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201325032 이채윤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 Upload
    -

  • View
    42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1325032 이채윤

1984년 정부수립 이후 2009년도에 이르는 동안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일곱 차례에 걸쳐 수정되거나 전반적인 개혁이 있어왔다. 교육과정개혁을 위한 노력은 그때마다 학생의 성장과 발달, 정치적 변화, 사회적 변화 그리고 교과목표나 내용의 변화 등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개정 절차>

① 1955년 정부주도 하에 개정·공포된 ‘교과과정’이 명실상부한 최초의 현대적인 교육과정

② 1963년 2월 15일에 문교부령 제119호에 의한 것③ 1973년 2월 문교부령 제310호로 전면 개편된 것④ 1981년 12월 31일 문교부령 제 442호에 의하여 1982년부터 1984년까지

학교 급별 및 교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

⑤ 1991년부터 약간의 변화가 시도되었고 전면적인 개편은 1995년부터 적용되었던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졌다.

⑥ 2000년부터 적용된 제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

• 한국전쟁이 거의 끝날 무렵인 1953년부터 문교부는 교육과정의 개정

을 시작하여 다음해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 53호로 국민학

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 공포

• 같은 시기에 이른바 ‘새 교육 운동’ 이라는 이름하에 미국의 아동중심·

경험중심 교육과정이 적극적으로 소개되었다.

• 이 시기에는 교수요목, 교과과정 그리고 교육과정 등의 용어들이 혼

용되어 사용

• 1955년의 교과과정은 외국의 교육사조와 방법을 무분별하게 적용하

였다든가 기초학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하였다든가 그 시대의 국내 정

세와 어긋난다는 등의 이유로 제 3공화국 정부에 의해 완성

• 제 2차 교육과정 안에서 교육과정은 곧 학생들이 학교의 지도하에 경

험하는 모든 학습활동의 총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습 경험 여하에 따라 그들이 어떤 인간으로 성장하느냐가 결정되는

것이라 강조

• 1968년 국민교육헌장의 공포, 고도경제성장, 1972년의 10월 유신 등의 시대적인 배경을 반영한 교육과정이었다.

• 이 교육과정에서 국민정신교육 강화, 인간교육 강화, 지식·기술교육쇄신의 사항을 열거하고 있다.

• 이즈음 지식의 구조를 강조하고 발견학습을 권장하는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더불어 각 교과에 걸쳐 많은 첨단적인 지식이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 국가의 자주성함양과 국민정신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사와 도덕교과가 독립되어 강조 되 국민학교에서는 5,6학년에 주당 2시간씩 중학교에서는 2,3학년에 2시간씩 고등학교에서는 국사교과가 신설

• 문교부 고시 제442호로 공표 되었던 제 4차 교육과정은 적용되는 연

도에서 학교 급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 교육과정의 정의가 “학교에서 학생에게 무엇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

인가”를 국가수준에서 확정·고시한 문서화된 계획으로써 총론과 각

론으로 구성된다” 라고 규정

<특징>

1. 국민학교 1,2학년에서 교과의 통합 모색

2. 교과별 시간배당을 묶어 놓음

3.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바른 생활 등의 통합교과가 선보임

• 문교부는 1988년도에 1981년 개편 이후 7년 만에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하였다.

<강조된 사항>

1. 학생들의 기본적인 학습기능을 중요시 하게 되었다.

2. 학습내용의 양과 수준에서 적정화를 기하였다.

3. 학생의 선택범위의 확대와 학교의 교육과정 윤영의 자율성을 높이

려고 하였다.

4.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5. 형식화되어 부실하게 운영되어 오던 특별 활동의 정상화를 도모하

였다.

1. 교육과정결정의 중앙 집중성

2. 교육과정 구조의 경직된 획일성

3. 교육과정내용의 부적합성

4. 교육과정의 목표달성의 비효율성

5.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폐쇄성, 경직성

중앙 집중성→ 분권화, 획일성→다양화

내용의 부적합성→ 적정화, 비효율성→효율화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교육과정이 개정된 이유>

1. 교육과정의 중앙집권적 성격으로 인하여 학교교육이 획일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성을 조금이나마 증진시켜야 되겠다는 필요

2. 교육내용의 요동성과 적절성을 재고시켜야 할 필요

3. 학생들의 교육경험의 질적 부적절성을 바로잡자는 것

4.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 체제의 미흡으로 인하여 방치 상태에

가까운 학교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바로 잡아야 하겠

다는 인식 때문.

• 제 7차 교육과정은 교육부가 1997년 12월에 고시한 것으로 초·중등

학교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이다.

<특징>

1.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 7차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 학생의 학

습 능력과 학습의 요구에 대응하는 교육기회와 자기 주도적 개별화

학습 기회를 제공

2. 재량시간운영 및 확대 : 재량시간의 운영은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처

음 도입되었으나, 7차 교육과정에서 더욱 확대되어 교과 재량과 창

의적 재량 활동으로 분화되어 적용되고 있다.

* 수준별 교육과정

① 단계 형 수준별 교육과정 : 교과의 내용이 비교적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선행 학습의 결손이 후속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②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은 집단 학생들 간 능력의 차이가 심각하게 작용하지 않는 교과에 주로적용되는 교육과정으로서 학년별로 교육과정이 편성 운영된다.

③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 학생의 능력수준에 따라 다른 수준의 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방식이었던 전면·일시 개정에서 벗어

나 ‘부분·수시’ 개정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이 필

요할 때는 언제든지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개정한

다는 입장

<특징>

1. 일반선택과 심화선택으로 구분되어있던 보통교과 선택 과목이 ‘선

택과목’으로 단일화

2. 보통 교과에서 전문 교과를 개설하거나 새로운 과목을 신설 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단위학교에서의 편성상의 융통성을 부여

3. 편성·운영의 융통성을 확장

4. 선택과목의 불균형 이수문제를 해소, 인성·교양 교육을 보다 강화

• 이상의 교육과정의 변천은 학교교육의 교육목표를 교과목과 그 시가

내당을 조정하여 교과서를 새로이 편찬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이

러한 방식은 학생이나 학부모, 더 나아가서 지역사회의 필요에 의해

서라기보다는 정부당국자의 필요해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점이 교육획일화의 한 원인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 우리의 교육과정에는 아직도 교육과정의 본질에 어긋나는 면이 있음

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과정의 왜곡과 영 교육과정의 난무 그

리고 통합교과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지나치게 세분화된 과

목에 의해 교육과정이 과다하게 부과되어 있다는 점이 앞으로 개선

해야 할 과제이다.

201325032 이채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