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1절 환경 정책 ············································································································ 3 1. 2008년부터 달라지는 환경정책(대기관련 분야) ······································ 3 2절 개정 법률 ······································································································· 11 1. 악취방지법 일부 개정법률안 입법 예고 ···················································· 11 3절 기획 특집 ······································································································· 16 1. 이규용 환경부장관 신년사 ············································································ 16 4절 국제환경 동향 ······························································································· 19 1. EU, “바이오연료 환경기준 강화하겠다” ··················································· 19 2. 남극빙 녹는 속도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 ················································· 19 3. 中, 올림픽 환경보호 고삐 죈다 ·································································· 20 4. 지구온난화, 우간다 커피농사 망쳐 ························································· , 21 5. 나무, 더워질수록 이산화탄소 흡수 못해 ··············································· , 21 5절 환경 소식 ······································································································· 23 [환경 뉴스] 1. 수산시장 온난화 신드롬 강타 ····································································· 23 2. 포근한 겨울에 잠 못드는 지리산 반달곰 ······················································· 23 3. 유가 100달러, 지구환경에 ‘청신호’일 수 있다(?) ······································· 25 4. 주유소 ‘기름증기’ 회수설비 설치 의무화 ······················································· 26 5. 올해도 덥다 … 평년보다 기온 0.6도 상승 ···················································· 27 6. ‘배출가스 등급’ 국산차가 수입차 앞질러 ······················································· 27 [수도권대기환경청 소식] 1. 연말연시 행사 ································································································· 30 2. 신규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량 안전운행 기원행사 ··································· 30 3. 교통안전교육 ··································································································· 30

차 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22/174160.pdf ·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 관련법규 및 시행일 제7조의 규정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차 례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제1절 환경 정책 ············································································································ 3

1. 2008년부터 달라지는 환경정책(대기관련 분야) ······································ 3 제2절 개정 법률 ······································································································· 11

1. 악취방지법 일부 개정법률안 입법 예고 ···················································· 11 제3절 기획 특집 ······································································································· 16

1. 이규용 환경부장관 신년사 ············································································ 16 제4절 국제환경 동향 ······························································································· 19

1. EU, “바이오연료 환경기준 강화하겠다” ··················································· 19 2. 남극빙 녹는 속도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 ················································· 19 3. 中, 올림픽 환경보호 고삐 죈다 ·································································· 20 4. 지구온난화, 우간다 커피농사 망쳐 ························································· , 21 5. 나무, 더워질수록 이산화탄소 흡수 못해 ··············································· , 21

제5절 환경 소식 ······································································································· 23

[환경 뉴스] 1. 수산시장 온난화 신드롬 강타 ····································································· 23 2. 포근한 겨울에 잠 못드는 지리산 반달곰 ······················································· 23 3. 유가 100달러, 지구환경에 ‘청신호’일 수 있다(?) ······································· 25 4. 주유소 ‘기름증기’ 회수설비 설치 의무화 ······················································· 26 5. 올해도 덥다 … 평년보다 기온 0.6도 상승 ···················································· 27 6. ‘배출가스 등급’ 국산차가 수입차 앞질러 ······················································· 27

[수도권대기환경청 소식] 1. 연말연시 행사 ································································································· 30 2. 신규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량 안전운행 기원행사 ··································· 30 3. 교통안전교육 ··································································································· 30

제6절 환경용어 해설 ·································································································· 31

1. 환경지속성지수(ESI) ···················································································· 31 2. 특별대책지역 ··································································································· 31 3. 오토오일프로그램(Auto/Oil Program) ······················································ 31 4. 결함시정제도(Recall System) ···································································· 31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제1절 수도권 대기오염측정망의 운 현황 ······················································· 35

제2절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 36

1. 수도권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개요 ················································· 36 2. 수도권 도시대기측정망에 대한 측정결과 분석 ······································· 37 3.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 42 4. 인천지역 도시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 45 5. 경기지역 도시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 48

제3절 도로변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 52

1. 수도권 도로변측정망의 측정 개요 ····························································· 52 2.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항목별 측정결과 분석 ······························· 52

제4절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 58

1. 수도권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 개요 ························································· 58 2. 수도권지역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항목별 측정결과 분석 ··················· 58

제5절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 65

1. 수도권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 개요 ····················································· 65 2. 수도권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결과 ······················································· 65

제6절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 67

1. 수도권 중금속측정망의 측정 개요 ····························································· 67 2. 수도권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 ······························································· 67

제7절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 70

1. 수도권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측정 개요 ············································· 70 2. 광화학오염물질의 측정결과 분석방법 ······················································· 72 3. 오존생성 기여도의 경향 ··············································································· 73

제8절 유해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 74

1. 수도권 유해대기측정망측정 개요 ······························································· 74 2. VOCS 측정결과 ······························································································· 75 3. PAHS 측정결과 ······························································································· 76

제9절 월간 기상특성 분석 ····················································································· 77

1. 기상 특성 ·········································································································· 77 2. 시정과 대기혼합고 ························································································· 79 3. 대기안정도 ······································································································· 81

부록 1 : 수도권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 87부록 2 : 기관 주소록 ········································································ 96

독자한마디 ·························································································· 100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제1절 환경 정책(2008년부터 달라지는 환경정책)

제2절 개정 법률

제3절 기획 특집

제4절 국제환경 동향

제5절 환경 소식

제6절 환경용어 해설

제1절 2008년부터 달라지는 환경정책(대기관련 분야)

1. 경유차에 대한 EURO-4 배출허용기준 확대 시행

’08년 1월부터 출고되는 모든 경유 자동차에 대해서는 EURO-4 수준의 강화된 자동차

배출허용기준이 적용되어 시행될 예정이다.

경유 소형승용차(2.5톤 미만), 경자동차에 대해서는 ‘06년 1월부터 EURO-4 배출허용

기준을 적용해 오고 있으며 2008년부터는 적용 대상 범위가 전 차종으로 확대되어 적용

된다. 경유차에 대한 ‘EURO-4 수준’의 강화된 배출허용기준이 확대되어 적용됨에 따라

경유차로 인한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감소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대기환

경이 개선되어 쾌적한 생활여건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 1-1 「신․구 대비표」

2. 저녹스버너 설치 지원 사업 확대 추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을 위하여 ’06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저녹스버너 설치

보급사업(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의 시흥, 안산지역)을 ‘08년부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지역으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며, 아울러, 대기특별대책지역 및 대기환경규제지역인

부산, 대구, 울산 등 수도권외 지역에도 추진할 계획이다.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경유차에 대한

EURO-4 배출

허용기준 확대

시행

○ 소형승용(2.5톤 미만),

경자동차에만 EURO-4 수

준의 배출 허용기준을 적용

○ ’08.1.1부터 출고되는 모

든 자동차에 EURO-4 수준

의 배출허용기준 적용

※ 소형승용(2.5톤 미만),

경자동차는 ’06년 1월부터

EURO-4 기준 적용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06.1.1 시행)

수도권 대기환경정보제1장

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대기환경개선 효과가 우수한 저녹스버너를 수도권지역에 약 460대(국고 127억), 수도

권외 지역에 약 93대(국고 25억원) 등 총 705대(국고 152억원)를 재정이 열악한 중․소

사업장을 대상으로 지원하여 도시지역 대기환경이 조기에 개선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 목적 : 저녹스버너 설치 지원을 통하여 중․소 사업장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 해소 및 대기환경개선

□ 대상지역 및 대상시설

○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전지역

○ 수도권외 : 부산, 대구, 울산광역시

○ 대상시설 : 중소사업장의 시간당 10톤 미만 보일러

□ 지원규모

○ 설치비의 70%(국고 50%, 지방비 20%)

yyyyyyyyyyyyyyyyyyyyyyyyyyyy < 저녹스버너 설치 지원사업 개요 >

표 1-2 「신․구 대비표」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인쇄 및 각종

기록매체 제조

(복제)시설 대

기배출시설

추가<신 규>

○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30Kg 이상이거나 합계용

적이 1㎥ 이상인 인쇄․건조

시설(유기용제류를 사용하

는 그라비아 인쇄시설과

이 시설과 연계되어 유기

용제류를 사용하는 코팅시

설만 해당)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규칙 제5조 별표3

(‘08.7.1 시행 예정)

※‘07.12 법제처

심사중

특정대기유해

물질 추가<신 규>

○ 특정대기유해물질 10개

항목 추가관리

-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등 10개 항목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규칙 제2조 별표 2

(‘08.1.1 시행)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7

3.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확대 및 포름알데히드 기준강화

보육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를 위해 국공립보육시설에 한정된 현행의 관리대

상 범위를 확대하여 국공립보육시설은 ’08년부터 430㎡이상, 민간보육시설은 ’08년에

860㎡이상, ’11년부터는 430㎡로 단계적으로 확대하 고,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중 포름

알데히드 기준농도를 120㎍/㎥에서 100㎍/㎥로 강화하 다.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보육시설수가 ’06년도 25개에서 ’08년 539개소, ’11년 2,036개로

늘어나게 되어 실내공기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유아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며, 포름알데히드 기준농도를 WHO 권고수준인 100㎍/㎥로 강화하 으므로 국민

이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서 다중이용시설(’06년말 기준 6,394개)을 이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표 1-3 「신․구 대비표」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저녹스버너

설치 지원사업

수도권 일부 지역만 지원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부

(안산, 시흥))

○ 지역 확대 추진(수도권

의 경우 서울을 포함하여

전지역 지원)

중소기업 대기환경개

선사업

업무 처리 지침

(‘08.1.1)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실내공기질 관

리대상 확대 및

포름할데히드

기준강화

○ 1,000㎡ 이상인 국공립

보육시설의 실내 공기질을

관리

○ ’08년부터 430㎡ 이상인

국공립보육시설, 법인․직장․민간보육시설로 확대시행

(단, 법인․직장․민간보육시

설은 ’10년까지는 860㎡

이상인 시설에 한함)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08.1.1)

※‘07.12.18 국무회의

심의완료

○ 포름알데히드 유지기준

120㎍/㎥

○ 포름알데히드 유지기준

을 120㎍/㎥에서 100㎍/㎥

으로 강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08.1.1)

※‘07.12 법제처 심

사중

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4. 주유소 주유시설의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의무화

‘08년 1월 1일부터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 및 대기환경규제지역에 위치한 주유소에

유증기 회수설비(STAGE2)설치가 단계적으로 의무화 된다.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를 통해 주유원, 주유소 인근 주민 및 운전자의 유증기 노출을

최소화하여 건강 보호에 기여하고 쾌적한 주유소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유증기 회수에 따라 연간 67억원의 경제적 이익이 기대된다.

□ 대상 : 대기환경규제지역 및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 내 주유소

□ (기존주유소의)규모별 설치 기한

① 3,000㎥이상 : 2008년 6월 30일까지

② 2,000㎥이상 3,000㎥미만 : 2008년 12월 31일까지

③ 1,000㎥이상 2,000㎥미만 : 2009년 12월 31일까지

④ 500㎥이상 1,000㎥미만 : 2011년 6월 30일까지

⑤ 300㎥이상 500㎥미만 : 2012년 12월 31일까지

yyyyyyyyyyyyyyyyyyyyyyyyyyyy < 주유소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의무화 제도 개요 >

표 1-4 「신․구 대비표」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주유소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의무화

<신 규>

○ 대기환경규제지역 및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에

위치한 주유소의 주유시설

에 유증기 회수설비 단계

별 설치 의무화

○ 신규주유소는 2008년 1

월1일부터, 기존 주유소는

2012년 말까지 판매량에

따라 5단계로 설치의무화

대기환경보전법 시

행규칙(‘07.12월 공

포예정)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9

5. 생활소음․진동규제 적용대상 확대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08년 7월부터 동일 건물 내 소음다량발생사업장에

대해 생활소음규제기준이 새로이 적용된다.

그간 동일 건물 내 소음을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과 병원․독서실 등 정온을 요하

는 사업장 및 주택이 인접한 경우의 소음피해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내년부

터는 노래연습장, 음악학원 등 9개 업종의 경우 신규사업장은 ’08.7.1부터, 기존사업장

은 ‘10.1.1부터 동일 건물 내 사업장 생활소음규제기준을 적용받게 되어 소음다량발생

사업장으로부터의 소음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굴삭기, 로우더 등 9종의 건설기계․장비에 대한 소음도 표시 의무제가 ’08년

1월부터 실시된다. 저소음 건설기계의 개발촉진 및 공사장 소음저감을 위하여 그간 권

고제로 시행해왔던 소음도 표시제를 ‘08.1.1부터 의무제로 전환하여 소음발생건설기계․

장비를 제작․수입하는 자는 반드시 소음도 표시를 하여야 한다.

표 1-5 「신․구 대비표」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동일 건물 내

사업장 생활

소음 규제기준

신설

<신 규>

○ 동일건물내 소음다량

발생사업장에 대하여 신규

사업장은 ’08.7.1부터, 기

존사업장은 ‘10.1.1부터 생

활소음 규제기준 적용

※ 대상지역·시간대별로

차등하여 생활소음 규제기

준(40~55dB(A))을 정함

※ 적용대상 사업장 : 체

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체력단련장업·체육도장업·무

도학원업·무도장업,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음악교습을 위한 학원·

교습소, 식품위생법시행령

소음․진동규제법 시행

규칙

(‘08.7.1시행)

1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 목 종 전 달라지는 내용관련법규

및 시행일

제7조의 규정에 의한 단란

주점영업·유흥주점영업, 음

악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노래

연습장업의 9종

건설기계 소

음도 표시 의

무제 시행

건설기계 소음도표시를 권

고제로 시행

○ 소음발생건설기계를 제

작․수입하는 경우 소음도표

시를 권고하던 기존제도를

의무제로 전환

※ 적용대상 건설기계 :

굴삭기, 다짐기계, 로우더,

발전기, 브레이커, 공기압

축기, 콘크리트 절단기,

천공기, 항타 및 항발기의

9종

소음․진동규제법

(‘08.1.1시행)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11

제2절 개정 법률

1. 악취방지법 일부 개정법률안 입법예고

(가) 개정이유

‘05년 2월 10일 악취방지법 시행이후 악취배출시설 관리업무 등 현행 제도의 운용상에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합리적으로 개선, 보완하고 악취관리지역 지정 및 지정해제, 미

신고대상 악취배출시설 관리강화 등 효율적인 악취관리방안을 마련하여 쾌적한 생활환

경을 조성하기 위함

(나) 주요내용

가. 환경부장관의 악취관리지역 지정 권고 규정(안 제6조제2항 신설)

(1) 악취 민원이 많이 발생함에도 집값 하락 등 지역여건을 이유로 시․도지사가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지연하는 사례 발생 우려

(2) 시․도지사가 지역여건 등을 사유로 악취관리지역 지정에 소극적인 경우 환경부

장관이 지정권고 할 수 있도록 함

(3) 환경부장관이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권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효율적인

악취관리대책 추진 가능

나. 악취관리지역 지정 해제 근거 규정 명확화(안 제6조의2 신설)

(1)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 미비

(2) 당초 지정된 악취관리지역을 해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요건을 명시하고 악취관

리지역 해제규제 근거를 명확히 함

(3) 사업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던 악취관리 지역 내 신고 의무화, 엄격 배출허용기준

등 규제완화로 사업장의 경제적 부담 경감

다. 악취관리지역 밖의 주요 악취배출시설 설치신고 의무화(안 제8조제1항 개정)

(1) 악취관리지역 밖의 축산시설 등 주요시설에서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악취관리대책 필요

(2) 신고의무가 없는 악취관리지역 밖의 축산시설, 학교 등 공공시설 주변 주요 악

취배출시설에 대하여 설치신고를 의무화 함

(3) 악취발생 및 민원이 많은 주요시설과 학교 등 공공시설 주변 악취배출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1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라. 공동 악취방지시설 설치 규정(안 제8조의2 신설)

(1) 동일한 사업장 또는 인접한 사업장에서 악취저감시설을 각각 설치토록 규정하여

사업장의 악취저감시설 투자 비용 증가

(2) 동일한 사업장 또는 인접한 사업장에서 공동악취방지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마련

(3) 2개 이상의 악취배출사업장에서 공동 악취방지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세

사업장의 경제적 부담 경감

마. 학교 등 공공시설 주변 악취배출시설에 대한 엄격한 배출허용기준 적용 규정

(안 제15조 신설)

(1) 학교 등 공공시설 주변 악취배출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한 환경피해 민감

계층의 생활악취 피해대책의 필요성 제기

(2) 주요 공공시설 주변지역 악취배출시설에 대하여 엄격한 악취배출허용기준을 적

용할 수 있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

(3) 쾌적한 생활환경이 요구되는 학교 등 공공시설 주변지역의 강화된 배출기준 적

용을 통하여 환경피해 민감계층의 건강보호 강화

바. 공공환경시설에 대한 악취기술진단 의무화 규정(안 제16조의2 신설)

(1) 처리공정상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분뇨․가축분뇨처리시설, 공공하수처리시설

등 공공환경시설에 대한 악취관리 강화 필요

(2) 하수․폐수․분뇨․축산분뇨처리시설 등 악취발생이 많은 공공환경시설에 대하여

악취기술진단을 의무화 함

(3) 공공환경시설 등 사회기반시설 운 으로 인한 생활환경 피해 예방 및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

사. 배출허용기준이내 악취배출시설 설치신고 시 법적 신청서류 간소화(안 제8조제2

항 단서조항 개정)

(1) 악취가 항상 법적기준 이내로 배출되는 경우에도 악취방지계획 등 법적 구비서

류를 일괄 제출토록 규정

(2) 공정 특성상 항상 법적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배출되는 경우 악취배출시설 신고 시

악취방지계획 등 법적 구비서류 제출을 면제

(3) 악취배출사업장의 불필요한 법적 구비서류 제출을 면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함으로써 사업자의 행정적인 부담 경감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13

아. 경매 등으로 악취배출시설을 인수한 경우 신고 등에 따른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

는 규정 신설(안 제9조제2항 신설)

(1) 민사집행법 등에 의한 경매 등으로 새로운 사업자가 기존 신고를 득한 배출시설을

인수하여 운 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권리 승계 규정이 없어 새로이 신고를 받아야

하는 불필요한 규제 발생

(2) 민사집행법에 의한 경매, 파산법에 의한 환가, 국세징수법․관세법․지방세법에

의한 압류재산의 매각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에 따라 사업자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

설을 인수한 자는 기존 악취배출시설 신고사항에 대한 권리․의무를 승계토록 함

※ 대기․수질환경보전법에는 경매 등에 의해 인수한 자의 승계규정을 두고 있음

(3) 민사집행법 등 관련법에 의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악취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인수한 경우 새로이 신고를 득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행정적인 절차를 완화하여 사업

장의 중복 규제 완화

자. 악취발생물질의 부적정 소각금지 규정 삭제(제15조 삭제)

(1) 악취발생물질을 불법소각 금지행위에 대하여 악취방지법과 폐기물관리법에서

중복으로 규제하고 있어 적용법규 혼란 발생

(2) 악취방지법에서 정하는 악취발생물질은 폐기물관리법에서 정하는 폐기물에 해당

되어 별도 규제가 가능하므로 악취물질 불법 소각 시 악취방지법에서 규제토록 하는

규정 삭제

(3) 동일한 위반행위에 대하여 다르게 적용되던 불필요한 중복규제를 삭제함으로써

법령 해석 또는 집행 상 혼란 예방

차. 악취실태조사는 악취검사기관에서 실시(안 제4조제4항 신설)

(1) 악취관리지역 등 악취실태조사 기관을 명확히 정하고 있지 않아 악취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논란 발생

(2) 악취실태조사를 할 수 있는 적합한 조사기관을 명확히 명시

(3) 강화된 규제가 적용되는 악취관리지역 지정 등을 위한 악취실태조사 시 공정성과

정확성을 확보하여 행정의 신뢰성 제고

1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참고 1> 악취관리지역 지정현황(‘07년 12월 기준)

○ 6개 시․도(16개 지역)에 대하여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 관리

시․도 지정일자 지정지역 지정면적 비고

울산광역시

(남․동․북구,

온산읍)

