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ISSUE & FOCUS on IP 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지식재산(IP) 이슈 ․세계 각국이 기존 산업의 성장 정체로부터 탈피해서 경제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자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를 이끌 새로운 기술의 창출에 매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기술을 발굴하고 예측하는 일은 글로벌시대에 국가 또는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사물인터넷(IoT)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국내외 기업들 사이에서는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고, 한편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되어 감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먹거리를 찾고 있는 시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포스트 스마트폰의 후보로 주목받고 있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큰 의미에서 사물인터넷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지식재산(IP) 이슈를 함께 살펴 보고자 함. ․사물인터넷 기술은 초연결사회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서,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 및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영향력이 계속해서 크게 확대될 전망이므로 사물인터넷의 주요 요소와 기술을 검토하고, 사물인터넷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지식재산권 이슈를 고찰함 * 작성자 : 김성현(BLT 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연결성이 강화되는 등 다양한 산업에 연관성이 높은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폰 이후 새로 사업 아이템으로 주목하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기업들의 분쟁사례를 소개하고, 기회를 예측하거나 향후 특허분쟁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함 * 작성자 : 조성한(특허법인 지명, 변리사) ※ 본 보고서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힙니다.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

이슈페이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지식재산(IP) 이슈․세계 각국이 기존 산업의 성장 정체로부터 탈피해서 경제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자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를 이끌 새로운 기술의 창출에 매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기술을 발굴하고 예측하는 일은 글로벌시대에 국가 또는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사물인터넷(IoT)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국내외 기업들 사이에서는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고, 한편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되어 감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먹거리를 찾고 있는 시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포스트 스마트폰의 후보로 주목받고 있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큰 의미에서 사물인터넷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지식재산(IP) 이슈를 함께 살펴 보고자 함.

․사물인터넷 기술은 초연결사회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서,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 및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영향력이 계속해서 크게 확대될 전망이므로 사물인터넷의 주요 요소와 기술을 검토하고, 사물인터넷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지식재산권 이슈를 고찰함

* 작성자 : 김성현(BLT 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연결성이 강화되는 등 다양한 산업에 연관성이 높은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폰 이후 새로 사업 아이템으로 주목하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기업들의 분쟁사례를 소개하고, 기회를 예측하거나 향후 특허분쟁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함

* 작성자 : 조성한(특허법인 지명, 변리사)

※ 본 보고서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힙니다.

Page 2: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

이슈페이퍼

Ⅰ. 사물인터넷(IoT) 1. 검토배경 □미래 사회는 사람과 사물 등 모든 것(everything)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CISCO는 이미 2008년에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수가 사람의 수를 초과하였으며 초연결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제시함

○ 사물인터넷 기술은 초연결사회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서,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 및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영향력이 계속해서 크게 확대될 전망임*

*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2013년 2,000억 달러에서 2022년 1조2,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Machina Research, STRACORP, 2013)

□세계 주요 국가는 사물인터넷을 국가 사회에 영향을 미칠 주요 기술 및 서비스로 인식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ICT 기업들도 사물인터넷 시장에 진출하여 기술, 서비스 연구 개발, 신규 사업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중국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에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산업기금 조성, 관련 산업단지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음

- 일본은 ICT 정책 “i-Japan 2015”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작업반 및 상세 계획을 마련 중에 있음

- IBM은 “스마트 플래닛(smart planet)”을 통해 모든 자연과 사람이 서로 연결되어 에너지, 환경, 지속 가능성 계획을 실현한다는 혁신 아젠다를 추진하고 있음

□최근 사물인터넷이 대중으로부터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ICT 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9년 P&G의 케빈 애쉬튼(Kevin Ashton)이 언급하면서 부터이며, 유선전화, 인터넷, 이동통신 등으로 이어져온 통신의 관점에서 볼 때 사물인터넷에 관한 아이디어는 오래 전부터 존재했던 개념으로 볼 수 있음

○ 사물인터넷은 전혀 새롭게 구성된 것이 아닌 과거의 ICT 기술로부터 발전된 현재와 미래의 인터넷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보아야 하며, 이 같은 관점에서 사물인터넷의 본질적인 주요 요소와 기술을

Page 3: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3

이슈페이퍼

검토하고, 사물인터넷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지식재산권 이슈를 고찰함 ○ 이하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개요, 사물인터넷과 관련한 주요 법이론과 함께 최근의 주요 사례에

대한 판결을 차례대로 살펴보기로 함 2.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IP 이슈 (1) 개요 □ (사물인터넷의 정의) 사물인터넷이란 “지능화된 사물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상에서 사람

과 사물(물리 또는 가상), 사물과 사물 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를 의미*

* ITU-T, Overview of the Internet of things, 2012.6.15. ○ 사물인터넷이란 “사람, 사물 등 모든 것들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모든 것들에 대한 정보가

생성, 수집되고 공유, 활용되는 것”을 의미 ○ 모바일 인터넷의 활성화는 인간이 정보 접속에 대해 가지고 있던 “시간의 제약”과 “공간의 제약”의

문제를 해결해주었으며, 사물인터넷의 핵심은 PC와 PC,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는 “객체의 제약”을 해결하는 것에 있음

| 사물인터넷 시대의 통신 환경* |

Page 4: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4

이슈페이퍼

* 한국전기산업연구원, 사물인터넷(IoT)과 미래산업, 2015.3. ○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의 범위는 M2M(Machine to Machine), IoT를 거쳐 최근 IoE(Internet of

Everything)로 확장되고 있음| M2M, IoT, IoE의 개념* |

* 한국전기산업연구원, 사물인터넷(IoT)과 미래산업, 2015.3. □ (사물인터넷의 주요 요소와 기술) 사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임

| 사물인터넷의 3대 요소* |

* 트렌드인사이트, IOT 상용화 시대가 다가온다, 2012.8.15.

