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2005. 12 이상우/이인찬 연구보고 05 1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2005. 12

이상우/이인찬

연구보고 05-10

Page 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서 언 1

서 언

우리나라에서 진정한 의미의 다채널 방송이 시작된 지도 이제 어언 10년이 지났

습니다. 1995년 종합유선방송의 개국으로 시작된 다채널방송은 2002년 위성방송의

도입으로 본격적인 경쟁체제에 들어갔습니다. 출범한 지 10년이 지난 현재, 케이블

TV의 가구는 1,200만을 넘어섰고 출범 3년째인 위성방송은 세계 어느 국가들보다

도 가입자 확보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인 성

과와는 달리, 우리나라 다채널 방송시장의 현황은 그리 밝다고 할 수 없습니다. 우

선 대다수 가구들이 저가형 케이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유료

방송 시장이 형성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종합유선방송의

도입부터 시작되었던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의 이원적 시장구조는 현재까지도 유료

방송시장의 가격구조가 정상화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질

의 서비스를 상당히 낮은 가격에 제공하 던 중계유선방송은 종합유선방송의 보급

에 치명적인 향을 주었고, 1998년 채널 티어링의 도입과 함께 가격을 낮추기 시작

한 종합유선방송은 중계유선방송의 대규모 가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중계유선방

송과 비슷한 수준으로 가격을 하락시킬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가의 치열한 경쟁환

경 구조로 인하여 가입자들은 유료방송의 낮은 가격을 당연시하게 되었고 최근까지

도 유료방송 가입자의 대부분이 저가 티어링에 가입되어 있는 문제점을 양산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이 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에 대한

수신료 제공을 어렵게 만들고, 저가의 수신료 수입에 의존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비 투자가 줄어들게 되며, 이는 결국 시청률 저하고 이어

지면서 케이블 TV 산업의 악순환 구조를 형성시키고 있습니다.

유료방송의 저가 구조는 종합유선방송에 비해 고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방

송의 가입자 확보에도 부정적인 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위성방

Page 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2

송의 경우에는 공익성을 강조한 초기 사업계획과 왜곡된 지분구조 등으로 인해 수

직적 계열화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고 요금규제, 인기 있는 콘텐츠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케이블TV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구

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핵심적인 채널이라고 할 수 있는 지상파 방송의 재송

신이 2005년 초까지도 불가능한 상태에서 가입자 확보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었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2005년 초부터 위성방송이 지상파 재전송을 시작함에 따라, 케이블과 위성의 가

입자 확보 경쟁이 한층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다수 채널의 중복으로 인해

내용상의 차별은 거의 발견하기 힘들고, 그로 인해서 판매 전략에서도 각종 경품제

공과 출혈경쟁 등 탈법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차원에서 볼

때, 케이블과 위성의 정상적인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감

시와 지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한편, 향후 통신사업자들이 자체 네트워크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IPTV 서비스의

제공을 준비중인 가운데, IPTV 서비스의 시장획정을 놓고 많은 논란이 일어나고 있

습니다. IPTV의 유료방송시장 도입은 유료방송시장을 활성화시켜 건전한 경쟁환경

을 조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거대 자본을 바탕으로 한 통신사

업자들의 IPTV 서비스 제공은 기존 유료방송사업자들의 몰락을 가져올 것이라는

비판적인 시각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의 현황을 실증적 데이터에 기반

을 두고 분석하려는 작은 시도로 시작되었습니다. 제2장에서는 국내에서 케이블TV가

도입된 이후, 중계유선과 케이블 TV, 위성방송으로 이어지는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

쟁구조를 역사적으로 살펴봅니다. 제3장에서는 케이블TV 산업에서 주요 이슈로 부각

되고 있는 수평적 소유규제의 문제를 자세히 분석합니다. 현재 매출액과 방송권역 수

로 제한받고 있는 국내 MSO의 수평결합 규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수평규제

방식의 대안을 제시합니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에 대해

서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경쟁권역과 독점지역간 케이블 TV서비스의 가격, 서비스,

Page 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서 언 3

수요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동일지역

SO의 합병이슈에 대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제6장에서는 미국에서 케이블 TV와 위성

방송 간 경쟁 이슈를 자세히 분석하고, 국내의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의 경쟁상황을

살펴봅니다. 제7장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정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이인찬 선임연구위원과 이상우 연구위원이 함

께 진행하 습니다. 이들의 노고를 위로합니다. 또한 방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연구에 큰 도움을 준 신호철 주임연구원, 강경희 연구원, 김윤정 연구원에

게도 감사를 전합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상황에 대한 실증적인 연

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2005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이 주 헌

Page 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Page 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5

목 차

서 언 ····················································································································1

요약문 ··················································································································11

제 1장 서 론 ·····································································································17

제 1절 케이블TV는 디지털 컨버전스의 핵심 산업 ········································17

제 2절 융합과 케이블TV 산업의 규제완화 ·····················································18

제 3절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쟁에 관한 분석 ·················································18

제 4절 케이블TV 시스템 수준의 데이터에 기초한 실증분석 ·························19

제 5절 본 연구의 구성 ····················································································20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22

제 1절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 변화 ························································22

1. 종합유선방송의 도입과 이원적 경쟁구조 ··················································23

2. 시장구조의 변화: 독점과 복점의 혼재(2001∼현재) ··································28

3. 중계유선방송의 쇠퇴 ··················································································30

제 2절 위성방송의 도입과 성장 ······································································32

1. 디지털 위성방송의 도입(2002∼) ·······························································32

2. 위성방송의 성장 ·························································································34

제 3절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쟁과 성장 ·························································35

1. 매체 간 경쟁과 산업의 성장 ······································································35

2. 다채널 방송산업의 시장성과 ······································································41

제 4절 가격 및 서비스 변화 ···········································································47

1. 케이블TV 가격 및 서비스 변화 ·································································47

Page 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6

2. 위성방송의 가격과 서비스 ·········································································51

3. 가격-서비스 조합의 변화 방향 ································································52

제 5절 케이블TV 사업자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53

1. SO의 초고속인터넷서비스 현황 ·································································53

2. 케이블TV와 묶음 상품 ···············································································56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60

제 1절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도 ····························································60

1. 규제완화와 MSO의 형성 ············································································60

2. 케이블TV 산업의 MSO 형성과정과 특징 ··················································61

3. 케이블TV 산업의 시장집중도 ····································································71

제 2절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 규제 ···················································75

1.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 논거 ···················································75

2. MSO의 경제사회적 비용과 편익 ································································82

3.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 규제 기준 ·················································88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94

제 1절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구조와 경쟁 ··················································94

1.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구조 ······································································94

2. MPP의 성장과 시장 집중도 ······································································102

제 2절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성과 ·····························································108

1. 프로그래밍 산업의 매출액 구조 변화 ······················································108

2. 위성방송과 케이블TV의 경쟁과 프로그래밍 산업 ···································116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20

제 1절 서 론 ································································································120

1. 분석의 의의 ······························································································120

2. 기존 연구 ·································································································120

Page 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7

제 2절 경쟁권역과 독점권역의 특징 ·····························································123

1. 독점권역과 경쟁권역 ················································································123

2. 시장구조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효과 ························································127

3. 동일권역 경쟁 SO간의 합병문제 ······························································132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37

제 1절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미국의 경우 ·············································137

1. DBS의 성장과 MVPD로 시장획정 ···························································137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관한 실증연구 ·······································138

3. 경쟁과 대응 ······························································································141

제 2절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한국의 경우 ·············································142

1. DBS의 성장 ······························································································142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관한 실증연구 ·······································143

제 3절 케이블TV와 DBS의 경쟁과 정책과제 ···············································146

1. MVPD 시장 획정 ······················································································146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공정경쟁 ····························································147

제 7장 결 론 ···································································································155

참고문헌 ·············································································································160

Page 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8

표 목 차

<표 2-1> 지역별 SO와 RO의 경쟁구도 ···························································24

<표 2-2> 6대 도시 137개 RO의 가격과 채널 ·················································26

<표 2-3> MVPD 사업자 수의 변화 ·································································29

<표 2-4> 중계유산방송사업자의 지역별 분포현황 ··········································30

<표 2-5> 위성방송 도입 당시 채널 수 및 채널구분(2002년) ··························33

<표 2-6> 위성방송의 가입자 수 변화 ·····························································34

<표 2-7> 일본과 미국의 위성방송 보급률 ······················································34

<표 2-8> 종합유선과 중계유선의 가입자 경쟁 ···············································37

<표 2-9> 다채널방송서비스 가입가구 추이 ·····················································39

<표 2-10> 종합유선, 중계유선, 그리고 위성방송의 지역별 가입률 분포 ······· 41

<표 2-11> 케이블TV 산업의 매출액 구성비 추이 ···········································42

<표 2-12> 위성방송의 가입자수 및 매출액 구성비 변화 ································46

<표 2-13> 케이블TV 묶음 서비스 현황 ··························································48

<표 2-14> 위성방송 묶음 서비스 현황: 가격, 채널 수 및 가입자 ··················51

<표 2-15> 케이블TV 사업자(SO)의 초고속인터넷접속서비스 제공 현황 ········54

<표 2-16> 초고속인터넷서비스의 사업자별 가입자 수 추이 ··························55

<표 3-1> 주요 MSO사업자의 SO 인수․합병 변화과정 ·································65

<표 3-2> 주요 MSO사업자들의 클러스터 형성 현황 ······································68

<표 3-3> MSO 현황 ························································································72

<표 3-4> 케이블TV 산업 시장집중도의 변화 ··················································72

<표 3-5> 미국 다채널방송(MVPD) 시장의 집중도 변화 ·································73

<표 4-1> 프로그래밍 수의 변화 ····································································100

Page 1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9

<표 4-2> 프로그래밍의 시기별, 장르별 진입 퇴출 ········································101

<표 4-3> 매출액 기준 PP 산업의 시장집중도 변화 ······································104

<표 4-4> MPP의 매출액 분포 ········································································104

<표 4-5> 상위 20위 채널의 장르별 분포 현황 ··············································107

<표 4-6> PP의 매출액 구성 변화 ··································································109

<표 4-7> PP의 수신료 수입과 티어 가입자와의 관계 ···································113

<표 4-8> 수신료 수입과 광고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의 차이 ·························115

<표 4-9> 케이블TV와 위성방송에 송출되는 채널 현황 ································116

<표 4-10> 케이블TV 시청률 상위 20위 채널들의 위성방송 송출 현황 ··········117

<표 4-11>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PP 수신료 배분 비율 비교 ·····················118

<표 5-1> 지역별 독점권역, 경쟁권역, 그리고 실질적 경쟁권역 분포 ···········125

<표 5-2> MVPD 통계 변수의 정의 및 측정 ·················································127

<표 5-3>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의 비교 ··························································130

<표 5-4> 경쟁권역에서 경쟁하는 두 SO의 비교 ···········································132

<표 6-1> 미국 MVPD 시장에서 케이블TV와 DBS의 점유률 추이 ···············137

<표 6-2> 다채널방송서비스 가입가구 추이 ···················································142

Page 1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0

그 림 목 차

[그림 2-1] 케이블TV의 유료시청 가입자 증가 추이 ·····································36

[그림 2-2] 케이블TV 산업에서 광고매출액과 수신료 수입의 비중 ···············44

[그림 2-3] 방송 매출액과 인터넷 매출 비중 ·················································45

[그림 2-4] RO의 SO 전환에 따른 경쟁증가와 묶음상품의 변화 ···················47

[그림 3-1] 케이블TV 방송 권역의 잠재가입가구의 분포 ······························93

[그림 4-1] 프로그래밍 산업의 매출액 비중 추이 ········································111

Page 1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요약문 11

요 약 문

1. 연구개요

가. 발간종별 연구보고 05-10 나. 발주기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다. 연구과제명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라. 수행기간 2005. 1. 1∼2005. 12. 31마. 주관부서 통신방송연구실

바. 연 구 자 이상우, 이인찬

2. 연구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에는 현재 케이블 TV와 유사한 매체로 중계유선방송, 위성방송 등이 있

는데, 방송법에서는 이들이 서로 다른 역무를 제공하는 별개 사업자로 간주되고 있

으며, 서로 다른 규제의 적용을 받고 있다. 문제는 이들 서비스들이 다채널 편성을

통해 방송프로그래밍을 유료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다채널 방송산업에서 상호 경쟁

하고 있는 서비스들이라는 것이다. 서비스의 구성과 소비자의 인식 그리고 정책적

고려 등은 이미 이들 서비스들을 상호 경쟁하는 서비스로 보고 있다. 결국, 이들 서

비스들은 동일한 시장으로 획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MSO의 소유규제 등 케이블TV

산업에 대한 정책을 논의 할 때, 이들 경쟁서비스들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상황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루

어져야 한다. MSO에 대한 소유규제를 완화하자거나 위성방송과 케이블TV를 동일

한 시장으로 획정해야 한다는 논의가 실증분석에 근거하지 않는다면 공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케이블TV와 위성방송에 대한 정책을 논의할 때, 중계유선, 종합유선,

위성방송 등의 경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중계유

Page 1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2

선과 종합유선이 상호경쟁하고 있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이원화되었던 법 및 규제체

계를 2000년 방송법 시행을 통해 일원화하 듯이,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라 새로운 시장의 획정과 규제체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케이블TV 산업의 구조와 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케이블TV와 위성

방송과의 경쟁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하는 첫 번째 시도라 할 수 있다.

3. 연구목표

본 연구는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상황이 1995년 이후 현 시점까지 어떻게 변화

되어 왔는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2004년 현재의 경쟁상태에 초점을 맞추

어 중계유선방송, 종합유선방송, 위성방송 간의 경쟁상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종합유선방송 성장의 큰 걸림돌로 여겨졌던 중계유

선방송의 역할, MSO의 소유규제와 다채널 방송시장의 획정 등에 대한 의미있는 해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IPTV가 도입되어 다채널 방송시장에 본격적인 경쟁이

도입될 현 시점에서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에 대한 분석을 통해 IPTV 도입을 위한

규제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4. 연구결론 및 시사점

우리는 케이블TV 산업을 중심으로 다채널 유료방송의 시장구조 변화와 성과분석

을 통해 케이블TV, 위성방송이 상호 경쟁하는 다채널 방송산업의 변화를 실증적으

로 살펴보았다.

지난 10년의 케이블TV 산업 역사에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이원화된 산업구조의

일원화 과정이었다. 2000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종합유선으로 케이블TV 산업이 성

공적으로 일원화되면서 중계유선방송은 다채널방송시장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

Page 1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요약문 13

다. 그러나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 방송과의 경쟁을 통해서 케이블TV 산업은 비

교적 낮은 수준의 가격에 보다 많은 채널을 공급하는 가격-채널 조합으로 균형을 이

루고 있다.

2002년 위성방송의 도입으로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은 상이한 기술을 가진 매체간

경쟁상태로 전환되었다. 종합유선과 위성방송의 가입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위성방송과 케이블이 아직까지 본격적인 경쟁상태에 접어들었다고 말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위성방송과의 경쟁에 위협을 느낀 케이블 사업자들은 케

이블 모뎀을 통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성방송과 차별화된 서비

스를 제공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위성방송에 대한 케이블TV의 경쟁력은 단일

한 망을 통해 방송과 초고속서비스 등 다양한 결합상품을 제공함으로써 범위의 경

제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케이블TV 사업자들 중에서, 자신들의 망을 통

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사업자들의 비중이 늘고 있고, 이들의 가

입자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케이블TV산업의 시장집중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MSO의 소유규제에 대한

문제가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MSO 소유규제 상한 기준이 매출액

과 권역이 혼재된 비합리적인 규제가 적용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가입자 기준의 새

로운 MSO 소유규제 상한 기준을 제시하 다. 가입자 기준은 지역적 독점시장을 형

성하고 있는 MSO의 시장력을 가장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통계이기

때문이다.

MSO의 소유제한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점은 시장획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

채널 방송시장에서 시급히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는 케이블TV와 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매체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장획정에 대해 진지하게

논하는 것이다. 향후, IPTV가 도입되어 위성방송과 케이블TV와 경쟁하는 경우, 각

서비스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을 추구할 것이고, 다양한 서비스들의 상호 공

정경쟁을 위한 일원화된 소유규제기준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프로그래밍 전송매체들은 프로그래밍의 차별성을 통한 경쟁보다는 가격경

Page 1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4

쟁을 통한 가입자 뺏기에 매진하 던 측면이 강하다. 특히,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의

경쟁, 그리고 경쟁권역에서 두 SO간의 경쟁,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 등으로

다채널 방송시장은 낮은 수준의 균형가격을 형성하 고, 이는 PP들의 수신료 수입

또한 낮은 수준이 되게 하 다. 이는 결국, PP 산업에서 새로운 프로그래밍의 진입

을 저해하고, 과감하고 혁신적인 투자를 저해하 다. 새로 진입한 PP들도 중계유선

의 종합유선 통합으로 넓어진 가입자 기반을 목표로 하여 수신료 수입보다는 광고

나 기타수입을 주된 목표로 하여 투자는 적게 하고, 가입자 도달율은 높이는 전략을

취하 다.