‘05.3.17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46,271천㎡ 엄격

기준

적용온산국가산업단지 24,659천㎡

경기도

(안산, 시흥)‘05.5.16

아산국가산단 포승지구 6.33천㎡

엄격

기준

적용

시화국가산업단지안산시 4,424천㎡

시흥시 16,443천㎡

반월국가산업단지 15,374천㎡

반월도금지방산업단지 1.47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06.1.20

삼성화학단지(전용공업지역) 3,070천㎡ -

현대석유화학단지(전용공업지역) 3,307천㎡ -

현대오일뱅크(주)(전용공업지역) 1,619천㎡ -

대죽지방산업단지 2,089천㎡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구)‘06.1.24

남동국가산업단지 9,574천㎡ -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 938천㎡ -

석남동․원창동 일반공업지역 3,782천㎡ -

백석․오류동 일원 11,107천㎡ -

부산광역시

(사하구)‘06.4.26

부산 신평·장림피혁공업사업조합

(폐수처리장)15천㎡ -

전북 완주군 ‘07.10.12 우리밀축산영농조합(축산시설) 27.1천㎡ -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15

<참고 2> 악취물질의 종류 및 배출허용기준

□ 복합악취

○ 복합악취 : 두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면서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함

구분배출허용기준(희석배수)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범위(희석배수)

공업지역 기타지역 공업지역 기타지역

배출구 1000 이하 500 이하 500 ~ 1000 300 ~ 500

부지경계선 20 이하 15 이하 15 ~ 20 10 ~ 15

□ 지정악취물질

○ 지정악취물질 :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함

구 분배출허용기준(ppm)

엄격한 배출허용 기준의

범위(ppm)적용시기

공업지역 기타지역 공업지역

1 암모니아 2 이하 1 이하 1 ~ 2 ‘05.2.10 부터

2 메틸머캅탄 0.004 이하 0.002 이하 0.002 ~ 0.004

3 황화수소 0.06 이하 0.02 이하 0.02 ~ 0.06

4 다이메틸설파이드 0.05 이하 0.01 이하 0.01 ~ 0.05

5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0.03 이하 0.009 이하 0.009 ~ 0.03

6 트라이메틸아민 0.02 이하 0.005 이하 0.005 ~ 0.02

7 아세트알데하이드 0.1 이하 0.05 이하 0.05 ~ 0.1

8 스타이렌 0.8 이하 0.4 이하 0.4 ~ 0.8

9 프로피온알데하이드 0.1 이하 0.05 이하 0.05 ~ 0.1

10 뷰티르알데하이드 0.1 이하 0.029 이하 0.029 ~ 0.1

11 n-발레르알데하이드 0.02 이하 0.009 이하 0.009 ~ 0.02

12 i-발레르알데하이드 0.006 이하 0.003 이하 0.003 ~ 0.006

13 톨루엔 30 이하 10 이하 10 ~ 30 ‘08.1.1 부터

14 자일렌 2 이하 1 이하 1 ~ 2

1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은 시․도지사가 효율적인 악취관리를 위하여 지역여건을

감안하여 환경부령이 정하는 범위내에서 지자체 조례로 정함

(울산광역시, 경기도 등 2개 시․도 6개 지역에 엄격 배출허용기준 적용)

구 분배출허용기준(ppm)

엄격한 배출허용 기준의

범위(ppm)적용시기

공업지역 기타지역 공업지역

15 메틸에틸케톤 35 이하 13 이하 13 ~ 35

16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3 이하 1 이하 1 ~ 3

17 뷰티르아세테이트 4 이하 1 이하 1 ~ 4

18 프로피온산 0.07 이하 0.03 이하 0.03 ~ 0.07 ‘10.1.1 부터

19 n-뷰티르산 0.002 이하 0.001 이하 0.001 ~ 0.002

20 n-발레르산 0.002 이하 0.0009 이하 0.0009 ~ 0.002

21 i-발레르산 0.004 이하 0.001 이하 0.001 ~ 0.004

22 i-뷰틸알코올 4.0 이하 0.9 이하 0.9 ~ 4.0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17

제3절 기획 특집

1. [2008 신년사] "자연-인간 공생하는 국토공간 창출"

◆ 이규용 환경부장관 신년사 ◆

새해는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기후변화, REACH 등

국제적 환경변화에 잘 대응해 나가야 하는 중요한 때입니다.

기후변화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더욱 긴박해지고

있습니다. 작년 인도네시아 발리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제는 더 이상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세계 흐름에 벗어나 있을 수 없습니다. 세계는 환경과 경제

가 급속히 통합되어 가는 사회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자신들의 앞선 환경기술을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삼아 환경을 매개로 세계시장을 재편하려 하고 있습니다.

대내적으로는 각종 개발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난개발을 막고 효율적인 국토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 절실

해지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쾌적한 환경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더욱 거세지고 있습

니다. 기본적인 환경보장 뿐만 아니라, 아토피 등 증가하는 환경성 질환으로부터의

해방, 어린이ㆍ노약자ㆍ저소득 계층 등 환경오염 민감계층에 대한 환경보장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쾌적한 정주환경 제공, 녹지공간 확충과 생태하천 복원 등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는 국토 공간 창출 등 국민들의 환경욕구는 더욱 깊고 넓어

지고 있습니다.

환경과 경제 그리고 사회가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는 녹색국가 구현을 위해서는

날로 증가되는 환경위협에 현실감 있게 대응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미리 구축하여야

합니다. 현 세대와 미래세대를 동시에 위협하는 기후변화, 환경성 질환 등에 효과

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

외교를 강화해 나가야 합니다.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환경기술과 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자원순환사회 건설을 통해 환경과 경제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사회를 구현

하여야 하겠습니다.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공기질과 하천 복원을 통해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보다 넓게는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는 국토 공간을 창출하여 국민

들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합니다.

1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4절 국제환경 동향

1. EU, "바이오연료 환경기준 강화 하겠다" (연합뉴스, ‘08. 01. 15)

- 오는 23일 온실가스 감축비율 발표에 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바이오연료에 대해 환경적 기준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

라고 15일 밝혔다. 스타브로스 디마스 환경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바이오연료가 열대우림을 파괴하고 곡물가 급등 등을 유발할 위험성을

과소평가했다"면서 "바이오연료가 초래할 환경․사회적 문제들을 검토하고 있으며

매우 신중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지구온난화와 고유가 쇼크 속에 주목받고 있는 에탄올과

바이오디젤 등 바이오연료가 환경파괴와 곡물가 급등 등으로 특히 빈곤한 지역에

예측하지 못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는 환경단체들의 지적을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환경단체들은 바이오연료 생산에 더 많은 농지와 식량작물이 사용돼 곡물

가격이 오르고 더 많은 경작지 확보를 위해 아마존 유역의 열대우림 등 자연생태

계가 파괴되고 있다면서 EU 집행위에 바이오연료 확대방침을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EU 27개 회원국 정상들은 지난 해 3월 브뤼셀에서 모임을 갖고 오는 2020년

까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20% 감축하고, 모든 자동차에 바이

오연료의 사용비율을 최소한 10% 수준까지 높이기로 합의했다.

EU 집행위는 오는 23일 온실가스 배출 20%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회원국

별 온실가스 감축비율을 발표하면서 바이오연료 사용비율 확대방안도 제시할 계획

이다. EU 에너지 집행위원실의 페란 타라델라스 에스퓌니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바이

오연료 10% 확대방침은 정상들의 합의사항으로 변화가 없을 것이지만 환경파괴 등을

유발하는 바이오연료의 사용금지 등 환경기준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디마스 집행위원도 "환경을 파괴하고 가난한 지역 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보

다는 10% 목표를 달성하지 않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 남극빙 녹는 속도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 (연합뉴스, ‘08. 01. 14)

온난화로 남극의 얼음이 10년 전에 비해 연간 75%나 많이 녹았으며 해수면 상승

속도도 예상보다 빠른 것으로 보인다는 최신 연구가 발표됐다.

5개국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진은 4개의 위성 데이터와 지역별 기후 모델을

이용해 남극대륙 서부의 빙상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 2006년 한해동안 1996년에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19

비해 59% 많은 1천320억t이 녹았다고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또 남아메리카 쪽으로 뻗어있는 남극반도에서는 600억t이 녹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2006년 남극 비상 감소량 1천920억t은 나일강의 연간 유량의 2배에 해당하는

규모며 전세계 해수면을 0.5㎜ 상승시키는 양이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유엔 정부

간기후변화위원회(IPCC)가 예측하는 2100년의 해수면보다 18~59㎝ 더 높아질 것이

라고 연구진은 전망했다. 그러나 세계 최대의 빙상인 남극대륙 동부에서는 얼음 감

소량이 `제로'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남극 대륙의 암반을 덮은 거대한 빙상으로부터 얼음이 떨어져 나오는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럽우주국의 지구선회감지(ERS) 위성 2개와 캐나다의 레이

더새트-1호, 일본의 첨단육지관측(ALO) 위성 등이 수집한 자료를 이용, 해안선의

85%를 사진으로 재구성했다. 그 결과 지난 10년 동안 남극빙상의 전반적인 감소현

상은 확실하게 드러났고 얼음 감소량은 75%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빙상 감소현상의 대부분은 대륙 서부의 파인 아일랜드 베이와 남극반도

북단에서 일어났다"고 밝히고 이 지역에서 빙상의 감소가 가속화하고 있는 것은

대륙 전역에 걸쳐있는 빙하의 움직임이 빙상 규모에 `지배적인 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의 일원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

추진연구소의 에릭 리그노트 교수는 지금까지 온난화가 남극 빙상에 미치는 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돼 온 모델들은 해류의 조성이나 빙하의 이동 속도는 계산에 넣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빙하가 해류를 따라 빨리 움직일수록 녹는 속도가 빨라진다고

말했다. 그는 "걱정스러운 것은 이런 현상이 오래 전부터 계속돼 오고 있다는 점"

이라면서 "그린란드와 남극대륙이 앞으로 10년 안에 어떻게 변할 지는 이미 예정

돼 있다"고 강조했다.

3. 中, 올림픽 환경보호 고삐 죈다 (연합뉴스, ‘08. 01. 10)

오는 8월 개막하는 2008 베이징(北京)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이 환경 오염문제 해결을

위한 고삐를 죄고 있다. 베이징시가 환경 오염문제 해결을 위한 비상 조치를 잇따라

발표하고 환경 당국이 환경 보호에 소홀한 다국적 기업의 명단을 이례적으로 발표해

경고하는 등의 조치가 잇따라 시행되고 있다.

베이징시 발전개혁위원회는 올림픽을 앞두고 교통량 감소 조치를 비롯해 대기오

염원 감소, 전력 수급 등에 관한 계획을 발표했다고 경화시보(京華時報)가 10일

보도했다. 이 위원회는 올림픽 기간 대중교통의 운행량을 늘리고 자가용의 운행량을

줄여 전체적으로는 교통량을 크게 감소시킬 계획이다. 또 시내 4개구에 살고 있는

5만 가구가 사용하는 석탄 보일러를 전기 보일러로 교체해 대기 오염원을 미리

2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차단할 계획이며 전자폐기물 수거 조치도 베이징 교외로 범위를 확대키로 했다.

아울러 오는 3월 1일부터 유럽의 배기가스 배출 기준인 EU4에 상응하는 기준의

휘발유도 시판에 들어간다.

베이징 시 당국은 또 올림픽 기간 전기사용량이 급증할 것에 대비 전기 수급량도

평소의 30% 이상 크게 늘릴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 환경보호총국은 10일

2004~2007년 외자기업에 대한 환경실태 조사결과를 통해 환경 보호에 소홀한 기업의

명단을 공개함으로써 강력히 경고했다. 허베이(河北)성 지린(吉林)성 등 19개성에

진출한 130개 다국적 외자기업들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옴노버 데코레이션사와

상하이 코스코 가와사키 중공업, 진마이랑(今麥)식품사 등 다국적 기업 3곳이 환경

보호 부실 기업 리스트에 올랐다.

환경보호총국은 "조사결과 일부 다국적 기업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경고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이처럼

중국이 환경 보호의 고삐를 죄고 있는 것은 대기오염 등 환경 문제가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방해하는 가장 큰 걸림돌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스위스의

마장마술 선수인 실비아 이클레이는 홍콩에서 열리는 베이징 올림픽 승마 경기에

무더운 날씨 등을 이유로 참가를 거부해 스위스 마장마술 선수단 전원이 참가하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돼 중국에 고민거리를 안겨주고 있다.

4. 지구온난화, 우간다 커피농사 망쳐 (환경일보, ‘08. 01. 08)

- 재배면적 현재의 1/10 이하로 줄어들 수도 있어

우간다 커피농부들의 상황은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사실 좀 너무 뜨겁다. 지구온난

화가 이미 이 국가의 최대수출품인 커피농사에 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새로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커피는 우간다의 최대 수출품목이고 아프리카 동부

국가들 세입의 절반 이상을 벌어들이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온이 약간만 상승

해도 이 작물을 키울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동부아프리카정선커피연합(East African Fine Coffees Association) 의장인

필립 지타오(Philip Gitao)는 “기후변화가 이미 커피생산에 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타오 의장은 비가 엉뚱한 시기에 내리기 때문에 작물이 급하게 성장

하고 이것은 커피 품질에 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지난 2~3년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심한 가뭄이 들었다고 말했다. 우간다 커피 농부인 로날드 부울

(Ronald Buule)씨는 “햇볕이 많고 비가 적으면 커피콩이 작게 열린다. 게다가 생산

량도 줄어든다”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두꺼운 바나나 잎으로 덮어 놓은 커피

콩을 보여주며 “농부들이 온도 때문에 걱정이 많다. 자원은 한정돼 있다”라고 덧붙

다.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21

◆ 재앙 포텐셜 높아져

그렇지만 상황은 나아질 것 같지 않다. 우간다가 기후변화에 대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평균온도가 2℃만 상승해도 우간다는 커피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이 된다.

2℃는 기후변화에서 가장 낙관적으로 잡은 기온상승 수준이다. 유엔기후변화패

널은 지난 봄 화석연료사용과 같은 인간활동의 결과로 이번 세기 말이면 평균세계

온도가 1.4℃에서 5.8℃ 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게다가 우간다의 기상위원

필립 그와지(Philip Gwage)씨는 “세계온도가 1.4℃에서 5.8℃ 정도 상승한다는 데

대해 의심의 여지가 전혀 없다”라고 말했다.

커피재배에는 몇 가지 조건이 필수적이다. 시원한 기온과 충분한 물이다. 우간다

커피재배지역의 평균온도는 현재 25℃ 정도다. 그와지 위원은 만약 온도가 올라가면

우간다의 고산지역 몇 군데만 빼고는 커피농사를 할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커피재배면적이 현재의 10분의 1 이하로 줄어드는 셈이다. 우간다가 동부

아프리카 호수의 수면증발로 강우량이 늘어날 수 있지만 강우가 변덕스럽고 또 성장

기에 내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커피농가에 피해가 막대할 수밖에 없다.

한편 우간다 리포트는 보면 우간다 뿐 아니라 이웃 커피국가인 케냐와 탄자니아도

향을 받게 된다고 경고했다.

5. 나무, 더워질수록 이산화탄소 흡수 못해 (동아일보, ‘08. 01. 03)

지구가 더워질수록 나무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

다고 국 일간 가디언 인터넷판이 3일 보도했다. 가디언은 국 과학저널 네이처

3일자에 게제된 헬싱키대 티보 베살라 교수와 각국 대학의 기후연구가들의 공동

연구결과를 인용,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논문은 지난 20년간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캐나다, 북유럽 등 북방 동토 30곳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연구진은 숲이 겨울을 앞두고 광합성을 멈추는 날짜에 초점을 맞춘 결과, 겨울이

점차 짧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합성 중단일은 오히려 수일에서 수주씩 앞당

겨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나무나 토양에 흡수되지

않은 채 대기중으로 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존 예측보다 35%나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지구탄소프로젝트(GCP)의

최근 조사 결과를 일부 뒷받침하는 것이다. 높은 기온이 더 낮은 이산화탄소 흡수

율을 의미한다면 지구 온난화는 가속될 수밖에 없다.

북방 동토에서는 지난 20년간 봄․가을 기온이 각각 섭씨 1.1도와 0.8도씩 상승,

우주공간에서도 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녹화가 진행됐으며 학자들은 이것이 지구

2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온난화를 늦추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었다. 베살라 교수는 "이것은 잠재적으로

더 큰 온난화 효과를 의미한다"고 말했으며 연구에 참여한 앤더스 린드로스 스웨

덴 룬드대 교수는 "(이 지역의) 녹화가 대기 중이산화탄소 균형에 긍정적 효과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은 나쁜 뉴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경향이 지구 온난화에 미칠 정확한 효과는 예측하기 힘들다는 지적을 내놓았다.

콜린 프렌티스 브리스톨대 교수는 "좀 더 시간이 흐르면 툰드라가 숲으로 변하

는 등 식생구조에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번 결과로 어떤 특정한

미래의 결과를 이끌어내려는 시도에 대해 회의적"이라 말했다.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는 지난해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적 재앙을 막기

위해 인류에게 남은 시간은 8년이라고 추산한 바 있다.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23

제5절 환경 소식

〔환경 뉴스〕

1. 수산시장 온난화 신드롬 강타 (환경일보, ‘08. 01. 17)

- 난류성 어종 급증 ↔ 한류성 어종 급감

- 고등어 싸지고 명태 비싸진다

국내 수산시장이 온난화 신드롬에 휩싸이고 있다. 실제로 한반도 연안의 수온은

지금도 조금씩 계속 오르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팀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9년간 한반도 주변해역(1968~2006년)의 평균 표층수온은 약 0.9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역별로 보면 동해는 0.80 ℃ , 남해는 1.04 ℃ , 서해는 0.9

7℃ 상승했다 . 또한 전 지구의 평균 및 북태평양 평균 표층 상승률보다 한반도 주

변 해역의 수온 상승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변화는 바다 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알아채기가

힘들다. 하지만 작은 변화에도 민감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해양생태계이기도 한다.

특히 어류의 경우 수온의 변화에 대단히 민감하다. 어류는 종마다 서식과 산란에

알맞은 적정 수온 범위를 가지고 있다. 해양어류는 수온의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데

원양성 어류와 같이 이동능력이 좋은 생물은 지구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분포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한반도 해역의 어종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한반도 주변 주요 어종에 대한 자원 동향을 분석한 결과 명태 및 도루묵 등

한류성 어종은 감소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오징어, 고등어, 꽁치 등

난류성 어종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 다. 뿐만 아니라 난류성 어종의 조업 시기가

겨울까지(1~2월) 지속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또한 최근 한국 연근해에서 아열대성

생물의 출현이 잦아지기 시작했다. 흑새치, 돛새치, 보라문어, 제비활치류, 붉은바다

거북, 고래상어 등 아열대ㆍ열대 지방에서 서식하는 바다 생물들이 우리나라 어부

들의 그물에 걸려 올라오고 있다.

비단 어류 뿐 아니라 해조류도 온난화로 인한 변화를 겪고 있다. 다시마 등의

크기가 줄고 서식지도 점점 수심이 깊은 곳으로 내려가고 있다. 이와 함께 수온

상승은 양식어장의 기초 생태계 및 식생도 변하게 만들어 양식 해역의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농후하다. 해조류의 경우 남해안에서 동ㆍ서해안 북쪽해역으로 이동하거나

어장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양식 생물 역시 한대 및 온대성 품종인 해조류, 전복,

2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멍게 등 보다는 아열대성 생물인 돔류, 능성어, 참다랑어, 흰다리새우 등의 양식이

증대될 것이다.

국립수산과학원 서 상 박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자원의 예측 모델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변동에 따른 수산업 구조를 조정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

했다. 또 “양식생물 기초 생리대사의 특성을 조사하고 양식어장 환경 및 생태계 변화

조사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대응 새로운 양식 품종 및 기술을 개발해나가는데 힘을

기울여야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자원의 변동은 이미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로 이에 따른 국내 수산시장의 변화 역시

당연한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 포근한 겨울에 잠 못드는 지리산 반달곰 (조선일보, ‘08. 01. 16)

- 반달곰 1마리 사망…자연사 추정

예년보다 높은 겨울철 온도와 적은 적설량 때문에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상당수가

아직도 동면에 들어가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에서 서식

중인 반달가슴곰 16마리 중 5마리를 제외한 11마리가 동면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단은 “대부분의 반달곰들이 동면에 들기 전 행동권역이 좁혀져 움직임이 줄어든

상태이긴 하지만 상당수는 아직도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며 “올 겨울 포근하고 눈이

적은 이상 기후 현상을 보인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작년 12월 평균기온은 1.5도로 하 3.1도 던 2005년이나 상 0.8도 던

2006년보다 한층 상승했으며 같은 달 최저기온 역시 하 3.5도를 기록해 2005년의

하 9도와 2006년의 하 4.4도보다 높았다. 작년 12월의 적설량은 10.3㎝로 2006년

12월의 9.5㎝과 비슷했지만 쌓일 만한 첫눈이 온 시기는 작년에는 12월30일로 2006

년(12월17일)보다 13일이나 늦었다. 공단은 2004년부터 연해주산과 북한산 반달가

슴곰 26마리를 지리산에 방사했으며 이 중 폐사 혹은 실종되거나 회수된 10마리를

제외한 16마리가 자연상태로 지내고 있다.

