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 Upload
    -

  • View
    272

  • Download
    17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 131 -

한국심리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2013, Vol. 5, No. 2, 131∼142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 따른

신경심리 검사들의 반응 특징

신고은․신민섭

서울탑마음클리닉 ·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본 연구에서는 ADHD 진단을 받은 138명의 아동․청소년을 지능 수준별로 나누어 대표적인 인지 및 신

경심리 검사인 ATA, KEDI-WISC, WCST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첫째, ATA 시각과제 측정치에 비하

여 청각과제 측정치가 KEDI-WISC 대부분의 소검사와 더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지능 수준 별 수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시각과제의 경우 누락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에서 집단 간 수행 차이를 보

였으며, 청각과제에서는 정반응시간평균을 제외한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에서

집단 간 수행 차이를 보였다. 사후분석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평균 하 지능 집단에서는 주의력

문제가 시사되었으나 지능 수준이 평균 상 수준 이상일 경우에는 주의력 문제가 시사되지 않았다. 다만,

ATA 시각과제의 오경보오류에서는 지능 수준과 상관없이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수준에서의 주의력 문

제를 보였다. 둘째, WCST의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은 KEDI-WISC

대부분의 소검사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지능 수준 별 수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에서 집단 간 수행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평균 하 지능 집단에서 유

의미한 수준의 실행기능의 문제가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지능 수준에 따라

ADHD로 진단된 아동․청소년의 KEDI-WISC와 ATA, WCST 반응을 해석할 때 주의 깊게 살펴볼 점과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요어:ADHD, ATA, WCST, KEDI-WISC, 지능수준

아동 및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ADHD 평가 및 진단은 다양한 접근을 통해서 실시되어

왔다(Barkely, 1997). 그 중 증상에 대한 좀 더 세밀하고 민감한 평가를 위해 객관적인 인지 및

Page 2: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132 -

신경심리 검사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Barkely, 1997) 대표적으로 Wechsler 지능검사와

연속수행검사(Continuous Performance Test;이하 CPT),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이하 WCST)가 있다(Aylward, Gordon, & Verhulst, 1997).

먼저, Wechsler 지능검사는 전체 지능과 함께 언어성 및 동작성 IQ, 소검사별 프로파일들을 분석

함으로써 사회적 기능, 주의 기능, 주의폭 등 ADHD 아동이 특별히 어려움을 보이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오경자, 1990). 그러나 신민섭, 오경자와 홍강의(1990)는 KEDI-WISC 상에서

ADHD 집단의 인지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에서 지능 수준별로 인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

에 대해서 특히, 지능 수준이 높은 ADHD 집단의 경우 지능이 일정부분 주의력 관련 문제를 보상

할 수 있기 때문에 ADHD 평가 및 진단에 있어서 지능검사와 함께 ADHD 증상을 좀 더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들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다음으로 CPT는 주의지속성, 경계성, 주의분산성, 선택적 주의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검사

다(이지연, 조아라, 김봉석, 김주희, 2006). 신민섭, 조성준, 전선영과 홍강의(2000)의 전산화된 주

의력장애 진단 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에서는 시각 및 청각 검사 모두에서 ADHD 집단

이 정상 집단에 비해 더 많은 누락오류를 보였고 목표 자극에 대한 정반응시간평균이 느리고

비 일관적인 반응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CPT가 국내외의 많은 연구 결과들을 통해 진단도구로

서의 유용성을 상당부분 검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Maes와 Calhoun(1999)은 ADHD로 진단 받

은 아동ㆍ청소년의 대략 1/3이 CPT에 의해 선별 되지 못했으며, Robin(1999)도 초조감을 보이는

아동들, 지능이 평균 이상인 아동들은 ADHD 진단을 내릴 때 누락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였

다. 이와 같은 CPT의 진단 변별력 문제에 대해서 김미연과 김은정(2004)은 자극 속성, 자극의

난이도, 제시 순서, 연령, 지능, 기억능력 등이 CPT 수행에 영향을 준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정

