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WHO 치매계획지침서 경사원 정책연구자료 2019-1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WHO 치매계획지침서

경사원 정책연구자료 2019-1

Page 2: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

Towards a dementia plan: a WHO guideISBN 978-92-4-151413-2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Some rights reserved.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0 IGO licence (CC BY-NC-SA 3.0 IGO;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igo). Under the terms of this licence, you may copy, redistribute and adapt the work for non-commercial purposes, provi-ded the work is appropriately cited, as indicated below. In any use of this work, there should be no suggestion that WHO endorses any specific organization, products or services. The use of the WHO logo is not permitted. If you adapt the work, then you must license your work under the same or equivalent Creative Commons licence. If you cre-ate a translation of this work, you should add the following disclaimer along with the suggested citation: “This transla-tion was not crea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r accuracy of this translation. The original English edition shall be the binding and authentic edition”.Any mediation relating to disputes arising under the licence shall b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mediation rules of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Suggested citation. Towards a dementia plan: a WHO guid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Licence: CC BY-NC-SA 3.0 IGO.Cataloguing-in-Publication (CIP) data. CIP data are available at http://apps.who.int/iris.Sales, rights and licensing. To purchase WHO publications, see http://apps.who.int/bookorders. To submit requests for commercial use and queries on rights and licensing, see http://www.who.int/about/licensing.Third-party materials. If you wish to reuse material from this work that is attributed to a third party, such as tables, figures or images, it is your responsibility to determine whether permission is needed for that reuse and to obtain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The risk of claims resulting from infringement of any third-party-owned component in the work rests solely with the user.General disclaimers. The designations employed and th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in this publication do not imply the expression of any opinion whatsoever on the part of WHO concerning the legal status of any country, territory, city or area or of its authorities, or concerning the delimitation of its frontiers or boundaries. Dotted and dashed lines on maps represent approximate border lines for which there may not yet be full agreement.

The mention of specific companies or of certain manufacturers’ products does not imply that they are endorsed or recommended by WHO in preference to others of a similar nature that are not mentioned. Errors and omissions excepted, the names of proprietary products are distinguished by initial capital letters.

All reasonable precautions have been taken by WHO to verif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Howe-ver, the published material is being distributed without warranty of any kind, either expressed or implied. The responsibility for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the material lies with the reader. In no event shall WHO be liable for damages arising from its use.

Layout by blossoming.itPrinted in France.

Page 3: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54

축 사발간사

여러분 반갑습니다. 경남도지사 김경수입니다.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의 정책연구자료 1호인 WHO의 치매계획지침서 번역·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지난 6월 19일

개원하여 2개월이란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애를 써주셨습니다. 이성기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장님과 관계자 여러분께 감

사드립니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어르신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앞으로 고령화 속도

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어르신 인구가 늘어나면서 가장 안타까운 부분 중의 하나가 치매입니다.

치매로 인한 고통과 부담을 개인과 가족이 전부 떠안아야 했기 때문에 많은 가정이 무너지기도 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열심히 살아오셨던 어르신들의 복지 수준은 높이고, 가족의 부담은 줄이는 치매국가책임제」 를

도입하였습니다.

경남도에서도 경남형 치매관리 를 도정의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치매예방․ 검진 및 1:1 맞춤형 상담 관리서비스 제」공과 시군 20개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치매안심센터․ 치매 안심마을

사업, 공립요양병원의 전문병동 확충과 치매안심병원 지정 등 다각적인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책임강화는 물론, 보호자 가족 요양기관 등이 함께하는 민관 파트너십도 더욱 중요해 졌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WHO의 치매계획지침서는 관련 전문가를 비롯하여 경남도, 중앙정부, 그리고 관계 기관이 치매계획을 연구하고 수립

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앞으로도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이 도민 복지 증진을 위해 다양한 연구와 정책 제」안을 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다

시 한 번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19년 8월 26일

경상남도 지사 김 경 수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전 세계 국가의 치매계획 수립를 위한 「치매계획지침서」를 발간하

였습니다. 이 지침서는 전 세계의 치매환자가 5천만명을 넘고 있는 시점에서, 환자와 가족 그리고 사회의 심리적·경제」

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역사회와 국가가 준비해야 할 것들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치매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국정과제」로 「치매국가책임제」」를 선포하였

습니다.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국에 치매안심센터․ 252개소를 설치하여, 맞춤형 상담과 검진 등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남에서도 이러한 정부의 시책에 맞추어 「경남형 치매책임관리제」」를 도정과제」로

천명하고, 「치매관리 4개년계획」을 수립하여 치매유병율을 10% 이내로 관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WHO의 치매계획지침서는 치매국가책임제」와 경남형 치매책임관리제」의 계획을 세우고 집행해 나가

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특히 지침서는 치매계획을 준비, 수립, 실행의 3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실

천적인 팁과 이론적 내용, 그리고 국가별 사례까지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록에서는 치매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

을 위한 체크리스트까지 제」시하여, 현장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WHO의 치매계획지침서의 한글판을 발간하면서 먼저 이러한 유용한 지침서의 한글판 번역을 허락해 주신 WHO 관

계자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지난 6월 19일 개원한 「경상남도 사회서비스원」이 개원 2개월도 지나지 않은 시

점에서 WHO의 치매계획지침서를 번역·출간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이 업무를 맡아주신 경상남도 사회서비스

원 연구팀의 여진주 박사의 노고에 감사를 드립니다.

WHO의 치매계획지침서가 대한민국과 경남의 치매관리에 유용한 지침서로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2019년 8월 26일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 원장 이 성 기

Page 4: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76

발간사 4

축사 5

감사의 글 7

약어 풀이 9

개요 10

1. 도입 12

각국의 치매 현황 12

치매에 대한 국제」적 대응 13

2. 치매 계획의 필요성 15

치매 계획의 정의 15

독립형 계획과 통합형 계획 15

3. 지침서의 개관 18

목적과 접근 방․법 18

표적 대상 19

4. 치매 계획: 주요 요소들 21

리더십, 거버넌스, 다 영역 간 협력 21

다 영역 간 협력 22

5. 치매 계획: 필수 단계 25

A : 치매 계획 준비 26

A. 1단계: 상황 사정 26

A. 2단계: 우선순위 선정 31

B : 치매 계획 수립 34

B. 1단계: 전략적 프레임워크 수립 34

B. 2단계: 자원 파악 45

B. 3단계: 이해관계자 및 정치적 승인 획득 46

C : 치매 계획 실행 48

C. 1단계: 운영 작업 계획 수립 48

C. 2단계: 예산 배분 50

C. 3단계: 모니터․링 및 평가 51

맺음말 54

용어집 55

부록 63

부록 1: 치매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63

부록 2: 이해관계자 도표 도구 67

부록 3: 범위와 우선순위설정 도구 69

부록 4: 상황분석과 GDO지표의 일치 73

부록 5: 치매운영작업계획의 예 74

부록 6: M&E 논리모델 예시 75

목 차 감사의 글

비전 및 개념화: 치매 계획을 위한 본 지침서는 WHO 정신 건강 및 물질 남용 부서의 Shekhar Saxena와 Tarun Dua가

지침서 전반에 걸쳐 가이드와 개념 정립을 담당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코디네이션 및 편집: 본 지침서의 편집 등 코디네이터․를 담당한 팀은 Stefanie Freel, Katrin Seeher, Neerja

Chowdhary, Saskia Sivananthan ,Anne Margriet Pot입니다.

기술 공헌과 리뷰: WHO 본부와 각 지사의 기술 스태프들, 그리고 많은 국제」 치매 전문가들이 다양한 지원을 해주셨습니

다. 이 지원들은 본 지침서의 발간에 큰 힘이 되었습니다.

WHO 본부, 각 지사 담당자: Zohra Abaakouk, Sharad Prasad Adhikary, Nazneen Anwar, Rodrigo Cataldi, Dan

Chisholm, Duniesky Cintra, Meredith Fendt-Newlin, Alexandra Fleischmann, Devora Kestel, Sebastiana Da

Gama Nkomo, Vivian Perez, Khalid Saeed, Martin Vandendyck, Mark van Ommeren.

국제」 치매 전문가들: WHO는 본 지침서의 발간에 전문가적 의견과 기술적 지원을 주신 아래의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다음의 기술 미팅에서 의견을 주셨습니다: PAHO regional workshop on implementation of global and

regional action plans on dementia (18–19 October 2017), Jakarta workshop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dementia action plan (6–7 November 2017) and Geneva meet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11–12 December 2017).

Sinva Abdul Latheef, Wendel Abel, Herta Adam, Raeed Duraib Hassen Al-Fadhli, Hanadi Al Hamad, Emiliano

Albanese, Nader Asmady, Ahmed Hamed Saif Al-Wahaibi, Zakia Ali Saif Al-Wahaibi, Kaarin Anstey, Sube

Banerjee, Paola Barbarino, Matthew Baumgart, Emer Begley, Tri Budi, Mani Chandran, Chin Mei Chen,

Ya Chuan Chou, Sita Cundamani, Siska Danny, Shelly Ann de la Vega, Teresa di Fiandra, Simon Dowlman,

Nnenna Ezeigwe, Fidiansjah, Simon Fisher, Kiran Balchandra Gaikwad, Ahmed Gasim, Franca Gatto, Jean

Georges, Francisco Golcher Valverde, Alla Guekht, Maelenn Guerchet, Mohamed Habeeb, Noor Hafizan,

Sophia Hage, Catherine Hall, Maria Heiligenbrunner, Adelina Comas Herera, Madeleine Heyward, Tzu Fen

Huang, Datuk Jefrey, Yves Joanette, Simon Kahonge, Albert Kern, Miia Kivipelto, Doreen Klepzig, Elizabeth

Koroivuki, Nora Kronig Romero, Jenni Kulmala, Kusmedi, Aimee Lee, Ya Lin Lee, Antonio Leuschner, Amy

Little, Chris Lynch, Brigitta Martensson, Carmen Rosa Martinez Fernandez, Adrian Martina Ruiz, Georgios

Mikellides, Beverley Mirando, Sri Moertiningsih Adioetomo, Violet Mwanjali, Joyce Nalugya Sserunjogi, Oma

Nand, Tuan Anh Nguyen, David Nutall, Pia Oetiker, Hidetaka Oota, Corinne Pasquay, Meera Pattabiraman,

Catherine Pelletier, Vanessa Peperdy, Thongtana Permbotasi, Silvia Perel-Levin, Roshan Pokharel, Hasna

Pradityas, Nuria Prieto, Martin Prince, Glenn Rees, Patricia Minerva Reyna Liberato, Edduwar Riyadi, Helen

Rochford-Brenan, Martin Rossor, Eva Sabdono, Mariam Saeed, Sakurayuki, Soraya Salim, Martina Schwab,

Siti Setiati, Karen Sharmini Sandanasamy, Mitsuko Shino, Svetlana Shport, Zhang Shubin, Dunanty Sianipar,

James Smith, Heather Snyder, Heriawan Soejono, Tania Sonthiraksa, Ameenah Bibi Mia Sorefan, Dy Suharya,

Rashed Suhrawardy, Tuti Sunardi, Elina Suzuki, Kate Swaffer, Evi Christine Tambunan, Li Yu Tang, Yuda

Taruna, Maryam Masyitah Ahmad Termi, Shyh Poh Teo, Win Min Thit, Eka Viora, Armin von Gunten, George

Vradenburg, Huali Wang, Peter Watt, Douladel Willie-Tyndale, Valentino Wichman, Natalia Widiasih, Shehan

Williams, Anders Wimo, Francis Wong, Marc Wortmann and Lorraine Yu.

Page 5: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98

약어 풀이

DALY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장애적응 생활기간

CRP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 with Disabilities(United Nations): 장애인권협약(UN)

GDO Global Dementia Observatory: 세계 치매 통제」 기구

HIS health information system: 건강정보체계

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a: 국제」 질병 분류

LMICs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중저소득 국가들

M&E monitoring and evaluation: 모니터․링과 평가

NaFAD National Framework for Action on Dementia 2015-2019: 국가치매대책 2015-2019

NCDs noncommunicable diseases: 비전염병

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비정부기구

PD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

PHC primary health care: 일차건강돌봄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UHC universal health coverage: 보편적 건강보호

UN United Nations: 국제」 연합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국제」보건기구

YL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질병보유기간

YLL years of life lost: 수명 손실 년수

또한 국가별 사례 연구를 준비해주신 다음 분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Maria Teresa Abusleme, Tanya Alimchandani, Joel Ankri, Gillian Barclay, Mofou Belo, David Berry, Michel

Clanet, Sushma Dahal, Mauricio Gomez, Jayne Goodrick, Riadh Gouider, Berit Kvalvaag Gronnestad, Helga

Katharina Haug, Yukinori Hayashi, Geoff Huggins, Anette-Jorve Ingjer, Shinya Ishii, Anjani Kumar Jha,

Bijay Jha, Ingunn Johannessen, Kristin Lokke, Corinne Pasquay, Chris Roberts, Rie Sato, Rona Tatler, Eliane

Vanhecke.

프로덕션 팀: 기술편집 : Vivien Stone, Etchingham, UK; graphic

디 자 인 : Edoardo Moltrasio, Blossoming, Italy.

마지막으로 dementia 2017-2025를 위해 공중보건 분야 글로벌 활동 계획이 실행되는데 도움을 주신 다음 국가와 기

관에도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European Commission; Federal Ministry of Health of Germany;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of Japan; Ministry of Health of the Netherlands; Federal Office of Public Health,

Switzerland; and Department of Health of the United Kingdom.

Page 6: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1110

개 요

현재 전 세계적으로 5천만의 인구가 치매를 앓고 있으며,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가족들은 심리적 부담뿐만 아니라 사

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환자, 보호자, 가족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즉 이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서비

스의 공평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스티그마와 사회적 고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목적으로 하는 포괄적이고 다

영역적(multisectoral)인 공공 정책 대응이 요구된다. 본 지침서는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차근차근 접근하면

서 WHO 회원국들이 이러한 대응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지침서는 총 5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섹션1에서는 치매의 글로벌 현황을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치매의 예상 발

병율과 비용, 그리고 이에 대한 국제」 사회의 대응 등이 포함 되어 있다. 섹션 2에서는 독립형 치매 계획과 통합형 치매

계획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치매계획’이란 용어를 정의 한다. 그리고 치매 정책의 개발을 위한 이론에 중점을 두었다. 섹

션 3은 본 지침서의 목적, 접근법 및 주요 표적 대상을 요약한다. 섹션 4 에서는 정치적 리더십, 거버넌스, 다 영역 간 협

력, 그리고 이해관계자 참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치매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모든 단계에

걸쳐 고려될 것이다. 섹션 5는 치매 계획을 수립하는 필수 과정을 아래의 3단계로 나누어 제」시한다.

● A 단계 : 치매 계획 준비

● B 단계 : 치매 계획 수립

● C 단계 : 치매 계획 실행

이 3단계에는 각각 실천적인 팁과 이론적 내용, 그리고 국가별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A단계는 상황 분석과 우선순위 식별이라는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황 분석은 치매 환자와 보호자, 가족 및 주요

이해 관계자들의 욕구와 건강 상태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전달의 격차와 기회, 기존 자원과 정책을 확인하는 중요한 첫 단

계이다. 상황 분석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여기에서는 어떤 이슈가 다른 이슈에 선행되어야 할지를 식별하

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증거 기반(evidence-based)을 통해 설정된 기준과 폭을 바탕으로 하며, 다양한 영역에 걸친 이

해 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B단계는 A단계에 근거하여 치매계획의 범위(scope)를 정한다. 우선 순위를 활용하여 치매 계획 수립을 위한 탄탄한

전략적 프레임 워크를 구성한다. B단계는 치매계획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 워크 수립, 관련 자원 결정, 그리고 이해 관

계자의 승인과 정치적 승인 획득이라는 3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이 단계에서는 각 나라 마다 독특한 정치적, 문화적, 사회 경제」적 맥락을 바탕으로 하여 치매 계획이 성취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략적 프레임 워크는 치매 계획의 이론적 근거에 중심을 두며 전

반적인 전략 방․향을 제」시한다. 이해관계자의 승인과 정치적인 승인은 계획이 실행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정부의 리더

십, 이해관계자의 오너십, 그리고 책임을 확실하게 하기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B단계에서 결정된 목적, 활동 영역 및 자원을 바탕으로 C단계는 치매 계획의 운영을 위한 기초가 된다. c단계는 실무

계획 수립, 예산 배정, 모니터․링 및 평가라는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실행 업무 계획에는 개입 전략의 우선순

위와 목적, 필요한 자원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해관계자의 분야별 역할과 업무도 명시되어 있다. 예산 배정에는 필요

한 자금과 배정된 자금을 분야별로 비교 분석한 내용이 포함된다. 모니터․링 및 평가는 치매 계획이 환자, 보호자, 그리

고 가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계획 본래의 목적에 맞게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지침서의 마지막 부분에는 용어집이나 별첨 등 일련의 참고자료가 포함되어있다. 치매 인구의 욕구에 맞는 포괄적

이고 다 영역적인 치매 계획을 마련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영역에 걸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역량이 필요하

다. 성공적인 치매 계획을 위해서는 특별히 환자나 보호자 그리고 가족뿐만 아니라 전과정에 걸쳐서 이해 관계자들과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된다.

