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가을의 느긋한 풍요로움 나를 여유롭게 하는 힘, 건강! 여유롭게 사는 길 How to Live VOL. 239 Magazine I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3. 10 ISSN 2288-3762

2013 10 행복지기 e-book

  • View
    929

  • Download
    9

Embed Size (px)

DESCRIPTION

충남대학교병원 소식지, 행복지기, 기업사보

Citation preview

Page 1: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

가 을 의 느 긋 한 풍 요 로 움 속

나 를 여 유 롭 게 하 는 힘 , 건 강 !

여유롭게 사는 길How to Live

VOL. 239Magazine I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3. 10 ISSN 2288-3762

Page 2: 2013 10 행복지기 e-book

여유롭게 사는 길

도심을 걷다보면 잰걸음으로

바쁘게 걸어가는 사람들을 마주하곤 합니다.

곁눈질 할 시간도 없을 만큼 빠르게, 씩씩하게 걷는 사람들

그들이 꿈꾸는 여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바쁜 가운데에서도

느긋하고 차분하게 일을 처리하는 사람이 있고

같은 시간을 보내도 정신없이 바쁘게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빨리빨리’를 외치는 초고속 사회에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마음의 여유’가 아닐까요?

햇살이 따사로운 오전

김이 오르는 커피 한 잔을 두고

느긋하고 평안한 마음으로

천천히 <행복지기>의 페이지를 넘겨보세요.

알찬 건강정보는 물론, 재미와 감동으로 꽉 찬 이야기들이

여러분의 마음을 한결 더 여유롭게 할 것입니다.

How to Live

충남대학교병원 행복지기 I Magazine

Page 3: 2013 10 행복지기 e-book

M o v e Y o u r L i f e

o p e n Y o u r d r e a m

꿈 표지판 1

꿈 표지판 2

발전후원회

진료시간표

보건복지부 지역임상시험센터 사업을 마치며

의학전문대학원 소식

38

44

45

47

을 묻다

# 충남대학교병원에 건강의

실시간 검색

건강 터치

희망트윗

행복업로드

CNUH News

함께 나누는 생명, 다시 사는 세상, 현대의학의 꽃을 피우는

- 장기이식센터

적극적인 보존적·재활치료로 건강한 스포츠 즐기기, 스포츠 재활

가을 산행 불청객, 뱀을 피하려면? 가을철 산행 시 주의해야 할 점

낙엽처럼 떨어지는 머리카락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가을철 모발관리

04

12

14

18

을 보다꿈을 담은 공간

힐링 톡톡

감성을 일깨우는 캔버스 1

감성을 일깨우는 캔버스 2

40여 년 파 내려간 긴 이야기 - 류철규 명장

웃다보니 정말 행복해요, 웃으며 살래요

맑은 마음을 화폭에 담다 - 엄기환 작가

비움, 그 속에 담긴 풍요로운 이야기 - 오치규 작가

20

24

26

28

# 삶의 멘토와 함께

을 찾다길 위의 느낌표

달콤한 초대장

옛길의 실루엣

트렌드 따라잡기

별이 가득한 하늘이 있는 그곳 - 대전 오-월드 가을국화축제

여유로운 아침을 만끽하다, 달콤 든든한 브런치 요리

백 년의 시간을 품은 전통시장 - 대전중앙시장

사라진 휴일, 부활한 휴일

30

32

34

36

# 몸과 마음의 힐링

<행복지기>에 게재된 기고가의 글은 반드시 충남대학교병원의 공식적인 의견과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발행일 2013년 10월 1일 (통권·제239호·월간) 발행인 병원장 편집인 윤환중 편집·기획 홍보팀 이종효, 이상윤, 이건상 발행처 충남대학교병원 301-721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대사동 640번지) Tel. 042-280-7027 병원보기자 권지현(사회사업팀), 나은주(영양팀), 남선미(67병동), 서지환(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성예원(약제부), 신희정(원무과),

이경미(방사선종양학과), 전영아(장기이식센터), 정덕영(영상의학과) 제 작 ㈜봄인터랙티브미디어 (Tel. 042-633-7800)

Content

2013. 10

october

Page 4: 2013 10 행복지기 e-book

실시간 검색

글 홍보팀 이건상

한결 선선해진 바람과 행복한 추석명절을 맞아 충남대학교병원은 여유로움과 즐거움으로

가득한 9월을 보냈다. 9월, 충남대학교병원은 ‘무혈 뇌수술의 혁명’으로 불리는 최첨단 의

료기술인 감마나이프 수술 100례 돌파와 싱글포트 흉강경 폐엽절제술 성공, 북미 소아정

형외과 학회지에 연구논문 게재와 표지사진 선정 등의 눈부신 성과와 함께 7H 리더십 교

육과 CPR 모의테스트 실시 등 안팎으로 내실을 공고히 다지는 국내 최고의 국립대학교병

원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9월의 다양한 소식을 전한다.

CNUHNEWS

OCTOBER Vol. 239

우리병원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의생명융합

연구의 핵심연구시설인 전임상실험센터 개소식을 8월 26일(월) 11시 30분에 개최

했다. 전임상실험센터는 충남대학교 보운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연면적 1,824㎡ 규모로 동물사육실 및 수술실, 연구지원시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식약처의 우수동물시설기준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전 영역이

청정시설로서 감염 및 전염가능성을 최소화해 실험결과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

일 수 있는 최적의 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NEWS 01

전임상실험센터

본격 가동

04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5: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05

NEWS 02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정년퇴임식

황병두, 이건수, 강대영, 신대환, 신영태 교수

우리병원은 8월 29일(목) 오후 4시, 노인보건의료센터 5층 강당에서 의학전문대

학원 황병두 교수, 이건수 교수, 강대영 교수, 신대환 교수, 신영태 교수에 대한 정

년퇴임식을 거행했다. 송시헌 원장은 “한 평생을 외길로 학문 연구와 교육, 진료에

매진하며 후학양성과 의학발전에 기여한 교수님들의 공로와 족적은 의료계는 물

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충남대학교병원 역사에 길이 새겨져 있을 것이다”라며 퇴

임 교수에 대한 감사함을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송시헌 병원장, 송민호 의학전문대학원장 등 300여 명의 교직원들

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퇴임사에서 이건수 교수는 “재직 기간 동안 많은 역량

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부족한 저를 도와 함께해 주신 동료 선·후배 교수님들의

따뜻한 마음과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마음을 전했다.

Page 6: 2013 10 행복지기 e-book

NEWS 03

태권도진흥재단과

협약식

우리병원은 9월 2일(월) 오후 2시 전북 무주군에 위치한 태권도원 운영센터에서

태권도진흥재단과 전 세계 태권도인의 교육·수련·연수·문화 체험의 장이 될

‘태권도원’의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식의 주요 내용은 ▲ 태권도원 임직원 내원 시 최상의 의료 서비스 제공

▲ 태권도원 내 신속한 응급진료 지원 ▲ 태권도원 임직원 및 태권도인을 위한 의

료 교육 제공 등이다.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는 8월 31일(토) 12시 30분부터 3층 강당에서

개소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관절질환의 특징과 수술 및 재활치료를 포함한 관절질환 치료의

최신지견 그리고 관절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 제1부<척추질환>,

제2부<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 환자관리>, 제3부<하지질환>, 제4부<상지질환>

으로 진행됐다.

NEWS 04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 개소 기념

심포지엄 개최

실시간 검색 06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7: 2013 10 행복지기 e-book

NEWS 06

감마나이프 수술 100례 돌파

기존 감마나이프보다 정확도와 안정성이 뛰어난 퍼펙션 기종

NEWS 05

정형외과 신현대 교수팀 연구논문

북미 소아 정형외과 학회지 9월호 게재

정형외과 신현대 교수팀(신현대 교수,김경천 교수, 차수민

교수)의 연구 논문이 북미 소아정형외과 학회지 9월호에 게

재됐다. 신현대, 김경천, 차수민 교수팀의 <근위 상완골에

서 발생한 단순 골낭종의 유연성 골수내 정의 효과>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단순 골 낭종 중 골절 고위험 군에

대한 예방적 치료에 대한 논문으로, 이 연구의 증례가 9월

호 표지사진으로도 선정되었다. 또한, 동일 학회지 인터넷

판 8월호에는 ‘경골 신연 후 금속판 고정’이라는 주제의 연

구 논문을 게재 하였다.

우리병원에서는 9월 5일(목) 오후 1시 대전지역암센터 2층 의행홀에서 대장암 예방

캠페인 <대장암! 바로알면 이길 수 있습니다> 건강강좌를 개최했다. 대한대장항문학

회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강좌는 일반 시민에게 대장내시경을 통한 용종의 조기 진

단, 치료가 대장암 예방의 지름길임을 인식토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으며, 그 외에도

대장암의 평소 궁금했던 점에 대한 질의 및 응답 시간이 마련되어 큰 호응이 있었다.

NEWS 07

대장암!

바로알면 이길 수 있습니다

우리병원 감마나이프센터는 2012년 11월 9일(금) 개소 후

단기간에 감마나이프 누적수술 100례를 돌파했다. 감마나

이프 수술은 머리를 절개하지 않고 200여 개의 감마선을 돋

보기처럼 한 곳으로 집중시켜 뇌병변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머릿속에 생긴 뇌종양, 뇌혈관질환, 삼차신경통 등의 여러

뇌질환에 대하여 개두술을 통한 수술적 방법이 아닌 비침습

방법으로 치료를 하는 최첨단 의료기술로 ‘무혈 뇌수술의 혁

명’으로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07

Page 8: 2013 10 행복지기 e-book

NEWS 09

7H 리더십 교육 실시

우리병원은 8월 29일(목) 오전 9시부터 8월 31(토)까지 대전지역암센터 2층 강당

에서 2013년 7H 리더십 교육이 진행됐다. 이번 교육은 ‘한국 리더십센터’에서 제

작한 스티븐 코비의 저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을 바탕으로 제작된 교

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단계별 리더십과 패러다임의 모델을 고찰하고 실제 상황

에 접목하여 참가자들의 능동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목표를 두었다.

NEWS 08

흉부외과 강민웅 교수,

싱글포트 흉강경

폐엽절제술 성공

우리병원 흉부외과 강민웅 교수는 최근 흉부에 작은 구멍 하나만으로 좌폐엽 절제

술을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폐암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의 폐엽절제술과 달리 선천

성 난포성 선종성 기형은 지속적인 염증성 재발로 흉강 내 유착이 심하여 기존 방

식의 흉강경 수술(4㎝정도의 절개와 2~3개 정도의 작은 절개를 시행함)로도 수술

이 힘든 사례였으나 수술은 2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끝났고, 환자는 회복속도가 매

우 빠르고, 합병증 없이 4일후 퇴원하였다. 중부권에서는 처음으로 성공하였으며

좌상부와 하부 폐엽이 구분 되어있지 않은 흉강 내에 유착이 심한 선천성 난포성

선종성 기형에 대한 단일포트 흉강경 수술은 국내 최초로 성공하였다.

실시간 검색 08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9: 2013 10 행복지기 e-book

NEWS 10

간호부 추석맞이 ‘사랑의 쌀’ 기탁

우리병원 간호부에서는 9월 9일(월) 오전 11시 중구 대사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추석맞이 사랑의 쌀을 기탁했다. 심희

숙 간호부장과 성영순 간호행정과장, 황윤신 병동간호과장,

손경숙 특수간호과장은 이날 우리병원 간호사들을 대신해

간호사들이 모금한 돈으로 구입한 쌀 650㎏을 대사동 박상

돌 대사동장에게 전달했으며 대사동 주민센터 측은 관내의

모·부자 가정에 나누어 주었다.

NEWS 11

CPR 모의테스트 실시

우리병원은 의료질 향상 및 환자안전관리의 지속적인 유지

를 위하여 CPR 모의테스트를 시행했다. 이번 모의테스트는

급작스러운 심정지 현장에서 의료진의 신속한 현장참여와

대응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CPCR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

난 8월 26일(월)부터 9월 6일(금)까지 본관동, 소아병동, 노

인보건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대전충청권역 의료재

활센터,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 구역에서 진행

되었으며, 심폐소생술소위원회에서 대응시간, 참여도, 숙련

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NEWS 12

2013년 대전충청권역

공공재활 심포지엄 개최

우리병원에서는 8월 27일(화) 오후1시부터 6시까지 재활센터 3층 대강당에서 재

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013년 대전충청권역 공공재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수요자 중심의 통합재활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대전충청권역 내

에서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관련 사업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한편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에서는 최첨단 의료장비와 치료 시스템은 물론

공공재활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일을 진행하고 있다.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09

Page 10: 2013 10 행복지기 e-book

NEWS 13

제7대 지부장

김동보 후보 당선

9월 9일(월)부터 11일(수)까지 실시된 전국보건

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 충남대학

교병원지부 7대 지부장 선거 결과 김동보 후보가

당선되었다. 11일 충남대학교병원 지부장 선거

결과, 재적조합원수 977명 중 896명이 참여했으

며, 기호 2번 김동보 후보가 전체 896표 중 453

표(50.56%)를 얻어 당선됐다.

신임 김동보 지부장 당선인은 1984년 충남대학

교 입사 후, 1992년 충남대학교병원으로 전입, 1995년 충남대학교병원 노동조합

초대 대의원 및 2002년 충남대학교병원 노동조합 부지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충남대학교병원 사무국 원무과에 재직 중이다.

