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 월 일 요일 한전新전선도입 전선업계 온도차 -...

Preview:

Citation preview

1964년 5월 18일 창간 주2회 구독∙광고접수 (02)3219-0643 2015년 10월 1일목요일electimes 제3136호

한국전력이 기존 전선보다 송전 용

량을 늘린 新전선 도입을 추진키로 발

표한 데 해 전선제조업계가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본지9월17일자1면보도

9월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현

재 국내 가공송전선의 부분을 차지

하는 ACSR(강심알루미늄연선)의 단

점을 보완하고 1990년 중반부터 도

입한 STACIR(고강도 초내열인바심

알루미늄합금연선)의 단가 상승을 극

복하기 위해 신전선 도입을 적극 추진

하고 있다.

이에 해 전선 제조업계에선‘소재

독점’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는 반면,

가공선 포화상태에서 신전선 도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한전 계통계획처는 신전선 시범도

입을 위해 ▲CTC(美)社의 ACCC ▲

머큐리(美)社의 HVCRC ▲3M(美)社

의 ACCR ▲ 메 탈 링 크 (韓 )社 의

ACMR 등 4종의 전선을 선정하고,

154kV 선종교체 상 선로 중 400m

이내의 내장 1경간을 선정해 시범 운

할 계획이다.

이중 LS전선은 머큐리와, 한전선

은 CTC와 함께 신전선 연구개발에 참

여해왔다.

이에 해 전선업계 한 전문가는

“저이도(처짐) 증용량 전선은 소재가

가장 핵심인데, 시범 적용 후 어느 전

선을 선택하더라도 소재를 독점하는

구조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신전선이 ACSR 체용인지,

STACIR 체용인지도 명확하지 않

다”면서“ 부분 업체 입장에선 기존

ACSR 체제를 유지하는 게 가장 유리

하다”고 덧붙 다.

부분 업체가 소재 독점을 우려하

는 배경에는 과거 STACIR의 경우 소

재 개발업체 두 곳을 포함해 현재 소

수 기업들만 생산을 독점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한 전 선 기 업 의 임 원 은

“STACIR는 소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중소∙중견기업을 비롯한 다

수 기업이 생산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일종의 차별을 받아왔다”면서“한전

이 도입하려는 신전선 역시 과거의 전

철을 되풀이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신규 송전선로 확보가 어려운

현실에서 설비 증설 없이 기존 철탑을

활용해 두 배의 전력송전이 가능한 신

전선 도입은 거스를 수 없는 세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이와 관련 신전선 개발에 참여했던

한 기업 관계자는“STACIR은 소

재 공급업체가 소수라서가 아니라 열

처리 등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기 때

문에 부분의 업체가 생산을 못하는

것”이라며“신규 선로건설이 어려운

우리나라 실정을 감안할 때, 기존전선

을 체하는 것만으로 송전용량을 늘

리는 방법이 있다면 당연히 그쪽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전의 연간 ACSR 구매 물량

은 ACSR/AW(알루미늄피복강심 알

루미늄연선)을 포함해 약 400억원 수

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LS전선과 한전선, 가온전선, 일

진전기 등 4개 업체가 생산하는 HI-

STACIR는 연간 100억원 미만이다.

한전은 신전선 4종을 실계통에 시범

적용, 시공성과 경제성 등을 종합평가

한 후 확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송세준기자<21ssj@>

지난 4월 출범한 전기∙에너

지∙자원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의 사업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더

나은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기∙에너지∙자원산업 인적자

원개발위원회는 지난 9월 23일 서

울 마포구 소재 스탠포드호텔에서

‘전기∙에너지∙자원산업 인적자

원개발위원회 제2차 정기회의’를

열었다. ▶관련기사14면

이날 자리에는 전기∙에너지∙

자원산업 인자위 표기관인 한국

전기공사협회를 필두로 전기∙에

너지∙자원분야 13개 협∙단체와

15개 기업, 노동계 2개 단체가 자리

를 함께 했다.

위원들은 자원분야 기업 위원 보

강을 위한‘인적자원개발위원회

위원 해촉∙위촉의 건’과 인자위

사업 보완 및 정책 변경에 따른‘인

적자원개발위원회 사업계획 변경

의 건’등 2개의 부의의안을 상정,

의결했다.

지난 5개월 동안 추진해 온 사업

과 성과들을 차례로 소개하는 시간

도 가졌다.

