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V - KOCWelearning.kocw.net › KOCW › document › 2015 › dongguk ›...

Preview:

Citation preview

성인간호학 V

근골격계

남성 생식기계

구조와 기능

건강사정

외상간호

근골격계 염증

류마티스 질환

골대사 장애

요통간호

뼈, 관절/인대, 골견근

신체검진,임상진단검사 (eg., DEXA, 관절경)

골수염, 골결핵, 기타(점액낭염, 건막염)

골다공증, 골연화증

척추/추간판, 염좌, 척추측/후만 절단 간호

류마티스 관절염 vs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엄

전신홍반 루프스

인공관절 치환술

일반적외상[타박상,탈구,회전근개손상]

골절

견인-피부 골격견인 석고붕대

종류,치유과정,치료, 합병증 정복 고정 재활

근골격계

구조 및 기능

▶골격계의 구조

▶장골의 구조

▶치밀 뼈조직의 단면과 골막

▶하버시안계

▶ 활막 관절 또는 가동관절

▶횡문근 (가로무늬근)의 근절구조

▶신경근육 연접부

간호사정

[Motor power]-근력사정도

0점:근수축 없음

1점:자극을 주면 약간의 수축이 보임

2점:중력이 배제된 상태에서의 능동적 움직임 (평형으로)

3점:중력에 대항한 능동적 움직임(들어올림)

4점:중력과 약간의 저항에 대항한 능동적 움직임

5점:강한 저항에 대항한 능동적 움직임(정상)

외상간호

- 골절의 종류 -

골절의 치료

- 골격견인: 외부고정 -

골절의 치료

- 피부견인 -

골절의 치료

- 석고붕대의 적용 -

석고붕대 적용 간호

http://www.youtube.com/watch?v=z_GMmZUA0Sg

근골격계 외상,치료 시 합병증

- 구획증후군 -

근골격계 염증성 질환

골수염

골결핵

근골격계 류마티스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

vs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병리적 변화

퇴행성 골관절염: 병리적 변화

만성 전신성 자가면역성 질환

-전신홍반루프스-

염증성 질환

- 단백질 대사장애: 통풍 -

강직성 척추염

인공관절치환술

골대사 장애: 골다공증

Diagram of progressive

osteoporotic bone loss

and compression

fractures

(Courtesy of Ayerst

Laboratories, New York, NY.)

척추장애: 척추 후만증

Typical loss of height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and aging

(Courtesy of Wilson Research Foundation.)

10yrs. postmenopause

15yrs. postmenopause’ Height loss 1.5”

25yrs. postmenopause Height loss 3.5”

5’6”

5’3”

5’0”

4’9”

골다공증 변화. 40세의 정상척추와 60~70세의 골다공증 변화

: 이 변화들은 신장을 줄어들게 하고 척추 후만증을 초래한다.

신장 166cm

158cm

150cm

143cm

136cm

128cm

40 60 70

척추질환

- 척추측만증 -

(A)Kyphosis: an increased convexity or roundness of the spine’s thoracic curve.

(B)Lordosis: swayback; exaggeration of the lumbar spine curve. (C)Scoliosis: a lateral curvature of the spine.

A. Milwaukee 보조기 B. 흉요천추 보조기 (TLSO)

척추측만증 비수술적 교정 치료

척추측만증 상태 및 Cotrel-Dubousset로 교정술 A B

척추측만증 수술적 치료

▶ 척추 측만증 내부 고정술 (CD 기계삽입)

척추 협착증

모양

정상 발육성

퇴행성 발육성+추간판 탈출증

퇴행성+추간판 탈출증 발육성+퇴행성

요통간호

▶ 허리 근육강화 운동

▶ 요통완화를 위한 올바른 자세

▶ 요통완화를 위한 올바른 자세

▶ 요통완화를 위한 올바른 자세

▶ 요통완화를 위한 올바른 자세

▶ 요통완화를 위한 올바른 자세

▶ 허리 유연성 운동

절단간호

상지 절단의 부위별 분류

절단의 부위별 분류

A. 슬개상부 절단형태 B. 슬개하부 절단형태

Levels of amputation are determined by circulatory

adequacy, type of prosthesis, function of the part, and muscle balance

(A)Levels of amputation of upper extremity.

(B) Levels of amputation of lower extremity.

Wrapping above-knee residual limb. Elastic bandaging reduces edema and

shapes the residual limb in a firm conical form for the prothesis

(Suddarth DS.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5th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1991.)

