 기관에서 진단을 주관하며 진단 시스템의 진단 결과에 대한 리포팅 서비스를 대상 기업에 제공함

나. 국외

(1) 영국 Queen’s Award의 혁신역량자체평가(Self-evaluation of innovation capability)

□ 진단 목적

○ 국제무역, 혁신, 지속가능 개발의 세 분야에서 기업의 혁신성과에 대한 수상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각 항목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다(3), 그렇다(5), 매우 그렇다(7)의 네 단계로 나누어진 표에 체크 후 총점을 계산

○ 평가 지표

- 28 -

- 지표측정 주체: 기업 자체적으로 영국통상부 웹사이트를 통해 평가를 수행

- 지표측정 프로세스① 평가지표에 기반하여 기업혁신역량자체평가, 기술평가, 서류조사 등을 실시함② 발명, 디자인, 제품 (서비스), 마케팅, 유통, 애프터서비스 지원 등의 분야에 속한

기업의 참여가 가능함③ 지표측정 결과의 총점에 따라 아래와 같이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함

- 지표측정결과 종합① 최고의 혁신(outstanding innovation)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혁

신활동이 2년 동안 지속되어야 함② 계속적 혁신(continuous innovation)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혁신

활동이 5년 동안 지속되어야 함

<표 2-10> 지표측정 결과에 따른 평가 기준 (Queen’s award)

단계 결과

Level 1 (90~104)

탈락

- 시작단계- 변화의 흐름에 맞춰 생존을 위한 적응을 시작해야함- 주변의 저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작은 부분에서부터 시작하거나 혹은 아주

급진적인 방법을 택할 수 있음- 구체적인 목표를 정해 혁신의 수준을 높여야 함

Level 2 (105~149)

- 어느 정도의 진행이 이루어졌으나 최고의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선 더 높은 수준의 혁신이 필요함

- 성과가 좋지 못한 부분에 대해선 전문적인 조언도 좋을 듯

Level 3 (150-194)

- 혁신의 정도가 좋음- 결과가 예상보다 못한 몇몇 부분은 향상시켜야 되고 아주 혁신적인 조직으

로 발전시키기 위해 전반적인 관심이 필요

Level 4 (195-210)

- 혁신역량이 아주 뛰어남- 지속적 유지가 중요

- 29 -

2. 경영혁신역량

□ 경영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표 2-11> 경영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문헌 진단목적 평가영역 평가방법 서비스 제공방식

국내

김승일 (2005)

중소기업 경쟁력의 특성을 규명하고 경쟁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사업성, 지식역량, CEO

경영시스템으로 구분 설문조사 -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기술기반이 아닌 중소기업 전반에

대한 인증체계 지원

경영혁신 인프라,

경영혁신활동, 경영혁신 성과로 구분

자가진단 온라인에서 자가진단

국외

미국 New

Venture

Template

벤처사업의 평가를 통한 문제점 진단과

지원

시장전략과 경영전략으로 구분 자가진단

The New

Venture

TemplateTM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자체평가

싱가포르 Innovation

class

혁신역량 우수기업에 대한 인증

리더십, 전략기획,

정보활용, 인적구성,

프로세스, 성과로 구분자가진단

자가 평가서(I-score)

를 활용하여 평가

IMP3 rove중소기업의 벤치마킹

및 혁신관리 지원

혁신전략, 혁신조직 및 문화, 혁신수명주기

프로세스,

혁신영향요소,

혁신결과로 구분

자가평가 및 전문가

평가

온라인 자가 평가 및 전문가

현장 방문

The Desai

group

기업의 혁신 성향 평가 및 지원

연계도, 통찰,

융통성으로 구분 자가평가 온라인을 통해 자가 평가

가. 국내

(1) 김승일 (2005)

□ 진단 목적

○ 지식기반 관점에서 중소기업 경쟁력의 특성을 규명하고 그러한 특성에 맞추어 중소기

- 30 -

업의 경쟁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

○ 평가 모델의 목적

- 중소기업의 경쟁역량을 미래지향적으로 평가함

- 선택과 집중’의 중소기업 정책에 부응하여 미래에 중견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중소기업을 발굴하는 선정기준을 마련함

- 중소기업을 평가하는 기존의 각종 평가방식의 개선을 유도하는데 기여함

- 중소기업들에게는 기업 경쟁력 강화의 방안을 시사함으로써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함

○ 평가 모델 적용대상

- 평가 모델이 의도하는 이상적인 기업 형태는 ‘전략적 지식기업’임 * 전략적 지식기업은 전략역량과 지식역량이 뛰어난 기업으로, 고도로 전략적이어야 하며 불확실한 환경

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지식 중심의 기업을 의미함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주요 평가영역① 사업성 (300점): 사업매력도 (150) + 사업역량 (150)② 지식역량 (400점): 마케팅역량 (200) + 생산, 기술 역량 (200)③ CEO․경영시스템 (300점): CEO 또는 경영시스템을 평가 (두 요인을 상호보완적으로 평가하여 합산)

- 세부 평가지표 (<표 2-12> 참고)

(2)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 진단 목적

○ 기존의 벤처, 기술혁신중소기업에 대한 평가가 기술성 위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통제조업, 서비스업 분야의 기업들이 인증을 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음

○ 이에 다양한 업종에서의 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하고자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가 도입됨

- 31 -

- 기술기반이 아니더라도 조직혁신, 마케팅 혁신능력 등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우수기업들 또한 체계적으로 지원하고자 함

- 서비스산업, 문화산업, 전통제조업 등도 신청이 가능

<표 2-12> 세부 평가지표 (김승일, 2005)

평가 영역 평가 요소 평가 변수 평가 대상 평점

사업성

사업매력도

수익성

목표 시장 150

시장의 확실성경쟁 강도주요 경쟁자경쟁구조의 불확실성성장성시장규모 성장 추이시장 불확실성 요인

사업역량

제품 및 서비스의 적합성시장에서 해당 사업의 적합성 150

고객만족도고객불만 요인고객만족도 개선가능성경쟁우위 수준 (가격, 차별화)

지식역량

마케팅역량

경쟁자 대비 마케팅역량의 수준

기업 내의 지식역량

200영업인력 수준네트워크 역량브랜드, 제품 이미지신제품 개발 능력고객 서비스 역량

생산・기술 역량

경쟁자 대비 생산, 기술 역량 수준

200핵심 기술의 존재 형태제품 기술의 수준공정 기술의 수준기술 인력의 역량기계장치의 수준

경영시스템 또는 CEO

경영관리시스템

각종 경영관리시스템의 수준

경영관리시스템

300

노사관계 관리의 수준전략경영 및 혁신 능력지식.기술관리 시스템재무관리 역량인사관리 역량

CEO

CEO의 역량

CEO기업가정신 및 자세전략경영 및 혁신 능력리더십시스템화 역량

합계 1000

- 32 -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표 2-13> 참고)

- 업종의 특성을 반영,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맞춤화된 평가 지표 제안

- 평가지표 자체가 상이할 뿐 아니라 평가지표 별 가중치를 조절하여 총 1,000점 만점의 평가로 구성

○ 평가 체계

- 지표측정 주체① 자가진단: 기업이 온라인에서 수행② 현장평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공동으로 평

가를 실시함

- 지표측정 프로세스① 경영혁신 확인을 받고자 하는 기업이 온라인상에서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600점 이

상 해당 기업만 현장평가를 신청하는 것이 가능함 ② 2인 1조로 평가 팀을 구성, 신청기업 현장에 방문하여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를 실

시함

- 지표측정 결과 종합① 진단결과 700점 이상: 경영혁신 기업② 진단결과 600점 이상 700점 이하: 경영혁신 잠재기업

□ 진단 서비스 제공방식

○ 신용보증기금에서 평가를 주도함

-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생산성본부 공동 참여

○ 600~700점 사이의 경영혁신 잠재기업의 경우 정보화, 컨설팅 등의 집중 관리를 지원함

- 경영혁신 잠재기업은 경영혁신 기업으로 유도하기 위해 현행 중기청 정보화 지원사업을 재편하고, 표준화 템플릿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경영혁신성과를 활용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 등 경영혁신형 기업으로 진화하는데 필요한 맞춤형 지원방안도 모색하고 있음

- 33 -

<표 2-13> 세부 평가지표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항목 배점제조업 서비스업

경영혁신 인프라

경영자 리더십 경영자의 경력 50 45경영혁신 리더십과 추진력 80 60

혁신전략

전략이행관리 경영목표 측정지표 수립 50 40성과데이터의 통제 60 45

혁신목표전개혁신과제 선정의 적절성 65 50

혁신과제 실행계획의 적절성 65 50

혁신관리 자원배분의 효율성 50 35효과적 지원 및 모니터링 50 35

정보화경영 인프라

정보화전략계획의 적절성 - 20업무분석 및 시스템구축의

적절성 - 20정보시스템 활용도 - 20

계 470 420

경영 혁신 활동

관리프로세스 업무환경 및 복지

근무조건 향상 프로세스 25 -업무환경관리 30 -

조직프로세스인적자원 관리와

평가보상인적자원 전략의 적합성 20 -인정과 보상의 적합성 20 -

고객접점관리 목표시장의 효과적 관리 20 -고객요구사항 결정 방식 20 -

지식/정보관리지식관리 25 -정보관리 20 -

정보검색 및 분석능력 20 -생산설비현황 생산설비 보유능력 30 -

생산설비 가동율 35 -마케팅관리 마케팅 역량강화 35 35

신규마케팅 채널확보 30 30사업의 차별성 동종업체 대비 차별성 - 65

인력적합성 동종업계대비 임금수준 - 45전문 인력 확보 수준 - 55

내부시스템 완성도

고객대응 시스템의 적절성 - 55교육 및 성과보상시스템의 적절성 - 45

시장성장성 시장분석 및 성장. 수익창출성 - 50계 330 380

경영 혁신 성과

성과총차입금 의존도 35 35

EBITA 이자보상배율 25 25순금융비용대 매출액 30 30총자본 경상이익율 35 35

운영 부가가치율 20 20운전자금회전기간 20 20

예측 매출액 증가율 35 35계 200 200

계 1,000 1,000

○ 700점 이상 기업은 경영혁신 중소기업으로 선정하여 확인서 발급

- 인증기업의 경우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위해 R&D, 정보화 및 컨설팅, 판로, 수출 등의 분야별 중기청 지원시책을 벤처 및 이노비즈 수준으로 연계 지원하고, 조달청, 특허

- 34 -

청, (과거)정통부 등의 연계 부처로부터 우선 지원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 인증 기업에 대해서는 금융지원 우대, 중소기업청 지원시책에서의 우대, 타 기관 지원시책 연계지원 우대, 광고료 지원 우대 등의 혜택을 부여함

나. 국외

(1) 미국 New Venture Template

□ 진단 목적

○ 벤처사업의 평가를 위한 템플릿으로 일련의 질문을 통해 벤처사업의 단계별 위치를 판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진단 및 개선방향 제시를 목표로 함

○ 사업계획과 사업전략 분야에서 성장잠재력이 높은 벤처사업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강력한 템플릿을 제공함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사업 기획 (business planning)과 관련된 세 가지 평가 기준과 사업 전략 (business strategy)와 관련된 세 가지 평가 기준 등 총 여섯 가지 기준에 대해 평가하며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됨

- 사업 기획부문 평가 기준: 혁신, 가치, 지속성, 희소성, 창출된 가치의 활용, 융통성, 핵심역량 수준 등에 대해 질문함① 하고자 하는 사업이 혁신적인가? (Is it innovative?)② 하고자 하는 사업이 가치가 있는가? (Is it valuable?)③ 하고자 하는 사업이 융통성이 있는가? (Is it flexible?)

- 사업 전략부문 평가 기준① 하고자 하는 사업이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가? (Is it scarce?)② 하고자 하는 사업이 유용한가(보호 가능한가)? (Is it non-appropriable (protectable)?)③ 하고자 하는 사업이 융통성이 있는가? (Is it flexible?)

- 35 -

<표 2-14> 세부 평가지표 (New Venture Template)

부분 항목 요소

시장전략

혁신 새로운 조합제품-시장 적합성

가치순 구매자 이익기술이익률충분한 생산량

지속성반복성장기간의 수요충분한 자원

경영전략

희소성 모방가능성대체성

유용성 Slack의 문제지체

융통성 불확실성의 최소화모호성의 감소

○ 평가 체계

- 사업계획 측면에서 사업성이 있는 지 여부를 평가함

- 사업전략 측면에서 사업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지, 해당 기업의 핵심역량은 무엇인지를 평가함

- 각 문항에 대해 그렇지 않다 (low), 대체로 그렇다 (medium), 매우 그렇다 (high)의 세 가지 형태로 응답하도록 이루어져 있음

□ 진단 서비스 제공방식

○ The New Venture TemplateTM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기업 자체적인 평가가 가능함

- 15개 평가 지표에 대한 응답 채점결과를 활용하여 각 벤처기업이 14개 프로토타입 중 어느 타입에 해당하는지 제시함

-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 여부는 기업 사례와 각 프로토타입 간 상관계수 측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관계수는 각 기업이 얼마나 해당 프로토타입에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것임

- 36 -

<그림 2-1> 사업성, 지속성에 따른 기업 유형화 프레임워크 (New Venture Template)

○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시켜 나갈지에 대한 Advice를 제공함

<그림 2-2> 향후 사업방향에 대한 advice 예시 (New Venture Template)

(2) 싱가포르 Innovation class

□ 진단 목적

○ 2002년 개발되었으며, 혁신역량 우수기업에 대한 인증을 목적으로 함

- 37 -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리더십, 전략기획, 정보활용, 인적구성, 프로세스, 성과 등의 여섯 가지 요소를 평가함① 리더십: 조직의 리더십이 혁신을 잘 지원하고 있는지 평가② 전략기획: 조직의 기획 프로세스에 대한 주요 성과지표들의 합치성 평가③ 정보활용: 정보, 지식의 관리현황과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활용 현황을 평가④ 인적구성: 조직 구성원들이 높은 혁신성과를 거둘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지 평가⑤ 프로세스: 기업이 고객 요구사항과 혁신목적 달성을 위해 조직을 어떻게 관리하는

지 평가⑥ 성과: 고객의 핵심사업 영역에서의 성과를 평가 (경쟁자와의 상호 비교)

○ 평가 체계

- 지표측정 주체: 심사를 원하는 기업은 자가 평가서(I-score)를 활용하여 평가 실시

- 지표측정 프로세스① 조직의 핵심인력 6-8명으로 구성된 팀이 평가서에 기반하여 기업 내, 외부의 모

든 영역을 평가함 * 모든 항목은 6점 척도로 평가 (0: 전혀 하지 않고 있다 ~ 5:모두 수행하고 있다)

② 제출된 평가서를 전문 평가자들이 재검토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며, 보고서의 결과 (400점 이상) 에 따라 인증 여부를 결정함

③ 평가 결과 400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기업은 I-class 인증을 받게 되며, 700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기업은 I-Award의 대상 기업이 될 수 있음

(3) IMP³rove(https://www.improve-innovation.eu)

□ 진단 목적

○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같은 분야, 국가 등에 속한 다른 기업을 벤치마킹함으로써 혁신관리(Innovation Management)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지속 성장을 돕는 것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표 2-15> 참고)

- 38 -

<표 2-15> 평가영역 및 세부지표 (IMP³rove)평가 영역 평가 요소 평가 변수

혁신전략 혁신전략혁신에 대한 비전혁신전략의 특성혁신전략의 보급혁신 프로젝트

혁신조직 및 문화 혁신조직 및 문화혁신을 위한 문화적 준비혁신 수용성외부기업혁신 파트너십의 정도

혁신수명주기 프로세스

혁신수명주기 관리

Time-to-marketTime-to-profit점진적 혁신 프로젝트의 성공률급진적 혁신 프로젝트의 성공률통합적 수명주기 프로세스지속적인 피드백

아이디어 관리체계적인 아이디어 창출아이디어 관리아이디어 관리 주기

모델 개발 개발 프로세스

출시 및 지속적 개선성공적 혁신 출시고객정보 통합프로세스 파라미터의 지속적 개선

혁신영향요소 혁신영향요소성과급 및 보상교육 및 지식프로젝트와 타겟장기 혁신 프로젝트

혁신결과 혁신결과

수익 증가신제품/서비스의 판매 수익조직적 이익 증가혁신에 따른 조직적 이익비용절감이익증가요인종업원의 수의 증가

○ 평가 체계

- 지표측정 주체: 기업의 자가평가와 컨설턴트의 평가가 함께 이루어짐

- 지표측정 프로세스① 온라인상에서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각 기업이 자가 평가를 수행함 (Non-assisted assessment)② 컨설턴트들이 기업의 현재 혁신관리현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 (Assisted assessment)③ 컨설턴트들이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인증 워크샵을 진행함 (Certification workshop)

- 39 -

(4) The Desai group

□ 진단 목적

○ 기업의 혁신 성향(propensity)을 평가하여 기업이 혁신 장벽(innovation barrier)을 없애고 혁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15가지 요소, 45개 세부 요소들에 대해 평가를 실시함

- 평가 영역 및 15가지 평가 요소 ① 연계도(Alignment): 사업 팀, 사업부서, 사원 개개인이 개개인의 역할에 대해 얼마

만큼 이해하고 있는지, 해당 역할이 혁신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평가② 통찰(Insights): 제안된 아이디어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으로 잘 이루

어지고 있는지, 또한 조직 내 모든 위치에 있는 구성원들, 파트너, 공급업체, 고객 등의 참여를 통해 정확한 통찰을 얻고 있는지 등을 평가

③ 융통성(Mobilization): 혁신을 위해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지, 의사결정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혁신 아이디어의 실제 적용이 잘 이루어지는지 등을 평가함

<표 2-16>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 (The Desai group)평가 영역 평가 요소

Alignment

Innovation mandateLeader readinessEmployee engagementInnovation supportSystematic approach

Insights

Diverse perspectivesExternal orientationClimate/CultureFlow of ideasSelection of ideas

Mobilization

ResourcesGovernancePortfolioChange managementExecution

○ 평가 체계

- 40 -

- 지표측정 주체: 평가대상 기업이 온라인을 통해 자가 평가를 수행

- 지표측정 프로세스: 온라인 평가를 통해 기업의 혁신 준비성 평가(Innovation Readiness Assessment)가 이루어짐

- 지표측정 결과 종합: 온라인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함

3. 기술혁신역량

□ 기술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표 2-17> 기술혁신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요약

문헌 진단목적 평가영역 평가방법 서비스 제공방식

국내 중소기업청 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강화 및 지원

기술혁신, 기술사업,

기술혁신 경영능력,

기술혁신 성과로 구분자가진단 온라인을 통한

자가 평가

국외 INNOVATI

ONLABS

기업의 혁신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성과 향상을 위한 솔루션 도출

기술적 요소와 암묵적,

문화적 요소로 구분설문조사 및 인터뷰 -

가. 국내

(1) 중소기업청 Inno-biz 평가

□ 진단 목적

○ 2001년 수립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계획을 바탕으로 기술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선정,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만들어짐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강화라는 목표 하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강화, R&D 지원을 통한 기술혁신 역량강화, 산학협력의 선순환 구조정착,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제고의 세부 과제를 두고 정책 자금 지원, 투자 펀드, 경영컨설팅과 해외기술 인증 획득 및 판로 개척 등 종합적 정책을 통한 지원을 시행함

□ 진단 프레임워크

- 41 -

○ 평가 지표 (<표 2-18>, <표 2-19> 참고)

○ 평가 체계

- 지표측정 주체: 평가 지표에 대한 측정주체는 자가진단의 경우 기업이 온라인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현장평가의 경우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혁신센터가 수행함

- 지표측정 프로세스① Inno-biz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이 온라인상에서 자가진단(예비평가)을 수행하

여 (650점 이상, 1,000점 만점) 해당 기업만 기술혁신시스템 평가, 개별기술수준평가를 신청하는 것이 가능함

② 신청 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기술혁신시스템 평가, 개별기술수준평가를 기술보증기금에서 수행함

- 지표측정 결과 종합: 각 평가 지표에 할당된 배점을 합산하여 1000점 만점에 700점 이상인 경우 중소기업청에서 이노비즈 인증을 부여함

□ 진단 서비스 제공방식

○ 재무적 안정성을 지닌 설립 후 3년 이상 경과된 기업에 대해 온라인 예비평가(자가진단)와 기술보증기금에서 실시하는 현장평가를 실시함

○ 기업별 기술혁신시스템과 개별기술 수준에 대한 2단계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기업에 대해 이노비즈 인증을 부여함

○ 이노비즈 인증기업에 대해서는 협약은행과 연계한 우대지원,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보증 등에 대한 우대, 중소기업 정책자금 연계지원 및 중소기업 지원사업 참여 시 우대 등의 혜택을 부여함

○ 기술보증기금이 주체가 되어 인증기업에 대한 사후관리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기존 이노비즈 인증 획득 기업에 대한 재지정이 이루어짐 (중소기업청 주관)

- 42 -

<표 2-18>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1 (중소기업청 Inno-biz평가)부문 대항목 평가항목1 평가항목2 배점

기술혁신

R&D 활동지표 R&D 활동지표 R&D 투자비율 30 50

300

기술개발인력 비율 기술개발인력비율 20

기술혁신 체제

R&D 조직관리R&D 전담조직형태 18

85

창조적 개발환경 수준 14개발인력관리 14

외부기술기관과의 협력관계

외부기관과 공동연구 및 자문 12외부기관과의 기술혁신추진형태 9

기술혁신수행능력 기술혁신수행능력 18

기술혁신 시스템

연구장비 확보능력 기술장비확보능력 16

105

인력의 질 개발인력의 경력 20개발인력 연구실적 14

기술개발 및 사업화실적 기술개발 및 사업화실적 40기술축적 및 활용시스템 기술축적 및 활용시스템 15

기술분석 능력

기술개발 외부환경분석 기술개발 외부환경분석 15

60중장기 전략수립 기술개발중장기전략수립 15내부자원 분석 내부자원 분석 15

보유기술 마케팅 분석 15

기술사업

기술의 제품화 능력

신제품기획 추진능력 신제품기획(조직, 숙련도, 경험수준) 추진 능력 27

90

300

신제품 개발역량 신제품 개발역량 27기술표준화의 수준 15

핵심기술보완능력 핵심기술보완능력 21

기술의 생산화 능력

제품양산화 능력 생산기술 확보 및 운영체제 21

130

생산설비현황 21품질관리 검사.측정 및 시험장비 관리 17

검사. 품질보증 활동 11

제조공정혁신생산계획 및 실적관리 16

공정관리 운영의 적절성 16작업자의 숙련도 11

재료. 부품조달 및 외주관리 17

마케팅 능력

마케팅전략 수립 및 실행능력

제품의 목표시장 및 마케팅 전략수립 16

80마케팅 채널 분석 및 확보능력 14

경쟁력 분석 신제품 라이프사이클 분석능력 17신제품 기술경쟁력 분석능력 13

기술사업화 관리 지적재산권 관련 대책 12외부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정도 8

- 43 -

부문 대항목 평가항목1 평가항목2 배점

기술혁신 경영능력

경영혁신 능력경영자의 자질 및

경험수준

경영자의 기술혁신 리더쉽 19

91

200

경영자의 추진력 및 위기관리 능력 19

경영자의 기술경험 23경영자의 기술수준 15

조직관리 수준 조직관리 수준 15

변화대응 능력

신기술개발동향 대응능력 신기술개발동향 대응능력 18

74

경쟁자의 신제품, 신사업추세 대응능력

경쟁자의 신제품, 신사업추세 대응능력 24

중장기 신사업, 신기술 개발계획

중장기 신사업, 신기술 개발계획 18

체계적 정보검색, 분석능력 정보검색, 분석능력 14

경영자의 가치관

경영자의 신뢰성 경영자의 신뢰성 20 35경영자의 투명성 경영자의 투명성 15

기술혁신 성과

기술경쟁력 변화성과

국내외 기술경쟁력 향상도 기술경쟁력 향상도 16

50

200

기술혁신을 통한 시장경쟁력 향상 시장경쟁력 향상도 21

기술변화 행동 능력 향상 행동능력 향상 13

기술경영성과

자금유동성 자체자금조달능력 19

110경영실적재무지표

매출액증가율 6순이익증가율 8

매출액영업이익율 15총자산순이익율 18

당좌비율 11차입금의존도 13총자산회전율 10

매출채권회전율 10

기술적 성과지적재산권취득 및

파급효과지적재산권의 경쟁력 정도 15

40지적재산권의 권리 범위 9기술축적 활용 효과 수입대체효과 7

인력고용효과 9계 62 62 1000

<표 2-19>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2 (중소기업청 Inno-biz평가)

나. 국외

(1) INNOVATIONLABS (http://www.innovationlabs.com)

□ 진단 목적

○ 기업의 혁신 프로세스, 프랙티스 상에서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찾아내고, 성과 향상을 위한 가장 최적의 솔루션을 찾는 것 (Expert insights + Best practices)

- 44 -

□ 진단 프레임워크

○ 평가 지표

- 기술적 요소와 암묵적, 문화적 요소의 두 가지 평가 영역에 대해 평가를 진행

<표 2-20> 평가영역 및 평가 요소 (INNOVATIONLABS)

평가 영역 평가 요소

기술적 요소(Technical factors)

전략과 혁신의 연계 (Alignment of strategy & innovation)혁신 포트폴리오 관리 (Innovation portfolio management)연구 프로세스 평가 (Research process assessment)혁신 향상 (Innovation development)판매와의 연계 (Alignment with sales)혁신성과지표 및 보상 (Innovation metrics & rewards)인프라 평가 (Infrastructure assessment)

암묵적, 문화적 요소(Tacit & cultural factors)

혁신문화 평가 (Innovation culture assessment)창의성 평가 (Creativity assessment)신뢰 (Trust)리더십 (Leadership)사고방식 (Mindset)태도 (Attitude)분위기(Tone)

○ 평가 체계

- 혁신 오디트의 범위, 주요 테마들을 정의 (Setting the stage)

- 혁신 Master Plan 프레임워크에 따라 설문조사 (Anonymous survey)

- 혁신 프로세스, 결과, 강점과 약점, 긍정적 요소들 (positive factors), 몇몇 고려사항들(concerns)에 대한 면대면 인터뷰 실시 (Detailed interview)

- 설문조사 결과, 인터뷰 결과에 기반하여 혁신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안방향(recommendation)들을 제시 (Executive briefing)

- 혁신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액션 item 들을 조직 내에 빠르게 적용시킬 수 있

- 45 -

제 3절 서비스 제공 방안

가. 국내

□ 국내 혁신오디트 서비스 제공사례 요약

<표 2-21> 국내 혁신오디트 서비스 제공방식

사례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중소기업청 Inno-biz

① 기업에 대해 온라인 예비평가(자가진 단)와 현장평가를 실시② 2단계 혁신성 평가(기술혁신시스템,

기술수준)를 통과한 기업에 대해 inno-biz 인증을 부여③ Inno-biz 인증기업에 대해서는 다양한 혜택을 부여함

① 인증기업에 대한 개별적인 사후관리 (기술보증기금 주관)

② 기존 Inno-biz 인증 획득 기업에 대한 재지정 (중소기업청 주관)

KISTI

연구사례

① 7개 경쟁력 요소에 대한 기업 자가진 단을 수행② 자가진단 결과에 따라 정부 또는 지자 체 등에서 실시하는 중소기업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

개별기업의 진단결과에 대한 리포팅 서비스를 해당 기업에 제공함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①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이 온라인상 에서 자가진단을 수행 (일정 수준 이 상의 점수를 획득한 기업은 현장평가 신청 가능)

② 신청기업에 한해, 2인1조의 평가팀이 현장에 방문하여 평가 지표에 따라 평가를 실시

① 경영혁신 잠재기업은 경영혁신 기업으 로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② 인증기업의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위

해 분야별 중소기업청 지원시책을 연 계하고, 연계 부처로부터 우선 지원이 가능하도록 함

③ 인증기업에 대해 금융지원, 지원시책 연계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함

(1) 중소기업청 Inno-biz 사례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재무적 안정성을 지닌 설립 후 3년 이상 경과된 기업에 대해 온라인 예비평가 (자가진단) 와 기술보증기금에서 실시하는 현장평가를 실시함

◯ 기업별 기술혁신시스템과 개별기술 수준에 대한 2단계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기 업에 대해 이노비즈 인증을 부여함

- 46 -

◯ Inno-biz 인증기업에 대해서는 협약은행과 연계한 우대지원, 기술보증기금의 기 술평가 보증 등에 대한 우대, 중소기업 정책자금 연계지원 및 중소기업 지원사 업 참여 시 우대 등의 혜택을 부여함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기술보증기금이 주체가 되어 인증기업에 대한 사후관리를 수행하며, 중소기업청 주관하에 기존 Inno-biz 인증 획득 기업에 대한 재지정이 이루어짐

(2) KISTI 연구사례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기업의 역량측정을 위해 7개의 경쟁력 요소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업의 자가 진단평가가 이루어짐

◯ 자가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 또는 지자체등에서 실시하는 중소기업 지원사 업 정보를 이용자의 진단평가 결과의 유형별로 제공하는 기능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공공 기관에서 진단을 주관하며 진단 시스템의 진단 결과와 대응방안에 대한 리 포팅 서비스를 대상기업에 제공함

(3)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이 온라인상에서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일정 수준 이상 의 점수 (600점/1000점)를 획득하였을 경우, 현장평가를 신청하는 것이 가능함

◯ 신청기업에 대한 현장평가는 2인1조로 이루어진 평가팀이 수행하며, 평가결과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함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공공 기관에서 진단을 주관하며 진단 시스템의 진단 결과와 대응방안에 대한 리 포팅 서비스를 대상기업에 제공함

- 47 -

나. 국외

□ 국외 혁신오디트 서비스 제공사례 요약

<표 2-22> 국외 혁신오디트 서비스 제공방식

사례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IMP3rove

① 온라인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기업이 자가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② 컨설턴트들이 기업의 현재 혁신관리 현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③ 컨설턴트들이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인증 워크샵을 진행함

온라인 평가 결과에 따라 컨설턴트들이 기업의 현재 혁신관리에 대한 평가를 지원함

The Desai

group

① 평가대상 기업이 온라인을 통해 자 가 평가를 수행함② 온라인 평가를 통해 기업의 혁신 준비성 평가가 이루어짐

온라인 평가 결과에 기반한 혁신역량 강화방안 수립

INNOVATION

LABS

① 혁신 오디트의 범위, 주요 테마들을 정의하고, 혁신 master plan에 따라 설문조사를 수행② 혁신 프로세스 결과, 강점과 약점,

긍정적 요소들, 기타 고려사항에 대 한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

① 설문조사, 인터뷰 결과에 기반하여 혁신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 ② 혁신 성과향상을 위해 주요 액션 item들을 조직 내에 빠르게 적용시 킬 수 있도록 전사적인 워크샵을 지원함

영국 Queen's

Award

① 국제무역, 혁신, 지속가능 세 분야에 대해 기업혁신역량자체평가, 기술평 가, 서류조사 등을 실시함② 평가결과에 따라 기업을 크게 네 단 계로 구분함

① 2년 이상 일정수준 이상의 혁신활동 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최고 의 혁신(outstanding innovation)으 로 인증② 5년 이상 일정수준 이상의 혁신활동 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계속 적인 혁신(continuous innovation)으 로 인증

미국 New

Venture

Template

① 온라인 상에서 15개 지표에 대한 기 업 자가평가를 수행함② 자가평가 결과에 따라 지속성, 사업 성 측면에서 기업이 어떠한 유형에 가장 가까운지를 제시함

온라인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사업전개 방향에 대한 advice를 제공함

(1) IMP³rove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온라인 상에서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기업이 자가 평가를 수행함

- 48 -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외부 컨설턴트들이 기업의 현재 혁신관리 현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

◯ 외부 컨설턴트들이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인증 워크샵을 진행함

(2) The Desai group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온라인을 통해 기업이 자가 평가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혁신 준비성 평 가가 이루어짐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온라인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함

(3) INNOVATIONLABS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혁신 오디트의 범위, 주요 테마들을 정의하고, 혁신 master plan에 따라 기업에 대한 진단 설문조사를 수행함

◯ 기업과의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혁신 프로세스, 혁신 결과물, 기업의 강점과 약 점, 긍정적 요소들, 기타 고려사항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설문조사,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recommendation을 제시함

◯ 또한, 혁신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액션item 들을 기업에 빠르게 적용시 킬 수 있도록 전사적인 워크샵을 지원함

- 49 -

(4) 영국 Queen's award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혁신 오디트의 범위, 주요 테마들을 정의하고, 혁신 master plan에 따라 기업에 대한 진단 설문조사를 수행함

◯ 기업과의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혁신 프로세스, 혁신 결과물, 기업의 강점과 약 점, 긍정적 요소들, 기타 고려사항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설문조사,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recommendation을 제시함

◯ 또한, 혁신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액션item 들을 기업에 빠르게 적용시 킬 수 있도록 전사적인 워크샵을 지원함

(5) 미국 New Venture Template

□ 진단서비스 제공방식

◯ 온라인 상에서 기업의 자가 평가가 이루어짐

- 15개 평가 지표에 대해 평가를 수행

◯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지속성, 사업성 측면에서 기업이 어느 유형에 가장 가까 운 지 나타냄

□ 사후서비스 제공방식

◯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사업전개 방향에 대한 advice를 제공함

- 50 -

제 3장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평가체계 개발

제 1절 R&D 혁신역량 개념정의

1. R&D 혁신역량 정의를 위한 유사 개념

○ R&D 혁신역량과 유사한 개념으로 ‘기술혁신 역량’와 ‘R&D 역량’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가. 기술혁신 역량

□ 장지호 외 (2006)

○ 기술혁신 역량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공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며, 혁신 활동의 중요한 결과물의 하나

□ Burgelman and Vand den poel (1988)

○ 기술혁신 역량은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일련의 기업의 특성

□ Guan and Ma (2003)

○ 기술혁신 역량은 특별한 기업자산의 하나로 볼 수 있으며, 기술, 제품, 공정, 지식, 경험 그리고 조직 등을 포함하는 자원이라 할 수 있음

○ 기술혁신 역량의 측정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역량이 포함 (Yarn et al. 2004)

- 학습 역량 (Learning capability)

- 연구개발 역량 (R&D capability)

- 자원배분 역량 (Resources allocation capability)

- 생산 역량 (Manufacturing capability)

- 마케팅 역량 (Marketing capability)

- 조직 역량 (Organising capability)

- 전략적 기획 역량 (Strategic planning capability)

- 51 -

나. R&D 역량

□ Evangelista et al. (1997)

○ R&D 활동은 기업에서의 기술혁신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중요한 무형의 혁신 비용

□ Lucas and Bell (2000)

○ R&D 역량은 크게 exploration capability, exploitation capability 간 상호작용에 의해 좌우되는데, 전자는 신제품 개발을 위한 창조적 프로세스(Idea generation)와 관련되며, 후자는 기존 제품의 확장(Product extension)과 관련됨

- Exploration: 새로운 지식에 대해 조사하거나 실험하는 것

- Exploitation: 기존 지식을 자산화 (capaitalizing) 하는 것

□ Elmquist and Le Masson (2009)

○ 기업의 혁신역량은 시장 기회를 잡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을 창출하는 데에 있음

2. R&D 혁신역량

○ 본 과제에서의 R&D혁신역량은 기존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된 혁신역량 중 “R&D와 직 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역량”이며 동시에 “평가결과가 KISTI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 가능한 역량”이 되어야 할 것임

○ 기업의 R&D 혁신역량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 미래 유망한 사업기회를 포착하고 (R&D기획 역량)

- 기업 내 ּ 외부의 가용자원을 적절히 활용하며 (자원보유/활용 역량),

-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운영하여 (프로세스 역량)

- 시장성 높은 R&D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역량 (기술사업화 역량)

- 52 -

제 2절 R&D 혁신역량 진단체계

1. 진단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분석

□ 주요 내용

○ R&D 혁신역량 진단체계는 기존 연구 및 사례를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개발이 이루어짐

- 평가주체: 자체평가 vs 외부평가 vs 자체평가 후 외부평가

- 평가자료 형태: 정량값 vs 정성값 vs 정량+정성값

- 평가결과 형태: 점수(Score) vs 수준(Level)

- 평가방법① 절대값에 따른 평가② 동종업계 평균과의 상대비교에 따른 평가③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평가④ 진단지침에 따른 평가

□ 평가 주체

○ (검토결과) 기존연구 및 사례들에 대한 검토결과 평가 주체는 크게 ‘자가평가’와 ‘외부평가’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자가진단과 외부평가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 자가진단만을 진행하는 경우가 다수로 조사됨

- 자가평가: 평가대상 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이 주어진 평가가이드라인에 따라 자신의 조직을 진단하는 것

- 외부평가: 자가진단 결과 일정기준 이상을 충족시키는 평가대상 기업에 대해 외부의 전문가가 추가적인 평가를 진행하는 형태이거나 외부 심사단이 평가를 진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짐

○ (적용방안) 본 과제에서 중소기업 진단은 중소기업 인증이나 심사의 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므로, 기본적으로는 자가진단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됨

- 53 -

- 1차적으로 기업들이 자체평가를 수행한 이후, 자체평가 결과에 따라 필요시 KISTI 내부인력이 파견, 심층항목에 대한 외부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심층항목에서는 기업의 현황뿐 아니라 지원방안에 대한 기업의 니즈에 대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임

□ 평가 형태

○ (검토결과) 평가 형태를 ‘평가자료’의 형태와 ‘평가결과’의 형태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평가를 위한 입력자료는 일반적으로 정성자료와 정량자료가 혼합되어 활용되는 경우 가 많음

- 평가의 결과물은 수준화(Leveling)보다 점수화(Scoring)의 형태가 일반적임

○ (적용방안) 입력자료의 경우 평가지표의 특성에 따라 정성자료와 정량자료를 혼합해서 활용하며, 평가의 최종 결과물은 평가영역(대/중/소분류) 별 점수를 먼저 산출한 뒤,

점수에 따라 적절한 Level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정성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인지도를 조사하는 반면 정량자료는 객관적인 데이터로부터 도출하되, 자가 평가 방식이므로 기업이 자사현황에 가장 부합하는 항목을 선택

- 정성자료와 정량자료 모두 최종적으로는 5점 척도로 변환한 뒤, 총 평가점수를 산출

□ 평가 기법

○ (검토결과) 혁신역량 평가에 활용되는 평가기법은 크게 ‘절대평가’, ‘상대평가’, ‘체크리스트’, ‘평가지침’의 네 가지가 존재하며, 절대평가나 체크리스트 방식 활용이 일반적임

- 절대평가: 평가대상 기업의 혁신역량을 절대적인 수치로 평가 ※ 예: 매출액 대비 R&D 지출

- 상대평가: 평가대상 기업이 속한 시장 내 타 기업이 보유한 혁신역량과 비교하였을 때, 평가대상 기업의 혁신역량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자체평가 수행

※ 예: 경쟁기업 대비 매출액 대비 R&D 지출액 수준이 어느 정도입니까?

- 체크리스트: 각 평가지표에 대해 그 평가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세부항목을 제시한 뒤, 평가대상 기업에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표시하도록 하여 표시

- 54 -

된 항목의 숫자에 따라 혁신역량 수준 평가 ※ 예: (R&D 기획역량 평가) 다음에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체크해 주십시오

□ 중장기 기획을 위한 기술로드맵을 작성한다

□ 기술기획 과정에서 특허분석을 수행한다

□ 기술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한다

□ 제품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한다

- 평가지침: 평가템플릿이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점수 부여 시 참 고할 수 있도록 지원

예: 귀사의 R&D 기획과정을 가장 잘 설명하는 항목을 선태해 주세요.

