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발발발 : 발 발 발 발 : 2006-30282 발발발 : 2006. 11. 16

TURNOVER

Embed Size (px)

DESCRIPTION

TURNOVER. 발표자 : 양 안 나 학 번 : 2006-30282 발표일 : 2006. 11. 16. Ⅱ. 이론적 기초 이직의 변인 관련 변인과 이직의 통합모델 이직 측정 국내외 연구동향 및 연구사례 . 실천사례 연구결과를 통한 이직 감소 방안 이직 감소 실천사례. 목 차. 나는 언제 회사를 떠나버리고만 싶은가 ?. Ⅱ. 이론적 기초 - 이직의 변인.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TURNOVER

발표자 : 양 안 나

학 번 : 2006-30282

발표일 : 2006. 11. 16

Page 2: TURNOVER

Ⅱ. 이론적 기초

이직의 변인 관련 변인과 이직의 통합모델 이직 측정 국내외 연구동향 및 연구사례

Ⅲ. 실천사례

연구결과를 통한 이직 감소 방안 이직 감소 실천사례

목 차

Page 3: TURNOVER

나는 언제 회사를 떠나버리고만 싶은가 ?

있다

없다

Page 4: TURNOVER

Ⅱ. 이론적 기초 - 이직의 변인

인구통계학적 개인특성

직무만족

직무내용 및 직무수행특성

조직과 작업환경

외부환경

이직인지

기타 이직행위

(1) Meta-analysis by Peter W. Hom & Rodger W. Griffeth(1995)

개인특성 변인

직무 관련 변인

조직 관련 변인

이동용이성 변인

Page 5: TURNOVER

이직의 변인 - 개인특성변인

인구통계학적 개인특성

이직 예측 변인 샘플 수 근로자 수 Mean r

인지능력 2 1,879 -.09

학력 29 8,915 .07

훈련 4 3,394 -.08

결혼여부 23 7,599 .01

부양의무 ( 자녀수 , 자녀나이 , 결혼상태 등 ) 9 5,354 -.10

친척 2 440 .22

자녀 4 727 -.14

입사지원서 6 1,329 .33

나이 29 12,356 -.12

성 15 6,748 -.07

재직기간 36 12,106 -.17

Mean r : 측정에러 조정한 후의 평균 상관관계 값

그 외 변수 - 고용형태 , 감정 , 동기부여 , 건강 , 개인의 재정상태 , 비업무적요소 (휴가 , 비업무적활동 , 배우자취업상태 )

Page 6: TURNOVER

이직의 변인 - 직무관련 변인

이직 예측 변인 샘플 수 근로자 수 Mean r

직무영역 7 1,604 -.13

반복업무 6 3,707 .09

작업만족 25 7,632 -.19

직무스트레스 5 779 .19

내적 동기 2 1,681 -.13

직무 참여도 8 2,816 -.17

직업의식 4 3,390 -.02

관리자 성향 2 753 -.15

직무만족

이직 예측 변인 샘플 수 근로자 수 Mean r

직무만족 78 27,543 -.19

기대충족 8 1,435 -.13

직무내용 및 직무수행특성

그 외 변수 :-자율 -감정적 피로 -직무태도 (직무만족 ,조직몰입 ,

직무몰입 )

Grieffeth et al.(2000)