Page 7: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1312

1. 도입

각국의 치매 현황

치매는 기억력, 인지 능력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손상 증후군(syndrome of cognitive impairment)이다. 이

는 일상의 활동 능력을 현저히 저해한다. 알츠하이머가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전체 치매 인구의 약 60-70%를 차

지한다(1). 연령이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노인들만 예외적으로 치매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연령의 증

가에 따라 치매가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가장 일반적인 위험 요인으로는 중년의 고혈압, 저학력, 당뇨병,

흡연 등이 있다 (1,2). 또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낮은 신체 활동, 비만, 균형 잡히지 않은 식단, 알코올의 유해한 사용,

중년의 우울증, 사회적 격리, 낮은 인지 활동 (1,2) 등이다.

매년 거의 990만명의 사람들에게서 치매가 발병하며, 그 중 63%는 저`중소득 국가(LMIC) (2,3)에 거주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치매 인구는 약 5천만명에 이르는데 2030년에는 8,200만 명, 2050년까지는 15,2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3,4). 치매는 70세 이상 고령의 장애 원인으로는 2번째, 그리고 사망 원인으로는 7번째로 위험도가 높은 요

인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8억 1800만 달러, 혹은 글로벌 GDP의 1.1%를 차지하는 경제」적 비용이 소모된

다(3,4). 따라서 치매 문제」는 사회 경제」 발전에 중대한 장벽이 될 수 있다(6).

공중 보건의 개선을 통한 대응책은 새로운 질병을 10~20% 감소시킬 수 있다 (2). 치매 환자는 보건 사회 영역에 걸

쳐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심리적, 사회적, 생물의학적으로 조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거 환경

정비는 치매 환자에게 일상생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치매 환자들에게는 특별한 운송수단이 필요하며, 진

단에서부터․ 사망시 까지 통합적인 돌봄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이 많이 있다. 세계적으로 치매

인구의 절반 이상이 진단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1/3이 부족한 병상으로 인해 병원에서 퇴원하고 있다. 또한 보호자는

정신 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경험할 확률이 20% 이상이다(7).

그러나 치매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많은 나라들에서 이러한 문제」들은 더 악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치매 인구

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적 체계는 사회적 서비스의 공평한 접근과 수혜를 보장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러한 격차들은

스티그마, 의사 결정권의 상실, 진단과 서비스의 장벽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환자, 보호자, 가족은 상당한 신체적, 심

리 사회적, 재정적 어려움에 노출되게 된다.

치매에 대한 국제적 대응

공중 보건을 통한 치매 대응 계획인 글로벌 활동 계획(Global action plan) 2017-2025이 2017년 5월 스위스 제」

네바에서 열린 제」 70 차 세계 보건 협의회(Seventieth World Health Assembly)에서 채택되었다. 글로벌 활동 계획

의 채택은 치매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가족의 삶의 질 개선에 대한 국제」 사회의 책임을 나타낸다. 이 계획은 세계보건

협의회World Health Assembly에서 채택한 다른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과 개념적인 면에서 또한 전략적인 면에서 밀

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돌봄 과정에서 다 영역 간 협력, 공평, 인권, 임파워먼트, 예방․ 및 서비스 통합에 초점을 둔

다.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은 Shanghai Declaration on Promoting Health in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3, 그리고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CRPD)`와

맥을 함께 한다.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은 7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그림 1.1 참조):

● 공중 보건 우선 순위인 치매

● 치매에 대한 인식과 이해

● 치매 위험 감소

● 치매 진단, 치료, 돌봄 및 지원

● 치매 보호자를 위한 지원

● 치매 정보 시스템

● 치매 연구 및 혁신

첫 번째 활동 영역 (공중 보건 우선순위로서의 치매)은 본 지침서의 초점이며, 치매에 대하여 범정부적이고, 다 영역적

이며, 여러 이해 관계자들을 통한 공중 보건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는 치매 환자와 보호자, 관련

이해 관계자들, 파트너의 친밀한 협력으로 발전된다.

Page 8: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1514

그림 1.1.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의 7대 활동영역 및 목표

공중 보건 우선순위인 치매

치매 진단, 치료 및 돌봄

치매 연구 및 혁신

치매에 대한 인식 및 이해

치매 보호자 지원

치매 위험 감소

치매 정보 시스템

2025년까지 75퍼센트의 국가가

치매에 대한 정책, 전략,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

2025년까지 적어도 50퍼센트의

국가에서 50퍼센트의 치매 환자들이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함.

2017년부터․ 2025년 까지 치매의

국제」 리서치 결과를 2배로 증가.

2025년까지 100퍼센트의 국가가

치매 인식 캠페인 실행.

2025년까지 50퍼센트의 국가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치매-친화적

사업을 시작.

2025년까지 75퍼센트의 국가에서

보호자와 가족을 위한 지원 및

교육훈련제」공.

비 전염 질병의 예방․ 및 통제」를 위한

글로벌 활동 계획 2013-2020(global

action plan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2013-2020)에 명시되어

있는 위험 감소 목표 달성.

2025년까지 50퍼센트의 국가가

정기적으로 치매 핵심 지표의

데이터․ 수집.

치매는 현재 치유가 불가능한 질병으로 분류된다. 치매에 대한 조사연구는 암이나 심혈관 질환처럼 유사한 다른 주요

질병에 비해 낮은 추세인데, 그래서 질병의 예방․과 관리가 어려운 편이다(8). 그러므로 치매 계획에서는 환자나 보호자,

가족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포커스를 두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치매 인구는 본래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를 인지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지방․,

중앙)와 공공분야의 모든 차원에서 조화된 노력이 요구된다. 치매 계획의 수립은 관련 이해 관계자, 특히 환자, 보호자,

가족과 긴밀히 협력하는 과정이다. 치매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공중 보건의 우선순위로서 치매를 정의하고 해결한다는

정치적 공약을 표시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파악하고, 서비스 전달을 합리화하며, 사용 가능한 자

원(8,9)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치매 계획의 정의

치매 계획은 사회 안에서 노인과 치매 환자의 가치를 고려한다(10, 11). 또한 보건과 사회영역(예를 들어 장기요양)의

긴밀한 통합을 통해 치매의 예방․, 치료,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비스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정책의 변화를 요구한다.

치매 계획은 정부와 비정부 파트너가 파트너십으로 함께 하는 활동에 기초가 되는 문서이다(9,10).

포괄적인 치매 계획은 미래적이고 전략적인 프레임 워크의 비젼을 보여준다. 그리고 활동에서 공동의 원칙과 목표 설

정에 중점을 둔다. 치매 계획은 활동영역을 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며, 책임과 메카니즘의 조화를 확인하고, 목표달성

을 위한 표적 자원을 선정한다(12). 더 나아가 치매 계획의 주요 요소로는 치매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 고취, 상호 이해

도모, 치매 인구의 욕구 해결, 환자의 부담 감소, 환자와 보호자, 가족의 인권 보호 등이 있다(9,13).

독립형 계획과 통합형 계획

독립형 계획은 주로 치매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는 정부가 치매를 우선적인 과제」로 강조하고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데 유용하다. 여기서는 기존의 정신 건강 정책, 돌봄 맞춤 모델, 프로그램과 서비스들을 치매 계획과 조율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독립형 치매 계획보다 통합형 계획을 선호한다. 이는 정신 건강, 노화, 장애, 비 전염성 질병들과 같

은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지방․정부)의 기존 계획이나 법령에 치매를 우선 포함 시키는 것이다 (NCD) (box 1 참

조). 치매를 기존 계획에 통합시키는 것은 비록 치매가 국책사업으로 분명히 선정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우선적인 현안

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치매에 대한 정치적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9). 또한 치매에 대한 대응이 보건 분야 전반에 걸

쳐 더욱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에 배정된 한정된 자원풀 내에서도 그 효과가 드러날 수 있다. 하지만 분열

가능성과 치매에 할당되는 가용 자원이 부족할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9).

2. 치매계획의 필요성

Page 9: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1716

다른 국가들은 포괄적이고 다 영역적인 대응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독립형 계획과 통합형 계획을 병용한다 (Box 1, 호

주, 칠레, 스위스). 치매를 직업 교육, 빈곤 감소 또는 지역 안전과 같은 비보건 분야 계획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치매는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SDGs, (UHC), 비 전염성 질병의 예방․과 컨트롤을

위한 WHO의 글로벌 활동 계획(Global action plan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2013-2020), CRPD, 세계 인권선언 등과 같이 국제」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발전 계획들에도 포함될 것이다.

토고 사례의 교훈: 부족한 자원 환경에서 치매를 우선 순위화 하기

토고의 거의 모든 가정에는 치매 증상을 보이는 노인들이 있다. 치매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환자들이 때로는 학

대를 받아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여러 지역사회에서 많은 그룹이 치매와 관련된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고 정부는 노령문제」 담당부처를 설립하고 통합형 치매 계획을 국가 NCD 계획에 우선

과제」로 포함 시키고 있다.

치매를 기존 계획에 통합시키는 것은 한정된 자원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원 효율적인 방․식이다. 담배세는 NCD 계획

의 실행을 위한 추가 자금으로 동원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정부는 치매를 우선 사항으로 보장하기 위해 독립형 치

매 계획 수립을 고려하고 있다. 의사 소통, 교육, 정책, 보건 분야 지역 자문위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치료사

나 지역 사회 리더들도 함께 하고 있다. 치매를 우선사업으로 선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이루어 진다.

Box 1. 통합형 계획: 국가별 사례

스위스

Stratégie nationale Prévention des maladies nontransmissibles (stratégie MNT) 2017-2024

Mentions dementia within the context of NCD costs.

요르단

National Mental Health and SubstanceUse Action Plan 2018-2021

Lists dementia as a priority condition.

칠레

Plan Nacional de Salud Mental (2000)

표적 인구, 관련 시설 및 인프라, 규정, 보건 서비스 유형,

보급률, 예상되는 연간 서비스 수요, 관련 활동 및 목표를

1차 진료소나 전문 세팅 모두에서 강조함

정신건강 및 정신 의학 네트워크, 인간 중심 돌봄, 보건

복지 영역의 협력, 돌봄에서 환자와 가족의 참여, 돌봄

각 단계의 활동 리스트 등의 중요성을 설명함.

호주

The guide: accessible mental health

serives for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2014)

지적 장애나 정신 건강, 혹은 개인적인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 집단에 치매 통합

Page 10: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1918

3. 지침서의 개관

본 지침서의 목적을 위해서 치매 정책, 전략, 계획 또는 프레임 워크라는 용어들은 동일한 의미로 서로 혼용되어 사용

될 수 있으며 “치매 계획”을 나타낸다. “치매 계획”이란 용어는 그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선택되었는데, 예외가 있지 않

는 한,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의 전략을 포함한다.

목적과 접근 방법

치매 계획을 위하여 라는 본 WHO 지침서는 회원국들이 치매 계획을 수립하고 조정할 때 기술적 지침을 제」공한다. 여

기에는 새롭게 독립적으로 치매 계획을 수립하거나, 기존의 치매 계획을 강화하거나, 혹은 기존의 치매 관련 계획에 치

매를 통합하는 방․법이 있다.

본 지침서는 치매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3단계로 구성한다: 계획 준비, 계획 수립, 계획 실행 단계이다. 첫 번째 단계

는 증거를 수집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두 번째 단계는 전략적 프레임 워크를 수립하고, 필요 자원

을 사정하며, 정치적 승인이나 이해 관계자의 승인을 얻도록 설명한다. 마지막 3단계는 치매 계획을 실행하고 평가하는

단계이다.

각 단계에는 다음 세션에서 논의되는 내용도 (그림 3.1 참조) 포함되어 있다. 실제」로는 각 단계 간 내용이 겹쳐서 한

내용이 다른 단계에서도 논의 될 수 있으며, 어떤 내용은 건너뛰거나 재논의 될 수도 있다. 치매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은 반복적이고 역동적이며 이해 관계자들 간의 계약 과정이고, 여러 분야 간 협력 과정이다.

본 지침서는 WHO의 세계 치매 통제」기구(Global Dementia Observatory, GDO)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침서에는 치매 계획의 준비, 수립, 적용을 위한 체크리스트, 이해 관계자 도표 작성, 우선순위 선정 도구 (부록 1-3 참

조)등의 관련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단일 방․향적 접근(one size fit all apporch)을 피하기 위해서 본 지침서는 총괄

적인 권고와 실천적 권고, 조언 등을 균형 있게 실었으며, 각 개별 국가들의 고유한 역학적, 사회경제」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였다.

표적대상

본 지침서는 건강, 사회 복지, 주택, 교육, 노동, 금융 등 치매 혹은 치매 관련 문제」와 연관된 정부 부처 담당자들을 대

상으로 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들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

● 보건, 치매, 정신 건강, 노령화, 장애, NCD 문제」 분야에서 일하는 비정부 기구 (NGO)

● 치매 연구, 대책 개발 및 평가와 관련된 학계

● 치매 보건 기술 개발, 치매 보건 돌봄 서비스 전달, 건강 보험과 관련된 민간 부분 대표자들

● 치매를 예방․하고 그 영향의 감소를 위한 활동을 지원하는 국제」기구(기금 에시전시, 상호 기부자,

또는 유엔 에이전시 등)

● 응급 서비스 종사자;

●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

● 지역의 전통적인 치료사, 지역 사회 지도자 및 지역 사회 단체 대표.

Page 11: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120

4. 치매 계획: 주요 요소들그림 3.1. 치매 계획 수립의 다 단계 접근

B단계:

치매계획 수립

C단계:

치매계획 실행

A단계:

치매계획 준비

상황

분석

우선순위 설정

운영 작업 계획 수립 전략적 프레임 워크 수립

예산 배분

이해

관계

자 및

정치

적 승

인 획

관련

자원

결정

모니

터링

및 평

STEP

C.1

STEP

C.2

STEP C.3 STEP A.1

STEP A.2

STEP B.1

STEP B.2STEP B.3

리더십, 거버넌스, 다 영역 간 협력

치매에 대한 포괄적인 대응 정책 수립에는 위 세 요소가 중심이 된다. 리더십은 치매 계획을 준비, 수립, 시행하는 과

정에서 정부의 지침과 감독이다. 거버넌스는 치매 계획의 수립과 운영을 감독하기 위한 형식적 또는 비형식적인 다 영

역 조정 기구이다. 다 영역 간 협력은 충당된 자원 내에서 치매 계획이 포괄적일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영역 간의 협력 약

속이다. 계획과정에서 책임(accountability), 매입(buy-in), 오너십(ownership)은 이 세 요소들에 있다.

리더십과 거버넌스

정부는 치매 계획을 조정하고 감독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다. 책임의 전가나 업무의 중복 (9,13,19-21)을 피하

기 위해 ‘리더’를 정하고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는 일을 일찍 하는 것이 좋다. 리더는 예를 들어 정신 보건, NCDs, 노령

화, 장애 또는 치매를 위해 부처 내 새로 설립된 기구처럼 기존 단위나 혹은 기능적 분류에 의해 구성된 단위가 될 수도

있다.

여러 분야들에 걸쳐 치매 계획 수립을 감독하고 관리하기 위해 포칼 포인트(forcal point)나 조정팀(coordinating

team), 혹은 사무국이 정해져야 한다. 포칼 포인트나 조정 팀은 리더내에, 혹은 다른 부처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포칼 포

인트나 조정 팀은 stepA.1의 상황 분석에서 확인된 주요 전문가, 파트너, 이해 관계자들의 참여를 관리한다. 또한 치매

계획의 핵심 사항들을 결정 할 다 영역 운영위원회, 매니지먼트 보드 또는 태스크 포스를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치

매 위험 감소나 정보 시스템처럼 특정 콘텐츠 이슈 해결에 중점을 둔 워킹 그룹이 소집될 수도 있다. 보건 분야 중심적

관점을 피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보건 분야 부처에 다양한 영역(교육, 주거, 정의, 환경, 사회 복지 등)의 대표들을

소집하여 국가위원회 또는 협의회를 설립하기도 한다.

리더십과 거버넌스 : 노르웨이의 교훈

Norwegian Directorate of Health, National Advisory Unit on Aging and Health, Health Association and

Ministry of Health and Care Service의 담당자들로 구성된 워킹 그룹이 치매계획의 준비와 수립을 주도했다 (치매 계

획 2020) (22). 워킹 그룹은 치매계획의 수립과 관련된 지침, 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 기간 동안 역할 분담과 책임을

명확히 했다. 이 과정에서 파트너 간의 업무 및 책임 분담이 합의되었다. 학계와 시민 사회 대표, 이용자 조직, 건강관리

전문가, 지역 보건 당국이 전 과정에 참여하며 기여 했다.

가장 큰 도전은 치매 계획 2020 준비 과정에 주어진 제」한된 시간이었다. 이 장벽을 극복하는 데 있어 보건 복지부의

강력한 정치적 리더십이 결정적이었다. 특히 환자, 보호자, 가족들 뿐만 아니라 학계와도 연결된 워킹 그룹의 네트워크

힘이 또 다른 중요한 성공 요인이었다. 또한 워킹 그룹 구성원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전문성은 전략적 프레임 워크, 컨설

턴트 자료 및 계획을 만드는데 결정적이었다.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면서 오너십을 갖고 헌신할 수 있었

으며, 치매 계획 2020에서 명확한 공동의 목표를 가질 수 있었다.

