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Солонгос Монгол соёл судлал хичээлийн лекц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нэр Хичээлийн нэр Солонгос Монгол соёл судлалСолонгос Монгол соёл судлал Хичээлийн индекс Хичээлийн индекс KORKOR Судлах мэргэжил МСХБ-3Судлах мэргэжил МСХБ-3 Судлах улирал 6-р улиралСудлах улирал 6-р улирал

강의 강의 내용1 강의 lsquo 문화rsquo란 무엇인가 한국 + 문화

2 강의 한국의 풍속

3 강의 한국의 풍속 ( 세시풍속 )

4 강의 발표

5 강의 한국의 풍속 (통과의례 )

6 강의 통과의례 27 강의 신앙 문화 ( 민간 )8 강의 신앙 문화 2 ( 가택신 )

강의 강의 내용9 강의 중간고사

10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11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2

12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13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2

14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15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2

16 강의 한국의 문화와 풍속 정리

임경순임경순 ldquo ldquo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한국외국어대학교교

강만길 강만길 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 4444 호 창 호 창작과비평사작과비평사 2008 2008

민속학회민속학회 ldquo ldquo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미 19961996

최정호최정호 ldquo ldquo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20042004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선글라스를 끼고 본

세계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Хичээлийн нэр Хичээлийн нэр Солонгос Монгол соёл судлалСолонгос Монгол соёл судлал Хичээлийн индекс Хичээлийн индекс KORKOR Судлах мэргэжил МСХБ-3Судлах мэргэжил МСХБ-3 Судлах улирал 6-р улиралСудлах улирал 6-р улирал

강의 강의 내용1 강의 lsquo 문화rsquo란 무엇인가 한국 + 문화

2 강의 한국의 풍속

3 강의 한국의 풍속 ( 세시풍속 )

4 강의 발표

5 강의 한국의 풍속 (통과의례 )

6 강의 통과의례 27 강의 신앙 문화 ( 민간 )8 강의 신앙 문화 2 ( 가택신 )

강의 강의 내용9 강의 중간고사

10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11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2

12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13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2

14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15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2

16 강의 한국의 문화와 풍속 정리

임경순임경순 ldquo ldquo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한국외국어대학교교

강만길 강만길 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 4444 호 창 호 창작과비평사작과비평사 2008 2008

민속학회민속학회 ldquo ldquo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미 19961996

최정호최정호 ldquo ldquo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20042004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선글라스를 끼고 본

세계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강의 강의 내용1 강의 lsquo 문화rsquo란 무엇인가 한국 + 문화

2 강의 한국의 풍속

3 강의 한국의 풍속 ( 세시풍속 )

4 강의 발표

5 강의 한국의 풍속 (통과의례 )

6 강의 통과의례 27 강의 신앙 문화 ( 민간 )8 강의 신앙 문화 2 ( 가택신 )

강의 강의 내용9 강의 중간고사

10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11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2

12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13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2

14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15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2

16 강의 한국의 문화와 풍속 정리

임경순임경순 ldquo ldquo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한국외국어대학교교

강만길 강만길 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 4444 호 창 호 창작과비평사작과비평사 2008 2008

민속학회민속학회 ldquo ldquo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미 19961996

최정호최정호 ldquo ldquo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20042004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선글라스를 끼고 본

세계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강의 강의 내용9 강의 중간고사

10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11 강의

한국인의 생활 문화와 인간관계 2

12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13 강의

인간관계를 통해 보는 한국문화 2

14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15 강의

문화 분석하는 글쓰기 2

16 강의 한국의 문화와 풍속 정리

임경순임경순 ldquo ldquo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한국외국어대학교교

강만길 강만길 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 4444 호 창 호 창작과비평사작과비평사 2008 2008

민속학회민속학회 ldquo ldquo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미 19961996

최정호최정호 ldquo ldquo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20042004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선글라스를 끼고 본

세계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임경순임경순 ldquo ldquo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rdquo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한국외국어대학교교

강만길 강만길 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ldquo rdquo 한국창제의 역사적 의미 4444 호 창 호 창작과비평사작과비평사 2008 2008

민속학회민속학회 ldquo ldquo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 rdquo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미 19961996

최정호최정호 ldquo ldquo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rdquo 한국의 문화유산 나남출판 20042004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선글라스를 끼고 본

세계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선글라스를 끼고 본

세계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모두 lsquo선글라스rsquo를 끼고 문화를 보는 것이다

안경을 벗자

장님과 코끼리 이야기 전체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며 바라보자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화

