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중간보고서] PT(Post-Tension) 정착구역 특수 보강철물 (힐릭스, HELIX) 구조성능 및 시공성 향상 방안 2015. 04. ㈜옥타곤엔지니어링 대표이사 귀하 본 “PT(Post-Tension) 정착구역 특수 보강철물(힐릭스, HELIX) 구조성능 및 시공성 향상 방안에 대한 자문서”를 제출합니다. 2015년 04월 **일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박 노 현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부 교 수 강 현 구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조 아 서

Soporte Constructivo de Postensado

  • Upload
    javsar

  • View
    218

  • Download
    1

Embed Size (px)

DESCRIPTION

Detalles constructivos por la universidad de Seul

Citation preview

[중간보고서]

PT(Post-Tension) 정착구역 특수 보강철물

(힐릭스, HELIX) 구조성능 및 시공성 향상 방안

2015. 04.

제 출 문

㈜옥타곤엔지니어링 대표이사 귀하

본 “PT(Post-Tension) 정착구역 특수 보강철물(힐릭스, HELIX) 구조성능 및 시공성

향상 방안에 대한 자문서”를 제출합니다.

2015년 04월 **일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박 노 현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부 교 수 강 현 구

참여연구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조 아 서

요 약 문

최근 국내에서 프리스트레스트 공법을 활용한 건축사업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

며, 특히 포스트텐션 구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때 정착구역에 대한 철근 보

강이 필수적인데, ㈜옥타곤엔지니어링은 나선형 보강이 콘크리트 구속력이 뛰어난

점에 기인하여 나선형 정착구역 보강 제품인 힐릭스(HELIX)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중전달실험을 통해 힐릭스의 정착구역 보강 성능을 검증하였으

며, 요구되는 성능을 크게 상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하중전달실험을 통해 콘크리

트 강도, 정착구 종류와 보강철근의 종류 및 배치에 따른 성능 변화를 확인하였다.

힐릭스를 사용하였을 경우 기본 보강과 U자형 철근 보강에 비해 각각 약 23%, 9%

씩 파괴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정착구(Dywidag과 KFA)의 종류에 상관없이 보편적

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힐릭스를 실제 포스트텐션 현장에 적용가능하

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나선형의 힐릭스는 일체형 제품으로, 기존 정착구역 보강 방식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현장 조립을 해야 하는 기존 방식들과 달리 공장에서 단일 제품으

로 생산되기 때문에 공기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해 공사비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또

한 힐릭스의 현장적용은 국내 건축분야의 PT공법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

다.

목 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기존 연구

1.3. 연구 목표 및 일정

1.4. 연구 추진전략 및 방법

1.5.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2. 실험계획

2.1. 개요

2.2. 실험체 계획

2.3. 실험체 도면

3. 실험체 제작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부록 - 하중전달시험방법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국내에서 Post-Tensioning(PT)공법을 적용한 건축물의 시공 사례가 크게 증

가하고 있다. PT 공법에서는 강연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정착구를 사

용하며, 정착구역을 철근 등으로 보강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보강은 정착구에

평행하게 2개의 수평근을 배치하는 것이다. 여기에 3개 이상의 정착구가 배치될 때,

정착구 개수보다 1개 더 많은 수의 U자형 철근(Hairpin)을 정착구의 수직 방향으로

추가하는 보강이 2방향 슬래브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 외에 각 정착구 혹은 업체마

다 별도의 보강 방법을 현장에 적용하기도 한다.

