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2020. 8. 14. · - 10 - 2ÙP ÚÛÜd© ¾cT ?O GH )- k$É÷¿ GH ' C Ô&D$[d©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공개용)

    지하철내진보강공사추진실태특정감사결과

    2020. 7.

    감 사 위 원 회(안전감사담당관)

  • 목 차

    Ⅰ. 감사실시 개요

    Ⅱ. 총 평

    Ⅲ. 감사결과 처분요구 내역 및 조치현황

    Ⅳ.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 - 1 -

    Ⅰ. 감사실시 개요

    1. 감사배경 및 목적

    ○ 서울교통공사로부터 특별감사 의뢰(’18. 11. 23.)된 지하철 내진

    보강공사 추진실태에 대한 감사 실시

    2. 추진내용

    ○ 대상기관: 서울교통공사(기술본부)

    ○ 감사기간: 2019. 2. 25.~3. 27.(기간 중 17일)

    ○ 감사인원: 안전감사2팀장 등 8명

    ○ 감사범위: 내진보강사업 전반(2011년 이후~현재)

    3. 감사중점

    ○ 설계·시공 과정에서 특정제품(공법) 심의 및 선정 절차 등 적정성

    (퇴직, 내부 직원과 수주업체, 하도급업체, 특정제품업체 간 유착관계 여부 등)

    ○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용역의 적정성

    (용역 추진과정에서 특정인맥, 협회 등과 퇴직, 내부 직원간 유착관계 여부 등)

    ○ 설계부실 및 시공과정에서 품질·시공관리 적정성

    (설계·시공 적정성, 과다설계, 단가 부풀리기 등 예산낭비, 불법하도급 등)

    ○ 기타 안전관리 실태 및 개선 방안 제시 등

    4. 지적사항 총괄 (단위: 건, 백만원, 명)합 계

    변 상(금액)

    징계(인원)

    시정(금액) 주의(인원)

    개선 권고 통보

    고발(인원)

    모범사례(인원)총건수

    신 분 상조치인원

    재 정 상조치금액 소 계

    추 징(회수) 감 액

    기타

    55 20 2 0 6 9 0 2 7 14 0 0 22 4 0(20) (18,168) (6) (18,168) (18,168) (14) (7)

    ※ 기타 7건은 구조검토결과 NG발생 등 재시공, 적정자재 설계변경 등

  • - 2 -

    Ⅱ. 총 평【 요 지 】

    ○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의뢰된 “지하철 내진보강공사 추진실태” 적정여부에 대한 감사결과,

    - 설계자 등이 내진성능이 확보된 터널내 중앙 기둥을 내진보강대상 물량으로

    임의 반영하는 등 설계를 부적합하게 수행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 시공자 등은 불연 또는 내진 성능미달 자재를 선정하여 임의 시공 및 불법

    하도급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 발주청은 설계용역 및 공사의 감독업무를 소홀히 하였으며, 이해당사자를

    입찰 제안서 평가위원으로 선정하여 평가에 참여하게 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 총 55건 지적(처분요구서 24건)하여 ’20. 7. 현재 신분상 조치 18건 중 18건(20명) 완료, 물량감액설계변경 완료, 행정상 조치 37건 중 16건 완료

    ○ 주요 지적사항으로는- 설계자 등은 터널내 중앙 기둥의 구조해석을 통하여 257개만 내진성능

    부적합 판정되었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물량을 확대하여 실시설계에 반영

    - 불연성능이 요구되는 불연구간 내에 부적합한 난연성능의 자재를 실시설계에반영하고, 불연구간에 적합한 자재(공법)는 임의 배제

    - 시공자 등은 내진성능 기준에 미달되는 자재(품질시험결과 불연성능 미달, 구조계산서보다 낮은 성능의 자재, 품질시험 불합격 자재, 품질시험보고서 부정 제출 등)를

    반영하여 기둥 및 벽체 보강 시공

    - 발주청(교통공사) 등은 ’18. 8월 내진보강시설물 성능검증용역 발주시 ‘용역제안서 평가위원’을 선정하면서 입찰참가업체 소속 사람을 평가위원장, 위원

    으로 선정․평가하여 공정성과 신뢰도 훼손 초래

    ○ 조치(할) 사항- 부실 설계․시공 사항은 관련규정에 따라 설계변경(감액) 및 재시공 조치, 관련

    업체는 입찰참가 제한, 벌점 등 부과, 관련담당자 신분상 문책 등 조치

    - 향후 동일/유사 사례가 발생되지 않도록 관계자 교육 실시, 지적사례 전파(공개)

  • - 3 -

    Ⅲ. 감사결과 처분요구 내역 및 조치현황

    □ 처분요구 조치결과연번

    처분요구 제목 처분 종류 주요 지적내용 조치 사항 비 고

    1

    지하철 ○~○호선 지하

    BOX(터널)구간 내진성능

    평가 및 실시설계 부적정

    시정요구,

    통보(문책요구 등)

    설계자 등이 내진성능 확보

    (OK)판정을 받아 보강이 불

    필요한기둥을 과학․기술적

    근거없이 보강대상으로 임의

    설계반영하여 공사비를 과다

    산정

    -’19.12.물량감액설계변경 완료

    -’20.6.감독자문책-’20.8. 손해배상청구 예정

    -’20.9.설계자 벌점부과 예정

    일부완료(이행중)

    2

    부적합 재료성능시험결과

    가 이용된 공법을 부당

    설계반영, 특혜제공(의혹)

    시정요구,

    통보(문책요구 등)

    설계자 등이 화재확산방지기준

    및 KS 불연성시험방법에 적합

    하지 않게 품질시험을 한 공법을

    설계에 적용

    -’20.6.감독자문책-’20.8.설계 변경예정

    -’20.9.설계자 벌점부과 예정

    이행중

    3

    일반공종을 특정공법으로 부당 반영하면서다른 특정공법은 심사배제, 특혜제공(의혹)

    통보(문책요구 등)

    특허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공종을 특정공법으로 간주하여 일괄 설계반영

    -’20.6. 감독자 문책-’20.9. 설계자 벌점부과 예정

    이행중

    4특정공법선정 심사절차이행없이 임의선정 설계반영, 특혜제공(의혹)

    주의요구특정공법 선정 심사절차이행없이 해당공법을 임의설계반영

    -’19.12.18.특별교육 완료

    완료

    5설계도서 간 적용재료 모순·오류 및 절차 이행없이특정공법 적용

    시정요구,통보

    (문책요구 등)

    우각부 보강공법의 자재를 당초실시설계도서와 다르게 구조계산서에는 일반구조용 강재로하고, 설계도서는 구상흑연주철로 각각 임의작성 시행

    -’19.12. 설계 변경완료(436백만원)

    -’20.6.감독자 문책-’20.9.재시공 및보완시공 검토 중

    -’20.9. 설계자 벌점부과 예정

    일부완료(이행중)

    6타사 제품 등 비교검토없이 견적가격으로 원가산정 적용

    통보(주의)

    기둥보강공법의 사용자재의가격을 거래실계가격과비교 검토없이 특정업자의견적가격을 적용하여 예산낭비(66백만원)

    - ’20.6.책임기술자주의 통보

    - ’19.11.감독자주의 처분

    완료

    7불연구간에 심사 선정된공법과 다른 성능 미달자재 설계 반영

    통보(주의)불연 공법선정 심사결과와다르게 난연 및 준불연 재료를설계반영

    -’19.12.설계변경 완료-’20. 4. 주의 처분 완료

  • - 4 -

    8주요공종 설계변경 관련

    실시설계자의 의견 미청취주의요구

    당초 실시설계자의 의견을

    듣지 않고 임의 변경(보강대상제외 미시공)

    -’19.12. 특별 교육완료 및 주의 처분

    완료

    9품질시험결과 난연성능

    기준미달 자재로 시공

    시정요구,

    통보(벌점 등)

    공인시험기관의 보강자재 시험

    결과 불합격된 사실을 인지

    하고도 시공

    -’20.6. 재시공-행정처분의뢰 발송-’20.9. 벌점부과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0

    보강(A기업)공종의 사용

    자재 시험보고서 부정(제출)

    행사

    통보(벌점 등)

    시험보고서를 부정(허위)제출

    하여 자재공급원을 승인받아

    시공

    -’20.1. 사전통지발송-’20.9.벌점부과 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1보강(B기업)공종의 보강

    자재를 임의변경 시공 등(○공구)

    시정요구,

    통보(벌점)

    사용자재를 당초 설계도서에

    적용된 자재와 다른 자재로

    설계변경 절차 등 이행없이

    임의 변경 시공

    -’20.1.주의 처분-’20.1.사전통지발송-’20.9.벌점부과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2보강(C기업)공종의 보강

    자재를 임의변경 시공 등(◎공구)

    시정요구,

    통보(벌점)

    사용자재를 당초 설계도서에

    적용된 자재와 다른 자재로

    설계변경 절차 등 이행없이

    임의 변경 시공

    -’20.1.주의 처분-’20.1.사전통지발송-’20.9.벌점부과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3

    설계변경 재료·절차 부적정

    및 품질시험결과 불합격

    자재 시공

    시정요구,

    통보(벌점,문책요구)

    사용자재를 당초 시방서에

    적용된 강재보다 성능이 낮고

    공법선정 심사 절차 및 구조검토

    이행없이 흑연주철로 변경시공

    -’20.1.사전통지발송-’19.11.징계처분-’20.9.벌점부과 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4구조물 벽체 철근탐사없이

    임의 천공(철근삽입) 시공

    시정요구,

    통보(벌점)

    전단보강을 위한 기존철근 탐사

    확인작업 없이 임의 천공 시공

    -’20.3. 보완 시공-’20.1. 주의 처분-’20.9.벌점부과 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5보강(D기업)공종의 보강

    자재 정밀 미부착 시공

    시정요구,

    통보(벌점)섬유시트및콘크리트들뜨게시공

    -’19.11.하자보수완료-‘20.9.벌점부과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6보강(E기업)공종 특허권

    침해

    주의요구,

    통보(고발)

    공동특허권자가 다른 공동특허

    권자인 발주청의 동의없이

    타인과 사용 실시권을 체결

    부당 사용하는데도 미조치

    -’20.2. 관할경찰서고소장 접수 완료

  • - 5 -

    붙임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각 1부. 끝.