NEWS 14

‘송편 만들기’ 명절행사

NEWS 15

2013 한마음연합의료봉사 실시

우리병원에서는 9월 16일(월)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대전충

청권역 의료재활센터 5층 프로그램실에서 입원환자와 보호

자들을 대상으로 추석을 맞이하여 ‘송편 만들기’ 명절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장기간 입원생활 속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

자들에게 가족들과 함께 송편을 빚으면서 명절을 느끼고 함

께 어울릴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우리병원 영상의학과와 대한방사선협회 방사선봉사단의 주

최로 이루어진 ‘2013 한마음연합의료봉사’가 9월 1일(일) 오

전 8시부터 오후 3시까지 세종시 금남면 금남초등학교에서

지역주민 200여 명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했다.

실시간 검색 10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11: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1

미디어속의 충남대학교병원

방송 | 한국경제TV 건강매거진

[굿닥터스]

일시 | 2013. 8. 10(토) 오후 1시~2시

출연 | 비뇨기과 임재성 교수

내용 | 전립선암을 극복하는 방법

방송 | TJB [닥터리포트]

일시 | 2013. 8. 25(일) 오후 8시

출연 | 안과 최시환 교수

내용 | 결막염

방송 | TJB [메디컬플러스]

일시 | 2013. 8. 31(토) 오전 7시 40분

출연 | 재활의학과 조강희 교수

내용 | 재활로봇

방송 | KBS [TV 이웃 다정다감]

일시 | 2013. 8. 26(월) 오후 5시 40분

출연 | 가정의학과 정진규 교수

내용 | 여름휴가 후유증

뼈를 튼튼하게 골다공증 바로알기

디트뉴스 外 | 2013. 8. 31(토)

내분비대사내과 김군순 교수

태권도진흥재단, 충남대병원과 업무협약 체결

조선일보 | 2013. 9. 3(화)

전 물만 마셔도 살이 쪄요! 나트륨의 오해와 진실

헬스조선 | 2013. 9. 2(월)

가정의학과 정진규 교수

환절기 소아건강 관리

디트뉴스 外 | 2013. 9. 5(목)

소아청소년과 길홍량 교수

아내 눈치ㆍ장거리 운전ㆍ과음 부담ㆍ대가족 음식 준비ㆍ시댁 스트레스 “추석아, 오지마라”

대전일보 | 2013. 9. 9(월)

가정의학과 정진규 교수

충남대학교병원 감마나이프수술 100례 돌파

청년의사 外 | 2013. 9. 5(목)

유방암 및 갑상선암의 권위자 김제룡 교수를 만나다.

안티캔서 코리아 | 2013. 9월호

외과 김제룡 교수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1

충남대학교병원 간호부 추석맞이 사랑의 쌀 기탁

아주경제 外 | 2013. 9. 13(금)

Page 12: 2013 10 행복지기 e-book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deceaseddonor transplantation

생 체 이 식

뇌 사 자 이 식

OrganTransplantation

Center

건강 터치

자료협조 장기이식센터 전영아 코디네이터(병원보 기자)

함께 나누는 생명, 다시 사는 세상

현대의학의 꽃을 피우는

장기이식센터

충남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Chungnam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장기이식이란 어떠한 치료로도 소생할 수 없는

각종 말기 장기질환자들의 장기를 뇌사자 또는 생존 시

기증자의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을 말한다.

우리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장기이식을 통해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치료하여 많은 환자들을 생존할 수 있도록 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말기 장기질환자들에게 희망을 선사하는 곳

충남대학교병원은 1986년 대전충청지역에서 최초로 말

기신부전증 환자에게 생체공여자로부터 성공적으로 신장

이식을 시행하였으며 현재 신장이식과 간장이식이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장기이식센터는 2000년 개소하였으며 장기기증 희망등

록 및 상담, 장기이식 대기자 등록, 장기이식 공여자 및

수여자 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2011년에 한국장기

기증원(KODA)과 업무협약을 맺고 뇌사자 관리를 하고

있다.

장기이식센터는 장기이식과 관련된 정보수집 및 정보제

공은 물론, 뇌사 추정자 발굴 및 뇌사자 관리, 장기기증

희망등록 및 상담, 각 장기별(신장, 간장) 이식수혜대상자

상담, 등록과 장기이식과 관련된 윤리적, 사회적, 법적,

행정적 문제의 조정을 담당한다. 그 외에도 장기이식과

관련된 홍보활동, 타 병원 및 이식과 관련된 단체와의 협

조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12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13: 2013 10 행복지기 e-book

장기이식 절차와 문의

장기이식은 크게 뇌사자의 장기 기증과 생체 장기 기증의 두

가지 사항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먼저 뇌사란 각종 뇌질

환이나 교통사고 등으로 뇌의 기능이 손상되고 호흡 및 순환중

추 기능까지 상실되어 회복이 절대 불가능하며, 인공호흡기를

부착하더라고 결국에는 수일 내지 길어야 2주 이내에 사망하

게 되는 상태를 뇌사라 한다. 따라서 식물인간 상태와는 엄격

히 구별되며, 뇌사상태에서만 장기기증이 가능하다. 뇌사자 장

기는 장기의 기능에 따라 신장, 간장, 심장, 폐장, 췌장, 소장,

췌도와 같은 장기와 각막, 골수, 뼈, 인대, 심장 판막 등의 조직

기능도 가능하다. 뇌사자 장기 기증은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

률 제16조 제2항’의 뇌사판정기준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절

차를 거친다.

충남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전화 042-280-7994 Fax 042-280-7981기타 문의사항

•시신 기증: 의과대학 해부학교육과 연구를 위하여 몸을 기증하는 것입니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안내상담 (042-580-8201)

•각막기증: 안구는 사망 후 6시간 이내에 적출이 되어야 이식에 가능하며,

적출 장소는 병원, 가정, 영안실 등에서 가능합니다.

충남대학교 안은행 (042-280-7604)

관련 사이트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www.konos.go.kr (02-2276-0027)

한국장기기증원 www.koda1458.kr (1577-1458)

인체조직기증 www.kost.or.kr (1544-5725)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www.donor.or.kr생명나눔실천회 www.lisa.or.kr생체 장기 기증은 살아있는 사람이 기증하는 것으로 일측 신

장, 간의 일부 등을 기증할 수 있다. 절차로는 이식의료기관에

서 기증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를 시행함과 동시에

충남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앞으로도 장기이식을 필요로

하는 많은 말기신부전증, 말기 간질환 환자들에게 장기 이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다.

생체 장기이식 절차

외래진료를 통한 기증자와 이식대상자의 검사

정신 건강 의학과 검사 신설:

2012. 8. 22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신설

장기이식센터에서 필요한 서류 확인 및 검사 진행 사항 점검

사회복지사가 기증자와 수혜자 면담 후 삼당평가서 기록

승인 서류를 KONOS로 발송

KONOS의 승인 후 이식 시행

병원 내 사회복지사와의 면담 후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

인을 받은 후 기증할 수 있다. 즉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

26조에 근거하여 장기 등을 기증하려는 사람은 보건복지부령

으로 정하는 기준과 절차를 따라 미리 KONOS(국립장기이식

관리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생체 장기 기증이 가능하다.

OrganTransplantation

Center

뇌사시 장기기증 절차

장기기증 절차를 의료진에게 밝힘

충남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042)280-7994

한국장기기증원: 1577-1458

한국장기기증원 코디네이터 파견 및 심사

보호자 면담 및 장기기증 동의서 작성

뇌사판정 및 관리

장기기증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3

Page 14: 2013 10 행복지기 e-book

14 2013 oCToBER 행복지기꿈을 담은 공간

글 편집실 사진 편집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운동을 하는 인구가 많아졌다.

스포츠 손상은 운동선수에서 뿐만 아니라,

최근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빈도도 증가하였다.

스포츠 손상 후 재활치료의 일차적인 목적은

부상 선수를 가능한 빨리 경기로 복귀시키고,

아마추어 선수는 본인이 하고 싶은 운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적절한 재활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같은 부위에 재손상을 입거나, 손상이전에

가능했던 동작이 불가능해 지거나,

다른 부위의 손상을 입게 된다.

스포츠로 인한 손상의 경우 거의 대부분은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 재활치료가 필수적이다.

적극적인 보존적·재활치료로 건강한 스포츠 즐기기

스포츠 재활

Sports Medicine

희망트윗

글 재활의학과 조강희 교수(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장)

14 2013 oCToBER 행복지기

━━ 스포츠 손상의 형태, 원인

일반적으로 스포츠 손상은 근육, 신경, 인대, 뼈와 관절에 대한 과도한 부하에 의

해 발생한다. 특히, 무릎, 발, 그리고 발목에서 흔히 발생한다. 대부분의 발생 원

인은 잘못된 훈련 방법, 부적절한 도구의 사용, 주행 노면의 불규칙성 등을 들 수

있다. 잘못된 훈련 방법은 달리기로 인한 손상이 60%를 차지한다.

생기는 손상의 종류와 위치는 어떤 운동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야구, 테니

스, 배구와 같이 손을 머리위로 드는 동작이 많은 스포츠의 경우 어깨와 팔목 관

절에 많은 손상을 유발하며, 체간의 회전, 굴곡 및 신전을 많이 하는 체조, 다이

빙 등은 체간과 척추의 손상을 유발한다.

Page 15: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5

달리기와 점프가 포함된 스포츠의 경우 무릎과 발목에 손상을 유발한

다. 나이에 따라서도 손상의 기전이 달라지는데, 젊고 여성인 경우 과

도한 사용이나 인대의 이완(laxity)로 인하여 발생하는데 반해, 나이가

많은 경우는 운동으로 인하여 퇴행성 변화가 촉진되어 발생한다.

━━ 스포츠 손상의 치료와 재활치료

스포츠 손상 초기에는 물리치료를 이용하여 급성 염증 및 부종을 줄이

며 조직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항염증 약제, 적절한 부목, 때로

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기도 한다. 근력의 유지 및 근육 위축을 방지

하기 위해서 등척성 운동을 한다..손상된 부분 이외 다른 부위의 기능

유지를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 즉 연골판 손상이나 발목 인대 손상의

경우에 상지의 근력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을 한다.

2~3일 후부터는 기능회복을 위

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근력과

유연성증가를 위한 등척성, 등장

성, 및 등속성 근력 운동을 하며,

손상된 조직은 신장력을 견디는

힘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부하를

줄때는 서서히 증가시켜야 한다.

치료에 있어서는 표재열, 초음파, 전기자극, 근육 신장과 근력 강화를

시행한다. 근력 강화 운동에는 동적인 운동(dynamic exercise)이 포

함되어야 한다. 유연성 운동은 정적(static)인 방법뿐만 아니라 동적인

방법으로도 시행하여야 한다. 스트레칭 방법은 하루 3회 이상, 30초

이상 시행하는 것을 3회 반복하는 것이 좋다.

근력강화 운동은 이 시기의 재활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

다. 근력강화에 이용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로 열림 사슬 운동(open

kinetic chain exercise)과 닫힘 사슬 운동(closed kinetic chain

exercise)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체간 강화 운동(core

strengthening

exercise)도 근력 강

화 프로그램에 반드

시 포함하여야 한다.

복부근육, 고관절 신전근, 척추 주위근, 골반근육 등은 스포츠 동작을

하는 동안 척추를 고정하여 안정된 동작의 기초(platform)을 제공하

는 부위이므로 반드시 근력 강화를 하여야 한다.

고유 수용체 감각 훈련(proprioceptive training)과 재활도 중요한 부

분이다. 또한 스포츠 특화 운동, 예를 들면 던지기나 점프와 같은 동

작이 추가된다. 다음 시기로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조직의 기

능회복으로써 통증이 없고, 관절운동범위가 정상 측의 80~85%이며,

재활의학과 조강희 교수 |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장

전문분야

척추손상, 근골격계재활, 요통재활, 스포츠재활, 보행분석, 장애감정

진료일정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오전 | 화, 목, 금 오후 | 월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 오전 | 월

근력이 정상 측의

75% 이상인 경우

이다.

손상 후 약 1개월

경과한 후부터는

조직의 치유과정

에서 숙성 및 재형성 과정에 해당되며 결체 조직의 재배치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재활치료는 근력과 지구력의

강화를 도모하면서 동시에 신경근육 조절과정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가 있다. 이 시기의 주된 치료 방법은 플라이오메트릭

스(plyometrics) 운동이다. 이 운동 방법은 먼저 편심성 수축

을 하고 바로 이어서 순간적인 동심성 수축을 하는 방법이다.

환자는 이 시기에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할 준비가

되었거나,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복귀하여

스포츠 활동을 하기도 한다.

기능적인 회복에 중점을 두고 던지기, 점프 등의

동작에 있어서 정상적인 생체 역학적 동작을

훈련하게 된다.

Page 16: 2013 10 행복지기 e-book

16 2013 oCToBER 행복지기꿈을 담은 공간

글 편집실 사진 편집실

16 2013 AUGUST 행복지기꿈을 담은 공간

글 편집실 사진 편집실

희망트윗

글 응급의학과 유 승 교수(충남대학교병원 세종의원장)

가을이 되면 다른 계절에 비해 산행이나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아진다.

날씨가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않을 뿐 아니라

아름다운 단풍이 사람들의 발길을 산으로 들로 옮기게 한다.

또한 우리 고유의 명절인 추석이 있어 이를 전후해서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하기 위해 산에 오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가을 야외활동에서는 종종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 중 하나가 뱀에 물리는 것이다.

가을 산행 불청객, 뱀을 피하려면?

