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88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2013년 여름)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국외 수화 언어학 연구 동향 홍성은 함부르크 대학교 수화와 농인의 의사소통 연구소 전 연구원 1. 현대 수화 언어학의 역사 수화 (sign language) 연구는 그 역사가 꽤 되긴 했지만 , 현대 수화 언어학은 윌리엄 스토키 (William Stokoe)의 연구에서 비롯했다고 볼 수 있다 . 대부분의 학자들이 수화를 무엇인가를 흉내내는 팬터마임 (mimicry pantomime) 정도로 치부하던 때 , 스토키는 수화의 구조 : 국 농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개요 ’(1960)라는 논문을 발표 했다 . 그는 이 논문에서 미국 수화의 기호가 구어의 음소와 유사한 , 미가 없는 요소들로 분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이 각각의 의 미 없는 음소들은 다시 의미를 가진 요소들로 결합할 수도 있다 . 언어 학에서 이중 조음 (double articulation)이라고 부르는 (Martinet 1960) 이 같은 특징은 인간 언어의 중요한 속성인데 , 이 특징이 한정된 수의 구성 요소를 결합해 무한정으로 발화를 생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 미국 수화의 수형(handshape), 수향(hand configuration), 수위 (location), 수동 (movement), 비수지 신호 (non-manuals)의 특성에 대

국외 수화 언어학 연구 동향 - korean.go.kr · 88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국외 수화 언어학 연구 동향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88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국외 수화 언어학 연구 동향

홍성은 함부르크 대학교 수화와 농인의 의사소통 연구소 전 연구원

1. 현대 수화 언어학의 역사

수화(sign language) 연구는 그 역사가 꽤 되긴 했지만, 현 수화

언어학은 윌리엄 스토키(William Stokoe)의 연구에서 비롯했다고 볼

수 있다. 부분의 학자들이 수화를 무엇인가를 흉내내는 팬터마임

(mimicry pantomime) 정도로 치부하던 때, 스토키는 ‘수화의 구조: 미

국 농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개요’(1960)라는 논문을 발표

했다. 그는 이 논문에서 미국 수화의 기호가 구어의 음소와 유사한, 의

미가 없는 요소들로 분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각각의 의

미 없는 음소들은 다시 의미를 가진 요소들로 결합할 수도 있다. 언어

학에서 이중 조음(double articulation)이라고 부르는(Martinet 1960)

이 같은 특징은 인간 언어의 중요한 속성인데, 이 특징이 한정된 수의

구성 요소를 결합해 무한정으로 발화를 생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미국 수화의 수형(handshape), 수향(hand configuration), 수위

(location), 수동(movement), 비수지 신호(non-manuals)의 특성에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89

한 스토키의 기본적인 분석은 현재까지도 수화 음운론1)의 모델로 인정

받고 있다. 스토키의 연구는 수많은 언어학자들에게 수화가 언어학의

네 기준인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을 모두 갖춘 완전한 언어라

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수화가 구어를 손짓으로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라고 하거나, 청인

들이 만든 것이라고 하는 등 수화가 구어에 의존적이라고 하지 않는 것

이 중요하다. 수화는 구어에 의존하지 않는다. 수화는 나름의 독자적이

고 복잡한 구조와 문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어를 사용하는 국

가이더라도 국과 미국의 수화가 다르며 서로의 수화를 이해할 수 없

는 일도 생긴다.2) 수화의 문법은 같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구어와도 비

슷하지 않다.3)

스토키와 여러 언어학자들은 구조적 분석을 더해, 수화는 그 시각적

감각 양식 때문에 통사적 특징이나 어형 변화와 같은 문법적 특성이 구어

와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중요한 이해는

수화 언어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적 연구 분야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수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도상성과 공간의 사용이다. 넓은 의

미에서 도상성은 언어학에서든 다른 분야에서든 어떤 기호와 의미 사

이에 있는 유사성 또는 유추(analogy)를 뜻한다. 수화에서 도상적 측면

1) 리들과 존슨(1989)의 동작-정지 모델이 한 예이다.

2) 농 역사를 살펴보면, 미국 수화는 오히려 프랑스 수화와 관련이 있다.

