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Housing price report 주택가격동향 2015 01 KHPI : Korea Housing Price Index www.r-one.co.kr 승인(협의)번호 [제30404호] 발간등록번호 11-B190024-000040-06

[한국감정원] 15.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보고서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Housing price report

주택가격동향 2015 01KHPI:Korea Housing Price Indexwww.r-one.co.kr

승인(협의)번호 [제30404호]발간등록번호 11-B190024-000040-06

CONTENTS

2015년 01월 전국 주택가격동향

Ⅰ 주택가격동향

1.매매가격동향 2.전세가격동향 3.주택수급및거래동향 4.주택가격 5.월별장기평균

Ⅱ 통계개요

1.조사개요 2.통계이용자유의사항

0412202123

2428

국가승인통계 [승인번호 : 30404호]

조사기준일 : 2015.1.12

공표일 : 2015.2.2 발행일 : 2015.2.2

발 행 처 한국감정원

발 행 인 서종대

통계책임관 채미옥

담 당 부동산통계센터주택통계부

주 소 대구광역시동구이노밸리로291(신서동)

홈 페 이 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1주택가격동향2015.01

전국 주택매매가격 종합추이

전국 주택전세가격 종합추이

지역별 주택매매가격 전월대비 변동률

지역별 주택전세가격 전월대비 변동률

0.14%전국

매매시장은 '주택 3법' 국회 통과에 따라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가격 수준이 상승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실수요자의 매매전환 등으로 수도권의 상승폭이 커지며 전월과 동일한 오름세 기록

0.27%전국

전세시장은 저금리 기조로 월세전환물량이 증가하고 신규 입주물량 부족으로 수급불균형이 여전한 가운데 재건축 추진으로 인한 이주수요 및 겨울방학 학군수요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 중심의 상승세 지속

2015. 01

전국 주택가격동향

0.17%경기

0.42%경기

0.10%충남

0.12%충남

0.05%대전

0.27%광주

0.30%광주

0.03%전남

0.57%제주

0.50%제주

0.13%수도권

0.36%수도권

0.16%지방

0.18%지방

0.20%충북

0.28%충북

0.11%대전

0.23%경북

0.21%경북

0.46%대구

0.48%대구

0.10%울산

0.10%울산

0.10%부산

0.14%부산

0.15%경남

0.17%경남

0.08%인천

0.09%서울

0.37%인천

0.29%서울

0.09%강원

0.12%강원

-0.04%세종

-0.01%전북

-0.05%세종

-0.02%전남

0.00%전북

매매가격동향

전세가격동향

2주택가격동향2015.01

전국 매매ㆍ전세가격지수 추이

가격변동지역 분포

지 역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월비 전년동월비

전국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매매 ▲0.14%

- 상승폭 전 달 유지, 서울은 보합에서 상승 반전 전국 전세 ▲0.27%

- 가격 상승세 지속, 상승폭은 전 달에 이어 동일

※190개시군구중비자치구를포함한12개시를제외함

• 수도권은 주택 3법’ 국회 통과에 따른 기대감과

전세가격 상승에 따른 매매전환 수요가 발생하며

전월보다 오름폭 확대

• 지방은 지역 이사시기인 제주와 개발호재가 풍부한 대구가

가격상승을 주도하나, 호남권의 노후주택 가격하락 영향으로

오름폭 축소

• 지역별로는 제주(0.57%), 대구(0.46%), 광주(0.27%),

경북(0.23%), 충북(0.20%) 등의 순으로 상승한 반면, 세종

(-0.04%), 전남(-0.02%), 전북(-0.01%)은 하락

• 평균 주택매매가격은 231,659천원으로 전월 대비 2,517천원

하락하였고, 아파트 256,962천원, 연립주택 138,784천원,

단독주택 224,575천원을 각각 기록

• 수도권은 전 달에 비해 오름폭이 약간 상승하였고,

겨울방학 학군수요 및 재건축 이주수요, 경기·인천 지역의

서울로부터의 이주수요 등으로 오름세 지속

• 지방은 산업단지 근로자 이주 및 학군수요를 바탕으로 한

대구와 외부인구유입이 활발한 제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가격상승

• 지역별로는 제주(0.50%), 대구(0.48%), 경기(0.42%),

인천(0.37%), 광주(0.30%), 충북(0.28%) 등의 순으로 상승한

가운데 세종(-0.05%)은 하락

• 평균 주택전세가격은 142,624천원으로 전월대비 561천원

하락하였고, 아파트 173,478천원, 연립주택 85,216천원,

단독주택 95,205천원을 각각 기록

0.14 1.61 0.27 3.07

0.09 0.99 0.29 3.01

0.08 1.49 0.37 4.54

0.17 1.70 0.42 5.16

0.10 1.21 0.14 1.68

0.46 5.50 0.48 5.35

0.27 1.70 0.30 1.99

0.05 0.37 0.11 1.05

0.10 3.16 0.10 1.89

-0.04 -0.42 -0.05 -6.85

0.09 0.34 0.12 0.69

0.20 2.35 0.28 2.43

0.10 2.04 0.12 2.94

-0.01 -0.50 0.00 0.18

-0.02 -0.66 0.03 -0.32

0.23 2.99 0.21 2.42

0.15 2.18 0.17 2.43

0.57 1.73 0.50 1.86

조사결과 요약

3주택가격동향2015.01

서울 주택매매가격 전월대비 변동률

수도권 주택매매가격 전월대비 변동률

서울 주택전세가격 전월대비 변동률

수도권 주택전세가격 전월대비 변동률

2.00%초과 1.00%초과~2.00%이하 0.10%초과~1.00%이하

-0.10%초과~0.10%이하 -1.00%초과~-0.10%이하 -2.00%초과~-1.00%이하 -2.00%이하

4주택가격동향2015.01

매매가격지수 추이

1. 매매가격동향

1) 개황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문의 증가 및 실수요자의 매매전환이 증가하며 전월 상승세 유지

변동률

지역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전월비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주)주택가격지수(KHPI)는2012년1월부터표본,조사방법,지수산정방식등의개편사항을반영하여작성되었으며,2003년11월부터2011년12월까지의지수는KB국민은행으로부터기존의표본가격을협조받아개선된지수산식(기하평균)에의해작성된것으로,기공표된KB지수와다를수있음(KB지수의(구)시계열통계표는http://www.r-one.co.kr참조)

주)수도권은서울,인천,경기지역을포함하며,지방은수도권을제외한5대광역시,세종시및8개도에속한시군구지역을통틀어지칭함

(단위%)

전국 ▲0.14% 수도권 ▲0.13%

• 수도권은 ‘주택 3법’ 국회 통과에 따른 시장의 기대심리가 살아나며 오름폭 확대

• 지방은 노후주택의 가격하락세를 보인 전북, 전남 지역의 하락세가 지속되며 오름폭 축소

• 인천은 연수구와 계양구의 매매수요가 증가하여 상승한 반면, 남구는 지난 달 상승에서 하락으로 반전

• 경기는 교통과 주거환경 개선과 더불어 주택공급이 부족한 지역의 가격상승세가 두드러짐

지방 ▲0.16% 서울 ▲0.09%

• 제주는 지역 고유의 이사철 수요와 외부수요 증가로 인한 오름세가 지속되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