Page 5: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센싱 기술 - 필요한 사물이나 장소에 전자태그를 부착하여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

는 기술을 나타냄 -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원격 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주위 환경과 사물의 변화를 감지하고 정보를 얻는 물리적 센서를 포함함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음 ○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나타냄 - 사물인터넷의 네트워크는 기존의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함

○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각종 서비스 분야 및 형태에 맞게 정보를 가공 및 처리하거나 융합하는 기술을 나타냄 - 사물인터넷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

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스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함

□ (사물인터넷의 적용분야) 사물인터넷은 개인의 일상 생활부터 전기, 수도, 가스, 철도, 도로 등의 공공분야와 자동차, 가전, 전자, 화학 등 제조업, 유통, 물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이란 용어도 확산되고 있을 만큼 그 적용범위가 광범위함

(2) 주요 법이론 □ (특허 보호 대상) 특허법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을 발명으로

정의하고, 발명을 특허 보호 대상으로 규정 ○ 자연법칙 이외의 법칙(경제법칙, 수학공식, 논리학적 법칙, 작도법 등), 인위적인 약속(게임의

Page 6: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6

이슈페이퍼

규칙 그 자체 등), 또는 인간의 정신활동(영업활동 그 자체, 교수방법 그 자체, 금융보험제도 그 자체, 과세제도 그 자체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명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됨

○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실행하는 명령에 불과한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자체는 발명이 될 수 없으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정보처리가 하드웨어를 이용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과 연동해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기계), 그 동작 방법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발명으로 취급됨

○ 사물인터넷은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가 내재된 주요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디바이스, 모듈, 칩셋, 네트워크,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트래픽 처리, 네트워크 가상화, 무선통신기술,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분석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보호가 필요

□ (컴퓨터 관련 발명 심사기준) 특허청은 컴퓨터 관련 발명을 심사하기 위해 1984년 심사기준을 제정하고, 2005년 컴퓨터 관련 발명 심사기준과 전자상거래 관련 발명 심사기준을 통합

○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로 정의하고,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적합한 명령의 집합으로 정의

○ 컴퓨터 관련 발명의 범주 - (방법의 발명) 컴퓨터 관련 발명은 시계열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 즉 단계로서 표현할

수 있을 때 그 단계를 특정하는 것에 의해 방법의 발명으로서 청구항에 기재 가능 - (물건의 발명) 컴퓨터 관련 발명은 그 발명이 완수하는 복수의 기능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 그 기능으

로 특정된 물건의 발명으로 청구항에 기재 가능 - (프로그램 기록 매체 청구항)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물건의 발명으로서 청구항에 기재 가능 - (컴퓨터프로그램 청구항)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

로그램 청구항으로 기재 가능*

*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한정하여 규정함으로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매체에 저장되지 않은 형태로 유통되는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여전히 특허로 보호하고

Page 7: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7

이슈페이퍼

있지 않으며, 특허법상 발명의 실시행위에 컴퓨터프로그램의 온라인 전송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컴퓨터프로그램 청구항의 보호는 극히 제한적임

○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이용해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와 협동해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해당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자연 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 설명하고 있음*

*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이용해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경우란,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에 읽혀지는 것에 의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협동한 구체적 수단으로 사용목적에 따른 정보의 연산 또는 가공을 실현함으로써 사용목적에 부응한 특유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그 동작 방법이 구축되는 것을 말함

□(특허의 보호범위) 특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구성요소완비의 원칙(All Elements Rule)에 따라 특허 침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3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모든 구성요소를 실시하여야 함

○ 방법 특허, 특히 정보통신 기술 분야에서는 원격의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그 상호작용을 통해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청구항의 모든 구성요소가 하나의 주체가 아닌 복수 주체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도 특허 침해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문제됨

○ 사물인터넷은 인간, 사물, 서비스의 3대 요소와 관련하여 물리적인 센서, 디바이스, 유무선 네트워크, 정보 처리 서비스 등이 원격으로 분리되어 있어,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복수 주체의 행위가 개입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후술하는 공동 침해 이슈가 당면 과제임

□ (공동 침해(joint infringement)) 복수의 주체가 청구항의 모든 구성요소를 분담하여 실시하는 경우에 공동 침해 책임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임

○ 특허법은 권리 구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허 침해의 개연성이 높은 예비적 행위, 즉 특허 물건의 생산에만 사용하는 물건을 생산·양도·대여 또는 수입하거나 그 물건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약을 하는 행위, 특허 방법의 실시에만 사용하는 물건을 생산·양도·대여 또는 수입하거나 그 물건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약을 하는 행위를 특허 침해로 간주하는 간접 침해를 규정하고 있음

Page 8: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8

이슈페이퍼

ISSUE & FOCUS on IP 8

이슈페이퍼

○ 복수의 주체가 특허 방법의 청구항의 구성요소를 분담하여 실시하는 행위를 방법의 실시에만 사용하는 물건을 생산하거나 양도하는 등의 행위로 볼 수 없으므로 특허법상 간접 침해 규정을 공동 침해에 적용하기 어려움

○ 민법상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적용하여야 한다거나, 간접 침해 규정의 객관적 요건을 완화하고 주관적 요건을 추가하여야 한다는 입장이 존재함

(3) 관련 판결 □사물인터넷 기술 분야의 발명에 대한 특허 보호 가능성과 공동 침해 요건과 관련하여 최근 발생한

Alice Corp. v. CLS Bank Int'l 사건, Limelight Networks, Inc. v. Akamai Techs, Inc 사건 등 주요 사례에 대하여 살펴봄

○ (Alice Corp. v. CLS Bank Int'l 사건) 2014.6.19. 미국 연방 대법원은 Alice Corp.(이하, “Alice")가 보유하고 있던 금융 거래 관련 소프트웨어 특허에 대하여 추상적인 아이디어에 불과함을 들어 특허 적격성을 불인정하는 취지의 판결을 함

- (사실관계) CLS Bank Int'1(이하, “CLS Bank”)가 Alice로부터 자사의 특허를 침해하고 있다는 통지를 받고, Alice를 상대로 특허 비침해확인 소송을 제기함에 따라 소송이 시작되었으며, Alice의 특허는 계약 관계에 있는 양 당사자들을 대신하여 제3자가 에스크로(조건부 날인 증서)로 자금을 관리하게 하는 방식에 관련된 것이었음

- (주요쟁점) 미국 특허법은 새롭고 유용한 방법, 기계, 제조물, 조성물 또는 새롭고 유용한 개량의 발명 또는 발견에 대하여 특허 적격을 인정하면서, 자연 법칙(laws of nature), 물리적인 현상(physical phenomena) 및 추상적인 아이디어(abstract idea)는 특허 적격이 없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본 사건에서는 Alice가 보유하고 있던 금융 거래 관련 소프트웨어 특허가 금융 거래 절차에 따른 개념을 특허 적격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정도로 구체화시켰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음

- (소프트웨어 관련 판례 변화) 1990년대 State Street Bank & Trust v. Signature Financial Group 사건에서 CAFC는 유용하고, 구체적이며, 유형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특허 적격이 있다는 판결을 내렸으며, 2008년 In re Bilski 사건에서 CAFC는 (i) 특정 기계나 장비에 연관되거나, 또는 (ii) 특정 물품을 다른 상태나 사물로 전환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는 기계-전환 테스트를 제시하였으며, 2010년 Bilski v. Kappos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은 기계-전환 테스트가 추상적 아이디

