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근대비평의 성립

Page 2: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교재 개괄

1910 년대 비평 이광수 김억 황석우 김동인

1920 년대 비평 민족주의 문학론 프로문학론 국민문학론 절충론

일본유학파

Page 3: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1) 이광수의 문학론 주요논문

‘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 (1908)

‘ 문학의 가치’ (1910)

‘ 문학이란 하오’ (1916)

‘ 현상소설고선여언’ (1918)

이광수 문학론의 의의

문학을 하나의 장르로 구분 ( 문학의 자율성 강조 )

문학에 대한 개념규정 및 이론정립 시도

1. 1910 년대 후반기의 근대문학 수용 서구 근대문학 비평의 수용기

Page 4: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 김억 황석우의 시론∙

김억의 시론

주요 논의

‘ 요구와 회한’ (1916)

‘ 프랑스 시단’ (1918)

‘ 시형의 음률과 호흡’ (1919)

황석우의 시론

주요 논의

‘ 시화’ (1919)

‘ 조선 시단의 발족점과 자유시’ (1919)

‘ 일본시단의 2 대 경향’ ( 폐허 창간호 )

Page 5: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3) 김동인의 소설론 주요 논의

‘ 소설에 대한 조선사람의 사상을’ (1919)

현금 조선사람 중에 대개는 아직 가정소설을 좋아하오 . 통속소설도 좋아하오 . 흥미 중심소설도 좋아하오 . 참예술적 작품 , 참문학적 소설은 읽으려 하지도 아니하오 . 그 뿐만 아니라 이것을 경멸하고 조롱하고 불용품이라 생각하고 , 심한 사람은 그것을 읽으면 구역증이 난다고까지 말하오 .

① 한국인의 독서 경향 비판

흥미 위주의 소설 ≫ 문학적 소설

소설가 즉 예술가요 . 예술은 인생의 정신이요 , 사상이요 , 자기를 대상으로 한 참사랑이요 , 사회개량 , 정신합일을 수행할 자이오 . 쉽게 말하자면 예술은 개인 전체이요 , 참 예술가는 인령 ( 人靈 ) 이오 .

② 예술의 절대주의 강조

Page 6: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③ 논문과 소설의 동일시

나는 논문보다 소설을 읽어라 하겠소 . 그것은 소설이 논문 - 철학적이나 사회학적 - 보다 귀하다는 것이 아니고 다만 아래와 같은 이유가 있을 뿐이오 . 논문에 일행이면 다 쓸 철리 ( 哲理 ) 를 소설에서는 몇 페이지 혹은 전권에야 쓴다 . 그러니 따라서 논문에서는 알아보기 어렵던 - 아직 발달되지 못한 단순한 머리에는 - 句라도 소설에서는 자연히 머리 속에 들어와 박힌다 함이오 .

Page 7: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 인형조종술” ‘ 자기의 창조한 세계 :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를 비교하여’ (1920) 예술이란 무엇이냐 ? 여기 대한 해답은 헤일 수 없이 많지만 그 가운데 그 중 정당한 대답은 “사람이 자기 그림자에게 생명을 부어넣어서 활동케 하는 세계 – 다시 말하자면 사람이 자기가 지어 놓은 사랑의 세계 – 그것을 이름이라” ( 중략 ) 세계에 만족지 못한 사람은 국가를 만들었고 여기도 못만족한 사람은 가정을 만들었고 여기도 만족지 못하여 마침내 자기 일개인의 세계이고도 만인 함께 즐길만한 세계 – 예술이란 것을 창조하였다 . 이렇게 자기의 통절한 요구로 말미암은 ‘예술’은 이것 , 즉 인생의 그림자요 , 인생의 무이 ( 無二 ) 한 성서요 , 인생에게는 없지 못할 사랑의 생명이다 .( 중략 ) 인생을 자기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이리 굴리고 저리 굴릴만한 능력을 가진 문학자가 몇이나 되는가 ?( 중략 ) 자기 ( 도스토예프스키 ) 가 창조한 인생을 지배할 줄을 몰랐는지 능력이 없었는지 모르되 , 어떻든 그는 지배를 못하고 오히려 자신이 거기 지배를 받았다 .( 중략 ) 참 인생과는 다른 인생을 창조하였다 . 그러고도 그 ( 톨스토이 ) 는 그 인생에 만족하였다 . 그리고 그 인생을 자유자재로 인형 놀리는 사람이 인형 놀리듯 자기 손바닥 위에 놓고 놀렸다 . 거꾸로도 세워 보고 바로도 세워 보고 웃겨도 보고 울려도 보고 자기 마음대로 그 인생을 조종하였다 .( 중략 ) 톨스토이는 자기가 창조한 자기의 세계를 자기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자기가 조종하며 그것이 가짜든 진짜든 거기 만족하였다 . 이것이 톨스토이의 예술가적 위대한 가치일 수밖에 없다 .

