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1 제목쓰는 공간 2006. 4. 7 ㈜ 안철수연구소 AhnLab CBI Renewal Project (서체-HY헤드라인M 30pt) (서체-Arial Bold 15pt) (서체-HY헤드라인M 13pt)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006. 11. 29 (주)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 대응센터 (ASEC) 안티 바이러스 연구원, CISSP 장 영 준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Embed Size (px)

DESCRIPTION

2006년 11월 L 기업 보안관제팀 대상 강연 자료

Citation preview

Page 1: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

제목쓰는 공간

2006. 4. 7

㈜ 안철수연구소

AhnLab CBI Renewal Project

(서체-HY헤드라인M 30pt)

(서체-Arial Bold 15pt)

(서체-HY헤드라인M 13pt)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006. 11. 29

(주)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 대응센터 (ASEC)

안티 바이러스 연구원, CISSP 장 영 준

Page 2: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

목 차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2. 악성코드 기술적 동향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6. 참고 문헌

5. 향후 연구 과제

Page 3: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Page 4: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4

1. 2006년월별 피해 신고 건수

- 6월까지는 예년과 비슷한 수치를 기록하였으나 7월부터 급격한 증가 추세

- 바이러스의 증가로 인한 전반적인 피해 증가 추세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Page 5: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5

2. 악성코드형태별피해 건수

- 2006년 상반기는 웜과 트로이목마의 피해가 일반적인 동향

- 2006년 7월 이후 바이러스의 급격한 증가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Page 6: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6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 통계

2006 년 최근 악성 IRCBot 웜 발견 현황

1917

14

33

44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월 6월 7월 8월 9월

2006 년

- 한 동안 줄어 들었으나 MS06-040 취약점 이후 8월부터 다시 증가 추세

- 다양한 실행압축 툴과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변형들을 지속적으로 생성

3. Win32/IRCBot.worm 동향 (1)

Page 7: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7

3. Win32/IRCBot.worm 동향 (2)

• 취약점, 감염경로 및 변형

- 윈도우 XP SP2 사용자 증가, PFW 통합 보안제품 증가, 사용자들의 보안의식 향상

- 초기에는 MS 윈도우 서비스 취약점 10개 정도, 악성코드 오픈 포트를 사용

- 다운로더 또는 스파이웨어와 같은 다른 악성코드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도 있음

- 휴리스틱 진단을 회피하기 위해 문자열 암호화와 알려지지 않은 실행압축 사용

- 윈도우 파일 보호 기법 무력화 사용

• 커널모드 봇 출현

- 소켓단의 개인용 방화벽을 우회하기 위하여 제작

- 은폐형 악성 IRCBot 은 프로세스, 파일, 레지스트리를 은폐하며 예전에도 존재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Page 8: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8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 통계

- 근래 악성코드 제작 목적은 악성코드 제작자의 금전적인 이익을 위함

- 악성코드의 비율도 트로이목마가 전체의 과반수 이상을 넘어서고 있음

102

185

123153

116

46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7월 8월 9월

2005, 2006 3분기 트로이목마 현황

2005 3분기

2006 3분기

4. 트로이목마동향 (1)

Page 9: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9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4. 트로이목마동향 (2)

- 사용자 정보 유출하거나 다른 악성코드 설치하는 다양한 형태의 트로이목마 등장

• 과거

- 사용자 데이터 삭제 또는 OS 를 손상 시키는 형태

• 현재

- 다른 악성코드 및 스파이웨어 등을 다운로드하는 형태 폭발적 증가

Win-Trojan/Downloader

- 해킹 및 스팸메일의 증가로 Proxy 서버 증상을 갖는 트로이목마 증가

Win-Trojan/Ranky, Win-Trojan/Proxy, Win-Trojan/ProxyAgent 등

- 온라인 게임의 사용자 정보를 유출 하는 증상을 갖는 트로이목마 증가

Win-Trojan/HangHack, Win-Trojan/LineageHack, Win-Trojan/LmirHack 등

Page 10: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0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 중국발 웹 해킹의 영향으로 중국산 트로이목마의 수적 증가