케이블TV 산업에서의 시장구조가 가격, 서비스 및 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는데,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을 비교해 본 결과, 경쟁권역이 독점권역에 비해 침투

율이 훨씬 높다는 것을 발견하 다. 이는 경쟁권역이 독점권역에 비해 가격이 낮고

서비스의 질(채널 수)이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위성방송의 가입자수는 독점권역보

다 경쟁권역에서 현격하게 낮다는 것을 발견하 다.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의 시장조

건이 다르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이러한 차이는 경쟁권역에서 두 개 이상

의 SO들이 경쟁하면서 더 낮은 가격에 많은 채널들을 제공하면서 케이블TV의 가입

자가 증가하 고, 이는 위성방송의 매력도를 떨어뜨릴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실증분석 결과는 경쟁권역에서의 SO 합병문제에 시사점을 던진다. 경쟁권역이 독

점권역보다 가격이 낮고, 서비스의 질이 높다는 실증적 분석결과는 경쟁권역이 독

점권역에 비해 경쟁으로 인한 효율성이 증가하면서 소비자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있

음을 의미한다. 만일 위성방송이 케이블TV에 대한 경쟁매체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

한다면 SO의 합병은 소비자의 선택에 부정적 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위성방

송이 케이블TV에 대한 경쟁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면 경쟁권역에서의 SO 합병은 허

용될 수 있다. 결국, 경쟁권역에서의 SO 합병이슈를 논하기 위해서는 위성방송이 케

이블TV에 경쟁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대한 전국대상 설문조사에서 케이블

TV와 위성방송 은 대체 관계에 있음을 밝힘으로써 두 서비스 간 공정경쟁을 위한

Page 1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요약문 15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TV와 위성의 경

쟁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케이블TV 시스템 데이터를 통해서 케이블TV와 위성

방송 간의 경쟁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위성방송의 성장에 대해 케이블TV

SO는 각각 어떠한 대응전략을 펴왔으며, 특히, 위성방송 침투율의 증가가 케이블

TV 가격에 어떠한 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다채널 방송시장은 2000년까지 중계유선과 종합유선방송의 경쟁, 그

후 종합유선방송과 위성방송의 경쟁양상을 취하면서 발전하고 있고 이제 IPTV의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기술혁신에 의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도입되는 경우,

기존의 생산 및 유통방식 등은 이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밖에 없다. 특히, 그 기술이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경우, 기존사업자의 변화의 폭은 더욱 크고, 변화의 속도는 더

빨라야 한다. 그러나 방송산업은 기존 규제를 고수하고 기존 규제 틀 안에서 기득권

을 유지하려는 사업자들의 움직임이 있어 왔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간, 매체간 상호 진입과 경쟁이 활발히 전개되는 상

황에서 기술발전에 걸맞는 정책 및 규제체계를 수립하는 일은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경쟁관계의

형성은 관련한 법과 규제의 변화를 요구한다.

Page 1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Page 1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1장 서 론 17

제1장 서 론

제1절 케이블TV는 디지털 컨버전스의 핵심 산업

우리는 지난 1990년대 이후부터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확

산으로 이전에는 독립적이었던 방송/ 상/통신 산업의 세부 산업들의 경계가 모호

해지면서, 서로 다른 산업부문으로 상호 진입하는 소위 융합을 목격하고 있다. 기존

의 사업자들뿐 아니라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이 진입한 사업자들은 규모 및 범위의

경제를 추구하기 위해 관련된 다양한 시장에 진출하면서 융합은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디지털화와 융합은 매체간의 경계는 물론이고 이종 산업 간의 경계도 허물어

뜨리고 있어 상호간의 경쟁은 더욱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융합현상의 핵심에는 케이블TV 산업이 있다. 케이블TV는 지난 10년간 매

우 역동적인 산업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중계유선방송과의 이원화된 산업구조와

규제체계가 일원화되고, 중계유선의 전환으로 전국 가구의 90% 이상이 케이블TV를

통해 다채널 상정보를 즐기고 있다. 최근에는 케이블모뎀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면서 유선통신사업자들과 경쟁을 벌이면서 시장점유률을 높여가고 있

다. 2005년 하반기에는 인터넷전화(VoIP) 사업을 위한 기간통신사업자 허가 심사를

신청하는 등 융합을 선도하고 있다. 바야흐로 케이블TV 사업자들은 케이블망을 이

용하여 음성, 데이터, 비디오를 망라하는 소위 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 triple play

service)를 제공하게 되면서 통신방송 융합의 핵심 산업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케이블TV 업계는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뿐 아니라 VOD, t-commerce

등 다양한 양방향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디지털 케이블TV로의 전환을 활발히 추진

하고 있다.

Page 1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8

제2절 융합과 케이블TV 산업의 규제완화

이러한 기술적 흐름과 케이블TV산업의 대응을 반 하여 케이블TV 산업에 대한

규제완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04년 3월말에는 방송법 개정을 통해 케

이블TV 시스템(SO; system operator)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가 전면적으로 허용되었

고, 외국인의 특정 SO에 대한 소유지분 상한도 종전의 33%에서 49%까지 확대하

다. 이러한 대기업과 외국인에 대한 소유규제 완화는 융합시대에 케이블TV 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관측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기업과 외국자본의 케이블TV SO에 대한 투자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복수케이

블방송사업자(MSO; multiple system operator)에 집중되고 있다. 한 두 개의 SO는 대

규모 투자를 유인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시장규모를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

국인과 대기업의 SO 투자는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는 대규모 MSO에 집중되

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자본의 케이블TV 시스템에 대한 소유규제 완화는 다음 단

계에서 MSO에 대한 소유규제 상한에 대한 논의를 수반하게 된다.

제3절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쟁에 관한 분석

MSO의 소유규제를 논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문제는 시장획정이다. 우리

나라에는 현재 케이블 TV와 유사한 매체로 중계유선방송, 위성방송 등이 있는데,

방송법에서는 이들이 서로 다른 역무를 제공하는 별개 사업자로 간주되고 있으며,

서로 다른 규제의 적용을 받고 있다. 문제는 이들 서비스들이 다채널 편성을 통해

방송프로그래밍을 유료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다채널 방송산업에서 상호 경쟁하고

있는 서비스들이라는 것이다. 서비스의 구성과 소비자의 인식 그리고 정책적 고려

등은 이미 이들 서비스들을 상호 경쟁하는 서비스로 보고 있다. 결국, 이들 서비스

들은 동일한 시장으로 획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MSO의 소유규제 등 케이블TV 산

Page 2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1장 서 론 19

업에 대한 정책을 논의할 때, 이들 경쟁서비스들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방송계에서 가장 화두로 등장하는 MSO의 소유규제 문제, 위성방송과의 공

정경쟁 문제, 프로그래밍 접근 문제, IPTV 도입문제 등은 다채널 방송시장의 시장

획정에 대한 논의를 요구하고 있다.1) 이를 위해서는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상

황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MSO에 대한 소유규제를 완

화하자거나 위성방송과 케이블TV를 동일한 시장으로 획정해야 한다는 논의가 실증

분석에 근거하지 않는다면 공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케이블TV와 위성방송에 대

한 정책을 논의할 때, 중계유선, 종합유선, 위성방송 등의 경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이 상호경쟁하고 있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이원화되었던 법 및 규제체계를 2000년 방송법 시행을 통해 일원

화하 듯이,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라 새로운 시

장의 획정과 규제체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케이블TV 산업의 구조와 성

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케이블TV와 위성방송과의 경쟁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고자하는 첫 번째 시도라 할 수 있다.

제4절 케이블TV 시스템 수준의 데이터에 기초한 실증분석

종합유선방송이 시작된 지 10년이 지났고 위성방송이 도입된 지 3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상태에 관한 심층적 분석을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많은 연구들이 종합유선방송의 도입 이후, 규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케이블 시

장의 구조, 행위, 성과를 다루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실증적 자료에 기

초하고 있지 않거나 케이블TV 시장의 권역별, 사업자별 자료에 의존하기 보다는 전

체 케이블 산업에 대한 현상적인 집계자료에만 의존하고 있다.

1) 융합은 역무를 나열하고 사업자를 일일이 특정 역무에 배정하는 방식으로 규제하는 것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는다. 융합이 진전되면 보다 폭넓은 시장으로 탄력적으로 획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2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20

그러나 최근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종합유선방송의 수평적 결합규제, 동일권역

케이블 사업자의 합병문제, 종합유선방송과 위성방송의 관련시장 획정 문제 등 다

양한 법 제도적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현상적인 분석이나 정치적인 측면

에 기초한 논의보다는 실증적 자료에 입각한 과학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국내 다채널방송시장의 경쟁상태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분석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4년 6월 현재 전국 77개 권역에 분포하고 있는 119개 SO사업자들의 상

품별 가격,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각 권역별 인구․통계․지리적

특성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 다. 또한 1995년 이후, 2004년까지 중계

유선방송사업자들과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의 권역별 경쟁상황에 대한 개별 데이터

를 시계열적으로 수집하 고, 2002년 이후 위성방송서비스의 상품별 가입자, 서비

스, 가격에 대한 자료를 각 케이블 권역에 해당하는 자료로 재구성하 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상황이 1995년 이후 현 시점까지 어

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2004년 현재의 경쟁상태에 초

점을 맞추어 중계유선방송, 종합유선방송, 위성방송 간의 경쟁상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종합유선방송 성장의 큰 걸림돌로 여겨졌

던 중계유선방송의 역할, MSO의 소유규제와 다채널 방송시장의 획정 등에 대한 의

미있는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IPTV가 도입되어 다채널 방송시장에 본격적

인 경쟁이 도입될 현 시점에서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에 대한 분석을 통해 IPTV

도입을 위한 규제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5절 본 연구의 구성

본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다채널방송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를

다루고 있다. 1995년 종합유선방송이 도입된 이후, 케이블TV 산업의 기술발전, 규

제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또한 케이블TV 산업과 중계

유선 및 위성방송과의 경쟁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케이블 TV 산

Page 2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1장 서 론 21

업에서의 수평적 결합과 정책이슈를 자세히 분석한다. 규제완화와 함께 MSO 중심

으로 케이블 TV 산업의 구도가 변화하면서 MSO의 수평적 소유규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는 매출액 기준과 방송권역 기준의 이중규제를 받고 있는 국내

MSO의 수평결합 제한 조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소유규제 방안을 제시

한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의 시장획정 문제를 제기한다. 제4장에서

는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에 대해서 살펴본다. 종합유선방송이 도입된

이후, PP 산업에서의 규제변화와 이로 인한 PP시장의 구조와 성과를 분석한다. 그리

고 위성방송이 도입되고 케이블TV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PP 산업이 어떻게 변화하

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케이블TV 산업에서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동일시장에서 2개의 SO가 경쟁하고 있

는 방송권역과 1개의 SO가 독점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권역에서 케이블

TV서비스의 가격, 서비스, 수요가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

고, 경쟁권역의 두 SO의 합병이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제6장에서는 케이블TV

와 위성방송의 경쟁을 분석한다. 미국에서 케이블 TV와 위성방송 간 경쟁 이슈를

자세히 분석하고, 국내의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의 경쟁상황을 살펴본다. 위성방송

이 출현한 지 3년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서 실증적 분석을 통한 경쟁상황을 평가하

는 것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두 시장

의 경쟁상황을 평가하고, 시장획정과 공정경쟁 관련 이슈를 검토해 보았다. 제7장에

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정리한다.

Page 2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22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제1절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다채널 방송산업은 유선기술 기반의 케이블TV산업과 무선기술 기반

의 위성방송이 상호 경쟁하는 구도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케이블TV 산업은 다시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방송이 소규모 지역 방송시장에서 상호 경쟁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위성방송은 전국적인 시장을 대상으로 한국디지털위성방송(KDB)이

케이블TV 사업자들과 상호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케이블TV 산업은 매우 독특한 시장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1990년대 중

반 비합리적인 케이블TV 정책이 도입된 이후, 이를 시정하는 정책방안이 지속적으로

도입되면서 정책변화와 함께 산업구조도 함께 변화해 오고 있다. 한국 케이블TV산업

의 시장구조는 1990년대 중반 독점구조에서 경쟁적 시장구조로 전환되었고, 최근 들

어서는 독점과 복점이 혼합된 시장구조로 바뀌었다. 케이블TV 산업에서 시장의 집중

도(market concentration)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복점적 경쟁시장도 감소하면

서 독점적 시장으로 전환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시장에서 매체내 경쟁(intra-

modal competition)은 줄어들고 있으나, 디지털 위성방송의 성장으로 기술적 특성이

다른 매체 간 경쟁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매체 간 경쟁(intermodal

competition)은 인터넷 기반의 IPTV의 도입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는 다채널 편성을 통해 방송프로그래밍을 유료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다채

널 방송산업에서 중계유선, 종합유선, 위성방송 등의 경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고자 한다. 먼저, 유선기반의 케이블TV 산업의 기술발전, 규제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분석한 후, 위성방송의 성장에 따른 다채널 방송산업의 성

장과 이에 따른 시장구조 및 성과를 살펴본다.

Page 2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23

1. 종합유선방송의 도입과 이원적 경쟁구조

가. 종합유선방송의 도입과 경쟁적 시장구조(1995∼2000)

1) 중계유선의 독점구조(∼1994)

1990년대 중반에 종합유선방송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중계유선방송이 독점적으로

유선방송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1994년 말 종합유선방송법이 제정되고 이듬해 종합

유선방송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1960년대부터 난시청을 기반으로 꾸준히 성장해 온

중계유선사업자들이 지역을 분할하여 독점적으로 유선방송을 제공하고 있었던 것이

다. 그러나 중계유선방송은 ‘다채널 유선방송’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았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은 전무한 채 지상파방송프로그램의 재전송, 지상파 방송프로그램

의 녹화방송, 그리고 외국 위성방송프로그램의(불법) 전송 등이 주된 서비스 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중계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종합

유선방송이 도입되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 중계유선방송가입자는 놀랍게도 우리

나라 전체 가구의 약 60%에 이르는 약 800만 가구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이인

찬․김도연․고동희, 1998).

2) 종합유선의 도입과 경쟁구도의 형성(1995∼2000)

폭넓은 중계유선방송 가입자 기반이 있는 상황에서 1995년 “종합유선방송”이라는

이름으로 현대적 의미의 케이블TV방송이 도입되면서 유선방송산업의 시장구조는

그동안 독점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오던 ‘중계유선방송’과 새롭게 도입된 ‘종합유

선방송’이 상호 경쟁하는 시장구조로 변모하게 된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system oprator)는 1995년 1차로 53개 사업자를 허가하

고, 1997년 2차로 24개의 SO를 추가로 허가하여 총 77개 방송권역에 77개의 종합유

선사업자를 허가하게 된다. 1997년 말 현재, 중계유선방송사업자(RO; retransmission

operator)는 종합유선방송 1차 허가지역에 329개, 2차 허가지역에 531개로 총 860개

업체가 업하고 있었다.2) 이에 따라 전국 77개 종합유선방송권역에서 기존의 중계

2) 중계유선방송 업체 수는 허가단위가 시․군․구(읍․면․동)단위로 되어 있어서

Page 2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24

유선방송사업자와 신규로 시장에 진입한 종합유선방송사업자 간의 복잡한 경쟁관

계가 형성되었다.

<표 2-1>을 보면 지역별 RO의 분포를 알 수 있는데,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 인천, 광주 지역에만 SO에 비해 2∼3배의 중계유선방송사

업자 수를 나타내고 있을 뿐, 그 외의 지역에서는 대부분 SO 수의 십여 배에서 수십

배 많은 RO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미 RO가 전국의 구석구석

까지 망을 구축하여 유선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다

채널방송사업자로서 RO의 경쟁력을 논의하기 이전에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RO를

통해(적어도 지상파 방송서비스와 녹화방송) 다채널 방송서비스를 시청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표 2-1> 지역별 SO와 RO의 경쟁구도

구분SO권역

서울부산대구인천수원대전제주광주경남충남충북경북전남전북강원 계

종합유선1차 21 8 6 5 1 2 1 2 1 1 1 1 1 1 1 532차 8(경기) 4 2 1 3 2 2 2 24

중계유선1차 40 56 18 14 11 7 13 4 17 12 23 34 38 12 30 3292차 102(경기) 102 58 33 89 59 35 53 531

자료: 이인찬 외(1999).

RO의 지역별 분포와 SO와의 경쟁구도는 1995년에서 2000년 상반기까지 RO와

SO의 경쟁, 그리고 RO의 SO 전환과 전환에 따른 SO와 SO의 경쟁 등 종합유선방송

도입이후 약 10여년에 걸친 지역별 케이블TV 산업의 성장궤적을 이해할 수 있는 단

초를 제공해 준다. 예컨대, RO의 지역별 분포는 1차 SO 허가 권역 53개에 걸쳐서

최소 1개에서 최대 38개에 이르기까지 방송권역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1차 SO 권역 중에서 RO의 수가 비교적 적었던 지역은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등 대

종합유선방송의 업체수보다 약 6.1배가 많았다.