전 과정에 걸쳐 환자, 보호자, 가족과 관련된 부분이 강력히 강조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면담이 진행되었고, 치매와

인지기능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짧은 공식 협의서와 최종치매계획서(읽기 쉬운 형태)가 제」공되었다.

Page 12: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322

다 영역 간 협력

다 영역 간 협력은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고 파트너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 서로 분리 되어 있는 공공 영역

들, 파트너, 그리고 정부가 효과적으로 함께 참여할 것을 요구한다 (박스 2 참조) (20,23,24). 치매 문제」에서 포컬 포인

트 (조정 팀)는 다양한 조직과 영역 들 간의 관계를 형성 및 조정,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5). 다 영역

간 협력은 부문 간 중복을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 치매 정책 수립에서 정부는 중복 업무의 최소화, 다양한 영역의 이해

관계자 간의 조화, 자원의 극대화, 형평에 기반한 인권 지향적 시각을 채택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23,26).

다 영역 간 협력은 치매 계획 수립에서 자원을 동원하는 일처럼 형식적일 수 도 있고, 정보 교환처럼 비형식적일 수도

있다. 다 영역 간 협력은 조정회의나 워킹그룹, 또는 통합 팀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23). 예를 들어 잉글

랜드의 Living Well with Dementia (2009) 계획은 국민 건강 서비스, 그리고 지방․ 정부 및 주요 이해 관계자들 사이

의 파트너십으로 수립되었다(10). 비슷하게 네덜란드의 통합 치매 치료(Ketenzorg Dementie, 2008-2010)는 알츠

하이머 네덜란드와 같은 치매 조직, 보건` 사회 보장 보험, 그리고 지방․ 정부가 협력하여 치매 돌봄 서비스 개선을 위해

마련한 계획이다 (10).

다 영역 간 협력에는 보건 영역과 다양한 사회 영역 간의 연계 뿐만 아니라 규제」 관련 부처들 (예 : 환경, 교통, 인프라,

주택)과의 연계도 포함된다. 이러한 파트너들은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의 환경이나 생활 여건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

다(예 : 치매 친화적인 커뮤니티). 예를 들어 일본의 보건 노동 복지 부처는 국토 교통 관광 부처 및 국가 재정 부서를 포

함하여 11개의 부처,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서 치매 대응 방․안인 새로운 오렌지 플랜(2015)을 마련했다.

이해 관계자 참여

치매 계획의 수립과 실행은 정부 차원에서 단독으로 달성할 수 없다.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수많은 이해 관계자와 의

미 있는 협력이 필요하다. 이해 관계자 참여를 통해 치매 계획이 이들의 욕구, 특히 환자, 보호자, 가족의 욕구에 적합한

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해 관계자의 오너십은 수립된 계획이 실행으로 옮겨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이를 위해서도 이해 관계자의 참여는 중요하다.

정부 내외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해 관계자가 참여해야 한다. 여기에는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 정부 부처 및 에이전

시, 시민 사회 대표, 연구 및 학술 기관, 보건` 사회 복지 종사자 등이 포함된다. 또한 국제」기구, 민간 부문 활동가, 전통

치료사, 지역 사회 및 종교 지도자들도 포함 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자원에 따라 이해 관계자의 참여는 형식적 또는 비형식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자문위원회나 워킹

그룹은 전문가들, 환자, 보호자, 가족들이 협력하는 기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이해 관계자의 피드백을 얻기 위해

공개 컨설팅,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실시 될 수 있다. 치매 환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주요메시지를 공유하면

서 이해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사전에 배포하는 것이 좋다. 상황 분석(단계 A.1 참조)은 치매 계획 과정에서 주요 이해

관계자와 그들의 역할, 관심사 및 영향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해 관계자의 오너십: 치매환자에게서 얻은 교훈

Dementia Action Plan for Wales 2018-2022의 수립에서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은 공개 컨설팅 세션에 처음으로

참여했다(28). 주체측이 관련자들, 특히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 부분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이다.

이 컨설팅에서 치매 환자의 권리, 그리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그들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이후에 공개 컨설

팅이 추가로 계획되었다. 정부는 웨일즈시 전역에서 공개 토론과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

이는 Dementia Action Plan for Wales 수립에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 보건 사회 서비스 종사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었다.

환자, 보호자, 가족이 핵심 전문가로 참여했다. 그들은 치매와 관련하여 웨일스 정부의 크로스 파티(Cross Party) 그

룹, 건강, 사회 복지 및 스포츠위원회, 노인위원회 위원들에게 전문 지식을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웨일즈 전역에서 광범

위한 공청회가 두 차례 개최되었는데, 여기에서 400명이 넘는 환자, 보호자, 가족들이 웨일즈 치매 진료 계획에 의견을

제」공했다.

과정 전반에 걸쳐 웨일스 정부는 치매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받아들이고 지원했다. 이

때 이해 관계자에는 시민 사회와 정부 대표, 보건` 사회 서비스 종사자, 학자,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이 포함되었다.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가족들은 이러한 협력을 통해 웨일즈 치매 활동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하며, 의미 있는 변

화를 이끌어 냈다. 가장 큰 도전은 치매 환자의 생활 경험을 받아들이고, 환자들도 정책결정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인정하는 자세의 변화가 필요했다.

이해 관계자들의 협력은 지식과 실천 사례를 나누는 기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책 결정자에게 영향을 주는 기회도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웨일즈시의 치매 활동 계획에, 그리고 환자, 보호자, 가족의 삶에 영향을 미쳤다. 웨일즈 정부

는 치매 계획의 운영을 감독하는 자문 그룹을 구성하면서 환자, 보호자, 가족의 참여를 지속해 갔다.

Page 13: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4

Box 2. 비보건 분야 역할의 예

교육

• 학교에서 치매 관련 교육. 홍보 및 예방․, 위험 요인, 이용

가능한 서비스 와 지원 등.

기금

• 치매 계획을 실행하거나 관련 활동을 위한 기금.

• 치매 프로그램의 운영, 개입, 서비스 등을 위한 기금.

주택

• 치매 환자들을 위한 주택 지원.

인프라, 환경, 지방 자치 단체

• 치매 및 노화 친화적인 도시 커뮤니티 창조

• 사회적 환경 개선 및 조성

국내 활동

• 시민, 종교, 문화 활동에서 치매 환자, 보호자,

그리고 가족 참여

국제 활동

• 각 국가나 국제」 프레임 워크, 전략과 연계

(예: 빈곤 감소, SDG).

• 기금의 운영 부분 조정

정의

• 인권과 시민권을 보호하고 환자, 보호자 가족들의 자유를

보호하는 기구

• 입원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 및 재활

• 사법 체계에서 치매 환자들을 분리 적용

노동

• 직장에서 치매 홍보와 예방․, 치매에 관한 교육- 위험 요인,

환자 보호의 영향과 보호자 지원 등.

• 고용 보험, 반차별 정책

공공 안전

• 치매 위험 감소.

• 치매에 대한 교육, 위험 요인, 응급 서비스 대응

• 보건 부문과 협력하여 치매 응급 처치

과학 / 연구 / 혁신

• 치매 연구와 기술을 위한 펀딩, 혹은 규제」

사회 복지

• 치매 인구, 보호자, 가족을 위한 공중 보건과 사회 보험

• 치매 환자를 위한 지원(예: 장애 혜택, 가사 도움,

음식 서비스 등)과 보호자나 가족을 위한 사회적 혜택

(예 : 사회 / 고용 보험)

•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돌봄

교통

• 치매 친화적 운송 시스템

• 보건 및 사회 돌봄 서비스의 접근을 위한 교통 개선

• 식품 서비스를 위한 운송

5. 치매계획: 필수 단계

A단계:

치매계획 준비

B단계:

치매계획 수립

C단계:

치매계획 실행

25

Page 14: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726

A단계: 치매 계획 준비

정부의 감독 체계가 마련되었다면,

치매 계획 과정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두 단계, 즉 상황 분석을 통해 욕구를

사정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과 관련된다(그림 5.1 참조).

그림 5.1. 치매 계획 준비 단계

A.1단계 : 상황 사정

상황 사정 우선순위 선정

STEP A.1 STEP A.2

상황 분석은 문제」의 범위나 치매 인구의 욕구, 핵심 파트너의 범위 등을 측정하기 위해 관련 정보나 데이터․를 분석하

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시스템 이용의 기회나 격차, 정책 환경 뿐만 아니라 기존 데이터․에도 중점을 둔다. 이때 데이

터․는 다양한 영역과 여러 이해 관계자들을 통해 수집되어야 한다.

상황 분석은 정책, 서비스 제」공, 역학(epidemiological), 이해 관계자 사정 (그림 5.2 참조)의 네 가지 구성 요소로 이

루어 진다. GDO의 데이터․는 처음 세 가지 요소의 사정을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관련 GDO 도메인 및 지표 목록

은 부록 4 참조). 첨부 2에 포함된 이해 관계자 도표는 관련 이해 관계자들과 그들의 관심사, 그리고 영향력 수준을 식

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림 5.2. 상황 분석 개요

정책 사정

(정책)

서비스 전달 사정

(서비스 전달)

역학 사정

(정보와 조사 연구)

이해 관계자 도표

(이해관계자 도표)

이슈의 범위

격차와 기회

대중의 욕구

핵심 파트너와

이해관계자

상황 분석 요약

상황분석 요약

● 이슈의 범위

● 대중의 욕구

● 격차와 기회

● 핵심 파트너와 이해 관계자

Page 15: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2928

정책 사정

보건 사회 분야의 기존 정책과 법령을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정이 가능하다.

● 기존 정책이나 법령의 잠재적인 시너지 효과에 초점을 두어 분석;

● 치매 계획의 수립과 실행을 담당하는 주무 부처와 부서가 어떤 곳인지 분석;

● 기존 법령이나 정책이 돌봄 서비스의 접근성과 관련하여 불평등을 악화, 혹은 감소시키는가를 분석, 예: 사회경제」적,

지리적, 교육, 연령, 혹은 성에 기반한 불평등(26,29).

Box 3은 정책 사정의 핵심 요소가 GDO (30)의 데이터․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한다.

Box 3. 정책 사정 : 주요 요소와 해당 GDO 지표

● 치매, 정신건강, 노화, NCD, 혹은 장애를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가 있는 국가 부처 지표 1

● 치매, 정신건강, 노화, NCD 및 장애와 관련한 국가 또는 지방․ 정부의 기존 법령, 정책, 전략,

계획(재정 포함), 혹은 프레임워크 지표 2~3

● 치매환자, 노인, 인지 장애인, 정신 장애 등 장애인의 권리 보호와 관련된 기존 법령의 규정 지표 3

● 치매 환자와 가족의 차별 금지, 이들을 위한 서비스를 내용으로 하는 국가나 지방․정부의

기존 법규 지표 3

●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승인한 증거 중심(evidence-based)의 치매 지침, 표준, 의정서 지표 4

● 국가나 지방․정부의 기존 법령, 정책, 전략, 계획(재정 포함), 프레임 워크, 혹은 맞춤 계획 모형,

치매 환자를 지속적으로 돌보기 위한 자원을 설명하는 모형 지표 5

● 국가나 지방․정부의 치매, 정신 건강, 노화, NCD, 장애에 대한 기존 정책, 전략, 계획,

혹은 조사 연구 지표 17~18

● 국가나 지방․ 정부의 치매, 정신 건강, 노화, NCD, 장애에 대한 기존 법령, 정책, 전략,

계획 (재정 포함), 혹은 프레임 워크와 사회 경제」적, 문화적, 인구 통계학적, 정치적으로

맥락이 유사한 다른 나라의 지표 N/A

서비스 전달의 사정

치매 환자와 보호자, 가족에게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의 유형과 경로에 대한 검토를 시작으로 서비스 전달의 사정은 다

음과 같다.

● 치매 서비스에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렇다면 어떤 영역의 자원인지를 확인

● 서비스 제」공, 자원의 격차, 서비스의 공공화와 관련하여 현안 문제」 측정

● 비효율 감소, 보건 분야 내외의 치매 서비스 조화, 새로운 선도사업 등을 위한 기회 확인

● 사회 경제」적 지위, 연령, 성별, 교육 수준, 지리적 위치 등의 사회적 결정 요인들이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의 평등한

접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

Box 4는 서비스 전달 사정의 핵심 요소가 GDO (30)의 데이터․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한다.

Box 4. 서비스 전달 사정 : 주요 요소와 해당 GDO 지표

GDO 서브도메인 2.1 : 보건·복지의 총노동력

● 국가 전체 보건 복지 인력의 수와 유형 지표 6

● 보건 복지 인력들을 위한 치매 교육 훈련 지표 6

GDO 서브도메인 2.2 : 서비스, 지원 및 치료 프로그램

● 국내 치매 진단율 지표 7

● 지역 사회 내 치매 환자를 위한 보건 복지 서비스의 유형과 접근성 지표 8

● 국내 보건 복지 서비스 시설의 유형 지표 9

● 항 치매 의약품이나 증상 치료제」의 종류 지표 10

● 치매 환자를 위한 용품 (예 : 성인용 위생 용품), 장비 (예 : 주거 환경 정비)

또는 치매 환자에게 가능한 보조 기술의 종류 지표 11

● 치매 환자와 보호자를 지원하기 위해 NGO가 제」공하는 치매 관련 특별 활동 및 서비스 지표 12

●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한 서비스와 지원책, 프로그램의 유형, 접근성, 그리고 실행 수준 지표 13

GDO 서브도메인 2.3 : 인식 및 이해 증진

● 이해 증진, 스티그마와 차별 감소를 목표로 하는 최소 한 개 이상의 치매 대중 인식 캠페인 운영 지표 13

● 최소 한 개 이상의 치매 위험 감소 캠페인 운영 지표 13

● 치매 친화적인 발기의 유형 및 가용성 지표 14

● 비 보건 전문가와 일반인의 치매 관련 훈련과 교육 지표 15

Page 16: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130

역학 사정(Epidemiological assessment)

역학 사정은 다양한 출처에서 치매 관련 역학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공식 보건 정보 시스템 (HIS)이 없는 국가는 기존 데이터․를 확인하고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두면 된다. 이 경우 국가나

지역 사회의 서베이, 사망 진단서, 병원이나 클리닉의 기록, 혹은 경찰 보고서와 같은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수집

할 수 있다.

● HIS가 있는 국가는 현재 발병률과 예상 발병률, 확산 및 사망률, 위험 및 보호 요인, 총 예상 경제」 비용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 사회 경제」적 지위, 연령, 성별, 교육 수준, 지리적 위치 등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 치매 유병률이나 빈도와 어떻게 관

계 되는지 검토할 수 있다.

● 국립 및 국제」대학, 학술 센터․, 연구소 등에서 이루어진 조사도 역학 사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9).

박스 5는 역학 사정의 핵심 요소가 GDO (30)의 데이터․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한다.

Box 5. 역학 사정 : 핵심 요소 및 해당 GDO 지표

● 확산율과 발병률 지표 21-22

● 치매로 인한 총 사망자 수, 수명 손실 연수 (YLL) 지표 23-24

● 장애적응생활기간 (DALYs) (YLD) 지표 25-26

● 치매의 총 경제」적 비용 지표 27

● 치매 위험 요인의 확산률 지표 28-35

이해 관계자 도표

이해 관계자 도표 사정은 치매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과 관련 문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이는 치매 계획을 수

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첨부 2 참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 각 이해 당사자 그룹이 치매의 영향을 받는 정도, 그들의 의견, 그들은 어떻게 서로 관련되는지에 대한 이해

(12,31).

● 각 부처와 부서에 걸친 정부 내외의 이해 당사자를 확인

● 불평등한 요인들이(예 노인, 외딴 지역이나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 여성 등) 치매의 영향을 어떻게 악화시키

는지 판단 (26)

●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위한 적절한 접근법을 설계하고, 역할과 책임을 결정하며,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유익할 수

있는 치매 계획을 수립

4 가지 사정을 통해 수집 된 데이터․는 문제」의 범위, 대중의 욕구, 기회나 격차, 핵심 파트너와 이해 관계자를 중심으로

분석한 상황 분석 요약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림 5.2 참조). 상황 분석 요약은 치매 계획을 수립 할 때 우선 순위와 활

동 영역을 선정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된다.

A.2단계 : 우선순위 선정

우선순위 선정은 치매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때 우선 고려되어야 할 이슈를 확인하는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32).

이 과정은 이용 가능한 자원, 상황 분석을 통해 수집된 증거, 정책/이해 관계자 연대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에 의해 결정

된다. 이러한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치매 계획이 인적`물적 자원 두 측면 모두에서 실현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가장 핵

심적인 욕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치적 매입(buy-in) 가능성을 높이고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증가시킬 것

이다. 이때 우선순위 선정 과정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애물이나, 혹은 원동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5.1 참조).

