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 2013 중앙대 강의(14)

    해운항만산업 발전 정책

    정 봉 민

    1

  • 목 차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2

  •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3

  • (1) 물류 전반적 주요 여건변화와 이슈

    공급사슬관리(SCM) 확산에 따른 통합 물류 서비스 요구 증대 원자재 조달에서 최종소비에 이르는 운송, 보관, 배송, 통관 등

    통합서비스 제공

    운송수단의 통합, 선/화주와의 협조체제 강화

    3자물류 및 4자물류에 의한 전문화/효율화 추구

    부가가치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대

    복합운송 네트워크의 중심으로서 다양한 맞춤서비스 제공

    일관운송관련 다양한 서비스 제공, 고객요구 대응능력 강화

    물류 수요의 내용 변화

    4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5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구매

    생산

    판매

    구매

    생산

    판매

    구매

    판매

    (제조업체) (부품공급업체) (판매업체)

    고객 원자재

    유통 (distribution)

    조달 (procurement)

    제조 (manufacture)

    공급사슬은 통합 물류(Integrated Logistics)보다 넓은 개념 제조활동, 마케팅, 금융, 조달전략, 비즈니스과정의 연계, 위험분산,

    신제품 개발에 대한 공급자 참여 등의 개념을 포괄

    정보체계를 기반으로 함

    다른 관점 가치사슬(Value Chain): 가치 창출 관련 일련의 조직 및 활동

    수요 사슬(Demand Chain): 수요 측면에서 고찰

  • 물류보안 관리는 9․11 테러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강화 물류보안체제 미구축 항만은 공급사슬(supply chain)에서 배제

    물류보안사업은 관련 기업에 대해 새로운 시장을 제공

    국제사회는 물류보안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 시행 국제해사기구(IMO) : 국제 선박 및 항만시설 보안규칙(ISPS Code,

    2004) 시행

    미국 해운보안법 (Maritime Transportation Security Act, 2002)을 반영한 국제규범

    세계관세기구(WCO) : 물류보안과 무역간소화에 관한 국제기준(SAFE Framework, 2005) 시행

    미국의 컨테이너보안협정(CSI)과 반테러 민관 파트너십제도(C-T PAT)를 반영한 국제규범

    6

    물류보안이 새로운 국제규범으로 대두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미국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 Security: DHS) 설치

    연안경비대(USCG), 관세청(CBP) 기능 통합

    해운보안법(Maritime Transport Security Act, 2002)

    해운항만 물류보안 관리 제도 전반적인 사항 규정

    항만보안법(SAFE Port Act, 2006)

    컨테이너보안협정(CSI)과 반테러 민관 파크너십제도(C-T PAT)를 입법 규정화

    컨테이너화물에 대한 100% 검색제도의 도입 추진

    유럽연합(EU) 물류보안제도 강화, 공인경제운영자(AEO)제도 시행

    중국, 일본 등 물류보안관련 국제기준을 수용

    7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주요국의 물류보안제도

  •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관심 증대 지속가능성: 인간 사회의 환경, 경제, 사회적 양상의 연속성에 관련된 개념

    특히 과도한 환경악화 및 자원고갈 방지

    선박의 운항과 항만의 개발/운영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심각성에 대한 평가가 새롭게 이루어짐

    국제해사기구(IMO) 선박의 가스 배출 규제

    NOx와 SOx는 물론 CFC 계열의 냉매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배출을 엄격하게 규제

    선박에서 발생한 쓰레기 소각 등도 규제

    8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규제 대상 배출가스 규제방안

    엔진 작동

    질소산화물(Nox) ◦국제기준 적합 엔진 설치 의무화 ◦배출가스 저감장치(후처리장치) 설치

    황산화물(Sox) ◦저유황 선박용 연료유 사용 ◦배기가스 세정장치 부착

    적재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배출통제장치 설치 의무화 ◦선적항에 회수장치 설치 의무화

    선내 장비 할론가스, 프레온가스

    ◦할론,CFCs 및 오존파괴물질의 고의 배출 금지 ◦새로운 선박에 설치 금지

    선내 오물 대기오염 유발 물질

    ◦국제기준 적합 선내 소각기 설치 - 소각 금지물질과 소각 금지지역 별도 지정

    자료 : KMI 정책동향실, 항만의 대기오염규제와 정책시사점, KMI 현안분석 2005-02, 2005. 5. 20, p.8.

