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OCUSED ISSUE OF THIS MONTH J Korean Med Assoc 2018 December; 61(12):710-714 pISSN 1975-8456 / eISSN 2093-5951 https://doi.org/10.5124/jkma.2018.61.12.710 710 대한의사협회지 서론 2011년 1월 소말리아 아덴만의 피랍 선원 구출작전 이후 외상체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 면서, 정부에서도 2012년 5월 개정된 응급의료에 관한 법 률을 통해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지 원의 근거를 새롭게 마련하였다[1]. 또한, 국내 전체 사망원 인 중 손상이 세 번째로 높으며(2008년도 질병관리본부 통 계), 외상을 포함한 손상이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큰 비용 이 드는 질환군(2012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연구)인 것 은 외상센터 사업의 타당성을 부여하였다[2]. 이런 외상환 자 치료에 있어 신속성은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 자이기에 전국 어디에서도 환자가 1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각 권역에 외상센터를 구축하였고, 권역외상센터는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추락 등에 의한 다발성골절, 장기 손상, 과다출혈 등 중증외상환자에 대해 병원도착 즉시 응 급수술이 가능하고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 장 비, 인력을 갖춘 외상전용 치료센터의 기능을 수행한다[2]. 하지만, 신체의 다발적 손상으로 동시적인 다학제적 접근을 요하는 중증외상에서, 의료 영역이 장기별로 세분화된 전문 과목 진료를 수행하는 현대적 의료체계는 중증외상환자 치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서 성형외과의 참여방안 임 남 규·강 동 희 |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to participate in trauma teams at regional trauma and emergency centers Nam Kyu Lim, MD · Dong Hee Kang, MD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heonan, Korea Received: November 21, 2018 Accepted: December 13, 2018 Corresponding author: Dong Hee Kang E-mail: [email protected] ©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 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 law revised in May 2012 provided support to regional and emergency centers for reducing the risk of preventable deaths. In particular, regional trauma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out the nation, with the goal of ensuring that any trauma patient can reach a trauma center within an hour. A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reating severe trauma patients, activation teams are currently organized at each center to perform multiple simultaneous treatments. Under the present system, only 7 departments can participate in these trauma teams; emergency medicine, cardiothoracic surgery, general surgery, orthopedic surgery, neurosurgery, radiology, and anesthesiology. Plastic surgeons also play an essential role in treating trauma patients, and in fact currently treat many such cases. Especially in reconstruction procedures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trauma and wide tissue defects, plastic surgeons possess unique expertise. However, since plastic surgeons are excluded from the trauma response teams due to institutional limitations, we describe the role and necessity of plastic surgery for trauma and emergency patients, and urge that the system be improved. Key Words: Trauma centers; Emergency treatment; Surgery, plastic

임 남 규·강 동 희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 · 2018-12-18 ·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임 남 규·강 동 희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 · 2018-12-18 ·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FOCUSED ISSUE OF THIS MONTHJ Korean Med Assoc 2018 December; 61(12):710-714

pISSN 1975-8456 / eISSN 2093-5951

https://doi.org/10.5124/jkma.2018.61.12.710

710 대한의사협회지

서론

2011년 1월 소말리아 아덴만의 피랍 선원 구출작전 이후

외상체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

면서, 정부에서도 2012년 5월 개정된 응급의료에 관한 법

률을 통해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지

원의 근거를 새롭게 마련하였다[1]. 또한, 국내 전체 사망원

인 중 손상이 세 번째로 높으며(2008년도 질병관리본부 통

계), 외상을 포함한 손상이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큰 비용

이 드는 질환군(2012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연구)인 것

은 외상센터 사업의 타당성을 부여하였다[2]. 이런 외상환

자 치료에 있어 신속성은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

자이기에 전국 어디에서도 환자가 1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각 권역에 외상센터를 구축하였고, 권역외상센터는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추락 등에 의한 다발성골절, 장기

손상, 과다출혈 등 중증외상환자에 대해 병원도착 즉시 응

급수술이 가능하고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 장

비, 인력을 갖춘 외상전용 치료센터의 기능을 수행한다[2].