표 5.1. 치매 계획 수립의 장벽과 원동력

장벽 원동력

스티그마/ 공공 인식

부족

● 시민 사회, 학계, 보건 복지 종사자, 개인, 지역 사회 등에서 옹호(advocacy)와 대중적

인식

● 학교에서 공중 보건 교육 및 예방․

정치적 의지 부족

● 여러 영역에서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영향력 있는 사람 (예 : 국가 원수, 유명인)

●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특히 치매의 사회적 경제」적 비용 관련 데이터․

● 국내, 국제」의 우선순위 이슈와 연계 예) UHC, equity, SDGs

● 법적으로 명시된 국가나 지방․정부의 치매 계획 및 태스크 포스

● 시민 사회와 WHO의 옹호

인적, 재정적 자원

부족

● 재원이 배정되어 있는 치매 계획

● 홍보와 자금 모집을 위한 단기 활동 계획

● 정부, 시민 사회, 민간 영역 간의 협력 및 파트너십

● 국가 차원의 교육

정부와 다른 영역 간

통합 체계 부족

● 다 영역 간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정부 내 전담 부서와 지원

● 정기적인 M & E

치매 진단 부족

● 적정 시기에 치매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반인 실천가, 사회사업가,

지역사회 보건 종사자 등이 포함된 보건 복지 종사자 교육 훈련

● 역학 조사나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치매의 기준 유병률 사정

소스 : (33)

Page 17: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2

우선순위 선정 과정

단계 A.1의 상황 분석은 치매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자원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여러

영역에 걸쳐 주요 이해 관계자들의 협의를 통해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는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에 정리

되어 있는 7대 영역에서 확인 가능하다 (그림 1.1 참조). 국가가 우선순위 선정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는 특정 문제」가 왜 우선 선정되는가를 명확히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준을 바탕으로 우선 순위를 선정하는 경우 이해

관계자들 사이에서 이와 관련하여 토론이 가능하며, 과정의 투명성이 보장된다. (13,19,29).

우선순위는 실행 가능성과 재원조달 가능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이용 가능한 자원을 바탕으로 비용 효율적

이며, 지속 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는 치매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 우선 순위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또 다른 기준은

환자에게 치매 외 다른 질병의 부담이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비용 효율성의 측면에서 우선순위를 고려

하기보다는 환자와 보호자, 가족들이 이러한 부담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우선 순위가 공정한지, 불공평을 감소시키는

지 등의 복합적인 요인(국제」 사회의 정치적 아젠다에 반영되는 것처럼)을 확인해야 한다. 첨부 3은 우선순위 선정 도구

를 제」공한다.

우선순위 선정 과정의 마지막 단계는 A.1에서 확인된 이해 관계자들 사이에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해 관계자

들은 조기 참여하면서 정부의 책임을 촉구할 수 있다. 또한 공동 의사 결정을 위한 기회를 가짐으로써 신뢰 구축이 강화

되고, 결과적으로 계획의 실행 단계에서 이해 관계자 매입(buy-in), 연대, 조화등이 강화된다(19). 이때 핵심은 정부,

시민 사회, 민간 부문 대표자 뿐 아니라 환자, 보호자, 가족 등 모든 관계자들의 참여다.

이해 관계자가 우선순위 선정 과정 전반에 걸쳐 참여하지만, 외부 자문위원회, 워킹 그룹 또는 공청회나 협의를 통해

서 의견을 얻을 수도 있다. 결정된 우선순위는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뿐만 아니라 다른 이해 관계자에게도 배포될 수

있다. 합의된 우선 순위는 치매 계획의 범위를 결정하고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수립하는데 사용된다 (B 단계 참조).

33

Page 18: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534

B 단계: 치매 계획 수립

B 단계는 A 단계에서 수집한 증거를 활용하여

치매 계획의 범위를 정의하고, 결정된 우선순위를

구조화하며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구성한다.

이 지침서의 목적에 따라 B단계는 3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략적 프레임 워크 수립, 자원의 영향 파악,

이해 관계자 및 정치적 승인 얻기

(그림 5.3 참조).

그림 5.3. 치매 계획 수립 단계

B.1단계 : 전략적 프레임워크 수립

전략적 프레임워크

수립

이해관계자

및 정치적

승인 얻기

자원의 영향 파악

STEP

B.1

STEP B.3

STEP B.2

치매 계획 수립의 첫 번째 단계는 전략, 다양한 영역의 프레임 워크를 만드는 것이다. 전략적 틀은 치매 계획의 범위를

정하고 비전, 주요 지침, 목적, 목표 및 활동 영역 (그림 5.4 참조)등의 핵심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이론적인 근거 외에

도 국가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치매의 심각성에 대한 이해가 있는 경우에는 계획 수립의 필요성, 예방․이나 해결을 위한

활동의 필요성이 쉽게 받아들여진다(9,13,19,32).

국제」 협약과 연계된 전략 (표 5.2 참조) (예를 들면, 글로벌 치매 행동 계획, CRPD, 2030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등), 그리고 지방․ 정부나 국가의 계획, 정책 및 시스템 개선 (예 : 국민 건강 보험, 장기 요양 보험, 직장

정신 건강 정책)은 프레임워크의 이론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림 5.4. 치매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

표 5.2. 관련 국제 협약 목록

범위(Scope)

비전(Vision)

지침 원칙(Guiding Principle)

목적(Purpose)

목표(Object)

활동 영역

(Action Areas)

전략, 다영역 치매 프레임 워크

United Nations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nited Nations (1966)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United Nations(2006)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ited Nations (2015)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2016)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HO(2012) Unlversal health coverage

WHO(2013)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WHO(2013)2013-2020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WHO(2014) 2014-2021 Global disability action plan

WHO(2016) 2030 Global strategy on human resources for health:Workforce

WHO(2016) 2016-2020 Global strategy and plan of action on ageing and health

WHO(2017) 2017-2025 Global action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Page 19: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736

범위(scope)

범위는 A단계에서 확인된 증거와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치매 계획이 무엇을 커버할 수 있는지, 혹은 커버할 수 없는지

를 결정한다. 좁은 범위는 보다 빠른 실행과 효과 창출이 가능하며(의사 결정자에게 중요한 요인), 넓은 범위는 보건이

나 장기요양 서비스와 결합되어 상호 유용성이 강조될 수 있어 좋다(예: 치매와 일반적인 정신 보건 문제」)(19). 범위는

이슈의 중요성, 이해 관계자 참여, 정부의 리더십 및 가용 자원 등을 바탕으로 나라마다 다양하다(19).

범위에서 치매 계획의 구조(structure)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나라마다 상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행 구성

요소(예: 재원 출처, 성과, 지표)가 포함된 치매 계획도 있을 수 있고, 또 다른 경우는 기존 계획(예: 정신 보건 계획)에

치매를 통합할 수도 있다. 이 다양성은 나라마다 역사, 제」도, 문화, 정책, 정치 및 법률 제」도, 사회 구조 및 가치, 치매에

관한 우선순위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다(13).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지침서는 포괄적인 치매 계획과 기존 다른 계획

들에 통합되는 치매 계획, 두 형태 모두를 살펴보았다.

비젼(vision)

단계 A.1의 상황 분석이 현재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답을 준다면, 비젼은 계획이 성공적으로 실행된 후에 우리

가 도달할 미래의 넓은 청사진을 제」공하면서 우리가 어디로 가기를 원하는가에 대한 답을 준다( 9,13,19,32). 비젼은

상황 분석을 통해 확인된 증거에 근거해야 하고, 단계 A.2에서 선정된 우선순위를 반영해야 한다. 파트너와 이해 관계

자들 사이의 합의 역시 반영되어야 한다. 비전이란 본질적으로 이상적인 것일 수 있지만, 우선순위가 부여된 사람에게

지나치게 편향되어 규정을 벗어 나서는 안되며, 현실적으로 달성될 수 없을 만큼 이상적이어서도 안된다. (표 5.3참조)

(13). 마지막으로 계획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까지 일정 기간의 시간이 비전에 반영되어야 한다.

지침 원칙(Guiding principles)

치매의 지침 원칙은 활동 현장의 윤리적인 가치를 표현한다. 지침 원칙은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의 7대 원칙과 가능

한 연결되는 것이 좋다 (그림 5.5 참조). 그리고 문화, 민족, 종교, 또는 사회 집단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및 조직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지침 원칙은 다 영역의 거버넌스 기구를 통한 정부 내부,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한 정부 외부, 양쪽 모두에

서 논의될 수 있다. 표 5.4는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 (Global Dementia Action Plan)의 7대 원칙에 대응하는 국가별

치매 계획 지침 원칙의 예다.

표 5.3. 치매 계획의 비전 선언 예

국가 비전 선언

호주 치매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지원 네트워크

핀란드

"기억 친화적memory-friendly"이라는 문구의 핀란드는 뇌건강 증진과 인지 증상의 조기

발견을 중요하게 여긴다. 인지 문제」 또는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은 적절한 치료, 돌봄 및 재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환자는 자신의 삶을 존엄하게 지킬 수 있으며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한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는 없다.

인도네시아 알츠하이머나 기타 치매 질환 관리: 건강하고 생산적인 노령 인구를 위해

우루과이 국가 내 치매 인구와 그 가족들의 삶의 질 개선.

아메리카 합중국

사랑하는 이가 알츠하이머병과 투쟁을 벌이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은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 모두가 잘 아는 고통이다. 알츠하이머 질환을 가진 노령인구와 그 가족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중 보건 분야에서 도전을 받고 있다.

소스 : (27,34-39)

표 5.4. 치매 계획 지침 원칙의 예

국가 지침원칙

치매 환자들의 인권

호주

● 치매 환자는 가치 있는 사람으로 존중받아야 한다. 여기에는 선택권, 품위, 안전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삶의 질에 대한 권리가 포함된다.

●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은 차별 없이 필요한 경우 돌봄과 지원 서비스를 받는다.

노르웨이 ● 개방․성, 포용, 존엄성, 품위, 존중

스위스 ● 치매 환자의 삶의 질과 품위 개선

치매 환자들의 사회적 참여 및 임파워먼트

호주

● 사회적 참여가 적극적으로 지원되고, 가능성, 웰빙, 포용을 촉진하는 접근 방․식 채택

● 보호자와 가족은 존중받고, 적절한 지원을 받아야 하며, 그들의 선택은 존중되어야

한다.

일본● 치매환자들이 자신들이 돌봄의 대상이라는 것을 거의 인식하지 않으면서 살 수

있도록 지원

스위스●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의 임파워먼트

●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완전성, 자치권, 사회관계에 대한 존중

치매 위험 감소와 돌봄을 위한 증거 기반(evidence-based)의 실천

호주● 치매 관련 모든 활동이나 서비스를 위해 증거 기반 접근법, 정책 및 실천이 채택 된다

● 증거 자료가 부족한 영역은 향후 연구에서 우선순위가 된다.

보편적인 보건, 사회 보장

호주● 환자와 보호자, 가족은 충분하고 합리적이고 시기 적절한 돌봄과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 보건과 복지가 조화된 맞춤식 치료, 관리 시스템, 정책

Page 20: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938

비전과 마찬가지로 지침 원칙의 제」정에도 국가나 문화적 맥락을 대표하는 관련 파트너와 이해 관계자들이 모두 함께

해야 한다(9). 그리고 국가의 구조, 보건 계획 혹은 비보건 계획(예 : 빈곤 감소, 국제」 개발), 또는 국제」 조약 기구나 협의

(예: CRPD,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HC) (9) 등을 참고해야 한다. 또한 지침 원칙에는 치매

에 대한 공중보건 접근법(예를 들어 사람 중심, 권리 기반, 성 감수성, 증거 기반), 혹은 협의 사항(예를 들어 이해 관계

자 참여, 치매 환자들의 임파워먼트, UHC 원칙, 다 분야 협력, 투명성, 책임성)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9).

임파워먼트(Empowerment)

국가 지침원칙

공중 보건 영역의 다 분야 간 협업

슬로베니아 ● 다양한 훈련

미국 ● 공공-민간 파트너십 지원

공평(equity)

노르웨이 ● 모든 사람에게 적절한 돌봄

슬로베니아 ● 서비스의 공평한 접근성

치매의 예방, 치료, 돌봄을 위한 적합한 대응

스위스

● 질병의 모든 단계에서 심리, 사회, 의료 서비스의 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고품질

치매 서비스 이용 가능

● 치매 환자들에게 적절한 배상과 재정 지원 서비스

소스 : (22,27,34,38,17,40,41)

그림 5.5.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의 7대 원칙

인권(Human rights)

공평(equity)

보건 및 돌봄 서비스의 보편화(Universal health andsocial care)

다 영역 간 협력(Multisectoralcollaboration)

집중적인 예방, 치료, 돌봄(Attention to prevention, cure and care)

증거 기반의 실천(Evidence-baced practice)

Page 21: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140

치매 계획에는 기대되는 결과를 전반적으로 광범위하게 명시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목적이 포함된다(19). 예를 들

어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명시되어 있다. “[...] 치매환자, 보호자, 가족의 삶을 개선하고, 이들

과 지역사회, 그리고 각 국가에서 치매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 (1) 목적은 명시된 비젼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

을 고차원적으로 정의한다. 이는 단계 A.2 에서 확인된 우선순위와 밀접하게 연결되며 이를 반영한다.

목표는 목적에 비해 구체적이며 치매 계획의 실행을 통해 성취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해진 기간이나 표적

(target)이 있다 (표 5.5 참조). 명시된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목표가 정해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확인된 욕구와 자원을 바

탕으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우선 순위의 선정에 있어서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실행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 정책적 지원이 가장 큰 목표 (9)에 우선순위가 부여 될 수 있다.

활동 영역(Action areas)

치매 계획에는 활동의 주요 영역이 자세히 포함된다. 활동 영역은 명시된 목적들, 그리고 단계 A.2에서 확인된 우선

순위들, 특히 관련성과 실현가능성이 높은 우선순위들에 따라 결정된다(19). 각 활동 영역에는 활동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치매 계획의 목표를 어떻게 달성해야 하는지를 제」시해준다(19). 박스 6은 포괄적인 활동 영역에서 핵심

요소를 알려준다(19).

Box 6. 활동 영역의 핵심 요소

포괄적인 활동 영역은 다음과 같다 :

● 명시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 영역의 부문들이 확대, 테스트, 혁신, 혹은 강화될 방․법들;

● 각기 다른 영역과 핵심 파트너들의 역할, 책임, 강점 및 한계;

● 업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원이나 프로그램, 그리고 영역들의 조화 방․법;

● 특정 국가의 고려 사항 (예 : 사회 경제」적, 문화적 및 정치적 요인);

● 표적 영역이나 체계의 수준(예: 국가, 행정구역, 지역 사회 등), 조직, 이들의 역할과 책임;

● 대상이 되는 인구 집단, 또는 지리적 영역;

● 치매의 표적 내용 (예: 예방․, 돌봄 조정, 보호자 지원, 위험 감소, 감독 등);

● 국가의 기존 정책, 법령, 특정 프로그램이나 전략, 계획과의 연계;

● WHO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에서 제」시하는 7대 활동 영역 원칙과 연계;

표 5.5. 치매 계획의 목적과 목표의 예

국가 목적 목표

인도네시아

건강하고 생산적인 노년을

지향하며 알츠하이머나

기타 치매 질환의 관리

● 인지, 치매 관리의 조화

● 뇌 건강의 실천; 생산적인 노인들을 홍보

●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 장애 매니지먼트 실시

일본

치매 환자들이 쾌적하고

익숙한 환경에서 품위

있게 가능한 오래 살 수

있는 사회 환경 창출

● 치매에 대한 인식과 이해 증진

● 치매 진행 단계에 따라 시기적절하고 적합한 의료 및 장기

요양 서비스 제」공

● 조기 발견(경증 치매) 치료제」 강화

● 보호자 지원

● 노령 및 치매 친화적인 커뮤니티 만들기

● 치매 예방․, 진단, 치료, 돌봄, 재활, 조사 연구의 확산을

촉진

● 모든 활동에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을 우선 포함

몰타

치매 환자, 보호자와

가족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

● 치매에 대한 인식과 이해 증진

● 시기적절한 진단 및 조기 개입

● 환자 중심의 돌봄을 위한 전문 인력 개발

● 관리와 돌봄 개선

● 치매 관리와 돌봄 과정에서 최상의 윤리적 접근 방․식 장려

● 치매 분야의 연구를 장려하고 육성

멕시코

멕시칸 보건 시스템의

대응이 다른 기관과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개선하면서

알츠하이머 환자와 유사

질환자, 그 가족의 웰빙

증진

● 치매환자를 포용할 수 있기 위해 부정적인 편견과

스티그마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도록 알츠하이머와

기타 치매에 대한 인식 촉진

대한민국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가족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지원 시스템 구측

● 카운셀링, 교육, 자조 집단 등을 통한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지원 확립

● 환자와 가족의 심리 상담을 위한 지원

● 가족과 보호자를 지원하기 위한 세금 혜택과 고용 정책

홍보

소스 : (27,36,37,40,42)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의 각 영역들은 포괄적인 활동 영역을 선정할 때 기초로 사용할 수 있다 (표 5.6 참조). 치매 계

획에 포함된 활동 영역, 그리고 관련 활동은 C단계에서 세부적인 운영 작업 계획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Page 22: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342

표 5.6. 글로벌 활동 영역의 활동 내용, 실행 고려 사항들의 예

글로벌 활동 영역 제안 활동 실행 고려사항

공중보건

우선순위인 치매

● 치매계획 수립 및 시행

● 환자, 보호자, 가족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령 시행

● 환자들의 인권, 희망, 선호를 보호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구 설정

● 개입의 초점, 단위 또는 기능적 분류

정의

● 치매 계획에 지속 가능한 재정적 자원

할당

● 모든 분야 지출의 감사를 위한 기구

설립

● 환자에 대한 공평, 존엄 그리고 인권

● 환자나 기타 이해 관계자와 상담.