• 대구는 개통예정인 도시철도 3호선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 상승

• 강북은 중소형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월과 동일한 상승세 유지

• 강남은 ‘주택 3법’ 및 재건축 이주수요 발생 등의 영향으로 지난 달 하락에서 상승 반전

'14.7 8 9 10 11 12 1 계절조정 '14.12 '14.1

0.04 0.09 0.24 0.24 0.17 0.14 0.14 0.14 0.14 1.61

-0.03 0.08 0.31 0.27 0.15 0.08 0.13 0.13 0.13 1.40

0.09 0.10 0.18 0.21 0.19 0.20 0.16 0.13 0.16 1.81

-0.04 0.05 0.25 0.25 0.10 0.00 0.09 0.07 0.09 0.99

Ⅰ.주택가격동향

5주택가격동향2015.01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수도권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시도별 매매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지방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서울 주택매매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지역 변동률 주요상승지역 주요하락지역

서울강북

강남

인천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주)거래량은온나라포털(http://www.onnara.go.kr/)의주택매매거래현황을참조하였으며,신고일기준으로가격변동률보다한달늦게공표됨.

0.04 중구(0.16) 광진구(0.1)

0.13 강남구(0.34) 구로구(0.22)

0.08 연수구(0.29) 계양구(0.23) 남구(-0.06)

0.17 수원시권선구(0.56) 안성시(0.56) 용인시처인구(-0.04)성남시수정구(-0.01)

0.10 남구(0.24) 수영구(0.21) 사하구(-0.07) 영도구(-0.03)

0.46 수성구(0.68) 중구(0.63)

0.27 서구(0.36) 북구(0.27)

0.05 중구(0.13) 동구(0.1) 유성구(-0.04)

0.10 북구(0.31) 울주군(0.17) 동구(-0.06) 남구(-0.01)

-0.04

0.09 속초시(0.59) 강릉시(0.13) 태백시(-0.06) 춘천시(-0.02)

0.20 충주시(0.3) 음성군(0.27)

0.10 당진시(0.3) 서산시(0.26) 공주시(-0.22) 홍성군(-0.12)

-0.01 김제시(0.52) 남원시(-0.23) 군산시(-0.09)

-0.02 무안군(0.37) 나주시(0.02) 목포시(-0.1) 순천시(-0.09)

0.23 포항시북구(0.64) 영천시(0.4) 영주시(-0.22)

0.15 거제시(0.35) 창원시성산구(0.35) 진주시(-0.06)

0.57

6주택가격동향2015.01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주)서울권역(생활권역)은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분류이며,자세한기준은조사개요참조

서울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서울 매매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서울

강북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강남

서남권

동남권

강북 ▲0.04% 강남 ▲0.13%

2) 지역별 매매가격동향

(1) 서울

'주택 3법' 국회 통과에 따라 재건축단지의 매도가가 상승하며 강남지역 중심으로 가격 상승

강북지역은 지난 달과 유사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구(0.16%), 광진구(0.10%), 노원구(0.07%), 종로구(0.06%),

마포구(0.06%) 등이 상승

• 중구는 회현동 일대 주상복합의 약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중소형아파트가 상승세를 보임

• 광진구는 주거환경 및 접근성이 양호한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가 동반 상승세에 있으며 2,7호선 지하철 역사 주변으로 상승세를 보임

• 노원구는 상계동, 공릉동, 월계동 등에서 매매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월 대비 상승폭은 축소

강남지역은 지난 달 하락후 상승 반전하였으며 강남구(0.34%),

구로구(0.22%), 강동구(0.16%), 금천구(0.15%), 송파구(0.14%)

등의 순서로 전 지역에서 상승

• 강남구는 지난 달 하락 대비 상승으로 반전되었으며, ‘주택 3법’ 국회 통과로 개포동 등 재건축 아파트 지역을 중심으로 호가상승 및 급매물 소진

• 구로구는 분양시장 호조, 방학철 이사수요 및 전세수요의 매매전환 등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의 상승폭 확대

• 강동구는 지난 달 하락 대비 상승으로 반전되었으며, 둔촌동 등 재건축 아파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0.09 0.07 0.09 0.99

0.04 0.00 0.04 0.93

0.05 -0.02 0.05 0.19

0.05 0.06 0.05 1.01

0.03 -0.10 0.03 1.07

0.13 0.13 0.13 1.04

0.09 0.14 0.09 0.50

0.17 0.10 0.17 1.75

7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매매가격동향

(2) 인천 및 경기지역

전 달보다 오름폭이 둔화된 가운데 경기 수원시, 안양시, 고양시, 인천 연수구 등이 가격 상승을 주도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주)경기권역(생활권역)은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분류이며,자세한기준은조사개요참조

수도권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수도권 매매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인천

경기

경부1권

경부2권

서해안권

동부1권

동부2권

경의권

경원권

인천 ▲0.08% 경기 ▲0.17%

인천은 지난 달과 동일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

연수구(0.29%), 계양구(0.23%), 서구(0.10%) 등이 상승한 반면,

남구(-0.06%)는 지난 달 상승에서 하락세로 반전

• 연수구는 송도신도시 및 인접 옥련동, 연수동의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오름폭 확대

• 계양구는 방학 이사수요 및 전세품귀로 인한 매매전환 수요 증가, 역세권 및 서울 진입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오름폭 확대

• 남구는 노후화된 주거지역으로 저가매물 중심의 거래가 이루어지며 지난 달 대비 소폭 하락세로 반전

경기는 수원시 권선구(0.56%), 안성시(0.56%), 수원시

영통구(0.55%) 등이 상승한 반면, 용인시 처인구(-0.04%),

성남시 수정구(-0.01%)는 하락세로 반전

• 수원시 권선구는 소형평 위주의 매매거래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전세가격 상승 및 공급부족에 따라 구운동, 입운동 아파트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 안성시는 평택시 인접 시군지역의 가격수준 상대적으로 낮아 지속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며 상승폭이 확대

• 용인시 처인구는 개발사업 부진이 주택수요자의 관망세로 이어지며 지난 달 보합에서 하락세로 반전

0.08 0.17 0.08 1.49

0.17 0.18 0.17 1.70

0.15 0.32 0.15 2.04

0.34 0.22 0.34 2.39

0.16 0.09 0.16 1.93

0.05 0.11 0.05 0.58

0.11 -0.04 0.11 0.93

0.15 0.09 0.15 1.92

0.06 0.30 0.06 0.05

8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매매가격동향

(3) 5대광역시

전월대비 0.20% 전년동월대비 2.33% 상승, 5대광역시 모두 오름세를 유지하며 대구 상승세 뚜렷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주)부산권역(생활권역)은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분류이며,자세한기준은조사개요참조