3) 어식 수화(Signed English), 독일어식 수화(Signed German)처럼 구어의 모든 단어를 수

화로 바꾸는 방식의 수화가 있다. 어식 수화를 사용한다는 것은 말한 것을 그 로 단어

단어로 바꾼다는 것을 뜻한다. 농인은 각 나라의 수화뿐만 아니라 이처럼 구어를 시각화한

형태의 수화를 사용하기도 한다. 구어를 시각화한 수화가 교육을 위해 사용되기는 하지만,

인간 언어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언어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90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은 관습적인 수화 기호들뿐만 아니라, 의도한 의미를 묘사하기 위해서

주어진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만들어지는 수화 기호에도 해당된다. 실

제로 도상성은 수화 전체를 복합적으로 관통한다. 도상성은 수화를 가

르칠 때 기억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통시 언어학에서 미발견 가

정을 설명하는 용어인 연상 기호(mnemonic device) 이상을 의미한다.

언어학자 소쉬르에 따르면 기호와 의미 사이에는 결코 이렇다 할

만한 관계가 없는데(자의적 관계), 다시 말해 그 둘 사이에는 어떤 직접

적인 연관성도 없다. 소쉬르의 구어 관찰 ‧ 분석은 언어학자들로 하여금

자의성이 기본 원칙(cf. De Saussure 1967, 79∼82)일 뿐 아니라 인간

의 언어가 가져야 하는 필수 요소라고 오해하게 했다. 수화 언어학의

개척자들은 수화가 구어와 동등한, 진정한 언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

해 기호와 의미 사이의 자의적 관계 같은 구조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췄

다. 그 결과 수화 언어학 연구에서 수화의 도상적 측면은 소홀히 다루

어지고 무시되었으며 부정되었다.4) 수화 고유의 문법이 존재한다는 수

많은 증거들과 구어와 수화의 다양한 유사성을 다룬 수많은 연구에 힘

입어 그 점을 두고 더 이상 논쟁할 필요는 없게 되었다. 최근의 수화 연

구는 언어의 자의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일반 언어학

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4) 부분의 초기 수화 언어학자들과 달리, 맨델(Mandel 1977)은 수화의 도상성에 주목했

다. 최근 연구들로는 에빙하우스와 헤스만(Ebbinghaus&Hessmann 1989)의 독일 수화 연

구, 쿠사크(Cuxac 2000)의 프랑스 수화 연구, 타우브(Taub 2001)의 미국 수화 연구, 피에트

란드레아(Pietrandrea 2002)의 이탈리아 수화 연구가 있다.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91

2. 수화 언어학의 최근 동향

다른 언어학 분야와 비교해 보면, 수화 언어학은 젊은 학문이다. 수

화 언어학에는 아직 연구되지 않은 역이 많다. 수화 언어학 전체에서

도 그렇고, 특정 국가의 수화에 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렇지만 최근

다양한 주제를 다룬 수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미국이나 유럽, 호주의 초기 수화 연구들은 소위 분류사나 일치

동사(agreement verbs) 등 형태론적 주제에 한 기술이 많았던 반

면, 최근에는 사회 언어학, 운율학, 비수지 신호, 심리 언어학, 토착 수

화(village sign language)와 이중 언어에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다. ‘수화 연구의 이론적 이슈(Theoretical Issues in Sign Language

Research, TISLR)’5)라는 국제 학술 회에서 이루어지는 토론들은 많

은 사회 언어학자들이 수화의 변이를 연구 ‧ 분석하고 있음을 보여 준

다[Schembri & Johnston 2013, 국 수화(BSL) 연구는 Fenlon,

Schembri, Rentelis, & Cormier 2013, 미국 수화(ASL) 연구는 Mc-

Caskill, Lucas, Bayley & Hill 2011 and Lucas 2001]. 시각 언어인 수화

의 운율 체계는 구어의 운율 요소인 강세(prominence cues)나 억양

(intonation) (Wilbur 2000, Sandler 2012)과 유사한 자질들로 특징지

어진다. 비수지 기호 분야에서는 시선 추적 기술(eye tracking tech-

nology)이 수화에서 시선과 눈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데 향을 끼치고

있다(cf. Thompson, Emmorey & Kluender 2009). 심리 언어학에서는

5) ‘수화 연구의 이론적 이슈(Theoretical Issues in Sign Language Research, TISLR)’는 전 세

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수화 학술 회다. 1986년 뉴욕 주 로체스터에서 시작되어, 3년마다

학술 회를 연다. 제10회 학술 회(2010)는 미국 인디애나 웨스트래피엇에서, 제11회

(2013)는 국 런던에서 열렸으며, 제12회(2016)는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92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fMRI와 같은 기술의 사용이 수화 정보 처리 과정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

공했다(Newman et al. 2010). 많은 수화 언어학자들은 전 세계 곳곳의

토착 수화를 기록하고[알리푸르(Alipur) 수화는 Sibaji 2012, 이스라엘

내 알제리 유태인 수화는 Lanesman & Meir 2012, 카타 콜록(Kata

Kolok, 인도네시아 발리 수화)은 de Vos 2012], 이중 언어에 한 최근

연구에서는 코드 블렌딩(code-blending)이 문어(written language)의

인지에 주는 향뿐만 아니라 이중 언어 구사의 발달에 주는 향에

해서도 논의하고 있다(Morford et al. 2011).

