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Sekyung LEE

Embed Size (px)

DESCRIPTION

Lecollection (2013, @ Songeun Artspace)

Citation preview

Page 1: Sekyung LEE
Page 2: Sekyung LEE

이세경 개인전

SEKYUNG LEE: RECOLLECTION2013.06.21 - 08.10SONGEUN ARTSPACE

Page 3: Sekyung LEE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젊은 작가들의 역량을 키우고 이들의 도전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작가 개인전을

정기적으로 기획하고 있다. 그 세 번째 기획으로, 2013년에는 머리카락을 소재로 독창적인 작업세

계를 구축해 온 이세경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세경(1973-)은 도예를 전공한 이후 독일 유학

시절, 자신이 꾸준히 다루어 온 ‘흙’의 범주를 넘어 다양한 매체를 탐구했다. 이는 자신에 대한 성찰로

이어졌으며 결국 유년기부터 관심을 가진 ‘머리카락’에 주목하여 매체로서 머리카락의 속성과 의미를

고찰하게 되었다.

머리카락은 예로부터 영혼과 물질이 합쳐지는 신성한 매개체 혹은 권력과 신분의 상징으로 여겨졌

으며 동서고금(東西古今)에 걸쳐 다양한 문화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세경은 보다 일반적인 관점으로

머리카락에 접근하는데, 평소에 머리카락은 장식의 대상이지만 일단 신체에서 떨어져 나가는 순간,

불결하고 버림받는 대상이 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작가는 머리카락의 이중적인 속성과 상반된 인식이

공존하는 지점을 모색한 결과, 장식적 기능이 두드러지는 공예를 통해 머리카락에 대한 사유를 심화시

켰는데, <케이크 서버 위 머리카락> (2005), <흰색 도자 문고리에 머리카락> (2009)과 같이 서로 어울리

지 않는 머리카락과 일상 오브제의 설정을 선보였다. 더 나아가 유럽 최초의 자기(瓷器)인 독일 마이센

대표 문양 츠비벨무스터(Zwiebelmuster), 17-18세기 네덜란드와 포르투갈의 전통 타일, 동아시아

청화백자와 같은 전통 공예의 주요 문양들을 머리카락으로 정교하게 재현하고 박물관 진열장과 같이

연출하여 전시함으로써 머리카락과 아름다움에 대한 우리의 시각과 고정관념을 돌아보게 한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카펫 작업 역시 오랜 역사와 종교적 의미가 투영된 페르시안 문양에 기반한 것

으로, 작가가 짧게 절단한 인모를 현장에서 뿌려 고도의 수공예로 구현된 정밀한 문양과 구조를 재현한

것이다.

공예 문양은 시대 및 지리적 요인과 사회문화의 영향으로 그 형식과 의미가 변화한다. 그 예로, 18세기

유럽사회는 자기(瓷器)를 비롯한 공예 전반에 중국풍 양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중국 자기의

색과 문양을 모방하고 유럽식으로 변형시켰다. 마이센의 츠비벨무스터는 ‘양파 문양’이라는 뜻이지만

본래 중국 자기의 석류나 연꽃의 문양을 모방해 형성된 것으로, 이후 본 문양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자

유럽 각 지역별 도자 회사들을 비롯해 역으로 일본에 이르기까지 각자의 츠비벨무스터를 선보이게

되었다. <Transfer> (2012) 연작은 이와 같이 장식의 기본 요소인 문양에 공존하는 역사, 종교 및

문화의 순환에 따른 혼돈의 상태를 다층적인 속성을 갖는 머리카락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Transfer

_Portrait>과 인모(人毛) 유리 오브제 작업은 동시대에서의 첨예한 순환관계를 다룬다. 오늘날 미용

산업에 쓰여지는 유럽의 대다수 인모와 가발은 인도의 힌두교 사원에서 각자의 소원을 염원하며 바

쳐진 여인들의 머리카락이 수출된 것으로, 헌신의 의미로 잘려진 머리카락이 아이러니하게도 장식과

상업의 목적으로 쓰여진다. 이세경은 미용의 목적으로 금발로 염색된 가발을 쓴 힌두교 여성의 모습과

인모(人毛)를 함께 전시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둘러싸고 있는 모순된 사회 문화적 가치들을 오브제화

시키고 이에 얽힌 혼돈의 찰나를 제시한다.

이세경은 이번 전시에서 대중에게 각자의 머리카락,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이미지와 그에 관한

문구를 받아 작업한 프로젝트 <Recollection> (2013)을 처음 선보인다. 머리카락은 각자의 신체에서

자라나기에 매우 사적인 범주인 동시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되고 소멸된다. 초상화가 드문 시절

유럽에서는 실제로 머리카락이 이를 대체할 만큼 개인의 분신으로 여겨졌으며 펜던트, 브로치의

형태로 담겨져 널리 소유되기도 했다. <Recollection>은 작가의 머리카락 탐구가 앞서 다룬 인식의

순환관계를 갖는 대상으로부터 개인 각자가 흩어진 순간들을 모아 간직하는 기억의 매개체로 나아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전시에는 총 35인의 기억과 사색을 담은 작품이 선보여지는데, 각 작품은

참여자의 개성만큼이나 다양한 머리카락 성질을 띄고 있다. 이와 같이 추억의 단상을 재현한 이미지

작업 외에 가지각색의 머리카락이 각각의 케이스에 담긴 오브제 작업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무궁무

진한 기억의 저장 창고로서 머리카락의 물성(物性)을 직시하게 한다. 전시장 다른 한 편에는 초기

머리카락 드로잉을 비롯해 작업의 부산물들이 아카이브와 같은 구성으로 전시되고 인터뷰 및 작업

과정을 담은 영상이 상영되어 작업 전반에 걸쳐 구축된 작가의 관점과 흐름을 볼 수 있다.

자아에 대한 사색으로부터 시작된 이세경의 작업은 머리카락에 대한 깊은 사유와 관찰로 이어져왔다.

작가가 주목한 머리카락의 물성(物性)과 속성에서 반추한 다양한 맥락들은 우리로 하여금 쉽게

간과된 의미들을 주목하고 되돌아보게 한다.

이세경 개인전: RECOLLECTION2013.06.21 - 08.10

Page 4: Sekyung LEE

A main objective of SongEun ArtSpace is to support young Korean artists and as part of our

annual program one talented mid-career artist is invited for a solo exhibition. This year,

we are pleased to present our third featured artist, Sekyung Lee whose unique works are

all conceived with human hair. Born in 1973, Lee studied ceramics in Korea and then later

studied in Germany where her personal journey and exploration started to find a different

medium beyond clay. When Lee first contemplated using hair, she started drawing with

strands of hair and glue instead of a pen and pencil.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versatility

and properties of hair as a medium, the artist started to question more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is new medium which results in a diverse series of works. In this exhibition,

Lee presents major works such as her porcelain collection, on-site hair carpet installation,

Transfer series and her new work, Recollection.

Since the olden days, hair has been and still is considered as a statement of an individual’s

external beauty, power, status and even at times as something scared. There is a universal

fascination with this part of our body that transcends time and borders. And yet when the

hair is detached from the body, it has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suggesting something

grotesque and repulsive. It is this contradiction that greatly interests Lee and has been

a source of her inspiration. Her works like Hair on Cake Server (2005) and Hair on a White

Porcelain Door Handle (2009) bring together hair and everyday objects that would seem

to be an unfavorable combination. She goes one step further and imitates or recreates

the China patterns of the famous German Meissen’s Zwiebelmuster (the first European

China), or the 17th to 18th traditional tile patterns of the Netherlands and Portugal or the

white and blue porcelain patterns of East Asia. These highly decorative pieces are exhibited

in museum like glass displays which at first confuses the viewer and then forces us to

re-evaluate our stereotypes and perspectives about hair and beauty but more importantly

our acceptance of something ‘ugly’ and unusual to have an aesthetical value.