선녀와 정승아(2009)의 연구에서도 지능 수준에 따른 ADHD 집단의 신경심리 검사 수행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ADS 청각과제에서 지능 수준 별 집단 차이를 보이며 지능이 높을수록 양호한

수행을 보여 ADHD 평가 및 진단에 있어서 지능 수준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WCST는 비교적 단일 검사로 ADHD 아동․청소년들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다양한 측면을 측

정 할 수 있는 검사이다(김용희, 2006). WCST는 일반적으로 전전두엽 장애에 민감한 고위 인지

기능에 속하는 추상적 개념형성 및 범주화하는 능력, 추론 능력, 인지적 융통성, 인지도식 변화,

작업 기억력과 같은 다 요인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검사이다(박수현, 이지연, 신민섭, 1997). 이하

영, 서완석, 성형모, 배대석, 정진영과 장문선(2010)은 ADHD 집단을 WCST 수행에 따라 분류하

여 인지기능 및 실행기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WCST 수행저하 집단이 WCST 수행정상 집단

에 비해 유의미하게 전체 지능 지수 및 언어성 지능 지수가 낮고 WCST 수행도 저조하여 지능

과 WCST 수행 간에 상관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ADHD의 실행기능 평가에 있어서

WCST의 민감성은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어느 정도 지지되고 있으나 특수성은 다소 제한적인

측면이 있는 바, ADHD 평가 및 진단 시에는 다른 객관적인 인지 및 신경심리 검사를 함께 실

시할 것을 제언하였다.

소아 정신과에 의뢰되는 50%가 ADHD의 치료 및 평가이고(McGee, Clark, & Symons, 2001)

Page 3: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 따른 신경심리 검사들의 반응 특징

- 133 -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ADHD 증상을 좀 더 민감하고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지 및 신경학적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특히, ADHD 평가와 진단에 널

리 활용되고 있는 인지 및 신경 심리 검사 수행에 있어서 지능이 일정부분 주의력 관련 문제

및 실행기능 문제를 보상 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 해석 시, 지능 수준을 고려해야함이 강

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들의 경우 지능을 ADHD 집단의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종

속 측정치로 설정하거나, 지능자체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ADHD 집단의 주의력 및 실

행기능을 살펴본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다양한 신경 심리 검사 결과들

사이에서 지능 수준에 따른 수행 차이를 비교하고 각 지능 집단 간의 반응 특성을 살펴본 연구

도 많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능검사와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 및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뒤 신경심리 검사 수행

에 있어서 지능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하여 ATA 및 WCST 결과 해

석의 민감성 및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대상

2011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서울소재 병원 정신과에 주의력․과잉활동 문제를 주소로 처

음 방문한 아동․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ADHD 진단은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 전문

가가 DSM-IV(1994)에 근거하여 부모와의 임상 면담, 행동관찰, 신경인지검사(KEDI-WISC, ATA,

WCST)를 통해 내려졌다. 최종적으로 축 I 장애에 ADHD 진단 만을 받은 138명의 아동․청소년

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38명의 ADHD 아동ㆍ청소년들의 인구 통계학적인 특

성을 살펴보면, 남자는 106명, 여자는 32명이며, 연령은 6세에서 15세 범위이고, 평균 연령은

9.72세(SD=2.36)이었다. 또한 지능 수준에 따라 분류한 네 지능 집단 간에 피험자들의 평균 연령

F(3,134)=1.48, n.s 및 성별은 F(3,134)=1.65, n.s.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측정도구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1991)는 5세에서 15세까지의 연령을 대상으로 한다. 전체 검사

는 언어성 소검사와 동작성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언어성 소검사는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이해,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성 소검사는 빠진곳찾기, 차례맞추기, 토막짜기, 모양

맞추기, 기호쓰기, 미로 하위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 분석에서는 미로 소검사를 제외한 11

개의 소검사 환산점수와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전체 지능을 사용하였다.

