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講講 12 講講講講 (3) - 講講 講 講講講講講講講 - 정정정 정정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Embed Size (px)

DESCRIPTION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정우형 교수. 강의개요. 1 교시 : 제정배경과 목적 2 교시 :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과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3 교시 : 정비사업. 1 교시 : 제정배경과 목적. 1. 제정배경과 목적. 제정배경 1970 년대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주택의 신규수요에 따른 개발이 확산되었음 한편 낙후된 시가지와 노후 ․ 불량화되어가는 주택 및 주택지역에 대한 재건축과 재개발의 필요성도 높아지게 되었음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정우형 교수

Page 2: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

강의개요

1 교시 : 제정배경과 목적2 교시 :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과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3 교시 : 정비사업

Page 3: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

1 교시 : 제정배경과 목적

Page 4: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

1. 제정배경과 목적

제정배경○ 1970 년대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주택의 신규수요에 따른 개발이 확산되었음

○ 한편 낙후된 시가지와 노후․불량화되어가는 주택 및 주택지역에 대한 재건축과 재개발의 필요성도 높아지게 되었음

○ 1973 - 1982 년에는 공원녹지와 도시미관의 회복이라는 목표하에 노후․불량주택에 대한 개량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게 되어 차관에 의한 재개발 , 위탁에 의한 재개발 등 다양한 방식의 사업이 시행되었음

Page 5: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5

1. 제정배경과 목적

제정배경○ 1983 년 이후는 본격적인 노후․불량 주거지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진 시기로 대대적인 철거재개발사업으로 고층아파트가 주로 건설되었음

– 원주민의 재정착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1989 년 말에는 다른 제도에 비하여 공공지원을 강화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하게 되었음

Page 6: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6

1. 제정배경과 목적

제정목적○ 2003. 7. 1 부터 시행되고 있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제정 2002. 12. 30 법률 제 6852 호 )은 무분별하게 추진되는 도심재개발 , 재건축 , 주거환경정비사업을 하나의 법령으로 통일관리하면서 난개발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두어 제정되었음

○ 최근의 ' 도시재생 (Urban Regeneration)’ 개념은 도시의 생명을 다시 살려내는 것으로 시민의 의사를 반영하면서 기존 도시 재개발이나 재건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임

Page 7: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7

가로구역과 가로주택정비사업 < 신설 2012.7.31>○ 가로구역 : 도로 ( 도시 · 군계획시설로 설치된 도로 ) 로 둘러싸인 일단 ( 一團 ) 의 지역 ( 해당 지역의 일부가 광장 , 공원 , 녹지 , 하천 , 공공공지 및 공용주차장 등에 접한 경우에는 해당 시설을 도로로 봄 ) 으로서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구역

– 해당 지역의 면적이 1 만제곱미터 미만일 것–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도로 ( 너비 4 미터 이하인 도로는 제외 ) 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할 것

○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가로구역이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에 그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시행할 수 있음

– 노후 · 불량건축물의 수가 전체 건축물의 수의 3분의 2 이상일 것

– 해당 구역에 있는 기존 단독주택의 호수 ( 戶數 ) 와 공동주택의 세대 수를 합한 수가 20 이상일 것

Page 8: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8

60 년대 구획70 년대 구획80 년대 구획택지개발자연발생

Page 9: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9

1. 제정배경과 목적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구 ) 도시계획법 , ( 구 ) 주택건설촉진법( 구 ) 도시재개발법

( 구 ) 도시저소득주민의주거환경개선을 위한임시조치법 )

Page 10: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0

2. 법제정의 성과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저소득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 1989 년부터 2008 년 12 월까지 1,118 개 지구가 지정되어 550 개 지구 (15 만 5 천 974 호 공급 ) 의 사업이 완료되었고 , 461 개 지구 (21 만 1 천 784 호 공급예정 ) 의 사업시행중임

Page 11: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1

2. 법제정의 성과

주택재개발사업○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 1973 년 이후 892 개 구역을 지정 , 379 개 구역의 사업을 완료하여 29 만 2 천 288 호의 주택을 공급하고 , 513 개 구역의 사업은 시행중이거나 미착수 중으로 주택재건축사업과는 달리 세입자를 위한 임대주택건설 등 공공에서 일정부분 참여하고 있음

Page 12: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2

2. 법제정의 성과

주택재건축사업○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 재건축사업을 추진 중인 조합은 2008 년 12 월 현재 2,158 개로 그 중 904 개 조합이 조합인가 (30 만 2천호 공급예정 ), 1,254 개 조합이 사업계획승인 (46 만 8 천호 공급예정 ) 단계에 있음