    17우각부 보강(F기업)공

    종의 불법 하도급 시공통보

    (벌점, 고발)

    기술사용협약을 체결하는 조건

    으로 자재납품, 시공까지 하게

    함(불법하도급)

    -’20.2.관할경찰서고소장 접수

    -’20.9.벌점부과 예정

    일부완료(이행중)

    18

    불연구간내 구조물 마감

    재료간 접합부에 불연재

    료 미사용

    시정요구불연자재 마감재료간 접합부에

    불연성능 미달자재로 마감시공-’20.6.불연재료보완시공 재요청 이행중

    19

    입찰참가업체의 소속사람

    (이해당사자)을 입찰 제안서

    평가위원으로선정평가등

    통보(문책요구)

    입찰참가자와 같은 법인 소속

    2명을 평가위원장, 위원으로

    참여하게 하여 평가 실시

    -’20. 6.징계처분 완료

    20

    고득점자를 서울교통공사

    ◎◎자문단 위원 선정에서

    배제

    주의요구

    자문단을 구성하면서 정당한

    이유없이 높은 점수를 받은자

    를 탈락 시킴

    -’20.1. 주의처분 완료

    21특정공법 사용협약 미체

    결 등주의요구

    특허 보유자와 사용협약을 체

    결하지 않고 입찰하여 낙찰자

    선정

    -’19.12.특별교육 실시 완료

    22

    하도급계약 후 건설공

    사대장 미통보 및 지연

    통보

    통보(과태료)

    하도급 계약사항을 33일

    지연, 미통보-’20.1.건설산업기본법위반업체 처분의뢰 완료

    23

    근로계약서 작성의무 불

    이행 및 법정 기재사항(임금

    액)누락

    통보(고발 등)

    근로계약서를 미작성․교부,

    근로조건을 명시하지 않음-’20. 1. 근로기준법위반업체 처분 의뢰 완료

    24불합리한 품질검사 대행

    기관 운영규정 개선 등통보

    (업무개선)

    품질시험 대행기관의 이원화로

    운영규정 등이 비합리적으로

    운영되고있음

    -’19.12.특별교육완료 완료

  • - 6 -

    감 사 위 원 회

    통보 주의요구

    제 목 지하철○~◎호선 지하BOX(터널)구간 내진성능 평가 및 실시설계 부적정

    관 계 기 관 서울교통공사(○○처, 토목◎사업소)

    내 용

    서울시 도시교통본부(가과)는 지진 화산재해대책법 제3조 제3항 제2호에 의한

    기존 시설물의 내진성능에 대한 평가 및 보강대책 의무화 규정에 따라 당초

    2016년까지 계획된 도시철도 ○~◎호선의 내진보강(총사업비: 175,400백만원)을

    2014년까지 앞당겨 추진하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는 “도시철도 내진보강 추진계획”

    (나과-000000호, ’11.4.1.)을 수립 통보하였다.

    이에 서울교통공사(구. 서울메트로, 이하 “발주청”이라 한다)는 지하철 ○~◎호선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를 통한 보수 보강을 위해 아래 [표1]과 같이 내진성능평가 실시

    설계용역을 시행하고 준공하였다.

    [표 1] 지하철 ○~◎호선 내진성능평가 실시설계 용역추진 현황

    구분 용역명용역개요

    과업구간기간 계약금액(백만원) 설계자(용역업자)

    내진성능예비평가 내진성능 예비평가용역 ’07.6.11~’07.12.11 246 A기업

    지하철 1~4호선(L=141.47㎞)

    내진성능상세평가

    내진성능상세평가(1차) ’10.4.06~’11.8.18 1,075 B기업 대상:192개구간(L=22.34㎞)

    내진성능상세평가(2차) ’11.6.29~’12.8.25 857 C기업 대상:176개구간(L=23.24㎞)

    내진성능상세평가(3차) ’12.12.28~’13.12.13 688 D기업 대상:136개구간(L=14.41㎞)

    내진보강실시설계

    내진보강실시설계(1차) ’12.12.17~’14.8.22 945 E기업 대상:192개구간(L=22.34㎞)내진보강실시설계(2차)(○~�호선) ’16.10.07~’17.11.24 440 F기업

    대상:24개구간(L=3.09㎞)

    내진보강실시설계(2차)(◎~◇호선) ’16.10.21~’17.11.07 516 G기업

    대상:8개구간(L=3.06㎞)

    내진보강실시설계(3차)(○~�호선) ’18.4.16~’18.12.31 1,746 H기업

    대상:59개구간(L=21.28㎞)

    내진보강실시설계(3차)(◎~◇호선) ’18.4.16~’18.12.31 1,718 I기업

    대상:66개구간(L=20.65㎞)

  • - 7 -

    1. ‘내진성능 상세평가’ 및 ‘내진보강 실시설계’ 재료강도 등 적용 부적정

    내진성능 상세평가(1~3차) 과업내용서 (이하 “상세평가 과업내용서”라 한다)

    및 내진보강 실시설계(1~3차) 과업내용서 (이하 “실시설계 과업내용서”라 한다)에

    따르면내진성능 상세평가’는 국토교통부 기존 시설물(터널) 내진성능 평가요령

    (2011년) 등의 규정에 따라 실제의 구조물 제원에 의해 각각의 부재가 보유하고

    있는 ‘설계내하력(Capacity)’과 설계지진에 대해 각 구성부재에 요구되는 ‘설계

    부재력(Demand)’을 비교 평가하여 구성 부재의 내진성능을 파악하여야 하고,

    내진성능 평가에 적용하는 단면특성 재료강도 등의 특성 값은 실제의 특성 값을

    적용하여 부재의 안전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 (6.2.2) 압축부재의 설계축강도(∅Pn)

    산출식에 따르면 축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고 있는 기둥의 ‘축방향 성능’은 직접

    영향1)을 미치는 ‘철근량(Ast)’과 ‘철근항복강도(fy)’의 값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건 과업 대상인 ‘지하철 ○~◎호선의 설계 준공도서(설계보고서 및 구조계산서 등)’에

    따르면 지하구간 중 본선BOX 구조물의 철근항복강도(fy)는 공통적으로 240㎫

    (메가파스칼)로 적용하였고, 역사(驛舍)구조물의 경우 지하철 ◇호선 역사는 350

    ㎫로, 지하철 ○ ◎ ◇호선 역사는 400㎫으로 각각 적용 건설되어 있다.

    가. 내진성능 상세평가와 관련

    1)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 �~◎호선)의 경우

    용역업자(가기업 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157개 구간

    (L=17.91㎞) 역사 14개 구간(L=2.79㎞) 옹벽 21개 구간(L=1.64㎞) 등 총

    192개 과업구간(L=22.34㎞)에 대한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갑)는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를 시행하면서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철근항복강도(fy)를 지하철 ◎호선 역사구조물은 350㎫로, 지하철

    ◇ ◉호선 역사구조물은 400㎫으로 적용하지 아니하고 정당한 이유없이 지하철

    �~◎호선의 설계 준공도서(설계보고서 및 구조계산서 등)와 다르게 지하철 ◇~◉호선의

    역사구조물에 대한 철근항복강도(fy)를 240㎫로 축소(약 31~40%) 적용하여 구조

    해석 하였다.

    1)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년)」 6.2.2 (7) 압축부재의 설계축강도(∅Pn): 띠철근을 가진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부재의 경우 다음 식(6.2.2)에 따라야 한다. (6.2.2)∅Pn(max)=0.80∅[0.85 fck(Ag-Ast) + fy Ast

  • - 8 -

    2)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 �~◎호선)의 경우

    용역업자(나기업 외 1개사)는 과업구간인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109

    구간(L=10.14㎞) 역사 18구간(L=3.86㎞) 옹벽 9구간(L=0.41㎞) 등 총 136개

    과업구간(L=14.41㎞)에 대한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를 시행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갑)는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를 시행하면서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철근항복강도(fy)를 지하철 ◉호선 역사구조물은 350㎫로 적용

    하지 아니하고 정당한 이유없이 지하철 �호선의 설계 준공도서(설계보고서 및 구조

    계산서 등)와 다르게 400㎫으로 확대(약 14%) 적용하여 구조해석 하였다.

    나. 내진보강 실시설계 관련

    1)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 ◇~◉호선)의 경우

    용역업자(다기업 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63개 구간

    (L=5.40㎞) 역사 9개 구간(L=1.90㎞) 등 총 72개 과업구간(L=7.30㎞)에 대

    한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를 시행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을)는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를 시행하면서

    성능평가에 적용되는 철근항복강도(fy)를 지하철 �호선 역사구조물은 350㎫로,

    지하철 ◇ ◉호선 역사구조물은 400㎫으로 적용하지 아니하고 앞서 시행된 용역인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에서 잘못 적용된 철근항복강도(fy)를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인용하여 지하철 ◇~◉호선 모든 역사구조물에 대한 철근항복강도(fy)를 240㎫

    으로 축소(약 31~40%) 적용하여 구조해석 하였다.

    이와 함께 과업구간 내 구조물 부재(천정부 바닥부 벽체부 기둥 등)에 대한 휨

    전단강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배근된 철근의 직경 개수를 설계프로그램에 입력

    (Input)하면서 본선구간 2호선 108부위2)(직경: D29+D25 → D19+D19 등),

    3호선 36부위(직경: D39+D29 → D25+D22 등), 4호선 69부위(직경: D29, 개

    수: 24개 → D25, 22개 등)와 역사구조물 29부위(직경: D32+D22, 개수: 40개

    → D32, 25개 등) 등 총 242부위에서 해당 준공도면(철근상세도)과 다르게

    적용하여 구조해석 하였다.