㈜옥타곤엔지니어링은 여러 개의 정착장치에 대한 정착구역을 보강하기 위한 나

선형 철물인 힐릭스(HELIX)를 개발하였다. 나선형의 보강은 콘크리트의 구속력을 크

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정착구역에 대한 보강 효과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장제작을 통하여 현장에서의 철근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시공성이 증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포스트텐션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건축 산업 규모가 증가하

는 추세이고, 특히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포스트텐션 무량판 구조의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옥타곤엔지니어링이 개발한 PT 관련 제품인 힐릭스의 성능

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여 실무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1.2. 기존 연구

1.2.1. 비부착 방식의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이 연구는 2007년 3월에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후레씨네코리아가 공동으로

개발한 2가닥용 정착장치 개발 연구이다. 모델링한 제품을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을 이용해 분석하고 하중전달시험을 통해 정착구의 성능과 철근 보강상세를 결정하

였다.

(a) 실험체의 정착장치 및 철근배근

(b) 하중 가력 모습

그림 1. 비부착 방식의 포스트텐션 정착구에 대한 하중전달실험 사진

(출처 : 비부착 방식의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2007,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후레씨네코리아)

1.2.2. 비부착 강연선에 대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및 성능 시험

이 연구는 2013년에 삼성물산(주) 건설부문과 서울대학교가 공동으로 포스트텐션

정착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성능 시험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국내 최초로 포스

트텐션 정착구를 국내 순수 기술로 자체 개발하였으며, 정하중시험으로 정착구 자

체 성능을 검증하고, 하중전달시험을 통해 보강상세에 따른 압축강도 비교를 수행

하였다.

그림 2. 하중전달시험 모습

(출처 : 비부착 강연선에 대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및 성능 시험, 2015, 조아서 외 3명, KCI 논문집)

1.3. 연구 목표 및 일정

1.3.1. 연구 목표

본 연구는 ㈜옥타곤엔지니어링이 개발한 힐릭스의 성능 검증을 목표로 한다. 압

축강도 측정을 통하여 기존 정착구역 보강 방법과의 비교하며, 이를 통해 얻은 결

과를 토대로 제품의 성능을 직접 확인한다.

1.3.2. 연구 일정

본 연구의 전체적인 일정은 표 1과 같다.

세부계획월별일정

`14.12 `15.01 `15.02 `15.03 `15.04

실험 계획

실험체 제작

실험 수행

실험 데이터 분석

보고서 작성

표 1. 연구 일정

1.4. 연구 추진전략 및 방법

1.4.1. 목표달성 및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방법론

우선 연구의 목표를 설정하고 현재 기술의 기준과 실무상황을 파악한 후, 기초

연구 자료를 수집한다. KS 및 PTI 기준에 따른 실험적 검증을 통한 제품의 성능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도입하여 최적화된 제품의 현장 적용을 도모한다. 경제적 시공

기술을 개발하고 친환경성과 효율성을 최적화하여 미래지향적인 제품 생산 및 시공

을 추구한다.

1.4.2. 연구대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계획

개발된 제품에 대하여 KS 및 PTI 기준에 따라 실험적 검증을 거친다. 하중전달실

험을 통해 기존 보강 방법과 힐릭스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을 확인 및 비교한

다. 이를 통하여 검증된 힐릭스의 현장 적용을 검토한다.

1.5.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1.5.1.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본 연구는 힐릭스를 이용한 PT공법을 적용하는 현장에서 정착구역 철근 보강상세

설계 방안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각종 현장에 응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착구역 보강 장치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PT공법에

사용되는 정착구 관련 부속품에 대한 진보적 연구에도 그 바탕이 될 것이다.

1.5.2.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성과

본 연구는 제품과 관련된 각종 이론을 정립하는 자료가 되며, 국내 정착장치 보

강 설계의 기술적 진보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생산

한 제품의 PT공사현장 도입은 국내현장에서는 직접비용 절감을 가져올 것이고 해외

현장에서는 수출매출액 증대를 가져올 것이다. 그리고 국내 현실에 맞는 제품을 도

입함으로써 시공성의 향상과 공사비 감소로 인한 PT구조의 수요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2. 실험 계획

2.1. 개요

포스트텐션 정착구 보강용으로 제작된 힐릭스(HELIX)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

이므로, 하중전달실험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거동과 하중지지능력을 확인하고자 하

였다. 이에 콘크리트표준시방서 해설에 실려있는 'PSC 텐던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

의 성능 시험 방법(KCI-PS101)' 중 하중전달시험에 대한 내용을 기반으로 실험을 계

획하였다. 힐릭스의 도면은 아래 그림 3과 같다.