① R&D기획전담팀이 존재하여 정기적으로 R&D전략을 수립한다

② R&D기획전담팀은 존재하지 않지만 정기적으로 R&D전략을 수립한다

③ R&D기획전담팀이 존재하지 않으며 비정기적으로 R&D전략을 수립한다

- 각 평가기법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음

<표 3-1> R&D 혁신역량 평가방법의 장⦁단점평가방법 장점 단점

절대평가⦁절대값을 사용하여 비교적 평가기준이

명확함⦁평가방법이 간단하고 명확함

⦁평가기준 중 일부는 정량화가 불가능하며 자료수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음

⦁절대값을 표준화된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

상대평가⦁평가방법이 간단하고 명확함⦁상대적인 혁신역량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함

⦁절대적인 혁신역량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움

⦁평가과정에서 응답자의 주관이 개입될 위험이 있음

체크리스트

⦁지표를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므로 비교적 명확하고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함

⦁기업의 부족한 역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개선방안 도출 또한 용이함

⦁평가나 응답이 매우 용이함

⦁모든 세부항목에 동일한 가중치가 주어져 평가가 이루어짐

⦁가중치가 동일하지 않은 평가항목이 포함될 경우 평가의 신뢰성이 저하됨

⦁체크리스트 개발이 쉽지 않음

평가지침⦁정성평가를 수행하되, 정성평가에

대한 평가지침을 제공하므로,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할 수 있음

⦁평가가 응답이 매우 용이함

⦁기업의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평가지침이 존재할 경우 평가가 어려움

⦁평가지침 개발이 쉽지 않음

○ (적용방안) 중소기업은 기업 간 특성이 상이하고 자료수집 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특정역량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보다는 ‘특정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평가가 보다 일반적일 것으로 판단되므로 체크리스트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됨

- 55 -

- 체크리스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음 • 특정 역량과 관련된 best practice 중 몇 개의 best practice를 수행하는지로 역량진단

이 가능한 경우

- 또한, 체크리스트 나열된 항목 중 특히 중요한 활동에 대해서는 활동의 수준을 평가 • 역량진단에 있어 활동을 하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그 활동을 얼마나,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가 더욱 중요할 경우 ① 활동의 수준평가는 객관적인 지표로 평가가 가능할 경우 구간별 척도를 나눔

② 활동의 수준평가가 객관적인 지표로 불가능할 경우 경쟁사 대비 상대적인 평가를 수행하도록 함

③ 활동의 수준평가가 객관적인 지표로 불가능하며 경쟁사 대비 평가도 어려울 경우 자체 만족도 수준을 평가

- 체크리스트 방식을 기본적으로 활용하되, 평가항목의 특성에 절대평가와 평가지침을 혼용함

- 자가평가의 경우 평가가 난해한 항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평가 가이드라인을 제공함

2. 진단체계 개발을 위한 심층분석

□ 주요 내용

○ 진단체계는 진단의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누구에게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따라 적합한 진단체계가 상이해지므로 기본분석 결과를 토대로 심층분석을 실시하여 진단체계 개발을 완료함

- R&D 혁신역량 진단목적 및 결과활용 방안

- R&D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 대상기업, 진단방법, 진단항목, 진단도구

□ R&D 혁신역량 진단목적 및 결과활용 방안

○ (진단목적) KISTI 사업의 지원대상인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진단하여

- 첫째, 중소기업에 맞춤화된 지원을 제공하고,

- 둘째, KISTI 사업의 중소기업 지원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지원프로그램의 개선

- 56 -

에 활용하며,

- 셋째, 중장기적으로 KISTI형 중소기업 역량평가 모형으로 활용하기 위함임

○ (결과활용) 단기적으로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것이며, 추후 일정기간 수집된 객관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산업별, 기업별 맞춤화를 진행, ‘평가’ 모형으로 발전시킬 것임

□ R&D 혁신역량 진단 프로세스

○ (대상기업) R&D 혁신역량 진단 서비스를 받을 기업은 KISTI 사업의 핵심 지원 대상으로 ‘종업원 10~50명 수준의 기술기반 (제조) 중소기업’이 될 것임

- KISTI 사업의 지원 대상에 대한 서비스 차원의 진단이며, ‘기업의 자가진단+KISTI 진단팀’에 의한 진단이 이루어지므로 기업이나 KISTI 차원에서 추가적인 비용부담은 발생하지 않을 것임

- 기본적으로 ‘기업 경영진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가진단(1시간 내외)’ + ‘KISTI 연구팀의 진단(1시간 내외)’로 구성된, 총 2시간 분량의 진단이 이루어질 것임

○ (진단방법) R&D 혁신역량에 대한 진단은 기본적으로 KISTI 진단팀의 참여 하에 중소기업 대표이사가 자가진단(1시간 분량)을 수행하되, 대표이사 수준에서 진단하기 힘든 항목에 대해서는 KISTI 진단팀의 지원(1시간 분량)이 이루어짐

- 진단평가자를 차별화 하여 각 항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평가자를 선별적으로 활용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함

- KISTI 진담팀의 지원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음 ① 혁신문화와 같이 종업원들이 직접 평가에 참여해야 하는 경우 (일반 종업원 최소 3인 이상) ② 기술경쟁력과 같이 특정부서 담당인력이 대표이사에 비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가

지고 있는 경우 (관련부서 담당인력 최소 1인 이상) ③ 기술기획과 같이 전문용어 활용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거나 기업

간 상대평가에 기반 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 (KISTI 진단팀 인력 최소 1인 이상)

- 특히 평가에서 진단이 어렵다고 판단된 항목들에 대해서는 진단주체를 수정하여 평

- 57 -

가의 용이성을 높이고자 함

○ (진단항목) 본 진단항목 set은 다수 중소기업에 적용 가능한 일반화된 진단 항목들의 full-set을 구성하고자 가능한 다양한 지표들을 포함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진단항목의 개수를 줄이거나 맞춤화 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

- 사전 진단 단계로 기업의 특성과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진단 지표를 맞춤화 하는 프로세스를 포함, 진단항목의 개수를 조절

① 대안 1. 지표중요도에 따른 진단 범위 결정: 지표의 중요성과 중소기업 적합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결과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핵심지표 1군(20개 내외), ’핵심지표 2군(25개 내외)‘, ’부가지표 1군(20개 내외)‘, ’부가지표 2군(20개 내외) 수준으로 진단지표를 구분한 뒤, 이에 따라 평가 범위를 조절

② 대안 2. 기업니즈에 따른 진단 범위 결정: 산업과 기업의 특성, 기업의 니즈를 사전에 충분히 논의한 다음 진단 범위를 결정

③ 대안 3. 대안 1과 대안 2의 혼합(안): 핵심지표에 대해서는 반드시 평가를 수행하되, 부가지표에 대해서는 기업의 니즈에 따라 진단항목을 사전에 조율함

- 따라서 전체적인 진단프로세스(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을 것임

<그림 3-1> R&D 혁신역량 진단프로세스(안)

○ (진단도구) 진단방법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대지표 대신 상대지표를 활용하며, 진단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핵심 진단항목에 대해서는 진단 가이드라인을 개발

- 58 -

- 현재 절대지표로 표현되어 있는 항목들의 경우 "동종업계 평균 대비 어느 수준"인지 평가하도록 하는 상대지표로 변환하였으며, 이 경우 진단의 객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나, 추후 데이터가 충분히 수집된 이후에 상대지표를 절대지표로 변환함으로써 보완 가능할 것임

- 절대지표 자체도 기업에 대한 기본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진단지표로 활용하는 대신 사전조사 항목으로 입력하게 함 (사전조사 항목의 경우, 진단 이전에 기업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진단항목을 선정하는 목적으로 활용)

- 핵심지표에 대해서는 진단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제시하며, 진단 가이드라인 내에는 '평가자', '용어정의', '평가대상', '평가 유의사항' 등의 내용을 포함

- 59 -

제 3절 진단체계 개발 프로세스

□ 전체 프로세스

○ 이상의 진단체계 개발 프로세스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혁신역량 진단기준 개발

- 혁신역량 진단기준 초안 도출 · KISTI 관점에서의 '중소기업 혁신역량' 정의 · Conceptual framework 개발을 통한 진단관점 도출 · 문헌/사례조사를 통한 진단관점별 진단기준 개발

- 전문가 회의를 통한 진단기준 수정, 보완(6.26)

· 참여인력: 학계 2인, 산업계 2인, 연구소 2인,

컨설팅 1인, KISTI 4인 등 총 11인

- 전문가 설문을 통한 진단기준별 가중치 산정(7.13)

· 참여인력: 학계 1인, 산업계 1인, 연구소 2인,

컨설팅 1인, KISTI 5인 등 총 10인▼

진단기준 별평가지표 도출

- 진단기준 별 평가지표 후보군 1차 도출 · 문헌/사례조사를 통한 지표도출 및 평가방법 개발

- 전문가 설문을 통한 평가지표 후보군 평가(7.04)

· 참여인력: 산업계 2인, 연구소 2인, 컨설팅 1인 · 평가관점: (1) 지표가치 - 중요성, 중소기업 적합성 (2) 평가방법 - 측정용이성, 측정적합성

핵심지표 후보군 도출

- 핵심지표 후보군 도출 · 지표가치 높고, 평가방법이 우수한 지표 선정

- 전문가 회의를 통한 핵심지표 후보군 검토 (7.10)

· 참여인력: 학계 1인, 산업계 1인, 연구소 2인,

컨설팅 1인, KISTI 5인 등 총 9인▼

핵심지표 선정

- 핵심지표 후보군 중 핵심지표 50개 1차 선정 · 진단기준 별 가중치 및 지표평가 결과 반영 · 부가지표 30개, 사전진단지표 10개

- 50개 지표의 통폐합을 통해 40개 핵심지표 도출▼

핵심지표 별 평가지침 개발

- 40개 핵심지표 별 평가지침 개발 · 기본지침: 지표분류, 주요응답자, 체크포인트 · 평가지침: 평가초점, 평가방법(용어, 증거 등)

- 60 -

□ 핵심지표 도출 프로세스

○ 중소기업의 R&D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기준에 대한 전문가 설문을 통해 진단기준 별 가중치를 평가 (부록 1 참고)

- 가중치 평가 결과는 추후 진단기준 별 핵심지표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

○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진단지표들은 전문가 설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핵심지표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진단지표는 크게 ‘지표A’와 ‘지표B’로 구분하여 제시하며, 지표A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평가점수 평균이 모두 3점 이상을 초과하는 항목들로 구성 (부록 2 참고)

- 지표A 내 1군과 2군을 구분하는데 있어 일반역량은 중소기업 적합성을, R&D역량의 경우 지표의 중요성을 우선적으로 고려

- 최종적인 핵심진단 지표 set을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지표A 1군]→[지표A 2군]→[지표B 1군]→[지표B 2군]으로 우선순위를 매김

• 지표A 1군 ① 진단기준에 대한 대용지표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평가의 용이성이나

자료의 가용성 측면에 있어서도 우수한 지표* * 평가의 용이성이나 자료의 가용성이 낮은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선하거

나 혹은 개선이 불가능한 경우 ‘부가지표 2군’으로 이동

② 적용에 있어 가장 높은 우선순위 부여 ‣ 일반역량: 지표 중요성 4점 이상, 중소기업 적합성 4점 이상 ‣ R&D역량: 지표 중요성 4점 이상, 중소기업 적합성 3점 이상

• 지표A 2군 ① 진단기준에 대한 대용지표로써의 가치가 비교적 높으며 평가의 용이성이나 자료의

가용성 측면에 있어서도 우수한 지표* * 평가의 용이성이나 자료의 가용성이 낮은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 논의를 거쳐 개선하거

나 혹은 개선이 불가능한 경우 ‘부가지표 2군’으로 이동

② 적용에 있어 차선으로 우선순위 부여 ‣ 일반역량: 지표 중요성 4점 이상, 중소기업 적합성 3점 이상

- 61 -

‣ R&D역량: 지표 중요성 3.5점 이상, 중소기업 적합성 3점 이상

- 지표B는 진단기준에 대해 어느 정도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검증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평가의 용이성이나 자료의 가용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지표

- 지표B 1군은 지표 자체는 의미가 있으나 중소기업 적합성이 다소 낮은 항목인 반면, 지표B 2군은 지표의 중요성과 중소기업 적합성 모두 높으나 측정이 용이하지 않거나 측정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지표

• 지표B 1군 ① 진단기준에 대해 어느 정도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중소기업에 적용하는데 있어 검증이 완료되지 않은 지표 ② 중소기업의 니즈에 따라 핵심지표 분석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별적 활용 ‣ 일반역량: 지표 중요성 4점 미만, 중소기업 적합성 3점 미만 ‣ R&D역량: 지표 중요성 3.5점 미만, 중소기업 적합성 3점 미만

• 지표B 2군 ① 평가기준에 대해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평가의 용이

성이나 자료의 가용성 측면에서의 한계로 모든 기업에 적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므로 개선이 필요한 지표

② 추후 측정방법을 개선하여 핵심지표로 활용 ‣ 일반역량: 지표 중요성 4점 이상, 중소기업 적합성 3점 이상, 측정용이성 혹은

측정방법 적합성이 3점 미만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경우 ‣ R&D역량: 지표 중요성 3.5점 이상, 중소기업 적합성 3점 이상, 측정용이성 혹은

측정방법 적합성이 3점 미만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경우

○ 진단기준별 가중치 점수에 따라 핵심지표의 개수가 결정되며, 진단지표가 지표A1, 지표A2, 지표B1, 지표B2 중 어떠한 항목에 속하는지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최종 핵심지표 50개가 선정됨

○ 핵심지표 50개 중 유사한 지표의 통폐합 작업을 통해 최종적인 40개 지표 set이 구성

- 62 -

제 4장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평가지표 개발

제 1절 진단 관점

□ 개발 프로세스

○ 산업조직론의 기초조건-구조-행동-성과(structure-conduct-performance) 패러다임 모형을 도입하여 이를 R&D 관점으로 변경함

- 구조: R&D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시수준 즉, ‘산업차원에서의 기초조건과 구조’ 및 미시수준, 즉 ‘조직차원에서의 기초조건과 구조’로 구분할 수 있음

- 행동: R&D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은 기업에서의 R&D 활동임

- 성과: 평가의 목적은 R&D를 통해 기업의 혁신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임

<그림 4-1> R&D 혁신역량 평가 관점 개발 모형

○ (R&D 구조) 본 R&D 혁신역량 진단은 기업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산업차원에서의 요소는 외부요소로 두고 기업차원에서의 요소만을 고려함

- R&D 활동에 영향을 주는 기업차원에서의 핵심요소는 크게 기업의 경영시스템과 혁신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음

- 따라서 R&D 활동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R&D 혁신성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초조건으로 기업의 ‘경영역량’과 ‘혁신역량’을 진단함

- 63 -

- 단, 산업구조 중 평가대상 기업이 속한 산업이 제조업인지 서비스업인지에 따라 R&D 혁신활동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추후 ‘업종’에 따라 상이한 평가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 (R&D 행동) R&D 활동은 크게 R&D를 기획하는 활동과 기획한 결과에 따라 R&D를 수행하는 활동을 고려함

- R&D 기획활동은 외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R&D 전략을 수립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반면, R&D 수행활동은 성공적으로 R&D를 진행하여 그 결과물을 사업화 하는 활동을 포함

- 따라서 R&D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R&D 활동에 대한 역량으로 R&D ‘기획역량’과 ‘수행역량’을 평가함

□ 진단관점 도출결과

○ R&D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소기업 역량 진단 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R&D 역량 뿐 아니라 R&D 역량의 기반이 되는 일반역량에 대한 진단도 포함

○ 일반역량

- 기업경영, 즉 조직차원에서의 역량을 평가

- R&D를 통해 성공적인 혁신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원과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진단 (주로 R&D Input과 Output 관점에서의 역량)

- 분류: 경영역량 + 혁신역량① 경영역량: 매출, 인사, 제조 등 기초적인 경영자원과 인프라로, 혁신기반 제공② 혁신역량: 기업이 보유한 핵심적인 기술자원과 인프라로, 혁신활동 촉진

○ R&D 역량

- R&D실무, 즉 수행차원에서의 역량 진단

- R&D를 통해 성공적인 혁신을 창출할 수 있도록 R&D 과제를 기획하고 운영하여 사업화 할 수 있는 역량을 진단 (주로 R&D Process 관점에서의 역량)

- 분류: 기획역량 + 수행역량 ① 기획역량: 외부환경 모니터링과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 미래 사업의 유망기회를 발

- 64 -

굴하고 요구되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적절한 R&D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

② 수행역량: R&D 과제를 통해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진행하고 수행하고 적절한 지원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

- 65 -

제 2절 진단 기준

□ 개발 프로세스

○ R&D 혁신역량에 대한 정의와 R&D 혁신역량 진단 관점에 기반 하여, 기존연구에서 활용된 평가기준들을 일반역량, R&D역량 관점에서 정리하였으며, 기업에 대한 기초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전조사 지표를 추가함

- 일반역량과 R&D역량에 대한 진단은 기본적으로 상대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기업규모, R&D규모 등은 절대값 또한 기업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해당 지표들은 ‘진단을 위한 사전조사 항목으로 구성’

□ 사전조사항목 도출결과

○ 사전조사

- 평가기준 4개, 사전조사항목 10개

<표 4-1> 진단을 위한 사전조사 항목

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설명

사전조사

기업규모매출액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얼마인가?

종업원 수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 종업원 수는 몇 명인가?

R&D 규모

R&D 투자액 최근 2년간 평균 R&D 투자금액은 얼마인가?

R&D 인력규모 최근 2년간의 R&D인력의 규모는 몇 명인가?

보유 IP 특허(실용신안 포함) 등록 및 출원 수는 몇 건인가?

사업화역량

사업화경험 최근 2년간 기술 및 제품 상용화 실적은 총 몇 건인가?

기술인증 최근 2년간 각종 인증실적 및 수상실적이 있다면 총 몇 건인가?

기업인증 InnoBiz 인증, 벤처 인증을 받았는가?

산업분류

업종(산업) 기업의 업종은 표준산업 분류 상 어디에 속하는가?

제품 기업의 주요제품/서비스는 무엇인가?

- 66 -

□ 진단기준 및 핵심지표 도출결과

○ 일반역량 (경영역량+혁신역량)

- 중분류 2개, 소분류 8개, 평가기준 11개, 핵심 평가지표 16개

<표 4-2> 일반역량 평가기준 및 핵심 평가지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설명

일반역량

경영역량

경영진혁신리더십

혁신의지기술혁신에 대한 경영자의 의지 및 방침이 정립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사내에 기술혁신에 대한 정신적 일체감이 형성되어 있는가?

추진력 경영자의 기술경영 추진력 및 위기관리 능력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전문성 기술이해 경영자의 보유기술에 대한 이해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재무 매출매출수준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매출액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매출액증가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매출액 증가율은 동종 업게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조직 교육훈련 교육훈련수준 직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가?

생산 생산관리 생산운영관리수준

생산계획은 합리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생산프로세스운영과 실적관리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판매/마케팅

마케팅관리 마케팅관리수준 마케팅과 영업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판로관리 판로확보역량 신제품 개발 후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은 어느 정도인가?

혁신역량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학습자세 혁신주체로서 종업원들의 태도와 자질의 우수성은 어느 정도인가?

R&D인력 R&D인력비중최근 2년간 종업원 수 대비 R&D 전담인력의 비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R&D조직 기술개발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가?

혁신성과 보유성과

기술성과 최근 2년간 신기술 개발 성과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IP성과 특허(실용신안 포함) 출원 수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네트워킹고객, 공급업체, 경쟁업체, 금융기관, 교육/훈련기관, R&D 기관, 서비스 제공업체, 산업체 조직 등과 적절한 네트워킹을 수행하고 있는가?

R&D 투자 최근 2년간 평균 R&D 투자금액 및 투자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 67 -

○ R&D 역량 (기획역량+수행역량)

- 중분류 2개, 소분류 5개, 평가기준 16개, 핵심 평가지표 24개

<표 4-3> R&D 혁신역량 평가기준 및 핵심 평가지표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설명

R&D역량

기획역량

기회발굴

환경 분석외부환경 기술개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장 환경과 기

술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할 능력이 있는가?

경쟁기업경쟁사의 우수한 점을 수용하거나, 경쟁사의 신제품이나 신사업을 파악하여 새로운 기회 포착에 활용할 능력이 있는가?

역량분석 내부역량 기술개발 목표와 전략수립에 있어 자사의 역량을 분석하는가?

변화관리 기술변화 급작스럽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기술 환경에 빠르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가?

전략기획

전략초점목표설정 혁신에 초점을 맞춘 R&D 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며 이

는 기업목표와 관련성이 높은가?중장기전략 중장기 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는가?실행계획 기술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마련되는가?

주요기법 시장기획 시장 기획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가?기술기획 기술 기획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가?

정보지원

수집 정보원천 혁신기회 발굴을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정보원천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하는가?

분석 정보역량 필요한 정보의 검색과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활용 활용수준 수집된 정보의 관리와 활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공유 공유수준 기업 내부에서 정보와 지식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기술보완 제품화를 위한 핵심기술 보완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정보공유 활용 기술개발 실무수행자 간에 기술관련 정보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기술협력협력수준 기술개발 과정에서 외부와의 협력은 체계적으로 이루

어지는가?협력경험 최근 2년간 기술도입 및 기술이전, 공동 R&D 실적은

동종업종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장비확보 확보역량 연구개발 장비와 시제품 생산 및 시험분석 장비를 적

시에 활보할 능력이 있는가?

사용화및

사후관리

공급관리 재료/부품 제품생산 또는 사업화를 위한 재료 및 부품의 구매, 외주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사업화시장전략 신제품의 시장도입 및 마케팅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

하고 실행할 능력이 있는가?IP전략 신제품 상용화에 있어 지식재산권 관련 전략을 수립하

고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

활용도활용 개발된 기술을 효율적으로 보관, 관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되어 있는가?인증 개발된 기술의 외부 심사기관 인증이 체계적으로 이루

어지는가?기술성과

관리 및 활용성과관리 및

활용현황기술개발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획득한 지식의 관리와 체화가 잘 이루어지는가?

- 68 -

□ 평가기준 부가지표 도출결과

○ 일반역량 (경영역량+혁신역량)

- 중분류 2개, 소분류 8개, 평가기준 11개, 부가항목 13개

<표 4-4> 일반역량 평가기준 및 부가 평가지표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설명

일반역량

경영역량

경영진 전문성 경력 경영자의 동종업계의 근무경력은 어느 정도인가?

생산설비관리 설비관리수준 생산설비 수준과 가동율은 어느 정도인가?

품질관리 품질관리수준 제품생산 및 서비스제공을 위한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가?

판매/마케팅 고객관리 고객관리수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A/S 체제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는가?

혁신역량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경력 종업원들의 동종업계 평균 근속년수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R&D인력경력 현재 기술개발 인력의 현 업무와 관련한 평균 기술

개발종사 경력은 어느 정도인가?

실적현재 기술개발인력의 연평균 1인당 제품 또는 신기술 개발 건수는 국내 경쟁기업(국내최고) 대비 어느 정도인가?

혁신성과

보유성과 시장성과최근 2년간 혁신결과물의 시장출시 성과와 이로 인한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는 어느 정도인가?

경쟁력해외시장

기술경쟁력핵심 보유기술의 주요경쟁국(세계최고)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내수시장기술경쟁력

핵심 보유기술의 국내 경쟁기업(국내최고)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혁신인프라

조직구성 R&D조직 기술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지원체계 보상체계 직원들의 혁신 활동에 대한 평가와 보상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는가?

혁신문화 조직문화 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는가?

- 69 -

○ R&D 역량 (기획역량+수행역량)

- 중분류 2개, 소분류 5개, 평가기준 10개, 부가항목 17개

<표 4-5> R&D 혁신역량 평가기준 및 부가 평가지표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설명

R&D역량

기획역량

기회발굴

환경 분석기술이해도 경쟁자의 기술전략과 기술 진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가?시장이해도 경쟁자의 혁신전략과 산업 진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역량분석

제품경쟁력 자사의 제품 개발의 역량을 평가하고 달성 수준을 체크하고 있는가?

기술경쟁력 신제품의 기술경쟁력 분석 및 분석결과에 대한 대응이 적절한가?

기술 분석력 자사의 신기술에 대한 기술 석력 수준은 국내 경쟁기업(국내최고) 대비 어느 정도인가?

아이디어관리

수집체계 제품개발을 결정하기 위한 사전 아이디어 창출, 관리, 선택 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실행되고 있는가?

분석체계조직 내,외부의 기술 및 디자인 관련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사업의 미래 추세와 이슈에 대한 관계에 대한 분석을 하는가?

변화관리 시장변화 신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능력이 있는가?

전략기획

주요기법 과제기획 혁신목표 설정, 전개 및 혁신과제 선정 방식이 적절한가?

과제분석 위험분석 R&D과제를 수행하기 전, 해당 과제에 대한 위험분석이 이루어지는가?

정보지원 수집 수집역량 기술기획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의 원천과 수집방법

을 잘 알고 있는가?

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

프로세스표준화 기술개발 단계는 표준화되어 있는가?

정보수집분석기술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은 국내 경쟁기업(국내최고) 대비 어느 수준인가?

기술협력 협력인프라 기술의 도입이나 이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가?

사용화및

사후관리

사업화

외부네트워크 기술사업화 관련 외부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가?

기술표준화 기술표준화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활용 개발된 기술을 효율적으로 보관, 관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되어 있는가?

- 70 -

제 3절 평가 방법

□ 개발 프로세스

○ 평가항목 별 Measurement scale 결정 기준

- 가능하면 기존의 자료들을 벤치마킹하여 이미 검증이 완료된 평가지표들을 활용하되, 신규도입이 필요한 항목들의 경우 문헌연구를 통해 자체 개발

- 평가지표의 특성에 따라 Measurement scale은 다음 세 가지 방법 혼용하되, 최종 평가는 5점 척도 수준으로 변환하여 실시

○ 평가 방법

- 척도 • 개발방식: 5-point likert scale 활용 • 적용대상: 기업 내부 인식이나 자체적인 평가가 절대 평가보다 중요할 경우 • 예시

<표 4-6> 5-point likert scale 예시

1점 매우 그렇다 (전혀 그렇지 않다)2점 그렇다 (그렇지 않다)3점 보통이다4점 그렇지 않다 (그렇다)5점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

- 다지선다 • 개발방식: 기존 평가체계 및 중소기업 통계를 참고하여 평가지침 개발 • 적용대상: 1~2개 기준 값(특성)에 따라 역량의 수준을 기술할 수 있는 경우 • 예시

<표 4-7> 다지선다 예시 1

1점 정보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조직을 보유하고 있으며, 능력이 우수하다.2점 정보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조직을 보유하고 있으며, 능력이 보통이다.3점 정보 분석 담당조직은 없으나, 대부분의 종업원이 정보취득 욕구가 높다.4점 경영진만이 정보를 취득 분석하고 있다.5점 정보를 취득, 분석하는 전담조직이 없다.

- 71 -

<표 4-8> 다지선다 예시 2

1점 R&D 투자율 1% 미만2점 R&D 투자율 1%이상 ~ 3% 미만3점 R&D 투자율 3%이상 ~ 5% 미만4점 R&D 투자율 5% 이상 ~ 10% 미만5점 R&D 투자율 10% 이상

- 체크리스트 • 개발방식: 기존 평가체계 및 문헌연구(기술기획, 제품개발 등)를 통해 개발 • 적용대상: 소수기준이 아닌 다수항목에 의해 역량의 수준이 결정되는 경우 • 예시

<표 4-9> 체크리스트 예시 □ 기술로드맵 □ 기술체계도 □ 특허동향분석 □ 핵심특허분석

□ 기술포트폴리오 □ R&D포트폴리오 □ 기술수준분석 □ 개발위험분석

1점 V 0개

2점 V 1~2개

3점 V 3~4개

4점 V 5~6개

5점 V 7개 이상

- 72 -

□ 핵심지표 세부지표별 평가방안

<표 4-10> 핵심지표 평가방안-1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경영진

혁신리더십

1 혁신의지

기술혁신 철학 및 방침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있다. 5 5~6개

종업원응답참여

경영자가 기술혁신 관련 종업원교육을 장려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교육을 개최한 실적이 있다. 4 3~4개기술혁신 관련 회의에 경영자가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회의를 적극적으로 주관한다. 3 2개기술혁신 철학 및 방침에 대해 종업원들이 숙지하고 있다. 2 1개기술혁신 참여자에 대한 동기 부여 책이 마련되어 있다. 1 해당항목 없음신기술, 신 시장에 대한 경영자의 관심이 높으며, 이를 기술개발에 적극 반영한다.  

2 추진력

경영자는 신기술, 신사업에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5 5~6개

종업원응답참여

경영자는 기술혁신에의 적극적인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4 3~4개사업추진에 있어 경영자의 집중력과 지구력은 뛰어나다. 3 2개사업추진 시 발생하는 위기에 대한 경영자의 대처능력이 탁월하다. 2 1개경영자의 의사결정이 신속하고, 결정된 사안에 대해 사업실무에 빠르게 적용한다. 1 해당항목 없음경영자는 경쟁사의 전략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나다.  

전문성 3 기술이해

보유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고 관련 기술동향이나 전망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이를 토대로 직접 신기술을 개발,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5  보유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고 관련 기술동향이나 전망에 대해서도 대체로 잘 알고 있으나직접 신기술을 개발, 기획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4  보유기술자체에 대해서는 상당부분 이해하고 있으나, 관련 기술동향이나 전망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3  보유기술이나 관련 기술동향 및 전망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해도 현재 경쟁사대비 자사의 기술우위는 파악하고 있다. 2  주로 경영관련 업무만을 수행하여 보유 기술에 대한 이해는 다소 부족하다 1  

재무 매출 4 매출수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150% 이상) 5  

경쟁사대비 평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 (125~150%) 4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 (75~125%) 3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 (40~75%) 2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 (40% 미만) 1  

조직 조직구성 5 인력규모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150% 이상) 5  

경쟁사대비 평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 (110~150%) 4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 (90~110%) 3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 (70~90%) 2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 (70% 미만) 1  

- 73 -

<표 4-11> 핵심지표 평가방안-2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조직 교육훈련 6교육훈련수준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다. 5 5~6개종업원들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외부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4 3~4개업무와 직접 관련된 교육 뿐 아니라 개인의 능력개발과 경력관리에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3 2개신입직원,미숙련직원에대해업무지식이나기능을교육하고있다. 2 1개교육훈련 프로그램 참가에 있어 종업원 개인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정기적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생산 생산관리 7 생산운영관리수준

중장기 전략을 바탕으로 생산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된다. (고객납기를 맞추기 위한 생산계획(일정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된다.) 5 5~6개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실제 생산프로세스가 운영된다.(수립된 생산계획(일정계획)에 따라 실제 생산프로세스가 운영되며, 따라서 주문량의 변화가 생산계획(일정계획)에 반영되고 있다.)

4 3~4개

생산계획(일정계획이나 목표)대비 실적이 기록되고 있다. 3 2개생산계획(일정계획)대비 실적의 차이가 발생했을 경우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차기 생산계획에 반영하거나 생산프로세스 개선에 활용한다. 2 1개생산설비(일정계획)의 가동률이 분석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재고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관리가 이루어진다. (변동하는 주문량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판매 마케팅

마케팅관리 8 마케팅

관리수준

시장/고객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관련된 문서가 사규, 절차 등으로 존재한다. 5 4~5개시장/고객을 세분화하는 기준이 존재하고 고객요구를 파악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4 3개고객요구사항 중요도를 결정하는 방법이나 기준이 있다. 3 2개마케팅/영업실행 계획서, 프로모션 계획서 및 보고서 등을 작성하고 있다. 2 1개시장조사 계획서 또는 시장조사 결과 보고서 등을 작성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

판로관리 9 판로확보역량

영업 인력의 관련 업무 수행능력이 우수하다. 5 4~5개마케팅 네트워크 역량이 우수하다. 4 3개브랜드/제품 이미지가 우수하다. 3 2개기업 이미지가 우수하다. 2 1개신 시장에 대한 정보 분석력이 탁월하다. 1 해당항목 없음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10 학습자세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실수가 발생했을 경우 실수를 통해 다음에는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배우고자 노력한다. 5 5~6개열의에 차있고, 뭔가 새로운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4 3~4개지원 가능한 업무는 서로 돕는다. 3 2개조직 내에서 즐겁게 일하며, 조직 내에서 일하는 것이 즐겁다고 느낀다. 2 1개조직의 시각에 동참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한다. 1 해당항목 없음혁신과 관련된 외부 정보를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시장 및 기술 변화에 민감하다.

- 74 -

<표 4-12> 핵심지표 평가방안-3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혁신주체 R&D인력

11 R&D인력비중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200% 이상) 5경쟁사

대비 평가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 (150~200%) 4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 (75~150%) 3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 (25~75%) 2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 (25% 미만) 1

12 R&D조직

3년 이상 공인된 기업부설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53년 미만 공인된 기업부설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4R&D 전담 조직을 편성하여 상시 운영하고 있다. 3필요 시 실험실 형태의 R&D 조직을 task-force 팀 형태로 구성 하여 운영한다. 2자체 R&D 조직을 보유하지 않고 주로 외부기관에 의뢰하여 R&D를 수행한다. 1

혁신성과 보유성과

13 기술성과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200% 이상) 5

경쟁사대비 평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 (150~200%) 4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 (75~150%) 3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 (25~75%) 2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 (25% 미만) 1

14 IP성과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200% 이상) 5경쟁사

대비 평가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 (150~200%) 4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 (75~150%) 3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 (25~75%) 2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 (25% 미만) 1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15 네트워킹

혁신을 위해 고객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소통한다. 5 5~6개혁신을 위해 공급업체 및 공급업자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소통한다. 4 3~4개혁신을 위해 금융기관을 활용하여 정보와 자금을 확보한다. 3 2개혁신을 위해 전문 교육/훈련기관을 활용, 종업원들의 혁신 역량을 제고한다. 2 1개혁신을 위해 R&D 전문기관(대학, 국책연구소, R&D전문서비스 제공업체 등)을 활용한다. 1 해당항목 없음혁신을 위해 동종 산업 내 경쟁업체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75 -

<표 4-13> 핵심지표 평가방안-4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16 R&D

투자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 모두 매우 높다. 5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이 비교적 높다. - 혹은, 경쟁업체와 투자금액 수준은 비슷하지만 투자율이 높다 - 혹은, 경쟁업체보다 투자금액 수준은 높지만 투자율은 비슷하다.

4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투자금액 및 투자율 모두 비슷하다. - 혹은, 투자금액은 수준은 높지만 투자율이 낮다. - 혹은, 투자금액 수준은 낮지만 투자율은 높다.

3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이 비교적 낮다. - 혹은, 투자금액 수준은 비슷하지만 투자율이 낮다. - 혹은, 투자금액 수준은 낮지만 투자율은 비슷하다.

2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이 모두 매우 낮다. 1

기회 발굴

환경 분석

17 외부환경

국내외 경제 분석을 수행한다. 5 4~5개기술동향 분석을 수행한다. 4 3개시장동향 분석을 수행한다. 3 2개경쟁업체의 동향 분석을 수행한다. 2 1개분석 자료를 전략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1 해당항목 없음

18 경쟁기업

경쟁시장이나 경쟁사의 동향을 보고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다. 5 5~6개경쟁사의 신제품/신사업 동향과 경쟁사의 시장 상황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한다. 4 3~4개경쟁상대의 전략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응책을 마련한다. 3 2개잠재적인 경쟁상대 출현 가능성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한다. 2 1개경쟁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자사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한다. 1 해당항목 없음자사의 약점을 보완하고 경쟁사의 우수한 점을 적극 활용하고자 노력한다.

보유성과 19 내부역량

자사 보유기술의 특성 및 강점, 약점을 파악하고 있다. 5 4~5개자사 기술개발 인력의 강점, 약점을 파악하고 있다. 4 3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을 명시하는 구성도(세부기술도 – technology tree 등)를 작성하고 있다. 3 2개특허 분석(특허지도, 특허가치평가 등)을 통해 관련 기술을 분석하고 있다. 2 1개장기적인 기술개발 목표와 자사 역량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

지원체계 20 기술변화

변화하는 신기술의 속도에 맞춰 개발할 수 있는 개발진이 있다. 5 4~5개변화하는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진이 있음 4 3개필요에 따라 현재의 개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신기술 개발 팀을 구성할 수 있다. 3 2개내부자원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신속히 신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즉, 신기술이 필요한 시점에 적시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신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2 1개신기술 개발 동향, 즉 기술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즉, 시굴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신뢰할 만한 정보원으로부터 수집하여 이해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

- 76 -

<표 4-14> 핵심지표 평가방안-5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전략기획

전략초점

21 목표설정

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해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 내부역량과 외부동향 분석 결과가 반영된 것이다. 5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해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고자 노력하나 기업의 내부역량과 외부동향 분석과 같은 결과가 잘 반영되지는 못하고 있다. 4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나 기업의 목표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지는 않는다. 3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하고는 있으나 특별히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다. 2특별한 기술개발전략을 수립하지 않는다. 1

22 중장기전략

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연계가 잘 이루어짐은 물론, 그 효과성에 대한 평가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5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연계가 잘 이루어진다. 4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나, 기술개발과의 연계는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3중장기 기술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나, 그 방식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잦다. 2중장기 기술전략을 수립하지 않는다. 1

23 실행계획

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고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다. 5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고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대체적으로 확립되어 있다. 4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으나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구체적이지는 않다. 3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으나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불투명하다. 2기술전략의 수립이 미흡하고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없다. 1

주요기법

24 시장기획

시장 기획 방법이 전략기획 프로세스 및 관련문서(e.g. 사규, 절차서 등)로 명시되어 있다. 5 4~5개KISTI진당

시장 기획 방법이 전략수립 관련 계획서 및 보고서(e.g. 품의, 기안 등)에 명시되어 있다. 4 3개고객, 시장요구 파악, 경쟁분석 자료, 최상의 성과 벤치마킹 자료 등을 활용한다. 3 2개SWOT분석, Gap 분석, 3C분석, STEEP 분석 등의 과학적 기법을 활용한다. 2 1개IR(Investor Relation) 자료(e.g. 투자자 설명회 자료)를 활용한다. 1 해당항목 없음

25 기술기획

SWOT분석, 기술전략분석, 기술 확보방식 분석 등을 통해 내부역량을 분석한다. 5 6~7개

KISTI진당

기술예측, 공급사슬 분석 등을 통해 기술동향과 기술가능성을 평가한다. 4 4~5개포트폴리오 분석, 핵심기술 분석, 시장성(경제성), BMO모델 등을 통해 기술개발 분야를 선택한다. 3 2~3개기술로드맵, 기술계통도, 포트폴리오 분석, 핵심기술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목표를 수립한다. 2 1개조직분석, 인적자원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추진체계를 도출한다. 1 해당항목 없음모니터링, 위험요인, 세부계획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활동계획을 수립한다.PERT/CPM 등을 통해 기술개발 일정계획을 수립한다.