가을철 산행 시 주의해야 할 점

mountain climbing

16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17: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7

━━ 뱀을 피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점

뱀은 땅을 기어 다니는 동물이기 때문에 뱀에게 물리는 위치는

땅에 가까운 부위인 손가락, 손등, 발가락, 발목 등이 잘 물리게

된다. 손가락, 손등이 어떻게 땅에 가까운 부위냐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밭일을 하거나 벌초를 하거나 풀을 헤집고 산을

오르거나 하게 되면 손을 땅에 가깝게 하고 움직이게 되고 이런

움직임이 뱀을 자극해서 손을 물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산행을 하거나 벌초를 해야 할 경우에는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장갑을 착용하고, 등산화와 같이 발목이 높은 신발을 신는

것이 좋으며, 긴 팔 옷, 긴 바지를 입는 것이 좋다.

또한 발밑을 잘 확인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시 예방

이 최선의 방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주의에도 불구하고

뱀에 물릴 수 있고, 이런 경우에는 적절한 응급처치가 필요하며

이때의 응급처치는 다음과 같다.

━━ 뱀에 물렸을 때 응급처치

우선 물린 부위의 10~15㎝ 정도 위쪽을 2㎝정도 넓이의 천으

로 묶는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너무 세게 묶어서 피가 전혀

통하지 않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묶고 나서 새끼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세기로 묶는 것이 좋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뱀에 물리고 나서 고무줄이나 좁은 폭의

끈으로 꽁꽁 묶어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혈액순환이 전혀 되

지 않게 만들어 심각한 경우에는 그 부위를 절단해야하는 경우

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물린 부위 주위의 반지, 손목시계 등은 반드시 풀러줘야

한다. 일단 천으로 묶고 나면 상처부위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

정해주는 것이 좋다. 뱀의 독은 상처부위가 움직이고 주위의 근

육이 움직이게 되면 더욱 잘 퍼지기 때문이다.

고정한 상처부위는 심장보다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가능한 빨리 병원에 가서 처치를 받도록 한다. 이동하는 동안

최대한 안정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급한 마음에 환자가 뛰는 것

은 독이 더 잘 퍼지게 만들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만약 상처부위를 소독할 수 있다면 소독하는 것이 좋고, 상처를

절개하거나 입으로 상처부위를 빠는 것은 환자와 처치하는 사

응급의학과 유 승 교수 | 충남대학교병원 세종의원장

전문분야

중환자관리, 응급영상

진료일정

권역응급의료센터 오전 | 월, 화, 수, 목 오후 | 월, 화, 수, 목

람을 모두 위험하게 하는 처치방법으로 일반인은

해서는 안 된다.

병원에 도착하게 되면 파상풍이나 상처의 감염에

대한 처치를 시행하며 독에 의한 합병증 등이 발생

하는지, 항독소의 투여가 필요한 지에 대해 평가를

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모든 뱀이 독

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우리나라에 존

재하는 독사의 독은 대부분 혈액독으로 신경독과

같이 마비증상이 생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래

서 현장에서 독에 의해 사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

며 적절한 응급처치 및 병원에서의 치료를 통해 큰

문제가 없이 회복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다치지 않고

뱀에 물리지 않는 것이므로, 이런 주의사항을

생활상식으로 알아두고 실천에 옮겨

가을 야외활동이 즐겁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준비하길 바란다.

Page 18: 2013 10 행복지기 e-book

What

Why

행복업로드

글 피부과 이영 교수 진료전문분야 모발질환, 백반증피부이식클리닉, 모발이식

When내가 모발이 얼마 정도 빠질 때

탈모라고 볼 수 있을까요?

Who 여성도 대머리가

발생할 수 있나요?

What유독 가을에 머리가 많이 빠지는

이유가 뭘까요?

01 02 03

동물들이 털갈이를 하는 이유는 모발이 빠지

고 다시 자라나는 주기(모발 주기)가 모든 털

에서 같은 시기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람은 모발의 주기가 일치하지 않아서 털갈

이를 하지 않다. 하지만 가을철만 되면 머리

가 많이 빠진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까닭

은 몸 속의 호르몬 중 일조시간에 따라 변화

하는 프로락틴과 멜라토닌이 모발의 주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

려져 있다.

때론 머리를 감다가 평소보다 조금만 더 빠져

도 탈모로 생각하고 오시는 분들도 많이 있다.

모발은 지속적으로 주기를 가지고 생장과 휴

식을 반복한다.

그 중 휴지기에 있는 모발은 정상적으로 빠지

게 되는데, 정상인의 경우 하루에 50~60개

내외는 탈모가 될 수 있고, 하루에 100여 개

이상 빠지면 탈모증을 의심할 수 있다.

대머리가 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아직까지 정확

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적어도 유전적 소인,

남성 호르몬의 분비, 그리고 노화 이 세 가지가

가장 확실한 연관이 있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남성 대머리의 경우에는 남성호르몬과 유

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여성의 경우

에도 난소와 부신에서 남성호르몬이 소량이 분

비되기 때문에 여성도 유전적 소인과 호르몬 등

이 원인이 되어 대머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

진다. 하지만, 남자들처럼 완전히 머리가 맨들맨

들하게 빠지는 대머리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6가을철 모발관리

A부터 Z까지

낙엽처럼 떨어지는 머리카락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가을철 모발관리

18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19: 2013 10 행복지기 e-book

How

Why

WhereWhoWhen

Where탈모가 두피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던데?

How탈모를 예방하기 위해선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위한 관리가 중요할 것 같은데,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Why요즘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탈모가 증가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요?

탈모의 종류 중 하나인 원형탈모의 일부는 두

피의 모발 외에도 체모, 즉 겨드랑이, 팔, 수염

에서 탈모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치료방법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바로 병원에 내

원하시는 게 필요하다.

잦은 파마나 염색은 피하는 게 두피 손상과 탈

모를 막는 방법이다. 남성분들 경우에는 지루

피부염에 두피에 있는 경우엔 탈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샴푸 후 트

리트먼트 사용하는 게 좋고, 머리를 감고 난

후에는 뜨거운 드라이 바람으로 말리시는 것

보다는 수건으로 가볍게 두드리듯이 물기를

닦아내고 찬바람으로 꼼꼼히 말리시는 것도

탈모를 예방하는 습관이다. 또한 여성의 경우

에는 급작스럽게 많이 살을 빼는 것도 탈모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셨으면 한다.

탈모는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

여 발생하는 질병이다.

안드로겐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의 경우에는

남성호르몬과 유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남녀 모두

에게 탈모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체적ㆍ정신적 스트레스나 갑상선

진환, 영양, 약물 등에 의해서도 탈모가 발생

할 수 있다. 특히 젊은 여성인 경우 다이어트

로 인해 체중이 많이 감소하거나, 빈혈에 의해

탈모가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게 있다.

04 05 06

가을바람이 스산해질수록 머리카락도 허전해지는 사람들이 많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의 오염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탈모,

특히 가을이라는 계절적 특성까지 더해져 탈모환자의 시름은 더욱 깊어만 간다.

올바른 모발관리로 가을 탈모를 예방해보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19

Page 20: 2013 10 행복지기 e-book

꿈을 담은 공간

글·사진 편집실

印章

20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21: 2013 10 행복지기 e-book

류철규 명장의 작은 작업실 한쪽 벽은

그동안 받은 표창장과 상으로 빼곡했다.

액자가 하나씩 늘 때마다

류철규 명장 이름 앞에 붙는

수식어도 늘어났다.

그간 작업했던 작품만 모아도

경부고속도로를 채울 만큼

그 숫자를 헤아리기도 어렵다.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 이제까지

힘든 고비를 견뎌왔다는 류철규 명장,

그가 파 내려간

긴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21

류철규 명장

40여 년 파 내려간

Page 22: 2013 10 행복지기 e-book

꿈을 담은 공간

끝을 봐야 끝난다

류철규 명장이 인장(도장)을 시작한 것은 고등학교 1학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직

후였다. 평소 그의 손재주를 유심히 본 동네 어른들의 권유로 천안에서 대전으로 왔

다. 인장으로 유명한 스승을 찾아가 심부름부터 시작했다. 당시에는 도장 파는 직업

은 인기가 좋았고 배우기만 하면 밥은 먹고 살 수 있었다. 그렇게 어린 나이에 그는

스승의 밑에서 10년을 배웠다.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을 때는 스승의 작품과 똑같이 재현될 때까지 잠을 자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못다 한 공부를 하기 위해 매일 밤, 책을 읽었다. 대학, 중용, 소학, 천자

문 등 서책들을 읽으며 한자와 함께 그 속에 담겨있는 인생이 그에게 스며들었다.

비울수록 더 많이 갖게 되는 인생

2002년, 그는 처음으로 명장에 도전했다. 인장이라면 눈 감고도 새길 만큼 자신 있

었던 그였지만 첫 명장 도전은 실패로 끝났다. 그때까지 한 번도 시험에서 떨어져

본 적이 없었던 류 명장이기에 말할 수 없는 충격에 휩싸였다. 그가 다시 태어난 건

그즈음이었다. 그는 지금껏 살아왔던 그를 버렸다. 모든 것을 내려놓았다. 하루 세

갑씩 피우던 담배도 끊었다. 아픈 아내를 돌보느라 묵직했던 가슴 속 짐도 내려놓았

다. 한순간의 다짐이었다. 모든 것을 내려놓자 표정은 온화해지고 마음은 가벼웠다.

그때까지 끌어안고 있던 독소가 모두 빠져나가는 기분이었다.

“저는 성격이 한 번 시작하면 끝을 봐야 하는 사람입니다.

일단 시작했으니 밥이 되던 죽이 되던 해내야 했지요.

시작한 이상 여기에서 최고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했어요.

가족을 책임져야 한다는 의무감이 그 시간들을 견디게 했지요.”印 章

작업은 그를 위로하고 다독여 주었다.

다른 생각이 들지 않으니 마음이 평온해졌다.

밥맛이 좋아지면서 살도 붙었다.

22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23: 2013 10 행복지기 e-book

40여 년 파 내려간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23

류철규 명장

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278(선화동) 구 도청 앞 성호사

전화 042-226-9019

그리고 작업에 몰두했다. 작업은 그를 위로하고 다독여 주었다. 다른 생

각이 들지 않으니 마음이 평온해졌다. 밥맛이 좋아지면서 살도 붙었다.

그리고 그를 둘러싸고 있던 특유의 예민함이 사라졌다. 사람을 대할 때도

자주 웃게 됐다. 그리고 이듬해 2003년, 그는 명장이 되었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가벼워지니 그제야 행운의 여신은 그에게 미소 지었다. 그리고

또 하나, 그때까지 치료 후 후유증으로 걸을 수 없었던 아내가 첫 걸음을

떼었다. 슬픔처럼 기쁨도 한꺼번에 몰려왔다.

인장은 사람의 쉼표

문득 작업실에 가득 찬 그의 작품을 보자 명장 이면에 있는 그의 모습이

궁금했다. 외로운 순간은 없냐고 묻자 류 명장은 이미 외로운 시간을 견

디는 법을 터득했다고 대답했다. 그의 작업대 옆 낡은 라디오는 그가 작

업에 몰두하는 동안 그의 벗이 된다.

사실 명장의 길은 마라톤 선수보다 어렵다. 마라톤 선수는 완주하면 쉴

수 있지만 명장의 길은 완주가 없는 뫼비우스 띠와 같기 때문이다. 명장

은 아무도 없는 길을 달려가야 한다. 그러려면 모든 것을 통달하고 자신

의 일에 자부심이 없으면 견딜 수 없다. 무엇보다 가장 필요한 것은 하고

자 하는 뚝심과 고집이다.

어렵고 힘든 40여 년의 세월이었지만 류 명장은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인장은 사람의 쉼표요, 또 다른 얼굴이기에 그만큼 손

과 마음이 많이 간다. 그의 작품이 단순한 공산품이 아닌 누군가의 이름

이자 얼굴이고 자물쇠가 되기 때문에 인장은 그에게 선물 같은 존재이다.

자신만의 글씨체와 글꼴로 하루 딱 두 작품만 완성한다는 그의 인장은 시

간적 여유 없이 빨리 도장을 갖고 싶은 손님과는 연이 닿을 수 없다. 그만

큼 그의 인장은 특별하다.

류 명장은 훗날 인장박물관을 개관해

아이들과 시민들에게 가까이에서

인장을 선보이는 것이 꿈이다.

언제나처럼 열심히 달려간다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꿈이 이루어져

있을 것이라 믿기에 그는 설렘으로

다른 내일을 기다리는 중이다.

Page 24: 2013 10 행복지기 e-book

힐링 톡톡

글·사진 편집실 자료협조 교육수련실

충남대학교병원명사초청 특강 웃다보니 정말 행복해요

웃으며 살래요

김채송화 한국웃음연구소 소장

카네기 공과대학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실패하는 사람들의 85%는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

하여 실패하는 것이며,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하여 실패하는 경우는 고작 15%에 불과하다고 한다. 인생

에서 그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인간관계이며,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 중의 하나가 바로 웃음이다. 9월 11일(수) 열린 우리병원 명사초청특강에서는 한국웃

음연구소 김채송화 소장이 나와 상대방을 즐겁고 건강하게 하는 웃음에 대해 들려주었다.