그림 3. 힐릭스(HELIX) 도면

2.2. 실험체 계획

실험체는 일축압축 실험을 위하여 콘크리트 사각기둥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인 슬

래브 두께와 정착장치의 크기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단면의 가로는 550mm, 세로는

210mm로 정하였다. 하중전달시험 방법에서는 정착구에 대한 보강 상세 이외에 실

험체 자체에 들어가는 기본 보강에 대한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실험에서는 이

를 제외하고 단순히 정착구 보강상세만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이는 실제 시공환경

을 반영하고 순수한 보강상세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체 기본 보강을

제외하였기 때문에 보강되지 않은 부분의 콘크리트가 먼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험체의 높이는 두 옆면의 길이 중 긴 것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시

험 방법과는 달리 정착구역의 깊이를 고려해 400mm로 정하였다.

실험체의 종류는 2가지의 콘크리트 강도, 4가지의 장착장치 보강 상세 및 2 종류

의 정착구를 사용하여 총 16가지이다. 콘크리트의 강도로는 저강도인 약 15MPa(A

set)와 실제 현장에서 강연선을 긴장할 때의 강도인 약 24MPa(B set)의 2가지를 적

용하였다. 정착구역에 대한 보강 방법으로는 힐릭스를 적용한 것(H)과 단부보강을

고려한 힐릭스를 설치한 것(HC)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가장 기본적인 보

강 방법인 2개의 수평 철근을 배근하는 것(B)과 현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

는 2개의 수평근과 U자형 철근을 배치하는 것(U)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포스트텐션

정착구로는 해외제품인 Dywidag 정착구(D)와 국내에서 생산하는 KFA 정착구(K)를

각 보강 상세에 적용시켰다.

총 실험체의 개수는 총 24개로 표 3과 같으며, 실험체명은 콘크리트의 강도, 보강

상세의 종류, 그리고 정착구의 종류를 조합하여 정하였다. 이 중, U자형 보강과 힐

릭스 보강 실험체는 각각 2개씩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A set(14.7MPa) B set(24.2MPa)

D정착구(D) K정착구(K) D정착구(D) K정착구(K)

2개의 수평근(B) A-DB A-KB B-DB B-KB

2개의 수평근+U자형 철근(U)A-DU1

A-DU2

A-KU1

A-KU2

B-DU1

B-DU2

B-KU1*

B-KU2

힐릭스(H)A-DH1

A-DH2

A-KH1

A-KH2

B-DH1

B-DH2

B-KH1*

B-KH2

단부보강을 위한 힐릭스(HC) A-DHC A-KHC B-DHC B-KHC

표 3. 실험체 종류

* 22.1MPa 강도일 때 실험(나머지 B set 실험체보다 하루 전에 실험)

2.3. 실험체 도면

보강 상세 및 정착구 종류에 따른 실험체 도면은 그림 4과 같으며, 실험체 제작

시 보강된 모습은 그림 5와 같다.

(a) DB (b) DU

(c) DH (d) DHC

(e) KB (f) KU

(g) KH (h) KHC

그림 4. 실험체 종류별 도면

(a) A-DB

(b) A-DU2

(c) A-DH2

(d) A-DHC

(e) A-KB

(f) A-KU1

(g) A-KH1

(h) A-KHC

그림 5. 실험체 종류별 보강 상세 모습

3. 실험체 제작

실험체는 ㈜토탈피씨에서 제작하였으며, 2015년 2월 4일에 A set를, 동년 3월 9

일에 B set를 콘크리트 타설하였다. A set와 B set는 각각 설계강도 27MPa, 35MPa

의 콘크리트로 타설하였으며, 추운 날씨를 고려하여 각각 타설 이틀 후에 탈형하였

다. 실험체 제작 과정은 그림 6과 같다.

