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392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 44: 392-8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SPECT이용한 골염의 연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1 핵의학교실 2 장용주 1 ·구태우 1 ·박석건 2 ·정필상 1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Evaluated by 99mTc-MDP Bone SPECT Yong Ju Jang, MD 1 , Tae Woo Koo, MD 1 , Seok Gun Park, MD 2 and Phil Sang Chung, MD 1 1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nd 2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implication of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Materials and MethodsForty three patients diagnosed as chronic paranasal sinusitis were examined with 99mTc-MDP bone SPECT preoperatively and underwent endoscopic operation, and 6 volunteers were recruited and examined as a control group. Each SPECT image was semiquantitatively assigned one of three grades of 0, 1, 2 according to intensities of isotope uptak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uptake of the isotope was performed by computer. The incidence of osteitis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emiquantitative grades and quantitative uptake indices was evaluated, and degree of isotope uptake and the severity of mucosal pathology on CT was correlated. The degree of isotope uptake between the patients who had recurrence and had not was compared. ResultsQuantitative evaluation of uptake indi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Marked uptakes of isotope on the sinus areas, suggesting the presence of osteitis, were shown in the patient group by 53.5%. The semiquantitative grades and quantitative indic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SPECT and CT scan finding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uptake indices of patients who had recur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ho showed no recurrence in both ethmoid sinus areas. Conclus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propor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have ost- eitis, and patients with more severe osteitis represent poorer postoperative courses. ( Korean J Otolaryngol 2001 ; 44 : 392-8) KEY WORDSChronic paranasal sinusitis·Osteitis·SPECT. 만성부비동염과 비용은 부비동점막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서 항생제요법이 중심이 된 약물치료가 일차적인 치료 이나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부비동내시경수술을 비롯한 수술적 법으로 치료되어야 하는 질환이다. 부비동 염과 비용에 대한 내시경수술은 높은 치료성공률을 보이지 만 일부분의 환자에서는 수술 후 외래추적과정에서 불완전 한 회복과 빈번한 재발로 인하여 장기간의 투약과 재수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수술후 사골동 영역의 비 용종성의 점막부종과 육아종 조직을 흔히 발견하게 된다. 부비동염에서는 비강 및 부비강의 골부의 내측을 이루고 있 는 점막과 골막의 염증이 일차적인 병변이다. 이러한 점막 과 골막의 염증이 진행되면 골막에 연해있는 부비강의 골부 에도 염증이 파급되어 골염이 발병하게 되며, 실제적으로 전두동염에 의한 이차적인 골수염이나 전격성 진균성부비동 염에서 골파괴를 동반한 골염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게 된다. 1)2) 그러나 지금까지 일반적인 만성부비동염에서 골염이 어떠한 빈도로 나타나며 그러한 골염이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갖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Kennedy 등은 수술시 채취한 사골편에 대한 조직학적 연 구에서 부비동염 환자들의 사골에 골염이 있음을 발표하였 다. 3) Javer 등은 부비동염 환자에서 테크네슘(technetium, 논문접수일:2000년 11월 1일 / 심사완료일:2001년 1월 2일 교신저자:장용주, 330-714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 29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41) 550-3973·전송:(041) 556-1090 E-mail:[email protected]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392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SPECT를 이용한 골염의 연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 핵의학교실2

장용주1·구태우1·박석건2·정필상1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Evaluated by 99mTc-MDP Bone SPECT

