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교수 (prof. Kyung-min Kim)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 2014 CC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2014.09.16.TUE / 페럼홀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Embed Size (px)

DESCRIPTION

2014 CCKOREA 국제 컨퍼런스 "모든 것을 공유하고 모든 것을 연결하라"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Citation preview

Page 1: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김 경 민 교수 (prof. Kyung-min Kim)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

2014 CC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2014.09.16.TUE / 페럼홀

Page 2: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이미지출처: 공유허브(http://sharehub.kr/about)

공유경제 | Shared Economy ?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 협력적 소비 / 개개인의 참여와 신뢰 / 나눔의 실천

Page 3: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공 유 경 제 경 제 적 활 동 ! · · · · ·

Profit/Sales Maximization

Cost Minimization

이익의 극대화 (Net Profit Maximization)

•  순수한 경제적 활동:

•  현재의 우리는 무엇을 더 강조하고 있는가?

Page 4: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우버 UBER ?

이미지출처: newspaper in Finland (http://www.taloussanomat.fi/autot/2014/06/11/uberia-vastaan-jattiprotesti-luvassa-taksikaaos/20148244/304?pos=related)

이미지출처: UBER webpage (https://www.uber.com/)

Page 5: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공유 가치??? Shared Value for WHOM?

개별기업

산업분야

Page 6: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예를 들어, 창신동 협동조합

버선을 만드는 새로운 협동조합을 구상(기계와 원단 등을 공유)

1.

만약 생산/납품계약이 되었다면, 협동조합은 안정적인 수입원을 구축

2.

기존 버선 만드는 공장은 더 취약한 계층들이었음 ! ?과연 공유경제의 원천적인 협동조합이라는 이유로

보다 어려운 공장의 물감을 뺏어야 하나? 인센티브를 계속 주어야 하나?

인센티브

Page 7: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공유가치창출 | CSV: Creating Shared Value 경제적, 사회적 가치의 전체적인 풀(공유)을 확대 사회적 진보와 경제적 성장 간의 연결을 찾고 확대하는 것 “… simultaneously advancing the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communities in which it operates. Shared value creation focuses on identifying and expanding the connections between societal and economic progress.”

- Michael Porter

이미지출처: sharepeople (http://www.sharepeople.eu/news/porter-emphasises-partnering-is-essential-for-creating-shared-value/)

네슬레는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열악한 커피농장의 조달방법을 다시 디자인했다. 생산자에게 새로운 농사법을 제시하고, 은행 대출을 보증하는가 하면, 종자재고 관리법, 방충, 비료 제공을 도와주었다. 악순환에 빠져있던 농부들은 질좋은 커피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직거래를 통해 농부에게 더 많은 이익이 갈 수 있게 되었다.

Page 8: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개별기업

산업분야

공유 가치 Shared Value for Community (Stakeholders in a city) 개별기업

산업분야

Positive Impacts on City and Economy

Page 9: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PLATFORM ?

이미지출처: 싸이월드(www.cyworld.com), 개인블로그 (ggamnyang.com/924#.VA_-AU0cTmc)

이미지출처: 페이스북 (www.facebook.com)

Page 10: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PLATFORM

확장가능성 (Expandability) 유연성 (Flexibility) 속도 (Velocity)

Page 11: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도시플랫폼 ?

한정된 공간 또는 제약된 공간 : 확장가능성의 제약 내포

사람(커뮤니티): 유연적 또는 변화의 속도를 마음대로 할 수 없음

어떻게 플랫폼적인 성격과 도시라는 성격을 조화롭게 할 것인가?

도시의 성격

기능의 확장가능성

시간의 확장가능성

도시의 가능성 !

Page 12: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도시플랫폼 기능의 확장 다양한 사람들,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즐기게 하기

한 건물을 주거/상업/공업 등 하나의 용도로 건설

다양한 기능들이 한 건물 또는 도보가능거리(walkable distance) 내에 있

도록 도시를 만드는 것

이미지출처: 창신기지 페이스북페이지 (www.facebook.com/changsincreativehouse) 이미지출처: 에어비엔비 (www.airbnb.co.kr)

Page 13: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1

2

3 1+2+3

도시플랫폼 시간의 유연적 사용

쉐어하우스 원 룸

Page 14: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도시라는 공간은 공간 확장가능성의 한계가 있으나, 기능과 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함으로써, 플랫폼적인 요소를 갖게 할 수 있음

도시플랫폼 기능의 확장과 시간의 유연적 사용

그렇다면, 이제 공유가치를 높일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고민

!