5대광역시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5대광역시 매매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5대광역시

부산

중부산권

동부산권

서부산권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대구 ▲0.46% 대전 ▲0.05%

대구는 전 달보다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의

오름세을 기록하며 수성구(0.68%), 중구(0.63%), 동구(0.60%),

서구(0.47%), 북구(0.44%) 등의 순으로 상승

• 수성구는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꾸준한 데다 우수한 교육환경과 주거환경을 바탕으로 대형 아파트까지 수요가 확산되며 신매동, 시지동 등에서 상승세 뚜렷

• 중구는 신규입주단지의 영향과 도시철도 3호선 개통임박에 따른 기대심리 등으로 가격 오름세 유지

• 동구는 각종 개발호재로 상승 흐름이 계속되고 있으나 높아진 매도호가에 대한 부담감으로 오름폭 둔화

대전은 6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중구(0.13%),

동구(0.10%), 대덕구(0.07%), 서구(0.01%) 순으로 상승한 반면,

유성구(-0.04%)는 하락

• 중구는 실수요자층의 주택구입이 늘어나고 겨울방학 시즌 이사수요가 맞물리며 가격수준 상승

• 동구는 낭월동, 가오동 등의 아파트에서 오름세를 보이며 지난 달과 동일한 상승률 기록

• 유성구는 인근의 세종시와 노안 3 , 4지구 등에서 신규입주물량이 누적된 여파가 계속되며 3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였으나 전 달에 비해 내림폭은 둔화

0.20 0.15 0.20 2.33

0.10 0.16 0.10 1.21

0.15 0.18 0.15 1.57

0.13 0.13 0.13 1.07

-0.03 0.08 -0.03 0.78

0.46 0.19 0.46 5.50

0.27 0.37 0.27 1.70

0.05 -0.07 0.05 0.37

0.10 0.14 0.10 3.16

9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매매가격동향

(4) 8개 도

고유 이사철, 외부유입수요 증가로 제주 강세 지속, 전월대비 0.14%, 전년동월대비 1.49% 상승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

8개 도 매매가격지수 및 변동률 8개 도 매매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8개도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주 ▲0.57% 경북 ▲0.23%

제주는 지역 고유의 이사철인 "신구간"을 앞두고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제주시(0.61%)와

서귀포시(0.47%) 모두 높은 수준의 오름세 지속

• 제주시는 지난 달에 이어 겨울철 집중 이사시즌(1월 중순~2월 초)을 맞아 수요가 증가한 연동, 노형동 소재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모습

• 서귀포시는 대표주거지역인 동흥동과 중문동에 대한 현지인 수요가 꾸준한 데다 강정택지개발지구 개발, 관광산업 호황으로 인한 꾸준한 외부유입수요 등으로 매수세가 지속적인 분위기

경북은 지난 달과 유사한 수준의 오름세가 이어진 가운데

포항시 북구(0.64%), 영천시(0.40%), 경산시(0.38%), 포항시

남구(0.29%) 등의 순으로 상승

• 포항시 북구는 재건축 추진에 따른 기대감과 교통망 개선 등으로 전 달보다 상승폭 확대

• 영천시는 저금리로 주택구입여건이 호전된 가운데 신규 분양 아파트의 고분양가와 기존 주택에 대한 저가 인식으로 북안면, 금호읍 등에서 오름세 주도

• 경산시는 주택 구매심리 회복 및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기대감으로 상승세 지속

0.14 0.14 0.14 1.49

0.09 0.09 0.09 0.34

0.20 0.26 0.20 2.35

0.10 0.07 0.10 2.04

-0.01 0.00 -0.01 -0.50

-0.02 -0.01 -0.02 -0.66

0.23 0.14 0.23 2.99

0.15 0.22 0.15 2.18

0.57 0.40 0.57 1.73

10주택가격동향2015.01

3) 주택유형별 매매가격동향

아파트와 단독주택은 전 월과 동일한 상승률 기록, 연립주택은 오름폭 확대아파트(0.21%)는 지난 달과 동일한 상승폭을 보이며 17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함. 연립주택(0.02% → 0.06%) 역시 5개월째 상승

세를 보인 가운데 전 월보다 오름폭이 확대되었으며, 단독주택(0.04%)은 전 달과 동일한 오름세를 기록하며 6개월 연속 상승한 것

으로 나타남

수도권은 아파트 오름폭 둔화와 연립주택 하락 전환, 지방은 모든 주택유형 상승세 유지수도권은아파트(0.14%→0.19%)의상승폭이확대되고,연립주택(-0.04%→0.04%)은상승반전된것으로나타남.지방은아파트

(0.22%),연립주택(0.13%),단독주택(0.05%)순으로상승하며일제히오름세를유지함.서울은아파트(0.14%)와단독주택(0.04%),연

립주택(0.03%)에서순으로상승함.

주)수도권은서울,인천,경기지역을포함하며,지방은수도권을제외한5대광역시,세종시및8개도에속한시군구지역을통틀어지칭함

주)단독주택은다가구주택포함.연립주택은다세대주택을포함하고있음.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추이

지역별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11주택가격동향2015.01

4) 주택규모별 매매가격동향

아파트는 60㎡이하, 연립주택은 85㎡초과 규모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아파트는60㎡이하(0.25%), 102㎡초과~135㎡이하(0.19%),85㎡초과~102㎡이하(0.19%), 60㎡초과~85㎡이하(0.19%), 135㎡초과

(0.10%)순으로상승하며중소형아파트가오름세를주도한것으로나타남.연립주택은85㎡초과(0.14%)에서가장높은상승률을

기록하며60㎡초과~85㎡이하(0.09%)및60㎡이하(0.05%)에비해상대적으로강세를보임

5) 건축연령별 매매가격동향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의 모든 건축연령에서 상승세 유지아파트는모든건축연령에서비교적고른상승세를보이며20년초과(0.22%),5년이하(0.22%),15년초과~20년이하(0.21%),10년초

과~15년이하(0.20%),5년초과~10년이하(0.17%)순으로상승하였으며,연립주택은10년이하(0.10%), 10년초과∼20년이하(0.07%),

20년초과(0.04%)의순으로오름세를기록함

주) 아파트 : 연령1(5년이하),연령2(5년초과~10년이하),연령3(10년초과~15년이하),연령4(15년초과~20년이하),연령5(20년초과) 연립주택/단독주택 : 연령1(10년이하),연령2(10년초과~20년이하),연령3(20년초과)

주)아 파 트 :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5개 규모로 분류 규모1(60㎡이하),규모2(60㎡초과~85㎡이하),규모3(85㎡초과~102㎡이하),규모4(102㎡초과~135㎡이하),규모5(135㎡초과)

연립주택 :규모1(60㎡이하),규모2(60㎡초과~85㎡이하),규모3(85㎡초과)