    2) 부위: 검토단면에서 상부슬래브(단부 중앙부 지점부), 벽체(상단 중앙 하단), 하부슬래브(단부 중앙부 지점부)등 표준단면 중 하나의 부위를 말함

  • - 9 -

    2)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 �~◎호선)의 경우

    용역업자(라기업)는 과업구간인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38개 구간

    (L=17.08㎞) 역사 21개 구간(L=4.20㎞) 등 총 59개 과업구간(L=21.28㎞)에

    대한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를 시행(*과업기간 중 3~4호선 부분 추가됨)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병)는 과업구간 내 구조물 부재(천정부 바닥부

    벽체부 기둥 등)에 대한 휨 전단강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배근된 철근의 직경

    개수를 설계프로그램에 입력(Input)하면서 지하철 1호선 23부위(직경: H29 →

    H22 등), 2호선 148부위(직경: H32 → H16 등), 3호선 16부위(직경: D16

    → D10 등), 4호선 2부위(직경: D16 → D19 등) 등 총 189부위에서 해당구간

    준공도면(철근상세도)과 다르게 적용하여 구조해석 하였다.

    3)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 ◎~◇호선)의 경우

    용역업자(마기업)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34구간(L=14.09㎞) 역사

    32구간(L=6.56㎞) 등 총 66개 과업구간(L=20.65㎞)에 대한 ‘내진보강 실시설계

    (3차)’를 시행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정)는 과업구간 내 구조물 부재(천정부 바닥부

    벽체부 기둥 등)에 대한 휨 전단 강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배근된 철근의 직경

    개수를 설계프로그램에 입력(Input)하면서 지하철 �호선 89부위(직경: D16

    → D10 등), 4호선 113부위(직경: D16 → D19 등) 등 총 202부위에서 해당

    구간 준공도면(철근상세도)과 다르게 적용하여 구조 해석하였다.

    다. 결론

    이를 준공도서 등 사실에 맞게 실제의 특성값을 적용 재평가할 경우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의 경우 1개 구간(○호선 ���역: NG → OK)에서, ‘내진보강 실

    시설계(1차)’의 경우 2개 구간(○호선 ◎◎◎역 ~ ◇◇◇역: OK → NG, ○호선

    □□□역 ~ ◉◉◉간: NG → OK)에서 최종 평가결과가 변경(OK → NG)되는 등

    용역성과품이 부실하게 작성 납품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 1 0 -

    2. 지하철 �~�호선 지하BOX 구조물 ‘연성보강’ 등 설계 부적정

    국토교통부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400호,

    ’13.7.1.) (이하 “설계기준”이라 한다) (1.1.2) 적용범위 및 (2.1)내진설계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내진설계는 지진 시 또는 지진이 발생한 후에도 구조물이 안전성

    을 유지하고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 시에 지진하중을 추가로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성능수준은 “기능수행수준”3)과 “붕괴방지수준”4)으로 검토

    적용하여야 하고, 내진성능의 목표는 평균재현주기 1,000년의 “내진1등급(서울

    시 안전관리기본계획 기준: 규모5) 5.5~6.5)”을 적용하되, 다만 토피가 10m 이

    상 확보되고 표준관입시험치(SPT)6) N값(해머 타격 횟수)이 30 이상인 주변지반

    을 갖는 1층 구조로된 본선구조물은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따라 지진에 대한 안전

    성을 생략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9조(기술자문위원회의 구성 및 기능 등)에

    따르면 발주자는 설계용역의 수행단계에서 1회 이상 기술자문을 받아 설계에 반

    영하여야 하고, 공사비 100억원 이상의 건설공사 설계의 경우는 서울특별시 건

    설기술심의위원회 조례 제3조(기능) 제8조(심의 자문 요청 등)에 따라 기술용역

    의 타당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하여 서울특별시 기술심의를 받아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기술심의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 지하BOX구간 ‘기둥연성보강’ 일괄 적용에 대한 문제점이 아래

    [표 2]와 같이 기술자문 건설기술심의 의견으로 제시(채택)되어 있다.

    3) 기능수행수준: 중간 이하의 규모를 가진 지진에 대하여는 구조부재들이 탄성영역 내에서 저항하여 심각한 손상을 입지 않아야 한다.

    4) 붕괴방지수준: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에 의한 지반진동에 의해서도 구조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붕괴되어서는 안되며, 가능하면 지진에 의한 피해의 예측이 가능하고 피해조사와 보수를 위해 현장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한다.

    5) 규모(Magnitude): 지진 자체의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절대지수로, 창안자 Charles F. Richter의 이름을 따서“리히터 규모”라고도 하며, 「서울특별시 재난 및 안전관리조례」 제48조(도시안전 기본계획)에 의한 “서울특별시안전관리기본계획(2014년)”에서 도시철도의 내진설계는 “규모 5.5~6.5” 으로 적용하도록 되어 있음

    6)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중량 63.5kg의 해머를 76㎝에서 낙하시켜 표준 외경 50.8cm의 파이프(Split spoon sampler)가 30cm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 횟수, N값이 30이상은 매우 단단한 흙으로 분류됨

  • - 1 1 -

    [표 2] 건설기술 자문 의견 심의(채택) 의견

    구분 전문가 자문의견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 기술자문

    갑(A기업)

    일본 등 외국 대규모 지진 발생 시 지하 도시철도 구조물의 피해사례를 보더라도 본선에 대한 피해사례는 없으며, 다만 일부 역사구조물 중 슬래브와 기둥 연결부에서 전단파괴가 있을 뿐, 지진하중에 의한 휨 저항력 부족에 의한 피해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음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 기술자문

    을(B기업)

    일본의 고베지진의 다이까이역 붕괴사례는 횡파(수평방향)와 종파(연직방향) 중 특히 종파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기둥파괴가 일어난특별한 경우이고, 국내 내진성능 시험결과 과도한 기둥보강 은 구조체(우각부)의 파괴를 더욱 가속화 시킨 사례도 있음

    따라서 다이까이역 사례를 본 과업에 적용 시는 추후 논란의 여지도예상되므로 자의적인 판단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함

    내진보강 실시설계(2차) 기술자문

    병(C기업)

    기둥부 연성보강 일괄적용은 설계자의 구조검토 뿐만 아니라,발주자의정무적인 판단이 필요한 사항임

    내진보강 실시설계(2차) 기술심의(제129차)

    정(D기업)

    내진성능 평가결과 적합판정(OK)을 얻고서도 일본의 붕괴사례와 국내의내진설계기준(횡철근 구조세목)을 적용하고 있으나 설계지진입력에의해서 구조물이 탄성범위 내에 있다면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도소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둥부 연성보강은 필요하지 않음

    가.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3차)와 관련

    1) 내진성능 상세평가 1차(A기업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A기업 외 1개사)는 지하철 1~4호선의 본선BOX 157개 구간

    (L=17.91㎞) 역사 14개 구간(L=2.79㎞) 옹벽 21개 구간(L=1.64㎞) 등 총

    192개 과업구간(L=22.34㎞)에 대한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를 실시하였다.

    이건 용역의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 종합보고서 제4장 내진성능평가

    (4.4)평가결과 분석 및 (제5장)내진보강 방안에 따르면 위 내진성능 상세평가 대

    상 총 192개 구간 중 120개 구간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된 반면,

    72개 구간에서는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중앙기둥의 경

    우는 총 5,598기 중 5,341기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나

    머지 257기는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갑)는 위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72개 구간과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된 120개 구간 등 총 192개 구간

    에 대하여 내진성능 확보(OK) 미확보(NG) 관계없이 “지하철BOX 구조물은 준공

  • - 1 2 -

    당시 설계법 및 시공 시 기둥부에 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갈고리 철근’이 배근되

    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사실과 다르게 모든 구간 중앙기둥(총 5,598기)을 ‘연성

    보강’ 대상으로 확대(공사비: 약 4,904백만원) 적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책임기술자 을은 위 용역업무 수행 당시 발주청 사무실에서

    용역감독자(병)와 사업참여기술자들(갑, 을, 병 등)이 함께 참여한 “용역성과품 검

    토회의(2011.7월경)”에서 위 용역감독자로부터 ‘지하철 �~�호선의 중앙기둥부

    는 상세평가 결과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기둥연성보강

    대상에서 제외’하여 줄 것을 요청 받았으나, 이에 대한 별도의 실정보고 및 승인

    등의 절차 이행 및 건설기술자문 의견 등 고려(반영) 없이 “실제 지진발생 시 일본

    지하구조물의 피해사례와 지하철 �~�호선의 지하구조물은 건설 당시 철근상세

    가 현재의 ‘내진설계 철근세목’에 맞지 않아 설계기준에 위배되어 제외할 수가 없

    다”는 답변과 함께 본인의 의지대로 기둥연성보강 대상으로 적용을 강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책임기술자 갑은 발주청에서 유사시기에 시행한 ‘지하철◎호선 강남구

    간 고가 교량 내진보강 및 방음벽 교체공사 실시설계용역(’11. 6. 29. ~ ’12.

    12. 21.)’에서 책임기술자의 업무를 수행한 사실이 있다. 이때 과업구간인 지하

    철 2호선 지상구간(○○~○○구간, L=4.22㎞)의 교각(□□□ 등 174기)의 경우

    는 지진발생 시 하나의 독립적인 부재여서 ‘기둥연성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최종

    평가되었다. 하지만 책임기술자 을은 향후 ‘기둥연성보강’을 시공함에 있어 시

    공성 환경성 및 향후 업무협의 등의 어려움을 이유로 발주청의 요구를 받아들여

    ‘기둥연성보강’을 최종 제외하여 용역을 준공한 사실이 있다. 따라서 비구조적 물량

    인 ‘기둥연성보강’ 대상으로 일괄 적용하는 것은 책임기술자의 주관적 판단일 뿐

    설계기준에 위배되어 ‘기둥연성보강’ 대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2) 내진성능 상세평가 2차(□□엔지니어링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엔지니어링 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125개

  • - 1 3 -

    구간(L=14.71㎞) 역사 34개 구간(L=7.12㎞) 옹벽 17개 구간(L=1.41㎞) 등

    총 227개 과업구간(L=31.77㎞)에 대한 “내진성능 상세평가(2차)”를 실시하였다.

