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원가관리회계의 개념 -...

Preview:

Citation preview

제1장. 원가관리회계의 개념

관리회계: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박창헌 교수

1

학습 주제

•제1절 회계의 의의 및 분류 - 회계의 의의/ 회계의 분류/ 원가회계 •제2절 원가관리회계 - 의의/ 원가관리회계의 내용 •제3절 상기업과 제조기업의 비교 - 경영활동 측면/ 원가의 흐름/ 재고자산의 형태 - 매출원가 계산/ 손익계산서 양식/ 제조원가명세서

2

1. 회계의 의의 및 분류

•회계의 의의 회계란, 정보이용자가 적절한 판단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하도록 기업실체의 경제적 정보를 화폐단위로 측정•기록하고 요약하여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 •회계의 분류

3

회계의 의의 및 분류

4

2. 원가관리회계

•원가관리회계의 의의 원가관리회계는 원가회계와 관리회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외부보고용 재무제표의 작성을 위한 제품원가계산과 경영자가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수립(의사결정)과 통제(성과평가)에 유용한 경제적 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를 말함 •내용

5

2.1 제품원가계산

•생산 형태 또는 원가를 집계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6

제품원가계산

•원가 측정 시점에 따른 분류

7

제품원가계산

•제품원가의 범위에 따른 분류

8

2.2 계획과 통제

•계획(planning) - 기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대안의 결과를 예측하고 원하는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 의사결정의 결과가 영향을 미치는 기간에 따라 단기적 의사결정/장기적 의사결정으로 나뉨

9

계획과 통제

•통제(control) - 기업이 수립한 계획을 관리자가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성과 평가)하고, 계획과 다른 중대한 차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경영자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하는 것

10

3. 상기업과 제조기업의 비교

11

재고자산의 형태 (부분재무상태표)

12

손익계산서 양식

원가관리회계

본 강의안은 『원가관리회계 』(임세진, 2014, 제4판, 도서출판파란) 교재에 기초한 교육 목적용 강의를 위하여 마련된 것입니다. 위 교재의 구매와 사용을 전제로 한 강의 학습용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을 금합니다.

!

제 2장. 원가의 개념과 분류

관리회계: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박창헌 교수

1

학습 주제

• 제1절 원가의 개념 - 서론/ 원가 • 제2절 원가의 분류 - 제조활동에 따른 분류 : 제조원가 vs 비제조원가

- 자산화 여부에 따른 분류: 제품원가 vs 기간원가

-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직접원가 vs 간접원가

- 원가 행태에 따른 구분: 변동원가, 고정원가, 준변동원가, 준고정원가

- 관점에 따른 원가분류의 상호연결 - 통제가능성에 따른 분류: 통제가능원가 vs 통제불능원가

- 의사결정과 관련된 분류: 관련원가 vs 비관련원가; 매몰원가/기회비용 등

-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역사적 원가 vs 미래 원가

- 경제적 효익의 소멸 여부에 따른 분류: 미소멸원가 vs 소멸원가

- 가치사슬에 따른 분류: 연구개발원가, 디자인원가, 제조원가, 마케팅원가, 유통원가, 고객서비스원가

2

APPLE은 원가 얼마짜리 아이폰을 얼마에 팔아서 얼마나 이익을 남기는 걸까?

http://www.macrumors.com/2014/10/23/foxconn-iphone-display-plant/

3

1. 원가의 개념

• 원가(cost)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상태에서 소비된 재화나 용역과 같은 경제적 자원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을 말함.

4

2. 원가의 분류

•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사용되는 원가도 달라짐.(different costs for different purposes) → 따라서 경영자는 특정 목적과 관련된 원가가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원가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원가의 분류가 필요함.

5

2.0 발생형태에 따른 분류: 재료비, 노무비, 경비

• 무엇을 소비하느냐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그 발생형태에 따라 크게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세 가지로 나뉨.

6

2.1 제조활동에 따른 분류: 제조원가 vs 비제조원가

• 제조원가: 제조활동에서 발생되는 원가 또는 제품제조에 소비되거나 공헌하는 원가를 제조원가라고 함.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제조원가 3요소라고 함. (도움 키워드: 공장!)

• 비제조원가: 기업의 제조활동과 관계없이 발생되는 원가. 예: 판관비.

7

2.2 자산화 여부에 따른 분류: 제품원가 vs 기간원가

• 제품원가(product cost): 제품원가계산에 반영해야 하는 원가로 재고자산에 할당되는 모든 원가를 말함. aka 재고가능원가(inventoriable cost)

• → 제품원가는 재고자산으로 계상된 후 제품이 판매될 때 매출원가(cost of goods sold)로 대체되어 비용 처리됨.

8

자산화 여부에 따른 분류: 제품원가 vs 기간원가

• 기간원가(period cost): 기간원가는 제품 생산과 관련 없이 발생되기 때문에 항상 발생된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되는 원가를 말함. 재고자산의 원가를 구성하지 못하므로 재고불능원가(noninventoriable cost)라고도 함.

• →기간비용은 발생된 기간에만 수익의 창출에 기여하고 차기 이후에는 더 이상 수익의 창출에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된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함. 매출원가를 제외하고 손익계산서에 기록되는 비용이 기간원가임.

9

• 제품원가와 기간원가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상의 표시

자산화 여부에 따른 분류: 제품원가 vs 기간원가

10

예제1_제품원가와 기간원가의 비용처리 시기

11

예제1_제품원가와 기간원가의 비용처리 시기

12

(tip) 제품원가와 제품원가의 관계

13

2.3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직접원가 vs 간접원가

• 직접원가(direct cost) 직접원가란, 특정 원가대상에서 개별적으로 소비한 원가로서 특정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할 수 있는 원가를 말함. • 원가대상(cost object)원은 제품 또는 서비스, 프로젝트, 활동, 부문이나

제조공정 등과 같이 원가를 집계하는 대상으로, 원가계산대상 또는 원가집계대상이라고도 표현하며, 경영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

14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직접원가 vs 간접원가

• 간접원가(indirect cost) 간접원가란 여러 원가대상에서 소비한 원가로서 특정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할 수 없는 원가, 추적할 수 있더라도 추적하는 것이 비경제적인 원가를 말함. → 간접원가는 특정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할 수 없으므로 간접원가를 발생시키거나 간접원가의 변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배분기준으로 선정하여 특정 원가대상에 배분함.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