단독주택 : 전용면적 및 대지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개 규모로 분류 규모1(전용면적99㎡&대지면적231㎡이하),규모2(전용면적99㎡초과,331㎡이하&대지면적662㎡이하,또는전용면적99㎡이하&대지면적231 ㎡초과(662㎡이하),규모3(전용면적331㎡초과또는대지면적662㎡초과)

주택규모별 매매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건축연령별 매매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12주택가격동향2015.01

전세가격지수 추이

2. 전세가격동향

1) 개황 임대인 월세선호에 따른 전세물량의 반전세 전환, 재건축 이주수요와 학군수요 등으로 상승세

변동률

지역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전월비 전년말비 전년동월비

전 국

수도권

지 방

서 울

전국 ▲0.27% 수도권 ▲0.36%

• 수도권은 반전세 확산과 서울의 재건축 이주수요 및 학군수요에 비해 전세 공급물량 부족으로 상승세 지속

• 지방은 제주와 대구가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우수학군 지역과 산업단지 인근 지역을 위주로 상승

• 인천은 임대인의 월세선호에 따른 전세 물량부족 지속으로 계양구, 연수구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지속

• 경기는 방학 이사수요의 영향으로 역세권 등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전세수요로 인한 상승세 지속

지방 ▲0.18% 서울 ▲0.29%

• 대구는 우수학군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상승폭은 다소 둔화

• 제주는 고유의 삭년세 거래관행으로 인한 공급부족 및 인구 유입에 의한 상승세 지속

• 강남은 전세매물부족이 지속된 가운데 개포, 일원, 대치동 등 강남구 전반적으로 상승세 지속

• 강동은 재건축 사업 진행에 따른 이주수요 및 방학 학군수요 등 원인으로 상승세 지속

주)주택가격지수(KHPI)는2012년1월부터표본,조사방법,지수산정방식등의개편사항을반영하여작성되었으며,2003년11월부터2011년12월까지의지수는KB국민은행으로부터기존의표본가격을협조받아개선된지수산식(기하평균)에의해작성된것으로,기공표된KB지수와다를수있음(KB지수의(구)시계열통계표는http://www.r-one.co.kr참조).

주)수도권은서울,인천,경기지역을포함하며,지방은수도권을제외한5대광역시,세종시및8개도에속한시군구지역을통틀어지칭함.

(단위%)

'14.7 8 9 10 11 12 1 계절조정 '14.12 '14.1

0.13 0.17 0.31 0.33 0.30 0.27 0.27 0.24 0.27 3.07

0.20 0.25 0.46 0.45 0.40 0.35 0.36 0.41 0.36 4.26

0.06 0.09 0.18 0.22 0.20 0.19 0.18 0.15 0.18 1.98

0.11 0.14 0.31 0.37 0.28 0.25 0.29 0.28 0.29 3.01

13주택가격동향2015.01

전국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수도권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시도별 전세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및 주요 변동지역

지방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서울 주택전세 거래량주) 및 가격 변동률

지역 변동률 주요상승지역 주요하락지역

서울강북

강남

인천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주)거래량은국토교통부의보도자료를참조하였으며,확정일자신고일기준으로가격변동률보다한달늦게발표됨.

0.21 용산구(0.3) 성북구(0.29)

0.36 강동구(1.19) 구로구(0.47)

0.37 계양구(0.74) 연수구(0.65)

0.42 수원시영통구(0.91) 고양시일산동구(0.9)

0.14 해운대구(0.27) 남구(0.27) 강서구(-0.02)

0.48 서구(0.82) 달성군(0.63)

0.30 북구(0.35) 광산구(0.33)

0.11 중구(0.36) 대덕구(0.12) 서구(-0.02)

0.10 북구(0.27) 울주군(0.17) 동구(-0.1)

-0.05

0.12 속초시(0.54) 강릉시(0.22) 태백시(-0.09)

0.28 충주시(0.59) 음성군(0.47)

0.12 예산군(0.43) 당진시(0.26) 논산시(-0.26) 계룡시(-0.2)

0.00 김제시(0.04) 전주시덕진구(0.02) 남원시(-0.15) 익산시(-0.01)

0.03 무안군(0.47) 나주시(0.03) 순천시(-0.09) 목포시(-0.07)

0.21 문경시(0.58) 경산시(0.43) 칠곡군(-0.08) 영주시(-0.06)

0.17 창원시성산구(0.37) 거제시(0.3) 진주시(-0.03)

0.50

14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전세가격동향

(1) 서울

서울은 지난 달 대비 오름폭이 확대된 가운데 전월대비 0.29% 상승, 전년동월대비 3.01% 상승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주)서울권역(생활권역)은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분류이며,자세한기준은조사개요참조

서울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서울 전세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서울

강북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강남

서남권

동남권

강북 ▲0.21% 강남 ▲0.36%

강북지역은 도심권이 가장 높은 상승을 나타낸 가운데

용산구(0.30%), 성북구(0.29%), 은평구(0.27%), 종로구(0.27%),

중구(0.26%) 등의 순으로 전 지역에서 상승

• 용산구는 타지역에서의 이주수요 증가 및 반전세 전환으로 인한 공급감소로 상승세 지속

• 성북구는 대학가 인근 및 역세권 주변 단지를 중심으로 전세가격 상승폭 확대

• 은평구는 지하철 6호선 역세권지역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면서 중소형을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강남지역은 동남권의 상승폭이 확대된 가운데 강동구(1.19%),

구로구(0.47%), 강남구(0.45%), 송파구(0.40%), 서초구(0.34%)

등의 순으로 전반적인 지역에서 상승

• 강동구는 고덕동과 명일동 등의 재건축 이주수요에 비해 전세공급은 오히려 감소하여 상승폭 심화

• 구로구는 전세 공급물량 부족 심화와 방학 이사수요의 영향으로 전세가격 오름세 지속

• 강남구는 학군수요와 더불어 개포주공2단지 이주수요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세 확대

0.29 0.28 0.29 3.01

0.21 0.30 0.21 3.29

0.28 0.41 0.28 2.47

0.19 0.17 0.19 3.60

0.23 0.23 0.23 2.88

0.36 0.22 0.36 2.74

0.21 0.03 0.21 2.99

0.55 0.38 0.55 2.43

15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전세가격동향

(2) 인천 및 경기지역

경기는 서울과의 접근성이 높은 지역 위주로 전월대비 0.42% 상승, 전년동월대비 5.16% 상승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주)경기권역(생활권역)은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분류이며,자세한기준은조사개요참조

수도권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수도권 전세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인천

경기

경부1권

경부2권

서해안권

동부1권

동부2권

경의권

경원권

인천 ▲0.37% 경기 ▲0.42%

인천은 계양구(0.74%), 연수구(0.65%), 서구(0.43%),

부평구(0.34%), 남동구(0.31%), 중구(0.20%), 남구(0.10%),

동구(0.09%) 등의 순으로 모든 지역에서 상승

• 계양구는 서울로의 접근성이 양호한 역세권의 아파트 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기존 노후주택으로 상승세 확대