Page 8: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 1920 년대의 비평

1920 년대 전반기독립적 민족주의 문학론

( 신채호 , 한용운 )

문화적 민족주의 문학론( 이광수 , 염상섭 )

실제비평( 김동인 , 염상섭 )

( 황석우 , 현철 )

1920 년대 중반 이후프로문학론

( 내용형식 , 목적의식론 ,

아나키즘론 , 대중화론 )

국민문학론( 시조부흥론 )

절충론

전체 개괄

Page 9: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1) 민족주의 문학론과 실제비평1) 독립적 민족주의 문학론

신채호 주요 논문

‘ 문예계 청년에게 참고를 구함’ (1918) “ 이를테면 한강의 철교가 현실이 아니냐 ? 인천의 미두가 현실이 아니냐 ? 경제의

공황이 현실이 아니냐 ? 상공 각계의 소조가 현실이 아니냐 ? 다수 농민의 서북간도

이주가 현실이 아니냐 ? 만반 위급의 현실이 정씨 일가의 난산증보다 더하거늘 , 이를

버리고 속문예 속에서 금강산을 찾으려 하니 또한 가련하도다 .

‘ 조선혁명선언’ (1923)

외교론 및 준비론 반대 , 무장혁명투쟁에 의한 독립 주장

‘낭객의 신년만필’ (1925) “ 예술주의 문예라 하면 조선을 구하는 문예가 되어야 할 것이니 지금 민중에 관계가

없이 다만 간접의 해를 끼치는 사회의 모든 운동을 소멸하는 문예는 우리의 취할 바가

아니다 .”

Page 10: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신채호 문학론의 흐름

개화기

효용론 ( 역사전기소설 ) ↔ 상업성 , 이인직 등 ( 신소설 )

1910-1920년대

효용론 (꿈하늘 , 용과용의대격전 ) ↔ 예술지상주의

Page 11: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한용운

‘ 문예소언’ “종교 , 철학 , 과학 , 經史 , 자전 , 시 , 소설 , 백가어 내지 서한문까지도라도 장단

우열을 물론하고 모두가 문학에 속하는 것”

평가 : “ 만해는 문학과 역사 , 철학이 통합되어 있던 동양 전래의 문학관을 버리지

않고 문예 중심의 협소한 문학관을 극복하고자 한 것” (교재 183쪽 )

‘님의 침묵’ 서문 ‘군말’“ ‘님’만 님이 아니라 긔룬 것은 다 님이다 .” ∙∙∙∙∙∙ 연애가 자유라면 님도 자유일 것이다 .

그러나 너희는 이름조은 자유에 알뜰한 구속을 밧지 안너냐 ? 너에게도 님은 잇너냐 ?

잇다면 님이 아니라 너의 그림자니라 . 나는 해저문 들판에서 도러가는 길을 일코 헤매는

어린 양이 긔루어서 이 시를 쓴다”

평가 : “ 만해는 그 시대마다 방향을 잃고 방황하는 사람들의 가장 절박한 감정과

생활을 함께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이 문학이라고 생각했다” (교재 184쪽 )

Page 12: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 문화적 민족주의 문학론

이광수‘ 문사와 수용’ (1921)

문학이란 민족의 생활을 위하여서만 가치가 있는 것이므로 문사의 수양한 덕성은

민족적 생존후영을 조장하는 성질의 것이라야 할 것이다 .

평 : 당시의 퇴폐적인 문학이 문사들의 도덕적 수양 부족에서 나온 것이라는 진단은

반역사적이고 반사회적 (교재 185쪽 )

‘ 예술과 인생’ (1922)

문학의 사회적 효용을 신봉하고 인생에 이로움을 주는 문학

평 : 우리 민족과 민중에게 진정한 이로움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자각 부족

‘ 중용과 철저’ (1926)

우리시대에 필요한 문학 : 상적 (常的 ) 문학 , 정적 (靜的 ) 문학 , 평범한 문학

평 : 관념적 도덕주의

Page 13: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염상섭

주요논문들

‘ 이중해방 ’ (1920), ‘ 자기 학대에서 자기 해방 ’ (1920), ‘ 개성과 예

술’ (1922), ‘ 지상선을 위하여’ (1922)