공단의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복원연구팀 이배근 팀장은 “지리산 권역의 온도가

예년보다 높게 유지되는 한편 쌓일 정도의 첫눈도 예년보다 늦었으며 일부 지역에는

눈이 없는 곳도 있을 정도로 이상 기후 현상이 발생해 반달곰들의 동면이 늦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달가슴곰의 동면 시기가 이처럼 늦춰지고 있는 것은 예년의

경우와 비교해도 이례적이다. 지리산에 서식 중인 반달곰 모두가 동면에 들어간

시점은 2005년 겨울에는 이듬해 1월 11일이었으며 2006년 겨울에는 그해 12월 23

일이었다.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25

한편 공단은 교육ㆍ홍보용으로 관리되던 반달곰 ‘장군’(만 6세.수컷)이 지난 12일

오전 전남 구례군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내 생태학습장에서 숨졌다고 밝혔다. ‘장군’

은 지난 2001년 지리산에 시험방사됐다가 2004년 회수된 이후에는 생태학습장에서

지내왔다. 공단은 “며칠 간 움직임이 좋지 않아 응급처치를 했지만 결국 숨졌다”며

“대사 불균형으로 인한 자연사로 추정되며 조직검사와 혈액 분석 등을 통해 정

확한 사인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3. 유가 100달러, 지구 환경에 ‘청신호'일 수 있다(?) (연합뉴스, ‘08. 01. 04)

국제유가가 사상 처음으로 배럴당 100달러를 기록하는 등 고유가를 넘어 ’초고유가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고유가가 환경보호에 긍정적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제유가는 2일과 3일 중국의 에너지 수요 증가와 원유수급 차질, 석유수출국기구

(OPEC) 회원국인 나이지리아의 정정불안 등에 향을 받아 한때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섰지만 1년 전만 하더라도 배럴당 50달러에 불과했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가

상승이 소비자에게는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지구 환경에는 이로울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세자리 수 유가는 소비자로 하여금 연비가 더 좋은 차량을 구매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

하게 하고 한때 지나치게 비싸거나 특이하다는 이유로 외면받았던 풍력과 태양력 등

대체에너지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는 게 이들의 논리다.

벨기에 브뤼셀 소재 로벌풍력위원회(GWEC)의 스티븐 소여 소장은 “석유를 사용한

전력 생산비용이 갈수록 커지면서 경쟁력 있는 풍력발전기 건설 부지가 늘어나고 있

다”며 “현재의 유가 수준이라면 세계 모든 국가에서 풍력발전에 더욱 경제적인 장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GWEC에 따르면 작년 한해 동안 전 세계 풍력발전량은

74기가와트에서 92~93기가와트로 25% 가량 늘어났으며 이는 2006년 증가율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재활용 산업 또한 유가 상승의 혜택을 받고 있다. 플라스틱의 원료가 되는 원유

가격이 높아질수록 낡은 플라스틱병과 쇼핑백, 랩 등을 녹여 재활용할 인센티브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플라스틱재활용협회(EPRO) 피터 순트 사무총장은 “지난

10년간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재활용은

현재 유럽과 미국 등으로부터 500만t의 폐플라스틱을 수입하는 등 연간 1천만t의 폐플

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중국이 주도하고 있지만 유가 상승 등 여건변화는 더 많은 유럽계

회사들로 하여금 플라스틱 재생산업에 투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고유가는 청정에

너지와 재활용뿐 아니라 석유보다 오히려 환경에 더욱 해로운 다른 화석연료의 사용도

촉진하는, 부정적 향도 끼치는 게 현실이다.

2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국과 미국, 인도 등 가장 큰 경제들의 상당수가 싸고 지정

학적 위험(Geopolitical risk)을 발생시키지 않는 석탄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석탄은 지금도 세계 전력 생산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IEA의 세드릭 필리베르는 “중

국은 2006년 한해 동안 매주 3개의 화력발전소를 새로 건설했다”고 말했다.

4. 주유소 ‘기름증기’ 회수설비 의무화 (한겨레, ‘08. 01. 02.)

- 자동차 배출가스 보증기간 연장도

오는 2009년부터 새로 제작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기준이 대폭 강화된다. 또 내년

부터 주유소에서는 주유기로부터 새 나오는 기름증기를 회수하는 설비를 반드시 갖춰야

한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30일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경유차의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2009년부터 유럽에서 내년부터 시행하는 ‘유로-5’ 수준으로 강화하고, 휘발

유와 가스차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행 중인 평균배출량관리제도를 도입해 제작사별

로 평균배출량 기준을 관리하게 된다고 밝혔다. 또 배출가스 보증기간도 경유차는 현행

5년·8만㎞에서 유럽 기준인 10년·16만㎞로, 휘발유차는 현행 16만㎞에서 미국 기준인

19.2만㎞로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수도권 등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주유소에 유증기 회수

시설을 장착한 주유기를 설치하도록 했다. 대상지역은 서울과 수도권, 부산, 대구, 광양만,

여수, 울산, 미포, 온산산단 등이다. 이들 지역 주유소 가운데 연간 판매량 3천㎥ 이상인

주유소는 내년 8월까지, 다른 주유소는 2012년까지 단계적으로 유증기 회수장치를

달아야 한다.

주유과정에서 새 나오는 유증기는 대도시 오존오염을 일으키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주 배출원으로 지목돼 왔다.

5. 올해도 덥다…평년보다 기온 0.6도 상승 (한겨레, ‘08. 01. 02)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한반도에선 기온상승 추세가 계속돼 연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다소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기상청은 2일 “서울대 대기·해양역학 연구팀과 함께 올해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을 예측해보니, 최근의 기온 상승 추세는 올해에도 지속돼 연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약 0.6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5대 주요 도시의 옛 기상

자료에 바탕을 둔 이번 예측에서 올해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55.4%, 비슷할

확률은 37.7%로 나타났으며, 평년보다 낮을 확률은 6.9%에 지나지 않았다.

기상청이 따로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13.3도로, 평년

기온 12.4도보다 0.9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2007년은 13.6도를 보인 1998년에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27

이어 지난 35년 동안 두 번째 더운 해로 기록됐다.

한편, 기상청은 미국기상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1~11월) 지구의 기온은 20세기

100년 동안의 평균보다 0.56도 가량 높은 15.6도를 나타내 1880년 이후 네 번째 더운

해로 기록됐다고 전했다.

6. ‘배출가스 등급’ 국산차가 수입차 앞질러 (동아일보, ‘08. 01. 02)

- 아반떼-렉스턴 오염 물질 가장 적게 배출

환경부는 국산차 90종과 수입차 104종 등 194종을 대상으로 차량에서 배출하는 대기

오염 물질을 분석한 결과 국산차와 수입차의 평균 배출가스 등급이 각각 1.79등급과

1.99등급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은 1등급에서 5등급까지

있는데 1등급에 가까울수록 미세먼지(PM)와 질소산화물(NOx) 등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국산차 제작사별로는 GM대우가 1.4등급으로 가장 좋은 등급을 받았고

르노삼성(1.5등급) 기아(1.69등급) 현대(1.7등급) 쌍용(3등급)이 뒤를 이었다.

1등급을 받은 국산차 중에서도 아반떼 2.0(현대·휘발유) 렉스턴 2.7(쌍용·경유) 토스카

2.0(GM대우·경유)이 오염물질을 가장 적게 배출했다. 수입차의 배출가스 등급은 일본

차(1.0등급) 미국차(1.65등급) 유럽차(2.16등급) 순이었다. 렉서스 LS600hL(도요타·휘발

유)과 파에톤 3.0 TDI(폴크스바겐·경유)의 오염물질 배출이 가장 적었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출고되는 모든 경유차에 대해 유럽연합(EU)의 운행차량 배출기

준(EURO-4)에 맞춰 강화한 배출가스 등급 산정 기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아울러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도권과 5대 광역시의 공공기관에 베르나와 프라이드 하이

브리드 자동차 1930대를 올해 시범 보급하기로 했다.

두 차량은 휘발유를 쓰는 같은 차종에 비해 오염물질을 70%가량 적게 배출하고

연료비도 33% 정도 절약될 것으로 환경부는 분석했다.

2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수도권대기환경청 소식〕

1. 연말연시 행사

□ 종무식

2007년을 마무리하는 종무식 행사가

12월 31일(화) 강당에서 있었다. 이번 행사

에는 유공자 및 시상자 표창식이 있었으며

종무식 이후에는 직원 송년 다과회를 가져

보다 뜻깊은 행사로 진행되었다.

□ 시무식

2008년도 시무식이 1월 2일(수) 2시 세

미나실에서 진행되었다. 청장님 신년사

이후에는 직원들간에 새해인사와 함께 악

수를 나누는 등 무자년 새해를 활기차게

맞이하 다.

2. 신규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량 안전

운행 기원행사

수도권대기환청에서는 1월 7일(월) 신규

교체된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량 운 을 앞

두고 안전운행 기원행사를 가졌다. 약 2

개월 정도 시험가동을 실시하고 2008년

2월말부터 정성 운 될 예정이다.

3. 교통안전교육

1월 10일(목) 세미나실에서 안산경찰서

김경수 교통과장을 모시고 안산지역 교통

안전교육이 있었다. 동 상 시청과 질의응답

시간을 통하여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평소 모르고 있던 교통법규에 대해

설명 듣는 시간을 가졌다.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29

제6절 환경용어해설

1. 환경지속성지수 (ESI,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세계경제포럼(WEF)에서 2001년부터 발표하는 환경지수이다. 한 국가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환경파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지수는 WEF 산하 차세대 지도자포럼의 환경대책반이 미국 예일대학과 콜럼비아

대학 환경연구소와 2년 간에 걸친 공동 노력 끝에 작성한 것이다. ESI는 총 72개의 변

수를 사용해 20여개의 항목으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항목 중엔 수질, 대기, 종 다양성

등 환경적인 요인 외에도 전반적인 국민소득, 과학기술능력, 국민보건, 환경규제, 민주화

정도, 생태효율성, 국제사회 기여도 등이 포함된다. 즉 환경오염 정도뿐 아니라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다.

2004년 발표된 환경지속성지수(ESI) 평가에서 한국은 146개국 중 122위를 기록했다.

환경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나라는 핀란드, 노르웨이, 우루과이, 스웨덴, 아이슬란드,

캐나다 등으로 나타났다.

2. 특별대책지역

인구 및 산업의 집중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다양화 ·심각화 ·현저화 되었거나 현저

하게 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말한다.

이런 지역을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하고, 관할 시 ·도지사에

대하여 당해 지역의 종합적인 환경오염대책을 실시케 함으로써 특별한 관점에

서 환경의 적정관리를 도모하고자 특별히 설정되는 지역을 말한다.

「환경정책기본법」 제22조에 의하면, 환경부장관은 환경의 오염 또는 자연생태계의

변화가 현저하거나 현저하게 될 우려가 있는 지역과 환경기준을 자주 초과하는 지역을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고시하고, 특별대책지역 내의 환경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에는 토지이용과 시설설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지역환경기준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당해 지역

내에 새로 설치되는 배출시설에 대하여 특별배출허용기준을 별도로 정할 수 있도록 규정

하고 있다(대기환경보전법 8조). 지금까지 지정된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은 대규모 배출

시설이 집되어 있는 울산․미포 및 온산국가산업단지와 여수국가산업단지 및 확장단지

등 2개 지역이다. 특별대책지역안의 대기환경은 엄격․특별배출허용 기준 등을 규정하고

3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있는 「대기보전특별대책 지정 및 동지역 대기오염 줄이기를 위한 종합대책」(환경부

고시 제2002-10호. 2002.1.22)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

3. 오토오일 프로그램(Auto/Oil Program)

자동차와 연료로 인한 배출가스 줄이기를 최적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 대수는 지난 70년 약 20만대에서 2005년 1,500만대로 폭발

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대도시에서의 오존, 이산

화질소 및 미세먼지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배출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유해가스 배출이 적은 자동차를 생산

하도록 배출가스 허용 기준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용되는 연료 자체가 자동차

성능과 배출가스에 미치는 향도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와 적합한 품질 기준을

설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의 옥탄가나 세탄가는 자동차 주행 성능 및 연비와 접한 관련이

있고 배출가스에도 지대한 향을 미치며 MTBEㆍ에탄올ㆍ바이오디젤 등의 함산소

물질은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는 감소시키지만 질소산화물은 증가시키기도 하고 일부

연료계 부품의 부식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어 차량 설계에 적합한 적정량의 사용이 요구

되기도 한다.

따라서 자동차와 연료는 개별적 규제보다는 대기질에 미치는 상호 기여율과 향

등을 분석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므로 자동차와 연료의 기준

설정시에는 각 분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비용효과적인 최적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

하다. Auto/Oil 프로그램은 자동차 배출가스 삭감목표량을 설정하고, 자동차엔진과

연료의 상관성, 유해성 등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규제기준을 마련하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다.

4. 결함시정제도(Recall System)

결함시정제도(Recall System)란 자동차가 배출가스 보증기간 동안 제작차 배출허용

기준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행중인 자동차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검사로서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시행해 오고 있다. 동 검사결과 제작차 배출허

용기준을 초과할 경우 정부에서는 해당 차종의 제작회사에 리콜명령(결함시정명령)을

내려 불합격차량과 동일한 부품이나 기술이 적용된 모든 차량을 회수하여 자동차제작

자가 무상으로 관련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게 된다.

1992년에 최초로 결함확인검사를 하 고, 1999년부터는 경유차에 대해서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자동차 배출가스 결함확인검사 실시 전 운행중인 차량에

제1장 수도권 대기환경정보 31

대한 배출특성을 사전에 조사하는 결함확인 사전조사(Screen Test)를 실시하여 결함가

능성이 높은 차종을 선별함으로써 결함확인검사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실효성을 제고하

다.

이에 따라 2003년 결함확인검사 결과 가아자동차 카니발2.9 경유자동차가 NOx 항목

에서 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아 배출가스재순환장치(EGR) 밸브의 불량에

대하여 결함을 시정한 바 있으며, 2005년 결함확인검사에서는 현대자동차 EF소나타

1.8DOHC가 NOx항목에서 기준을 초과함으로써 부적합 판정을 받아 전자제어장치

(ECU) 프로그램 변경 및 산소센서를 교환함으로써 결함을 시정토록 하 다.

향후 사전조사를 통한 검사대상차량을 확대하여 결함시정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2006년도에 대기환경보전법 하위법령을 개정하여 동일차종, 동일부품에 대한 소비

자의 결함시정 요구 건수 및 요구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자동차 제작사가 자발적

결함시정을 하도록 하는 자동차 배출가스 부품결함보고제도를 도입하여 제작사의 책임을

더욱 강화하고 결함확인검사의 실효성을 더욱 제고할 계획이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제1절 수도권 대기오염측정망의 운영 현황

제2절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제3절 도로변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제4절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제5절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제6절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제7절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제8절 유해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제9절 월간 기상특성 분석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35

제1절 수도권 대기오염측정망의 운 현황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실태를 파악하여 대기질 개선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시대기측정망 등

모두 9개 종류(도시대기측정망, 도로변측정망, 국가배경농도측정망, 교외대기측정망, 산성

강하물측정망, 유해대기측정망, 중금속측정망, 광화학측정망, 시정거리측정망)의 측정망을

설치하여 운 하고 있다. 2007년 8월 기준으로 수도권지역에는 모두 152개 측정망(서울

46개, 인천 28개, 경기 78개)에서 유효 측정결과를 생산하고 있다. 수도권지역의 대기오

염측정망 현황은 표 2-1 에 나타내었다.

표 2-1 수도권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07년 8월말 기준)

구 분 설 치 목 적 측 정 항 목측 정 소 수

소계 서울 인천 경기

총 계 152 46 28 78

도시대기측정망

도시지역의 평균대기질 농도를 파악하여 환경기준 달성여부를 판정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상대습도101 27 13 61

도로변측정망

자동차통행량과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변 대기질 파악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13 7 2 4

배경농도측정망

국가배경농도 및 교외대기에 대한 배경농도 파악

SO2, NOx, O3, CO, PM10, 풍향, 풍속, 온도,

3 - 1 2

산성강하물측정망

오염물질의 건성침착량 및 강우․강설 등에 의한 오염물질의 습성 침착량을 파악

pH, 강수량, 전기전도도, 이온농도

6 1 2 3

유해대기측정망

도시지역 또는 산업단지 인근 지역의 특정대기유해물질(중금속 제외)의 오염도를 측정

VOCs, 다이옥신 등 8 3 3 2

중금속측정망

도시지역 또는 공단인근지역에서 중금속에 의한 오염실태를 파악

Pb, Cd, Cr, Cu, Mn, Fe, Ni

10 5 3 2

광화학측정망

도시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

VOCs, O3 7 1 2 4

시정거리측정망

도시지역의 시정거리를 측정하여 체감오염도를 파악

시정 3 1 2 -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제2장

3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2절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개요

도시대기측정망은 도시지역의 평균 대기질농도를 파악하여 환경기준의 달성 여부를

판정한다. 따라서 도시대기측정망은 도시지역의 대기질 개선 대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운 된다.

2007년 8월을 기준으로 수도권지역의 도시대기측정망은 서울 27개소, 인천 12개소,

경기 61개소 등 모두 100개 측정소가 설치되어 운 중이다. 올해에 경기의 수원시

고색동, 광주시 경안동, 용인시 구갈동 등 3개 측정소가 신설되어 데이터를 생산하기

시작하 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 도시대기측정망의 전체 가동률은 97%로서 전월(98%)에 이어

높은 가동률을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93%, 인천 100%, 경기 98% 이었다.

금월의 기상특성을 알아보았다. 상순에는 북쪽에서 발달해 온 기압골의 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중순 전반에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된 저압부가 북상하

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폭염주의보가 발효되었다. 중순 후반에도

전국적인 폭염주의보가 발효되었다. 하순 전반에는 기압골의 향으로 남부지방을 중심

으로 비가 내렸으며 하순 후반에도 기압골의 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서울지방을 중심으로 기상상태를 살펴보았다. 기온은 계절적인 향으로 전월 보다

약간 높게 분포(24.2℃⇒26.5℃)하 다. 금월의 강수량(237.6mm)은 전월(274.1mm)에 이어

많았다. 전년의 동월(121.2mm) 보다도 많은 양의 강수가 기록되었다. 평균 풍속(2.6m/s)도

전월(2.4m/s) 보다 다소 높았다. 시정(15.3㎞)은 연일 계속되는 비에도 불구하고 전월

(8.6㎞) 보다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요 도시의 대기안정도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불안정조건은 0.6% 증가하고 중립조건은 9.2% 감소하 으며 안정조건은 8.6%

증가하 다.

금월의 수도권지역 대기오염도는 많은 강우 등의 향으로 거의 모든 항목에서 전월

및 전년의 동월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게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37

2. 수도권 도시대기측정망에 대한 측정결과 분석

가) 전국 주요 도시와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도 비교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물질별 오염도 수준은 전국의 주요 도시(부산

광역시 등 6대 도시)와 비교하여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등의 오염도는 같거나

낮게 분포하 다. 그러나 그 외 항목의 오염도는 같거나 높게 분포하 다. 특히, 이산

화질소(NO2)와 미세먼지(PM10)의 오염도가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이산화질소의 월평균 오염도는 0.020ppm으로 전국의 주요

도시(0.012∼0.017ppm) 보다 대체로 높게 분포하 다. 미세먼지의 경우도 월평균 오염

도는 34㎍/㎥으로서 부산을 제외한 전국의 주요 도시(24∼33㎍/㎥) 보다 대체로 높았다.

