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pt - 조기영어교육

Transcript
Page 1: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복지행정학 01374068 이재경

복지행정학 02374027 김홍철

심리치료학 05105031 전지아

심리치료학 05105043 전하영

미용학 05508045 이승희

미용학 05508037 윤초희

Page 2: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2

목 차

의개선방안

관련사례

필요성

문제점 전

문가

Page 3: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3

조기영어교육의 정의

조기영어교육이란 용어에서 조기라는 단어 자체부터 혼란스럽기 이를데 없다 . 교육학에서 조기 (early childhood) 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유아기나 초등학교 입학 전을 말한다 . 그러나 조기영어교육이라고 할 때는 유아기에서 초등학교까지를 포함한다 .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반세기 동안 영어교육을 중학교에서 시작했으므로 중학교 이전의 영어교육을 조기영어교육이라고 부르면 가장 적절하다 .

Page 4: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4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

1) 유아때 영어 교육의 필요성 LAD 는 외부로부터 받는 극히 제한적이고 불완전한

일차적인 언어 자료를 가지고도 그 언어의 문법 규칙을 형성하며 이 규칙으로써 무한한 문법적인 문장을 이해하고 또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 외국어 교육은 LAD 가 가장 왕성한 2-6 세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 .

Page 5: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5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

2) chomsky(1957) 의 언어 생득설 어린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 그것을 언어 습득 장치 (Language Acquisition Device) 라고 한다 . 이 LAD 는 아동만이 보유하고 있으며 사춘기에 접어드는 13세경이면 소멸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습득해야한다 .

Page 6: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6

Page 7: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7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

3) LAD 의 유무에 대한 실험 사례 이옥로 - 8 세 아동이 장기 놀이에서는 18 세

성인에게 뒤진 반면 언어 습득에서는 월등히 뛰어났다 . J.W.Tomb( 영국의 심리학자 ) - 인도에서 출생한 4 세 , 5 세의 영국 어린이들이

하인들의 힌두스 탄어를 이해 못하는 영국인 부모와 하인의 통역을 할 정도로 두 언어를 자유 자재로 구사

Perskly(1954) - 외국어 습득의 가장 좋은 시기

Page 8: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8

조기영어교육의 장점 언어의 유연성도 높고 습득도 빠르다 .

목표어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유리하다 .

암기가 잘 되며 , 반복 연습도 어른에 비해 지루함을 덜 느낀다 .

논리적 사고력이 증진되며 , 융통성있는 사고와 국제적 이해심도

높다 . 성인에 비해서 동기가 높다 .

Page 9: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9

조기영어교육의 단점 모국어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은 단계에서 제 2 언어를

배우는것은 언어발달에 장애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지능개발에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

이른 시기에 과도하게 문자 교육에 노출된 아이일수록 학습 스트레스로 초등학교 진학 이후 학습능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

기능과 학습 위주의 인지교육은 효과가 없을뿐더러 아이들에 대한 일종의 학대이다 .

지나치게 빠른 영어교육이 언어장애를 유발한다 . 상황과 상관없이 의미 없는 문장이나 단어를 구사하는

언어 발달 지체 현상 " 이 유발된다 .

Page 10: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10

조기영어교육의 문제점

(1) 부모들의 욕심과 집착

(2) 프로그램의 문제

Page 11: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11

개선방안

쉽게 가르쳐야 한다 . 아이들의 레벨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 부모는 자기자식이 언어행위에 있어서 어느

수준에 와 있 는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

읽기부터 시작해야 한다 .

Page 12: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12

전문가들의 의견1) 서울대 이정민 교수 ( 언어학과 ) 발음이나 억양까지 영어 모국어 사용자처럼 하려면 대체로 5살 정도까지는 시작해야 하고 , 13살 이전에 시작해 집중적으로 배우면 유창하고 자연스러운 영어를 할 수 있으나 결정적 시기를 넘기면 뜻대로 되지 않고 힘들어진다 .

2) 아동영어 전문가인 김미영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모국어를 제대로 읽고 쓸 수 있어야

외국어 습득이 가능하다”며 “초등학교 2~3 학년쯤 영어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임찬빈 책임 연구원 모국어가 완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외국어를 배울 경우 어느 쪽

언어도제대로 구사하지 못할 수 있다 .

Page 13: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13

전문가의 의견4) ' 키즈클럽 ' 김철진 원장 만 5 세는 지나야 아이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다 .

5) 美몬트크레어중공 글렌데일 분교장 (강율 ) 어렸을 때 가정에서 모국어를 많이 사용한 아이일수록 제 2 언어인

영어뿐 아니라 다른 과목의 성취도 또한 높다 .

6) A 유치원 정모원장 (42.여 ) 영어 등 제 2 외국어 학습의 적기는 초등학교 2,3 학년으로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모국어를 제대로 읽고 쓸수 있을 때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Page 15: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15

결 론

Page 16: 조기영어교육

<조기영어교육>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