하지만, 신체의 다발적 손상으로 동시적인 다학제적 접근을

요하는 중증외상에서, 의료 영역이 장기별로 세분화된 전문

과목 진료를 수행하는 현대적 의료체계는 중증외상환자 치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서 성형외과의 참여방안임 남 규·강 동 희 |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to participate in trauma teams at regional trauma and emergency centersNam Kyu Lim, MD · Dong Hee Kang, MD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heonan, Korea

Received: November 21, 2018 Accepted: December 13, 2018

Corresponding author: Dong Hee Kang E-mail: [email protected]

©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 law revised in May 2012 provided support to regional and emergency centers for reducing the risk of preventable deaths. In particular, regional trauma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out the nation, with the goal of ensuring that any trauma patient can reach a trauma center within an hour. A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reating severe trauma patients, activation teams are currently organized at each center to perform multiple simultaneous treatments. Under the present system, only 7 departments can participate in these trauma teams; emergency medicine, cardiothoracic surgery, general surgery, orthopedic surgery, neurosurgery, radiology, and anesthesiology. Plastic surgeons also play an essential role in treating trauma patients, and in fact currently treat many such cases. Especially in reconstruction procedures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trauma and wide tissue defects, plastic surgeons possess unique expertise. However, since plastic surgeons are excluded from the trauma response teams due to institutional limitations, we describe the role and necessity of plastic surgery for trauma and emergency patients, and urge that the system be improved. Key Words: Trauma centers; Emergency treatment; Surgery, plastic

Page 2: 임 남 규·강 동 희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 · 2018-12-18 ·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권역외상센터에서의 성형외과 참여방안 711

Lim NK · Kang DH·Plastic surgery at regional trauma and emergency centers

료에 적합하지 않다[1]. 이에 각 과 전문의를 팀으로 구성하

여 중증외상환자를 골든아워 내에 치료함으로써, 예방가능

사망 환자를 줄이는 것에 이 사업의 목적이 있다[2]. 현재

이 팀에 속할 수 있는 전문과목은 7개 과(응급의학과, 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

과)로 한정되어 있다.

성형외과는 외상 및 화상 등으로 손상된 환부의 수술적

복원에 있어서 전문성을 가지며, 골절과 연부조직의 문제

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문지식이 있는 과이다[3]. 역

사적으로,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염증성 광범위 환부를 재

건하기 위한 창상치료 분야, 절단된 사지의 복원을 위한 미

세수술 분야 등의 발전을 이루었으며[4,5], 이후 오늘날까

지도 미세수술 및 안면외상 복원뿐 아니라, 조직공학 및 줄

기세포 분야에 이르기까지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6]. 이

에 응급 및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성형외과의 역

할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현 제도 하 배제되어 있는 성형외

과의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서의 참여방안에 대해 기술하

고자 한다.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의 설립배경

질병관리본부의 2008년 통계에 의하면, 2000-2007년

동안 손상으로 인한 사망은 국내 전체 사망원인 중 암, 뇌

혈관질환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2010년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손상사망자 중에서 대표적인 외상원

인인 운수사고와 추락사고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8명

으로 여섯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이다. 이에 언제 어디서든

1시간 이내에 중증외상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권역외상

센터를 균형배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외상환자 이송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간 건강형평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권역외상

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내 외상진료 및 신속이송체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지역사회 중증외상 관리체계의 중추기관

으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 의료안전망 및 보건

의료수준 향상을 하고자 이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외

상환자의 예방가능사망률을 35.2%(2010년 통계)에서 권역

외상센터 설치 및 관리체계가 완료되는 2020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20% 이하로 낮추는 것(연간 3,573명 추가생존 가