전국 주요 도시 중에서는 부산의 오염도(45㎍/㎥)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이산화질소(NO2)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이산화질소(NO2)의 월평균 오염도(0.020ppm)는 전월

(0.025ppm) 보다 다소 낮게 분포하 다. 전년의 동월(0.022ppm) 보다도 낮았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0.024ppm)이 가장 높고, 인천(0.018ppm), 경기(0.017ppm) 순이었다.

NO2의 오염도는 기류의 수평이동에 따른 풍속 및 수직이동에 의한 혼합고 등 기상

요소의 향을 많이 받는 오염물질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오염도 또한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금월은 전국적으로 장마와 기압골의 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이산화질소가 물에

쉽게 녹는 오염물질은 아니다. 따라서 강수의 향보다도 강수 중의 저기압 등 강우 시 기상

상태의 향에 의하여 낮은 오염도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2007년도 8월중 수도

권지역 NO2의 오염도는 표 2-2 에 나타내었다.

표 2-2 수도권지역 이산화질소(NO2)의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 ‘07.7. '07.7. ‘06.8.

수 도 권 0.020 0.025 0.022

서 울 시 0.024 0.030 0.027

인 천 시 0.018 0.023 0.020

경 기 도 0.017 0.021 0.020

3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0.000

0.005

0.010

0.015

0.020

0.025

0.030

0.035

수 도 권 서 울 시 인 천 시 경 기 도

ppm

‘07.8. 07.7. ‘06.8.

다) 오존(O3)

2007년 7월중 수도권지역 오존(O3)의 월평균 오염도는 0.018ppm이다. 전월

(0.024ppm) 보다는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 다. 전년의 동월(0.021ppm) 보다도 다소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0.017ppm), 인천(0.018ppm), 경기(0.018ppm)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O3은 전구물질인 NO2, 탄화수소의 배출량뿐만 아니라 기온, 습도, 풍속 등 여러 기상

요소들의 복잡한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2차 오염물질이다. 8월은 계절적인

향으로 전월(24.2℃) 보다 다소 높은 기온(26.5℃) 분포를 나타내었다. 기온상승에도

불구하고 오염도는 다소 감소하 으나, 일시적인 오염도 상승에 의하여 몇 차례 오존

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수도권지역의 오존주의보 발령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서울 북서 지역에 1회 발령

되는 등 모두 5회에 걸쳐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전월에는 오존주의보 발령은 없었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 O3의 오염도는 표 2-3 에 나타내었다.

표 2-3 수도권지역 오존 (O3)의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 ‘07.8. '07.7. ‘06.8.

수 도 권 0.018 0.024 0.021

서 울 시 0.017 0.024 0.020

인 천 시 0.018 0.024 0.021

경 기 도 0.018 0.025 0.021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39

0.000

0.005

0.010

0.015

0.020

0.025

0.030

수 도 권 서 울 시 인 천 시 경 기 도

ppm

‘07.8. 07.7. ‘06.8.

라) 미세먼지(PM10)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미세먼지(PM10)의 월평균 오염도는 34㎍/㎥이다. 전월(55

㎍/㎥) 보다 크게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년의 동월(43㎍/㎥) 보다도 낮았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인천(35㎍/㎥)과 경기(35㎍/㎥)는 같으며, 서울(31㎍/㎥)은

그보다 약간 낮았다.

금월은 장마전선의 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그 향으로 대부분 오염물질의

농도는 전월 대비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미세먼지도 강수와 강수 시의 기상

상태의 향에 의하여 오염도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 PM10의 오염도는 표 2-4 에 나타내었다.

표 2-4 수도권지역 미세먼지(PM10)의 오염도 (단위 : ㎍/㎥)

지 역 ‘07.8. '07.7. ‘06.8.

수 도 권 34 55 43

서 울 시 31 55 38

인 천 시 35 54 46

경 기 도 35 57 44

4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0

10

20

30

40

50

60

70

수 도 권 서 울 시 인 천 시 경 기 도

㎍ / m3

‘07.8. 07.7. ‘06.8.

마) 아황산가스(SO2)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아황산가스(SO2)의 월평균 오염도는 0.004ppm이다. 전월

(0.005ppm) 및 전년의 동월(0.005ppm) 보다 약간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0.004ppm), 인천(0.005ppm), 경기(0.004pm)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수도권지역의 아황산가스의 분포는 전국의 주요 도시와 비교하여 같거나 다소 높은

오염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전국 주요 도시의 오염도는 0.002∼0.005ppm 범위 내에서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 다. 수도권지역의 아황산가스 오염도는 울산(0.008ppm) 보다는

낮으나 그 외 주요 도시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 SO2의 오염도는 표 2-5 에 나타내었다.

표 2-5 수도권지역 아황산가스(SO2)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 ‘07.8. '07.7. ‘06.8.

수 도 권 0.004 0.005 0.005

서 울 시 0.004 0.005 0.004

인 천 시 0.005 0.005 0.006

경 기 도 0.004 0.004 0.004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41

0

0 .0 0 1

0 .0 0 2

0 .0 0 3

0 .0 0 4

0 .0 0 5

0 .0 0 6

0 .0 0 7

수 도 권 서 울 시 인 천 시 경 기 도

p p m

‘07.8. 07.7. ‘06.8.

바) 일산화탄소(CO)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일산화탄소(CO)의 월평균 오염도는 0.4ppm으로서 전월

(0.5ppm) 및 전년의 동월(0.5ppm) 보다 약간 낮았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0.4ppm), 인천(0.4ppm), 경기(0.4ppm) 모두 같았다. 전국

주요 도시의 CO 오염도 분포는 0.3∼0.5ppm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여

SO2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 CO의 오염도는 표 2-6 에 나타내었다.

표 2-6 수도권지역 일산화탄소(CO)의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 ‘07.8. '07.7. ‘06.8.

수 도 권 0.4 0.5 0.5

서 울 시 0.4 0.5 0.4

인 천 시 0.4 0.5 0.5

경 기 도 0.4 0.5 0.5

4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0

0 . 1

0 . 2

0 . 3

0 . 4

0 . 5

0 . 6

수 도 권 서 울 시 인 천 시 경 기 도

p p m

‘0 7 .8 . 0 7 .7 . ‘0 6 .8 .

3.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가) 이산화질소(NO2)

2007년 8월중 서울지역의 27개 측정소 중에서 용산구 한남동, 성동구 성수동측정소를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이산화질소(N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

하 다.

서울지역은 NO2의 오염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도시로서 금월에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2007년도 8월중 서울지역 NO2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0.016∼

0.030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24ppm이다. 전월(0.030ppm)

및 전년의 동월(0.022ppm) 보다 다소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인천

(0.018ppm) 및 경기(0.017ppm) 보다 비교적 높았다.

단기 환경기준의 초과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올해부터 환경기준이 크게 강화됨에

따라 초과횟수 또한 크게 상승하 다. 1시간치 환경기준(0.10ppm)은 중구 서소문동측

정소에서 1회 초과하는 등 6회 초과하 다. 전월(3회) 보다는 초과횟수가 다소 많았다.

기존 환경기준을 적용하면 초과횟수는 없다. 24시간치 환경기준(0.06ppm)은 도봉구 방학

동측정소에서만 1회 초과하 다. 전월(1회)과 같은 수준이었다. 기존 환경기준을 적용하는

경우, 초과횟수는 없다.

측정소별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의 기상상태를 살펴보았다. 24시간치 최고치

(0.061ppm)는 7월 24일에 나타났다. 당해 일은 서울지방을 비롯한 전국에 비가 내린

전날이다. 풍속(1.8m/s)도 비교적 낮았다. 비 내리기 전의 특유한 기상정체에 의하여 오염

물질이 농축됨에 따라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자동차 통행량과 오염도와의 관계규명을 위하여 자동차 통행량이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의 NO2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지역 측정소 중에서 자동차 통행량이 최고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43

수준인 중구 서소문동의 월평균 오염도는 0.025ppm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자동차 통행

량이 최저인 관악구 신림동측정소의 월평균 오염도는 0.027ppm이다. 자동차통행량은

NO2 오염도에 직접적인 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동차통행량이 적은

지역에서 오히려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상상태가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여 나타난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자동차통행량이 서로 상반되는 2개 지역에 대하여 기상상태에 따른 오염도의 변화와

차이를 면 히 비교․분석하여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현상이라 하겠다.

지역평균 오염도를 크게 상회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송파구 잠실

동(0.030ppm)이다. 관악구 신림동(0.027ppm), 성북구 길음동(0.027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측정소는 송파구 방이동(0.016ppm)

이다. 그 밖에 강남구 도곡동(0.017ppm), 강북구 번동(0.019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측정소별 오염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비교적 균질

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오존(O3)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27개 측정소 중에서 용산구 한남동, 성동구 성수동측정소를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오존(O3)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O3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0.010∼0.028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17ppm이다. 전월(0.024ppm) 보다 다소 낮으며, 전년의

동월(0.021ppm) 보다도 낮았다. 지역별로는 인천(0.018ppm), 경기(0.018ppm)와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일반적으로 O3의 오염도는 날씨가 맑고 기온이 높은 계절에 전구물질과 햇빛에

의한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오염도가 상승한다. 8월은 전월과 비교하여 기온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 다. 그러나 장마의 향으로 태양광선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오염

도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단기 오염도의 상승에 따라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서울지역에는 북서지역에 3시간

동안 1회 발령되었으며, 발령시점의 농도는 0.125ppm이었다.

월평균 오염도가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측정소는 구로구 구로동

(0.028ppm)이었다. 종로구 효제동(0.020ppm), 금천구 시흥동(0.020ppm), 노원구 상계동

(0.020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측정소는

송파구 방이동(0.010ppm)이었다. 송파구 잠실동(0.012ppm), 중랑구 면목동(0.014ppm)

등 측정소도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측정소별 오염도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다) 미세먼지(PM10)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27개 측정소 중에서 성동구 성수동을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미세먼지(PM10)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도 8월중 서울지역 PM10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27∼40㎍/㎥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31㎍/㎥이다. 전월(55㎍/㎥) 보다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

다. 전년의 동월(43㎍/㎥) 보다도 낮았다. 지역별로는 인천(35㎍/㎥), 경기(35㎍/㎥)

보다 낮았다.

단기 환경기준의 초과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금년부터 미세먼지에 대한 단기

환경기준을 크게 강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24시간치 환경기준(100㎍/㎥)을 초과한 측정소는

없었다. 전월에는 모두 7회 초과한 바 있다.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의 기상상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은 8월 2일이다. 당해 일은 장마전선의 향으로 연이어 비가 내린 날 중의

하루이며, 일일 강수량은 5.0mm이었다. 빗물에 의한 하강기류의 향으로 상승기류가

억제되어 오염물질이 확산 되지 못하고 농축됨으로써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

된다.

월평균 오염도가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측정소는 송파구 잠실동(40

㎍/㎥)이다. 금천구 시흥동(39㎍/㎥), 중랑구 면목동(35㎍/㎥), 강북구 번동(35㎍/㎥)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측정소는 중구 서소문동

(27㎍/㎥), 성북구 길음동(27㎍/㎥) 등 측정소이었다. 오염도의 분포는 도시 전체가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아황산가스(SO2)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27개 측정소 중에서 용산구 한남동, 성동구 성수동을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S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SO2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0.002∼0.007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04ppm이다. 전월(0.005ppm) 및 전년의 동월(0.004ppm)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지역별로는 인천(0.005ppm), 경기(0.004ppm)와 같은 수준

이었다.

지역별로 오염도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지역에서 비교적 낮은 오염도를 보이는 것은 전 지역이 청정연료 사용 지역인

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마포구 대흥동

(0.007ppm)이었다. 중랑구 면목동(0.006ppm), 동대문구 용두동(0.006ppm) 등 측정소도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45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오염도가 가장 낮은 측정소는 중구 서소문동

(0.002ppm), 은평구 불광동(0.002ppm), 성북구 길음동(0.002ppm) 등 측정소이다. 측정소별

오염도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일산화탄소(CO)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27개 측정소 중에서 성동구 성수동을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일산화탄소(CO)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서울지역 CO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0.2∼0.7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

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4ppm이다. 전월(0.5ppm) 및 전년의 동월(0.4ppm)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지역별로는 인천(0.4ppm), 경기(0.4ppm) 등과 같았다.

CO도 SO2의 경우와 같이 지역별로 오염도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지역에서 비교적 낮은 오염도를 보이는 것은 전 지역이

청정연료 사용지역인 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오염도가 가장 높은 측정소는 서대문구 남가좌동(0.7ppm)이다. 중구 서소문동(0.5ppm),

동대문구 용두동(0.5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오염도가

가장 낮은 측정소는 노원구 상계동(0.2ppm)이다. 구로구 궁동(0.3ppm), 송파구 방이동

(0.3ppm)측정소 등도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인천지역 도시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가) 이산화질소(NO2)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12개 전 측정소에서 이산화질소(N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도 8월중 인천지역 NO2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월평균 오염도는 0.004∼

0.024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18ppm이다. 전월(0.023ppm)

및 전년의 동월(0.022ppm) 보다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0.024ppm) 보다는 낮으나, 경기(0.017ppm) 보다는 약간 높았다.

단기 환경기준의 초과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시간치 환경기준(0.10ppm)을

초과한 측정소는 없었다. 전월에도 단기 환경기준을 초과한 측정소는 없었다. 24시간치

환경기준(0.06ppm)을 초과한 측정소도 없었다.

측정소별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의 기상상태를 살펴보았다. 24시간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은 8월 23일이다. 당해 일은 연일 계속되던 비가 멈추고 이동성고

기압의 향을 받은 날이다. 풍속(1.7m/s)도 비교적 낮았다. 기상정체에 의하여 오염물

질의 확산이 저지됨에 따라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지역에서도 자동차 통행량과 오염도와의 관계규명을 위하여 자동차 통행량이

4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의 NO2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자동차 통행량이 최고

수준인 중구 신흥동측정소의 월평균 오염도는 0.020ppm이다. 상대적으로 자동차 통행

량이 비교적 적은 연수구 송도측정소의 월평균 오염도는 0.014ppm이다. 자동차통행량이

많은 지역의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상상태 등에 따라서는 오염도 분포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 한 비교․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계양구 계양동

(0.024ppm)이다. 부평구 부평동(0.023ppm), 남구 숭의동(0.022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측정소는 강화군 송해면(0.004ppm)이다.

연수구 송도동(0.014ppm), 남동구 논현동(0.016ppm) 등 측정소도 낮은 오염도를 나타

내었다.

나) 오존(O3)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12개 전 측정소에서 오존(O3)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O3의 측정소별 월평균 오염도는 0.013∼0.026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18ppm이다. 전월(0.024ppm) 및 전년의 동월

(0.021ppm)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0.017ppm), 경기(0.018ppm)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일반적으로 O3의 오염도는 날씨가 맑고 기온이 높은 계절에 전구물질과 햇빛에

의한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오염도가 상승한다. 8월은 계절적인 향으로 기온이 다소

상승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마에 의한 태양광선 감소로 오존 오염도는 다소 감소

한 것으로 추정된다.

단기 오염도의 상승으로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 각각 1회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최고 오염도는 0.125ppm이었다. 전월에 오존주의보를 발령한

지역은 없었다.

월평균 오염도가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강화군 송해면(0.026ppm)이다. 연수구 송도동(0.024ppm), 남동구 논현동(0.020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중구 신흥동측정소(0.013ppm)가 가장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동구 송림동(0.014ppm), 부평구 부평동(0.014ppm)

등 측정소도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47

다) 미세먼지(PM10)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12개 측정소에서 미세먼지(PM10)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PM10의 오염도는 측정소별로 23∼43㎍/㎥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35㎍/㎥이다. 전월(54㎍/㎥) 및 전년의 동월(39㎍/㎥) 보다

크게 낮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지역별로는 서울(31㎍/㎥) 보다는 다소 높고, 경기(35㎍

/㎥)와는 같았다.

단기 환경기준의 초과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4시간치 환경기준(100㎍/㎥

이하)을 초과한 측정소는 없었다. 전월에는 33회 초과한 바 있다.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의 기상상태를 살펴보았다. 24시간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은 8월 23일이다. 당해 일은 인천지방에 계속되던 비가 멈추고, 이동성고기

압의 향을 받은 날이다. 풍속(1.7m/s)도 낮았다. 기상정체에 의하여 기류의 확산이

저지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농축되어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평균 오염도를 초과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서구 검단동(43

㎍/㎥)이다. 서구 연희동(40㎍/㎥), 중구 신흥동(39㎍/㎥)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측정소는 강화군 송해면(23㎍/㎥)이다. 계양구

계양동(29㎍/㎥), 남구 숭의동(32㎍/㎥) 등 측정소도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라) 아황산가스(SO2)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12개 전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S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SO2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0.002∼0.007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05ppm이다. 전월(0.005ppm)과는 같으나 전년의 동월

(0.006ppm) 보다는 약간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0.004ppm), 경기(0.004ppm) 보다

약간 높았다.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남구 숭의동

(0.007ppm)이다. 중구 신흥동(0.006ppm), 동구 송림동(0.006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낮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계양구 계산동측정소

(0.002ppm)이다. 계양구 계양동(0.003ppm), 강화군 송해면(0.003ppm) 등 측정소도

비교적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마) 일산화탄소(CO)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12개 전 측정소에서 일산화탄소(CO)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인천지역 CO의 오염도는 측정소별 0.2∼0.5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

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4ppm이다. 전월(0.5ppm) 및 전년의 동월(0.5ppm) 보다 다소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0.4ppm) 및 경기(0.4ppm) 모두 같았다.

지역평균 오염도를 상회하여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측정소는 중구 신흥동

(0.5ppm), 계양구 계양동(0.5ppm), 계양구 계산동(0.5ppm) 측정소이다. 반면, 연수구 송해

면(0.2ppm), 연수구 송도(0.2ppm)의 오염도가 가장 낮았다. 측정소간 오염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균질하게 분포하 다.

5. 경기지역 도시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가) 이산화질소(NO2)

서울과 인천지역에 대한 오염도 분석은 측정소별로 비교하 다. 그러나 경기지역은

지역이 광범위하고 많은 도시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별로 비교하여 분석하 다.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61개 측정소 중에서 의정부시 의정부동측정소를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이산화질소(N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26개 도시의 NO2 오염도는 도시별 0.008∼0.023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17ppm이다. 전월(0.021ppm) 및 전년의 동월

(0.020ppm) 보다 다소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0.024ppm)과 인천(0.018ppm) 보다 다소

낮았다.

경기지역 각 도시의 측정소별 단기 환경기준의 초과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시

간치 환경기준(0.10ppm)은 수원시 우만동측정소에서 4회 초과하는 등 3개 도시에서 모두

6회 초과하 다. 전월에는 4회 초과한 바 있다. 24시간치 환경기준(0.06ppm)을 초과한

측정소는 없으며, 전월에도 없었다.

측정소별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의 기상상태를 살펴보았다.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은 8월 24일에 비교적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당해 일의 기상상태 분석은 서울,

인천과 같으며, 비 내린 후 이동성고기압의 향으로 기상정체에 의하여 오염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지역 NO2의 도시별 오염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금월에도

의왕시(0.023ppm)의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 안양시, 의정부시,

광명시, 과천시, 구리시, 부천시, 김포시 등 도시의 규모가 비교적 큰 도시도 0.020ppm을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49

상회하는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이천시(0.008ppm), 파주시

(0.009ppm)의 오염도가 가장 낮았다. 그 외 도시들은 0.012∼0.019ppm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 다.

나) 오존(O3)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61개 전 측정소에서 오존(O3)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26개 도시의 O3 오염도는 0.012∼0.023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18ppm이다. 전월(0.025ppm) 및 전년의 동월(0.021ppm)

보다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0.017ppm), 인천(0.018ppm)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일반적으로 O3의 오염도는 날씨가 맑고 기온이 높은 계절에 전구물질과 햇빛에

의한 광화학현상에 의하여 오염도가 증가한다. 8월은 전월 보다 계절적인 향으로

기온이 약간 상승하 다. 그러나 기온상승 등 오염도 증가의 요인에도 불구하고 장마

철로 인하여 태양광선이 감소함에 따라 오염도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존주의보의 발령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단기 오염도의 상승에 의하여 경기 일부

지역에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김포권과 포천권에 각각 1회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발령 시의 최고 오염도는 0.147ppm에 이르 다. 전월에 오존주의보를 발령한 실적은

없었다.