- Win-Trojan/GrayBird, Win-Trojan/Hupigon, Win-Trojan/PcClient

- 은폐기법 관련 커뮤니티 활성화와 소스공개로 은폐형 악성코드 증가

- Win-Trojan/HackDef, Win-Trojan/AFXRootkit, Win-Trojan/FuRootkit

4. 트로이목마동향 (3)

Page 11: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1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6. 웜

• 이메일로 전파 되는 웜

- 최근에는 Win32/Stration.worm이 이슈가 되었음

- 이메일 웜의 은폐기능은 하나의 증상에 불과함

- 웜 자체의 기능보다는 다른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목적으로도 이용되기도 함

- 이메일 웜 보다는 이메일을 이용하여 다른 악성코드를 퍼뜨리는데 더 적극적으로 활용됨

• 취약점을 이용하여 전파 되는 웜

- 웜에서 사용하기 쉬운 윈도우 서비스관련 취약점들이 줄어들고 있음

- 트로이목마의 증가로 인한 일반적으로 웜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음

- 취약점 자체만으로 전파되는 형태는 현재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악성 IRCBot 웜에서 사용

• 메신저를 이용하여 전파 되는 웜

- 2005년의 경우 메신저 웜이 증가 추세였으나 최신 메신저의 실행파일 전송차단 기능

으로 인해 저조

Page 12: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2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7. 바이러스

• 과거

- 윈도우 9x 및 윈도우 NT 등장시 폭발적으로 증가

- 다양한 바이러스 제작기법이 출현함

• 최근

- 네트워크 인프라 발달로 전파력이 없는 바이러스는 악성코드 제작자들로부터 외면

- 바이러스 제작을 위해서는 PE 파일 이해 및 윈도우 기반기술 등 고급기술이 필요함

- 웜이나 트로이목마 보다는 상대적으로 제작이 어려워 악성코드 제작자들이 기피

• 현재

- Win32/Detnat, Win32/ViKing와 Win32/Virut 같은 바이러스의 급격한 증가추세

- 감염기법은 단순한 편이지만 다형성, 시작 실행시점 불명확, 파일 빈 공간 감염기법도 사용

- 메모리 상주 효과를 노리기 위해서 정상 프로세스에 감염루틴을 쓰레드로 생성도 함

- 별도의 감염 컴포넌트를 두고 프로세스에서 자신을 은폐시킨 후 감염 시키는 형태도 존재

Page 13: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3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8. 매크로, 스크립트및 64Bit 악성코드

• 매크로 바이러스

- 최근 매크로 바이러스는 거의 발견되지 않음

- 2006년 현재까지 국내 발견 매크로 바이러스는 엑셀 매크로이며 총 4건

- MS 오피스 취약점을 이용하여 다른 악성코드의 전파 기법으로 사용되는 추세

• 스크립트 악성코드

- 최근에는 스크립트 형태의 웜은 발견되지 않음.

- 바이러스 보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취약점을 포함한 트로이목마 증상이 대부분

- MS06-014와 MS06-071 취약점을 이용 다른 악성코드의 전파 수단으로 사용

• 64Bit 악성코드

- 현재까지 3개의 악성코드가 발견

- 발견된 악성코드 모두 감염 목적이 아닌 개념 증명 (Proof of Concept) 형태

Page 14: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4

1. 악성코드 유형별 최근 동향

9. 기타 플랫폼악성코드

• 모바일 악성코드

- SymbianOS 에서 동작하는 형태가 가장 많으며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최근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며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가 지원하는 자바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RedBrowser 악성코드 발견

- Bluetooth 에서 MMS 로 전파환경이 변화됨

• 리눅스 및 유닉스 악성코드

- 유닉스 악성코드의 대부분은 과거에 발견된 형태

- 리눅스 악성코드는 실행가능한 ELF 파일을 감염 시키는 바이러스가 주류

• 맥킨토시 및 파워맥

-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코드가 존재

- 최근 MacOS X 취약점이 다수 공개 되면서 Bluetooth 를 이용하여 전파하는 웜 등장

Page 15: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5

2. 악성코드 기술적 동향

Page 16: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6

2. 악성코드 기술적 동향

• DLL 및 Code Injecting 기법 증가

- 실행중인 프로세스 및 파일에 악의적인 DLL 및 Code 를 Injecting 하는 형태

- 사용자들이 발견하기 어렵고 수동으로 제거하기도 어려움

- RemoteThread 를 이용한 프로세스 재실행 또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및 서비스

