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
부산지 해양수산청 부산지 해양수산청 유해물질의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해상운송 실태 실태 개선 개선

유해물질의해상운송실태및개선방안•´양수산청.pdf2. 유해물질해상운송사고사례 H해운P호 연합뉴스(2002.11.12)-2002.11.11 17:00 4,400TEU급컨테이너선P호가콜롬보근해에서항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부산지방해양수산청부산지방해양수산청

유해물질의유해물질의 해상운송해상운송 실태실태 및및 개선방안개선방안

목 차

1.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현황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현황1. 1. 유해물질의유해물질의 해상운송해상운송 현황현황

1.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현황

화물의 해상운송 종류와 수단

컨테이너선벌크선고 체

컨테이너선유조선액 체

컨테이너선가스운반선기 체

포 장

(PACKAGED)

산 적

(BULK)구 분

1.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현황

가스운반선

1.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현황

유조선

1. 유해물질의 해상운송 현황

벌크선

1. 해상운송 방법과 현황

컨테이너선

1. 해상운송 방법과 현황

유해물질의 정의

① oil carried in bulk(MARPOL) ② noxious liquid(MARPOL)

③ dangerous liquid(IBC Code) ④ liquefied gases(IGC Code)

⑤ dangerous, hazardous and harmful substance (IMDG Code)

⑥ liquid substances carried in bulk with a flashpoint not exceeding 60℃

⑦ solid bulk materials possessing chemical hazards(BC Code)

⑧ residues from the previous carriage in bulk of substances referred to above

협약상의 정의(HNS 협약)

해양에서의 유해물질(Hazardous & Noxious Substances)

선원• 여객• 선박의 안전 및 해양환경보호에 위해를 초래하는 물질

일반적인 정의

1. 해상운송 방법과 현황

세계의 유해물질 운송량

HNS

45.6%NON-

HNS

54.4%

45.6%62433397121316332000

44.9%59083255111015431999

45.0%59183255114815151998

케미칼 등유류

비율(a/b)

총계(b)

Non-HNS

HNS(a)

연도

자료 : UN,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01 (단위:백만톤)

1. 해상운송 방법과 현황

우리나라의 유해물질 운송량

HNS

55.0

%

NON-

HNS

45.0

%

55.5%7093191252652000

51.0%6543201152191999

51.0%6283081351851998

케미칼 등유류

비율(a/b)

총계(b)Non-HNS

HNS(a)

연도

(단위:백만톤)

1. 해상운송 방법과 현황

Five main dry bulks : Iron ore, Coal, Grain, Aluminum, Rock phosphate

1. 해상운송 방법과 현황

부산항 위험물컨테이너 물동량

229,54041,86980,77253,79953,1002004

207,67835,83879,01547,11245,7132003

183,12932,45673,33438,97338,3662002

수출수입

총계수출수입

환적

연도

(단위:TEU)

2. 해상운송 사고사례2. 2. 해상운송해상운송 사고사례사고사례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H해운 P호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H해운 P호

연합뉴스(2002.11.12)

- 2002.11.11 17:00 4,400TEU급 컨테이너선 P호가 콜롬보 근해에서 항해 중 위험물 컨테이너 폭발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여 투발루인 선원 1명이사망하고 1명이 실종되었다.

- 이 선박은 싱가포르에서 수에즈 운하로 항해중이었고, 독일 선장 등 21명의 외국 국적의 승무원이 승선하고 있었다.

- 인근 항만국인 스리랑카 당국은 현지 구조팀을 동원해 즉각적인 선원 인명구조작업을 벌였으며, 사고 선박을 인근 항만으로 인도하여 조사중이다.