이처럼 다양한 언어학 분야의 연구 주제들은 주로 유럽과 미국에

있는 여러 수화 연구소에서 주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진다. 세계 유수

수화 언어학 연구소들을 나라별로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 독일: 함부르크 학교 수화와 농인의 의사소통 연구소

∙ 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농 인지와 언어 연구소, 맨체

스터 학교

∙ 네덜란드: 네이메헌 라드바우드 학교, 암스테르담 학교, 네

이메헌 막스플랑크 심리 언어학 연구소

∙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학교, 그라츠 칼프란첸 학교

∙ 스위스: 바젤 수화 연구 센터

∙ 프랑스: 파리 8 학교

∙ 스웨덴: 스톡홀름 학교

∙ 미국: 워싱턴 갤러뎃 학교, 인디애나 퍼듀 학교, 코네티컷

학교, 뉴멕시코 학교, 텍사스오스틴 학교, 캘리포니아 샌디

에이고 주립 학교

∙ 호주: 매쿼리 학교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93

∙ 이스라엘: 하이파 학교

∙ 홍콩: 홍콩 중문 학교

∙ 브라질: 산타카타리나 학교

물론 수화를 연구하는 기관은 여기에 열거한 것보다 훨씬 많다. 또

제3세계의 여러 국가에도 수화 연구소가 있는데, 아직 연구 수준은 초

보적이다. 수화 연구 역사가 매우 짧거나 비언어학자(주로 농학교 특수

교사)가 연구를 주도하는 나라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수화 연구가 어휘적 수준에서 시작된다. 즉, 수화 기호를 수

집하고 목록을 만드는 활동을 주로 한다. 수집된 수화 기호들의 목록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방 해지며, 부분 수화를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사전 편찬으로 이어진다. 둘째, 연구자가 수화를 분석할 때 구

어에서 출발하거나, 농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자체(자연 수화)보다

구어를 시각화한 형태를 분석하기까지 한다.

위에 열거한 기관들은 수화의 구조를 분석할 때 기술적 방법을 제

공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나라들과는 다르다. 이 기관들에서는 언어학

자가 수화의 구조, 규칙, 패턴을 실제 사용자가 쓰는 로 기술한다. 또

다양한 방언과 변이형에서 볼 수 있는 언어의 다양성은 표준화하려고

시도되지 않고, 그 자체로 기록되고 포착된다.6) 이런 사고방식이 수화

사전을 편찬하게 만들었다. 독일 함부르크의 ‘수화와 농인의 의사소통

연구소’에서 만든 수화 전문 용어 사전은 실증적 자료에 근거하여 독일

6) 반면에 편집자나 교사같이 언어를 규범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언어 사용에서

‘옳고’, ‘그른’ 것을 나누는 법칙을 제시한다. 기술적 관점은 언어의 구조가 어떻게 사용‘되어

야’ 하는가를 다루고자 하는 규범적 관점과는 구별된다.

94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어 한 단어에 해 수화 하나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화 기

호들을 보여 준다.

이런 기술적 언어 철학의 향은 코퍼스 언어학에까지 이른다. 그

러므로 디지털 상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특히 유럽에서 지난 몇 년간

언어학자들이 수화 코퍼스를 구축하기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자했다는

것이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3. 수화 코퍼스

코퍼스는 특정 언어의 말들을 모아서 과학적으로 편집한 것(말뭉

치)이다. 예를 들어 코퍼스에는 상당히 많은 문어 자료와 녹음‧녹화한

화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학자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해서

언어의 사용을 연구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그 언어의 어휘나 문법을 연

구할 수 있다. 코퍼스의 언어 자료는 접근 가능하며, 기계 처리가 가능

하고, 검색이 가능해야 한다. 즉, 자료가 녹음 ‧ 저장 ‧ 코드화 ‧ 분석이 가

능해야 한다. 이것이 코퍼스와 단순한 단어 사례 모음을 구별 짓는다.