The on-site carpet installation in this exhibition is based on the patterns of the Persian

carpet which is rich with long historic and religious meaning. The artist first outlined her

desired design on the red carpet and then carefully scattered shortly cut human hair

precisely replicating the meticulous Persian design and pattern. Unlike the other works

in the exhibition, this work is not permanent. During the de-installation, the hair will be

vacuumed up and the red carpet underneath rolled away. This time consuming installa-

tion shows us that hair is not only a medium and inspiration for Lee but also a meditative

process.

Sekyung Lee is allured to fine craft patterns for its ornamental but metamorphose appeal.

Craft patterns have been influenced by periodic, geographical, and socio-cultural elements

which mean it is inevitable that their form and meaning would change. For example, the

18th century European society was actively influenced by things Chinese when it came

to porcelain and most fine crafts, imitating colors and patterns of Chinese porcelain and

making European adaptations. The famous Zwiebelmuster of Meissen actually means

‘onion shaped,’ a word that originated when European ceramic artists did not recognize

the pomegranates or lotus flows they were imitating. This European hybrid pattern became

a sensation all over Europe and even Japan, being recreated in different regions as their

own version of the Zwiebelmuster. And like this phenomenon, Lee’s Transfer series (2012)

also reflects a multi-layered contemplation on the state of confusion created by the existence

of history, religion and cultural circulation of patterns, the basic element of decoration, all

shown through the medium of hair.

In contrast, the Transfer_Portrait and the human hair-glass objet d’art pieces deal with a

poignant relationship of circulation existing in the concurrent time period. During Lee’s

study, search and research of hair, she found that a large proportion of the human hair

used in the European beauty industry comes from the Hindu temples of India, offerings

of hair made by Hindu women as symbols of dedication were ironically exported for the pur-

poses of decoration and commercial sales. By displaying a Hindu lady wearing a wig dyed

blonde as a beauty item, Lee tries to capture the paradoxical socio-cultural values surround-

ing hair as an objet d’art, and show the moment of confusion relating to this situation.

This exhibition will be the premier of Recollection (2013), a project where Lee received from

public participants their hair, special images and relating texts to create her pieces. During

times when portraits were a thing of rarity, hair was personal enough to be a stand in, and

was possessed in pendants and broach casings in remembrance of the person. The 35

participants in the Recollection series show that individuals have captured scattered

moments of their lives, using hair as a source of reminiscence. Besides the visual recreations

of such moments, the different colors of hair encased in their respective containers as objets

d’art forces viewers to confront the material property of hair as the storage chamber of

infinite memories.

What began as an introspection of herself, Sekyung Lee’s works have now become a deep

contemplation on and observation of hair. Though the images may seem very straightforward,

Lee has achieved an exquisite and unique articulation of her experimental approach to

hair as material and her own newly extended interpretation of it. Which in turn give us the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over looked meanings from various contexts and motivates

us to have a more progressive and receptive understanding of her art.

SEKYUNG LEE: RECOLLECTION2013.06.21 - 08.10

Page 5: Sekyung LEE

Installation view of 2nd floor

Page 6: Sekyung LEE

Hair on White Porcelain, dyed human hair, white porcelain, 15 x 27cm, 2009 Hair on White Porcelain Series, dyed human hair, white porcelain, variable dimensions, 2009

Page 7: Sekyung LEE

East to West, dyed human hair, white plates, varnish, Ø27cm each, 2010

Page 8: Sekyung LEE

Hair on Cake Server, dyed human hair, cake server, Ø32.5 x 13(h)cm, 2005Hair on Plate, dyed human hair, white plate, Ø26cm, 2012Installation view of 2nd floor

Page 9: Sekyung LEE

Installation view of 3rd floor

Page 10: Sekyung LEE

Transfer_OsS, dyed human hair, melamine-faced chipboard, resin finish, 30 x 40cm, 2012 Transfer_PZwT, dyed human hair, melamine-faced chipboard, resin finish, 30 x 40cm, 2012

Page 11: Sekyung LEE

Transfer_IP, dyed human hair, melamine-faced chipboard, resin finish, 30 x 40cm, 2012 Transfer_PMK, dyed human hair, melamine-faced chipboard, resin finish, 40 x 30 cm, 2011

Page 12: Sekyung LEE

Transfer_Fragments, dyed human hair, white plate, varnish, Ø26cm, 2012 Hair on White Porcelain Door Handle(detail), dyed human hair, white porcelain door knob, wooden door, 48 x 43cm, 2009

Page 13: Sekyung LEE

Installation view of 3rd floor

Page 14: Sekyung LEE

Hair on Carpet (on-site installation), dyed human hair, carpet, 300 x 700cm, 2013

Page 15: Sekyung LEE
Page 16: Sekyung LEE

Installation view of 4th floor

Page 17: Sekyung LEE

Artist’s By-products, mixed media, variable dimensions, 2013

Page 18: Sekyung LEE

RECOLLECTION

“Recollection”은 말 그대로 기억, 회상의 의미를 갖는다. 머리카

락은 그 길이만큼이나 시간과 세월이 축적되어 있고 그 안에는

추억과 다양한 기억을 고스란히 담은 저장 탱크와도 같은 힘이 있

다는 생각에 이번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작가 인터뷰에서>

이세경의 <Recollection>은 참여자 개개인의 머리카락, 소중한

이미지와 그에 관한 설명을 받아 이루어진 작업이다. 본 프로젝

트는 선착순으로 작업되기에 작가로서도 어떤 이야기와 이미지

를 만나게 될지 예측 불가능하다. 소중한 사연과 머리카락을 마

주하는 가운데 기억을 되짚어가며 한 올 한 올 쌓아 올려진 머리

카락은 이미 형상화된 이들의 기억을 재구성한다. 머리카락으로

재현된 기억의 순간은 주인공의 문구와 함께 액자 안에 담겨짐으

로써 <Recollection>이 완성된다.

As the word indicates, “Recollection” holds the mean-

ing of remembrances. With its ability to accumulate

time and history in its length, hair is a storage cham-

ber with an array of memories. I began this project

because I felt this held a certain strength about it

<From the Artist’s Interview>

Recollection is the aggregation of hair, cherished

images, and related texts, received from partici-

pating individuals. The artist was unaware of what

story or image was to come. Memories are revisited

with each carefully attached strand of hair, taking

form into precious memories. The recreated moment

in time is framed together with the words of the

storyteller.

Recollection_Lys, human hair, tile, 41 x 38cm, 2013

Page 19: Sekyung LEE

Installation view of Recollection series

Page 20: Sekyung LEE

살아오면서 몇 번의 졸업식을 거쳐야 했다. 생애 첫 졸업식은 다른 몇 번의 졸업식과 마찬가지로 춥고 두근거렸다. 어떤 과정의 학업이 끝나고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 문턱

앞에서 긴장되는 것은 당연했다. 그리고 길었던 머리카락을 잘라야 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었다.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일종의 법률처럼 느껴졌다. 세상에 태어나 몇 년을

살아가면서, 처음 느꼈던 제도의 구속 안에서 저항할 수 없는 현실 앞에 무력감이 느껴져 한편으론 슬펐다.