● CRPD나 기타 인권 기구와 입법 연계

● 욕구와 자원을 바탕으로 자금 할당

치매에 대한 인식

및 이해

● 국가나 각 지역의 공중 보건 수립과

인식 캠페인 실시

● 도시환경을 노령과 치매에 친화적으로

정비하여 존중과 포용을 촉진하고

가정에서 안전하게 돌봄이 가능하도록

한다.

● 지역 사회,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치매

친화적인 태도를 장려하는 프로그램

개발

● 각 지역 사회와 문화에 맞는 고유한

캠페인.

● 스티그마를 줄이고 조기 진단을 촉진하며

성별 및 문화적으로 적합한 대응 강조

● 환자나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는 프로그램

개발, 캠페인 조직

● 다양한 지역 사회와 이해 관계자 그룹을

타겟으로 함

치매 위험 감소

● NCD 위험 감소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

다른 정책이나 캠페인과 치매를 연계

● 보건 복지 종사자들의 개입 활성화,

이들에 대한 훈련 강화

● 신체 활동,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

담배와 알코올의 유해한 사용 중지,

공식 교육, 정신 고양 활동, 사회적 참여

● 교육·훈련시에는 증거를 기반(evidence-

based)으로 한 연령, 성별, 장애 및 문화적

감수성을 고려

● 교육·훈련은 수정 가능한 위험 요소의

사전 관리를 목표로 함

글로벌 활동 영역 제안 활동 실행 고려사항

치매진단, 치료,

돌봄 및 지원

● 치매 환자를 위한 돌봄 경로의 조정

● 보건 복지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 구축

● 생애 마지막 시간의 돌봄 질 향상

●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돌봄

● 환자 중심적, 성 감수성, 문화적으로

적절한 돌봄의 접근성 향상

● 보건 복지 통합시스템 내에 돌봄 전달 경로

포함

●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통합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돌봄 전달 체계 설계

● 증거 기반, 문화적 적절성, 인권 지향적인

돌봄을 위하여 전달 체계의 역량 구축

● 교육·훈련을 위한 예산 및 자원 확보

●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생애 마지막 순간의

돌봄을 개선 :

- 치매를 완화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인식

- 조기 돌봄 계획에 대한 인식 증진

- 치매 환자들의 가치와 선호 존중

- 보건 복지 종사자 훈련

● 환자를 임파워하여 스스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 서비스 종사자와 환자, 보호자, 가족의

협력 강화

치매 보호자에

대한 지원

● 보호자를 위한 증거 중심의 정보, 훈련

프로그램, 임시 간병 서비스 및 기타

지원 제」공

● 보건 복지 종사자의 정체성을 위한

훈련, 보호자의 스트레스와 번아웃의

감소를 위한 훈련

● 보호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

● 돌봄 계획에 보호자 포함

● 보호자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 고립 감소,

동등한 입장에서의 지원을 제」공

● 장애 혜택, 차별 금지 정책·법령을 통해

보호자 보호

● 치매 환자 및 그 가족의 욕구에 초점

치매 정보 시스템

● 국가 차원의 감독과 모니터․링 시스템

수립, 실행, 개선

● 치매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모니터․하고

리포트 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이나 법령

마련

● 치매와 관련된 여러 영역의 고품질

데이터․의 접근성 개선

● 서비스의 전달, 범위, 정책, 계획의 개선에

데이터․ 활용

Page 23: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544

글로벌 활동 영역 제안 활동 실행 고려사항

치매연구 및 혁신

● 치매의 예방․, 진단, 치료, 돌봄을

위한 국가적 연구 아젠다를 발전, 구현,

모니터․링

● 치매 연구와 의료 기술의 혁신을 위한

투자 확대

● 환자, 보호자 또는 발생 위험이 있는

사람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욕구에 대응하는 기술 혁신 개발 육성

● 환자와 보호자가 클리닉과 사회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공평한 기회와 접근성

증진

● 학술 및 연구 기관과 협력하여 연구

아젠다 개발

● 국내와 국제」에서 치매 연구에 관한 학술

협력 촉진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데이터․의

공유와 지식 교류를 개방․

● 치매의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제」를 찾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지원

● 혁신에는 진단, 질병 모니터․링, 사정, 보조

기술, 의약품, 새로운 치료 모델이 포함될

수 있음

종합

주요 활동들을 어떻게 실행하고, 모니터․링하고, 평가 할지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치매 계획에 실행

고려사항 세션이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실행에서의 장벽, 예상 결과, 평가의 유형, M & E의 실시 간격 등이 명시

된다. 그리고 활동을 실행할 때 위험 요소나 완화 전략도 명시된다. 고차원적으로는 결과나 지표, 평가 방․법, 데이터․ 출

처 등을 중심으로 하는 M & E 프레임 워크 설계도 포함된다.

일단 치매 계획이 수립되면 정부 차원을 넘어 이해 관계자들, 특히 환자, 보호자, 가족이 중심이 되어 합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영역에 걸친 토의나 공청회를 통해 프레임 워크의 범위, 목표의 수, 활동 영역의 범위가 자원의

관점에서 실현 가능한지, 그리고 치매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욕구와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계 A.2

에서 선정된 우선순위와 프레임 워크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한 평가도 이루어질 수 있다.

치매 환자, 보호자 및 가족은 외부 자문위원회나 (제」4장 참조: 리더십, 거버넌스 , 다 영역 간 협력) 워킹 그룹,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피드백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할 수 있다. 치매 계획 설계는 환자가 읽기 쉬운 형식으로 이해 관계

자들에게 미리 배포 될 수 있다.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의 참여: 스코틀랜드의 교훈

스코틀랜드 정부는 국가 치매 전략(Scottish National Dementia Strategy)을 세 번째로(2017-2020) 수립하면서

두 번째 전략의 진행 과정에 대한 의견, 그리고 Scottish Government`s National Dementia Dialogue 2015에서 제」

기 된 질문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전국적으로 참여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는 이후 3 년간의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

이 되었다. Scottish Dementia Working Group과 National Dementia Carers 'Action Network 이 과정 전반에 걸

쳐 참여했다.

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새로운 치매 계획을 수립하면서 환자, 보호자, 그리고 가족들의 목소리를 확실히 들을 수 있었

다. 또한 스코틀랜드 정부와 알츠하이머 스코틀랜드 사이에 공동의 비전을 가질 수 있었다.

B.2단계 : 자원 파악

정책 결정자에게 타당성과 확실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치매 계획에 핵심 자원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이 첨가되어야 한

다. 이것은 치매 계획에 포함시키거나, 혹은 고려해야 할 자원을 산정하여 형식화(formulation)한 것이다. 이는 광범위

한 예산 카테고리, 산정된 필요 자원들(예: 물적`인적 자원, 자본 비용), 그리고 이를 동원할 전략을 알려준다. 일단 승인

되면 산정된 자원은 실행 예산의 기초가 된다(C.2 단계 참조). 따라서 정확하고 포괄적인 자원의 측정이 매우 중요하다.

치매 담당 부서나 사무국은 재무 관리 부서나 혹은 중앙 계획 부서와 협력하여 치매 계획에 명시된 활동들을 실행할

비용과 M & E를 위한 비용을 결정해야 한다. 가용 자원 가운데 무엇을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사정이 이때 이루어

질 수 있다. WHO-CHOICE OneHealth Tool과 같은 도구는 이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3).

비용 측정의 한 부분에 자원의 근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왜 명시된 자원이 요구되는지, 이 자원들이 어떻게 사용

되어야 하며 기존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예를 들어 정신건강, 노화 등)를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상황

분석 (단계 A.1)을 통해 수집 된 데이터․는 이 근거의 이론적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자원의 이론적 근거는 치매 계획에

할당될 예산이 책정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재원이 편성됨으로써 치매 계획은 실행될 수 있으며, 예산이 다른 영역으

로 편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10,44).

Page 24: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6

공개 컨설팅의 중요성 : 호주의 교훈

Action on Dementia 2015-2019 (NaFAD)를 위한 호주의 국가 프레임 워크는 Action on Dementia 2006-2010의

프레임 워크를 토대로 만들어졌는데 여기에는 지방․ 정부도 추가되었다. NaFAD는 비젼, 근거이론, 지침 원칙 등으로 이

루어진 7대 우선 순위 활동 영역을 제」시했다. 지침 원칙과 활동 영역은 글로벌 치매 활동 계획과 밀접하게 부합되었다.

공개 컨설팅이 서비스 종사자 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가족과 함께 한 달 이상 개최되었다. 공개 컨설팅은 호주의 8

개 주와 준주를 커버할 수 있도록 16개 세션으로 이루어졌으며, 대도시와 지역 센터․가 모두 포함되었다. 과정 전체에

걸쳐서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원주민 공동체도 참여하였다.

컨설팅은 기존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이 프로그램들이 국가 치매 계획에 어떻게 정보를 제」공하는가에 초점

을 두었다. 컨설팅을 통해 치매 계획 수립에서 정부, 비정부 참가자들의 협의와 공동의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가, 지방․정부,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는 정부, 비정부 실천가들의 활동 내용을 알릴 수 있었다.

NaFAD를 합의하는 과정에서 가능한 모든 이해 관계자들의 욕구가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치매 계획의 수립이 지연되

었다. 그러나 이는 더 튼튼한 계획을 낳았으며,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가족을 포함하여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동의했

다. NaFAD는 정부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 제」공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서비스 제」공 기관은 서비스

수준을 계획하는데 이를 활용하였다.

B.3단계 : 이해 관계자 및 정치적 승인 획득

치매 계획 수립의 마지막 단계는 이해 관계자와 정책 결정자의 승인을 얻는 것이다. 일단 정부의 이해 관계자들 사이

에서 합의가 이루어지고 필요한 사항들이 결정되면, 피드백을 위해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가족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에게 치매 계획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는 공적인 컨설팅, 또는 공청회를 개최하거나, 혹은 치매 계획의 핵

심 사항을 중심으로 간단한 문서를 작성하여 이해 관계자 들에게 배포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문서는 치매 환자가 읽기

쉽도록 해야 한다. 정책이 확정되기 전에 이해 관계자들이 모든 단계에서 가능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치매는 다양한 영역에 걸친 이슈이므로 여러 부처가 치매 계획을 승인해야 한다. 예) 보건복지 장관, 경제」 장관, 주택

장관 등. 국가에 따라 계획은 내각이나 장관 회의 등의 승인을 받을 것이다(9). 승인 과정에는 정책 제」안 (즉 치매 계획)

에 대한 승인이나 재정 요청 (즉 실행 예산)에 대한 승인, 혹은 이 두 가지 모두가 포함된다.

47

Page 25: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948

.

C단계. 치매 계획 실행

실행단계는 활동을 명확히 하거나 혹은

정부가 치매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뚜렷이

밝힌다. 이 지침서의 목적상 실행 단계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운영 작업 계획 수립(Develop An Operational

Work Plan), 예산 배정(Allocate The Budget),

M & E 프레임 워크 구축(Monitor and Evaluate)

(그림 5.6 참조)

그림 5.6. 치매 계획의 실행 단계

C.1단계 : 운영 작업 계획 수립

운영 작업

계획수립

모니터링

및 평가

예산배정

STEP

C.1

STEP C.3

STEP C.2

일단 이해 관계자의 승인이나 정책 결정이 있은 후에는, 실행 프레임 워크 또는 활동 계획이라고도 할 수 있는 운영 작

업 계획 (operational work plan)이 수립될 수 있다. 운영 작업 계획은 치매 계획을 운영하는 보건 복지 체계의 각 단

계에서 이해 관계자와 파트너의 활동에 중점을 둔다 (19). 치매 계획과 달리 운영 작업 계획은 단기적이고, 담당 정부

부서의 기간별 활동 내용을 담고 있으며, 자주 검토되고 업데이트되며 편집 된다 (19). 치매 계획의 수립을 담당한 부처

가 일반적으로 운영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지만, 예산을 적절하게 배분하고 지역 사회의 리더

십을 고취하면서 보건 및 장기 요양 시스템과도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10).

운영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첫 번째 단계는 운영팀 또는 포컬 포인트(focal point)를 정하는 것이다. 운영 팀 또는 포

컬 포인트는 정부 부처들과 이해 관계자들(예 지방․ 정부, 지역 보건 당국, 지자체 등) 사이에서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그

활동을 조정하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치매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 단계에서 이해관계자들의 관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거버넌스 기구가 활용될 수 있다(44).

실행과정의 단계별 접근 : 칠레의 교훈

칠레의 국가 치매 계획은 보건 복지 종사자와 시민 사회 대표자로 이루어진 전문가 그룹이 수퍼바이저를 담당하며 수립

되었다. 이 계획은 치매 환자와 가족, 학계 및 전 사회가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보건 및 사회 복지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와 현장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에서의 격차가

드러났으며, 한편으로는 전략의 실행 파트너도 확인되었다.

치매 계획은 2017년 실행되기 시작했는데 정기적인 워킹 그룹 회의가 있었다. 이를 통해 스티그마나 데이터․ 격차 등의

한계를 추적하고 평가하며 개선할 수 있었다.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을 위해 진료, 예방․, 진단, 치료 및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일차적인 보건 의료 (PHC) 팀이 강화되었다. memory unit은 더 복합적인 치매 치료뿐만 아니라 보다 차별화된

진단과 즉각적인 치료 프로그램의 제」공을 위해 설립되었다. 또한 경증에서 중등도의 치매 환자들에게 포괄적인 치료를

제」공하고, 보호자에게 중간 휴식 및 정신 의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 사회 지원 센터․가 설립되었다. 마지막으로 지

역 사회 정신 건강 센터․에서는 치매 환자와 보호자가 필요할 때 전문 치료를 제」공한다. 현재 이 프로그램과 서비스는 10

개 지역에서 실행되고 있으며 약 7 백만 달러가 투자되었다.

상황 분석(단계 A.1 참조)에서 실시한 서비스 전달의 사정을 통해 기존의 치매 서비스, 프로그램, 보건 복지 분야 내외

의 자원, 서비스 이용 패턴의 수요나 격차 등을 알 수 있다. 운영 작업 계획은 치매, 정신 건강, 노령화, 장애 등의 문제」 가

운데 서비스를 통해 개선된 사항을 근거로 하여 작성된다. 운영 계획은 일반적으로 행렬 형식으로 간결히 작성되며 (부록

5 참조) 다음과 같은 요소 (13,19)를 포함한다.

● 치매 계획에 명시된 활동 영역이나 목표와 관련하여 활동에 대한 설명

● 전반적인 운영 작업 계획과 각 활동에 대한 일정표.

● 각 활동에서 분명한 표적, 이정표 및 관련 지표

● 각 활동에서 책임이 있는 기관(들) 또는 사람 (이상적으로는 둘 다)

● 각 활동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예상 자원과 이를 동원하기 위한 전략;

● 각 활동의 진행 상황을 측정하는 방․법(예 : 모니터․링)

Page 26: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5150

예산 계획은 각 국가의 예산주기 및 재무 구조에 따라 이루어 진다 (13,47) :

● 운영 작업 계획과 관련 활동의 총 연간 비용 계산

● 다른 차원의 보건 복지 시스템에 배정 결정

● 비상 사태나 위험 대처에 대한 부분도 예산 배정에 포함

● 이용 가능한 자금의 양에 기초하여 실행 활동과 시간 틀 조정

● 시행 일정, 비용, 매년 모집해야 할 자원 검토

정부 기관 (예: 지역 보건 당국) 뿐만 아니라 그 외의 기관 (예 : 비정부, 지역 사회 기반 클리닉) 에서도 시스템의 각 단

계마다 예산의 감독과 관리가 중요하다. 일단 예산이 승인되면 정부 부처는 합의된 예산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권한을

갖는다. 연간 시행 일정, 비용, 동원된 자원 등은 M & E를 통해 검토되어야 한다 (C.3 단계 참조).

운영 작업 계획은 유연하고 반복적이어야 하며, 보건 복지 체계의 모든 단계에서 나온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여 활

동과 일정을 조정해야 한다. 이 과정을 손쉽게 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치매 리더, 혹은 코디네이터․, 또는 사례 관

리자를 임명하여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활동을 실행하고, 보건 복지 여러 체계 간 활동을 조정 할 수 있도록 하였다

(44-46). 다른 국가들은 국가 보건 계획안에 치매를 포함시키면서 치매의 중요성, 그리고 다른 보건 시스템과의 연계

성을 강조했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운영 계획이 치매 환자나 보호자, 그리고 가족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하며, 이해 관계

자의 자문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운영 작업 계획이 실현 가능해야하며 현지

상황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운영 작업 계획은 가능한 자원을 극대화하고, 업무의 중복을 피하며, 치매 치료와 서비

스의 격차를 막아야 한다. 운영 작업 계획의 범위는 step B.3 단계에서 처럼 자원 측정을 통해 배정된 예산에 기초해서

이루어 진다 (C.2 단계 참조).

M & E의 중요성 : 프랑스에서 배운 교훈

프랑스는 2000년 치매 계획을 시작했다. 프랑스는 현재 다른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까지 범위를 확장한 네 번째 계획을

시행 중이다.