‘ 개성과 예술’의 내용

자아의 각성자아 존중

의심권위 부정우상 타파

주된 논의

근대적 자아의 발견

예술

Page 14: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비평가의 역할론 : 염상섭과 김동인

일련의 글

김환 , ‘ 자연의 각성’ , 염상섭 , ‘ 자연의 각성을 보고서’ (1920), 김동인 ,

‘ 제월 씨의 평자적 가치’ (1920), 염상섭 , ‘ 여의 평자적 가치를 논함에 답

함’ (1920), 김유방 , ‘ 작품에 대한 평자적 가치’ (1920)

‘ 판사론’으로서의 염상섭

“評家가 일개의 作을 평코자 할진대 반드시 그 작가의 집필하던 당시의 경우 ,

성격 , 취미 , 연령 , 사상의 경향 등 제방면에 면밀한 고찰이 有하여야

완전함을 기할 수 있으며 또 此等 제조건이 실로 일개인의 인격을 구성하는 바인

이상 , 作을 평함에 際하야 그 작자의 인격을 음미함이 당연한 事가 아닌가”

비평가는 작가를 지도할 수 있다

3) 실제 비평

Page 15: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변사론’으로서의 김동인

작품평자란 활동사진 변사와 같은 것이고 결코 판사와 같은 것은 아니다 .

변사는 그 사진의 설명에만 주의하여야지 그 사진의 선악을 평할 권리가 없다 .

비평은 작품 자체에 한하여야 한다

독자의 감상법을 지도하는 것이 비평가의 천직

‘ 판사론’ , ‘변사론’의 의의

비평의 기능 및 효용에 대한 사유

폐허와 창조의 대결

‘ 자유시’를 둘러싼 설전 : 현철과 황석우

Page 16: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16

(2) 프로문학론

내용 형식론∙

아나키즘론 대중화론

목적의식론

Page 17: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17

① 내용 · 형식론 ( 박영희 , 김기진이 최초로 벌인 이론 논쟁 ) 김기진 , ‘ 문예월평’ ( 조선지광 , 1926.12월 )

박영희의 ‘철야’ , ‘ 지옥순례’에 대해 “소설이란 한 개의 건축이다 . 기둥도 없이 ,

서까래 없이 , 붉은 지붕만 입히어 놓은 건축이 있는가 ?”

박영희 , ‘투쟁기에 있는 문예비평가의 태도’ ( 조선지광 , 1927.1월 )

“ 프롤레타리아의 전문화가 한 건축물이라면 프롤레타리아의 예술은 그 구성물

중에 하나이니 서까래도 될 수 있으며 기둥도 될 수 있으며 기왓장도 될 수 있는

것이다 .”

“ 부르조아 문예비평가는 작품의 구조에 중요한 착점을 두었다 . 그러나

프로문예비평가는 작품에 나타나는 의식과 사회적 XXX 대조하여서 프로작품의

가치를 말해야 한다 .”

김기진 , ‘ 무산 문예 작품과 무산 문예 비평’ ( 조선문단 , 1927.2월 )

“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취하여 가장 긴요한 조건은 내용과 형식의 온전한

조화이다 .”

결말 : 김기진의 사죄로 일단락 (카프의 압력 )

Page 18: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18

② 목적의식론 ( 제 1 차 방향전환론 )

관련논의

박영희 , ‘ 신경향파 문학과 무산파의 문학’ (27.2월 )

• “ 조선에 있어서 더욱 계급적 의식이 박약한 사회에 있어서 어떠한 막연한

경향만을 보이던 신경향파문학을 XXX변환기에서 새로운 투쟁적”단계

박영희 , ‘ 문예운동의 방향전환’ (27.4월 )

• “ 계급의식을 고양하던 계급문학은 경제투쟁에서 목적의식적 ( 정치적

의미에서 ) 으로 이르게 되는 것이다 . 조선에 있어서는 자연생장적

문학에서 목적의식적 문학으로 과정한다는 것이 지금 필연한 현실이다 .”

• “ 정치투쟁은 대중이 하는 것이지 문학이 하는 것이 아니다 .”