Yong Ju Jang, MD1, Tae Woo Koo, MD1, Seok Gun Park, MD2 and Phil Sang Chung, MD1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nd 2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implication of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Materials and Methods:Forty three patients diagnosed as chronic paranasal sinusitis were examined with 99mTc-MDP bone SPECT preoperatively and underwent endoscopic operation, and 6 volunteers were recruited and examined as a control group. Each SPECT image was semiquantitatively assigned one of three grades of 0, 1, 2 according to intensities of isotope uptak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uptake of the isotope was performed by computer. The incidence of osteitis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emiquantitative grades and quantitative uptake indices was evaluated, and degree of isotope uptake and the severity of mucosal pathology on CT was correlated. The degree of isotope uptake between the patients who had recurrence and had not was compared. Results:Quantitative evaluation of uptake indi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Marked uptakes of isotope on the sinus areas, suggesting the presence of osteitis, were shown in the patient group by 53.5%. The semiquantitative grades and quantitative indic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SPECT and CT scan finding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uptake indices of patients who had recur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ho showed no recurrence in both ethmoid sinus areas. Conclus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propor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have ost-eitis, and patients with more severe osteitis represent poorer postoperative courses.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KEY WORDS:Chronic paranasal sinusitis·Osteitis·SPECT.

서 론

만성부비동염과 비용은 부비동점막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서 항생제요법이 중심이 된 약물치료가 일차적인 치료방법

이나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부비동내시경수술을

비롯한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되어야 하는 질환이다. 부비동

염과 비용에 대한 내시경수술은 높은 치료성공률을 보이지

만 일부분의 환자에서는 수술 후 외래추적과정에서 불완전

한 회복과 빈번한 재발로 인하여 장기간의 투약과 재수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수술후 사골동 영역의 비

용종성의 점막부종과 육아종 조직을 흔히 발견하게 된다.

부비동염에서는 비강 및 부비강의 골부의 내측을 이루고 있

는 점막과 골막의 염증이 일차적인 병변이다. 이러한 점막

과 골막의 염증이 진행되면 골막에 연해있는 부비강의 골부

에도 염증이 파급되어 골염이 발병하게 되며, 실제적으로

전두동염에 의한 이차적인 골수염이나 전격성 진균성부비동

염에서 골파괴를 동반한 골염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게 된다.1)2) 그러나 지금까지 일반적인 만성부비동염에서

골염이 어떠한 빈도로 나타나며 그러한 골염이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갖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Kennedy 등은 수술시 채취한 사골편에 대한 조직학적 연

구에서 부비동염 환자들의 사골에 골염이 있음을 발표하였

다.3) Javer 등은 부비동염 환자에서 테크네슘(technetium,

논문접수일:2000년 11월 1일 / 심사완료일:2001년 1월 2일

교신저자:장용주, 330-714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 29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41) 550-3973·전송:(041) 556-1090 E-mail:[email protected]

Page 2: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장용주 외

393

Tc), 갈륨(gallium, Ga)등을 이용한 핵의학검사를 실시하

여 부비동염의 진단에서 이러한 핵의학적 영상진단이 유용

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4) 그러나 이러한 이전

의 연구들에서는 부비동염 환자들의 골염의 빈도나 예후와

의 상관관계등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평

면 신티그라피(planar scintigraphy)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비동의 해부학적 영역에 대한 특이적인 분석도 이루어지

지 않았다.

골조직의 생리 활동을 이루는 세포들은 골아세포(osteo-

blast), 골세포(osteocyte), 파골세포(osteoclast)가 있는데,

골조직은 성숙된 후에도 항상 이 세포들에 의해 골형성과

골흡수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기능하게 된다. 뼈에 외상으로

인한 충격, 손상, 감염, 신생물 등의 자극이 발생하면 이들

세포들이 활성화되어 재형성과정을 촉진하여 회복하게 된다.

방사선학적으로 골의 병변을 확인하려면 무기질 중 칼슘의

함량이 매우 증가하거나 감소가 되어야 이상소견이 나타나

지만, 핵의학적 스캔 영상은 골조직의 손실이 있기 전에 골

의 자극과 재형성 과정을 반영하여, 골조직에 대한 자극을

매우 예민하게 감지할수 있게 해 준다. 골스캔에 적합한 방

사성의약품은 99mTc-인산염 유사체들인데 그 중 99mTc-

MDP(methylene diphosphonate)와 99mTc-MHDP(me-

thylene hydroxy-diphophonate)가 골 집적이 많고 신장

배설이 빨라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MDP는

투여량의 50∼60%가 골에 섭취되고 혈중 제거율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체내에 MDP와 함께 분포한 99mTc