• 프랑스 국적 유조선 LIM BURG

• 2002.10.6 Aden만 예멘 앞바다

• 선원 1명 사망, 90,000배럴 유출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포장위험물의 해상운송 사고사례

주요사례 1

- 1997년 대서양 A호

- 하이포아염소산칼슘 (CALCIUM HYPOCHLORITE, HYDRATE)

CLASS 5.1 UN 2880 폭발, 화재사고

- 뜨거운 연료탱크 상부에 적재된 CALCIUM HYPOCHLORITE를 수납한

컨테이너에서 화재가 발생 컨테이너선 C호가 침몰 전손됨

- 온도가 35℃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분해 발열 되어 폭발하는 성질이 있어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적재하여 35℃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나뜨거운 연료탱크상부에 적재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음

IMDG Code의 적재요건

적재방법 D, 화물운송단위물은 직사광선으로부터 차폐되고 열원으로부터 격리하여야 함, 화물운송단위물속에 화물은 전체적으로 적절한 환기가 되도록 적재하여야 함. 금속분말과 금속혼합물, 암모늄 혼합물, 시안화물, 과산화수소, 액체 유기물과 격리하여야 함.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포장위험물의 해상운송 사고사례

주요사례 2

- 1994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B호

- 발포성형용 폴리머비드 (POLYMERIC BEADS, EXPANDABLE)

CLASS 9 UN 2211

- 컨테이너를 하역하여 트럭으로 이동중 봉인번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트럭

기사가 라이터를 켜는 순간 컨테이너가 폭발하여 트럭기사는 현장에서즉사함.

- 더운 지역에서 탄화수소 가스가 발생 나화에 인화되어 폭발함.

IMDG Code의 적재요건

적재방법 A, 갑판하부에 적재시 인화성 대기를 형성하지 않도록 기계적인 통풍을 할 것. 알갱이 형태의 주조재료. 저장시 펜탄의 일부분이 대기로 방출됨. 고온에서는 증가함. 밀폐된 컨테이너 또는 자동차에 적재될 경우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포장위험물의 해상운송 사고사례

주요사례 3

- 1994년 홍콩 C호

- 질산(NITRIC ACID, CLASS 8, UN 1796), 이소프로필알콜

(ISOPROPYL ALCOHOL CLASS 3, UN 1219) 등

- 홍콩으로 항해중 악취가 발생, 홍콩에 입항하여 조사한 결과 선박의

바닥에 구멍이 생기고 다른 컨테이너의 화물을 손상시킴.

- 부식성물질인 질산을 유엔표준용기가 아닌 불량 드럼에 수납하여 용기가

쉽게 부식되어 질산이 누출됨. 선창바닥을 구멍 나게 하고 다른 화물들을손상시킴.

IMDG Code의 적재요건

적재방법 D, 산화제로 목재, 면, 짚 등과 같은 유기물질과 접촉시 화재가 일어날 수 있으며, 고 독성가스(갈색연무)를 발생한다. 대부분의 금속을 강하게 부식시킴. 피부, 눈 및 각막에 손상을 입힌다.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포장위험물의 해상운송 사고사례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포장위험물의 해상운송 사고사례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2. 유해물질 해상운송 사고사례

포장위험물의 해상운송 사고사례

사고개요

- 2004.9.30 03:00 (추석연휴)

- 부산항 00 컨테이너터미널 위험물장치장

- 내품 : 액체유기과산화물(Class 5.2 , UN No.3115)

- PSN : ORGANIC PEROXIDE TYPE D, LIQUID, TEMPERATURE CONTROLLED

- 원인 : 온도관리(-18도)가 되지 않아 온도상승으로 인한 자연발화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3. 3. 해상운송에해상운송에 관한관한 국제협약국제협약 및및 국내법규국내법규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국제협약의 필요성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국제협약의 제정

해운, 선박에 대한 국제적인 통일된 안전기준 필요해운, 선박에 대한 국제적인 통일된 안전기준 필요

• 단일 국가의 법규만으로는 통제 불가

• 선박의 대형화 및 선복량 증가

• 18세기 산업혁명이후 해운 물동량 급증

• 잇따른 대형 해양사고 발생 국제해사기구(IMO) 탄생및 국제협약의 제정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국제해사기구(IMO)

해상안전 및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UN 산하 전문기구

국제해운의 안전, 항행의 능률화, 해운문제의 심의, 정보교환,

조약의 작성 및 이행권고를 목적으로 함

우리나라는 1962년, 북한은 1986년 가입

우리나라는 이사회(COUNCIL) A 그룹의 이사국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IMO 조직도

사무국(SECRETATIAT)

NAV

COMSAR

STW

DE

SLF

FP

BLG

DSC

FSI

해사안전위원회(MSC)Maritime Safety Committee

법률위원회(LEG)Legal Committee

기술협력위원회(TC)Technical Cooperation Committee

간소화위원회(FAL)Facilitation Committee

BLF

FSI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이사회(COUNCIL)