    9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구분 주요 내용

    AMP의 설치․운영 부두에 정박 중인 선박에 육상전기를 공급하는 시설

    PierPASS 제의 시행 주말과 야간에 터미널을 개장하여 오염과 체증 완화

    입항선박 감속운항 항계 20마일 이내부터 선박운항속도 12 노트로 감속

    청정연료 사용 권장 컨테이너 트럭 및 항만장비에 청정․대체 연료 권장

    오염발생 트럭 교체 디젤 엔진 사용 트럭 교체 지원 및 환경 기금 설치

    RTGs의 전기 사용 터미널에 사용하는 RTGs의 전기 사용 의무화 추진

    오염저감 인센티브 항만에서 대기 오염을 줄이는 업체에 인센티브 검토

    EPA의 예산 지원 디젤장비의 배기가스를 줄이는 데 정부 예산 지원

    자료 : KMI 정책동향실, 항만의 대기오염규제와 정책시사점, KMI 현안본석 2005-02, 2005. 5. 20,

    p.12.

    10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1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하이브리드 RTG 도입/운영

    기존 RTG 엔진출력의 절반 정도만 필요하며, CO2 절감

    도쿄-요코하마 공컨테이너 운송에 바지선 투입 육상운송 대비 CO2 80% 절감

    기타 항내 준설 구덩이 메우기를 통해 유속감소로 인한 부영양화 억제

    환경공생형 안벽 조성

    쓰레기 처리 및 오염사고 유류 회수를 위한 작업선 도입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등

    12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3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4

    대륙간 항로

    아시아 역내항로

    동북아 역내항로

    -중국, 홍콩, 일본, 한국, 대만, 싱가포르, 유럽, 북미 등과 다양하게 연계하는 항로망 -중국의 주 기항지화 : 북중국/북미, 유럽, 남중국/북미, 유럽

    -다양한 간선항로망 밀도의 증가 -중국에 이어 인도의 주 기항지화 ㆍ중국/북미, 유럽 ㆍ인도/북미, 유럽

    -중국, 홍콩, 일본, 한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지아 등이 주 기항지 -중국 기/종점의 다수 역내항로 개설

    -역내 주 기항지의 다양화 심화 -중국에 이어 인도 중심의 역내항로 개설 증가

    -한/일, 한/중, 일/중항로로 구분 *러시아 연계 항로 기능 제한적

    -한/중/일항로로 통합 -중국 중심 항로 집중 심화 -중국 동북지역 관문항으로서의 북한 나진항 위상 증대 *러시아 연계 항로 발전 제한적

    항로 중국, EU, 미국, 일본

    중심 네트워크

    중국, 인도 중심 네트워크

    자료: 임종관 외, 「세계 물류환경 변화와 대응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p.250을 기초로 재작성.

    (2) 해운산업 주요 여건변화와 이슈

    해상운송망의 재편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5

    해운시장은 향후 상당기간 동안 회복되기 어려울 전망 해운시장은 호황기(2004-2008년)의 대량 신조발주로 인하여

    공급과잉 심화

    컨테이너선 시장의 경우 선복량 1TEU 당 물동량은 1995년 18.4TEU에서 2009년 이후 10TEU 내외로 감소

    벌크선 부문도 비슷한 상황(더욱 심각함)

    수급악화에도 불구하고 해운시황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있는 요인

    선사간 협력에 의한 시장질서 확보

    운임인하를 더 이상 용인할 수 없다는 선사 간 공감대 형성

    Slow steaming, 계선 등 공급조절 노력

    컨테이너 box 공급 차질

    향후 해운시황은 변동성이 큰 불안한 장세 전개 예상

    불투명한 시황회복 전망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6

    시황회복 지연으로 우량기업과 비우량기업 격차 심화

    재무구조 및 경쟁력의 측면에서 열위인 기업의 도태

    경쟁력 우위 기업은 인수합병 등을 통한 성장기회 확보

    특히 호황기간 중 고가 선박의 대량확보 기업은 어려움

    자본비가 장기적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침

    자본집약적 산업 특성상 해운원가 중 자본비 비중이 큼

    자본비(이자 및 감가상각비)는 선박 취득가격(및 금융조건)에 따라 결정

    연료비, 화물비, 선원비 등은 선사 간 큰 차이가 없음

    선박 투자시기 선택 오류의 악순환 우려

    선가가 낮은 불황시 자금사정 악화로 선복 확보 곤란

    선사간 양극화 심화 예상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요인 내용

    경험 부족

    - 시장 신호의 정확한 인식과 이해는 지식과 경험에서 비롯 - 경험 축적 선사는 시장흐름의 변화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