은 감마선을 방출하는데, 이를 여러 방향에서 검출하여 얻

어진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횡단면과 시상면 및 관상면의 단

층영상을 얻는 핵의학적 스캔을 SPECT(single photon em-

ission computed tomography,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

영)라고 하며, 이는 평면 신티그라피와 비교할 때 심부 골

조직의 정보를 얻는데 있어서 우수하다.5)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투약기

간이 연장되고 재발을 보이는 환자들에서, 그러한 좋지 않

은 술후경과가 부비동을 이루는 골부에 이환된 골염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라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확인하기 위

하여 부비동염 환자군에서 핵의학적 신티그라피를 이용하여

부비동염 환자에게 동반되는 골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9mTc-MDP 골 SPECT를 이

용하여 부비동염에서 동반된 골염의 빈도, 골 SPECT 영상

의 특성, 그리고 CT에서 확인되는 병변의 중증도와의 상관

관계, 술후경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부비동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대 상

1999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방문한 환자 중, 부비

동수술의 병력과 안면부 외상의 병력이 없고 만성부비동염

으로 진단 받은 43명의 환자들에게 수술 전에 99mTc-MDP

골 SPECT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후 환자들은 동일한 수

술자에 의하여 부비동내시경 수술을 받았다. 환자들의 연령

분포는 14세에서 69세 사이였으며, 평균 38.2세였고, 남자

가 27명, 여자가 16명이었다. 또한, 대조군 연구를 위하여

만성부비동염의 병력이 없고, 부비동수술과 안면부 외상의

과거력이 없는 26에서 30세의 6명을 대상으로 99mTc-

MDP 골 SPECT를 시행하였다. 평균연령은 28.3세 였고, 남

자가 5명, 여자 1명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검사

의 시행은 검사에 대한 설명과 함께 서면동의로 이루어졌다.

골스캔 영상의 촬영 및 판독

20mCi(740MBq)의 99mTc-MDP를 정맥주사한 다음

4 시간 후에 환자가 앙와위로 누운 자세에서 SPECT 이미

지를 얻었다. 데이터는 전여과, 여과 및 재구성의 과정을 거

쳐 먼저 횡단면으로 만들어지고 횡단면으로부터 같은 두께로

시상면과 관상면을 만들었다. 모든 환자에서 99mTc-MDP

를 주사한 직후 안면의 혈액 풀 영상(blood pool image)를

얻었으며, SPECT를 찍기 전에 평면영상(planar image)를

얻어서 SPECT 영상을 판독할 때 참고로 하였다(Fig. 1).

한 사람 당 8개의 부비동 영역 즉, 각각 좌, 우의 상악동,

사골동, 접형동, 전두동에서 동위원소 섭취 정도에 따른 음

영을 분석하였다. 2명의 판독자가 육안으로 배경이 되는 전

두골에서의 음영과 비교하여 반정량적 등급을 나누었다. 배

경의 음영보다 더 약하거나 비슷할 때 grade 0, 더 강한 음

영이 부비동 영역에서 보일 때 grade 1, 그리고 배경보다

현저히 강하여 매우 진한 음영으로 나타날 때 grade 2로 정

하였다(Fig. 2).

정량적인 동위원소 섭취 값을 구하기 위해 컴퓨터 화면상

에서 각 부비동 영역 중 가장 강한 음영을 보이는 부분을 선

택하여 픽셀 당 점의 개수(dots/pixel)를 구하였다. 이것을

배경이 되는 전두골에서 구한 픽셀 당 점의 개수로 나누어 계

산하였다. 가장 강한 음영을 보이는 부분만을 선택한 것은

부비동은 골조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면

과 각이 만나서 공간을 이루는 구조물이므로 부비동 전체를

선택하여 동위원소 섭취 값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각

Page 3: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 Tc-MDP 골 SPECT를 이용한 골염의 연구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394