▶ 임시의족

▶ 재활 과정에서의 주의점

▶ 의족

▶ 상완의수와 케이블 작동방법

남성 생식기계

구조와 기능

질환 및 간호 전립선 질환

음경, 음낭, 고환

발기부전, 불임

내부생식기 1 고환/부고환 – 정자 생산과 정자 성숙

내부생식기 2 부속선-정낭, 전립선, 쿠퍼선: 정액분비, 즉 정자를 포함한 사정액 생성

외부생식기 음경, 음낭

남성생식기계 일반적 간호

직장지두검진 – 40세 이상 남성 일념에 한번씩 시행

고환자가검진 – 음낭이 이환되어 있는 시기-따뜻한 목욕 직후

정상고환: 난원형, 견고하지만 딱딱하진 않음, 탄력성 있음

불임 – 원인의 30%정도 남성 문제, 20% 부부 동시 문제

남성 불임의 원인: 정자형성장애, 정자통로장애, 사정문제(발기부전, 신경마비 등)

발기부전 – 심인성 및 기질성 문제

치료: 심리요법, 비수술적 (경구약: e.g, 비아그라, 발기유발제 자가주사, 요도 내 약물주입, 음경진공흡입기), 수술적 ( 음경보형술, 음경 혈관재건술)

정관절제술 – 불임을 목적으로 한 양측 정관 결찰과 절제 vs. 문합술

정자가 정액과 함께 사정되지 않음. 정자형성은 계속되고, 사정되는 정액량의 현저한 감소도 없음, 수술 직후 2주 동안은 피임이 필요함 (이미 형성된 정액에 정자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 있으므로)

정관문합술 – 정관절제술 후 정자의 이동통로를 다시 확보하기 위한 절단된 정관 문합술, 성공률 30~ 최대 90% 정도

남성생식기계 질환 및 간호

양성 전립선비대 (BPH: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40세 이상 30%, 50세 이상 50%, 80세 이상 80%

전립선의 크기 증가로 요도의 저항이 커져 발생하는 배뇨장애

노화 및 내분비장애의 영향, 비만 관련

전립선 내부에서부터 발생되는 것이 특징, 전립선 암과 대비되는 특징임!

남성생식기계 질환 및 간호

양성 전립선비대 (BPH: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배뇨곤란이나 혈뇨 : 배뇨 곤란 증상은 전립선 암보다 비율이 더 높음

1기: 주야 빈뇨, 배뇨시간 지연, 배뇨력 저하

2기: 잔뇨감 증가, 배뇨 후 곧 요의

3기: 대상부전 (방광의 배뇨력 약화)

요정체, 과도충만 방광

신장 장애: 방광/요관/신우 확장, 요독증

주된 합병증: 요폐 관련 – 급성 요정체, 요로감염, 이차적 패혈증

남성생식기계 질환 및 간호

전립선 암

- 환자의 75% 이상이 65세 이상

- 노화, 가족적 성향, 고지방식이, 화학물질

- Sx: 무증상, 배뇨장애, 소변줄기의 변화는 흔치 않고 빈뇨, 출혈 양상, 골전이가 초기 증상 (요통이나 좌골신경통 등)

- 진단: 지두직장검진, 생검, PSA

- 치료: 수술(근치 전립선절제술-수술 후 요실금 위험), 방사선/화학, 호르몬

전립선염

- 급성/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 무균성 만성 전립선염 (가장 흔한 형태, 전립선 울혈이 주 증상 경한 빈뇨, 하부 통증, 직장, 요도 회음부 불편감)

남성생식기계 질환 및 간호

음경 기능 장애

- 포경, 감돈포경

- 음부포진: 켄디다증, 헤르페스 (Herpes I, II), 클라미디아 감염, 트리코모나스증, 개선 등 성적 접촉 질환

- 귀두, 표피의 홍반성 수포

- Tetracycline 연고

매독

- Treponema pallidium, 피부나 점막으로 침범, STDs, 태반 통한 태아감염

- 1, 2, 3기 경과 5~10년 후 신경매독

- Tx: Penicilline IM or erythromycin, tetracycline

임질

- 가장 흔한 성병

- 임균, Neisseria gonorrhea spectinomycin (penicilline, ampicilline 효과 없음)

- 감염 후 3~5일 후 증상: 배뇨 시 작열감, 장액성 분비물, 농성 분비물

- 배우자 동반 치료 요

남성생식기계 질환 및 간호

음낭 기능 장애

고환염

- 임질, 매독, 폐렴, 결핵 등의 전신성 감염 후 합병증으로 발생

- 흔히 이하선염 환자 (20% 정도)의 합병증- 4~6일 경과 후 발생, 70%는 일측성, 후유증으로 불임

- Sx: 음낭 커지고 압통, 전신권태, 오한

- 중재: 음낭 지지, 온/냉습포 적용

부고환염

- 임균, Neisseria gonorrhea spectinomycin (penicilline, ampicilline 효과 없음)

- 감염 후 3~5일 후 증상: 배뇨 시 작열감, 장액성 분비물, 농성 분비물

- 배우자 동반 치료 요

정계정맥류, 음낭수종, 정액류, 잠복고환

고환암

- 1% 발병률, 15~35세 사이 젊은 남성들에게 호발

- 하복부, 서혜부 견인감, 결절/부종, 오통, 피로 등 비특이적 증상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