I have had a few graduations in my life and I remember my first ceremony was on a chilly day and very exciting. It was natural to feel

nervous between the end of one chapter in life and the start of another. I knew I had to cut my long hair before middle school and I

felt it like some kind of law I had to follow. It was the first time I recognized the redemption of the system and the resistless reality,

and my helplessness made me feel very sad.

Recollection_Graduation(detail), human hair, tile, 45 x 33cm, 2013

이 악보는 모차르트 피아노 콘체르토 23번 K488의 2악장으로, 오케스트라 파트를 피아노 반주로 편곡하여 만든 듀오 곡이다. 평소에 어머니와 함께 즐겨 연주하는 곡으로

특히 2악장의 서정적인 멜로디는 나에게 아련한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피아니스트였던 어머니가 가장 좋아하시는 작곡가 모차르트는 나에게도 마치 어머니의 한 부분

처럼 친근하고 편안하게 느껴진다. 서로 대화를 주고받듯 이 곡을 연주하는 동안 함께 한다는 것의 의미를 느낀다.

This music score is the second movement of Mozart’s Piano Concerto No. 23 K488 with the orchestral parts rearranged to a piano duet. I

used to play this music often with my mother, who was a pianist, and this particular lyrical melody in the second movement reminds me

of my childhood. Whenever I listened to her favorite composer, Mozart, it is very intimate and familiar, as his music is a part of my mother.

The moment we played music together felt like a conversation with her, giving me the feeling we are really together.

Recollection_Piano Score(detail), human hair, tile, 64 x 39cm, 2013

Page 21: Sekyung LEE

나의 ‘존재’, ‘살아있음’을 깨닫게 해 주는 사진 한 장. 젊은 남자와 여자가 막 결혼식을 올리는 사진입니다. 그 두 사람이 부부의 연을 맺어 37년을 사시는 동안 2남 1녀가

태어나고 그 덕에 저는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작년에 저도 결혼하면서 이와 비슷한 한 장소에서 인생의 단 한 번뿐일 순간을 경험하니, 이 사진이 정말 특별하게 느껴

지는 요즘입니다. 프로젝트 참여 겸 미용실에서 머리를 손질하며 문득 제 부모님의 줄어든 머리숱이 떠올랐습니다. 제가 클수록 두 분의 나이 드심과 줄어드는 머리숱은 다

저한테 왔나 봅니다. 제가 어른이 되고 사회인이 될 수 있었던 건 줄어드는 두 분의 머리숱만큼 두 분의 노고와 희생 덕분이란 생각이 듭니다. 문득 두 분의 결혼식 사진이 더

없이 소중하게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This picture makes me realize my ‘existence’ and ‘aliveness’. This is a wedding photo of a young man and woman, my mother and father. As

a result of their marriage, they have lived together for 37 years and had 2 boys and 1 girl. Because of them, I have come to live in this world.

Since I got married and experienced the same precious moment in the similar place, this picture feels even more special to me. When I

went to do my hair for participating in Sekyung Lee’s project, I consciously touched my hair. It was thin and it reminded me of my parents’

hair. It seems that as I grew up, they got older, and their thin hairs have also moved to me. I could become a grown woman only due to all

their sacrifices and hard work which is why this photo is even more precious to me now.

Recollection_Wedding(detail), human hair, tile, 45 x 33cm, 2013

나는 관악산 자락에서 자랐다. 관악산의 정기를 이어받았다는 교가의 가사를 목청 높여 부를 때마다 어린 나는 관악산의 정기를 받는 상상을 했다. 아버지와 처음으로 그

산을 올랐고 그 산은 나의 유년시절에 자연과 추억과 모험을 선물해주었다. 서울 어디에서건 저 먼발치에 어렴풋이 관악산의 능선이 보일 때면 밤하늘의 어느 별자리를

발견한 듯 반가워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I grew up near Gwanak Mountain. Whenever we sang our school song, I imagined receiving the spirit of the mountain as the song said. The

first time I climbed up the mountain was with my Dad, and it gave me a gift of memories and adventures of exploring nature. Whenever I

see far the distant blurry lines of the mountains, I feel happy from the memories as if I found a constellation in the dark sky.

Recollection_Mountain(detail), human hair, tile, 41 x 38cm, 2013

Page 22: Sekyung LEE

매일 밤 끊이지 않는 깊은 꿈들 때문에 가끔은 일상이 힘들 지경이다. 어느 날은 그 환상에 며칠을 헤어나오기 쉽지 않을 때도 있다. 허나, 불면의 고통은 괴롭지만, 무의식의

다양한 이야기와 이미지를 보는 것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이미지의 향연. 찬란한 색감과 다채로운 이야기 구성. 안견도 나와 같은 감정을 느꼈기에 이처럼 <몽유도원도>를

남길 수 있지 않았을까.

Often it is very hard to maintain my daily life after the endless dreams I have every night. Sometimes I even feel stuck in the dream for a few

days. I suffer from sleepless nights but again the various images and stories from my unconscious make me overwhelmed. It’s a burst of

images, vivid colors and various stories. I guess Ahn-Gyeon in his <Mongyudowondo> represented the emotions like that ones I dream.

Recollection_Dream Journey(detail), human hair, tile, 50 x 37.5cm, 2013

쉬르레알리슴 운동에서 남은 것이 무엇이냐는 사르트르의 질문에 한 쉬르레알리스트가 “청춘을 가진 적이 있었다는 느낌이다.”라고 대답했다는 구절을 보부아르의 저서

에서 읽은 적 있다. 대학에 들어온 이후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매던 나는 우연히 접한 이 구절에 크게 감동하였고, 그때부터 청춘을 그저 스쳐 지나가게 두는 것이 아니라 정말

가져보고자 애쓰는 중이다. 이 머리카락에는 청춘을 가져보려는 22살 나의 노력이 온전히 담겨있는 것이다.

I read some paragraphs from Beauvoir’s text of when Sartre asked what is attained from Surrealism. One of the Surrealists said, “I feel

like I have had ‘my youth’”. As I have been struggling and wandering upon graduating from university, these words deeply impressed me.

And since, I am trying to ‘have’ my youth, and not just let it go. This hair shows all my efforts to ‘have’ my own youth in age of 22.

Recollection_Youth(detail), human hair, tile, 50 x 37.5cm, 2013

Page 23: Sekyung LEE

나의 강아지 두 마리. 유난히 털이 너무 많이 빠져 집에선 항상 털을 이고지고 산다. 털은 종종 회사에도 따라온다. 가끔 스트레스받고 있을 때 옷에 박힌 강아지 털을 보면 피식

웃음이 나온다. 청소하느라 나를 힘들게도 하지만, 털 한 가닥 그 존재만으로도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내 복덩이들.

Here are my two dogs. They shed a lot so their fur is all over the house. It sticks on me, and without realizing their fur are sometimes on my

clothes when I go to the office. Sometimes when I am stressed at work and I find their fur on my dress, and it makes me smile and forget

about everything. It is hard to clean their fur, but my adorable dogs make me happy with only one strand.

Recollection_Puppies(detail), human hair, tile, 45 x 33cm, 2013

패션 디자이너가 되고 싶었던 나의 꿈을 포기하게 만든 사람, 아는 사람 하나 없던 타국에서 등불이 되어 주었던 사람, 내게 메이크업이라는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 사람, 내

30대의 모든 순간마다 나를 지켜준 사람, 내 아이가 할아버지라 부르는 사람, 나를 아들이라 불러주는 사람, 그리고 내가 존경하는 사람.

The person who made me give up my dream to be a fashion designer, The person who became a light for me in the foreign country, The

person who showed me the new world of make-up, The person who was with me every single moment in my 30s’. The person whom my

children call grandpa, The person who calls me son, and The person who I respect with all my heart.