“ 가장 대표적인 선행변수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

Page 7: TURNOVER

이직의 변인 - 조직관련 변인

변인 영역 이직 예측 변인 샘플 수 근로자 수 Mean r

조직과 작업환경

보상 7 3,763 -.06

급여만족 16 4,094 -.04

분배 정당성 / 급여형평성 9 4,110 -.07

리더십 또는 감독

참여 5 1,584 -.08

리더 - 멤머간교환관계 3 161 -.23

감독지 만족 14 3,002 -.10

리더 의사소통 8 5,185 -.11

동료 그룹 관계

결속력 3 412 -.14

통합 4 3,394 -.10

동료자와의 만족감 11 1,313 -.10

역할 상태

역할 명료성 3 391 -.24

역할 과부하 3 2,627 .11

역할 갈등 2 244 .16

기업 풍토집중화 4 2,506 .09

지원 2 256 .02

승진의 기회

승진 24 8,999 -.15

숭진 만족 13 3,276 -.14

숭진의 기회 8 4,878 -.10

실제 승진 3 845 -.45

실제 승진 (without outlier) 2 657 -.35

조직과 작업환경

그 외 변수 :- 상급자 지원 - 동료지원 - 업무 위험도

Page 8: TURNOVER

이직의 변인 - 이동용이성 변인

외부환경 이직 예측 변인 샘플 수 근로자 수 Mean r

이직경향 및 실현가능성 27 10,447 .11

현재직업과 대안비교 7 1,635 .26

탐색의도 24 6,601 .27

이직의도 70 78,078 .35

이직에 대한 고려 17 5,007 .27

이직인지 4 486 .30

다른 대안을 찾을 가능성 17 5,007 .14

대안 기대효용성 4 2,276 -.01

현재 직업에 대한 기대효용성 4 2,276 .25

탐색에 대한 기대효용성 6 1,175 .22

이직에 대한 기대효용성 7 1,349 .25

조직몰입 36 13,085 -.18

지각 2 413 .15

결근 28 4,371 .33

업무수행 56 15,318 -.19

이직인지

기타이직행위

그 외 변수 – 업무기회 , 이동용이성 (직무대안의 수와 유형 , 직업탐색행위 ), 성과

Page 9: TURNOVER

(2) 최근 논의

이직의 변인

Mitchell 등 (2001) 직무배태 (job embeddedness) 로 이직을 설명하려 함

- 연결 (link) : 공식 , 비공식 연결이 많아질수록 덜 이직

- 부합 (fit) : 개인과 조직 , 직무 , 상사간에 부합이 이직에 영향

- 희생 (sacrifice) : 일을 그만둠으로써 생기는 물질적 , 심리적 혜택을 희생

David G. Allen ; 업무위험도 , 성격 , 이직의도 - 행동

Robert P. Steel ; 노동시장과 이직결정

Meni Koslowsky and MeyravMarom ; 스트레스와 이직

Carl P. Maertz, Jr. ; 성격 , 조직문화 , 조직의 성과 , 직업에 대한 애정 , 지역에 대한 애정

출처 : Peter W. Hom & Rodger W. Griffeth(2001). Innovative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on Employee Turnover.

Page 10: TURNOVER

관련변인과 이직의 통합모델

조직몰입

이직인지이직에

대한 기대효용성

직무만족

이 직

< 몰입 영향 변인 >

• 절차적 정당성• 내적 역할에 대한 기대효용성• 고용안정• 직무투자• 조직을 넘어선 충성심• 직무와 개인적인 일간의 갈등• 직업선택의 환경• 몰입경향

< 만족 영향 변인 >• 직무영역• 역할 스트레스• 그룹 결속력• 보상• 기대충족• 부정적 감정

< 노동시장 >• 실업률• 결정화• 정보접근성• 이직비용

직업탐색

대안비교

by Peter W. Hom & Rodger W. Griffeth(1994), Meta-analysis

Page 11: TURNOVER

이직 측정

이직 인지 (Turnover Cognition)

Mobley(1977) 불만족을 실제 이직으로 만드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이직인지를 제안

대부분의 연구에서 , 이직인지를 직간접적으로 다른 모든 변인을 매개하는 이직의 직접적인 선행자로 보고 있음

이직인지 : 개인의 일에 대한 태도와 행동 간의 심리적인 의사결정자

Sager 등 (1998) 은 이직인지를 세가지로 보았음 첫째 , 이직을 생각함 (thinking of quitting) 둘째 , 직무탐색의도 (intention to search) 셋째 , 이직의도 (intention quit)

“ 나는 언젠가는 이 회사를 그만둘 생각이야”

“ 나는 다른 일을 찾으려 해”

“ 나는 이 조직을 떠나려 해”

Page 12: TURNOVER

이직 측정

이직인지와 이직간의 모델 (Sager 등 , 1998)

Mobley model(1977) TQ IS IQ TO

Upper circuit model(Arnold & Feldman, 1982) TQ IQ TO IS Lower circuit model(Griffeth & Hom, 1993) TQ IQ TO

IS Reversed Mobley model(Hom,Griffeth & Sellato, 1984) TQ IQ IS TO

TQ - thinking of quitting IS - intention to search IQ - intention quitTO - turnover

Page 13: TURNOVER

이직 측정 검사도구

개발자 이직인지 측정 문항

Michael & Spector(1982)

TQ IQ

나는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 나는 직장을 옮기는 것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 실제로 나는 회사를 옮길 계획을 세우고 있다 .

Landau & Hammer(1986), Wayne et al.(1997)

IQTQ

더 나은 직장을 찾는다면 나는 현 조직을 떠날 의향이 있다 . 나는 내 일을 그만두는 것에 대하여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 . 나는 이 조직에서 계속해서 일할 작정이다 .

Landau & Hammer(198

6),Cohen(1999

)

IS(IQ)

나는 다른 조직에 대한 취업기회정보를 들으면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 나는 적절한 대안이 있더라도 다른 직장에서 일을 할 의향이 없다 .

