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집단에너지 시설(건축물외관디자인) 110909

Preview:

Citation preview

신도시 집단에너지 시설( 건축물 외관 디자인 )

2

목 차

건축개요 및 내포신도시 현황1

디자인 CONCEPT 및 외관디자인2

조감도 및 투시도3

3

건축개요□ 사업명 집단에너지시설

□ 대지위치 - 예산군 삽교읍 목리 111-38 번지 일원 ( 55,194m2 )- 홍성군 신경리 산 156-1 번지 일원 ( 2,206m2 )

□ 대지면적 57,400㎡ (17,364 평 )

□ 지역 지구 ․ 일반공업지역

□ 주용도 발전시설 ( 발전소 - 집단에너지 공급시설 )

□ 예상건축면적 24,382.84㎡□ 예상총연면적 37,849.50㎡□ 예상건폐율 42.48 % < 법정 : 70.00 % >

□ 예상용적률 63.81 % < 법정 : 250.00 % >

□ 조경면적 대지면적의 20~25% 이상 적용 < 법정 (15%) : 8,610.00 ㎡ >

□ 주차대수 약 130 대 < 법정 : 350 ㎡ 당 1 대 - 108 대 >

□ 예상건축물 발전동 , 관리 및 제어동 등 11 동

□ 예상공작물 축열조 , 원수탱크 , 순수탱크 , 연돌 등

□ 주요구조 철근콘크리트조 + 철골조

□ 외부마감계획 부드러운 곡면의 외관과 옥상녹화 및 조경 , 태양광 모듈설치 등으로 친환경적 이미지추구

□ 최고높이제한 해발 100M ( 현부지계획고 25.5M 예상시 최대 연돌 74.5M 제한 ) 홍성군 도시계획조례 ( 용봉산기준 )

4

사업부지의 서쪽으로 행정타운 위치

사업부지는 전체 신도시의 동쪽 끝에 위치

신도시 종합배치도

사업부지

용봉산 수암산

5

신도시 토지이용 계획도

VIEW LINE

사업부지

도로시작점

신도시 진입시 주요 조망점인 행정타운과 사선상에 위치

행정타운의 조망권을 가리지 않음

진입도로 조망점 분석

6

집단에너지시설 부지 배치도

열공급시설

발전시설

연료저장시설

보일러시설

주진입구

7

디자인 CONCEPT

1. 도시가 숲이 되는 “ Green City”

2. 자연이 에너지가 되는 “신재생에너지도시”

3. 자전거 이용이 자유로운 “자전거천국도시”

4.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출하는 “ 5 無도시”

5. 감각적이고 세련된 “공공디자인도시”

6. 지역정체성이 살아 숨쉬는 “창조도시”

7. 국내 최고의 교육경쟁력 확보 “

교육특화도시”

8. 일상에 불편함이 없는 “안전도시”

신도시 특성화계획신도시 특성화계획

집단에너지시설 디자인 CONCEPT

지 역 정 체 성

8

사업부지

옥상녹화

용봉산 , 수암산의 녹지흐름이 부지 내부까지 유입

9

건물 옥상에 태양광 모듈전지 설치

건물 벽면 및 연돌에 ‘ BIPV’ 설치

신재생에너지

10

산 형상

디자인 적용

직선의 느낌에서 탈피한 새로운 시도

자연의 형상을 닮은 부드러운 곡선 디자인

11

외관디자인 변경 과정

일반적인 발전소의 배치와 외관형태로 발전소의 기능에 적합하고 경제성을 고려한 외관

미려한 자재와 커튼월 도입으로 산뜻하고 도시적인 형태를 추구함

내포신도시의 특성화 전략 미고려

기 존 안

12

외관디자인 변경 과정

내포신도시의 특성화 전략 중 “ GREEN CITY” 개념을 옥상 및 벽면 녹화로 적극 구현함

일반적인 발전소의 외관형태를 탈피한 도시의 일반건축물 형태를 추구함

1 차 수 정 안

13

외관디자인 변경 과정

신도시의 특성화 전략 중 ‘ GREEN CITY’, ‘ 신재생에너지도시’ 개념을 건물의 옥상과 벽면 , 연돌벽면의 녹화 및 ‘ BIPV’ 시스템으로 적극 구현함

전체외관을 부드러운 곡선형태로 디자인하여 자연과 어우러지는 형태를 추구함

현 재 안

⇒ 신도시의 특성화 전략인 “ GREEN CITY”,“ 신재생에너지도시” 개념을 적극 도입한 부드러운 곡선형태의 외관 디자인 창출

14

기존 열병합 발전시설 비교

미려한 자재와 커튼월을 도입하고 , 직선적 형태의 외관을 추구하는 도시속에 건설되는 발전소

광교 열병합 발전소

미려한 자재와 고층의 커튼월을 도입하고 , 세련된 오피스 형태의 외관을 추구하는 도시속에 건설되는 발전소

판교 열병합 발전소

⇒ 내포신도시 집단에너지 시설은 직선 및 고층위주의 도시속에 건설 되는 발전소와 대비하여 ,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추구하는 자연속 발전소의 외관형태를 추구함

15

유명 건축가 ( 훈데르트 바서 ) 디자인 적용 검토

주변 대지와 조화되는 ‘조경 일체형 건축물’ 요소적용

건축물의 지붕 및 벽면에 녹화요소 적극 도입

※ 단 , 협소한 부지 여건과 건물 높이로 인하여 발전소 전체에 적용은 한계가 있음

16

유명 건축가 ( 훈데르트 바서 ) 디자인 적용 검토

부드러운 곡선형 외관 디자인 도입

※ 단 , 증축이 많은 시설 운영여건 특성상 장식요소의 도입은 한계가 있음

건축물의 구조적인 제약과 원색 위주의 화려한 색채는 자연의 푸르름과 상충 되어 배제함

⇒ 해외 유명 건축가의 디자인 모티브를 무분별하게 도입하기 보다는 기능성 , 경제성 , 부지여건 , 발전소의 운영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별적으로 적용

17

조감도

18

부분별 투시도

신도시 진입시 주요 조망점인 행정타운과 사선상에 위치하여 행정타운의 조망권을 가리지 않음

용봉산 및 수암산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 계획

부드러운 곡선형태로 디자인하여 친근한 이미지 형성

신도시 진입부 전경

19

부분별 투시도

대지주변에 대형 침엽수 위주의 식재와 내부조경으로 자연과 동화되는 외관 연출

발전소 진입부 전경

20

부분별 투시도

태양광 모듈전지의 설치로 “저탄소 녹색성장” 구현

입체적인 옥상조경공간 계획으로 내포신도시의 지역 명소화

태양광 모듈전지 , BIPV 등의 적극 도입으로 내포신도시의 “신재생에너지 홍보의 장” 역할

옥상정원 전경

⇒ 자연속에 위치한 발전소로서 친환경 건축물을 구현하였으며 , 곡면 디자인으로 신도시 마스터플랜 및 주변지형과 어울리는 외관디자인 계획

21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