24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25: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25

시대를 아우르는 통로, 웃음

웃음은 대화의 통로를 열어주고 상호간의 신뢰감을 높여주는 소통의 중

요한 요인이다. 잘 웃고 유머감각을 갖춘 사람의 주위로는 늘 많은 사람

이 모여들며, 그 사람의 성공 가능성도 그만큼 높다. 21세기의 기업들 역

시 웃음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다. 개인의 창의성과 다양성이 중시되는

정보화시대에 웃음은 경영에서도 중요한 요인이자 성공의 강력한 무기

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웃음은 무엇보다 자신감과 집중력을 높여준다. 일의 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한 웃음은 복지문화를 만들어

간다.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신비로운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웃으면 운동도 되고, 면역체계도 강화된다. 병의 치유에도, 미용에도 도

움이 된다. 그야말로 돈이 들지 않는 만병통치약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떤가? 어떤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

들은 하루에 7번 정도 웃고, 50대가 넘어가면 4번밖에 웃지 않는다고 발

표한 적이 있다. 보통의 성인들에게도 웃음의 횟수는 생각보다 많지 않

지만, 몸이 아픈 환자들이나 마음의 고민이나 갈등에 휩싸인 분들은 웃

는 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잘 웃는 법, 행복하게 웃는 삶

10년 넘게 기업에 웃음관련 강의를 진행해온 김채송화 소장은 행복과 건

강이 기업문화와도 연결된다고 전하며 ‘건강하게 잘 웃는 방법’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다. 웃음은 감기보다도 더 전염이 잘 되고 행복한 웃음은 독

소를 빼준다는 말과 함께 강의실에 모여든 사람들에게 ‘행복한 웃음’을

전파하였다.

“미소가 인위적으로 지을 수 있는 잔잔한 웃음이지만, 건강에 도움이 되

는 웃음은 얼굴근육, 배, 성대까지 동원되는 겁니다. “나는 나를 사랑해”

라고 하며 가슴을 양손으로 가볍게 두드리세요. 그리고 큰소리로 웃으세

요.” 김채송화 소장의 말과 함께 사람들은 너도 나도 동작과 웃음을 따라

했다. 옆 사람이 큰 소리로 복창하니 부끄럽거나 거리낌 없이, 진심으로

“하하호호” 웃는 사람들로 강의실은 웃음만발이었다. 얼굴근육, 배, 성대

까지 동원되는 ‘웃음운동’은 계속 이어졌다. ‘머리를 맑게 하는 웃음’, ‘스

트레스 잡는 웃음’, ‘우울감 해소웃음 등 이어지는 웃음운동으로 강의실

에 모인 사람들의 얼굴에는 환한 웃음이 끊이질 않는다.

행복의 이유는 단순한데서부터 출발한다. 오늘 여기서 웃는다는 것에서

시작한다. 일단 웃어보면 웃을 일이 생기는 것이다. 웃어야 행복하고 웃

어야 건강하고 웃어야 성공한다.

오늘 내가 느끼는 행복감은 옆 사람에게,

나아가 우리사회를 행복하게 하는 요인이다.

웃고 또 웃자.

‘살맛나고 일할 맛 나는 사회’는

내가 웃는 하루에 녹아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선사상과 마음치료

강사 김방룡

일시 10월 23일(수) 16:30~18:00

장소 노인보건의료센터 5층

문의 교육수련실 042-280-8762

10월

10월의 명사초청특강을

소개합니다

CNUH 명사초청특강

Page 26: 2013 10 행복지기 e-book

가로등으로 밤을 잊은

도시와는 달리, 달빛이면 충분했던

시골길에 누워 있으면,

밤하늘의 별을 음계삼아

노래하는 소쩍새 소리가

귓가를 간질인다.

어릴 적 자연은 늘 곁에 둘 수

있는 좋은 벗이었다.

그 자연의 소리를 찾아

공주 마곡사 깊고 깊은

숲속에 작업실을 만든 이가 있다.

먹으로 자연을 노래하는

작가 엄기환이다.

감성을 일깨우는 캔버스 1

글·사진 편집실

맑은 마음을

화폭에 담다

달빛 그림자를

닮은 한국작가

엄기환의 작업실

26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27: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27

소쩍새의 소리를 찾아

작업실 앞으로 흐르는 작지만 웅장한 폭포수, 이슬을 머금어 더 파릇하게 빛나

는 푸른 나무들, 그 위에 둥지를 틀고 자리한 작은 새들과 풀벌레들이 속삭인다.

작업실 밖 풍경은 우리가 그렇게도 찾고 찾았던 ‘힐링의 숲’이다. 이곳에서 작가

는 보이는 대로 그린다. 수많은 산을 다니며 수묵화를 그려왔지만 역시 어릴 적

추억을 찾아 맨손으로 일구어낸 지금의 작업실 밖 풍경만큼 아름다운 소재가 되

는 곳은 없다. 무엇을 그리고, 보는 각도에 따라 늘 다른 작품이 탄생한다.

유니크(Unique)한 숲속 작업실

밤하늘의 달빛과 별빛을 보면서 듣곤 했던 아련한 기억을 찾아 엄 작가가 이곳

에 작업실을 만든 지도 어느덧 12년째다. 이렇게 된 것이 ‘화가는 혼자서 작업을

해야 한다’는 작가의 고집일수도, 이번 생애 작가에게 주어진 운명일수도 있다.

언제라도 손님을 맞이할 수 있는 사랑방과 작업실 곳곳에서 자연의 절경과 소

리를 느낄 수 있다. 폭포수와 만나는 수간교는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고, 돌계단

은 불규칙적으로 쌓아 재미를 더했다. 폭포수 상단 부분에는 잘박하게 발을 담

글 수 있도록 평평한 자리를 만들어뒀다. 맛있기로 유명한 공주 마곡사 밤막걸

리 한 되 받아서 주거니 받거니 하자면, 힘든 세상살이도 물 흐르듯 씻겨 내려갈

것 같다. 작업실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간이 편리하게, 행복하

게 생활할 수 있도록 재창조되고 있었다. 작가의 솜씨가 돋보인다.

인생, 잠시 여행하는 것

시인 나태주는 이렇게 읊었다. ‘아무런 약속도 없이 한 천년 누군가의 그림 속에

들어가 앉아 있다가 문득 세상 일이 궁금하여 뒷짐지고 슬슬 현생(現生)에 나타

난 것 같은 사람’이라고.

엄 작가는 자연에 심취해 혼자 있는 것이 곧 행복이다. 이곳에서의 삶이 잠시 여

행 떠나온 것이기에 욕심과 이기를 버리고 자연과 살 수 있다.

“자연을 바라보면서 홀로 대화를 나누면서 수많은 것을 깨닫게 됩니다.

지금 나는 인간으로 태어났지만, 죽게 되면 또 다른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세상에 모든 자연과 또 다른 모습으로 다시 만날 것입니다.”

엄 작가는 산과 나무, 물과 바위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싶다.

자연을 바라보는 맑은 마음으로 붓끝이 가는대로 먹물의 강약을 만들어내며

작품의 맛을 살린다. 맑고 투영한 달빛 그림자를 닮은 작업실 안쪽 벽에

걸린 작품들을 바라보자니 밖에서 자연의 소리가 조화롭게 들려온다.

어느새 자연과 하나가 되는 듯하다.

“어릴 적 들었던 소쩍새 소리는

아직 찾지 못했지만,

그동안 자연은 물 소리, 새 소리,

바람 소리를 내게 주었습니다.

소쩍새 소리를 찾아 더 깊은

숲속으로 여정을 하게 될 거예요.”

2013 월전미술문화재단 초청작가 지원전

엄기환 작가의 8번째 개인전

기 간 2013.10.23(수)~11.4(월) 12일간

장 소 한벽원 갤러리

서울 종로구 팔판동 35-1문 의 02-732-3777

작업실 충남 공주시 사곡면 회학리 311손전화 010-5456-7314

전시안내

Tip

Page 28: 2013 10 행복지기 e-book

감성을 일깨우는 캔버스 2

글·사진 편집실

그 속에 담긴 풍요로운 이야기

비움,

28 2013 oCToBER 행복지기

오치규 작가의 그림은

간결하고도 단순하다.

담백한 붓질이 스쳐가며 그린

어항 속 물고기 한 마리와

마주하고 있노라면

외로움마저 묻어난다.

하지만 커다란 화폭을

헤엄치는 물고기 옆으로

흐르는 여백 속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두런두런 들려온다.

깊디깊은 해저의 심연처럼,

그의 그림이 들려주는

여백의 미는 그 끝을 알 수 없는

상상의 여지로 가득하다.

작가 오치규가

말하는 ‘여백’

Page 29: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29

그리지 않은 것들을 그리는 화가

충남 대천, 바닷가 마을에서 나고 자란 소년 오치규. 살고 있던 집도, 다

니던 학교도 모두 바닷가 근처였다. 그에게 바다는 그 속을 가늠할 수 없

는 깊이로 다가오기도 하고, 조개, 고동, 게 등 바다 속 수많은 것들이 모

래사장 위로 올라오는 모습에서 무궁무진한 스토리가 함께 떠오르는 이

면의 공간이었다. 그의 그림 속에 자주 등장하는 물고기는 유년의 바다

가 어느 정도 투영되었음이 짐작이 간다.

“물고기는 사람을 형상화한 거예요. 사람들은 공기를 마시며 살지만 정

작 공기가 나빠져도 쉽게 알지 못하죠. 보이지 않으면 몰라요.”

그렇게 탄생한 물고기 그림들은 화폭뿐만 아니라 직접 만든 도자기에서

도, 달력에서도 넘실넘실 헤엄치고 있다. 여백의 바다를 자유롭게 헤엄

치며 넘나드는 물고기들을 보며 사람들은 상상의 바다를 헤엄친다. 관객

은 그림과 대화하고 때론 작가와도 대화하며 생각의 무한한 확장을 연다.

물고기와 어항의 단조로운 그림은 금세 풍성한 이야기로 꽉 차 오르며 그

리지 않은 것들을 생각하고 상상하게끔 한다. 여백과 여백 사이를 생동감

있게 스쳐가는 거칠고도 미려한 붓질, 그 검은 선이 그려낸 물고기며 나

무, 새, 어항 등은 섬세함이 넘친다. 그렇게 여백과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이야기는 끝없이 재해석하고 정진하는 작가의 치열함이 담겨 있다.

“일본 유학 시절, 지도교수님께서 제 그림을 보고 먹으로 생각하는 그림

이라는 뜻의 ‘묵상화’라는 이름을 붙여 주셨지요. 추상이든 비추상이든

형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 속의 느낌이 중요한 것이죠. 제 그림을 보

면서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여백의 모든 것을 말하다_ ‘오치규의 餘白’

오치규 작가는 충남대학교 산업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

실은 여타 교수들의 연구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짱구, 아톰, 하울

의 움직이는 성 등 만화 캐릭터 모형부터 제자들이 그려준 캐리커처, 오

랜 시간 모아온 피규어 등이 가득하다. 공간 곳곳에 가득한 모형과 인형

들 사이로는 그가 보는 수많은 책들도 빼곡하다. 미술전문 서적은 물론

시집, 수필, 인문학 서적까지 다양한 분야의 책이 가득한 이곳은 무질서

한 듯 보이지만 나름의 질서와 흐름이 엿보이는, 그에게 영감을 주는 또

하나의 공간이다.

“무질서 속에는 또 다른 질서가 있습니다.

가장 긴박한 순간에 맛보는 여유는 짜릿하죠.

제 작품들이 말하는 여백에서 이런

‘생각의 반전’을 찾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오치규 작가는 조만간 ‘여백’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열 계획이다. 그림 뿐 아니라 도자기, 철재를 활용

한 설치미술 등 색다른 시도가 엿보이는 이번 전시

회에서 그는 또 다른 가능성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회를 여러 번 열지만 매번 새로운

구성과 시도를 선보이려고 노력합니다.

이번 전시회를 찾는 분들이

제 그림을 보며 스스로 해석하는

즐거움을 느끼시면 좋겠네요.”

작업을 즐기며 늘 새로움을 시도하고

시험하는 오치규 작가,

그가 펼치는 실험은 유쾌하고도 자유롭다.

그리지 않은 것들까지 풍요롭게 담아내는 그림,

비움의 미학을 갖춘 즐거운 작품을 만드는

그의 붓은 오늘도 힘차게 움직이고 있다.

오치규의 餘白

기 간 2013. 10. 16(수)~11 .8(금)

장 소 BIBI SPACE 대전 유성구 도룡동 395-28문 의 042-862-7954

전시안내

Tip

Page 30: 2013 10 행복지기 e-book

길 위의 느낌표

글 편집실 자료협조 대전 오-월드

살갗에 닿는 바람이 서늘해짐을 느낀다. 길고 긴 뜨거웠던 여름 끝에

코끝을 향기롭게 물들이는 국화의 계절 가을이 드디어 왔다. 따뜻한 국화차와 함께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가 읽고 싶어지는 이 계절.

가을과는 뗄 수 없는 꽃 국화 찾아 가을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대전 오-월드로 가보자.

- 대전 오 월드 가을국화축제

이 가득한

하늘이 있는 그곳

30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31: 2013 10 행복지기 e-book

관광문의 대전 오-월드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공원로 70(사정동) Tel 042-580-482010월 개장 시간 평일 09:30-18:00 주말 09:30-20:00

긴 역사와 다양한 품종을 가진 국화꽃이 피는 가을이면 전

국 각지에서 국화꽃 축제가 열린다. 그 중 우리 지역 대전

오-월드에서 열리는 가을 국화 축제는 가족, 연인과 함께

가기 손색없는 축제 중 하나이다.