Page 15: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Shared HOUSE

Shared OFFICE

Shared FACTORY

공유공간의 기능 확대와 공유가치창출

Page 16: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Shared HOUSE

Shared OFFICE

Shared FACTORY

Page 17: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자료출처: 인구총조사,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서울시 1인가구

0.0%

2.5%

5.0%

7.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800,000

900,000

1,000,000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1인가구 규모

Page 18: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9,079

219,229

213,731

127,572

102,075

182,920

자료출처: 인구총조사,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대한상공회의소, ‘1인가구 증가가 소비시장에 미치는 영향 조사

1인가구의 특성

2010년 연령대별

1인가구수

20대

30대

월수입에서 주거비가 차지 비중 : 1인가구(27.8%) > 3~4인가구(18.5%) 월가처분 소득이 전체 월수입에서 차지 비중 : 1인가구(32.9%) >> 3~4인가구(17.2%) → 소득 중에서 소비와 저축 등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이 3-4인가구에 비해 많음 1인가구의 소비패턴은 자기지향적이며, 편리성지향적임

Page 19: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의 제공 / 청년 주거복지 문제에 대응

이미지출처: 통의동집(http://3siot.org/roundabout/), ‘1인 가구 450만 시대… 공유의 새로운 실험 ‘셰어하우스’ ‘, 서울신문, 2013.10.15.

Page 20: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9,079

219,229

213,731

127,572

102,075

182,920 60대 이상

2010년 연령대별

1인가구수

경제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안정된 삶을 누리는 노인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빈곤 노인도 존재 절대빈곤상태의 독거노인 가족들에게 지원을 받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유대감을 느낄 만한 존재가 없는 노령 1인가구

노령 1인가구

연령대별 저소득 가구 비율

연령별 1인가구 변화추이

자료출처: 인구총조사,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이재수·양재섭(2012), 『서울시 1인가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age 21: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일본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쉐어하우스 공유주택은 기존의 주택을 활용하여 여러 세대의 1인가구가 함께 삶으로써 개인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공용시설을 공유 청년층과 노년층의 혼합 성격의 쉐어하우스 노년층을 위한 쉐어하우스

자료출처: KB데일리비타민,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시장의 다변화

Page 22: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미국 시니어 매칭 쉐어하우스 미국 노인지원 비영리단체 ALA가 집주인과 룸메이트를 매칭 양쪽 다 고정적인 수입은 없지만 집이 있고 소셜연금이 낮은 한 대상과 소셜연금은 높지만 집을 보유하지 않은 두 대상을 매칭시켜 3개월간 함께 살아본 뒤 계약 연장하는 방식으로 진행 불경기에 렌트비와 생활비를 절약할 수 있고 적적한 노년에 서로 말벗이 될 수 있는데다 응급상황이 발생해도 혼자가 아니라 자녀들도 안심할 수 있음 ALA는 이러한 방식으로 지난 7년간 220명의 시니어들을 룸메이트로 짝지어줌

자료출처: 중앙일보, 2014.05.03, 생활비도움… 노인들 ’룸메이트 찾기’ 부쩍

Page 23: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도시지역의 개발과 저소득층 기존 낙후지역는 도시 저소득층의 일자리 정보 공유의 장소로서 일정부분 역할을 함 도시개발과 함께 저소득층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사회적 네트워크의 상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간적 대안

Page 24: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Shared HOUSE

Shared OFFICE

Shared FACTORY

Page 25: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Start-up

창의경제 Creative Econo

my

창조계급 Creative Cl

ass

1인 창조 기업

창조계급과 소규모 창조기업 리차드 플로리다에 의해 창발된 창의경제는 창조계급과 장소의 역할이 중요하며, 도시의 산업전반과 지역 개발 및 계획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Page 26: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the social gathering of a group of people who are still working independently, but who share values, and who are interested in the synergy that can happen from working with like-minded talented people in the same space.” - Wikipedia