- 77 -

<표 4-15> 핵심지표 평가방안-6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전략기획

수집 26 정보원천

기업 내부 및 그룹계열사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5 6~7개

기술 혁신조사표참고

공급업체, 수요기업 및 고객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4 4~5개동일산업 내 경쟁사 및 타 기업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3 2~3개협회, 조합 등의 다양한 외부모임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2 1개정부출연연구소 및 국립연구소, 민간서비스업체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1 해당항목 없음컨퍼런스, 박람회 및 전시회, 전문저널 및 서적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신규 고용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분석 27 정보역량

정보 검색 및 분석을 위한 전담조직이나 전담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5 5~6개대부분의 종업원들이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정보취득에 대한 욕구가 높다. 4 3~4개종업원들의 정보검색 및 분석역량은 우수하다. 3 2개정보 검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외부 database의 접근성이 높다. 2 1개정보 검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Software나 Solution을 보유, 활용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정보 검색 및 분석을 지원받을 수 있는 외부전문가나 전문기관을 알고 있으며, 실제 필요 시 지원을 받고 있다.

활용 28 활용수준

기업 내부와 외부의 이해관계자가 필요한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5 4~5개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S/W, H/W의 백업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 3개전사적 경영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3 2개시스템 및 정보의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절차와 매뉴얼이 있다. 2 1개자료와 정보보호를 위한 통제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

공유 29 공유수준

정보와 지식공유를 위한 지식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5 4~5개사내 지식관리 시스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4 3개지식관리 시스템은 유지보수 등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3 2개사내 정보와 지식의 공유를 위한 오프라인 네트워킹 활동이 존재한다. 2 1개조직 차원에서 온·오프라인 상애서의 정보와 지식공유 활동을 적극 권장한다. 1 해당항목 없음

기술개발 프로세스 30 기술보완

100% 자체해결 가능 (제품화를 위한 모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5자체 목적달성도평가

75% ~ 99% 자체해결 가능 (제품화를 위한 대부분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450% ~ 74%미만(핵심기술외에도제품화를위한기술상당수준을보유하고있다.) 325% ~ 50% 미만 (핵심기술 외에도 제품화를 위한 기술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 225% 미만(제품화를위해핵심기술이외의기술은거의보유하고있지않다.) 1

- 78 -

<표 4-16> 핵심지표 평가방안-7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기술개발

프로세스 31 정보공유활동

외부에서 획득한 시장이나 경쟁사에 대한 기술동향 정보가 잘 공유된다. 5 4~5개

자체 목적달성도평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와 연관된 과거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개발 결과가 잘 공유된다. 4 3개동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실무자들 뿐 아니라 상이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도 필요한 기술개발 정보의 공유가 원활이 이루어진다. 3 2개기술개발 실무자 간 정보공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2 1개기술관련 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직 차원에서의 체계나 지원이 존재한다. 1 해당항목 없음

기술협력

32 협력수준

외부와의 협력을 전담하는 부서 혹은 전담인력이 존재한다. 5 5~6개기술전략에 따라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전략이 수립된다. 4 3~4개필요에 따라 가용한 외부파트너를 알고 있으며, 접근성이 높다. 3 2개비교적 다양한 협력파트너를 활용한다. 2 1개최근 2년간 외부 협력파트너와 협력하여 성공한 사례가 있다. 1 해당항목 없음외부 협력파트너와의협력성과는대체로만족스럽다.

33 협력경험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 (200% 이상) 5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 (150~200%) 4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 (75~150%) 3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 (25~75%) 2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 (25% 미만) 1

장비확보 34 확보역량

필요시 비교적 용이하게 신규/최신 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 5필요 장비를 사내에 충분히 갖추고 있다. 4필요 장비를 외부에서 잘 활용하고 있다. 3관련 장비를 획득·유지·보수·관리하는 전담부서 혹은 전담인력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2가용한 장비를 보유한 외부기관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1

상용화 및사후관리 공급관리 35 재료/부품

외주 또는 원부자재, 발주에서부터 제품생산 및 출하에 필요한 조달과 물류관리가 판매계획 및 생산 공정과 연계되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5 4~5개외주 및 원부자재 조달을 전담하는 부서가 있어 전체 조달 및 물류관리의 계획, 통제, 조정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 4 3개외주업체 또는 납품업체의 능력과 품질관리를 평가하는 체계(체크리스트 등)가 갖추어져 있다. 3 2개외주업체 또는 납품업체에 대한 지원체계를 수립한 실적이 있다. 2 1개물류의 직선화를 위해 생산 제조공정에서 원자재 입고부터 제품출하 및 차량적재까지 물류자동화시스템을 확보하고 있다. 1 해당항목 없음

- 79 -

<표 4-17> 핵심지표 평가방안-8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상용화 및사후관리

사업화

36 정보공유활동

주어진 제품시장 내에서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신제품의 목표시장을 선정한다. 5 5~6개목표시장에서 신제품의 차별화된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마케팅할 수 있도록 제품믹스, 제품라인, 브랜드, 포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4 3~4개판매촉진 능력을 분석하고 판매촉진 전략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3 2개원가분석을 통해 시장상황에 맞추어 신제품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2 1개신제품의 수요를 분석하고 예측하여 이를 시장전략에 반영할 수 있다. 1 해당항목 없음신제품의 판매루트를 확보하고 물류를 최적화할 수 있다.

37 협력수준

IP 전담부서나 전담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5 5~6개신제품 출시 전, 관련 IP에 대한 확보전략을 수립한다. 4 3~4개신제품 출시 전, IP 저촉위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다. 3 2개경쟁기업들의 IP 현황 및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2 1개자사의 기술개발 결과물을 전략적으로 IP화한다. 1 해당항목 없음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IP전략 혹은 정책을 수립한다.

활용도

38 협력경험

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며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5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고 있으나 활용도가 높진 않다. 4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으나, 기술개발 인력간의 의사소통에 의해 기술이 공유되고 있다. 3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고 개인적으로 보관하여 거의 공유되지 않는다. 2개발된 기술의 보관, 관리, 활용이 매우 미흡하다. 1

39 확보역량

외부 심사기관 인증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부서나 전담인력이 존재한다. 5 4~5개기술개발 초기에 인증전략이 수립되며, 이에 따라 기술개발 인증이 이루어진다. 4 3개개발 기술과 관련된 핵심 인증내역, 인증기준 및 인증절차를 이해하고 있다. 3 2개외부 심시기관의 인증을 지원받을 수 있는 외부 전문기관 및 전문 인력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있으며, 필요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2 1개외부 심사기관의 인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나 시스템이 구축되어있으며 관련 자료가 축적된다. 1 해당항목 없음

기술성과관리 및

활용40 재료/부품

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 분석, 관리하며 프로세스 개선에 활용한다. 5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하고 있으며,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공유한다. 4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하고 있으나, 관리자 수준에서 정성적인 분석정도만이 이루어진다. 3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 저장하고 있으나, 별도로 분석이나 관리활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2R&D 프로젝트 성과를 별도로 수집하고 있지 않다. 1

- 80 -

□ 부가지표 세부지표별 평가방안

<표 4-18> 부가지표 평가방안-1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경영진 전문성 1 경력

10년 이상이다. 57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45년 이상 7년 미만이다. 33년 이상 5년 미만이다. 23년 미만이다. 1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90% 이상이다. 5

생산

설비관리 2 설비관리수준

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80% 이상이다. 4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70% 이상이거나 다수의 외주가공업체에 의해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3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70% 미만이거나 1~2개의 외주가공업체에 의해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생산설비가 심하게 노후화되어 교체가 필요하다. 1

품질관리 3 품질관리 수준

제품생산 및 서비스제공을 위한 품질관리에 필요한 활동 지침을 문서화하여 보유하고 있다. 5 5개문서화된 활동 지침과 실제 수행에서의 차이가 발생하면 즉시 시정조치 되고 있다. 4 4개문서화된 활동 지침과 실제 수행의 일치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 3개주기적으로 품질 내부감사를 수행하고 있다. 2 2개목표달성 및 현장 개선을 위해 개선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1 1개  해당항목 없음

판매마케팅 고객관리 4 고객관리

수준

고객정보 및 고객의 소리(VOC)를 수집․분석하여 활용 한다. 5 5개고객의 요구를 제품설계에 반영하는 절차가 있다. 4 4개자사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3 3개고객과 접점에 있는 직원들에게 고객서비스를 위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2 2개A/S(After service) 및 B/S(Before service) 매뉴얼이 작성되어 있고 해당 직원들이 이를 숙지하고 있다. 1 1개A/S(After service) 및 B/S(Before service) 결과는 해당부서에 피드백 되어 재발방지책을 강구하는 데 활용한다. 해당항목 없음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5 경력

10년 이상이다. 5   경영진전문성과동일기준

적용

7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4  5년 이상 7년 미만이다. 3  3년 이상 5년 미만이다. 2  3년 미만이다. 1  

- 81 -

<표 4-19> 부가지표 평가방안-2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혁신주체 R&D인력

6 경력

10년 이상이다. 5 경영진 /일반

종업원전문성과동일기준

적용

7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45년 이상 7년 미만이다. 33년 이상 5년 미만이다. 23년 미만이다. 1

7 실적

매우 높다. 5높은 편이다. 4비슷하다. 3낮은 편이다. 2매우 낮다. 1

혁신성과

보유성과 8 시장성과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가 모두 목표치의 100%를 초과 달성하였다. 5자체목적달성도평가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중 적어도 하나는 목표치의 100% 달성, 나머지 하나는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4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모두 목표치를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3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중 적어도 하나는 목표치의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2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모두 목표치의 80% 미만을 달성하였다. 1

경쟁력

9해외시장

기술 경쟁력

세계최고수준과 동등한 수준이다. (최상) 5경쟁국대비

상대평가

세계최고수준의 80% 이상 100% 미만이다. (상) 4세계최고수준의 60% 이상 80% 미만이다. (중상) 3세계최고수준의 40% 이상 60% 미만이다. (중) 2세계최고수준의 40% 미만이다. (하) 1

10내수시장

기술경쟁력

국내최고수준과 동등한 수준이다. (최상) 5  경쟁사대비

상대평가

국내최고수준의 80% 이상 100% 미만이다. (상) 4  국내최고수준의 60% 이상 80% 미만이다. (중상) 3  국내최고수준의 40% 이상 60% 미만이다. (중) 2  국내최고수준의 40% 미만이다. (하) 1  

- 82 -

<표 4-20> 부가지표 평가방안-3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혁신인프라

조직구성 11 R&D조직

공인된 기업 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설립 후 3년 이상 경과) 5공인된 기업 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설립 후 3년 미만 경과) 4R&D(기술개발) 전담조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3실험실 형태의 R&D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2기술개발을 하지 않거나 필요시 외부기관에 기술개발을 의뢰하고 있다. 1

지원체계 12 보상체계

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운영계획에 따라 매우 잘 운영되고 있다. 5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운영계획에 따라 비교적 잘 운영되고 있다. 4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운영계획은 있으나 반드시 이에 따라 운영되지는 않는다. 3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체계적인 운영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 2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이 미흡하다. 1

혁신문화 13 조직문화

조직 구성원 모두가 새롭고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실천할 수 있도록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5 5개업무에 의미와 동기를 부여하여 종업원이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열정을 불러일으킨다. 4 4개혁신 성과가 높은 종업원에게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한다. 3 3개경영자는 어느 정도의 계산된 위험을 감수할 자세가 되어 있다. 2 2개업무수행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며 재충전의 기회가 주어진다. 1 1개  해당항목 없음

기회 발굴 환경 분석

14 기술이해도

매우 그렇다. 5그렇다. 4보통이다. 3그렇지 않다. 2전혀 그렇지 않다. 1

15 시장이해도

매우 그렇다. 5  그렇다. 4  보통이다. 3  그렇지 않다. 2  전혀 그렇지 않다. 1  

- 83 -

<표 4-21> 부가지표 평가방안-4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기회 발굴

역할분석

16 제품경쟁력

매우 그렇다. 5그렇다. 4보통이다. 3그렇지 않다. 2전혀 그렇지 않다. 1

17 기술경쟁력

매우 그렇다. 5그렇다. 4보통이다. 3그렇지 않다. 2전혀 그렇지 않다. 1

18 기술분석력

매우 높다. 5 5개경쟁사대비

상대평가

높은 편이다. 4 4개비슷하다. 3 3개낮은 편이다. 2 2개매우 낮다. 1 1개

아이디어 관리

19 수집체계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론(TRIZ 등)을 활용한다. 5 5개내부 및 외부 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체계(정기미팅, 아이디어 함 등)가 구축되어 있다 . 4 4개아이디어의 공유 및 재활용을 위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3 3개우수한 아이디어에 대한 보상 지침을 활용한다. 2 2개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아이디어 평가 및 선택이 이루어진다. 1 1개

해당항목 없음

20 분석체계

매우 그렇다. 5  그렇다. 4  보통이다. 3  그렇지 않다. 2  전혀 그렇지 않다. 1  

- 84 -

<표 4-22> 부가지표 평가방안-5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기회 발굴 변화관리 21 시장변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판매를 촉진하고 판매 채널을 매우 능동적으로 변화 시킨다. 5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판매를 촉진하고 판매 채널을 비교적 능동적으로 변화 시킨다. 4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판매 촉진 및 판매채널 변화 등의 대응이 미흡하다. 3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판매 촉진 및 판매채널 변화 등의 대응이 매우 미흡하다. 2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다. 1

전략기획

주요기법 22 과제기획

매우 그렇다. 5그렇다. 4보통이다. 3그렇지 않다. 2전혀 그렇지 않다. 1

과제분석 23 위험분석

발생 가능한 위협을 파악하고 목록화 한다. 5 5개파악한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한다. 4 4개파악한 위협에 대한 자산별 취약성을 평가한다. 3 3개인증심사기준과 같은 표준적인 대책 목록에 대하여 구현 여부를 확인한다. 2 2개위협에 대한 취약성을 낮추거나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보호대책을 조치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다. 1 1개  해당항목 없음

정보지원 수집 24 수집역량

매우 그렇다. 5그렇다. 4보통이다. 3그렇지 않다. 2전혀 그렇지 않다. 1

기술개발 프로세스 25 프로세스표준화

표준화, 명문화 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세부 프로세스 간 연계 및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매우 잘 이루어지고 있다. 5  표준화, 명문화 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세부 프로세스 간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4  표준화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명문화되어 있으나 실제 이에 따라 기술개발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3  표준화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나,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다. 2  기술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 1  

- 85 -

<표 4-23> 부가지표 평가방안-6

소분류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응답항목 5점 척도전환 비고

기술개발

프로세스 26 정보수집분석

매우 높다. 5경쟁사대비

상대평가

높은 편이다. 4비슷하다. 3낮은 편이다. 2매우 낮다. 1

기술협력 27 협력인프라

전담부서가 존재한다. 5전담부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전담인력이 존재한다. 4전담부서나 전담인력은 존재하지 않지만 필요시 전문 지원 인력을 제공한다. 3전담인력이 아닌 내부인력으로 소화가 가능하다. 2특별한 협력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내부역량도 부족하다. 1

사용화 및사후관리 사업화

28 외부네트워크

기술 사업화를 위해 외부 전문가 집단을 활용한다. 5기술 사업화를 위해 외부 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소, 해외연구소 등)과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4기술 사업화를 위해 정부기관과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3기술 사업화를 위해 타기업과 기술협력을 수행한다. 2기술 사업화를 위해 기술금융 지원기관 (벤처캐피탈, 보증기금 등)과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1

29 기술표준화

장기 계획에 의거, 매년 기술 표준에 대한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유지관리 (제정, 개정, 폐지)한 실적이 3년 이상 있다. 5장기 계획에 의거, 매년 기술표준에 대한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유지관리(제정, 개정, 폐지)한 실적이 2년 이상 있다. 4장기 및 당 해년도 기술표준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3기술표준 계획은 미흡하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약간의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2기술표준화가 미흡하다. 1

30 활용

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5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고 있으며 그 활용도는 보통이다. 4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으나 기술개발 인력간의 의사소통에 의해 기술이 공유되고 있다. 3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으며 종업원 개인적으로 보관하고 있다. 2개발된 기술의 보관, 관리, 활용이 미흡하다. 1

- 86 -

제 5장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진단서비스 제공

제 1절 혁신오디트 활용방안

□ 자가진단 서비스

◯ 자가진단 서비스는 기업 스스로 자사의 역량을 진단하고 시간에 따라 역량이 높아지 는지 낮아지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서비스임

- 기업은 자가진단 서비스를 활용하여 부족한 역량에 대한 개선에 집중함으로써 효율 적인 역량증대 및 성과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이 서비스는 ASTI 회원사를 비롯한 KISTI 유관 중소기업에 대해 제공될 수 있을 것 임

□ 기업역량 평가 서비스

◯ 기업역량 평가 서비스는 기업의 R&D 혁신역량을 타 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취 약한 부분과,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부분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

◯ 기업역량 평가 서비스가 진행됨에 따라 축적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동종업 체 유사규모 경쟁기업’을 정의할 수 있는 기준을 개발하고, 경쟁기업 간의 상호비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 또한, 기업역량 평가결과에 대한 인증과 연계하여, KISTI 사업 지원 시 혜택을 부여 하는 방안도 가용할 것으로 보임

□ KISTI 사업성과 평가

◯ KISTI 사업에 지원하여 사업을 수행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KISTI 사업 수행 전 과 수행 후의 성과를 평가하여 성과향상이 어느정도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함으로써 KISTI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함

□ KISTI 사업수행을 위한 사전진단 서비스

◯ KISTI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원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진단서비스를 제공하여

- 87 -

지원 기업의 특성을 분석함

◯ 이러한 서비스는 KISTI 측면에서, 기업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음 - KISTI 측면에서는, 주관 사업에 지원하는 기업들의 역량이 어떠한지, 또한 부족한 역 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사업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이를 사업에 반영하여 사업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

- 기업 측면에서는, KISTI 주관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자사의 특성에 보다 맞춤화된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역량증대, 사업성과 증대를 꾀할 수 있음

※ 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경우, 기업의 부족역량을 맞춤화할 수 있는 기술로

드맵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필요시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속사업(KISTI 혹은 중

소기업청 주관)과의 연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KISTI 지원사업과의 연계방안

◯ KISTI 주요사업현황

- KISTI 에서는 2006년 이후 4대 목적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역량을 집 중하고 있음

- KISTI 4대 목표는 다음과 같음

• 세계적 수준의 R&D 인프라 구축: KISTI는 산, 학, 연의 연구역량 강화를 지 원하기 위해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국가 연구망 인프라 구축 등 사이버인 프라 구축 및 운영과 관련된 사업과, 국내외 핵심정보 개발, 과학기술인용색인 DB 구축 등 정보인프라 구축 및 운영 관련 사업을 수행하였음

• R&D 효율성 재고를 위한 정보서비스 체제 선진화: KISTI 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크 게 NDSL과 같은 오픈서비스와 정부기관, 연구소 등을 위한 시맨틱 연계 서비스 로 구성됨

• 과학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보분석 고도화: KISTI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미래유망기술 탐색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모델 개발, 관련정보 제공 등의 사 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산학연 연계 기술사업화, 산학연 협력을 위한 지식 생태계 구축 등의 사업도 함께 수행함

• 사이버 R&D 선도를 위한 슈퍼컴퓨팅 활용체제 고도화: KISTI는 사이버 R&D선도 를 위해 슈퍼컴퓨팅을 활용한 거대계산과학 연구지원, 차세대 사이버 연구환경 구 현, 슈퍼컴퓨팅 자원 연계 융합 기술 개발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음 (과제중심지원)

- 88 -

◯ KISTI 주요사업 성과현황

<표 5-1> KISTI 주요사업 성과 (2011년 기준)

목적 연구성과 세부연구성과 대상

세계적 수준의 R&D 인프라 구축

사이버인프라 구축 및 운영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산 • 학 • 연

국가과학기술연구망 구축 및 운영국가 연구망 인프라 활용도 제고국내 우수 첨단응용연구 그룹별 맞춤형 논리 전용망 구축

정보인프라 구축 및 운영국내외 핵심정보 개발 및 접근성 확대국가 전자정보 공동구매 컨소시엄 운영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DB 구축

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보서비스 체제 선진화

과학기술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한 오픈서비스 체제 구현

NDSL의 경쟁력 증대오픈서비스오픈서비스 체제 구축을 통한 자원공동 활용

서비스 공동활용 및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협력 강화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시맨틱 연계 및 융합기술 개발

세계수준의 시맨틱 연계 및 융합기술 개발 정부기관 •

연구소시맨틱 정보서비스 확산

과학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정보분석 고도화

고품질 미래유망기술 사업화 정보지원

유망아이템 발굴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 산(중소기업)

• 학 • 연산학연 연계 기술사업화 지원미래유망기술 탐색 및 사업화 모델 개발 산학연 협력을 위한 지식생태계 구축

사이버 R&D선도를 위한 슈퍼컴퓨팅 활용체제 고도화

거대계산과학 선도연구 지원 강화 연구자 및 연구그룹차세대 사이버 연구환경 구현

슈퍼컴퓨팅 자원 연계 융합 기술 개발

- 89 -

◯ 혁신오디트와 KISTI 역량 연계방안

- 혁신오디트와 KISTI 역량 간의 연계를 위해, 혁신오디트 평가항목(소분류 평가항목)과 KISTI가 보유한 사업역량 간의 매칭을 수행 하였음

- 매칭결과, KISTI는 경영진, 재무, 조직, 생산, 판매/마케팅 등 경영역량 지원을 위한 역량보다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기획역량, 수행 역량을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특히, 중소기업의 혁신인프라, 정보지원, 기술개발 등의 역량을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다수 보유하고 있음

- 따라서, 잘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혁신,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거나, 중소기업이 혁신 또는 기술개발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지원하는 형태로 연계하는 방안이 가용할 것으로 판단됨

<표 5-2>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KISTI 역량 간 매칭결과 KISTI 역량

슈퍼컴퓨팅인프라구축

국가과학기술연구망 구축

정보인프라 구축 및 활용

정보분석

정보서비스

시맨틱연계 및 융합기술

미래유망기술탐색 및 사업화

역량평가항목

경영진재무조직생산

판매/마케팅혁신주체 ◯혁신성과 ◯ ◯

혁신인프라 ◯ ◯ ◯기회발굴 ◯ ◯ ◯전략기획 ◯정보지원 ◯ ◯ ◯ ◯ ◯ ◯기술개발 ◯ ◯ ◯ ◯ ◯ ◯

상용화및사후관리 ◯

- 90 -

◯ 혁신오디트와 KISTI 세부사업 연계방안

- 앞서 서술한 KISTI 주요사업외에, 실질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KISTI 세부사업과 혁신오디트 평가항목(소분 류 평가항목) 간의 매칭을 수행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혁신역량 강화방안과 연계하고자 하였음

- 매칭결과, 세부사업 레벨에서도 KISTI는 경영진, 재무, 조직, 생산, 판매/마케팅 등 경영역량 지원을 위한 역량보다는 중소기업의 혁신역 량, 기획역량, 수행 역량을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을 다수 수행중인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중소기업의 기획역량(전략기획, 정보지원, 기술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을 다수 진행 중임

<표 5-3>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KISTI 세부사업 간 매칭결과 KISTI 세부사업

기술/시장정보 분석사업

중소기업 핵심기술정보

지원사업

중소기업 R&D

기획지원사업

중소기업 핵심기술

맞춤정보제공사업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작성사업

개별기업 로드맵 작성지원 사업

1사 1연구원 근접 지원사업

역량평가항목

경영진재무조직생산

판매/마케팅혁신주체혁신성과 ◌ ◌

혁신인프라 ◌기회발굴 ◌ ◌ ◌전략기획 ◌ ◌ ◌ ◌정보지원 ◌ ◌ ◌기술개발 ◌ ◌ ◌

상용화및사후관리 ◌

- 91 -

◯ 혁신오디트와 중소기업청 세부사업 연계방안

- KISTI가 보유한 사업역량과 진행 중인 세부사업들은 중소기업의 기획역량 및 수행역량 지원에는 적합하나, 경영역량 및 혁신역량 지원 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음

- 이를 보완하기 위해 중소기업청이 주관하는 중소기업 지원 사업과 혁신오디트 평가항목(소분류 평가항목) 간의 매칭을 수행하여, KISTI가 지원하기 어려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음

- 매칭결과, 중소기업청은 KISTI와 달리 경영역량 지원에 적합한 사업을 다수 수행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중소기업의 판매/마케팅, 생산 등의 역량강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을 다수 수행 중에 있음

◯ KISTI와 중소기업청 역량의 활용방안

- KISTI의 사업역량, 세부사업, 그리고 중소기업청의 세부사업을 혁신오디트 평가항목과 매칭한 결과, KISTI는 기획, 수행역량강화를지 원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해당사업을 활발히 진행중에 있었으며, 중소기업청의 경우 기획, 수행역량 뿐만 아니라 경영역량강화 지 원을 위한 사업을 다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두 기관의 기존 수행사업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중소기업의 경영, 혁신, 기획, 수행역량 강화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 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92 -

<표 5-4>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중소기업청 수행사업 간 매칭결과 - (1)

중소기업청 수행사업

개발기술사업화

중소기업 서비스연구개발 사업

중소기업 R&D

기획역량 혁신사업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

사업

중소기업 이전기술개

발사업

연구장비 공동이용지

원 사업

싱글PPM

품질혁신 지원

중소기업 마케팅

기반조성

마케팅정보 시스템

소기업 CEO 교육

역량평가항목

경영진 ◌재무조직생산 ◌

판매/마케팅 ◌ ◌ ◌혁신주체혁신성과

혁신인프라기회발굴 ◌ ◌전략기획 ◌ ◌정보지원기술개발 ◌ ◌ ◌ ◌ ◌

상용화및사후관리 ◌ ◌

- 93 -

<표 5-5> 혁신오디트 평가항목 - KISTI 세부사업 간 매칭결과 (2)

중소기업청 수행사업

외국전문인력 도입지원 사업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

경영정보시스템구축

지원사업공동네트워크화 지원사업

중소기업간 협업사업지원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사업아이디어 상업화

지원사업중소기업 건강관리 시스템

역량평가항목

경영진 ◌재무 ◌조직 ◌생산 ◌ ◌

판매/마케팅 ◌혁신주체 ◌ ◌ ◌혁신성과 ◌

혁신인프라 ◌기회발굴 ◌ ◌ ◌전략기획 ◌정보지원 ◌ ◌ ◌기술개발 ◌ ◌ ◌

상용화및사후관리 ◌

- 94 -

제 2절 진단 서비스 제공방안

□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

◯ R&D 혁신오디트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됨

- 사전조사

• 본격적인 진단에 앞서 혁신오디트를 수행하는 기업은 기업규모, R&D 규모, 보유 IP,

사업화역량, 산업분류 등 기업개요에 대한 간단한 설문을 수행함

• 이를 통해 혁신오디트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개선방안 을 제시하는 데 참고할 수 있음

- R&D 혁신역량 진단

•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혁신역량 진단지표 중 핵심지표를 활용하여 기업의 R&D 혁신역 량을 진단함

• 혁신역량 진단지표는 총 40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총 28개 영역에 대한 역량을 진 단함

• 혁신역량 진단총점은 500점이며, 진단결과는 총점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제 공됨

• 진단대상 기업은 진단목적에 따라 세 가지 형태의 진단리포트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진단리포트 유형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됨

① 자가진단용: 자사의 R&D 혁신역량에 대한 진단을 통해 시간에 따른 자사의 역량 수준의 변화를 체크하고, 이를 통해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한 효과 적인 혁신역량 증대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리포트 유형 ② 비교평가용: 혁신역량 진단에 참여한 타 기업과의 상대비교를 통해, 자사가 비교 우위에 있는 역량, 비교열위에 있는 역량이 어떠한 것들인지 알아보고, 비교열위 에 있는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리포트 유형 ③ 성과측정용: KISTI 사업에 참여한 기업에 대해, KISTI 사업 참여 전과 사업 후의 성과를 비교하여, KISTI 사업이 기업의 성과향상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 지 분 석하기 위한 리포트 유형

□ 혁신오디트 진단 리포트 템플릿

- 95 -

일반역량

(가중치 환산)

/80

( /200)

R&D역량

(가중치 환산)

/120

( /300)

총점

(가중치 환산)

/200

( /500)

◯ R&D 혁신역량 진단에 참여한 기업은 진단사후 서비스로서 진단결과에 대한 리포트를 제공받게 되며, 위의 세 가지 진단리포트 중, 기업의 목적에 적합한 유형의 진단 리포 트를 제공받음

◯ 진단 리포트 컨텐츠

- 진단개요 • 진단기업명, 진단담당자(전문가 or KISTI 연구원), 진단일자, 응답자(기업내), 응답자 직위, 보고서 작성일 등의 기본적인 내용과 함께 기존에 KISTI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지 유무와, 참여한 경험이 있다면 사업참여 시의 사업명에 대한 정보를 나타냄

중소기업 R&D 혁신오디트 진단 리포트진단기업명 진단담당자 진단일자

응답자 응답자 직위 보고서 작성일KISTI 사업

참여여부사업참여시

사업명

- 진단기업 개요 • 사전조사를 통해 획득한 진단대상 기업에 대한 정보를 다음과 같이 나타냄

기업규모 매출액 백만원사업화역량

사업화경험 건종업원 수 명 기술인증 건

R&D규모외부 R&D 투자액 백만원 기업인증 이노비즈 인증 ( )

벤처기업 인증 ( )내부 R&D 투자액 백만원R&D 인력규모 명

산업 분류

업종 (산업code) 업종명 (업종code)

보유 IP

총 출원특허수 개핵심제품 핵심제품명최근 2년간

출원특허수 개

- 진단결과 • 진단 총점 ① 진단결과 획득한 총점을 가중치 환산 점수 (200점 만점)와 원점수 (500점 만점)로 동시에 나타냄

• 영역별 세부 진단결과 ① 영역별 세부 진단결과는 혁신역량 진단지표를 핵심역량 지표(중분류), 세부역량 지표(소분류), 세부지표(진단지표) 레벨에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함

- 96 -

② 각 분석결과는 총점과 동일하게 가중치 환산 점수, 원점수가 동시에 제공되며, 레 이더 차트를 통해 부족한 역량이 어느 부분인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함2.2.1. 핵심역량 진단결과

일반역량

경영역량 48.9/100

(22/45)

혁신역량 71.4/100

(25/35)

R&D역량

기획역량 36.9/100

(24/65)

수행역량 50.9/100

(28/55)

③ 비교평가용 리포트의 경우, 기업의 역량진단 결과에 더하여 진단에 참여한 타 기 업의 진단결과 평균값을 함께 제시하여 상대비교가 가능하도록 함2.2.2. 세부역량 진단결과

경영역량

경영진 73.3/100 (11/15)

재무 60.0/100 (6/10)

조직 40.0/100 (2/5)

생산 40.0/100 (2/5)

판매/마케팅 10.0/100 (1/10)

혁신역량

혁신주체 80.0/100 (12/15)

혁신성과 80.0/100 (8/10)

혁신 인프라 50.0/100 (5/10)

기획역량기회 발굴 45.0/100 (9/20)

전략 기획 36.0/100 (9/25)

정보 지원 30.0/100 (6/20)

수행역량기술 개발 48.0/100 (12/25)

상용화 및 사후관리 53.3/100 (16/30)

- 취약영역 및 개선방안 • 취약영역의 경우 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결과 를 제시함 • 기본적으로 세부역량 수준에서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취약영역을 도출하며, 점수가 낮은 영역을 대상으로 다지선다형 응답에서 선택되지 못한 항목을 집중적으로 서술

- 97 -

3-1. 취약영역

경영역량

조직①

생산①

판매/마케팅①

기획역량기회발굴

정보지원①

수행역량 기술개발①

• 개선방안의 경우, 취약영역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KISTI, 중소기 업청 지원사업과의 연계방안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취약영역 개선을 위해 실질적으로 어떠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3-2. 개선방안 (KISTI 지원사업에 대한 내용까지 포함)

경영역량

조직①

생산①

판매/마케팅①

기획역량기회발굴

정보지원①

수행역량 기술개발①

- 98 -

- R&D 혁신역량 History • R&D 혁신역량 histroy는 과거 혁신역량 진단 측정 histroy가 있을 경우 과거 점수 대 비 역량 상승 내역 정보를 제공함

역량 강화 내역진단 일시 총점 일반 R&D

2012. 03. 01. 95/200

2012. 09. 11. 99/200 42/80 57/120

- 성과측정 결과 • 성과측정 결과에 대한 부분은 성과측정용 진단 리포트에만 제공되는 컨텐츠로, 진단 대상 기업이 KISTI 지원사업에 참여하였을 경우, KISTI 지원사업 참여 전과 참여 후 의 역량을 비교하고, 강화된 역량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나타냄 KISTI 지원사업 수행 전후 성과 (성과향상 부분을 중심으로 서술)

- 99 -

제 3절 Pilot test 수행결과

1. R&D 혁신오디트 pilot test

가. Pilot test 개요

□ 목적

◯ 본 연구가 제안하는 R&D 혁신역량 진단체계를 활용한 혁신오디트를 실제 중소기업에 적용시켜 보고, 개선점을 찾기 위함

□ 대상기업 사전조사

◯ 국내 중소기업 5개사를 대상으로 pilot test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기업에 대한 사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5-6> Pilot test 대상기업 사전조사 결과기업A 기업B 기업C 기업D 기업E

매출액(백만원) 470 210,000 16,857 4,000 22,000

종업원 수(명) 15 280 32 23 30

R&D 투자액(백만원)

외부 200 600 3,500 - 1,000

내부 50 3,300 200 334 -

R&D 인력규모(명) 5 36 7 13 14

보유IP(건)누적 4 12 10 7 11

최근2년간 1 4 2 5 2

사업화경험(건) 3 50 2 7 4

기술인증(건) 0 5 1 0 4

기업인증(건)이노비즈 0 1 1 1 1

벤처 1 0 0 1 1

산업code 22 20 26 26 26

주요제품 산업용소재 합성수지류 인쇄회로기판건강장신구

통신부품(안테나)

주문형반도체임베디드시스템

※ 산업code별 산업명: ① 2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② 22: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③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나. Pilot test 수행결과

□ 요약

- 100 -

기업 A 기업 B 기업 C 기업 D 기업 E 평균경영진 73.33 80.00 93.33 93.33 86.67 85.33

재무 60.00 70.00 70.00 100.00 70.00 74.00

조직 40.00 60.00 60.00 100.00 60.00 64.00

생산 40.00 100.00 80.00 100.00 40.00 72.00

판매/마케팅 10.00 70.00 40.00 60.00 60.00 48.00

혁신주체 80.00 80.00 86.67 100.00 73.33 84.00

혁신성과 80.00 70.00 90.00 90.00 60.00 78.00

혁신 인프라 50.00 50.00 60.00 80.00 60.00 60.00

기회 발굴 45.00 70.00 55.00 75.00 60.00 61.00

전략 기획 36.00 48.00 60.00 76.00 60.00 56.00

정보 지원 30.00 70.00 45.00 65.00 60.00 54.00

기술 개발 48.00 60.00 68.00 80.00 48.00 60.80

상용화 및 사후관리

53.33 76.67 63.33 86.67 60.00 68.00

◯ Pilot test 결과를 R&D 혁신역량 진단지표 중분류, 소분류, 진단기준 레벨에서 차례로 분석하였음

◯ 중분류 레벨에서의 분석결과, 기업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기는 하나, 다섯 개 기업 모두 전반적으로 경영 역량, 혁신 역량에 비해 기획 역량, 수행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증대를 위해서는, 기획 역량 및 수행 역량에 대한 지원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표 5-7> Pilot test 결과 (핵심역량; 중분류)

기업 A 기업 B 기업 C 기업 D 기업 E 평균경영 역량 48.89 75.56 71.11 88.89 68.89 70.67

혁신 역량 71.43 68.57 80.00 91.43 65.71 75.43

기획 역량 36.92 61.54 53.85 72.31 60.00 56.92

수행 역량 50.91 69.09 65.45 83.64 54.55 64.73

◯ 소분류 레벨에서의 분석결과, 다섯 개 기업은 기획 역량, 수행 역량 중 특히 정보 지원, 기술 개발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 역량 중 판매/마케팅 역량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전략 기획 지원, 혁신을 위한 정보 지원 (정보제공, 정보분석 서비스 등), 판 매 및 마케팅에 대한 지원이 혁신역량 증대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표 5-8> Pilot test 결과 (세부역량; 소분류)

- 101 -

기업 A 기업 B 기업 C 기업 D 기업 E 평균혁신 리더십 60.00 80.00 100.00 90.00 90.00 84.00

전문성 100.00 80.00 80.00 100.00 80.00 88.00

매출 60.00 70.00 70.00 100.00 70.00 74.00

교육 훈련 40.00 60.00 60.00 100.00 60.00 64.00

생산 관리 40.00 100.00 80.00 100.00 40.00 72.00

마케팅 관리 20.00 80.00 40.00 60.00 60.00 52.00

판로 관리 0.00 60.00 40.00 60.00 60.00 44.00

일반 종업원 80.00 80.00 80.00 100.00 60.00 80.00

R&D 인력 80.00 80.00 90.00 100.00 80.00 86.00

보유 성과 80.00 70.00 90.00 90.00 60.00 78.00

지원 체계 50.00 50.00 60.00 80.00 60.00 60.00

환경 분석 40.00 90.00 40.00 80.00 70.00 64.00

역량 분석 60.00 40.00 80.00 60.00 60.00 60.00

변화 관리 40.00 60.00 60.00 80.00 40.00 56.00

전략 초점 60.00 60.00 80.00 80.00 53.33 66.67

주요 기법 0.00 10.00 10.00 30.00 30.00 16.00

기법 0.00 40.00 40.00 80.00 80.00 48.00

수집 60.00 80.00 80.00 80.00 80.00 76.00

분석 20.00 60.00 40.00 60.00 60.00 48.00

활용 20.00 100.00 40.00 60.00 40.00 52.00

공유 10.00 20.00 10.00 30.00 30.00 20.00

프로 세스 50.00 50.00 60.00 70.00 40.00 54.00

기술 협력 60.00 70.00 90.00 90.00 60.00 74.00

장비 확보 20.00 60.00 40.00 80.00 40.00 48.00

공급 관리 20.00 80.00 60.00 80.00 40.00 56.00

사업화 40.00 70.00 50.00 80.00 60.00 60.00

활용도 60.00 80.00 70.00 90.00 70.00 74.00

성과관리 100.00 80.00 80.00 100.00 60.00 84.00

◯ 마지막으로 진단기준 레벨에서의 분석결과, 다섯 개 기업은 마케팅 관리, 판로 관리, 주 요 기법, 기법, 분석, 활용, 공유 등의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중소기업이 마케팅, 판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략 기획 시 활용 다양 한 기법을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의미함

- 또한, 혁신을 위한 정보수집은 상대적으로 잘 하고 있으나, 해당 정보에 대한 분석, 활용, 공유 측면에서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것을 의미함

-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증대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표 5-9> Pilot test 결과 (세부지표)

다. 진단서비스 제공결과 예시

◯ 진단서비스 제공결과는 pilot test를 수행한 5개 중소기업 중, 기업 A에 대한 결과를 예 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자체진단용 템플릿)

- 102 -

일반역량

(가중치 환산)

47/80

(117.5/200)

R&D역량

(가중치 환산)

52/120

(130/300)

총점

(가중치 환산)

99/200

(247.5/500)

중소기업 R&D 혁신오디트 진단 리포트진단기업명 기업A 진단담당자 - 진단일자 2012. 09. 14

응답자 - 응답자 직위 - 보고서 작성일 2012. 09. 25

KISTI 사업 참여여부 X

사업참여시

사업명-

1. 진단기업 개요기업규모 매출액 470백만원

사업화역량

사업화경험 3건종업원 수 15명 기술인증 0건

R&D규모외부 R&D 투자액 200백만원 기업인증 이노비즈 인증 ( )