경기지역 26개 시급 도시에 대한 O3 오염도의 분포특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도시의

규모가 작고 통과교통량도 많지 않은 외곽도시가 높고, 도시의 규모가 큰 도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월에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도시는 양주시(0.023ppm)이다. 이천시, 파주시,

포천시, 광주시, 화성시 등 도시도 0.020ppm을 상회하여 비교적 높았다. 반면, 과천시

(0.012ppm)의 오염도가 가장 낮았다. 부천시(0.014ppm), 구리시(0.015ppm), 의왕시

(0.016ppm) 등 도시의 오염도 또한 낮게 분포하 다. 그 외 도시들은 0.017∼0.019ppm

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 다.

다) 미세먼지(PM10)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61개 측정소 중에서 김포시 사우동, 과천시 과천동 등 2개

측정소를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미세먼지(PM10)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26개 도시의 PM10 오염도는 도시별 28∼47㎍/㎥의 범위

5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35㎍/㎥이다. 전월(57㎍/㎥) 및 전년의 동월(44㎍/

㎥) 보다 비교적 큰 차이로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31㎍/㎥)

보다는 다소 낮으나 인천(35㎍/㎥)과는 같았다.

단기 환경기준의 초과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금월에 24시간치 환경기준(100

㎍/㎥ 이하)은 수원시 1개 측정소에서 1회 초과하는 등 모두 4회 초과하 다.

전월에는 210회 초과한 바 있다.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의 기상상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최고치의 오염도를

나타낸 날은 8월 3일에 비교적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 날은 수도권지역에 약간의 비가

내린 날이다. 강수량은 5.0mm이었다. 빗물의 하강에 의한 향으로 기류가 상승하지

못하고 정체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농축되어 일시적으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지역의 26개 시급 도시에 대한 도시별 PM10 오염도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그동안 경기지역의 미세먼지 오염도의 분포특성을 살펴보면, 서울의 외각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의 규모가 비교적 작은 도시의 오염도가 높고, 도시의 규모가

큰 도시의 오염도가 오히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금월에는 오산시(47㎍/㎥)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평택시(46㎍/㎥), 이천시(45㎍/

㎥) 등 도시도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용인시(28㎍/㎥), 고양시(28㎍/

㎥), 파주시(28㎍/㎥) 등은 낮은 오염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비교적 도시의 규모가 큰

수원시(33㎍/㎥), 안양시(36㎍/㎥), 의왕시(37㎍/㎥) 등 도시는 중간 정도의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라) 아황산가스(SO2)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61개 전 측정소 중에서 의정부시 의정부동측정소를 제외한

전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S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제공

하 다.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주요 26개 도시의 SO2 오염도는 도시별 0.002∼0.007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04ppm이다. 전월(0.004ppm) 및 전년의 동월

(0.004ppm) 모두 같았다. 지역별로는 서울(0.004ppm) 및 인천(0.005ppm)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경기지역 도시별 SO2 오염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금월에는 시흥시(0.007ppm)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도시는 이천시(0.002ppm), 화성시(0.002ppm) 등이다.

그 외 도시들은 0.003∼0.005ppm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 다.

경기지역에서의 SO2의 오염도도 PM10의 경우와 같이 도시의 규모가 크고 교통량이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51

많은 도시 보다는 외각도시에서 비교적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도시별로 공급되는 원료의 종류, 제조업의 분포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각 기초단체에서는 오염도에 따른 원인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 일산화탄소(CO)

2007년 8중 경기지역 61개 측정소 중에서 부천시 원종동측정소를 제외한 전 측정소

에서 일산화탄소(CO)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 8월중 경기지역 26개 주요 도시의 CO 오염도는 도시별 0.2∼0.7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4ppm이다. 전월(0.5ppm) 및 전년의 동월(0.5ppm)

보다 다소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0.4ppm), 인천(0.4ppm)과 같았다.

도시별 CO 오염도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CO의 오염도는 도시별로 뚜렷

하게 특성을 나타내지 않고,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 다. 금월에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 도시는 의왕시(0.7ppm)이었다. 평택시(0.6ppm), 구리시(0.6ppm) 등도 비교적

높았다. 가장 낮은 도시는 포천시(0.2ppm), 화성시(0.2ppm) 등이다. 그 외 도시들은

0.3∼0.5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도시간 오염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5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3절 도로변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도로변측정망의 측정 개요

도로변측정망은 자동차 통행량과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변 대기질을 파악할 목적으로

운 되는 측정망이다. 도로변측정망의 측정원리나 측정오염물질의 항목 또한 도시대기

측정망과 같다. 다만, 도시대기측정망은 자동차 배출가스의 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지점에 설치한다.

따라서 도시대기측정망은 면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측정대상으로 한다.

반면, 도로변측정망은 도시 내에서 자동차 통행량이 많은 거리의 도로변에 설치함으로써

자동차 배출가스를 측정대상으로 한다.

2007년 8월 기준으로 수도권지역의 도로변측정망은 서울의 경우, 동대문, 서울역,

청계천, 청량리, 신촌, 등포, 신사동 등 7개소이다. 인천은 석바위, 신촌 등 2개소이며,

경기는 수원시 동수원, 성남시 모란역, 고양시 마두역, 부천시 계남공원 등 4개소이다.

금년에 인천시는 동구 송현동에 측정망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

지역 13개소의 전 도로변측정망에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 다.

대체로 도로변측정망은 도로변 바로 옆에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배출가스의 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따라서 지역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보다는 대체로 높은 편이며, 측정

대상 도로간 오염도 차이가 크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2.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항목별 측정결과 분석

가) 이산화질소(NO2)

도시지역에서 이산화질소(NO2)의 농도는 자동차가 주된 오염원이다. NO2는 그 자체에

의한 피해도 문제이지만, O3 등 광화학 오염물질의 전구물질로 작용한다. 그러한 의미

에서 도로변에서의 NO2 측정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측정망의 NO2 농도는 자동차배출가스의 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도시대기측정망의 오염도 보다는 높게 분포한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13개소의 도로변측정망에서 NO2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내었다.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8월중 월평균 NO2의 오염도는 0.031ppm으로서 도시대

기측정망의 측정결과(0.020ppm) 보다는 비교적 큰 오염도 차이를 나타내면서 높았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0.037ppm)이 가장 높고 경기(0.030ppm), 인천(0.027ppm),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53

순이었다.

서울지역 7개 도로변측정망의 NO2의 오염도는 0.029∼0.044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

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37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30ppm) 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금월에는 청량리(0.044ppm)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으며, 동대문(0.029ppm)의 오염

도가 가장 낮았다.

인천지역의 2개 도로변측정망 NO2의 월평균 오염도는 0.027ppm이다. 도시대기측정

망의 월평균 오염도(0.018ppm) 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경기지역의 4개 도로변측정망 NO2의 오염도는 0.025∼0.035ppm 수준으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30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17ppm) 보다 역시

크게 높은 수준이다. NO2의 오염도가 가장 높은 도로는 성남시 모란역도로(0.035ppm)

이며, 가장 낮은 도로는 수원시 동수원도로(0.025ppm)이다.

지역별 도로변측정망의 NO2 오염도는 표 2-7 에 나타내었다.

표 2-7 지역별 도로변측정망 이산화질소(NO2)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측정소수

(개소)

유효

측정소수

(개소)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24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수도권 13 13 0.031 0.001 0.297 0.011 0.081

서울시 7 7 0.037 0.004 0.297 0.012 0.081

인천시 2 2 0.027 0.001 0.094 0.011 0.061

경기도 4 4 0.030 0.002 0.120 0.011 0.060

나) 오존(O3)

도로변에 인접한 곳에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일산화질소(NO)가 오존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도로변에서의 오존(O3)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보다는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13개 도로변측정망에서 모두 O3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내었다.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8월중 월평균 O3 오염도는 0.012ppm이다. 도시대기측정

망의 측정결과(0.018ppm) 보다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분포는

인천(0.013ppm), 경기(0.013ppm), 서울(0.009ppm) 순이었다.

5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서울지역 7개 도로변측정망의 O3 오염도는 0.007∼0.012ppm의 범위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09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17ppm) 보다 낮았다.

인천지역 2개 도로변측정망의 월평균 O3 오염도는 0.013ppm으로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18ppm) 보다는 낮게 분포하 다. 도로별로는 석바위도로(0.015ppm)

가 신촌도로(0.011ppm)보다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경기지역 4개 도로변측정망의 월평균 O3 오염도는 0.013ppm으로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18pm) 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다.

도로변에서는 자동차 통행량에 의하여 NO2의 오염도가 높게 분포하여 생성되는 O3의

양도 그 만큼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산화질소(NO)에 의하여 O3이 소멸되기

때문에 실제 측정에서는 낮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지역별 도로변측정망의 오존(O3) 오염도는 표 2-8 에 나타내었다.

표 2-8 지역별 도로변측정망 오존(O3)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측정소수

(개소)

유효

측정소수

(개소)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8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수도권 13 13 0.012 0.001 0.115 0.000 0.081

서울시 7 7 0.009 0.001 0.084 0.000 0.056

인천시 2 2 0.013 0.001 0.074 0.000 0.054

경기도 4 4 0.013 0.001 0.115 0.005 0.081

다) 미세먼지(PM10)

도시지역에서 미세먼지의 상당 부분은 자동차로부터 기인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도로변에서 미세먼지(PM10)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차량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은 도시스모그, 지구온난화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유발

시킨다. 뿐만 아니라 도로에 인접한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는 직접적인 향을

줄 수 있으므로 그 오염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측정망에서는 자동차배출가스 및 도로 재비산의 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보다는 높은 편이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13개 전 도로변측정망에서 PM10에 대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제공하 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55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8월중 월평균 PM10 오염도는 33㎍/㎥이었다. 도시대기

측정망의 측정결과(34㎍/㎥)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 들어 도로변측정소와

도시대기측정망의 오염도 차이가 크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39㎍/㎥)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경기(34㎍/㎥), 인천

(25㎍/㎥) 순이었다.

서울지역의 경우, 5개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37∼43㎍/㎥ 수준으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39㎍/㎥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31㎍/㎥) 보다는 비교적

높게 분포하 다. 도로별로는 청량리도로(43㎍/㎥)가 가장 높고, 청계천도로(37㎍/㎥)가

가장 낮았다.

인천지역의 경우, 2개 도로변측정망 중에서 신촌도로(28㎍/㎥)가 석바위도로(23㎍/

㎥) 보다 다소 높았다. 월평균 오염도(25㎍/㎥)는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35

㎍/㎥) 보다도 오히려 낮게 분포하 다.

경기지역의 경우, 4개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29∼40㎍/㎥ 수준으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34㎍/㎥이었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35㎍/㎥)와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도로별로는 고양시 마두역도로(40㎍/㎥)가 가장 높고, 수원시

동수원도로(29㎍/㎥), 성남시 모란역도로(31㎍/㎥)가 비교적 낮게 분포하 다.

지역별 도로변측정망 PM10 오염도는 표 2-9 에 나타내었다.

표 2-9 지역별 도로변측정망 미세먼지(PM10) 오염도 (단위 : ㎍/㎥)

지역측정소수

(개소)

유효

측정소수

(개소)

측정치

월평균

24시간치

최저 최고

수도권 13 13 33 11 92

서울시 7 7 39 17 89

인천시 2 2 25 11 63

경기도 4 4 34 15 92

5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라) 아황산가스(SO2)

아황산가스(SO2)는 연료중의 유황(S)이 연소과정에서 산화되어 배출되는 오염물질로서

연료의 황함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아황산가스 오염도는 경유차

배출가스의 향으로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보다는 높다. 그러나 현재 경유 자동

차용으로 공급되는 경유는 황함량(약 0.043% 미만)이 매우 낮기 때문에 그 오염도는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13개 도로변측정망 중에서 서울역 측정소가 장비 가동율

68%로 유효측정일수를 만족하지 못해 12개 측정소에서 월평균 데이터를 내었다.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8월중 월평균 SO2 오염도는 0.004pm으로서 도시대기

측정망의 측정결과(0.004pm)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

(0.005pm)이 다소 높고, 인천(0.004ppm)과 경기(0.004ppm)는 같았다.

서울지역의 경우,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0.003∼0.007ppm의 범위 내에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05ppm이었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04ppm)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도로별로는 청량리도로가 0.007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신촌도로가 0.003ppm으로 가장 낮은 오염도를 보 다.

인천지역의 경우, 2개 도로변측정망의 평균 오염도(0.004ppm)는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05ppm) 보다는 낮았다. 도로별로도 신촌도로(0.005ppm)가 석바위도로

(0.003ppm) 보다 높았다.

경기지역의 경우, 4개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0.003∼0.005ppm 수준으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004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04ppm)와 같은 수

준이었다. 도로별로는 수원시 동수원도로, 성남시 모란역도로가 0.005ppm 이었으며

부천시 계남공원도로는 0.004ppm, 고양시 마두역도로는 0.003ppm 순으로 분포하 다.

그러나 도로별 오염도 차이는 크지 않고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 다. 지역별 SO2 오염

도는 표 2-10 에 나타내었다.

표 2-10 지역별 도로변측정망 아황산가스(SO2)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측정소수

(개소)

유효

측정소수

(개소)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24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수도권 13 13 0.004 0.001 0.019 0.002 0.015

서울시 7 7 0.005 0.001 0.019 0.002 0.015

인천시 2 2 0.004 0.001 0.016 0.002 0.008

경기도 4 4 0.004 0.001 0.014 0.002 0.009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57

마) 일산화탄소(CO)

도시지역에서 일산화탄소(CO)의 상당 부분은 자동차로부터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변에서 CO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미국의 경우, CO

전체 배출량의 약 60%, 도시 배출량의 95%가 자동차 배출가스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나라도 CO 총배출량 중 도로이동오염원에 의한 배출량 비율이

78%(‘04년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통계연감, 환경부, 2007)

일반적으로 도로변측정망에서 CO 오염도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보다는 높게 분포한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13개 도로변측정망에서 일산화탄소(CO)에 대한 유효측정

일수를 충족하여 월평균 데이터를 내었다.

수도권지역 도로변측정망의 8월중 월평균 CO 오염도는 0.6ppm으로서 도시대기측정

망의 측정결과(0.4ppm) 보다 대체로 높았다.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는 인천(0.8ppm)이

다소 높으며, 서울(0.5ppm), 경기(0.5ppm) 순이었다.

서울지역의 경우, 7개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0.4∼0.6ppm 수준으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5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4ppm) 보다는 높았다.

도로별로는 서울역도로(1.0ppm)와 신사동도로(1.0ppm)의 오염도가 가장 높으며, 청량리

도로(0.4ppm), 등포도로(0.4ppm)가 가장 낮았다.

인천지역의 경우, 2개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신촌도로(0.9ppm)가 석바위도로

(0.7ppm) 보다 다소 높았다. 인천지역 월평균 오염도는 0.8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4ppm) 보다는 크게 높았다.

경기지역의 경우, 4개 도로변측정망의 오염도는 0.3∼0.6ppm 수준으로 분포하여

월평균 오염도는 0.5ppm이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4ppm) 보다는 약간

높게 분포하 다. 도로별로는 고양시 마두역도로(0.6ppm)가 가장 높고, 수원시 동수원

도로(0.3ppm)의 오염도가 가장 낮았다.

도로변측정망의 CO 오염도는 표 2-11 에 나타내었다.

표 2-11 지역별 도로변측정망 일산화탄소(CO) 오염도 (단위 : ppm)

지 역측정소수

(개소)

유효

측정소수

(개소)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8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수도권 13 13 0.6 0.1 2.3 0.0 1.7

서울시 7 7 0.5 0.1 2.3 0.0 1.7

인천시 2 2 0.8 0.3 1.8 0.0 1.5

경기도 4 4 0.5 0.1 1.9 0.2 1.2

5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4절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 개요

배경농도측정망은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교외대기측정망이 있다. 국가배경농도측정

망은 배경농도를 측정하고 중국 등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장거리 이동오염물질과 유출

되는 오염물질의 상황을 파악할 목적으로 운 되고 있다.

교외대기측정망은 도시를 둘러 싼 교외지역의 배경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도시 대기질

관리에 활용하고 전국적인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분포를 파악할 목적으로 운 되고 있다.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원리나 측정오염물질의 항목 또한 도시대기측정망과 같다.

다만, 배경농도측정망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향을 비교적 받지 않는 교외

지역에 설치하여 운 한다. 특히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은 내륙을 벗어나 가능하면 국경

지점 가까이에 설치하여 오염물질의 국가간 이동상황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2007년 8월 기준으로 수도권지역의 국가배경농도측정망으로 인천시 강화군 석모리 1

개소가 있다. 교외대기측정망은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그리고 포천시 관인면 등 2개소에

설치되어 운 중이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 배경농도측정망은 전 측정망에서 유효측정일수를 충족하여

측정결과를 내었다.

일반적으로 배경농도측정망의 측정결과는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도시대기측정망의

농도보다 낮다. 따라서 우리의 관심대상은 배경농도측정망과 도시대기측정망과의 오염도

차이를 통하여 배경농도를 추정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2. 수도권지역 배경농도측정망의 항목별 측정결과 분석

가)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항목별 측정결과 분석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은 국가의 배경농도 또는 국가간 이동오염물질을 측정하는 측정

망이다. 그러나 국가간 이동오염물질은 풍향(속) 등 여러 가지 분석요소가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자료에서는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교외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를 중심

으로 오염도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배경농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59

나) 이산화질소(NO2)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8월중 이산화질소(NO2)의 월평균 오염도는 0.003ppm이다.

1시간치 최고농도는 0.019ppm이며, 24시간치 최고농도는 0.011ppm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03ppm)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0.024ppm)의 11%, 인천(0.018ppm)의 17%, 경기

(0.017ppm)의 18%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의 최고농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1시간치 최고농도(0.019ppm)는 도시대기측정망의 1시간치 최고

농도를 나타낸 중구 서소문동(0.108ppm)의 18%, 24시간치 최고농도(0.011ppm)는 도시

대기측정망의 24시간치 최고농도를 나타낸 도봉구 방학동(0.061ppm)의 18%에 해당되는

오염도 수준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1시간치 최고농도의 비율과 24시간치 최고

농도의 비율이 같게 나타났다.

교외대기측정망의 8월중 NO2의 월평균 오염도는 0.007ppm이다. 1시간치 최고농도는

0.020ppm, 24시간치 최고농도는 0.011ppm이다.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200%에 해당되어 교외대기측정망의 오염도가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외대기측정망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교외대기측정망의 오염도(0.006ppm)는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0.024ppm)의 25%, 인천

(0.018ppm)의 33%, 경기(0.017ppm)의 35%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이를 종합하면, 국가배경농도측정망 NO2의 월평균 오염도(0.003ppm)는 수도권지역

도시대기오염도(0.020ppm)의 15%,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06ppm)는 수도

권지역 도시대기측정망의 30%의 수준으로 분포하 다.

배경농도측정망의 NO2 오염도는 표 2-12 에 나타내었다.

표 2-12 배경농도측정망 이산화질소(NO2) 오염도 (단위 : ppm)

구 분 시․도 시․군 측정지점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24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국가배경 인천 강화군 석모리 0.003 0.000 0.019 0.002 0.011

교외대기

경기평균 - - 0.006 0.001 0.026 0.002 0.011

경기이천시 설성면 0.007 0.002 0.022 0.004 0.011

포천시 관인면 0.004 0.001 0.026 0.002 0.007

6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다) 오존(O3)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8월중 오존(O3)의 월평균 오염도는 0.032ppm이다. 1시간치

최고농도는 0.092ppm이며, 8시간치 최고농도는 0.076ppm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0.032ppm)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0.017ppm)의 188%, 인천(0.018ppm)의 178%, 경기

(0.018ppm)의 178%에 해당되어 도시대기측정망의 평균치 보다 크게 높았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의 최고농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도시대기측정망의 1시간치 최고농도인 중구 서소문동(0.148ppm)의 22%, 8시간치 최고

농도는 은평구 불광동(0.106ppm)의 30%에 해당된다. 도시대기측정망의 수도권지역 월평균

오염도(0.018ppm)는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오염도와 큰 폭의 차이를 나타내며 높다.

그러나 1시간치 및 8시간치 등 단기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오염도가 다소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으로 미루어 보아 기상조건에 따라서 단기농도는 국가배경농도측정

망보다 도시대기측정망에서 크게 높아질 수 있음을 나타내어 주고 있다.

