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단어부류 전통주의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ufs/junghwanseung/8.pdf ·...

Preview:

Citation preview

정 환 승

태국어통번역학과 교수

제 10주차 단어부류: 전통주의

어머니는….. 집안의 천사. 자식들이 말 안 듣고 고집 피울 때는 마녀. 세상에서 음식을 가장 맛있게 만드는 사람. 우리에게 사랑을 가르쳐주는 사람 그리고 언제나 우리 곁에 있는 사람.

2

통사론

• 통사론은 단어나 형태소가 어떻게 결합하고 배열하여 문장을 이루는가를 연구하는 문법

의 또 다른 한 분야이다.

• 따라서 통사론에서는 단어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원리와 규칙을 밝혀내고 문장의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라고 말할 수 있다.

• 태국어의 단어 부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문장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해보기로 한다.

• 또 문장을 이루는 구와 절의 종류와 결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3

단어 부류 (word class)

• สดุาไปตลาดซือ้ของแตเ่ชา้ 쑤다는 아침 일찍 시장에 가서 물건을 샀다.

• 위의 문장에서 สดุา 는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고 ตลาด이나 ของ은 사물의 이름을 표시한다.

• 이들이 가리키는 대상은 다르지만 사물의 이름을 표시한다는 공통된 성격을 가지고 있다.

• 이에 비해 ไป와 ซือ้는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แตเ่ชา้는 앞에 있는 다른 성분

의 의미를 한정해주고 있어 앞의 두 부류와는 또 다른 성격을 띠고 있다.

• 이와 같이 성질이 공통된 단어끼리 모아 놓은 단어의 갈래를 품사라고 한다.

4

전통주의 문법에 따른 품사 분류

• 전통주의 문법은 그리스 시대부터 출발하여 18세기에 이르기까지 발달한 문법이론으로 주관적인 판단과 심리적인 해석에 의존한다.

• 따라서 언어사용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규범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 이러한 문법이론을 바탕으로 태국어의 품사를 분류하는 경우에는 단어의 의미와 기능이 기준이 된다.

• 프라야웁빠낏씬라빠산(พระยาอปุกติศลิปสาร)과 같은 전통주의 문법학자들은 태국어의 품사를 명사, 대명사, 동사, 수식사, 전치사, 접속사 그리고 감탄사 등의 일곱 가지로 나누고 있다.

5

1. 명사

• 명사는 사람이나 동물, 처소, 사물, 추상적인 사상 따위의 이름 또는 상태나

동작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다.

• 이러한 명사들은 일반적으로 문장안에서 주어나 목적어의 기능을 한다.

• 태국어의 명사는 의미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6

(1) 일반명사

• 일반명사는 실체성 명사와 비실체성 명사로 나눌 수 있다.

• 실체성 명사는 동물과 식물 그리고 사물 등의 이름과 같은 것들로 의미적인

측면에서 동작성이나 상태성의 개념이 없다.

• 이에 비해 비실체성 명사는 형태가 없는 사건이나 사태 또는 성질이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말로 의미적인 측면에서 동작성이나 상태성을 지니고 있다.

7

1) 실체성 명사

① 시간 명사

• เชา้ เย็น วนั คนื วนัอาทติย ์

• 아침 저녁 낮 밤 일요일

• เมือ่วาน พรุง่นี ้ วนัเกดิ สปัดาห ์ เมษายน

어제 내일 생일 주 4월

8

② 처소 명사

• สนามกฬีา สวนหยอ่ม ถนน นา บา้น

• 운동장 정원 길 논 집

• ทีท่ างาน ทะเล ภเูขา ขา้งหนา้ ขา้งหลงั

• 일터 바다 산 앞쪽 뒤쪽

9

③ 기타

[사람]

• ผูช้าย ผูห้ญงิ เด็ก นักเรยีน เจา้หนา้ที ่

• 남자 여자 아이 학생 담당자

10

[동물] เสอื ควาย วัว ไก ่ เป็ด

• 호랑이 물소 소 닭 오리

[식물] กลว้ย สบัปะรด ผัก มะพรา้ว ตน้หอม

• 바나나 파인애플 채소 야자 파

[물체/물질] โตะ๊ หนังสอื รถ ดนิ อากาศ

• 탁자 책 차 땅 공기

11

2) 비실체성 명사

① 동작성 비실체성 명사: 동작성 동사 앞에 접두어 การ-을 붙여

서 만든다.

• เดนิ → การเดนิ วิง่ → การวิง่

• 걷다 걷기 달리다 달리기

12

• กนิ → การกนิ เกดิ → การเกดิ

• 먹다 먹기 발생하다 발생

• นอน → การนอน พดู → การพดู

• 눕다 눕기 말하다 말하기

13

② 상태성 비실체성 명사: 상태성 동사 앞에 접두어 ความ-을 붙여서 만

든다.