Page 13: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3

2. 법제정의 성과

도시환경정비사업○ 상업지역․공업지역 등으로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 도시기능의 회복이나 상권활성화 등이 필요한 지역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 2004 년까지 총 519 개 지구 243 만 5 천㎡의 도심재개발지구를 지정하여 , 그 중 165 개 지구 78만 8 천㎡는 이미 사업을 완료 , 50 개 지구 32 만 5천㎡는 현재 시행 중 , 미착수된 304 개소 132 만 2천㎡는 계속 추진해 나갈 계획임

Page 14: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4

3. 노후ㆍ불량건축물

노후 · 불량건축물○ 건축물이 훼손되거나 일부가 멸실되어 붕괴 그 밖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 주변 토지의 이용상황 등에 비추어 주거환경이 불량한 곳에 소재하거나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건설하는 경우 그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효용의 현저한 증가가 예상되는 다음의 건축물

– 건축법 제 57 조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면적에 미달되거나 도시 · 군계획시설등의 설치로 인하여 효용을 다할 수 없게 된 대지에 있는 건축물

Page 15: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5

3. 노후ㆍ불량건축물

노후 · 불량건축물– 공장의 매연 · 소음 등으로 인하여 위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지역안에 있는 건축물로서 특별시 ·광역시 또는 도의 조례가 정하는 건축물

– 당해 건축물을 준공일 기준으로 40 년까지 사용하기 위하여 보수 · 보강하는데 드는 비용이 철거후 새로운 건축물을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는 건축물

Page 16: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6

3. 노후ㆍ불량건축물

노후 · 불량건축물○ 도시미관의 저해 , 건축물의 기능적 결함 , 부실시공 또는 노후화로 인한 구조적 결함 등으로 인하여 철거가 불가피한 건축물로서 다음의 건축물

– 준공된 후 20 년이 지난 건축물– 도시 · 군기본계획상의 경관에 관한 사항에 저촉되는 건축물

– 건축물의 급수 · 배수 · 오수설비 등이 노후화되어 수선만으로는 그 기능을 회복할 수 없게 된 건축물

Page 17: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7

2 교시 :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과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Page 18: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8

1.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특별시장 · 광역시장 또는 시장은 도시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 기본계획 ) 을 10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함

○ 다만 , 서울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인구 50 만 이상 대도시가 아닌 경우 도지사가 기본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시를 제외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할 수 있음

Page 19: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19

1.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방침○ 국토해양부장관은 도시 및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10 년마다 다음의 사항을 포함한 기본방침을 수립하고 , 5 년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기본방침에 반영하여야 함

–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를 위한 국가 정책방향– 도시 ·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수립 방향– 노후 · 불량 주거지 조사 및 개선계획의 수립– 도시 및 주거환경 개선에 필요한 재정지원계획– 그 밖에 도시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아직 시행령 없음 )< 개정 2012. 2. 1>

Page 20: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0

1.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 ·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내용

– 정비사업의 기본방향– 정비사업의 계획기간– 인구 · 건축물 · 토지이용 · 정비기반시설 · 지형 및 환경 등의 현황

– 주거지 관리계획– 토지이용계획 · 정비기반시설계획 ·공동이용시설설치계획 및 교통계획

Page 21: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1

1.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녹지 · 조경 · 에너지공급 ·폐기물처리 등에 관한 환경계획

– 사회복지시설 및 주민문화시설 등의 설치계획– 도시의 광역적 재정비를 위한 기본방향 – 정비구역으로 지정할 예정인 구역의 개략적 범위– 단계별 정비사업추진계획– 건폐율 · 용적률 등에 관한 건축물의 밀도계획– 세입자에 대한 주거안정대책– 그 밖에 주거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Page 22: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2

1.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기본계획의 수립절차 기본계획안 공고․공람 → 지방의회 의견청취 → 관계중앙행정기관 장과의 협의 →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 승인 ( 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 → 기본계획고시․공람

○ 특별시장․광역시장 또는 시장은 기본계획에 대하여 5년마다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기본계획에 반영하여야 함 . 기본계획의 작성기준 및 작성방법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이를 정함

Page 23: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3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시장 · 군수는 기본계획에 적합한 범위안에서 노후 ·불량건축물이 밀집하는 등 다음의 요건에 해당하는 구역 ( 정비계획의 수립대상구역 ) 에 대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함

–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1985 년 6 월 30 일 이전에 건축된 무허가건축물 또는 위법시공건축물로서 노후 ·불량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어 주거지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거나 도시미관을 현저히 훼손하고 있는 지역