The person who changed my life - Damien Dufresne -

Recollection_Damien(detail), human hair, tile, 45 x 33cm, 2013

Page 24: Sekyung LEE

Hair Collection, variable dimensions, 2013

Page 25: Sekyung LEE

Installation view of 4th floor

Page 26: Sekyung LEE

매체로서의 머리카락에 대한 관심

채영옥 그 동안 세 차례의 국내외 개인전과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셨는데요. 아무래도

선생님 작업에서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머리카락을 주요 매체로 다루신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독일에서 공부하시던 당시, 첫 개

인전(2004년)에서 이미 머리카락 카펫트 설

치 작업을 선보이셨는데요. 우선 머리카락에

관심을 갖게 되신 배경이 궁금합니다.

이세경 저는 한국에서 도예를 전공했는데

요. 도자기를 전공하면서 ‘흙’이라는 재료의

한계성에 부딪혔고 유학을 가게 되면서 제

작업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이 시작된 것 같

아요. 결국 그 고민들은 저로부터 시작이 되

었는데요,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단 한 번

도 머리를 짧게 해 본 적이 없고 항상 긴 머리

로 살아 왔어요. 긴 머리에 담긴 추억도 많지

만 반면에 매일 매일 바닥에 떨어져 있는 머

리카락 때문에 골치거리였어요. 엄마한테 꾸

중도 많이 들었고 저한테는 항상 해결해야 하

는 숙제처럼 느끼며 살아 왔는데 어느 날 문

득, 그렇다면 제 주변에 매일 떨어져 있는 머

리카락을 모아서 작업에 이용해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이후부터 작업이 본격

적으로 시작됐어요.

채영옥 선생님 스스로에 대해 고민한 결과

자연스럽게 자신이 가장 친숙하게 여긴 머리

카락이 매체가 되었군요. 그 당시 머리카락

을 매체로 택하고 다루시면서 어떤 점들을 주

목하셨나요?

이세경 머리카락이라는 게 ‘아름다움’과 ‘추

함’, ‘삶’과 ‘죽음’ 이라는 이중적인 이야기를

담기도 하고요. 실제로 머리카락이 신체 일

부일 때에는 사람들이 아름답게 가꾸고 다듬

으면서 마치 아름다움의 상징처럼 여기다가

막상 신체에서 떨어져 바닥에 놓이는 순간부

터는 더러움의 상징이 되어버리잖아요. 이렇

게 순간적으로 그 의미가 바뀌는 이중적인 측

면을 가졌기에 머리카락이라는 재료가 제게

는 굉장히 흥미로운 매체로 느껴졌습니다.

첫 시도와 발전과정

채영옥 그렇다면 머리카락으로 시도하신

첫 작업은 어떤 것이었나요?

이세경 처음에는 종이 위에 머리카락을 붙

여 드로잉하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머리카락

이라는 재료가 어떤 2차원적인 평면 위에 드

로잉적인 요소로 되면서 머리카락이 갖는 물

성(物性)은 사라지고 기본적인 직선이나 곡

선, 원이 되더라고요. 머리카락에서 이런 기

본적인 요소들을 발견하면서 더 큰 흥미를 갖

게 됐어요.

채영옥 이런 드로잉 작품들은 전혀 머리카

락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데요. 펜이나 연필로

드로잉 한 거라 해도 믿어질 만큼 디테일이

뛰어나고 일종의 결이 느껴집니다. 작업 과

정은 상상이 안 될 만큼 힘들 거라 생각되지

만 머리카락이 이렇게까지 자유자재로 표현

가능한 매체가 되리라고는 생각 못했는데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머리카락 자체의 물성

(物性)은 전혀 연상되지 않네요.

이세경 그때 당시 처음에는 종이 위에 드로

잉을 굉장히 많이 하고 있었지만 한편으로 고

민도 많이 했어요. 왜냐하면 머리카락이라는

게 과연 어떤 오브제와의 만남이 있었을 때

드로잉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을 계속 해왔거든요. 그러다가 생각한 것

이 접시였고… 접시 위에 머리카락. 이 두 조

합은 상상만 해도 생각하기 힘든 조화이기도

한데요. 서로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지만 처음

에는 접시 위에 문양을 완벽하게 보이도록 머

리카락을 붙여보자는 생각으로 시작했어요.

본 담화는 이세경 작가의 개인전 “Recollection”준

비 중에 진행된 것으로, ㈜로렌스 제프리스 채영옥

과장과의 인터뷰 촬영 및 설치과정 중 이루어진 질

의응답을 편집한 것이다.

This is an edited excerpt taken from a video

recorded interview with artist Sekyung Lee

and Young-Ok Chae of Laurence Geoffrey’s

on June 10th, 2013 at Sekyung Lee’s studio,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artist’s

new solo exhibit, Recollection.

A CONVERSATION WITH SEKYUNG LEE

Hair on Carpetblack dyed European hair scattered on a yellow carpet 824 x 1,760cm, 2004(original ornament: Chinese carpet, about 1800)

Hair Drawinghair, paper, 2004

Hair on Soapsoap inlaid with artist’s hair, variable dimensions, 2010

Hair on Platedyed human hair, white plate, Ø27cm, 2005(private collection, Germany)

HAIR AS A MEDIUM

Chae Through your three solo and nu-

merous group exhibits, it’s quite inter-

esting to note that your main medium

of choice was hair. You even showcased

a carpet installation piece made out of

hair for your first solo exhibition in 2004,

while you were studying in Germany. Tell

us how you became interested in hair.

Lee I studied ceramics in Korea and

during my studies I came upon the limi-

tations of clay as an artistic ingredient.

After I went to Germany, I began a sin-

cere contemplation about my work.

Ever since I was a child, I have always

had long hair and while I have many fond

memories about my long hair, it’s also

been quite a nuisance to constantly

pick it up from the floors. I received

quite a lot scolding from my mother re-

garding this and the task became like

homework. One day a thought occurred

to me, “why not use these hairs that are

always around me?” and that’s when I

began using them for my projects.

Chae So your self-contemplation bro-

ught you naturally to notice and to use

a very familiar source around you, hair,

as a medium. When this happened, what

ar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t-

tracted you?

Lee Hair can hold dual meanings of

both “beauty” and “ugliness,” “life” and

“death.” Hair is part of the body to be

decorated and cared for, and at many

times considered to be a symbol of

beauty but, it morphs into a subject of

filth and dirtiness once it is separated

from the body and falls to the floor. This

double sidedness with its instantaneous

shift in meaning is what drew me towards

it, making hair an extremely fascinating

medium for me.

THE FIRST ATTEMPT & PROCEEDING

FORWARD

Chae Then what was your very first

work with hair?

Lee I began drawing with hair by gluing

the strands on paper. Hair on paper, as

a drawing element on a two dimensional

surface, began losing its innate properties

and became a basic straight line at one

point, a curve or a circle at another….and

discovering hair as such basic drawing

elements was very fascinating to me.

Chae What’s interesting about your

drawings is that they do not give off the

impression that they are drawn with hair.

One could even believe it to be a pen or

pencil drawing, showing excellent detail

and a kind of “directional grain”. I can

only imagine how difficult and tedious

the work process involved is, and I never

before thought hair could be such an ex-

pressive medium. Your works completely

take away the usual properties of hair

that we are so familiar with.

Lee At the time I had been drawing a

lot on paper but on one side continued

to wonder whether if it was possible for

hair to go beyond and so came the idea

of the plate... and then hair on a plate.