• รัก → ความรัก ตาย → ความตาย

• 사랑하다 사랑 죽다 죽음

14

• งาม → ความงาม เจรญิ → ความเจรญิ

• 아름답다 아름다움 발전하다 발전

• พยายาม → ความพยายาม เสือ่ม → ความเสือ่ม

• 노력하다 노력 쇠퇴하다 쇠퇴

15

(2) 고유명사

• สมชาย เป็นผูจั้ดการของบรษัิท เกาหล ี

쏨차이는 한국회사의 지배인이다.

• กรงุเทพฯ เป็นเมอืงหลวงของประเทศ ไทย

방콕은 태국의 수도이다.

• วดัชา้งไห ้ เป็นวดัทีอ่ยูใ่นจังหวดั ยะลา

왓창하이는 얄라현에 있는 사원이다.

16

(3) 집합명사

• 집합명사는 사람이나 동물 또는 사물 등이 여럿이 모여 떼지어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 ฝงู นกบนิไปบนิมาในอากาศ 새떼가 공중을 날아다니고 있다.

• กอง ทหารเดนิขบวนทีส่นามฝึกทหาร 군인들이 연병장에서 행진을 한다.

• โขลง ชา้งเดนิเขา้ป่า 코끼리떼가 숲으로 걸어 들어간다.

17

*때로는 단체나 기구 등을 가리키는 일반 명사가 그 구성원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일반 명사가 집합명사가 되기도 한다.

• มหาวทิยาลัย จะเปิดรับนักศกึษาใหม ่

• 대학에서 신입생을 뽑을 것이다.

• ประเทศเกาหล ี ยนิดตีอ้นรับทา่น

• 한국은 당신을 기꺼이 환영합니다.

• คณะสงฆ ์ เดนิทางไปลังกา

• 승려단이 스리랑카로 간다.

18

(4) 형태사

• มพีระ 3 รปู มาบณิฑบาต

• 스님 세 분이 탁발을 오셨다.

• แมซ่ือ้ผา้ 2 หลา มาจากตลาด

• 어머니는 시장에서 천 두 마를 사오셨다.

• นก ฝงู หนึง่ลงกนิขา้วในนา แปลง หนึง่

• 새떼가 논 한 필지에 내려와 벼를 먹는다.

19

형태사의 형상명사의 기능

• (รถ) คนั นีใ้หญม่าก

• 이 차는 매우 크다.

• (เด็ก) คน นี ้น่ารักจัง

• 이 아이는 매우 귀엽다.

• (หนังสอื) เลม่ นี ้แพงหน่อย • 이 책은 좀 비싸다.

20

2. 대명사

• 대명사는 명사 또는 명사구가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이미 알

려졌을 경우에 그것을 되풀이 하지 않고 대신에 간편하게 가

리키는 어휘 범주이다.

• 태국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나뉘어 진다.

21

• 인칭 대상 보기

• 1인칭 말하는 사람 ผม ดฉัิน ฉัน หนู เรา

• 2인칭 듣는 사람 คณุ ทา่น เธอ แก

• 3인칭 다른 사람 เขา เธอ ทา่น แก มนั

22

• 관계 대명사 3인칭 ที ่ อนั ซึง่ ผู ้

• 분할 대명사 3인칭 ตา่ง บา้ง

• 부정칭 대명사 3인칭 ใคร เมือ่ไร อะไร ผูใ้ด

• 의문 대명사 3인칭 ใคร เมือ่ไร อะไร ผูใ้ด

23

(1) 인칭 대명사

1) 1인칭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 또는 글쓰는사람

을 가리키는 말로 ผม ดฉัิน ฉัน หนู เรา ขา้พเจา้

อาตมภาพ 등이 있다.

24

2) 2인칭 대명사는 듣는 사람 또는 읽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คณุ ทา่น เธอ แก ใตเ้ทา้ โยม ฝ่าพระบาท ใตฝ่้าพระบาท ใต ้

ฝ่าละอองธลุพีระบาท 등이 있다.

3) 3인칭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제외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말로 เขา เธอ ทา่น แก ใคร 등과 같은 사

람 대명사와 มัน อะไร 등과 같은 사물 대명사가 있다.

25

(2) 관계 대명사: 앞에 있는 명사나 대명사 대신 사용하는 말로 ที ่ อนั ซึง่ ผู ้등이 있다.

• คน ที ่เป็นครตูอ้งมคีวามอดทน

• 선생님인 사람은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 เขาชือ้ทีด่นิ อนั รกรา้งวา่งเปลา่

• 그는 황무지를 샀다.

26

• ประธานาธบิดคีมิ ซึง่ ไดรั้บเชญิจากรัฐบาลไทยเดนิทางไปกรงุเทพฯ

• 태국 정부의 초청을 받은 김대통령은 방콕으로 갔다.

• เธอ ผู ้มคีวามปรารถนาดตีอ่ทกุคนเสยีชวีติแลว้

• 모든 사람에게 기대를 걸었던 그녀가 죽었다.

27

(3) 분할 대명사: 한 무리에서 떨어져 나오는 일부

를 가리키는 말로 ต่าง บา้ง กนั 등이 있다.

• นักแสดง ตา่ง ก็แสดงบทบาทของตน

• 배우들은 각자 자기의 배역을 연기한다.