부비동만의 정확한 섭취 값을 얻을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환자군 43명의 수술을 위하여 촬영되었던 OMU CT를 골

스캔 영상과 대조해 보기 위하여 점막병변의 중등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부비동에 대하여 부비동내 함기화가 잘 되어 있을 때를 grade

0, 부분적인 연부조직음영(soft tissue density)이 있을 때

를 grade 1, 부비동 내부가 완전히 연부조직음영으로 채워

져 있을 때를 grade 2로 하였다(Fig. 3).6)

분 석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로 나타난 섭취 값의 평균으로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8곳의 부비동 영역의 동위원소 섭취

정도를 비교하였고 두 군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Wilco-

xon’s rank sum test). 반정량적 판독에서 얻은 grade에 따

라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즉, 8개 부비동 영역에 나

타난 동위원소 섭취 중에서 가장 강한 동위원소 섭취의 grade

에 따라 grade 0을 보인 사람의 수, grade 1을 보인 사람의

수, 그리고 grade 2를 보인 사람의 수를 각각 전체 사람 수

에 대한 빈도(%)를 구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검사 대상자 49명, 총 392곳의 부비동 영역에서 반정량

적 분석으로 얻어진 grade와 정량적 분석으로 구한 동위원

소 섭취 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Spearman’s

AAAA BBBB CCCC

DDDD

AAAA BBBB CCCC

Fig. 1. The images of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tomography (SPECT, A, B andC) compared with planar sci-ntigraphy (D). SPECT offersmore complete spatial infor-mation and improved imagecontrast. Each arrow (A, B andC) indicates same area (leftmaxillary sinus wall) providingprecise information about thesite and intensity of osteitis. Fi 2 Fi h i th

Fig. 2. Figures showing threedifferent grades by semiqua-ntitative analysis, grade 0, gr-ade 1, and grade 2. A:no sp-ecific finding suggesting ost-eitis (grade 0). Arrow-headindicates nonspecific uptakeof isotope on the alveolar area.B:Right maxillary sinus wallshows increased uptake of ra-dioisotope (arrow, grade 1).C:Right maxillary sinus wallshows intense uptake of rad-ioisotope (arrow, grade 2).

Page 4: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장용주 외

395

correlation), 골염의 존재 유무와 그 정도가 질병의 중증도

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기 위해 환자군 43명, 344곳의

부비동 영역에서 얻어진 SPECT 영상의 반정량적 grade와

OMU CT상에서 판단한 grade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Spearman’s correlation).

환자들은 수술 1주일 전부터 항생제를 사용하였는데 하

루에 750 mg의 clarithromycin을 경구투여 하였다. 환자의

술 후 호전 상태에 따라 수술 후 4주까지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가 28명이었고, 4주 후에도 화농성 비루 등의 증상이

계속되고, 비용종성 점막부종, 재발성 비용이 나타난 8명의

환자들에게 항생제와 함께 하루에 20 mg의 prednisolone

을 10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나머지 7명의 환자는 2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이 중단되었다. 이렇게 수술 후 경과가 좋

지 않았던 환자 8명을 재발군으로 하여 수술 후 경과가 좋

았던 환자 28명과 정량적 섭취 값을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또한 이 두 군 사이의 CT 상의 grade

의 차이의 유무를 분석하였다(Wilcoxon’s rank sum test).

결 과

환자군과 대조군의 부비동 영역에 섭취된 골스캔용 동위

원소의 정량적 섭취 값의 평균은 8곳의 부비동 영역 모두에

서 환자군이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1,

Table 1). 반정량적 판독의 결과 환자군에서 grade 0는 3명

이었고 grade 1이 17명, grade 2가 23명으로 나타나 grade

1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골염의 빈도는 93%(40명), grade 2

를 기준으로 했을 때 53.5%(23명) 이었다. 반면에 대조군

에서는 사골동 영역에 grade 1을 보인 1명(16.7%)을 제외

하고 모든 대상에서 동위원소 섭취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2).