전산화된 주의력 진단 시스템(Advanced Test of Attention; ATA)은 홍강의, 신민섭과 조성준

Page 4: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134 -

(2000)이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연속수행 검사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시스

템(ADHD Diagnosis System; ADS)을 개정한 검사로 시각 주의력과 청각 주의력으로 나뉘어져

있다. 만 5세에서 15세 사이의 아동 및 청소년에게 실시되며 측정되는 기본 변인들은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평균,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이다. 결과 해석은 주의력과 관련된 상기

의 네 가지 변수의 점수들을 평균 50점, 표준편차 10점인 표준점수(T점수)로 변환하여 사용했으

며, 60점이면 경계선 수준, 65점 이상이면 주의력 장애가 의심되는 바, T점수가 높을수록 주의

력 문제 가능성이 시사된다.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는 추상적 개념을 형성하고 범주

화하는 능력, 인지도식의 변화, 인지적 융통성, 문제를 해결하거나 추리하는 능력, 계획 및 조직

화 능력, 작업 기억에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신경심리 검사다. 만

6세 8개월부터 실시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측정되는 기본 변인들 중 전체 시행수, 정반응수,

첫 범주완성 시도수, 완성 범주수, 유지실패수는 T점수로 변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T점수로 변

환 가능한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속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 만을 사용하였다. T점수

는 컴퓨터로 자동 산출되며 평균이 50점, 표준편차가 10점이며 T점수가 높을수록 양호한 수행

을 반영한다.

자료분석

연구에 참여하는 아동, 청소년과 그 보호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임상 심리학 석사과정 졸업 후 정신과에서 1년 이상 검사 수련을 받은 평가자에 의해 신경

심리 검사 및 지능검사가 시행되었다. 지능검사 시행 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규

준을 참고하여 네 개의 지능 집단을 분류하였다. 즉, IQ 80-89 범위에 속하면 ‘평균 하’ 집단으

로, IQ 90-109 범위에 속하면 ‘평균’ 집단, IQ 110-119 범위에 속하면 ‘평균 상’ 집단, IQ 120 이

상 범위에 속하면 ‘우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은 각 검사에 대한 지능 수준

의 차이와 검사 하위 요소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ATA와 WCST 및 KEDI-WISC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ATA와 KEDI-WISC의 FIQ, VIQ, PIQ와의 상관관계

시각 및 청각 ATA 검사 각각의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평균, 정반응시간평균 표준

편차와 KEDI-WISC의 전체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시각과제의 경우

오경보오류 및 정반응시간평균은 전체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과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Page 5: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 따른 신경심리 검사들의 반응 특징

- 135 -

표 1. 집단 간 주의력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변량 분석결과

ATA 변인평균하(1)

(n=25)

평균(2)

(n=44)

평균상(3)

(n=36)

우수(4)

(n=33)F Scheffe

누락

오류

71.36

(8.67)

63.20

(14.74)

57.97

(13.60)

50.94

(10.91)13.25** 1>2,3>4

오경보

오류

68.24

(7.64)

67.44

(25.86)

66.42

(25.94)

61.67

(16.80).89

차이

없음

정반응

시간평균

62.84

(8.36)

58.93

(12.85)

57.73

(10.54)

56.86

(12.10)1.54

차이

없음

정반응

시간편차

63.64

(18.03)

62.96

(7.47)

50.14

(9.77)

45.58

(8.43)18.32** 1,2>3,4

누락

오류

69.88

(20.89)

69.20

(12.99)

55.39

(15.61)

49.06

(7.42)14.53** 1,2>3,4

오경보

오류

72.04

(7.23)

63.00

(17.06)

53.21

(13.91)

52.19

(10.19)14.33** 1,2>3,4

정반응

시간평균

65.50

(12.71)

63.55

(15.58)

58.53

(12.20)

58.18

(12.32)2.35

차이

없음

정반응

시간편차

67.12

(3.66)

60.57

(11.86)

51.86

(12.90)

47.64

(8.99)17.90** 1,2>3,4

Note:T점수가 낮을수록 양호한 수준의 검사수행을 한 것임.