즉, 도시지역은 이산화질소 및 탄화수소 등 O3의 생성에 관여하는 인공적 전구물질이

비도시지역에 비하여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O3의 생성량도 그 만큼 많다. 그러나 도시

지역에서의 O3은 일산화질소(NO)에 의하여 소멸(sink)된다. 따라서 측정결과는 때때로

비도시지역 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반면, 기상요소 (기온, 습도, 풍속 및 대기안정

도 등)가 O3 생성에 알맞은 조건이 형성될 경우에는 도시지역에서 높은 오염도가 분

포할 수 있다.

교외대기측정망의 8월중 오존(O3)의 월평균 오염도는 0.018ppm이다. 1시간치 최고농

도는 0.102ppm, 8시간치 최고농도는 0.081ppm이다.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56%에 해당되어 국가배경

농도측정망의 오염도가 더 높았다. 교외대기측정망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0.017ppm)의 106%이며 인천(0.018ppm), 경기(0.018pp

m)의 100%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178%,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100%의 수준으로 분포하 다.

이상과 같이, 국가배경농도측정망 및 교외대기측정망의 O3 오염도와 도시대기측정망의

O3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월평균치는 도시대기측정망의 평균치가 크게 낮았다.

그러나 1시간 또는 8시간 평균치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배경농도측정망의 O3 오염도는 표 2-13 에 나타내었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61

표 2-13 배경농도측정망 오존(O3) 오염도 (단위 : ppm)

구 분 시․도 시․군 측정지점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8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국가배경 인천 강화군 석모리 0.032 0.007 0.092 0.019 0.076

- - 0.018 0.000 0.102 0.001 0.081

교외대기

경기평균

경기이천시 설성면 0.018 0.001 0.071 0.007 0.060

포천시 관인면 0.018 0.000 0.102 0.001 0.081

라) 미세먼지(PM10)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8월중 미세먼지(PM10)의 월평균 오염도는 27㎍/㎥이며, 24시

간치 최고농도는 41㎍/㎥이었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와 도시대기측정

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31㎍/㎥)의 87%, 인천(35㎍/㎥)의

77%, 경기(35㎍/㎥)의 77%에 해당되었다. 미세먼지의 경우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오염

도가 수도권의 도시대기측정망 오염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의 최고농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도시대기측정망의 24 시간치 최고농도를 나타낸 노원구 상계동(93㎍/㎥)의 29%에 해당

되어 다소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도권지역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인천시 강화군 석모리)의 월평균 오염도는 비수도

권지역 국가배경농도측정망 4곳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교외대기측정망의 8월중 PM10의 월평균 오염도는 34㎍/㎥이며, 24시간치 최고농도는

79㎍/㎥이다.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126%에 해당

되어 교외대기측정망의 오염도가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교외대기측정망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

(31㎍/㎥)의 110%, 인천(35㎍/㎥)의 97%, 경기(35㎍/㎥)의 97%에 해당되어 교외대기측

정망의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79%,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100%에 해당되었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 및 교외

대기측정망의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오염도와 큰 차이 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 다.

6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배경농도측정망은 대체로 청정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정지역과 도시지역의 오염원

분포를 감안하고, 다른 오염물질의 오염도 차이를 고려할 때, 도시대기측정망 보다는

배경농도측정망의 오염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배경농도측정망의 오염도와

도시대기측정망의 측정치가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매번 일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 규명은 여러 관련

요소의 상관분석 등 전문적인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그러나 본 지에서 측정소별 측정

데이터만을 비교하여 분석하면, PM10은 그 특성상 침전이 어려워 오랜 시간 공간에

부유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지역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청정지역에까지

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 등지로부터 월경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문기관의 정확한 원인분석이 요구된다 하겠다.

배경농도측정망의 PM10 오염도는 표 2-14 에 나타내었다.

표 2-14 배경농도측정망 미세먼지(PM10) 오염도 (단위 : ㎍/㎥)

구 분 시․도 시․군 측정지점

측정치

월평균

24시간치

최저 최고

국가배경 인천 강화군 석모리 27 13 41

교외대기

경기평균 - - 34 11 79

경기이천시 설성면 37 11 79

포천시 관인면 30 17 56

마) 아황산가스(SO2)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8월중 아황산가스(SO2)의 월평균 오염도는 0.001ppm이다. 1시

간치 최고농도는 0.006ppm, 24시간치 최고농도는 0.003ppm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0.004ppm)의 25%, 인천(0.005ppm)의 20%, 경기(0.004ppm)의

25%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의 최고농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도시대기측정망의 1시간치 최고농도를 나타낸 양천구 신정동(0.016ppm)의 6%, 24시간치

최고농도를 나타낸 등포구 당산동(0.012ppm)의 8% 수준이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63

교외대기측정망의 8월중 아황산가스(SO2)의 월평균 오염도는 0.001ppm이다. 1시간치

최고농도는 0.005ppm, 24시간치 최고농도는 0.002ppm이다.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와 비교하여 본 결과 서울(0.004ppm)의 25%,

인천(0.005ppm)의 20%, 경기(0.004ppm)의 25%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경농도측정망의 SO2 오염도는 표 2-15 에 나타내었다.

표 2-15 배경농도측정망 아황산가스(SO2) 오염도 (단위 : ppm)

구 분 시․도 시․군 측정지점

측정치

월평균1시간치 24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국가배경 인천 강화군 석모리 0.001 0.000 0.006 0.001 0.003

교외대기

경기평균 - - 0.001 0.001 0.005 0.001 0.002

경기이천시 설성면 0.001 0.001 0.005 0.001 0.002

포천시 관인면 0.001 0.001 0.002 0.001 0.001

바) 일산화탄소(CO)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8월중 일산화탄소(CO)의 월평균 오염도는 0.2ppm이다. 1시

간치 최고농도 0.5ppm, 8시간치 최고농도는 0.5ppm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를 도시대기측정망의 지역별 월평균 오염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0.5ppm)의 60%, 인천(0.5ppm)의 60%, 경기(0.5ppm)의 60%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국가배경농도측정망과 서울지역 도시대기측정망의 최고농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1시

간치 최고농도인 강남구 도곡동(1.7ppm)의 12%, 8시간치 최고농도는 등포구 당산동

(1.3ppm)의 15%에 해당되는 오염도 수준이다.

교외대기측정망의 8월중 CO의 월평균 오염도는 0.2ppm이다. 1시간치 최고농도는

0.5ppm, 8시간치 최고농도는 0.5ppm이다. 교외대기측정망과 도시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서울(0.4ppm), 인천

(0.4ppm), 경기(0.4ppm)의 50%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국가배경농도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는 도시대기측정망의 50%,

교외대기측정망의 월평균 오염도도 도시대기측정망의 50% 수준으로 분포하 다.

6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배경농도측정망의 CO 오염도는 표 2-16 에 나타내었다.

표 2-16 배경농도측정망 일산화탄소(CO) 오염도 (단위 : ppm)

구 분 시․도 시․군 측정지점

측정치

월평균

1시간치 8시간치

최저 최고 최저 최고

국가배경 인 천 강화군 석모리 0.2 0.0 0.5 0.1 0.5

교외대기

경기평균 - - 0.2 0.0 0.5 0.1 0.5

경 기이천시 설성면 0.2 0.0 0.5 0.1 0.4

포천시 관인면 0.2 0.0 0.5 0.1 0.5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65

제5절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 개요

자연대기 중에는 이산화탄소(CO2)가 수증기와 화학평형을 이루어 오염되지 않은

곳에서 빗물의 pH는 5.6으로 정의하고 있다. pH 5.6을 자연적 중성치라고 하는데 이보다

pH값이 낮은 빗물을 산성우라고 한다.

산성우는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이 대기 중에

방출되어 태양빛, 광화학옥시던트 등을 촉매로 제2차 오염물질로서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산성우는 특유의 산화성으로 인하여 인체는 물론 식물과 건축물 등에 나쁜 향을

미친다. 또한 국경을 넘어 이동될 정도로 먼 거리에 있는 지역에도 향을 미칠 수

있어 장거리 이동오염물질로 분류된다.

1998년부터 우리나라는 산성비에 대한 강우산도(pH)에 대하여 강우량을 고려한

가중평균방법을 사용하여 산정하 다. 우리 나라의 강우산도는 서울기준으로 pH 4.7

내지 pH 5.0 정도의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크게 악화되거나 개선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구미에서는 pH 5 이하의 산성비가 자주 관측되고 있다. 유럽의 여러 국가 중 그리스,

국,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은 국토 산림면적의 50% 이상이 산성비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다(대기환경관리, 향문사, 1999). 따라서 국제적인 산성비 동향에 비추어 볼 때

우리 나라의 빗물 산도가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는 없다.

산성강하물측정망은 전국적인 산성강하물의 침적량을 파악할 목적으로 80∼100㎞의

격자체계를 가상하여 전국적으로 32개소를 운 하고 있다. 수도권에는 6개소의 측정망을

설치하여 운 하고 있다.

측정항목은 강우(강설) 중의 산도(pH) 외에도 아황산가스 등 기체상 물질과 미세먼지

중의 이온성분 등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지에서는 강우산도만을 기술하고 있다.

2. 수도권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결과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의 산성강하물측정망 6개소 전 측정소에서 강우산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 다.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의 강우산도는 pH 4.4∼5.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전월

(pH 4.5∼5.6)과 비슷한 강우산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6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측정지점별 강우산도를 살펴보면, 안산시 고잔동 측정소의 강우산도가 pH4.4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이천시 설성면 측정소의 강우산도가 pH5.0으로 가장 낮았다. 그 외 측정

소의 강우산도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도권지역을 제외한 전국의 강우산도는 pH4.2∼6.2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전국에서는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과 창원시 명서동, 거제시 저구리(pH4.4)의 강우

산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측정소는 전북 임실군 운암면(pH6.2)이었다. 수도권

지역의 강우산도는 전국 각 도시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도권지역의 산성강하물측정망의 측정결과는 표 2-17 에 나타내었다.

표 2-17 수도권지역 산성강하물측정망 측정결과

시・도 시・군 측정지점 강우산도 (pH)

서 울 서 울 불광동 4.7

인 천

인 천 구월동 4.7

강 화 석모리 4.6

경 기

포 천 관인면 5.6

안 산 고잔동 4.4

이 천 설성면 5.0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67

제6절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중금속측정망의 측정 개요

중금속은 인체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오염물질이다. 사람이

중금속에 노출되는 것은 거의 전부가 중금속을 함유한 입자상 물질을 숨쉬거나 먹는데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중금속은 자동차배출가스와 같은 선오염원과 면오염원에서 일부 배출된

다. 주요 오염원은 생산공정으로서 배출가스와 함께 배출되어 확산됨에 따라 인근 도시

지역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된다.

2007년 8월 기준으로 수도권지역의 중금속측정망은 서울지역에 성동구 성수동 등

6개소이다. 인천은 남구 숭의동 등 3개소이며 경기는 수원시 신풍동 등 2개소이다. 따

라서 수도권지역의 중금속측정망은 모두 11개소가 있다.

측정대상 중금속은 납(Pb), 카드뮴(Cd), 크롬(Cr), 구리(Cu), 망간(Mn), 철(Fe), 니켈

(Ni) 등 7개 항목이다.

우리 나라에서 대기환경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중금속은 납(Pb) 뿐이다. 도시지역에서

납(Pb)은 자동차 연료의 휘발유에 옥탄가(octane value)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4-에

틸납(4-ethyl lead)이 주요 오염원이다. 그러나 무연휘발유의 보급으로 오염도가 크게

감소되었다.

지난 10년간(‘94∼’03) 서울지역 Pb의 오염도는 ‘94년에 0.1907㎍/㎥, ’99년에는

0.0984㎍/㎥, ‘03년 0.0584㎍/㎥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인천도 ‘94년에 0.2455㎍/㎥,

’99년에는 0.1263㎍/㎥, ‘03년 0.1213㎍/㎥ 등으로 역시 점차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연평균 환경기준(0.5㎍/㎥) 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이다.

지난 10년간(‘94∼’03) 서울지역 Cd의 오염도는 ‘94년에 0.0035㎍/㎥, ’99년에는

0.0017㎍/㎥, ‘03년 0.0026㎍/㎥으로 점차 낮아지다가 최근 약간 상승하 다. 인천도

‘94년에 0.0066㎍/㎥, ’99년에는 0.0048㎍/㎥, ‘03년 0.0099㎍/㎥ 등으로 역시 점차 낮아

지다가 최근 상승하 다.

2. 수도권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

가) 오염도분포의 경향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의 중금속 오염도분포는 전년의 동월 보다 비교적 큰 폭

으로 감소하여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국 주요 도시와 비교하면 대체로 같거

나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나) 항목별 오염도 분석

수도권 중금속측정망의 7개 측정항목 중에서 환경기준으로 설정된 납(Pb)의 오염도

부터 살펴보았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 납의 평균농도는 0.0299㎍/㎥이다. 전월

(0.0402㎍/㎥) 보다 다소 낮았다. 전년의 동월(0.0567㎍/㎥) 보다도 다소 낮은 오염

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연평균 환경기준(0.5㎍/㎥) 보다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오염도는 경기(0.0520㎍/㎥), 인천(0.0316㎍/㎥), 서울(0.0060㎍/㎥)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오염도 분포와 비교하여 보았다. 경기지역의 납(Pb) 평균 오염도

(0.0520㎍/㎥)는 부산(0.0542㎍/㎥)과는 비슷한 수준이나 대구(0.0303㎍/㎥), 광주(0.0132

㎍/㎥), 대전(0.0324㎍/㎥) 등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 다.

납(Pb) 이외의 항목에 대해서도 전월 및 전년의 동월과 비교하여 오염도 변화를

분석하여 보았다.

수도권지역 카드뮴(Cd)의 8월중 월평균 오염도는 0.0009㎍/㎥이다. 전월(0.0011㎍/

㎥) 및 전년의 동월(0.0025㎍/㎥) 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지역별 오염도는 인천

(0.0012㎍/㎥), 경기(0.0011㎍/㎥), 서울(0.0003㎍/㎥) 순이었다.

수도권지역 크롬(Cr)의 8월중 월평균 오염도는 0.0036㎍/㎥이다. 전월(0.0026㎍/㎥)

보다는 높으나, 전년의 동월(0.0068㎍/㎥) 보다 낮았다. 지역별 오염도는 인천(0.0083

㎍/㎥), 서울(0.0020㎍/㎥), 경기(0.0002㎍/㎥) 순이었다.

수도권지역 구리(Cu)의 8월중 월평균 오염도는 0.1446㎍/㎥이다. 전월(0.1109㎍/㎥)

보다는 높으나, 전년의 동월(0.1402㎍/㎥) 보다는 다소 낮았다. 지역별 오염도는 경기

(0.2440㎍/㎥), 서울(0.1091㎍/㎥), 인천(0.0808㎍/㎥) 순이었다.

수도권지역 망간(Mn)의 8월중 월평균 오염도는 0.0189㎍/㎥이다. 전월(0.0255㎍/㎥)

및 전년의 동월(0.0441㎍/㎥) 보다 다소 낮게 분포하 다. 지역별 오염도는 인천(0.0366

㎍/㎥), 경기(0.0154㎍/㎥), 서울(0.0047㎍/㎥) 순이었다.

수도권지역 철(Fe)의 8월중 월평균 오염도는 0.3397㎍/㎥이다. 전월(0.6300㎍/㎥) 및

전년의 동월(1.0726㎍/㎥) 보다 크게 감소하여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오염도는

인천(0.5841㎍/㎥), 서울(0.2682㎍/㎥), 경기(0.1668㎍/㎥) 순이었다.

수도권지역 니켈(Ni)의 8월중 월평균 오염도는 0.0031㎍/㎥이다. 전월(0.0038㎍/㎥)과

는 비슷하며 전년의 동월(0.0082㎍/㎥) 보다는 낮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지역별 오염

도는 인천(0.0055㎍/㎥), 서울(0.0019㎍/㎥), 경기(0.0018㎍/㎥) 순이었다.

2007년 8월중 수도권지역의 중금속 오염도는 대체로 전월 및 전년의 동월 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지역이 대체로 낮고 인천 및 경기

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69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는 표 2-18 에 나타내었다.

표 2-18 지역별 중금속측정망의 측정결과 (단위:㎍/㎥)

시・도 시・군 납 카드뮴 크롬 구리 망간 철 니켈

수도권 - 0.0299 0.0009 0.0036 0.1446 0.0189 0.3397 0.0031

서울 서울 0.0060 0.0003 0.0020 0.1091 0.0047 0.2682 0.0019

인천 인천 0.0316 0.0012 0.0083 0.0808 0.0366 0.5841 0.0055

경기평균 - 0.0520 0.0011 0.0002 0.2440 0.0154 0.1668 0.0018

경기수원 0.0125 0.0001 N.D. 0.0557 0.0033 0.0214 0.0002

안산 0.0915 0.0021 0.0004 0.4322 0.0275 0.3122 0.0033

7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7절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측정 개요

광화학오염물질은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Volatile Organic Carbon)을 말한다.

VOCS는 자동차 연료인 휘발유나 경유뿐만 아니라 각종 유기용제 및 합성화학물질의

주성분이다. 그러므로 VOCS는 배출원이 다양하고 우리 생활과 접하여 언제 어디서나

노출되기 쉬운 오염물질이다.

VOCS는 그 자체의 독성 때문에 우리 인체에 직접적으로 위해를 줄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서 이산화질소(NO2)가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오존(O3)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 또한 지구온난화 등 지구환경 변화에도 향을 미치는 주요 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시대기에서의 농도 파악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은 현재 수도권 및 부산권에 있으며 측정목적에 따라 제1형 ,

제2형 및 제3형 그리고 제4형 측정소가 있다. 제1형 측정소는 배경농도를 측정하며,

인천시 강화군 석모리 1개소뿐이다. 제2형 및 제3형 측정소는 지역농도를 측정하며,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등 4개소가 있다. 그리고 제4형 측정소는 제3형 측정소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포천시 관인면 등 2개소가 있다. 따라서 수도권지역의 광화학오염

물질측정망은 모두 7개소이다.

광화학오염물질측정소의 유형별 측정지점은 표 2-19 에, 에탄(Ethane) 등 56개 측정

항목은 표 2-20 에 나타내었다.

표 2-19 광화학오염물질측정소의 유형별 측정지점

측정소 분류 측정소명 측정소 유형

제1형 석모리 대상지역 내로 유입되는 오존 및 오존생성 물질의 농도를 측정

제2형구월동

풍하 방향으로 O3 생성물질의 배출량이 최대인 지역에 위치하는 측정소

심곡동

제3형불광동

대상지역 내 최고의 O3 농도를 갖는 지점에서 농도 측정탄벌동

제4형양서면 제3형 측정소와 같이 풍하방향으로 교통량이 많은 지역의 경계로

부터 충분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도시규모 측정소(일반적으로 풍하방향 경계에 위치)에서 구간 밖으로 유출되는 광화학 생성물질 평가

관인면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71

표 2-20 광화학오염물질측정소의 측정물질의 종류

번호 분자식 측정 물질명 번호 분자식 측정 물질명

1 C2H6 Ethane 29 C7H16 2,3-Dimethylpentane

2 C2H4 Ethylene 30 C7H16 3-Methylhexane

3 C3H8 Propane 31 C8H18 2,2,4-Trimethylpentane

4 C3H6 Propylene 32 C7H16 n-Heptane

5 C4H10 Iso-Butane 33 C7H14 Methylcyclohexane

6 C4H10 n-Butane 34 C8H18 2,3,4-Trimethylpentane

7 C2H2 Acethylene 35 C7H8 Toluene

8 C4H8 trans-2-Butene 36 C8H18 2-Methylheptane

9 C4H8 1-Butene 37 C8H18 3-Methylheptane

10 C4H8 Cis-2-Butene 38 C8H18 n-Octane

11 C5H10 Cyclopentane 39 C8H10 Ethylbenzene

12 C5H12 Iso-Pentane 40 C8H10 m/p-Xylene

13 C5H12 n-Pentane 41 C8H8 Styrene

14 C5H10 trans-2-pentene 42 C8H10 o-Xylene

15 C5H10 1-pentene 43 C9H20 n-Nonane

16 C5H10 Cis-2-pentene 44 C9H12 Isopropylbenzene

17 C6H14 2,2-Dimethylbutane 45 C9H12 n-Propylbenzene

18 C6H14 2,3-Dimethylbutane 46 C9H12 m-Ethyltoluene

19 C6H14 2-Methylpentane 47 C9H12 p-Ethyltoluene

20 C6H14 3-Methylpentane 48 C9H12 1,3,5-Trimethylbenzene

21 C5H8 Isoprene 49 C9H12 o-Ethyltoluene

22 C6H12 1-Hexene 50 C9H12 1,2,4-Trimethylbenzene

23 C6H14 n-Hexane 51 C10H22 n-Decane

24 C6H12 Methylcyclopentane 52 C9H12 1,2,3-Trimethylbenzene

25 C7H16 2,4-Dimethylpentane 53 C10H14 m-Diethylbenzene

26 C6H6 Benzene 54 C10H14 p-Diethylbenzene

27 C6H12 Cyclohexane 55 C11H24 n-Undecane

28 C7H16 2-Methylhexane 56 C12H26 n-Dodecane

7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2. 광화학오염물질의 측정결과 분석방법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오존(O3) 생성의 광화학 반응과정에서 촉매역활을 하는

등 주요한 전구물질(다른 오염물질을 생성하는 원인물질, precursor)로 작용하기 때문에

광화학오염물질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본 자료에서는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에서

측정하는 56개 항목의 VOCS에 대하여 오존생성 기여율을 도출함으로써 대기환경에서

VOCS 관리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VOCS가 오존(O3)생성에 기여하는 정도는 VOCS의 농도 및 광화학 오존

생성 잠재력(POCP: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의 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OCP는 VOCS가 대기중 OH-와의 반응성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기준

물질은 에틸렌(Ethylene, POCP=100)이다. 따라서 VOCS의 오존생성 기여율은 VOCS

농도와 POCP 값을 변수로 하여 산출된다.