    이건 용역의 내진성능 상세평가(2차) 종합보고서 (제4장)내진성능평가

    (4.4.1) 내진성능평가 적용성 분석 및 결과 유형분류 등에 따르면 내진성능 상세

    평가 대상 총 227개 구간에 대하여 총 11개 사례별(CASE 1~11)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5개 구간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고, 나

    머지 102개 구간에서는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을)는 과업구간 중 내진성능이 미확보된 것으

    로 확인된 102개 구간에 한정하여 ‘강성보강’ 등을 적용한 반면, 구조계산 결과

    등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기둥에는 별도의 ‘기둥연성보강’은 필요하지 않는 것으

    로 평가하였다.

    3) 내진성능 상세평가 3차(◎◎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 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109구간

    (L=10.14㎞) 역사 18구간(L=3.86㎞) 옹벽 9구간(L=0.41㎞) 등 총 136개 과업구

    간(L=14.41㎞)에 대한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를 실시하였다.

    이건 용역의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 종합보고서」(제4장)내진성능평가

    (4.5)상세평가 결과 요약 등에 따르면 내진성능 상세평가 대상인 총 136개 구간

    에 대하여 각 부재요소 별로 내진성능 여부를 평가한 결과 46개 구간에서 내진

    성능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나머지 90개 구간에서는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중앙기둥의 경우 과업구간 내 총 4,661기는 지진발

    생 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병)는 과업구간 중 내진성능이 미확보된 것으

    로 확인된 90개 구간에는 ‘섬유계열 보강(부재내측)’과 ‘단면증설 보강(단부구간)’을

    적용하였고 중앙기둥의 소성변형 발생 30개소 구간에 대하여는 ‘섬유계열 보강’

    을 적용하였다. 다만, 구조계산서 상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된 나

    머지 중앙기둥에 대하여는 추후 발주청에서 동 과업에 대한 실시설계를 수행하

    는 단계에서 ‘정책적인 판단’에 따라 ‘과업구간 내의 모든 기둥에 대한 보강을 시

  • - 1 4 -

    행하게 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과업구간 전체 기둥(기둥: 4,661기)에 대한 기둥

    연성보강 개략공사비(약 8,000백만원)를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발주청에서 3차에 걸쳐 구간별로 나누어 실시한 ‘지하철 �~�호선

    내진성능 상세평가’는 동일한 ‘용역 과업내용서’ 및 기준 평가방법 등에 의해 실

    시되었는데도 지하BOX구간의 기둥연성보강 적용에 대하여는 현행 내진성능

    평가방법과 다르게 사업책임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필요/불필요/유보)에 의해 각

    각 아래 [표2]와 같이 평가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지하철 ‘1~4호선 내진성능 상세평가’ 결과

    구분 용역명 용역사 평가결과

    내진성능

    상세평가

    내진성능상세평가(1차) A기업 내진성능확보(OK)구간도기둥연성보강 필요(총 192개구간: 확보 120, 미확보 72)

    내진성능상세평가(2차) B기업내진성능확보(OK)구간은기둥연성보강 불필요(총 227개구간: 확보 125, 미확보 102)

    내진성능상세평가(3차) C기업내진성능확보(OK)구간기둥연성보강적용은발주청추후판단(총136개구간: 확보46, 미확보90, 기둥부는30개만미확보)

    나.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3차)와 관련

    1) 내진보강 실시설계 1차(���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 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63개 구간

    (L=5.40㎞) 역사 9개 구간(L=1.90㎞) 등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에서 내진성

    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72개 과업구간(L=7.30㎞)에 대한 ‘내진보강 실시설계

    (1차)’를 실시하였다.

    이건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앞서 시행된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의 설계 기준을 현재의 설계기준으로 그리고 교각의 상세해석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 기존 시설물(교량)내진성능 평가요령(2015년) (이하 “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이라 한다)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모멘트 - 곡률해석’ 방법 등

    에 따라 보강 범위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총 72개 구간 중 34개 구간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고 나머지 38개 구간에서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재평가되었다.

    그리고 과업구간의 중앙기둥에 대해서는 ‘예상치 못할 큰 지진하중에 대한

    기둥의 전단파괴는 지하BOX 구조물의 전체적인 붕괴를 유발한다.’는 판단 하에 내

  • - 1 5 -

    진성능 확보여부와 관계없이 전구간 기둥 총 6,324기(원형: 586기, 사각: 5,738

    기)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의 개정된 철도설계기준(노반편)」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둥의 단부구역(端部區域)에 대한 조건7)”(이하 “단부구역 조건”이라 한다)을 적용

    하여 검토하였다.

    위 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2.2.2)사각형 단면을 갖는 교각 및 (4.2)교각

    의 단면해석 등에 따르면 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겹침비율과 사각기둥의 종횡비

    (B×H)는 기둥의 휨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변수로 작용하므로 기둥의 축방향 철근

    의 겹이음 비율 내지 횡방향철근의 배근상세 등 단부조건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준공도서에 근거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준공도서가 보존되어

    있지 않는 시설물에 대하여는 불확실성은 고려하여 비파괴검사 등을 통해 철근

    배근의 실체를 탐사 확인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BOX 구간에 대한 기둥의 연성확보를 위한 “단부구역 조건”을 검

    토하기 위해서는 발주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과업구간의 준공도서(철근배근도 등)8)

    등에 근거하여 검토 되어야 한다. 실제 이건 실시설계 종합보고서 (1.3.1) 조

    사업무편에서는 내진보강방안 수립 시 ‘대상시설물에 대한 준공도서 유지관리에

    관한 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여 설계에 활용’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설계자(책임기술자 갑)는 이건 과업구간 내 준공도서 등에 근거한 사각

    기둥의 형상 제원에 근거하지 않은 채, 지하철 2호선의 지상구간(고가 교량구간)의

    유사용역 성과품에서 적용된 원형기둥 사례에 의한 “단부구역 조건”을 아래 [그림1]과

    같이 그대로 적용(①90° 갈고리철근 없음, ②겹침길이가 310㎜로 40db 위반, ③보

    강띠철근 없음)하여 평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설계자가 과업구간 기둥의 형상과 ‘횡방향철근 배근상세’를 사실과

    7) 국토교통부(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설계기준(노반편, 2011년)」 제8장 교량 일반사항 (3)기둥 등에서 규정된 소성거동이 예측되지 않는 단부구역은 모든 축방향 철근이 연속될 필요는 없으나 다음 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①횡방향철근은 겹이음 하지 않아야 한다. ②겹이음을 할 경우에는 양단에 90°갈고리를 갖고 1개소 또는 2개소에서 철근지름의 40배 이상으로 겹침이음된 원형 후프띠철근에 2개의 보강띠철근이 후푸띠철근의 겹침이음된 구간을 감싸야 한다. ③후프띠철근의 90°갈고리는 축방량 철근에 걸리게 하여야 한다. ④2개의 보강띠철근후프띠철근 겹침이음구간 양쪽 끝부분에 배치하여야 한다)

    8) 지하철 �~�호선의 지하BOX 구간의 “준공도면(철근배근도)” 및 “지하철 ◎호선 건설지(제4장 토목설계편)”등에 따르면 중앙부 사각기둥의 폭(B)이 700㎜ 이상인 기둥은 사각형 폐합띠철근(D13~H13, 최대 겹침길이본선: 90~110㎜, 정거장: 110~380㎜ 등)으로 상호 교차되게 배근되어 있고, 중앙기둥의 단부구간 띠철근은중앙부에 비해 2배(t/2)로 보강되게 설계 적용되어 있다.

  • - 1 6 -

    다르게 평가 적용함으로써 과업구간의 모든 기둥을 연성보강(기둥: 6,324기,

    공사비: 14,424백만원) 대상으로 반영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와 함께 책임기술자 갑은 이건 기둥연성보강에 적용할 특허공법(10개 공

    법)을 선정하여 발주청의 특정제품선정 심사위원회 에 추천하였다.

    그 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이하 “A기업”이라 한다)의 경우는 국내 사

    용실적이 없는 공법 임에도 불구하고 원천기술보유자인 ㈜��� 대표이사 을의

    부탁을 받은 참여기술자(병)의 요청에 따라 ‘기둥연성 보강공법’의 하나로 적용하

    면서 공법 선정 당시 B기업의 정착재 위치가 기둥단면의 중앙에 위치(A-type)한

    특허공법(특허 00-000000호)으로 선정 추천하여 특정제품 선정 심의를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책임기술자 병은 설계기간 중 특정제품 선정 심의를 통과한 B기업

    (A-type)에 대하여 현장 시공성 등을 이유로 B기업의 정착재(고정장치)의 위치를

    아래와 같이 기둥단면의 중앙에서 모서리로 임의변경하여 실시설계에 반영하면서

    2014. 1. 3.자로 발주청 담당자 및 원천기술자 등과 함께 특허발명자로 공동 특허

    출원[출원번호: 00-0000-0000000, 특허권자: A기업, B기업 공동] 및 특허등록

    (특허 00-0000000호, 2015.3.19.) 하였다. 결국 발주청의 특정제품 심의 의결과

    다른 B기업(특허 00-000000호)을 적용하여 특혜의 소지를 제공하는 등 책임

    기술자로서 건설기술진흥법」제28조(건설기술용역업자 등의 의무) 및 용역 과업

    내용서 “5-가”, “1)” 등에서 정한 성실의무를 위반하였다.

    2) 내진보강 실시설계 2차(1~2호선, ◎◎엔지니어링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C기업 외 1개사)는 과업구간인 지하철 �~�호선을 대상으로 본선

    BOX 20개 구간(L=5.40㎞) 역사 4개 구간(L=1.80㎞) 등 “내진성능 상세평가

    (2차)”에서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24개 구간(L=3.09㎞)에 대한

    ‘내진보강 실시설계(2차)’를 실시하였다.

    이건 ‘�~�호선 내진보강 실시설계(2차)’ 과정에서 최신 기준과 내진관련

    전문가 의견을 통해 수립한 ‘응답변위법9)’에 의한 내진성능을 재평가한 결과 지하철

    9) 지진발생 시에 생기는 지반변위에 의한 지진토압과 지하구조물과의 주변관계에서의 경계조건을 적절히 모델링하여정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제5장) 내진해석 및 설계에 대한 규정에서 도시철도

  • - 1 7 -

    ◎호선의 ‘종로◇가역’ 및 ‘□□□역’ 등 일부구간 기둥에서 내진성능 부족(NG)으로

    평가되었으나 2차 상세해석(시간이력해석) 방법으로 재검토한 결과 24개 전구간

    에서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재평가하였다.