*p<.05, **p<.01

않았다. 그러나 시각과제의 누락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는 전체 지능, 동작성 지능, 언

어성 지능과 -.24~-.34의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청각과제의 경우 오경보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는 세 지능 영역과 -.19~-.52의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누락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은

동작성 지능을 제외한 언어성 지능 및 전체 지능과 -.21~-.46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ATA

측정 요인들과 KEDI-WISC 소검사 간의 상관분석 결과, 시각과제에 비하여 청각과제 측정치들

이 더 많은 지능 소검사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지능 수준에 따른 ATA 수행 차이

ADHD로 진단된 아동 및 청소년 138명을 대상으로 지능 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ATA 검

사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능 수준에 따라 분류한 네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먼저 시각과제의 경우 오경보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나 누락오류 F(3,134)=13.25, p<.01,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 F(3,134)=18.32, p<.01에

Page 6: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136 -

서는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였다. 또한 Scheffe 사후분석을 통하여 우수 지능 집단에서 가장

적은 누락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평균 하 지능 집단이 누락오류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외에도 표 1에서 집단 간 ATA 시각 검사 평균 측정치들을 살펴보았을 때 지능 수준이

높아질수록 누락오류에 대한 수행이 향상되는 반응양상을 보였다.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의

경우에는 평균 하 지능 집단과 평균 지능 집단이 상위 두 지능 집단에 비하여 정반응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에서 기복이 심하고 비 일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능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반

응 일관성이 향상되는 반응 양상 추세를 보였다. 한편, 눈여겨 볼 사항으로 ATA 시각 검사 평

균 측정치들을 살펴보면 시각과제의 오경보오류의 경우 지능 수준과는 상관없이 네 집단 모두

의 T점수 평균이 60점 이상의 점수대를 보이고 있어 오경보오류가 ADHD 집단의 충동성을 민

감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과제에서는 정반응시간평균을 제외한 누락오류 F(3,134)=14.53, p<.01, 오경보오류,

F(3,134)=14.33, p<.01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 F(3,134)=17.90, p<.01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수

행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 평균 상 지능 집단과 우수 지능 집단이 평균 지능 집단

및 평균 하 지능 집단 보다 더 적은 수의 누락 및 오경보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반응 일관성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WCST와 KEDI-WISC의 FIQ, VIQ, PIQ와의 상관관계

WCST 검사의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과 KEDI-WISC의

전체 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과의 상관분석 결과, WCST의 다섯 측정요인들은 전체 지

능 및 언어성 지능과는 .23~.39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동작성 지능과는 어떠한 상관도 보이

지 않았다. 또한 WCST 측정요인과 KEDI-WISC 소검사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지능 토막짜기와

이해 소검사는 WCST 어떤 측정요인과도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나머지 지능 소검사 영역들

은 .20~.38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지능 수준에 따른 WCST 수행 차이

지능 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WCST 검사 평균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를 검증한 결과를 표 2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능 수준에 따라 분류한 네 집단 간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 오반응 F(3,134)=9.07, p<.01, 보속반응

F(3,134)=3.04, p<.05, 보석오류 F(3,134)=2.71, p<.05, 비보속오류 F(3,134)=5.83, p<.01, 개념수준

반응 F(3,134)=8.50, p<.01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수행 차이를 보였다. 또한 Scheffe 사후분석을

통하여 평균 하 지능 집단이 나머지 세 지능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수준으로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에서 더 저조한 수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Page 7: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 따른 신경심리 검사들의 반응 특징