능)이 이 사업의 목표이다[2].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운영현황

2016년도 응급의료통계연보에 의하면, 현재 운영 중인

응급의료기관은 유형별로 권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 지역

응급의료센터 120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262개소, 소아

전문응급의료센터 9개소, 화상전문응급의료센터 1개소, 권

역외상센터 16개소가 있다[7]. 이 중 권역외상센터는 해당

권역 내 발생한 중증외상환자의 최종치료기관으로서 상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수술 및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응급의

료기관이다. 종적(외상의 예방, 환자이송, 진료 및 재활에

이르는 시간 순차적 개념)과 횡적(치료 시 다학제 접근의 개

념) 접근을 아우르는 포괄적 외상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권

역외상센터에는 외상팀 구성이 필수적이며, 각 과 전문의

가 포함된 활성화 팀과, 전담전문의 및 지원전문의 또한 필

요하다[8].

‘외상팀’은 외상환자 진료 및 외상센터 업무를 하는 팀을

말한다. 현재는 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응급

의학과 전문의에 기타 임상과목 전문의, 간호사 및 기타

인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상팀 내에서 최소 활성화

팀원(외상외과[외과, 흉부외과] 전문의 2인 이상, 신경외과

전문의, 응급의학과 전문의)이 포함된 ‘활성화 팀’을 구성하

여야 한다. 활성화 팀은 활성화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 내

원 시 활성화 팀원이 10분 이내에 외상소생구역에 도착해

야 한다. 이 기준은 Table 1 과 같다[8]. 기본적으로 생리학

적, 해부학적, 손상기전 등으로 중증외상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권역외상센터는 외상환자 진료 지원을 요청하기 위

하여 다음과 같은 과목(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내과,

안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이비인

후과, 치과) 전문의 등의 상시 당직체계를 운영하여야 하며,

지원 요청을 받은 전문의는 활성화 팀에서 호출 후 ‘60분 이

내’에 환자 진료에 응하여야 한다.

Page 3: 임 남 규·강 동 희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 · 2018-12-18 ·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712 대한의사협회지

J Korean Med Assoc 2018 December; 61(12):710-714

‘외상센터 전담전문의’는 권역외상센터 전담근무 명령을

받고 외상환자의 진료와 그에 수반되는 업무를 담당하는 전

문의이며, ‘외상센터 지원전문의’는 의료기관 내 해당과의 업

무를 수행하면서 외상환자의 진료를 지원하는 전문의를 말

한다[8]. 권역외상센터는 국가사업인 만큼 국비로 시설비

(80억 원+α) 및 운영비(전담 전문의 연봉 1.44억당직비 일

30-50만 원) 지원을 하며, 운영비 지원은 현재 전담전문의

가능 과목(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응급의학과, 마취통증

의학과, 영상의학과)에만 적용된다[8,9].

외상 및 응급 환자 처치에 있어서

성형외과의 역할

오늘날 성형외과라 하면 흔히 미용성형을 떠올린다. 실제

성형외과는 크게 미용 분야와 재건 분야로 나뉘며, 현재도

많은 성형외과의가 외형의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을 증진시키

는 미용 분야에서 일을 한다. 하지만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미용과 재건 분야는 동떨어져 있지 않다. 성형외과학의 발전

을 역사적으로 볼 때,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재건하기 위한

노력이 동시에 미용 분야의 발전을 유도하였고[10], 특히 기

능뿐 아니라 미관도 중요한 안면부 재건에서는 재건과 미용

은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11]. 이렇게 지난 반세기 동안 많은

학문적인 발전을 이룩한 성형외과는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

로 응급실을 내원한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중증외상 기준인 자동차 사고 혹은 낙상,

폭발로 인한 외상은 흔히 두경부 및 수부 외상, 조직 결손을

유발하며, 이 경우 성형외과 개입은 필수적이다[12-14]. 또

한 생체징후가 쉽게 흔들릴 수 있는 소아 낙상으로 인한 손

상[15], 난폭한 동물에 의한 손상[16] 등은 성형외과에서 전

담하여 치료 가능한 범위이다.