    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2.2.2)사각형 단면을 갖는 교각 및 (4.2)교각의

    단면해석에 따르면 지하BOX 구간에 대한 기둥의 “단부구역 조건” 검토(반영)는

    이건 과업구간의 준공도서(철근배근도 등)등 사실에 근거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실제 실시설계 종합보고서 제2장 조사 (2.1)서론에 따르면 실시설계 시

    설계자는 기존구조물에 대한 준공도서 및 관련 설계기준 등을 조사하여 적용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병)는 중앙기둥부에 대하여는 기 시공된 지

    하철 구조물은 설계적인 측면에서 띠철근의 배근상세가 현재의 내진설계의 연성도

    확보를 위한 구조세목을 만족하지 못하고10), 해외 사례조사 결과 일본의 고베지진 시

    ‘다이카이역 지진 사례11)’와 같이 예상치 못한 큰 지진으로 인한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기둥 단부구역에 대한 콘크리트 구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모든 구간

    기둥 883기(사각: 883기)에 대하여 기둥연성보강을 적용하였다.

    이때 설계자는 과업구간 내 준공도서 등에 근거하지 않은 채 주관적 판단으로

    선행용역인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 등에서 적용된 원형기둥의 “횡방향철근

    배근상태(①90° 갈고리철근이 없음. ②겹침길이가 310㎜로 40db 위반. ③보강띠철근

    없음)” 사례를 위와 같이 그대로 평가 적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설계자가 과업구간 기둥의 형상 및 횡방향철근 배근상세를 사실과

    다르게 평가 적용 함으로써 과업대상 모든 구간의 기둥을 연성보강(기둥: 883기,

    공사비: 2,458백만원) 대상으로 적용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구조물은 “응답변위법”을 표준해석법으로 사용하고, 상세검토를 필요로 하거나 구조조건, 지반조건이 복잡한 경우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시간이력해석법”을 사용는 것이 좋다고 되어 있음

    10) 실시설계보고서 (제4장) 내진성능평가 결과에 따르면 신설구조물의 최신 내진관련 횡방향 구속철근에 대한 철근세목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는 극한강도 설계에서 가정하는 변형률 0.003 이상의 연성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가정함

    11) 1995.1.7. 05:46. 일본 고베시 남서쪽에서 발생(규모 7.2)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한 강진(역대 일본의1943년 규모 7.2, 1948년 규모 7.1과 더불어 가장 큰 강진발생으로 사망자 6,432명 등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지진임.

  • - 1 8 -

    3) 내진보강 실시설계 2차(�~�호선, □□□)의 경우

    용역업자(㈜□□□)는 지하철 �~�호선을 대상으로 본선BOX 4개 구간

    (L=2.24㎞) 역사 4개 구간(L=0.82㎞) 등 “내진성능 상세평가(2차)”에서 내

    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8개 과업구간(L=3.06㎞)에 대한 ‘내진보강 실시

    설계(2차)’를 실시하였다.

    이건 ‘�~�호선 내진보강 실시설계(2차)’ 과정에서 최신 기준과 내진관련

    전문가 의견을 통해 수립한 ‘응답변위법’에 의한 내진성능을 재평가를 시행하였

    다. 그 결과 지하철 �~�호선의 일부 구간에서 내진성능이 부족(NG)으로 평가

    되었으나 2차 상세해석인 휨에 대해서는 ‘모멘트(M)-곡률(∅)해석’으로, 전단에

    대해서는 ‘시간이력해석’ 방법으로 재검토한 결과 위 8개 전구간에서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2.2.2)사각형 단면을 갖는 교각 및 (4.2)교각의

    단면해석에 따르면 지하BOX 구간에 대한 기둥의 “단부구역 조건” 검토(반영)는

    과업구간의 준공도서(철근배근도 등)12) 등 사실에 근거하여 검토되어야 한다.

    실제 이건 실시설계 종합보고서 제2장 조사 (2.2.1)국내자료조사에 따르

    면 설계자는 실시설계 시 과업내용서, 준공도서 등을 분석하여 이를 실시설계에

    활용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설계자(책임기술자 병)는 중앙기둥부에 대해서는예상치 못할 큰 지

    진하중에 대한 기둥의 전단파괴는 지하BOX구조물의 전체적인 붕괴를 유발한다’는

    주관적인 판단으로 내진성능 부족과 관계없이 전 구간 기둥 총 750기(사각: 750기)

    에 대하여 “단부구역 조건”에 의한 기둥연성보강을 적용하였다.

    이때 설계자는 과업구간 내 준공도서 등에 근거하지 않은 채 선행용역인 ‘내진보

    강 실시설계(1차)’ 등에서 적용된 원형기둥의 “횡방향철근 배근상태(①90° 갈

    고리철근이 없음. ②겹침길이가 310㎜로 40db 위반. ③보강띠철근 없음.)” 사례를

    위와 같이 그대로 평가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12) 지하철 �~�호선의 지하BOX 구간의 “준공도면(철근배근도)” 및 “지하철 □호선 건설지(제4장 토목설계편)”등에 따르면 중앙부 사각기둥의 폭(B)이 700㎜ 이상인 기둥은 사각형 폐합띠철근(D13~H16, 최대 겹침길이91~112㎜ 등)으로 상호 교차되게 배근되어 있고, 중앙기둥의 단부구간 띠철근은 중앙부에 비해 2배(t/2)로보강되게 설계 적용되어 있다.

  • - 1 9 -

    그 결과 설계자가 과업구간 기둥의 형상 및 횡방향철근 배근상세를 사실과

    다르게 평가 적용함으로써 과업대상 모든 구간의 기둥을 연성보강(기둥: 750기,

    공사비: 2,159백만원) 대상으로 반영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4) 내진보강 실시설계 3차(�~�호선, ◎◎엔지니어링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엔지니어링 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38개

    구간(L=17.08㎞) 역사 21개 구간(L=4.20㎞) 등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에서

    내진성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59개 과업구간(L=21.28㎞)에 대한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책임기술자 유승훈)는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를 시행하면서

    최신기준과 내진관련 전문가 의견을 통해 수립한 ‘응답변위법’에 의한 내진성능

    재평가 기준으로 재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하철 �~�호선의 일부구간에서 내진성능이 부족(NG)이 발생하였

    으나 2차 상세해석 기법에 의해 휨에 대해서는 ‘모멘트(M) - 곡률(∅)해석’으로,

    전단에 대해서는 ‘시간이력해석’으로 재검토한 결과 위 59개 전구간에서 지진하

    중에 견딜 수 있는 규모로 건설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중앙기둥에 대하여는 “단부구역 조건”에 의한 연성보강을 적용하면서

    과업구간의 준공도서(철근배근도 등) 등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선행용역인 ‘내진

    보강 실시설계(1차)’ 등에서 적용된 원형기둥의 “횡방향철근 배근상태(①90°

    갈고리철근이 없음, ②겹침길이가 310㎜로 40db 위반, ③보강띠철근 없음.)” 사례를

    위 [그림 1]과 같이 그대로 적용하여 기둥의 형상 및 횡방향철근 배근상세가 사실

    과 다르게 검토되었다.

    다만, 이건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의 경우는 내진성능 평가결과 적합(OK)

    판정을 받은 기둥(총 6,292기)에 대하여 현재의 설계기준에 의해 배근된 철근의

    공칭강도로 안전성이 확보되고 있는지 사례별(CASE 1~3)로 재검토하여 ‘사례 1’,

    ‘사례 2’, ‘사례 3’으로 구분하여 비구조적 물량을 제외한 ‘사례 2’를 대상으로 본선

  • - 20 -

    의 경우 과업구간 15.21㎞ 중 11.66㎞(약 80%) 구간, 역사구조물의 경우는

    21개 역사 중 10개 역사(약 71%)를 대상으로 기둥 4,777기(공사비: 21,223

    백만원)에 대하여 서울교통공사 사장의 방침(제 00000호, ’00.0.00.)을 받아 기둥

    연성보강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내진보강 실시설계 3차(�~�호선, □□ 외 1개사)의 경우

    용역업자(㈜□□외 1개사)는 지하철 �~�호선의 본선BOX 34개 구간(L=14.09

    ㎞) 역사 32개 구간(L=6.56㎞) 등 “내진성능 상세평가(3차, 3~4호선)”에서 내진성

    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66개 과업구간(L=20.65㎞)에 대한 ‘내진보강 실

    시설계(3차)’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이건 설계자(갑)는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를 시행하면서 최신기

    준과 내진관련 전문가 의견을 통해 수립한 ‘응답변위법’에 의한 내진성능 재평가

    기준으로 재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하철 �~�호선의 일부 구간에서 내진성능이 부족(NG)이 발생

    하였으나 상세해석에 의해 휨에 대해서는 ‘모멘트 - 곡률해석’으로, 전단에 대해

    서는 ‘시간이력해석’으로 재검토한 결과 단면의 크기는 위 66개 전구간에서 지진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규모로 건설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중앙기둥부에 대해서는 “단부구역 조건”에 의한 연성보강을 적용하면

    서 과업구간의 준공도서(철근배근도 등) 확인 내지 철근탐사 등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선행용역인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에서 적용된 원형기둥의 “횡방향철근 배근

    상태(①90° 갈고리철근 없음, ②겹침길이가 310㎜로 40db 위반, ③보강띠철근

    없음)” 사례를 위 [그림 1]과 같이 그대로 적용하여 기둥의 형상 및 횡방향철근

    배근상세가 사실과 다르게 검토되었다.