- 137 -

표 2. 집단 간 WCST의 평균과 표준편차, 다변량 분석 결과

평균하(1)

(n=25)

평균(2)

(n=44)

평균상(3)

(n=36)

우수(4)

(n=33)F Scheffe

전체 오반응36.00

(7.64)

45.98

(9.42)

47.44

(11.53)

49.64

(12.18)9.07** 2,3,4>1

보속 반응37.20

(8.64)

46.20

(10.27)

49.61

(9.56)

53.12

(11.72)3.04* 2,3,4>1

보석 오류35.88

(7.63)

44.48

(10.37)

49.36

(9.56)

52.85

(12.12)2.71* 2,3,4>1

비보속 오류34.84

(18.07)

46.14

(12.01)

48.18

(10.41)

51.39

(12.30)5.83** 2,3,4>1

개념수준반응36.84

(7.96)

45.93

(9.07)

47.17

(11.01)

49.88

(11.78)8.50** 2,3,4>1

Note:T점수가 높을수록 양호한 수준의 검사수행을 한 것임.

*p<.05, **p<.01

논 의

본 연구에서는 ADHD로 진단된 아동 및 청소년 138명을 대상으로 지능 검사와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 및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뒤 검사 수행에 있어서 지능 수준에 따른 유

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럼으로써 임상장면에서 ADHD의 평가 및 진단에 널

리 사용되고 있는 ATA 및 WCST 결과 해석의 민감성 및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

였다.

먼저, KEDI-WISC와 ATA 간의 상관분석 결과, 시각과제의 오경보오류 및 정반응시간평균은 동작

성 지능, 언어성 지능, 전체 지능 모두와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으나 누락오류 및 정반응시간평

균 표준편차는 세 지능 영역 모두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청각과제에서는 오경보오류와 정반응시

간평균 표준편차는 세 지능 영역 모두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누락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은 동작성

지능을 제외한 언어성 지능 및 전체 지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ATA 측정치 및 지능 소검사

상관관계에서도 전반적으로 청각 주의력이 시각 주의력에 비하여 지능 소검들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각 주의력이 시각 주의력에 비하여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정선녀 등(2009)

의 연구 및 송현주(2008)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되는 점이 있으나 두 연구에서는 시각 주의력과

지능 요인 사이에 상관관계를 거의 보이지 않았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시각 주의력의 누락오류

와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의 경우 지능 요인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각 주의력과 지능과의 상관

관계는 지능과 CPT 시각오류, 누락오류, 정반응시간평균과의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다는

Seidel와 Joschko(1991)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연구들마다 시각 및 청각 주의력과 지능 사

Page 8: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138 -

이의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주의력 검사의 자극 종류 및 난이도,

검사 시간, 시행 순서를 비롯하여 지능 수준, 연령과 같은 요인들의 영향을 일정부분 받는 것으로 여

겨지는 바, 추후 좀 더 상기의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한 반복 연구들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결과를 토대로 네 지능 집단 간에 ATA 검사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시각과제의 경우 오경보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에서는 유의미한 집

단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누락오류와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간 수행 차이

를 보였으며, 청각과제에서는 정반응시간평균을 제외한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평균 표준

편차에서 유의미한 집단 간 수행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 지능 수준이 높아질수록 ATA

검사 수행이 향상되는 반응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지능이 평균 상 이상의 지능 집단 ATA 수행에서

는 주의 집중력의 문제가 시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ADHD 집단을 대상으로 지능 수준

에 따른 CPT 검사 수행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시각 및 청각 과제의 누락오류, 오경보오류에

서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났으나 우수 지능 집단의 수행에서는 주의 집중력의 문제가 시사되지 않은

Park, Min-Hyun, Kewon, Y & Lee, Chang-Uk (201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지능 수준이 평균 이하인 두 집단에서는 시각과제와 청각과제의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