Page 9: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9

이슈페이퍼

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여러 척도 중 하나일 뿐, 절대적인 척도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 - (연방 대법원의 판시사항) 미국 연방 대법원은 Alice의 금융 거래 관련 소프트웨어 특허는 추상적

아이디어에 해당하여 무효이며, 구체적으로는 불특정의 일반적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중개 결제(intermediated settlement)란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 이상의 “significantly more”에 이르지 못했다고 판단하였음

- (USPTO의 심사가이드) 2014년 6월 25일 USPTO는 본 Case에 관한 Memorandum “Preliminary Examination Instructions in view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Alice Corp. v. CLS Bank”을 발행하였으며, 본 심사가이드에서는 모든 타입의 불특허 대상들(자연 법칙, 물리적인 현상, 추상적인 아이디어)에 대하여 동일한 판단방법을 적용함*

* 구체적으로,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포함하는 모든 청구항들(product 및 process 청구항)은 다음의 두 단계로 특허 적격을 판단 :

(i) Part 1: 청구항이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 (ii) Part 2: 청구항이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포함한다면, 청구항을 추상적인 아이디어 그

자체 이상의 “significantly more”에 이르게 하는 다른 한정이 있는지 판단 - (결론) 본 판결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지만, 단정적으로 모든 소프트웨어 특허가 무효라는

의미는 아니며, 이전의 판례들과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아이디어와 특허 적격을 갖춘 소프트웨어를 구분할 수 있는 정형화된 기준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 “significantly more”와 관련하여 미국 연방 대법원이 예시한 “Improvements to another technology or technical field”, “Improvements to the functioning of the computer itself”, “Meaningful limitations beyond generally linking the use of an abstract idea to a particular technological environment” 등이 참고가 됨

○ (Limelight Networks, Inc. v. Akamai Techs, Inc 사건) 2015.8.13. 미국 연방항소법원(CAFC)이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방법 특허에 관한 침해 요건, 이른바 "single entity" 요건을 완화하는 취지의 판결을 함

- (사실관계) Akamai Techs(이하, “Akamai”)는 인터넷 콘텐츠를 분산된 서버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Limelight Networks, Inc.(이하, “Limelight”)는 위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 중 “태깅” 즉 웹페이지에 임베드된 객체에 관하여 콘텐츠 제공자의 리소스 식별자에 일정한 정보를 붙임으로써 대체 리소스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만을 기술 지원을 제공하

Page 10: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0

이슈페이퍼

여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음 - (주요쟁점) 미국 특허법은 특허권의 존속기간 중에 특허 발명을 권원없이 미국 내에서 제조, 사용,

판매의 청약 또는 판매하거나, 미국 내로 수입한 자는 특허권을 침해한다고 직접 침해를 규정하고, 타인에게 특허발명의 일부를 제공함으로써 타인의 특허침해에 기여한 자에게는 기여 침해(contributory infringement)의 책임을, 그리고 적극적으로 타인의 특허 침해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유도 침해(inducement infringement)의 책임을 지는 것으로 간접 침해를 규정하고 있음

- (CAFC의 유도침해 긍정) CAFC는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직접 침해가 없이는 유도 침해가 성립할 수 없다고 하면서도, 비록 Limelight가 직접 침해자로서 책임을 지기 위한 요건인 “지시와 통제(direction and control)”를 하지는 않았더라도, (i) Akamai의 특허를 알고 있었고, (ii) 태깅 단계만 제외하고 특허의 모든 단계를 실시하였으며, (iii) 서비스 이용자들이 위 태깅 단계를 수행하도록 유도하였고, (iv) 서비스 이용자들이 실제로 그 단계를 수행하였으므로, 유도 침해가 성립한다고 판단

- (연방 대법원의 파기 환송) 미국 연방 대법원은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에 따라 방법 특허의 침해는 모든 단계를 실시하여야만 성립하고, 이에 따라 직접 침해가 성립하지 않는 이상 간접 침해는 성립할 수 없다는 이유로 위 CAFC 판결을 파기 환송

- (CAFC의 직접침해 긍정) CAFC는 방향을 바꾸어 또다시 전원합의체 판결로써 유도 침해가 아닌 직접 침해를 인정하면서, 단일 주체에게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경우(attribute to a single entity)에는 직접 침해가 성립한다는 기존 판례와 같은 입장에서, 이에 해당하는 경우로 (a) 하나의 주체에 의한 지시 또는 통제가 있을 경우, (b) 복수 주체가 사실상 하나의 사업체(joint enterprise)를 구성할 경우를 들었으며, (a)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존의 주인-대리인 관계 또는 계약관계가 있는 경우 외에도, 위의 사실관계와 같이 (i) 침해 주체가 다른 주체에게 분담 실시를 하도록 영향을 끼치거나 이익을 제공하고, (ii) 침해 주체가 다른 주체의 실시 방법이나 시기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직접 침해가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

- (결론) 국내에서는 복수 주체에 의한 공동 침해 행위에 대한 사례나 판례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나, 본 판결은 국내 법원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소프트웨어 특허의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약점이 상당 부분 제거될 것으로 보임

Page 11: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1

이슈페이퍼

3. 요약 및 시사점 □ 요약 ○ 사물인터넷의 핵심은 객체의 제약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사물인터넷의 주요 요소는 인간,

사물, 서비스의 분산된 환경 요소 간 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며,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일상 생활부터 공공분야, 제조업, 유통, 물류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

○ 사물인터넷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트래픽 처리,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사물인터넷의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해서는 컴퓨터 관련 발명 심사기준에 따라 특허 보호가 가능하지만, Alice v. CLS Bank 사건에서와 같이 구체화 여부에 따라 추상적인 아이디어로 해석되는 경우 특허 적격이 부정될 수 있음

○ 사물인터넷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트래픽 처리,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사물인터넷의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해서는 컴퓨터 관련 발명 심사기준에 따라 특허 보호가 가능하지만, Alice v. CLS Bank 사건에서와 같이 구체화 여부에 따라 추상적인 아이디어로 해석되는 경우 특허 적격이 부정될 수 있음

○ 사물인터넷은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그 실시를 위하여 복수의 주체가 관여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국내법상 간접 침해, 공동 침해가 적용되기 어려우나, Limelight v. Akamai 사건과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일부 단계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사실 관계에 따라 직접 침해가 성립될 수 있음