Chen & Francesco(2000)

IQ

나는 내년에 이 회사를 떠나 다른 회사에서 일 할 수도 있다 . 나는 나의 경력개발을 위해 오랫동안 이 회사에 재직할 계획이다 . 내가 이 회사에 계속 재직한다면 내 미래는 밝지 못할 것이다 .

Page 14: TURNOVER

이직 측정

Hoppock’s Job Satisfaction Questions 중 이직의도 측정문항

* Of the following statements, check the ONE that best tells how you feel about changing your job.

1. I would quit this job at once if I could get anything else to do.2. I would take almost any other job in which I could earn as much as I am earning now.

3. I would like to change both my job and my occupation.

4. I would like to exchange my present job for another job in the same

line of work.

5. I am not eager to change my job, but I would do so if I could get

a better job.

6. I cannot think of any jobs for which I would exchange mine.

7. I would not exchange my job for any other.

검사도구

Page 15: TURNOVER

국내외 연구동향 및 연구사례 이직에 관한 연도별 국내학위논문 (1970-2006)

구분 1970-1979

1980-1989

1990-1999

2000-2006

석사 1 38 209 251 499

박사 0 0 15 28 43

전체 1 38 224 279 542

Page 16: TURNOVER

국내외 연구동향 및 연구사례 이직관련 국내박사학위논문의 연구유형별 분류 (1990-2006)

연구유형

독립변인 종속변인논문편수

이직과 다른

변인간 관계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직무만족 1 편

갈등관리방법 , 직무스트레스 , 절차공정과 상사의 신뢰 , 직무와 조직만족 , 인사제도 , 정책 , 개인과 환경의 상응 , 임파워먼트 , 직무착근도 , 임금만족도 , 직업정체성

이직 ( 이직의도 , 이직성향 ,

이직의사 )

직무만족 / 조직몰입 / 직무성과 /

조직후원인식 / 상사 - 부하교환관계 /

수행 + 이직의도

17 편

Page 17: TURNOVER

국내외 연구동향 및 연구사례 이직관련 국내박사학위논문의 연구유형별 분류 (1990-2006)

연구유형 변인 논문편수

변인간 관계 연구

성과 / 직무만족 / 직무스트레스 / 리더십모형 / 임파워먼트 /

조직몰입 / 조직내재화 / 사회적지원 / 의사소통관련요인 /

조직특성지각 /

직무특성과 이직 ( 이직의도 ) 간의 관계

15 편

이직 ( 이직의도 ) 영향변인

연구

이직의도 영향변인 ( 인과모형 , 결정요인 , 모형 )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변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결정요인

9 편

기 타 이직 관리방안 연구 1 편

병원종업원 , 선원 , 사회복지사 , 관광호텔종사원 , 유치원교사 , 연구인력 , 스포츠센터

Page 18: TURNOVER

국내외 연구동향 및 연구사례 이직관련 연구사례

- 최정호 [ 공군조종장교의 인지된 성과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 2004.

군조직내의 성과와 이직의도간의 관계구명이 목적 .

성과 -이직간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보상만족과

사회적 교환관계 (조직적지원 , 상사 -부하관계 )를 설정 .

연구결과 ,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성과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졌다 .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성과와 이직의도와의 부 (-) 관계는 보상만족이 높을수록

강해졌고 , 상사 -부하간의 관계가 높을수록 강해졌다 . 조직적지원변인은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독립변인의 역할을 하였다 .

Page 19: TURNOVER

Ⅲ. 실천사례 – 연구결과를 통한 이직 감소 방안

(1)

실험 , 준실험 연구 결과를 통한 이직 통제 방안

RJP(Realistic Job Preview) : 일 , 조직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 유도 직무확충 (Job Enrichment) : 유능감 , 직무정체감 , 자율성 , 피드백 작업장 개선 : 작업장의 특성 → 소음 , 사생활침해 , 산만함 → 과도한 자극 → 상사 - 부하 교환관계 불만족 ( 이직 ) 선발단계 : 입사지원서 , 성격테스트

상관관계연구를 통한 이직 통제 방안

경쟁력있는 보상 다양한 급여지급 방법 – 성과급 , 임시급 , 그룹인센티브 , 스톡옵션 , 부가급여 직무평가 인터뷰 활용 관리자급의 선별 – 불공정 , 성추행 방지 여성 - 미취학아동을 위한 휴가 , 탁아시설 유연한 근무시간

출처 : Peter W. Hom, Rodger W. Griffeth (1995). Employee Turnover. 193-255.