Page 24: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4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개발제한구역지정 이전에 건축된 노후 ·불량건축물의 수가 당해 정비구역안의 건축물 수의 50퍼센트 이상인 지역

• 주택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안의 토지면적의 50퍼센트 이상의 소유자와 토지 또는 건축물을 소유하고 있는 자의 50퍼센트 이상이 각각 주택재개발사업의 시행을 원하지 아니하는 지역

Page 25: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5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철거민이 50 세대 이상 규모로 정착한 지역이거나 인구가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고 기반시설의 정비가 불량하여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그 개선이 시급한 지역

• 정비기반시설이 현저히 부족하여 재해발생시 피난 및 구조 활동이 곤란한 지역

Page 26: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6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건축대지로서 효용을 다할 수 없는 과소필지 등이 과다하게 분포된 지역으 로서 건축행위 제한 등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하여 그 개선이 시급한 지역 (2009. 8. 11 개정 )

• 방재지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37 조제 1 항제 5 호 ) 로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필요한 지역

Page 27: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7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택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노후 ·불량건축물의 수가 전체 건축물의 수의 3 분의 2( 시 · 도 조례로 비율의 10퍼센트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음 ) 이상인 지역으로서 다음 의 1 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하여 수립

• 정비기반시설의 정비에 따라 토지가 대지로서의 효용을 다할 수 없게 되거나 과소토지로 되어 도시의 환경이 현저히 불량하게 될 우려가 있는 지역

• 노후 · 불량건축물의 연면적의 합계가 전체 건축물의 연면적의 합계의 3 분의 2( 시 · 도 조례로 비율의 10퍼센트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음 ) 이상이거나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어 그 구역안의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과 가치의 증진을 도모하기 곤란한 지역

Page 28: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8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택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철거민이 50 세대 이상 규모로 정착한 지역이거나 인구가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고 기반시설의 정비가 불량하여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그 개선이 시급한 지역

• 정비기반시설이 현저히 부족하여 재해발생시 피난 및 구조 활동이 곤란한 지역

Page 29: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29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택재건축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주거환경개선사업 , 주택재개발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지역으로서 다음의 1 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하여 수립

Page 30: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0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택재건축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기존의 공동주택을 재건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1 에 해당하는 지역

▫ 건축물의 일부가 멸실되어 붕괴 그 밖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지역

▫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위해의 우려가 있어 신속히 정비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 지역 , 노후 ·불량건축물로서 기존 세대수 또는 재건축사업후의 예정 세대수가 300 세대 이상이거나 그 부지면적이 1 만제곱미터 이상인 지역

Page 31: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1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택재건축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기존의 공동주택을 재건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독주택 200 호 이상 또는 그 부지면적이 1 만제곱미터 이상인 지역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지역

▫ 당해 지역의 주변에 도로 등 정비기반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어 당해 지역을 개발하더라도 인근지역에 정비기반시설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을 것 ( 다만 ,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 정비기반시설을 정비사업시행자가 부담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외 )

Page 32: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2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택재건축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기존의 단독주택을 재건축하고자 하는 경우▫ 노후 · 불량건축물이 당해 지역안에 있는 건축물수의

3 분의 2 이상이거나 , 노후 · 불량건축물이 당해 지역 안에 있는 건축물의 2 분의 1 이상으로서 준공 후 15 년 이상이 경과한 다세대 주택 및 다가구 주택이 당해 지역 안에 있는 건축물 수의 10 분의 3 이상일 것

Page 33: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3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정비기반시설의 정비에 따라 토지가 대지로서의 효용을 다할 수 없게 되거나 과소토지로 되어 도시의 환경이 현저히 불량하게 될 우려가 있는 지역

• 노후 · 불량건축물의 연면적의 합계가 전체 건축물의 연면적의 합계의 3 분의 2( 시 · 도 조례로 비율의 10퍼센트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음 ) 이상이거나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어 그 구역안의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과 가치의 증진을 도모하기 곤란한 지역

Page 34: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4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인구 · 산업 등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어 도시기능의 회복을 위하여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이 요청되는 지역

• 당해 지역안의 최저고도지구의 토지면적이 전체 토지면적의 50퍼센트를 초과하고 , 그 최저고도에 미달하는 건축물이 당해 지역안의 건축물의 바닥면적합계의 3 분의 2 이상인 지역

Page 35: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5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공장의 매연 · 소음 등으로 인접지역에 보건위생상 위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공업지역 또는 도시형업종이나 공해발생정도가 낮은 업종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공업지역