    경영문화부재

    - 과학적 접근과 예측모델을 중시하는 기업문화 필요 - 직관과 과학적 방법이 병행되어야 바람직한 결과 기대

    의사결정 태도 문제

    - 지나친 낙관 또는 비관적 태도는 시장의 평가 및 의사결정을 왜곡 - 선사들은 비관적 태도로 투자에 지나친 조심을 나타내는 경향

    기업 조직체계 문제

    - 의사결정이 기업주 개인 성향/지식/경험에 지나친 영향을 받는 경향 - 선주의 위험에 대한 성향에 따라 적정 투자 패턴에서 괴리 우려 ▪ 위험 회피(risk averse): 보수적인 접근으로 적정 투자시기 실기 ▪ 위험 선호(risk loving): 공격적인 투자로 선사 발전에 악영향

    모방 -과학적 접근보다 직관에 의존할 경우 타기업 모방 경향이 강함 ▪ 특정기업의 잘못된 판단은 다른 기업에 승수적 파급효과 야기 ▪ 시장주도적 대기업 선박투자 행태의 파급효과가 큼

    자료: Robert Scarci, "The Bulk Shipping Business: Market Cycles and Shipowners' Biase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 34-6, Dec. 2007, p.588-589의 내용을 정리.

    17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8

    -규모의 경제 추구

    원가절감 압력 -선사의 이미지 개선 시장점유율 확대

    -해운 여건변화

    선원비/연료비 상승, 금리 하락, 하역효율 향상 선박 건조기술 발달

    -탄소배출 규제에 대응

    -선사 간 집화경쟁 심화

    단기적 운임 하락 장기적 운임 안정화 인건비, 연료비, 항비 등 원가 상승요인 미반영

    -M&A 확산과 경영규모의 대형화

    경쟁력 취약기업 도태

    -대형 및 소형선사로 시장 양분화

    대형선사의 시장지배력 강화

    대형화 배경

    대형화 파급효과

    선박의 대형화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9

    3000 4000

    5000 6000

    8000

    12000

    14000

    16000

    18000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1972 1984 1995 1996 2003 2006 2008 2011 2012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TEU

  •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Source: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 해운동맹 : 선사들의 운임, 배선 등에 관한 협정 카르텔(Cartel, 기업연합)의 일종

    과당경쟁 지양 및 이익의 유지/증진 추구

    1857년 캘커타해운동맹(UK/Calcutta Conference)이 최초

    1980년대 이후 해운동맹 영향력 약화 비동맹선사(outsider)의 세력 확대

    미국은1984년 해운법(Shipping Act), 1998년 외항해운개혁법 (Ocean Shipping Reform Act) 등으로 규제

    해운동맹의 대안으로 전략적 제휴(strategic alliance) 추진

    유럽연합(EU) : 2008년 10월부터 선사들의 모든 공동행위를 금지 해운시장은 새로운 경쟁질서의 구축 모색

    21

    정기선 해운동맹(Liner Conference)의 와해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연안해운의 문제점

    수송의 자체 완결성 결여

    화물 기/종점 연계운송에 따른 추가 비용 및 시간 지연

    발생

    연계운송 등 물류관리에 인력과 노력이 많이 투입

    화물의 고부가가치화로 수송비용보다는 수송시간 단축

    (납기 준수)이 중요시

    그 결과 수송의 신속성이 높은 화물차 운송이 선호됨

    한국의 경우 국토가 상대적으로 좁아서(수송거리가

    짧아서) 연안운송의 비용절감효과 미흡

    22

    연안해운의 경쟁력 약화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23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부문별 여건 비고

    법․제도 - 자격을 갖춘 Ice navigator 의무화(캐나다) - 북극항로 쇄빙선 도선규정(러시아) - 북극항로 운항선박 구조, 장비, 용품 규칙

    - 규제 위주이며, 비즈니스 측면의 규정은 절대 부족

    인력

    - 러시아, 캐나다 등에서 자격 구비 선원 승선 요구

    - 러시아 Admiral Markarov State Maritime Academy에서 전문 교육훈련 실시

    - 배출인원은 많은 편임

    보험 등

    부대산업

    - 북극해 운행선박은 30% 정도의 할증 보험 부담

    - 물동량 증가 시 부대산업 동시 발달 예상

    자료: 황진회, “ 북극해 해상항로와 화물운송시장 가능성 분석”,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해 변화와 대응방안 워크숍,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0-2030년경 100일 이상의 항해 가능 예상 상업적 이용 가능 북국해 항해 일수는 90일 정도

    북극항로 개설 가능성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25 자료: 일리노이대학교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자료: blog.naver.com.

  • 운송수단 북극항로 수에즈운하 TSR 항공

    거리 (Nautical Mile)

    7,700 10,200 5,375 4,345

    기간(일) 18-20 28-30 18-20 2

    자료: J. Verny and C. Grigentin, Container Shipping on the Northern Sea Rout , 2009.

