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ufs/parkjinwoo/3.pdf투자안...

Preview:

Citation preview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회수기간법

현재 100억원을 투자하면, 1년 후 40억원, 2년 후 40억

원, 3년 후 30억원, 4년 후 20억원의 현금유입이 예상

되는 투자안이 있다. 이때 회수기간법에 따라 투자원금

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계산하고, 이와 같이 회

수기간법에 의해 투자안을 평가할 경우 무엇인지 설명

하시오.

Question

1) 회수기간법이란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계산하여

짧을수록 좋은 투자안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예) 5억원을 투자하여 첫 해와 둘째 해 각각 2억원, 셋째 해 3억원의 현금유입이 예상되는

투자안의 회수기간은 얼마인가?

5억원의 투자원금 중 처음 2년간 4억원을 회수하고 남은 1억원은 3년째 3억원 중에서

회수되므로 회수기간은 2와 1/3년이 된다.

2) 회수기간법은 계산이 간편하고 회수기간이 짧은 투자안을 선택함으

로써 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장점이 있으나, 현금흐름의 시간가

치와 회수기간 이후의 현금흐름을 무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회수기간법

Answer

100억원의 투자 원금 중 첫 해 40억원, 둘째 해 40억원으로 처

음 2년간 80억원을 회수하고 남은 20억원은 3년째 유입되는

현금흐름 30억원의 2/3에 해당되므로 회수기간은 2와 2/3년

이 됩니다.

이러한 회수기간법은 계산이 간편하고, 회수기간이 짧은 투자

안을 선택함으로써 투자의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고

기업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회수기간법은 현금흐름의 시간가치와 회수기간 이후의 현금흐

름을 무시한다는 단점이 있고 목표회수기간의 선정이 임의적

이며 연구개발투자와 같은 장기 투자안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회수기간법

현재 100억원을 투자하면, 1년 후 40억원, 2년 후 40

억원, 3년 후 30억원, 4년 후 20억원의 현금유입이 예

상되는 투자안이 있다. 자본비용이 12%라고 가정하고

순현가법에 의해 이 투자안의 순현가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투자안의 경제성을 평가하시오.

Question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순현가법 및 수익성 지수법

1) 순현가(not present value : NPV) 란 투자안으로부터 예상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에서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값으로

다음과 같이 구한다.

NPV = ∑ - I0

CFt

(1+k)t

n

t=1

단, CFt = 투자수명 기간별 현금흐름

I0 = 초기투자액

k = 할인률(자본비용)

예) 5억원을 투자하여 첫 해와 둘째 해 각각 2억원, 셋째 해 3억원의 현금유입이 예상되는

투자안의 순현가는 얼마인가? 단, 자본비용은 12%이다.

(1+0.12)2

2억원

(1+0.12) +

2억원

(1+0.12)3 +

3억원 = 5,154만원 - 5억원 +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순현가법 및 수익성 지수법

2) 순현가(NPV)는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가 얼마만큼 변화하는가를

금액으로 보여준다.

예) 위의 예에서 구한 순현가, 즉 5,154만원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12%의 자본비용으로 조달한 5억원을 투자하여 예상대로 첫 해와 둘째 해 각각 2억원,

셋째 해 3억원의 현금유입이 발생한다면 이 기업의 가치가 5,154만원 증가할 것이다.

3) 순현가법에 의하면, 순현가가 양(+)이면 투자안을 채택하고 순현

가가 음(-)이면 투자안을 기각한다.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순현가법 및 수익성 지수법

4) 순현가의 유사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현금 유입의 현재가치를 현

금유출의 현재가치로 나누어 구하는 수익성 지수(profitability

index : PI)가 있다.

5) 수익성 지수(PI)는 단위 투자액당 투자가치를 의미하며 PI가 1보다

크면 NPV가 양(+)이므로 투자안을 채택한다.