□ 시사점 ○ 미국 연방 대법원이 추상적인 아이디어에 관한 정형화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법상 사물인터넷의 소프트웨어 기술이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한 “significantly more”에 관한 한정 사항은 특허 적격과는 별개로 진보성 유무와 관련해서도 문제될 수 있음

○ 국내에서는 공동 침해 행위와 관련된 사례나 판례를 찾을 수 없는데,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Page 12: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2

이슈페이퍼

침해 판단의 기준으로서 확고하게 적용하고 있는 대법원 판결례를 참고할 때, 향후에 하나의 주체에 의한 지시 또는 통제가 있거나 사실상 하나의 사업체를 구성할 경우를 단일 주체로 간주하여 직접 침해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의 귀추가 주목됨

Page 13: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3

이슈페이퍼

Ⅱ. 웨어러블 디바이스 1. 검토 배경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되고 포화되어 감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먹거리를 찾고 있는 시점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포스트 스마트폰의 후보로 주목받고 있음 ○ 전자부품의 소형화와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정에서 경험했듯이 새로운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생체 정보를 이용하거나 기존의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연결성이 강화되는 등 다양한 산업에 연관성이 높은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음

○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기업들의 분쟁사례를 소개하고, 기회를 예측하거나 향후 특허분쟁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IP 이슈 (1) 개요 ○ (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MIT Media Lab) - 최근에는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경험을 강화하며, 무선으로 연결되고, 연산능력을 구비

한 기기로 확장(Frost&Sullivan)

Page 14: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4

이슈페이퍼

| 웨어러블 디바이스 |

출처: Frost&Sullivan(2014) ○ (기술분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유형에 따라 크게 휴대형(Portable), 부착형(Attachable) 및 이식/

복용형(Eatable)로 분류 - 휴대형은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안경, 시계, 팔찌 등의 형태의 디바이스로 제공 - 부착형은 패치(patch)와 같이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형태 - 이식/복용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궁극적인 단계로 인체에 직접 이식하거나 복용할 수 있는 연결

된 디바이스 수단으로 사용 예상

Page 15: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5

이슈페이퍼

|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백서 |

* KT경제경영연구소(2014) ○ (기술의 진화) 최근 스마트폰보급 확산, 하드웨어 측면의 기술 발전 및 디자인 개선 등을 통해 웨어러

블 디바이스의 진화의 전환점으로 작용 - 실제로 출시된 제품들은 소비자가 착용하고 다니기에는 무겁고 거추장스러운 디자인에 기능도 제한적

이어서 시장 형성에 실패 - 최근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팔찌나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급속하게 시장 진입| 2014 smartwatchnews |

* http://www.smartwatchnews.org/

Page 16: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6

이슈페이퍼

(2) 활용분야 ○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 부위별/산업별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음 - (산업별 구분) 게임, 스포츠, 취미활동 등 라이프스타일을 풍부하게 디자인하는 제품군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건강관리(Fitness)와 의학용(Medical) 분야의 제품이 제품군을 형성| 산업별 웨어러블 디바이스 |

* 전자신문(2014) - (신체부위별 구분) 현재 개발된 제품 중에서는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비중이 가장

높으며, 머리에 착용하는 안경형 제품의 비중도 많은 비중을 차지함| 현재 개발된 신체부위별 웨어러블 디바이스 |

* LG경제연구소(2014)

Page 17: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7

이슈페이퍼

2. 주요 특허분쟁 (1) Paragon Solutions, LLC v. Timex Corporation □ 사건 경위 ○ 본 사안은 Paragon Solution, LLC (이하, ‘파라곤 솔루션’)이 2006년 10월 12일자로 Timax

Corporation(이하. ‘타이맥스’)의 Bodylink라는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6736759호 (이하, ‘759 특허’)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오하이오 남부지법에 제소했던 사안임

□ 본 사안 특허 ○ 759 특허는 조깅 등에 이용하는 운동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 포지셔닝 장치(실시예로는

GPS), 생리정보 취득 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운동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며, 타이멕스는 청구항 1과 29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

청구항 1 청구항 291. An exercis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a) a data acquisition unit comprising an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and a physiological monitor, said data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be worn by a subject performing a physical activity; and

(b) a display unit configured for displaying real-time data provided by said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and said physiological monitor, said display unit separate from said data acquisition unit;

wherein said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be worn by the subject, worn by someone other than the subject, or attached to an apparatu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activity being performed by the subject so as to be visible to the subject while performing the physical activity, and

further wherein said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said display unit displays real-time data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ubject's location, altitude, velocity, pace, and distance traveled.

29. An exercis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a) an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electromagnetic signals from three or more sources so that said monitoring system can determine at least one of a subject's velocity or pace, wherein said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is provided as part of a data acquisition unit;

(b) a physiological monitor;(c)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and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real-time data provided by said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and said physiological monitor, wherein said display unit is separate from said electronic positioning device; and

(d) an alarm, wherein said alarm is activated when a subject's velocity or pace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target.

Page 18: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8

이슈페이퍼

| 발명의 도면 |

□ 피의자 침해품 ○ 타이멕스의 Bodylink는 시계 형태의 생체 정보 분석 장치로서, GPS 수신기, 심박 측정 센서, 디스플

레이 모두 구비된 제품임| Timex사의 Bodylink 제품 |

- USB 등 물리적인 접속을 통해 운동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Data Recorder 보유 □ 오하이오 남부지법의 판단 ○ 소송에서 주요 쟁점인 「데이터 취득 장치」에 관하여 생리적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계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자 포지셔닝 장치를 하나의 구조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함

Page 19: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19

이슈페이퍼

No. 소제기일 관할법원 피고 계쟁 특허1 11/16/2005 District of Colorado Fitsense Technology Incorporated/ 6,499,000/ 6,516,284/ 6,963,818

○ 「실시간 데이터 표시」에 관하여 늦어지지 않고 거의 동시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타이맥스 Bodylink의 경우 연산시간 및 정보 전송시간이 0.1 ~ 1 초 정도 지연되므로 이러한 지연은 실시간 데이터 표시라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함

○ 「타이맥스의 비침해라는 판결에 대해 파라곤 솔루션은 항소함 □ 연방순회항소법원(이하, ‘CAFC’)의 판단 ○ CAFC는 「실시간 데이터 표시」에 대한 지방법원의 해석을 파기하고, 이 사건에서는 “시스템이 처리

하는데 걸리는 제한 및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고의적인 지연이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표시한다”라고 해석