기존의 언어학자들이 특정 언어 원어민들이 그 언어의 의미나 형

태에 해 가장 뛰어난 직관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온 반면에, 코퍼스

언어학자는 원어민의 능력과 직관 신 코퍼스에서 추출된 자료의 빈

도에 의존한다. 코퍼스는 개 량의 언어 자료를 포함하므로, 코퍼스

자료를 통해 가설을 검증할 수 있다.

일반 코퍼스 언어학에서 코퍼스 구축을 정당화하는 이유 외에, 수

화에서 특별히 코퍼스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95

∙ 수화 커뮤니티는 위협 받고 있다(Johnston 2004). 수화는 널리

통용되는 문자 체계가 없기 때문에, 농 사회의 규모가 작아지면

다음 세 로 수화를 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수화 코퍼스 구축

은 국가의 수화들을 기록하고 다음 세 의 농인과 청인들을 위해

수화 자료를 저장하는 것을 돕는다.

∙ 수화에 한 연구는 구어 연구에 비해 그 역사가 짧기 때문에, 어

휘화와 문법화와 관련해 답을 찾지 못한 질문들이 많다. 수화 코

퍼스는 수화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 공간 사용 등 수화 구조의 문법적 측면의 많은 부분은 주어진 맥

락에서 발화를 관찰하고 나서야 정확하게 해석 가능하다. 코퍼스

는 상황 맥락 파악이 필요한 주제에 접근할 때 충분한 자료를 제

공한다.

∙ 수화에는 수많은 지역어와 방언이 있다. 코퍼스는 이런 변이들의

패턴과 역할을 좀 더 잘 이해하도록 돕고, 이 소중한 자료들을 기

록하고 기술할 수 있게 한다. 코퍼스를 기반으로 해서 현재 존재

하는 수화의 다양한 변이들, 지역 수화와 수화 방언의 지리적 분

포를 지도로 작성할 수 있다.

∙ 청인은 수화를 모르기 때문에, 농인은 청인과 소통할 때 수화 통

역사에게 의존한다. 청인의 세상에서 농인들이 스스로가 원하는

방법으로 의사표현을 한다 해도, 수화 통역사가 그 표현을 얼마

나 잘 이해했는지, 또 그 의사표현을 얼마나 잘 통역해주는지 등

수화 통역사의 자질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수화

통역사를 양성하고, 검정을 거친 수화 교재를 제공해야 한다. 코

퍼스 자료 자체는 물론 코퍼스에 기반을 둔 연구 결과들은 수화

를 제2 언어로 배우는 성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가 된다.

96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 농아동의 부모는 부분 청인이다. 이 때문에 농아동이 집에서 수

화를 배울 기회는 거의 없다. 집에서 수화를 배울 수 없다고 해도,

청인이 다니는 학교에서 구어를 가르치는 것처럼 농학교에서도

수화를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코퍼스 자료와 함께 코퍼스

기반 연구 결과들은 수화를 제1 언어, 모어로 사용할 다음 세

농아동들의 수화 습득을 위한 교수 ‧ 학습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농인의 역사를 보면 수화는 종종 차별받고 억압받았으며 여전히

그러하다. 농인을 언어적 소수자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언

어에 한 존중이 학술 연구에 반 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중심

에 있는 코퍼스 언어학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화 연구는 농 사회

에도 사회 정치적인 향을 주고 농 사회가 청인 사회에 노출되

는 방식에도 향을 미친다.

수화 코퍼스는 국 수화, 네덜란드 수화, 독일 수화,7) 스웨덴 수화,

아일랜드 수화, 호주 수화, 미국 수화, 프랑스 수화, 폴란드 수화, 스위스

독일 수화, 뉴질랜드 수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럽에서 코퍼스에 한

요구는 수화 언어학자 간의 과학적 토론과 협동의 필요에서 증가하고

있다. 2009년에는 수화 코퍼스의 개발과 이용에 한 지식을 수집하고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화코퍼스네트워크(SLCN, A Sign Linguistics

Corpora Network)가 설립되었다.

7) 독일 수화 코퍼스(www.dgs-corpus.de)는 가장 큰 규모의 코퍼스 구축 프로젝트다. 이 거

프로젝트의 목적은 농인이 사용하는 수화 코퍼스 텍스트를 수집하고 중에게 제공하는 것

이다. 15년간의 코퍼스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독일 수화-독일어 사전은 더욱 발전할 것이다.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97

참고 문헌

Cuxac, C. (2000), La Langue des Signes Française (LSF), Les voies de l'iconicité, Paris:

Orphys.

De Vos, C. (2012), Sign-spatiality in Kata Kolok: How a village sign language in

Bali inscribes its signing space, Ph.D. Thesis, Radboud University

Nijmegen, Nijmegen.