(a) 사전 조립 (b) 거푸집 설치

(c) 슬리브, 강연선 피복, 보강철물 설치 (e) 콘크리트 타설

(f) 공시체 제작 (g) 미장 작업

(h) 천막 설치 (i) 거푸집 탈형

(j) 철근 및 강연선 피복 정리 (k) 실험체 운반

그림 6. 실험체 제작 과정 모습

4. 실험 방법

이 연구의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실험체에 그리드를 그리고,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한다.

(2) 완성된 정착장치의 하중조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계측 조정된 실험장비에 실험

체를 설치한다.

(3) 강연선의 공칭극한강도(Fu)를 기준으로 0.2Fu, 0.4Fu, 0.6Fu 그리고 0.8Fu로 단계적

으로 하중을 가한다.

(4) 0.8Fu 상태에서 균열폭을 검사한다.

(5) 0.12Fu로 하중을 감소시키고, 이후 0.12Fu와 0.8Fu사이로 반복하중을 가한다.

(6) 반복횟수는 10회로 하며, 마지막 반복하중에서 0.12Fu와 0.8Fu 상태에서의 균열

폭을 검사한 후에 반복하중을 중단하고, 이후 시편의 파괴까지 하중을 가한다.

(7) 실험 종료 시 실험체의 압축강도를 측정한다.

KCI-PS101에서는 균열폭과 변형률을 이용하여 안정화 공식을 이용하여 안정화 정

도를 판단하고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최소 10회 이상의 반복하중을 가하며, 이후

실험체를 파괴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 초기에 4개의 실험체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면서 안정화 공식을 판단하였는데, 실험체 아랫부분이 무보강 상태이

기 때문에 반복하중을 가하는 중에 실험체 하부에 큰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

하여 부착된 콘크리트 게이지가 절단 혹은 탈락 되는 등 균열폭과 변형률을 통한

안정화 공식을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최소 횟수인 10회의

반복하중으로도 충분히 안정화가 진행되었다고 가정하여, 이후 실험에서는 반복하

중을 10회만 가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5. 실험 결과 및 분석

모든 실험체는 도면과 동일하게 제작되었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확인은 공시

체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시 공시체 압축강도는 표 4와 같다. 실험 결과는 표 5

와 같으며, 각 실험체에 대해 시간에 따른 하중 가력곡선은 그림 7~10과 같다.

A-DHC는 앞서 말한 실험 초기의 4개 실험체들 중 하나로서, 안정화 공식을 만족시

키기 위하여 반복하중을 15회 가하였다. A-KU2는 장비오작동으로 인하여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또한 A-DU1과 A-DU2의 경우 장비 작동문제로 인하여 반복하중을

가하지 못하고 한 번에 파괴까지 가력되었다.

파괴강도 결과에서 B-KU1과 B-KH1의 성능이 B-KB와 유사하거나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콘크리트 강도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Set B 중 이 두 실

험체를 제외한 나머지 10개의 실험체들은 모두 같은 날에 실험하였다. 이 두 실험

체들는 다른 실험체들보다 하루 전날에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공시체의 강도가 평

균 22.1MPa로 다음 날 공시체 강도보다 2.2MPa 적게 나타내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정착구역의 성능에 크게 기여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B set의 경우 B-KH1을 제외한 모든 실험체는 3개의 강연선 공칭 인장강도 이상

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A set의 경우에는 모두 3개의 강연선 공칭 인장강도에

해당하는 파괴강도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B-KH1 역시 타 실험체에 비해서 하루 전에 실험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

도가 낮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파괴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힐릭스를 사용