대전 오-월드 가을 국화 축제는 올해 제3회를 맞이한 전국

국화 작품 전시회를 중심으로 플라워랜드 전체를 색색의 국

화로 꾸며 국화를 이용한 수준 높을 다양한 작품들을 물론

카메라 셔터를 누를 수밖에 없게 하는 아기자기한 국화 꽃밭

과 포토존까지 진한 가을의 정취를 느끼고 싶어 하는 이들에

게 안성맞춤이다. 이 밖에도 눈부신 호수와 두 귀를 즐겁게

해주는 야외공연, 입안을 가을로 물들이는 국화차 시음 행

사도 준비되어 있다.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향긋한 국화 내음으로 가득 채워주

고 싶다면 향기로운 가을 빛 낭만을 즐길 수 있는 가까운 대

전 오-월드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중략)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 서정주 ‘국화 옆에서’

Travel TIP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31

Page 32: 2013 10 행복지기 e-book

달콤한 초대장

감수 영양팀 나은주 팀장(병원보 기자)

••• 만드는 방법 •••

볼에 물을 붓고 어린잎채소를 넣어 씻어준다. 방울토마토는 반을 잘라주고 블루베리도 잘 씻어 준비한다. 바나나는 얇게 슬라이드하

고 피스타치오도 껍질을 분리해둔다(마른 팬에 살짝 볶아주면 식감이 더욱 좋다). 리코타 치즈는 시중 판매된 제품을 이용해도 좋고, 우유

에 레몬즙을 넣고 끓이면 즉석에서 만들 수 있다. 준비된 재료를 접시에 담고, 매실 효소를 뿌려 달콤한 맛을 더한다.

여유로운 아침을 만끽하다달콤 든든한 브런치 요리

블루베리 바나나 치즈 샐러드

어린잎채소 한 줌, 냉동 블루베리 1줌, 방울토마토 4개, 바나나 1개,

리코타 치즈 50g, 피스타치오 5개, 매실효소 2큰술

Tip

어린잎채소는 잎이

여리기 때문에 흐르는 물에

씻기 보다는 담근 물에

손으로 살살 씻는 편이 좋다.

식초를 소량 넣어주면

비타민 손실을

줄일 수 있다.

Recipe 1

32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33: 2013 10 행복지기 e-book

••• 만드는 방법 •••

마늘은 굵게 다져 준비한다. 팬에 포도씨유를 3큰 술 두르고 굵게 다진 마늘을 넣어 노릇하게 볶는다. 마늘이 노릇해지면 고슬하게

지어진 밥을 넣고 섞어준다. 볶아진 밥은 한쪽 귀퉁이에 몰아넣고 오일을 조금 더 두른 후 계란 2개를 넣어 섞어준다(에그 스크램블을 만들

듯 섞어준 후 볶아진 밥과 다시 섞는다). 빛소금과 굴소스를 약간 넣어 마무리 간을 한다.

바쁜 일상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여유롭게 즐기는 아침식사는 간절한 바람이다.

주말 오전, 한 주간 바쁘게 지내온 나 자신에게 여유로운 포만감을 선물해보는 건 어떨까?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블루베리와 항암효과가 뛰어난 마늘을 넣은 브런치 요리로 달콤하면서도 든든한 아침을 만끽해보자.

자료 협조 한사랑 블로그 http://hiinyoun.blog.me/

Tip

계란을 섞을 때는

마구 섞는 것이 아니라

이따금씩 뒤적거려줘야

계란이 굵직하게 된다.

마늘 계란 볶음밥

밥 1공기, 계란 2개, 마늘 4쪽, 빛소금, 포도씨유, 굴소스 약간

Recipe 2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33

Page 34: 2013 10 행복지기 e-book

옛길의 실루엣

글·사진 편집실

대전중앙시장

백 년의 시간을 품은

전통시장

traditional market

34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35: 2013 10 행복지기 e-book

정성으로

한 땀 한 땀 지은

저고리와 이불 자수 등에는

고객들의 시작을 축하하는

상인들의 고운 마음씨도

함께 깃들어 있는 듯하다.

주소 대전시 동구 원동 51-1

중앙시장

중앙로

역대전역

우리은행

하나은행

목척교

대흥동네거리

대전과 함께 시작한 장터

1095년(고종 42년), 경부선 철도가 대전을 경유하여 개통하면서 대전

의 역사도 시작된다. 중앙시장의 역사는 대전의 탄생과 함께하고 있다.

1914년 대전을 기점으로 하는 호남선이 유등천을 지나며 개통이 되었

고 대전역을 중심으로 재화와 물류이동이 집중되며 자연스럽게 시장이

태동한 것이다. 인동 우시장과 함께 우시장으로 유명했던 중앙시장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한강 이남을 대표하는 최대 규모의 시장으로

번성했다. 지금도 중앙시장에 가면 세대를 초월한 인파가 이곳의 질 좋

고 저렴한 물건을 구경하기 위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없는 것 빼고 다 있다’는 중앙시장은 혼수전문시장으로도 명성이 자자

하다. ‘인륜지대사’인 혼인을 앞둔 예비부부들에게 꼭 필요한 그릇과

올올히 고운 한복과 이불 등을 파는 전문상점들이 포진해 있어 새 출발

을 앞둔 예비가족들이 설레는 마음으로 이곳 시장을 찾고 있다. 정성

으로 한 땀 한 땀 지은 저고리와 이불 자수 등에는 고객들의 시작을 축

하하는 상인들의 고운 마음씨도 함께 깃들어 있는 듯하다.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35

지하철 대전역 1번 출구 ▶ 150m 도보 이동

시내버스 102번, 103번, 311번, 501번, 511-1번, 511-2번, 514번 중앙시장 앞 하차

Page 36: 2013 10 행복지기 e-book

2006년부터 식목일은 공휴일에서 제외되었

다. 공휴일 제외 이유에 대해 방과 후, 퇴근

후에도 나무를 심을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사람들의 재미있는 추측들이 무성했다.

식목일은 1949년 대통령령으로 공휴일이

되었다가 1960년 다시 폐지되었고, 1961년

또다시 식목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공휴일로

부활되었다. 그러나 2005년을 끝으로 다시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국군의 날은 3사단 23연대 병사들이 강원

도 양양에서 38선을 넘어 북진한 것을 기념

하는 공휴일로 1990년 11월, 한글날과 함께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공휴일 완화와 연휴에 따른 국민 생활 불편

해소, 경제 난국 극복 등이 이유였다.

2008년부터 제헌절은 공휴일에서 국경일로

바뀌었는데 유일 무일한 ‘공휴일이 아닌 국

경일’로 지정되었다.

이는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에 의한 주 40시

간 근무제가 실시되면서 휴일이 미국이나

일본보다도 많다는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된

것이다. 제헌절은 현재 ‘무휴 국경일’로 휴일

이 아닌 유일한 국경일이다.

사라진 휴일,

부활한

휴일

DATE

4월 5일

DATE

10월 1일

DATE

7월 17일

식목일 국군의 날

제헌절

트렌드 따라잡기

글·사진 편집실

36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37: 2013 10 행복지기 e-book

BONUS TIP

10월 9일, 달력에 빨간 표시가 하나 더 늘었다. 바로 한글날이 국경일로 부활한 것이다.

개천절과 더불어 10월의 새로운 공휴일로 지정되면서 한글날은 다시 한 번 우리에게 되새겨지고 있다.

직장인, 학생들에겐 한 박자 쉬는 여유를 선물하는 휴일. 광복 이후 다양한 국경일이 생겼고

세월에 따라 모습을 감추거나 다시 드러내기도 하였다. 사라지거나 부활한 휴일들은 어떤 날들이 있을까?

국제연합(UN) 창설과 발족을 기리는 유엔의

날은 가장 오래 전 폐지된 공휴일이다.

국제적 기념일을 우리나라 법정 공휴일로

기렸던 이유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국제

적 승인과정에서 UN의 역할이 컸기 때문에

이를 기리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1976년 공

휴일에서 제외되었고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

라진 휴일이 되었다.

설ㆍ추석 연휴가 공휴일과 겹치거나 어린이

날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과 겹치면 그다음

첫 번째 평일이 공휴일로 지정되는 대체휴

일제가 올해 10월부터 시행된다.

전통문화 계승과 귀성객의 편의증진, 저출산

시대 자녀 양육을 위한 대체휴일제 도입으

로 한결 더 여유로운 대한민국이 기대되고

있다.

국군의 날과 함께 1990년 공휴일에서 폐지

되었던 한글날이 다시 공휴일로 부활했다.

올해 10월 달력을 보면 살며시 미소부터 지

어지는 건 한글날의 공휴일 부활 때문이 아

닐까. 국제적으로 한글에 대한 위상이 높

아지고 국민들 사이에 한글에 대한 자부심

이 고조돼 다시 공휴일로 지정된 한글날은

1991년 국경일에서 제외되었고 2006년 훈

민정음 반포 560돌을 맞아 다시 국경일에

포함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공휴일로도 지

정되었다.

DATE

10월 24일2014첫 시행

DATE

10월 9일

유엔의 날 대체휴일제

한글날

2013년 현재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국경일

3ㆍ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3월 1일 7월 17일 8월 15일 10월 3일 10월 9일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37

Page 38: 2013 10 행복지기 e-book

Clinical TrialsCenter

보건복지부 지역임상시험센터 사업을 마치며

우리 의료인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치료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없는 새롭고 획기적인 약물이 나오기를 늘 기대한다.

현대 의료의 기술과 지식으로 모든 질환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고통을 호소하는 희귀병질환이나 말기암 환자를 진료하는 경우에는 종종 그 한계를 절감하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길은 새로운 신약과 의료기술을 개발하는 것인데 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임상시험센터이다.

종합병원이상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의료인이라면 한 번쯤은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려는

임상시험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원형 교수

마취통증의학과

38 2013 oCToBER 행복지기o p e n Y o u r d r e a m 꿈 표지판 1 글 마취통증의학과 이원형 교수

Page 39: 2013 10 행복지기 e-book

새로운 신약을 개발한다는 것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보면

고부가·고위험 사업으로 꼽힌다. 즉 성공하면 대박이고

실패하면 쪽박인 것이다. 비교적 최근 개발된 블록버스터

로 꼽히는 신약은 많은 분들이 잘 알고 있는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이 좋은 예이다. 기업에서 한 제품의 순이익이 10%

이면 매우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신약개발은 투자에

대한 순이익이 30%를 넘기 때문에 기업이나 국가적으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미래성장 동력임에 틀림이 없다. 이러

한 배경으로 보건복지부에서는 2004년부터 국가적 사업으

로 약 600억 원을 투자하여 전국에 15개의 지역임상시험센

터를 설립하고 우리나라의 신약개발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충남대학교병원의 임상시험센터도 2008년 4월 보건복지부

로부터 지역임상시험센터로 지정되었다. 5년간 보건복지부,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 관련기업(보령제

약, 중외제약, 한미약품), 그리고 본원으로부터 총 92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 받아 임상시험 인프라 확립과 국내외 협력 네

트워크를 통하여 명실공히 국제적 수준의 임상시험센터를 구

축하여 왔다.

본 임상시험센터는 암센터 5층(1139㎟)에 전용공간을 확보

하여 임상시험에 필요한 각종 시설 및 장비를 구축하고,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 2013년 현재 지역임상시험센터 지정 전에

비해 400%이상의 성과를 거두어냈다. 또한 IRB(임상시험심

사위원회)의 임상시험 승인건수는 2008년 77건에서 2012년

264건으로, 총 계약된 임상시험 연구비는 2007년 연간 10.6

억 원에서 2012년 53.4억 원으로 약 500%이상 성장하는 괄

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은 임상시험센터를 도와주신 보건복지

부를 비롯하여 대전광역시, 제약기업 그리고 병원 당국의 전

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 기회를 통하여

머리 숙여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충남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는 임상시험 중에 가장 어렵다

고 하는 1상 임상시험의 경우 2008~2010년 생물학적동등성

시험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0년 1건을 시행한 이래 2012년

에는 13건을 수행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2012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승인한 건강자원자 대

상 의약품 1상 임상시험 현황을 보면, 서울대학교병원

에 이어 충남대학교병원이 전국 2위를 기록하는 쾌거

도 이루었다.

지난해에는 환자를 대상으로 항악성종양제제의 생물

학적동등성시험을 국내 최초로 유일하게 안전하고 성

공적으로 수행을 완료하여 관련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건강한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Aripiprazole과 같은 항정신병약물과 Imatinib,

Erlotinib과 같은 항악성종양제제 등의 생물학적동등

성시험을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도 했다. 이러

한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국내 제약기업 뿐만 아

니라 Pfizer(미국), GSK(영국), Merck(미국)와 같은

글로벌 제약기업의 생물학적동등성시험과 1상 임상시

험 제의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년부터는 의생명융합연구센터로 확장이전 및 임상

시험 글로벌선도센터에 지원하여 임상시험의 글로벌

화에 주력할 계획이며,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연구중심병원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제2병원으로 발전하게 될 충남대학교병원 세종

의원과 연계하여 신약개발 및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하

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 동안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보건복지부,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병원, 의과대학동창회를

비롯한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39

Page 40: 2013 10 행복지기 e-book

자료협조 국민건강보험 대전지역본부

문의 1577-1000대전지역본부

중증질환 재난적 의료비 한시적 지원사업 실시(~12. 31)

•과도한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가계 고통을 덜기 위하여 중증질환을 대상으로 의료비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원대상 암/뇌혈관/심장질환/희귀난치성 중증질환자 중 저소득층 및 의료비 과부담 가구

•지원내용 선택진료비 등 비급여를 포함한 의료비 본인부담액의 일정 부분

•지원조건 소득 수준별 본인부담 진료비가 일정수준 이상인 세대

•치매환자의 실종 예방과 휠체어 사용자의 이동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배회감지기와 경사로(휴대용)가

노인장기요양 복지용구 급여품목으로 지원된다.