• 연수구는 송도신도시 인구유입 및 겨울방학 학군수요의 영향으로 상승폭 확대

• 서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세가격으로 신규 유입 증가 로 신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

경기는 수원시 영통구(0.91%), 고양시 일산동구(0.90%), 오산시

(0.84%), 수원시 권선구(0.82%) 안양시 동안구(0.77%) 등의

순으로 전반적인 지역에서 상승

• 수원시 영통구는 저금리 기조 및 반전세 전환 등으로 전세공급이 줄고 인구 유입으로 인하여 망포동, 매탄동, 원천동 등 전반에서 상승세

• 고양시 일산동구는 지속적 전세수요, 저금리 기조 등의 원인으로 풍동, 식사동 등을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 오산시는 누읍동, 양산동, 가수동 등을 중심으로 오산시 전반적인 지역에서 상승폭 확대

0.37 0.46 0.37 4.54

0.42 0.39 0.42 5.16

0.40 0.37 0.40 5.51

0.60 0.42 0.60 6.87

0.43 0.26 0.43 4.99

0.21 0.13 0.21 3.84

0.23 0.19 0.23 1.70

0.51 0.53 0.51 6.54

0.22 0.30 0.22 2.15

16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전세가격동향

(3) 5대광역시

대구의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전월대비 0.23% 상승, 전년동월대비 2.47% 상승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주)부산권역(생활권역)은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분류이며,자세한기준은조사개요참조

5대광역시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5대광역시 전세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5대광역시

부산

중부산권

동부산권

서부산권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대구는 서구(0.82%), 달성군(0.63%), 수성구(0.56%),

동구(0.54%), 중구(0.40%), 북구(0.39%) 등의 순으로 모든

지역에서 상승

• 서구는 연립·다세대 및 단독 주택은 큰 변화가 없으나, 아파트 위주 대기 수요가 상당수 존재하는 상황

• 달성군은 테크로폴리스, 사이언스파크 등의 개발사업으로 인한 수요가 꾸준한 상황에서, 성서산업단지 등 산업단지 인근을 중심으로 근로자 수요로 상승세

• 수성구는 학군수요 풍부한 가운데, 봄 이사철 대비 수요 증가하며 중소형 아파트에서 대형 아파트로 수요 확산

광주는 지난 달보다 상승폭이 확대된 가운데 북구(0.35%),

광산구(0.33%), 서구(0.29%), 동구(0.23%), 남구(0.20%)의

순으로 모든 지역에서 상승

• 북구는 매물이 드문 상황 속에서 거래는 한산한 편이나, 성사되는 거래가격은 전월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

• 광산구는 전세의 월세전환 현상이 심화되면서 완전전세 물건이 드문 상황 속에서 관망세가 짙은 모습

• 서구는 전세 매물의 부족으로 전반적인 수급불균형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

0.23 0.17 0.23 2.47

0.14 0.18 0.14 1.68

0.18 0.21 0.18 1.69

0.17 -0.02 0.17 2.37

0.03 0.06 0.03 0.82

0.48 0.23 0.48 5.35

0.30 0.37 0.30 1.99

0.11 0.11 0.11 1.05

0.10 0.13 0.10 1.89

대구 ▲0.48% 광주 ▲0.30%

17주택가격동향2015.01

2) 지역별 전세가격동향

(4) 8개 도

지난 달에 이어 제주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전월대비 0.16%, 전년동월대비 1.74% 상승

주)가격지수변동률의절대값상위10개지역임

8개 도 전세가격지수 및 변동률 8개 도 전세가격지수 주요 변동지역

변동률지역

전월비전월비

(계절조정)전년말비

전년동월비

8개도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0.16 0.11 0.16 1.74

0.12 0.07 0.12 0.69

0.28 0.29 0.28 2.43

0.12 0.09 0.12 2.94

0.00 0.09 0.00 0.18

0.03 0.08 0.03 -0.32

0.21 0.08 0.21 2.42

0.17 0.14 0.17 2.43

0.50 0.20 0.50 1.86

제주는 지난 달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제주시(0.53%)와 서귀포시(0.43%) 모두

강한 상승세

• 서귀포시는 각종 개발사업의 순조로운 진행과 관광산업 호황에 따라 외부인구가 꾸준히 유입되며 중심주거지역의 아파트 단지 위주로 오름세

• 제주시는 '신구간'을 대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삭년세 관행으로 매물이 부족한 상황, 제주대학교 인근에서 신학기 대비 수요 증가

충북은 지난 달보다 상승폭이 축소된 가운데 충주시(0.59%),

음성군(0.47%), 청주시 서원구(0.32%), 청주시 흥덕구(0.25%)

등의 순으로 상승

• 충주시는 전반적인 공급부족으로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하였으며, 연립·다세대 주택은 신축 감소세로 인한 오름세

• 음성군은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양호한 삼성면을 위주로 오름세 및 봄 이사철 대비 수요 증가

• 청주시 서원구는 저금리로 인한 전세의 월세전환 현상이 지속되며 전세 매물이 감소하는 추세

제주 ▲0.50% 충북 ▲0.28%

18주택가격동향2015.01

3) 주택유형별 전세가격동향

아파트는 오름폭 축소, 연립주택 및 단독주택은 오름폭 확대모든주택유형에서전월에이어상승세를이어간가운데아파트(0.40%→0.37%)는오름폭이축소되었고,연립주택(0.12%→

0.18%)과단독주택(0.03%→0.09%)은오름폭이확대됨

아파트는 수도권과 지방 모두 오름폭 축소, 연립주택 및 단독주택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 오름폭 확대아파트는수도권(0.50%→0.48%)과지방(0.30%→0.25%)모두오름폭이축소된반면,연립주택은수도권(0.11%→0.20%)과지방

(0.13%→0.15%)모두오름폭이확대되었으며,단독주택역시수도권(0.04%→0.13%)과지방(0.03%→0.08%)모두오름폭이확대됨

주)수도권은서울,인천,경기지역을포함하며,지방은수도권을제외한5대광역시,세종시및8개도에속한시군구지역을통틀어지칭함

주)단독주택은다가구주택포함.연립주택은다세대주택을포함하고있음.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추이

지역별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19주택가격동향2015.01

4) 주택규모별 전세가격동향

모든 주택유형, 규모에서 일제히 상승, 85㎡초과∼102㎡이하 규모가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아파트는모든규모에서상승세를보인가운데85㎡초과~102㎡이하(0.53%)규모에서가장높은상승률을기록하였고,연립주택은