    주 :기간은 door –to-door 서비스 기준.

    북극항로 활성화 시 한반도 항만의 연계성 개선 중국-미주 이외에 중국-유럽 수출입 화물의 한반도 및 일본 항만

    T/S 가능성 증가

    한반도 항만의 역내 물류중심기능 강화 기대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한국 항만시장은 과당경쟁 현상 심화 비교적 좁은 국토에 다수의 항만 개발 추진

    경제논리보다는 지역균형발전의 정치논리 우세

    항만운영업체의 난립으로 항만내 터미널 간 경쟁도 과열

    과당경쟁은 항만물류산업의 건전한 발전 저해 업체의 수익성 악화로 인한 영세성 및 서비스 수준 저하

    글로벌 경쟁력 상실

    28

    항만시장의 경쟁 심화

    (3) 항만산업 주요 여건변화와 이슈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물동량 규모

    (2000 기준, TEU) 대상항만 수 연평균 증가율(%) 표준편차

    1,000만 이상 2 5.5 0.29

    500∼1,000만 4 10.0 1.71

    300∼500만 6 9.7 1.44

    200∼300만 8 7.5 1.23

    100∼200만 31 7.8 1.46

    자료 : www.ci-online.co.uk(2009. 6. 18)에 의거 산출.

    주: 처리량 100만 TEU 미만 항만의 경우(채색부분) 물동량 감소 시 실적공개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과대추정 우려 있음.

    29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2004년 이후 국토교통성 주도로 추진

    항만투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대형화 연간 처리목표를 250-400만 TEU로 계획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달성

    3대 만을 집중 육성 도쿄만 : 도쿄항, 요코하마항

    이세만 : 나고야항, 요카이치항

    오사카만 : 고베항, 오사카항

    2010년 전략항만정책으로 전환 케이인항(도쿄만)과 한신항(오사카만)의 2개 항만으로 더욱

    집약화

    30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부가가치물류(value added logistics) 활동 이동 중의 부가가치 창출활동(moving value added activities)

    또는 지연된 제조활동(postponed manufacturing)

    근래에는 제조·가공 이외에 사무·지원활동이 강화

    부가가치물류활동의 효과 물류를 통한 소득 및 취업기회 창출

    비용절감, 지역별 고객맞춤 상품의 공급 등

    31

    부가가치물류(Value Added Logistics)의 확산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유형 세부내용

    저수준

    부가가치활동

    - 상표부착(labeling)

    - 고객맞춤(customizing)

    - 부품 또는 설명서 추가(adding of parts or manuals)

    - 상품재구성(configuration) 등

    고수준

    부가가치활동

    - 혼합/배합(blending/mixing)

    - 마무리 및 충전(finishing and filling)

    - 최종조립(final assembly)

    - 수리(repair)

    - 재활용 및 재설비(reutilization/refurbishment) 등

    업무지원활동

    - 화물 및 정보흐름 관리(managing goods and information flows)

    - 재고관리(inventory control)

    - 화물흐름 추적(tracking of flows)

    - 보험/통관/조세관련 업무(insurance/customs/taxes

    - 고객문의 대응센터(call center) 운영 등

    32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구분 기존 전략 향후 전략

    시장 정의 배후지 글로벌 물류흐름

    주요 고객 해운기업 복합운송기업, 물류서비스 제공업체

    운송망 해상 중심 모든 운송수단

    항만 서비스 노동집약적 화물처리 부가가치물류서비스

    관리 형태 -서비스항만(service port)

    -자연독점, 공익사업

    -지주항만(landlord port)

    -민간중심, 글로벌 터미널 운영업체

    관리 기법 항만전문가 참여 부동산, 금융, 협상 전문가 참여

    마케팅 전략 소극적 고객관리(광고, 판매) 적극적 고객관리(장기계약)

    자료: G. K. Sletmo, "Port Life Cycle: Policy and Strategy in the Glob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time economics, Vol. 1-1, 1999.