The combination of the two is one that

is simply unimaginable, an unfavorable

combination. This started my deter-

mination to try and stick hair on to the

plate to create a perfect pattern, and

eventually led to sticking hair on to por-

celain sets, carpets, tiles, and sinks and

other everyday objects where we can

easily find fallen hair.

INTEREST IN CRAFTS AND

THE BORROWING OF PATTERNS

Chae In your later works, you began bor-

rowing historical patterns from both the

Page 27: Sekyung LEE

그 작업은 이후 도자 세트가 되기도 하고 카

펫이나 타일, 세면대 등 우리 일상에서 떨

어진 머리카락을 발견할 수 있는 그런 오브

제 위에 머리카락을 붙여 나가기 시작했습

니다

공예에 대한 관심과 문양의 차용

채영옥 이후 작업에서는 주로 동서양을 아

우르는 공예의 역사적인 문양들을 차용하셨

는데요. 실물과 구분이 안 될 만큼 완벽한 재

현이 두드러집니다.

이세경 제 작업의 문양들은 역사적으로 의

미가 있는 것들인데, 예를 들어 1930년대 독

일 마이센의 츠비벨 무스터*(Zwiebel Mus-

ter) 라든지 1920년대의 러시아 구성주의 기

하학적인 패턴 또는 네덜란드나 포르투갈의

유명한 문양들을 차용해서 제 작업에 반영했

어요. 이런 작업들을 마치 박물관에서 보듯

이 진열장에 넣고 전시장에 선보이죠. 사람

들은 작품을 보면서 ‘박물관에 있을 게 왜 여

기 와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 흥미롭게

보다가 막상 그 문양들을 이루고 있는 것이

머리카락이란 걸 아는 순간부터 흠칫 놀라

죠. 그런 모습을 보면서 저는 ‘과연 이런 인식

의 변화가 어느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걸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러한 부분이 제겐

굉장히 흥미로웠어요. 이런 컨셉을 드러나게

하려면 장식적인 부분과 수공예적인 작업과

정이 꼭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작업방식을 따르게 되었어요.

채영옥 애초에 머리카락이 떨어져 있을 법

한 일상의 오브제 혹은 정반대로 머리카락과

어울리지 않는 오브제와의 만남에 대한 구상

에서 출발했는데 자연스럽게 공예라는 분야

에서 선생님이 주목하신 머리카락의 속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부각된 것 같습니다.

이세경 머리카락의 속성과 의미 그리고 그

것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는 지점에 관심을 가

졌고 공예나 디자인의 영역으로부터 장식이

라는 요소를 차용해서 작업을 하게 된 거죠.

혼돈과 순환의 관계 <Transfer> 시리즈

채영옥 기존 작업에서는 실제 공예품과 구분

이 안 될 만큼의 완벽한 재현을 보여주셨다면

2012년 개인전에서 선보이신 <Transfer> 시

리즈는 시대와 지역이 다른 문양들이 함께 나

타납니다. 본 작업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이세경 제가 그 동안 작업을 해오면서 여러

문양들을 찾아 연구하고 각각의 출처를 알아

가다 보니 유럽의 유명한 문양들 중에 동양

에서 영향을 많이 받거나 모방을 하다시피 하

면서 자기 나름대로 발전된 부분들도 있었어

요. 제가 보기에는 동양도 서양의 것을 받아

들이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서서히 섞여

간다는 생각을 했어요. 작년에 제가 신작으

로 발표한 <Transfer> 평면 작업에서는 여태

까지 제가 사용했던 문양들을 해체하고 다시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요. 동양과 서양

아니면 시대를 망라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엉킨 선으로 해체되고 다시 절묘하게 생성되

기도 하는 어떤 카오스적인 상태를 형상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고요.

채영옥 <Transfer> 평면과 세라믹 오브제

작품이 서로 다른 문양의 공존과 순환에 대해

주목했다면 카펫 설치와 초상화 작업은 좀 더

포괄적인 순환에 대해 다루신 것 같습니다.

이세경 <Transfer_Portrait> (2012)과 <Trans-

fer_Carpet> (2012) 작업은 독일에서 인모로

(人毛)를 직접 구입하면서 알게 된 이야기로

부터 시작됐어요. 알고 보니 유럽 시중에 있

는 인모의 90퍼센트 이상이 인도에서 수출된

거였어요. 인도 여성들이 남편의 건강이나 아

들을 낳게 해달라는 등 자신의 소원을 빌면서

힌두교 사원에 바친 머리카락이 전세계에 수

출된다는 사실을 알고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

는데요. 동양에서 종교적인 의미가 있는 대상

*18세기 초 독일 작센의 도시, 마이센 가마에서 유

럽 최초의 자기가 독자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마이센은 전통적인 제조공법과 채색기술을 바탕

으로 대표적인 자기 브랜드로 구축되었다. 츠비벨

무스터는 양파 문양을 가리키는 말로 본래 중국의

석류 등의 문양을 모방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마

이센 뿐만이 아니라 세계 각지의 회사에서 본 문양

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Hair on China Setartist’s hair glued on china set, 2005 (original ornament: Zwiebelmuster, Meissen)

Fragmentsbroken tile on a rubble, dyed human hair, 2007

Transfer_Carpet (work process)2012

East and West, and sometimes making

almost perfect recreations of well-known

pieces.

Lee The borrowed patterns represent-

ed in my works are those with historical

meaning, such as the 1930’s German

Zwieblemuster* by Meissen porcelain,

the geometrical patterns of the 1920’s

Russia Constructivism, or the famous

patterns of the Netherlands and Por-

tugal. In exhibitions, I presented these

pieces inside glass showcases and peo-

ple would look upon them thinking “why

are museum pieces displayed here?”

And when they learn that the pieces

are finely decorated with hair, they are

greatly surprised. It was absolutely

interesting to me to wonder at what

point that shift in perception occurs.

The handicraft and decorative patterns

play crucial parts in surfacing such a

concept and I naturally fell into working

with such methods.

Chae Although you started with every-

day objects where hair can be found or in

contrast with the concept of objects not

at all associated with hair, it seems the

art field of crafts naturally accentuated

the qualities of hair that interested you in

a much more effective way.

Lee Properties and meaning of hair,

as well as the relating shifting point of

perception interested me and inspired

me to create works borrowing patterns

from the domains of craft and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

SION AND CIRCULATION, TRANSFER

Chae Previously you focused on per-

fect replications of actual craft pieces

and the Transfer series, in this exhibi-

tion, shows a combination of patterns

of different time periods and regions.

Please explain.

Lee While working with and studying

the origins of patterns over the years, I

became aware that famous European

patterns were actually largely influenced

or were done in imitation of Eastern ones,

with some evolving in their own right. It

occurred to me that both the East and

the West take influence from the other

and thereby slowly become combined. In

my surface works of the Transfer series, I

show the process of dismantling patterns

I had previously worked with and piecing

them back together, but in a tangled way

that disregards the East and West, or time

periods, thus producing work that struc-

turalizes a state of chaos by pulling apart

elements in a line of disarray then remark-

ably re-creating them together again.

Chae You could say that the surface

and ceramic objet d’art works of Transfer

focused on the coexistence and circulation

of evidently different patterns, and in

turn the carpet installation and portrait

works involved a much more compre-

hensive take on circulation.

Lee The idea for Transfer_Portrait (2012)

and Transfer_Carpet (2012) came about

while trying to buy human hair in Germany.