Page 2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25

도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지역의 SO들은 대부분 1∼2개의 RO와 경쟁하는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RO의 수가 많은 곳은 전통적으로 중계유선방송이 터전을 닦

고 있던 경남, 부산을 중심으로 경기도 남부를 포함하여 서울 이남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1개 SO와 경쟁하는 RO의 수가 30 정도인 지역은 충남, 충북, 강원, 전

남, 경북지역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1990년대 하반기에 나타난 RO와 SO가 상호 경쟁하는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

는 다른 나라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독특한 구조 다. 난시청을 기반으로 하는 중계

유선방송이 기술적, 업적 진화를 통해 다채널 유료방송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대부분 국가에서 관측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발전과정이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난 30여 년간 유선방송시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해 온 중계유선방송을 배제하고,

종합유선방송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새로운 사업자, 새로운 프로그래밍을 도입하

면서 이원화된 경쟁적 시장구조를 갖기 시작한 것이다.

나. 경쟁구조의 특징

1) 수직적으로 분화된 경쟁구조

1990년대 후반의 케이블TV 산업구조는 비슷한 서비스가 상호 경쟁하는 경쟁적 시

장구조라기보다는 수직적으로 분화된(vertically differentiated) 경쟁구조라고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종합유선방송의 네트워크는 500∼750Mhz의 광동축망(HFC: hybrid

fiber-coaxial network)을 이용하여, 지상파방송의 재전송은 물론이고 30개에 가까운

전문적인 프로그래밍을 제공하 고,3) 소비자에게 잘 알려진(중계유선방송사업자 보

다) 견실한 중견기업들이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 허가받아 다채널방송서비스를 제

공하 다.

이에 비해 중계유산방송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지상파방송의 재전송과 지상파 방

송프로그램을 녹화하여 재생 송출하는 프로그램을 주축으로 몇몇 외국 위성방송프

3) 케이블TV만을 위한 화(DCN, Catch One), 뉴스(YTN), 음악(M.net, KMTV), 경제(MBN 등) 등의 전문적인 프로그램 채널을 의미한다.

Page 2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26

로그램을 송출하는 다채널방송서비스 다. 따라서 종합유선방송은 중계유선방송보

다 네트워크, 서비스의 질, 자본력 등에서 훨씬 우수한 다채널 전문유선방송이었음

에 틀림없다.

그러나 서비스 구성, 네트워크, 자본력이 우수한 종합유선방송의 시장진입에 대비

하여 상당한 가입자 기반을 갖고 있던 RO들은 채널용량을 늘리고, 다양한 전문채널

을 전송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는 등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노력하

다. 이에 따라 SO와 RO 간의 격렬한 경쟁이 전개되었다.

<표 2-2> 6대 도시 137개 RO의 가격과 채널

평균 표준편차 최대치 최소치

중계유선방송수신료(원) 3,691 406 5,000 3,000중계유선방송채널수(개) 19.5 6.6 39 9

자료: 이인찬 외(1998)

SO는 전문 케이블TV 네트워크인 29개 케이블 프로그래밍(PP; program provider)

을 포함하여 30여개의 채널을(SO의 지역적 시장특성과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전송

하 다. 이에 비해, RO는 각 RO별로 시장특성에 맞게 다양한 방송채널구성과 채널

수를 전송하 다. 특히, SO와의 경쟁에 대비하여 위성방송 중계 송신을 늘리고, 지

상파프로그램 녹화채널을 늘리면서 대항하 다. 이 당시 대부분의 RO들은 당시 허

가채널 수인 12개 채널을 초과하여 운 하 다. 이는 <표 2-2>에서 볼 수 있듯이

RO의 채널 수가 평균이 약 20개 채널인 것에 잘 나타나 있다. 즉, 지상파프로그램의

재전송 이외에 약 10∼20여개의 전문방송프로그래밍을 지역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

하여 제공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가격은 SO의 20∼30%에 불과하 고, 그것

도 지역 특성과 경쟁상황에 따라 3,000∼5,000원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제공하 다.

이에 비해 SO는 모든 방송권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동일한 가격인 월 17,000원에

제공하 다.

Page 2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27

2) 획일적 규제와 종합유선의 고전

SO와 RO 서비스의 현격한 질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종합유선의 성장은 미약하 다.

하지만 SO의 저조한 시장성과는 서비스 도입 직후 맞이한 IMF 외환위기가 아니었어

도 쉽게 예측될 수 있었던 결과 다. 케이블TV는 규모의 경제가 큰 산업으로서 가입

자 수가 늘어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한다는 믿음이 큰 산업이다. 케이블 TV가 성장

할 수 있는 수요기반인 난시청 지역의 잠재 가입자를 이미 중계유선방송에 모두 내준

상태에서 후발주자인 종합유선방송의 가입자 확보는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덧붙여서 어설픈 규제체계는 SO의 전략적 대응을 불가능하게 하 다. 규

모의 경제와 효율성을 추구할 수 없게 한 수평 및 수직결합 규제와 다양한 소유규제

는 SO의 추가적인 투자와 신규서비스 도입을 불가능하게 하 다. 또한 시장의 특성

과 관련 없이(허가 받은) 모든 채널을, 모든 권역에, 그것도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

는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강요하면서 시장진입은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소비자

가 소비하고자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소비(채널)를 높은 가격에 강요하는 종합유선방

송과 오랜 역사적 경험과 축적된 시장정보, 그리고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하

고 있는 중계유선방송과의 경쟁 결과는 쉽게 예측할 수 있었던 것이다(이인찬․김

도연․고동희, 1998)

3) 이원화된 경쟁: 서로 다른 규제와 법체계

1990년대 하반기 우리나라 케이블TV산업의 시장구조와 관련한 또 하나의 특징은

다채널 유선방송시장에서 종합유선방송과 중계유선방송이라는 두 서비스간의 경쟁

이 서로 다른 규제와 서로 다른 법체계 하에서 이루어진 이원화된 경쟁구조 다는

것이다.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방송이라는 이원적인 시장구조는 시장성과로 보

면 서비스의 질로 이분한 모습이지만 이는 시장경쟁의 결과는 아니었다. 사업자들

이 가격경쟁을 피하기 위해 서비스의 질을 차별화하고 소비자를 분할한 것이 아니

고, 케이블TV시장에서 종합유선방송과 중계유선방송이라는 두 개의 별도 사업을

개별적인 법으로 사업을 하도록 한 종합유선방송정책의 결과 다.

동일한 시장에서 두 서비스가 경쟁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규제체계와 게임의

Page 2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28

법칙 하에서 경쟁하면서 상호 갈등구조와 함께 불공정 행위가 만연하 다. 이인찬․

윤충한(2000)이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듯이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방송은 상호 대체

적인 방송서비스다. 따라서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하는 이 두 서비스는 동일한 시장에

서 동일한 법과 규제체계에서 상호 공정경쟁을 하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했다.

2. 시장구조의 변화: 독점과 복점의 혼재(2001∼현재)

가. 규제완화와 RO의 SO 전환(2001∼2003)

종합유선방송과 중계유선방송의 이원적 경쟁구조와 종합유선방송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케이블TV 산업 성장의 걸림돌이라는 인식하에 정부는 1999년 종합유선방송

법을 개정하여 케이블TV 산업과 관련한 다양한 규제완화를 실시하 다. 먼저, 케이블

TV 시스템과 프로그래밍 산업의 수평결합을 허용하고, 이 두 부문의 수직결합도 허

용되었다. SO에 대한 외국인 및 대기업의 소유규제도 완화하 다. 2000년에는 통합방

송법의 시행으로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을 케이블TV 산업으로 일원화하는 법적 토대

를 마련하면서, 종합유선방송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블TV 산업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SO와 PP에 대한 수평 및 수직결합 허용, 대기업 및 외국인의 SO/PP에 대한 소유

규제완화, 그리고 RO의 SO 전환계획에 따라 SO와 RO의 매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

다. RO의 SO 전환이 예정되면서 SO들은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자 비교적 넓은 가

입자 기반을 갖고 있는 RO를 매입하는 등 유선방송시장에서의 기업결합과 산업구

조 변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본력이 있는 다수의 SO들은 해

당 방송권역의 중계유선방송의 매입은 물론이고, 인접 및 다른 지역의 SO와 RO를

매입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 다. RO들은 종합유선방송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경제적, 기술적 자격 기준을 맞추려고 노력하 다. 한편, SO로 전환된 후 종합유선

방송사업자와의 본격적인 경쟁을 위한 RO간의 기업결합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종합유선의 중계유선 매입, 중계유선 간의 기업결합, 그리고 종합유선의 MSO 추

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일정한 자격기준을 만족하는 RO에게 SO로의 전환이 승

인되면서 케이블TV 산업구조는 “종합유선방송(이하, 케이블TV)”으로 일원화되었

Page 3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29

고, 독점과 경쟁 권역이 어우러지는 산업구조를 갖게 되었다.

나. 독점과 복점의 혼재

RO의 SO 전환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먼저, 2001년 SO의 1차 허가권역에

서 RO에서 SO로 전환이 승인된 3차 SO가 33개, 그리고 2년 뒤인 2003년 2차 SO 허

가권역에서 4차 SO가 9개, 총 42개 사업자가 전환에 성공하 다. 이리하여 전체 77

개 방송권역 중에서 55%인 42개의 권역에서 2개의 SO가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환되지 않고 SO와 경쟁하고 있는 RO를 무시한다면, 35개 권역에서는 독점 SO가,

42개 권역에서는 2개의 SO가 상호 경쟁하는 시장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사실 42개 방송권역에서 모두 복점구조가 형성된 것은 아니다. 앞에서도 언급하

듯이 2000년 통합방송법의 시행으로 RO의 SO 전환은 이미 예고된 것이고, 이에

따라 방송권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RO의 SO 전환에 따라 전면적인 경쟁이 예상되면

서, SO는 자신의 방송권역 내 RO에 대한 인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 다. 이에 따라

42개의 복수 SO가 업하고 있는 권역(overbuild) 중에서 8개의 전환 SO는 SO로 전

환되기 이전에 이미 경쟁 SO에게 인수된 이후 고, 이에 따라 32개 권역만이(전체

의 42%) 서로 독립적인 2개 SO 간의 경쟁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표 2-3> MVPD 사업자 수의 변화

구 분 1995 1997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종합유선사업자 53 77 77 77 110 110 119 119 119중계유선사업자* 908 860 855 821 696 638 408 299 198디지털 위성방송 - - - - 1 1 1 1 1* 중계유선사업자의 통계는 부정확하며 통계기관마다 다른 수치를 나타냄. 여기서는 2000년 이전에는 정보통신산업협회의 수치를, 그 이후는 방송위원회의 자료를 인용.

<표 2-3>은 종합유선방송의 도입 이후, 지난 10년 동안의 종합유선과 중계유선

의 사업자 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SO의 수는 허가받은 119개 시스템 수

를 의미하는 것임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실질적으로는 MSO를 통해 독립 SO에 대

Page 3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30

한 합병, 인수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실질적인 케이블TV 사업자 수는 119개

보다 훨씬 작다. 제3장에서 자세히 다루겠으나, 2005년 6월 현재 국내 119개 케이블

시스템의 80% 이상이 한 개 이상의 MSO 소속이며, 특히 상위 6대 MSO는 전체 케

이블TV 시스템의 60%인 71개를 소유하고 있다. MSO에 의한 케이블TV 산업의 집

중화와 이것이 시장에 미치는 향은 제3장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3. 중계유선방송의 쇠퇴

가. RO의 SO 전환과 RO의 쇠퇴

앞에서 지적하 듯이 중계유선방송은 2000년대 초반까지 다채널 유선방송산업의

<표 2-4> 중계유산방송사업자의 지역별 분포현황

지역구분 RO 분포

2003 2004 2005서 울 7 4 2부 산 16 13 9인 천 10 6 6대 구 6 4 2광 주 2 1 0대 전 2 2 2울 산 6 4 3경 기 29 19 14강 원 45 20 8충 남 27 21 6충 북 41 33 20경 남 78 71 65경 북 57 45 21전 남 69 42 33전 북 10 8 7제 주 3 6 0총 계 408 299 198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년도.

Page 3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31

주된 사업자 다. 그러나 SO에 대한 규제완화와 이에 따른 SO와의 전면적인 경쟁

으로 많은 RO들이 SO에 매입되거나 RO와의 합병하는 방식으로 시장에서 퇴출되

었다. 특히, 규모가 큰 RO들과 RO간 결합을 통해 덩치를 키운 MRO들이 SO로 전환

되면서 RO의 규모는 급속히 감소하 다. 이러한 중계유선의 쇠퇴는 <표 2-4>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2000년 RO의 SO 전환 이전 RO의 수는 800개가 넘었다. 그러나 3, 4차 SO 허가를

통한 RO의 SO 전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RO는 400개 이상이 퇴출되었다. 먼저, RO

들은 RO들 간의 결합을 통해서 SO로 전환되었거나, SO와 RO의 전면적인 경쟁이

전개되면서 경쟁 SO에게 매입되었거나, 다른 RO와의 결합을 통해 시장에서 퇴출되

었던 것이다.

나. 위성방송의 성장과 RO와 SO의 협업

그러나 <표 2-4>를 통해서 볼 수 있듯이 RO의 감소는 RO들이 SO로 전환된

2003년 이후에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O의 SO 전환이 완료된

2004년 6월 현재 RO는 299개사가 남아 유선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들 중에서 SO와 협업하고 있는 RO의 수는 194개 이고, SO가 매입한 RO의 수는 30

개에 이르고 있다. 전체 299개 중계유선사업자의 74%인 224개가 SO의 프로그래밍

을 재전송하는 등 SO에 의존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2005년 6월 현

재, RO의 수는 198개사로서 1년 전에 비해 101개사가 SO에 매입되는 등 시장에서

퇴출되어 198개사만 업하고 있다. 이 중에서 SO에 매입되었거나 협업하고 있는

RO의 수는 전체 RO의 96%인 189개사에 달하고 있다. 현재 업하고 있는 대부분

의 RO가 인근 지역의 SO 프로그래밍을 재송출하면서 SO의 소매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아직 RO가 잔존하고 있는 지역은 충북, 경북, 경남, 전남 등으로 전통적으로 난시

청에 의해 RO의 터전이었던 지역이고, 산악 및 오지지역이 많아 SO의 진입이후에

도 RO가 생존할 수 있었던 지역들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계유선과 SO와의 협업은 위성방송의 도입과 성장에 따른 전략적 선택

Page 3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32

으로 풀이된다. 이들 중계유산방송이 아직 잔존하고 있는 시장들은 과거 중계유선

방송의 기반이었던 지방의 난시청 지역이고 이들 지역은 인구 도가 낮고, 소규모

로 산재해 있으며, 비교적 소득이 낮은 지역이다. SO들은 중계유선방송보다 한층

고도화된 케이블TV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산재된 지역에 네트워크를 포

설하고 RO와 치열한 경쟁을 감수하면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하나, 그럴만

한 경제적 유인은 사실 낮은 시장들이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소외되어 있어 케이블

망 포설의 경제적 유인이 낮은 이러한 지역은 위성방송이 가장 우선시하는 가입대

상이다. 이에 따라 SO들은 위성방송에 대항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의 토착 RO에게

프로그래밍의 최종 유통과 가입자관리를 맡기고 협업하는 경 형태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SO로 통합하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05년 6월 현재, RO는 독자적인 다채널유선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는 다채널방송서비스 시장에서 더 이상 중계유선의 존재가 중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2절 위성방송의 도입과 성장

1. 디지털 위성방송의 도입(2002∼)

위성방송이 방송프로그래밍을 송신하기 시작한 것은 2002년 3월이었다. 위성방송

실시를 위한 법적 토대는 2000년 초 통합방송법의 제정을 통해 이루어졌고, 그 이전

에 이미 무궁화 3호 위성 발사를 통해 위성방송 실시를 위한 가용중계기는 확보된

상태 다.

2000년도 말에 위성방송 사업자로 허가를 득한 한국디지털위성방송(KDB)은 과감

한 투자계획과 가입자 확보 계획을 밝히면서 새로운 다채널 방송서비스로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투자재원확보, 시스템구축, 수신기 보급 등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

을 겪었다. 특히, 방송채널사용사업의 등록요건이 담긴 방송법 시행령 개정작업이

늦어지면서 채널선정 작업이 지연되었고, 결국 2001년 6월에 들어서야 위성방송채

Page 3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33

널사용사업자로 TV채널 49개와 오디오채널 60개 등 총 109개 채널을 선정하 다.