    33

    항만 개발운영 패러다임의 변화

    1. 해운항만산업 여건변화와 주요 이슈

  •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34

  • (1) 한국해운항만산업의 강점과 약점

    우수한 집하능력 제3국간 운송은 전체의 60% 정도(컨테이너 부문: 80~90%)

    일본 해운기업의 25% 내외에 비하여 크게 높음

    높은 외국선박 용선(charter)비율 : 집하능력이 자체운송능력 초과

    2007년 용선 비중이 약 80%에 달하기도 했음

    자체 수출입화물 확보 대외의존적 경제구조(무역의존도 80∼90% 내외)

    비교적 풍부한 인적자원 확보 선원 및 관리인력 공급

    질적 측면에서 미흡

    한국해운항만산업의 강점

    35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지식/기술기반 발전 미달성 해운중개, 해상보험, 중재․법률서비스, 선박금융, 선박 매매 등

    부진

    해운물류 클러스터(cluster)의 미구축

    고객(화주) 가차창출의 미흡 산출물의 생산과 관련된 전 과정의 최적화에 의하여 달성

    공급사슬의 전 과정을 최적화

    수출입화물에 대한 국내 해운기업의 낮은 적취율(積取率) 물동량 확보의 불안정성

    사업다각화의 부진 시너지효과(또는 범위의 경제성), 위험분산, 성장성 등에서 불리

    통합물류서비스 미흡으로 고객 서비스 수준 저하

    한국 해운항만산업의 약점

    36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37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해운물류기업 유형별 경쟁특성

    유형 효율적․집약적 서비스 제공 기업: 유형 1

    풀서비스(Full-service) 제공 기업: 유형 2

    통합 공급사슬 서비스 제공 기업: 유형 3

    서비스 범위 항만에서 항만까지 문전에서 문전까지 생산물 디자인에서 최종 배송까지

    중점 관리부문 원가 서비스 가치

    경영 문화 서비스 수준 제고와 자산 운용 최적화의 균형 추구

    광범위한 고객요구와 자산 운용 최적화의 균형 추구

    고객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 추구

    경영 체제 표준화 및 고도의 지역적 통합

    제공 서비스 안내서 및 고객정보의 실시간 업데이트

    물류 전 과정의 실시간 업데이트 및 고객 비즈니스와의 심도 높은 통합

    경영 절차 고도의 표준화 - 고객 선택권은 제한적

    고도의 표준화 및 구분된 경영활동 - 맞춤 서비스를 다른 고객에게도 복제하여 적용

    고도의 표준화 및 고객 공급사슬에 의거 구분된 경영활동 - 맞춤 서비스를 다른 고객에게도 복제하여 적용

    사업내용의 복잡성

    낮음 중간 높음

    (2) 기업 경영전략

  • 38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해운항만물류기업 가치창출체계

  • 39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기업의 가치창출은 산출물의 생산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최적화함에 의하여 달성 가능(Towill, 1996) 원자재 조달에서부터 산출물의 최종인도까지 포괄하는

    공급사슬의 전 과정 최적화

  • 40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2) 기업 경영전략

    발전전략 기본구상

  • (3) 정부 정책과제(발전 기반 조성)

    공통과제

    전문인력의 양성·확보

    인력 양성

    교육에 대한 투자, 기업의 신지식 및 기술의 과감한 도입

    저기능 균형(low skill equilibrium) 함정의 탈피 필요

    물류산업의 발전 미흡으로 전문성 확보 여건 미성숙

    양성기관의 교수요원, 기자재 등 내부적 여건도 미흡

    ⇒실무와 연계된 교육/훈련 미흡, 교육/훈련의 전반적 지식/기능이 저수준에서 고수준으로 이행하지 못함

    인력 유치/확보

    생활·교육 등 도시기반시설의 개선

    임금 등 근로조건의 개선

    41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물류산업 발전 및 동북아 물류중심화의 실현 전략 세계 물류기업 : 복합 물류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는 물류

    통합자(logistics integrator)로 전환

    국내 해운물류기업 : 경영규모 영세, 글로벌 영업망과 글로벌 소싱(global sourcing) 체제의 구축 미흡

    해운물류 전문지식/기술의 축적과 확산으로 국내 해운물류산업의 발전이 촉진되는 선순환구조 구축 기대

    해운기업에 대한 종합물류기업으로의 발전 지원 종합물류기업 인증제도

    인수협병 전략의 적절한 활용

    국제물류투자편드 활용

    공공기관 참여 사모펀드로 1조 3,800억 원 조성

    전문인력 양성

    42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구분 주요 내용

    입주 우선

    부여

    - 화물터미널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산업단지

    - 유통단지개발촉진법에 의한 유통단지

    -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류관련 시설

    금융 또는

    부지 확보

    지원

    - 물류시설의 확충

    - 효율적인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

    - 첨단물류기술의 개발 및 적용

    - 물류업무의 자동화 및 물류장비의 표준화

    - 해외시장의 개척

    - 그 밖의 물류사업의 육성을 위하여 부령이 정하는 사업 자료: http://cilc.koti.re.kr/introduce/introduce.asp?top=9(2008. 10. 31).

