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Partner Techshift - AWS와 함께한 MaxGauge의 SaaS 전환 여정 (엑셈 박재호 상무)

Preview:

Citation preview

AWS 와 함께한 MaxGauge 의 SaaS 전환 여정박재호 | CTO엑셈

ASP, Marketplace, and SaaS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고객 A 고객 B 고객 C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ASP 데이터 센터소프트웨어 개발사

AWS 마켓플레이스 모델

Amazon EC2

AWSCloudFormation

or

AMI

고려 사항 한 가지EC2 운영 주체는 ?

MFM(MaxGauge for MySQL) and MFS(MaxGauge for SQL Server) on AWS

What’s the big next? Multi-Tenant model

Single

DB1 DB2 DB3 DB4

Multi

Portal(Single App)

DB1 DB2 DB3 DB4

App1 App2 App3 App4

클라우드 이주

SaaS 고려 사항• 기술

– Born-in-Cloud 아키텍처 수립– 빅데이터와 오픈소스 활용

• B2B B2C 로 전이– 인프라 구축 , 서비스 운영 , 고객 지원– SLA 등 규제 준수

클라우드 장점• 개발 기간 단축

– AWS 의 각종 구성 요소 활용–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오픈소스 활용

• 비용 효율적인 운영– 초기 CAPEX 투자 없음– 동적인 탄력성 활용 : 모든 구성 요소를 수평 확장 가능하게 만드는 정책– 컨테이너 도입 : Right sizing

• SLA 준수 용이성– S3 와 같은 내장애성 서비스 활용– 리전 내 AZ 존재– 인스턴스는 원래 죽을 수 있는 속성 고려 (No SPoF, Single Point of Failure)

MaxGauge Air 소개

제품 특징 (1)

SaaS 를 위한 모든 서버를 클라우드 기반 구조로 개발 및 운영

다양한 APM/ DPM 기술

멀티테넌트 방식으로 고객사별 보안을 유지하면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핵심기술│ 모든 서버를 클라우드 기반 구조로 개발 / 운영

제품 특징 (2)

에이전트가 최소한의 부하로 성능데이터를 수집해 퍼블릭 클라우드에 위치한 서버로 전송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토록 함

에이전트 설치방식

• MySQL• Maria DB• ( 향후 다양한 RDBMS/NoSQL 지원 예정 )

이기종 DBMS 통합관리

Apache Tomcat( 향후 다양한 WAS 지원 예정 )

WAS 통합관리

• 데이터베이스 세션 상태 , 락 유무 , 로그 분석 , 일자별 트렌드 분석 • 운영체재 성능 정보 , 클라우드 인프라 성능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 특성 파악

│100% 순수 자체개발기술을 활용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개발요소기술과 특징

SaaS 형 전 구간 APM

• 자체 개발한 국내시장 1 위 솔루션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SaaS 형태의 WAS, DB 전 구간의 시스템 성능 관리 서비스

• 중소기업 및 Start-Up 기업• 설치형 APM/DPM 솔루션보다 종량제 서비스형 시스템 성능관리를 선호하는 기업

클라우드 기반 SaaS 형태의 구독형 (Subscription)

방식 WAS, DB 전 구간의 시스템 성능관리 Software

기술의 차별성

확장성 확보│On-Demand 로 실시간 증설 가능│ 사용한 만큼의 비용 지불로 초기에 과도한 용량 산정으로 인한 자원 낭비를 방지

엑셈은 전 구간 서버를 ‘ Born in Cloud’ 로 구현해 설치의 용이성 , 접근성 , 확장성 , 기능 업그레이드 등 고객에게 운영 편의성 제공

운영 편의성 제공

멀티테넌트 구조│ 보안과 업그레이드 유리│ 서버 업그레이드가 사용자 간여 없이 일어남│ 기술 인력 파견 없이 에이전트 업그레이드 가능

접근성 확보│ 웹 접속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간편하게 서비스 이용│ 표준 웹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서비스 제공 , 사용하는 단말기 종류에 무관하게 접근 가능

초기 설치의 용이성│ 기존 설치형 제품들에 비해 초기 설치가 용이함

모니터링 화면

아키텍처 특성• 100% AWS 인프라 활용

– EC2, EBS, S3, ELB, ENI, VPC, Route53, SaaS subscription( 예정 )

• HA/HP– 고가용성 : 리전 내 AZ 100% 활용– 고성능 : 데이터 파이프라인 / 빅데이터 기술 적극 활용

• 확장성– 모든 컴포넌트는 scale out 구조

• 저장소 , WAS, 수집단 , 데이터 버스

REST Server

Kafka Cluster

Zookeeper Cluster

Logstash &Elasticsearch(Client node)

Elasticsearch

(Data node)

Elasticsearch(Master node)

WWW

Workers(SpringXD)

WWW

WWW

MySQL Cluster

Public Subnet

SUBNET

Private Subnet

SUBNET

WAS(SpringBoot)

ELB

ELB

Plugin

BrowserMetric DataUser Data

시스템 구성도

제품 로드맵

2016 년 12 월 2017 년 상반기 2017 년 하반기 2018 년 상반기 2018 년 하반기

AWS TechShift에서 공식 발표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

AWS SaaS 마켓플레이스 출시 (AWS 사용자만 지원 )

일반 버전 출시(AWS 미사용자도 지원 )

윈도우즈 OS 에이전트 지원 모바일 버전(iOS/ 안드로이드 ) 출시

WAS 지원 범위 확장

분석 / 보고서 기능 확장

Enterprise 버전 출시 ( 기업용 관리 기능 + 로그 분석 기능 )

로그 분석 통합

NoSQL 지원DBMS 지원 범위 확장

특징적인 기능 정리기능 설명포트 오픈 표준 프로토콜인 HTTPS 사용 ( 별도 방화벽 구성 필요 없음 )

수집 DB ElasticSearch( 클러스터 구성 , HA 구성 )

모바일 버전 지원 2017 년 하반기 지원 예정 (iOS, 안드로이드 )

지원하는 OS 유형 RedHat 과 Ubuntu 지원 . Windows 는 2017 년 초 지원 예정 ( 현재 작업 진행 중 )

지원하는 WAS 유형 Tomcat 지원 (jeus, weblogic, websphere, jboss, resin, glassfish, oracle container for j2ee 검증 단계 ). Jetty 와 Spring Boot 등 2017 년 중에 지원 예정

지원하는 RDBMS 유형 MySQL/MariaDB 지원 . RDS 와 Aurora 는 2017 년 중순 지원 예정 설치 편의성 베타 버전 : tar 파일 다운로드 방식 , 정식 버전 : 패키지 매니저 (apt/yum) 사용 예정

Thank You!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