• 역세권 등 양호한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용이한 지역으로서 토지의 고도이용과 건축물의 복합개발 ( 주택법 제 38조의 6( 용적률완화후 임대주택 건설 )) 을 통한 주택 건설ㆍ공급이 필요한 지역

Page 36: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6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전용주거지역 , 제 1종일반주거지역 및 제 2종일반주거지역 중 단독주택 및 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지역으로서 주거환경의 보전 · 정비· 개량이 필요한 지역

• 해제된 정비구역 및 정비예정구역

Page 37: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7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위한 정비계획

• 기존 단독주택 재건축사업 또는 주택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의 토지등소유자의 50퍼센트 이상이 주거환경관리사업으로의 전환에 동의하는 지역

• 재정비촉진지구가 해제된 지역 (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제 7 조제 2 항 ) 및 같은 법 제 2 조제 6 호에 따른 존치지역 (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제 2 조제 6 호 )

Page 38: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8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 · 주거환경정비계획의 내용

– 정비사업의 명칭– 정비구역 및 그 면적– 도시 · 군계획시설의 설치에 관한 계획– 공동이용시설 설치계획– 건축물의 주용도․건폐율․용적률․높이․층수 및 연면적에 관한 계획

– 도시경관과 환경보전 및 재난방지에 관한 계획

Page 39: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9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 · 주거환경정비계획의 내용

– 정비구역 주변의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계획– 세입자 주거대책– 정비사업시행 예정시기– 지구단위계획의 사항에 관한 계획– 그 밖에 정비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Page 40: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0

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도시ㆍ주거환경정비계획○ 정비계획의 수립 및 정비구역의 지정절차 기초조사 → 주민설명회 개최 및 정비계획안 공고․공람 → 지방의회 의견청취 →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 건축위원회의 공동심의(2009. 2. 6 삭제 ) → 시․도지사 승인 및 지정 (대도시시장은 직접 지정 ) → 정비계획고시․공람 → 국토해양부장관에게 보고

Page 41: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1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 정비사업을 계획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지정 ·고시된 구역 ( 도시 · 주거환경정비계획으로 정함 )

○ 대도시의 시장은 특별시장 · 광역시장 · 도지사에게 정비구역지정을 신청하지 아니하고 직접 정비구역을 지정함

○ 정비구역의 지정고시가 있은 날부터 당해 정비구역안에는 정비계획의 내용에 적합하지 아니한 건축물 또는 공작물을 설치할 수 없음 (정비구역안에서의 건축제한 )

Page 42: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2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 정비기반시설 : 도로․상하수도․공원․공용주차장․공동구 그 밖에 주민의 생활에 필요한 가스 등의 공급시설 (1. 녹지 . 2. 하천 . 3. 공공공지 . 4. 광장 . 5. 소방용수시설 . 6. 비상대피시설 . 7. 가스공급시설 . 8.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위하여 지정․고시된 정비구역 안에 설치하는 공동이용시설로서 사업시행계획서에 당해 시장․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이 관리하는 것으로 포함된 것 )

○ 공동이용시설 : 공동이용시설이라 함은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놀이터․마을회관․공동작업장 그 밖의 시설 (1. 공동으로 사용하는 구판장․세탁장․화장실 및 수도 . 2. 탁아소․어린이집․경로당 등 노유자시설 . 3. 그 밖에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유사한 용도의 시설로서 시 · 도 조례로 정하는 시설 )

Page 43: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3

3. 정비구역

정비구역지정의 효과○ 정비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지정에 대한 고시가 있는 경우 당해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중 지구단위계획의 내용은 지구단위계획 및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결정· 고시된 것으로 봄

○ 지구단위계획구역에 대하여 정비계획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는 경우 당해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된 것으로 봄 (2005. 3. 18 개정 )

○ 정비계획을 통한 토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폐율 등의 완화규정은 정비계획에 관하여 준용 (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정비구역으로 , 지구단위계획은 정비계획으로 봄 )

Page 44: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4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해제 < 신설 2012.2.1>○ 시장 · 군수는 정비예정구역 또는 정비구역 ( 정비구역 ) 이 다음의 1 에 해당하는 경우 시 ·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에게 정비구역등의 해제를 요청하여야 함

– 정비예정구역에 대하여 기본계획에서 정한 정비구역 지정 예정일부터 3 년이 되는 날까지 시장 · 군수가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 주택재개발사업 · 주택재건축사업 조합 ( 조합이 시행하는 경우 ) 이 다음의 1 에 해당하는 경우