박영희 , ‘ 문예운동의 목적의식론’ (27.7월 )

Page 19: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19

임화 , ‘목적의식론의 서론에 도입’ (27.5월 )

• “ 무산계급의 문학이란 프롤레타리아계급을 내용으로 한 문학”

윤기정 , ‘ 무산문예가의 창작적 태도’ (27.10월 )

• “변혁의 의지를 마르크스주의적 인식하에 조직적으로 표현하기를 노력”

• “ 정치투쟁기에 문예이론 확립이란 정치투쟁적 사실 , 정치적 폭로 등을

내용으로 한 작품행동에 그치는 것이다”

• “ 작품행동이란 전체성을 내용으로 한 정치적 활동이어야 한다”

정치적 사실을 내용으로 한 작품

계급해방운동과 작품행동의 동일화를 위한 변혁된 행동의 작품 ( 문학의

정치도구화 )

Page 20: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0

변화 내용

KAPF 결성 1 차 방향전환론

1925.8 월 결성 1927 년

파스큐라 + 염군사 제 3 전선파 일시 귀국( 조중곤 , 홍효민 , 이북만 , 한식 )

자연발생기의 신경향파문학론

뚜렷한 목적의식을 지닌 프로문학론

김기진 , 박영희 박영희 , 한설야

경제투쟁 정치투쟁

자연생장적 경향파 문예 목적의식적 무산계급 문예

Page 21: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1

1 차 방향전환론에 대한 필자의 논평 (193 쪽 )

작품창작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문학의 역할과 정치투쟁의 도구로서의

문학

Page 22: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2

③ 아나키즘론

아나키스트김화산강허산

이향

카프조중곤윤기정한설야박영희

임화

배경 일본에서 행해지고 있었던 아나키즘의 청산 , 조직의 재정비 영향

제 1차 방향전환론

Page 23: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3

김화산 , 계급예술론의 신전개 , 조선문단 , 1927.3 월

카프의 목적의식론 비판

예술 정의

“원래 예술이란 것은 인간의 예술적 요구에 의하여 탄생한다 . ······· 이러한

본질적 태도는 프롤레타리아 혁명 이론에 의하여 왜곡될 하등의 이유가 없는

것이다 .”

카프 예술 비판

“ 예술로서의 성립조건을 무시하는 사회 XX 의 선전만으로 전목적을 삼는다면

그것은 선전포스터나 정견발표문에 불과”

새로운 형식

“ 우리가 가질 새로운 표현 형식은 어떠한 것인가 ? ······· 새로운 예술 형식은

묵은 문장법의 파괴로부터 비롯한다 . 부르주아 계급의 용만한 - 한가한

기교로부터 단적이며 비약적이며 율동적 , 역학적 , 기하학적 문장의

창건이다 . 평면으로부터 입체에 , 직선으로부터 곡선에 climax 의 적극적

발전이다”

Page 24: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4

김화산 , 뇌동성문예론의 극복 , 현대평론 , 1927.6 월

아나키스트는 자연적 법칙에 순응하는 개성의 자유를 고조한다 . 볼세비키처럼

무산계급을 의식적으로 외재의 강권에 의하여 볼세비키 범주외에 도입코자 하지

않는다 . 가장 자연스런 내재적인 법칙에 의하여 자유연합의 사회를 형성코자 함이

아나티스트의 최대의 안목이다 .

Page 25: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5

임화 , 착각적 문예이론 , 조선일보 , 1927.9.20

“ 일언하면 피등은 좌익문예가의 가면을 쓰고 대중에게 부르조아 이데올로기를

주입코자 하는 예술파적인 소시민의 근성을 발현한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윤기정 , 상호비판과 이론 확립 , 중외일보 , 1927.7월

“ 예술이 제 2 의적이지 절대로 사회혁명이 제 2 의적은 아니다 .”

한설야 , 무산 문예가의 입장에서 , 동아일보 , 1927.4

“제 스스로 일시 무산계급 좌익 지도자라고 생각한 적은 있었으나 그 본질이 역시

개인주의적이었던 점에서 그 계급관은 일개의 공상적 허구이었던 것이다 .”

카프의 반박

Page 26: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6

④ 대중화론 관련논의

김기진 , ‘ 사회의식과정에 순응한 예술’ ( 조선지광 , 1928.1)

“ 조선대중이 정치적 사회적 의식과정에 순응하는 요구의 문학”

김기진 , ‘ 통속소설소고’ (1928)

• 통속소설의 구체적 방법으로 ‘문장의 평이와 간결’ , ‘ 묘사 , 설명의

간결’ , ‘ 화려함’ , ‘ 성격 , 심리묘사의 간결’ 등을 주장

• “ 마르크스적 이데올로기가 보통인의 견문과 지식의 범위에서 가져오는

온갖 소재의 용기 속에 담기어 가지고 객관적 , 과학적 태도와 평이 ,

간결의 수법을 가지고서 독서대중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야 한다 .”