Table 1. Comparison of quantitative uptake indices between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

Patient group (n=43)

Control group (n=6)

Maxillary sinus right* 6.07±2.31 2.99±1.23 left* 5.79±2.06 3.13±1.10 Ethmoid sinus Right† 4.00±2.04 2.42±0.66 left* 3.84±1.61 2.44±0.99 Sphenoid sinus right* 3.34±1.39 1.49±0.80 left* 3.44±1.33 1.79±0.95 Frontal sinus right* 3.80±1.63 1.25±0.94 left* 4.06±1.94 1.39±1.02

*:p<0.01, Wilcoxon rank sum test †:p<0.05, Wilcoxon rank sum test

Table 2. Comparison of the semiquantitative gradings which indicates the highest grade found in each subject Patient group (n=43) Control group (n=6)

Grade 0* 3 ( 7.0%) 5 (83.3%) Grade 1† 17 (39.5%) 1 (16.7%) Grade 2‡ 23 (53.5%) 0 ( 0%)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SPECT images were gra-ded as 0 in all the sinus areas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SPECT images were gra-ded as 1 in the most intense uptake sinus area, while there was no grade 2 in their SPECT images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SPECT images were gra-ded as 2 in the most intense uptake sinus area

AAAA

Fig. 3. An example of comp-arison between bone SPECTand OMU CT. A:A bone SP-ECT image of one of the su-bjects showing isotope upta-kes on both maxillary sinuses(arrows) and left ethmoid si-nus (open arrow). We gavegrade 2 on right maxillary si-nus, and grade 1 on left ma-xillary sinus and left ethomoidsinus respectively. B:An im-age of OMU CT of the samepatient that shows soft tissuedensities filling in both maxi-llary, and left ethmoid sinuses.This image was also gradedas grade 1 on both maxillar si-nus respectively, and grade2 on left ethmoid sinus.

BBBB

Page 5: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 Tc-MDP 골 SPECT를 이용한 골염의 연구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396

반정량적 분석에서 얻어진 각 환자들의 골염의 grade와

정량적 분석으로부터 구해진 동위원소 섭취 값은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여 주었다(p<0.01, Fig. 4). 또한, SPECT의 영

상으로부터 얻은 grade와 CT에서 얻은 grade는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여, CT상 점막병변이 심할수록 동위원소의 섭

취가 강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Fig. 5).

환자들 중에서 수술 후에도 증상의 호전을 보이지 않고

재발성 비용을 나타내어 장기간의 항생제와 부신피질스테로

이드제제를 투여 받은 환자 8명은 수술 후 증상의 호전을

보인 28명 보다 양측 사골동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정량

적 섭취 값을 나타내어, 골염이 심할수록 수술 후 경과가 양

호하지 않은 것을 보여주었다(p<0.05). 그러나 OMU CT의

grade에서는 두 군 사이에 모든 부비동 영역에서 차이를 보

여주지 않았다(Table 3).

고 찰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만성 부비동염을 가진 환자들에게

골염이 동반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골 SPECT를 사용하

였다. 기존에 평면 신티그라피를 부비동 질환에 이용한 연

구들이 있었으나 SPECT는 평면 신티그라피와 비교할 때

뛰어난 영상대비와 공간적 정보를 줄 뿐 아니라, 부비동의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병변을 찾는데 더욱 민감하다.7) 이는

평면 신티그라피에서는 사골동이나 접형동과 같이 바깥쪽의

구조물에 의해서 가려지는 심부 골조직의 병변을 SPECT

는 민감하게 찾아내기 때문이다.8)9) 본 연구에서도 그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각각의 부비동 영역의 골병변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환자군과 대조군의 모든 골 SP-

ECT 영상에서 일정하게 나타나 상악동의 병변 판독에 있

어서 혼동을 줄 수 있는 치조골의 동위원소 섭취 증가 소견

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장기간 이루어진 저작작용으로 인한

치조골의 변화(remodeling)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관골부, 비근부 등 두개골을 이루는 각 골편들이 만나는 봉