Ebbinghaus, H. & Hessmann, J. (1989), Gehörlose, Gebärdensprachen,

Dolmetschen, Chancen der Integration einer sprachlichen Minderheit, Hamburg:

Signum.

Fenlon, J., Schembri, A., Rentelis, R., & Cormier, K. (2013), Variation in

handshape and orientation in British Sign Language: The case of the ’1′

hand configuration, Language and Communication 33(1), 69∼91.

Johnston, T. (2004), W(h)ither the Deaf community? Population, genetics, and the

future of Australian Sign Language, American Annals of the Deaf 148(5), 358∼375.

Lanesman, S. & Meir, I. (2012), The survival of Algerian Jewish Sign Language

alongside Israeli Sign Language in Israel, In: Zeshan, U & de Vos, C. (Eds.) Sign Languages in Village Communities: Anthropological and Linguistic Insights (Sign Language Typology), Bosten/Berlin: De Gruyter Mouton &

Nijmegen: Ishara Press, 153∼179.

Liddell, S. & Johnson, R. (1989), American Sign Language: The Phonological

Base, Sign Language Studies 64, 195∼277.

Lucas, C. (Ed.) (2001), The Sociolinguistics of Sign Langu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ndel, M. (1977), Iconic Devices in American Sign Language, In: Friedman, L.

(Ed.), On the Other Hand: New Perspectives on American Sign Language,

New York: Academic Press, 57∼107.

Martinet, A. (1960), Élément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Armand Colin.

McCaskill, C., Lucas, C., Bayley, R. & Hill, J. (2011), The Hidden Treasure of Black

ASL: It's History and Structure, Washington, DC: Gallaudet University

Press.

98 새국어생활 제23권 제2호(2013년 여름)

Morford, J., Wilkinson, E., Villwock, A., Piñ-ar, P. & Kroll, J. (2011), When deaf

signers read English: Do written words activate their sign translations?

Cognition 118(2), 286∼292.

Newman, A., Supalla, T., Hauser, P., Newport, E. & Bavelier, D. (2010), Prosodic

and narrative processing in American Sign Language: An fMRI study,

NeuroImage 52, 669∼676.

Panda, S. (2012), Alipur Sign Language: A sociolinguistic and cultural profile. In:

Zeshan, U. & de Vos, C. (Eds.), Sign languages in Village Communities:

Anthropological and Linguistic Insights (Sign Language Typology),

Bosten/Berlin: De Gruyter Mouton & Nijmegen: Ishara Press, 353∼360.

Pietrandrea, P. (2002), Iconicity and arbitrariness in Italian Sign Language. In: Sign

Language Studies 3, 296∼321.

Sandler, W. (2012), Visual prosody, In: Pfau,R., Steinbach, M. & Woll, B. (Eds.),

Sign Language: Handbooks of 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Science (HSK), Berlin: R. Mouton de Gruyter, 55∼76.

Saussure, F. de (1967), Grundfragen der allgemeinen Sprachwissenschaft, Berlin:

de Gruyter.

Schembri, A. & Johnston, T. (2013), Sociolinguistic variation and change in sign

languages, In: R. Bayley, R. Cameron & C. Lucas (Eds.), Oxford Handbook

of Sociolinguis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03∼524.

Stokoe, C. W. (1960), Sign language structure: An Outline of the Visual Communication Systems of the American Deaf, Studies in linguistics: Occasional papers (No. 8),

Buffalo: Dept. of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University of Buffalo.

Taub, S. (2001), Language from the Body: Iconicity and Metaphor in American Sign Language, Cambridge, Mass.: Cambridge UP.

Thompson, R., Emmorey, K., & Kluender, R. (2009), Learning to look: The

acquisition of eye gaze agreement during the production of ASL verbs,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12(4), 393∼409.

Van den Bogaerde, B. & Baker, A. (2009), Bimodal language acquisition in young

codas, In: Bishop, M. & Hicks, S. (Eds.) Hearing, Mother Father Deaf.

Hearing People in Deaf Families, (Sociolinguistics of Deaf Communities

series, 14), Gallaudet University Press, 99∼131.

Wilbur, R. (2000), Phonological and prosodic layering of nonmanuals in American

Sign Language, In: Emmorey, K. &Lane, H. (Eds.), The Signs of Language

Revisited: An Anthology in Honor of Ursula Bellugi and Edward Klima,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5∼244.

특집. 농인의 제1 언어, 수화 99

참고 사이트

http://sign.let.ru.nl/groups/slcwikigroup/

www.dgs-korpus.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