선정된 채널들은 비디오 채널로 화 10개, 스포츠 6개, 오락 7개, 취미생활 7개, 음

악 5개, 다큐멘터리 2개, 교육 2개, 공공 3개, 뉴스 2개, 종교 2개 등이었고, 오디오

채널로 DFX와 한양위성방송의 YSN 등이었다. 곧 이어서 홈쇼핑 분야에서 LG홈쇼

핑과 CJ 39쇼핑, 현대홈쇼핑의 3개 사업자와 NHK, CNN, CCTV, 디즈니, 스타 스포

츠 등 해외방송 재전송 채널 6개 사업자를 승인 받았다. 그러나 2002년 3월 스카이

라이프라는 위성방송서비스가 제공될 시점에서 당초 예정되었던 MBC와 SBS의 재

송신이 불허되었고, 총 144개 채널로 위성방송을 시작하 다.

위성방송의 방송프로그래밍 구성은 오디오 채널을 제외하면 케이블TV와 장르적

편성에서는 상당히 유사하고, 채널 수는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MBC, SBS

등 시청률이 높은 지상파 방송프로그래밍의 재전송이 불허되어 케이블TV와의 경쟁

에서 취약한 위치에 서게 된다. 스카이라이프는 케이블TV와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하여 비디오 출시 후 2∼3개월 안에 신작 화를 PPV(pay per view)로 제

공하 고, 60개 오디오 채널을 시대별, 장르별로 세분화하여 제공하는 전문 오디오

패키지를 제공하 다. 뿐만 아니라, 스카이라이프는 국내 최초로 PPS 서비스를 제

<표 2-5> 위성방송 도입 당시 채널 수 및 채널구분(2002년)

구 분 주 체 채널수 비 고

비디오

PP 63국내지상파재송신 3 KBS1, KBS2, EBS(MBC, SBS 제외)

해외방송재송신 8NHK World Premium, CNN, AnimalPlanet, Disney, AdventureOne,CCTV, Star Sports, 니콜로디언

SkyLifePPV 10 화채널

프로모 1 SkyPlus100소계 84 스카이라이프 단독 제공 21개 채널

오디오 PP 60 2개 사업자 각 30개 채널 운합계 144

Page 3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34

공하 고,4) 양방향 서비스의 기술기반인 DVB-MHP를 토대로 한 양방향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케이블TV와의 차별화를 시도해 오고 있다.

2. 위성방송의 성장

위성방송의 보급률은 2002년에 1.9%, 2003년에 4.7%, 그리고 2005년 6월 현재 전

국대상가구수의 10.3%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위성방송은 지상파 재송신의 제한

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보급률을 늘리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일본이나

미국의 위성방송 보급률이 총가구수 대비 3%를 넘어서는 시점이 서비스 개시 후 3

차 년도 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세라고 할 수 있다.

<표 2-6> 위성방송의 가입자 수 변화(단위: 천명, %)

구 분 2002 2003 2004 2005가입자

(위성방송 보급률)302

(1.9%)779

(4.7%)1,297(7.6%)

1,826(10.3%)

총가구수 16,080 16,489 16,988 17,656주: 각년도 6월 현재 기준임.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

<표 2-7> 일본과 미국의 위성방송 보급률(단위: %)

구 분 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일본 0.5 1.45 3.0 4.9미국 0.6 2.2 4.3 6.2

자료: 스카이라이프 홈페이지 프레스룸(2002년 12월 26일)

4) PPS(Pay Per Series)는 특정 장르의 프로그램을 시리즈 단위로 구매하여 시청하는 서비스다. 시청자는 일정 기간 방송되는 수능 특강 시리즈, 유아 어교육 시리즈, 국내외 유명 스포츠 시리즈 등 다양한 시리즈 중 보고 싶은 시리즈만을 선택,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이를 구매해 시청하게 된다.

Page 3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35

디지털기술을 이용한 위성방송은 출범당시 많은 수의 채널, 좋은 화질과 음질, 다

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체로서 각광을 받았으나 기술적 불안정과 셋

톱박스 보급 지연 등의 시행착오, 다양한 구성원들을 규합한 지배구조의 불안정성

과 불협화음, 케이블TV와 큰 차별성이 없는 채널구성, 그리고 지상파방송 재송신을

포함한 위성방송 관련 규제에 의해 기대만큼의 성장을 이루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채널구성 면에서 PPV로 제공되는 화채널 정도를 제외하고는 케이블TV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음에도 훨씬 높은 요금이 부과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가입

자를 유치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2002년 당시 스카이라이프를 통해서 독점 서

비스되는 채널은 자체 PPV채널 10개를 포함하여 21개 채널로 전체 채널의 20%를

넘지 않았고, 지상파방송의 재송신이 불허되어 케이블TV에 비해 경쟁력 있는 채널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에는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심화에 따라 케이블TV사업자들의 이해관

계를 대변하여 주요 MPP 사업자들이 스카이라이프에 대한 PP 송출 거부 움직임을

보이면서 가입자 모집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3절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쟁과 성장

1. 매체 간 경쟁과 산업의 성장

가. RO의 전환과 케이블TV 산업의 성장

1) RO의 전환과 가입자 증가

중계유선방송이 종합유선방송으로 전환되면서 가장 눈에 띄는 시장의 변화는 역

시 케이블TV 가입자의 증가 다. 중계유선사업자가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 전환되

면서 기존의 중계유선방송가입자가 종합유선방송가입자로 합산되면서 케이블TV 가

입자가 대폭 증가한 것이다.

1995년 말 약 20만 가입가구에 불과하던 종합유선(유료) 가입자 수는 1997년 2차

SO가 허가되면서 약 82만 명으로 증가하 고, 2001년 1차 SO 지역에서 RO의 SO

Page 3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36

전환이 일어나면서 500만 가입자 수를 넘어서게 된다. 2002년 2차 SO 허가지역에서

RO의 SO 전환이 추가로 이어지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한 케이블TV 가입가구 수는

2005년 6월 현재 1천1백 가구 수를 넘어섰다.

[그림 2-1] 케이블TV의 유료시청 가입자 증가 추이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12,000

케이블가입자수

(천) CATV 가입자수 추이

년도

10,000

8,000

6,000

4,000

2,000

0

START(53개)

2차 SO 허가(24개)

1차 RO, SO 전환(33개)

2차 RO, SO 전환(9개)

2) 경쟁과 가입자 증가

케이블TV 시장규모의 증가는 전환된 중계유선가입자 수가 종합유선방송가입자

수에 단순히 합산된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SO와 RO의 경쟁에 의해 두 서비스

에 대한 가입자가 증가하 고, RO의 SO 전환과정에서 가입자가 종합유선방송 가입

자로 일원화된 것이다.

1995년 종합유선방송이 도입되면서 비롯된 SO와 RO의 경쟁은 1990년대 말 SO에

대한 규제완화가 진전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SO는 RO와 경쟁하기 위해서 낮은

수준의 묶음상품을 도입하 고, 가격도 대폭 낮추었다. RO의 SO 전환과정에서 RO

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RO간 기업결합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 고, 전

환을 전후하여 해당 방송권역에서 기존 SO와의 치열한 경쟁을 전개하 다. 이에 따

라 RO의 SO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RO와 SO의 전면적인 경쟁이 일어났다.

Page 3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37

SO와 RO의 경쟁은 RO의 SO전환이 마무리된 2003년경까지 계속되었다. <표 2-

8>에서 우리는 2002년 중계유선의 가입자 수가 4백5십만에서 2차 SO 전환이 마무

리된 2003년에는 2백3십만으로 대폭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2003년까지 이루어진

RO의 SO 전환과 함께 중계유선방송의 가입자가 종합유선가입자로 이전하면서 2003

년 중게유선방송의 가입자 수는 2백만 남짓으로 대폭 감소하게 된다.

RO의 SO 전환은 케이블TV산업의 경쟁구도가 방송권역에서 1개의 SO와 다수의

RO가(수직적으로) 경쟁하는 양상에서 독점사업자이거나, 2개의 종합유선방송사업

자가(수평적으로) 경쟁하는 구조로 전환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동일권

역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2개의 SO간의 첨예한 경쟁이 전개되었다. 두 SO

는 가입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 낮은 가격에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하는 전면적인 경쟁

을 하게 된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은 더 많은 케이블TV 가입자를 가져왔다. RO의

SO 전환이 이루어진 후, 독점권역보다는 경쟁권역(overbuild)에서 더욱 치열한 경쟁

이 이루어졌고, 이러한 경쟁은 경쟁권역의 경우 독점권역보다 더 높은 케이블TV 침

투율을 가져왔다.5)

<표 2-8> 종합유선과 중계유선의 가입자 경쟁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종합유선

가입자 31.3 52.3 82.5 3,086 5,844 6,912 9,402 11,724 13,945

중계유선

가입자 수N.A. N.A. 8,590 N.A. N.A. 6,906 5,062 4,502 2,323 1,179 519

합계 - - - - - 9,992 10,906 11,414 11,725 12,903 14,464

주: 2001년 까지는 각 년도 말 기준이고, 2002년부터는 각 년도 6월말 현재 기준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5)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으로 구분되는 케이블TV 시장구조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향은 제4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Page 3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38

한편, RO의 SO 전환과정에서 전환되지 못한 RO들은 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더

비교적 낮은 가격에 제공하고, 초고속인터넷도 함께 제공하는 SO와의 경쟁에서 살

아남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SO에 매각․흡수되었다. 이에 따라 케이블TV

가입자도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표 2-3>과 <표 2-4>의 RO사업자 수의 연도별

변화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

나. 위성방송과 케이블TV의 경쟁

2000년대 상반기 종합유선방송과 위성방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종합유선방송은 2002년 이후 RO의 SO 전환과 위성방송과의 경쟁에 따른 적

극적인 마케팅에 힘입어 2003년과 2004년 200만이 넘는 가입대수를 추가하여 1천만

대 이상의 가입대수를 기록하 다. 2005년 6월 현재 전국 전체 가구(1천3백47만8천)

의 63.1%인 1천1백13만 가구가 종합유선에 가입하고 있다.

반면, 중계유선방송은 2001년 이후 사업자들이 SO로 전환되면서 가입가구가 급속

히 감소하기 시작하 는데, 2005년 6월 현재, 전체가구의 3.3%인 51만가구만이 가

입하고 있다. 그나마 대부분의 RO들은 인근지역 SO의 상신호를 받아 지역가구에

재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SO의 소매사업자로 전락한 실정이다. 2005년 6월을

기점으로 중계유선의 시장규모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보기어렵다.

한편, 위성방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2005년 6월 현재 1백

80만 가구가 가입하고 있다. 이는 행정자치부 기준 전체가구의 약 10.3%를 차지하

고 있으며, 다채널방송서비스 가입 가구 중에는 11.5%를 차지하고 있다. 방송위원회

는 2005년부터 종합유선방송가입가구 수를 가입대수 기준과 함께 가입가구 수 기준

을 함께 발표하고 있는데, 가입가구 수 기준으로 보면 위성방송의 시장점유율은 증가

한다. 종합유선방송 가입자를 가입대수가 아닌 가구 수 기준으로 계산하면, 전체 다

채널방송서비스 가입가구 중에서 종합유선 가입가구는 1천1백1십3만 가구(82.5%)

이고 위성방송의 가입가구는 1백8십2만 가구로 시장점유율은 13.5%가 된다.

위성방송 가입자 수는 2002년부터 2005년 중반까지 매년 약 50만 수준의 안정된

가구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2005년 상반기, 그동안 가입가구 확

Page 4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39

보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었던 MBC, SBS 등 지상파 재전송 금지 규제가 폐지되면서

방송서비스에 있어서 케이블TV와 거의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게 되어, 이러

한 안정된 가입가구의 증가추세가 어떻게 변화할지 지켜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표 2-9> 다채널방송서비스 가입가구 추이

2001 2002 2003 2004 2005종합유선(A)

A/(A+B+C)5,844(52.7)

6,912(60.0)

9,402(75.2)

11,724(82.6)

13,589(85.3)

중계유선(B)B/(A+B+C)

5,062(45.7)

4,502(38.4)

2,323(18.6)

1,179(8.3)

519(3.3)

위성방송(C)C/(A+B+C)

176(1.6)

302(2.6)

779(6.2)

1,297(9.1)

1,826(11.5)

다채널방송

(A+B+C)11,082 11,716 12,504 14,200 15,934

주: 1. 괄호안은 전체 MVPD 가입자 중 해당 매체의 비중을 나타냄2. 종합유선방송가입자수는 가입가구수가 아니라 가입대수(단자수)를 의미. 2005년부터 가입가구수를 중심으로 통계를 작성하고 있으나 2000년대 초반과의 비교를 위해 단자수(가입대수) 기준으로 작성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표 2-9>를 통해서 MVPD 시장에서 종합유선과 위성방송이 효과적으로 경쟁하

고 있는가를 살펴보기는 힘들다. 먼저,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이 모두 가입자 수를

늘려가고 있어 두 서비스간의 경쟁을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흥미롭게도

두 경쟁 서비스가 과거와 비슷한 규모로 가입자를 늘려가고 있어 아직 본격적인 경

쟁관계에 있는 것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대한 분석은 제6장에서 보다 심도 있게 다루어 보겠다.

다. DBS, SO 및 RO의 지역별 침투율 비교

다채널방송서비스의 지역별 가입가구 분포를 살펴보면 개별 서비스의 특징을 좀

Page 4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40

더 살펴볼 수 있다. <표 2-10>은 2004년 6월 현재, 종합유선, 위성방송, 중계유선의

가입가구 분포를 지역별로 나타낸 것이다. 종합유선, 중계유선, 위성방송의 전국적

인 평균가입률이 각각 83%, 8%, 9%인 것을 볼 수 있다. 먼저, 각 서비스들이 평균보

다 상대적으로 높은 침투율을 보인 지역들을 살펴보자. 중계유선에 있어서 전국 평

균보다 높은 가입비율을 나타내는 지역은 부산, 경남, 대전, 충북, 경북, 전남 등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은 종합유선의 확장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계유선이 사

업을 지속하고 있는 곳인데, 부산, 경남, 경북 등은 중앙에서 지형적으로 먼 곳이고

산악이 가로막고 있어 난시청으로 중계유선이 전통적으로 고르게 퍼져있는 지역이

다. 중계유선의 종합유선으로의 통합작업 이후에도 중계유선 가입자가 많이 남아있

는 이들 지역들은 전통적으로 난시청을 기반으로 중계유선방송이 소비자 기반을 탄

탄하게 갖고 있던 지역이거나, 인구가 넓게 퍼져있어 종합유선이 새로이 망을 포설

하고 공격적으로 가입자 유치전략을 펼칠 유인이 낮은 지역들이다.

위성방송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가입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지역은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과 강원, 충남, 충북, 경북, 전남, 전북 등 비도시 지역에 분포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강원, 전남, 전북 등의 인구 또는 가구분포가 과 하지 않은 비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위성방송 가입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강원

지역의 가입율은 주목할만하다. 이는 미국에서 위성방송이 도입된 초기에 기존서비

스인 케이블TV에 대항하면서 위성방송이 성장해 왔던 궤적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

내고 있다. 후발주자인 위성방송은 케이블TV방송이 자리 잡지 못한 지역 또는 케이

블TV 서비스가 낙후된 지역을 중심으로 먼저 가입자를 확보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중계유선방송과 위성방송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인 지역에서는 종합유

선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중계유선의 강세가 두드러진 경남,

위성방송의 침투율이 높은 강원, 그리고 중계유선과 위성방송이 모두 전국 평균 가

입률 이상인 지역인 충북, 충남, 경북, 전남 등의 지역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산악지

역(충북, 경북)이거나, 인구 도가 낮은 지역(전남)으로서 이들 지역의 종합유선 가

입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Page 4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41

<표 2-10> 종합유선, 중계유선, 그리고 위성방송의 지역별 가입률 분포

지역 종합유선 구성비 중계유선 구성비 위성방송 구성비 합계

전국 11,724 0.83 1,179 0.08 1,297 0.09 14,200서울 2,466 0.89 91 0.03 222 0.08 2,779부산 1,088 0.86 142 0.11 35 0.03 1,265인천 550 0.85 6 0.01 90 0.14 646대구 660 0.95 7 0.01 28 0.04 695광주 439 0.97 0 0.00 13 0.03 452대전 375 0.84 54 0.12 19 0.04 448울산 355 0.94 11 0.03 10 0.03 376경기 2,500 0.81 247 0.08 339 0.11 3,086강원 290 0.76 17 0.04 73 0.19 380충남 429 0.76 44 0.08 92 0.16 565충북 345 0.79 50 0.11 43 0.10 438경남 680 0.68 232 0.23 82 0.08 994경북 613 0.76 123 0.15 73 0.09 809전남 450 0.69 109 0.17 90 0.14 649전북 346 0.81 5 0.01 74 0.17 425제주 140 0.70 44 0.22 17 0.08 201

자료: 방송위원회, 2004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2. 다채널 방송산업의 시장성과

가. 케이블TV 산업의 매출 변화

1) 수신료 및 광고매출 증가

1995년 케이블TV가 도입된 이후, 초반 5년간 케이블TV 산업의 시장성과는 비교

적 부진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서비스의 도입 초기라는 점,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IMF 외환위기라는 거시적인 충격이 있었다는 점도 부진한 시장성과의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쟁구도와 SO에게

과해진 규제를 주요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겠다.