외상환자에 대한 성형외과의 역할을 통계적으로 파악하

기 위해,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된 본원의 응급실 내원 환자

대비 성형외과 진료 건수를 분석하였다. 2017년도 1월에서

12월까지 1년간 (1) 응급실 전체 내원 환자 중 성형외과 진

료 건수, (2) 응급실 내원 외상환자 중 성형외과 진료 건수,

(3) 응급실 내원 중증외상환자 중 성형외과 진료 건수를 비

율로 대비하여 비교하였을 때, (1)은 약 5.2%였지만, (2)는

16.0%, (3)은 13.2%로, 성형외과에서 응급실 내원한 일반

환자보다 외상환자를 약 3배 가량 많이 진료함을 알 수 있

었다(Figure 1). 이를 통해 성형외과가 외상 및 중증외상환

자 진료에 있어서 필요한 과임을 통계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서

성형외과의 참여방안

이처럼 중증외상환자 처치에 있어서 필요한 성형외과는

현 제도 하 외상 전담 분야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에 성형외

과의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참여방안을 제언하자면, 첫째,

현재 전담 전문의가 가능한 7개과에 성형외과가 추가되는

Table 1. Criteria of severe trauma patients[8].

Criteria of severe trauma patients

1. Physiological criteriaA. Repiratory obstruction/Hypopnea/Airway intubation stateB. Adult: respiratory rate <10 or >30 times/min or systolic blood

pressure <90 mmHg or heart rate >100 bpmC. Glasgow Coma Scale <13D. Need blood transfusion

2. Anatomical criteriaA. Penetration: Head and neck, chest, abdomen, extremity (proximal to

elbow and knee)B. Flail chestC. Open or depressed skull fractureD. ParalysisE. Orthopedics: pelvic bone fracture, two or more proximal long-bone

fractures, crushed, degloved, or mangled extremity, amputation proximal to wrist and ankle

3. Trauma mechanismA. Fall: adult >20 feet, children >10 feetB. High-risk auto crash

ⅰ. Intrusion: >12 inches, occupant site >18 inches any siteⅱ. Ejection (partial or complete) from automobileⅲ. Death in same passenger compartmentⅳ. Vehicle telemetry data consistent with high risk of injury

C. Traffic accident: pedestrian / bicyclist thrown, run over, or with significant impact (>20 mph)

4.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 judgement

Criteria of severe trauma patients.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line for operation of regional trauma center for 2016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8].

Page 4: 임 남 규·강 동 희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 · 2018-12-18 ·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권역외상센터에서의 성형외과 참여방안 713

Lim NK · Kang DH·Plastic surgery at regional trauma and emergency centers

방안이다. 이때는 성형외과 전문의가 외상전담전문의로써

역할을 수행하며 현행 규정 상으로는 외상 진료만 가능하다.

둘째, 지원전문의로서 참여하는 방안이다. 이 경우 일반 진

료를 병행할 수 있지만 외상팀에 속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중 중증외상 환자 치료목적에 있어 가장 합리적인 방안

은 첫 번째이다. 하지만 현재 타 과의 외상전담전문의 채용

도 힘든 상황에서 외상 진료만 보는 성형외과 외상전담전문

의의 실효성에 의문이 생긴다. 이에 우선적으로 외상 전담을

하되, 이외 시간은 일반 진료도 일정 수준 가능하다면 현실

적인 대안이 되겠다.

