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과 멸균

Preview:

Citation preview

소독과 멸균

이상민

용어의 정의

•1) 세척 (cleaning)대상 물체로부터 모든 종류의 이물질 ( 토양 , 유기물 ) 을 제거하는 것물과 기계적 마찰과 세제에 의해 이루어지며 , 소독과 멸균의 전 단계로 반드시 수행해야 함

•2) 소독 (disinfection)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 보통

무생물을 대상병원에서는 액체소독제나 wet pasteurization 의 방법으로 시행

•3) 멸균 (sterilization)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

1) 세척 (cleaning)

•세척은 물과 세정제 혹은 효소로 물품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물을 씻어내는 것으로 미생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세척의 목적 : 미생물의 양을 감소 , 피나 점액과 같은 유기물을 감소 소독제의 효과나 멸균의 효과를 극대화

•세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물 , 세제 , 온도 •적절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위해서는 오염의 양과 형태 , 수질 , 세제의

형태와 농도 , 산성도 , 기계적인 세척형태 및 세척시간 등을 고려

1) 세척 (cleaning)

•일반적인 주의사항① 사용한 기구나 물품은 소독이나 멸균하기에 앞서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② 기구에 묻은 오물은 미생물의 성장배지가 되며 , 기구의 상태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세척한다 .③ 사용한 기구를 즉시 반납할 수 없을 때에는 젖은 수건으로 덮고 플라스틱백 안에 넣어 건조되지 않게 한다 .④ 생리식염수는 기구를 부식시키므로 물이나 효소용액을 사용한다 .⑤ 수돗물은 무기질로 인해 기계에 얼룩이나 흔적을 남기므로 좋지 않다 .

1) 세척 (cleaning)

•일반적인 주의사항⑥ 일반적으로 열은 세제와 오염물질간의 반응을 증가시켜 오염의 분리를 가속화 시킨다 . 지방질이나 무기질에 오염된 기구는 온수로 , 단백질이나 당에 오염된 기구는 냉수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일반적으로 수술기계와 도구들은 섬세한 기구 또는 특수 취급이 필요한 기계들과 분리하여 세척한다 .

⑦ 중앙공급실로 수거된 물품들은 가능하면 기계적인 세척 (washer sterilizer, washer disinfec-tion, cart washer, sonic cleaner 등 ) 을 이용하도록 한다 .

⑧ 세척기가 없는 경우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 후 소독한다 . 이때 직원들은 방수 처리된 앞치마와 장갑 등의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한다 .

2) 소독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 보통

무생물을 대상 병원에서는 액체소독제나 wet pasteurization 의 방법으로 시행

① 강한 수준의 소독 (high level disinfection)

세균의 아포 일부와 다름 모든 미생물을 파괴시키는 방법② 중간 수준의 소독 (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

결핵균 , 일반세균 , 대부분의 바이러스와 곰팡이는 불활성화 시키나 , 세균의 아포는 사멸시키지 못하는 방법③ 약한 수준의 소독 (low level disinfection)

대부분의 일반 세균 , 바이러스 , 곰팡이의 일부는 사멸시키나 , 저항성이 있는 결핵균이나 세균의 아포는 사멸시키지 못하는 방법

소독과 멸균에 대한 미생물의 내성 수준

소독제 종류와 특성

소독방법에 따른 소독 , 멸균 종류

소독방법에 따른 소독 , 멸균 종류

3) 멸균•멸균은 모든 박테리아의 아포까지 제거•멸균상태에서는 어떤 형태의 생명력 있는 미생물도 살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절대적인 개념•멸균의 요구사항은 시간 , 온도 , 상대습도 , 산도 , 적재 (load) 의

표준화 등이 있음

멸균의 원칙① 멸균 전에 반드시 모든 재사용 물품을 철저히 세척해야 한다 . 만약 유기물이 잔존 할 경우에는 미생물이 사멸될 수 없다 .② 세척한 물품은 완전히 건조 되어야 한다 .③ 물품포장지는 멸균제의 침투 및 제거가 용이해야 하며 , 저장 시 미생물 . 먼지 , 습기에 저항력이 있으며 , 유독성이 없어야 한다 .

고압 증기 멸균 (steam sterilization)

•135℃ 에서 5 분 (pre-vacuum type) 혹은 120℃ 에서 20 분 (gravity type) 동안 고온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미생물 , 포자 등을 가열 처리

고압 증기 멸균 (steam sterilization)

•장점- 멸균물품에 독성이 없다- 소요시간이 짧다 .- 멸균비용이 저렴하다 .- 일시에 많은 물품의 처리가 가능하다 .

•단점-100℃ 이상에서 견딜 수 없는 열에 약한 물품에는 사용 할 수 없다 .

- 물에 닿으면 용해되는 것이나 물이 통과할 수 없는 종류는 멸균할 수 없다 .- 부식되기 쉬운 제품이나 예리한 칼날 등은 무디어 질 수 있다 .

•대상물품- 수술기구-봉합사 ( 인조 , 종이로 포장된 것 )- 직물류 등 열이나 습기에 견디는 모든 물품

건열 멸균 (dry heat sterilization)

•160℃ 에서 2 시간 , 140℃ 에서 3 시간 , 120℃ 에서 12 시간 고온의 건열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산화 또는 탄화시킴

건열 멸균 (dry heat sterilization)

•주의 사항- 사용하기 전에 멸균기에 부착된 온도계의 정확성을 검토한다 .- 포장 재료는 열에 약한 가연성 물질인 종이나 천을 사용하면 안 된다 .- 충분히 세척하여 유기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멸균해야 한다 .- 젖은 손으로 멸균기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 액체는 끊어 넘칠 수 있으므로

용기의 2/3 이상 넣지 않는다 .•대상 물품- 습기가 침투하기 어려운 물품(Gelform, 바세린 , 글리세린 , Castor oil 등 )-금속제품 , 사기 제품 , 유리제품

Ethylene Oxide Gas Sterilizer

•38℃ 에서 3 시간 혹은 55℃ 에서 2 시간동안 멸균하며 , 열과 습기에 약한 기구의 멸균에 효과적

•EO 가스는 독성이 있으므로 사용 전에 충분히 통기하도록 함•통기 챔버가 있어 멸균 처리 후 바로 통기가 가능한 경우 49 ~ 60℃

에서는 12 시간 , 60~62℃ 에서는 8 시간 정도 환기•만약 EO 가스멸균기에 통기 챔버가 없는 경우 대기 중 (20℃) 에서 7

일간 통기 하도록 함

Ethylene Oxide Gas Sterilizer

•장점- 열과 습기에 약한 기구나 기계의 멸균이 가능하다 .- 포장상태에 따라 장기간 (최대 2년 ) 보존이 가능하다 .

•단점- 비교적 멸균시간 및 잔류가스 제거를 위한 정화시간이 길다 .-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가격이 비싸다 .

- 직원과 환자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갖고 있으며 액체와 투과성이 없는 포장 재질에는 적용할 수 없다 .- 멸균기의 용량을 고려하여 물품을 멸균하도록 하며 , 멸균기를 조작하는 직원의 능력을 평가하여 충분히 훈련하고 숙련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소독과 멸균 분류

Reference

•Jhon, A. Molinari. ”Practical Infection Control In Den-tistry 3rd E”. Wolters Kluwer, 2010, pp. 148~166.

•정선영 . “ 의료기관의 소독과 멸균에 대한 지침 개발” .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 2012, pp. 103~133.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