반응시간평균, 정반응시간평균 표준편차에서 유의미하게 주의 집중력의 문제가 시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DHD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하여 시각 및 청각과제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더 많은 누락

오류와 오경보오류를 보이고 정반응 시간도 더 느리다는 신민섭 등(2000)의 연구와 일치한다. 따라

서 지능 수준이 평균 이하 집단의 경우 지능요인이 신경심리검사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

아짐에 따라 ATA 검사가 ADHD 주의력 평가에 대한 민감성과 정확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그러나 지능 수준이 평균 상 수준 이상의 집단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신중한 결과 해석이 필

요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능 수준이 높은 집단의 ATA 해석에 있어서 오경보오류가 유

용한 정보로 활용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오경보오류는 지능 요인과 어떠한 상관

도 보이지 않은 가운데 변량 분석에서도 집단 간 수행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네 지능 집단 모두에

서 T점수가 60점을 넘어 주의 집중력의 문제가 의심되었다. 따라서 ATA 검사 해석에 있어서 아동

의 지능 수준이 평균 상 이상일 경우에는 지능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각과제의 오경보오류가

주의력 문제 대한 민감성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능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시각자

극 과제에 비하여 난이도와 변별력이 더 높은 청각자극 과제가 ADHD 진단 민감성에 더 유용하다는

신민섭 등(2000)의 결과와는 불일치되나 지능 수준이 높을수록 단순한 과제가 지루함을 유발시켜 과

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Stankov(1983)의 주장과는 일치한다. 따라서 지능이 평균 상 수준 이

상일 경우에는 해석 과정에서 지능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시각 ATA의 오경보오류를 우선적으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지능이 평균 상 수준 이상의 집단에 대

한 ADHD 평가 시에는 ATA의 변별력이 일정부분 저하될 가능성이 시사되는 바, ATA 검사와 함께

다른 객관적인 신경심리검사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TA 검사와 함께 비교적 단일 검사로 ADHD 아동․청소년들의 전두엽 실행

기능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 할 수 있는 WCST 검사와 지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뒤 WCST 수행에

Page 9: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 따른 신경심리 검사들의 반응 특징

- 139 -

있어서 지능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상관분석 결과, WCST

의 다섯 요인들(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과 전체 지능 및 언어성

지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동작성 지능과는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또한 WCST

측정요인과 KEDI-WISC 소검사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지능 토막짜기와 이해 소검사는 WCST 어떤

측정요인과도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나머지 지능 소검사 영역들은 WCST 측정치들과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WCST 수행저하 집단이 WCST 수행정상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

로 전체 지능 지수 및 언어성 지능 지수가 낮고 WCST 수행도 저조하다는 결과를 토대로 WCST 측

정치와 지능 지수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이하영 등의(2010)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즉, 이는 WCST 검사가 계획능력, 개념형성 능력, 전환능력, 작업기억, 주의력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요인을 측정하기 때문에 지적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완전히 배제 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결과를 토대로 네 지능 집단 간에 WCST 검사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에서 유의미한 집

단 간 수행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후분석 결과, 평균 하 지능 집단이 나머지 세 지능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수준으로 전체 오반응, 보속반응, 보석오류, 비보속오류, 개념수준반응에서 더 저조한 수행

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균 하 지능 집단의 경우 WCST의 모든 측정치에서 규준 평

균 점수보다 1 표준편차 이상 저조한 수행을 보여 문제해결을 위한 책략을 수립한 뒤 외부 피드백을

활용하고 융통성 있게 주의를 전환시키는 실행기능의 문제가 시사되었다. 이는 ADHD 집단, 뚜렛장

애 집단, 정상 집단 간의 WCST 수행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ADHD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현

저한 실행기능 문제를 보였다는 성형모와 박형배(200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지능 수준

이 평균 하 집단의 경우 WCST 측정치들이 ADHD 평가에 있어서 민감한 지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시사된다.