결론

오늘도 병원에서는 성형외과가 응급 및 외상 환자 처치

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많은 환자를 진료한다. 특히

안면부 재건과 미세수술은 타 과에서 접근하기 힘든 고유

의 영역이며, 중증외상 치료에서도 필수적이다. 하지만 제

도적 한계로 현재 성형외과가 중증외상 전담에 배제되어

있어, 본 문헌을 통하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에서 성형외

과의 역할과 필요성을 설명함과 동시에 제도적인 개선을

통한 참여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찾아보기말: 외상센터; 응급치료; 성형외과

ORCIDNam Kyu Lim, https://orcid.org/0000-0002-0964-983X

Dong Hee Kang, https://orcid.org/0000-0002-6673-9655

REFERENCES 1. Yoon HD. Background and progress of regional trauma center

development. J Korean Med Assoc 2016;59:919-922.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 for installation of

regional trauma center for 2013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ited 2018 Oct 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3. Semer NB, Sullivan SR, Meara JG. Plastic surgery and global health: how plastic surgery impacts the global burden of surgical disease.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10;63:1244-1248.

4. Gupta A, Niyazi MS, Tiwari VK. A historical review of the reconstruction of hand injuries. Arch Plast Surg 2017;44:472-473.

Figure 1. The statistics of the emergency/trauma/severe trauma patients treated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in 2017. a) Percentage of plastic surgery patients among trauma patients. b) Percentage of plastic surgery patients among severe trauma patients. c) Percentage of plastic surgery patients among all emergency patients.

20%

15%

10%

5%

0%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Average

a)

b)

c)

Perc

enta

ge

Page 5: 임 남 규·강 동 희 단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Plan for plastic surgeons ... · 2018-12-18 · 365일 24시간 교통사고, ... 현재 권역외상 및 응급센터

714 대한의사협회지

J Korean Med Assoc 2018 December; 61(12):710-714

5. Sabino JM, Slater J, Valerio IL. Plastic surgery challenges in war wounded I: flap-based extremity reconstruction. Adv Wound Care (New Rochelle) 2016;5:403-411.

6. Kwasnicki RM, Hughes-Hallett A, Marcus HJ, Yang GZ, Darzi A, Hettiaratchy S. Fifty years of innovation in plastic surgery. Arch Plast Surg 2016;43:145-152.

7.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yearbook [Internet].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7 [cited 2018 Oct 15]. Available from: http://www.e-gen.or.kr/nemc/main.do.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line for operation of regional trauma center for 2016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8 Oct 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anges to the operation cost of the regional trauma center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8 Oct 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10. Barone M, Cogliandro A, Persichetti P. Ethics and plastic surgery/what is plastic surgery? Arch Plast Surg 2017;44:90-92.

11. Choi J. Faces of the face. Arch Plast Surg 2017;44:251-256. 12. Yun S, Na Y. Panfacial bone fracture: cephalic to caudal. Arch

Craniofac Surg 2018;19:1-2. 13. Kim J, Choi JH, Chung YK, Kim SW. Panfacial bone fracture

and medial to lateral approach. Arch Craniofac Surg 2016;17: 181-185.

14. Kim HS, Kim SE, Lee HT. Management of Le Fort I fracture. Arch Craniofac Surg 2017;18:5-8.

15. Jeon BJ, Lee JI, Roh SY, Kim JS, Lee DC, Lee KJ. Analysis of 344 hand injuries in a pediatric population. Arch Plast Surg 2016;43:71-76.

16. Roy M, Plant MA, Snell L. A shark attack treated in a tertiary care centre: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Plast Surg 2018;45:80-84.

Peer Reviewers’ Commentary

응급의료에서는 다학제적인 접근이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는 7개 전문과목으로만 되어있으며 성형외과는 빠져있는 상황이

다. 이 논문에서는 성형외과 참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외

상 환자 중 성형외과 비율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전체 외상환자

의 16%, 중증외상의 13.2%가 성형외과 환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형외과가 응급의료에서 중요한 영역이라는 점

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전담전문의

를 구하기에는 어려운 여건이므로 외상전담전문의로 활동은 우

선시 되어야 하지만 이외 시간은 일반진료도 일정 수준 가능하

게 하자는 좋은 대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성형외과

영역은 응급의료에서 전담전문의로서 필수적이지만 일부 일반

진료를 허용하는 조건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

안해 주고 있다.

[정리: 편집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