벤처기업 인증 (O)내부 R&D 투자액 50백만원R&D 인력규모 5명

산업 분류업종 (산업code)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조업 (22)

보유 IP

총 출원특허수 4개

핵심제품 산업용소재최근 2년간 출원특허수 1개

2. 진단결과2.1. 진단 총점

2.2. 영역별 세부 진단결과 2.2.1. 핵심역량 진단결과

일반역량

경영역량 48.9/100

(22/45)

혁신역량 71.4/100

(25/35)

R&D역량

기획역량 36.9/100

(24/65)

수행역량 50.9/100

(28/55)

- 103 -

2.2.2. 세부역량 진단결과

경영역량

경영진 73.3/100 (11/15)

재무 60.0/100 (6/10)

조직 40.0/100 (2/5)

생산 40.0/100 (2/5)

판매/마케팅 10.0/100 (1/10)

혁신역량

혁신주체 80.0/100 (12/15)

혁신성과 80.0/100 (8/10)

혁신 인프라 50.0/100 (5/10)

기획역량

기회 발굴 45.0/100 (9/20)

전략 기획 36.0/100 (9/25)

정보 지원 30.0/100 (6/20)

수행역량

기술 개발 48.0/100 (12/25)

상용화 및 사후관리 53.3/100 (16/30)

2.2.3. 세부지표 진단결과

경영역량

경영진 혁신 리더십 60.0/100 (6/10)

전문성 100/100 (5/5)

재무 매출 60.0/100 (6/10)

조직 교육 훈련 40.0/100 (2/5)

생산 생산 관리 40.0/100 (2/5)

판매/마케팅 마케팅 관리 20.0/100 (1/5)

판로 관리 0.0/100 (0/5)

혁신역량

혁신주체 일반 종업원 80.0/100 (4/5)

R&D 인력 80.0/100 (8/10)

혁신성과 보유 성과 80.0/100 (8/10)

혁신 인프라 지원 체계 50.0/100 (5/10)

기획역량

기회 발굴환경 분석 40.0/100 (4/10)

역량 분석 60.0/100 (3/5)

변화 관리 40.0/100 (2/5)

전략 기획 전략 초점 60.0/100 (9/15)

주요 기법 0.0/100 (0/15)

정보 지원수집 60.0/100 (3/5)

분석 20.0/100 (1/5)

활용 20.0/100 (1/5)

공유 10.0/100 (1/10)

수행역량

기술 개발프로세스 50.0/100 (5/10)

기술 협력 60.0/100 (6/10)

장비 확보 20.0/100 (1/5)

상용화 및 사후관리

공급 관리 20.0/100 (1/5)

사업화 40.0/100 (4/10)

활용도 60.0/100 (6/10)

성과관리 100.0/100 (10/10)

- 104 -

3. 취약영역 및 개선방안

3-1. 취약영역

경영역량조직 직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이 미비함생산 생산계획 및 생산프로세스 운영, 실적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판매/마케팅 마케팅, 영업, 판로확보를 위한 역량이 절대 부족함

기획역량기회발굴 시장환경, 기술환경에 대한 분석 및 대응이 미흡함정보지원 혁신을 위해 수집한 정보의 분석, 활용,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수행역량 기술개발 연구개발, 시제품 생산에 요구되는 장비확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

3-2. 개선방안

경영역량

조직 ① 직원에 대한 상시교육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을 구축② 직원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생산

① 생산계획, 생산프로세스 운영, 실적관리 간의 효과적인 연동체계 구축

② 생산계획, 프로세스 운영, 실적관리를 위한 관리 체계 구축③ 중소기업청 ‘싱글PPM품질혁신 지원’과 같은 사업을 통해

생산분야 전반에 걸친 역량강화가 가용할 것으로 보임

판매/마케팅

① 마케팅, 영업, 판로확보를 위한 외부주체와의 협력관계 구축

② 판매 및 마케팅 부서 직원에 대한 집중교육 ③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 사업’,

‘중소기업 마케팅 기반조성’, ‘마케팅정보 시스템 구축사업’ 등을 통해 판매 및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이 유효함

기획역량

기회발굴

① 시장환경, 기술환경에 대한 다양한 분석기법을 도입②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시장 및 기술에 대한 분석을

상시 수행하고, 그에 대한 대응체계를 수립③ KISTI에서 주관하는 ‘중소기업 R&D기획지원 사업’,

‘기술/시장정보 분석사업’,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R&D

기획역량 혁신사업’ 등의 사업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함

정보지원

① 다양한 정보분석 기법의 도입을 통한 정보분석 역량 확보② 정보분석 결과를 조직구성원 모두가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③ KISTI의 ‘중소기업 핵심기술정보 지원사업’, ‘중소기업

핵심기술 맞춤정보제공사업’ 등 정보관련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가능함

수행역량 기술개발

① 연구개발, 시제품 생산에 필요한 장비확보를 위한 전담팀 또는 전담부서를 구성

② 장비를 적시에 확보하기 위한 협력업체 확보③ KISTI의 혁신인프라 (슈퍼컴퓨팅, 정보인프라)를

기술개발에 활용

- 105 -

제 6장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개발

제 1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1. 필요성

○ 최근 몇 년간 기업경영의 가장 큰 화두는 글로벌화였으며, 글로벌화는 국내 중소기업들에게 다양한 기회와 도전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이 매우 중요함

- 자사의 기술력을 널리 마케팅하고 다른 기업들과 함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면 성장에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혁신을 추구하지 않는 중소기업들은 빠르게 도태될 수 있음

- 글로벌화의 영향력은 전적으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에 달려있으며, 국내 중소기업들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함

○ 중소기업들의 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장기 기획과 사업과 기술의 연계 역량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역량이 부족하거나 소홀히 여기고 있음

- 미래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R&D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미래 목표와 체계적인 기술개발 단계를 제시하는 이정표가 필요하므로, 중소기업에 있어서도 중장기 기술 기획은 성장을 위한 필요조건이 되고 있음

- 많은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 자체에만 집중하고 기획단계를 소홀하여 기술개발이 성공한 이후에도 시장에서 사업화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R&D 기획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이 뛰어난 글로벌 강소 기업들의 R&D 투자 규모는 대기업에 비해 매우 낮지만 대규모 혁신을 통한 R&D 효율성 면에서는 대기업을 압도하듯, 한정된 R&D 자원으로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R&D 투자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음

○ 미래기획 도구이자 기술기획 도구인 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에게 필요한 조건들을 지원하고 혁신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함

- 106 -

- 기술로드맵은 기업의 비전과 목표를 바탕으로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기술기획과 사업기획을 연계하며, 효율적인 R&D 투자의사결정에 유용한 도구로 알려져 있음(Kostoff and Schaller, 2011)

- 혁신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 외에도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이 점점 증가하고 중소기업이 기술발전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재의 환경을 고려할 때, 차세대 제품 및 기술기획을 위해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시장전망과 기술예측을 포함하는 기술로드맵 활용이 중소기업에게 가져다 줄 혜택은 기대가치가 높음

2. 기존연구

가. 국내

(1) KISTI (2012)

□ 기술로드맵 지원 분야 및 대상

○ 지원 대상

- 신규과제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 업그레이드 과제 : 2010년도 로드맵사업을 지원받은 중소기업

○ 지원 분야

- 미래 차세대 제품 및 기술개발에 대한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자 하는 중소기업• 신 성장분야 전략기술분야인 녹색기술, 첨단·융합, 고부가 서비스, 제조기반기술 부

문에 속한 세부 산업분야를 중점지원 (<표 6-1> 참고)

<표 6-1> 기술로드맵 지원 분야구분 분야

녹색기술 (9)풍력, 태양전지·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바이오매스에너지, 차세대조명·LED, 그린IT,

고효율 이차전지, 친환경생산·신소재, 폐기물자원·에너지첨단·융합 (5) IT융합,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바이오, 고부가 식품

고부가 서비스 (1) 콘텐츠·소프트웨어제조기반기술 (2) 6대 제조기반기술(금형, 주조,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소성가공), 화학소재공정

- 지원제외대상• 숙박 및 음식점, 부동산업 및 임대업, 오락업 및 문화업, 공공, 수리 및 기타서비스업

- 107 -

• 업그레이드 과제 : 2010년 로드맵사업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행

□ 기술로드맵 개별기업 지원사업 배경 및 목적

○ 중소기업의 R&D 초기기획의 체계적 접근 및 전략적 기술개발계획 수립을 통한 R&D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수행

- 개별기업의 R&D 역량진단 및 시장·환경 분석을 통하여 제품·요소기술을 도출하고 향후 3~5년의 중장기 기술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수립

- 중소기업의 R&D 기획단계의 체계적 지원을 통한 R&D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위해 2008년도부터 도입된 사업으로, 이후 4년간 146개의 중소기업 R&D 로드맵을 작성·제공하여 기술개발 및 기술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등의 중소기업의 자체 R&D 전략수립에 많은 도움을 주고자 수행

□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환경 분석

- 외부환경 분석• 수요요인, 환경요인, 기술요인 각각에 대해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을 도출 (시장 측면 에서)

- 외부환경 분석• 국내외 특허동향분석 (특허출원 동향분석, 출원인 분석)

• 국내외 핵심특허 분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행기술의 존재여부를 검토

- 내부역량분석• 기업이 보유한 역량 중 강점부문과 약점부문에 대해 분석을 수행• 기술개발 능력, 제품 생산능력, 마케팅 및 판매 채널, 재무구조, 자금조달 능력, 기타 (기반시설, 물류 등) 에 대해 분석

○ 제품 분석

- 전략제품 후보군 도출• 외부환경분석 및 내부역량분석 결과에 따라 향후 개발해야 할 전략제품 후보군을 도출

- 108 -

• 분석결과 도출되었던 수요, (환경), 기술, 내부역량 측면에서의 저해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장니즈를 후보군 도출에 반영

- 포트폴리오 분석 및 전략제품 선정• 전략제품 후보군에 대해 기술성(기술 시급성, 기술 파급성), 시장성(시장 수요, 시장 성장성), 기업적합성(자원투입 및 개발기간, 전략적 부합도) 측면에서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

•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에 따라 전략제품을 선정 (필요시 전문가 및 기업담당자와 협 의)

- 전략제품 니즈분석• 선정된 전략제품에 대한 니즈분석을 수행 (기술적 측면)

○ 시장 분석

- 시장 개요• 국내외 시장동향 및 관련정책, 규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

- 시장 특징 및 구조 파악• 산업 특성, 관련 정책동향, 수요 및 공급 특성 등에 대해 분석• Porter's five force model을 활용하여 시장의 구조를 분석

- 시장현황 및 전망 분석• 국내외 시장 규모를 분석• 국내외 관련업체의 동향 및 제품동향을 분석• 국내외 시장규모, 관련정책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장 전망을 분석

○ 기술 분석

- 요소기술 분석• 전략제품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세부요소기술까지 분석

하고, 각 기술의 확보 여부를 분석 (확보, 부분적 확보, 미확보)

- 기술 트렌드 분석• 전략제품 관련기술(2단계 기술)의 동향을 분석 (기술개발현황, 특허분석 등)

- 핵심요소기술 선정• 세부요소기술 (요소기술 분석의 최하위단계)을 대상으로 사업전략과의 연계성, 기술

파급효과, 기술기여도, time-to-market의 네 가지 지표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고 (3점

- 109 -

척도),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핵심기술을 선정

- 기술수준 분석• 선정된 핵심기술에 대해 현재 기업의 기술수준을 분석 (100점 만점)• 경쟁사(선도기업)과의 상대수준 비교를 수행하여 경쟁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

- R&D 목표설정• 향후 5년간 핵심기술별 연구개발의 목표(기술목표)를 설정

○ 로드맵 전개 및 경영자원 확보 계획 수립

- 로드맵 전개 프로세스• 전체적인 로드맵 전개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세부 단계별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

- 시장/제품/기술 로드맵• 거시적인 시장 트렌드와 세부 니즈 및 목표시장의 시간대별 변화를 도시

- 제품/기술 로드맵• 시간대별 목표시장에 출시할 전략제품, 필요 핵심요소기술, 기업 차원의 R&D 개발

계획을 함께 도시

○ R&D 기업전략 지원

- 도출된 통합로드맵을 기준으로 가장 핵심적인 기술개발과제에 대한 과제정의서(RFP)

를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업 계획 작성

- 설비투자계획/기술확보계획/제품개발계획: 제시된 기술로드맵의 시간대별 전략제품 및 확보대상기술 정보를 바탕으로 기업의 R&D 전략 수립 및 세부 자원투입계획 수립을 지원

(2) STEMI (2012)

□ 로드맵 정의

○ 로드맵범위작성

- 기술로드맵의 필요성과 목적, 범위, 제약조건 작성• 필요성 및 목적에는 기업 미래의 비전과 부합하는 프로젝트의 분명한 목표를 설정• 작성범위는 로드맵 개발 대상분야(사업부/프로젝트)를 명시하고 개발대상분야의 구

- 110 -

축기간을 설정함• 로드맵 작성에 필요한 조직, 인력, 예산 등의 제약조건을 명시

○ 로드맵구조와 접근법 설계

- 기술로드맵 작성과 관련된 로드맵 작성유형의 선택, 로드맵 개발프로세스, 조직구조, 의사소통방법, 일정, 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 로드맵 구축을 위한 전략, 프로세스, 조직, 방법/체계, 문화에 대한 진단을 실시함• 진단결과를 토대로 로드맵 작성목적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로드맵 유형을 선택함• 로드맵 작성프로세스를 설계함• 로드맵 작성 시 관련 조직의 작업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방법에 대 하여 기술함

• 로드맵 작성과 관련된 일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기록함• 로드맵 작성과 관련된 비용(직, 간접비)을 비목별로 산정하여 계상함

○ 로드맵 계획 검토 승인

- 로드맵작성과 관련된 범위 구조 접근법 일정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주요활동 등의 누락 여부를 확인하고 일정별 지원필요성 등을 검토함• 로드맵작성 범위가 명확한지 검토• 로드맵작성 일정 및 소요예산 등은 타당한가를 검토• 단계별로 검토회의 시점을 체크하여 검토회의 참석예정자의 일정과 연계• 주요 업무사항의 누락 여부를 확인

○ 로드맵작성 계획표 작성

- 로드맵작성 일정계획에 따른 업무진척도를 기입하기 위한 일정관리 file을 만들고 로 드맵 작성 참여자에게 일정을 관리토록 하기 위해 자료를 배포• 주관부서는 검토 승인한 로드맵작성 일정계획을 바탕으로 일정관리 file 작성•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 update 되는 순서를 반드시 기재• 일정계획을 통지할 필요가 있는 참여자/부서 등에 배부

○ 핵심추진팀 구성

- 후보자의 능력 특성을 고려하여 로드맵 개발에 적절한 인력을 선임• 핵심추진팀 후보자 listup --> 후보 조정회의(심사 및 결정) --> 선정 및 통지

- 111 -

□ 필수조건검토

○ 성공적인 로드맵 작성을 위한 필수조건을 확인하고 이 조건들이 어느정도까지 충족되어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위가 누구에 의해 어디까지 진행되어 있는지를 점검

- 로드맵 작성 단계별로 일정에 의하여 정확하게 점검하고 체크• 일정보다 지연된 경우 담당부서에 통보하고 신속한 해결을 요구• 조치사항에 대해 명확히 기록

□ 실무그룹 구성

○ 후보자의 능력 특성을 고려하여 로드맵 작성을 주도할 적절한 인력을 선임

□ Step 1: 환경분석 및 전략수립

○ 기업의 내 외부 환경분석을 통해 현재 산업 시장에서의 강, 약점 및 기회, 위협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업군 도출 및 전략을 수립

○ 외부환경분석 (Activity 1)

- 자사의 사업과 관련된 사회경향 및 산업동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외부환경이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자사관점의 기회 및 위협요인

을 도출함•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 사업군을 도출• 도출된 기회요인과 자사 사업군(현재 및 미래)과의 관련성을 평가함

○ 내부환경분석 (Activity 2)

- 자사가 보유한 내부역량 분석과 진출하고자 하는 미래 사업군 또는 현재 사업군별 매력도를 평가• 경쟁사(현재 및 미래)와 대비한 지식-기술기반 능력, 필요자원 획득능력, 일반관리능력을 평가함

• 현재 및 미래 사업군에 대한 시장규모, 성장성, 경쟁강도,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매력도를 평가 (개별적으로)

• 평가항목별 평가기준은 과거 일정 기간동안 자사의 신규사업개발사업의 평가기준을 적용하며, 자사 평가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경쟁사 또는 TFT 컨센서스를 통해 결정 (<표 6-2> 참조)

- 112 -

<표 6-2> 내부환경 평가항목 및 방법평가항목 평가방법

지식-기술 기반능력 경쟁사와 대비한 디자인, 연구개발, 마케팅능력, 생산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일반관리 능력 조직의 효율성 및 경영활동 능력을 평가예상되는 시장지분 사업화가 실현되었을 경우 예상되는 시장점유율을 산정

전략적 정합성(현 사업군) 중장기 전략 또는 연구개발 전략과의 정합성사업 연계성(미래 사업군)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군과의 연계성

○ 핵심사업군 도출 (Activity 3)

-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기회요인과 관련성이 높고 시장 매력도 및 경쟁력이 가장 높은 사업군(현재 및 미래)을 도출• 내부환경분석 결과 산출한 내부역량(X축), 시장매력도(Y축)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 매트릭스를 작성 (외부환경분석에서 산출한 사업관련성 점수를 표시)

• 핵심사업군 도출을 위한 내부역량 및 매력도 기준점 설정(동종 산업 평균치, 자사 기준, 로드맵 개발 참가자 의견 활용)

○ 비전 목표 전략 수립 (Activity 4)

- 사업군별 동향 및 매력도, 자사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전과 목표를 설정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함• 기업의 경쟁력, 시장환경 등을 검토해 강점은 살리면서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하고 시장의 기회요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전략을 어떻게 취할 것인가를 검토하여 기업비전 및 전략을 수립

□ Step 2: 주력핵심 제품 도출

○ 미래제품도출 (Activity 1)

- 기술로드맵 전개를 위한 최종 핵심제품을 도출하기 위해 선정된 핵심 사업군에서 현재 개발이 완료되었거나 개발 중인 제품 이외에 향후 진출 가능한 제품군을 추가적으로 도출• 서로 다른 사업의 기술 원리와 아이디어 응용하여 도출• 기업 내 엔지니어, 생산부서 직원, 영업사원들의 요구사항과 제안내용, 임원들의 브레인 스토밍 등을 통해 도출

• 고객 의견(Voice of customer; VOC), 연구소, 협회, 단체, 전시회 등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도출하거나 국내외 경쟁사의 제품분석을 통해 도출

- 113 -

• 유통업자, 판매업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도출

○ 시장매력도 평가 (Activity 2)

- 선정된 핵심 사업군에서 진출 가능한 제품에 대한 시장매력도를 평가• 시장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현 제품군과,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미래 제품군을 직접적으로 비교 평가할 경우 미래 제품군의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평가절하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 제품군과 미래 제품군을 개별적으로 평가

• 현 제품군 평가항목: 시장성장률, 시장규모(상대적), 경쟁강도(신규기업 진입위협, 공급업체와 구매처의 힘, 대체품의 위협) - 5점 척도

• 미래 제품군 평가항목: 판매 이익 가능성, 시장의 성장가능성, 경쟁상황, 시장세분화에 따른 위험 분산 정도, 해당 사업에 대한 사회적 지원

○ 내부역량 및 적합도 평가 (Activity 3)

- 경쟁사 대비 자사의 내부역량 평가 및 전략적 정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기술로드맵 전개를 위한 핵심제품을 도출• 현 제품군 및 미래 제품군의 주요 경쟁사를 파악하되, 시장이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관련 시장에 진출가능한 잠재적 경쟁사를 기입

• 현 제품군 평가항목: 주요 경쟁사 대비 기술력, 마케팅력, 생산력 및 전략적 중요도 - 5점 척도

• 미래 제품군 평가항목: 자금 동원력, 마케팅력과의 정합성, 생산, 운영의 적합성, 기술 및 제품 기획력의 적합성, 원자재 확보 및 정보 수집 능력, 경영전략과의 정합성

○ 로드맵작성대상 핵심제품군도출 (Activity 4)

- 기업이 신제품 개발 또는 신기술 개발전략을 수립할 경우 성장분야의 시장매력도 및 내부역량 관점의 제품 적합도에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함• 미래제품도출, 시장매력도 평가를 통해 산출된 시장매력도(Y축) 및 제품 적합도(X

축)을 두 축으로 하여 PPM(Project Portfolio Management) 작성 □ Step 3: 핵심구성요소 선정

○ 미래 발전 시나리오 작성 (Activity 1)

- 도출된 핵심 제품의 미래 발전시나리오 작성을 통한 제품 발전의 컨셉화 및 단계별 제품 컨셉의 구체화• 핵심제품에 대한 발전단계별 컨셉 및 목표사양의 구체적 표현

- 114 -

• 핵심제품의 유형 및 응용시장 분류에 따른 컨셉화

○ 고객니즈 분석 (Activity 2)

- 핵심 제품에 대한 고객을 세분화하고 해당 고객의 니즈 및 불만사항을 파악• 고객니즈 조사방법(기술로드맵의 품질을 결정): 설문조사, 개별면담, 계획된 실험 등의 다양한 방법

• 고객세분화 방법: 지리적, 인구통계적, 심리적, 행동적 변수를 활용 (성공적인 고객 세분화를 위해서는 변수가 측정가능하고, 시장규모가 충분히 커야함)

○ 제품구성 및 기능전개 (Activity 3)

-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성을 도출하고 개발하고자하는 신제품의 제품구성요소 및 기능을 전개함으로써 고객니즈와 기술적 과제를 연결시키는 기술연계성 분석의 기초자료를 작성함• 고객의 니즈와 불만족 사항을 공통 특성으로 범주화하여, 고객의 요구속성을 도출한 뒤 제품 속성별 중요도를 평가

• 고객의 니즈 도출은 마케팅, 영업, 연구개발 부서 실무자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선발

• 도출된 고객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응 기능 및 기술을 전개•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구성요소 및 기능을 세분화하여 전개함• 제품의 구성요소는 기본구성요소에서 세부 구성요소로 전개하며, 기능전개 역시 기본 기능에서 세부기능으로 전개함

○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Activity 4)

-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과제를 도출하고 구성요소별 중요도를 분석함 으로써 핵심구성요소를 선정• 1단계 품질기능전개: 세로축에 activity 1, 3에서 도출한 제품기능을 기재하고, 가로축에 activity 3에서 작성한 제품기능을 기재 (고객 요구사항의 상대적 중요는 고객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의미)

• 2단계 품질기능전개: Activity 1에서 도출한 제품기능, 제품구성요소를 각각 세로축,

가로축에 기재하고 우선순위를 도출

○ 핵심구성요소 선정 및 기술성능 목표설정 (Activity 5)

- 관련제품의 단계별 제품컨셉을 설정하고 핵심구성요소별 기술성능 목표를 수립함- 핵심구성요소별 기술성능 목표는 요소기술 전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115 -

• 관련제품의 컨셉을 설정하고 고객의 니즈 충족과 관련성이 높은 핵심 구성요소를 선정함 (step3-activity 4의 2단계 품질기능전개 결과 활용)

• 관련 제품의 컨셉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별 기술성능 목표를 단계별로 설정

□ Step 4: 핵심기술선정 및 기술로드맵 전개

○ 핵심구성요소별 요소기술전개 (Activity 1)

- 기술로드맵 전개를 위한 핵심제품과 관련된 핵심구성요소별 요소기술을 전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기술을 평가 및 선정• Step 3에서 도출한 핵심구성요소를 대상으로 요소기술을 전개• 요소기술전개는 level 1~level 3 등으로 세분화하여 전개하되, TFT 전원의 충분한 consensus를 통해 기술수준의 충분한 break down이 필요함

• 최소 단위로 전개된 기술에 대해서는 자사의 확보정도를 평가함

○ 핵심기술 평가 및 선정 (Activity 2)

- 기술로드맵 전개를 위한 핵심기술 선정을 위해 도출된 요소기술을 평가• 핵심기술 선정을 위한 criteria를 선정: 전략과의 연계성, 경제적 파급효과, 개발비용,

리스크, 기술파급효과, time-to-market, 시너지 효과, 기술차별성, 내부역량, 개발기간 등

• 선정된 criteria에 대해 TFT 전원의 consensus를 거쳐 주요 criteria를 선정하고, AHP

를 활용하여 weight를 산출

○ 경쟁사 기술 gap분석 (Activity 3)

- 핵심기술별 경쟁사와의 gap분석을 통해 자사의 현재 기술수준과 미래 기술수준(기술로드맵 대상기간)을 명확히 함• 핵심기술별 경쟁사를 규명함 (관련기술을 catch-up 또는 benchmarking하는 경쟁사를 대상으로)

• 핵심기술별 현재 수준에 대한 gap을 분석하고, 기술목표를 고려한 미래의 gap수준을 설정

• 경쟁사의 현재 기술수준을 100으로 놓고 자사의 현재 기술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 (미래의 기술수준도 동일하게 평가)

○ 기술확보전략 수립 (Activity 4)

- 선정된 핵심기술의 전략적 중요도 및 기술적 친밀도를 평가하여 기술전략(확보방안)

- 116 -

의 방향성을 수립• 핵심기술별 전략적 중요도를 평가• 전략적 중요도 및 기술적 친밀도는 5점, 3점, 1점으로 평가하고, 핵심기술선정 단계에서 해당 항목이 criterion으로 활용된 경우 해당 평가값을 적용

○ 기술 목표설정 및 확보방안 (Activity 5)

- 핵심기술별 확보해야 할 기술목표를 설정

- 핵심기술별 설정된 기술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모색• 핵심기술별 목표설정을 위해 해당 기술의 KPI(Key Performance Index)를 정량적으로 산출

• 핵심기술별 기술개발방향(자체/외부)는 step 4 - activity 4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작성하되, 기업의 자원현황 및 필요기술수준을 고려하여 작성함

• 기술확보방안은 기술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투입자원(인력, 비용), 기술개발 방법, 개발기간, 담당자 등을 명확히 함

• 기술목표달성 후의 역량수준의 변화를 기재 - 5점척도

○ PRM / TRM 전개 (Activity 6)

- 핵심제품 및 핵심기술선정, 기술목표 및 확보방안, 필요자원 등에 대한 분석이 완료 된 후 자사가 개발해야 할 핵심제품과 각 제품별 핵심기술을 단계별 로드맵으로 전 개함• 연구개발 방향은 환경분석 및 미래 발전시나리오 결과를 토대로 단계별 제품개발 목표 및 방향성을 기입

• 제품 부분은 step 3 - activity 1, 2(미래 발전시나리오 및 고객니즈 분석) 와 step 3

- activity 5(핵심구성요소 선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제품의 목표 spec을 도식화• 핵심 기술 부분은 도출된 핵심기술을 기입하고 단계별 기술목표 spec을 도식화하며(step 4 - activity 5 참조), 기술 확보방안 및 전략적 중요도, 기술 관련성 등을 표기

○ 로드맵 보고서 작성 (Activity 7)

- 로드맵 작업 결과물을 취합하여 하나의 종합적인 보고서로 통합함

나. 국외

(1) 영국 Cambridge T-Plan (2002)

- 117 -

□ 기술로드맵 작성 배경 및 목적

○ 작성 배경

- 1999년 CTM(The Center for Technology Management)의 설문조사 응답에 따르면 기술로드맵 작성의 어려움으로 간주되는 요소는 다음과 같음• 첫째, 기술로드맵 프로세스에 현재진행 상황이 즉각 반영되지 못함• 둘째, 기술로드맵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것이 쉽지 않음• 셋째, 외부의 상황에 구애받지 않는 기술로드맵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어려움

- Fast-start-up으로 대변되는 T-Plan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짐• 기업특성에 따른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의 개발 지원• 기술자원과 사업동인 간 연계 수단 수립• 시장, 제품 그리고 기술 사이에 존재하는 주요 gap 도출 • 기술로드맵의 범위 정의• 기업의 기술전략 수립 및 기획 지원• 기업의 기술부서, 경영부서 간 의사소통 지원

□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전체 프로세스

- 표준 T-plan 프로세스는 반나절 워크샵을 기본으로 함 (four half-day workshops)

(<그림 6-1> 참고)

• 전체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네 개의 워크샵이 각각 반나절 만큼의 시간을 필요로 함 • 네 개의 모듈은 기업 특성에 따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함

<그림 6-1>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118 -

- 각 워크샵은 기술로드맵의 세 가지 핵심 레이어(layer)에 대해 다루며, 각각 시장환경과 목적, 제품/서비스 제공, 기술로드맵 작성의 순서를 따름

○ 세부 프로세스

- Workshop 1: Market

• 기술로드맵을 구축하기 위한 첫 번째 워크숍 단계에서, 워크숍 구성원들은 핵심이 되는 외부 시장동인(External Market drivers)과 내부 시장동인(Internal Market

drivers)을 파악하기위해 기술로드맵의 Market Layer에 집중하게 됨• 시장동인은 제품/서비스를 개발해야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그 제품/서비스 주요 특징들의 우선순위를 정립하는데 활용되며(workshop 2), 더불어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기술분석에도 활용됨(workshop 3)

• 목표① Key technology management concept 과 roadmapping approach를 확립한다.

② 참가자에게 fast start roadmapping process인 T-plan을 소개한다.

③ T-plan에 착수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업 목표를 확정한다.

④ Product performance dimensions를 확립한다.

⑤ Key segment를 위한 외부 시장동인과 내부 시장동인의 우선순위를 정립한다.

⑥ 강점, 약점, 기회, 위기의 측면에서 기업의 현재 포지션을 파악한다.

⑦ 차후 진행을 위한 knowledge gaps를 파악한다.

• Step 1: Introduction

① 핵심기술관리 방향, 기술 자원들의 위치, 효율적인 기술관리 프로세스의 중요성 등을 소개하며, 또한 기술로드맵의 일반적 목표를 포함한 T-Plan 프로세스의 구조와 범위를 설명

• Step 2: Product performance dimensions performance envelope

<그림 6-2> performance envelope

- 119 -

① Product performance dimensions을 탐색하며, 이 performance dimension은 제품 기능성과 역량의 측면을 의미하는데, 이는 고객과 사업 그리고 기술 모두에 중요한 요소가 됨

② Performance dimension은 외부 시장동인이나 내부 시장동인에 비해 보다 더 명확하고 가시적이기에 좋은 로드맵 프로세스를 시작점이 될 수 있음

③ 정량적이거나 정성적인 dimension들을 모두 고려하고 이를 시장과 제품, 혹은 기술적인 측면과 함께 묶게 되면 위 그림과 같은 performance envelope를 얻을 수 있으며, 이 performance envelope는 로드맵에서의 시장, 제품, 기술 수준에 연결되어 Market ‘pull’과 technology ‘push’의 이해를 도움

• Step 3: Market and business drivers

① 시장 외부 동인과 사업 내부 동인은 고객과 사업의 동기, 필요성, 그리고 이득을 반영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해 step 2에서 정의된 performance dimensions를 보다 한 단계 더 끌어올린 개념임

② 핵심 고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와 동인들은 기업의 전략적인 목표와 함께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

• Step 4: SWOT analysis

① 만약,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고려하지 못한 요소들로부터 strategic dimensions

를 탐색하기 위해 SWOT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SWOT 분석의 네 가지 초점(S, W, O, T) 을 비교하는 동안에 전략적 이슈와 대안들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함

• Step 5: Knowledge gaps and next steps

① 차후의 작업에서 필요로 할, 현재 워크숍에서 획득한 정보와 영역에서의 key gaps

를 확인하고 이 gap을 채울 방법을 고민하고 대책을 수립• Step 6: Post-workshop actions

① 브레인스토밍한 내용과 product performance dimensions, market and business

drivers의 내용이 포함된 결과물들을 요약함 (요약한 내용 워크숍 2의 참석자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 Workshop 2: Product

• 두 번째 워크숍은 로드맵의 Product/Service layer에 집중하는 단계로, 필요하다면

제조시스템(manufacturing system)과 같이 사업상에서 다른 ‘유형(tangible)’의 특성들 또한 함께 고려해야 함

• Product feature concepts는 워크숍 1에서 제공된 시장(외부), 사업(내부) 동인들에

- 120 -

의해 확립되며, 여기서 확립된 product feature concepts는 워크숍 3에서 다루게 될 technology options에 대한 기초 인풋이 됨

• 목표① 워크숍 1의 결과물을 확인② 워크숍 1에서 산출된 외부 시장동인과 내부 시장동인을 만족시킬 가능성이 있는

‘product feature concepts’를 정립③ 시장동인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잠재적인 ‘product feature concepts’를 순위 산

정④ 제품 개발의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함 (e.g. platform과 product family)

⑤ 차후 진행을 위한 knowledge gaps를 파악• Step 1: Introduction

① 워크숍 1에서 도출된 결과물을 요약·토론하고, 워크숍 2의 목표와 내용들을 소개• Step 2: Product feature concepts

① 워크숍 1의 결과물인 performance dimensions와 동인(drivers)를 사용해 시장과 사업동인과 관련된 product feature과 service concept을 확립

② 이번 단계의 목표는 고객의 관점에서 어떻게 미래에 이 제품이 개발될 것인가 하는 ‘vision’을 수립하는 것임

③ Product feature concepts의 예는 속도(speed), 가격합당성(affordability), 소음정도 (quiteness) 등이 있음

• Step 3: Impact of product features

① 시장외부동인과 사업내부동인을 가로축에, 제품특성을 세로축에 두는 grid를 구축② 각각의 제품특성을 행별로 시장외부/사업내부동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점수를 부여하며, 점수 기준은 ‘동인 만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 이며 3점 척도를 주로 활용함

③ Grid가 완성되면 다시 열별(동인별)로 상대적인 순위를 매김(normalization)

④ 다수의 동인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집계된 것이 핵심 제품특성이 됨• Step 4: Product strategy

① 미래에 외부 및 내부 동인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위의 제품전략 대안을 고려② 예를 들어, high-end vs. low-end 또는 platform or product family concepts가 있

음 • Step 5: Knowledge gaps and next steps

① 차후의 작업에서 필요로 할, 현재 워크숍에서 획득한 정보와 영역에서의 key gaps

를 확인하고 이 gap을 채울 방법을 고민하고 대책을 수립

- 121 -

• Step 6: Post-workshop actions

① 워크숍 1과 워크숍 2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요약함 (이 요약물은 워크숍 3의 참석자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 Workshop 3: Technology

• 세 번째 워크숍에서는 Technology layer에 치중하며, 더불어 필요하다면 경쟁력, 숙련도 및 재무 개선과 같은 사업의 다른 ‘자원’ 측면 역시 고려함

• 이 단계에서는 워크숍 2에서 탐색된 제품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기술 대안들을 찾아냄

• 목표① 워크숍 1과 워크숍 2의 결과물을 확인② 워크숍 2의 결과물인 product features를 수행할 수 있는 technology solution을 확립③ 제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잠재적인 ‘technology solution’의 가치순위를 산

정④ 차후 진행을 위한 knowledge gaps를 파악

• Step 1: Introduction

① 워크숍 1, 2에서 도출된 결과물을 요약 토론하고 워크숍 3의 목표를 소개• Step 2: Technology response

① 워크숍 2에서 비롯된 각 product feature category를 보완하고 개발할 수 있는 가능한 기술 대안들을 확립하며, 이때, 기술 대안들은 기술적인 문제와 한계점을 분명히 해야 함

② 또한 부품, 설계, 생산, 기술 취사선택정보 등을 포함한 기술의 정의는 반드시 ‘hard technology’와 ‘soft technology’ 양면에서 모두가 동의할만한 성질의 것 이여야 함

• Step 3: Impact of technology areas

① 워크숍 2에서 도출된 product feature를 가로축에, grouped technology areas를 세로축에 두는 grid를 구축

② 각각의 기술영역을 행별로 제품특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점수를 부여함③ 점수 기준은 ‘제품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 이며 3점 척도가 주로 활용④ Grid가 완성되면 다시 열별로 상대적인 순위를 매김(normalization).