세 번째 알츠하이머 계획에 대한 모니터․링은 매우 체계적이었다. 운영위원회는 치매 계획을 감독하고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했다. 정치계 최상 부분으로 직접 연결된 이 링크는 각기 다른 부처의 동원을 쉽게 해주었다. 모니터․링 계획은 배경,

목표, 역할 및 책임, 일정, 필요 자원, 지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시간대나 자원을 조정할 수

있었다. 외부 전문가들은 세계적이고 수준 높은 평가를 실시했다.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쿠바의 교훈

쿠바가 치매 분야에서 현저한 진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기존의 계획된 자원을 바탕으로 국가 치매 계획이 수립되었

기 때문이다. 쿠바는 보편적인 의료혜택을 제」공하면서 의료와 치과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치매환

자들은 정신 건강 부서의 종합 팀과 연계되는 일반 개업의에게서 PHC 수준의 종합적인 전문 치료를 받는다. 지역 사회

를 기반으로 한 노인의학 및 노인 서비스가 168개 시에 확대되었는데, 돌봄학교 석사과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노인의학

과정이 현재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쿠바는 진단과 치료 옵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상 및 기초 연구를 강화했다.

상당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치매 관련 스티그마 극복, 돌봄 세팅에서의 성 평등 달

성, 치매에 대한 정보 시스템 개선 등이다. 또 다른 과제」는 보건 복지 종사자들이 환자와 보호자에게 보다 폭넓게 집중할

수 있도록 보건 복지 영역에서 역량을 구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치매 친화적인 지역사회와 도시를 만드는 것이 중요

한 과제」로 남아있다.

쿠바의 경험에서 배운 교훈은 보건 복지 시스템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인 예방․, 위험 감소, 다 영역 간 협력의 중요성이라

할 수 있다.

C.2단계 : 예산 배분(allocate the budget)

예산 배분에서는 단계 B.3에서 살펴보았던 산정된 자원을 바탕으로 한 예산 책정이 요구된다. 산정된 자원은 전체 또

는 부분적으로 승인될 수 있으며, 주무 부처에서 치매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할 재정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된다. 이

재정으로 운영 작업 계획 내에 있는 활동들을 지원한다. 여기에 제」시된 예산 책정 과정은 정부 차원 (즉, 국가 또는 지방․

정부)에 초점을 맞추지만, 치매 계획을 수행하는 각 조직이나 보건 복지 시스템도 유사한 단계를 거친다.

C.3단계 : 모니터링 및 평가

모니터․링 및 평가는 서비스 전달 개선, 자원 계획 및 할당, 의도한 목적에 따른 결과를 확인 하기 위해 중요하다(48).

가장 중요한 것은 실행 예산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예산 부족 또는 초과 지출 여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M & E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운영 작업 계획 혹은 자원 할당에서 어떤 부분의 조정이 필요한가를 알려준다.

모니터링은 계획이 얼마나 잘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치매 계획의 목적을 위한 지표와 표적에 근거하여 실행 과정

과 성과 (예: 치매 서비스의 기능 및 돌봄의 품질)를 확인하고, 목표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며, 과소 지출이나 혹

은 과대 지출 여부를 파악 한다(19,48,49).

평가는 치매 계획에 명시된 목표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되었는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선도 사업 기간 (예를 들

어 6-12 개월) 후에 이어질 활동의 영향을 판단하여 향후 계획과 예산을 결정한다 (19,49). 평가의 유형은 개입 내용에

상응하는 유형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구조 평가나 결과 평가, 혹은 경제」적 평가, 영향 평가 등이 있다(49,50).

Page 27: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5352

보건부처와 연구부처가 네 번째 계획을 주도했다. 지역 보건 당국들이 지역 상황에 따라 이 계획을 실행하는 데 적극

적으로 관여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고 새로운 서비스의 평가를 위해 치매 계획이 실행되기 전에 M & E의 개념화 필요

● 상황 분석을 통해 수집된 역학 자료를 활용하여 M & E의 실시가 필요

● 평가는 모니터․링과 독립적으로 조직되어야 함

● 운영위원회 또는 이와 유사한 거버넌스 기구가 모니터․링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음

● 원하는 성과의 달성은 일반적으로 예상보다 오래 걸림. 새로운 치매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실행하기 위한 일정은

현실적이어야 함. 계획에는 수단의 한계도 포함되어야 함.

측정 가능한 지표 설정 : 일본의 교훈

인구 고령화에 따른 치매 환자 수의 증가에 따라 일본 정부는 2015년 포괄적인 치매 전략, Accelerate Dementia

Measures(New Orange Plan)을 시작했다. 일본은 치매 친화적인 커뮤니티를 실현한 최초의 국가이며 12개 부처와 여

러 기관 사이의 다 영역 간 협력을 대표하는 나라다. 총리가 강력히 지지하는 뉴 오렌지 플랜은 이전 5년 오렌지 플랜에

(2012) 요약된 치매 예방․ 조치를 2025년 까지 달성하기 위해 그 과정을 가속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뉴 오렌지 플

랜의 모니터․링 내용과 지표는 다음과 같다.

I. 의료와 장기 요양 보호의 조정

1. 조기지원(early support) : 초기 단계를 위한 집중 지원팀. 지자체 내에 의료 전문가와 장기 요양 보호 전문가로 구성

된다.

2. 돌봄 종사자의 역량 개선 : 75,000명의 1차 진료 의사가 교육`훈련 및 역량 구축에 참여

3. 의료와 장기 요양 보호의 조정 : 모든 지자체에 치매 코디네이터․ 배치

II. 예방 및 치료 연구

4. 예방․ : 위험 및 보호 요인 확인, 지역 사회 차원의 예방․을 목적으로 열린 전국단위의 prospective dementia cohort

study에 1만 명의 사람들이 참여

5. 치료 : 치매 치료제」 신약 임상 실험을 위한 정신 및 신경 장애 프로젝트 완료

III. 연령 및 치매 친화적인 커뮤니티

6. 치매 서포터․즈 : 치매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이 뛰어난 1,200만 명의 치매 서포터․즈가 훈련을 받음

7. 안전 : 커뮤니티 감시 시스템, 소비자 사기 방․지 등과 같은 정부 부처의 지원

치매의 M & E 가동력 구축

상황 분석 (A.1 단계)에서 정보수집에 사용된 GDO 프레임 워크와 지표는 M & E를 포함한 정보 시스템의 강화를 위

해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치매의 M & E 가동력을 구축하는 첫 번째 단계는 상황 분석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한 데

이터․를 수집, 분석, 보고 할 국가의 가동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단계 A.1). 이 정보에서 우리는 데이터․의 유형을, 그리고

기준선, 표적, 관련 데이터․ 출처 등의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정보는 격차(치매의 기준선에서, 핵심 지표들에

서, 기술 역량에서, 데이터․ 관리 과정에서의 격차)를 보여주며, 보건 복지 분야 간 데이터․ 관리와 조정이 보다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 준다 (19).

치매 운영 팀에 M & E 책임자(focal point)를 정하는 것이 좋다. 이 책임자는 M & E 절차를 감독하고, M & E 임원

을 교육하며, M & E 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운영되는 업무의 계획 변경을 조언한다 (48,49). 이때 M & E 프레임 워

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프레임 워크는 M & E 활동이 치매 계획의 목표나 운영 작업 계획의 우선순위에 부합할 수 있

도록 하는 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M & E 프레임 워크를 통해 M & E 활동이 국가 M & E 기구나 HIS와 어떻게 연결

되는지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어야 한다. M & E 프레임 워크에는 최소한 치매 프로그램, 관련 비용, 핵심 결과나 지표,

해당 데이터․ 소스 등에 걸쳐서 M & E 코디네이터․ 과정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19). 또한 M & E 프레임 워크에는 확

인된 데이터․의 격차를 해결할 전략과, 데이터․ 수집, 관리, 분석, 사용 및 보급을 위한 절차도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19).

이때 결과와 지표는 GDO의 것과 가능한 일치되는 것이 좋다.

M & E 프레임 워크의 논리 모델(logic model)은 입력한 데이터․가 치매 관련 결과나 영향들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알

려주고, 이의 측정을 위해 사용된 지표에 대해서도 설명해 준다(부록 6 참조).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기 전에 보건 복지

시설이나 지역 사회의 클리닉, 또는 관청에서 M & E 임원이나 팀을 훈련시키는 것이 좋다. 피드백을 위해 M & E 프레

임 워크는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을 포함하여 이해 관계자들과 공유해야 한다.

수집 된 M & E 데이터․는 재무상, 운영상의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모든 이해 관계자나 파트너와 공유해야 한다. 이

는 M & E 회의나 매년 M & E 보고서를 보급하는 방․법 등으로 가능한데, 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

히 유용하다. M & E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자원을 재 할당 하면서 운영 작업 계획을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28: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5554

맺음말 용어집

치매 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은 복잡한 과정이며 다양한 분야의 역량과 여러 이해 관계자의 욕구를 고려해야 한다. 여

기에는 증거 수집에서부터․ 전략을 기획하고, 실행을 위한 자원 동원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포함된다. 치매 계획의 성

공을 위해 특히 중요한 것은 치매 환자, 보호자, 가족의 참여이다.

이 지침서는 치매 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을 위한 과정을 포괄적인 여러 단계로 나누어 한 단계씩 차근차근 접근하고

있지만, 각 국가는 자국의 자원 환경과 보건 욕구에 가장 적합한 세션을 확인하고, 적용, 조정하는 것이 좋다. 모든 치매

계획은 궁극적으로 국가나 지역 사회의 보건, 사회, 경제」 및 정치적 맥락을 반영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치매 계획

이 치매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사람들의 욕구를 해결해야 하고, 자원의 관점에서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하며, 실행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치매 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 과정은 다소 더딜 수 있으며, 정치적으로 뜻이 합쳐져야 하고, 자원 영역에서 파트너 간

의 협력이 필요하다. 치매 계획의 영향과 성과는 여러 해에 걸친 계획, 컨설던트, 지속적인 자원 동원이 있은 후에야 비

로소 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을 거친 국가의 사례는 치매 환자, 보호자 및 가족에게 건강상 긍정적인 영향과

혜택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치매 계획 준비, 수립, 실행 과정에는 다양한 장벽들과 복잡한 문제」들이 있다. 그러나 환자

의 인권, 정신 건강, 웰빙, 그리고 환자, 보호자, 가족의 삶의 질 개선은 우리가 반드시 이루어야 하는, 부인할 수 없는 동

기를 부여한다.

책임

(Accountability)

조직이나 그 구성원의 의무는 주어진 자원 조건 하에서, 투명한 과정을 거쳐 할당된

책임을 수행하면서 도출된 결과물에 응답하는 것이다.

활동 영역

(Action areas)

활동의 필요성이 있는 영역으로, 목표가 어떻게 달성될 것인지에 대해 일반적인

예측을 할 수 있다.

활동 계획

(Activity plan)운영작업계획(Operational work plan) 참조

보호자/돌봄제공자

(Carer/caregiver)

치매환자를 돌보고, 지원하는 사람

자조활동, 가사, 이동, 사회참여 등의 중요 활동들에 대한 도움.

정보의 제」공, 조언과 정서지원, 옹호활동, 의사결정, 동료지원, 사전진료계획에의 도움,

임시위탁서비스

잠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 실시

보호자/돌봄제」공자는 친인척을 포함하여 가까운 친구, 이웃, 유급고용인이나

자원봉사자까지 포함된다.

시민사회

(Civil society)

다양한 비정부기구와 비영리조직이 공적인 일을 하며, 구성원과 다른 사람들에게

윤리적, 문화적, 정치적, 과학적, 종교적 혹은 박애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들의

관심과 가치를 표현한다. 시민사회는 정부, 시장에 이어 사회의 ‘세 번째’ 세션이다.

데이터품질

(data quality)

모든 데이터․는 누락값이나 바이어스, 측정오류, 데이터․의 입력과 조작시 작업자의

실수 등과 같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데이터․의 품질 평가는 데이터․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것은 특히

보건 분야의 모니터․링을 위해 생성된 HIS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가의 보장 범위나 제」반

사항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Page 29: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5756

치매

(Dementia)

치매는 뇌의 질병이며, 만성적이고 진행적인 특징이 있다. 의식은 흐려지지 않으며,

기억력, 사고, 방․향, 이해력, 계산,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과 같이 높은 수준의 대뇌

피질 기능에 교란을 보인다.

보통 인지기능의 손상이 수반되고, 때때로 감정조절, 사회적인 행동이나 동기부여의

약화가 선행된다.

이 증상은 알츠하이머, 뇌혈관 질환, 그리고 운동신경질환, 프라이온병, 파킨슨병

등 관련 장애, 헌팅턴병, 척수소뇌성 실조증, 척수근육위축질병 등과 같이 뇌에

일차적이거나 이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발생한다.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에서 치매와 관련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CD-9: 290, 330–331: ICD-9 BTO: B222, B210: ICD-10:

F01, F02, F03, G30–G31.

치매계획

(Dementia plan)

치매로 인한 부담 감소를 위해 일련의 원칙, 목표, 행동을 서면으로 정리한 것.

치매계획은 치매에 특화시켜 독립적으로 설계하거나 다른 정신건강, 노화,

NCD(만성비감염성질환), 혹은 다른 질병 계획과 통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장애

(Disability)

장애는 손상, 활동제」약, 참여제」약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손상은 신체기능과 구조에

관한 문제」이다. 활동제」약은 개인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거나 활동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참여제」약은 생활의 각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

(Evaluation)

치매계획의 주요 결과와 이와 관련된 다른 영향요인을 추적하고, 목적과 목표의 달성

정도를 측정하는 프로세스.

재원

(Financial resources)자원(Resources) 참조

프레임워크

(Framework)증거중심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침의 원칙 제」공

세계치매통제기구

(Global Dementia

Observatory, GDO)

WHO의 세계치매통제」기구(GDO)는 치매의 돌봄과 치료를 위한 건강시스템

및 관련 정책의 강화를 목적으로, 모니터․링과 지식을 교환하는 플랫폼이다.

세계치매통제」기구(GDO)는 http://www.who.int/mental_health/neurology/

dementia/Global_Observatory/en/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포탈은

http://apps.who.int/gho/data/node.dementia이다.

목적

(goal)달성해야 할 예상 결과물에 대한 광범위한 설명.

거버넌스

(Governance)

다부문적인 용어로서 의무감, 투명성, 책임, 형평성, 포괄성과 권한을 보장하는 협력

구조이며, 치매계획의 구성과 수립을 감독·실행하는 프로세스.

지침원칙

(Guiding principle)

치매계획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합의된 일련의 지시나 가치. 윤리적이고 전략적이어야

하며, 문화적·윤리적·종교적·사회적 그룹, 혹은 국가, 종교, 조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건강정보시스템

(Health information

system, HIS)

건강 관련 분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 분석, 종합, 활용, 배포 하는 프로세스이다.

여기에는 건강관리영역의 의사결정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이나 품질 관리

관련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건강관리시스템

(Health (care)

system)

a) 건강의 증진, 회복과 유지를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 혹은 b) 정책에

따라 구성된 사람·기관·자원으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건강을 향상시키는 한편,

병으로 인한 손실비용에 대처하며 건강개선 기능을 수행.

인적자원

(Human resources)자원(Resources) 참조

치매환자의 인권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ementia)

인권 보호를 위해 제」한적 돌봄의 최소화, 정보에 입각한 치료 동의, 비밀유지, 가능한

한 결박과 격리를 하지 않도록 하며, 자발적·비자발적 입원과 치료 절차, 퇴원절차,

불만 및 항의 절차, 직원에 의한 학대로부터․ 보호 등과 같은 관련 활동.

치매환자 인권은 시민, 정책,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체 스펙트럼에서 광범위하게

접근한다.

실행

(Implementation)의사결정이나 계획을 실행하는 프로세스

실행 프레임워크

(Implementation

framework)

운영작업계획(Operational work plan) 참조

Page 30: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5958

지표

(indicator(s))

치매계획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영향, 성과, 산출물과 투입물을 측정하여 목표달성을

평가하는 것. 지표는 모니터․링과 평가 프레임워크에서 목표달성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통합

(integrated)치매계획(Dementia plan) 참조.

리더십

(Leadership)

치매계획과 관련하여 계획, 운영, 평가 전반에 걸쳐서 사람들이나 조직을 이끌어가는

행동을 의미한다. 리더십은 정치적, 행정적, 임상적일 수 있다.

법령

(Legislation)

국가의 관리조직에 의해 규정된 법이나 법체계.

법령은 치매 자체나 치매환자와 관련한 법적조항을 의미한다.

장기요양

(Long-term care)

내재된 능력의 많은 부분이 손실되었거나 손실될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 기본권,

자유, 인간존엄을 지키며 일정한 수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

장기요양시스템

(Long-term care

system)

장기요양의 국가보장시스템으로, 저렴한 비용, 서비스의 적절성, 접근성을 비롯하여

환자와 보호자의 권리를 지지하는 특징이 있다. 장기요양시스템은 보건복지서비스 및

기타 관련 분야의 모든 활동들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Monitoring)

모든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지속적인 활동. 치매계획이 잘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문제」의 신속한 확인과 해결을 돕는다.