케이블TV 산업이 의미 있는 시장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2000년 초반부터

Page 4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42

이다. 케이블TV 가입자가 2000년을 기점으로 큰 폭으로 증가한 것과 같이 매출액

규모도 2000년을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게 된다. RO 가입자가 종합유선방송으로 합

산되었고, SO와 RO의 경쟁에 따른 케이블TV 가입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2000

년 이후, 케이블TV 매출액도 비슷한 속도로 증가한 것이다.

<표 2-11> 케이블TV 산업의 매출액 구성비 추이(단위: 백만원, %)

구 분 2000 2001 2002 2003 2004가입자 2,889 5,614 6,614 8,967 11,342

수신료200,511

(55.1)275,782

(50.3)381,332

(48.3)516,805

(48.1)655,050

(48.6)

광 고27,166

(7.4)74,929(13.7)

181,288(23.0)

261,599(24.3)

289,742(21.5)

컨버터 및 시설

46,946 130,834

39,409(5.1)

52,124(4.8)

60,401(4.5)

초고속인터넷104,118

(13.2)172,992

(16.2)285,110

(21.2)

중계유선수입 및 기타 89,601 66,35382,551(10.0)

69,947(7.0)

57,645(4.3)

합 계 364, 224 547,898 788,698 1,074,954 1,347,948총가구수 15,443 15,721 16,080 16,489 16,988

주: 1. 가입자 수는 2001년 이전은 각 년도 말 기준, 이후는 각 년도 6월말 기준이며, 매출액은 각 년도 말 기준

2. 괄호안은 구성비를 나타냄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년도

<표 2-11>에서 볼 수 있듯이 케이블TV 가입자로부터 얻는 수신료와 케이블TV

프로그래밍의 일정 시간을 SO의 광고로 판매하는 광고수입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케이블TV의 광고수입 증가는 RO의 SO 전환에 따라

가입자 기반이 확대되고, 대기업 및 외국인의 투자증대에 따른 망 용량 증대와 이에

따른 다양한 PP의 진입 등으로 케이블TV에 대한 시청률이 상승하면서 케이블TV의

광고매체로서의 가치상승과 광고단가의 상승에 기인한다. 그러나 케이블TV가 지상

Page 4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43

파 방송에 비교할만한 광고매체로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MPP의 경우

채널의 시청률 합이 어느 특정 지상파 방송프로그램보다 시청률이 높다는 통계도 나

오고 있으나, 아직 케이블TV의 시청률은 지상파방송에 미치지 못한다. 그리고 케이

블TV의 광고수익 중에서 홈쇼핑 송출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75%에 육박하여, 홈

쇼핑 채널 전송수수료를 제외한 SO의 광고수입은 절대적인 규모에서 그리 크지 않

은 상황이다.

케이블TV 방송광고 매출액의 증가 속도가 수신료 수입의 증가 속도보다 빨라 전

체 매출액에서 수신료 수입 비중은 2000년 이후 다소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

다. 이는 RO와 SO의 경쟁, 동일권역 SO 간의 경쟁, 그리고 DBS와의 경쟁압력으로

케이블TV 가격이 인상될 수 없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방송위원회의 상품채

널운용과 관련한 ARPU는 오히려 감소하고 최근에 들어서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수신료 수입 중에서 가격은 오히려 하락하고 가입자가 큰 폭

으로 증가하여 전체수신료 수입이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3개년간의 매출액 구성에 있어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초고속인터넷 매출액

이다.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체 매출에서 21%를 차지할 정도로 급속히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다채널 방송서비스 시장과는 별개 시장에서의

매출이다. 따라서 다채널 방송산업에서의 매출액 구성비와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서

는 초고속인터넷 매출액을 제외한 다채널방송프로그래밍 전송과 관련한 매출만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2) 수신료 수입과 광고매출액의 비중

미국 케이블TV 산업의 광고매출액과 수신료 수입의 비중을 [그림 2-2]를 통해

살펴보면 수신료 수입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GAO, 2004). 1990년대

말에는 광고 매출액과 수신료 수입이 55:45의 비중이었으나, 꾸준한 케이블TV 가격

의 상승으로 수신료 수입이 증가하여 2002년 현재에는 그 비중이 거의 역전되어가

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Page 4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44

[그림 2-2] 케이블TV 산업에서 광고매출액과 수신료 수입의 비중

<미국 케이블TV산업>

(%)55

45

56

44

51 49 4753

0

10

20

30

40

50

60

1999 2000 2001 2002

Advertising revenue License fee revenue

<한국 케이블TV산업>

2002 2003 2004

80%

70%

60%

50%40%

30%20%

10%

0%

수신료 광고

자료: GAO(2004), p.15와 <표 2-12>를 재구성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수신료 수입과 광고매출액의 비율은 거의 변동이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신료 수입과 광고매출액 간의 비교를 위해 <표 2-12>의 수

입항목들을 수신료와 광고매출로 조정한 후, 수신료 수입과 광고매출액의 구성비의

추이를 살펴보면 [그림 2-2]와 같다. 수신료 수입 대 광고매출액의 비중은 65:35로

Page 4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45

거의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입자 증가에 따른 수신료 및 광

고량 증가가 나타났으나, 광고단가 및 수신료 등의 가격 변동폭은 비교적 작은 것에

서 비롯된 것이라 추측한다.

케이블TV의 수신료 수입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시청률, 광고매출 구성, 그리고

광고단가의 변화 등 광고매출 관련한 구체적 분석 등은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이다.

3) 초고속인터넷 매출의 성장

SO의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2003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면서, 케이블TV 매출액의

20%를 넘어 섰다([그림 2-3] 참조). 다음 절에서 자세히 분석하겠으나, SO의 초고

속인터넷서비스 시장 진출과 성공적 가입자 확보는 통신방송의 융합의 대표적 사례

가 아닐 수 없다. SO들은 범위의 경제를활용하여 케이블TV(비디오)와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서비스를 묶음상품으로 저가에 제공하면서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

다. 2004년 초, 소유규제 완화와 함께 외국자본 등 대규모 자본이 유입되고, 망고도

화 등 과감한 투자가 진행되고, MSO의 크기가 증가하고, 지역적 군집화(clustering)

등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그림 2-3] 방송 매출액과 인터넷 매출 비중

방송매출 인터넷매출100%

1 2 3

90%80%70%

10%

60%50%40%30%20%

0%

Page 4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46

나. 위성방송의 매출액 구성

<표 2-12>는 위성방송이 도입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위성방송의 가입자수

및 매출액 구성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2002년과 2003년, 가입자가 100만에 미

치는 못한 상황에서는 광고로부터 거두어들이는 수입은 없었다. 2004년의 경우, 위

성방송 매출액 중 70%가 수신료 수입이고, 광고수입은 1.9%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위성방송은 매출액의 상당 부분을 수신료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전체 매출액

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하겠다. 이는 위성방송의 보

급률이 2004년 현재 7.6%에 불과하다는 수치와 무관하지 않다. 2004년 현재 보급률

이 66.8%에 달하는 케이블TV의 경우 매출액의 35% 정도가 광고에서 비롯되는 반

면, 7.6%의 보급률에 불과한 위성방송은 상대적으로 광고수입이 미미할 수밖에 없

는 것이다.

<표 2-12> 위성방송의 가입자수 및 매출액 구성비 변화(단위: 백만원, 천명, %)

구 분 2002 2003 2004

가입자302

(1.9%)779

(4.7%)1,297

(7.6%)

수신료35,202

(55.4%)95,861

(64.1%)175,969(70.0%)

광 고 - -4,878

(1.9%)

시설 설치3,505

(5.5%)1,349

(0.9%)7,152

(2.8%)

PPV 사업 1,485(2.3%)

5,228(3.5%)

6,502(2.5%)

기타매출23,343

(36.8%)47,193

(31.5%)60,534

(23.8%)합 계 63,535 149,631 255,035총가구수 16,080 16,489 16,988

주: 가입자 수는 각 년도 6월말 기준이며, 매출액은 각 년도 말 기준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 및 스카이라이프 내부자료를 토대로

구성

Page 4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47

제4절 가격 및 서비스 변화

1. 케이블TV 가격 및 서비스 변화

가. 다양한 묶음상품 제공

1990년대 후반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이 경쟁하던 시기에는 종합유선에 대한 가격

및 채널규제 때문에 종합유선의 서비스 및 가격은 시장구조 및 지역적 특성에 상관

없이 일정하 다. 1990년대 말 무렵부터 가격 및 서비스에 대한 규제완화가 이루어

지면서, 시장구조와 방송권역의 특징에 따른 SO의 대응은 다양한 가격 및 패키지의

구성 전략으로 나타났다. SO들은 RO 또는 전환 SO와 경쟁하기 위하여 낮은 묶음상

품(tier)을 도입하 고, RO 또는 전환 SO들은 낮은 수준의 가격에 기초한 가입자 기

반을 바탕으로 상향 묶음상품을 도입하는 전략으로 맞섰다.

[그림 2-4] RO의 SO 전환에 따른 경쟁증가와 묶음상품의 변화

RO SO

quality

quality

SO

RO전환SO

qr qb

qbqr q1 q2 q3

{(pr, qr), (p1, q1), (p2, q2), ..., (pb, qb)}의 조합을 케이블TV가 제공하는 다양한 가격

과 서비스 질 (또는 채널 수)의 조합을 나타낸다고 하고, 현재 가장 많은 채널을 제

Page 4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48

공하고 가장 높은 가격을 받고 있는 소위 “기본형”의 가격-채널 조합을 (pb, qb)로

표시하고, 전환 이전의 중계유선방송이 제공하던 가장 낮은 가격-채널 조합을 (pr,

qr)로 표현하자. 이 경우 종합유선방송은 묶음상품에 대한 규제가 폐지되면서 중계

유선과 경쟁하면서 (p, q)<(pb, qb)을 제공하는 반면, 중계유선방송과 중계유선에서

전환한 3차 및 4차 종합유선방송은 (p, q)≥(pr, qr)의 조합을 도입하면서 상호 전면

적인 경쟁을 전개하 다. 즉, (pr, qr)과 (pb, qb) 사이의 다양한 가격-채널 조합이 제공

되면서, 소비자들은 자신에 맞는 패키지를 선택하고 경쟁의 혜택을 향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쟁의 결과, 2004년 6월 현재, 대부분의 SO들은 2개 이상의 묶음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많게는 5개에서, 적게는 2개의 묶음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여러 묶음

상품 중에서 소비자들은 소위 ‘보급형’ 묶음상품을 선호하고 있다(전체 가입자의 약

60%). 보급형 상품은 평균가격이 약 4,700원인 상품으로서 약 20∼40개 정도의 채널

을 제공하고 있는 기본적인 묶음서비스(basic service)이다. 유료채널을 제외하고는 60

∼70개의 대부분의 케이블 프로그래밍을 전송하는 ‘기본형’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고

가입자도 비교적 많은 편이나, 대부분 15,000원 이하의 저가로 제공되고 있다.

나. 채널당 가격의 하락

이에 따라 케이블TV가 일원화되기 이전의 경우와 비교하면, 종합유선의 경우는 p

<표 2-13> 케이블TV 묶음 서비스 현황(단위: 원, 개, %)

구분 전체묶음 1

(의무형) 묶음 2

(보급형)묶음 3 묶음 4 기본형

평균가격 5,492 3,167 4,684 5,403 4,471 8,383평균채널 수 - 21.8 44.9 57.3 59.0 70.1가입자 수

(비율)11,724

(100)520

(4.4)6,754(57.6)

1,788(15.3)

704(6.0)

1,957(16.7)

운 SO 수 - 89 92 76 26 117* 2004년 6월 현재.자료: 방송위원회(2004), 「이용요금실태조사보고서」

Page 5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49

가 대폭 감소하고, q도 큰 폭으로 증가하여 채널당 가격(

)이 크게 감소하 다.

반면, 중계유선의 경우에는 <표 2-2>와 비교하면, p가 상승하 으나, q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당 가격이 비슷하거니 약간 감소하 을 것이다. 결

국,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이 일원화되면서 채널당 가격은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는 RO와 SO 그리고 SO 간의 경쟁의 결과이다.

다. 낮은 가격의 균형

방송위원회(2004)에 의하면 2004년 6월 현재, 케이블TV 한 가구당 수신료 매출액

(ARPU)는 5,492원으로 나타났다. RO가 SO로 전환이 완료된 2003년 말의 조사결과

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도 않다. 외국의 기본형서비스(basic service)에 해당하는

소위 보급형(묶음 2)의 가입자가 전체 약 60%를 차지하고 있어, 케이블TV 산업의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저가형 상품에 의존하는 서비스라는 점을 들고 있다(방송위원

회, 2004).

1) 경쟁과 낮은 가격의 균형

케이블TV가 낮은 가격에서 균형 상태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먼저, 중계유선방송

과의 경쟁구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SO와 RO의 경쟁, 그리고 경쟁

권역에서의 RO에서 전환된 SO와의 경쟁의 결과이다. RO와 SO의 경쟁, 그리고 SO

간의 경쟁은 가격-채널 조합에서 가격은 되도록이면 낮게 책정하고, 채널은 되도

록이면 많이 공급하는 조합을 선택하게 하 다. 오랜 기간동안 지상파 네트워크의

재전송 및 녹화방송(결국의 재방송) 위주의 채널 구성과 낮은 가격에 길들여져 온

소비자들에게 몇몇 전문채널 제공으로 아주 색다른 유선방송서비스에 대한 높은 가

격을 요구할 수 없었다. 그것도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기존사업자(incumbent)이고,

낮은 가격으로 별반 다르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던 중계유선방송과의 치열

한 경쟁은 SO로 하여금 어쩔 수 없이 낮은 가격, 높은 서비스 질로 경쟁할 수밖에

없도록 하 다. 경쟁이 가지는 본질적인 특성이다. 결국, 과거 중계유선방송보다는

높은 가격에 기존의 중계유선방송서비스인 지상파프로그램의 동시전송과 재방송

Page 5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50

네트워크에 십수 개 또는 수십 개의 전문 채널들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균형이 이루

어진 것이다.

2) 2차 가격차별

이러한 경쟁은 공동주택에 대한 할인경쟁에서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공동주택

할인은 일종의 2차 가격차별(2nd degree price discrimination)이다. 2차 가격차별은 수

요량이 많은 수요자에게 가격을 낮게 책정하여 주는 가격차별 전략이다, 케이블TV

산업의 경우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대표가 수십 또는 수백의 거주자들의 가입결

정을 대리하면서 가격-서비스 조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공동주택 대표들은 서비

스제공자를 선택하고, 서비스 종류와 가격을 협상하여 공동주택 거주자 모두가 동

일한 서비스를 소비하는 구조이다. 방송위원회(2004)에 의하면 케이블TV 가입가구

중 공동주택 단체가입가구는 25.7%이고, 이들에 대한 가격 할인율은 40%∼60%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 가입자에 대한 엄청난 할인율은 RO와 SO의 경쟁,

그리고 SO 간의 경쟁 등 유선방송산업의 경쟁적 시장구조에서 비롯되었으나, 이러

한 경쟁적 시장구조가 거의 정리되어가고 있는 2004년 중반에도 잔존하고 있다. 그

것은 케이블TV와 위성방송과의 경쟁 때문이다. 디지털 위성방송도 집단가구를 중

심으로 마케팅을 전개하여 아파트 단위로 가입의사를 받고 있는 경우를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 가입과 할인은 개별 가구의 가입의사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경

우가 많다. 공동주택 단체가입을 통해 가입한 가구 중 상당수는 매체 선택에 있어서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고, 소비할 의사가 없음에도 강제로

소비하는 가구도 있다(이런 경우는 차라리 세금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케이블TV

와 위성을 동시에 시청하는 가구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즉, 아파트 단지별로 케

이블TV에 가입하 으나, 개인적으로 디지털 위성방송에 가입하는 경우가 그렇다.

이렇게 개별 가구의 가입 의사와 관련 없이 제공되는 케이블TV 서비스는 향후 디지

털 케이블TV로의 전환에 따른 서비스의 획기적 개선과 이에 따른 가격 인상에 상당

한 걸림돌로 작용될 것이다.