    다만, 이건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의 경우는 내진성능 평가결과 적합(OK)

    판정을 받은 기둥(총 5,049기)에 대하여 현재의 설계기준에 의해 배근된 철근의

    공칭강도로 안전성이 확보되고 있는지 사례별(CASE 1~3)로 재검토하여 ‘사례

    1’, ‘사례 2’,사례 3’으로 구분하여 비구조적 물량을 제외한 ‘사례 2’를 대상으로

    본선의 경우 과업구간 14.09㎞ 중 8.39㎞(약 57%) 구간, 역사구조물의 경우는

  • - 21 -

    32개 역사 중 14개 역사(약 44%)를 대상으로 기둥 3,352기(공사비: 16,187

    백만원)에 대하여 서울교통공사 사장의 방침(제 00000호, ’00.0.00.)을 받아 기둥

    연성보강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설계자들이 ‘내진보강 실시설계용역(1차~3차)’에서 과업구간에

    대한 내진성능을 재평가하면서 아래 [표 3]과 같이 내진성능이 확보(OK)된 것으로

    판정받은 중앙기둥에 대하여 또다시 “단부구역 조건”에 의한 기둥연성보강을

    적용함으로써 과업구간 내 실제 구조물의 형상 및 제원 등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방법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내진보강 실시설계용역(1차~2차)’ 설계자들은 비구조적 물량인 기둥

    연성보강(기둥보강: 7,957기, 공사비: 약 17,732백만원)을 과학적 기술적 근거를

    배제하고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일괄 적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 지하철 �~�호선 내진보강 실시설계 결과

    구분 용역명 설계자 내진성능 평가결과

    내진보강실시설계

    내진보강실시설계(1차) A기업기둥부 내진성능 확보(OK)구간 연성보강 일괄적용(총: 6,324기, 공사비: 13,115백만원)

    내진보강실시설계(2차)(1~2호선)

    B기업기둥부 내진성능 확보(OK)구간 연성보강 일괄적용(총: 883기, 공사비: 2,458백만원)

    내진보강실시설계(2차)(3~4호선)

    C기업기둥부 내진성능 확보(OK)구간 연성보강 일괄적용(총: 750기, 공사비: 2,159백만원)

    내진보강실시설계(3차)(1~2호선)

    D기업기둥부내진성능확보(OK)구간연성보강부분적용(Case2대상)(총: 4,777기, 공사비: 21,223백만원)

    내진보강실시설계(3차)(3~4호선)

    F기업기둥부내진성능확보(OK)구간연성보강부분적용(Case2대상)(총: 3,352기, 공사비: 16,187백만원)

    이와 관련 위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3차)’ 설계자들이 기둥연성보강의

    근거자료로 국토교통부의 철도설계기준(노반편, 2011년)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설계기준 의 경우는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정의한 철도건설사업(도시철도 제외)에 따른 철도노반을 신설

    하는 설계규정13)으로 적용범위를 제한하고 있고, 동 기준 7.4 내진설계편

    13) (설계기준 개정에 따른 경과조치) 이 철도설계기준(노반편)은 시행일 이전에 이미 시행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건설공사에 대해여는 발주기관장이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장 총칙, 1.1 적용범위)이 설계기준은 철도건설법 제2조에서 정의한 철도건설사업 시행에 따른 철도노반(토공,교량, 터널, 지하구조물, 본선부속, 정거장 등)을 설계하는데 적용한다. 다만, 특별한 조사, 연구설계에 대하여는 이 기준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설계기준에 대한 근거를 명시하여야 한다.

  • - 22 -

    심부구속 횡방향 철근상세 규정에서는 “사각형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으로는 하나의

    ‘사각형 후프철근’ 또는 ‘중복된 사각형 폐합띠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라고 규정

    되어 있다.

    그리고 지하철 �~�호선 지하BOX 구간의 ‘준공도면(철근배근도 등)’ 및

    ‘서울지하철 □호선 건설지’ 등에서도 실제 지하철 �~�호선의 지하BOX 구조물은

    2011년 이후 강화된 현재의 내진설계기준인 기둥의 ‘심부구속 횡방향 철근상세’와는

    겹침 길이와 갈고리 규정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서울지하철은

    건설(’74년~’93년) 당시 지하BOX 구조물의 중앙기둥의 단부구간(소성힌지구간)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축방향철근의 겹이음은 단부구역이 아닌 중앙구역으로

    배치되게 설계 적용되어 있다.

    이와 함께 기둥의 종횡비(B/H)14)에서 장변길이(B)가 700㎜ 이상인 기둥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사각형 후프철근’ 내지 ‘중복된 사각형 폐합띠철근’으로 상호

    교차되게 배근되어 있으며, 특히 기둥의 상 하 단부구역은 중앙구역에 비해 띠철

    근이 2배 이상 보강되게 배근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2차)’ 설계자들이 내진성능 평가 시 제시한

    ‘예상치 못할 큰 지진하중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주관적 평가의견에 대하여도

    그 지진 크기가 어느 정도이고 어떤 종류의 지진인지 개념이 매우 모호하고 추상

    적일 뿐만 아니라, 국내 내진성능 평가는 실제의 대상구조물에 대한 제원에 의해

    정량적 평가기법에 의해 설계하여야 하는 내진성능 평가 개념과는 다른 의견에

    불과하다.

    이에 대한 서울특별시 안전관리 기본계획(재난 및 안전사고 종합대책) 제2절

    서울과 해외 도시간 비교 1)대도시 자연재해위험도 평가를 보더라도 서울의 안전

    지수는 세계 대도시권에서 8위로 싱가포르 다음으로 자연재해(화산, 지진, 태풍

    등)로 부터 안전한 도시로 분석15)되어 있다.

    14) 기존 시설물(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해설 에 따르면, 직사각형 기둥에서 (B: 단면길이)는 종단방향 즉 장변을의미하고, (H: 단면높이)는 횡단방향 즉 단변을 의미함

    15) 「2014년 서울특별시 안전관리 기본계획(재난 및 안전사고 종합대책)」 제2절 서울과 해외 대도시간 비교 1)대도시 자연재해 위험도 비교에 따르면, 국제적인 민간보험회사인 독일 뮌헨재보험(Munich Re)에서 위험지수를 사용하여 세계 대도시권의 자연재해 위험도(자연재해위험지수=재해발생원×취약성×노출)를 평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도쿄(710), 런던(30), 서울(15), 싱가포르(3.5) 등 세계 9개 대도시권에서 서울은 8위로 싱가포

  • - 23 -

    따라서 우리나라 수도권에서 국가 내진설계 기준인 발생빈도 1,000년 주기의

    “내진1등급”을 초과하는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역사적으로나 미래의 확률면에서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진보강 실시설계(2차)’ 설계자가 내진성능 평가 시 제시한 일본 고오베

    지진의 ‘다이카이역 강진피해 사례’는 국내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3.2)설계

    지반운동 결정 시 고려사항 등에서 규정한 설계지반운동에서 고려16)하고 있지

    않은 ‘지진파(從波, 수직방향)’의 ‘공진현상’ 의해 발생된 특이한 지진으로 국내

    내진기준과 그 개념이 다르고 국내에서 발생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사실이 서울

    교통공사의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에 대한 “건설기술심의 결과(2013.7월)” 등

    에서 의견으로 제시되어 있다.

    6) 발주청(용역감독자 등)의 경우

    발주청은 이건 ‘내진보강 실시설계용역(1차)’과 유사시기에 시행한 지상구간

    의 ‘지하철 �호선 □□구간 고가 교량 내진보강 및 방음벽 교체공사 실시설계용

    역(’11.6.29.~’12.12.21.)’ 과정에서 해당 과업구간의 지하철 �호선 지상구

    간(◎◎~◇◇◇구간, L=4.22㎞)의 기둥(◎◎ 등 174기)의 경우는 지진발생 시

    하나의 독립적인 부재여서 ‘기둥연성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최종 평가되었지만 향

    후 ‘기둥연성보강’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성 환경성 등을 이유로 설계자(◉◉◉)에

    게 ‘기둥연성보강’을 제외해 줄 것을 요구하여 최종 제외시킨 사실이 있다.

    또한 이건 ‘내진보강 실시설계용역(1차)’을 발주(가과-8345호, ’12.11.6.) 하

    면서 지하BOX 구간의 기둥연성보강 적용에 대하여 선행 용역인 ‘내진성능 상세

    평가(1~3차)’에서 용역사들 간에도 서로 상반되게 평가(1차: 필요 / 2차: 불필요

    / 3차: 유보)된 채 용역이 준공 됨에 따라 선행 용역의 업무 혼선을 규명하고자 용

    역 과업내용서에 특별히 ‘전차용역(◎~�호선 지하BOX 내진상세평가) 대상구간

    (192개소)에 대한 연성보강 필요성 검토’를 명기하여 발주하였다.

    르 다음으로 자연재해(화산, 지진, 태풍 등)에 안전한 도시로 평가되어 있음

    16) 국토교통부의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3.2 설계지반운동 결정 시 고려사항”에서 6)설계지반운동의 수직방향 성분은 “지하 도시철도구조물의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고 명시하고 있음

  • - 24 -

    이후 용역 수행과정에서 개최된 “기술자문회의[실시설계 1차, 실시설계 2차

    (�~�호선), 실시설계 2차(□~□호선) 등]” 및 “서울시 건설기술심의

    (2013.9.30.)” 에서도 “일괄적인 기둥부 보강은 개착BOX의 취약부를 더욱

    취약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둥연성보강 일괄적용은 추후 논란의 여지도

    예상되므로 책임기술자에 자의적인 판단보다는 발주청의 ‘정책결정’에 의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자문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국토교통부의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제4장 설계업무 감독 및 점검

    사항(용역 중간단계 완료단계의 점검사항)에 따라 단계별로 검토 확인 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건 실시설계 1차 용역감독자 갑(공정율: 발주~55%) 을(공정율:

    56%~95%) 및 실시설계 2차 용역감독자 병 등은 내진보강 실시설계 성과품은

    향후 공사발주 시 설계도서로 활용되므로 용역과업 수행이과업내용서’ 등

    관련규정에 따라 적합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등을 검토 확인 할 의무가 있다.

    그런데도 위 용역감독자들은 구조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고 잦은 업무분장을

    이유로철근항복강도’ 및 기둥의 “횡방향철근 배근상태” 등 용역 성과물에 대한

    검토 확인을 하지 아니하였다.