I discovered that 90% of the human hair

available for sale in the European market

comes from India. I was shocked to learn

that the hair Indian women give to Hindu

temples as offerings, such as prays for

their husband’s health or to bear a son,

was being collected and exported all over

the world. A sacred religious offering of the

East is transformed into a commercial ob-

ject of beauty when inserted into the com-

mercial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West. I

wanted to take this trade and try and turn

it around, giving back an Eastern meaning

to the hair and that’s how Transfer_Por-

trait was born. I began with a purchase of

a blond wig. Then a Hindu lady was hired

to wear the wig and by documenting the

process of gradually dying the hair black, I

wanted to express a “circulatory relation-

ship” within the same time period.

* The first independently produced Bone

China in Europe came from the kilns of

Meissen, located in Sachsen, Germany in

the early 18th century. Since then Meissen

became one of the representative names

in European porcelain China known for its

traditional production and coloring tech-

niques. Zwieblemuster refers to the bulb

pattern that was modeled after Chinese

fruits such as the pomegranate, these Chi-

na patterns are now copied and produced

by other companies around the world.

Page 28: Sekyung LEE

Transfer_Portrait (work process)2012

Transfer_Portrait (work process)2012

물이 서구의 국제화된 자본주의 사회로 넘어

가면서 미용 산업을 비롯해서 상업적인 대상

으로 바뀌는 이런 시스템을 어떻게 다시 동양

적인 의미로 바꿔볼 순 없을까 라는 생각이 들

었어요. 막연한 생각일 수도 있지만 그런 질문

에서 <Transfer_Portrait> 작업이 시작되었고

일단 독일에서 금발의 가발을 구입했어요. 그

다음에 힌두교 여성을 섭외했고 그분한테 그

금발가발을 씌우고 검정색 물을 차츰차츰 들

여가면서 동양적인 의미를 다시 되돌린다는

생각으로 작업을 했는데, 여기서는 어떤 동시

대적인 순환관계를 그리고 싶었습니다.

채영옥 작업 전반을 살펴보면 머리카락 속

성을 전혀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게 하는데

요. 이러한 접근을 가장 효과적으로 부각시

키는 매체와 머리카락이 결합해 이미지가 만

들어짐으로써 선생님만의 조형세계가 구축

되어 온 것 같습니다. 머리카락을 둘러싼 사

회상이나 여기에 투영된 현실의 면모들도 함

께 생각하게 되고요. 또 머리카락은 신체 일

부인만큼 친밀함이 강한 매체이지만 작업에

서는 단순히 친밀함을 유도하거나 혹은 인식

의 전복에 그치지 않고 순수한 미적 대상물로

도 다가온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작

품에 투영된 문양과 이미지의 재해석, 고도

로 치밀한 수공예적인 작업 모두가 작업의 근

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기억의 매개체 <Recollection>

채영옥 이번 개인전에서 신작 <Recollec-

tion> 시리즈를 선보이시는데요. 머리카락을

둘러싼 상반된 인식의 관계를 탐구한 이전 작

업과는 다른 접근과 해석이 눈에 띕니다.

이세경 <Recollection>에는 그 안에 이미

기억과 회상, 추억의 의미가 담겨 있는데요.

이번 신작을 통해 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

은 분들의 머리카락을 가지고 그 분들 개개인

이 갖고 있는 추억과 기억의 다양한 이야기들

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채영옥 이번 프로젝트는 각자의 머리카락과

함께 추억 혹은 개인적으로 의미있는 이미지

와 그에 대한 메모를 작가에게 제출하는 거였

는데요. 많은 분들이 참여해 머리카락을 모으

거나 미용실에서 자른 모발도 보내주셨어요.

저도 몇 주에 걸쳐 바닥에 떨어진 머리카락들

을 주워 모아서 드렸는데, 참여자 각자에게 일

정 시간과 정성이 들어가지 않을 수가 없더군

요. 막상 다 모은 머리카락 뭉치를 보니 왠지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이

걸 드려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실제로 제가 머

리카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다

시 한 번 느끼게 된 것 같아요. 대중이 참여하

는 프로젝트는 첫 시도이신데,어떻게 구상하

게 된 건지 궁금합니다.

이세경 지금까지 오랫동안 머리카락으로

작업을 하다 보니까 굉장히 많은 분들이 제

게 와서 머리카락에 대한 사연을 많이 말씀

해 주세요. 그런데, 그 중에 한 분이 오시더니

“선생님, 감사합니다.” 라고 말씀 하시더라고

요. 저는 처음에 영문을 몰랐죠. 왜 그러시는

걸까 했죠. 알고 보니 이 분이 돌아가신 어머

니의 머리카락을 아직까지 간직하고 있는데

자기한테는 그 머리카락이 굉장히 슬프고 가

슴 아픈 사연이 생각나는 대상이었다고 말씀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선생님 작업을 보면서

이 모든 게 치유가 됐다고 하시면서 이제는 더

이상 슬프지 않고 환하게 웃을 수 있다며 제게

고맙다고 말씀 하셨어요. ‘머리카락과 기억이

라는 게 상당히 많은 연관성을 갖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고 여러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런 점을 느꼈어요. 머리카락은 그 길이만큼

이나 어떤 시간과 세월을 축적하기도 하고 또

그 안에는 추억과 다양한 기억을 고스란히 담

은 저장 탱크와도 같은 뭔가 그런 힘을 가지

고 있다는 생각에 이런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

고요. 이번 전시에서는 서른 다섯 분의 스토

리를 선보이게 됩니다.

Chae Your earlier works provide an op-

portunity to view properties of hair in

an entirely different light. By combining

hair with a medium that most effectively

accentuates this approach to complete

an image, your signature form of art has

been developed. It calls forth the face of

reality surrounding hair,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reality reflected on such

a situation. Hair is part of our body and

thus a very familiar medium but what I

find interesting is that you do not stop at

encouraging the familiarity of this very

familiar medium or the shift in percep-

tion but present hair as a pure object of

beauty. The applied patterns, the rein-

terpretation of the image and your me-

ticulous hand craft work all make up the

bases for your work.

THE MEDIUM OF MEMORIES -

RECOLLECTION

Chae Your new solo exhibit series titled

Recollection has a noticeably different

approach and interpretation from your

previous works that focused on the re-

lationship between contrasting percep-

tion states.

Lee Recollection holds the meaning of

memories, remembrances, and remi-

niscent moments. The series exhibits

remembrances and memories of dif-

ferent people who wanted to take part

in the project, each expressed with their

own respective hairs.

Chae This project required partici-

pants to provide the artist with their

hair and a note relating to a memory in-

cluded with a preferred image or photo.

There were many eager participants

who took care and time to send in self-

collected hair or their cut hair from the

floors of the beauty salons. I had also

collected my hair off the floor over a few

weeks. When looking at the gathered

hair, I was unsure whether I should turn

it in at all because I thought it belonged

more in the trash bin. It was an oppor-

tunity for me to also realize how I really

felt about hair. This is your first project

to get the public involved. How did you

come about the idea?

Lee As I have been working with hair for

quite some time now, over the years nu-

merous people have told me their per-

sonally stories about hair. I had one in-

cident where a lady came up to me to say

thanks. I was dazed as to why. It turned

out that the lady had a lock of hair from

her mother who had already passed

away and so it had been a source of deep

sadness and pain. But through my work

she was able to change her perception

and thanked me for helping her smile

and laugh again. Through this opportu-

nity, I came to realize that hair for many

people also provoked special memories

and it also gave me the chance to meet

various people. With its ability to ac-

cumulate time and history in its length,

hair is a storage chamber storing an ar-

ray of memories and remembrances.

I began this project because I felt this

held a certain strength. In total I will be

introducing stories of thirty five partici-

pants.