○ 문언의 해석이 바뀌었기 때문에, 지방법원의 비침해 판결을 파기하고 새로운 문언 해석에 의해 다시 결정을 내리도록 지방법원에 환송

□ 소결 ○ 본 소송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하여 초창기 소송으로 판결까지 진행된 사안으로 의미를 갖음 ○ 외부의 센서를 하나의 구조로 해석한 사건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도 적용 가능한 사안임 (2) PhatRat Technology 관련 특허소송 □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허소송 이력 ○ PhatRat Technology, LLC(이하, 'PhatRat')은 2006년부터 2013년 사이에 Nike, Apple 및 Timex 등을

대상으로 특허소송 제기하거나 제소당함 - Pharat은 콜로라도 지방법원을 중심으로 Apple Inc.(이하, ‘애플’), Nike(이하, ‘나이키’), Polar

Electro(이하, ‘폴라 일렉트로’) 및 타이맥스를 공격함 - Erik B. Cherdak으로부터 2011년 12월 5일자로 미국 버지니아 지방법원에 애플과 나이키와 공동으

로 피소됨

Page 20: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0

이슈페이퍼

Nike/ Polar Electro/ Polar Electro Oy2 06/08/2006 District of Colorado Polar Electro /Polar Electro Oy 6,499,000/ 6,516,284/ 6,959,2596,963,818/ 7,054,7843 07/26/2006 District of Colorado Garmin International/ Inc.Timex Corporation 6,959,259/ 6,499,000/ 6,516,2846,856,934/ 6,885,971 4 10/24/2006 District of Colorado Apple Computer Incorporated 6,499,000/ 6,885,971/ 6,963,8187,092,8465 01/12/2007 District of Colorado Timex Corporation 7,162,3926 02/01/2007 District of Colorado Apple Inc. / Nike 6,499,000/ 6,885,971/ 6,963,8187,092,846/ 7,171,3317 12/05/2011 Eastern District of Virginia

Apple Inc./Curtis A. Vock/Nike/PhatRat Technology LLC5,636,146 외 33건

8 02/14/2013 Northern District of Illinois Riddell Sports Group, Inc. 7,386,401/ 7,693,668/ 7,386,4017,162,392

No. 출원번호 출원일 발명의 명칭 출원인 최종 소유권자1 US12/135893 2008.06.09 Impact reporting head gear system and method

PhatRat Technology, LLCPhatRat Technology, LLC

2 US11/598410 2006.11.13 Helmet that reports impact in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sPhatRat Technology, LLC

PhatRat Technology, LLC3 US11/358508 2006.02.21 Shoes employing monitor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PhatRat Technology, LLC APPLE INC

4 US11/221029 2005.09.07Sport performance systems for measuring athletic performance, and associated methods

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5 US10/921743 2004.08.19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erformance dataPhatRat Technology, LLC APPLE INC

6 US10/950897 2004.09.27 Sport monitoring systems PhatRat Technology, LLC APPLE INC

7 US10/283642 2002.10.30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erformance data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8 US09/992966 2001.11.06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athletic performance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9 US10/234660 2002.09. Sport monitoring systems and PhatRat APPLE INC

□ 특허소송 활용 특허 ○ Pharat이 특허소송(반소 포함)에 사용한 특허는 총 26건이며, 애플, 나이키 및 인텔에 각각 7건,

13 및 1건씩 양도된 것으로 확인됨

Page 21: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1

이슈페이퍼

04 associated methods Technology, LLC10 US09/784774 2001.02.15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ft time, speed, height and distance

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1 US09/784783 2001.02.15 Speedometer for a moving sportsman 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2 US09/089232 1998.06.02Sport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irtime, speed, power absorbed and other factors such as drop distance

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3 US09/886578 2001.06.21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nergy experienced by a user and associated with activity

PhatRat Technology, LLC APPLE INC

14 US09/353530 1999.07.14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ft time and speed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5 US11/221029 2005.09.07Sport performance systems for measuring athletic performance, and associated methods

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6 US10/921743 2004.08.19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erformance dataPhatRat Technology, LLC APPLE INC

17 US10/842947 2004.05.11 Systems for assessing athletic performance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8 US08/764758 1996.12.12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oft time and speed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19 US08/344485 1994.11.21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oft time and speed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20 US08/867083 1997.06.02Sport monitor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loft time, speed, power absorbed and other factors such as height

PhatRat Technology, LLC APPLE INC

21 US12/942857 2010.11.09System and method for non-wirelessly determining free-fall of a moving sportsman

PhatRat Technology, LLC INTEL CORP

22 US11/484199 2006.07.10Mobile GPS systems for providing location mapping and/or performance data

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23 US12/753658 2010.04.02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rop distance and speed of moving sportsmen involved in board sports

PhatRat Technology, LLCPhatRat Technology, LLC

24 US11/864748 2007.09.28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irtime using free fallPhatRat Technology, LLC

PhatRat Technology, LLC25 US11/434588 2006.05.15 Activ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PhatRat Technology, LLCPhatRat Technology, LLC

26 US10/289039 2002.11.06 Mobile speedomet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PhatRat Technology, LLC NIKE INC

Page 22: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2

이슈페이퍼

ISSUE & FOCUS on IP 22

이슈페이퍼

□ 피의자 침해품 ○ 운동 등과 같은 외부 활동 시 신체의 움직이나 진동뿐만 아니라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분석하는

기기이며, 시계, 운동화 및 헬멧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적용

Polar Electro Riddell Sports Group, Inc. Apple Timex

RS200RS200SDRS800SD

S1 Foot PodS2 Foot PodS-3 Foot Pod

S625X

Head Impact Telemetry System

Sideline Response System

iPod nanoNike + iPod Sports Kit

Forerunner 101Forerunner 201Forerunner 205Forerunner 301Forerunner 305

Timex Bodylink Trail Runner System and Timex Navman II

Speed and Distance Sensor

Timex GPS Bodylink System

Timex Ironman Triathalon Bodlylink

SystemTimex Speed + Distance

System

□ 소결 ○ Phatrat은 운동 모니터링 기술을 확보한 연구개발 기업으로 확인되며, 제품의 제조 및 판매 대신

보유 특허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소송하거나 매각하는 것을 수익원으로 함 ○ 애플과 나이키와의 관계에 있어서 공동으로 피소되거나 애플이나 나이키에 매각한 특허를 이용하여

소송을 제기하는 등 우호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됨

Page 23: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3

이슈페이퍼

(3) Abarta LLC 관련 특허소송 □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허소송 이력 ○ Abarta LLC(이하, ‘Abarta')는 2012년부터 2013년 사이에 Vuzix Corporation 등 가상현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관련 기업들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7224326호(이하, ’326 특허‘)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텍사스 동부지법에 8회 이상 특허 소송을 제기함