- 문화의 유기성 하나에 영향을 주어도 주변이 함께 변화한다- 문화의 총체성 복합성 잘 보이는 것만이 문화가 아니다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Topical 문화는 주제나 범주 목록들의 구성물이다 Historical 문화는 사회적 유산인다 전통이다 Behavioral 문화는 공유되고 학습된 인간해위 삶의 방식이다 Normative 문화는 관념 가치 또는삶의 규칙이다 Functional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식이다

Mental 문화는 관념들이나 학습된 습관들의 복합체이다 Structural 문화는 유형화된 관념 상징 행위의 구성물이다 Symbolic 문화는 사회가 공유하는 임의적인 의미들에 토대를 둔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화 =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인류 문화 =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한국 문화 = 한국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몽골 문화 = 몽골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의 총체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화에는 좋은 문화 나쁜 문화가 있다 - 평가의 척도가 lsquo기술rsquo lsquo 물질rsquo 등 외적인 조건으로 정해지지는 않는다 - 생명을 살리는 문화 vs 생명을 죽이는 문화 - 기쁨 평안을 주는 문화 vs 무관심 부정의 문화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어 활동에서 매우 종요하다

자명한 듯 보이는 문화적인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그것이 자명하지 않은 것을 깨닫기 위해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문화의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이 처한 사회 - 문화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발판을 삼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화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

하나를 알아도 그와 얽힌 다양한 맥락을 함께 아는 것

lsquo 맥락rsquo을 깊이 이해하는 것 보다 객관적으로 나의 시각을 넘어 이해하기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제한된 시각 부분만 본다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국수주의 오직 우리 것만이 최고야 다른 문화는 나쁘다 다른 문화 배척 파괴

타문화 제일주의 문화 사대주의 다른 나라 문화가 더 좋아 최고야 우리 문화는 빨리 버리고 외국처럼 살자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화를 보다 알다 이해하다 문화 연구를 통해 깊이 있는 의미까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를 연구하여 이해한다

문화 상대주의와 연구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탐구한다 현지인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이해해 보기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lsquo 문화rsquo 중 하나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부자유친 [ 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 [ 君臣有義 ] [ 군신뉴의 ]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 [ 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 [ 長幼有序 ] [ 장 ː 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 [ 朋友有信 ]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도교

음양오행과 색 음양오행사상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 우주 인식과 사상체계의 중심이 되어온 원리이다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오행 방위 색 계절 오상 오관

목 동 청 봄 인 (仁 ) 눈

화 남 적 여름 예 (禮 ) 혀

토 중앙 화 4 계절 신 ( 信 ) 몸

금 서 백 가을 의 ( 義 ) 코

수 북 흑 겨울 지 ( 智 ) 귀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세시풍속은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관습적 주거적 전승적 반복적 의례적으로 거행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행위를 말한다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봄철의 세시풍속

설날 첫날대보름 기원삼짇날 봄 시작한식 조상의 묘를 살핀다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여름철의 세시풍속

초파일 부처님이 오신 날단오 여름을 대표하는 명절이다유두 부정을 없앤다는 상징적 날복날 개장국 삼계탕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가을철의 세시풍속

칠석 견우와 직 칠성신백중 고혼을 위로하는 날한 가위 추석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겨울철의 세시풍속

상달고사 성주 고사를 지낸다시제 문중에서 제를 울린다동지 가신제석 그믐날윤달 부정 없는 달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상원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2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설날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입춘 - 봄이 된다는

말이고 문에다가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은 복 받고 집안이 평안하고 자손이 번창 하고 제앙의 없기를 기원하는 것을 말한다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식 -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가서 제사를 지낸다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삼복 -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를 잡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개장국을 먹었다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추석 - ( 음력 ) 8 월 15 일 추석은 한국 인민이 조상전래로 쇠여온 큰 명절의 하나이며 한국의 고유한 풍습을 가장 많이 반영하고있는 민속

명절이기도 하다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동지 - ( 음력 11 월에는 동지가 들어있어 동짓달이라고 한다 팥족을 쑤어 벽과 문짝에 뿌려 상서롭지 못한 것을 제거한다 한식날부터 105 일까지 ( 기나긴 겨울 )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제석 ( 除夕 ) 일년의 마지막날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이십사절기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일생의례 ( 통과의례 )

종교 의례 생산 의례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3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출산의례는 한 개인의 생의 시작되는 의례로써 일생의례의 첫째 과정이다 아들이 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를 낳지 못한 연인들은 각종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자 ( 祈子 ) 를 하였다

자식이 없는 여자들은 산천이나 명승지 혹은 절을 찾아다니며 자식을 갖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렸다 그 치성의 대상물은 대부분 돌과 바위인데 그 중에는 남자의 성기를 조작한 것이 많다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해산의례 - 해산의례란 아기 낳는 일을 맡고 있다는 신을 삼신할멈이라고 불었습니다