배회감지 서비스

치매 증상 어르신의 위치를 GPS와 통신을

이용하여 가족이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

치매환자 배회감지기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지원

경사로

휠체어 이동이 어려운 지형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 휠체어 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기

•이용대상 배회감지기: 치매로 인해 외출 중 길을 잃는 등의 증상이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

경사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 누구나 복지용구사업소를 통해 신청·대여 가능

•이용(대여) 비용 배회감지기: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 연 3만 5,640원 (※기존 연간 약 25만 원)

경사로: 월 3,450원 이하

소득 기준 의료비 지원 조건(비급여 포함)

•의료급여수급자, 차상위계층 •본인부담금 150만 원 초과

•최저생계비 200% 이하(건강보험료기준) •본인부담금 300만 원 이상

•최저생계비 300% 이하 •본인부담금이 연소득의 20% 이상인 경우

Page 41: 2013 10 행복지기 e-book

문의 1577-1000

자료협조 안전행정부 창조정부기획과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한번의 신청으로 모든 행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행정 시스템을 바꾸겠습니다.

정부가 보유한 원천 데이터를

최대한 개방하겠습니다.

개방에 대한 요구가 많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데이터들은 단계적으로 개방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효율적인 정부가 되겠습니다.

모든 정보를 각 부처가 서로 공유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겠습니다.

기업이 원하는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기업특성별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정부가 하는 일을

소상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보는

모든 과정을 사실 그대로

사전에 공개 하겠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정부가 되겠습니다.

정책 전 과정에 국민 여러분의 참여를 확대

하고, 다양한 협업 공간을 마련하겠습니다.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고

협업체계를 정착시키겠습니다.

부처 중심이 아닌 과제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을 바꾸어 성과를 내는

정부가 되겠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구현하겠습니다.

다양한 정보분석을 통해 주요 정책과제를 발

굴하고, 국가의 미래 전략을 수립하겠습니다.

어려운 분들을 직접

찾아가겠습니다.

최접점 민원창구를 확대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늘려 가겠습니다.

정보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정부가 되겠습니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는 스마트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편리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행복한 대한민국을 여는 정부 3.0

Page 42: 2013 10 행복지기 e-book

암환자를 위한

식단 전시회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에서는

암환자를 위한

식단 전시회를 실시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주 제

영양관리로 암극복!

암환자에게 희망을!

일 시 2013년 10월 8일(화) 10:00~16:00

장 소 대전지역암센터 2층 로비 및 강당

주 최 충남대학교병원

주 관 대전지역암센터

내 용

가. 암환자를 위한 영양식단 전시회

나. 암환자를 위한 음식 시식회

다. 암환자 영양상담

M e n uE x h i b i t i o n

Page 43: 2013 10 행복지기 e-book

충남대학교병원 10월 명사초청특강

선사상과

10월 23일(수) 충남대학교병원에서는 교육수련실 주관으로

충남대학교 철학과 김방룡 교수로부터

‘선사상과 마음치료’를 주제로 명사초청특강을 진행합니다.

강사 김방룡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일시 2013년 10월 23일(수) 오후 16:30~18:00

장소 노인보건의료센터 5층 강당

대상 전 직원 및 환자가족

문의 042-280-8762 (교육수련실)

Page 44: 2013 10 행복지기 e-book

눈의 시력이 떨어지고, 눈의 통증과 구토, 두통. 평상시 늘 하던

대화도 말하기가 불편해지고, 팔다리의 감각 및 운동력도 떨어지는

증상, 간질 발작을 일으키기도 하는 뇌종양은 왜 생기는 걸까?

뇌종양은 뇌의 조직에 생기는 1차성 뇌종양과 다른 조직의 암이 뇌로

전이되어 생기는 2차성 뇌종양인 전이성 뇌종양이 있다. 다양한 종류의

뇌종양은 예후도 종류에 따라 다른데, 제거수술이나 화학용법,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는데, 잘 치유되는 것도 있는 반면 자주 재발하는 뇌종

양도 있다.

왜 뇌종양이 발생하는지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고, 현재까지의

연구로는 유전적인 요소가 뇌종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암 발생처럼, 건강한 세포가 유지되고 종양이 발생되지

않도록 막는 ‘종양억제유전자’들이 제대로 기능을 못하거나 억제되었을

때 종양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포종

양유전자’가 정상적인 세포를 악성 세포로 변환시켜서 종양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암 중에서도 예후가 좋지 못한 뇌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계발을 위

해 다각도에서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는데, 그 중 유력한 단백질이 피에

이치에프20(PHF20)이다.

뇌종양 환자의 혈액에서 PHF20의 자가면역항체가 밝혀지면서 처음

알려진 PHF20는 Glioma-expressed antigen 2, GLEA2라고도 불

리며 뇌종양 환자 중PHF20 항체를 가진 환자가 17.4개월의 생존율

을 보였다면, PHF20 항체를 가지지 않은 환자의 생존율은 고작 7.2

개월밖에 되지 않는 것이 뇌종양 관련 저널에 보고가 되면서 관심

을 받게 되었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박종선 교수 연구

실-MDCSL(Metabolic Disease and Cell Signaling Lab)에서는 대사

질환관련 신호전달 및 암 대사관련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며, 대표

적인 oncogene(종양형성유전자)로 알려진 PKB에 의해서 조절되는 새

로운 하위단백질을 찾는 과정에서 PHF20가 PKB 기질 단백질임을 찾

아냈다. PHF20의 기능은 세포내에서 DNA 손상이 왔을 때 DNA복구

박종선 교수

충남대학교 감염신호네트워크응용연구센터(ISNRC): 약리학교실

o p e n Y o u r d r e a m 꿈 표지판 2 글 박종선 교수

를 위해 증가하는

p53(암 발생 억제 유

전자)이라는 단백질

을 불안정화 시키면

서 p53의 기능을 저

해하기 때문에 암세

포가 살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혀냈다(그림 참조). 또한 최근 같은 약

리학교실 허강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PHF20의 과발현

이 TNFα/NF-κB 신호전달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켜 뇌종

양에서의 발현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본 연구실에서는 PHF20단백질이 과발현된 마우스와

PHF20 단백질을 각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제거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PHF20의 암에서의 기능 및 대사질환에의 영향

등을 밝히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충

남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김선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뇌

종양에서 PHF20의 주요 작용 기전을 분자적 수준에서 규

명함으로서 현재 특별한 치료제가 없는 뇌종양의 새로운 치

료제 기술개발 및 직접적으로 임상에 응용 가능한 후보물

질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

직까지 많이 밝혀지지 않은 PHF20의 분자적 조절·기전에

대한 연구는 대사성 질병을 비롯하여 여러 암 치료에 있어

서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종선 교수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및 차세대바이오 지원사업을 통하여, 당뇨·비만 및 대사관

련 질환 연구와 암세포 특이적 신호전달 과정 연구로 향후

암 치료 물질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대사성 질병 및 세포 신호전달 연구실 구성원 (MDCSL)

첫째 줄 왼쪽부터 공계영, 박지수, Robin Shrestha, 권민주

둘째 줄 왼쪽부터 Quangdon Tran, 박종선 교수

뇌종양과 PHF20

PKB 신호전달의 새로운 구성요소인 PHF20의

인산화잔기와 분자적 조절기전

44 2013 oCToBER 행복지기

Page 45: 2013 10 행복지기 e-b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45

당신의 후원을 기다립니다.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VELoPMENT FUNd

충남대학교병원 발전후원회 가입자격 및 형태

•누구든지 후원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의학발전과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시고자 하는 모든 분들이 후원자가 될 수 있습니다.

•어떠한 형태의 후원도 환영합니다.

현금, 주식, 유가증권 등 일체의 동산과 부동산 및 지적재산권은 물론 여러분의 관심도 좋은 후원입니다.

•후원금은 우선 약정하시고 추후 납입하셔도 됩니다.

후원회 참여 및 납부방법

•참여방법: 가입을 희망하시는 분은 발전후원회로 전화를 주시거나, 방문 또는 가입신청 및 약정서를 다운로드 받아

작성하셔서 팩스나 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후원금 납부방법

•방문입금: 발전후원회를 방문하시어 후원금을 직접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계좌입금: 하나은행 627-031757-01904 (예금주: 충남대학교병원장)

•자동이체(CMS): 약정하신 분의 지정계좌에서 충남대학교병원으로 매달 약정하신 금액이 자동으로 이체되는

편리한 서비스입니다.

•지로납부: 지로용지는 후원회 사무국으로 연락주시면 즉시 보내드리겠습니다.

후원자 예우

•병원의 간행물(병원보, 달력 등)을 우송해 드립니다.

•병원을 방문하시면 진료편의(외래예약, 진료, 입원 등)를 제공해 드립니다.

•회원 본인과 배우자에게는 진료비 감면의 혜택을 드립니다.

•회원 본인과 배우자에게는 건강검진의 혜택을 드립니다.

•회원 본인의 성명을 건물 또는 조형물에 각인하여 보존합니다.

•회원 본인의 마스크를 부조하여 제막식을 거행해 드립니다.

후원자 세제혜택

•개인종합소득, 사업소득세 및 상속세 산정 시 과세금액에서 제외됩니다.

•법인의 기부금액은 소득 금액 범위 내에서 손비로 산입됩니다.

•기부자 또는 단체, 법인에게 세제감면을 받으실 수 있는 영수증을 보내드립니다.

후원회 관련 문의

•주 소: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충남대학교병원

발전후원회 사무국

•전 화: 042-280-7025, 7026

•팩 스: 042-280-7024

•이메일: [email protected]

가입신청 및 약정서 다운받기

(http://www.cnuh.co.kr)

팩스, 우편발송(후원회 사무국)

•전화 042-280-7025, 7026

•팩스 042-280-7024

후원금 납부

Page 46: 2013 10 행복지기 e-book

후원회원 가입신청 및 약정서

1972년 개원한 충남대학교병원은 의학발전을 선도하는 인간중심병원으로 21세기와 국제화 시대를 이끌어 가는 세계 속의 초일

류병원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귀하를 충남대학교병원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여 주실 든든한 후원자로 모시고자 합니다. 재정적

후원뿐만 아니라 사회 여러분야에서 쌓은 경륜과 지혜를 충남대학교병원의 발전에 더하여 주십시오. 충청권 대표병원으로 위상

을 높이고 소중한 지역민의 병원으로 거듭나도록 사랑과 관심, 위로와 격려 그리고 용기를 아낌없이 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후 원

회 원

정 보

■ 성 명(단체명)■ 주민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 직 장 명 ■ 직 위

■ 직장주소 ■ 직장전화

■ 자택주소 ■ 자택전화

■ E-mail ■ 휴 대 폰

■ 신 분 □ 기타( ) □ 동문 □ 충남대학교교직원 □ 충남대병원임직원

후 원 내 용

금 원정 (₩ )

□ 현금 □ 유가증권 □ 부동산 □ 현물 □ 기타

현물(유가증권, 부동산포함)의 종류:

후 원 방 법

□ 일시납( 원)

□ 매 월( 원)

□ 총금액( 원) 약정후 분할납( . 월부터 . 일까지)

( 원씩 회)

□ 기타

납 부

방 법

■ 입금방식 □ 방문입금 □ 계좌입금 (하나은행 627-031757-01904 충남대학교병원장)

□ 자동이체(CMS) □ 급여이체 □ 지로입금 □ 기 타

■ 자동이체 (CMS) 약정

출금계좌번호: 은행명: 예금주:

결제일: □ 매월1일 □ 매월15일 □ 매월25일 □ 기타( 일)

후 원 용 도 □ 병원발전기금(교육·연구·시설 등) □ 제2병원 건립 준비기금 □ 기타

위와 같이 충남대학교병원 발전후원회 사업에 동참할 것을 약정하며, 귀회의 회원이 되고자 합니다.

2013 년 월 일

성명 : (인)

충 남 대 학 교 병 원 발 전 후 원 회 장 귀 하

Page 47: 2013 10 행복지기 e-book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 본관

※진료시간표는 각 과별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내원 전 진료예약센터 042-280-7123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진료장소를 색상별로 구분하였습니다. ■ 본관 ■ 소아병동 ★ 외래진료 후 예약가능 (●:선택진료 / 진료:진료교수 / 전임:전임의)

[2013년 10월]

외래진료 시간표 ❶대표국번은

280국입니다.■종합건강증진센터 042-280-7878

■장례식장 042-280-8181

■진료협력센터 042-280-7020

■공단검진 042-280-8530~1,6■대표전화 042-280-7114

042-280-7123■외래진료예약

(팩스) 042-280-7021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 본관

내 과(7127)

호흡기(7147)

김선영 폐종양, 결핵, 천식, 폐암 - 해외출장 -

김주옥 폐종양, 결핵 및 호흡기질환 수, 목 화 ●

정성수 간질성 폐질환, 결핵 및 호흡기질환 화, 금 목 ●

박희선 천식 및 호흡기질환, 폐종양, 결핵 - 해외연수 -

문재영 중환자진료, 폐렴,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만성폐쇄성폐질환 월

정재욱 폐종양, 결핵 및 호흡기질환 월 전임

박동일 폐종양, 결핵 및 호흡기질환 수 전임

내분비대 사(7140)(7136)(7137)

송민호 내분비대사질환, 갑상선, 골다공증,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월, 목

구본정 당뇨병, 대사증후군, 내분비대사질환 화, 수(11~12시), 목 월, 수

조영석 내분비대사질환, 갑상선, 골다공증,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 해외연수 -

김현진 당뇨병, 대사증후군, 내분비대사질환(갑상선, 골다공증) 월, 금 화, 금

김군순 내분비대사질환, 갑상선, 골다공증,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노인내분비대사질환(노인센터) 목, 금 화, 수, 목

이주희 내분비대사질환, 갑상선, 골다공증,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갑상선초음파(암센터 3층) 화 월, 화(초음파), 목 진료