    그리고 직상관리자들(처장 병 등)은 ‘정책적인 결정’을 요구한 설계자문

    위원들의 자문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내진보강 실시설계용역(2차~

    3차)’의 추진과정에서 업무혼선이 없도록 ‘적용방침’을 정하여야할 업무상 책임

    (*정책결정 중요사항)이 있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내진보강 실시

    설계용역(1차)’을 준공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전문가(안전감사 옴부즈만, 내진보강 전담주치의 등)의 자문결과에서도

    비구조적 물량인 기둥연성보강의 일괄적용은 불필요하고, 굳이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설계자의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발주청의 ‘정책적인 고려’에 의해 적용

    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예외적으로 내진성능 평가결과 설계지진 하중조합이

    작용하였을 때 “해당 부재가 탄성범위를 초과하였으나 ‘공급변위연성도17)’ 이내에서

  • - 25 -

    거동하고 있다면 내진성능을 확보(OK)하고 있는 부재라고 할지라도 책임

    기술자의 판단에 의해 최소한의 연성보강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18)는

    자문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17) “공급변위를 항복변위로 나눈 값”을 말하는 것으로써, (공급변위란)교각의 파괴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교각이 견딜 수 있는 최대변위, (항복변위란)일반단면 교각의 하중-변위곡선에서 원점과 초기 항복점을 잇는 직선이 교각의 항복강도와 교차하는 점에서의 변위크기를 말함

    18) 위 내진보강 실시설계(3차)의 상세분석인 “CASE 2”의 조건에 해당됨

    < 전문가 자문의견 >

    [ 00감사 옴부즈만 자문의견 ]

    - (A기업 000 위원) 기존 시설물의 단면 형상과 횡방향 띠철근은 심부구속 단면과 지진 시 에너

    지 흡수 능력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반드시 실제와 동일한 제원으로 검토 평가되어야 함. 다

    만 내진성능 평가결과 설계지진 하중조합이 작용하였을 때 해당 부재가 탄성범위를 초과하

    였으나 공급변위연성도 이내에서 거동하고 있다면 내진성능을 확보(OK)하고 있는 부재라고

    할지라도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의해 최소한의 연성보강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B기업 000 위원) 내진설계의 개념은 지진이 발생할 경우 지하구조물이 완전히 안전하여야 하는

    개념이 아닌 부분적으로 파손 파괴가 이루어지더라도 복구 가능한 수준의 개념이므로 BOX단

    면에서 기둥부의 과도한 보강은 오히려 다른 부재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바람직하지

    않음. 그리고 심부구속철근의 90°와 135° 등의 갈고리 배근 규정은 내진설계 적용 시 충분한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기존 시설물에서 이미 폐합스트럽 및 후프철근 등으로 2배

    이상 보강설계되어 있다면 추가적인 고려를 할 필요가 없음.

    - (C기업 000 위원) 지하구조물의 경우 상대적으로 지진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구조물로 알려

    져 있음. 따라서 기존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결과 OK판정을 받은 경우 추가적인 기둥연성

    보강 적용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

    [ □□보강 전담주치의(서울교통공사) 자문의견 ]

    - (D기업 000 교수) 지하철 1~4호선 박스 중앙기둥의 경우 내진성능평가 결과 탄성범위

    내에서 내하력이 확보된다면 실제로 보강이 필요치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함.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별도의 실험을 수행하는 것도 적절한 방안임.

    - (E기업 000 교수) 내진보강 실시설계용역은 내진성능이 부족하여 보강이 필요한 결과에 기인

    하여 추진되어야 함, 따라서 평가결과 내진성능이 확보되어 있다고 평가될 경우 내진보강은 불

    필요함.

    - (F기업 000 교수) 교량에 있어 교각의 경우는 지진발생 시 하나의 독립적인 부재여서

    큰 연성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내진설계 개념이지만 지하BOX 구조물의

  • - 26 -

    그 결과 용역감독자가 용역수행과정의 단계별 미검토 확인, 자문의견에 대한

    정책결정업무 미수행함으로써 과업대상 모든 구간의 기둥을 연성보강 대상으로

    일괄 적용하게 되어 예산낭비(시공완료: 약 2,430백만원) 등 부당설계(기둥보강:

    7,957기, 공사비: 약 17,732백만원)를 초래하였다.

    다. 결론

    결과적으로 발주청이 지진 화산재해대책법」제3조 제3항2호에 따라 실시

    한 ‘내진보강 실시설계(1~2차)’에서 적용한 기둥연성보강은 ① 설계자 및 사업

    참여기술자들 간에도 평가(필요/불필요)를 달리하고 있는 점, ② 국토교통부 도

    시철도 내진설계기준 및 서울특별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조례 제48조(도시

    안전 기본계획)에 의한 “서울특별시 안전관리기본계획(2014년)”에서 도시철도의

    내진설계는 “내진1등급(서울시 기준: 규모 5.5~6.5)”의 기준으로 적용하도록 되

    어 있는 점, ③ 위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의 적용범위 등에서 ‘토피가 10m

    이상 확보되고 표준관입시험치(SPT) N값이 30 이상인 주변 지반을 갖는 1층

    구조로된 본선 구조물은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따라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생략’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실제 ‘액상화 예비평가’ 결과에서 N값이 30 미만에 의한

    불합격 구간이 없을 정도로 지하철 �~�호선은 지반 여건이 양호(토피 10m이

    상 구간은 약 16%로 확인됨)한 것으로 확인된 점, ④ 국내 내진설계 개념은 (신

    설)구조물에 적용하는 내진설계와 (기존)구조물에 적용하는 내진보강은 설계개념

    과 적용성 등에서 서로 다르게 규정되고 있으며 발주청에서 앞서 시행한 지상구간

    의 ‘지하철�호선 □□구간 고가 교량 내진보강 및 방음벽 교체공사 실시설계용역

    (’11. 6. 29. ~ ’12. 12. 21.)’에서 지하철 �호선 지상구간(□□~◎◎구간, L

    =4.22㎞)의 기둥(○○○ 등 174기)의 경우도 발주청의 판단에 의해 기둥연성보강

    중간기둥을 교각의 내진설계 개념으로 적용하는 비합리적임. 또한 일본의 고오베 지진

    시 다이카이역의 중간 기둥의 파괴는 연성부족이 아닌 전단강도 부족에서 기인한 것

    임. 따라서 평가결과 강도부족이면 강도보강으로 연성도 부족이면 연성보강이 실시

    되어야 하며, 이외의 적용여부는 ‘정책적인 고려’ 사항임.

  • - 27 -

    을 제외한 점, ⑤ 발주청의 ‘서울지하철 �~�호선 기존시설물(161.4㎞) 내진성

    능 상세평가용역(2009.11월)’ 경우도 건설(’90년~’01년) 당시 내진설계가 반영

    되지 않은 시설물인데도 지하BOX 구간에 대한 기둥연성보강을 적용하지 아니한

    점, ⑥ 국내 내진전문가들의 자문결과에서도 성능확보 판정을 받은 지하BOX 구

    조물의 기둥연성보강은 불필요하고 일괄적인 기둥부 연성보강은 오히려 개착

    BOX의 취약부(우각부 등)를 더욱 취약하게 할 수 있다는 의견 등을 감안할 때

    이건 설계자들의 주관적인 판단 및 추정에 근거하여 실제 시설물 형상 제원과 다

    르게 평가하여 과업대상 모든 구간의 기둥을 연성보강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타

    당성 안전성이 결여된 부당설계(기둥보강: 7,957기, 공사비: 약 17,732백만원)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 및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의 책임기술자

    갑은 용역업무를 수행하면서 발주청의 중앙기둥 연성보강에 대한 일괄 적용 재검

    토 요구에 대한 실정보고 승인 등의 절차없이 적용을 강행하였고 기둥의 철근 상

    세도를 준공도서와 다르게 임의 적용하여 내진성능에 대한 결과를 왜곡하는 등

    준공도서 작성 검토 업무를 충실하게 이행하지 않음으로서 부당설계에 따른 설계변

    경 및 과다예산 책정 등의 결과를 초래한 행위는 지방계약법 시행령」제92조

    (부정당업자의 입찰 참가자격 제한) 제2항 제2호의 규정을 위반한 자로서 동 법 시행규칙

    [별표 2] 부정당업자의 입찰 참가자격 제한기준 17-마.에 따른 ‘계약서에서 정한

    조건을 위반하여 이행하는 자’ 및 18-나.에 따른 ‘과실로 조사 설계금액이나 원

    가계산금액을 적정하게 산정하지 않은 자’에 해당하므로 “입찰 참가자격 제한” 사

    유에 해당된다.

    그리고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3차)’ 용역감독 및 관리감독 업무를 수행한

    용역감독자 및 직상감독자들의 용역성과품에 대한 검토 확인 소홀, 특히 ‘내진보

    강 실시설계(1차, 2차)’ 용역수행 중 서울시건설기술심의 등에서 기둥연성보강

    적용범위에 대한 발주청의 ‘정책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는데도 적용

    방침 수립 없이 준공처리 하는 등 업무를 태만히 하여 타당성이 결여된 공사비 반

    영으로 예산낭비를 초래한 감독행위 등은 서울교통공사 인사규정 시행내규」제

    54조(징계 등 양정기준) [별표 12] 내지 [별표 13]의 징계기준에 의한 ‘징계사유

    (부작위 직무태만 또는 회계질서 문란 등 성실의무 위반)’에 해당된다.

  • - 28 -

    관계기관 의견

    서울교통공사(가과)에서는 기둥연성보강에 대한 전문가들과 설계용역사들 간

    에도 의견이 최근까지도 상충되고 있고, “지하터널(박스) 기둥부 횡방향 철근상세

    불만족부에 대한 기둥연성 보강범위는 보강전 상태의 실제 ‘모형실험’을 통해 지

    하구조물의 연성도 크기를 확인하고 보강여부를 판단하는게 바람직하다”는 ‘내진

    보강 전담주치의’들의 공통된 의견을 받아들여 2018년 8월 발주하여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지하철 구조물의 현행 내진설계 적정성 및 내진보강 시설물 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용역”(이하 “연구용역”이라 한다)을 통해 지하철 표준단면에 대한

    ‘실물모형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보강범위 등에 대한 정책적인 판단

    과 방침을 수립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에서 발주한 ‘내진성능 상세평가(1~3차)’는 2010. 4. 6.