85㎡초과(0.23%)의규모에서가장큰폭으로상승하였으며,단독주택은전용면적99㎡&대지면적231㎡이하(0.05%)의규모에서

가장낮은상승률기록함

모든 주택유형의 모든 건축연령에서 일제히 상승, 5년이하의 아파트가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아파트는5년이하(0.53%),10년초과~15년이하(0.41%),5년초과~10년이하(0.36%),20년초과(0.33%),15년초과~20년이하(0.30%)의

순으로모든건축연령에서일제히상승하였고,연립주택은10년이하(0.24%)건축연령에서가장높은상승률을기록하였으며,단독

주택은10년이하(0.12%)의건축연령이상승세를주도한것으로나타남

주) 아파트 : 연령1(5년이하),연령2(5년초과~10년이하),연령3(10년초과~15년이하),연령4(15년초과~20년이하),연령5(20년초과) 연립주택/단독주택 : 연령1(10년이하),연령2(10년초과~20년이하),연령3(20년초과)

주)아 파 트 :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5개 규모로 분류 규모1(60㎡이하),규모2(60㎡초과~85㎡이하),규모3(85㎡초과~102㎡이하),규모4(102㎡초과~135㎡이하),규모5(135㎡초과)

연립주택 :규모1(60㎡이하),규모2(60㎡초과~85㎡이하),규모3(85㎡초과)

단독주택 : 전용면적 및 대지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개 규모로 분류 규모1(전용면적99㎡&대지면적231㎡이하),규모2(전용면적99㎡초과,331㎡이하&대지면적662㎡이하,또는전용면적99㎡이하&대지면적231 ㎡초과(662㎡이하),규모3(전용면적331㎡초과또는대지면적662㎡초과)

주택규모별 전세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건축연령별 전세가격지수 전월대비 변동률

5) 건축연령별 전세가격동향

20주택가격동향2015.01

3. 주택수급 및 거래동향

1) 매매시장 전국 매매수급동향 및 매매거래동향은 모두 전월대비 소폭 하락

전국의매매수급동향은전월대비0.2p상승한가운데수도권(95.0)으로전월가같았으며지방(102.5)은전월대비0.4p상승

하였음.전국매매거래동향은56.8을기록해지난달에비해거래가다소살아나는가운데수도권(50.9)과지방(61.3)모두소

폭상승한것으로나타남

2) 전세시장 전국 전세수급동향 및 전세거래동향은 모두 전월대비 소폭 하락

전국의전세수급동향은110.1로전월대비0.1p하락한가운데수도권(113.3)은소폭하락하였고,지방(107.7)은전월수준을유

지하였음.전국전세거래동향은60.4를기록하며전월대비0.5p하락한가운데수도권(60.7)에서지난달에이어큰폭으로

하락함

주) 아파트 : 연령1(5년이하),연령2(5년초과~10년이하),연령3(10년초과~15년이하),연령4(15년초과~20년이하),연령5(20년초과) 연립주택/단독주택 : 연령1(10년이하),연령2(10년초과~20년이하),연령3(20년초과)

주)수급동향:한국감정원조사자를대상으로수요와공급의비중(매도문의많음,매도문의약간있음,비슷함,매수문의약간있음,매수문의많음)을선택하게하여점수화한수치로,0에가까울수록공급많음,200에가까울수록수요많음,100에가까울수록수요와공급이비슷함을의미함.

거래동향:한국감정원조사자를대상으로거래빈도(한산함,다소한산함,보통,다소활발함,활발함)를점수화한수치로,0에가까울수록거래가한산함,200에가까울수록거래가활발함을의미함

.

매매수급동향

전세수급동향

매매거래동향

전세거래동향

21주택가격동향2015.01

4. 주택가격

1) 평균주택가격

전국의평균주택매매가격은전월대비2,517천원하락한231,659천원을기록한가운데아파트(257,685

천원→256,962천원)와단독주택(224,575천원→220,010천원)은상승,연립주택(138,784천원→138,486천

원)은하락함.㎡당매매가격은아파트3,170천원,연립주택2,422천원,단독주택1,034천원임

전국의평균주택전세가격은전월대비561천원하락한142,624천원으로나타났으며,아파트(173,463천

원→173,478천원),연립주택(85,193천원→85,216천원),단독주택(96,407천원→96,205천원)모두상승함.

㎡당전세가격은아파트2,168천원,연립주택1,496천원,단독주택472천원임

전국주택의매매가격대비전세가격비율은63.2%를기록하며전달(62.9%)대비상승함.유형별로는아

파트70.5%,연립주택64.2%,단독주택43.3%로나타나아파트의전세/매매비율이0.2%p높아진것으로

나타남.시도별로는광주(73.2%),대구(68.7%),부산(68.0%),울산(66.7%),대전(66.5%)등이전국평균을상

회한가운데세종(46.1%→48.9%)등은상승함

매매가격

전세가격

전세/매매가격비율

지역별 평균주택가격(종합)

주택유형별 전국 평균가격

평균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주택유형별 전국 ㎡당 평균가격

22주택가격동향2015.01

지역 주택유형매매가격 전세가격

평균전세/매매(%)

평균가격 ㎡당평균가격 평균가격 ㎡당평균가격

전국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수도권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지방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서울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지역 주택유형매매가격 전세가격

평균전세/매매(%)

평균가격 ㎡당평균가격 평균가격 ㎡당평균가격

전국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수도권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지방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서울

종합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주)㎡당평균가격은아파트/연립주택은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단독주택은 대지면적을 기준으로하는㎡당가격의평균을의미함.평균매매가격대비전세가격비율(평균전세/매매)은표본주택의매매가격대비전세가격비율의평균값을의미함.

주)㎡당중위가격은아파트/연립주택은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단독주택은 대지면적을 기준으로하는㎡당가격의중위값을의미함.중위매매가격대비전세가격비율(중위전세/매매)은표본주택의매매가격대비전세가격비율의중위값을의미함.

2) 중위주택가격

전국의주택매매중위가격은전월대비1,973천원하락한214,272천원으로나타났으며,아파트(239,816천원),연립주택(124,683천원)

과단독주택(181,003천원)유형모두하락함.전국의주택전세중위가격은668천원하락한134,884천원이며,아파트(166,345천원)는

상승하였고,연립주택(79,280천원),단독주택(75,738천원)은하락함

(단위:천원)

(단위:천원)