    43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해운항만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인식의 제고가 필요

    1960년대 이후 산업화과정을 거치면서 해양을 운송 및 수산업을 위한 공간 정도로 인식

    대부분의 국민들은 해양이 일상생활과 무관한 것으로 느낌

    해양 인식 및 문화의 바탕이 없이는 해운 및 관련 산업의 발전에 한계

    추진방안

    해운항만관련 활동과 산업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실시, 이벤트 개최, 해운 및 관련 직업에 대한 정보 제공, 기타 홍보․교육 책자 발간․배포 등의 사업 전개

    영국 “Sea Vision UK"(www.seavisionuk.org) 등 벤치마킹

    44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Green Shipping의 실현 Modal Shift : 화물차 선박, 철도

    Green Ship : 에너지 효율 향상, 연료전지, CO2 포집기술 등

    친환경적 운항 : 감속, 스케쥴 및 화물적재로드 효율화 등

    Green Port의 실현 하역시스템, 동력장치 개선 등 저탄소/에너지 고효율 항만 실현

    저탄소 항만배후수송 체계 확립

    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재활용으로 자원순환형 항만시스템 구축

    녹지공간 조성 등 워터프론트 재구축

    45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산업클러스터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기업들간의 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network)와

    협업 체제(collaboration)의 구축을 통해 전체 기업 집단(및 개별 참여 기업)의 효율성 및 혁신 능력을 제고하고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증강

    주요국의 산업 Cluster 미국

    1960년대 실리콘 벨리 스웨덴과 핀란드

    1980년대 각각 시스타(Kista) 사이언스파크 및 울루(Oulu) 테크노파크라는 IT 클러스터를 운영 ⇒ IT 혁명 주도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1990년대 경제특구 형태 클러스터 조성

    호주 성장성이 높은 산업섹터를 클러스터화하는 ‘SABV2010’프로젝트

    추진 국내

    최근 테크노파크, 바이오 클러스터, 문화산업단지 등 정부 주도로 추진

    Ⅲ. 해운시장 정부개입의 정책방향

  • Ⅲ. 해운시장 정부개입의 정책방향

    60년대 이전 70년대 80년대 90년대 이후

    산업

    집적

    세계 -실리콘 벨리

    -Route 128(보스톤)

    -스꾸바(일본)

    -켐브리지(영국)

    -소피아앙티폴리(프랑스)

    -신쥬(대만

    -구마모토(일본)

    -시스타(스웨덴)

    -울루(핀란드)

    -푸동/중관충(중국)

    -MSC(말레이지아)

    -IT2000(싱가포르)

    한국 -전통적 공업단지

    -수출자유지역 -대덕연구단지 -첨단산업단지

    -대덕벨리

    -테크노파크

    정책의

    중심 공업중심 과학연구단지

    테크노폴리스(첨단

    기술단지) 산업클러스터

    자료: 삼성경제연구소, 산업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와 발전전략, 2002

  • 48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해운산업 경쟁력 확보과제

    정책 구분 유도 정책 저항 정책 적응 정책

    정책 목표 - 자국선대의 확보․구축

    - 자국선대의 유지 - 새로운 비교우위부문 발전

    정책 수단

    - 자국적선 우선적취제도 - 세제․금융 혜택 - 직접보조

    - 편의치적제도 - 국제선박등록제도 - 톤세제도 - 해운안보계획에 의한 보조 - 자국적선 우선적취제도(미국)

    - 기타 세제․금융 지원제도

    - 종합물류 육성책의 시행 - 제3자물류 및 부가가치물류 육성책의 시행

    - WTO 등을 통한 국제적 해운물류 시장개방 노력

    해운기업의 주된 유형2)

    - 효 율 적 ․ 집 약 적(efficient/focused) 서비스 제공 기업(유형 1)

    - 풀서비스(full-service) 제공 기업(유형 2)

    - 통합 공급사슬(integrated supply chain) 서비스 제공 기업(유형 3)