Page 5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51

3) 초고속인터넷과 저가 묶음상품

유선방송시장에서의 경쟁, 위성방송과 MVPD 시장에서의 경쟁 등 시장구조적 요

인이외에 케이블TV의 저가 균형을 강요하는 내부적 요인도 존재한다. 케이블TV사

업자는 더 이상 다채널 비디오전송만으로 만족하지 않는 것 같다. 케이블TV 망의 범

위의 경제를 추구하면서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를 다채널방송서비스와 함께 묶음

상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 시장에서 유선통신회사와의 경쟁

은 다채널방송시장에서의 경쟁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통신시장은 이미 경쟁적 시장

으로 변모한지 오래이다. 통신회사의 규모와 업력은 방송사업자에 비하면 엄청난

것이다. 이러한 경쟁자들과 효과적으로 경쟁하기 위해서는 다채널방송서비스와 초고

속인터넷서비스를 묶어서 값싸게 제공하는 것이 최적의 전략이다. 초고속인터넷 가

입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채널방송서비스를 값싸게 제공할 수밖에 없다.

2. 위성방송의 가격과 서비스

한편, 스카이라이프의 가입자 구성을 분석해 보면, 스카이라이프 가입자의 절반이

넘는 가입자(52.5%)가 가장 상위 티어인 SkyFamily Plus에 가입되어 있다. 또한 2004

년 6월 현재, 스카이라이프의 한 가구당 수신료 매출액(ARPU)는 15,090원으로 케이

<표 2-14> 위성방송 묶음 서비스 현황: 가격, 채널 수 및 가입자(단위: 원, 개, 천명)

구분 전체

가정용 상품 비즈니스 상품

SkyOnPlusSkyOnPlus+선택

MoviePlusMoviePlus+선택

SkyFamilyPlus

BizOn BizPlus

평균가격 15,090 10,000 13,000 14,000 17,000 20,000 3,000 5,000

평균채널수 - 51 65 61 75 121 55 69

가입자수

(비율)1,389(100)

395(28.5)

93(6.7)

53(3.8)

19(1.4)

729(52.5)

71(5.1)

27(1.9)

* 2004년 6월 현재자료: SkyLife 내부자료

Page 5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52

블 TV에 비해 약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케이블TV와는 달리 위성방송의

수신료가 높고, 고가 티어의 가입자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카이라이프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TV에 비해 차별적인 프

로그램을 제공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고, 오히려 핵심적인 인기채널이라고 할 수

있는 온미디어의 채널들과 CJ의 일부채널들이 위성에서는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

에 높은 가격에 비해 프로그램의 질도 그만큼 높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스카이라

이프는 요금 규제로 인하여 마음대로 요금을 낮출 수도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케이

블 TV와의 가격경쟁에서 불리한 입장이다.

3. 가격-서비스 조합의 변화 방향

케이블TV 산업은 RO, SO 그리고 위성방송과의 치열한 경쟁과 초고속인터넷접속

서비스 등 다른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케이블TV 가격을 낮게 책정할 수밖에 없었

고, 이러한 저가의 균형은 케이블TV 전반의 질적 하락을 의미하게 되고 경쟁자인

지상파방송, 디지털 위성방송과의 경쟁에 취약한 모습을 드러내게 된 측면도 부정

할 수는 없다. 전반적인 질적 하락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대부분인 것 같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케이블TV 산업의 무게 중심은 중계유선방송에 있었다.

케이블TV 산업의 대부분 가입자가 RO에서 전환된 것이고, 과거 중계유선방송의 가

격과 서비스 조합을 감안하면, 평균적인 서비스 질과 가격은 상승하 다는 평가도

있을 수도 있다.

언론학 분야와 케이블TV 업계에서 케이블TV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이슈를 논

의할 때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케이블TV 가격이 너무 낮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

의 현재 케이블TV 가격은 외국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일 수도 있다. 그러나 케이블

TV 서비스 가격이 낮은 것이 산업발전의 걸림돌이므로(충분한 실증적 연구도 없이)

최저가격제 등을 도입해야 한다는 등의 단순한 접근은 옳지 않다. 위성방송과의 경

쟁을 감안하더라도, 독점 또는 지배적 사업자인 SO의 케이블TV 가격을 지지하기

위한 정책을 도입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

Page 5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53

우리가 현재 관측하고 있는 케이블TV 산업의 가격-서비스 조합은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등 다채널 방송산업의 시장구조 및 경쟁관계, 다양한 문화상품과의 경쟁,

그리고 소비자의 소득수준과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 프로그래밍 제작

및 전송 기술, 케이블TV 사업자의 TPS를 위한 전략과 통신시장에서의 경쟁구도 등

이 종합적으로 반 된 균형이라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케이블TV 가격-서비스 조합은 기술발전, 시장의 경쟁관계 그리고 정책 변화에

따라 쉽게 변화한다. 지난 10년 남짓의 짧은 케이블TV 역사에서 우리는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 경쟁관계, 정책변화, 그리고 기술발전이 얼마나 심했던가를 보아

왔다. 방송과 통신이 융합하는 기술적, 산업적 흐름의 가장 중심에서 있는 케이블

TV 산업은 향후 10년을 과거 10년에 못지않은 극심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있을

것이다. 케이블TV 산업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가를 지켜보는 것은 매우 흥

미로울 일일 것이다.

제5절 케이블TV 사업자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1. SO의 초고속인터넷서비스 현황

가. SO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제공은 케이블TV 가입에 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한 해답

을 찾기 전에 먼저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이블TV사업자 현황부터

살펴보자. <표 2-15>에서 볼 수 있듯이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SO

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02년 6월에는 75개의 SO만이 초

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이 2005년 6월 현재, 전체 119개 SO의 88%인 105

개 SO가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실, 거의 대

부분의 SO들이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SO들이 제공하

고 있는 초고속인터넷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가입자도(IP 기준으로) 2002년 6월의

97만 가입자에서 2005년 6월, 2백5십4만 가입자로 증가하 다.

Page 5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54

<표 2-15> 케이블TV 사업자(SO)의 초고속인터넷접속서비스 제공 현황*(단위: 천가입자, %, 개)

구 분 2002. 6. 2003. 6. 2004. 6. 2005. 6.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

전년대비 증가율10,405(33.3)

11,179(9.2)

11,921(6.6)

12,261(2.8)

케이블모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

전년대비 증가율978

(30.3)1,463(49.6)

1,839(25.7)

2,543(38.3)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제공 SO 수 전체 SO 대비 비율

75(68.2%)

93(78.8%)

96(80.7%)

105(88.2%)

직접 제공하는 SO 수 16 40 50 61 전체 SO 수 110 118 119 119 * : 중계유선방송사업자의 초고속인터넷가입자 수는 불포함 ** : xDSL, 광랜, 케이블모뎀 등을 모두 포함. 연말 기준임 *** : SO들의 초고속인터넷가입자에 대한 자료 미제출로 과소 추정되어 있음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 정보통신부 홈페이지의 유무선 통신서

비스 자료

초고속인터넷접속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SO의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1990년

대 말 두루넷을 통해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 던 SO들

은 하나로텔레콤, 데이콤 등 다양한 통신사업자들과 협력하여 초고속인터넷서비스

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통신사업자들과 제휴하여 제공하기 보

다는 직접 네트워크를 고도화하고, 가입자를 모집하여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

하는 SO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2002년 6월 초고속인터넷을 직접 제공하는

SO의 수는 16개에 불과하 으나, 2005년 6월 현재에는 전체 케이블TV사업자의 50%

가 넘는 61개 SO가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고 있다.

나. 간접제공 vs. 직접제공

전체 초고속인터넷가입자 수와 SO들이 직간접으로 제공하고 있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를 비교하면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먼저, <표 2-16>을 통해

국내 초고속인터넷 가입가구는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러, 전년대비 증가율이 감소하

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증가율 수준도 매우 낮아 2005년에는 34만 가구만이 신규

Page 5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55

로 가입하여 전년대비 2.8%가 상승하 다. 이에 비해, 케이블 망을 이용한 초고속인

터넷가입자 수는 지난 3개년 간 평균 35%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2005년에

도 케이블모뎀 가입자는 70만이 증가하 다. 전체 초고속인터넷가입자 수가 거의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에 비해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서비스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표 2-16> 초고속인터넷서비스의 사업자별 가입자 수 추이

구분2002 2003 2004 2005.6

가입자수 점유율 가입자수 점유율 가입자수 점유율 가입자수 점유율

KT 4,922 47.3 5,589 50.0 6,078 51.0 6,172 50.3하나로텔레콤 2,872 27.6 2,726 24.4 2,747 23.1 2,786 22.7두루넷 1,302 12.5 1,293 11.6 1,288 10.8 1,274 10.4온세통신 452 4.4 423 3.8 391 3.3 372 3.0데이콤 146 1.4 202 1.8 206 1.7 260 2.1드림라인 170 1.6 150 1.3 134 1.1 132 1.1부가통신 541 5.2 796 7.1 1,075 9.0 1,263 10.3계 10,405 100 11,179 100 11,921 100 12,261 100

자료: 정보통신부 홈페이지(www.mic.go.kr)

그러나 케이블 모뎀 가입자 70만 증가와 전체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34만 증가는

짚고 넘어가야 한다. SO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표 2-16>의 정보통신부 자료

에서 부가통신사업자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로 나타난다. 특히, 정보통신부 자료에

서 부가통신 부문에서 잡히는 SO 초고속인터넷가입자는 약 19만 가입자만이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방송위원회의 70만과는 너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물론 방송위원회의 초고속인터넷가입자는 SO가 하나로텔레콤, 두루넷 등 통신사업

자와 협력하여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가입자들을 포함하는 가입자 수이다. 그러나

SO와 협력하여 케이블모뎀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하나로, 두루넷

등의 가입자는 감소하고 있다. SO가 통신사업자들과 협력하여 제공하는 초고속인

Page 5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56

터넷가입자는 감소하는 것을 감안하면, 정보통신부 자료의 SO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9만 증가와 방송위원회의 70만 가입자 증가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6)

<표 2-15>와 <표 2-16>을 통해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SO 네트워크를 기

반으로 하나로와 두루넷 등 통신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감

소하고 있으나, SO가 직접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이다. 그것도 후자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은 케이블모

뎀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SO들이 점점 증가하는 것과 무

관하지 않다. MSO가 진행되고, 디지털화를 위한 MSO의 잰걸음이 재촉되면서, 통

신사업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하는 SO의 수는 감소하고, 직접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그것도 케이블TV와 함께 묶음상품(bundling)으로

제공하는 SO의 수는 증가할 것이다.

2. 케이블TV와 묶음 상품

가. 범위의 경제

SO들이 케이블TV산업보다 시장규모가 큰 초고속인터넷에 관심을 두는 것은 당

연한 일이다. 케이블TV 사업자들이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를 십분 활용하

여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초고속인터넷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것은 당

연한 일이다. 범위의 경제는 두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각각의 제품을

개별적으로 생산하는 기업들의 비용의 합보다 작은 비용으로 두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A와 B라는 두 제품을 고려할 때, 개별 기업

6)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 통계를 결합한 <표 2-10>에서 제기된 19만과 70만의 차이는 첫째, 정보통신부의 통계는 IP보다는 가구(household)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전체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가 작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2대 이상의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가구의 비중을 고려한다면, 70만과 19만의 격차는 너무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정보통신부의 통계에서 부가 및 별정 부문에 잡히는 SO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통계가(초고속인터넷의 기간통신 역무 전환과 이에 따른 규제 위험으로) SO들에 의해 과소하게 신고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Page 5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57

이 A제품 생산라인 그리고 B제품 생산라인을 갖추고 생산할 때 두 기업의 비용의

합이 하나의 단일화된 생산라인에서 두 제품을 생산해낼 때의 비용보다 클 때 후자

의 생산방식에는 범위의 경제가 존재한다. 한 기업이 두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비용이 낮게 소요되는 것은 제품들의 생산에 필요한 공동의 투입요소(common

inputs)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TV의 경우 케이블TV와 초고속인터넷서

비스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케이블 망이 중요한 공동 투입요소이다. 뿐만 아니라,

케이블TV와 초고속인터넷 등의 서비스는 가입자를 모집하고 유지하는 비용이 매우

큰 편인데, SO가 보유하고 있는 마케팅 인력을 활용하여 두 서비스의 가입자를 모

집하고 유지하는 경우 엄청난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 케이블TV사업자들은 개국초기부터 케이블TV 망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 서

비스를 두루넷 등 통신사업자를 통해 제공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초고속인터넷서

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SO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MSO 형성이 진전되면서 초고속인

터넷서비스를 직접제공하는 SO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는 자연적으로 SO와

제휴하여 케이블모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들의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사업

의 축소를 의미한다. SO들은 케이블TV 제공에 필요한 투입요소들을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활용하여 범위의 경제를 십분 추구하고, 협력 통신사업자에게 주어

야 하는 마진을 줄이고, 가격을 낮추어 초고속인터넷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

가고 있는 것이다.

나. 간접제공과 직접제공

SO가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이 케이블TV 가입에 향을 미치는 것인가를

밝혀내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우선, 케이블 모뎀서비스를 케이블TV와 별개로 가

입한 소비자가 있을 수 있고, 케이블모뎀 서비스와 케이블TV를 묶음으로 가입한 소

비자도 있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해서 살펴보아야 하나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 케이블TV가 케이블모뎀서비스에 향을 주었는지, 아니면 반대 방향

으로 향을 주었는지도 알 수 없다. 케이블모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통신사업

자가 제공하는 ADSL, VDSL, 아파트랜 등 여러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중에서 케이블

Page 5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58

모뎀을 선택한 것이므로 다양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들 중에서 소비자가 케이블모

뎀을 선택하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나 이것은 본 연구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우리가 여기서 관심을 갖는 것은 <표 2-15>와 <표 2-16>을 통해 도출한 (ⅰ)

SO가 케이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ⅱ) 초

고속인터넷서비스 가입자의 정체 속에서도 KT 이외의 통신사업자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감소하고 있고7) (특히, SO와 협력하여 케이블모뎀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하

고 있는 하나로텔레콤, 두루넷, 드림라인 등의 가입자는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ⅲ) SO가 직접 제공하는 케이블 모뎀서비스 가입자는 증가하고 있는 사실이다.

우리는 (ⅰ)∼(ⅲ)은 SO가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직접 제공한 것과 관련이 있다

고 생각한다. 특히, 초고속인터넷과 케이블TV를 묶음으로 저가에 직접 제공하면서

협력 통신회사를 통한 케이블모뎀 초고속인터넷서비스 가입자는 감소하고, SO의

직접 제공 가입자는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묶음상품 가입자의 수와 가격

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를 구할 수 없으므로 이를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다.

우리는 단지, SO의 집적적인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증가하고 있고, 그것이

(다른 통신사업자들의 케이블모뎀 가입자의 증가가 아닌) SO의 케이블모뎀 가입자를

증가시킨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SO가 케이블모뎀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방식

이 다채널 상전송서비스와 결합상품에 의한 것이라면, 케이블모뎀 가입자의 증가

는 케이블TV 가입자 증가에 긍정적인 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겠다.8)

다. 다양한 묶음 상품의 제공

SO들이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은 다채널방송 시장에서의 경쟁

7) 2005년 데이콤의 가입자가 증가한 이유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초고속인터넷서비스에 기인한다.

8) 사실 기존의 케이블TV 가입자가(초고속인터넷가입자가 아니거나 SO 이외의 다른 사업자가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었던 가입자가) SO가 직접 제공하는 저가의 묶음상품으로 전환할 수도 있기 때문에, SO가 직접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만이 증가했다는 사실이 바로 케이블TV 가입자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Page 6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2장 다채널 방송서비스 산업의 시장구조와 성과 59

력을 갖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SO들은 케이블TV 서비스를 초고속인터넷서비스와

묶음상품(bundling)으로 제공하여 중계유선, 동일권역의 경쟁 SO, 그리고 위성방송

과의 경쟁에서 자신의 가입자를 유지하고, 추가적인 가입자를 모집할 수 있는 강력

한 수단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SO들이 케이블TV와 초고속인터넷을 묶어 하나의 묶음상품으로 파는 전략은 하

나의 상품을 덧붙여 세 개의 상품을 묶어 파는 것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

다. 추가적으로 더해질 상품은 통신사업자들이 오랫동안 제공해 왔던 음성서비스이

다.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제공으로 통신사업자와 경쟁을 본격화한 SO들은 곧 인터

넷전화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통신사업자와 전면적인 경쟁을 전개하게 될 것이다. 음

성, 데이터, 그리고 비디오 등의 모든 역에서 케이블TV 사업자와(유선)통신사업

자와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다. 이러한 과거의 역을 넘나드는 경쟁은 디지털 기

술의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현상이다. 앞으로 어떤 정책적 대응과 경쟁구도가 만들

어지고 이에 따른 사업자의 전략이 다채널 방송산업에 미치는 향을 살펴보는 것

은 매우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Page 6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60

제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제1절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도

1. 규제완화와 MSO의 형성

동일한 개인 또는 법인이 두 개 이상의 케이블시스템을 소유․운 하는 복수케이

블TV사업자(이후부터 MSO; multiple system operator)는 1999년 1월 종합유선방송법

의 개정으로 등장하기 시작하 다. 위성방송 도입방안에 대한 대립으로 통합방송법

의 제정이 계속 지연되자, 1999년 문화관광부는 1990년대 중반 종합유선방송을 도

입하 던 시기의 비합리적 규제들을 우선적으로 개정하 다. 통합방송법의 제정을

통해 중계유선방송의 종합유선방송으로의 전환과, 디지털 위성방송의 도입이 예정

되어 있기 때문에 통합방송법 제정 이전에라도 케이블TV 사업자의 발목을 잡고 있

는 각종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개정된 종합유선방송법에서는

1995년 케이블TV 도입 당시부터 문제가 되었던 소위 ‘삼분할’ 제도를 포기하고, 케

이블TV 산업의 3개 사업자(NO, SO, 그리고 PP) 간의 수평 및 수직결합을 허용하

다. 또한 외국인과 대기업의 SO 및 PP에 대한 투자도 완화하 다.