또한 지능 수준이 평균 이상인 세 집단에서도 WCST 측정치들의 평균 T점수 추세가 44점에서 52

점 사이로 규준 집단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보통 하단 수준에 속하여 전반적으로 문제해결을 하는데

있어서 부주의하고 충동적이며 계획성과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지능 집단의

평균 점수 차가 크지 않아 사후 분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던 점으로 보아 지능

수준이 평균 이상인 집단에 대해서는 WCST 측정치들이 ADHD 평가에 있어서 좀 더 세밀한 민감성

을 보여 주지 못 할 가능성이 시사된다. 이러한 시사점은 지능 수준이 평균 이상인 ADHD 집단과

정상 집단 간의 WCST 수행비교에서 유지 실패 수에서만 ADHD 집단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저조한

수행을 보이고 나머지 WCST 측정치에서는 전혀 집단 차이를 보이지 않아 WCST이 ADHD 감별진

단에 민감성을 보이지 못할 수 있다는 박수현 등(1997)의 연구 결과와도 일정부분 일치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WCST 수행에서 보여 지는 실행기능의 문제가 근본적인 신경학적 장애의 지표가 될 수

는 있겠지만 저조한 WCST 수행이 전두엽 기능과 관련지어 ADHD만을 특정적으로 진단하는 데는

충분치 않아 보인다. 또한 WCST 검사가 다양한 인지적 요인을 측정하기 때문에 지능 수준이 우수

할 경우 수행에 있어서 일정부분 보상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 없는 바, 일단 지능 수

준이 평균 이상일 경우에는 WCST 검사 이외의 다른 신경심리 검사와 행동관찰, 발달력 등을 종합

Page 10: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140 -

적으로 고려하여 ADHD 평가 민감성 및 정확성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시사되는 점은 ADHD 평가 및 진단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

인 신경심리 검사인 ATA 검사와 WCST 검사 수행 시, 지능 수준에 따라 수행 차이가 나며 특히, 지

능요인이 수행에 있어서 일정부분 보상적인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다시 한 번 재검토하

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ATA 검사와 WCST 검사 결과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결과 해석 시, 좀

더 구체적으로 지능 수준에 따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변인들이 무엇인지, 지능 수준에 따른 반응

양상 및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소아 정신과에 의뢰되는 50%가 ADHD의 치료

및 평가임을 고려하여 볼 때, 임상장면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ATA 검사 및 WCST 검사 해

석 시, 본 연구의 결과들을 참조해 본다면 ADHD 진단의 민감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일정부

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정상 아동․청소년 집단을 연구에 포함시켜 통제군으로 비교하지 못하였으

며 각각의 지능 집단의 크기(N) 역시 일정하게 통제하지 못하였다. 더불어 실재 임상 장면에서는 단

순히 ADHD 증상만을 보이기보다는 다른 여타 공병 장애를 함께 보이는 경우가 더 많은 바, 추후

연구에서는 정상 통제 집단과 함께 다른 임상 집단을 포함해 볼 필요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비록 연령에 따른 집단 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5세부터 12세까지 계획력, 인지적 융통성, 행동억제

력, 주의조절능력과 같은 실행기능의 하위 요소들이 점진적으로 발달한다는 도례미, 조수철, 김붕년,

김재원과 신민섭(2010)의 연구를 고려하여 볼 때 연령 변화에 따른 실행기능 수행 차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겠다. 이외에도 ADHD 하위 유형에 따른 신경 인지 특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추후 연구에서는 AHDD 하위 유형에 따른 신경학적인 특성을 구분하여 비교 분석해 보는 연구도 이

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능 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KEDI-WISC 검

사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임상 장면에서는 WISC-III나 WISC-IV와 같은 표준화된 지능검사를 더 많

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최근에 표준화된 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ADHD 집단의 지능 수준에 따른 인지특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미연, 김은정(2004). 주의력 진단 검사의 제시 순서와 난이도에 따른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

애의 주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3(4), 1085-1108.