Page 27: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Coworking space accelerate Business

출처: Work for yourself not by yourself (http://threefortynine.com/2013/04/coworking-infographic/)

Page 28: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Gangplank “Gangplank is infrastructure for the creative economy.” “ Gangplank is a COMMUNITY. We aren’t just a free coworking space. We are about more than shared space. We are about SHARED VISION.” “ We are a collaborative WORKSPACE. We have EVENT and MEETING SPACE available as well as drop in workspace” “… 창조적인 계급은 경쟁을 넘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그 아이디어는 자유로이 공유되어야 한다. … 물리적인, 문화적인 경계가 없다. 우리는 small businesses, micro-businesses, and freelancers들이 공동의 대의(common cause)에서 연결된다면, 이는 혁명의 핵심이 될 것이라 믿는다. Gangplank는 collaboration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creators를 각각을 연결해주고, 더 큰 커뮤니티와 연결해준다. 우리는 place to work와 event venue의 두 가지 장소를 모두 제공한다. 하지만, 이것은 건설에만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커뮤니티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A place to connect. Authentic relationships을 위한 장소이다. 배우고, 가르칠 수 있는 장소이다. 아이디어, 경험, 지식을 공유하는 것이다. Gangplank를 유니크 하게 하는 것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흘러 넘친다는 것이다.”

Page 29: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Startup house @ San Francisco “기업이 인턴을 뽑아 교육시키는 것의 연장선 상에서, 기업이 공간을 주고 인큐베이팅을 할 것이다. 개방적인 공간에서 기업은 홍보까지 할 것이다.” “(Startup House가 지역에 기여를 하는가) 그렇다. 이 지역(Soma: South of Market)은 사실 노숙자가 많은 다소 침체된 다운타운이다. 그러나 우리의 공간을 통해 지역이 개혁되는데 일조할 것이다. Soma지역의 허브로 작용할 것이다. 새로운 Silicon Valley가 될 수 있다.”

Page 30: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Shared HOUSE

Shared OFFICE

Shared FACTORY

Page 31: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소규모 생산의 시대 커스텀 맞춤형 제조 개인 아이디어의 실현과정에서 노하우의 공유

Page 32: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해커스페이스 예술가, 엔지니어, 건축가, 음악가, 디자이너 등등 그리고 무엇보다도 창작의 의욕을 불태울 뜻이 가득한 열정적인 분들을 위한 공간이며 더불어 기술과 예술 그리고 지식을 함께 나누면서 우리 주변의 삶에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을 같이 분해하고 다시 조립해서 재창조하는 모두를 위한 장소

Page 33: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TechShop TechShop is a vibrant, creative community that provides access to tools, software and space. You can make virtually anything at TechShop. Come and build your dreams!

Page 34: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동대문패션타운과 창신동

해외생산 + 해외SPA

동대문쇼핑몰 가격경쟁

가치사슬 전반 원가하락 압박

작업 수주량 불안정

노동시간 대비 낮은 공임수준

지역복지헤택의 사각지대

특수 영역의 기술력 한계

집합적 협상력부족

코디네이터의 부재

동대문 의존적 [ 창신동 ]

Page 35: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뉴타운 vs. Pruitt Igoe

이미지출처: 가리봉동 재정비촉진지구 조감도(www.gurodev.guro.go.kr/garibong/) 이미지출처: Pruitt Igoe (www.pruitt-igoe.com/)

Page 36: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김경민

지역산업 및 생활공동체를 위한 공유공간 실질적 재생기반 조성 -  물리적 개선 전략을 통해 주거 환경 개선의 계기 조성

지역산업 경쟁력 제고 -  쾌적하고 편리한 작업환경 제공을 통해 지역 산업 경쟁력 재고 -  산업적 노하우의 공유와 학습의 장소

지역 공동체 형성 촉진 -  작업공간과 더불어 저렴한 주거를 근거리에 제공 -  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지역 공동체 활동기반 마련

ⓒ 박세은(서울대학교 건축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