총회(ASSEMBLY)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IMO 국제협약

해사안전 주요협약

1974 SOLAS, 1966 LL, 1969 TONNAGE, 1972 COLREG, 1972 CSC, INMARSAT, 1978 STCW, 1979 SAR

해양오염방지 주요협약

73/78 MARPOL, 1972 LC, 1969 INTERVENTION, 1990 OPRC

책임 및 보상관련 협약

1969 CLC, 1971 FUND, 1971 NUCLEAR, 1974 PAL, 1976 LLMC, 1996 HNS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유해물질 운송관련 주요협약 – 1974 SOLAS

협약원명 :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1974

채택(발효) : 1974. 11. 1(1980. 5. 25)

주요내용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선박의 구조, 설비 및 운항에 관한 기준설정(증서, 구조, 복원성, 기관, 소화•구명설비, 항해안전, 보안)

관련국내법 : 선박안전법, 해상교통안전법, 전파법 등

적용범위 : 각 장별로 별도의 명문규정이 없는 한 모든 여객선 및

총톤수 500톤 이상의 선박으로서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1974 SOLAS

유해물질 운송관련 주요 내용

제7장 위험물의 운송 Carriage of dangerous goods

Part A : 포장된 형태 또는 산적고체형태 위험물의 운송(Carriage of dangerous goods in packaged form or in solid form in bulk)

→ IMDG Code

Part B : 산적위험액체화학품 운반선의 구조와 장비(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dangerous liquid chemicals in bulk)

→ IBC Code

Part C : 산적액화가스 운반선의 구조와 장비(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efied gases in bulk)

→ IGC Code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73/78 MARPOL

협약원명 : Protocol of 1978 Relating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973.

채택(발효) : 1978. 2. 17(1983. 10. 2)

주요내용 : 선박으로부터의 해양오염방지

관련국내법 : 해양오염방지법

적용대상 :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150톤 이상의 유조선 및 400톤

이상의 일반화물선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73/78 MARPOL

부속서 Ⅰ : 기름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규칙

부속서 Ⅱ : 산적된 유해액체물질에 의한 오염규제를 위한 규칙

부속서 Ⅲ : 포장된 형태로 선박에 의하여 운송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규칙 ▶ IMDG Code

부속서 Ⅳ : 선박으로부터의 하수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규칙

부속서 Ⅴ : 선박으로부터의 폐기물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규칙

부속서 Ⅵ : 선박으로부터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규칙

부속서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1972 CSC

협약원명 :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 Containers, 1972

채택(발효) : 1972. 12. 2(1977. 9. 6)

주요내용

부속서 Ⅰ : 컨테이너의 시험, 검사, 승인 및 정비규칙

부속서 Ⅱ : 구조상 안전요건 및 검사기준

관련국내법 : 선박안전법

적용범위 : 국제간 수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항공운송용은 제외)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1996 HNS

협약원명 : International Convention on Liability and Compensation for

Damage in Connection with the Carriage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y Sea, 1996 (1996년 위험 유해물질의 해상운송에 따른 손해보상

및 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채택(발효) : 1996.5.3(미발효)

목적 : 선박의 유해·위험물질 유출사고시 손해에 대한 배상

적용대상 : 유해·위험물질(HNS)을 운송하는 모든 형태의항해선

및 해상주정(단, 체약국의 군용, 비상업적 선박은 제외)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IMDG Code

협약원명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

발효 : 2004. 1. 1 (일부조항은 권고사항임)

주요내용

제1급 화약류부터 제9급 기타 유해성

물질까지 9가지로 위험물을 분류하여

포장, 적재, 고박, 용기, 표시, 표찰 등의

방법을 규정

관련 국내법 :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3.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협약 및 국내법규

물질 종류별 적용되는 국제협약

LM

LM

X

포 장

(PACKAGED)

BC Code(A,C물질)

X

X

산 적

(BULK)

일반화물

포 장

(PACKAGED)

산 적

(BULK)

IMDG CodeIMDG Code

BC Code(B물질)

고 체

IMDG CodeIBC Code액 체

IMDG CodeIGC Code기 체

유해물질

구 분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4. 4. 해상운송안전의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문제점 및및 개선방안개선방안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협약의 이행보장을 위한 제도

1단계 : 국제협약의 자국내 수용(국내법규로 제정)

2단계 : 정부(기국) 검사 실시

3단계 : 정부검사의 위임 → 선급단체, 위험물검사소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선급단체

선급이란?