김기진 , ‘ 대중소설론’ (1929)

• “ 대중소설이란 단순히 대중의 향락적 요구를 일시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오 . 그들의 향락적 요구에 응하면서도 그들을 모든

마취제로부터 구출하고 그들로 하여금 세계사의 현 단계의 주인공의

임무를 다하도록 끌어올리고 결정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소설”

• 김기진 , ‘ 프로시가의 대중화’ (1929)

Page 27: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7

주된 내용 통속소설의 본질

통속소설의 구체적 방법

대중소설의 내용

대중소설의 형식

임화의 비판 춘향전문학자 , 예술지상주의자

Page 28: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8

(3) 국민문학론 국민문학 생성 배경

프로문학에 대한 대응

국민문학의 목적

‘ 조선적인 것’의 지향 : 계급의식을 초월한 곳에서만 진정한 문학 가능

국민문학의 구체적 활동

시조부흥운동

관련논의

최남선 , ‘ 조선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 ( 조선문단 , 1926)

염상섭 , ‘ 시조에 관하여’ ( 조선일보 , 1926)

조운 , ‘병인년과 시조’ (1927)

이병기 , ‘ 시조원류론’ ( 신생 , 1929)

이병기 , ‘ 시조의 현재와 장래’ ( 신생 , 1929)

Page 29: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29

조선인 , 조선아 , 조선심 , 조선어 최남선 , ‘ 조선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

“ 시조는 조선인의 손으로 인류의 운율계에 제출된 시형이다 .”

“ 음파의 위에 던진 조선아의 그림자이다 .”

“ 조선심의 방사성과 조선어의 섬유조직이 가장 압축된 상태에서

표현된 공든 탑이다 .”

평가 ( 교재 202 쪽 ) “ 그 는 ‘ 조 선 스 러움 ’ 을 나타내 는 문 학 이

시조뿐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조선의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를 밝은 데로

끌어내고 힘있게 만드는 일이야말로 우리 문학에 생명을 불어 넣는 일이며

망각되어 가는 조선아 (朝鮮我 ) 를 바로 찾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

이병기의 ‘시조부흥론’

Page 30: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30

(4) 절충론 양주동

‘ 문예비평가의 태도 기타’∙ (1927)

“ 문학을 유물론적으로만 해석하는 것이 오류인 것만치 유심적으로 해석함도

역시 편견”

‘ 정묘 평론단 총관’ (1928)

프로문학 : 계급의식만을 고취하여 민족사상 망각

국민문학 : 국민문학의 당위성과 필요성만 강조 , 세목이나 방법론에 대한

고찰 전무

‘ 문예공론’ (1929)

“민족을 초월한 계급정신도 없고 계급에서 유리된 민족관념도 있을 수 없다 .”

“ 민족문학과 사회문학이 빙탄불상객이라 보고 상호 배격하는 자류는 소위

종파주의의 여독이다 . 그러나 우리는 둘 다 현정세에 타당한 것으로 보고

더구나 양자는 서로 그 합치점을 연관하여 합류함이 필요하다”

Page 31: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31

양주동의 ‘절충주의’ 배경 프로문학 인정 : “병인문단개관”

“ 문학상 취재는 그 범위가 자뭇 광범위한 것이니 우리는 프로생활과

프로의식을 제재로 한 문학을 결코 거부할 수는 없을 것이요 한 걸음 더

나가서 그것의 사회성 현실성을 많이 포함하였다는 장점을 인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

프로문학을 문학의 한 분파로 인식

양주동의 정체 (교재 204쪽 ) : 문단여시아관 , 신민 ,1927.5-6월

순수문학파 문학 : 사회=7:3

사회 : 문학=7:3

순수사회파

양주동 형식 > 내용기교 > 사상

Page 32: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32

프로문학측의 공격 김기진 ( 시평적 수언 , 조선지광 , 1929.6월 )

양주동은 국민문학파

민족문학과 사회문학의 구별 : 민족문학 아직 없다

무산계급예술은 결코 예술의 형식과 기교를 무시하지 않는다 .

윤기정 ( 문단시언 , 조선지광 , 1929.8월 )

“ 중간파적 태도를 취하는 듯 하면서도 실은 반동작가와 합류”

임화 (탁류에 항하여 , 조선지광 , 1929.8월 )

프로문학 또한 독자적인 가치를 지닌 문화로 성립될 수 있다

박영희 ( 부란의 와중에서 , 조선일보 , 1929.7.20-25)

형식 강조→절충 : 이율배반적

민족문학과 국민문학 : 형식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 , 내용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 모호

Page 33: Ⅱ.  초기 신문학운동기의 문학

33

1910 년대 비평 이광수 김억 황석우 김동인

1920 년대 비평 민족주의 문학론 프로문학론 국민문학론 절충론

정리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