합부위의 섭취 증가 소견도 부비동염에 의한 동위원소 섭취

증가와 구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골스캔용 동위원소가

부비동 영역에 섭취된 결과를 비교했을 때, 모든 부비동 영

Table 3. Comparison of quantitative uptake indices between patients who had recurrence and patients who showed norecurrence Recurrence (-) (n=28) Recurrence (+) (n=8)

SPECT CT SPECT CT

Maxillary sinus right 5.63±1.55 1.21±0.68 4.94±1.82 1.50±0.26 left 5.56±1.52 1.32±0.11 4.97±1.55 1.37±0.18 Ethmoid sinus right 3.26±0.85 1.07±0.10 4.11±1.54* 1.37±0.10 left 3.28±0.91 1.07±0.53 4.49±1.84* 1.16±0.18 Sphenoid sinus right 3.14±1.13 0.75±0.12 2.96±0.83 1.12±0.22 left 3.42±1.31 0.75±1.22 3.08±1.05 1.25±0.25 Frontal sinus right 3.77±1.78 1.03±0.16 3.77±0.67 1.25±0.16

left 4.12±2.18 1.03±0.18 4.15±1.46 1.37±0.18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ilcoxon rank sum test)

Fig. 4. Correlation between data from semiquantitative gr-ades and those from quantitative uptake indices.

Fig. 5. Correlation between CT grades and bone SPECT gr-ades. *:The numeric numbers on dots indicate the numberof sinuses matching on the corresponding grade.

Page 6: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장용주 외

397

역에서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높아 부비동염군에서 뼈의 대

사의 변화를 초래하는 염증변화가 모든 부비동에서 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정량적 분석에서는 환자

군에서의 골염의 빈도가 grade 1을 기준으로 했을 때 93%,

grade 2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53.5%의 결과를 보여 많은

부비동염 환자가 골염에 이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골

염의 빈도는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것으

로, 여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테크네슘을 이용한 골스캔은 현재의 감염상태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골 미네랄의 교체(turnover)를 반영하는 것으

로,11)12) 그 원인은 염증 종양, 외상, 그리고 수술 등일 수

있다. 또한 Javer 등은 부비동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수술

후 3개월에서 27개월까지 테크네슘 스캔이 양성으로 나타

났다고 보고하였다.4)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환자들의 골염

이 최근의 급성 염증으로 생긴 골염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오래된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환자

선택 과정에서 외상이나 수술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골변화

를 배제하였고, 환자군의 동위원소 섭취 값이 대조군에 비

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판단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만성

부비동염을 가진 환자들은 골염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정량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의 높은 상관성은 부비동영

역에 있어서 골스캔 영상의 육안 판독이 임상적으로 가능한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OMU CT에서 나타난 질병

의 grade와 SPECT의 섭취 값이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

이는 것은 부비동의 점막의 질병이 심해질수록 골염의 정도

도 심해짐을 나타내는 결과로 부비동염군에서의 골염이 점

막병변에 의해 2차적으로 나타나는 병변임을 시사하는 결

과이다. CT상에서도 골의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그 질병이 파괴적인 양상을 띄거나 오랜기간 이환되어

골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날 때만 가능한 일이므로 골염의

판단에서는 골스캔이 유리하다.2)

환자군 가운데 수술 후 회복이 양호했던 군과 그렇지 않

고 외래 추적 관찰 중에 비용종성 점막을 제거하고 장기간

항생제와 함께 경구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하였던

재발군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두 군 사이에 CT에서 판

단되는 질병의 중증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음에도 불구

하고 사골동에서의 동위원소 섭취가 재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것은 부비동염에 동반된 골염이 수술 후의 예후

를 예측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음을 나타내는

사실이다. 단, 이러한 차이가 사골동 영역에서만 나타난 것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한데, 첫째는 사골동은