    대상 국가 후발 개도국 선발 개도국 및 선진국 선진국

    주: 정책 구분은 Diebold(1985)에 의함

  • 선사의 경쟁력은 선박 확보시기에 크게 좌우됨

    해운산업은 자본집약적인 산업으로서 선박 취득가격에 따라 결정되는 자본비 수준이 경쟁력 좌우

    연료비, 화물비, 선원비 등은 선사 상호간에 큰 차이가 없음

    악순환(Vicious Circle)의 고리탈출이 관건

    선박투자 오류는 장기간의 채산성 저하

    최적 투자시기인 해운불황 시 현금흐름 문제로 투자 불가

    시황 정점에서 여유자금 확보로 고가에 선박투자 경향

    국책 연구기관 등의 시황예측기능 강화

    49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해운산업 경쟁력 확보과제

  • 세제 및 금융 지원 세제지원

    톤세(tonnage tax)제도, 선박펀드 배당소득 조세감면 등

    금융지원

    선박확보에 따른 금융비용의 다과(多寡)가 국제경쟁력을 결정

    국책은행의 선박금융 대상범위 확대

    선박투자회사의 경쟁력 강화 : 조세감면 혜택 등

    외국인 선원 고용 2010년 이후 선/기장 이외 외국인 선원 고용 허용

    국가필수선박(88척) 및 지정선박(212척) 제외

    50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경쟁국과 대등한 경쟁여건 조성

  • 톤세제도는 해운기업의 해운소득에 대한 법인세 과세표준을 영업이익 대신 운항선박의 톤수와 운항일수를 기준으로 하는 조세제도를 말함. 현재 톤세는 선박의 순톤수(N/T)를 기준으로 부과되고 있음. 그러나 비해운소득에 대해서는 실제 영업이익이 과세표준이 됨. 톤세제도는 유럽의 주요 해운선진국들이 먼저 도입한 제도임. 즉, 1990년대말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등을 필두로 톤세제도가 도입된 이후 독일, 스페인, 핀란드 등도 도입했음. 이들 국가에서는 톤세제도 도입 이후 해운기업의 내부 유보율이 높아짐으로써 선박 투자가 증가하는 등 해운산업 발전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 한편 법인세는 법인소득이 많으면 많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톤세는 법인소득과 관계없이 항상 동일하게 부과됨. 따라서 톤세제도는 해운시황이 호황일수록, 경쟁력이 높은 기업일수록 유리하게 됨. 다만 손실이 발생하여도 여전히 동일한 금액의 소득을 납부해야 된다는 부담이 있음. 톤세제도의 선택 여부는 개별기업이 결정할 수 있음. 다만 한 번 선택하면 5년 동안은 바꿀 수 없다는 제약이 있음. 다만 한국에서는 2009년 해운불황을 감안하여 향후 2년간 톤세제도 포기를 허용했음. 한국의 경우 톤세제도는 2005년에 5년 시한의 일몰제로

    51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선화주간 실질적인 협력관계 구축 지원 물류 관련 불확실성 감소로 해운기업과 화주의 경영 안정성 제고

    협력분야

    장기운송계약, 제3자물류, 기타 장기 거래관계 구축

    공동이용의 금융기관을 통한 협력

    직․간접적인 지분참여

    항만 등 물류시설에 대한 공동 투자 등

    새로운 시장 및 사업의 개척 지원 해운기업 영업범위를 선박 거래(신조선 및 중고선 매매, 용선),

    터미널 운영, 크루즈 등 관련 부문으로 확장

    인허가 절차 간소화, 항비 등 제세공과금 감면 등

    52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지리적 입지

    중심성(Centerality): 배후지의 경제활동 수준

    연계성(intermediacy) : 간선항로와의 연결 정도

    시설(안벽길이, 수심, 터미널 면적)

    항만관리 및 운영

    항만발전의 궁극적 결정요인은 입지여건 입지여건은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것으로 항만 관계자들이 변경

    곤란

    시설 및 관리/운영 여건은 변경 가능

    주요 항만 사례 중심성: 상하이, 홍콩, 선전항 등

    연계성: 싱가포르, 탄정펠레파스(말레이시아) 등

    항만산업 경쟁력 확보과제

    53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배후경제권의 활성화 비교우위부문을 대상으로 부가가치물류흐름 체계 구축

    일본․미국 등에서 첨단부품 및 소재 조달

    중국에서 중․저급기술 부품 및 원자재 조달

    미국, 일본을 포함한 세계로 수출

    배후지 산업구조의 고도화 첨단기업 유치를 위한 조세․금융 인센티브 제공, 홍보 등의 노력

    지자체와 중앙 부처와의 연계 강화 및 패키지 형태의 지원사업 추진

    내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치 지역경제를 활성화 항만물류수요의 안정적 확보

    54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55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시도 수출 수입 계

    서울 101 78 179

    인천 391 428 819

    경기 859 1,054 1,913

    대전 57 38 95

    충북 123 142 264

    충남 331 231 562

    부산 162 266 428

    대구 77 85 162

    울산 693 573 1,266

    경북 590 562 1,153

    경남 766 757 1,523

    광주 194 146 340

    전북 267 227 494

    전남 612 516 1,128

    강원 20 23 42

    전국 5,242 5,128 10,370 자료: 한국교통연구원(2011).