231,659 2,570 142,624 1,676 63.2

256,962 3,170 173,478 2,168 70.5

138,486 2,422 85,216 1,496 64.2

220,010 1,034 95,205 472 43.3

316,536 3,641 190,739 2,301 63.4

341,620 4,158 222,394 2,749 67.9

165,264 2,937 99,576 1,779 62.5

485,560 2,562 210,558 1,172 44.2

152,665 1,574 97,845 1,094 63.0

173,087 2,191 125,014 1,593 72.9

76,160 1,222 51,794 839 68.2

133,944 539 57,819 245 43.0

440,593 5,138 256,060 3,086 61.9

500,456 5,951 311,538 3,751 66.2

221,756 3,941 131,389 2,335 61.6

654,464 4,329 280,433 1,914 44.4

214,272 2,513 134,884 1,651 63.9

239,816 3,114 166,419 2,148 71.5

124,683 2,300 79,280 1,454 65.0

181,003 934 75,738 406 43.4

298,884 3,562 182,913 2,268 64.3

321,605 4,077 214,331 2,715 69.1

147,545 2,786 92,114 1,732 63.5

418,556 2,412 174,531 1,053 43.9

135,524 1,536 90,183 1,077 63.5

158,784 2,159 118,949 1,587 73.8

71,471 1,167 49,410 805 68.4

104,012 455 43,719 196 43.2

412,562 5,008 242,233 3,027 62.7

465,558 5,829 293,861 3,680 67.3

202,394 3,720 125,492 2,306 63.8

580,264 4,225 248,535 1,886 43.8

23주택가격동향2015.01

주)당월장기평균은공표일을기준으로최근10년의당월변동률의평균

연도별 12월 변동률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장기평균

매매전국

서울

전세전국

사을

전국 '14.2 '14.3 4 5 6 7 8 9 10 11 12 1

매매장기평균

전월대비 변동률

전세장기평균

전월대비 변동률

연도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연도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최근 1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과 장기평균

최근 1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과 장기평균

5. 월별 장기평균

1) 연도별 1월 매매가격지수 변동률과 장기평균

2) 연도별 1월 전세가격지수 변동률과 장기평균

(단위%)

(단위%)

(단위%)

(단위%)

0.31 1.29 0.48 -0.55 0.13 0.41 0.24 -0.26 0.24 0.14 0.24

0.58 2.09 1.03 -0.70 0.13 0.17 -0.16 -0.51 0.23 0.09 0.29

0.34 0.56 0.23 -0.98 0.28 0.77 0.39 0.20 0.59 0.27 0.26

0.62 0.64 0.44 -1.38 0.40 0.90 -0.07 0.30 0.81 0.29 0.30

0.25 0.36 0.44 0.30 0.32 0.24 0.18 0.32 0.31 0.42 0.24 0.24

0.20 0.23 0.06 0.02 0.02 0.04 0.09 0.24 0.24 0.17 0.14 0.14

0.41 0.59 0.54 0.24 0.25 0.23 0.34 0.71 0.60 0.43 0.15 0.26

0.49 0.47 0.14 0.07 0.10 0.13 0.17 0.31 0.33 0.30 0.27 0.27

24주택가격동향2015.01

1) 조사목적

전국의주택매매및전세가격을조사하여주택시장의평균적인가격변화를측정하고,주택시장판단지표또는

주택정책수립에기초자료로활용

2) 조사내용

주택매매및전세가격,주택가격변동요인,주택수급동향및거래동향,주택시장변동요인

*조사주택유형:아파트,연립및다세대주택,단독주택

3) 조사지역 및 공표지역

(1)조사모집단

-아파트:임대주택을제외한전국의거래가능한재고아파트

-연립및단독:매월조사가불가능한도서지역을제외한전국거래가능한모든주택

*표본추출틀:주택가격정보체계

*주택가격정보체계는『부동산가격공시및감정평가에관한법률』제41조및같은법시행령제82조규정에의거

매년전국의공동주택및단독주택정보,이와관련된정보를국토교통부장관이구축한부동산가격정보로

매년1월1일기준일자의확정된데이터베이스를표본추출틀로활용

(2)조사지역

-아파트:206개시군구(78시,24군,104구)

-연립및단독:207개시군구(78시,30군,99구)

(3)공표지역

-아파트:시군구단위공표,주택재고3만이상,아파트재고1만이상인190시군구

-연립및단독:시도단위공표,17개시도및생활권역별공표

4) 조사기준일 및 주기

(1)조사기준일:매월15일이포함된주의월요일

(2)조사주기및조사기간:조사기준일로부터7일(월1회)

주)세종특별자치시는일반시에포함,2013년9월23일여주시승격·2014년7월1일통합청주시출범을반영하여집계

구분시 구

군합계

일반 비자치 계 일반 비자치 계 일반 비자치 계

모집단

조사지역

조사

제외

공표지역

공표

제외

1. 조사개요

76 2 78 69 35 104 82 227 37 264

76 2 78 69 35 104 24 169 37 206

0 0 0 0 0 0 58 58 0 58

76 2 78 69 35 104 8 153 37 190

0 0 0 0 0 0 74 74 0 74

Ⅱ.통계개요

25주택가격동향2015.01

5) 조사결과 공표

(1)공표일:조사다음달1일(공휴일인경우그다음날)

(2)공표방법

-보도자료:조사다음달1일조간배포

-공표:조사다음달1일홈페이지를통한공표

-간행물:조사다음달10일경배포

(3)공표사이트: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R-ONE(http://www.r-one.co.kr)

6) 표본설계

(1)표본추출방법:층화2단계집락추출,확률비례추출법

(2)아파트추출기준

-1차추출단위:시군구내단지/규모집락

-2차추출단위:집락내개별호

(3)연립및단독추출기준

-1차추출단위:전국읍·면·동

-2차추출단위:전국읍·면·동내개별주택호

(4)표본규모의결정

-비례배분방식*으로시군구에표본배분(초기표본크기)후초기상대표준오차산출(주택공시가격기준으로산정함)

*아파트는제곱근비례배분,연립및단독주택은비례배분

-초기상대표준오차를토대로목표상대표준오차결정

-목표상대표준오차,초기상대표준오차,초기표본크기를통해서최종표본크기선정

(5)표본수

<조사프로세스>

구분월 간

합계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전국 20,045 14,976 2,756 2,313

수도권 8,819 6,512 1,592 715

지방 11,226 8,464 1,164 1,598

*지방:경기도를제외한8개도와세종시를포함한집계치

사전준비

·조사목록·실거래가·부동산테크확인

현장조사

·지역동향·특성변동사항·가격

조사결과 보고

·가격변동률, 변동원인·부장, 지사장 보고

가격결졍 및 입력

·실거래가격·거래사례 보정·거래 가능 가격

데이터분석 및 지수작성

·주택가격지수·거래동향

조사가격 검증

·1차(조사자)·2차(지사)·3차(총괄)

공표

·월간) 조사 익월 1일·주간) 매주 금요일

26주택가격동향2015.01

7) 조사방법

해당표본의실거래사례가있는경우실거래가격을거래가능가격으로,실거래사례가없는경우매매사례비교법을

활용하여유사실거래사례의사정보정을통하여거래가능가격산정

①조사대상(표본)의당해월실거래사례가있는경우실거래가격을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산정

②조사대상(표본)의당해월실거래사례가없는경우유사거래사례를활용하여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산정

③조사대상(표본)의당해월유사거래사례가없는경우최근(조사월기준최근6개월이내)거래사례를활용하여

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산정

④조사대상(표본)의당해월또는최근의유사거래사례가없는경우매물정보,시세정보,부동산중개업소등의

의견을참조하여조사가격(거래가능가격)으로산정

8) 주택규모 구분기준

(1)아파트및연립주택 (2)단독주택

9) 건축연령 구분기준

10) 공표내용

(1)주택매매및전세가격지수(KHPI:KoreaHousingPriceIndex)