• 토지등소유자가 정비구역으로 지정 · 고시된 날부터 2년이 되는 날까지 조합설립추진위원회의 승인을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Page 45: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5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해제 < 신설 2012.2.1>• 토지등소유자가 정비구역으로 지정 · 고시된 날부터 3 년이 되는 날까지 조합 설립인가를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지 아니하는 경우로 한정 )

• 추진위원회가 추진위원회 승인일부터 2 년이 되는 날까지 조합 설립인가를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 조합이 조합 설립인가를 받은 날부터 3 년이 되는 날까지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Page 46: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6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해제 < 신설 2012.2.1>–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토지등소유자가 시행하는 경우로서 토지등소유자가 정비구역으로 지정 ·고시된 날부터 5 년이 되는 날까지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하지 아니하는 경우

–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정비구역이 지정 · 고시된 날부터 15 년 이상 경과하고 토지등소유자의 3분의 2 이상이 정비구역의 해제에 동의하는 경우

– 추진위원회의 승인 또는 조합 설립인가가 취소되는 경우

Page 47: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7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해제 < 신설 2012.2.1>○ 해제절차

– 시장 · 군수 해제요청 ⇒ 30 일 이상 주민공람 ⇒ 지방의회 의견청취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 시 ·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 해제 ⇒ 공보 고시 ⇒ 국토해양부장관에게 통보 ⇒ 관계 서류 열람

○ 시 ·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해제할 수 있는 경우– 정비사업의 시행에 따른 토지등소유자의 과도한 부담이 예상되는 경우

– 정비예정구역 또는 정비구역의 추진 상황으로 보아 지정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

– 토지등소유자의 100 분의 30 이상이 정비구역등 (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지 아니한 구역에 한함 ) 의 해제를 요청하는 경우

Page 48: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8

3. 정비구역

정비구역의 지정해제 < 신설 2012.2.1>○ 해제의 효과

– 정비구역등이 해제된 경우에는 정비계획으로 변경된 용도지역 , 정비기반시설 등은 정비구역 지정 이전의 상태로 환원된 것으로 봄

– 정비구역등이 해제된 경우 시 ·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은 해제된 정비구역을 주거환경관리사업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음

Page 49: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49

4. 정비사업

정비사업으로 건설하는 주택의 규모 및 비율○ 정비사업 : 도시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정비구역 또는 가로구역 ( 가로구역 : 정비구역이 아닌 구역 )에서 정비기반시설을 정비하거나 주택 등 건축물을 개량하거나 건설하는 주거환경개선사업 , 주택재개발사업 , 주택재건축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 , 주거환경정비사업 , 가로주택정비사업

Page 50: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50

4. 정비사업

정비사업으로 건설하는 주택의 규모 및 비율○ 국토해양부장관은 주택수급의 안정과 저소득 주민의 입주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제외 ) 으로 건설하는 주택에 대하여 주택의 규모 및 건설비율의 범위 안에서 다음의 사항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으며 , 사업시행자는 고시된 내용에 따라 주택을 건설하여야 함 (1. 정비사업으로 공급하는 주택의 최대․최소규모 또는 주택의 규모별 면적이 전체 연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 . 2. 임대주택의 규모 및 규모별 건설비율 )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시행자는 가로구역에 있는 기존 단독주택의 호수 ( 戶數 ) 와 공동주택의 세대 수를 합한 수 이상의 주택을 공급하여야 함 ( 이 경우 건설하는 건축물의 층수는 7 층 이하 ) < 신설 2012.2.1>

Page 51: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51

4. 정비사업

주택의 규모 및 건설비율○ 주거환경개선사업

– 분양을 목적으로 건설하는 주택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이 건설하는 주택 전체 세대수의 100 분의 90 이하

– 임대주택은 건설하는 주택 전체 세대수의 100분의 30 이하로 하되 , 주거전용면적이 40제곱미터 이하인 임대주택이 전체 임대주택 세대수의 100 분의 50 이하

Page 52: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52

4. 정비사업

주택의 규모 및 건설비율○ 주택재개발사업

– 분양을 목적으로 건설하는 주택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이 건설하는 주택 전체 세대수의 100 분의 80 이하

– 임대주택은 건설하는 주택 전체 세대수의 100분의 20 이하로 하되 , 주거전용면적이 40제곱미터 이하인 임대주택이 전체 임대주택 세대수의 100 분의 40 이하

Page 53: 〔 講義  12〕 都市開發 (3)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53

4. 정비사업

주택의 규모 및 건설비율○ 주택재건축사업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이 건설하는 주택 전체 세대수의 100 분의 60 이하로 하되 , 전체 연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0 분의 50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