본 자료에서는 오존생성 기여도 상위 10개 VOCS를 제시하고 광화학오염물질 측정

망의 유형별 측정소에서 VOCS별 오존생성 기여율을 산출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오존생성 기여도 상위 10개 주요 오염물질은 표 2-21 에 나타내었다.

표 2-21 오존생성기여도 상위 10개 주요 오염물질

VOC 물질명 POCP 주요 사용분야

Toluene 55 유기용제, 자동차 연료

Propane 40 주방연료, LPG자동차

Ethylene 100 석유화학공업

n-Butane 40 LPG성분, 산업연소

m/p-Xylene 95 유기용제, 자동차 연료

Iso-Butane 30 일반 연료, 에어로졸 추진제

Propylene 105 자동차 연료

iso-Pentane 30 에너지 수송 및 저장

Ethane 10 석유화학제품

Ethylbenzen 60 유기용제, 자동차 연료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73

3. 오존생성 기여도의 경향

2007년도 8월중 수도권지역 7개 광화학측정망에서 모두 데이터를 제공하 다. 오존

생성 기여도 상위 10개 오염물질에 대한 기여율을 산출한 결과, 측정유형과 관계없이

비슷한 기여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측정소별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의 오존생성 기여율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석모리

측정소를 비롯한 전 측정소에서 톨루엔(Toluene)의 기여율(19.8∼31.7%)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자일렌(m/p-xylene)과 프로판(Propane)의 기여도가 높은 측정소가 많았다.

반면, 프로필렌(Propylene), 에탄(Ethane) 등의 기여율은 대체로 낮았다.

VOCS의 오존생성 기여율에 따라 지역의 오염물질 현황을 파악하여 관리함으로써

오존삭감 시나리오 작성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오존생성 기여도 상위 10개 주요 오염물질의 기여율은 표 2-22 에 나타내었다.

표 2-22 오존생성 기여도 상위 10개 주요 오염물질의 기여율 (단위 : %)

오염물질제1형 제2형 제3형 제4형

석모리 구월동 심곡동 불광동 탄벌동 양서면 관인면

Toluene 19.8 19.9 23.3 24.7 31.7 21.4 24.0

Propane 2.7 7.1 7.4 7.2 6.3 10.2 18.2

Ethylene 1.2 8.0 4.3 7.3 1.3 4.5 10.7

n-Butane 1.4 11.5 8.9 9.3 5.6 7.0 4.9

m/p-Xylene 9.0 8.4 11.7 9.3 9.8 8.8 3.3

Iso-Butane 5.4 3.6 3.2 2.8 2.3 3.1 1.3

Propylene 0.0 2.5 2.3 1.6 2.3 3.5 13.4

iso-Pentane 3.7 5.3 3.4 4.0 2.6 3.8 1.9

Ethane 5.6 1.1 0.6 1.0 0.4 0.9 2.2

Ethylbenzene 3.8 4.1 4.9 4.5 4.9 4.0 1.7

주) 각 오염물질의 기여도와 기여율 계산방법

● 기여도 = ppb x (분자량/22.4㎥) x 오염물질별 POCP

= ppm x 1000 x (분자량/22.4㎥) x 오염물질별 POCP

● 기여율 = (오염물질의 기여도/오염물질의 기여도 합계) x 100

7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8절 유해대기측정망의 측정결과 분석

1. 수도권 유해대기측정망측정 개요

탄소와 수소로만 된 유기화합물을 탄화수소로 분류한다. 가솔린 및 기타 석유제품 중의

중요 화합물의 대부분은 탄화수소인데 지방족 및 방향족의 두 부류로 크게 나눈다.

지방족탄화수소는 종류에 따라 오존과 같은 제2차 오염물질의 생성에 기여하며 어떤

종류는 동식물 및 건축물에도 직간접적으로 해를 미친다. 특히, 방향족탄화수소는 생화

학적 및 생물화학적 활성이 있는 것이며, 어떤 것은 발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유해오염물질의 분포상황을 파악하여 환경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환경부에서는 VOCS는 2003년부터 측정하 고 PAHs는 2005년 3/4분기부터 측정

하 다. 2006년부터는 측정소를 크게 확충하고 측정 빈도수도 늘려 보다 정확한 대표

농도가 산출될 수 있도록 보완하 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의 분포는 지역 및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여러

장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그러나 탄화수소류에 대한

측정은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으로 인하여 아직은 측정지점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환경기준 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비교기준의 설정도 쉽지 않다는 자료 분석 상의 제한점이

따른다.

따라서 본 지에서는 환경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도권지역의 VOCS 및

PAHS에 대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배경농도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여 측정데이터를

중심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2007년 8월 기준으로 유해대기측정망은 8개소이며, 측정

항목은 VOCS 13종, PAHS 7종이다.

표 2-23 수도권지역 유해대기측정망 현황

지 역 별 측 정 소 명 지역 구분

서 울

도곡동

구의동

서울역

주거지역

주거지역

도로변(상업)

인 천

숭의동

연희동

석모리

주거지역

도로변(상업)

배경농도

경 기시흥시(정왕동)

의왕시(오전동)

공단 및 배후

도로변(상업)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75

7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2. VOCS 측정결과

환경부는 2007년 8월 기준으로 수도권지역의 8개 측정소에서 VOCS 13종에 대한 측정

자료를 생산하여 제공하 다.

석모리의 배경농도지점에서 검출된 항목은 7개, 불검출 항목은 6개이다. 지역별 검출

항목은 서울 10, 인천 11, 경기 11개 등이다.

벤젠(Benzene)과 톨루엔(Toluene)의 농도는 경기, 서울, 인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VOCs 항목들에서도 경기지역의 농도가 서울과 인천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수도권지역 유해대기측정망 VOCS 측정자료를 표 2-24 에 나타내었다.

표 2-24 수도권지역 VOCS 측정결과 (단위:ppb)

구 분

배경 서울 인천 경기

석모리 도곡동 구의동 서울역 평균 숭의동 연희동 평균 정왕동 오전동 평균

1,3-Butadiene N.D. - - N.D. N.D. N.D. N.D. N.D. N.D. N.D. N.D.

1,1-Dichloroethane N.D. - - N.D. N.D. N.D. N.D. N.D. N.D. N.D. N.D.

Chloroform N.D. - - N.D. N.D. 0.001 0.003 0.002 0.037 0.002 0.020

Methylchloroform N.D. - - 0.007 0.007 0.030 0.025 0.028 0.236 0.193 0.215

Benzene 0.093 - - 0.141 0.141 0.167 0.110 0.139 0.595 0.315 0.455

Carbontetrachloride 0.057 - - 0.024 0.024 0.015 0.031 0.023 0.122 0.114 0.118

Trichloroethylene N.D. - - 0.110 0.110 0.210 0.216 0.213 1.911 0.966 1.439

Toluene 0.075 - - 3.510 3.510 1.237 1.353 1.295 14.332 6.813 10.573

Tetrachloroethylene N.D. - - 0.022 0.022 0.003 0.012 0.008 0.128 0.092 0.110

Ethylbenzene 0.009 - - 0.252 0.252 0.276 0.142 0.209 1.316 0.654 0.985

m,p-Xylene 0.017 - - 0.451 0.451 0.347 0.137 0.242 1.734 1.082 1.408

Styrene 0.002 - - 0.022 0.022 0.015 0.011 0.013 0.207 0.205 0.206

o-Xylene 0.003 - - 0.142 0.142 0.123 0.044 0.084 0.460 0.335 0.398

※ 서울 도곡동, 구의동 측정소는 시료의 오염으로 인해 분석이 불가하였음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77

3. PAHS 측정결과

환경부는 2007년 8월 기준으로 PAHs 7종에 대해 수도권지역의 8개 측정소 중에서

6개 측정소에 자료를 생산하 다. 서울 도곡동과 구의동 측정소는 시료 오염으로 인해

분석이 불가능하여 측정자료를 제공하지 못하 다.

석모리 측정소 및 그 외의 측정소에서 측정된 지역별 평균 오염도에 대하여 살펴보

았다. 석모리 측정소와 경기도 오전동 측정소를 제외하고 수도권지역 전 측정소에서

chrysene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석모리 측정소에서는 Benzo(k)fluoranthene가 0.126

ng/㎥, 경기도 오전동 측정소에서는 Benzo(a)pyrene의 오염도가 0.353ng/㎥으로 가장

높았다.

이번 달 수도권 지역 PAHs의 평균 오염도는 전월과 비교해 볼 때 대체로 낮은 수준

이었다.

수도권지역 PAHS을 표 2-25 에 나타내었다.

표 2-25 수도권지역 PAHs 측정결과 (단위:ng/㎥)

구 분

배경 서울 인천 경기

석모리 도곡동 구의동 서울역 평균 숭의동 연희동 평균 정왕동 오전동 평균

Benzo(a)anthracene 0.063 - - 0.161 0.161 0.099 0.062 0.081 0.345 0.096 0.221

Chrysene N.D. - - 0.290 0.290 0.297 0.187 0.242 0.502 0.192 0.347

Benzo(b)fluoranthene 0.095 - - 0.193 0.193 0.165 0.094 0.130 0.125 N.D. 0.063

Benzo(k)fluoranthene 0.126 - - 0.161 0.161 0.198 0.125 0.162 0.094 N.D. 0.047

Dibenzo(a,h)anthracene 0.032 - - 0.032 0.032 N.D. N.D. N.D. N.D. N.D. N.D.

Indeno(1,2,3-cd)pyrene 0.063 - - 0.129 0.129 0.099 0.062 0.081 0.063 N.D. 0.032

Benzo(a)pyrene 0.095 - - 0.193 0.193 0.099 0.094 0.097 0.094 0.353 0.224

※ 서울 도곡동, 구의동 측정소는 시료의 오염으로 인해 분석이 불가하였음

7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제9절 월간 기상특성 분석

1. 기상 특성

(가) 기상 개황

금월 상순에는 북쪽에서 발달해 온 기압골의 향으로 전국에 많은 비가 왔다. 중순

전반에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된 저압부가 북상하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폭염주의보가 발효되었다. 중순 후반에는 전국적인 폭염주의보가 발효 되었다.

하순 전반에는 기압골의 향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으며 하순 후반에도

기압골의 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금월 상순 동안에는 북쪽 및 중국내륙에서 발달해 온 기압골의 향으로 전국에 많은

비가 왔다. 중부내륙지방에 천둥, 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내렸으며, 강수량의 지역별

편차가 컸다. 7월 29일에 발생한 제5호 태풍 우사기는 북동진하여 일본 삿포로 남해상을

빠져나가면서 남해안 및 동해안을 중심으로 강한 바람이 불었으며, 태풍이 동반한 온난

다습한 기류의 유입으로 일부 중부내륙 및 남부지방에 열대야현상이 발생하 다.

중순 전반에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저압부가 북상하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많은 비가 내리고 남부지방에 열대야가 발생하 다. 후반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상하여 전국적으로 무더운 날씨를 보이며, 폭염주의보가 발효 되었다.

하순 전반에는 남서쪽에서 다가온 기압골의 향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으며, 21~25일에는 열대야가 중부지방까지 확산되어 나타났다. 후반에는 북서쪽에

서 다가온 기압골과 화중지방에서 발달해 다가온 기압골의 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나) 기온 및 강수량

전국 대도시 월평균 기온은 26.7℃로서 전년 동월의 각 대도시의 평균기온(2006년 8월

평균 기온 : 27.1℃ )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다. 금월 상순의 평균기온은 금월의 평균

기온과 같은 26.7℃ 이었으며, 금월 중순 평균기온은 27.5℃로 금월 평균기온보다 높았고,

금월 하순 평균기온은 25.9℃로 금월 평균기온보다 낮았다.

금월의 일 도시평균은 서울시 26.5℃, 인천시 25.5℃, 대전시 26.1℃, 대구시 27.6℃,

울산시 27.5℃, 광주시 26.9℃, 부산시 26.7℃로 대구시가 가장 높았고, 인천시가 가장

낮았다.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79

금월의 강수현상은 주로 장마전선의 향을 받아 전국적으로 발생하 으며, 주요

도시의 금월 총강수량 평균(241.0mm)은 전년 동월의 총강수량 평균(127.7mm)에 비하여

2배 정도 높은 수준이었다.

주요 도시별 금월 총강수량을 살펴보면 금월의 총강수량은 서울시 237.6mm, 인천시

239.0mm, 대전시 373.5mm, 대구시 198.0mm, 울산시 171.4mm, 광주시 339.3mm, 부산시

128.1mm 다.

(다) 풍속과 상대습도 및 운량

평균 풍속은 주요 대도시 월평균 풍속이 2.4m/s로 전년 동월의 평균풍속 2.0m/s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12일의 대도시 일평균 풍속이 4.1m/s로 가장 높았으며, 17일의 주요

대도시 일평균 풍속이 1.6m/s로 가장 낮았다.

주요 도시별 평균풍속을 살펴보면, 서울시 2.6m/s, 인천시 2.7m/s, 대전시 1.8m/s,

대구시 1.9m/s, 울산시 2.3m/s, 광주시 2.1m/s, 부산시 3.4m/s로 부산시가 가장 풍속이

강하 고, 대전시가 가장 약하 다.

상대습도와 운량은 주요 대도시 월평균이 각각 77.3% 및 6.4할의 수준으로 전년

동월에 비하여 상대습도(72.6%)와 운량(5.0할) 모두 증가하 다.

금월의 주요 도시별 평균 상대습도는 서울시 74.8%, 인천시 80.8%, 대전시 78.4%,

대구시 72.3%, 울산시 78.1%, 광주시 79.0%, 부산시 77.6%로 나타나 인천시가 다른 도시

들에 비해 높았고, 대구시가 가장 낮았다. 주요 도시의 금월 평균운량은 5.7~7.1할 수준

으로 나타났고, 월평균 운량은 서울시 6.9할, 인천시 7.1할, 대전시 6.5할, 대구시 6.1할,

울산시 5.7할, 광주시 6.7할, 부산시 5.9할로 나타나 인천시가 가장 높았고, 울산시가 가장

낮았다.

2. 시정과 대기혼합고

금월의 주요 대도시 평균 시정거리는 전년 동월의 주요 대도시 평균 시정거리

(15.6km)와 비슷한 수준의 15.9km로 관측되었다. 상순의 주요 평균시정거리는 13.7km

를 보 고, 중순의 평균시정거리가 17.7km로 가장 좋은 시정을 보 다. 하순에는 평균

시정거리가 16.2km로 다시 감소하 다.

금월의 주요 대도시 평균 시정거리는 서울시 15.3km, 인천시 14.3km, 대전시 17.5km,

대구시 16.6km, 울산시 14.1km, 광주시 13.5km, 부산시 19.9km로 관측되었다. 주요 대도시

시정은 부산시가 가장 양호하 으며, 광주시가 다른 도시들에 비하여 시정이 좋지 않았다.

주요 도시의 시정등급별 발생빈도를 표 2-26 에 나타내었다.

8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전월과 마찬가지로 고층자료를 토대로 Holzworth 방법을 이용하여 일중 최대혼합고를

산출하 다. 일중 최대혼합고의 최대빈도수는 광주시, 오산시와 포항시 세 도시 모두

1000m~1500m 구간에서 일중 최대혼합고의 최대빈도수를 나타내었다. 금월에 2000m

이상의 일중 최대혼합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2-26 주요 도시의 시정등급별 발생빈도 (단위:횟수, (%))

지역 < 5km 5~10 km 10~15 km 15~20 km 20~25 km > 25km*유효시정

관측횟수

안개

발생횟수

서울14

(5.6)

52

(21)

70

(28.2)

85

(34.3)

26

(10.5)

1

(0.4)248 0

부산1

(0.4)

7

(2.9)

41

(17.1)

74

(30.8)

67

(27.9)

50

(20.8)240 8

대구0

(0)

35

(14.1)

121

(48.8)

51

(20.6)

27

(10.9)

14

(5.6)248 0

인천5

(2.1)

46

(19.2)

83

(34.6)

97

(40.4)

9

(3.8)

0

(0)240 8

광주3

(1.2)

62

(25)

85

(34.3)

74

(29.8)

21

(8.5)

3

(1.2)248 0

대전5

(2.1)

39

(16.2)

58

(24.2)

94

(39.2)

27

(11.2)

17

(7.1)240 8

울산7

(2.8)

32

(12.9)

85

(34.3)

74

(29.8)

38

(15.3)

12

(4.8)248 0

강릉2

(0.8)

25

(10.1)

46

(18.5)

60

(24.2)

55

(22.2)

60

(24.2)248 0

원주9

(3.8)

39

(16.2)

88

(36.7)

80

(33.3)

24

(10)

0

(0)240 8

여수1

(0.4)

48

(19.4)

80

(32.3)

83

(33.5)

24

(9.7)

12

(4.8)248 0

제주0

(0)

12

(4.8)

32

(12.9)

38

(15.3)

51

(20.6)

115

(46.4)248 0

* 유효시정 관측횟수는 총 시정관측횟수(매 3시간 간격, 1일8회)에서 안개 발생횟수를 뺀 횟수

제2장 수도권 대기측정망 측정결과 분석 81

3. 대기안정도

대기오염물질의 대기 중 확산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Pasquill의 대기안정도 분류방법

을 이용하여 주요도시별 대기안정도를 산정하 다. 파스킬(Pasquill : 1961년) 방법은

대기안정도를 지상풍속, 일사량(日射量) 및 구름량을 조합시켜서 A∼F의 6계급으로 분류한

것이다< 표 2-27 >. Pasquill의 방법을 실용화한 STA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기안정

도를 계산하 으며 기상청의 시간별 자료를 입력하여 구하 다.

표 2-27 대기안정도 분류

10m 고도에서의

풍속

(m/s)

낮 밤

태양복사 구름이 낀 경우

강 중 약 흐림 맑음

<2

2~3

3~5

5~6

>6

A

A~B

B

C

C

A~B

B

B~C

C~D

D

B

C

C

D

D

E

E

D

D

D

F

F

E

D

D

금월의 경우는 전월에 비해 전국 주요 도시의 안정도는 전반적으로 불안정조건

(A~C등급)은 0.6% 증가하 고, 중립조건(D등급)은 9.2% 감소하 으며, 안정조건(E~F

등급)이 8.6% 증가하 다. 이로 인하여 주요 도시의 평균 대기안정도 발생률은 불안정

조건이 23.1%, 중립조건이 48.6%, 안정조건이 28.4%로 분석되었다. 해안 지역에 위치한

제주(고층기상대)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강한 해풍의 향으로 중립조건의 빈도가

높음을 확인하 다.