⑤ 다수의 동인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집계된 것을 핵심 제품특성으로 선정

• Step 4: Knowledge gaps and nest steps

① 차후의 작업에서 필요로 할, 현재 워크숍에서 획득한 정보와 영역에서의 key gaps

- 122 -

를 확인하고 이 gap을 채울 방법을 고민하고 대책을 수립 • Step 5: Post-workshop analysis

① 워크숍 1과 워크숍 2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요약함 (이 요약물은 워크숍 4의 참석자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 Workshop 4: Charting

• 이 네 번째 워크숍은 앞서 진행해온 Market, Product 그리고 Technology layer의 결과물을 취합하여 대략의 기술로드맵을 그려내는 단계임

• 워크숍 1, 2, 3에서 얻어낸 결과물들은 로드맵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단계에서는 프로세스 전체를 다시 둘러보고 key knowledge gap을 확인함

• 목표① 워크숍 1, 워크숍 2 그리고 워크숍 3의 결과물을 재확인② 제품개선과 선호되는 기술을 고려해 전략적인 지침표를 세우는 기술로드맵을 작

성③ Knowledge gaps는 물론 성공요인과 장애요건을 포함하는 결과 도출에 추가적으

로 요구되는 작업들을 파악• Step 1: Introduction

① 워크숍 1, 2, 3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요약, 정리함• Step 2: Define format of roadmap

① Planning horizon을 통해 로드맵의 time-line을 정의함• Step 3: Chart market, product and technology

① 시장동향과 동인들의 market evolution을 charting 하고, 로드맵에 trigger를 그림• Step 4: Knowledge gaps and way forward

① 차후의 작업에서 필요로 할, 현 영역에서의 key gaps를 확인하고 이 gap을 채울 방법을 고민하고 대책을 수립

• Step 5: Post-workshop analysis

① 기술로드맵을 비롯한 많은 결과물들을 요약함② 워크숍 1에서 3에 이르기까지의 output을 통합 정리해 보고서를 작성함 (이 요약

보고서는 워크숍 참가자에게 배분)

- 123 -

(2) 싱가포르 OTR (Operation and Technology Roadmap)

□ 기술로드맵 작성 목적

○ 산업계와 연구소 간 연계 촉진

- 산업계 측면: 신기술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중장기적 사고를 지원함

- 연구소 측면: 산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R&D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유도

□ 기술로드맵 작성 시 이점

○ 사업 및 시장 동인과 기술 간의 연계

○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할 기술 발굴

○ 중요한 기술 (critical technology) 또는 파괴적 기술 (disruptive technology)의 발굴

○ 여러 기술과 사업 기획 간 조정 (coordinating)

○ 기술 실패의 가능성 감소 및 투자 수익 증진

□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OTR은 T-Plan과 유사하게 반나절 워크샵을 기본으로 하며, 5~7회에 걸친 워크샵을 수행하여 1개월 이내에 기술로드맵 작성을 완료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 T-Plan과 달리 기술로드맵의 지속적인 update를 가능하게 하여 현실성을 높이고자 한 점이 특징적임

○ 세부 프로세스

- Assessment (workshop 1)

• 기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전략(strategy), 기술(technology), 시장환경(environment) 관점에서 기업의 현재 위치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

- Market Environment and Business Objectives (workshop 2)

•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제품이나 기업의 성과, 기업 내, 외부의 driver에 대한 key

dimension을 도출• 여러 market segment에 대해 위의 과정을 반복

- 124 -

• 일반적인 전략 context, key knowledge gap을 도출

- Product/Service Offering (workshop 3)

• Key product feature를 도출하고, 그룹화를 통해 각 그룹이 시장, 경영관련 driver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 제품개발 전략 대안들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key knowledge gap을 도출•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 제품/서비스의 제공(offering)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dimension을 도출

- Technology (workshop 4)

• Key product feature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대안들을 도출하고, 주제에 따라 그룹화 하여 각 그룹별 기술의 제품에 대한 영향력을 평가

• 현재 보유 기술의 실현가능성(feasibility), 실용성(practical use)에 대해 논의하고, 해 당 기술의 미래 동향, 이슈 등에 대해서도 논의함

- Charting (workshop 5)

• 앞의 module 들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로드맵을 작성• 존재할 수 있는 key gaps를 도출하여 추후 연구에 활용

<그림 6-3> 로드맵작성 프로세스

□ 기술로드맵 review and update

○ 기술로드맵 review

- 목적• 현재 어떠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지, 어떠한 제품과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되었는지, 어떤 driver의 영향력이 높은 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

• 기술 review

① 로드맵 상에 나타난 기술들을 초기 계획에 기반하여 개발이 완료된 기술, 진행중인 기술, 아직 시작하지 않은 기술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

② 로드맵 초기 버전에 나타나지 않은 기술들을 찾고, 그 원인을 파악

- 125 -

• 제품/서비스 review

① 로드맵 상에 나타난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된 것, 출시가 연기된 것, 출시가 취소된 것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

② 로드맵 초기 버전에 나타나지 않은 제품/서비스를 찾고, 그 원인을 파악• 동인 review

① 조직 내부동인과 외부동인으로 구분하여 분석② 로드맵 상에 나타난 동인 중 이미 발생한 것, 발생이 미뤄진 것, 발생하지 않은 것

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③ 로드맵 초기 버전에 나타나지 않은 동인을 찾고, 그 원인을 파악

○ 기술로드맵 update

- 현재 버전의 기술로드맵을 동인, 제품/서비스, 기술의 관점에서 분석

- 다음 버전의 기술로드맵에도 여전히 적용 가능한 것들과, 새롭게 추가되어야 하는 것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 지 분석

- 분석 결과를 새 버전의 로드맵에 반영

<그림 6-4> 기술로드맵 업데이트 항목

다. 로드맵 사례별 비교분석

(1) 로드맵 사례별 세부 Step

- 126 -

<표 6-3> 로드맵 사례별 세부 Step 비교

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Step STEMI 컨설팅 T-Plan OTR* (* 표시는 OTR에만 있는 것)

○ Step 1. 환경분석 - 외부환경분석 • 시장측면에서 수요, 환경, 기술 촉진

요인, 저해요인 도출 - 특허분석 • 국내외 특허동향, 핵심특허, 선행기

술 분석 - 내부역량분석 • 당사의 강점 및 약점 분석 • 기술개발능력, 제품생산능력, 마케팅

및 재무역량 분석

○ Step 2. 제품분석 - 전략제품 후보군도출 - 포트폴리오 분석 및 전략제품 선정

○ Step 3. 시장분석 - 시장개요 • 국내외 시장동향 및 관련정책, 규제

분석 - 시장특징 및 구조 파악 • 산업 특성, 관련 정책동향, 수요 및

공급 특성 분석 • Porter's five force model

- 시장현황 및 전망 분석

○ Step 4. 기술분석 - 요소기술 분석 • 확보, 부분확보, 미확보 기술 분류 - 기술트렌드 분석 • 기술개발현황, 특허분석 - 핵심요소기술선정 • 세부요소기술을 평가, 그 결과에 기

반해 핵심기술 선정 - 기술수준분석 • 선정된 핵심기술에 대한 당사의 기

술수준 분석

○ Step 5. 로드맵 전개

○ Step 1. 환경분석 - 외부환경분석 • 당사의 사업과 관련된 사회경향, 산업동향 분

석 • 외부환경 변화 분석하고, 자사관점의 기회 및

기회요인 도출 - 내부환경분석 • 당사의 내부역량 분석,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

및 사업군 매력도 평가 • 현재 및 미래 사업군에 대한 매력도 평가 - 핵심사업군 도출 • 내부역량/시장매력도, 포트폴리오 분석 - 비전 목표 전략 수립

○ Step 2. 주력핵심 제품 도출 - 미래제품도출 • 선정된 핵심 사업군에서 개발되었거나 개발중

인 제품제외 후, 추가도출 - 시장매력도 평가 • 선정된 핵심 사업군에서 진출가능한 제품에

대한 시장매력도 평가 - 내부역량 및 적합도 평가 • 경쟁사 대비 당사의 내부역량 및 전략성을 종

합 평가, 핵심제품 도출 - 로드맵 작성대상 핵심제품군 도출 • 위의 평가를 통해 도출된 제품들에 대해 포트

폴리오 분석

○ Step 3. 핵심구성요소 선정 - 미래발전 시나리오 전대 - 고객니즈 분석 - 제품 구성 및 기능전개 - 품질기능전개 - 핵심구성요소 선정 및 기술성능 목표설정

○ Step 4. 핵심기술선정 및 기술로드맵 전개 - 핵심구성요소별 요소기술 전개 - 핵심기술 평가 및 선정 • 핵심기술 평가 - 경쟁사 기술 gap 분석 • 핵심기술별 경쟁사와의 gap분석을 통해 당사

기술수준과 명확하게 함 - 기술확보전략 수립 - PRM/TRM 전개 - 로드맵 보고서 작성

○ Step 1. Assesment Workshop*

- Position Analysis

• 기업에 대한 인터뷰 통해 전략, 기술, 시장환경 관점에서 당사의 현재 위치 이해

○ Step 2. Market Workshop

- Product performance dimensions

(performance envelope)

• Market pull vs. Technology push

- Market(external) and

Business(Internal) drivers

- SWOT analysis

○ Step 3. Product / Service Workshop

- Key product feature concepts

• 외부 및 내부 동인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제품 특성 도출

- Product strategy

• 미래 외부 및 내부 동인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전략 대안 고려

○ Step 4. Technology Workshop

- Technology response

• product feature category를 보완,개발 할 수 있는 기술대안 마련

- Impact of technology areas

• 도출된 기술대안을 평가하여(product featre에 영향을 미치는 것)

• 핵심 기술대안을 선정

○ Step 5. Charting Workshop

- Define format of roadmap

• 사용목적에 따하 로드맵의 layer 및 종류 결정한다

- Chart market, product and

technology

• 워크숍 1~4에 이르는 동안의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layer 그림

- 127 -

(2) 사례별 비교분석

□ Module 1. 환경 분석 (Assessment)

<표 6-4> 사례별 환경 분석

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STEMI 컨설팅 T-Plan & OTR

○ 외부환경과 내부역량에 대한 분석은 물론 특허분석을 통해서 시장, 제품, 당사역량, 기술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분석

○ 핵심 제품군이 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영역에 대한 일반적인 시장 수요 및 이로 인한 기술 촉진/저해 요인까지 분석

○ 외부/내부 환경을 분석하지만 시장측면 분석이 아닌 사회의 경향이나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당사가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에 대한 매력도를 평가

○ 시장매력도/내부역량 포트폴리오 분석을 실행하여 당사의 위치에서 진출할 우선순위 사업을 선정

○ 당사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기업의 전략, 기술, 시장환경관점에서 당사의 위치를 탐색

□ Module 2. 시장 분석 (Market analysis)

<표 6-5> 사례별 시장 분석

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STEMI 컨설팅 T-Plan & OTR

○ 국내외 시장동향 및 관련정책, 규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산업특성에 따른 관련 정책동향과 수요 및 공급 특성 등 연구

○ Porter's five force model을 활용하여 수행된 시장 구조 분석은 국내외 시장규모 및 제품동향을 통한 시장전망 이해

○ 외부 환경 분석 후, 환경 변화에 따라 자사관점의 기회 및 위협요인을 도출

○ 이를 바탕으로 미래사업군을 이끌어 내며 이들에 대한 내부환경분석을 진행하여 경쟁사와 대비한 "지식-기술기반 능력", "

일반관리 능력", "예상되는 시장지분", "전략적 적합성", "사업 연계성" 을 확립

○ 도출된 핵심사업군은 현재 및 미래 사업군에 대한 시장규모, 성장성, 경쟁강도,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매력도를 평사하는 것으로 시장분석의 역할을 수행

○ 워크숍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product performance

dimension을 탐색하는 것으로 시장분석이 진행

○ Per-formance dimension은 제품 기능성과 역량측면을 의미하며 이를 기반으로 참석자들로 하여금 Market pull과 technology

push를 이해○ Performance dimension을 바탕

으로 외부 시장동인과 내부 사업동인을 밝히고,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시장동인들에 대한 전략적 이슈와 대안들을 추출

- 128 -

□ Module 3. 제품 및 서비스 분석 (Product/service analysis)

<표 6-6> 사례별 제품 및 서비스 분석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STEMI 컨설팅 T-Plan & OTR

○ 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프로세스에서 제품/서비스 분석은 환경분석 이후 곧바로 실행

○ 환경분석 후 외부환경분석 및 내부역량 분석 결과에 따라 향후 개발해야 할 전략제품 후보군을 도출

○ 전략제품 후보군에 대한 기술성(기술 시급성, 기술 파급성), 시장성(시장수요, 시장성장성), 기업적합성(자원투입 및 개발기간, 전략적 부합도) 측면에서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하여 이 결과에 따라 전략제품을 선정

○ 이 후, 전략제품에 대한 니즈 분석을 기술적 측면에서 수행

○ 앞서 선정된 핵심 사업군에서 현재 개발이 완료되었거나 개발 중인 제품 이외에 향후 진출 가능한 제품군을 추가로 도출한다. 이때, VOC나 연구소, 협회 단체, 전시회 등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도출하거나 국내외 경쟁사의 제품분석을 통해 도출

○ 이렇게 선정된 핵심 사업군에서 전출 가능한 제품에 대한 시장매력도를 평가하는데 현 제품군과 미래 제품군을 직접적으로 비교 평가할 경우 미래 제품군의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평가절하 될 수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비교 평가

○ 이 후, 경쟁사 대비 자사 내부역량 평가 및 전략적 정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기술로드맵 전개를 위한 핵심제품을 도출

○ 이를 바탕으로 선정된 핵심제품군에 대한 고객니즈분석과 제품구성 및 기능전개, 품질전개 단계를 거텨 핵심구성요소를 선정하는 것으로 제품/서비스 분석

○ 워크숍 2에서 산출된 동인(driver)들을 만족시킬 가능성이 있는 "product feature concepts"

을 정립하게 되는데, 이는 고객의 관점에서 어떻게 미래에 이 제품이 개발될 것인가 하는 vision을 수립.

○ 이렇게 추려낸 제품특성은 워크숍 2에서 도출된 동인들과 함께 그리드를 구성해 동인요소에 각 제품특성이 어떤 영향(impact)를 미치는지 파악하게 되며 핵심제품특성을 추출

○ 이 후, 미래에 외부 및 내부 동인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위의 제품전략 대안을 세움.

□ Module 4. 기술 분석 (Technology analysis)

<표 6-7> 사례별 기술 분석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STEMI 컨설팅 T-Plan & OTR

○ 먼저 전략제품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크게 3단계(확보, 미확보, 부분확보)로 나누어 세부요소기술 수준따지 분석

○ 이 후, 전략제품 관련기술의 동향을 분석(기술개발현황, 특허분석)

하고 핵심 요소 기술을 선정 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정된 핵심기술에 대해 현재 자사의 기술수준을 분석하고 향후 목표를 수립

○ 핵심구성요소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기능전개 및 품질기능전개 단계를 지나며 기술성능 목표를 설정

○ 이 후, 기술로드맵 전개를 위해 핵심제품과 관련된 핵심구성요소별 요소기술을 전개하고 여러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핵심기술을 평가

○ 이 기준은 전략과의 연계성, 경제성 파급효과, 개발비용, 리스크, 기술파급효과,

time-to-market, 시너지효과, 기술차별성,

내부역량, 개발기간 등이 있음○ 이후 경쟁사와 자사간의 기술 gap을 파

악하고 이에 따른 기술확보전략은 물론 차 후 기술 목표설정 및 확보방안을 도출

○ 워크숍 3에서 도출된 각 product feature를 보완하고 개발할 수 있는 가능한 기술 대안들을 확립

○ 이후 product feature와 technology area를 활용해 gird

를 만들고 각 product feature에 대한 technology의 impact를 도출하고 핵심 기술군을 뽑아냄

- 129 -

(3) 세부 Step 통합

□ 사례별 세부 Step

<표 6-8> 사례별 세부 Step 분류

분류 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STEMI 컨설팅 T-Plan & OTR

평가 및 환경 분석 Step 1 Step 1 Workshop 1, Workshop 2

시장 분석 Step 3 Step 1 Workshop 2

제품/ 서비스 분석 Step 2 Step 2, Step 3 Workshop 3

기술 분석 Step 4 Step 3, Step 4 Workshop 4

로드맵 전개 Step 5 Step 4 Workshop 5

□ 세부 Step 통합

<표 6-9> 세부 Step 통합 정의

대분류 정의

1. 평가 및 환경 분석 외부 및 내부 환경 분석을 통해 당사의 현재 위치(position)-기술 및 시장영역에서- 파악

2. 시장 분석 당사 전략목표 및 외부시장동인(driver)과 내부사업동인을 파악하고,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핵심사업군 도출

3. 제품/ 서비스 분석 목표로 하는 제품 및 서비스 후보군에 대한 시장매력도와 당사 전략(S. W.

O. T) 비교 분석4. 기술 분석 도출된 제품, 서비스를 수행할 수 이TSms 확보/부분확보/미확보 후보 기

술군 도출 및 기술포트폴리오 분석5. 로드맵 전개 당사의 사용목적에 따른 기술로드맵 선택 및 전개 활동

(4) 로드맵 작성사업에 대한 중소기업 니즈

□ 기존 기술로드맵 지원 사업에서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분

○ 지원 사업에서 중점적으로 더 분석해 주기를 원하는 항목

- 전체 설문조사 대상기업 83개 중,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니즈가 존재• 시장분석 및 환경분석, 제품분석 및 전략제품 도출에 대한 니즈가 가장 높음• 기술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에 대한 니즈 또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130 -

<표 6-10> 로드맵 작성에 관한 중소기업 니즈

추가 분석 내용 응답수 %

기업분석 3 3.6

시장분석 및 내외부 환경분석 24 28.9

고객 니즈분석 2 2.4

제품분석 및 전략제품 도출 24 28.9

기술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 17 20.5

로드맵 전개 및 작성 6 7.2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지원 7 8.4

○ 통합된 로드맵 사례별 세부step 중 평가 및 환경 분석, 제품/서비스 분석에 대한 니즈,

중요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기술분석 step 또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됨

- 131 -

제 2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니즈분석

1. 설문개요

□ 추진목적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방법론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추진

□ 추진 전략

○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으로 기술로드맵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원 도구인 작성 템플릿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들의 기술기획 현황과 기술로드맵 작성에 대한 니즈를 다음 두 가지 관점에서 조사

- 첫째, 기술로드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자체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지원니즈 분석

- 둘째,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의 작성 범위 및 주요 방법론 분석

<표 6-11>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지원도구 개발을 위한 설문 항목

설문항목 설문내용

· 기업 일반 및 사업모형 특성 - 기업규모, 연령 등 일반 사항- 사업모형 및 R&D 활동현황

· 기술로드맵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일반적인 인식 및 활용도- 기술로드맵 활용기업들의 인식 및 활용도-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들의 인식-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주체 및 핵심성공요인

· 중소기업 기술기획 현황 - 주요 기획범위 (기획주체, 기획대상 등)

- 주요 기획도구 (방법론 등)

· 지원사업의 니즈 및 개선사항 - 지원사업의 핵심성공요인- 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니즈

- 132 -

□ 절차 및 일정

중소기업 니즈조사

방법론 개발(~3/30)

- 기술로드맵핑 프로세스 기본요소 추출 (문헌연구)

- 설문 대상자 선정 및 설문지 개발/검토 (Pilot test)

▼설문수행 완료

(~6/15)- 설문수행 완료

▼설문결과 분석

(~6/30)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활용 현황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개념 개발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템플릿

(~8/15)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템플릿 개발

- 템플릿 적용 및 사례분석 수행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의 기본 방향

○ (인지도) 아직 많은 중소기업들이 기술로드맵의 개념에 대해서만 인식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작성방법에 대해서는 외부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음

○ (KSF) 성공적인 기술로드맵의 작성과 활용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지원이 절실하며 더불어 실제 기술로드맵을 활용할 주체가 기술로드맵 작성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 (로드맵)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은 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도록

- 첫째, 2~3인이 주 4시간씩 1회, 1~3개월 안에 작성 가능한 업무로 구성

- 둘째, 시장기획, 제품기획, 기술기획이 동일한 분량으로 활용

- 셋째, SWOT분석과 특허분석을 포함해야 함

○ (지원방안) 중소기업의 기술로드맵 작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 첫째,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 둘째,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템플릿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며

- 셋째, 추후 기술개발 자금과 사업화 자금 지원으로 연계되길 바람

- 133 -

2. 설문분석 결과

가. 분석전략

□ 분석대상

○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결과 중 102개 응답 활용

나. 분석결과

□ 기업일반 및 사업모형 특성

○ 기업 규모 및 성장률

- 대부분 응답 기업들이 증가하는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매출액 측면에서의 성장률이 다소 높음

- 정규직 종업원 수, R&D 종사자 수, 매출액 평균값

<표 6-12> 설문대상 기업 규모 및 성장률연도

구분2008 2009 2010 2011

정규직 종업원 (명) 37.3 38.4 38.7 464.9

R&D 종사자 (명) 5.4 6.1 6.5 7.3

매출액 (원) 80.5 83.2 100.3 113.9

- 정규직 종업원 수, R&D 종사자 수, 매출액 측면에서의 성장률

<표 6-13> 설문대상 기업 정규직 종업원 수, R&D 종사자 수, 매출액 성장률 2008-2009 2009-2010 2010-2011

정규직

종업원

R&D

종사자매출액

정규직

종업원

R&D

종사자매출액

정규직

종업원

R&D

종사자매출액

성장률 19.8 23.6 14.0 9.9 12.9 22.6 10.9 23.6 40.3

○ 사업모형 및 핵심기술

- 대부분 응답 기업들이 국내 특수시장에서 B2B 형태로 차별화된 완제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원천기술과 융합기술을 핵심기술로 가지고 있음

- 134 -

- 주요 목표시장

<표 6-14> 설문대상 기업 주요 목표시장 목표시장 유형 응답수 %

국내 대중시장

(일반인용 스포츠용품 등과 같이 일반대중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

장)

28 27.5

국내 특수시장

(선수용 스포츠용품 등과 같이 전문적인 목적으로 활용되는 제품

시장)

51 50.0

해외 시장 15 14.7

기타 (국내 금융사용 전자결제 지원모듈, 제품 단열성능 및 제품

디자인, 실용성, 산업체시장, 공공시장, 일반 산업소재, 국내 광고

재 시장, 지자체 환경기초시설 탈취장치, 선박제조용 열풍기, 가스

버너)

8 7.8

- 주요 고객

<표 6-15> 설문대상 기업 주요 고객 주요고객 유형 응답수 %

기업 (B2B) 70 68.6개인 (B2C) 12 11.8정부 (B2G) 18 17.6기타 (출연연구소, 병원) 2 2

- 주요 제품

<표 6-16> 설문대상 기업 주요 제품주요제품 유형 응답수 %

완제품 54 52.9부품 27 26.5기술 (혹은 기술기반 서비스) 13 12.7서비스 (기술기반 제외) 3 2.9기타 (중간제품, 촉매, 합성수지류, 원료) 5 4.9

- 주요 수익원

<표 6-15> 설문대상 기업 주요 수익원주요 수익원 응답수 %

제품/부품 판매금 (예: 생산품 판매, 공산품 판매) 91 89.2제품 대여료 (예: 정수기 렌탈 사업) 0 0서비스 제공료 (예: 인터넷, 이동통신) 8 7.8기타 (개발용역, 컨설팅, 플랜트 엔지니어링, 로열티) 3 2.9

- 135 -

- 주요 경쟁전략

<표 6-15> 설문대상 기업 주요 경쟁전략 주요 경쟁전략 응답수 %

제품/서비스 차별화 전략 (기능, 디자인 등에서 경쟁기업보다 뛰어난

장점을 갖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63 61.8

저가격 전략 (경쟁기업보다 낮은 가격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하는 전략)8 7.8

집중화전략 (특정시장-즉, 특정 소비자집단, 일부품목, 특정지역 등 -

만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에 집중하는 전략)31 30.4

기타 (새로운 원가절감 기법 개발 과 신제품 개발) 0 0

- 보유 핵심기술

<표 6-16> 설문대상 기업 보유 핵심기술보유 핵심기술 응답수 %

원천기술 (제품, 부품, 공정개발 및 생산에 기반이 되는 핵심기술) 43 42.2

융합기술 (두개 이상의 기술영역을 포함하여 시너지를 높이는 기

술)32 31.4

양산기술 (원천기술은 아니지만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기

술)16 15.7

엔지니어링기술 (부분적인 제품적/기술적 문제를 해결해 주는 기

술)10 9.8

기타 1 1

□ 기술로드맵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 일반적인 인식 및 활용도

- 설문대상 중소기업 중 60%에 해당하는 기업이 기술로드맵에 대해서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75% 이상이 기술기획에 기술로드맵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함

- 기술로드맵 인지도

<표 6-17> 설문대상 기업의 기술로드맵에 대한 인지도기술로드맵 인지도 응답수 %

매우 잘 알고 있다 27 26.5비교적 잘 알고 있다 32 31.4대략적인 개념만 알고 있다 35 34.3들어본 적이 있으나 잘 모른다 8 7.8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 0 0

- 기술로드맵을 통한 기술기획 수립여부

- 136 -

<표 6-18> 설문대상 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도기술로드맵 활용도 응답수 %

대부분의 기술기획에 활용한다 7 6.9자주 활용한다 25 24.5가끔 활용한다 45 44.1전혀 활용하지 않는다 25 6.9

□ 기술로드맵 활용기업들의 인식 및 활용도

○ 기술로드맵 활용목적 및 활용 현황

- 중소기업들은 중장기 R&D를 목적으로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고 있으나, 기획결과를 실제 실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기술로드맵 작성 이유 (최대 2개까지 복수응답 가능)

<표 6-19>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작성 이유기술로드맵 작성 이유 중요도 %

기업의 중장기 R&D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28 43.8제품, 기술 등의 미래 동향을 예측하기 위해서 9 14.1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품/기술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해서 9 14.1신제품/신기술 개발의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서 18 28.1기타 0 0

- 기술로드맵 활용결과

<표 6-20>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결과기술로드맵 활용결과 응답수 %

기획 및 실행 모두 대체적으로 잘 추진되었다 8 25.0

기술로드맵을 통한 기획은 잘 수립하였으나 실제 실행에 어려움을 겪었

다17 53.1

기술로드맵을 활용해 기획하고자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기술로드맵 작성

에 어려움을 겪었다7 21.9

기술로드맵을 활용해 기획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0 0.0

- 가장 최근에 기술로드맵을 작성한 년도

<표 6-21>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최근 기술로드맵 작성년도2009 2010 2011 2012

응답수 4 14 13 1

% 12.5 43.8 40.6 3.1

※ 많은 기업들이 최근 2년 동안 기술로드맵을 작성한 경험이 있음

- 137 -

○ 기술로드맵 활용목적 및 활용 현황

- 응답대상 중소기업들은 ‘중장기적 전략 수립’과 ‘기술개발 우선순위의 결정’을 기술로드맵의 가장 큰 효과로 판단하고 있으며, 실제 기술로드맵을 통한 기획결과물의 계획대비 실현율은 대부분 70%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작성한 로드맵을 통해 실현화된 결과물들의 성과 수준

<표 6-22>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성과 수준

단계 건수(건)계획대비

실현비율(%)만족도

기술개발 착수 2.8 73.7 3.6기술개발 성공 1.8 71.1 3.6제품개발 착수 2.2 71.3 3.4제품개발 성공 1.8 66.9 3.5사업화 성공 1.3 57.5 3.3

※ 계획대비 실현률이 제품개발 착수 단계까지 7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는데, 자체적으로 기술로드맵 을 작성할 정도의 기획역량을 보유한 기업들은 기술력, 자금력, 마케팅력 등에서도 우수할 뿐 아니라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주체적으로 기술로드맵을 작성하는 만큼 실현화된 결과물들의 성과 수준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됨

- 기술로드맵의 가장 큰 효과 (복수응답 가능)

<표 6-23>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효과기술로드맵의 효과 중요도 %

중장기적 전략수립 지원 25 51.0부서간 의사소통 촉진 3 6.1기술개발 우선순위 결정 지원 14 28.6유망기술 및 유망아이템 발굴 지원 7 14.3기타 0 0.0

○ 기술로드맵 작성/활용의 애로사항 및 지원 니즈

- 기술로드맵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실성 있는 기술로드맵 작성이 필요할 것이나 실제 중소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시간과 자원에는 제약이 있으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템플릿이나 전문가 지원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기술로드맵을 활용한 기획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

- 138 -

<표 6-24>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시 애로사항기획에 있어서의 애로사항 응답수 %

기술로드맵 개념이 대기업 중심으로 되어 있어서 중소기업 입장

에서 실제 적용하기 어렵다4 12.5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시간 및 자원 투입이 중소기업 입장에서

부담스럽다21 65.6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한 인력이 없어서 작성에 어려움이 있

다5 15.6

기술로드맵을 어떻게 작성하는지 모른다 1 3.1어려움을 겪은 적 없다 1 3.1기타 0 0.0

※ 중소기업이 제한된 시간과 자원으로 최대한 효율적인 기술 로드맵핑이 가능하도록 중소기업형 기술로

드맵핑 프로세스와 방법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임

- 기술로드맵을 작성한 후 사용하지 않은 이유

<표 6-25>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획결과물 실현에 있어서의 애로사항기획결과물의 실현에 있어서의 애로사항 응답수 %

작성된 로드맵이 기업 내 외부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아 현실성이

없다10 31.3

작성된 로드맵을 활용하기 위한 작성자와 활용자 간의 커뮤니케이

션이 부족하다11 34.4

작성된 로드맵을 적절하게 업데이트 하지 않아 오래된 버전으로

존재한다3 9.4

작성된 로드맵이 이해하기 어렵다 0 0.0활용하지 않은 적 없다 8 25.0기타 0 0.0

※ 현실성 있는 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술로드맵 활용자, 즉 기술개발 인력이 반드시 기술로드맵 작

성과정에 참여해야 함. 또한 작성된 기술로드맵이 기업 내부와 외부의 환경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작성

결과의 검증과 지속적인 업데이트 활용이 필요할 것임

- 추후 기술로드맵 활용 계획 여부

<표 6-26>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 계획기술로드맵 활용 계획 응답수 %

그렇다 31 96.9아니다 1 3.1

※ 거의 대부분의 기업이 추후 지속적으로 기술로드맵을 활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술로드맵 관련

지원사업에 대한 니즈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 추후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 니즈 (복수응답 허용)

- 139 -

<표 6-27>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한 정책지원 니즈기술로드맵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니즈 응답수 %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함 6 13.3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중소기업 특화 포맷 (또는 템

플릿)을 제공함19 42.2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중소기업 기획 전문가 또는

산업 전문가 자문을 지원함17 37.8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의 작성 시 중요한 가이드라인 및 체크포

인트를 제공함3 6.7

기타 0 0.0

※ 중소기업용이 자체적으로 로드맵핑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특화 포맷을 제공하거나 중소기

업의 로드맵핑 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인력의 공급을 필요로 함

※ 전문가 자문의 경우 이미 KISTI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되고 있는 내용이므로, 추후

중소기업 특화 포맷을 제공하고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이를 활용하여 로드맵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

원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임

-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포맷과 템플릿의 필요성 여부

<표 6-28> 기술로드맵 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템플릿에 대한 니즈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포맷과 템플릿에 대한 니즈 응답수 %

매우 도움이 될 것 같다 14 43.8비교적 도움이 될 것 같다 16 50잘 모르겠다 2 6.3별로 도움이 안 될 것 같다 0 0전혀 도움이 안 될 것 같다 0 0

※ 특히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포맷과 템플릿의 경우 95% 이상의 기업들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

□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들의 인식

○ 기술로드맵의 미활용 이유

- 기술로드맵을 활용하지 않는 다수의 중소기업들은 그 유용성은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기술로드맵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부담스럽거나 작성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기획과정에서 기술로드맵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

- 140 -

<표 6-29>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기술로드맵 미활용 이유기술로드맵 미활용 이유 응답수 %

기술로드맵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 6 8.6기술로드맵은 알고 있으나 어떻게 작성하는지 잘 모른다 17 24.3

기술로드맵을 작성하는 법을 알고 있으나 기업 내 전문가가 없다 13 18.6

기술로드맵 작성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작성이 어렵

다23 32.9

개발규모가 작아 기술로드맵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8 11.4

기술로드맵이 실질적으로 쓸모가 없어서 작성할 필요가 없다고 생

각한다1 1.4

기타 (사용노력 중, 필요시 사용함) 2 2.9

○ 기술로드맵 작성/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 니즈

- 기술로드맵 미활용 기업 중 대부분이 추후 기술로드맵 활용계획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의 개념이나 템플릿뿐 아니라 실제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를 주도할 수 있는 전문가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음

- 추후 기술로드맵 활용 계획 여부

<표 6-30>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활용 계획기술로드맵 활용 계획 응답수 %

그렇다 64 91.4아니다 6 8.6

※ 미활용 기업 중 다수가 추후 기술로드맵을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음

- 추후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 니즈 (복수응답 허용)

<표 6-31>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활용 계획기술로드맵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니즈 응답수 %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함 26 24.8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중소기업 특화 포맷 (또는 템

플릿)을 제공함28 26.7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중소기업 기획 전문가 또는

산업 전문가 자문을 지원함30 28.6

중소기업용 기술로드맵의 작성 시 중요한 가이드라인 및 체크포

인트를 제공함21 20

기타 0 0

※ 미활용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 특화 기술로드맵 템플릿이나 관련 전문가 파견 뿐 아니라 중소기업용 기술

로드맵 작성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해 주기를 원함

- 141 -

○ 자체 기술기획 활동의 성과

- 기술로드맵을 미활용하는 기업들의 경우에도 기술개발, 제품개발, 사업화에 있어 계획대비 실현율이 5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음

- 기업자체 R&D 활동을 통해 실현화된 결과물들의 성과 수준

<표 6-32>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의 R&D 성과 수준

단계 건수(건)계획대비

실현비율(%)만족도

기술개발 착수 3.4 69.4 3.1기술개발 성공 2.1 64.6 3.1제품개발 착수 2.7 58.4 3.0제품개발 성공 2.1 59.6 2.9사업화 성공 1.9 49.2 2.8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주체 및 핵심성공요인

○ 기술로드맵 작성주체

- 중소기업들의 경우 task-force 팀이나 임의로 선정된 담당자가 기술로드맵 작성을 주도하게 되며, 자체적인 로드맵핑 활동을 위해서는 기술로드맵의 작성절차가 간단해야 하며 비용과 시간이 높지 않아야 함

- 작성주체의 특성

<표 6-33>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주체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주체 응답수 %

기술기획 전담 팀이 상시 존재, 기술기획팀이 작성 17 16.7

기술기획 전담 팀이 상시 존재, 기술로드맵 작성 시 관련 여러 부

서에서 차출하여 기획팀과 함께 작성11 10.8

기술기획 전담 팀이 존재하지 않으며 기술로드맵 작성 시 관련 여

러 부서에서 차출하여 함께 작성22 21.6

기술기획 전담 팀이 존재하지 않으며 기술로드맵 작성 시 임의로

담당자를 선택하여 작성27 26.5

작성하지 않음 25 24.5

- 자체적 기술로드맵 작성 시 필요 특성 (최대 2개 복수응답)

- 142 -

<표 6-34>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의 특징자체 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로드맵핑 프로세스의 특징 중요도 %

구조가 단순해야 한다 25 16.7작성 절차가 간단해야 한다 54 36.0작성하는 데 시간, 인력이 많이 들지 않아야 한다 53 35.3해석이 간단해야 한다 16 10.7기타 (수익모델과 연관되어야 한다) 2 1.3

- 향후 기술로드맵 필요성 여부

<표 6-35> 중소기업의 기획에 있어서의 기술로드맵의 필요성향후 기술기획에 있어서 기술로드맵의 필요성 응답수 %

매우 그렇다 39 38.2비교적 그렇다 42 41.2보통이다 19 18.6그렇지 않다 2 2매우 그렇지 않다 0 0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의 핵심성공요인

- 성공적인 기술로드맵 작성과 활용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기술로드맵 작성 의지’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성공적인 기술로드맵 작성에 있어서는 ‘전체 기업방향 및 전략과 일치하는 기술로드맵’ 작성이 필요하며 데이터 및 지식의 가용성이 중요한 요소로 판단됨. 반면 성공적인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해서는 ‘기획인력과 활용인력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작성된 기술로드맵이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과 활용이 연계된 효과적 운영 프로세스가 요구됨

- 기술로드맵 작성의 핵심성공요인 (1, 2, 3순위)

<표 6-36>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의 핵심성공요인기술로드맵 작성의 핵심성공요인 중요도 %

전체 기업 방향 및 전략과의 일치 174 28.4최고경영층의 기술로드맵 작성 의지 121 19.8기업 문화 및 정책적 차원에서의 지원 및 참여 46 7.5능력있는 전문가들의 참여 43 7.0로드맵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 및 지식의 가용성 94 15.4적절한 기획 시점의 선택 26 4.2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효과적 운영 프로세스의 존재 60 9.8효과적인 툴이나 방법론 25 4.1효과적인 교육 및 지원 23 3.8기타 0 0.0

- 143 -

- 기술로드맵 활용의 핵심성공요인 (1, 2, 3순위)

<표 6-37>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활용의 핵심성공요인기술로드맵 활용의 핵심성공요인 중요도 %

최고경영층의 기술로드맵 활용 의지 187 30.6작성된 기술로드맵 활용을 권장하는 기업 조직문화 110 18.0로드맵의 주기적 업데이트 77 12.6기획과 활용 인력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120 19.6작성된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한 효과적 운영 프로세스의 존재 117 19.1기타 0 0.0

□ 중소기업 기술기획 현황

○ 기술로드맵 작성 범위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은 1~2년을 기간을 대상으로, 1주일 1회(4시간 기준), 총 1개월~3개월 이내에 1인~3인이 참여하여 완성할 수 있는 범위의 내용을 포함해야 함

- 정기적 기술기획 수립 여부

<표 6-38> 중소기업의 정기적 기술기획 수립 여부정기적 기술기획 수립 여부 응답수 %

그렇다 61 59.8아니다 41 40.2

- 기술기획 수립 주기

<표 6-39>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수립 주기기술기획 기간 응답수 %

6개월 미만 (초단기) 5 7.0

1년~2년 (단기) 43 60.6

3년~5년 (중기) 16 22.5

5년~10년 (장기) 0 0.0

10년 이상 (초장기) 0 0.0

기술기획 수립하지 않음 7 9.9

- 기술로드맵 작성에 매주 투자할 수 있는 시간

- 144 -

<표 6-40> 중소기업이 기술로드맵 작성에 매주 투자 가능한 시간기술로드맵 작성을 위한 투자 시간 (1회 4시간 기준) 응답수 %

1주일에 1회 6 5.91주일에 2회 64 62.71주일에 3회 24 23.51주일에 4회 1 1.01주일에 5회 이상 0 0.0

- 기술로드맵 작성에 전체 투자할 수 있는 기간

<표 6-41> 중소기업이 기술로드맵 작성에 투자 가능한 전체 기간기술로드맵 작성 기간 응답수 %

1개월 미만 31 30.4

1개월 이상 ~ 3개월 미만 51 50.0

3개월 이상 ~ 6개월 미만 11 10.8

6개월 이상 ~ 1년 미만 5 4.9

1년 이상 4 3.9

- 위 두 질문이 1인당 투자 시간이라고 가정, 기술로드맵 작성에 투자할 수 있는 인력규모

<표 6-42> 중소기업이 기술로드맵 작성에 투자 가능한 인력 규모기술로드맵 작성에 투자가능한 인력 규모 응답수 %

담당자 1명이 단독으로 27 26.5

1인 ~ 3인 69 67.6

3인 ~ 6인 6 5.9

6인 ~ 10인 0 0.0

10인 이상 0 0.0

기타 0 0.0

○ 기술로드맵 작성 방법론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핑 프로세스는 시장기획, 제품기획, 기술기획이 비슷한 비중으로 진행되며, SWOT분석, 특허분석, 경제적 가치 분석이 중요하면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법으로 나타남

- 제품 기획, 기술 기획, 시장 기획의 비중

- 145 -

<표 6-43> 중소기업 기술로드맵핑 프로세스의 제품, 기술, 시장, 서비스 기획 비중제품기획, 기술기획, 시장기획, 서비스 기획의 비중 %

제품기획 29.9

기술기획 30.3

시장기획 26

서비스기획 13.9

- 기술기획 과정에서 실제 활용중인 방법론 및 중요도

<표 6-44> 기술기획 과정에서 활용중인 방법론과 그 중요도

기술기획 시 활용 중인 주요 방법론활용도

중요도*응답수 %

SWOT 분석 68 24.3 1.8Five force 분석 12 4.3 2.6시나리오 분석 17 6.1 2.6STEEPI 분석 6 2.1 2.9포트폴리오 분석 28 10.0 2.4경제적 가치 분석 43 15.4 1.9기술지능 분석 31 11.1 2.2특허분석 75 26.8 1.7기타 0 0.0해당사항 없음 0 0.0

※ 중요도는 1에 가까울수록 중요

* 전반적으로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방법론을 잘 활용하고 있음

□ 기술로드맵 작성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 인지도 및 참여의향

- 국내 중소기업들은 중소기업청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거나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로드맵의 필요성을 인식, 사업 참여 의지가 높게 나타남

- 중소기업청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 인지도

<표 6-45> 중소기업청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 응답수 %

매우 잘 알고 있다 17 16.7비교적 잘 알고 있다 16 15.7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37 36.3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 28 27.5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 4 3.9

- 146 -

- 향후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참여 의향

<표 6-46>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 의향항후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참여하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응답수 %

절대로 참여 않겠다 1 1

참여하지 않을 생각이다 2 2

확실하지 않다 17 16.7

가능하면 참여하고 싶다 59 57.8

반드시 참여하고 싶다 23 22.5

○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핵심성공요인 및 개선방안

- 중소기업들은 추후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이 기술개발 자금이나 사업화 자금지원과 연계되기를 바라고 있음

-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핵심성공요인

<표 6-47>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핵심성공요인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핵심 성공 요인 중요도

담당자 및 관련기관 접근용이성 3.8의사소통정도 3.8요청사항 반영정도 3.8지원절차 신속성 3.9

- 필요한 추가지원 내용

<표 6-48> 기술로드맵 지원사업 개선을 위한 추가지원 방안에 대한 니즈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개선을 위한 추가지원 방안 응답수 비율 (%)