강제종료불가

- 악성코드 자신이 다른 프로세스에서 File Handle 을 선점오픈

• 다양한 은폐기법의 증가와 발전

- UserMode 에서 KernelMode 로 발전

- 별도의 KernelMode 은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드라이버 파일 생성

- 다양한 은폐기법 탐지를 무력화하는 악성코드 및 기법 공개

- 윈도우 2003 SP1 및 64Bit 윈도우의 KernelPatchGuard 우회방법공개

- 특정 응용 프로그램들의 Stealth by Design 계획

Page 17: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7

2. 악성코드 기술적 동향

• 안티 안티 바이러스의 등장

-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윈도우 서비스 강제 종료

- 문자열 검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강제 종료

- 프로세스의 PEB (Process Environment Block)을 이용한 프로세스 강제 종료

- NtCreateFile Hook 을 통한 파일 삭제

- 모든 사용자 계정의 디버그 권한을 삭제하여 보안 프로그램 실행불가능

- 레지스트리 PendingFileRenameOperations 키 값을 후킹하여 재부팅 후에도 삭제되지

않음

• 개인용 방화벽의 우회

- 레지스트리 수정 및 서비스 강제 종료를 이용한 윈도우 XP SP2 방화벽 우회

- TDI 및 Protocol 후킹을 통한 소켓단 방화벽 우회로 일반 개인용 방화벽 우회

Page 18: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8

2. 악성코드 기술적 동향

• 실행압축 기술 발전에 따른 부작용

- 바이러스 제작에 폴리모픽 및 메타모픽 기법이 사용됨

- 다양한 안티 디버깅과 압축 알고리즘으로 분석시간을 지연

- 실행 압축된 파일을 변형하는 툴 또는 방법이 인터넷 상에 공개

• 악성코드 형태의 붕괴

- 바이러스, 웜 그리고 트로이목마 3가지 경계 형태가 허물어짐

- 파일을 감염 대상으로 하지만 네트워크 공유 폴더로 자신을 복제

-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트로이목마를 다운로드 하지만 파일을 감염 대상으로 함

Page 19: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19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Page 20: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0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1. 게임 계정 탈취 트로이목마류 (1)

• 진단명

- Win-Trojan/LineageHack, Win-Trojan/HangHack 및 Win-Trojan/KorGameHack 등

• 감염경로

Page 21: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1

1. 게임 계정 탈취 트로이목마류 (2)

• 감염경로

- 웹 해킹을 당한 웹 사이트 또는 다운로더 트로이목마

• 동작방식 – 설치 및 실행

- CHM 형태의 파일을 특정 호스트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실행 그리고 EXE 파일 생성

- 생성된 EXE 파일은 드로퍼로서 실행되면 DLL 형태의 트로이목마를 생성

- 드로퍼에서 CreateRemoteThread 등의 DLL Injecting 루틴이 실행

- 실행중인 프로세스 및 이후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에 DLL 을 스레드로 Injection.

• 동작방식 – 게임계정 탈취

- Injection 된 DLL 은 대상이 되는 게임 또는 웹 사이트 방문 전까지 동작하지 않음

- 대상 프로세스명, 모듈, 윈도우 명을 찾아내고 웹 사이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윈도우 타이틀 바를 통해 얻어옴

- 탈취한 계정은 로컬에 텍스트로 저장 또는 메일 및 특정 웹 서버에 업로드된 파일로

내용을 포스팅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Page 22: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2

2. 실행파일감염 바이러스 (1)

- Win32/Viking.Gen, Win32/Viking.A, Win32/Viking.B 등

• 파일감염 형태 – 전위형

원본 파일

원본 파일Win32/Viking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 진단명

감 염 후

Page 23: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3

• 동작 방식

-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는 EXE 파일에 전위형으로 감염

- 윈도우 시스템 관련 폴더와 하위 폴더들의 EXE 파일은 감염 대상에서 제외

- 윈도우 폴더에 자신의 복사본인 EXE 와 DLL 생성

- 감염된 EXE 파일이 존재하는 폴더에 _desktop.ini 생성

- 외부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게임 계정 탈취 트로이목마 다운로드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 감염 경로