모니터링 및 평가

(Monitoring and

evaluation(M&E))

활동이 얼마나 잘 수행되고 있는지,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지 등 역할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평가는 자금제」공기관과 이해관계자에게 있어

중요한 책무 중 하나이다.

모니터링 및 평가

프레임워크

(Monitoring and

evaluation(M&E)

framework)

투입, 과정, 산출, 결과물, 영향을 포함한 핵심적인 지표의 확인. 때때로

논리모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니터링 및

평가 계획

(Monitoring and

evaluation(M&E)

plan)

M&E(모니터․링 및 평가)활동이 국가의 M&E 메커니즘, 그리고 건강정보시스템(HIS)이나

치매계획의 목표와 얼마나 잘 조화되는 지가 중요하다.

모니터․링 및 평가 계획은 치매관리프로그램에서 M&E 활동, 치매계획의 주요 성과,

지표 및 관련 데이터․, 데이터․ 격차 해결, 데이터․ 관리, 분석, 사용과 배포를 위한 절차

등 프로세스 전반의 계획을 세운다.

다영역

(Multisectoral)

정부, NGO, 영리 민간부문, 보건부문 내․외의 시민사회 등 사회의 다양한 기관과

조직들이 포함된다.

다영역간 협력

(Multisectoral

collaboration)

보건 영역을 넘어서서 수행되며, 보건분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협업활동으로 상호

이익을 공유한다.

비전염성질환

(Noncommunicable

diseases(NCDs))

비전염성질환은 사람 간 전염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며 일반적으로 진행속도가

느 리 다 . N C D 에 는 심 장 혈 관 질 환 ( 예 를 들 면 심 장 발 작 이 나 뇌 졸 중 ) , 암 ,

만성호흡기병(예를 들면 만성폐쇄성 폐질환이나 천식), 그리고 당뇨병 같은 4가지

유형이 있다.

비정부조직, 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NGO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기 위해 조직되고 운영된다. NGO는 다양한

목표를 가지며, 비영리단체로서 운영된다. NGO는 국제」적인 수준이나 국가차원,

지역기반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과업중심적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봉사활동과 인도주의적 기능을 수행한다. NGO단체에는 자선단체,

선교단체, 신앙단체, 소비자단체 등이 있다.

목표

(Objective)계획의 실행을 통해 일반적으로 달성되는 것으로 보통 표적과 기간이 수반된다.

운영작업계획

(Operational

work plan)

치매계획을 운영하기 위해 보건복지시스템의 이해관계자와 파트너가 취해야 할

구체적인 단계와 활동. 실행프레임워크, 활동계획이나 업무계획이라고도 한다.

성과

(Outcome)치매계획의 활동과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

Page 31: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6160

산출

(Output)치매계획의 활동과 과정에서 생산된 것.

파트너

(Partner)공통의 목표와 이해를 얻기 위해 함께 일하는 개인, 단체 혹은 조직.

우선순위결정

(Priority setting)합의된 평가 기준에 의해, 어떤 이슈가 우선되는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

민간부문

(Private sector)

국가가 소유하거나 통제」하지 않는 상업, 산업, 이윤 추구 기업 등으로 이루어진 국가

경제」의 한 부문.

민간비영리단체

(Private,not-for-

profit entity)

후원자나 투자 수입 등을 통해 제」한적으로 재정지원을 받는 비영리조직. 이와 같은

조직은 대체로 일반 대중에게 재정지원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인 재단을 들 수

있다.

근거

(Rationale)치매계획 수립의 당위성 및 치매 예방․과 치료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자원

(Resources)

치매계획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인적자원과 재정자원을 말한다. 인적자원은 필요한

직원의 수와 스킬믹스(인력구성혼합)를 의미한다. 인적자원은 정책 및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인력처럼,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지는 않아도 건강시스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비롯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사회복지사, 개인 고용인,

지역사회보건종사자, 보건의료서비스제」공자와 같이 보건․사회분야 돌봄제」공자

모두를 의미한다.

자원할당

(Resource

allocation)

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결정하고 제」공하는 프로세스. 자원할당에는 재정자원

(현금), 자본자원(빌딩이나 컴퓨터․ 하드웨어 같은), 인적자원(필요한 직원의 수나

요구되는 스킬믹스)의 준비가 포함된다.

위험요소

(Risk factor)

치매 같은 특정 질병의 원인이 되거나, 질병 위험을 높이는 사회적․경제」적․생물학적인

상태, 행동, 환경.

범위

(scope)치매계획의 범위. 즉, 치매계획이 포괄하는 것과 포괄하지 않는 것.

서비스제공자

(service provider)사회서비스와 건강관리제」공자 모두를 포함한다. 각각의 정의를 참조.

상황분석

(Situational analysis)

보건영역 내․외의 현재 상황을 파악. 정부의 정책․전략․계획을 설계하고 업데이트

하는데 토대가 된다.

사회적 돌봄

(Social care)

개인적인 돌봄이나 가사관리와 같은 일상생활 활동을 돕는 것.

가정 및 지역사회지원서비스라고도 한다.

사회적 돌봄 종사자

(Social care

provider)

노환, 질병, 손상 같은 생물학적․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간호․간병을 전문적으로 제」공한다. 사회적 돌봄 종사자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의사․간호사 등 기타 보건 전문가들이 수립한 돌봄, 치료, 위탁계획의 실행을 돕는다.

사회적 돌봄 종사자는 간호학 관련 학위를 받고 현장실습을 받는다.

독립형

(Stand-alone)치매계획(Dementia plan) 참조

이해관계자

(Stakeholder)

치매환자에 대한 건강관리서비스나 혹은 서비스 제」공기관과 관련이 있는 개인, 집단,

단체.

전략적 제휴

(Strategic alignment)치매계획과 그 요소를 기존의 정치적 우선 순위나 투자에 연계시키는 프로세스.

전략적 프레임워크

(Strategic

framework)

비전, 지침원칙, 목적, 목표와 활동영역 등 치매계획수립의 핵심요소를 정치적

우선순위에 연계시키고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강조한다.

구조

(Structure)

일반건강, 정신건강, NCD, 장애, 노화 등에 대한 독립형 계획이나 통합형 계획, 혹은

전략계획과 운영계획 같은 치매계획의 형태를 말한다.

Page 32: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6362

지속가능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GDs))

2015년 9월 15일에 세계 정상들에 의해 17개 목표가 채택되었다. SDGs는 2016년

1월 1일 발효되었고, 향후 15년 동안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development-

agenda/를 통해 알 수 있다.

표적

(Target)목표수준 또는 달성해야 하는 상태

타임프레임

(Time frame)

치매계획의 활동, 프로젝트, 프로그램이나 계획이 시간상으로 언제」 완성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것.

보편적의료보장

(Universal health

coverage)

보편적의료보장은 모든 사람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지 않고도 필요한

건강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증진, 예방․ 및 치료, 재활 및

완화치료를 포함하여 필수적이고 질 높은 건강서비스를 포괄해야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WHO의 UHC보고서(http://www.who.int/mediacentre/

factsheets/fs395/en/)를 통해 참조할 수 있다.

비전

(Vision)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이후에 도달할 수 있는, 바람직한 미래에 대한 광범위한

성명.

부 록

부록 1: 치매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다음 체크리스트는 치매계획의 준비, 수립, 실행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를 설명하고 있다. 이 체크리스트는 전반에 걸쳐

단계적 접근법으로 구성되었다.

핵심공통 요소

A단계 : 치매계획을 위한 준비

리더십, 거버넌스, 다 영역 간 협력체계

□ 리더(예를 들면, 치매의 포컬포인트, 협력팀이나 사무국)는 분명한 역할과 책임이 있다.

□ 여러 분야에 걸친 파트너 기관이나 정부 부처, 협력자들이 확인되고, 역할과 책임범주, 협업을 위한 공동

계획이 수립된다.

□ 이해관계자 참여는 치매환자, 보호자, 가족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에 걸친 이해관계자가 포함된다.

그리고 대외적인 자문위원회나 이사회 등의 공식적인 이해관계자 메커니즘이 포함된다.

□ 인권, 젠더, 공평 분야 전문가가 포함된다.

Step A.1: 상황분석

□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상황분석 데이터․, 서비스 전달, 역학적 평가들은 세계치매통제」기구(GDO)를 통해

수집된다.

□ 이해관계자의 도표 작성.

□ 이해관계자는 상황분석, 욕구의 확인이나 격차와 관련하여 피드백을 제」시한다.

Step A.2: 우선순위 선정

□ 우선순위는 증거기반으로, 타당성, 수용가능성, 적절성 등을 기준으로 고려하며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정된다.

□ 우선순위는 이해관계자들의 기준에 따라 평가된다.

□ 상황분석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한다.

2017-2025 글로벌치매활동계획의 다음 전략적 행동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한다.

□ 공중보건 우선순위인 치매

□ 치매 인식과 이해

□ 치매위험 감소

□ 치매의 진단, 치료, 돌봄 및 지원

Page 33: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6564

C단계 : 치매계획의 실행

Step C.1: 운영작업계획의 수립

□ 정부 부처의 리더나 주체가 확인된다.

□ 운영팀이나 중점사항이 확인된다.

□ 파트너나 이해관계자들(특히 치매환자와 보호자)과의 협의에 의해 실현가능하며 효율적인 운영작업계획이

수립된다.

□ 운영작업계획은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각 활동 영역 내의 모든 활동들에 대한 설명

□ 전반적인 업무계획과 각 활동을 위한 일정표

□ 명확한 목표, 각 활동들에 대한 이정표와 연관 지표들

□ 각 활동들에 대해 책임이 있는 기관 또는 사람

□ 각 활동들에 필요한 자원

□ 각 활동들을 측정/모니터․링하는 방․법

Step C.2: 예산 배정

□ 예산은 자원의 예측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Step B.2.참조).

□ 예산은 정부가 승인한 재정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 예산은 정부의 재정구조 및 예산주기와 일치한다.

□ 모든 관련된 파트너(즉, 보건부처, 다른 정부 부처, 그리고 운영파트너들) 및 시스템의 각 수준(예를 들면 국가,

지역, 시)에서 예산의 감독, 관리, 책임의 확인

□ 예산프로세스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 운영작업계획과 각 활동들의 총 연간 비용은 매해 산정된다.

□ 다른 수준의 보건 복지시스템에 대한 할당이 결정된다.

□ 운영상의 활동들과 타임프레임은 사용가능한 재원의 양을 바탕으로 조정된다.

□ 실행일정표, 비용, 자원동원은 매년 재검토된다.

□ 예산의 배정을 운영파트너들과 공유한다.

Step C.3: 모니터와 평가

□ 수집된 데이터․의 식별유형, 출처, 지표, 데이터․의 격차나 기회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보고하는 국가의

역량을 결정한다.

□ M&E 포컬포인트는 M&E 절차를 감독하고 M&E 요원을 양성하고, 운영작업계획의 변경을 조언한다.

□ M&E프레임워크는 논리모델을 사용하여 수립된다.

M&E활동은 GDO 치매계획의 목표, 그리고 운영상의 우선순위와 일치하는 M&E 활동에 중점을 두며, 관련

비용이나 예산배정과도 연결되는 치매프로그램 전반의 조정과정이다.

2017-2025 글로벌치매활동계획의 다음과 같은 핵심원칙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한다.

□ 치매환자의 인권

□ 치매환자와 보호자의 사회적 참여 및 임파워먼트

□ 치매위험의 감소와 돌봄을 위한 증거기반 실천

□ 공중보건 영역의 다분야 간 협력

□ 보편적인 보건 사회보장

□ 공평

□ 치매의 예방․, 치료, 돌봄을 위한 적합한 대응

B단계 : 치매계획 수립

Step B.1: 전략적 치매관리 프레임워크

□ 치매계획의 범위

전략적 프레임워크는 다음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 비전

□ 지침원칙

□ 목적

□ 목표

□ 활동영역

□ 이해관계자들(특히 치매환자, 보호자, 가족)이 전략적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여한다.

□ 치매계획이 어떻게 실행되고, 모니터․링되고, 평가되는지에 관한 개요가 포함되어 있다.

Step B.2: 자원 결정

□ 치매계획에는 광범위한 예산 범주, 특정 활동에 필요한 자원, 자원동원전략, 자원의 출처에 대한 예측이

포함된다.

□ 치매계획에는 지정기여에 대한 예산요청이 포함된다.

Step B.3: 이해관계자와 정치적 승인

치매계획은 다음에 의해 승인된다(해당되는 모든 것을 고르시오):

□ 보건부처의 이해관계자

□ 다른 정부 부처의 이해관계자

□ 치매환자, 보호자, 가족

□ 이외 다른 이해관계자들

□ 보건부처

□ 다른 정부 부처

□ 국가지도자

Page 34: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6766

□ 논리모델의 특정 지표와 일치하는 데이터․소스는 시스템에서 투입이 어떻게 산출물과 성과, 영향을 이끌어

내는지를 나타낸다.

□ 프레임워크는 이해관계자와 공유되며, 그들의 피드백을 반영한다.

□ 수집된 데이터․는 M&E미팅과 연간 M&E보고서를 통해 공유된다.

부록 2: 이해관계자 도표 도구

이해관계자 도표 도구는 치매계획의 수립과 실행에서 이해관계자를 확인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영향을 도표화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구의 사용

1. 치매관련 이슈나 치매계획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유형별로 나타낸다. 필요에 따라 이

해관계자 범주를 추가할 수 있다.

2. 이해관계자 카테고리는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들을 나열한다. 예를 들면, 특정 국가나, 지방․정부, 선출공무직, 보건복

지종사자, 지역사회지도자, 치매환자, 보호자와 가족들, 연구기관, 건강보험사, 국제」원조기구 등.

3. 치매계획에 대한 각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의 수준을 나타낸다.

●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할 수 있다 : 1=매우 관심 있다, 2=다소 관심 있다, 3=관심이 없다.

● 만약 “매우 관심 있다”나 “다소 관심 있다”인 경우 추가 설명을 해주시오. 만약 “관심이 없다”인 경우 이유를 말해

주시오.

4. 치매계획에 대한 각 이해관계자들의 영향의 수준을 나타낸다.

●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할 수 있다. : 1=매우 영향력 있다, 2=다소 영향력 있다, 3=영향이 없다.

● 만약 “매우 영향력 있다”나 “다소 영향력 있다”인 경우 추가 설명을 해주시오. 만약 “영향력이 없다”인 경우 이유를

말해주시오.

5. 이해관계자 집단의 패턴을 살펴보고 착수한다.

● 매우 관심이 높고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들은 파트너로서 적합한 사람이다. 이들은 실무단체나 위원회, 혹은 실

행팀을 구성하여 치매계획의 수립과 실행에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관계자들은 정부나 광범위한 정책 영

역에서 치매계획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 영향력은 있지만 관심이 없는 이해관계자들은 치매계획의 수립과 실행의 중요성, 그리고 가치를 설득해야 할 활동

가들이다. 왜 치매계획이 그들의 우선순위에 놓이며 그들의 아젠다와 부합하는지 증거를 활용하여 입증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유명인의 영향력은 이

해관계자그룹과 소통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매우 관심이 높지만, 영향력이 없는 이해관계자들은 치매나 치매 관련 이슈로 인해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정책결정과정을 이끌어내거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능력이 없다.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은 치매계

획의 수립과 실행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무시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을 지속적으로 참여시키는

매커니즘이 구현되어야 한다.

● 관심과 영향력이 모두 없는 이해관계자는 치매에 관해 잘 모르거나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사람들이다. 만약 그들이

치매계획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위의 세 가지 형태의 이해관계자 집단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Page 35: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6968

활동영역 활동 우선순위기준

공공보건

우선순위인

치매

□건강관리와 사회적돌봄영역 전반의 핵심욕구, 격차, 기회,

이해관계자 확인

□ 부처 대표자와 치매대표

□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세스의 개발/실행

□ 치매계획의 실행을 위한 정부전용자금의 확보/할당

□ 치매의 돌봄/지원을 위한 정부 지침이나 표준을 수립/실행

□ 기타:

치매에 대한

인식과 이해

□ 치매에 대한 대중의 인식개선 캠페인 개발/실행

□ 치매의 친화성을 위한 사회적․물리적 환경개선의 개발/실행

□ 치매교육과 훈련의 개발/실행

□ 기타:

치매위험감소

□ 치매위험감소정책(치매 관련 또는 기타)

□ 위험감소 지침 개발/실행

□ 보건․복지 종사자들을 위한 치매위험감소 지침의 개발/실행

□ 기타:

치매 진단, 치료,

돌봄 및 지원

□ 치매진단 비율의 모니터․링과 보고

□ 지역사회기반 치매서비스의 실행

□ 지역사회기반 치매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 부문간 치매돌봄메커니즘의 개발/실행

□ 기타:

부록 3: 범위와 우선순위설정 도구

다음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활동 범주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를 사용하여 각 활동 영역에서 당

신이 수행할 활동들을 고르시오. 이러한 활동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음 목록에서 당신이 사

용하고 싶은 다른 기준을 선택하시오.

증거기반, 타당성(재정자원과 인적자원에 관한), 수용성(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적절성(정책순위에서). 다른 우선 순위

기준으로는 질병 부담, 비용효율성, 공정성, 상황적 요인(P.62 참조)를 예로 들 수 있다.