기술개발 자금지원 59 57.8작성된 기술로드맵 업데이트 지원 5 4.9사업화 자금지원 25 24.5마케팅 지원 5 4.9컨설팅 지원 8 7.8

- 147 -

3. 시사점

□ 기업일반 및 사업모형 특성

○ 기업 규모 및 성장률

- 대부분 응답 기업들이 증가하는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매출액 측면에서의 성장률이 다소 높음

○ 사업모형 및 핵심기술

- 대부분 응답 기업들이 국내 특수시장에서 B2B 형태로 차별화된 완제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원천기술과 융합기술을 핵심기술로 가지고 있음

□ 기술로드맵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 일반적인 인식 및 활용도

- 설문대상 중소기업 중 60%에 해당하는 기업이 기술로드맵에 대해서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75% 이상이 기술기획에 기술로드맵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

□ 기술로드맵 활용기업들의 인식 및 활용도

○ 기술로드맵 활용목적 및 활용 현황

- 중소기업들은 중장기 R&D를 목적으로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고 있으나, 기획결과를 실제 실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기술로드맵 활용목적 및 활용 현황

- 응답대상 중소기업들은 ‘중장기적 전략 수립’과 ‘기술개발 우선순위의 결정’을 기술로드맵의 가장 큰 효과로 판단하고 있으며, 실제 기술로드맵을 통한 기획결과물의 계획대비 실현율은 대부분 70%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기술로드맵 작성/활용의 애로사항 및 지원 니즈

- 기술로드맵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실성 있는 기술로드맵 작성이 필요할 것이나 실제 중소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시간과 자원에는 제약이 있으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템플릿이나 전문가 지원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148 -

□ 기술로드맵 미활용기업들의 인식

○ 기술로드맵의 미활용 이유

- 기술로드맵을 활용하지 않는 다수의 중소기업들은 그 유용성은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기술로드맵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부담스럽거나 작성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기술로드맵 작성/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 니즈

- 기술로드맵 미활용 기업 중 대부분이 추후 기술로드맵 활용계획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의 개념이나 템플릿뿐 아니라 실제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를 주도할 수 있는 전문가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음

○ 자체 기술기획 활동의 성과

- 기술로드맵을 미활용하는 기업들의 경우에도 기술개발, 제품개발, 사업화에 있어 계획대비 실현율이 5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음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주체 및 핵심성공요인

○ 기술로드맵 작성주체

- 중소기업들의 경우 task-force 팀이나 임의로 선정된 담당자가 기술로드맵 작성을 주도하게 되며, 자체적인 로드맵핑 활동을 위해서는 기술로드맵의 작성절차가 간단해야 하며 비용과 시간이 높지 않아야 함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의 핵심성공요인

- 성공적인 기술로드맵 작성과 활용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기술로드맵 작성 의지’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성공적인 기술로드맵 작성에 있어서는 ‘전체 기업방향 및 전략과 일치하는 기술로드맵’ 작성이 필요하며 데이터 및 지식의 가용성이 중요한 요소로 판단됨. 반면 성공적인 기술로드맵 활용을 위해서는 ‘기획인력과 활용인력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작성된 기술로드맵이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과 활용이 연계된 효과적 운영 프로세스가 요구됨

○ 기술로드맵 작성 범위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은 1~2년을 기간을 대상으로, 1주일 1회(4시간 기준), 총 1개월~3개월 이내에 1인~3인이 참여하여 완성할 수 있는 범위의 내용을 포함해야 함

- 149 -

○ 기술로드맵 작성 방법론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핑 프로세스는 시장기획, 제품기획, 기술기획이 비슷한 비중으로 진행되며, SWOT분석, 특허분석, 경제적 가치 분석이 중요하면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법으로 나타남

□ 기술로드맵 작성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 인지도 및 참여의향

- 국내 중소기업들은 중소기업청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

거나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로드맵의 필요성을 인

식, 사업 참여 의지가 높게 나타남

○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의 핵심성공요인 및 개선방안

- 중소기업들은 추후 기술로드맵 지원사업이 기술개발 자금이나 사업화 자금지원과 연계되기를 바라고 있음

- 150 -

제 3절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개발

1. 개발 방법

□ 개발 방안

○ 2절에서 다룬 기술로드맵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와 중소기업형 로드맵 관련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활용해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개발 대안을 추출한 뒤 토의를 통해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템플릿을 개발함

- 기술로드맵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활용, 실제 중소기업에서 기술기획 단계에서 활용하는 방법론과 기술로드맵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기술로드맵 전개 프로세스와 템플릿 개발에 적용

- 기술로드맵 전개 프로세스 컨셉안을 제안하고 토의를 통해 최종 기술로드맵의 프로세스와 템플릿 개발 착수

가. 중소기업형 로드맵핑 process 방안 및 컨셉 대안 제시

□ 기존 사례 및 설문조사 분석

◯ 로드맵핑 process 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 중소기업형 로드맵 관련 사례분석, 중소기업 로드맵 관련 설문조사 분석을 수행하였음

◯ 중소기업형 로드맵 사례분석 결과 (주요모듈 도출)

<표 6-49> 중소기업형 로드맵 사례분석 결과 도출된 주요 모듈주요 모듈 정의

1. 평가 및 환경분석 모듈 외부 및 내부 환경 분석을 통해 당사의 현재 위치 (기술 및 시장영역) 파악

2. 시장분석 모듈 당사 전략목표 및 외부 시장동인과 내부 사업동인을 파악하고,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핵심사업군 도출

3, 제품/서비스 분석 모듈 목표로 하는 제품 및 서비스 후보군에 대한 시장매력도와 당사 전략 간 비교 분석

4. 기술분석 모듈 도출된 제품, 서비스에 필요한 확보/부분 확보/미확보 후보 기술군 도출 및 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5. 로드맵 전개 기어의 목적에 적합한 기술로드맵 선택 및 전개 활동

- 151 -

◯ 중소기업 로드맵 인터뷰 분석결과

<표 6-50> 중소기업형 로드맵에 대한 니즈중소기업형 로드맵에 대한 니즈 응답수 %

기업분석 3 3.6

시장분석 및 내외부 환경분석 24 28.9

고객 니즈분석 2 2.4

제품분석 및 전략제품 도출 24 28.9

기술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 17 20.5

로드맵 전개 및 작성 6 7.2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지원 7 8.4

- 전체 설문조사 대상기업 83개 중,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니즈가 존재• 시장분석 및 환경분석, 제품분석 및 전략제품 도출에 대한 니즈가 가장 높음• 기술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에 대한 니즈 또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통합된 로드맵 사례별 세부step 중 평가 및 환경 분석, 제품/서비스 분석에 대한 니즈, 중요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기술 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 또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이 다수 존재할 것으로 판단됨

□ 중소기업형 로드맵핑 process concept 제안

○ 기존 중소기업형 로드맵 관련 사례분석, 중소기업 로드맵 관련 설문조사 분석에 기반하여 중소기업형 로드맵핑 process concept을 제안하였음

○ 중소기업형 로드맵핑 process 모듈 정의

- 전체 설문조사 대상기업 83개 중 상위 3개 니즈에 따른 주요 모듈정의• 시장분석 및 내․외부 환경 분석 (모듈 1)• 제품분석 및 전략제품 도출 (모듈 2)• 기술 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 (모듈 3)

- 주요 모듈에 로드맵 전개 모듈 (모듈 4) 를 추가

- 위 4가지 모듈을 표준 모듈로 정의하고 로드맵 전개에 활용

○ Concept 1. 목적에 따른 로드맵 process

- 앞서 정의한 네 가지 표준 모듈을 모두 활용하는 concept으로, 기업의 목적에 따 라 각 모듈의 순서, scope 등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음

- 152 -

- Process 예시• Module1을 먼저 수행하는 process #1 의 경우 시장으로부터 기회를 찾고, 해당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그에 적합한 신제품을 도출하고, 관련 기술을 도출하는 기업에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음

• Module2를 먼저 수행하는 process #2 특정 제품군에서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기업이 시장 확대, 신시장 창출 등의 목적을 가지고 기술로드맵을 작성하려고 하는 경우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음

[그림 6-4] 로드맵 프로세스 concept 1

- 장점• 기업의 목적에 적합한 형태로 roadmap process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 모듈별로 scope (분석 범위, 분석 방법론 등) 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 원하는 지원 수준을 맞추는 것이 가능함

- 단점• 제공 가능한 모듈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 각 모듈에서 활용가능한 방법론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 또한 기업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

○ Concept 2. 특정 module만을 지원하는 형태

- 정의한 표준 모듈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중소기업이 수행하기를 원하는 모듈에 한해서만 지원하는 concept

- Process 예시• Process #1은 시장분석 및 내외부 환경분석, 제품분석 및 전략제품 도출에 대한

지원만을 원하는 경우로, 기술에 대한 역량은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으나, 시장

- 153 -

및 제품과 관련된 부분에서 역량이 부족한 기업에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음• Process #2는 시장분석 및 내외부 환경분석에 대한 지원만을 원하는 경우로,

concept 2에서의 process #2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으나, 제품분석, 기술분석에 대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 기업에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음

[그림 6-5] 로드맵 프로세스 concept 2

- 장점• 전체 모듈에 대한 지원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

적으로 적음• 기업의 역량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보완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음

- 단점• 로드맵 전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기에 실무 당사자와의 의사소통과 자료

및 정보의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지원 대상 기업과 KISTI 간 긴밀한 협업이 지속되어야 함

○ Concept 3. Module 별 세부사항 선택(Module 세부화)

- 정의한 4가지 모듈 중, 로드맵 전개를 제외한 세 가지 모듈을 더욱 세분화하여, 모듈 단위가 아니라 각 모듈의 세부적인 분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concept

- Process 예시• Process #1과 Process #2의 경우, 같은 모듈이라 하더라도 전혀 다른 방법론을

선택하여 로드맵핑을 수행하는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업의 니즈에 좀 더 적합한 로드맵핑 process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154 -

[그림 6-6] 로드맵 프로세스 concept 3

- 장점• 기업이 로드맵 작성 역량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도, 특정 분석 방법론에 대한 지원을

제안해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해보고자 할 때 활용 가능할 것이며 분석 수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좀 더 기업에 적합한 로드맵핑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단점• 모듈을 세분화하였기 때문에 복잡도가 가장 크고, 수행이 가장 어려움• 한정된 시간, 비용으로는 수행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

- 155 -

제 7장 결론 및 추후연구

제 1절 연구 결과

□ 요약

◯ 최근 글로벌화로 인한 경쟁이 심화되고 과학기술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함에 따라 중소 기업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품질관리나 비용절감과 같은 전통적인 경쟁 전략을 가지 고 지속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짐

- 때문에 혁신을 통한 경쟁력 제고가 기업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고, 혁신 역량 강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짐

◯ 대기업의 경우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프로세스가 잘 구축되어 있는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임

-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혁신역량 수준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혁신역량 진단을 위한 진단지표 개발, 체계적인 진단 프레임워크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역량 진단지표 및 진단 프 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을 도출하기 위해 크게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을 다루고 있음

- 첫째, 국내·외 혁신역량 진단 사례에 대한 분석과 벤치마킹을 통해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하였음

∙ 국내·외 혁신역량 진단 사례에 대한 분석은 한국, 유럽, 미국 중심의 공공/민간 서 비스 및 솔루션을 대상으로 기존의 혁신역량 진단 관련 프로그램 및 지원시스템에 초 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음

∙ 진단 프로그램의 경우 평가목적(혁신역량 진단의 목적 등), 평가지표(주요 평가대상 등), 평가체계(평가자, 피평가자, 평가자료 수집방안 등), 평가척도(정량/정성평가 등 측정방법, 기준 등)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음

∙ 지원 시스템의 경우 진단 프로그램 운영방안(온/오프라인 등)과 진단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등에 초점을 맞추며 공공 서비스 및 솔루션의 경우 지원 범위와 지원 프로세스 등

- 156 -

에 대한 조사를 추가함

∙ 이외에도 중소기업 혁신역량 관련 연구를 조사하여 최신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 하였음

∙ 위의 기존사례 조사결과를 벤치마킹하여,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진단 프레임워크 및 지 표를 개발하고, 진단 프로세스를 구성하였음 ①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에 앞서 평가의 방향과 목적을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 으며 R&D 혁신역량에 대한 정확한 범위를 설정함 ② 평가 프레임워크에 따라 적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지표의 특성에 맞게 적합 한 평가체계를 개발함 ③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와 체계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와 평가 방법론을 개발함

- 둘째, 혁신역량 진단평가 결과를 KISTI의 사업역량과 연계하여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R&D 혁신역량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혁신역량강화를 위한 R&D 기획지원 방안을 제안함 ∙ 중소기업에 진단평가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진단리포트 템플릿을 개발하였으며,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형태가 존재함 ① 자가진단용: 중소기업이 혁신역량에 대한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시간에 따라 역량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역량강화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지원함 ② 비교평가용: 타기업, 경쟁기업과의 비교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우위, 비교 열위에 있는 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지원방안을 제공함 ③ 성과측정용: KISTI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KISTI 사업 참여 전과 사 업 참여 후의 성과를 비교측정하여 KISTI 사업의 효과를 측정함 ∙ 중소기업의 역량강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KISTI의 사업역량과 혁신역량진단 영역 간의 연계방안을 수립함 ∙ 이외에도 중소기업청에서 시행중인 사업에 대한 조사를 통해 그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 였음

- 중소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을 위해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방안을 도출하고 hands-on-toolkit』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이를 위해 국내·외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사례들을 분석, 벤치마킹을 수행하고, 국

- 157 -

내 중소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기술로드맵에 니즈를 도출, 이를 반영하여 중소 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hands-on-toolkit을 개발하였 음 ∙ 제안 방법론은 영국 cambridge 대학의 T-plan과 싱가포르의 OTR process를 기반으 로 하되, 중소기업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participatory, active), 빠른 시간 내에 (quick), 창의적이고(creative), 탐험적으로 (exploratory), 관련분야의 지식을 수집, 구조화, 공유하여 기술기획을 수행하는데 초점을 맞춤

□ 시사점

◯ 급속도로 변화하는 과학기술 환경과 글로벌화로 인한 경쟁의 심화는 중소기업으로 하 여금 기존의 품질관리, 비용절감과 같은 전통적 경쟁전략으로는 지속성장과 경쟁력 제 고를 도모하기 매우 어렵게 만듦

-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전반적인 혁신역량강화 프로세스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혁신역량강화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 특히 국내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혁신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 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R&D 혁신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해 줄 수 있는 역량 진 단 프레임워크 및 관련도구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필요함

◯ 기존의 혁신역량진단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진단결과를 리포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 안을 도출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춰옴

- 그러나 실제 중소기업에 있어 보다 중요한 점은 부족한 혁신역량에 대한 강화 및 개 선방안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어떠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해당 지원에 대한 상 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또한 중요함

- 따라서, 기존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사업과 연계한 혁신역량강화 체계에 대한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함

◯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에 따라 실시한 pilot test 결과를 보면, 중소기업들은 경영역량, 혁신역량에 비해 기획역량, 수행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기획역량, 수행역량 중 특히 기획역량은 KISTI의 지원사업인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작성 지원사업’, ‘중소기업 R&D 기획지원사업’, ‘기술/시장정보 분석사업’ 등과 연계

- 158 -

하였을 때 효과적인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또한 수행역량의 경우 중소기업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이전기술개발 사업’, ‘중소기업 간 협업사업지원’ 등의 사업과 연계하였을 때 효과적인 지원이 가능할 것으 로 판단됨

- 따라서, 혁신역량진단 결과와 KISTI, 중소기업청 등의 정부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존사업 간의 연계방안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존재함

◯ 중소기업의 기술로드맵에 대한 니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시장분석 및 환경분석, 제품분석 및 전략도출, 기술분석 및 요소기술 도출 등의 다양한 니즈가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남

- 기존의 로드맵핑 프로세스의 경우 일반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중소기업 의 니즈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로드맵을 작성하는 것은 쉽지 않았음

-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중소기업형 로드맵핑 프로세스는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 고자 시도하였으며, 추후 맞춤형 중소기업 로드맵핑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pilot test와 기술로드맵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 중소기업의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획역량, 수행역량에 대 한 역량강화 지원에 중소기업의 니즈를 반영한 기술로드맵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 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 그러나, 매우 다양한 형태의 중소기업의 니즈를 반영한 로드맵핑 프로세스를 제안하 는 것은 쉽지 않음

- 따라서, 기술로드맵 뿐만 아니라 KISTI가 보유한 정보인프라와 같은 다른 역량을 함 께 활용한다면 혁신역량강화에 좀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159 -

제 2절 한계점 및 추후과제

□ 혁신역량 진단 지표 개선

○ 본 연구에서는 혁신역량 평가의 목적을 ‘평가’가 아닌 ‘진단’으로 정의하고 기업간 비교평가 보다는 개별기업에 대한 특성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추후 진단모형에서 평가모형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개발된 진단지표를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임

- 이를 위해서는 개발된 진단평가 모형을 다수 기업에 적용하여 진단결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할 것이며, 비교평가 대상 기업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 (예. 업종, 종업원 수, 매출액 등)을 고안해야 할 것임

- 추후 성과가 우수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R&D 혁신역량 평가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벤치마킹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활용하여 개선대상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을 것임

○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진단기준 및 진단지표 도출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헌조사와 사례분석 결과, 중소기업 전문가 의견에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 실증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지표를 도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였음

- 실증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제 기업들의 진단평가 자료가 필요함

- 진단결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확보된다면 고성과 기업과 저성과 기업의 R&D 혁신역량 진단결과를 비교분석하거나, 기업성과와 R&D혁신역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기업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부역량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임

○ 또한 본 연구에서는 R&D혁신역량 진단 프레임워크 개발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종업원 10명~50명 수준의 기술기반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진단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나, 추후 지속적인 적용을 통해 개발된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작업이 필요할 것임

- 진단지표(예. 진단지표의 확장 혹은 맞춤화), 진단방식(예. 진단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의 상대평가 항목이 아닌 절대평가 항목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 용어 등에 대한 지속적인 수정 보완이 필요함

- 160 -

- 또한 업종별 특성(서비스업 등)을 반영하거나 기업의 진단목적에 따라 맞춤화된 진단모형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임

상대평가 항목이 아닌 절대평가 항목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임

□ 혁신역량강화 지원방안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R&D혁신역량 진단결과를 진단대상 기업에 제공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형태의 진단리포트 템플릿을 작성하고 진단결과와 진단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을 함께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음

- 특히, 혁신역량강화를 위해 KISTI, 중소기업청 주관사업을 연계하여 개선방안을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해당사항이 없는 경우 KISTI 역량에 기반한 신규사업을 제안 하는 형태를 띠고 있음

- 그러나 KISTI, 중소기업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 지원할 수 없는 혁신역량분야가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기업별로 매우 상이한 형태의 진단결과를 나타낼 경우 신규사 업을 제시하는 것 또한 쉽지 않음

○ 따라서, KISTI, 증소기업청의 보유역량이 cover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보완이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는 크게 세 가지 concept으로 구성됨

- 세 가지 concept 중 concept 1, concept 2의 경우 표준화가 가능하고 기업에 니즈에 따라 대응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함

- 그러나 concept 3의 경우 기업에서 원하는 기술로드맵 작성범위, 작성방법론 등이 매 우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작성범위가 지나치게 넓어지거나 많은 분석이 요구될 경우 중소기업 측면에서 기술로드맵 작성이 어려울 수 있음

○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보완이 추후과제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전체적인 기술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또한 보다 정교화될 필요가 있음

- 161 -

참고문헌

김길선 외, “가치사슬 성과측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서강경영논총, 14(2), 23-51, 2003. 김승일, “중소기업의 경쟁역량 조사, 평가에 관한 연구 - 지식 관점의 경쟁역량 평가 모델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기본연구 05-18, 중소기업연구원, 2005. 김주일,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이 비교우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동차 부품기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신인화 외, “AHP를 활용한 경영혁신형중소기업 평가지표 가중치 설정”,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0(3), 150-157, 2007. 신현재 외,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평가지표의 개발”, 대한설비관리학회지, 4(3), 31-69, 1999. 장지호 외,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조사 및 평가지표에 관한 고찰”, 한국공공관리학보, 20(2), 241-267, 2006. 조영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실태 및 역량 평가”, 과학기술정책, 2009년 겨울호, 26-32, 2009. 한경석 외, “중소기업의 구조혁신 자금지원을 위한 경쟁력 평가 전략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22(2), 19-44, 2000.

Bain, J. S., “Barriers to new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56.

Bain, J. S., “Industrial Organization”, Wiley: New York, 1959.

Burgelman, R. A. et al.,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Irwin, 1988.

Chiesa, V. et al., “Development of a Technical Innovation Audit”, Journal of Products Innovation Management, 13(2), 105-136.

Eikebrokk, T. R. et al.,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ompetency

- 162 -

factors affecting e-business success in European SMEs”, Information and Management, 44(4), 364-383, 2007.

Elmquist, M. et al., “The Value of a ‘failed’ R&D project: and emerging evaluation framework for building innovative capabilities”, R&D Management, 39(2), 136-152, 2009.

Evangelista, R. et al., “Nature and impact of innovation in manufacturing: some evidence from the Italian innovation survey”, Research Policy, 26(4-5), 521-536, 1997.

Guan, J. et al., “Innovative capability and export performance of Chinese firms”, Technovation, 23(9), 737-747, 2003.

Hervas-Oliver, J. et al., “Making sense of innovation by R&D and non-R&D innovators in low technology contexts: A forgotten lesson for policymakers”, Technovation, 31(9), 427-446, 2011.

Holmes, C. et al., “The application of Operation and Technology Roadmapping to aid Singaporean SMEs identify and select emerging technolog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2(3), 349-357, 2005.

Lucas, B. A. et al., “Strategic Market Position and R&D Capability in Global Manufacturing Industries: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Memory”,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29(6), 565-574, 2000.

Martinez-Roman, J. A. et al., “Analysis of innovation in SMEs using an innovative capability-based non-linear model: A study in the province of Seville (Spain)”, Technovation, 31(9), 459-475, 2011.

Mason, E. S., “Price and Production Policies of Large-Scale Enterprise”, American Ecnonomic Association, 29(1), 61-74, 1939.

- 163 -

Phaal, R. et al., “Technology roadmapping-A planning framework for evolution and revolu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1(1-2), 5-26, 2004.

Romijn, H. et al.,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electronics and software firms in southeast England”, Research Policy, 31(7), 1053-1067, 2002.

Yarn, R. C. M. et al., “An aud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hinese firms: some empirical finding in Beijing, China”, Research Policy, 33(8), 1123-1140, 2004.

- 164 -

[부록 1] 진단기준 가중치 평가표

1. 진단기준 가중치 전문가 평가 설문지

중소기업 R&D 혁신역량 진단기준 중요도 평가본 조사는 통계법 제33

조(비밀의 보호)에 따라

통계목적으로 이용됩니다.

안녕하십니까? 본 조사는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항목 중 어떤 항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파악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진단을 위한 항목들은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추출되었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가중치 설정을 위해 본 설문을 실시하고자 합니다.

진단항목은 2개의 대분류, 4개의 중분류, 13개의 소분류, 37개 평가기준으로 구분되며, 가중치 평가는 소분류 수준에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은 10분 내외입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부디 바쁘시더라도 협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이란 R&D를 통해 성공적인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역량을 의미하며 이는 크게 다음 두 가지 역량으로 구성됩니다.

• 일반역량: 일반역량이란 R&D를 통해 성공적인 혁신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원과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역량을 의미합니다. 일반역량 진단에서는 기업경영과 혁신전반에 걸친 중소기업의 기초적인 역량을 파악하고자 합니다.

• R&D역량: R&D역량이란 R&D를 통해 성공적인 혁신을 창출할 수 있도록 R&D 과제를 기획하고 운영하여 사업화 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역량을 의미합니다. R&D역량 진단에서는 R&D 프로세스에 대한 중소기업 역량을 보다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진단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진단항목들이 1차적으로 추출되었습니다. 진단의 대상은 『10~50인 규모의 기술기반 제조업』에 속한 중소기업입니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부 측정 기준

일반 역량

경영역량

경영진 혁신리더십, 전문성재무 매출수준, R&D투자조직 조직구성, 교육훈련생산 생산관리, 설비관리, 품질관리판매/마케팅 마케팅관리, 고객관리, 판로확보

혁신역량혁신주체 구성원, R&D인력혁신성과 보유성과, 경쟁력혁신인프라 지원체계, 혁신문화

R&D

역량

기획역량기회발굴 환경분석, 역량분석, 아이디어관리, 변화관리전략기획 전략초점, 전략범위, 주요기법, 과제분석정보지원 정보수집, 정보분석, 정보활용, 정보공유

수행역량 기술개발 기술개발 프로세스, 기술협력, 장비확보상용화 및 사후관리 공급관리, 사업화, 기술 활용도, 성과관리

- 165 -

A. 대분류 가중치

A1.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진단하는데 있어 일반역량과 R&D역량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각각의 중요도를 입력해 주시되, 두 대분류의 중요도 합은 100이 되어야 합니다.

대 분 류 중 요 도 (%)

일 반 역 량 ( )

R&D 역 량 ( )

총 합 100 %

B. 소분류 가중치

B1. (일반역량)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중 '일반역량'을 진단하는데 있어 각 소분류 항목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8개 소분류의 합은 100이 되어야 합니다.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중 요 도 (%)

일반 역량

경영역량

① 경영진 ( )

② 재무 ( )

③ 조직 ( )

④ 생산 ( )

⑤ 판매/마케팅 ( )

경영역량 중요도 합 ( )

혁신역량⑥ 혁신주체 ( )

⑦ 혁신성과 ( )

⑧ 혁신인프라 ( )

혁신역량 중요도 합 ( )

총 합 100 %

① 경영역량: 매출, 인사, 제조 등 기초적인 경영자원과 인프라로, 혁신기반 제공② 혁신역량: 기업이 보유한 핵심적인 기술자원과 인프라로, 혁신활동 촉진

B2. (R&D역량) 중소기업의 R&D 혁신역량 중 'R&D역량'을 진단하는데 있어 각 소분류 항목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5개 소분류의 합은 100이 되어야 합니다.

- 166 -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중 요 도 (%)

R&D 역량기획역량

① 기회발굴 ( )

② 전략기획 ( )

③ 정보지원 ( )

기획역량 중요도 합 ( )

수행역량④ 기술개발 ( )

⑤ 상용화 및 사후관리 ( )

수행역량 중요도 합 ( )

총 합 100 %

① 기획역량: 외부환경 모니터링과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 미래 사업의 유망기회를 발굴하고 적절한 R&D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

② 수행역량: R&D 과제를 통해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진행하고 수행하고 적절한 지원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

- 감사합니다 -

2. 설문조사 결과

A. 대분류 가중치

대분류 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전문가7

전문가8

전문가9

산술 평균

일반 역량 50 40 40 60 60 40 40 40 46.25

R&D 역량 50 60 60 40 40 60 60 60 53.75

B. 중분류 가중치

대분류 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전문가7

전문가8

전문가9

산술 평균

경영 역량 60 70 50 60 60 40 40 60 55

혁신 역량

40 30 50 40 40 60 60 40 45

기획 역량

40 60 60 30 55 60 60 60 53.125

수행 역량 60 40 40 70 45 40 40 40 46.875

- 167 -

C. 소분류 가중치

대분류 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전문가7

전문가8

전문가9

산술 평균

경영진 15 20 10 18 30 10 10 15 16

재무 10 15 10 15 15 10 10 15 12.5

조직 10 105 ->

109 5 5 5 10 8.00

생산 15 10 5 6 5 5 5 10 7.625

판매/ 마케팅 10 15 15 12 5 10 10 10 10.875

혁신주체 10 10 20 20 20 20 30 15 18.125

혁신성과 20 10 10 8 15 20 15 10 13.5

혁신 인프라 10 10 20 12 5 20 15 15 13.375

기회발굴 15 20 20 6 30 20 15 20 18.25

전략기획 20 20 30 15 15 2020 ->

3015 19.375

정보지원 5 20 10 9 10 20 15 25 14.25

기술개발 40 20 20 28 30 20 20 25 25.375

상용화 및

사후관리20 20 20 42 15 20 20 15 21.5

D. 최종 평가 결과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전문가7

전문가8

전문가9

산술평균

일반역량

경영역량

경영진 7.5 10.8 8 4 18 4 4 6 7.79

재무 5 9 6 4 9 4 4 6 5.88

조직 5 5.4 4 4 3 2 2 4 3.68

생산 7.5 3.6 4 2 3 2 2 4 3.51

판매/마케팅

5 7.2 6 6 3 4 4 4 4.90

혁신역량

혁신주체 5 12 4 8 12 8 12 6 8.38

혁신성과 10 4.8 4 4 9 8 6 4 6.23

혁신인프라

5 7.2 4 8 3 8 6 6 5.90

R&D

역량

기획역량

기회발굴 7.5 2.4 12 12 12 12 9 12 9.86

전략기획 10 6 12 18 6 12 18 9 11.38

정보지원 2.5 3.6 12 6 4 12 9 15 8.01

수행역량

기술개발 20 11.2 12 12 12 12 12 15 13.28

상용화 및 사후관리

10 16.8 12 12 6 12 12 9 11.23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168 -

[부록 2] 진단방법 평가표

□ 평가 프로세스

◌ 진단방법에 대한 평가는 1차적으로 도출된 70개 핵심지표에 대해 수행되었음

- 본 평가결과에 기반하여 2차적으로 50개 핵심지표를 도출하였으며, 50개 핵심지표를 정리하여 40개 핵심지표를 도출하였음

- 따라서, 최종적인 40개 핵심지표와 그 구성과 명칭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지표 자체에 대한 평가 (p. 157, p. 158 참조)

□ 측정방법에 대한 평가 (p. 159, p. 160 참조)

- 169 -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평균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경영역량

경영진혁신리더십 혁신의지 4 4 5 5 5 4 5 5 5 5 4.8 4.6

추진력 4 5 5 5 5 5 5 5 5 5 4.8 5

전문성 기술이해 3 4 4 4 5 4 5 5 5 5 4.4 4.4

경력 4 4 3 3 4 4 5 5 5 5 4.2 4.2

재무매출 절대매출액 4 4 3 3 4 3 5 5 5 5 4.2 4

매출액증가 5 4 3 3 4 4 5 5 5 5 4.4 4.2

R&D투자 절대투자액 4 4 5 5 5 4 4 3 3 3 4.2 3.8

투자율1 5 4 5 4 5 4 5 4 5 5 5 4.2

조직조직구성

R&D인력규모 5 4 5 5 5 4 4 3 3 3 4.4 3.8

R&D인력비중 5 4 5 5 5 4 5 4 3 3 4.6 4

R&D조직 3 3 5 5 4 4 5 3 5 5 4.4 4

교육훈련 교육훈련수준 3 3 4 4 5 4 5 5 3 3 4 3.8

인프라 3 3 5 5 4 3 4 3 4 2 4 3.2

생산생산관리 생산운영관리수준 2 3 4 4 4 3 5 4 4 3 3.8 3.4

설비관리 설비관리수준 3 2 3 3 4 3 5 4 3 3 3.6 3

품질관리 품질관리수준 3 2 4 4 4 3 5 5 3 3 3.8 3.4

판매/마케팅

마케팅관리 마케팅관리수준 2 2 4 4 4 2 4 3 5 3 3.8 2.8

고객관리 고객관리수준 1 1 4 4 3 2 4 3 3 3 3 2.6

판로관리 판로확보역량 2 2 5 5 4 2 4 3 4 4 3.8 3.2

기술역량

혁신주체

혁신역량

학습자세 4 3 5 5 5 4 4 3 3 3 4.2 3.6

열정 4 3 5 5 5 4 4 3 3 3 4.2 3.6

자율성 3 3 5 5 5 4 4 3 3 3 4 3.6

일체성 3 3 5 5 5 4 4 3 3 3 4 3.6

만족도 2 3 5 5 5 4 4 3 3 3 3.8 3.6

경력 2 3 3 4 4 4 4 3 3 3 3.2 3.4

R&D 인력 경력 3 2 4 4 4 4 4 3 4 4 3.8 3.4

실적 3 3 4 4 4 4 4 3 2 2 3.4 3.2

혁신성과

보유성과기술성과 4 3 4 4 5 5 5 4 2 2 4 3.6

시장성과 4 3 5 5 5 5 3 3 2 2 3.8 3.6

IP성과 3 3 4 4 4 4 5 4 4 4 4 3.8

경쟁력 해외시장 기술경쟁력 3 4 5 3 4 4 5 5 2 2 3.8 3.6

내수시장 기술경쟁력 3 4 4 5 4 4 5 4 2 2 3.6 3.8

혁신프로세스

인프라 보상체계 3 3 4 3 4 4 4 3 2 2 3.4 3

네트워킹 2 2 5 5 3 3 4 3 4 3 3.6 3.2

관리개선 성과분석 2 2 5 3 3 3 5 4 2 2 3.4 2.8

혁신문화

조직일체성 2 2 4 4 4 4 4 3 2 2 3.2 3

적극성 2 2 4 4 4 4 4 3 2 2 3.2 3

친화력 2 2 4 4 4 4 4 3 2 2 3.2 3

반응력 3 2 4 4 4 4 4 3 2 2 3.4 3

창의문화 3 3 4 4 4 4 5 4 4 3 4 3.6

동기부여 2 3 4 4 4 4 5 4 4 3 3.8 3.6

평가문화 3 3 4 4 4 4 5 4 4 3 4 3.6

위험감수도 3 3 4 4 4 4 5 4 4 3 4 3.6

재충전 2 3 4 4 4 4 5 4 4 3 3.8 3.6

- 170 -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평균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지표중요도

중소기업적합성

기획역량

전략기획

환경분석

기술개발환경 3 4 4 4 5 3 5 3 4 4 4.2 3.6

경쟁환경 3 4 5 5 5 3 5 3 3 3 4.2 3.6

제품환경 4 4 4 3 4 3 5 4 3 3 4 3.4

기술이해도 4 4 5 4 4 3 4 3 3 3 4 3.4

시장이해도 4 4 5 4 4 3 4 4 3 3 4 3.6

역량분석

기술개발역량 4 3 5 4 5 4 5 3 3 3 4.4 3.4

벤치마킹 4 3 5 4 4 3 5 3 4 3 4.4 3.2

제품경쟁력 3 3 - - 4 3 4 3 2 2 3.25 2.75

기술경쟁력 3 3 - - 4 3 4 3 3 3 3.5 3

기술분석력 2 3 - - 4 3 4 3 2 2 3 2.75

아이디어 관리

수집체계 2 3 4 3 4 3 5 5 4 4 3.8 3.6

분석체계 3 3 5 4 4 3 5 4 2 2 3.8 3.2

변화관리 기술변화 2 3 4 3 5 4 5 3 3 3 3.8 3.2

시장변화 3 3 4 4 4 3 4 3 3 2 3.6 3

전략초점 목표설정 3 4 4 3 4 4 5 5 4 4 4 4

전략범위 중장기전략 4 4 4 3 3 3 4 3 4 4 3.8 3.4

실행계획 4 4 4 4 4 3 4 3 4 4 4 3.6

주요기법시장기획 3 4 5 5 3 2 3 3 3 3 3.4 3.4

기술기획 4 4 5 5 3 2 3 3 3 3 3.6 3.4

과제기획 3 4 - - 3 3 4 3 2 2 3 3

과제분석 타당성분석 3 4 5 5 3 3 5 3 1 1 3.4 3.2

위험분석 3 4 5 4 3 3 5 3 1 1 3.4 3

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프로세스 표준화 3 3 4 3 3 2 5 3 1 1 3.2 2.4

기술보완 3 3 4 4 3 3 4 3 4 3 3.6 3.2

성과관리 4 3 4 3 3 3 5 3 2 2 3.6 2.8

기술협력

협력수준 3 3 5 5 3 3 5 3 2 2 3.6 3.2

협력경험 4 3 4 4 4 4 5 4 2 2 3.8 3.4

추진형태 3 3 - - 4 4 4 4 2 2 3.25 3.25

협력인프라 4 3 - - 4 3 4 5 1 1 3.25 3

장비확보 연구장비 3 3 4 4 4 3 4 4 3 2 3.6 3.2

테스트장비 3 3 4 4 3 2 5 4 4 3 3.8 3.2

상용화 및 사후

관리

공급관리 재료/부품 3 3 4 3 3 3 4 3 3 2 3.4 2.8

사업화

시장도입전략 3 3 5 4 4 3 4 3 4 4 4 3.4

마케팅전략 2 2 5 4 4 3 4 3 4 4 3.8 3.2

IP전략 2 2 5 5 5 3 4 3 5 5 4.2 3.6

사업화경험 3 2 5 5 5 5 5 5 5 4 4.6 4.2

외부네트워크 2 2 3 3 4 4 3 3 4 4 3.2 3.2

기술표준화 2 2 4 3 3 3 5 5 2 2 3.2 3

활용도활용 3 2 4 3 3 3 4 3 2 2 3.2 2.6

보호 4 3 4 3 3 2 5 5 5 4 4.2 3.4

인증 3 3 5 4 3 2 4 3 4 4 3.8 3.2

정보역량

수집/분석

수집 정보원천 2 3 5 4 3 2 4 3 3 3 3.4 3

수집역량 2 3 5 5 3 3 3 3 2 2 3 3.2

분석 전담인력 2 3 5 4 3 2 4 3 3 1 3.4 2.6

분석역량 3 4 4 3 3 2 4 3 3.5 2.4

활용/공유

활용 활용수준 4 4 5 5 3 3 4 3 2 2 3.6 3.4

공유 공유수준 4 4 5 5 3 3 4 3 2 2 3.6 3.4

- 171 -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평균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경영역량