해산 할 때에는 우선 아기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아기의 안전한 탄생을 빌며 삼신할멈을 위한 삼신

상을 차려 놓았습니다 아기를 낳은 후에는 고마움의 표시로 흰밥과 미역국을 먼저 올리는 습속 있습니다 출산풍속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의 기원과 수태과정 그리고 출산 자체와 출산 직후의 금기 금줄 작명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말합니다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육아의례 ( 育兒儀禮 ) 는 출산 후부터 이루

어지는 수유 목욕 첫 외출 작명 백일 돌 등의 의례를 말한다

의례는 아이의 안전과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삼칠일 middot 백일 middot 돌을 들 수 있다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관례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여 남자애에게 상투를 틀어 특정된 모자 ( 冠巾 ) 를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는데 이것을 관례라고 한다

계례는 관례와 마찬가지로 옛날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였음을 상징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인데 관례에 반하여 계례는 녀자가 치르는 의례이다 녀자가 나이 15 세 좌우 되면 머리에 쪽을 지어주고 비녀를 꽂아주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러한 의식을 계례라고 한다 량반귀족계층에서 행하였던 계례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인생의례 ( 人生儀禮 ) 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는 과정에 민족적습관에 의하여 진행되는 인생과 관계되는 여러가지 의례를 말한다 인생의례를 일생의례 인생례의 통과의례 ( 通過儀禮 ) 라고도 한다 조선민족의 인생의례에는 3 일치성 삼칠일치성 백일잔치 돌잔치 생일 관례 ( 冠禮 ) 계례 ( 笄禮 ) 혼례 환갑연 진갑연 고희연 8 순잔치 졸수연 100 돐잔치 회혼례 상례 장례 등이 있다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출생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전통혼례의 순서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의혼 신랑과 신부의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여 상대방의 인물 학식 형세 가법 등을 조사고

혼인 당사자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길흉을 따져보는 궁합을 본후

부모의 결정에 의하여 정식 혼인이 이루어지는 의식절차로서

중매인을 통하여 신랑 부모가 신부 부모에게 청혼편지를 보내고

이에 신부부모의 허혼답장 편지를 받는 의식절차입니다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납채 납채란 남자측에서 청혼하여 여자측에서 허혼 (許婚 ) 했을 때 정혼 (定婚 約婚 ) 을 해야하는 그 절차가 납채로 남자측에서 여자측으로 보낸다 먼저 남자의 생년 ( 生年 ) 생월 ( 生月 ) 생일 ( 生日 ) 생시 ( 生時 ) 곧 사주 (四柱 四星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5칸으로 접어 봉투에 넣으나 봉하지 않고 또 납채한다는 취지에 편지인 납채서(納采書 ) 를 두꺼운 한지에 붓으로 써서 청홍 (靑紅 ) 겹보로 싸는데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싼 다음 중간 부분을 청홍색실로 나비매듭으로 묶는다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납채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4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납폐 납페란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예물 (婚需 ) 을 보내는 절차이다 함에 신부 (新婦 ) 의 옷감인 예물 곧 채단(綵緞 ) 은 청단과 홍단으로 하며 포장은 청단은 홍색종이로 싸고 홍단은 청색종이로 싸서 중간을 청실홍실로 나비매듭하며 함안에는 흰종이를 깔고 청단과 홍단을 넣은 다음 흰종이로 덮고 그 위에 납폐의 종류와 수량을 적은 물목기 (物目記 ) 를 적어서 넣는다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납폐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친영 친영이란 신랑이 맞아오은 예 (禮 ) 를 말한다 신부측은 하루 전에 사람을 시켜 신랑 집으로 요와 이불 베개 등 주로 침구를 준비하여 보낸다 신랑은 이른 아침성복 盛腹을 하고 떠나기 전에 주혼자 ( 신랑의 아버지 ) 와 함께 사당에 가서 고한다 주혼자는 아들을 시켜 술을 따라 맛보게 한 다음 가서 신부를 맞이라고 명한다 이때 성복은 사모紗帽에 단령을 입고 혁대에 흑화를 신는다 옛날에는 청사초롱을 들고 많은 사람이 따랐으나 요즘은 평상복 차림으로 가되 혼례를 치를 때만은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초례청에 들어간다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친영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신행 혼인을 하고나서 신부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의례 우귀 (于歸 )middot 우례 (于禮 ) 라고도 한다 속례 (俗禮 ) 에서는 신부집에서 전안례 (奠雁禮 )middot 교배례 (交拜禮 ) 의 모든 혼인의식을 끝낸 후 신랑은 첫날밤을 신부집에서 지내고 계속 사흘을 묵는다 그 후 신부는 신행의 절차를 밟아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에게 폐백 (弊帛 ) 을 드리고 현구례 (見舅禮 ) 를 하게 된다 신행은 3 일신행이라 하여 삼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신부집이 넉넉한 경우는 수개월 심지어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서 묵다가 신행을 하기도 하였다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신행 폐백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근친 신부가 시댁으로 돌아간 후 처음으로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근친이라 한다 이것을 삼일 근친이라 하며 이때 음식을 장만하여 보낸다 시집에서 첫 농사를 지은 뒤 근친이 허락되기도 하였다 근친을 갈 때에는 햇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가져가는데 형편이 넉넉하면 버선이나 의복 등 선물도 마련해서 가져간다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우리는 죽음을 다루는 의례를 상례 라 한다 사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다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초종 (初終 ) ―― 운명 (殞命 ) 하여 습 (襲 ) 하기까지의 절차로서 정침 (正寢 ) 으로 옮긴 병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의 손에 여자인 경우 남자의 손에 숨을 거두지 않도록 한다 운명하면 상가에서는 속광 ― 복 (複 ) ― 천시 (遷尸 ) ― 입상주 (立喪主 ) ― 호상 (護喪 )― 역복 (易服 )전 (奠 ) ― 고묘 (告廟 ) ― 부고 (訃告 ) ― 설촉(設燭 ) 등 필요한 여러 절차를 준비하고 마친다