관심 영향

이해관계자 유형 이해관계자

레벨

(1=매우 관심이

있는, 3=관심이

없는)

설명

레벨

(1=매우 영향이

있는, 3=영향이

없는)

설명

정부

서비스제공자

시민사회

학술기관 및

연구기관

개인, 영리 단체

국제, 지역, 소지역

조직

미디어

기타(구체적으로)

소스 : (49,54).

Page 36: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7170

우선순위 기준을 위한 추가 샘플

질병 부담

조기사망으로 인해 발생할 수명손실연수와 병으로 인한 수명손실연수를 합한 시간 기반 측정.

● 해당 활동이 가장 광범위하고, 심각하며, 긴급한 욕구를 해결하는가?

● 해당 활동은 치매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가?

● 해당 활동은 이해관계자 집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치매의 영향을 받는 다른 하위집단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치매로 인한 부담이나 사회경제」적 정치적 상황에 기초

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비용효율성

치매관련 활동이 비용측면에서 가장 가치있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척도.

● 치매관련 활동이 비용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될 수 있는가?

● 우선순위 운영을 위해 충분한 자금을 할당하고, 동원하고, 재지정할 수 있는가?

● 그러한 활동들의 선택에 따른 위험과 기회비용은 무엇인가?

● 그러한 활동이 기대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 그러한 활동은 해당 인구집단, 지역, 환경에 얼마나 적절하며, 또한 보편화될 수 있는가?

● 해당 활동들이 얼마나 빨리 실행될 수 있으며, 변화는 얼마나 빨리 일어나야 하는가?

공정성

부당함이나 편견없이, 정당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동등하게 사람들을 대하는 것.

● 해당 활동은 치매환자, 보호자, 그리고 가족의 욕구와 기대, 인권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 해당 활동이 사회적 취약자들(예를 들면, 장애인이나 노인, 이주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해당 활동은 성평등을 어떻게 지지하는가?

● 해당 활동이 다양한 지리적 영역(예를 들면, 도시나 농촌 또는 외딴 지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

● 해당 활동이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 서비스, 개입(예를 들면, 치매 예방․과 관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활동영역 활동 우선순위기준

치매보호자를

위한 지원

□ 치매돌봄서비스의 개발과 실행

□ 보건복지종사자의 돌봄스트레스 감소 지침의 개발과 실행

□치매환자 보호자들의 재정적 이익과 사회적 보호정책의 수립과

실행.

□ 기타:

치매정보시스템

□ 치매환자의 수를 모니터․링하는 메커니즘 개발/실행

□ 치매를 위한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의 개발과 실행

□ 기타:

치매연구와 혁신

□ 치매연구 아젠다의 수립과 실행

□ 치매연구에 대한 정부자금의 확보와 배정

□ 치매환자를 연구에 참여시키는 프로세스의 개발/실행

□ 기타:

Page 37: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7372

상황적 요인

치매활동이 국가나 국제」정치에 미치는 영향.

● 해당 활동은 정신건강, 노화, NCD, 장애와 같은 국가나 지방․정부 차원의 보건 우선순위와 어떻게 일치 하는가?

● 해당 활동은 정부의 더 광범위한 우선순위와 어떻게 일치하는가(예를 들면, 노인친화도시, 도시계획, 빈곤감소 등)?

● 해당 활동은 국제」 조약과 어떻게 일치하는가(예를 들면, CRPD, SDG, 글로벌치매활동계획, 정신건강, NCD, 장애,

건강 및 인권, UHC)?

● 해당 활동을 어떻게 정치적으로 드러나게 할 것인가?

● 해당 활동의 승인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떤 정치적인 요인이 있는가(예를 들면, 선거, 정권교체)?

● 국가의 치매관련 프로세스 수립에 이해관계자 집단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영역 관련 GDO지표

정책

1. 치매 거버넌스

2. 치매정책

3. 치매 관련 법령

4. 치매 표준지침/가이드라인/프로토콜

5. 치매 돌봄 코디네이션

17. 치매 연구 아젠다

18. 치매 연구 투자

서비스전달

6. 치매관련 보건 복지 인력

7. 치매진단율

8. 치매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9. 치매관련 시설

10. 항치매 약물과 돌봄관련 용품

11. 치매전문 NGO

12. 보호자 지원서비스

13. 치매 인식개선 및 위험 감소 캠페인

14. 치매 친화적인 환경

15. 치매 교육과 훈련

역학

21, 22. 추정 치매 유병률과 발생율

23, 24. 치매로 인한 사망 및 수명손실연수

25, 26. 질병보유기간과 장애적응생활기간

27. 치매로 인한 총 경제」적 비용

28-35. 치매 위험 요인의 유병률

이해관계자 해당사항 없음

부록 4: 상황분석과 GDO지표의 일치

아래 표는 상황분석과 관련하여 GDO지표를 중심으로 하였다(Step A. 1). 이 사정에는 정책, 서비스 전달, 역학 및 이

해관계자 도표가 포함된다.

소스 : (30).

Page 38: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7574

활동영역 투입 산출 성과 영향

공공보건

우선순위

치매에 대해

범정부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접근방․식의

공공보건개발

치매계획(독립형,

통합형)의 수립

및 실행을 위한

정부지원금의 책정

돌봄 코디네이션 을

위한 매커니즘

치매환자의 복합적인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접근

치매환자와 보호자의

생활지원과 아울러,

자신들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존엄과 존중,

자율성과 공정성을

갖춘 돌봄과 지원을

받는다.

치매인식개선

및 이해

치매인식개선과

치매친화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국제」적인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실시

치매교육과 훈련

치매환자의 신체적/

사회적 환경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니셔티브

치매환자의 자율성과

사회적 참여의 증진

치매위험의

감소치매위험 감소 활동

치매위험감소

프로그램(NCD

프로그램 실행과 연계)

치매위험감소에

따른 건강 생활습관

치매 진단,

치료, 돌봄,

지원

치매 진단, 치료,

돌봄, 지원 서비스의

지속적 제」공

치매환자를 위한

사람중심의 통합

돌봄방․안 수립

보건복지종사자를 위한

훈련과 관련 예산배정

치매환자가

커뮤니티에 머물면서

기능적인 능력과

독립성을 유지

보호자 지원보호자를 위한

지원제」공

보호자훈련프로그램을

포함한 보호자

지원서비스

보건복지종사자에 대한

훈련프로그램 실시

보호자지원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예산 배정

보호자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안녕의 향상

치매정보

시스템

치매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개발

치매의 일상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치매에 대해 일상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적절한

메커니즘.

치매서비스 이용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치매연구치매연구 실시와

기술혁신 개발

치매연구 아젠다 개발과

공동연구.

치매연구를 위한 예산

배정.

치매환자 및

돌봄서비스제」공자,

가족이 연구에 참여.

치매 치료와 돌봄의

발전

활동영역 활동비용

(US백만달러)재원

동원

(US백만달러)수행자

완료

날짜/상태

목표 1. 치매인식개선 및 치매친화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치매인식

개선과 친화

국가와 지역의 공공보건과

인식개선 캠페인 조직5 보건․복지부 2.75

국가/지역

알츠하이머 관련 단체/

NGO

완료

존중과 지지, 안전보장,

통합과 돌봄이 주거지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령친화적이고

치매친화적으로 지역과

건물의 환경 개선

20 재정부 10보건․환경․국토교통부

진행중

커뮤니티, 공공, 개인 영역

에서 치매친화적인 인식을

장려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2.5 보건부 0.25 지역 의료 당국

진행중

2017.12

2017.12

목표 2. 치매위험감소 조치의 실행

치매위험

감소

치매 및 다른 NCD 위험의

감소와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정책, 캠페인

2 보건부 0.5 지역 의료 당국 2020.12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치료 및 훈련의 개발, 제」공

및 촉진

3.5 외국기부자 3.5 지역 병원 2020.1

부록 6: M&E 논리모델 예시

아래 도표는 투입, 산출, 성과, 영향을 나타낸 M&E 논리모델의 예시이다. 이 M&E 논리모델은 글로벌치매활동계획과

부합한다.

부록 5: 치매운영작업계획의 예

아래 표는 치매운영작업계획의 예시이다.

Page 39: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777671

15. Chile’s Plan Nacional de Salud Mental. Ministerio de Salud; 2017 (http://www.minsal.cl/wp-content/

uploads/2017/06/Borrador-PNSM-Consulta-P%C3%BAblica.pdf, accessed 17 April 2018) (in Spanish).

16.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online database]; 2011 (http://www.mindbank.

info/item/491, accessed 10 April 2018).

17. Stratégie nationale en matière de démence 2014-2019. Confédération suisse, Office Fédérale de la Santé Publique;

2014.

18. Tasmanian Government (2015). Rethink mental health. Bette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 A long-term plan for

mental health in Tasmania 2015-2025 (http://www.dhhs.tas.gov.au/mentalhealth/rethink_mental_health_project,

accessed 16 April 2018).

19. Schmets G, Rajan D, Kadandale S, editors. Strategizing nation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a handbook.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20. Baker K, Irving A. Co-producing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dementia through social prescribing.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2016;50(3):379-397.

21. A framework for national health policies, strategies and plan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22. Dementia Plan 2020 - A More Dementia-friendly Society [website]. Norwegian Ministry of Health and Care

Services; 2016.

23. Storm I, den Hertog F, van Oers H, Schuit AJ. How to improve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health sector and

other policy sectors to reduce inequalities? - A study in sixteen municipalities in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2016;15:97.

24. Resource guide multisectoral coordination [websit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4

(https://www.healthpolicyproject.com/pubs/272_MultisectoralCoordinationResourceGuide.pdf, accessed 18 April

2018).

25. Williams P. The component boundary spanner. Public Administration. 2002; 80(1):105.

26. Hankivsky O, Cormier R. Intersectionality and public policies: some lessons from existing models.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2011;64(1):217-229.

27. Comprehensive Strategy for Promoting Dementia Measures in Japan (New Orange Plan).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5 (http://www.mhlw.go.jp/file/06-Seisakujouhou-12300000-Roukenkyoku/nop1-2_3.pdf,

accessed 17 April 2018) (in Japanese).

28. Welsh Government. Dementia Action Plan for Wales 2018-2022; 2018

(http://gov.wales/topics/health/nhswales/mental-health-services/policy/dementia/?lang=en, accessed April 24,

2018).

29. van Herten LM, Reijneveld SA, Gunning-Schepers LJ. Rationalising chances of success in intersectoral health policy

making. Journal of Epidemiological Community Health. 2001;55:342-47.

30. Global Dementia Observatory. Reference guid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31. Jordan, AJ, Turnpenny, JR. The tools of policy formulation: actors, capacities, venues and effects.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2015.

70

References

1. WHO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2. The epidemiology and impact of dementia: current state and future trend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WHO/MSD/MER/15.3; http://www.who.int/mental_health/neurology/dementia/dementia_thematicbrief_

epidemiology.pdf, accessed 17 April 2018).

3. Dementia.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site]; 2017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62/en/,

accessed 17 April 2018).

4. Dementia: number of people affected to triple in next 30 years.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site]; 2017 (http://

www.who.int/mediacentre/news/releases/2017/dementia-triple-affected/en/, accessed 17 April 2018).

5. Mental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site]; 2018 (http://www.who.int/mental_health/neurology/

dementia/en/, accessed 17 April 2018).

6. World Alzheimer report 2015. The global impact of dementia: an analysis of prevalence, incidence,

cost and trends. London: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2015 (https://www.alz.co.uk/research/

worldalzheimerreport2015summary.pdf, accessed 17 April 2018).

7. Quality indicators for dementia.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ttp://www.

oecd.org/els/health-systems/Item-4c-HCQI-dementia-OECD.pdf, accessed 17 April 2018).

8. Addressing dementia. The OECD response. OECD Health Policy Studies.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

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9. Schopper D, Lormand JD, Waxweiler R, editors. Developing policies to prevent injuries and violence: guidelines for

policy-makers and planne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10. Rosow K, Holzapfel A, Karlawish JH, Baumgart M, Bain LJ, Khachaturian AS. Countrywide strategic plans on

Alzheimer’s disease: Developing the framework for the international battle against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 Dementia. 2011;7:615-621.

11. Bond J, Stave C, Sganga A, O’Connell B, Stanley RL. Inequalities in dementia care across Europe: key findings of

the Facing Dementia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5;59(S146):8-14.

12. Howlett M. Designing public policies: principles and instruments. New York: Routledge; 2011.

13. Mental health policies, plans and programmes (updated version 2).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14. Accessible mental health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guide for providers.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online database]; 2014 (https://www.mindbank.info/item/6690, accessed 17

April 2018).

Page 40: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797873

47. Planning and budgeting to deliver services for mental health (Mental Health Policy and Service Guidance

Packag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48. mhGAP operations manual.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unpublished data and observations; 2017.

49.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mental health policies and plans (Mental Health Policies and Service Guidance Packag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50. Types of evaluation [website].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std/Program/pupestd/Types%20of%20Evaluation.pdf, accessed 17 April 2018).

51. Consultations with civil society. A sourcebook. The World Bank Group; 2007.

52. Education. Concept of governance [websit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7 (http://www.unesco.org/new/en/education/themes/strengthening-education-systems/quality-framework/technical-notes/concept-of-governance/, accessed 17 April 2018).

53. Mosse R, Sontheimer LE. Performance monitoring indicators handbook. World Bank Technical Paper; 1996.

54. Global mental health policy influence toolkit (Tool 1 Mapping policy-makers, influencers and other stakeholders; Tool 2 Creating a policy influence plan).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and Mental Health Innovation Network; 2015 (https://www.odi.org/sites/odi.org.uk/files/odi-assets/publications-opinion-files/9661.pdf, accessed 17 April 2018).

72

32. Hogwood BW, Gunn LA.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33. Meeting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World

Health Organization, 11-12 December 2017, Geneva.

34. National Framework for Action on Dementia 2015-2019 [website]. Australian Government’s Department of Health;

2015 (https://agedcare.health.gov.au/sites/g/files/net1426/f/documents/09_2015/national-framework-for-action-

on-dementia-2015-2019.pdf, accessed 17 April 2018).

35. Finland’s National Memory Plan 2012-2020: A memory friendly country [website]. Ministry of Social and Health;

2012 (http://julkaisut.valtioneuvosto.fi/bitstream/handle/10024/72532/URN%3aNBN%3afi-fe201504226359.

pdf?sequence=1&isAllowed=y, accessed 17 April 2018) (in Finnish).

36. National Strategy. Management of Alzheimer’s and Other Dementia Diseases: towards Healthy and Productive

Older Persons [website]. Republic of Indonesia: Ministry of Health; 2015 (https://www.alz.co.uk/sites/default/files/

plans/Indonesia.pdf, accessed 17 April 2018).

37. Plan de acción Alzheimer y otras demencias, México 2014 [website]. Instituto Nacional de Geriatría; 2014 (https://

bpo.sep.gob.mx/#/recurso/3456, accessed in 9 April 2018) (in Spanish).

38. National Plan to Address Alzheimer's Disease: 2015 Update [websit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5 (https://aspe.hhs.gov/national-plan-address-alzheimers-disease-2015-update#intro, accessed 17

April 2018).

39. Programa Nacional de Lucha contra la Enfermedad de Alzheimer; 2016 [website]. Ministerio de la Salud Publica de

Uruguay (https://legislativo.parlamento.gub.uy/temporales/D2016090537-001407587.pdf, accessed: 19th April

2018).

40. The 3rd National Dementia Plan - Living well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 [websit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44, accessed 17 April 2018).

41. Dementia Control Strategy in Slovenia 2020 [website]. Republic of Slovenia’s Ministry of Health; 2016

(http://www.mz.gov.si/fileadmin/mz.gov.si/pageuploads/Demenca/12092016_strategija_obvladovanja_

demence.pdf, accessed 17 April 2018) (in Slovenian).

42. Empowering Change - A National Strategy for Dementia in the Maltese Islands 2015-2023 [website]. Parliamentary

Secretariat for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and Active Ageing; 2015 (https://activeageing.gov.mt//en/

documents/book_english_book.pdf, accessed 17 April 2018).

43. Choosing interventions that are cost effective (WHO-CHOICE Tools) [website]. World Health Organization Tools

(http://www.who.int/choice/toolkit/en/, accessed 17 April 2018).

44. McCabe L. The policy environment of dementia care: the role of a regional dementia strategy. Journal of Care Services Management. 2011;5(3):128-136.

45. Edick C, Holland N, Ashbourne J, Elliott J, Stolee P. A review of Canadian and international dementia strategies.

Healthcare Management Forum. 2017;30(1):32-39.

46. Nakanishi M, Nakashima T. Features of the Japanese national dementia strategy in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

dementia policies: how should a national dementia policy interact with public health- and social-care systems?

Alzheimer’s & Dementia. 2014;10:468-476.

Page 41: WHO 치매계획지침서 - gn.pass.or.krgn.pass.or.kr/data/file/data/991297239_Yn6tMoVd_7760727d9c96b5… · This work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발행일 : 2019년 8월 26일

발행인 : 이성기

발행처 : 경상남도 사회서비스원

50969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골든루트로 80-16

전 화 : 055.328.8200

팩 스 : 055.328.8240

WHO 치매계획지침서경사원 정책연구자료 20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