경영진혁신리더십 혁신의지 1 1 2 3 2 2 4 3 3 3 2.4 2.4

추진력 1 1 2 3 1 1 3 3 4 2 2.2 2

전문성 기술이해 1 1 4 4 2 2 5 5 2 2 2.8 2.8

경력 2 2 5 4 4 3 5 5 5 5 4.2 3.8

재무매출 절대매출액 4 3 5 4 5 5 5 5 3 3 4.4 4

매출액증가 4 3 5 4 5 5 5 5 5 4 4.8 4.2

R&D투자 절대투자액 4 3 5 5 - - 5 5 5 4 4.75 4.25

투자율1 4 3 4 4 5 5 5 5 5 5 4.6 4.4

조직조직구성

R&D인력규모 3 3 5 5 - - 5 5 5 5 4.5 4.5

R&D인력비중 4 3 5 5 4 4 5 5 5 5 4.6 4.4

R&D조직 5 3 5 5 4 4 5 5 5 5 4.8 4.4

교육훈련 교육훈련수준 4 3 3 3 3 3 5 5 2 2 3.4 3.2

인프라 3 2 2 3 3 3 3 3 2 2 2.6 2.6

생산생산관리 생산운영관리수준 2 3 4 4 2 2 5 5 4 4 3.4 3.6

설비관리 설비관리수준 4 2 4 3 2 2 5 5 3 3 3.6 3

품질관리 품질관리수준 3 3 4 3 2 2 5 5 3 3 3.4 3.2

판매/마케팅

마케팅관리 마케팅관리수준 3 3 3 3 2 2 3 3 2 2 2.6 2.6

고객관리 고객관리수준 3 3 3 4 2 2 4 3 2 2 2.8 2.8

판로관리 판로확보역량 2 3 2 3 1 2 3 3 2 2 2 2.6

기술역량

혁신주체

혁신역량

학습자세 2 3 2 3 1 1 3 3 1 1 1.8 2.2

열정 2 3 2 3 1 1 3 3 1 1 1.8 2.2

자율성 2 3 2 3 1 1 3 3 1 1 1.8 2.2

일체성 2 3 2 3 1 1 3 3 1 1 1.8 2.2

만족도 2 3 2 3 1 1 3 3 1 1 1.8 2.2

경력 3 3 3 2 4 3 5 5 5 5 4 3.6

R&D 인력 경력 3 3 4 3 4 3 5 5 5 5 4.2 3.8

실적 2 3 3 3 4 3 5 5 2 2 3.2 3.2

혁신성과

보유성과기술성과 3 3 3 4 2 2 5 5 2 2 3 3.2

시장성과 2 3 4 4 2 2 5 3 2 2 3 2.8

IP성과 3 3 5 3 4 3 4 4 5 5 4.2 3.6

경쟁력 해외시장 기술경쟁력 3 3 3 3 2 2 4 4 2 2 2.8 2.8

내수시장 기술경쟁력 3 3 3 3 2 2 3 3 2 2 2.6 2.6

혁신프로세스

인프라 보상체계 3 3 3 4 2 2 3 3 5 4 3.2 3.2

네트워킹 2 3 2 3 2 2 3 3 2 2 2.2 2.6

관리개선 성과분석 2 3 2 3 2 2 5 5 1 1 2.4 2.8

혁신문화

조직일체성 2 2 2 4 1 2 3 3 1 1 1.8 2.4

적극성 2 2 2 4 1 2 3 3 1 1 1.8 2.4

친화력 2 2 2 4 1 2 3 3 1 1 1.8 2.4

반응력 2 2 2 4 1 2 3 3 1 1 1.8 2.4

창의문화 2 2 2 4 1 2 3 3 1 1 1.8 2.4

동기부여 2 2 2 4 1 2 3 3 1 1 1.8 2.4

평가문화 2 2 2 4 1 2 3 3 1 1 1.8 2.4

위험감수도 2 2 2 4 1 2 3 3 1 1 1.8 2.4

재충전 2 2 2 4 1 2 3 3 1 1 1.8 2.4

- 172 -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전문가1 전문가2 전문가3 전문가4 전문가5 평균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측정용이성

측정방법적합성

기획역량

전략기획

환경분석

기술개발환경 3 3 2 4 2 2 5 5 2 2 2.8 3.2

경쟁환경 3 3 2 4 2 2 3 3 4 4 2.8 3.2

제품환경 3 3 3 3 2 2 5 5 4 4 3.4 3.4

기술이해도 3 3 - - - - 4 4 2 2 3 3

시장이해도 3 3 - - - - 3 3 2 2 2.67 2.67

역량분석

기술개발역량 3 3 3 4 2 2 3 3 2 2 2.6 2.8

벤치마킹 3 3 2 3 2 1 4 4 1 1 2.4 2.4

제품경쟁력 3 3 - - - - 3 3 1 1 2.33 2.33

기술경쟁력 3 3 - - - - 3 3 2 2 2.67 2.67

기술분석력 3 3 - - - - 3 3 1 1 2.33 2.33

아이디어 관리

수집체계 2 2 4 4 2 2 5 5 2 1 3 2.8

분석체계 2 2 3 3 2 1 4 4 2 1 2.6 2.2

변화관리 기술변화 2 2 3 4 3 3 3 3 3 2 2.8 2.8

시장변화 2 2 3 3 2 2 3 3 4 4 2.8 2.8

전략초점 목표설정 2 2 3 3 2 1 5 5 4 3 3.2 2.8

전략범위 중장기전략 2 2 4 3 2 2 5 5 4 3 3.4 3

실행계획 2 2 3 3 2 2 5 5 4 4 3.2 3.2

주요기법시장기획 2 2 3 4 2 2 3 3 3 2 2.6 2.6

기술기획 2 2 3 4 2 2 3 3 3 2 2.6 2.6

과제기획 2 2 - - - - 3 3 2 1 2.33 2

과제분석 타당성분석 2 2 3 4 2 2 4 4 1 1 2.4 2.6

위험분석 2 2 3 4 2 2 4 4 2 2 2.6 2.8

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프로세스 표준화 2 3 4 4 2 2 5 5 1 1 2.8 3

기술보완 2 3 2 3 1 2 4 4 1 1 2 2.6

성과관리 2 3 3 3 2 2 4 4 2 2 2.6 2.8

기술협력

협력수준 2 3 3 3 2 2 4 5 2 2 2.6 3

협력경험 2 3 3 3 4 4 5 5 5 2 3.8 3.4

추진형태 3 3 - - - - 4 4 4 4 3.67 3.67

협력인프라 3 3 - - - - 4 3 4 4 3.67 3.33

장비확보 연구장비 2 3 4 4 3 3 5 5 4 2 3.6 3.4

테스트장비 2 3 3 3 2 2 5 5 4 2 3.2 3

상용화 및 사후

관리

공급관리 재료/부품 2 3 4 4 2 2 5 5 4 4 3.4 3.6

사업화

시장도입전략 2 3 3 4 2 2 5 5 2 2 2.8 3.2

마케팅전략 2 3 3 4 2 2 3 3 4 3 2.8 3

IP전략 2 3 3 4 3 3 3 3 5 4 3.2 3.4

사업화경험 3 3 3 3 4 4 5 5 5 3 4 3.6

외부네트워크 4 3 3 3 2 1 3 3 4 2 3.2 2.4

기술표준화 3 3 3 3 2 2 5 5 3 1 3.2 2.8

활용도활용 2 2 3 4 2 2 3 3 4 2 2.8 2.6

보호 2 2 3 4 3 3 5 5 5 3 3.6 3.4

인증 2 2 3 3 3 3 5 5 4 2 3.4 3

정보역량

수집/분석

수집 정보원천 2 3 3 4 3 2 3 3 4 2 3 2.8

수집역량 2 3 3 4 2 2 3 3 3 1 2.6 2.6

분석 전담인력 3 3 3 4 3 3 4 4 3 2 3.2 3.2

분석역량 3 3 4 3 2 2 3 3 - - 2.4 2.2

활용/공유

활용 활용수준 2 3 3 4 2 2 3 3 4 4 2.8 3.2

공유 공유수준 2 3 3 4 2 2 3 3 4 4 2.8 3.2

- 173 -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NO. 설명

경영역량

경영진 전문성 1 경영자의 동종업계 근무경력은 어느 정도인가?

생산 설비관리 2 생산설비 수준과 가동율은 어느 정도인가?

품질관리 3 제품생산/서비스제공을 위한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가?

판매/마케팅 고객관리 4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A/S 체제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는가?

혁신역량

혁신성과

혁신주체

5 종업원들의 동종업계 평균 근속년수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6 현재 기술개발인력의 현 업무와 관련한 평균 기술개발 종사 경력 년 수는 어느 정도인가?

7 현재 기술개발인력의 연평균 1인당 제품 또는 신기술 개발 건수는 동종업계 경쟁기업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보유성과 8 최근 2년간 혁신결과물의 시장출시 성과와 이로 인한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는 어느 정도인가?

경쟁력 9 핵심 보유기술의 주요경쟁국(세계최고)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10 핵심 보유기술의 국내 경쟁기업(국내최고)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혁신 인프라

조직구성 11 기술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지원체계 12 직원들의 혁신 활동에 대한 평가와 보상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는가?

혁신문화 13 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는가?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NO. 설명

기획역량

기회 발굴

환경분석 14 경쟁자의 기술전략과 기술 진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15 경쟁자의 혁신전략과 산업 진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역량분석16 자사의 제품개발 역량을 평가하고 달성 수준을 체크하고 있는가?

17 신제품의 기술경쟁력 분석방법과 분석결과에 대한 대응이 적절한가?

18 자사의 신기술에 대한 기술경쟁력 분석 수준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아이디어 관리

19 제품개발을 위한 사전 아이디어 창출, 관리, 선택 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실행되고 있는가?

20 조직 내·외부의 기술 및 디자인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사업의 미래 추세와 이슈를 분석하는가?

변화관리 21 신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능력이 있는가?

전략기획 주요기법 22 혁신목표설정, 전개 및 혁신과제 선정 방식이 적절한가?

과제분석 23 R&D과제를 수행하기 전, 해당 과제에 대한 위험분석이 이루어지는가?

정보지원 정보수집  24 기술기획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의 원천과 수집방법을 잘 알고 있는가?

수행역량

기술개발프로세스

25 기술개발 단계는 표준화되어 있는가?

26 기술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기술협력 27 기술의 도입이나 이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가?

28 기술사업화 관련 외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가?

상용화 및

사후관리사업화

29 기술표준화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30 개발된 기술을 효율적으로 보관, 관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되어 있는가?

[부록 3] 부가지표 평가표

1. 부가지표 구성

□ 일반역량 구성

□ R&D 역량

- 174 -

2. 부가지표 진단지침

□ 일반역량

평가문항 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경영진 전문성 경력

경영자의 동종업계 근무경력은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10년 이상이다. ② 7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③ 5년 이상 7년 미만이다. ④ 3년 이상 5년 미만이다. ⑤ 3년 미만이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생산 설비관리 설비관리수준

생산설비 수준과 가동율은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90% 이상이다. ② 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80% 이상이다. ③ 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70% 이상이거나

다수의 외주가공업체에 의해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④ 생산설비가 양호하고 최근 6개월간 월평균 생산설비의 가동율이 70% 미만이거나

1~2개의 외주가공업체에 의해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⑤ 생산설비가 심하게 노후화되어 교체가 필요하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75 -

평가문항 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생산 품질관리 품질관리수준

제품생산 및 서비스제공을 위한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제품생산 및 서비스제공을 위한 품질관리에 필요한 활동 지침을 문서화하여 보유하고 있다

② 문서화된 활동 지침과 실제 수행에서의 차이가 발생하면 즉시 시정조치 되고 있다 ③ 문서화된 활동 지침과 실제 수행의 일치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④ 주기적으로 품질 내부감사를 수행하고 있다. ⑤ 목표달성 및 현장 개선을 위해 개선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평가문항 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판매/마케팅 고객관리 고객관리수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A/S 체제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어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마케팅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고객정보 및 고객의 소리(VOC)를 수집․분석하여 활용한다. ② 고객의 요구를 제품설계에 반영하는 절차가 있다. ③ 자사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④ 자사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⑤ A/S(After service) 및 B/S(Before service) 매뉴얼이 작성되어 있고 해당 직원들이

이를 숙지하고 있다. ⑥ A/S(After service) 및 B/S(Before service) 결과는 해당부서에 피드백 되어

재발방지책을 강구하는 데 활용한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76 -

평가문항 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경력

종업원들의 동종업계 평균 근속년수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인사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10년 이상이다. ② 7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③ 5년 이상 7년 미만이다. ④ 3년 이상 5년 미만이다. ⑤ 3년 미만이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주체 R&D인력 경력

현재 기술개발인력의 현업무와 관련한 평균 기술개발 종사 경력년수는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10년 이상이다. ② 7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③ 5년 이상 7년 미만이다. ④ 3년 이상 5년 미만이다. ⑤ 3년 미만이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77 -

평가문항 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주체 R&D인력 실적

현재 기술개발인력의 연평균 1인당 제품 또는 신기술 개발 건수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기업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매우 높다. ② 높은 편이다. ③ 비슷하다. ④ 낮은 편이다. ⑤ 매우 낮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성과 보유성과 시장성과

최근 2년간 혁신결과물의 시장출시 성과와 이로 인한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는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R&D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가 모두 목표치의 100%를 초과 달성하였다. ②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중 적어도 하나는 목표치의 100%를 달성, 나머지 하나

는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③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모두 목표치를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④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중 적어도 하나는 목표치의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⑤ 시장경쟁력 향상도 및 재무성과 모두 목표치의 80% 미만을 달성하였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78 -

평가문항 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성과 경쟁력 해외시장 기술경쟁력

핵심 보유기술의 주요경쟁국(세계최고)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종업원

체크 포인트 ① 세계최고수준과 동등한 수준이다. (최상) ② 세계최고수준의 80% 이상 100% 미만이다. (상) ③ 세계최고수준의 60% 이상 80% 미만이다. (중상) ④ 세계최고수준의 40% 이상 60% 미만이다. (중) ⑤ 세계최고수준의 40% 미만이다. (하)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10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성과 경쟁력 내수시장 기술경쟁력

핵심 보유기술의 국내 경쟁기업(국내최고)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국내최고수준과 동등한 수준이다. (최상) ② 국내최고수준의 80% 이상 100% 미만이다. (상) ③ 국내최고수준의 60% 이상 80% 미만이다. (중상) ④ 국내최고수준의 40% 이상 60% 미만이다. (중) ⑤ 국내최고수준의 40% 미만이다. (하)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79 -

평가문항 1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혁신인프라 조직구성 R&D조직

기술개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공인된 기업 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설립 후 3년 이상 경과). ② 공인된 기업 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설립 후 3년 미만 경과). ③ R&D(기술개발) 전담조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④ 실험실 형태의 R&D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⑤ 기술개발을 하지 않거나 필요시 외부기관에 기술개발을 의뢰하고 있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1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보상체계

직원들의 혁신 활동에 대한 평가와 보상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는가? 주요 응답자: 종업원 체크 포인트 ① 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운영계획에 따라 매우 잘 운

영되고 있다. ② 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운영계획에 따라 비교적 잘

운영되고 있다. ③ 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운영계획은 있으나 반드시 이에 따라

운영되지는 않는다. ④ 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체계적인 운영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 ⑤ 혁신성과에 대한 보상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이 미흡하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0 -

평가문항 1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인프라 혁신문화 조직문화

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는가?

주요 응답자: 종업원 체크 포인트 ① 조직 구성원 모두가 새롭고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실천할 수 있도록 분위기가 조

성되어 있다. ② 업무에 의미와 동기를 부여하여 종업원이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열정을 불러일으킨

다. ③ 종업원들에게 자율권이 주어진다. ④ 경영자는 어느 정도의 계산된 위험을 감수할 자세가 되어 있다. ⑤ 업무수행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며 재충전의 기회가 주어진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81 -

□ R&D 역량

평가문항 1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환경 분석 기술이해도

경쟁자의 기술전략과 기술 진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1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환경 분석 시장이해도

경쟁자의 혁신전략과 산업 진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2 -

평가문항 1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역량분석 제품경쟁력

자사의 제품 개발의 역량을 평가하고 달성 수준을 체크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1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역량분석 기술경쟁력

신제품의 기술경쟁력 분석방법과 분석결과에 대한 대응이 적절한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3 -

평가문항 1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역량분석 기술분석력

자사의 신기술에 대한 기술경쟁력 분석 수준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매우 높다. ② 높은 편이다. ③ 비슷하다. ④ 낮은 편이다. ⑤ 매우 낮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1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아이디어관리 수집체계

제품개발을 위한 사전 아이디어 창출, 관리, 선택 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실행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론(TRIZ 등)을 활용한다. ② 내부 및 외부 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체계(정기미팅, 아이디어 함 등)가 구축되어 있다 . ③ 아이디어의 공유 및 재활용을 위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④ 우수한 아이디어에 대한 보상 지침을 활용한다. ⑤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아이디어 평가 및 선택이 이루어진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84 -

평가문항 20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아이디어관리 분석체계

조직 내,외부의 기술 및 디자인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사업의 미래 추세와 이슈에 대한 분석을 수행 하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2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변화관리 시장변화

신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능력이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판매촉진 전략을 수립하여 판매 채널을 매우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②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판매촉진 전략을 수립하며 판매채널을 비교적 능동적으로 변화시킨다.

③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판매촉진 전략수립이나 판매채널 변화 등 능동적 대응은 다소 미흡하다.

④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판매촉진 전략수립이나 판매채널 변화 등의 대응이 매우 미흡하다.

⑤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상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5 -

평가문항 2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주요기법 과제기획

혁신목표 설정, 전개 및 혁신과제 선정 방식이 적절한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2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과제분석 위험분석

R&D과제를 수행하기 전, 해당 과제에 대한 위험분석이 이루어지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발생 가능한 위협을 파악하고 목록화 한다. ② 파악한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한다. ③ 파악한 위협에 대한 자산별 취약성을 평가한다. ④ 위협에 대한 취약성을 낮추거나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보호대책을

조치한다. ⑤ 위험분석 및 보호대책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86 -

평가문항 2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정보지원 수집 수집역량

기술기획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의 원천 및 수집방법을 잘 알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2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 프로세스 표준화

기술개발 단계는 표준화되어 있는가?

주요 응답자: R&D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표준화, 명문화 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세부 프로세스 간 연계 및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매우 잘 이루어지고 있다.

② 표준화, 명문화 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세부 프로세스 간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③ 표준화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명문화되어 있으나 실제 이에 따라 기술개발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④ 표준화된 기술개발 프로세스가 존재하나,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다. ⑤ 기술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7 -

평가문항 2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 정보수집분석

기술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매우 높다. ② 높은 편이다. ③ 비슷하다. ④ 낮은 편이다. ⑤ 매우 낮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평가문항 2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개발 기술협력 협력인프라

기술의 도입이나 이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전담부서가 존재한다. ② 전담부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전담인력이 존재한다. ③ 전담부서나 전담인력은 존재하지 않지만 필요시 전문지원 인력을 제공한다. ④ 전담인력이 아닌 내부인력을 활용한다. ⑤ 특별한 협력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내부역량도 부족하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8 -

평가문항 2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사업화 외부네트워크

기술사업화 관련 외부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기술 사업화를 위해 외부 전문가 집단을 활용한다. ② 기술 사업화를 위해 외부 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소, 해외연구소 등)과 네트워킹을 수행

한다. ③ 기술 사업화를 위해 정부기관과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④ 기술 사업화를 위해 타기업과 기술협력을 수행한다. ⑤ 기술 사업화를 위해 기술금융 지원기관 (벤처캐피탈, 보증기금 등)과 네트워킹을 수행한

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평가문항 2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사업화 기술표준화

기술표준화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장기 계획에 의거, 매년 기술 표준에 대한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유지관리 (제정, 개정, 폐지) 한 실적이 3년 이상 있다.

② 장기 계획에 의거, 매년 기술 표준에 대한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유지관리(제정, 개정, 폐지)한 실적이 2년 이상 있다.

③ 장기 및 당해년도 기술표준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④ 기술표준 계획은 미흡하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약간의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⑤ 기술표준화가 미흡하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89 -

평가문항 30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사업화 활용

개발된 기술을 효율적으로 보관, 관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되어 있는가?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② 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고 있으며 그 활용도는 보통이다. ③ 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으나 기술개발 인력간의 의사소통에 의해

기술이 공유되고 있다. ④ 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으며 종업원 개인적으로 보관하고 있다. ⑤ 개발된 기술의 보관, 관리, 활용이 미흡하다.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90 -

[부록 4] 핵심지표 평가표

1. 핵심지표 진단지침

□ 일반역량 일반역량(문항 1~16)의 경우 기업 내 전반적인 제품군과 기술군에 대해 평가해 주십시오.

평가문항 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경영진 혁신리더십 혁신의지

기술혁신에 대한 경영자의 의지 및 방침이 정립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사내에 기술혁신에 대한 정신적 일체감이 형성되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종업원 체크 포인트 ① 기술혁신 철학 및 방침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있다. ② 경영자가 기술혁신 관련 종업원교육을 장려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교육을 개최한 실적

이 있다. ③ 기술혁신 관련 회의에 경영자가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회의를 적극적으로 주관한다. ④ 기술혁신 철학 및 방침에 대해 종업원들이 숙지하고 있다. ⑤ 기술혁신 참여자에 대한 동기 부여 책이 마련되어 있다. ⑥ 신기술, 신 시장에 대한 경영자의 관심이 높으며, 이를 기술개발에 적극 반영한다.

☞ 평가초점

- 환경변화에 대해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이를 통해 경영혁신을 하고자 하는 의지와

신념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 경영자가 경영혁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각종 정보를 습득하고 있으며, 경영전략과의 연계를

추구하는지를 평가한다.

- 조직의 핵심가치, 성과목표, 고객과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해야 할 가치, 학습과 혁신방향 등에 대한

연관관계가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 핵심개념

- 신기술 및 신 시장: 평가대상 기업 입장에서 새로운 기술 및 시장을 의미

- 경영자: 평가대상이 일반기업일 경우 최고경영자, 연구소일 경우 연구소장을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종업원들과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업전략수립 또는 비전수립 기획서, 경영방침수립 • 전개관련 계획서, 조직도, 업무분장서, 경영진

어록, 각종 회의자료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91 -

평가문항 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경영진 혁신리더십 추진력

경영자의 기술경영 추진력 및 위기관리 능력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종업원

체크 포인트 ① 경영자는 신기술, 신사업에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② 경영자는 기술혁신에의 적극적인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③ 사업추진에 있어 경영자의 집중력과 지구력은 뛰어나다. ④ 사업추진 시 발생하는 위기에 대한 경영자의 대처능력이 탁월하다. ⑤ 경영자의 의사결정이 신속하고, 결정된 사안에 대해 사업실무에 빠르게 적용한다. ⑥ 경영자는 경쟁사의 전략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나다.

☞ 평가초점

- 신기술, 신사업을 대상으로 도전적인 기술혁신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지를 평가한다.

- 시장동향, 환경변화, 경쟁상황 등 외부상황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분석하여 발생 가능한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사전에 수립하는지를 평가한다.

- 사업추진 중 발생하는 예측 불가한 경제적, 기술적 위기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대응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특히 의사결정 시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 지나치게 신중하거나 자료수집에 집착하지 않고

적절한 타이밍에 의사결정을 내리며, 한 번 결정된 사안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업무에 신속히

반영하는지를 평가한다.

☞ 핵심용어

- 신기술 및 신 시장: 평가대상 기업 입장에서 새로운 기술 및 시장을 의미

- 경영자: 평가대상이 일반기업일 경우 최고경영자, 연구소일 경우 연구소장을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종업원들과의 직접면담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92 -

평가문항 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경영진 전문성 기술이해

경영자의 보유기술에 대한 이해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혹은 R&D 부서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보유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고 관련기술 동향이나 전망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 이를 토대로 직접 신기술을 개발,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② 보유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고 관련기술 동향이나 전망에 대해서도 대체로 잘 알고 있으나 직접 신기술을 개발, 기획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③ 보유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상당부분 이해하고 있으나, 관련기술 동향이나 전망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④ 보유기술이나 관련기술 동향 및 전망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해도 현재 경쟁사 대비 자사의 기술우위는 파악하고 있다.

⑤ 주로 경영 관련 업무만을 수행하여 보유기술에 대한 이해는 다소 부족하다

☞ 평가초점

- 경영자가 기술적 측면에서 자사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파악하고 있으며, 기술적 기회와 위기를

반영한 혁신전략을 추구할 정도의 정확한 기술정보를 확보한 상태인지를 평가한다.

- 보유기술이나 기술동향, 기술전망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수준을 경영자가 자체적으로 평가하되,

경영자의 자체평가가 어렵다면 R&D 부서담당자의 판단을 반영한다.

- 보유기술 중 기업의 주요사업 영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핵심이 되는 기술들을 중심으로

평가를 수행한다.

☞ 핵심개념

- 경영자: 평가대상이 일반기업일 경우 최고경영자, 연구소일 경우 연구소장을 의미

- 보유기술: 기업이 내부 개발하거나 외부에서 도입하여 사업을 운영하는데 가용한 기술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종업원들과의 직접면담

평가기준(5지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93 -

평가문항 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재무 매출 매출수준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매출액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150%이상) 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125~150%) 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75~125%)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40~75%)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40%미만)

☞ 평가초점

- 기업이 기술혁신을 위한 R&D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매출액이 뒷받침 되는지 평가한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매출액 절대규모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관련시장 및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핵심개념

- 경쟁업체: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경쟁적인 상품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는 업체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와 평균매출액에 대해 시장자료,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등

평가기준(5지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94 -

평가문항 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조직 매출 매출액증가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150%이상) 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110%~150%) 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90~110%)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70~90%)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70%미만)

☞ 평가초점

- 기업의 혁신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최근 2년간 기업의 영업활동이 전년도에 비해 어느 정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한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매출액 증가율 수준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관련시장 및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핵심개념

- 경쟁업체: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경쟁적인 상품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는 업체

- 매출액 증가율: (당해 연도 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전년도 매출액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와 평균매출액 증가율에 대해 시장자료,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등

3.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중소기업 매출액 증가율 13.61% (대기업 9.81%)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195 -

평가문항 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조직 교육훈련 교육훈련수준

종업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다. ② 종업원들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외부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③ 업무와 직접 관련된 교육 뿐 아니라 개인의 능력개발과 경력관리에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④ 신입직원, 미숙련직원에 대해 업무지식이나 기능을 교육하고 있다. ⑤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가에 있어 종업원 개인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⑥ 정기적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평가초점

- 지속적인 혁신이 가능하도록 전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훈련계획이 수립, 운영되는지를 평가한다.

- 종업원의 교육훈련에 있어 내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뿐 아니라 외부 전문 교육기관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업무 프로세스와 일치하여 교육이수 후 조직의

업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 학습과 사후평가를 통한 개인 능력개발을 도모하고 이를 인사고과에 반영하여 종업원의 경력관리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였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 업무 프로세스에 익숙하지 못한 신입종업원, 미숙련 종업원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업무지식을 전달하고

기능교육을 실시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 교육프로그램의 설계에 있어서 조직구성원의 자기계발 요구사항을 어느 정도 반영 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기업 내부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거나 외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를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교육지침서, 교육계획서, 실적서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확인, 외부 교육기관 위탁 교육 및

내부 교육과정 확인, 기타 관련 문서 고려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96 -

평가문항 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생산 생산관리 생산운영 관리수준

생산계획은 합리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생산 프로세스운영 및 실적관리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생산 관리자)

체크 포인트 ① 중장기 전략을 바탕으로 생산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된다. (고객납기를 맞추기 위한 생산계획(일정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된다.)

②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실제 생산프로세스가 운영된다. (수립된 생산계획(일정계획)에 따라 실제 생산프로세스가 운영되며, 따라서 주문량의

변화가 생산계획(일정계획)에 반영되고 있다.)③ 생산계획(일정계획)이나 목표 대비 실적이 기록되고 있다.④ 생산계획(일정계획) 대비 실적의 차이가 발생했을 경우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차기 생산계획(일정계획)에 반영하거나 생산프로세스 개선에 활용한다. ⑤ 생산설비의 가동률이 분석되고 있다. ⑥ 재고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관리가 이루어진다. (변동하는 주문량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 평가초점

- 신제품이 개발되었을 때,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의 기초적인 생산운영관리

역량을 평가한다.

- 장기적인 전략에 의거하여 생산계획이 수립되며, 월별, 주별, 일별로 구체적인 생산계획이

수립되는지를 평가한다.

- 입안된 생산계획이 단순 계획으로 끝나지 않고 실제 시행되고 있는지 평가한다.

- 생산계획과 실제 생산실적의 차이를 분석하여 기업의 생산수준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문제발생 시 이에 대한 대처 system을 확보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생산실적에 대한 개선안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는지를 평가한다.

- 생산설비 관리와 재고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생산 프로세스 운영을 지원하는지를 평가한다.

- 주문생산의 경우 ()안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생산 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장기생산계획, 생산실적서, 문제발생 대처 매뉴얼 등

설비계획, 설비검사실적서, 재고관리계획, 재고실적서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97 -

평가문항 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판매/마케팅 마케팅 관리 마케팅 관리수준

마케팅과 영업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마케팅 관리자)

체크 포인트 ① 시장/고객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관련된 문서가 사규, 절차 등으로 존재한다. ② 시장/고객을 세분화하는 기준이 존재하고 고객요구를 파악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③ 고객요구사항 중요도를 결정하는 방법이나 기준이 있다. ④ 마케팅/영업 실행계획서, 프로모션 계획서 및 보고서 등을 작성하고 있다. ⑤ 시장조사 계획서 또는 시장조사 결과 보고서 등을 작성하고 있다.

☞ 평가초점

- 고객의 핵심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신제품에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된 신제품을 목표시장과

목표고객에 효과적으로 마케팅 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한다.

- 시장/고객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기적인 시장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내에서 공유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시장 세분화와 경쟁사 목표시장 분석을 통해 시장 및 고객을 세분화 하고 과학적인 방법이나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 시장 내 고객요구를 파악, 분석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자사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마케팅하고 판매하기 위해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지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시장/고객 관리 관련 사규, 절차서, 시장조사 계획서 및 보고서, 고객요구 수집/분석 보고서,

각종 프로모션 계획서 및 보고서 등, 기타 의사소통 기록(회의록, 이메일, 공고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98 -

평가문항 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경영역량 판매/마케팅 판로관리 판로확보역량

신제품 개발 후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은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마케팅 관리자)

체크 포인트 ① 영업 인력의 관련 업무 수행능력이 우수하다. ② 마케팅 네트워크 역량이 우수하다. ③ 브랜드/제품 이미지가 우수하다. ④ 기업 이미지가 우수하다. ⑤ 신 시장에 대한 정보 분석력이 탁월하다.

☞ 평가초점

- 중소기업의 경우 우수한 제품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판로를 확보하는 것 또한 중요하므로

판로확보에 유리한 조건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시장 내에서 평가대상 업체에 대한 대체적인 평판을 토대로 영업력, 마케팅 네트워크,

브랜드/제품/기업 이미지, 신규시장에 대한 정보 분석력을 자체 평가한다.

- 영업 인력의 경우, 절대적인 인력규모 및 인력의 동종업계 경험 및 실적을 평가한다.

- 마케팅 네트워크 역량의 경우, 다양한 마케팅 채널(‘TV, 라디오, 잡지, 신문’ 등의 대중매체와

‘인터넷, 지하철, 길거리 벽면’ 등의 뉴미디어)을 활용할 수 있으며, 마케팅 역량이 우수한 외부

기업의 자원을 활용하여 마케팅 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고객들의 신제품 채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기업의 이미지나 기존에 판매하던 제품과

브랜드의 이미지가 우수한지 평가한다.

- 신제품이 목표로 하는 시장에 대한 정보 분석력이 우수하여, 효과적인 판로확보 방안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시장조사결과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199 -

평가문항 10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혁신역량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학습자세

혁신주체로서 종업원들의 태도와 자질의 우수성은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종업원

체크 포인트 ①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실수가 발생했을 경우 실수를 통해 다음에는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배우고자 노력한다.

② 열의에 차 있고, 뭔가 새로운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③ 지원 가능한 업무는 서로 돕는다. ④ 조직 내에서 즐겁게 일하며, 조직 내에서 일하는 것이 즐겁다고 느낀다. ⑤ 조직의 시각에 동참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한다.⑥ 혁신과 관련된 외부정보를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시장 및 기술변화에 민감하다.

☞ 평가초점

- 종업원들의 일반적인 성향과 태도가 기술혁신을 창출하고 혁신목표를 달성하는데 유리한지를 평가한

다.

- 종업원들이 조직의 시각에 동참하여 자발적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R&D 인력만이 아닌 전체 종업원의 일반적인 성향을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종업원들과의 직접면담 (무작위 추출 최소 3인)

2. 참고자료: 이직률 등 종업원 만족도 평가지표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00 -

평가문항 1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주체 R&D인력 R&D인력비중

최근 2년간 종업원 수 대비 R&D 전담인력의 비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200%이상) 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150~200%) 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75~150%)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25~75%)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25%미만)

☞ 평가초점

- 정규직 전체 인력 대비 기술개발 전담 인력의 비중을 산출하여 기업의 기술개발 활동에 직접 관여

해 왔던 인력의 수준을 평가한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R&D 전담인력 비중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관련시장 및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핵심개념

- R&D 전담인력: 평가대상 기업의 정규직 종업원으로 R&D 부서에 속해 있거나 근로시간의 90%

이상을 R&D 활동에 투입하는 인력을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와 R&D 인력비중에 대해 시장자료,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01 -

평가문항 1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주체 R&D인력 R&D조직

기술개발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3년 이상 공인된 기업부설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② 3년 미만 공인된 기업부설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③ R&D 전담조직을 편성하여 상시 운영하고 있다. ④ 필요 시 실험실 형태의 R&D 조직을 task-force 팀 형태로 구성하여 운영한다. ⑤ 자체 R&D 조직을 보유하지 않고 주로 외부기관에 의뢰하여 R&D를 수행한다.

☞ 평가초점

- 신기술과 신제품 R&D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R&D 전담기관 혹은 전담조직을 운영하여 기술경쟁

력 향상을 제고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핵심개념

- R&D 전담조직: R&D 부서, R&D 팀 등의 형태로 구성된 상시 조직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업부설 연구소 등록증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02 -

평가문항 1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성과 보유성과 기술성과

최근 2년간 신기술 개발 성과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200%이상) 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150~200%) 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75~150%)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25~75%)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25%미만)

☞ 평가초점

- 최근 2년간 기업이 성공적으로 완료한 기술개발 성과를 토대로 기업의 R&D 혁신 잠재성을 평가한

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신기술 개발성과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신기술 개발 성과는 최근 2년간 신기술 개발 건수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각 개발 사례별로 대상 기

술의 원천성, 경제성, 파급효과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평가한다.

- 관련시장 및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핵심개념

- 신기술: 기업에서 최초로 이루어진 기술개발의 성과와 도입기술의 소화개량에 의한 새로운 기술로

제품/서비스 기술과 공정기술, 원천기술과 개량기술을 모두 포함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술개발 보고서, 특허/실용신안 출원서, 기술인증서, 보도자료 등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03 -

평가문항 1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성과 보유성과 IP성과

최근 2년간 특허(실용신안 포함) 출원 수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200%이상) 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150~200%) 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75~150%)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25~75%)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25%미만)

☞ 평가초점

- 기업이 출원한 IP 성과를 토대로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우수성과 R&D 혁신 잠재성을 평가한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IP 출원 가능성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특허(실용신안)출원은 국내출원과 해외출원을 모두 포함하며, 1개의 기술에 대해 다수 개 특허를

출원하였을 경우 다수 건의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 본 항목에서는 혁신을 위한 R&D 활동을 얼마나 활발히 수행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하고자 하기

때문에 특허(실용신안) 등록이 아닌 특허(실용신안) 건수를 평가하며 따라서 최근 2년간 출원된

특허라면 등록/거절 결과에 무관하게 모두 출원 건으로 인정한다.

- 관련시장 및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특허/실용신안 출원서,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04 -

평가문항 1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네트워킹

고객, 공급업체, 경쟁업체, 금융기관, 교육/훈련기관, R&D 기관, 서비스 제공업체, 산업체 조직 등과 적절한 네트워킹을 수행하고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혁신을 위해 고객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소통한다. ② 혁신을 위해 공급업체 및 공급업자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소통한다. ③ 혁신을 위해 금융기관을 활용하여 정보와 자금을 확보한다. ④ 혁신을 위해 전문 교육/훈련기관을 활용, 종업원들의 혁신 역량을 제고한다. ⑤ 혁신을 위해 R&D 전문기관(대학, 국책연구소, R&D전문서비스 제공업체 등)을 활용 한다. ⑥ 혁신을 위해 동종 산업 내 경쟁업체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평가초점

- 기업의 혁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이들의

자원을 혁신과정에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개인 차원에서 구축된 사적 인맥이 아닌, 기업 차원에서 진행되는 공식적인 네트워킹 활동을

평가한다.

- 네트워킹의 형태는 단순한 정보교환, 고객설문 및 인터뷰, 자금지원, 교육파견 등으로부터 좀 더

복잡한 전문가자문, 공동 R&D 및 R&D 컨소시움 참여, R&D 위탁 등 경험, 노하우(know-how)와 같은

암묵지(tacit knowledge)는 물론 형식지(explicit knowledge)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네트워킹 활동 보고서 및 개최증빙 (고객/공급업체/R&D전문기관/경쟁업체 등),

교육/훈련 참가 실적, R&D 협력 실적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05 -

평가문항 1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혁신역량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R&D 투자

최근 2년간 평균 R&D 투자금액 및 매출액 대비 투자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 모두 매우 높다.(200%이상)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이 비교적 높다.(125~200%) - 혹은, 경쟁업체와 투자금액 수준은 비슷하지만 투자율이 높다 - 혹은, 경쟁업체보다 투자금액 수준은 높지만 투자율은 비슷하다.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투자금액 및 투자율 모두 비슷하다. (75~125%) - 혹은, 투자금액은 수준은 높지만 투자율이 낮다. - 혹은, 투자금액 수준은 낮지만 투자율은 높다.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이 비교적 낮다. (25~75%) - 혹은, 투자금액 수준은 비슷하지만 투자율이 낮다. - 혹은, 투자금액 수준은 낮지만 투자율은 비슷하다.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투자금액 및 투자율이 모두 매우 낮다.(25%미만)

☞ 평가초점

- 최근 2년간 기업의 R&D 투자규모와 투자율을 통해 기술혁신에 대한 의지를 평가한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적정 R&D 투자규모와 투자율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신기술 개발 성과는 최근 2년간 신기술 개발 건수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각 개발 사례별로 대상

기술의 원천성, 경제성, 파급효과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평가한다.

- 관련시장 및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핵심개념

- R&D 투자금액: 기술개발을 위해 책정한 금액으로 기업내부자금과 외부조달자금 포함

- R&D 투자율: 전년 매출액 대비 금년 기술개발 투자액 비율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업내부 회계자료,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R&D 역량

- 206 -

R&D역량(문항 17~40)의 경우 기업 내 대표제품과 대표기술을 중심으로 평가해 주십시오.

평가문항 1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환경 분석 외부환경

기술개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장 환경과 기술 환경을 분석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국내외 경제 분석을 수행한다.② 기술동향 분석을 수행한다.③ 시장동향 분석을 수행한다.④ 경쟁업체의 동향 분석을 수행한다.⑤ 분석 자료를 전략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 평가초점

- 다양한 환경적 요인(사회/문화, 기술/정보, 생태학적 환경, 거시/미시 경제, 정책/법규, 산업구조, 경쟁자

등)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고, 사회적 니즈를 분석하여 향후 요구되는 기술 및 제품의 동향·특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기술전략 수립에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과학적인 분석기법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해당항목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동향을

파악할 경우 해당항목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 기업 내부에서 직접 분석활동을 수행하지 않고, 외부기관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외부기관

분석결과를 참고하는 경우에도 해당항목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 다양한 채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미래 기술과 제품의 발전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개발의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는지를 평가에 참조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술동향, 시장동향, 경쟁업체 동향 분석 보고서, 전략수립 절차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07 -

평가문항 1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환경 분석 경쟁기업

경쟁사의 우수한 점을 수용하거나, 경쟁사의 신제품/신사업을 파악하여 기회포착에 활용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경쟁시장이나 경쟁사의 동향을 보고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다. ② 경쟁사의 신제품/신사업 동향과 경쟁사의 시장상황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한다. ③ 경쟁상대의 전략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응책을

마련한다. ④ 잠재적인 경쟁상대 출현 가능성을 주기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한다.⑤ 경쟁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자사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한다. ⑥ 자사의 약점을 보완하고 경쟁사의 우수한 점을 적극 활용하고자 노력한다.

☞ 평가초점

- 인프라 측면에서 경쟁사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관찰, 분석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경쟁자 동향이나 특성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를 기업의

전략수립에 반영하는지를 평가한다.

- 경쟁사와 자사의 기술전략과 운영방식을 비교분석하여 외부기업의 우수한 점을 활용하고 자사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는지 평가한다.

- 기업수준의 체계적인 분석 절차는 물론 경영자나 관리자들의 사적 네트워킹을 통한 정보의 획득과

노력 역시 평가에 반영한다.