- 웹 해킹을 당한 웹 사이트 또는 트로이목마에 의한 다운로드

- EXE 파일 감염

- 관리 목적 공유폴더 및 사용자 설정 공유폴더 내의 EXE 파일 감염

2. 실행파일감염 바이러스 (2)

Page 24: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4

• 전파 경로

- 감염된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역으로 ARP 브로드캐스팅 수행

- 네트워크 대역에서 발견된 시스템으로 ICMP 패킷 전송

- 사용자 지정 공유 폴더 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감염 시도

- 관리 목적 공유 폴더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감염 시도

3. 주요 악성코드의 감염 기법

2. 실행파일감염 바이러스 (3)

[네트워크를 통한 전파]

Page 25: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5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Page 26: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6

1. 안티 바이러스정책 (1)

• 사용자 계정 정책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 모든 시스템의 관리자 계정 사용 제한

- 영어 대소문자, 숫자 그리고 특수 문자를 포함한 조합으로 7자리 이상의 로그인 암호 적용

- 로그인 암호는 일정한 주기에 따른 변경 및 재적용

- 사용하지 않는 계정은 모두 비활성화 설정

- 계정에 대한 모든 권한 부여를 제한하고 필요한 권한만 부여

• 시스템 통제 정책

- 모든 시스템에는 안티 바이러스 및 안티 스피이웨어 프로그램 과 방화벽 (IPS 포함) 설치

- 안티 바이러스 및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에 최신 엔진의 자동 적용

- 사용자 설정 공유 폴더 및 공유 전산 자원에는 인가된 사용자 계정만 접근

- 공유 폴더 및 공유된 전산 자원을 사용하는 계정들에는 필요한 권한만 부여

- 사용중인 운영체제의 최신 보안 패치 및 서비스팩의 설치

Page 27: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7

• 보안 감사 수행

-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안티 바이러스 및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주기적인 수동 검사 및 결과 파악

- 주기적인 네트워크 모니터링으로 특정 네트워크 대역에서 발생하는 이상 패킷 파악

- 미션 크리티컬한 시스템에는 무결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호스트베이스 IDS 설치로

이상 징후 파악

- 운영체제의 감사 설정으로 시스템 이벤트 로그의 주기적인 분석으로 비인가된 접근 및

이상 징후 파악

- 사용중인 운영체제와 프로그램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취약점 및 악성코드 정보

들을 주기적으로 확보

1. 안티 바이러스정책 (2)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 보안 인식 교육

- 컴퓨터 사용자들에 대한 악성코드의 위험에 대한 주기적인 보안 인식 교육 제공

- 인사 부서와 연계한 사내 보안 정책 위반에 따른 인사상 불이익 부여

Page 28: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8

• 시스템 확인

- 네트워크 내에서 감염이 의심되는 시스템을 확보

- 해당 시스템을 네트워크로부터 단절 후 일반 사용자의 사용 제한

• 시스템 조사 - 1

- 안티 바이러스 및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이 최신 엔진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

- 시스템을 안전모드로 부팅한 후 안티 바이러스 및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전체를 검사

- 시스템을 정상 윈도우 모드로 부팅 후에도 동일한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지 확인

- 동일한 이상 증상이 재발할 경우 다양한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와 AhnReport로

시스템 분석

2. 악성코드초기 대응 (1)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Page 29: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29

• AhnReport 분석전 참고사항

- 악성코드의 기본적인 특성 인지

윈도우 시스템 폴더 또는 윈도우 폴더에 자신을 복사

자신을 재실행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시작 부분에 자신을 등록

정상 파일과 유사한 파일명 또는 동일한 파일명에 다른 경로에 존재

- AhnReport로 확인이 어려운 악성코드도 존재

은폐형 악성코드, 워드 또는 엑셀 매크로 바이러스, 바이러스

2. 악성코드초기 대응 (2)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 AhnReport 분석의 주요 부분