습렴 염습 (殮襲 ) ―― 죽은 자에게 일체의 의복을 다시 입히는 과정으로 보통 이틀 후에 행한다 그 과정은 목욕 (沐浴 ) ― 진습의 (陳襲衣 ) ― 염습 ― 반함 (飯含 ) 등이다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소렴 (小斂 ) ―― 습이 끝나면서 곧 시신 (屍身 )을 의금 (衣衾 ) 으로 수렴 (收斂 ) 하는 절차이며 뼈가 흩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괄발 (括髮 )middot 환질 ― 전 (奠 ) ― 설영좌 (設靈座 ) ― 입명정 (立銘旌 ) 등이다

대렴 (大斂 ) ―― 소렴 다음 날에 행하며 입관도 동시에 행한다 전 (奠 ) ― 작의려 (作倚廬 ) ― 조석곡 (朝夕哭 ) 등의 절차를 행한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5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성복 (成服 ) ―― 대렴 다음날에 상가 사람들이 각각 상복을 입는 것으로 대소간 친지들의 구분에 따라 다르다 성복 이후에 설영침 (設靈寢 ) ― 조석전 (朝夕奠 ) ― 조석상식 (朝夕上食 ) ― 곡무시 (哭無時 ) ― 조문 (弔問 ) 의 행례가 있다

middot 치장 (治葬 ) ―― 옛날 사대부는 3개월이었으나 보통 5 7sim 일 만에 거행한다 득지택일(得地擇日 ) ― 결리 (結裏 ) ― 고계기 (告啓期 ) ― 개영역 (開瑩域 )middot축문식 ― 천광 (穿壙 ) ― 각지석 (刻誌石 ) ― 조주 (造主 ) 등의 절차가 있다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천구 (遷柩 ) ―― 발인 (發靷 ) 전날 죽은 자가 가묘에 하직하는 절차이다 청조조 (請朝祖 ) ― 대곡 (代哭 ) ― 조전 (祖奠 ) ― 유전 (遺奠 ) 등을 행한다

middot 발인 (發靷 ) ―― 죽은 자가 묘지로 향하는 절차이다 급묘 (及墓 ) ― 폄 (貶 ) ― 증현훈 가회격개 (加灰隔蓋 ) ― 사토지신 (祀土地神 ) ― 하지석 (下誌石 ) ― 제주 (題主 ) ― 성분 (成墳 ) 등을 행한다

흉제는 장례가 끝난 후 상주가 상복을 벗을 때까지 죽은 이를 제사지내는 일을 말한다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우제 (虞祭 ) ―― 사자의 혼백을 위로하는 절차이다 초우 (初虞 ) ― 재우 (再虞 ) ― 삼우(三虞 ) 가 있다

졸곡 (卒哭 ) ―― 1 개월sim 3 개월이 지난 뒤에 무시곡 (無時哭 ) 을 마친다는 절차이다

부 ―― 사자의 위패를 입묘 (入廟 ) 할 때의 절차이다

소상 (小祥 ) ―― 초상으로부터 13 개월 만이니 연제 (練祭 ) 라 칭한다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대상 (大祥 ) ―― 초상으로부터 25 개월 만에 거행한다 윤월은 계산하지 않는다