* 피소된 기업 중 Invensys Systems Inc는 Schneider Electric에 약 52억 - 56억 달러에 인수됨 ○ 판결에 앞서 조기에 소송이 종료된 것으로 볼 때, Abarta는 소송을 통한 라이센싱 등 수익화를 목적으

로 하는 NPE인 것으로 예상됨

No. 소제기일 관할법원 피고 계쟁 특허1 10/23/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Lincoln Electric Company 7,224,322 10/10/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Invensys Systems Inc 7,224,323 10/23/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Sensics Inc 7,224,324 03/26/2013 Eastern District of Texas Sensics Inc 7,224,325 10/19/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NaturalPoint Inc. 7,224,326 10/23/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Vuzix Corporation 7,224,327 10/17/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Mechdyne Corporation 7,224,328 10/16/2012 Eastern District of Texas EON Reality Inc 7,224,32

□ 본 사안 특허 ○ 326 특허는 방향 센서와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360° 시야각의 가상현실을 안경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내용으로 함 - 청구항 1은 높이 방향을 특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성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방법 청구항인 청구항

14는 한정적으로 해석될 구문이 없어 권리범위가 광범위한 것으로 판단됨

Page 24: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4

이슈페이퍼

청구항 1 청구항 141. A virtual reality (VR) system comprising: an image playback system having a storage device for

maintaining a plurality of images where each image has a field-of-view defining an X direction and a Y direction;

an image viewing device operatively communicating with said image playback system for displaying a portion of said plurality of images to a user;

a directional sensor operatively communicating with said playback system for defining a viewing direction of the user in both of said X and Y directions;

a forward and rearward moving device for defining a Z direction; and

a speed sensor operably connected to said moving device and operatively communicating with said playback system for providing a rate of change of said plurality of images in said Z direction;

said VR system characterized by said image playback system having a controller operatively connected to said storage device for simultaneously coordinating said X and Y directions of said directional sensor and said Z direction of said speed sensor such that said viewing direction and said rate of change are interlaced to automatically change said portion of said plurality of images displayed by said image viewing device in said X, Y, and Z directions when the user moves the directional sensor in at least one of the X and Y directions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moving device in the Z direction.

14. A method of operating a virtual reality (VR) system comprising:

maintaining a plurality of images where each image has a 360-degree field-of-view defining a X direction and a Y direction;

determining a viewing direction of a user in both of the X and Y directions; displaying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mages to the user; and

sensing a rate of change of the plurality of images moving in a Z direction;

the method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ly coordinating the X and Y directions and the Z direction and interlacing the viewing direction and the rate of change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plurality of images in the X, Y, and Z directions as the user changes the viewing direction in at least one of the X and Y directions and simultaneously moves in the Z direction.

Page 25: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5

이슈페이퍼

| 발명의 도면 |

○ Abarta는 소송종료 후 326 특허의 소유권을 세계적인 자산 운용사인 FORTRESS 그룹 계열사인 FORTRESS CREDIT에 이전함

□ 피의자 침해품 ○ 침해품 모두 사용자와 가상현실 간의 방향 및 속도를 측정하여 실감영상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적용

HMD 제품 또는 솔루션임| 피의자의 침해품 |

Page 26: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6

이슈페이퍼

No. 출원번호 출원일 발명의 명칭 출원인 최종 소유권자

1 US11/247049 2005.10.11System for detecting, monitoring, and reporting an individual's physiological or contextual status

BodyMedia, Inc.

ALIPHCOM INCMACGYVER ACQUISITION LLCALIPH INCBODYMEDIA INCPROJECT PARIS ACQUISITION LLC2 US09/595660 2000.06.16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상동 상동

3 US10/682759 2003.10.09Apparatus for detecting, receiving, deriving and displaying human physiolog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상동 상동

4 US09/923181 2001.08.06 Apparatus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상동 상동5 US10/227575 2002.08.22

Apparatus for detecting human physiolog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상동 상동6 US09/602537 2000.06.23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상동 상동

□ 소결 ○ Arbarta는 1건의 특허를 통해 소송 및 특허 매각 등 다양한 수익 활동을 함 ○ 8차례의 특허소송을 통해 무효화되지 않은 점, 대형 자산 운용사에 특허를 매각한 사실 등을 고려할

때, 해당 특허는 3차원의 가상현실을 HMD 등 안경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현하는 사업자에게 특허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됨

(4) BodyMedia Inc. v. Basis Science Inc. □ 사건 경위 ○ 본 사안은 BodyMedia, Inc (이하, ‘바디미디어’)이 2012년 2월 2일자로 Basis Science Inc.(이하.

‘베이시스’)의 “BASIS B1 Band"라는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6605038호 외 5건 (이하, ‘분쟁특허’)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에 제소했던 사안임

* 원천특허 및 기술력을 확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업 간의 최초의 소송으로 인식됨 □ 바디미디어의 특허소송 관련 특허 포트폴리오 ○ 바디미디어는 소송 당시 미국등록특허 163건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6건의 특허를 소송에 사용

Page 27: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7

이슈페이퍼

□ 소송 진행 중 인수합병 ○ 원고인 바디미디어는 2013년에 Jawbone이라는 브랜드로 널리 알려진 스마트 밴드 기업인 AliphCom

에 1억 달러 이상에 인수됨 * 시장조사기관인 ANAGARD의 2015년 보고에 따르면, Jawbone은 Wearable Fitness Tracker 시장에

서 Fibit에 이어 전체 시장의 19%를 점유하는 기업으로 기업가치가 약 30억 달러로 평가받고 있음 * 바디미디어 명의로 출원되거나 등록된 특허는 AliphCom을 비롯하여 MACGYVER

ACQUISITION LLC, ALIPH INC 및 ROJECT PARIS ACQUISITION LLC 등과 공동소유 ○ 피고인 베이시스는 2014년에 글로벌 기업인 Intel에 1억 5천만 달러에 인수됨 *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손목시계형 헬스 트래킹 웨어러블기기 ‘베이시스 헬스 트래커 워치(Basis

Health Tracker Watch)’로 유명한 ‘베이시스사이언스(Basis Science)’가 애플이나 구글, 삼성, 마이크로소프트사 등과 매각 협상을 하던 중 인텔이 1억 5000만 달러에 인수

□ 소결 ○ 본 소송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업 간 특허소송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업계 메이저플레이어와 글로벌

기업의 인수전으로 판결 전에 소송 종료된 사안임 ○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문 기업 인수를 통해 시장 진출을 도모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 ○ 다만, 웨어러블 시장 특히, Wearable Fitness Tracker 시장이 형성됨에 따라 시장 선점을 위한 특허소