김용희(2006). ADHD 아동의 하위 유형에 따른 전두엽집행기능 연구:WCST 수행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2), 301-314.

도례미, 조수철, 김붕년, 김재원, 신민섭(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한국심리치료학회, 2(2),

1-12.

박수현, 이지연, 신민섭(1997). ADHD 평가도구로서 Wisconsin Card Sorting Test의 타당도 연구:

ADHD와 정상아동 집단간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16(2) , 730-736.

신민섭, 조성준, 전선영, 홍강의(2000).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Page 11: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 따른 신경심리 검사들의 반응 특징

- 141 -

원고 접수일:2013년 9월 12일

수정원고접수일:2013년 10월 13일

게재 확정일:2013년 10월 15일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11(1), 91-99.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1990).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아․청소년 정신

의학, 1(1), 55-64.

성형모, 박형배(2000). 뚜렛 장애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신경정신

의학회지, 39, 610-619.

송현주(2008). 청각 주의력과 지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767-775.

오경자(1990).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의 평가.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1(1), 65-76.

이지연, 조아라, 김봉석, 김주희(2006). 지적 능력이 연속수행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

소년 정신의학, 17-2, 163-169.

이하영, 서완석, 성형모, 배대석, 정진영, 장문선(2010). ADHD 아동의 WCST 수행 저하와 실행

기능 및 인성 특성과의 관계:WCST 수행 정상 ADHD 및 우울 집단과의 비교. 정서․행동

장애 연구, 26(2), 169-195.

정선녀, 정승녀(2009). ADHD로 진단된 아동의 ADS 및 KEDI-WISC의 반응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 137-151.

Aylward, G. P., Gordon, M., & Verhulst, S. J.(1997). Relationship between continuous performance

task scores and other cognitive measures:Causality or commonality Assessment, 4, 325-336.

Barkel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Maes, S. D., Calhoun, S. L. (1999). Discriminative validity of the Gordon Diagnostic System. The

ADHD report, 7, 11-14.

McGee, Clark, & Symons (2001). Does the Conner's Continuous Performacne Test Aid in ADHD

Diagnosi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8(5), 415-424.

Park, Min-Hyun, Kewon, Yong-Sil, Lee, Soo-Jung, Park, E-jinm Lee, Chul, & Lee, Chang-Uk(2011).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ADHD Children on a visual and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ccording to IQ.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8, 227-233.

Robin AL. (1999).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olescents:Common pediatric Concerns.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46(5), 1027-1038.

Seidel, W.T., & joschko, M. (1991). Assessment of attention in children.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5(1), 53-66.

Stankov, L.(1983). Attention and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 471-490.

Page 12: 신고운 신민섭 2013 adhd 집단의 지능수준에_따른_신경심리_검사들의_반응_특징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142 -

한국심리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2013, Vol. 5, No. 2, 131∼142

Differences in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according to Intelligence Level in ADHD Group

Ko-Eun Shin ․Min-Sup Shi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compared variables of the ATA and the WCST among four ADHD groups

according to intelligence level. The participants were 138 clinically diagnosed ADHD children

and adolesce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uditory

ATA scores and the KEDI-WISC subtests were negatively high than those between the visual

ATA scores and the KEDI-WISC subtests. On a visual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A performance among four IQ groups with regard to omission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On an auditory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A

performance among four IQ groups with regard to o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The group with below IQ had attentional problem,

whereas the groups above average IQ didn't have any attentional problem. Secondly, the total

number of errors, perseverative response, perseverative error, non perseverative error and

conceptual level response of the WCS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ost

of KEDI-WISC subtes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IQ groups with regard

to the total number of errors, perseverative response, perseverative error, non perseverative

error and conceptual level response. Especially, the group with below IQ had significantly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ADHD, ATA, WCST, KEDI-WISC, Intelligenc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