담제 ―― 초상으로부터 27 개월 만에 행하는 제복제 ( 除服祭 ) 이다

길제 (吉祭 ) ―― 담제를 행한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이다 담복을 벗고 길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제사의 종류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제수진설 - 상을 차린다 신위봉안 ndash사진 또는 지방을 모신다 참신 - 모두 신위 앞에 재배한다 강신 ndash 제주가 분향한 흐 잔을 받아 집사가 따른술을 조금씩 모사에 붓고 재배한다

헌작 - 술잔을 올린다 (초헌 아헌 종헌 ) 독축 -축문을 읽는다 삽시 ndash메밥에 수저를 꼽는다 합문 ndash방분을 닫고 나온다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계문 - 제주가 기침을 세번 한 후 문을 열고 다시 들어간다

헌다 ndash제사위에 놓은 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울린다

처시복반 - 신위께서 음식을 다드셨다고 간주하여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을 다시 덮는다

사신 - 제사를 마친 후 신위을 전송하는 의식 모두 재배한다

신위봉환 - 상위의 제수를 뒤에서 부터 물린다

음복 - 제사가 끝난 후 온가족이 모여 앉아 음식을 먹는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차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 보름날 명절이나 조사의 생신에 간단학 지내는 제사 아침이나 낮에 지냄

요즘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이에 해당 과거 설 한식 단오 추석에 지내는 차례 사시제 -2 월 5 월 8 월 11 월 상순

에 지내는 제사 요즘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축문이

없고 술을 한잔만 올린다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 가족적 서열을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남녀를 구별하는 의식주 생활- - 생사를 구별하고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주 생활

- 일상과 의례를 구별하는 의식주생활

- 체면과 예의를 증시하는 의식주 생활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6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 가족 내의 서열에 따라 옷감이 선택 되고 옷이 만들어졌다 좋은 옷감이나 옷 만들기에는 가장이나 장남에게 우선권이 있었다

- 밥상을 차릴 때는 남자들의 상과 여자와 아이들의 상이 따로 차려쳤다

- 사랑채는 남성들의 공간이고 안채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사랑채 중에서 가장의 방은 가장 크고 안채 중에서 안주인의 방이 컸다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 사회적 지위 경제력 남녀에 따라 옷의 가짓수 옷감 형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유교 이념이 강한 사회에서는 옷을 통해서 정체성을 드러냈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밥상에서 식사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남자의 밥상이 잘 차려지기도 하였으며 남자가 밥을 먹어야 식사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는 일이 드물었고 부녀자가 서재나 사당에 들어 가지 못하였다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옷은 옷감이나 종류 제작 방법 등에서 드르다

조상을 섬기는 제례음식은 새롭게 준비한 음식이어야 하며 제례가 끝날 때까지 함부로 먹을 수 없었고 정성과 경건한 마음 가짐으로 준비해야 한다

- 사당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였는데 이는 조상을 우선하는 의식 반영한다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 평상복과 예복이 구별되었다 평상시에는 평상복을 입었으나 집안 중대사에는 남자는 주로 도포 () 를 여자는 원삼 () 을 예복으로 작용하였다

일상 음식과 의례 음식은 종류 상차림 등에서 달랐다

주생활에서 사당을 제외하고는 일상공간과 의례공간은 뚜렷한게 분리되지는 않았다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 옷차림은 예의의 기본이며 동시에 인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식생활에서 집안의 어른은 다른 식구들을 생각해서 음식을 남기는 ldquo밥상물리rdquo을 하였다 그로고 어른이 먼저 식사를 해야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할 있었고 음식 타박을 하거나 음식 먹는 소리를 내는 일은 삼갔다

주거공간에는 구획이 있었고 공간에 얽힌 지켜야 할 예의가 있었다 남성과 여성 가족과 손님 상위자와 하위자 취사와 취침 공간 구분이 분명했다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우선 한복은 형태면에서 선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들 수 있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기본을 이루면서 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이 있다

색채면에서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복은 대륙적인 원색과 옅은 색을 즐겨 사용했는데 특히 백색을 선호했다

문양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한국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의복 자체의 재료와 색 형태 등에 새로운 형태나 색을 더해 줌으로써 보조적인 장식 효과를 냈다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의례복 출생의례복 혼례복 수의 상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

에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평상복 봄 가을에는 누비옷 여름에는 모시나 삼베옷 겨울에

는 명주나 무명옷을 입었다 남자는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입고 나들이 할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여성들은 한복 치마 저고리를 입었으며 일제시대 이후 몸빼를 입기 시작했다