PI =

CFt

(1+k)t

n

t=1

I0

예) 5억원을 투자하여 첫 해와 둘째 해 각각 2억원, 셋째 해 3억원의 현금유입이 예상되는

투자안의 수익성 지수는 얼마인가? 단, 자본비용은 12%이다.

(1+0.12)2

2

(1+0.12) +

2

(1+0.12)3 +

3

= 1.1

5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순현가법 및 수익성 지수법

Answer

12%의 자본비용을 할인률로 사용하여 매년 예상되는 현금유

입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고 그 값에서 초기투자비용 100억원을

차감하여 다음과 같이 순현가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 투자안을 채택할 경우 예상대로라면 기업가치가 1억

6,658만원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투자안을 채택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1+0.12)2

40억원

(1+0.12) +

40억원

(1+0.12)3 +

30억원 - 100억원

(1+0.12)4 +

20억원

= 1억 6,658만원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순현가법 및 수익성 지수법

현재 100억원을 투자하면, 1년 후 40억원, 2년 후 40

억원, 3년 후 30억원, 4년 후 20억원의 현금유입이 예

상되는 투자안이 있다. 이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을 계산

하고, 자본비용이 12%라고 가정하여 투자안의 경제성

을 평가하시오.

Question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내부수익률(IRR)법

1)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 IRR)은 투자안의 미래 현금유

입의 현재가치를 현금유출의 현재가치와 같게 만드는 할인률로서

다음과 같이 구한다.

CFt

(1+k)t

n

t=1

∑ = I0 => r = IRR

예) 5억원을 투자하여 첫 해와 둘째 해 각각 2억원, 셋째 해 3억원의 현금유입이 예상되는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은 얼마인가?

(1+r)2

2

(1+r) +

2

(1+r)3 +

3 = 5

=> r=0.175, 즉 17.5%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내부수익률(IRR)법

2) 내부수익률은 투자안의 내용년수 동안 기대되는 연평균 투자수익률

을 의미한다.

예) 위의 예에서 구한 내부수익률, 즉 17.5%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5억원을 투자하여 첫 해 2억원, 둘째 해 2억원, 셋째 해 3억원의 현금유입이 발생하면

이 투자안의 연평균 투자수익률은 17.5%이다.

3) 내부수익률법에 의하면, 내부수익률이 자본비용보다 크면 즉, 초과

이익이 발생하면 투자안을 채택하고 자본비용보다 작으면 기각한다.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내부수익률(IRR)법

Answer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투자안으로부터 예상되는 미래현금유입의

현재가치와 현재 소요되는 투자액 100억원을 같게 만드는 할인률을

계산합니다.

이렇게 구한 12.88%가 이 투자안의 내부수익률이 되고 투자에 소요

되는 자금의 조달비용을 가리키는 자본비용은 12%이므로 이 투자안

을 채택하게 되면 연 0.88% 만큼의 초과수익을 올릴 수 있어 투자안

을 채택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1+r)2

40억원

(1+r) +

40억원

(1+r)3 +

30억원

(1+r)4 +

20억원 = 100억원

=> r = 0.1288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내부수익률(IRR)법

1) 투자안 평가자료로 사용된 매출액, 매출원가, 영업비용, 감가상각비,

내용년수, 자본비용 등이 예상과 달라짐으로 인해 투자안의 불확실

성이 발생한다.

2) 투자안 평가에서 위험을 고려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위험 프리미엄

을 자본비용에 포함시켜 할인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3)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의 불확실성에 따라 투자안의 경

제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는 방법이 실무적으로 많이 사

용된다.

• 시나리오 분석 : 최상과 최악을 포함한 몇 가지 가능성을 분석

• 민감도 분석 : 다른 변수들을 고정하고 특정변수만 변화시키는 분석

• 시뮬레이션 : 각각의 주요 변수에 대해 설정한 확률분포로부터 무수한

경우의 수를 추출하여 분석

투자안 경제성 분석기법 – 전략적 고려 사항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