    ~ 2013.12.13.까지, ‘내진보강 실시설계(1~3차)’는 2012.12.17. ~

    2018. 12.31.까지 완료 되었고 현재 공사시행 중에 있다.

    그리고 위 ‘내진보강 전담주치의들’의 의견은 용역 과업수행 중 기술자문 및 건

    설기술심의 과정에서 유사 자문 심의 의견으로 이미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발주

    청의 정책적인 판단과 방침은 ‘내진성능 상세평가(1~3차)’ 이후 내지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 시행단계에서 수립되어야 하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준공처리 하고서도 현재 진행 중인 ‘연구용역’을 통해 앞으로 추가 검증하겠다는 변

    명은 합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

    다만, 현재 발주되어 공사시행 중에 있는 도시철도(지하철) 내진보강공사

    �~�공구(지하구간) 기둥부 ‘비구조적 물량’인 연성보강에 대하여 설계변경을

    하도록 업무지시하여 ◎공구(962백만원)에 대해서는 설계변경(발주기관의 필요에

    따른 설계변경 등)이 완료 되었고, □~□공구에 대하여는 2019년 하반기 설계

    변경을 추진(문답서 등)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 29 -

    조치할 사항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① 현재 공사시행 중에 있는 도시철도(지하철) 내진보강공사 �~�공구 중 설계

    변경이 완료된 ◎공구를 제외한 □~□공구에 적용된 비구조적 기둥연성

    보강 물량에 대하여 설계변경을 통해 감액 등의 조치를 취하고,

    아울러 이 건 공사 진행 중 예산낭비(시공완료) 부문 금액에 대하여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의 내용) 등 관련규정에 따라 시공자 등으로부터 손해보전

    (손해배상 청구 등)을 받는 방안을 마련하여 조치하시기 바랍니다.(통보)

    ② 부실설계 행위 등을 초래한 용역감독 소홀관련자에게는 귀 공사의 인사규정

    시행내규 에 따라 “징계처분” 등 조치하시기 바랍니다.(문책)

    ③ ‘내진성능 상세평가(1차)’ 및 ‘내진보강 실시설계(1차)’ 용역업무 수행하면서 부당

    설계에 따른 과다예산 책정 등 설계도서 작성 업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아니한

    아래 용역사에 대하여는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92조(부정당업자의 입찰 참가

    자격 제한) 제2항 제2호에 따라 “입찰 참가자격 제한”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통보)

    ※ 2020년 감사위원회 재심의 심의결과(10차, ’20. 4. 23.) 업체에 대한 입찰참가제한 조치 취소하고

    벌점 부과로 변경

    ④ ‘내진보강 실시설계’를 시행하면서 전차 성능평가용역의 잘못 적용된 철근

    항복강도(fy)를 수정하지 않은 채 그대로 적용하고, 중앙기둥부 “횡방향

    철근 배근상태”를 주관적 판단에 따라 준공도서와 다르게 반영하는 등 용역을

    부실하게 이행한 아래 건설기술용역사업자(해당 건설기술자 포함)에 대하여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87조 제5항의 “벌점관리기준”에 따라 각각 “벌점”을

    부과하시기 바랍니다.(통보)

    ⑤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시행하면서 철근항복강도(fy)를 잘못 적용하였고,

    ‘내진보강 실시설계’를 시행하면서 배근된 철근의 직경 개수 등을 잘못 입력

    하는 등 설계업무를 소홀히한 사업책임기술자에 대하여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규칙」제19조(건설기술자에 대한 시정지시 등) 규정에 따라 “주의” 조치하기

    바랍니다.(통보)

    감 사 위 원 회

  • - 30 -

    시정요구 및 통보

    제 목 부적합 재료성능시험결과가 이용된 공법을 부당 설계반영, 특혜제공(의혹)

    관 계 기 관 서울교통공사

    내 용

    서울교통공사(이하 “발주청”이라 한다)는 2016. 10. 7.부터 2018. 12.

    31.까지 지하철 �~�호선 지하구조물 내진성능보강공사를 위한 2차, 3차 실시

    설계용역(이하 “이건 설계용역”이라 한다)을 아래 [표 1]과 같이 시행하고 준공하였다.

    [표 1] 지하철 내진보강공사 실시설계 현황

    계약명 계약기간 계약금액(백만원)계약상대자

    (설계용역업자) 계약물량

    지하철 �~�호선 지하구조물내진 성능보강공사실시설계용역(2차)

    ’16. 10. 7.~’17. 11. 24. 440 A 기업

    24개 구간(L=3.09㎞)

    지하철 ◎~◎호선 지하구조물내진 성능보강공사실시설계용역(2차)

    ’16. 10. 21.~’17. 11. 7. 515 B 기업

    8개 구간(L=3.06㎞)

    지하철 ◇~◇호선 지하구조물내진 성능보강공사실시설계용역(3차)

    ’18. 4. 16.~’18. 12. 31. 1,746 C 기업

    59개 구간(L=21.28㎞)

    지하철 □~□호선 지하구조물내진 성능보강공사실시설계용역(3차)

    ’18. 4. 16.~’18. 12. 31. 1,718 D 기업

    66개 구간(L=20.65㎞)

    발주청은 이건 설계용역 과정에서 설계용역업자로 하여금 지하철 역사(驛舍)

    및 역사에 인접한 본선 전·후 50m의 구간(이하 “불연구간”이라 한다)에 내진성능

    보강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각 해당 공법업자(특허권자 등)로부터 내화성능 등이

    포함된 재료성능 시험성적서 등 해당공법 관련자료를 제출받아 각 해당 공법의

    불연성능19) 여부 등 적정성, 안전성 등 사전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고 그 사전

    평가결과를 제출받아 특정(특허)공법선정심사위원회(이하 “심사위원회”라 한다)의

    심사를 걸쳐 같이 10공구 등 6개 공구에 각각 보강(특허)공법을 설계에 반영

    하였다.

    이건 설계용역의 과업내용서 제3장(설계업무) 3.1. 및 3.3.에 따르면 설

    19)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철강 알루미늄 유리 시멘트모르타르 및 회 등),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시험한 결과 불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것

  • - 31 -

    계용역업자는 관련법령, 지침의 준수 및 내진보강공법의 적정성, 안전성 등을 고려

    하여 최적의 보강공법을 선정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20) 및 화재확산 방지구조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744호, ’15. 10. 13.) (이하 “화재확산 방지기준”이라 한다) 제2조(불연

    재료) 및 제5조(시험체 및 시험횟수 등) 제1항 규정에 따르면 설계용역업자는 적용

    할 공법의 내화성능 확인을 위한 불연재료의 시험체 구성과 재료는 해당 공법

    에서 사용될 실제의 재료와 동일하게 제조되게 하여야 하고 복합자재(재료)인

    경우의 시험체는 각 단면(상 하, 외벽)에 별도 마감되지 않게 제조되게 하여야

    한다.

    특히 건축재료의 불연성 시험방법(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16-432호, ’16.

    11. 29. (KS F ISO 1182, 이하 “KS 불연성시험방법”이라 한다)에 따르면 시험체

    는 원기둥 모양의 높이 50±3㎜를 가져야 하며 재료의 높이가 50±3㎜가 되지 않

    으면 여러 층으로 재료를 쌓아서 원기둥 모양 시험체의 높이가 50±3㎜가 되게

    제조 시험하게 되어 있다.

    이때 불연성능 재료 시험체는 KS 불연성시험방법에 따른 해당 기준값을

    충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건 설계용역에 반영된 보강공법(NFA공법, NDA공법

    및 FRP공법 등)의 불연성능 재료 시험체는 해당 공법에 실제 사용될 재료와 동일

    하게 구성 제조되고 KS 불연성시험결과 해당 기준값을 충족하여야 한다.

    그리고 설계공모, 기본설계 등의 시행 및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지침 제29조(용역감독자의 임무),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 제4장 제3절

    2.다. 및 서울시 “특정제품선정심사위원회 운영요령”(가과-2479호, ’18. 2. 8.)에

    따르면 발주청(용역감독자)은 용역과업이 과업내용서 등에 따라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비시 시정 등 조치를 하여야 하며, 특히 특정(특허)

    공법을 설계에 포함하는 때에는 설계반영의 필요성 검토 및 특혜 소지를 최소화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울교통공사의 임직원행동강령 제4조(직무수행의 기본자세), 제12

    20)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 난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것

  • - 32 -

    (특혜의 배제) 등 규정에 따르면 임직원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공정하게 업무를

    처리하고 특정인에게 특혜를 주어서는 아니 된다.

    그런데 설계용역업자는 이건 설계용역 수행과정에서 지하터널의 불연구간에

    불연성능 보강공법을 적용하면서 난연성능 자재를 사용하는 난연성능 특허공법을

    우선 시공하게 하고 이 난연성능 특허공법으로 시공된 부위에 추가로 일반자재

    (○○공법21), △△공법 등)를 시공하게 하는 공법(○○공법, △△공법 및 □□공법 등)에

    대한 불연성능 재료 시험성적서 등 해당공법 관련자료를 각 해당 공법업자(특허권자

    등)로부터 제출받아 이 공법들을 불연성능 보강공법으로 분류 선정하고 설계에 반영

    하였다.

    이때 불연성능 보강공법 선정과정에서 각 해당공법 업자(특허권자 등)가 해

    당공법을 불연성능공법으로 인정받기 위해 불연성능 재료 시험체를 제조하면서 아

    래 [표 4]와 같이「화재확산 방지기준」등 관련기준에 적합하지 않게 해당공법에

    실제 사용될 자재(재료)가 아닌 콘크리트가 포함된 복합자재(5~10㎜ 두께의 재료)

    를 사용하고, 그리고 이 복합자재를 층층으로 쌓아서 제조하지 않고 두루마리 형

    식으로 말아서 원기둥으로 부적합 시험체를 구성 제조하였으며,

    특히 이 부적합 원기둥 시험체의 상·하, 외벽 등 각 단면을 모르타르 등으로

    별도의 마감까지 추가 시행하여 관련기준에 맞지 않게 제조한 부적합 시험체로

    공인(품질검사 대행)기관에 시험·의뢰(’18. 6. 15.~ 6. 25.)하여 ‘합격’ 판정을

    받은 부적합 불연성능 재료 시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