노동복 전통적인 의복으로는 여름에는 주로 삼베옷 겨울에는

무명옷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비가 올 때에는 삿갓을 썼고 비옷으로 띠나 나락짚 도롱이를 입었고 나막신을 신었다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음식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은 반영하면서 형성되고 발전해진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인 기후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독득한 음식 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또한 음식은 개인에 따라 선택되고 섭취되기도 하기 때문에 개인마다 음식에 대한 취향이 다를 수 있다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조리상의 특징 제도상의 특징 풍속상의 특징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7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1 주식과 부식이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2 곡물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3 음식의 간을 중히 여긴다 4 조미료 행신료의 이용이 섬세

하다 5 양식 동원 () 의 조리법이 우수하

다 6미묘한 손 동작이 요구된다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1 유교 의례를 중히 여기는 상차림이 발달하였다

2 일상식에서는 독상 중심이었다 3 조반과 석반을 중히 여겼다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1 공동식의 풍속이 발달하였다 2 의례를 중히 여겼다 3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다 4풍류성이 뛰어났다 5 저장 식품이 발달하였다 6 주체성이 뛰어났다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면류 막국수 우동 국수 라면 쌀국수 냉면 냉콩국수 잡채

구이류 더덕구이 닭구이 삼겹살구이 생선구이 갈비구이 등심구이 양곱창구이

안심구 이 제육볶음 장어구이 불고기

국류 만두국 매운탕 영양탕 김치국 삼계탕 감자탕 갈비탕 계란탕 곰탕 도가니탕

떡국 설렁탕 미역국 육개장 해장국 북어국

김치류 열무물김치 깍두기 동치미 백김치 배추김치 총각김치 보쌈김치

간식류 만두 김밥 떡볶이 순대

밥류 영양솥밥 오곡밥 오징어덮밥 김밥 김치볶음밥 떡볶이 약밥

낙지볶음밥 짜장밥 콩나물밥 비빔밥 볶음밥

반찬류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취나물 호박나물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육류 닭백숙 삼겹살구이 삼계탕 갈비구이 등심구이

순대 안심구이 제육볶음 불고기

찌개류 김치찌개 갈비찜 곱창전골 된장찌개 소고기전골

순두부찌개 신선로 낙지전골 청국장찌개 부대찌개

해산물류 매운탕 생선구이 낙지전골 낙지볶음 장어구이

볶음요리 김치볶음 버섯볶음 낙지볶음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식의 결정체 궁중음식 결정체는 궁중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8 도

의 각 고을에서 들어오는 진상품의 요리 재료들이 최고의 조리 기술을 지닌 주방 상궁 (尙宮 ) 과 대령숙수 (待令熟手 ) 들의 손을 거쳐 정성껏만들어진 것이 바로 궁중 음식이다

한국인의 삶을 닮은 음식 향토음식 동서남북에 따라 지세와 기후가 다르므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고유한 음식을 발전시켜왔고 이러한 향토음식은 지금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국의 4계절을 담아 정을 나누는 음식 시절음식 봄이면진달래화전 쑥국 냉이국 달래무침이 상에 올랐

고 여름에 는 육개장 백숙 개장 등 보양음식과 참외 수박 등의 과일이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가을에는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과 무시루떡 밤단자로 독특한 맛을 즐겼고 겨울에는 만두 설렁탕 김치 등을 장만해 즐겨먹었죠

한국의 관혼상제를 위한 음식 의례음식 (관례 혼례 상례 제례 ) 를 말합니다

자연 그대로를 담은 사찰음식 ( 사찰음식은 재료가 가지는 순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담백하고 깜끔한 자연 의 음식이다 )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음식은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과 혼례 상례 제례 회갑 생일 등의 특별한 때에 먹는 특별음식으로 나뉜다 먹는 시기에 따라 세시음식과 미세시음식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한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 화채와 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상음식 특별음식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8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뜨거운 음식 물기가 많은 음식은 오른편에 놓고 찬 음식 마른 음식은 왼편에 놓습니다

밥 그릇은 왼편에 탕 그릇은 오른편에 장종지는 한가운데 놓습니다

수저는 오른편에 놓으며 젓가락은 숟가락 뒤쪽에 붙여 상의 밖으로 약간 걸쳐 놓습니다

상의 뒷줄 중앙에는 김치류 오른편에는 찌개 종지는 앞줄 중앙에 놓으며 육류는 오른편 채소는 왼편에 놓습니다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출입문에서 떨어진 안쪽이 상석이므로 어른을 좋은 자리에 모셔야 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습니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드신 후에 식사를 시작하고 속도를 맞춥니다