Page 20: TURNOVER

Ⅲ. 실천사례 – 연구결과를 통한 이직 감소 방안

(1)

실험 , 준실험 연구 결과를 통한 이직 통제 방안

상사 - 부하 교환관계 (Leader-Member Exchange ; LMX)

- 상사는 구성원들과 개별적인 관계를 맺고 구성원 역시 자신의 상사에 대해

서로 다르게 행동한다 .

- 어떤 구성원에게는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집중하는 반면 어떤 구성원에게는

그렇지 않다 .

- 높은 수준의 상사 - 부하 교환관계는 조직시민행동유발 , 높은 성과에 영향

- 내집단 : 친밀한 관계 . 동업자와 같은 신뢰 , 존경과 좋아함 , 공동운명의식

→ 계약 외적인 행동교환 발생 → 서로 큰 영향 주고 받게 됨 .

- 외집단 : 리더는 감독자 행동 , 일방적이고 하향적인 영향력 행사 , 공식적

역할범위내 관계 유지 , 상호 운명적 결속력 희박 ( 백기복 , 2002)

- 초기에 형성된 관계도 노력여하에 따라 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 .

- LMX의 질을 높이는 훈련 프로그램 ; 강의 , 토론 , 역할게임

Page 21: TURNOVER

연구결과를 통한 이직 감소 방안 합리적 보상을 위한 규칙

공정성의 규칙 기본 급여 책정 규칙 급여 인상

일관성 모든 직무에 대한 직무평가 모든 직원에게 업무수행표준적용

선입견 배제 보호책 마련 – 주로 여성이 일하는 직무에 대한 축소평가 우려

성취등급은 개인적 선입견으로부터 자유롭게

정확성 정확하고 최신의 기술서에 기초한 직무평가행동에 따라 업무수행등급을

문서화

정정가능성근로자에게 직무감사를 받을 기회를 부여

( 임금책정수준에 문제가 있다면 )업무수행등급에 대한 동의할

기회 부여

대표성 직무평가위원회는 모든 기능적 영역의 대표자를 포함하여 구성

다면적측정평가는 이해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사용

윤리성 공정한 임금격차의 목적에 준하여 책정 개인의 업무수행등급은 비밀보장

Page 22: TURNOVER

연구결과를 통한 이직 감소 방안 보상관행과 이직률

(P.W.Hom(1992), Turnover costs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보상 관례 이직과의 상관관계 보상 관례 이직과의

상관관계

Pay Mix -.40 Executive Perks -.20

Pay Incentive -.60 Market Competitiveness -.24

Risk-sharing -.35 Participative Design -.29

Internal Pay Equity -.08 Job-Based Pay -.25

Pay Secrecy .14 Long-Term Orientation .09

Performance-Based Rewards

-.33 Frequency of Reward .10

Pay Centralization -.21 Bureaucratic Pay Policies -.18

Intrinsic Rewards .16 - -

Page 23: TURNOVER

이직 감소 실천사례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 듀퐁

EAP 란 ? 직원들이 개인적인 문제로 도움이 필요할 때 회사가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여 직원 스스로가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대 상 : 직원 및 직원의 배우자

상담내용 : 개인적 문제 , 조직 내 문제 , 결혼생활 , 스트레스 , 부모 ·자녀문제 ,

정서적 불안 등

상담방법 : 매주 목요일 , 오후 1 시 -5 시 ,

상담장소 : 회사상담실 ( 개인사정에 따라 근무시간 외 제 3의 장소 가능 )

회사의 지원 : 상담에 관련된 모든 비용 지원

기밀유지

상담예약 : EAP컨설턴트에게 e-mail, 전화

EAP 공개강좌 : 리더를 위한 상담기법 웍샵 등

Page 24: TURNOVER

이직 감소 실천사례

대 상 : 직원 및 직원의 배우자

상 담 자 : 상담학 교수

상담내용 : 개인 / 조직 내 인간관계 , 가정과 결혼생활의 갈등 , 스트레스 및 정서불안

음주 , 약물 , 흡연 등

상담방법 : 개인당 최대 8회 , 1 회당 1 시간내외 매주 월요일 , 오후 1 시 -4 시

상담장소 : 회사인근 호텔 비즈니스 센터

EAP 위원회 : 구성 - 사원 중 8명을 선정

역할 – EAP 상담체험 , 동료에게 권유 , 개선안 제안

기밀유지

상담예약 : EAP컨설턴트에게 e-mail, 전화

EAP 관련 교육실시 : 스트레스 매니지먼트 , 남녀의 차이이해 , 일과 생활의 균형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 유한킴벌리

Page 25: TURNOVER

이직에 관한 향후 연구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