☞ 핵심개념

- 경쟁사: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경쟁적인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국내외 업체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또는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업전략수립 또는 비전수립 기획서(품의, 기안), IR자료, 경쟁사벤치마킹 자료, 각종

회의자료 확인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08 -

평가문항 1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역량분석 내부역량

기술개발 목표와 전략수립을 위한 자사의 역량을 분석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자사 보유기술의 특성 및 강점, 약점을 파악하고 있다. ② 자사 기술개발 인력의 강점, 약점을 파악하고 있다. ③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을 명시하는 구성도(세부기술도 – technology tree 등)를

작성하고 있다. ④ 특허 분석(특허지도, 특허가치평가 등)을 통해 관련 기술을 분석하고 있다. ⑤ 장기적인 기술개발 목표와 자사 역량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있다.

☞ 평가초점

- 기업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조직과 자원에 대한 내부 역량분석을

실시하는지를 평가한다.

- 보유기술들의 성숙도와 각 요소들의 성숙도, 기술의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하며 내부기술 역량을

파악함으로써 기술개발에 있어 기업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장기적인 기술개발 목표를 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연구개발과 관련된 주요 활동부분(기술개발, 지적재산관리, 연구개발 포트폴리오 관리 등)과 보조

활동부분(기업구조, 인사관리, 마케팅 등)을 구분하여 정리하고 각 활동 별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기술체계도, 특허분석 등 내부역량 분석을 위해 체계적인 분석도구를 활용하는지를 평가하되, 기업이

자체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외부지원을 받는 경우에도 해당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 핵심개념

- 기술트리(Technology tree): 목표기술을 이루는 요소 기술이나 목표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요소기술을

분해한 '기술체계도'

- 특허지도(Patent map): 특허정보의 서지적 사항(출원인, 각종 특허번호 등)을 분류정리하고

기술내용(특허청구의 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의 간단한 설명 등)을 분석가공하여 데이터화

한 것을 도표로 표현한 것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술트리 문서, 특허지도 문서 등, 기타 외부 전문가나 외부 기관을 통한 분석결과 보고서,

기타 기업내부역량 분석 보고서 등 사내문서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09 -

평가문항 20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기회 발굴 변화관리 기술변화

급작스럽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기술 환경에 빠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보유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신기술에 대한 계획 등이 문서화 되어 있다. ② 변화하는 신기술의 속도에 맞춰 개발할 수 있는 개발진이 있다. ③ 필요에 따라 현재의 개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신기술 개발 팀을 구성할 수

있다. ④ 내부자원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신속히 신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신기술이 필요한 시점에 적시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신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⑤ 신기술 개발 동향, 즉 기술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즉, 기술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신뢰할 만한 정보원으로부터 수집하여 이해하고 있다).

☞ 평가초점

- 외부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필요한 신기술을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한다.

- 기술로드맵 등을 통해 신기술 개발 계획이 문서화 되어 있으며, 특히 시나리오 분석 등을 통해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신기술 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한다.

- 경영진과 기술개발진(R&D실무관리자, R&D전담인력 등)이 시장의 기술변화 또는 기술동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분야 기술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에 반영한다.

- 필요시 신기술 개발 팀을 구성할 정도의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핵심기술과

관련하여 R&D 협력을 수행할 외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신기술 개발 계획 보고서(기술로드맵), 기술동향 분석 보고서 등

R&D 전담인력 규모 및 수준, 외부 네트워크 보유현황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0 -

평가문항 2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전략초점 목표설정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목표와 관련성이 높은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해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 내부역량과 외부동향 분석 결과가 반영된 것이다.

② 기업목표의 달성을 위해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고자 노력하나 기업의 내부역량과 외부동향 분석과 같은 결과가 잘 반영되지는 못하고 있다.

③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나 기업의 목표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지는 않는다.

④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고는 있으나 특별히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다. ⑤ 특별한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지 않는다.

☞ 평가초점

- 설문대상의 기업목표와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전략이 얼마나 관련성을 가지고

연계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할 때 관련 경영진 및 관리자가 기업의 목표를 최우선 달성 과제로

파악하는지를 평가한다.

- 기업의 목표와 전략을 경영자는 물론 실무 관리자들도 정확히 이해하는지를 확인하며 이에 따라

연구개발 비전이 명확하게 수립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 해당기업의 목표가 기술개발에 영향을 얼마나 미치는지는 물론 기업의 기술개발 전략이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를 평가에 반영한다.

- 자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외부 시장과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하는지 평가한다.

☞ 핵심개념

- 기업목표: 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기본방향, 경영비전, 기업사명, 경영이념 등, 혹은 회사가 5년

안에 이루고자 하는 것 등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내부 기술역량 분석서 등 사내문서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11 -

평가문항 2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전략초점 중장기전략

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는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연계가 잘 이루어짐은 물론, 그 효과성에 대한 평가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② 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연계가 잘 이루어진다. ③ 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나, 기술개발과의 연계는 잘 이루어지

지 않는다. ④ 중장기 기술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나, 그 방식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잦다. ⑤ 중장기 기술전략을 수립하지 않는다.

☞ 평가초점

- 중장기 기술전략에 따른 실행계획이 얼마나 잘 수립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중장기 경영계획서, 보고서와 예산계획과의 연계사항(전략과 실행계획의 일관성, 적절성) 을 평가에

반영한다.

-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평가에 반영한다.

☞ 핵심개념

- 기술전략: 외부환경과 내부역량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들을

파악 • 선정해 이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찾는 것

- 중장기 기술전략: 중소기업에서 중장기 기술전략은 주로 3년~5년 정도의 기간을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면담

2. 참고자료: 발표회, 품평회, 워크숍 자료, 사규, 중장기경영계획서, 단기경영계획서,

절차서, 주간 • 월간 업무계획서, 예산계획서, 각종 회의자료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12 -

평가문항 2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전략초점 실행계획

기술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마련되는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고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다. ② 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고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대체적으로 확립되어 있다. ③ 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으나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구체적이지는 않다. ④ 기술전략이 수립되어 있으나 기술, 자금 및 인력 조달방안이 불투명하다. ⑤ 기술전략의 수립이 미흡하고 기술, 자금 및 인력조달 방안이 없다.

☞ 평가초점

- 기술전략이 수립될 뿐 아니라 수립된 기술전략에 따라서 필요한 기술, 자금, 인력 등의 자원을 언제

어떻게 획득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확립되는지 평가한다.

- 실행계획 수행을 위한 자원배분 기준이 조직의 비전과 사명에 적합하게 수립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기업 내부의 자원배분 계획이 이루어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술, 자금, 인력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의 구체적인 확보방안이 수립되는지를 평가한다.

- 기술전략과 실행계획 수립에 있어 현재 기업의 기술개발역량과 보유자원수준이 현실적으로

고려되고 있는지 파악한다.

☞ 핵심개념

- 기술전략: 외부환경과 내부역량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들을

파악 • 선정해 이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찾는 것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중장기경영계획서, 단기경영계획서, 주간 • 월간 업무계획서, 예산계획서, 필요자원(기술,

자금 및 인력 등)에 관련된 보고서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13 -

평가문항 2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주요기법 시장기획

시장 기획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시장 기획 방법이 전략기획 프로세스 및 관련문서(e.g. 사규, 절차서 등)로 명시되어 있다.

② 시장 기획 방법이 전략수립 관련 계획서 및 보고서(e.g. 품의, 기안 등)에 명시되어 있다.

③ 고객, 시장요구 파악, 경쟁분석 자료, 최상의 성과 벤치마킹 자료 등을 활용한다. ④ SWOT분석, Gap 분석, 3C분석, STEEP 분석 등의 과학적 기법을 활용한다. ⑤ IR(Investor Relation) 자료(e.g. 투자자 설명회 자료)를 활용한다.

☞ 평가초점

- 기업 내에서 주로 활용하는 시장 기획 절차가 정립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기법과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여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시장 기획 과정에서 기업의 강약점 분석, 외부환경에 대한 기회, 핵심영향요인, 위협요인, 경제,

시장, 기술 등 외부 환경요인, 미래의 잠재적 위험요인 등이 고려되는지를 평가한다.

☞ 핵심개념

- SWOT 분석: 진출 시장 환경에 대한 조직의 현황을 강점, 약점, 기회, 위기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 이를 통해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

- Gap 분석: 분석대상 조직 또는 산업의 현황(AS-IS)과, 미래에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TO-BE)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

- 3C 분석: 3C는 자사, 고객, 경쟁자를 의미하며 같은 고객을 대상으로 경쟁하고 있는 경쟁대상에

대해서 자사와 비교분석하고, 자사를 어떻게 차별화하여 경쟁에서 이길 것인가 하는 전략을

찾는 방법

- STEEP 분석: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거시적 환경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 기술, 경제, 생태, 정치의 5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 IR: 보통 기업설명활동으로 부르며, 미래전망에 대해 포괄적인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기업의 자금조달을 원활하게 하고자 하는 활동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업전략수립 또는 비전수립 기획서(품의, 기안), IR자료, 경쟁사벤치마킹 자료, 각종

회의자료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4 -

평가문항 2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전략기획 주요기법 기술기획

기술 기획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R&D 담당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SWOT분석, 기술전략분석, 기술 확보방식 분석 등을 통해 내부역량을 분석한다. ② 기술예측, 공급사슬 분석 등을 통해 기술동향과 기술가능성을 평가한다. ③ 포트폴리오 분석, 핵심기술 분석, 시장성(경제성), BMO모델 등을 통해 기술개발 분야

를 선택한다. ④ 기술로드맵, 기술계통도, 포트폴리오 분석, 핵심기술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목표를

수립한다. ⑤ 조직분석, 인적자원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추진체계를 도출한다. ⑥ 모니터링, 위험요인, 세부계획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활동계획을 수립한다. ⑦ PERT/CPM 등을 통해 기술개발 일정계획을 수립한다.

☞ 평가초점

- 외부환경과 내부역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기술개발 대상 분야 선정과 기술개발

목표 수립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구체적인 기술개발 계획이 수립되는 과정에서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절차와 기법이 갖춰져 있는지 평가한다.

- 평가문항에 기술된 기법 이외에도 다양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각 기법에 대한 정확한

의미파악이 어려울 경우 관련문서를 확인, KISTI에서 평가를 수행한다.

- 구체적으로 어떤 기법이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DB화 한다.

☞ 핵심개념

- 포트폴리오 분석 : 사업의 가치평가와 자원배분을 결정하기 위해 실행하는 것으로 매트릭스를

그리고 세부 세그먼트별 대응 행동을 취하기 위해 실행

- 기술로드맵 : 미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 또는 산업 차원에서 향후 개발하여야 할 필요

기술과 제품을 예측하여 최선의 기술 대안을 선정하는 기술 기획 등이 담긴 구상도ㆍ청사진

- BMO 모델 : 기술의 사업화를 위해 유망한 기술을 선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수기술을 선정하는

기법

- PERT/CPM :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논리 구성으로 프로젝트를 일정 기일 내에 완성시키고 해당

계획이 최소값에 의해 보증되는 최적 스케줄을 구하는 관리 방법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술기획 결과물, R&D PMS 등 내부문서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5 -

평가문항 2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정보지원 수집 정보원천

혁신기회 발굴을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정보원천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하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기업 내부 및 그룹계열사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② 공급업체, 수요기업 및 고객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③ 동일산업 내 경쟁사 및 타 기업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④ 협회, 조합 등의 다양한 외부모임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⑤ 정부출연연구소 및 국립연구소, 민간서비스업체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⑥ 컨퍼런스, 박람회 및 전시회, 전문저널 및 서적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⑦ 신규 고용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수집한다.

☞ 평가초점

- 기업 내외부의 어떤 종류나 형태의 정보원천으로부터 기회발굴을 위한 정보 수집을 시행하는지

평가한다.

- 수집이란 정보의 유입을 위한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실제의 노력이나

체계가 있는지를 평가한다.

- 본 평가문항에서는 가용한 정보채널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정보의 수준이 다름을 이해하고, 실제로

혁신 기회 발굴에 있어 유의미한 양과 질의 정보가 수집될 경우, 관련된 수집활동이 일어난 것으로

간주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정보수집 활동에 대한 기록, 회의록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5개 6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6 -

평가문항 2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정보지원 분석 정보역량

필요한 정보의 검색과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정보 검색 및 분석을 위한 전담조직이나 전담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② 대부분의 종업원들이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정보취득에 대한 욕구가 높

다. ③ 종업원들의 정보검색 및 분석 역량은 우수하다. ④ 정보검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외부 database의 접근성이 높다. ⑤ 정보검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Software나 Solution을 보유, 활용하고 있다. ⑥ 정보검색 및 분석을 지원받을 수 있는 외부전문가나 전문기관을 알고 있으며, 실제

필요시 지원을 받고 있다.

☞ 평가초점

- 기업 내부에 체계적으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 수집 및

분석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지, 내부역량이 부족할 경우 외부자원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정보 검색 및 분석을 위한 전담조직 및 전담인력의 역량과 더불어 일반 종업원들의 정보검색 및

분석역량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평가에 반영한다.

- 정보검색 및 분석을 위한 사내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어 대부분의 종업원이 필요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분석할 수 있는지 혹은 경영진만이 정보를 취득하거나 분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필요한 정보의 검색과 분석은 주로 R&D기획과정에서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R&D 기획과정으로

국한하지 않고, R&D수행이나 일반적인 경영전략 수립 과정에서의 정보 검색 및 수집 프로세스까지

확대하여 평가에 반영할 것을 권장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내부 Software 보유현황, 외부기관 지원 실적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7 -

평가문항 2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정보지원 활용 활용수준

수집된 정보의 관리와 활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기업 내부와 외부의 이해관계자가 필요한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②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S/W, H/W의 백업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③ 전사적 경영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④ 시스템 및 정보의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절차와 매뉴얼이 있다. ⑤ 자료와 정보보호를 위한 통제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다.

☞ 평가초점

- 기업 내부와 외부의 이해관계자가 필요한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수집, 분석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고, 이해관계자의 유형에 따라 접근가능한 정보가 분류되는

등 정보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전사적 경영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 잘 활용되고 있으며, 문서화되거나 사규화 된 절차 및 원칙에

따라 수집된 자료와 정보보호를 위한 통제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S/W, H/W의 백업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스템과 정보를 유지보수

하기 위한 운영절차 및 매뉴얼이 존재하여 정보 관리와 활용을 위한 시스템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한다.

- 필요한 정보의 활용은 주로 R&D기획과정에서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R&D 기획과정으로

국한하지 않고, R&D수행이나 일반적인 경영전략 수립 과정에서의 정보 활용 프로세스까지

확대하여 평가에 반영할 것을 권장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정보관리시스템매뉴얼, HW/SW 보유 및 활용 현황 관련 문서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8 -

평가문항 2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기획역량 정보지원 공유 공유수준

기업 내부에서 정보와 지식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정보와 지식공유를 위한 지식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② 사내 지식관리 시스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③ 지식관리 시스템은 유지보수 등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④ 사내 정보와 지식의 공유를 위한 오프라인 네트워킹 활동이 존재한다. ⑤ 조직 차원에서 온·오프라인 상애서의 정보와 지식공유 활동을 적극 권장한다.

☞ 평가초점

- 정보와 지식의 공유를 위한 사내 온·오프라인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고 전사적인 지식공유를 위한

지식관리 시스템이 운영되어, 정보와 지식의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조직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는지를 평가한다.

- 전사적인 지식공유를 위한 지식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필요한 정보와 지식이 지식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공유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해당 시스템이 개선되고 있는지

평가한다.

- 지식 공유 및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나 지원제도 등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에 반영한다.

- 정보와 지식공유 활동은 주로 R&D기획과정에서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R&D 기획과정으로

국한하지 않고, 전 혁신 프로세스로 확대하여 평가에 반영할 것을 권장한다.

- 기업정보시스템이 재무, 생산, 영업 등 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반면, 지식관리시스템은 무형의 지식을 포함하여 조직체가 보유한 모든 가용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개인의 지식을 조직화하는 시스템임을 고려한다.

☞ 핵심개념

- 지식관리시스템(KMS): 조직 내의 인적 자원들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고

공유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정보시스템

- 네트워킹: 일정한 시스템을 통한 구성원간의 의사소통 및 관계의 총칭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와의 직접면담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19 -

평가문항 30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 개발 프로세스 기술보완

제품화를 위한 핵심기술 보완 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100% 자체해결 가능 (제품화를 위한 모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② 75% ~ 99% 자체해결 가능 (제품화를 위한 대부분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③ 50% ~ 74% 미만 (핵심기술 외에도 제품화를 위한 기술 상당 수준을 보유하고 있

다.) ④ 25% ~ 50% 미만 (핵심기술 외에도 제품화를 위한 기술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 ⑤ 25% 미만 (제품화를 위해 핵심기술 이외의 기술은 거의 보유하고 있지 않다.)

☞ 평가초점

- 시장에 진출할 제품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의 보완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되,

자체적인 기술개발 방법과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력 및 전문가 도움에 의한 방법까지를 포함하여

판단한다.

- 평가과정에서 필요시 다음과 같이 핵심기술 보완 방법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① 해외에서 기술도입 및 핵심부품 수입 ( )

② 대부분 산·학·연 등 외부전문기관 도움 ( )

③ 일부 산·학·연 등 외부전문기관 도움 ( )

④ 국내기업 또는 기관과 공동연구추진 ( )

⑤ 핵심기술 보완을 완전히 자체 해결 가능 ( )

☞ 핵심개념

- 핵심기술: 특정 제품이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술

- 제품화를 위한 핵심기술 보완능력: 시장에 어떤 제품을 판매하고자 할 때, 그 제품을 설계,

생산하고 판매하기 위한 기술(핵심기술 제외)이 얼마나 가용한지를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실무관리자(R&D관리자, 제품기획자)와의 직접면담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20 -

평가문항 31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 개발 프로세스 정보공유활동

기술개발 실무자 간에 기술관련 정보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R&D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외부에서 획득한 시장이나 경쟁사에 대한 기술동향 정보가 잘 공유된다. ② 진행 중인 프로젝트와 연관된 과거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개발 결과가 잘 공유된다. ③ 동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실무자들 뿐 아니라 상이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실무자

들 사이에서도 필요한 기술개발 정보의 공유가 원활이 이루어진다. ④ 기술개발 실무자 간 정보공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⑤ 기술관련 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직 차원에서의 체계나 지원이 존재한다.

☞ 평가초점

- 기술관련 정보가 기술개발 실무자들 간에 얼마나 공유되고 있는지 평가하되,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공유 뿐 아니라 과거 진행되었던 프로젝트들에 대한 정보공유까지를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평가한다.

- 이러한 정보공유를 위해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과 노력이 수반되는지를 확인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혹은 실무자(R&D 실무자)들과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지식정보운영지침, 각종 회의자료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1 -

평가문항 32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 개발 기술협력 협력수준

기술개발 과정에서 외부와의 협력은 잘 이루어지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외부와의 협력을 전담하는 부서 혹은 전담인력이 존재한다. ② 기술전략에 따라 외부 파트너와의 협력전략이 수립된다. ③ 필요에 따라 가용한 외부 파트너를 알고 있으며, 접근성이 높다. ④ 비교적 다양한 협력파트너를 활용한다. ⑤ 최근 2년간 외부 협력파트너와 협력하여 성공한 사례가 있다. ⑥ 외부 협력파트너와의 협력성과는 대체로 만족스럽다.

☞ 평가초점

- 기술개발 과정에서 협력파트너를 통해 혁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고,

협력수준과 성과가 어떠한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최근 2년간 평가대상 기업의 협력실적을 구체적으로 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① 외부기업으로부터의 기술구매 혹은 외부기업 인수

② 공동 R&D (양자, 컨소시움) ③ 공동마케팅, Co-branding ④ 공동생산, 공동구매

⑤ 아웃소싱 ⑥ 연구자문, 외부전문가의 검토 ⑦ 연구원 파견

⑧ 외부기관의 투자 ⑨ 외부기업으로의 기술 판매, 혹은 플랫폼 공개

⑩ 벤처기업 설립 혹은 합작 벤처 설립

☞ 핵심개념

- R&D 컨소시움: 2개 이상의 회사, 단체가 기술개발을 목표로 공동의 활동에 참여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의 자원을 투입하는 것

- Co-branding: 전략적 제휴를 통해 신제품에 두 개의 브랜드를 공동으로 표기하거나, 공동으로

개발한 결과물에 두 개 이상의 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를 표기해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 외부협력문서, 각종회의자료, 월·일별보고서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2 -

평가문항 33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개발 기술협력 협력경험

최근 2년간 기술도입 및 기술이전, 공동 R&D 실적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높다.(200%이상) ②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비교적 높다.(150~200%) ③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 비슷하다.(75~150%) ④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다소 낮다.(25~75%) ⑤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매우 낮다.(25%미만)

☞ 평가초점

- 기술개발 과정에서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전략적인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최근 2년간의 기술도입 및 기술이전, 공동 R&D 실적에 대해 평가한다.

- 기업과 업종의 특성에 따라 외부협력 실적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와의

상대평가를 수행한다.

-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면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거나 유사규모 중소기업 통계치를 활용한다.

☞ 핵심개념

- 경쟁업체: 자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경쟁적인 상품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는 업체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동종업계 유사규모 업체의 외부협력실적 자료, KISTI에서 보유한 진단결과 DB 분석자료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23 -

평가문항 34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기술 개발 장비확보 확보역량

연구개발 장비와 시제품 생산 및 시험분석 장비를 적시에 확보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필요시 비교적 용이하게 신규/최신 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 ② 필요 장비를 사내에 충분히 갖추고 있다. ③ 필요 장비를 외부에서 잘 활용하고 있다. ④ 관련 장비를 획득·유지·보수·관리하는 전담부서 혹은 전담인력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⑤ 가용한 장비를 보유한 외부기관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 평가초점

- 연구개발 장비, 시제품 생산 및 시험분석 장비 등을 필요시 얼마나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연구개발 장비, 시제품 생산 및 시험분석 장비 등 연구개발 인프라를 확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어느 정도이며, 조직차원에서의 필요한 장비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를 평가한다.

- 필요시 신규/최신 장비를 구매할 수 있도록 자금이 지원되며, 필요 장비가 사내에 충분히 갖추어져

있거나 외부 장비에 대한 접근성이 우수하여 기술개발 인력들이 장비를 활용하는데 있어 특별한

애로사항이 없는지 확인한다.

- 필요한 연구 장비나 테스트장비를 대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며, 이를 위한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연구개발 담당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장비보유대장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4 -

평가문항 35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공급관리 재료/부품

제품생산 또는 사업화를 위한 재료 및 부품의 구매, 외주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외주 또는 원부자재, 발주에서부터 제품생산 및 출하에 필요한 조달과 물류관리가 판매계획 및 생산 공정과 연계되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② 외주 및 원부자재 조달을 전담하는 부서가 있어 전체 조달 및 물류관리의 계획, 통제, 조정업무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

③ 외주업체 또는 납품업체의 능력과 품질관리를 평가하는 체계(체크리스트 등)가 갖추어져 있다.

④ 외주업체 또는 납품업체에 대한 지원체계를 수립한 실적이 있다. ⑤ 물류의 직선화를 위해 생산 제조공정에서 원자재 입고부터 제품출하 및 차량적재까지

물류자동화시스템을 확보하고 있다.

☞ 평가초점

- 신제품을 사업화 하는 과정에서 신제품에 활용되는 재료 및 부품의 구매나 외주관리가 얼마나 잘

이루어질 수 있을지를 평가한다.

- 전사적인 경영정보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계획, 물류관리, 판매계획 등이

효과적으로 연계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 발주부터 납품까지의 프로세스별 핵심성과지표 관리와 개선활동을 평가한다.

☞ 핵심개념

- 원부자재: 원자재와 부자재를 한 번에 일컫는 말

- 원자재: 제품 생산의 원료가 되는 자재

- 부자재: 제품을 만드는데 원료 외에 부가적으로 들어가는 요소

- 물류의 직선화: 제품 및 재료가 이동하는 단계를 최소화하여 물류이동의 번잡함을 제거하고 물류의

목적을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의미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주간 • 월간 업무계획서 및 회의보고자료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5 -

평가문항 36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사업화 시장전략

신제품의 시장도입 및 마케팅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마케팅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주어진 제품시장 내에서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신제품의 목표시장을 선정한다. ② 목표시장에서 신제품의 차별화된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마케팅 할 수 있도록

제품믹스, 제품라인, 브랜드, 포장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③ 판매촉진 능력을 분석하고 판매촉진 전략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④ 원가분석을 통해 시장상황에 맞추어 신제품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⑤ 신제품의 수요를 분석하고 예측하여 이를 시장전략에 반영할 수 있다. ⑥ 신제품의 판매루트를 확보하고 물류를 최적화할 수 있다.

☞ 평가초점

- 신제품을 시장에 도입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목표시장, 제품구성, 판매촉진,

가격결정, 수요예측, 유통채널 등의 측면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한다.

- 마케팅 채널을 분석하고 확보할 수 있는 역량, 신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

신제품의 기술경쟁력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종합하여 평가한다.

- 신제품 마케팅 전략이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며, 목표시장을 선정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활용하는지를 평가한다.

- 원가분석과 수요분석 및 수요예측을 실시할 때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활용하는지를

평가한다.

- 판매루트와 물류를 최적화하기 위해 신뢰성이 있는 S/W 프로그램이나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는지를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혹은 실무담당자(마케팅 담당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정보 분석 결과보고서, 전략수립보고서 및 회의보고자료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6 -

평가문항 37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사업화 IP전략

신제품 상용화에 있어 지식재산권 전략을 수립하고 필요시 대응책을 마련할 능력이 있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R&D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IP 전담부서나 전담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② 신제품 출시 전, 관련 IP에 대한 확보전략을 수립한다. ③ 신제품 출시 전, IP 저촉위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다. ④ 경쟁기업들의 IP 현황 및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⑤ 자사의 기술개발 결과물을 전략적으로 IP화 한다. ⑥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IP전략 혹은 정책을 수립한다.

☞ 평가초점

- 신제품을 시장에 출시함에 있어서 지식재산권에 대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자사의

기술개발 결과물을 신속히 지식재산권을 확보하며, IP분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활동들을 수행하는지 평가한다.

- 외부에 존재하는 IP에 대해 조사하여 기업의 목표와 사업전략에 부합하는지를 살피고 획득

필요성을 평가하여 이 결과에 따라 IP의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지를 평가한다.

- 신제품 출시 혹은 기술개발 전 IP 저촉 가능성을 평가하고, IP 저촉가능성이 있을 경우

회피기술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며, IP 저촉 발생 시 기술협상을 통해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IP 대책을 수립하는지 평가한다.

- 기존에 조직이 보유하고 있거나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얻어진 산출물들에 대해 기록하고

문서화함으로써 지적재산 대상 정보를 관리하며, 대상기술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IP 보호여부와 방법이 결정되는지 평가한다.

-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IP전략과 이에 따른 수행계획이 수립되며, 조직 차원에서 지식재산권

DB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자사와 경쟁사의 IP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지 평가한다.

☞ 핵심개념

- IP(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을 의미하며, 크게 '산업재산권(특허, 실용신안 포함)'과 '저작권'

그리고 '신지식재산권(소프트웨어, 반도체 회로설계 포함)'으로 분류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나 실무담당자(R&D 담당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IP관련 문서 및 IP 데이터베이스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7 -

평가문항 38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활용도 활용

개발된 기술의 관리와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R&D 담당자)

체크 포인트 ① 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며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② 개발된 기술을 문서화, 전산화하고 있으나 활용도가 높진 않다. ③ 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으나, 기술개발 인력간의 의사소통에 의

해 기술이 공유하고 있다. ④ 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는 않고 개인적으로 보관하여 거의 공유되지

않는다. ⑤ 개발된 기술의 보관, 관리, 활용이 매우 미흡하다.

☞ 평가초점

- 기술개발 결과물에 대한 정보가 기술개발의 성공/실패에 무관하게 수집되고 있으며, 수집된 정보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실제 적극적인 수집과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한다.

- 개발된 기술이 문서(R&D 프로젝트 수행보고서, 실험보고서 등) 혹은 사내 전산화된

시스템(지식경영시스템)에 기록되어 보관되는지 평가하며, 이를 위한 절차나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등 조직차원에서의 노력이 뒷받침되는지 평가한다.

- 연구개발, 기존 기술의 개선, 아웃소싱을 등의 산출물을 조사하고 기록하여 DB화하고 산출물들을

일정한 카테고리(자산 유형, 제품 또는 기술 군 등)로 나누어 관리하는지를 평가에 반영한다.

- 문서나 데이터베이스로 남겨진 기술개발 결과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보안 및 통제를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문서화 되어 있거나 DB화 되어 중앙관리 되어 있지 않더라도 누가 어떤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서로 잘 알고 있어 관련 기술정보의 활용이 용이한지, 누가 어떤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지 조차 알기

힘든지를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 및 R&D 담당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기술DB, 출원특허 혹은 등록특허 및 관련 문서, 전산화시스템 매뉴얼 등

평가기준(5지 선다)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28 -

평가문항 39 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활용도 인증

개발된 기술의 외부 심시기관 인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해당항목 복수 응답) 주요 응답자: 경영자

체크 포인트 ① 외부 심사기관의 인증취득 및 유지를 위해,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전담부서나 전담인력이 존재한다.

② 기술개발 초기에 인증취득 전략이 수립되며, 이에 따라 인증취득 업무가 이루어진다.

③ 인증취득 후 유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며, 이에 따라 인증유지 노력이 이루어진다. ④ 개발기술과 관련된 핵심 인증내역, 인증취득기준 및 인증취득절차를 이해하고 있다. ⑤ 외부 심사기관의 인증취득 및 유지를 위해,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외부 전문기관

및 전문인력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있으며, 필요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⑥ 외부 심사기관의 인증취득 및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나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

으며, 시스템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를 통해 인증과 관련된 자료가 축적, 보관, 관리된다.

☞ 평가초점

- 개발 초기에 수립한 전략이 기술인증을 염두에 두었는지, 개발된 기술의 외부기관 인증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를 평가한다.

- 기술 사업화를 위해 요구되는 인증을 잘 알고 있고 인증 프로세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전담직원이나 전담인력이 있는지 평가한다.

- 내부 종업원이 자체적으로 인증절차를 획득할 수 있는 역량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으며,

인증과정에서 외부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한다.

- 필요로 하는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구비문서를 준비하는 사내 절차나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인증결과가 체계적으로 보관, 관리되고 있는지 평가한다.

☞ 평가방법

1. 최고경영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특허, 기술인증보증문서, 전략수립보고서 및 회의보고자료 등

평가기준(Checklist) 해당항목 없음 1개 2개 3개 4개 5개 이상

5점 기준 평가결과 0 1 2 3 4 5

- 229 -

평가문항 40중분류 소분류 평가기준 세부지표

수행역량 상용화 및 사후관리 기술성과 관리 및 활용

성과관리 및 활용현황

기술개발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획득한 지식의 관리와 체화가 잘 이루어지는가? (해당항목 단일 응답) 주요 응답자: KISTI

체크 포인트 ① 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 분석, 관리하며 프로세스 개선에 활용한다. ② 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하고 있으며,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공유한다. ③ 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하고 있으며, 관리자 수준에서 정성적인 분석만이

이루어진다. ④ R&D 프로젝트 성과를 수집, 저장하고 있으나, 별도로 분석이나 관리활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⑤ R&D 프로젝트 성과를 별도로 수집하고 있지 않다.

☞ 평가초점

- 기술개발 성과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지식 및 노하우의 활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특히 핵심 프로젝트의 성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R&D 프로젝트에 반영함으로써 과거경험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조직의 전략 및 특성을 반영하여 성과관리 대상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성과관리 세부목적을

정의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과거의 R&D 프로젝트 성과정보를 보유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이나 체계가 구축되었는지, 성과 목표

및 성과 분석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성과관리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성과자료의 유형 • 담당부서 • 보고방식, 성과정보의 산출주기, 성과자료 간 일관성, 성과자료의

신뢰수준을 파악하여 평가에 반영한다.

- 성과평가 대상이 되는 R&D 프로젝트는 반드시 전체 R&D 프로젝트일 필요는 없으며, '매출과 직접

연관된 R&D 프로젝트', '성공 혹은 실패한 R&D 프로젝트' 등 기업 자체기준에 의해 성과 수집,

분석,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핵심 R&D 프로젝트'로 한정지어도 무방하다.

☞ 평가방법

1. R&D 담당자와의 직접면담

2. 참고자료: 경영시스템DB, 기술DB, 기술인증보증문서, 기술보고서 및 성과분석보고서 등

평가기준(5점 척도) 5번 응답 4번 응답 3번 응답 2번 응답 1번 응답

5점 기준 평가결과 1 2 3 4 5

- 230 -

2. 기초조사 항목

□ 기업명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진단 응답자

○ 성함 : ___________________ ○ 소속/직위 : __________________

□ 기업일반

- 231 -

평가기준 No. 세부지표 설명 기입

기업규모1 매출액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얼마인가? 백만 원

2 종업원 수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 종업원 수는 몇 명인가? 명

R&D규모

3 R&D 투자액 최근 2년간 평균 R&D 투자금액은 얼마인가?

(외부) 백만 원

(내부) 백만 원

4 R&D인력규모 최근 2년간의 R&D인력의 규모는 몇 명인가? 명

5 보유IP 특허(실용신안 포함) 등록 수는 몇 건인가?

(전체누적 건)

(최근2년 간 건)

사업화역량

6 사업화경험

최근 2년간 기술 및 제품 상용화 실적은 총 몇 건인가?

7 기술인증 최근 2년간 각종 인증실적 및 수상실적이 있다면 총 몇 건인가?

8 기업인증 InnoBiz 인증, 벤처 인증을 받았는가?

InnoBiz

벤처

산업 분류9 업종(산업)

기업의 업종은 표준산업 분류 상 어디에 속하는가?

10 제품 기업의 주요 제품/서비스는 무엇인가?

- 232 -

☞ 평가문항별 평가주의사항

* 모든 평가문항에서 “최근 2년간”은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년도의 전년도와 그 전년도를 의미

1번 문항. 평균매출액 기본 설문단위는 “백만 원”입니다.

2번 문항. 기업의 종업원은 “정규직 종업원”에서 한정합니다.

3번 문항. R&D 투자급액은 외부 및 내부 투자금액으로 나뉘며, 이 때 외부투자는 “해당기업의 매출액과는

상관없이 정부나 외부단체로부터 투자받은 금액”을, 내부투자는 “해당기업이 획득한

수익을 다시 R&D에 투자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 투자액의 기본 설문단위

역시 “백만 원”입니다.

4번 문항. 본 평가문항에서 “R&D인력”은 R&D 전담인력을 말하며 이는 “평가대상 기업의 정규직

종업원으로 R&D 부서에 속해 있거나 근로시간의 90% 이상을 R&D 활동에 투입하는 인력”을

의미합니다.

5번 문항. 본 평가문항에서 특허(실용신안 포함) 출원 수는 회사 설립 후 총 누적 등록 수와 최근

2년간의 누적 등록 수 모두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9번 문항. 본 평가문항에서 기업의 업종 분류는 한국통계청에서 구축한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를 바탕으로 구분됩니다.

☞ 업종코드는 다음의 산업분류표를 이용해 주십시오.

10.식료품 제조업 22.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1.음료 제조업 2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담배 제조업 24. 1차 금속 제조업

13.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25.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6.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

조업

15.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 27.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16.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28. 전기장비 제조업

1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제외 32. 가구 제조업

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3. 기타 제품 제조업

- 233 -

3. 핵심지표 구성

□ 일반역량 구성

중분류 소분류 진단기준 No. 설명 점수 문항가중치 총점

경영역량(22.5)

경영진

혁신리더십

1

기술혁신에 대한 경영자의 의지 및 방침이 정립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사내에 기술혁신에 대한 정신적 일체감이 형성되어 있는가?

2.5

2 경영자의 기술경영 추진력 및 위기관리 능력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5

전문성 3 경영자의 보유기술에 대한 이해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5

재무 매출4 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매출액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5최근 2년간 기업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조직 교육훈련 6 종업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가? 2.5

생산 생산관리 7

생산계획은 합리적으로 수립되고 있으며 생산프로세스운영과 실적관리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2.5

판매/

마케팅

마케팅관리 8 마케팅과 영업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2.5

판로관리 9 신제품 개발 후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역

량은 어느 정도인가?

혁신역량(17.5)

혁신주체

일반종업원 10 혁신주체로써 종업원들의 태도와 자질의

우수성은 어느 정도인가? 2.5

R&D

인력11

최근 2년간 종업원 수 대비 R&D 전담인력의 비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12 기술개발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가? 2.5

혁신성과 보유성과

13 최근 2년간 신기술 개발 성과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14 특허(실용신안 포함) 출원 수는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혁신인프라

지원체계

15

고객, 공급업체, 경쟁업체, 금융기관, 교육/훈련기관, R&D 기관, 서비스제공업체, 산업체 조직 등과 적절한 네트워킹을 수행하고 있는가?

2.5

16최근 2년간 평균 R&D 투자금액 및 투자율은 동종업계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합계 40.00

- 234 -

□ R&D 역량중

분류소

분류평가기준 No. 설명 점수 문항

가중치 총점

기획역량

기회 발굴

환경 분석

17기술개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장 환경과 기술 환경을 분석할 능력이 있는가?

2.5

18경쟁사의 우수한 점을 수용하거나, 경쟁사의 신제품/신사업을 파악하여 기회포착에 활용할 능력이 있는가?

2.5

역량분석 19

기술개발 목표와 전략수립을 위해 자사의 역량을 분석할 능력이 있는가?

2.5

변화관리 20

급작스럽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기술 환경에 빠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능력이 있는가?

2.5

전략기획

전략초점

21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 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목표와 관련성이 높은가?

2.5

22 중장기 기술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는가? 2.5

23 기술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마련되는가? 2.5

주요기법

24 시장 기획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는가? 2.5

25 기술 기획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는가? 2.5

정보지원

수집 26혁신기회 발굴을 위해 기업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정보원천으로부터 정보와 지식을 수집하는가?

2.5

분석 27 필요한 정보의 검색과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2.5

활용 28수집된 정보의 관리와 활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2.5

공유 29기업 내부에서 정보와 지식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2.5

수행역량

기술개발

프로세스

30 제품화를 위한 핵심기술 보완 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2.5

31기술개발 실무자 간에 기술관련 정보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2.5

기술협력

32 기술개발 과정에서 외부와의 협력은 잘 이루어지는가? 2.5

33최근 2년간 기술도입 및 기술이전, 공동 R&D 실적은 동종업종 유사규모 경쟁업체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2.5

장비확보 34

연구개발 장비와 시제품생산 및 시험분석 장비를 적시에 확보할 능력이 있는가?

2.5

상용화 및

사후관리

공급관리 35

제품생산 또는 사업화를 위한 재료 및 부품의 구매,

외주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2.5

사업화36

신제품의 시장도입 및 마케팅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할 능력이 있는가?

2.5

37신제품 상용화에 있어 지식재산권 전략을 수립하고 필요시 대응책을 마련할 능력이 있는가?

2.5

활용도38

개발된 기술의 관리와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가?

2.5

39개발된 기술의 외부 심사기관 인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가?

2.5

성과관리 40

기술개발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획득한 지식의 관리와 체화가 잘 이루어지는가?

2.5

합계 60.00

- 235 -

주 의

1. 이 보고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교육과학부 ( )사업으로 수행하는 연구사업의 위탁연구과제 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시행한 위탁연구과제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하여서는 아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