1999년 종합유선방송법의 개정을 통한 수평결합의 허용은 1999년 말 통합방송법

제정을 통한 중계유선방송의 SO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적인 규제완화 성격도

띠었다. 즉, RO의 SO 전환에 따라 동일 방송권역에서 복수 SO간의 본격적인 경쟁

이 일어날 것이 예상되므로, 그 이전에 기존 SO들로 하여금 수평결합을 통해 규모

의 경제를 키울 수 있게 하고, 외국인과 대기업으로부터 자본을 조달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다.

수평 소유규제가 완화되면서 기존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은 다른 방송권역의 SO

를 매입하면서 MSO를 본격적으로 추구하기 시작하 다. 또한, SO 전환이 이루어지

Page 6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61

기 이전에 경쟁 또는 주변의 RO들을 매입하 고, 이들 RO들이 SO로 전환되면서

MSO를 형성하기도 하 다.9) MSO를 향한 경쟁에서 RO들은 단순한 매입대상이 아

니라 주체로서 나서기도 하 는데, 이미 전국의 주요 RO들을 합병하거나 매입한 상

황에서 MRO를 형성하 고, 이들 RO들이 SO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럽게 MSO를 형

성한 경우도 있었다.10)

사실 1999년 종합유선방송법 개정 이전에도 MSO를 추구하려는 움직임은 물밑에

서 있어왔고, 실질적으로 법개정 이전에 SO들을 매입하면서 MSO를 이미 형성한 경

우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합리적인 규제를 통하여 수평결합을 제한하

여 왔으나, 케이블TV 산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려는 유인은 강했고, 법적 허

용이 이루어지면서 MSO 형성을 향한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것이다. 특히,

외국인 및 대기업의 소유제한이 완화되면서(33%에서 49%로) MSO 형성을 위해 외

국인 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게 되었다.11) MSO가 허용되면서 대기업의 대규모 자본

은 새로운 투자처를 발굴할 수 있게 되었고, 외국인 자본유치와 함께 케이블TV 산

업은 대기업의 소수 MSO에 의한 시장재편이 더욱 가속도를 붙여가고 있다.12)

2. 케이블TV 산업의 MSO 형성과정과 특징

가. 주요 MSO의 형성과정

케이블TV 도입 초기 정부는 지역적으로 분할된 SO를 복수로 소유하여 경 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MSO의 출현으로 케이블TV 산업이 집중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시

9) 미래케이블TV(지금의 큐릭스)의 경우 2000년 2개, 2001년에 5개의 중계유선방송이 종합유선방송으로 전환 승인 받아 MSO가 되었다.

10) 3차 종합유선사업자 중에서 SO전환을 통해 MSO를 형성한 대표적인 것이 거대 중계유선방송사인 중앙유선네트워크이다,

11) MSO 중에서 태광, 씨앤앰, CJ케이블넷 등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추가적으로 독립 SO을 매입하여 MSO의 크기를 키우거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2) 우리나라 MSO의 형성과정은 <표 3-1>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Page 6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62

각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SO의 겸 은 물론이고, 대기업 및 외국인의 소유도 제한

하 던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규제는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장의 힘을 막기에는 역부족이

었다. 2001년 통합방송법의 시행으로 한 사업자가 소유할 수 있는 SO 수가 7개에서

15개로 완화되었고, 중계유선의 종합유선 전환정책이 본격화되면서 MSO 수는 증가

하기 시작하 다. 이에 따라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된다.

국내의 최초 MSO는 대호MSO(현재는 HCN) 다. 이미 MSO를 형성하고 있던 대

호는 1999년 3월 서울지역의 서초, 동작, 동서울, 관악 등 4개 SO와 청주, 금호, 경

북, 부산 등 지방의 SO들을 통합하여 MSO를 공식적으로 선언하 다. 이후 현대백

화점이 2001년 승인 받은 현대홈쇼핑의 원활한 시장진입을 위해 대호MSO를 인수

하여 HCN을 출범시켰다. HCN은 2005년 초 관악유선방송을 인수하 고, 최근에는

충청지역 SO인 씨씨에스와 충북방송을 인수하 으며, 대구지역 북부방송을 인수하

여 100만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이로써 HCN은 총 11개의 SO를 소유한 MSO

를 형성하게 되었다.

1999년 중순, 조선무역은 강동케이블TV를 인수하면서 경동, 북부, 동부, 노원, 구

로, 마포방송 등 7개 SO를 소유하는 MSO로 부상하면서 업계의 관심을 받게 된다.

조선무역은 1999년 9월 추가로 대호 소유의 동서울SO를 인수하고, 곧 이어서 용산

SO를 추가 매입하 다. 조선무역이 추가로 2개 SO를 매입하면서 종합유선방송법상

법적 소유 상한선인 7개를 초과하여 적법성 논란을 빚었으나, 이후 통합방송법이

통과되면서 문제는 해결되었다. 이후 조선무역은 2000년 초, 9개 SO(경동방송을 비

롯하여 북부방송, 동부방송, 노원방송, 구로방송, 마포방송, 강동케이블TV, 용산케이

블TV, 동서울케이블TV 등)를 운 하는 케이블사업 부문을 분사하여 씨앤앰커뮤니

케이션을 설립하 다. 이후, 씨앤앰은 소유한 SO의 통합작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다수의 SO를 통합하여 경 하는 법인으로 거듭나게 된다. 씨앤앰의 이러한 통합경

은 다수의 케이블 TV시스템을 통합하여 운 하면서 얻을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그 이후, 씨앤앰은 2000년 초 송파방송을 인수하

Page 6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63

고, 2001년 상반기에는 강동유선과 성북유선이 SO 승인을 받으면서 명실상부한

MSO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 2004년 상반기에는 중앙케이블비전과 서서울케

이블TV를 인수하고 같은 해 중순, 남부미디넷을 인수하 다. 2005년 초에는 한국케

이블TV경기방송을 인수하 다. 씨앤앰은 수도권 북동부지역에 투자를 집중하여 서

울 12개 지역과 일산, 의정부, 하남, 광주로 이어지는 경기북동부지역에 인접한 집

단화(clustering)에 성공한 MSO이다. 이러한 지리적 인접성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통

합경 을 추구하고 있으며, ABS 발행, 외자 유치 등을 통한 대규모 자금조달과 이

를 바탕으로 한 자체 DMC 구축 등 업계의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J39쇼핑은 한국통신케이블TV(양천방송 전신)을 인수하여 케이블TV 업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하 다. CJ39쇼핑은 PP가 SO를 인수한 수직결합 사례로서 케이블TV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경남, 마산, 가야, 중부산 등 5개 SO를 인수한 CJ그룹은 CJ

39쇼핑으로부터 양천방송을 인수받아 2002년 하반기, CJ케이블넷을 출범시켜 MSO

를 조직화하 다. 그 이후 해운대기장방송과 북인천방송, 동부산방송을 차례로 인

수하면서, 인천지역과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MSO를 형성하고 있다.

케이블TV 안양방송의 최대주주인 태광산업은 중부방송을 인수하고, 천안유선방

송을 비롯하여, 중부방송 주변의 중계유선방송사들을 인수함으로써 천안을 중심으

로 아산 등 경기이남 및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MSO 형성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

에 나선다. 태광산업의 MSO 추진은 2003년 말 인천 및 경기 남부 지역의 MSO인

한빛아이앤비의 9개 SO를 인수하면서 절정을 맞이하게 된다. 한빛아이앤비를 인수

한 태광MSO는 가입자 수와 매출액 면에서 국내 최대 MSO로 등극하게 된다. 그 후,

태광MSO는 전국적으로 7개의 SO를 추가로 인수하여 국내 최대인 21개의 SO를 운

하고 있다.

중앙유선은 3차 SO 전환으로 인해 다수의 중계유선방송사가 종합유선방송사로

승인 전환되면서 2002년 6월 기준으로 케이블TV 업계 최대의 MSO라 불리던 씨앤

앰보다 1개 더 많은 13개의 SO를 거느린 MSO가 되었다. 중앙유선은 이후 중앙네트

워크로 법인명을 바꾸고, 2005년에 계열사 전체를 CMB라는 브랜드로 통합하 다.13)

Page 6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64

1994년에 설립된 미래케이블TV는 도봉구를 중심으로 인접 방송권역을 인수하면

서 MSO로 거듭나게 된다. 2002년에는 MSO 법인명을 미래케이블TV에서 큐릭스로

변경하고, 소속 SO들의 사명도 변경하 다. 2003년 초반에는 케이블TV 업계 최초

로 DMC를 구축하여 디지털 시험방송을 실시하고, 2005년부터 큐릭스네트웍스를

설립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 다. 현재 서울지역에 6개, 대구에 1개 등 총 7개의

SO를 운 하고 있다.

이밖에 대구, 강원, 전남 등 3개 지역에 5개 SO를 소유하고 있는 온미디어, 부산을

중심으로 4개의 SO를 운 하는 NGN, 서울 은평구와 경기 부천․김포지역의 2개

SO를 소유하고 있는 드림시티 등이 있다.

주요 MSO사업자들의 SO 인수과정과 MSO 통합과정을 표로 나타내면 <표 3-1>

과 같다.

나. MSO의 지역 클러스터 형성

1) 주요 MSO의 지역 클러스터

<표 3-1>은 주요 MSO들이 지역적 기반을 중심으로 인접 SO들을 인수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주요 MSO의 SO 인수과정을 눈여겨보면 특정

지역 또는 인접지역의 SO를 지속적으로 매입해가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특

히, 3, 4차 SO 전환이후에는 2개의 SO가 상호 경쟁하는 권역에서 경쟁 SO를 인수하

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2005년 6월 현재, 총 21개의 SO를 보유하고 있는 태광은 인천, 경기, 그리고 부산지

역을 중심으로 인접지역 SO를 인수해왔다. 2003년 말에 한빛아이앤비를 인수하고

2004년에는 한빛계열의 경기연합방송을 계열사에 편입시킴으로써 경기 남부지역 클

러스터를 강화했고 부산지역은 남부산방송, 전북지역은 온케이블TV를 인수하여 동일

13) CMB의 MSO 현황은 정확히 추정하기가 어렵다. 방송위원회(2005)의 자료는 CMB가 지분을 투자하고 있는 총 SO수가 17개로 보고하고 있으나,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2005b)는 MSO수를 12개로 보고하고 있다. 실제 CMB에 의해 운 되는 MSO 수는 보고되지 않았다.

Page 6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65

Page 6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66

Page 6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67

지역 복수SO를 소유하게 되었다. 또한 2004년 하반기에는 남동방송을, 2005년에는 서

해방송을 인수하여 인천지역에도 3개의 MSO가 인접지역에서 운 되고 있다. 서울지

역 SO를 전혀 소유하고 있지 않았던 태광은 2004년 5월에 GS디지털방송을, 같은 해

9월에 강서방송을 차례로 인수하여 동일지역(서울 강서구)에서 2개의 SO를 소유하게

되었다. 결국, 태광은 서울 동대문구에 있는 동대문케이블 방송을 제외한 모든 SO가

인접지역 혹은 동일권역에서 운 되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태광MSO는

인천, 안양, 군포를 지나 용인, 수원, 천안, 아산에 이르는 수도권벨트를 형성하고 있다.

씨앤앰커뮤니케이션은 2000년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인접지역을 인수․합병하

는 기본전략을 추진해오고 있다. 2004년에 중앙케이블비전, 서서울케이블TV, 남부

미디넷을, 2005년에는 경기방송을 인수하여 현재 14개 지역 16개 SO를 운 하고 있

다. 씨앤앰은 다른 MSO와는 달리 서울과 경기지역의 인접 SO만을 지속적으로 매입

하여 왔다. 현재 총 보유하고 있는 16개 SO 중 구로방송을 제외한 15개 SO가 인접

하고 있어 타 MSO에 비해 가장 집중적인 클러스터를 보여주고 있다.

HCN은 서초, 관악, 동작 등 서울 남부지역에 4개의 SO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

으며 최근 씨씨에스와 충북방송을 인수하면서 충북지역의 두 방송권역을 모두 석권

하면서 하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 다.

큐릭스는 서울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에 대구지

역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구지역에서 큐릭스가 소유하고 있는 큐릭스대구방송과

동일지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한국케이블TV 대구방송에 지분을 투자함으로써 대구

지역의 클러스터화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대구지역은 온미디어,

HCN이 함께 경쟁하고 있어 상호지분교환(swapping) 등을 통해 클러스터화를 추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CJ케이블넷은 서울의 양천방송을 모태로 사업을 시작했으나, 보유한 SO들은 부산,

경남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부산지역은 2004년 12월에 동부산방송을 계열사에 편입시

키면서 해운대기장 지역에 복수SO를 소유하게 되었다. 경남지역은 2004년 8월, 마산

방송이 경남방송으로 합병되고 2개의 방송권역이 경남방송이라는 하나의 법인으로

Page 6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68

<표 3-2> 주요 MSO사업자들의 클러스터 형성 현황

사업자 지 역 SO법인명(2005. 9 현재) 동일․인접여부

태광

서울/강서구강서방송(2004. 9 편입)

동일지역GS디지털방송(2004. 5 편입)

부산/강서구, 북구, 사상구한빛낙동방송

인접지역

북부산방송

부산/서구, 사하구 한빛서부산방송

부산/남구, 수 구한빛동남방송

남부산방송(2004 편입)인천/서구 한빛새롬방송

인접지역인천/남동구 인천케이블TV남동방송(2004. 9 편입)인천/중구, 동구, 웅진, 강화군 서해방송(2005 편입)경기/과천, 군포, 의왕, 안양 안양방송

인접지역

경기/광명, 안산, 시흥 한빛아이앤비(2003 편입)

경기/수원, 오산, 화성수원방송

경기연합방송(2004 편입)

경기/이천, 용인, 안성, 평택한빛기남방송

경기케이블네트워크(2005 편입)

충남/천안, 아산, 연기중부방송

천안방송

전북/전주, 완주, 무주, 진안, 장수

한빛전주방송동일지역

온케이블TV(2005 편입)

씨앤앰

서울/종로구, 중구 중앙케이블비전(2004 편입)

인접지역

서울/서대문구 서서울케이블TV(2004 편입)서울/마포구 마포방송

서울/용산구 용산방송

서울/서초구 남부미디넷(2004 편입)서울/성동구, 광진구 동서울방송

서울/송파구 송파방송

서울/강동구강동방송

씨앤앰커뮤니케이션강동지점

서울/중랑구 동부방송

서울/노원구 노원방송

서울/성북구북부방송

성북유선방송

경기/구리, 남양주, 하남,광주, 가평, 양평, 여주 경동방송

경기/고양, 파주 경기방송(2005. 4 편입)

Page 7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69

사업자 지 역 SO법인명(2005. 9 현재) 동일․인접여부

HCN

서울/서초구 서초케이블TV

인접지역서울/관악구관악케이블TV

관악유선방송(2005. 3 편입)서울/동작구 디씨씨

충북/청주, 옥천, 청원, 동, 보은 청주케이블TV인접지역충북/충주, 제천, 단양,

괴산, 진천, 음성충북방송(2005. 9 편입)씨씨에스(2005. 9 편입)

큐릭스

서울/도봉구,강북구큐릭스

인접지역

큐릭스도봉강북방송

서울/노원구 큐릭스노원방송

서울/종로구,중구 큐릭스종로중구방송

서울/성동구,광진구 큐릭스성동광진방송

서울/서대문구 큐릭스서대문방송

CJ케이블넷

부산/해운대기장CJ해운대기장방송

동일지역CJ동부산방송(2004. 12 편입)

경남/창원, 진해, 함안, 의령CJ경남방송/경남방송마산지점

인접지역경남/마산, 통 , 거제, 고성경남/김해, 양, 양산, 창녕, 합천, 거창 CJ가야방송

온미디어대구/동구 동구케이블방송

인접지역대구/수성구 수성케이블방송

NGN부산/진구

중앙케이블TV

인접지역범진케이블네트워크

부산/금정구금정방송(2003 편입)제일케이블TV

CMB

대구/북구 대구중앙북부방송

인접지역대구/동구 대구중앙동부방송

대구/수성구 대구중앙수성방송

대전/동구,대덕구 씨엠비동대전방송

인접지역대전/중구, 서구, 유성구

씨엠비대전방송

한씨엔

광주/동구, 북구 씨엠비광주중앙방송

인접지역광주/서구, 남구, 광산구

씨엠비서광주방송

씨엠비웹엔티비(2005 편입)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한국케이블TV

방송협회(2005a, 2005b) 자료를 재구성

Page 7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70

운 하게 되었으며, 인접한 가야방송을 포함하여 지역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에 따라 CJ케이블넷은 부산과 경남 동남부를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밖에 온미디어는 대구지역에, NGN은 부산지역에, CMB는 대구와 대전 그리고

광주지역에 각각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사업권역을 넓혀가고 있다.