송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음 (5) BodyMedia Inc. v. Basis Science Inc. □ 사건 경위 ○ Jawbone의 모회사인 Aliphcom, Inc.(이하, ‘Aliphcom’)은 2015년 5월 27일자로 샌프란시스코 고등법

원에 FITBIT FITBIT INCORPORATED(이하, ‘FITBIT')이 영업 기밀 절취 및 유출 혐의로 소송 제기 ○ AliphCom은 2015년 6월 10일자로 FITBIT의 “ZIP", "One", "Flex", "Charge", "Charge HR" 및 "Surge"

등 6개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8446275호 외 2건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북부 캘리포니아 지방법원에 제소

Page 28: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28

이슈페이퍼

○ 2015년 6월 18일자로 FITBIT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기업 공개(IPO) *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FITBIT은 첫날 거래에서 공모가격보다 48.4% 높은 금액에 거래를 마쳤

고, 시가총액은 60억 4천만 달러로 집계됨 ○ AliphCom은 2015년 7월 7일자로 영업비밀 절도 혐의가 있는 FITBIT 제품의 수입을 금지를 위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 ○ FITBIT은 2015년 9월 3일자로 AliphCom의 “The UP Move" 포함 9개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9031812호 외 2건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에 제소 ○ FITBIT은 2015년 9월 8일자로 AliphCom의 “The UP Move" 포함 9개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9026053호 외 2건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북부 캘리포니아 지방법원에 제소 ○ FITBIT은 2015년 10월 29일자로 AliphCom의 “The UP Move" 포함 9개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8868377호 외 2건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에 제소| 소송의 경과 |

□ Aliphcom 및 FITBIT의 출원현황 및 소송 특허 포트폴리오 ○ AliphCom은 FITBIT 대비 약 3배 이상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보유 특허의 우선일

측면에서도 14년 앞서 있음 * AliphCom은 대학 및 기업으로부터 지속적인 특허매입과 바디미디어 인수를 통해 원천특허 확보

및 특허 포트폴리오 강화

Page 29: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No. 출원번호 출원일 발명의 명칭 출원인 최종 소유권자

1 US11/247049 2005.10.11System for detecting, monitoring, and reporting an individual's physiological or contextual status

BodyMedia, Inc.

ALIPHCOM INCMACGYVER ACQUISITION LLCALIPH INCBODYMEDIA INCPROJECT PARIS ACQUISITION LLC

2 US10/940214 2004.09.13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body weight and other physi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iterative and personalized planning, intervention and reporting capability

BodyMedia, Inc. 상동

3 US13/454040 2012.04.23General health and wellnes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llness application using data from a data-capable band

AliphCom 상동

| Aliphcom 및 FITBIT의 출원현황 및 소송 특허 포트폴리오 |

○ AliphCom은 1건의 특허소송에 3건의 특허를 활용하고 있으며, FITBIT으로부터 피소된 3건의 특허소송에서 자사가 보유한 685건특허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반소(Counter Claim) 가능할 것으로 예상

Page 30: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30

이슈페이퍼

No. 출원번호 출원일 발명의 명칭 출원인 최종 소유권자

1 US14/154009 2014.01.13 Biometric monitoring device with heart rate measurement activated by a single user-gesture Fitbit, Inc. Fitbit, Inc.

2 US14/295144 2014.06.03 Wearable heart rate monitor Fitbit, Inc. Fitbit, Inc.

3 US14/076527 2013.11.11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Fitbit, Inc. Fitbit, Inc.

4 US14/165519 2014.01.27 Methods for detecting and recording physical activity of person Fitbit, Inc. Fitbit, Inc.

5 US14/228033 2014.03.27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pairing Fitbit, Inc. Fitbit, Inc.

6 US13/869670 2013.04.24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 device based on a record of physical activity Fitbit, Inc. Fitbit, Inc.

7 US14/271412 2014.05.06 Notifications on a user device based on activity detected by 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Fitbit, Inc. Fitbit, Inc.

8 US14/140208 2013.12.24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pairing Fitbit, Inc. Fitbit, Inc.

9 US13/769350 2013.02.17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pairing Fitbit, Inc. Fitbit, Inc.

○ FITBIT은 AliphCom의 초반 소송 공세와 특허적인 열쇠를 극복하기 위해 델라웨어와 북부 캘리포니아 지방법원에 동시 다발적인 특허 소송 제기

- FITBIT이 특허소송에 사용된 특허는 2013년도 이후에 출원된 센서와 연결 또는 이종 기기간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련 내용으로, 원천성을 확보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IPR에서 무효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 FITBIT이 특허소송에 사용된 특허 중 3건은 디스플레이를 필수 구성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AliphCom의 제품은 3개의 LED 점등을 통해 경고 등을 표시하는데 문언적인 의미의 디스플레이와 다소 상이하므로 비침해 주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Page 31: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31

이슈페이퍼

ISSUE & FOCUS on IP 31

이슈페이퍼

□ Aliphcom 및 FITBIT의 침해품 ○ FITBIT과 AliphCom은 악세서리를 제외한 상대방 제품 라인 전부를 대상으로 특허 침해를 주장하고

있음| Aliphcom 및 FITBIT의 침해품 |

□ 소결 ○ 본 소송은 Wearable Fitness Tracker 시장의 1, 2위 기업인 FITBIT과 AliphCom 간 전면적인 특허소송

으로 장기화 예상 ○ FITBIT은 AliphCom에 대한 특허 열위를 극복하기 위해 매출 증대와 기업공개(IPO)로 인한 외부

자금 유입을 통한 재무적인 안정성을 기반으로 AliphCom 특허의 무효화나 반소 등 역공을 위한 특허 매입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

○ AliphCom은 시장에서 열쇠를 극복하고, FITBIT이 벌어들인 수익을 손해배상으로 회수하기 위한 추가적인 특허 소송을 준비할 것으로 예상

Page 32: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No. 출원번호 출원일 발명의 명칭 출원인 최종 소유권자

1 US10/759289 2004.01.16Location-aware fitness training device,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that support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automated route generation

Bones In Motion, Inc. ADIDAS AG

2 US11/932154 2007.10.31Location-aware fitness training device,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that support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automated route generation

adidas AG ADIDAS AG

3 US11/857862 2007.09.19Location-aware fitness training device,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that support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automated route generation

adidas AG ADIDAS AG

4 US12/617985 2009.11.13 Systems and methods for a portable electronic journalCelume Development, LLC ADIDAS AG

5 US12/963307 2010.12.08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user during a physical activity adidas AG ADIDAS AG

6 US11/932202 2007.10.31Location-aware fitness training device,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that support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automated route generation

Adidas International, Inc.ADIDAS INTERNATIONAL BV

7 US13/081049 2011.04.06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 physical activity route adidas AG ADIDAS AG

(6) Adidas AG v. Under Armour Inc. et al □ 사건 경위 ○ 본 사안은 Adidas AG (이하, ‘아디다스’)가 2014년 2월 4일자로 Under Armour Incorporated(이하.