윗사람이 식사를 마치고 일어서면 따라 일어서야 합니다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났을 경우엔 수저를 밥그릇이나 숭늉그릇에 얹었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때 상 위에 내려 놓습니다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음식을 먹기 전에는 국 국물이나 김칫국을 먼저 먹고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 밥그릇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습니다 반찬과 밥은 한쪽부터 먹도록 합니다 수저로 음식을 뒤적거리지 않습니다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식사 중에 책 신문 TV 등을 보지 않습니다 식탁에서 턱을 괴지 않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음식이나 간장 등은 옆 사람에게 집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밥그릇은 제일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웁니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놓고 사용한 냅킨은 대강 접어서 상 위에 놓습니다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술자리의 배석 ( 상석 ) 첫잔은 사양하지 않는다 술을 마시는 적당한 양에 대하여는 일불 (一不 ) 삼소

(三少 ) 오의 (五宜 ) 칠과 (七過 ) 라 하여 한잔 술로 끝나는 법이 없고 세잔 가지고는 부족하며 다섯 잔이라야 알맞되 다만 일곱 잔이면 과음이 되니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술잔 권하기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옥이란 한옥 종류 및 구조 온돌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예전에는 한옥이라는 단어가 없었고 단지 집이라고 부를 뿐이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들어온 건축물이 한국 에 자리 잡으면서부터 외형이나 구조면에서 다른 서양 건축물과 비교해서 한국 민족이 이 땅에 짓고 살아온 전형적인 건축물을 한옥이라 부른다

한옥은 삼국시대 말까지 움집 초기 구들의 형태로부터 발전해 신라 통일기에서 고려 원종 (元宗 1219~1274) 시기까지 구들이 발달된 귀틀집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이때부터 임진왜란 시기까지 오면 북방의 구들과 남방의 마루가 결합한 형태의 한옥으로 발전된다 이후 조선 고종 (高宗 1852~1919) 대에 이르러 전통적인 한옥에서 도시형 한옥으로 발달하게 된다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한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lsquo낡은 것rsquo lsquo 오래된 것rsquo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실제 한옥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때까지 몰랐던 lsquo아름다움rsquo과 lsquo조상들의 슬기로움rsquo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부분에서 멋스러움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대문은 용도와 사용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고 그에 따른 격식을 지닌다 가장 격식을 갖춘 성대한 문은 성과 궁궐의 문이라 할 수 있다

2 마루는 남방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어 구들과 만나게 되었다 마루의 종류는 대청 ( 마루 ) 툇마루 쪽마루 뜰마루로 나눌 수 있다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3 부엌 화덕이 구들과 연결되어 난방과 취사를 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남쪽 지방에서는 취사와 난방을 분리한 아궁이가 있다

4 장독은 조리를 하는 부엌이나 우물과도 가까워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반빗간 뒤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한다는 것이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다 한옥의 평면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의 평면과 따뜻한 지방의 평면이 결합하면서 생겨난 한옥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다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풍수지리와 자연과의 융합

음양의 원리

상징성으로서의 문

여유공간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1 상류 주택 2 민가 한옥의 구조

1 대청2 방3 사랑4 사당5 찬방6 부엌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9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1 기와집 2 초가집 3 너와집 4 굴피집 5 귀틀집 6 까치구멍집 7 움집 8 토담집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굴참나무의 굵은 껍질로 지붕을 얹은 집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경상 남북도와 전라 남북도에 분포된 집을 말한다 부엌 방 대청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지붕의 모습은

― 자형으로 되어 있다 여름날을 견디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고 햇볕을 잘 들게 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였다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남부 지방 여름에 더운 지역이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마루가 넓고 집이 일자형이다 창문이 많다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지붕의 모습은 ㄱ 자 형이 많지만 ㅁ 자형도 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은 기후적으로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중

간 지역에 해당하므로절충된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부엌과 안방을 남쪽에 배치하여 햇볕을 많이 받도록하고 있다

서울 지방에서는 부엌이 대부분 꺾인 곳으로 오게 되어 동서쪽에 놓이게 된다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중부지방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지붕의 모습은 ㅁ 자형이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기 위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구조로 집

을 지었다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마루나 복도가 없다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온돌을 놓았다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북부지방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온돌이란 방에 아궁이에 불을 피워 덥히는 구조이고 마루는 나무로 만들어 더위를 피해 시원하게 만드는 곳인데 마루를 이루는 나무와 아궁이에서 생기는 불이 서로 상극인데도 한국 건축에서는 이둘을 조화로우면서도 지혜롭게 배치하여 4 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상황에 맞게 여름엔 시원한 마루에서 겨울엔 따뜻하고 아늑한 방에서 생활하도록 만든공간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구리 등으로 만든 관을 바닥에 깐 후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서 방바닥을 만든다 이 관으로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가 지나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한다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학술 사상 종교 예술 도덕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0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무교 유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개신교 전통신앙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무교란 사람들이 평상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풀 수 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무당의 중재를 빌어 신령들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를 말한다