Chae So hair has now become a medium

for memories in your Recollection series

and you worked with hair from a lot of

different people. Were there any no-

ticeable differences from your previous

work process?

Lee Because this project is based com-

pletely on public participation, I spent

a lot of time thinking of how to gather

interest and how much I could actually

accomplish. Thankfully many people

responded and I came to learn about so

many more stories than I expected. And

because what I had to work with were

sacred memories people and carefully

collected personal hair, my attitude was

intensely different from my other work.

Page 29: Sekyung LEE

채영옥 <Recollection> 시리즈에서는 머리

카락을 기억의 매개체로 접근하신 건데요.

다양한 분들의 머리카락을 마주하시면서 어

떠셨어요? 기존의 작업과는 많은 차이가 있

었나요?

이세경 이번 신작은 전적으로 누군가가 제

프로젝트에 참여해 주셔야 제가 작업을 진행

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과연 어떤 방법으로

관심 있는 분들을 모으고 또 얼마만큼의 작업

을 할 수 있을까 굉장히 많은 고민을 하면서

작업을 했는데요. 다행히 많은 참여자가 모

였고 생각보다도 훨씬 다양한 스토리들을 접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 사람 한 사람의

소중한 기억과 추억들을 담은 이야기와 정성

껏 모아주신 머리카락들이기 때문에 제가 작

업에 임하는 태도도 다른 때와는 굉장히 달랐

던 것 같아요.

채영옥 매번 새로운 작업을 하면서 그 다음

에는 어떤 이야기와 머리카락이 올지 예상할

수가 없으니 다른 어려운 점들도 있으셨을 것

같아요.

이세경 굳이 어려운 점이라고 하기에는 좀 그

렇지만, 주시는 분의 머리카락이 너무 짧다던

가 혹은 너무 흐리면 기술상으로 표현하기 힘

든 부분이 있거든요. 아니면 굉장히 적은 양

의 머리카락을 주시면서 대작(大作)을 해달

라고 하시면 약간 당황스럽긴 한데요. 그 안에

서 제가 최대한 작업을 했어요.

채영옥 모든 이야기가 소중하겠지만 특히

인상 깊은 내용이 있다면 몇 가지 소개해 주

시죠.

이세경 <Recollection_Graduation> (2013)

의 주인공은 서른이 넘은 성인인데, 본인이

초등학교 졸업식 때 잘라놓은 머리카락을 지

금 주신 건데요. 졸업 당시 중학교 입학하기

전에 학교 규율상 머리를 짧게 자를 수 밖에

없었는데 그 분한테 충격이었던 거에요. 그

때는 어린 아이니까 사회 제도에 본인이 저

항할 수 없었고... 그 머리카락을 간직하고 있

다가 이 프로젝트에 대해 알게되어 제게 초등

학교 졸업식 때 찍은 이미지와 함께 머리카락

을 주셨습니다.

<Recollection_Piano Score> (2013)은 주

신 분의 어머니가 피아니스트이신데 항상 두

분이 같이 모차르트 곡을 치는 피아노 이중주

악보예요. 이 악보를 보거나 음악을 들으면,

유년 시절에 어머니랑 피아노 합주를 했던 기

억이 떠오르신대요.

이번 프로젝트에 참가한 제 친구는 프랑스에

살고 있는데 한국에 부모님 만나러 올 때마다

치르는 나름의 의식이 있는데 아내가 흰머리

를 뽑아주는 거죠. 부모님께 자식의 흰머리

를 보이고 싶지 않은 마음에 그러는거죠. 제

가 이 프로젝트를 한다니까 한국에 잠시 방

문한 차에 주고 갔어요. 그래서 <Recollec-

tion_Grey Hair>가 만들어졌고요.

매번 다른 스토리를 받을 때마다 저도 각각

주신 분들의 추억을 떠 올리면서 머리 속에

새로운 생각들을 그리면서 굉장히 재미있게

했던 것 같습니다.

채영옥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지난 10여년

에 걸쳐 전개된 선생님의 작업 흐름을 통해

비단 머리카락뿐만이 아니라 표현과 소통에

대한 우리 생각의 폭을 더 넓히게 된 것 같습

니다. 또 이번 신작 <Recollection>을 통해

많은 분들이 각자의 소중한 추억과 꿈을 되

살려보는 시간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Recollection_Hoppi (work process)2013

Recollection_Violin (detail)human hair, tile, 45 x 33cm, 2013

Recollection_My Son (detail)human hair, tile, 45 x 33cm, 2013

Chae Did you have difficulty in pro-

ceeding with your project as you had to

be introduced a new story every time,

not being able to expect what story and

hair will come your way?

Lee I am not sure they warrant being

termed “difficulties” but often times

there would be cases when the hair

given would be too short or too light to

technically express what was needed.

Occasionally there would be someone

who would ask for an elaborate produc-

tion while giving an incredulously small

amount of hair. It can get a bit awkward

but I tried to make the best with what I

am given.

Chae While each and every story must

be sacred, tell us if any left you with un-

usual impressions?

Lee The participant of Recollection_

Graduation (2013) is of a woman in her

30s who gave me her hair that was cut

just around her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Being too young to rebel

against societal demands, she was left

with quite a shock when she learned she

had to cut her long hair when entering

middle school. When she learned of this

project, she gave me the hair she cut

at the time, along with her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picture to work on.

The participant’s mother of Recollecion

_Piano Score (2013) was a pianist, and

this sheet of music is a Mozart duet

which they used to play when the par-

ticipant was a child.

My friend who lives in France has a per-

sonal ritual whenever coming to Korea

to meet his parents. Not wanting to

show his parents he has started to grey,

he asks his wife to pluck his grey hairs

before every trip. When he heard of the

project, he came and dropped off his

hair during a short trip to Korea. That’s

how Recollection_Grey Hair came to be.

Every story I received, my thoughts were

filled with their memories and new

ideas, and I had quite a fantastic pro-

cess in working on this project.

Chae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time

today. Through the 10-year progress of

your work, we have not only learned about

the medium of hair, but also gained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spectrum

of our minds regarding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 hope many viewers

can get a chance to relive their precious

memories and dreams through your new

work Recollection.

Page 30: Sekyung LEE

1973 서울 출생

1996 성신여대 도예과 졸업

1998 성신여대 도예과 대학원 졸업

2004 마이스터슐러, 쿤스트아카데미 뮌스터, 독일

2006 아카데미브리프(석사), 쿤스트아카데미 뮌스터, 독일

주요 개인전

2013 Recollection,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2 Transfer, 갤러리 2, 서울

2009 Hair on the White Porcelain, 갤러리 2, 서울

2008 Sekyung Lee, 갤러리 슈멜라, 뒤셀도르프, 독일

2005 Sekyung Lee, 갤러리 슈멜라, 뒤셀도르프, 독일

2004 Haare auf dem Teppich, 베베르카 파빌리온,

뮌스터, 독일

주요 단체전

2013 Detail, 갤러리 시몬, 서울

Corea Campanella, Mozart Hall, Hotel Amadeus,

베니스, 이탈리아

G.P.S Navigator, 갤러리 퍼플 스튜디오, 경기도 남양주

공·사립기관 매칭 작가교류전 ‘ 공감·공유·공존의 美學’,

영은미술관, 경기도 광주

Hair! Das Haar in der Kunst, Ludwig galerie Schloss

Oberhaussen, 오버하우젠, 독일

2012 이미지의 습격, 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고양

2011 Grosse Kunstausstellung NRW Duesseldorf 2011,

쿤스트팔라스트, 뒤셀도르프, 독일

몹쓸 낭만주의, 아르코미술관, 서울

Show Me Your Hair, 스페이스 C, 코리아나 미술관, 서울

Die Unwahrscheinlichkeit des Augenblicks,

KuK Monschau, 몬샤우, 독일

2010 Grosse Kunstausstellung NRW Duesseldorf 2010,

쿤스트팔라스트, 뒤셀도르프, 독일

Hautnah-Das Haar in Kunst und Kultur,

쿤스트페어라인 레온베르그, 독일

세상을 드로잉하다,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09 Hellwach gegenwaertig, MARTa Herford,