-지역별,주택유형별,규모별,연령별지수

-지역별,주택유형별계절조정지수

(2)주택가격

-평균및중위주택매매및전세가격

-단위면적당주택매매및전세가격

-5분위주택가격및5분위배율

아파트 연립주택

연령1

연령2

연령3

연령4

연령5

5년이하

5년초과~10년이하

10년초과~15년이하

15년초과~20년이하

20년초과

연령1

연령2

연령3

10년이하

10년초과~20년이하

20년초과

아파트 연립주택

규모1

규모2

규모3

규모4

규모5

60㎡이하

60㎡초과~85㎡이하

85㎡초과~102㎡이하

102㎡초과~135㎡이하

135㎡초과

규모1

규모2

규모3

60㎡이하

60㎡초과~85㎡이하

85㎡초과

주택규모 구분전용면적

99㎡이하 99~331㎡ 331㎡초과

대지면적

231㎡이하 규모1 규모2 규모3

231㎡초과~662㎡이하 규모2 규모2 규모3

662㎡초과 규모3 규모3 규모3

27주택가격동향2015.01

(3)매매가격대비전세가격비

(4)소득대비주택가격비(PIR:PricetoIncomeRatio)

(5)주택구매력지수(HAI:HousingAffordabilityIndex)

(6)주택시장수급동향및거래동향(매매및전세)

11) 주택가격지수의 추정

-기준시점대비현재시점의가격비를기준시점이100인수치로환산한값,기준시점대비조사시점가격비의기하평균

방식으로계산

-주택가격은지역별,주택유형별,건축연령별가격수준및가격변동추이가상이할수있으며,때에따라일부지역또는

일부주택유형,일부건축연령이주택가격을견인하거나크게변동할수있으므로,이러한구분기준에따라세부적인

주택가격지수제공

-주택재고량을가중치로한제본스지수산식(Jevonsindexformular)으로계산(기준시점:2012년11월)

* 주의사항

· 지역별로 기준시점(2012년 11월)의 가격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주택가격지수를 이용하여 지역별 가격차이를비교할 수 없음

· 지수와 지수의 변동률은 소수점 이하 절사하지 않으나, 지면상 제약으로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나타냄.

12) 상대표준오차

-주택가격동향조사통계량의신뢰성을검토하기위한지표로,추정값의표본오차를나타내며다음과같이계산됨.

상대표준오차 CV(%) = 표준오차 / 추정값 X 100

-95%신뢰수준에서지수의신뢰구간은주택가격지수±1.96X(CVX주택가격지수/100)

13) 문의처

부동산통계센터 주택통계부(053-663-8501, 053-663-8508)

28주택가격동향2015.01

1)주택가격지수 [KHPI : Korea Housing Price Index]

·기준시점과매기조사되는조사시점의가격비를이용하여기준시점이100인수치로환산한값을의미

·본조사의기준시점과조사시점의가격은표본을선정하고,선정된동일한표본에대하여매시점가격을산정

·산정가격은전문조사자의현장방문을통한지역분석과동일지역또는인근지역실거래사례의가격과주택의특성정보를

활용하여거래사례비교법에의하여산정함.

·기준시점:2012년11월(2012.11지수=100.0)

·주택가격지수는표본의가격비율로산정되는통계이기때문에이지수를이용하여지역간의직접적인가격차이를비교할

수는없음.

※주택가격지수는지면사정상소수점이하1자리까지,변동률은소수점이하2자리까지표시하였음.통계표또는시계열

통계표에제공된셀을복사하여선택하여붙여넣기에서"값"을선택하여붙여넣으면소수점이하15자리까지확인할수

있음.

2)변동률

·주택가격지수의두시점간비율이며,백분비(%)로표기

·본조사에서는전월비와전년말비를제공,제공산식을활용하여원하는두시점의가격변동률을구할수있음.

→ (전월비)당월과전월의지수비율로전월대비평균적인가격증감률을의미

◆전월비계산식={(당월-전월)/전월}X100

→ (전년말비)당월과전년말의지수비율이며전년말대비평균적인가격증감률을의미

◆계산식={(당월-전년말)/전년말}X100

·주택가격지수변동률의단위는퍼센트(%)를사용함,포인트(P,단위를갖지않는지수의수치를비교할때사용)와다르기

때문에해석에주의를요함

-예를들어전월지수105,당월지수110의경우,전월대비변동률은4.76%(퍼센트)전월대비지수는5포인트(p)상승

◆변동률(%)={(110-105)/105}X100=4.76퍼센트(%)

◆포인트(p)=110-105=5포인트(p)

※주택가격지수및변동률의시계열은2003년11부터제공되며,통계표항목중음영처리된영역은'해당수치없음'을의미함.

3)광역단위 지역 구분

(1)광역지역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방:수도권을제외한전지역

·6대광역시: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인천

·5대광역시: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

·9개도: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8개도: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2. 통계 이용자 유의사항

29주택가격동향2015.01

(2)생활권역

·서울,경기,부산의경우2020도시기본계획에의한생활권역별지수및변동률제공

·<서울>5개생활권역외강북권역,강남권역의지수및변동률추가제공

-강북권역

·도심권(종로,중,용산)

·동북권(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

-강남권역

·서남권(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

·서북권(서초,강남,송파,강동)

·<경기>경부1,2권,서해안권,동부1,2권,경의권,경원권

-경북1권:과천,안양,성남,군포,의왕

-경부2권:안성,용인,수원

-서해안권:부천,안산,시흥,광명,화성,오산,평택

-동부1권:남양주,구리,하남,광주

-경의권:김포,고양,파주

-경원권:포천,동두천,양주,의정부

※경기도2020도시기본계획에따르면5개생활권역으로구분하고있으나경부권및동부권의경우포괄하는

지역범위가넓고생활권역내가격수준의편차가커각각2개권역으로분리하여지표제공

·<부산>중부산권/동부산권/서부산권

-중부산권:중,서,동,영도,부산진,남,연제,수영

-동부산권:해운대,금정,동래,기장

-서부산권:북,강서,사상,사하

※주택가격지수는 2012년 2월부터 표본, 조사방법, 지수산정방식등의 개편사항을 반영한 시계열이 구축되었으나, 중장기

추이분석을 위하여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 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9기하평균)에 의해 2003년 11월부터

시계열을 연장하였음. 따라서 기 공표된 KB지수 및 지수의 변동률과 다를 수 있음.

부동산 조사 평가 통계 전문기관

건전한 부동산 문화!한국감정원이 이끌어 가겠습니다.

46년간 대한민국 부동산 가치의 기준을 세워왔습니다.더욱 신뢰할 수 있는 한국감정원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