‘언더 아모르’)와 Mapmyfitness Incorporated(이하. ‘맵마이피트니스’)의 Armour39 등 19개 제품의 판매 등이 자사가 보유한 미국등록 제7292867 호 외 8건 (이하, ‘분쟁특허’)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에 제소했던 사안임

□ 아디다스의 특허소송 관련 특허 포트폴리오 ○ 아디다스가 언더 아모르 등에게 제소한 특허소송에 사용된 9건의 특허 중 4건은 매입을 통해

확보한 것으로 확인됨 - 미국등록 제7931562호와 제7905815호의 소유권은 TECHNIKKA CONEXION, LLC 명의로 이전됨

Page 33: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33

이슈페이퍼

8 US12/617936 2009.11.13 Mobile data logging systems and methods TECHNIKKA CONEXION, LLC9 US12/617809 2009.11.13 Personal data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TECHNIKKA CONEXION, LLC □ 피의자 침해품 ○ 아디다스는 언더 아모르의 Armour39 제품군과 맵마이피트니스의 제품군에 대해 특허소송 제기 * 언더 아모르는 2014년에 맵마이피트니스사를 1억 5천만 달러에 인수하였으며, 2015년에는 운동량

측정앱을 개발 및 운영하는 마이피트니스팔(MyFitnessPal)과 엔도몬도(Endomondo)를 5억 6천만 달러에 인수

* 아디다스는 2015년 피트니스 전문 앱 개발 업체인런타스틱(Runtastic)을 2억 2천만 유로에 인수 □ 소결 ○ 아디다스는 위성항법장치(GPS)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외부 기기와 무선 연결을

통해 위치정보와 생체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자사의 “miCoach”와 관련된 특허를 언더 아모르와 맵마이피트니스가 침해한다는 이유로 제소

| Aliphcom 및 FITBIT의 침해품 |

Armour39Armour39 chest strapArmour39 moduleArmour39 watchHeart Rate Monitor

MapMyDogwalk / MapMyDogwalk mobile applicationMapMyFitness / MapMyFitness+MapMyFitness Heart Rate MoniterMapMyFitness Heart Rate MonitorMapMyHike / MapMyHike+MapMyRide / MapMyRide+MapMyRun / MapMyRun+MapMyWalk / MapMyWalk+

Page 34: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34

이슈페이퍼

○ 아디다스와 언더 아모르는 헬쓰케어 앱 개발기업 인수를 통해 수직 계열화뿐만 아니라 앱 사용자 및 관련 정보를 확보하여 시장 진출을 노력하고 있음

○ 향후 시장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나이키 등과 같은 스포츠 용품 제조 및 판매 기업이나 팔찌나 시계 형태의 Wearable Fitness Tracker 관련 기업들과의 특허분쟁 예상

4. 요약 및 시사점 □ 요약 ○ 특허소송은 기업의 인수합병과 마찬가지로 막대한 법률비용과 패소 시 기업 이미지 훼손 등 다양한

기회비용이 발생되며, 특허소송의 상대방이 매출이 올려야 특허소송을 제기하는 자에게 수익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시장의 크기, 시장의 성숙도 등 해당 산업의 현황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 볼 수 있음

○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는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고 성장세가 둔화되는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에 진입하면서 다양한 대체제 중에 하나로 인식되면서 새로운 산업 창출에 대한 기대가 높은 분야이면서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있음

○ 파라곤 솔루션과 타이맥스 간 소송이나 Phatrat Technology 소송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2000년대 중반부터 제품이 상용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태동기나 도입기로 특허관리전문회사(NPE) 수익화 활동이 감지됨

- 특허관리전문회사들은 특허매입을 통해 다수의 기업에 특허소송을 제기한 후 법률비용이 가중되는 본안판결까지 진행하지 않고 라이선싱 등을 통해 조기 수익화 추진

- 또한 다수의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피고의 소송대응에 대한 집중력을 분산시키거나 비용 발생을 유발시켜 판결 전 화해를 유도하고 있음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 일반에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부터 기술 기반 기업, 시장 선도업체, 응용시장의 글로벌 기업들의 소송으로 확대되고 있음

- 웨어러블 다바이스 전문기업인 바디미디어와 베이시스 간의 특허 소송은 해당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특허 소송 관련 자금력이나 대응력이 낮았고, 결국은 소송 중에 AliphCom이라는

Page 35: [BLT] 사물인터넷과 지식재산(IP) 이슈_심층분석보고서_한국지식재산연구원

ISSUE & FOCUS on IP 35

이슈페이퍼

업계 선도업체 및 인텔과 같은 글로벌 기업에 인수됨 -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업의 기업공개(IPO)와 영업이익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2015년부터 시장 선도업

체인 FITBIT과 AliphCom 사이에 시장 선점 및 상대방의 수익을 회수하기 위한 전면적인 특허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함

- 기술력이 부족하지만 재무적으로 안정되거나 여유가 있는 응용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이 특허매입이나 기업인수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진입이나 경쟁사 견제의 목적으로 특허 소송 제기

○ Wearable Fitness Tracker 분야의 경우 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 대비 시장 성장이나 성숙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특허분쟁의 발생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시사점 ○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특허분쟁에서 사용된 특허들을 분석한 결과, 착용형 기기로 한정된 특허들

이 상당수 존재하지만 통신과 분석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외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 최근 특허분쟁에서 특허권의 권리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면서 신규 특허출원을 통한 특허 포트폴리오 보강 전략만으로는 특허 분쟁의 위험을 낮추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특허 매입과 기업인수를 통해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강한 AliphCom과 다소 늦게 신규 특허출원을 통해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는 FITBIT의 소송결과가 하나의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Wearable Fitness Tracker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시계나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유사한 유형의 특허분쟁이 예상됨

* 시장조사기관인 Frost&Sullivan이 2015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점유율은 Smartband가 60.9%를 차지하고 있지만, 2020년에는 Smartwatch가 Smartband(27.3%)의 두배에 달하는 5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 다만, 시계나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 대부분이 애플, 삼성 등과 같은 스마트폰 분야의 특허분쟁을 경험했던 거대 IT 기업인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특허 분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