선박의 최초 설계시부터 건조 완료시까지 선체구조설비에 대한 도면승인 및건조 과정 중에 단계별 검사를 실시하고, 또한 운항중인 선박에 대한 정기적 검사를 실시하여 선박의 감항성을 확보하는 업무를 행하는 기관

보험목적 상 선박의 감항성을 증명하는 업무로 출발

전세계 60여개 선급단체(IACS 정회원 10개)

한국선급 1960년 창립, 1988년 IACS 정회원이 됨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문제점

편의치적국의 등장

부실 선급의 난립

기준 미달불량 선박

유해물질 운송기준위반

불안전한유해물질운송

대형 해양사고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개선방안 1. 기준미달선의 퇴치

항만국 통제 (Port State Control) 강화

항만국의 외국선박에 대한 통제(Control)

기준미달선(Sub-standard Vessel) 퇴치

IMO에서 국제협약을 통해 보장

항만국내에서 기준미달선이 충돌, 좌초, 해양오염 등의 사고를 일으킬경우 해당 선박뿐만 아니라 항만국의 해양오염 등 피해 유발

「Torrey Canyon호」와「Amoco Cadiz호 」의 대형해양오염사고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회원국별 15% 회원국별 25%지역내 75%점검목표율· 여객선, 로로선, 벌크

위험물운반선등

·최근결함지적선박

·최근출항정지, 우선

점검국소속선박

· 여객선, 로로선, 벌크

위험물운반선등

·최근결함지적선박

·최근 6월간미점검선박

· 여객선, 로로선, 벌크

위험물운반선등

·우선점검국선박등

※10년이상유조선

및벌크특별고려

우선점검

11개국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콜럼비아, 쿠바, 에콰도르, 멕시코, 파나마, 페루, 우루과이, 베네주엘라

20개국벨기에, 캐나다, 크로아티아,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아이슬랜드, 이탈리아, 화란,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영국, 아일랜드, 슬로베니아

18개국호주, 캐나다, 칠레, 중국, 피지,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지아, 뉴질랜드, 파푸아 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태국, 바누아투, 베트남

회원국

Vina del Mar MOU

Paris MOUTokyo MOU구분

PSC는 IMO의 권고에 따라 지역적 협력체제로 운영

전 세계에 현재 8개의 PSC MOU(양해각서) 체결

T-MOU, P-MOU 및 미국(독자적)이 PSC를 주도적 시행중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항만국통제

출항정지7척(0.8%)

결함척수540척(63.8%)

무결함척수299척(35.3%)

2003년 부산항의 PSC 결과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항만국통제

80 69

3658

3620

204255

80

326

160

69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파나마 러시아 중국 라이베리아 사이프러스 기타

점검척수

결함척수

국가별 점검 현황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항만국통제

Count (%) Count (%)

총 합 계 839 400 47.68% 9 1.07%

Place Total InspectionNo. of Deficiency No. of Detained

2004년 부산항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개선방안 2. 유해물질 운송기준의 준수점검 강화

위험물컨테이너 점검 (Container Inspection Program) 강화

포장된 위험물의 적재, 고박, 격리, 위험성의 표시 등에 대한 점검

SOLAS, MARPOL, CSC, IMDG Code 적용

선박안전법,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에 수용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사안전위원회(MSC) 제69차 회의에서 CIP 제도 시행을 강력 촉구(98.5)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위험물컨테이너 점검

미국

시행년도 : 1992년

시행기관 : 연안경비대(USCG)

시행근거 : 연방법(CFR) 49권 176조

위반시 벌칙 : 벌금(250$-27,500$)

9.11 테러이후 강화추세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위험물컨테이너 점검

캐나다, 영국, 네덜란드 등 주요 해운선진국은 90년대 중반부터 CIP 활동을 실시중

일본

시행년도 : 1997년

시행기관 : 지방운수국

시행근거 :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

위반시 벌칙 : 벌금(20-30만엔)