• คนเรา บา้ง ก็ เกดิมาเป็นคนรวย บา้ง ก็ เกดิมาเป็นคนยากจน

• 사람은 어떤 이는 부자로 태어나기도 하고 어떤 이는 빈자로

태어나기도 한다.

28

• ชาวสวนชาวนาต ีกนั

• 과수원 하는 사람들과 논농사 짓는 사람들이 싸운다.

29

(4) 부정칭 대명사: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어떤 대상을 부정확하게 가리키는 말로 ใคร อะไร ไหน เมือ่ไร ผูใ้ด 등이 있다.

• ใคร จะมาชว่ยงานของฉัน

• 누가 와서 내 일을 좀 도와 줄래?

• ดืม่ อะไร กอ่นดไีหม

• 뭘 좀 먼저 마실까요?

30

• ไป เมือ่ไร ก็ได ้ ส าหรับผมไมม่ปัีญหา • 언제 가도 좋아요. 저는 문제 없어요.

• ทีไ่หน ๆ ฉันก็อยูไ่ด ้ • 나는 어디든 있을 수 있어요.

• ฉันไมอ่ยากพึง่ผูห้นึง่ ผูใ้ด • 나는 어느 한 사람에게 의존하고 싶지 않아요.

31

(5) 의문 대명사는 의문 내용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 대신에 사용하는 말로서 의문의 초점이 된다.

• ใคร อยูใ่นหอ้ง

• 누가 방안에 있어요?

• เราไปกรงุเทพฯ กนั เมือ่ไร

• 우리 언제 방콕에 가지요?

32

• คณุจะทาน อะไร

• 당신은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 ไหน เป็นบา้นของทา่น

• 어느 것이 당신의 집이지요?

33

3. 동사

• 동사는 명사 또는 대명사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주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말로서 문장의 서술 기능을 맡는 어휘 범주이다.

• 태국어의 동사에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나뉘어 진다.

34

(1) 자동사: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이다.

• พอ่ น่ัง บนเตยีง

• 아버지는 침대위에 앉으셨다.

• ทหาร เดนิ เป็นแถว

• 군인이 열을 지어 걷는다.

• คร ูยนื อยูใ่นหอ้ง

• 선생님이 교실안에 서 계시다.

35

(2) 타동사: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 แม ่ท า กบัขา้ว • 어머니가 반찬을 만드신다.

• ตุก๊ อา่น หนังสอืพมิพ ์ • 뚝은 신문을 읽는다.

• คณุลงุ ตัด ตน้ไม ้ • 아저씨가 벌목을 하신다.

36

(3) 지정사: 주어와 보어를 연결해주는 동사

• คณุอา เป็น ทนายความ • 삼촌은 변호사이다.

• เมอืงหลวงของประเทศไทย คอื กรงุเทพฯ • 태국의 수도는 방콕이다.

• เขาถกูลงโทษ เสมอืน เป็นนักโทษฆา่คน • 그는 살인범과 같은 중벌을 받았다.

37

(4) 조동사: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하여 시제나 상, 서법 등의 문법 범주를 나타내주는 동사

• เขา ก าลัง ท างาน อยู ่ • 그는 일하고 있는 중이다.

• ทา่น จง เชือ่ฉัน • 당신은 나를 믿으십시오.

• เรา เคย ไปเทีย่วภเูก็ต • 우리는 푸껫에 놀러 간 적이 있다.

38

(5) 동명사: 명사류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동사이다.

• ฉัน ชอบ ด ูภาพยนตร ์ • 나는 영화보기를 좋아한다.

• นอน มปีระโยชนต์อ่รา่งกาย • 눕는 것은 몸에 이롭다.

• ฉันชอบ ไปนอน ทีบ่า้นตา • 나는 외가에 가서 자는 것을 좋아한다.

39

4. 수식사

• 수식사는 명사, 대명사, 동사, 그리고 수식사 등

을 수식하여 그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나타내주

는 기능을 한다.

40

(1) 명사를 한정하는 경우

• คน ด ี ยอ่มไดด้ตีอบสนอง

• 선한 자는 복을 받기 마련이다.

• คน ขยัน ยอ่มมคีวามเจรญิกา้วหนา้

• 부지런한 사람은 발전하기 마련이다.

41

(2) 대명사를 한정하는 경우

• ทา่น ทัง้หลายทีม่ารว่มงาน ขอเชญิเขา้หอ้งประชมุ

• 행사에 참석하신 분은 회의실 안으로 입장해주세요.

• ของ ทัง้หมดตอ้งขายภายในวันนี ้

• (이) 물건 모두를 오늘 안에 팔아야 한다.

42

(3) 동사를 한정하는 경우

• เด็กคนนี ้ รอ้งเพลง เกง่

• 이 아이는 노래를 잘 부른다.

• วันนี ้ เขามา สาย

• 그는 오늘 늦게 왔다.

43

(4) 수식사를 한정하는 경우

• คนเกาหลรัีบประทานอาหาร จ ุมาก

• 한국 사람은 식사를 많이 한다.

• เขารักนอ้งมาก เหลอืเกนิ

• 그는 너무 동생을 사랑한다.

44

감사합니다

45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