매우 얇은 골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점막병변에 의해 쉽게

골염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고, 둘째는

사골동이 외래 추적관찰시 내시경 관찰이 가장 용이하여 사

골동 영역에 재발된 비용종성 점막을 보인 환자들에게 부신

피질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하였고 이 환자들이 재발군으로

선택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다른 각각의

부비동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하고 술 후 경과를 파악하여

분석한다면 다른 부비동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99mTc-MDP 골 SPECT를 이용한 부비동 영

역의 골염에 대한 연구이지만 갈륨 스캔과 같은 활동중인 염

증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고,10) 실제로 골염이 있는지 확

인하는 조직병리와의 상관성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성 부비동염 환자들은 골염의 이환율

이 상당히 높다는 것과, 수술 전 골 SPECT 검사로 수술 후

좋지 않은 경과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술 후 치료방

침을 세우는 데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술

전 시행한 골 SPECT에서 심한 골염을 보이는 소견이 있다

면, 치료에 있어서도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가능한 염증이

있는 골조직을 제거하는 것 등의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만성 부비동염을 가진 환자들에게 골염

이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것과 골염이 임상적 경과에 영

향을 미칠 수 있어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만성부비동염

환자들에게는 동반된 골염의 존재를 고려해야 함을 알게 되

었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골스캔

검사는 골염의 연구 뿐 아니라 임상적으로 환자의 예후를

판단하며 치료방침을 세우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중심 단어:만성부비동염·골염·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

촬영.

REFERENCES

1) Bergstadt HF, Carenfeldt C, Lind MG. Facial bone scintigraphy IV. Diagnosis of bone involvement by purulent sinusitis. Acta Radiol Diagn 1979;20:379-84.

2) Gardiner LS. Complicated frontal sinusitis. Evaluation and man-agement.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6;95:333-43.

3) Kennedy DW, Senior BA, Gannon FH, Montone KT, Hwang P, Lanza DC. Histology and histomorphometry of ethmoid bone in chronic rhinosinusitis. Laryngoscope 1998;108:502-7.

4) Javer AR, Stevens HE, Stillwell M, Jafar AM. Efficacy of nuclear scintigraphy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inusitis. J Otol-aryngol 1996;25:375-82.

5) Lee KB, Yum HY, Chun SG, Kim YG. Application on bone and bone marrow system. Nuclear Medicine: Komoonsa;1997. p.183-4.

Page 7: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Tc-MDP 골 이용한 골염의journal.kisep.com/pdf/001/2001/0012001069.pdf분류하였다. 1993년 Lund와 MacKay의 분류를 참고하여 각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의 99m Tc-MDP 골 SPECT를 이용한 골염의 연구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398

6) Lund V, MacKay I. Staging in rhinosinusitis. Rhinology 1993; 31:183-4.

7) Mitnick RJ, Postley JE, Esser PD. Comparison of planar bone scintigraphy and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in evaluaton of patients with paranasal sinus disease. J Nucl Med 1983;24:58.

8) Israel O, Jerushalmi J, Frankel A, Kuten A, Front D. Normal and abnorm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of the skull: Comparison with planar scintigraphy. J Nucl Med 1988;29:1341-6.

9) Collier BD, Hellman RS Jr, Krasnow AZ. Bone SPECT. Semin

Nucl Med 1987;17:247. 10) Shafer RB, Marlette JM, Browne GA, Elson MK. The role of Tc-

99m phosphte complexes and gallium-67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axillo-facial disease. J Nucl Med 1981;22:8-11.

11) Lisbona R, Rosenthall L. Observations on the sequential use of 99mTc-phosphate complex and 67Ga imaging in osteomyelitis, cell-ulitis, and spetic arthritis. Radiology 1977;123:123-9.

12) Schauweeker DS, Park HM, Mock BH, et al. Evaluation of com-plication osteomyelitis with Tch-99m MDP, In-111 granulocytes, and Ga-67 citrate. J Nucl Med 1984;25:84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