    단위: 1,000TEU

  • 56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2,911

    28%

    921

    9%

    4,532

    44%

    1,962

    19%

    42

    0%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

    물동량 단위: 천 TEU

  • 싱가포르 Free Trade Zone

    홍콩 네덜란드 물류단지

    단지의 특성

    -항만/공항/산업단지와 인접

    -비관세 영역

    -특정단지 없음 -항만, 공항 배후 -자유항

    -산업단지와 인접 -항만배후 -관세영역

    입주업종 및 기업

    -물류창고업 -국내외 기업

    -물류창고업 위주 -국내외 기업

    -물류창고업 -국내외 기업

    세제 등 인센티브

    -국내외기업 동등세율 -관세유보 -부가가치세 감면 등 각종 조세 우대조치

    -국내외기업 동등세율 -관세, 부가가치세, 이자 세 면제

    -국내외기업 동등세율 -조세당국과 세율협의 가능

    -보세창고 내 관세면제 -보조금 부여 가능

    임대관계 -PSA가 기본요율 설정 -입주기업과 협상 가능

    -민간기업 개발운영 -임대도 가능

    -로테르담시(관리자)가 기본 요율 결정

    -협상가능

    자료 :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한반도의 글로벌물류 중심지화 방안 및 추진전략 연구」, 제3권, 2003, p.44를 기준으로 일부 내용 조정.

    57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개선사항 추진주체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및 산업평화

    정착

    노동부, 사용자(경제인연합회), 노동조합

    (양대 노총)

    이용자 위주의 행정서비스, 공정한

    법집행 및 정책의 예측가능성 제고 관련 정부기관

    항만시설, 항만배후단지, 공항 등

    물류시설의 확보 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저렴한 토지 제공, 자유무역지역

    (FTZ)

    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행정

    안전부

    조세감면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행정자치부

    정보통신 인프라의 개선 지식경제부 및 사업별 관련부처

    주택, 학교 및 생활환경 개선 행정안전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

    부, 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자료 : 해양수산부, 「동북아 물류중심 추진전략의 분석 및 체계화」, 2005, p.170.

    58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항만 항만도시

    물류환경 경제환경 생태환경

    - 컨테이너화의 지속 - 공급사슬관리(SCM) 도입 - 정보집약적 서비스 - 선박의 대형화 - 항만 내외부 경쟁 심화

    - 물동량 증가 - 지식기반 서비스의 중요성 - 항만노동의 감소 -배후지 항만관련 산업의 구조조정 필요성 증대 - 해운에 대한 의존도 감소

    • 환경보전 및 친수활동 선호도 증대 • 도시 미관에 대한 중요성 증대 • 연안 접근성 확보 필요성 증대 • 항만 기인 환경오염 최소화 • 항만 확충 및 입지상의 제약

    - 항만의 지역경제에 대한 리더십 강화 ㆍ부가가치물류의 개발 ㆍ부가적 비즈니스 확충 ㆍ환적 및 통과업무 강화 ㆍ항만 클러스터 구축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 개발 모색 ㆍ저탄소 항만 운영 ㆍ연안환경 개선 및 수변활동 보장 ㆍ항만의 도시외곽 재배치

    항만의 전략 대안

    2. 한국 해운항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감사합니다 !

    60

    슬라이드 번호 1목 차슬라이드 번호 3(1) 물류 전반적 주요 여건변화와 이슈슬라이드 번호 5슬라이드 번호 6슬라이드 번호 7슬라이드 번호 8슬라이드 번호 9슬라이드 번호 10슬라이드 번호 11슬라이드 번호 12슬라이드 번호 13(2) 해운산업 주요 여건변화와 이슈슬라이드 번호 15슬라이드 번호 16슬라이드 번호 17슬라이드 번호 18슬라이드 번호 19슬라이드 번호 21슬라이드 번호 22슬라이드 번호 23슬라이드 번호 24슬라이드 번호 25슬라이드 번호 26슬라이드 번호 27(3) 항만산업 주요 여건변화와 이슈슬라이드 번호 29슬라이드 번호 30슬라이드 번호 31슬라이드 번호 34(1) 한국해운항만산업의 강점과 약점슬라이드 번호 36(2) 기업 경영전략슬라이드 번호 38(2) 기업 경영전략슬라이드 번호 43슬라이드 번호 46슬라이드 번호 47슬라이드 번호 48슬라이드 번호 51슬라이드 번호 52슬라이드 번호 53슬라이드 번호 54슬라이드 번호 55슬라이드 번호 56슬라이드 번호 57슬라이드 번호 58슬라이드 번호 59슬라이드 번호 60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