하였을 경우 정착구역 보강 성능이 기본 보강 상세에 비해 21.4%, U자형 보강 상세

에 비해 7.4% 향상되었다. 슬래브 코너를 위한 단부보강용 힐릭스를 사용하였을 경

우에는 기본 보강 상세와 U자형 보강 상세에 비해 정착구역 보강 성능이 각각

25.4%, 12.0% 증가하였으며, 이는 일반 힐릭스 제품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효과적임

을 나타낸다. 힐릭스 및 단부보강용 힐릭스를 사용하였을 때, Set B에서는 기본 보

강 상세와 U자형 보강 상세에 비해 각각 14.0%, 8.3%씩 증가하였고, Set A에서는

각각 30.2%, 9.7%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콘크리트 강도가 작은 경우 기

존 방식들보다 힐릭스를 사용할 경우 정착구역 보강 성능이 더 크게 향상되는 것을

보여주며, 힐릭스가 안전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실험체 파괴시의 모습은 그림 11~14와 같으며, 전체적으로 균열이 정착구의 위

치로부터 부채꼴 모양으로 퍼졌다. 기본 보강의 경우 정착판의 위치부터 균열이 넓

게 퍼지는 포물선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U자형 철근 보강의 경우에는 정착판의 위

치부터 균열이 퍼지는 모습을 보이지만 기본 보강에서의 균열보다 수직으로 뻗으려

는 경향을 보였다. 힐릭스를 이용한 실험체에서는 정착구부터 힐릭스 보강위치까지

는 수직으로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힐릭스 보강 아랫부분은 부채꼴 형태로 퍼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나선형 보강이 콘크리트의 구속력을 크게 증가시켜 정착구부

터 힐릭스 위치까지의 부분을 일체화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힐릭스를 이용

할 경우 정착구역에서 기본 보강과 U자형 철근 보강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하중을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한다고 판단된다.

콘크리트의 강도와 보강 방법의 차이는 정착구역의 성능에 큰 변화를 주었지만,

정착구의 종류에 따라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Set B를 제외한 실험체의 경우 3개의 강연선 공칭인장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는 발

현이 되지 않았지만 이는 부분모형 실험임을 감안할 때 실제 슬래브에서 압축파괴

가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긴장력은 강연선 공칭인장강도의 80%

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긴장 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반드시 24MPa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나, 24MPa 이상일 때 긴장

하는 것을 안전 측면에서 추천한다.

평균 1 2 3 4 5 6

Set A 14.7 15.4 15.33 14.6 13.4 15.2 14.4

Set B 24.3 25.3 22.1 25.6 ․ ․ ․Set B* 22.1 21.0 20.9 24.3 ․ ․ ․

표 4. 공시체 강도(단위:MPa)

* 22.1MPa 강도일 때 실험(나머지 Set B 실험체보다 하루 전에 실험)

실험체명 파괴강도(kN)3개의 강연선 공칭인장강도

(Fu=782.1kN)에 대한 비율(%)

A-DB 463.08 59.2

A-DU1 610.98 78.1

A-DU2 596.70 76.3

A-DH1 634.44 81.1

A-DH2 601.80 76.9

A-DHC 644.64 82.4

A-KB 503.88 64.4

A-KU1 544.68 69.6

A-KU2 N.A. N.A.

A-KH1 614.04 78.5

A-KH2 653.82 83.6

A-KHC 621.18 79.4

B-DB 832.32 106.4

B-DU1 891.48 114.0

B-DU2 861.90 110.2

B-DH1 852.72 109.0

B-DH2 942.48 120.5

B-DHC 1001.64 128.1

B-KB 782.34 100.0

B-KU1* 785.40* 100.4*

B-KU2 860.88 110.1

B-KH1* 752.76* 96.2*

B-KH2 902.70 115.4

B-KHC 929.22 118.8

표 5. 하중전달실험 결과

* 22.1MPa 강도일 때 실험(나머지 Set B 실험체보다 하루 전에 실험)