정경혜 내분비대사질환, 갑상선초음파(암센터 3층) 월 월(초음파) 전임

홍준화 내분비대사질환, 갑상선초음파(암센터 3층) 목, 금 목(초음파) 전임

신 장(7141)(7122)

이강욱 신장질환, 고혈압, 이식, 투석 월, 화, 목 수 ●

나기량 신장질환, 고혈압, 이식, 투석, 신장초음파 월, 금 화, 목 ●

최대은 신장질환, 고혈압, 이식, 투석, 신장초음파 화, 목 월, 금 ●

감 염(7126)

김연숙 발열과 감염질환(예방접종, 해외여행자클리닉) 화, 금 월, 목 ●

손경목 발열과 감염질환(예방접종, 해외여행자클리닉) 월, 수 화, 수 ●

일반 (7127) 일반의 내과 일반질환 월~토 월~금

정형외과(7340)(7341)

이준규 척추외과, 요통클리닉, 요추부질환 월, 수 ●

황득수 고관절(관절경, 인공관절), 퇴행성슬관절 월, 수 ●

신현대 소아정형외과, 수부외과, 골연장 및 변형교정, 류마티스관절염 목 ●

안재성 경추 및 요추질환, 척추외상, 척추기형, 골다공증 목 화, 목 ●

양준영척추질환(척추퇴행성병변, 척추기형, 척추최소침습적수술(내시경), 척추골절 및 신경손상, 척추골다공증 등), 골연부조직 종양

화, 금 ●

김영모 슬관절질환(관절경, 인공관절), 슬관절주위 골절 및 외상, 스포츠 손상 화 ●

김경천 어깨관절 클리닉 화 ●

강 찬족부족관절질환(관절경, 인공관절, 족변형 교정), 당뇨 및 류마티스성 족부병변, 족부족관절 외상, 골절 및 스포츠 손상

수 수 ●

주용범 무릎질환, 관절염, 인공관절수술, 관절경, 하지외상, 골절 금 월 ●

차수민 수부 및 상지질환 금

박준영 척추질환 화, 금 진료

신경외과(7360)

송시헌 소아신경외과, 뇌종양, 뇌성마비 화, 금 ●

염진영 척추질환, 요통 월, 목 월 ●

고현송 뇌혈관질환(뇌졸중), 뇌혈관내 수술, 뇌혈관 감마나이프, 두부외상 화, 목 화 ●

김선환 뇌종양, 감마나이프, 두통, 간질, 안면경련, 삼차신경통, 뇌출혈, 두부외상 수 월, 수 ●

최승원 척추질환, 척추내시경, 만성통증, 두부외상, 신경조절술 - 해외연수 -

권현조 뇌혈관내수술, 뇌혈관질환, 두부외상, 뇌출혈, 뇌졸중 화, 금 금 ●

배규성 신경외과 일반질환, 척추 및 두부외상 금 목 전임

흉부외과(7370)

임승평 흉부종양외과, 흉강경수술(폐종양, 기흉, 다한증) 화, 목 ●

유재현 소아심장외과, 흉부내시경수술, 다한증, 기흉, 오목가슴클리닉, 혈관외과 화 수 ●

나명훈 성인심장외과, 관상동맥외과, 흉부 및 복부대동맥외과 목 월 ●

강신광 성인심장외과, 관상동맥외과, 혈관외과, 하지정맥류 월 금

강민웅 흉부종양외과, 흉강경수술(폐종양, 기흉, 다한증) 수, 금 ●

일반의 흉부외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성형외과(7380)

강낙헌 안면윤곽(사각턱, 주걱턱), 악안면외상및기형, 구순열 및 구개열, 미용성형(눈, 레이저) 수, 금 월 ●

오상하 재건클리닉, 유방클리닉★, 코성형클리닉★ 월, 목★ 화★ ●

송승한 눈성형, 안면주름성형, 흉터성형, 악안면외상, 사지재건 화, 토 목

일반의 성형외과 일반질환(수술중진료×, 성형외과 외래 확인후 내원) 금

피부과(7700)(7701)

이증훈 건선, 유전성피부질환, 건선클리닉★ 화 월(2~3시)★,수, 금 ●

서영준 아토피피부염, 여드름 및 미용치료, 피부외과클리닉★ 월, 수, 금 ●

이 영 모발질환, 백반증피부이식클리닉★, 모발이식★ 목 월, 화

임 명 여드름, 미용·항노화클리닉(레이저, 보톡스, 필러), 수면마취 레이저★ 월(9~11시), 금 화, 수, 목

일반의 피부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세종의원 044-960-5000

비뇨기과(7770)(7771)

설종구 전립선, 종양학 월, 수, 금 ●

나용길 요실금, 골반장기탈출, 배뇨장애, 불임, 노인배뇨장애(노인센터) 화, 목, 금 화 ●

송기학 종양학, 전립선, 남성비뇨기과학 월 월, 목

임재성 내비뇨기과학, 신장결석, 복강경수술, 종양학 목 월, 수 ●

신주현 소아비뇨기과학, 요로결석, 여성성기능장애 화 목, 금

윤창식 비뇨기과 일반질환 금 월 진료

구대용 비뇨기과 일반질환 화 전임

일반의 비뇨기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구강외과(7820)

김재진 양악수술, 주걱턱수술, 임플란트, 턱관절질환 - 해외연수 -

김학균 악안면기형, 임플란트, 구강종양 수, 목, 금 월

정신건강의학과(7280)

왕성근 정신분열병, 우울증, 조울병, 신경증, 수면의학 월, 화, 목 수 ●

신윤오 소아·청소년정신의학(소아병동진료) 월~목 월, 목 ●

지익성 정신분열병, 우울증, 조울병, 신경증, 정신신체의학 목 월, 화, 수 ●

이선우 정신분열병, 우울증, 조울병, 신경증, 정신치료 화, 금 화, 목 ●

일반의 정신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신경과(7800)(7803)

김재문 간질 화, 목 화, 수 ●

이애영 파킨슨, 수전증, 기억장애클리닉(치매) 월, 화, 목 월

손은희 말초신경질환, 다발성경화증, 근육질환 - 해외연수 -

정성해 어지럼증, 이상안구운동 월 화, 수, 목

오응석 파킨슨, 치매, 보톡스★ 월, 화, 수, 금 금★ 진료

김대영 수면장애, 간질 월, 목 화, 금 진료

오지은 두통, 간질 수 월, 목, 금 전임

일반의 신경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영상의학과(7333)(7334)

송창준 뇌신경계, 척추(NS 및 NR), 소아뇌신경계 월~금 월~금 ●

이인호 두경부 및 갑상선, 뇌신경계, 척추(NS 및 NR) - 해외연수 -

김다미 두경부 및 갑상선, 뇌신경계, 척추(NS 및 NR) 월~금 월~금 전임

김진환 흉부, 소아흉부 월~금 월, 화, 목 ●

김성수 심혈관계 월~금 월, 화, 수 ●

조준식 간담도 및 췌장, 위장관 월~금 월~목 ●

신경숙 간담도 및 췌장, 위장관 - 해외연수 -

이정은 간담도 및 췌장, 위장관 월~금 월~금 진료

김종철 비뇨생식기, 소아복부 및 비뇨생식기 월~금 월, 수, 목, 금 ●

권순태 근골격계, 척추(NS 및 NR 외), 소아근골격계, 근골격계 통증인터벤션 월~금 화, 목 ●

김지나 근골격계, 척추(NS 및 NR 외), 소아근골격계, 근골격계 통증인터벤션 월~금 월~금

최보배 유방 및 갑상선 월~금 월~금

신병석 중재적시술, 사지혈관도플러(동맥초음파)★ 월★, 화, 목, 금★ 월~금 ●

엄준영 중재적시술 월~금 월~금 ●

방사선종양학과(7390)

조문준 두경부종양, 흉부종양, 뇌종양, 유방종양 월 월, 목 ●

김준상 소화기종양, 부인과종양, 비뇨생식기종양, 연부조직종양 화, 금 화, 금 ●

김영일 방사선 일반치료 월~금 월~금 전임

마취통증의학과(7840)

이정은 일반마취, 정맥마취 월, 화, 목 월, 화, 목 ●

이원형 일반마취, 통증관리 월, 수, 목 월, 수 ●

신용섭 정형외과마취, 통증관리 월, 화, 금 월, 금 ●

윤석화 심폐마취, 중환자관리 월, 수, 목, 금 월, 수, 금 ●

김윤희 심폐마취 화, 수, 목, 금 화, 수, 목, 금 ●

윤희석 심폐마취 월, 화, 수, 금 월, 화, 수, 금 ●

고영권 통증관리 수, 목, 금 목, 금 ●

박상일 일반마취, 중환자관리 월, 화, 수, 금 화, 수, 금 ●

임채성 이식마취, 노인마취 월, 수, 목 월, 화, 수, 목 ●

이선열 일반마취, 통증관리 화 화, 목

통증클리닉마취통증의학과

(7844)

이원형 안면통, 목ㆍ어깨ㆍ허리ㆍ다리통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암성통증 화 목 ●

신용섭 안면통, 목ㆍ어깨ㆍ허리ㆍ다리통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암성통증 목 화 ●

고영권 안면통, 목ㆍ어깨ㆍ허리ㆍ다리통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암성통증 월 월, 수 ●

이선열 안면통, 목ㆍ어깨ㆍ허리ㆍ다리통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암성통증 수, 금 금

Page 48: 2013 10 행복지기 e-book

진단검사의학과(8784)

박종우 혈액학, 세포유전자학 및 친자감별 월, 수, 금 월, 수 ●

구선회 미생물학, 유전질환 및 염색체분석 월, 화, 목 화, 목, 금 ●

권계철 임상화학, 혈액은행, 혈액학 월, 화, 금 월, 화, 금 ●

김지명 면역학, 혈액은행, 분자유전 월~금 월~금

병리과(7195)(7196)

이충식 소화기(대장, 항문), 폐, 비뇨기계(방광), 심혈관 월, 수, 금 화, 목 ●

송규상 소화기(식도, 위, 소장), 근육, 신경 화, 수, 금 월, 목 ●

서광선 신장(내과계), 유방, 부인과, 세포병리 월, 수, 목 화, 금 ●

김진만 갑상샘, 두경부, 혈액종양, 비뇨기계(신장, 전립선), 피부 월, 화, 목 수, 금 ●

김경희 유방, 갑상샘, 골연부조직, 간담도계, 산과, 세포병리 월, 수, 금 화, 목 ●

박문일 종합검진조직(내시경, 부인과 세포) 월~금 월 전임

핵의학과 (8660) 김성민 핵의학(방사성동위원소 치료) 화 목

가정의학과(8371)

김종성 건강증진, 알코올남용 수, 금

김성수 건강증진, 비만, 임상영양 화, 목

윤석준 건강증진, 비만, 음주, 피로, 금연 월 진료

일반의 가정의학과 일반질환 토 월~금

▶ 본관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 소아병동

소아청소년과(7240)(7241)

이재호 면역질환, 호흡기·알레르기질환, 신장질환 목 월, 화 ●

길홍량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중환자관리 화, 목 월 ●

장미영 신생아질환 월, 수 목 ●

김재영 소화기질환, 영양비만질환 화, 목 월, 화 ●

임연정 혈액종양질환, 조혈모세포이식 월, 금 수, 목

임한혁 내분비질환, 성장클리닉, 유전대사희귀질환 월 화,수,금

강준원 경련, 발달장애, 신경질환, 근육질환 월, 화, 금 목 진료

한혜영 호흡기, 알레르기질환 화, 수 금 전임

김경희 심장질환 금 수 전임

일반의 소아청소년과 일반질환 월, 수, 목 월~금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7970)

신윤오 소아청소년정신과 일반질환 월~목 월, 목 ●

일반의 소아청소년정신과 일반질환 금

산부인과(7260)(7261)

남상륜 요실금, 자궁탈출증, 부인암예방검진 목 월 ●

노흥태 부인종양, 부인내시경 월, 금 ●

이윤이 모성태아의학, 염색체검사★, 산과초음파★ 월, 수 수★ ●

이기환 불임, 생식내분비, 미성년클리닉, 부인내시경, 산부인과 일반질환 화, 목 화 ●

이민아 모성태아의학, 염색체검사★, 산과초음파★, 정밀초음파★ 화, 목★ 월★, 화, 목

고영복 부인종양, 부인내시경, 산부인과 일반질환 수 월, 수 ●

양정보 불임, 생식내분비, 미성년클리닉, 부인내시경, 자궁탈출증, 산부인과 일반질환 월 목, 금

강병헌 모성태아의학, 태아정밀초음파, 염색체검사, 산부인과 일반질환 목 월, 수 진료

유헌종 부인종양, 부인내시경, 산부인과 일반질환 금 화 진료

안과(7600)(7601)

최시환 각막 및 외안부질환, 굴절수술, 백내장 화, 목 화(1시 30분~ 2시) ●

김창식 녹내장, 백내장 수, 금 월 ●

이성복 성형안과, 누기 및 안와질환, 의안 목 월, 목 ●

조영준 망막, 유리체질환, 포도막염 화, 수 목 ●

김정열 망막, 유리체질환, 포도막염 월, 금 수 ●

이연희 소아안과, 사시, 약시, 신경안과 월 화, 금 ●

김경남 녹내장, 백내장 화 수, 금 진료

일반의 안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이비인후과(7690)(7691)