헤어포트, 독일

Hautnah-Das Haar in Kunst und Kultur,

Villa Rot 미술관, 독일

Open - ZOYA Museum, 모드라, 슬로바키아

재외한국청년미술제,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1973 Born in Seoul

1996 B.F.A in Craf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998 M.F.A in Craf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04 Meisterschueler at Prof. Guillaume Bijl, Germany

2006 Akademiebrief, Kunstakademie Muenster, Germany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3 Recollection, SongEun ArtSpace, Seoul

2012 Transfer, Gallery 2, Seoul

2009 Hair on the White Porcelain, Gallery 2, Seoul

2008 Sekyung Lee, Gallery Schmela, Germany

2005 Sekyung Lee, Gallery Schmela, Germany

2004 Haare auf dem Teppich, Wewerka Pavillon, Muenster,

Germany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3 Detail, Gallery Simon, Seoul, Korea

Corea Campanella, Mozart Hall, Hotel Amadeus,

Venice, Italy

G.P.S Navigator, Gallery Purple Studio, Namyangju, Korea

Hair! Das Haar in der Kunst, Ludwig galerie Schloss

Oberhaussen, Oberhaussen, Germany

2012 Counterattack of Images, National Art Studio,

Goyang, Korea

2011 Grosse Kunstausstellung NRW Dusseldorf 2011,

Kunstpalast, Dusseldorf, Germany

Bad Romanticism, Arko Art Center, Seoul, Korea

Show Me Your Hair, Space*C, Seoul, Korea

Die Unwahrscheinlichkeit des Augenblicks,

KuK Monschau, Monschau, Germany

2010 Grosse Kunstausstellung NRW Duesseldorf 2010,

Kunstpalast, Duesseldorf, Germany

Hautnah-Das Haar in Kunst und Kultur,

Kunstverein Leonberg, Germany

Design the World.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Korea

2009 Hellwach gegenwaertig, MARTa Herford, Herford,

Germany

Hautnah-Das Haar in Kunst und Kultur,

Museum Villa Rot, Germany

Open, Zoya Museum, Modra, Slovakia

Emerging Korean Artists in the World 2009 -U.S.B.,

Hangaram Art Museum, Seoul, Korea

2008 DISENTANGLE, Andreas Grimm 갤러리, 뉴욕, 미국

2007 Vanaf nu!..., LLS387, 앤트워프, 벨기에

Die Kunstakademie Muenster stellt vor im

Wewerka Pavillon, 뮌스터, 독일

2006 Under the Skin, Barbara Gross 갤러리, 뮌헨, 독일

Wider, um, ohne, gegen, durch, fuer, bis,

쿤스트하우스 에센, 독일

2005 Between Reality and Fiction, Pictura, 도트레히트,

네델란드

59회 베어기셰 아우슈텔룽, 바덴미술관, 솔링엔, 독일

렘샤이트시립갤러리, 독일

아트콜론 뉴텔런트 선정작가전, 갤러리 슈멜라,

뒤셀도르프, 독일

Sein und Schein, Buero fer Alleskoenerei,

규터스로어, 독일

2004 Forderpreisausstellung, AZKM, 뮌스터, 독일

Saar Ferngas Forderpreis Junge Kunst 2004,

Saarland 미술관, 자아브뤼켄, 독일

Young Korean Art, 뮤지엄 하팅엔, 독일

LEEREXVISION Coming People,

MARTa Herford 미술관, 독일

Jahresgaben 2004, 베스트펠리셔 쿤스트페어라인, 독일

2003 SUGAR & SPICE, PART 2, 갤러리 ANNIE GENTILS,

앤트워프, 벨기에

KUNSTAKADEMIE MS X 4, 큔스틀러도르프 쇼핑엔, 독일

2002 AUS BEI MIT NACH VON ZU SEIT,

큔스틀러하우스 도르트문트, 독일

레지던시

2013 갤러리 퍼플 스튜디오, 경기도 남양주

2012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창작스튜디오 8기 작가

작품 소장

MARTa Herford, 헤어포트, 독일

Hetjens-Museum, 뒤셀도르프, 독일

2008 DISENTANGLE, Andreas Grimm New York, USA

2007 Vanaf nu!..., LLS387, Antwerp, Belgium

Die Kunstakademie Muenster stellt vor im Wewerka

Pavillon, Muenster, Germany

2006 Under the Skin, Barbara Gross Gallery, Munich,

Germany

Wider, um, ohne, gegen, durch, fur, bis, Kunsthaus

Essen, Germany

2005 Between Reality and Fiction, Pictura, Dordrecht,

Holland

59. Bergische Kunstausstellung, Museum Baden,

Solingen, Germany / Stadtische Galerie Remscheid,

Remscheid, Germany

Art Forum Berlin, Gallery Schmela, Germany

Art Cologne-New Talents Forderkoje, Gallery

Schmela, Germany

Sein und Schein, Buero fur Alleskonnerei, Gutersloh,

Germany

2004 Foerderpreisausstellung, AZKM, Muenster,

Germany

Saar Ferngas Forderpreis Junge Kunst 2004,

Saarland Museum, Saarbruecken, Germany

Young Korean Art, Museum Hattingen, Germany

LEERE X VISION Coming People, Herford, organized

by MARTa Herford, Germany

Jahresgaben 2004, Westfalischer Kunstverein,

Germany

2003 Sugar & Spice, Part 2, Gallery ANNIE GENTILS,

Antwerp, Belgium

Kunstakademie MS X 4, Stiftung Kunstlerdorf

Schoeppingen, Germany

2002 AUS BEI MIT NACH VON ZU SEIT, Kuenstlerhaus,

Dortmund, Germany

Umhaengen Meister Schueler in Westfaelischen

Schloessern 2002, Kunsthaus, Bocholt, Germany

Residency

2013 Gallery Purple Studio, Namyangju, Korea

2012 The National Art Studio, Goyang, Korea

Public Collections

MARTa Herford, Herford, Germany

Hetjens-Museum, Duesseldorf, Germany

작가약력 ARTIST CV

Page 31: Sekyung LEE

이세경: RECOLLECTION

2013.06.21 - 08.10

전시

주최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

기획

(주)로렌스 제프리스

디자인

mykc

인쇄

으뜸 프로세스

촬영

권오열

ⓒ2013 (재)송은문화재단

본 인쇄물에 실린 글과 도판은

(재)송은문화재단과 작가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EKYUNG LEE: RECOLLECTION

2013.06.21 - 08.10

Exhibition

Organized by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Curated by

Laurence Geoffrey’s, Ltd.

Design by

mykc

Printing by

Top Process

Photography by

Oh-Yeol Kwon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catalogue

may be reproduced or utiliz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without the written permission

fro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Page 32: Sekyung LEE

송은 아트스페이스

135-100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75길 6

SongEun ArtSpace 6 Apgujeong-Ro 75 Gil, Gangnam-Gu, Seoul, Korea 135-100

T 02-3448-0100 E [email protected] www.songeunartspac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