(a) A-DB (b) A-DU1

(c) A-DU2 (d) A-DH1

(e) A-DH2 (f) A-DHC

그림 7. Set A 중 D 정착구 실험체 결과

(a) A-KB (b) A-KU1

(c) A-KU2 (d) A-KH1

(e) A-KH2 (f) A-KHC

그림 8. Set A 중 K 정착구 실험체 결과

(a) B-DB (b) B-DU1

(c) B-DU2 (d) B-DH1

(e) B-DH2 (f) B-DHC

그림 9. Set B 중 D 정착구 실험체 결과

(a) B-KB (b) B-KU1

(c) B-KU2 (d) B-KH1

(e) B-KH2 (f) B-KHC

그림 10. Set B 중 K 정착구 실험체 결과

(a) A-DB (b) A-DU1

(c) A-DU2 (d) A-DH1

(e) A-DH2 (f) A-DHC

그림 11. Set A 중 D 정착구 실험체 파괴 모습

(a) A-KB (b) A-KU1

(c) A-KU2 (d) A-KH1

(e) A-KH2 (f) A-KHC

그림 12. Set A 중 K 정착구 실험체 파괴 모습

(a) B-DB (b) B-DU1

(c) B-DU2 (d) B-DH1

(e) B-DH2 (f) B-DHC

그림 13. Set B 중 D 정착구 실험체 파괴 모습

(a) B-KB (b) B-KU1

(c) B-KU2 (d) B-KH1

(e) B-KH2 (f) B-KHC

그림 14. Set A 중 K 정착구 실험체 파괴 모습

6.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힐릭스의 정착구역 보강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고, 3개의

강연선 공칭인장강도 이상에 해당하는 압축강도를 지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하중

전달실험을 통해 콘크리트 강도, 정착구의 종류와 보강철근의 종류 및 배치에 따른

성능 변화를 확인하였다. 3개의 15.2mm 강연선에 대한 정착구를 배치할 때 수평근

2개만을 배근하였을 때는 안전율이 적었으나, U자형 보강상세나 힐릭스 보강상세를

사용하였을 때는 안전율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힐릭스 보강상세의 경우 일반 U자

형 보강상세에 비해 압축강도가 7.4% 크게 나타났으며, 슬래브 코너까지 연장된 단

부보강용 힐릭스 상세를 사용하였을 경우 일반 U자형 보강상세에 비해 압축강도가

12.0%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힐릭스 제품이 실제 PT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슬래브 코너는 취약한 구역임에도 무보

강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슬래브 코너를 보강하기 위해 개량된 단

부보강용 힐릭스 제품의 사용이 권장된다.

시공성 측면에서는 실험체 제작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나선형

의 힐릭스는 PT공법에서 정착구역의 보강 목적의 일체형 제품으로, 기존 보강 방식

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 작업을 해야 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공장에서 단일 제품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철근 가공, 체어 설치, 철근 조립 등

에서 발생하는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시공비 절감 측면에서도 경쟁력

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해설,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

2) 한국콘크리트학회, 건축 포스트텐션 시스템, 콘크리트 실무매뉴얼, 기문당, 2013.

3) 조아서, 조영욱, 전병갑, 강현구, “비부착 강연선에 대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및 성능 시험”,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27, No. 1, 2015, pp. 11∼20.

4) PTI, Post-Tensioning Manual - Sixth Edition, Post-Tensioning Institue, USA,

2006.

5) ACI Committee 423, Recommendations for Concrete Members Prestressed

with Unbonded Tendons (ACI 423.3R-05), American Concrete Institute, USA,

2005.

6) Joint ACI-ASCE Committee 423, Specification for Unbonded Single-Strand

Tendons (ACI 423.6-01) and Commentary (ACI 423.6R-0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USA, 2001.

7) EOTA, Guideline for European Technical Approval of Post-Tensioning Kits for

Prestressing of Structures (ETAG 013), European Organisation for Technical

Approvals, Belgium, 2002.

부록 - 하중전달시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