무는 하늘과 땅을 있는 글자인 공에 사람인 인을 둘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지상의 인간과 천신과의 중계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라는 말이다

세습무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강신무 강신무는 대개 특별한 이유없이 병이 들어 고통을 겪고 환청이나 환영을 듣고 보는 신병을 앓는데 내림굿을 하고 무당이 되면 병은 낫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을 고쳐줄 수 있는 사제자가 된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예의를 중시하고 개인의 정신적 수양에서 시작하여 조화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종교이다

종국 춘추전국시대 말기에 공자 (BC551-479) 가 창시한 사상이다

유교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정화하게 알 수 없지만 기원전 23 세기 경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유교 본격적으로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중심 사회에서 유교 중심 사회로 바뀌었다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서 지혜와 자비를 중시하는 종교라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소승불교 선불교 원불교 라마교 불교가 한반도에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 에 들어

온 것이다 백제는 침류왕 384년 ( 같이 중국 문화 전래 )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천주교는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로서 개신교와는 달리 성경에 기록되지않은 성전과과 개신교가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외경 등도 중시한다 ( 가톨릭교 )

1784년에는 이승훈 (1756-1801)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서적 성물 등을 가져화 신앙공동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였다

개신교는 구교 즉 천주교의 교회중심주의적 교리주의와 성직의 특권을 비판하면서 대두한 종교이다

1832년 독일 출신 (KF August Gutzlaff 1803-1851) 가 개신교 선교사로서 한국에 처음으로 방문

1866년에는 영국 선교사 (RJThomas) 1884년에는 황해도 소리에 한국 최초의 교회가 건립되었다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5: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성주신 삼신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6: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조상신 조황신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7: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터주신 천룡신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8: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용왕신 측간신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19: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문간신 업신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20: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세계적인 종교가 들어와 있고 그 세력이 팽팽하다 한국의 종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엣 강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특히 무교는 한국인 영원한 종교라 할 만큼 강한 영향격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은 종교 자유가 보장되는 다종교 사회이다 한국의 종교는 대채로 보수적인 성향이다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21: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종교인 531 비종교인 465 종교별로 보면 불교 43 개신교 345 천주교 206 유교 04 원불교 05 기다 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22: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1월 14 일 - 다이어리데이 연인끼리 서로 일기장을 선물하는 날2월 14 일 - 발렌타인데이 여성이 좋아하는 남성에게 초콜릿을 주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3월 3 일 삼겹살데이3월 14 일 - 화이트데이 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날4월 2 일 - 싸이데이4월 14 일 -블랙데이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고 받지 못한 남녀들이 자장면을 먹으며 서로를 위로하는 이색 기념일

5월 2 일 오이데이5월 14 일 - 로즈데이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

6월 14 일 -키스데이 남녀가 사랑을 고백하며 입맞춤을 나누는 날

7월 14 일 - 실버데이 주위 사람들에게 연인을 소개하면서 실버 액세서리를 주고받는 날

8월 14 일 - 그린데이 연인과 삼림욕을 하며 시원하게 피서를 하는 날

9월 14 일 - 포토데이 사진을 함께 찍어 한장씩 나눠 갖는 날

10월 4 일 천사데이10월 14 일 - 와인데이 연인과 분위기 있는 곳에서 와인을 마시는 날10월 24 일 애플데이10월 31 일 할로윈데이11월 1 일 한우데이 11월 11 일 빼빼로데이11월 14 일 - 무비데이 연인끼리 영화를 보고 오렌지주스를 마시는 날

12월 14 일 -허그데이 연인끼리 포옹으로 추운 겨울을 함께 녹이는 날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23: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수업 참여 (출석 10 수업 태도 10) 과제물 (10회 x 5점 50) 시험 1회 혹은 기말 보고서 (30)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Page 124: Korean& mongolian culture 2013.9.1

인터넷 한국학 자료실 및 도서관의 책들을 참고하여서 아래의 단어 중 두 개를 선택하여 그 뜻과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오시오 (A4 2매 ~5매 )

단군의 자손 백의민족 (白衣民族 ) 한국 (韓國 ) 대한민국 (大韓民國 ) Korea(코리아 Corea Coreegrave Coryo Koryo) 고조선 (古朝鮮 ) 발해 (渤海 ) 통일신라 (統一新羅 ) 후백제 (後百濟 ) 후고구려

(後高句麗 ) 고요한 아침의 나라

문화 (culture) 풍습 (practice) 풍속 (customs) 민속(folklore)

문화 국수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