- 실행 프로세스의 경로와 파일명

- 실행 프로세스의 소유자와 등록 정보

- 시작 프로그램의 등록 여부

- 실행 프로세스의 외부 접속 또는 포트 오픈

Page 30: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0

• AhnReport 분석 - 1

- 해당 시스템에서 AhnReport를 실행

- 운영체제의 서비스팩과 패치 정보 확인

- 설치된 V3와 SpyZero 엔진 버전 정보 확인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2. 악성코드초기 대응 (3)

[시스템 기본 정보]

Page 31: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1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2. 악성코드초기 대응 (4)

• AhnReport 분석 - 2

-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모듈 정보 확인

-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사용자, 버전, 제품 및 회사 정보 확인

- 악성코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계정의 권한으로 실행, 제품 버전 및 회사 정보가 없음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

Page 32: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2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2. 악성코드초기 대응 (5)

• AhnReport 분석 - 3

-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는 파일들과 로드 위치 확인

- 시작 프로그램 정보는 악성코드는 재실행 가능하도록 등록하는 위치들의 정보

[시작 프로그램 정보]

Page 33: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3

4. 기업 악성코드 대응

2. 악성코드초기 대응 (6)

• AhnReport 분석 - 4

- 네트워크 연결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포트 확인

- 웜의 경우 동일한 프로세스가 다수의 포트를 오픈하여 인접 시스템에 대한 공격 시도

- 트로이목마의 경우 사내 시스템이 아닌 곳으로 접속 유지

[네트워크 정보]

Page 34: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4

5. 향후 연구과제

Page 35: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5

• 실행 파일 DNA 분석

- 악성코드의 주요 함수 분석으로 다양한 변형에 대한 신속한 대응

비주얼 베이직, 비주얼 C++와 델파이로 제작된 악성코드의 API 호출 순서와

코드상의 순서 등을 통해 유사하거나 동일한 코드로 제작된 변형들의 자동 분류

1. 새로운악성코드대응을 위한 향후 연구 과제

5. 향후 연구 과제

• 행위 기반 탐지

- 새로운 악성코드의 실행 형태와 동작 형태에 따른 사전 탐지 및 시스템 보호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가 실행되는 시스템상의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감염 동작의

순서와 절차를 통한 탐지

• 새로운 악성코드의 확보

- 새로운 악성코드에 감염된 시스템에서 신속한 샘플 확보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악성코드에 감염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기존의 알려진 악성코드와의 증상의 유사도 측정을 통하여 자동 샘플 확보

Page 36: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6

6. 참고 문헌

Page 37: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7

1. 일반 악성코드관련 서적

6. 참고 문헌

악성 모바일 코드 (윈도우 바이러스 작동원리와 퇴치) – 로저 그라이암스 (2001년)

Securing the Network from Malicious Code : A Complete Guide to Defending

Against Viruses, Worms, and Trojans - Douglas Schweitzer (2002년)

Malware : Fighting Malicious Code - Ed Skoudis, Lenny Zeltser (2003년)

Trojans, Worms, and Spyware, First Edition : A Computer Security Professional's Guide

to Malicious Code - Michael Erbschloe (2004년)

The Art of Computer Virus Research and Defense - Peter Szor (2005년)

Malware Detection - Mihai Christodorescu (2006년)

Computer Viruses and Malware - John Aycock (2006년)

Defense and Detection Strategies Against Internet Worms - Jose Nazario (2003년)

Subverting The Windows Kernel RootKit – Greg Hoglund & James Butler (2005년)

2. 특정 형태의악성코드 관련 서적

Page 38: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8

3. 기타 정보 보안 관련 서적

6. 참고 문헌

Incident Response : A Strategic Guide to Handling System and Network Security

Breaches - Schultz & Russell Shumway (2002년)

Introduction to Computer Security - Matt Bishop (2004년)

소프트웨어 보안 – Greg Hoglund & Gray Mcgraw (2004년)

Windows Security Resource Kit – Ben Smith, Brian Kormar & MS Security Team

(2005년)

Page 39: 악성코드와 기업의 악성코드 대응

39

감사합니다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