전기∙에너지∙자원산업 인자위

의 성공적인 사업 수행과 원활한

활동을 도모하기 위한 의견 교환의

순서도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사무국에서 전기∙에

너지∙자원산업의 특성을 살려 여

타 부문과 차별화되는‘일학습병행

제’모델을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

다. 정부가 제시한 정책적인 구상과

더불어 전기∙에너지∙자원 분야만

의 특성을 극 화 한 인재 발굴 노력

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일학습병행제에 한 홍보가 부

족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중소기업이 부분인 업계의 특

성을 반 해 2년 이내 재직자를

상으로 하는 일학습병행제의 범위

도 5년 정도까지 넓혀야 한다는 의

견도 많은 공감을 얻었다.

보다 체계적인 사업 및 교육을

위해서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할

훈련교사들의 자질을 검증하고, 양

질의 교사인력 풀(pool)을 확보하

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장철호 전기∙에너지∙자원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위원장은“4

월 공식 출범한 전기∙에너지∙자

원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각

참여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

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해가고 있

다”면서“사업초기인 만큼 모든 여

건들이 열악하고 쉽지 않지만 주어

진 상황에서 사무국이 최선을 다하

고 있다. 다만, 상 적으로 부진한

사업들에 해서는 참여기관 모두

가 합심해 적극적으로 홍보, 발굴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훈기자<jojh@>

한전新전선도입,전선업계‘온도차’ 전기�에너지�자원분야

현장중심인재양성‘속도’

인적자원개발委제2차정기회의

‘일학습병행제’관련의견�주문등

소재독점우려…ACSR체제유지바람직

신규송전선로확보에한계…도입불가피

한전의가공송전선로전선교체계획에 해국내전선업계가소재독점을우려하는등비상한관심을보이고있다.

VS

2016년은 조달청이 발표한 공공건

축물에 한 BIM(빌딩정보모델링)

설계 의무화 시행년도다.

2012년 500억원 이상 공공조달

발주에서 BIM설계가 의무화됐고,

내년부터 모든 발주공사를 상으

로 BIM 설계가 적용되는만큼 전

기 설계 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엄

청나다.

의무화까지 3개월이 채 남지 않은

시점이지만 전기 설계 업계는 우려

와 기 두 의견으로 팽팽하게 맞서

고 있다. ▶관련기사12면

사회 전반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전기계도 서둘러 시행해야 한다는

찬성 진 과 BIM 설계를 위한 제도

마련과 소프트웨어 구축 비용 등 산

적한 문제가 많아 무리한 추진이라

는 반 진 이 립각을 세우며 도

입 여부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

다.

BIM 설계는 현재 건설은 물론 통

신, 소방 등 각 업계에서 사용 폭을

넓혀가고 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2018년까지 시

장 규모가 3000억원 이상까지 확

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BIM이 미래

건설 시스템을 혁신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이라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설계자 측면에서 BIM은 소방∙

기계설비 등과 실시간으로 상충되

는 부분을 점검하기 때문에 설계 오

류나 누락을 쉽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다.

유지 관리자는 데이터화 돼 있는

자료를 이용해 설비 교체 시기와 점

검 계획을 세울 수 있어 효율적인 관

리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BIM 설계 도입에 발목을

잡고 있는 부분은‘비용’과‘제도’

다.

BIM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외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 하는데 세

트 당 1000만원을 호가하고 있어 중

소업체가 감당하기 쉽지 않다.

제도면에서도 정해진 고시 요율

표에 따라 가를 산정하는데, 기존

CAD 설계 가만 정해져 있을 뿐,

시간과 인력이 추가적으로 투입되

는 BIM 설계를 위한 가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김승교기자<kimsk@>

내년공공발주공사 BIM설계의무화앞두고

업계‘우려半 기 半’15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 전기설비

불합격률이 평균 비 2.7배 높아 정

검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

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오 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전기안전공

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

근 5년간 검사결과, 15년 이상 설비 중

18.5%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고 변압

기∙차단기∙전선로 등 주요기기는

11.9%가 고장 등으로 교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15년이 넘은 정기검사

상 3만9068호의 불합격은 7239호

(18.5%)로 평균 불합격률 비 2.7배

높아 정 검사와 개보수가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났다.

노후 전기설비의 경우 잠재적 사고

가능성이 높고, 사고발생에 따른 2차

파급사고 피해율도 높아 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전기안전공사측도 이를 위해 빌딩,

공장, 아파트 등의 자가용 전기설비를

업종별로 2~4년마다 정기적으로 검사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정기검

사 불합격 1만3669호 중 1만990호

(80.4%)는 설치 후 10년 이상인 설비

로 급격한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어 국

민들이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게 전문

가들의 의견이다. <2면에계속>

김승교기자

“노후전기설비정 검사확 필요”

15년이상전기설비불합격률평균 비 2.7배 높아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