IMDG Code 발효 후 강화추세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위험물컨테이너 점검

우리나라

수출한국해사위험물검사소

(위험물수납검사, 1990년)

수입지방해양수산청

(부산, 광양 2002년)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위험물검사

설립년도 : 1989년

점검대상 : 위험물 적재 수출 컨테이너

시행근거 : 선박안전법,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IMDG Code)

위반시 제재사항 : 항만내 반입불가

위험물검사업무 정부대행(1990년)

한국해사위험물검사소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수입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

시행년도 : 2002년(고시제정)

시행기관 : 부산 및 여수(광양) 해양수산청

점검대상 : 수입(환적포함) 위험물컨테이너

시행근거 : 선박안전법,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IMDG Code)

위반시 제재사항 : 위반통지서 발송, 자발적인 시정유도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부산항의 CIP (2003)

37475299위반

컨테이너

1051178873점검

컨테이너

계환적수입구분

(단위: ctu)

1051

374

0

500

1000

1500

점검 위반

(35.6%)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표시 표찰85.5%

용기 표시3.1%

안전승인2.1%

격리 고박5.5%

용기 포장3.8%

9안전승인판

23격리, 수납, 고박

13용기의 표시 표찰

16용기 및 포장

360컨테이너 표시 표찰

위반건수위반종류

부산항의 CIP (2003)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부산항의 CIP (2003)

유해산업의 선진국 기피에

따라 중국 등 동남아 수입

물량 증가추세

후진국의 경우 위반율이

높음, 내륙운송으로 이어짐

점검인력, 전용점검장,

처벌조항 미미

2003년 약 1% 점검

220

127

(57.7%)

63 36

(57.1%)41 17

(41.5%)0

50

100

150

200

250

중국 싱가폴 대만

주요 국가의 위반율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4)

점 검 대 상(수입+환적)

구 분 연간점검 목표점검실적

목표달성률

130,000TEU

외관점검

1,450TEU(대상컨테이너의

1.1%)

1,450TEU

100%

개방점검

218TEU(외관점검의 15%)

221TEU

101%

점검 실적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4)

수입/환적 비율

수입94%

환적6%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4)

위반율

양호

75.5%

위반

24.5%

양호

83.5%

위반

16.5%

수입화물 환적화물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4)

위반종류

264

34 26 3311

0

50

100

150

200

250

300

표시,표찰 용기표찰 용기포장 수납 안전승인판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4)

국가별 점검수

229 240

64 59

101 9771

89

315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중국 미국 이스라엘 대만 일본 네덜란드 벨기에 싱가폴 기타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4)

국가별 위반율(%)

43.7

13.810.9

33.9

12.9 13.4 14.1

44.9

25.1

0

5

10

15

20

25

30

35

40

45

중국 미국 이스라엘 대만 일본 네덜란드 벨기에 싱가폴 기타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2005년 점검목표

◆ 외관점검 : 1,930TEU

※ 대상 컨테이너- 수입 및 환적 위험물 적재 컨테이너- 2005년도 부산항의 대상 컨테이너는약14만TEU로 예상되므로 전체의1.4%를 점검하는 것임.

◆ 개방점검 : 290 TEU(외관점검의 15%)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CIP

◆ 점검의 효율성 향상

- 점검 실적과 분석을 바탕으로 위반율이 높은 수입국가, 화주,운송인에 대한 점검 비중 강화

- 위반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위반통지서 발송 등으로 지속적인계도를 실시하며, 필요시 향후 과태료 부과 등 보다 실효성있는 제재수단 강구

◆ CIP 전용 프로그램 개발

- 점검의 효율성 향상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수입통과화물시스템과 PORT-MIS 기능을 종합한 전용 프로그램 개발(2005년 하반기 완료 예정)

향후 추진방향

4. 해상운송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유해물질의 해상수송 안전

국제해사기구(IMO)의 실효성 있는 협약제정

기국(FLAG STATE)의 성실한 이행노력

항만국(PORT STATE)의 점검강화

신속하고 전문화된 사고 대응 체제 구축

유해물질의해상수송안전

육ㆍ해상 운송기준의 조화

CIPCIPContainer Inspection ProgramContainer Inspection Program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