나기상 코질환, 알레르기·비염, 만성부비동염 화, 금 화 ●

박용호 귀질환, 난청, 만성중이염, 어지럼증, 이명, 두개저종양, 안면신경질환, 인공와우 월, 수 월 ●

구본석 두경부질환, 구강·인후두질환, 두경부종양, 갑상선암, 음성장애 화, 목 목 ●

김용민 코질환, 알레르기비염, 비성형, 무호흡증 월, 목 월 ●

윤여훈 두경부질환, 구강·인후두질환, 두경부종양, 갑상선암, 음성장애 수, 금 수 ●

최진웅 귀질환, 인공와우, 어지럼증, 유전성난청, 이경화증, 중이염, 안면신경질환, 두개저종양 화 화, 목

이진우 두경부질환, 만성부비동염, 비염, 만성중이염 수, 금 전임

일반의 이비인후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Page 49: 2013 10 행복지기 e-book

▶ 대전지역암센터 ✽종합건강증진센터 포함

소화기내과(8501)(8502)(8557)(8583)

이헌영 간염, 간경변증, 간암 화, 수, 목 ●

정현용 소화기질환(대장, 위, 식도) 월 화, 목 ●

이병석 소화기질환(간, 담도, 췌장질환) 월, 화, 목, 금(2, 4주) 화, 수 ●

성재규 소화기질환(대장, 위, 식도) 화, 금 수 ●

김석현 소화기질환(간, 담도, 췌장질환) 월, 수, 목, 금 화 ●

문희석 소화기질환(대장, 위, 식도) 수 월, 금 ●

이엄석 소화기질환(간, 담도, 췌장질환) 수 월, 금 ●

강선형 소화기질환(대장, 위, 식도) 화, 금 목 ●

김윤정 소화기내과 일반질환 수 진료

강구흠 소화기내과 일반질환 금 진료

김혜진 소화기내과 일반질환 목(3.1~6.2) 전임

황세웅 소화기내과 일반질환 목(6.3~9.1) 전임

박세영 소화기내과 일반질환 목(9.2~12.1) 전임

윤범용 소화기내과 일반질환 목(12.2~2.28) 전임

호흡기내과(8584)

이정은 폐종양, 결핵 및 호흡기질환, 폐암 월, 화, 수, 목 ●

혈액종양내과(7146)(8556)

김삼용 소화기암, 완화의학 월, 수, 목 ●

조덕연 혈액질환(빈혈, 백혈병), 골수이식 화, 목 월, 수 ●

윤환중폐암, 유방암, 두경부암, 원인부위불명암, 뇌종양, 림프종, 식도암, 비뇨생식기암, 부인암, 육종, 악성흑색종

화 월, 화, 목 ●

이효진 비뇨생식기암, 부인암, 육종, 악성흑색종 - 해외연수 -

송익찬 혈액질환(빈혈, 백혈병), 골수이식 수, 금 화 진료

윤석준 완화의학(가정의학) 화 진료

외 과(7170)(7171)

노승무 위암 화, 목 ●

설지영 위암, 소아외과, 복강경외과 화, 목 화 ●

송인상 간, 담도, 췌장, 복강경, 외상외과 월, 금 ●

김지연 대장항문(복강경) 화, 목 ●

안문상 이식, 혈관 외과, 하지정맥류 금 화 ●

이상일 상부위장관(위,복강경), 비만대사수술 월 목 ●

전광식 간, 담도, 간이식 화, 목 ●

김진수 대장, 항문질환 수 월 ●

박준범 소아외과, 복강경외과, 탈장 화, 목 ●

이경하 대장, 항문질환 금 진료

설영훈 외상외과 금 전임

일반의 외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유방암갑상선암(8503)

장일성 유방암 화, 금 ●

김제룡 유방암, 갑상선암수술 월, 수 월, 수 ●

이진선 유방암, 맘모톰★ 화, 수★ 화, 금 ●

이문행 유방질환, 갑상선질환 목 월~금 전임

안병현 유방질환 금 월~금 전임

정호철 유방질환 월~금 전임

재활의학과 (8504) 복수경 암재활, 림프부종, 암환자 통증재활 목 ●

영상의학과(8527/8550)

최보배 유방 및 갑상선월, 화, 목, 금 (유방암센터)

종합건강증진센터(7878)

김종성 알코올남용, 건강증진 화, 목 화, 목

김성수 비만, 임상영양, 건강증진 월, 수 월, 수

정진규 건강검진, 금연, 알코올남용 월, 화, 수, 금 화, 금

이항영 위투시, 복부초음파 월~금 월~금 진료

임창규 위투시, 복부초음파 월~금 월~금 진료

윤석준 건강증진, 비만 목 수, 금 진료

일반의 건강증진, 가정의학과 일반질환 월~금

일반검진센터

(8530/8531)

김종성 건강증진, 알코올남용 월

김성수 건강증진, 비만, 임상영양 금

정진규 건강검진, 알코올남용, 금연 목

일반의 건강증진, 가정의학과 일반질환 월~금 월~금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8000)

유인술 재해응급, 환경응급 월, 화, 목, 금 월, 화, 목, 금

김승환 중독응급, 소아응급 월, 화, 수, 금 월, 화, 수, 금

유 승 중환자관리, 응급영상 월, 화, 수, 목 월, 화, 수, 목

이진웅 심혈관응급, EMS 월, 수, 목, 금 월, 수, 목, 금

유연호 응급술기, 저체온치료 월, 화, 목, 금 월, 화, 목, 금

조용철 중증외상, EMS 월~금 월~금

이준완 중증외상, 중환자관리 월~금 월~금

정원준 응급영상, 소생술 월~금 월~금 진료

정상민 기도관리, 신경계응급 월~금 월~금 전임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Page 50: 2013 10 행복지기 e-book

※진료시간표는 각 과별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내원 전 진료예약센터 042-280-7123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표국번은

280국입니다.■종합건강증진센터 042-280-7878

■장례식장 042-280-8181

■진료협력센터 042-280-7020

■공단검진 042-280-8530~1,6■대표전화 042-280-7114

042-280-7123■외래진료예약

(팩스) 042-280-7021[2013년 10월]

외래진료 시간표 ❷

■ 대전지역암센터 ■ 노인보건의료센터 ■ 권역응급의료센터 ■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 ■ 충남대학교진료센터 ■ 세종의원

※진료장소를 색상별로 구분하였습니다. ★ 외래진료 후 예약 (●:선택진료 / 진료:진료교수 / 전임:전임의)

▶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대표국번은 338입니다

✽본관에서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와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로 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합니다.

재활의학과(2120) (2121) (2124) (2125)

김봉옥 소아재활, 신발 및 보조기클리닉 수, 금 수, 금 ●

손민균 뇌졸중재활, 신경근육질환재활, 인지재활, 연하재활, 전기진단(근전도 검사) 목 월, 화 ●

조강희 척추손상, 근골격계재활, 요통재활, 스포츠재활, 보행분석, 장애감정 화, 목, 금 월 ●

복수경 뇌손상재활, 암재활, 족부재활(당뇨발), 인지재활, 의지 월, 수 화, 목 ●

지성주 심장재활, 뇌졸중재활, 연하재활, 호흡재활, 근육병클리닉 화, 금 금

범재원 통증재활, 관절염재활(상지·하지), 전기진단 월 진료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본관에서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와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로 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합니다.

▶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센터 대표국번은 338입니다

류마티스내과(2150)(2151)

강성욱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질환 월, 목, 금 화  

심승철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 루프스, 강직성척추염, 통풍, 쇼그렌병, 베체트병, 섬유근통, 전신성경화증

월, 화, 금

목 ●목(신환예약환자만 가능)

김진현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질환 화, 수 목, 금  

유인설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질환, 근골격계초음파및주사월, 목

월, 수토(본관 일반내과 진료)

유수진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질환, 근골격계초음파및주사 수 전임

정형외과(2152)

황득수 고관절(관절경, 인공관절), 퇴행성슬관절 금   ●

신현대 소아관절염, 수부외과, 골연장 및 변형교정, 류마티스관절염 월, 목 ●

김영모 슬관절질환(관절경, 인공관절), 스포츠 질환 화, 목 ●

김경천 어깨관절 클리닉 금 금 ●

강 찬 족부관절질환(관절경, 인공관절, 족변형 교정), 당뇨 및 류마티스성 족부병변 월 ●

주용범 무릎질환, 관절염, 인공관절수술, 관절경 수 목 ●

차수민 수부 및 상지질환 월 화, 수

재활의학과 (2153)

조강희 요통 및 척추질환재활, 스포츠재활 월   ●

복수경 족부재활(당뇨발), 보조기클리닉 화   ●

범재원 통증재활, 관절염재활(상지·하지), 전기진단 수, 목, 금 화 진료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 충남대학교병원 세종의원 ✚진료시간 : 오전 09:00~12:30, 오후 14:00~18:00 ✚ 응급진료소 : 24시간 진료 ☎ 접수/수납 044)960-5000 응급실 044)960-5014

충남대진료센터

(821-5943)

김종성 건강증진, 알코올남용 월(1,3주)

정진규 건강검진상담, 알코올남용, 금연 월(2,4,5주)

일반의 가정의학과 일반질환 수

▶ 충남대학교진료센터 ☎ 821-5943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 대전지역 노인보건의료센터

과 명담당교수

진 료 전 문 분 야진료요일 선택

진료오전 오후

간질클리닉(8776)

김재문 노인간질 화 ●

오지은 노인간질, 두통 목 전임

기억장애·치매·운동장애 클리닉

(8774)

이애영 기억저하, 건망증, 치매, 파킨슨병, 손발떨림, 보행장애 월, 목

오응석 기억저하, 건망증, 치매, 파킨슨병, 손발떨림, 보행장애 화, 수, 금 진료

노인내분비클리닉 (7794)

김군순 골다공증, 노인내분비질환 목, 금

노인배뇨장애클리닉 (8775)

나용길 요실금, 전립선, 배뇨장애 금 ●

노인정신건강클리닉 (8728)

김정란 노인정신의학, 치매, 치매평가★, 인지기능검사★ 월, 화★, 수, 금★ 월★, 수, 목, 금★ ●

이미지 노인정신의학, 치매, 치매평가★, 인지기능검사★ 화★, 목, 금★ 월★, 화, 금★ 전임

뇌졸중클리닉(8727)

김 제 뇌졸중 월, 목 화, 수 ●

송희정 뇌졸중 수, 금 월, 목

정혜선 뇌졸중 화, 목 월, 금

고현송 뇌졸중(뇌혈관질환), 뇌혈관내 수술, 뇌혈관 감마나이프, 두부외상 화 ●

권현조 뇌혈관질환, 뇌혈관내 수술, 두부외상 금 ●

류마티스클리닉(7794)

강성욱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 질환 수

김진현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 질환 월

유인설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질환, 관절주사

손발저림클리닉(8776)

손은희 손발저림, 보행장애, 감각이상, 마비 - 해외연수 -

심장클리닉(7795)(8795)

성인환 관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증) 수 월, 목 ●

정진옥 관동맥질환, 고혈압, 대동맥질환, 심부전증 화, 목 수 ●

최시완 관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월, 목 화 ●

이재환 관동맥 및 말초동맥질환, 말초동맥 클리닉★(경동맥, 대동맥류, 사지동맥협착, 당뇨발궤양) 금★ 화, 목 ●

박재형 심초음파, 심장판막질환, 심부전증, 심낭질환, 대동맥질환 화, 목 월 ●

김준형 부정맥, 인공심박동기, 제세동기, 실신 수, 금 월 ●

안계택 심장질환 월, 화 금

진선아 심장질환 월 수, 금 진료

박용규 심장질환 수 화, 목 진료

어지럼증클리닉(8776)

정성해 어지럼증 수

재활클리닉(8729)

손민균뇌졸중재활, 신경근육질환재활, 인지재활, 연하재활, 전기진단(근전도 검사)

금 ●

지성주 심장재활, 뇌졸중재활, 연하재활, 호흡재활, 근육병클리닉 월, 화, 수

평생건강관리클리닉 (8729)

정진규 금연, 알코올남용, 건강검진 상담, 피로 목

진료과명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오전 오후 오전 오후 오전 오후 오전 오후 오전 오후 오전

내과계열 I 박수진 교수(심장)

유수진 교수(류마티스)

정재욱 교수(호흡기)

안계택 교수(심장)

이엄석 교수(소화기)

문희석 교수(소화기)

박용규 교수(심장)

강선형 교수(소화기)

내과계열 Ⅱ 정사라 교수(신장내과)

박동일 교수(호흡기)

김군순 교수(내분비대사)

외과계열 I 강 찬 교수(정형외과)

박준범 교수(외과)

차수민 교수(정형외과)

※ 격주 진료

주용범 교수(정형외과)

<5~7시>

이경하 교수(외과)

배규성 교수(신경외과)

외과계열 Ⅱ 김진수 교수(외과)

박준영 교수(정형외과)

소아청소년과 한혜영 교수 강준원 교수 임한혁 교수김경희 교수한혜영 교수※ 격주 진료

산부인과 유헌종 교수 유헌종 교수

비뇨기과 윤창식 교수 윤창식 교수

피부과 임 명 교수 이증훈 교수

재활의학과 범재원 교수

가정의학과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김영주 교수

■세종의원 044-960-5000

Page 51: 2013 10 행복지기 e-book

주최 충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주관 대한간학회

후원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Page 52: 2013 10 행복지기 e-book

‘경쟁력 있는 병원’

‘환자중심의 병원’

‘특성화된 병원’

충남대학교병원의

3가지 목표

충남대학교병원은 국민의 건강과 행복을

지켜나가는 국립대학교병원으로서

경영 합리화 추진, 차별화된 진료서비스 구축,

교육과 연구의 활성화를 통하여

환자가 안심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지역민에게 믿음과 신뢰를 주고 사랑을 받는

병원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www.cnu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