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
seung-taek-yi
View
206
Download
1
Embed Size (px)
사업소개
서비스소개
사업기획배경
서비스소개
대한민국은지금음악오디션열풍
“나가수”를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방청객들
슈퍼스타K, 위대한 탄생, 히든 싱어, …
오디션 프로그램에 구름같이 몰려든 사람들
서비스소개
음악에참여하시겠습니까?
만 23세-52세성인 100명조사
“보컬을 녹음해 제출하면 반주를
만들어주겠다” 제의에 36%가 제출
19%는 연주/제작에도 관심
10대를 포함할 경우 참여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
33
9 16
64
0
50
100
보컬 연주 제작 없음
고품질 음악 제작에 대한 참여 의사
참여 의사
서비스소개
음악제작이워드작업만큼쉬워진다면?
음악을 좋아하고 한번쯤 참여해보고 싶은 사람들은 많으나 음악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과 두려움으로 전공자가 아니면 제작이나 참여에 엄두를 내지 못함.
그러나 간단하고 쉬우면서 고품질을 제공하는 음악 제작 프로그램과
음악 소셜 커뮤니티가 생긴다면 이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갖고 있음.
음악 지식이 없는 SNS 사용자들끼리 모여서 텍스트 입력만으로 상용 수준의
음악을 같이 만들고 자신의 보컬이나 악기 연주 녹음을 합성할 수 있는 서비스.
단,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기기만으로 이 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서비스소개
5,000
7,000
국내 음악 레슨 시장 규모
개인레슨
학원레슨
(단위: 억원, 2013년)
레슨시장은음악소비시장의 2.5배
수강생은 110만여명
7-10세 피아노 교습이 40% 이상
21개 교습소 시장 조사 결과
45%가 음악 제작 서비스 도입 희망
국내음악시장의대부분은교습시장
7
6
5
4
3
2
1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음반 시장 규모
한국음악소비시장규모[단위: 천억원]
30%
15%35%
20%
고품질 음악 제작 서비스 도입 의사
반드시 채택
비싸지 않다면
무료라면
없거나 미정
서비스소개
목표시장규모추정
2014년디지털음악소비시장규모는 6,000억원
시장조사결과 참여 의사율 36%의 10%에 10대 사용자 참여율을 보정하면
6,000억원 * 36% * 10% (유료 서비스로 인한 90% 이탈) * 113.2% = 245억원/년
2013년레슨시장규모는 1.2조원이며전국에 5만개이상의교습소존재
시장조사결과 45%가 유료수용의사를 밝혔으므로 월 사용료 20,000원을 책정하면
50,000 * 45% * 20,000원/월 = 54억원/년
국내음악참여및소비와레슨활용시장의유료서비스시장규모는연 300억원
이 시장이 초기에 신규 창출 가능한 규모로 예측되며 서비스가 활성화될 경우
오프라인 노래방/멀티방을 연계하면 연 3,000억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서비스소개
서비스플랫폼
서비스소개
전체플랫폼구성도
온라인밴드협연
자작음악유통
음악및음원공유
음악제작엔진
공유
유통
연주
제작
모바일기기
아마추어연주자
일반인
전문연주자
음악/음원제작자
교습 시장
All-in-one
교습지원서비스
노래방전용서비스
유무선 SNS 연동
노래방 체인
서비스소개
음악제작엔진
SourceAnalyzer
PatternManager
EffectManager
Sound Stream Generator
Sound Resource Manager
TutorData
ServiceData
UserProfiles
MusicScripts
S-packMedia
UserMedia
imStudio Engine
imStudio Server
소비 참여
Recording Tools
Vocal Instrument
Music Composer
Server Interface
Web browser
Mobile App
Real Instrument
개발완료후현재필드테스트진행중
3분 길이의 CD 품질 음원 제작에 2초 미만 소요 (반주 트랙 WAV 파일 기준)
10분이면 누구나 쉽게 보컬용 반주 완성
서비스소개
사용자인터페이스
웹브라우저기반 (차후 모바일 포함)
현재 필드 테스트에서 다양한 UI 및 UX를
비교 평가하고 있음.