1. 수도권 대기측정망 현황

2. 기관 주소록

부 록

부록 : 수도권 대기측정망 현황 87

부록 1. 수도권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 도시대기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주소 겸용 측정망

서울

1 강남구 도곡동강남구 도곡2동 429

(도곡2동사무소)

2 강동구 천호동강동구 천호1동 76-2

(천호1동사무소)

3 강북구 번 동강북구 번1동 417-11

(번1동사무소)

4 강서구 화곡동강서구 화곡3동 1019-1

(화곡3동사무소 3층 옥상)

5 관악구 신림동관악구 신림5동 1439-3

(신림5동사무소 옥상)

6 광진구 구의동광진구 구의동 산38

(구의 정수사업소 내)

산성강하물,

유해대기

7 구로구 구로동구로구 구로동 222-16

(한국산업단지공단 내)대기중금속

8 구로구 궁 동구로구 궁동 157

(궁동 독서실)

9 금천구 시흥동금천구 시흥5동 832-14

(시흥5동사무소)

10 노원구 상계동노원구 상계2동 389-483

(상계2동사무소)

11 도봉구 방학동도봉구 방학1동 687-27

(방학1동사무소)대기중금속

12 동대문구 용두동동대문구 용두2동 237-1

(용두초등학교)

13 동작구 사당동동작구 사당4동 300-8

(사당4동사무소)

14 마포구 대흥동마포구 대흥동 30-3

(마포문화센터 5층 옥상)대기중금속

15 서대문구 남가좌동서대문구 남가좌동 250-6

(남가좌동사무소 3층 옥상)

16 서초구 반포동서초구 반포2동 355

(반포2동사무소 3층 옥상)

17 성동구 성수동성동구 성수동 2가 299

(성수3동사무소 3층 옥상)대기중금속

8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주소 겸용 측정망

서울

18 성북구 길음동성북구 길음3동 1064-1

(길음동 사무소 3층 옥상)

19 송파구 방이동송파구 방이동 88

(올림픽공원 내 지상)대기중금속

20 송파구 잠실동송파구 잠실본동 230-1

(잠실본동사무소 2층 옥상)

21 양천구 신정동양천구 신정4동 957-9

(신정4동사무소)

22 영등포구 당산동영등포구 당산1동 3가 250

(당산1동사무소)

23 용산구 한남동용산구 한남동 726-78

(서울시 한강공원관리사업소 내)

24 은평구 불광동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613-2

(KEI 옥상)

광화학오염물질,

산성강하물

25 종로구 효제동종로구 효제동 173-2

(종로5,6가동사무소)시정거리

26 중 구 서소문동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제3동 3층 옥상)

27 중랑구 면목동중랑구 면목5동 168-1

(면목빗물펌프장)

1 강화군 송해면강화군 송해면 솔정리 357-2

(송해면사무소 옥상)

인천

2 계양구 계양동계양구 장기동 76-1

(계양1동사무소 옥상)

3 계양구 계산동인천시 계양구 계산동 907-4

(계양도서관 3층 옥상)

4 남 구 숭의동남구 숭의1동 129-1

(숭의1동사무소 옥상)

대기중금속,

유해대기

5 남동구 논현동남동구 논현동 445

(남동공단 2호 공원관리소)대기중금속

6 동 구 송림동동구 송림동 109-2번지

(동구의회 옥상)

7 부평구 부평동부평구 부평4동 440-1

(부평동초등학교)

대기중금속,

시정장애

8 서 구 검 단 서구 마전동 665 (검단출장소 옥상)

9 서 구 석남동서구 석남 2동 573

(석남2동사무소)

10 서 구 연희동서구 연희동 18B 1L

(서구청 본관 옥상)유해대기

11 연수구 송 도연수구 송도동 7-50

(송도테크노파크 시험생산동 옥상)

12 중 구 신흥동 중구 신흥동 3가 7 (조달청 본관 옥상)

13 남동구 구월동남동구 구월1동 1214-5

(구월1동사무소 옥상)

광화학오염물질,

산성강하물

부록 : 수도권 대기측정망 현황 89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경기

1 고양시 일산동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1192

(저동중학교)

2 고양시 행신동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924

(행신배수지)

3 과천시 과천동과천시 과천동 249

(환경사업소 분뇨처리동 2층)

4 과천시 별양동과천시 별양동 16

(문원초등학교 3층 옥상)

5 광명시 광명3동 광명시 광명3동 (광명동 사무소 옥상)

6 광명시 철산동광명시 철산동 384

(광명시 농협 옥상 )

7 광주시 경안동광주시 경안동 36-17

(광주시교육청 옥상)

8 구리시 교문동 구리시 교문동 3-2 (구리시 체육관)

9 구리시 동구동구리시 인창동 56-36

(구리노인아동복지회관)

10 군포시 당 동 군포시 당1동 752-10 (군포도서관)

11 군포시 산본동군포시 금정동 844

(여성회관 4층 옥상)

12 김포시 고촌면김포시 고촌면 신곡리 530-1

(고촌면사무소)

13 김포시 사우동김포시 사우동 236-2

(사우동사무소 옥상)

14 김포시 통진읍 김포시 통진읍 마송리 111-27

15 남양주시 금곡동남양주시 금곡동 185-10

(1청사 보건소 옥상)

16 동두천시 생연동동두천시 생연동 807-10

(생연2동 사무소 옥상)

17 부천시 내 동부천시 오정구 내동 10-2

(신흥2동사무소 2층 옥상)

18 부천시 상 1동부천시 원미구 상1동 396-2

(상1동사무소)

19 부천시 심곡동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181

(원미구 보건소)광화학오염물질

20 부천시 원종동부천시 오정구 원종동 279-1

(원종1동사무소)

21 성남시 단대동성남시 수정구 단대동 4888-2

(단대동 복지회관 3층 옥상)산성강하물

22 성남시 성남동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31-2

(성남동사무소 2층 옥상)산성강하물

9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경기

23 성남시 복정동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515

(복정정수장 옥상)

24 성남시 수내동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1

(분당구청 옥상)

25 성남시 정자1동성남시 분당구 정자1동 147

(신기동사무소)

26 수원시 신풍동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123-69

(선경도서관 )대기중금속

27 수원시 영통동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1049-1,

(팔달공고 옥상)

28 수원시 우만동수원시 팔달구 우만1동 506,

(우만1동사무소)

29 수원시 인계동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1

(수원시청 4층 옥상)

30 수원시 천천동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300,

(성균관대)

31 수원시 고색동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886-70

(수원시 차량등록사업소)

32 시흥시 대야동시흥시 대야동 491-3

(대야동사무소 옥상)

33 시흥시 시화공단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단 2다 401

34 시흥시 정왕동시흥시 정왕동 1212-8

(정왕동사무소 2층 옥상)유해대기

35 안산시 고잔동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15

(안산시청 본관4층)산성강하물

36 안산시 대부동안산시 단원구 대부북동 467

(대부출장소 옥상)

37 안산시 본오2동안산시 상록구 본오2동 796-4

(본오2동사무소)

38 안산시 부곡동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671,

(부곡동사무소 옥상)

39 안산시 원곡2동안산시 단원구 원곡2동 936-5

(원곡2동사무소)

40 안산시 원시동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82-9

(공단동사무소 2층 옥상)대기중금속

41 안산시 호수동 안산시 단원구 고잔(호수)동 781-2

42 안양시 부림동안양시 동안구 부림동 1590

(안양시청)

43 안양시 안양동안양시 만안구 안양 1동 674-207

(안양1동사무소 3층)

부록 : 수도권 대기측정망 현황 91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경기

44 안양시 안양2동안양시 만안구 안양2동 842-2

(안양2동사무소)

45 안양시 호계동안양시 동안구 호계2동 933-18

(호계2동사무소)

46 양주시 광적면경기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 848-2

(광적면사무소 옥상)

47 오산시 오산동오산시 오산동 48-2

(오산시 보건소)

48 용인시 김량장동용인시 김량장동 286

(용인시청 별관 2층 옥상)

49 용인시 수 지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701-1

(풍덕천1동사무소 3층 옥상)

50 용인시 기 흥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335

(기흥구청 3층 옥상)

51 의왕시 부곡3동의왕시 부곡3동 166-24

(부곡동사무소 옥상)

52 의왕시 오전동의왕시 오전동 330-11

(의왕시 보건소 옥상)유해대기

53 의정부시 의정부1동의정부시 의정부 1동 225-1,

(의정부1동사무소 옥상)

54 의정부시 의정부2동의정부시 의정부 2동 551-2,

(경기도 도로관리사업소 북부지소 옥상)

55 이천시 창전동 이천시 창전동 105-3 (시민회관)

56 파주시 금촌동파주시 금촌동 953-1

(금촌2동사무소)

57 평택시 비전동 평택시 비전동 846 (비전동사무소)

58 포천시 신읍동포천시 신읍동 59-4

(포천시청 옥상)

59 하남시 신장동하남시 신장2동 520

(하남시청 민원동 앞)

60 화성시 남양동 화성시 남양동 1340 (남양동사무소)

61 화성시 향남면 화성시 향남면 행정리 287-1

* 인천시 구월동 도시대기측정소 : 2005년부터 자료 미포함

92 수도권대기환경정보

○ 도로변대기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서울

1 강남구 신사동강남구 논현동 1

(신사로타리 서울은행 앞)

2 동대문구 청량리동대문구 청량리동 746

(청량리로타리)

3 마포구 신 촌마포구 노고산동 31-6

(신촌로타리 우리은행 앞)

4 영등포구 영등포영등포구 영등포동 4가 66

(영등포로타리 대동은행 앞)

5 용산구 서울역 용산구 동자동 43-207 유해대기

6 중 구 동대문중구 을지로 7가 135-5

(동대문운동장 지하철역 4거리 인도)

7 중 구 청계천중구 주교동 125-1

(청계천4가 로타리 포인트다운 앞)

인천

1 남 구 석바위 남구 주안6동 1587 (석바위삼거리)

2 부평구 부평동부평구 부평3동 186-218

(신촌사거리)

경기

1 고양시 마두역고양시 일산구 장항2동 888

(마두역 사거리)

2 부천시 계남공원부천시 원미구 중4동 1030-3

(계남공원 사거리)

3 성남시 모란역성남시 수정구수진2동 453번지

(모란역 사거리 모란전광판 앞)

4 수원시 동수원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562-7

(동수원 사거리 SK생명 앞)

부록 : 수도권 대기측정망 현황 93

○ 국가배경농도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인천 1 강화군 석모리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347-4

(해병 1935부대)

광화학, 산성강하물,

유해대기

○ 교외대기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경기

1 이천시 설성면이천시 설성면 신필리 산85-5

(전파연구소 입구)산성강하물

2 포천시 관인면포천시 관인면 중리 140

(청소년수련원)광화학, 산성강하물

○ 산성강하물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서울 1 은평구 불광동은평구 불광동 613-2

(KEI 옥상)

도시대기,

광화학오염물질

인천

1 강화군 석모리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347-4

(해병 1935부대)

국가배경, 유해대기,

광화학오염물질

2 남동구 구월동(광)남동구 구월1동 1214-2

(구월1동사무소 옥상)광화학오염물질

경기

1 안산시 고잔동안산시 고잔동 522-1

(안산시청 본관4층)도시대기

2 이천시 설성면이천시 설성면 신필리 산88-5

(전파연구소 입구)교외대기

3 포천시 관인면포천시 관인면 중리 140

(청소년수련원)

교외대기,

광화학오염물질

94 수도권대기환경정보

○ 유해대기물질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서울

1 강남구 도곡동(유해)강남구 도곡2동 429

(도곡2동사무소)

2 광진구 구의동광진구 구의동 산38

(구의정수사업소 내)도시대기

3 용산구 서울역용산구 동작동 43-207

(서울역전 식당 앞)도로변대기

인천

1 강화군 석모리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347-4

(해병 1935부대)

국가배경, 산성강하물,

광화학오염물질

2 남 구 숭의동남구 숭의1동 129-1

(숭의1동사무소)도시대기, 중금속

3 서 구 연희동서구 연희동 17B 1L

(서구청 본관 옥상)도시대기

경기

1 시흥시 정왕동시흥시 정왕동 1212-8

(정왕동사무소 2층 옥상)도시대기

2 의왕시 오전동의왕시 오전동 330-11

(의왕시 보건소 옥상)도시대기

○ 대기중금속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서울

1 구로구 구로동구로구 구로동 222-16

(한국산업단지공단 내)도시대기

2 광진구 구의동광진구 구의동 산38

(구의 정수사업소 내)

도시대기, 유해대기,

산성강하물

3 마포구 대흥동마포구 대흥동 30-3

(마포문화센터 5층 옥상)도시대기

4 서초구 양재동서처구 양재동 202-3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5 송파구 방이동송파구 방이동 88

(올림픽공원 내 지상)도시대기

인천

1 남 구 숭의동남구 숭의동 129-1

(숭의1동사무소 옥상)도시대기, 유해대기

2 남동구 논현동남동구 논현동 445

(남동공단 2호 공원사무소)도시대기

3 부평구 부평동부평구 부평4동 440-1

(부평초등학교)도시대기, 시정장애

경기

1 수원시 신풍동수원시 장안구 신풍동 123-69

(수원선경도서관)도시대기

2 안산시 원시동안산시 원시동 782-9

(공단동사무소)도시대기

부록 : 수도권 대기측정망 현황 95

○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서울 1 은평구 불광동은평구 불광동 613-2

(KEI 옥상)

도시대기,

산성강하물

인천

1 강화군 석모리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347-4

(해병 1935부대)

국가배경, 유해대기,

산성강하물

2 남동구 구월동(광)남동구 구월동 1214-5

(구월1동사무소 옥상)산성강하물

경기

1 광주시 탄벌동 광주시 탄벌동 11-5

2 부천시 심곡동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181

(원미구 보건소)도시대기

3 양평군 양서면 양평군 양서면 복포리 364-17

4 포천시 관인면포천시 관인면 중리 140

(관인 청소년수련원)

교외대기,

산성강하물

○ 시정거리측정망

도시 순번 구・군 측정소명 소재지 겸용 측정망

서울 1 종로구 효제동종로구 효제동 173-2

(종로5,6가동사무소)도시대기

인천

1 남동구 시 청 남동구 구월동 1138 (인천시청)

2 부평구 부평동부평구 부평4동 440-1

(부평초등학교)

도시대기,

대기중금속

96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부록 2. 기관 주소록

ㅇ 환경부 소속기관

기관명 연락처 주 소 인터넷 주소

중앙환경분쟁조정

위원회02)504-9303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1

정부과천청사 427-729http://edc.me.go.kr/

국립환경과학원 032)560-7714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내http://www.nier.go.kr/

국립환경인력개발원 032)560-7773~9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내 국립환경인력개발원http://nierd.me.go.kr/

한강유역환경청 031)7902-420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231 http://hg.me.go.kr/

낙동강유역환경청 055)211-1611~20경남 창원시 중앙로 156

(신월동 104-3)http://ndg.me.go.kr/

금강유역환경청 042)865-0800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21 http://gg.me.go.kr/

영산강유역환경청 062)605-5114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760-2 http://yeongsan.me.go.kr/

수도권대기환경청 031)481-1312~15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22-1 http://mamo.me.go.kr/

원주지방환경청 033)764-0982 강원도 원주시 명륜 1동 242-2 http://wonju.me.go.kr/

대구지방환경청 (053)760-2502~3대구시 수성구 무학로 87

(지산동 761-11)http://daegu.me.go.kr/

전주지방환경청 063)270-1810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3가

1407-1http://jeonju.me.go.kr/

부록 : 기관주소록 97

ㅇ 환경부 산하기관, 관련 연구기관 및 협회

ㅇ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기관명 연락처 주 소 인터넷 주소

한국환경자원공사 032)560-1588인천시 서구 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내http://www.envico.or.kr/

환경관리공단 032)560-2289인천시 서구 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내http://www.emc.or.kr/

국립공원관리공단 02)3279-2700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252-5

태영빌딩 9층http://www.npa.or.kr/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032)560-9402~3 인천광역시 서구 백석동 58번지 http://www.slc.or.kr/

환경보전협회 02)2216-3882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5동

497-66http://www.epa.or.kr/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02)3019-6703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623-2

우일빌딩 3층http://www.kcma.or.kr/

한국상하수도협회 02)3156-7777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613-2 http://www.kwwa.or.kr/

한국환경정책평가

연구원02)380-7777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613-2 http://www.kei.re.kr/

친환경상품진흥원 02)358-6800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613-2 http://www.koeco.or.kr/

환경부공무원

직장협의회- - http://www.meunion.or.kr/

한국환경기술진흥원 02)3800-500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613-2 http://www.kiest.org/

한국자동차환경협회 02)3473-1221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1042-12

보광빌딩 7층http://www.aea.or.kr/

기관명 연락처 주 소 인터넷 주소

지역환경기술

개발센터연합회02)357-4401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613-2 http://www.corec.or.kr/

서울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2)2210-5067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 90

서울시립대학교 본관 605호http://sest.uos.ac.kr/

98 수도권대기환경정보

강원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33)250-7235 강원도 춘천시 효자2동 192-1 http://www.ketec.or.kr/

경기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31)330-6696

경기도 용인시 남동 산 38-2

명지대학교http://kentec.or.kr/

경남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55)279-8130~2

경남 창원시 사림동 9 창원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206호http://www.gretec.or.kr/

경북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53)810-1474~6

경북 경산시 대동 214-1

영남대학교 생산기술연구원 207호http://www.gentec.or.kr/

광주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62)530-3990~3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300

전남대학교 내 산학협력공학과

3층 301호

http://www.get.or.kr/

대구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53)580-6291

대구시 달서구 신당동 1000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오산관내http://detec.or.kr/

대전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42)822-6930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

충남대학교 산학연 905호http://www.dentec.or.kr/

시흥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31)8041-0930~9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121 한국

산업기술대학교 공학과 P동 4Fhttp://setec.re.kr/

안산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31)400-4237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1동

1271 한양대학교 제2공학관 5층

513호

http://www.aetec.or.kr/

울산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52)259-2649~50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2동 산29

울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307호http://www.aetec.or.kr/

인천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32)850-5660~2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7-46

인천대학교 미래관 106호http://www.ietec.or.kr/

전북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63)270-3944~5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664-14

전북대학교 자동차산학협동과내http://jentec.or.kr/

제주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64)754-2319

제주도 제주시 제주대학교

대학원동 2층http://jetc.cheju.ac.kr/

충남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41)540-5392

충남 아산시 배방면 세출리

산 29-1 호서대학교 제1공학관http://www.cnetdc.re.kr/

충북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43)841-5781

충북 충주시 이류면 검단리 123번지

충주대학교 공동실험관 6층http://cretdc.chungju.ac.kr/

부산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051)621-7325~6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599-1번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환경연구동 103호

http://betec.or.kr/

부록 : 기관주소록 99

100 수도권대기환경정보

독자 한마디

수도권대기환경정보지는 독자여러분께 환경분야의 새로운 소식을 전하고, 다양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보지를 보고 느낀 점이나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 앞으로 다루어졌으면 하는 내용을 보내주시면 최대한 반 될 수 있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독자한마디>는 이 정보지를 읽으시는 독자여러분을 위한 코너입니다.

<주요내용>

☆ 이번 호를 보고 가장 도움이 되었던 부분은 어느 부분이었습니까?

☆ 다음호부터 다루었으면 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 편집자에게 하고 싶은 한마디

<보내는 방법>

★우편, 팩스 또는 E-mail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22-1 수도권대기환경청 조사분석과

◎ 팩스 : 031)481-1433

◎ E-mail : [email protected] or [email protected]

아래의 사항을 같이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름 연락처

소 속 E-mail

◈ 본 수도권대기환경정보의 대기측정망자료는 국립환경과학원(대기환경과)

에서 제공한 것이며, 측정망 데이터(data)는 환경부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me.go.kr)의 정보마당/환경통계자료실/대기환경월보

(2007. 8)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본 수도권대기환경정보는 수도권 대기환경자료 검색시스템

(http://mamo.me.go.kr/mae) 대기오염도 현황 및 환경종합

디지털도서관(http://library.me.go.kr)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에 관하여 문의사항이나 좋은 의견이 있으신 분은 아래로

언제든지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고잔길 18 (고잔동 522-1)

수도권대기환경청 조사분석과

▷ 전화 : 031) 481-1341, 1343 팩스 : 031) 481-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