서비스소개
서비스시나리오
SNS 홍보 등을 통해
1,000명의 보컬 확보
반주제작 및 합성 후
반환, 인터넷 공개
참여자의 반주 편집,
편곡, 재녹음 유도
SNS 등을 통해 전파
신규 사용자 확보
보컬리스트 홍보 및
사용자간 경쟁 유도
소셜 커뮤니티화
소셜 커머스 연동
대형 독자적 서비스
커뮤니티 추구
레슨 시장용 서비스
노래방용 서비스
자체 오디션 서비스
공중파 연계
현재 필드테스트 진행 중
서비스소개
모바일서비스와음악콘텐츠
무엇을 하더라도 PC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겠다 67%
제일 많이 쓰는 스마트폰 콘텐츠는 음악이다 74%
숨겨진진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 의한 녹음 품질이
얼마나 우수한지 잘 모른다.
음악을 만드는 것은 어려워도 고치는 것이
쉽다는 것을 잘 모른다.
모바일앱 = PC 브라우저기능 + 보컬/연주녹음 + 데이터소비 + 소통
사용자 참여 확대에 엄청난 폭발력을 가져올 수 있음
서비스소개 14
유튜브 무료 미디어 변환·공유 서비스
→ 무료 음악 제작·공유 서비스
위키피디아 자발적 인터넷 콘텐츠 제작·편집
→ 협업을 통한 음악제작·편집
앱스토어 자작 앱 온라인 유통
→ 트랙 단위 음원 유통
유사서비스특성비교
서비스소개
수익모델
서비스소개
melody
고유수익모델
base
vocal inst.
5,000
7,000
국내 음악 레슨 시장 규모
S-pack melody
base
inst.
Vocal Beautifier
vocal
\P P
P
레슨 청음 작곡 녹음
5분 45분
All-in-one service
$ $ $
개인간거래유도선율제작및판매
서비스연계매출
서비스소개
예상수익규모
1. 사운드엔진솔루션제휴 (SI) 2. 광고, 소셜커머스수수료
앱 설치 실효사용자 참여율 참여자 유료 곡 수 S-pack 단가 개인당 프로모션 가격 월매출액
100만 20% 36% 72,000 10% 8 3 500 12,000 12,000 172,800
259,20010% 4 2 500 4,000 4,000 57,600
20% 2 1 500 1,000 1,000 28,800
60% - (단위:원) (단위:천원)
교습소 실효사용자 사용의사 사용자 사용료 월매출액
5만 20% 45% 4,500 20,000 90,000
(단위:원) (단위:천원)
3. 참여시장
4. 교습시장
서비스소개
판매 콘텐츠
저작권수익배분계획
저작물 2차적 저작물
100% 30% 10% 60%
20%
40%
30%
30%
40%
20%
제작자
저작권자
서비스 운영비
Type A Type B Type C
서비스 초기 단계에서는
저작권 분쟁을 피하기 위해
유튜브나 사운드클라우드
서비스로 우회할 수 있음
마진 배분
서비스소개
수익모델분석 (국내, B2C 마켓)
7만명의실효참여자확보시
S-pack(선율 연주) 판매 수익: 연 31억원
Vocal Beautifier 서비스 수익: 연 7억원
4,500개의교습학원확보시
서비스 수수료 매출: 연 11억원
S-pack 및 Vocal Beautifier 매출: 연 17억원
미지의수익
서비스 운영에 따른 광고 수익
음악 유관 소셜 커머스 연동 수익
오프라인 노래방 체인용 서비스 수익
해외 서비스 확대 매출
상용 서비스 개시 후
100만명의 가입회원 확보에
9개월 소요 예상
1만개의 학원 확보에
12개월 소요 예상
지역권별 홍보 전략 필요
서비스소개
한 장의 그림으로 서비스 보기www.interactivemusicstudio.com/infographics
데모 및 상세 자료 링크www.interactivemusicstudio.com
미디어캐스트 연구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