<표 3-2>를 통해 주요 MSO들에 소속되어 있는 SO들의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

면, 케이블TV 산업에서 MSO들이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SO들을 우선적으로 인수하

여 클러스터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MSO들은 2∼3개

의 지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클러스터 형성 유인

원래 단지조성 또는 클러스터(cluster) 형성은 특정지역에서 산업의 가치사슬 상에

있는 구성요소들을 지리적으로 인접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현상을

일컸는 것이다. 단지화 또는 클러스터화는 전통적으로 자본집약적 산업의 경우 수

요(대도시 주변, 인천 서울 등 수도권)와 공급 측면(원자재와 중간재, 울산, 포항 등)

에서의 물류비용을 포함한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소하기 위하여 산업체의

집적화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케이블TV 산업에서 인접한 케이블TV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인수하여 클러스터를

형성하려는 것은 서로 다른 산업체가 지리적으로 인접하는 단지개념과는 다른 것이

다. 산업단지 등은 가치사슬 상의 같은 단계 또는 서로 다른 단계의 기업들이 요소

와 상품의 거래와 유통에 있어서 효율화를 위한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케이블TV 산업에서 MSO가 인접한 SO들을 인수하여 지리적인 근접성(proximity)을

가지려는 것은 네트워크의 구축 및 운용, 그리고 고객 유치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

용을 절약하는 등 규모의 경제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TV 사업자는 다른 사업자와 달리 방송권역으로 쪼개진 지역시장을 기반으

로 하는 사업자이므로 지역시장의 선점과 확보는 커다란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지역의 인구 도, 소득수준, 문화수준, 주거환경 등 다양한 시장특성에 따라 SO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비용 및 수용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지역시장을 선점하는 일

Page 7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71

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도 서울, 경기 등 수도권과 부산, 인천 등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MSO가 형성되고 클러스터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MSO의 급속한 진전과 클러스터화에 따라 클러스터에 속하지 못한 MSO의 SO와

독립 SO들은 타 MSO사업자에게 이들 SO를 매각하거나 상호 교환할 가능성도 높

다. MSO의 진전과 시장의 지리적 재편과정에 따라 향후 케이블TV 산업은 300만∼

500만 가입자 기반 위에 디지털방송과 초고속인터넷,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3∼5

개의 거대 MSO사업자에 의해서 시장재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3. 케이블TV 산업의 시장집중도

가. 시장집중도 증가

방송위원회(2005)에 의하면, 현재 한국의 케이블TV 산업은 5∼7개의 MSO가 주

도하는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2005년 6월 현재, 전체 77개 방송권역의 2/3가 넘는

57개 권역의 79개의 SO가 상위 7대 MSO에 속한 사업자들이다. 이들 상위 7대 MSO

는 2005년 6월 현재, 전체 케이블TV 가입자(대수)의 71.5%, 매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다(<표 3-3> 참조).

사실,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표 3-4> 참조). 2004

년 6월 상위 3대 MSO의 점유율은 26.8%에 불과하 으나, 2005년 6월에는 46.7%로

증가하 다. 2004년 6월 현재 상위 7개 MSO가 전체 시장의 약 50% 남짓을 점유하

으나, 1년 뒤인 2005년 6월에는 상위 4개 MSO가 거의 60%에 가까운 시장을 점유

하게 된다. 2005년 6월 상위 7대 MSO의 점유율이 71.5%가 넘는 수준을 보이고 있

는데, 1년 전에는 겨우 50%를 갓 넘는 수준이었다. 매출액 기준도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집중도 증가는 태광MSO가 한빛MSO를 인수하면서 최대 MSO의 크기가

크게 증가하 고, 2대 MSO인 씨앤앰이 지속적으로(지리적으로 인접한) 서울 및 경

기 북부 SO를 인수하 고, CMB가 대전, 전남을 중심으로 지역적 통합을 추진하는

하면서 상위 3개 MSO의 비중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

Page 7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72

<표 3-3> MSO 현황(단위: 천가입대수, 백만원)

구 분 소유 SO수 방송권역수 가입자 수 매출액 지역

태광MSO 21 14 3,241(23.2%)

280,541(20.8%)

경기, 인천, 충남, 경북, 부산

CJ케이블넷 8 7 1,662(11.9%)

121,467(9.0%) 서울, 인천, 부산, 경남

중앙네트워크 12 12 1,616(11.6%)

115,357(8.6%)

서울, 대구, 대전, 광주, 전남

씨앤앰 16 14 1,593(11.4%)

228,260(16.9%) 서울, 경기

HCN 7 7 822(5.9%)

73,735(5.5%) 서울, 부산, 청주, 경북

온미디어 6 6 531(3.8%)

50,176(3.7%) 전남, 대구, 강원

큐릭스 7 6 508(3.6%)

73,830(5.5%) 서울, 대구

소 계79

(68.5%)57

(74.0%)9,973

(71.5%)943,365(70.0%)

전 체 119 77 13,945 1,347,948주: 1. 2005. 6월 현재로서 2005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의 자료를 토대로 함

2. MSO의 순서는 가입자(대수) 순위임

<표 3-4> 케이블TV 산업 시장집중도의 변화

점유률 CRn 2004 2005가입자(대)수 기준 CR3 26.8% 46.7%

CR4 33.8% 58.2%CR5 40.7% 64.1%CR6 47.4% 67.9%CR7 52.7% 71.5%

매출액 기준 CR3 31.4% 46.8%CR4 39.3% 55.3%CR5 45.4% 60.8%CR6 50.8% 66.3%CR7 56.3% 71.3%

주: 2004, 2005년 각각 6월 기준

Page 7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73

나. 미국 MVPD 산업의 시장집중도와 비교

한국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 수준을 미국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와 비교해보

자. 미국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MSO에 의한 시장 집중이 꾸준히 증가하 다

(Chan-Olmsted, 1996). <표 3-5>를 통해 볼 수 있듯이 1995년 현재, 최대 MSO의 시

장집중도는 26.5%이고, 상위 4개 MSO의 점유율이 58% 정도이다. 흥미로운 것은

1995년 미국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 수준이, 미국의 최대 MSO의 점유률이 한국

의 최대 MSO보다 약간 더 높은 것을 제외하면, 한국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 수준

과 비슷한 것이다. 눈여겨 볼만한 또 다른 사실은 2004년 미국의 다채널방송산업

(MVPD)의 점유률 분포에서 상위 4대 사업자 중에 2개 사업자가 DBS 사업자인 것

이다. 뒤에 상술하겠으나, 1999년부터 미국은 케이블TV와 DBS의 경쟁을 감안하여,

이 두 매체와 MMDS, LMDS 등 다채널 산전송매체 등을 포괄하는 시장(MVPD:

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elivery)으로 획정하기 시작하 다.

<표 3-5> 미국 다채널방송(MVPD) 시장의 집중도 변화

순위1995년 2004년

MSO명 점유율 MSO명 점유율

1 TCI 26.5 Comcast 23.372 Time Waner 19.3 DirecTV 12.103 Continental Cablevision 6.7 Time Warner 11.874 Comcast 5.7 Echostar 10.63

Top 4 58.2 - 57.975 Cox 5.4 Cox 6.926 Cablevision Systems 4.4 Charter 6.737 Adelphia 2.9 Adelphia 5.888 Jones Intercable 2.3 Cablevision 3.19

Top 8 - 73.2 - 80.69Top 10 - N.A. - 84.72

자료: 1995년 자료는 Chan-Olmsted(1996) p.31, 2004년 자료는 FCC(2005a) 11th Annual Report의 p.118에서 인용

Page 7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74

다. 시장 집중도의 의미

우리는 여기서 케이블TV 시장에서 시장 집중도가 가지는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케이블TV 산업에서 SO는 기본적으로 지역 독점사업자이다. 어느 특정 SO가

다른 지역의 SO를 소유 결합하여 MSO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어느 특정 방송권역에

서의 독점적 시장구조는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MSO의 형성에 의해 소비자의 선택

은 크게 위협받지는 않는다.

그러나 시청자가 소비하는 케이블TV 서비스의 수준과 가격은 MSO의 형성에 따

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해당 방송권역에서 제공되는 케이블TV 서비스의 가격과

질은 해당 방송권역의 특정성뿐 아니라 전국적인 케이블TV 산업의 소유구조, 산업

구조, 거래관계, 기술혁신, 타 매체와의 경쟁관계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MSO

의 형성은 케이블TV 산업에서의 소유구조, 산업구조의 변화를 수반하고 프로그래

밍의 거래관계, 신규 프로그래밍 및 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술혁신과 투자에 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절한 소유규제를 통해 적정한 MSO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케이

블TV 산업뿐 아니라 콘텐트 및 미디어 산업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작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MSO의 크기에 관심을 갖는 것은 프로그래밍을 최종 유통하는

지역시장(local market)에서 기업결합을 통해서 전국적으로 거대 MSO가 탄생하 다

면, 전국시장(national market)인 프로그래밍 거래시장에서 MSO의 시장력을 부당하

게 행사하여 원활한 프로그래밍의 유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수평결합

을 통해 시장력을 확보한 MSO가 PP들을 수직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프로그래밍을

차별적으로 거래하거나 결합한 PP를 전송하지 않는 시장봉쇄 등도 일어날 가능성

이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대안적인 상전송매체가 존재하여 MSO에 대한 경쟁압

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 MSO에 대한 소유규제를 통해서 시장력을 적정한 수준

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사실, 적정한 MSO의 크기를 논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다채널 방송산업의 기술

및 경쟁 환경에 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 다른 언론 및 방송매체의 발전

및 경쟁상황, 관련된 매체들의 소유규제 정도, 해당 사회의 정치․문화적 다양성에

Page 7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75

대한 욕구 등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역에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음 절에서는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쟁환경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MSO에 대한

수평소유 규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해 보겠다.14)

제2절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 규제

1.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 논거

가. 방송부문의 수평 소유규제 논거

방송부문에서 미디어의 소유집중을 제한하는 근거는 다원성(pluralism) 또는 다양

성(diversity)의 확보에 있다. 미디어의 다원성은 미디어를 통해 다양하고 독립적인

목소리 특히, 다양한 정치적 의견의 표출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문화적 표현이 행해

지는 것을 의미한다. 미디어에 있어서 정치적,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소유의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것이 수평결합을 규제하자는 논거이다. 한정된

언론 상매체들의 소유가 어느 특정 개인이나 법인에게 집중되어 있고, 독립적인

경쟁매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양성이 저해될 개연성이 높을 수 있다는 것

이다. 즉, ‘미디어 공급자의 다양성(diversity of media supplier)을 통해서 미디어 콘텐

트의 다양성(diversity of media content)’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소유집중을 제한하

14) 국내에서 케이블TV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horizontal ownership limit)를 본격적 다룬 논문은 많지 않다. 비교적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까지 제시할 정도로 깊이 있게 이 문제를 다룬 연구보고서는 방송위원회(2003)를 들 수 있다. 방송위원회의 위탁과제로서 김선구, 류근찬, 이상승 등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수행한 본 보고서는 케이블TV와 관련한 다양한 소유규제 문제들을 다루면서 수평적 소유규제를 일부 다루고 있다. 이들의 논의는 주로 케이블TV에 대한 대기업 및 외국자본의 소유규제 완화와 수직적 소유규제(vertical ownership limit) 완화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들의 주장은 앞에서도 언급하 듯이 2004년 초에 개정된 방송법에 상당부분 반 되었다.

Page 7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76

는 근거이다(Doyle, 2002).

물론 여기서 언급하는 미디어들은 신문, 방송, 출판 등 다양한 언론 및 방송매체

를 포괄하고 있다.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들 다양한 매체에 대한 소유집중

을 제한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으며, 사실 거의 모든 나라에서 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교차소유규제(cross ownership limit)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방송 및 언론 매체를 포괄하는 교차소유규제뿐 아니라, 언론과 방송의 다양성 또

는 다원성을 위해서 어느 특정매체(지상파, 케이블TV, 위성방송 등)에 있어서 특정

개인 또는 법인의 소유를 제한하는 것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가 여기서 논의

하고 있는 케이블TV 시스템에 대한 소유규제 상한도 어느 특정 소수에 의해 전국적

인 케이블TV 시스템이 소유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하고 공정한 상프로그램

의 유통을 통해 다양성을 보장하자는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매체의 소유집중과 다양성의 관계는 그렇게 명료하지만은 않다. 소유가

집중되어 있다하더라도 내용의 다양성과 중립성이 가능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소유의 다양성이 내용의 다양성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실 이 둘의

관계를 엄 하게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소유규제를 고려할 때는 기술혁신을 고려해야 한다. 기술

혁신은 새로운 미디어, 새로운 생산양식, 새로운 유통방식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

술혁신으로 콘텐트의 제작과 유통부문에서 진입장벽은 낮아지고, 새로운 경쟁 미디

어가 도입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위성과 인터넷이다. 따라서 미디어 소유에 대

한 규제는 기술혁신과 매체간의 동태적인 경쟁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 FCC가

미디어간 교차소유규제를 완화하는 움직임을 보인 것은 이러한 기술혁신에 따른 관

련 매체(relevant media)의 등장과 무관하지 않다.15)

나. 미국 통신법을 통해 본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 논거

미국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에 대한 논쟁과 규칙을 살펴보면 소유상

15) FCC(2003) 참조.

Page 7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77

한 규제의 논리적 근거를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케이블TV 소유규

제는 1996년에 개정된 통신법(Communication Act of 1934)의 613(f)(1)조과 1992년에

제정된 「케이블TV 소비자보호 및 경쟁을 위한 법(Cable Television Consumer Protec-

tion and Competition Act of 1992」(이하 1992년 케이블TV법)의 11(c)(1)조에 근거하

고 있다. 미국의 통신법 제613(f)(1)조는 케이블TV 산업에서 원활한 프로그래밍의

유통과 유효경쟁을 위하여 FCC로 하여금 “어떤 개인 또는 법인이 소유하거나 향

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attributable interest)을 보유하고 있는 케이블시스템이 접

근할 수 있는 케이블TV 가입자의 수에 대한 합리적인 상한수준(limit)을 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또한 동법은 FCC가 제613(f)(2)조를 통해 소유규제 기준을 정함에

있어 공공의 이익(public interest)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가이드라인을 명시

하고 있다. 통신법 613조(f)(2)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유규제 상한을 설정함에 있어서

FCC가 고려해야 하는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어느 특정 케이블TV사업자 또는 복수의 케이블TV사업자들이 연합하여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시장규모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래밍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것

을 부당하게 저해해서는 안 된다.

(b) 케이블TV사업자는 그들과 이해관계가 있는 프로그래밍을 차별적으로 유리하게

대우하여서는 안 되며, 아무런 이유없이 다른 비디오유통사업자에 그러한 프로그

래밍의 분배를 제한하여서도 안 된다.

(c)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 소유구조 패턴뿐 아니라, 지역 방송권역의 특성과 시장

지배력, 케이블 시스템과 PP의 공동소유, 다양한 소유 또는 지배형태(non-equity 등),

기타관계 등에 대한 면 한 검토가 요구된다.

(d) 소유권 또는 경 권의 제고에 따라(다수의 SO 또는 PP를 겸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율성과 편익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e) 방송 및 통신산업의 동태적 특성을 감안한 규제가 요구된다.

(f) 소유규제는 케이블TV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저해

해서는 안 된다.

(g)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프로그래밍의 개발과 도입을 저해하는 소유규제를 하여서

는 안 된다.

Page 7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78

케이블TV 산업의 수평 및 수직결합 규제를 고려하는 경우, (a)와 (b)는 시장지배

력이 프로그래밍 유통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

하고 있다. 이에 반해 (d)는 다수의 SO를 겸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율성

과 경제적 편익을 고려해야 하며 (g)는 새로운 프로그래밍(또는 새로운 케이블TV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도한 소유규제를 경계해야 함을 지적

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미국의 통신법은 프로그래밍을 소비자에게 최종 유통하는 MSO의 수

평결합에 따른 시장지배력의 행사는 프로그래밍의 다양성, 공정한 비차별적 유통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소유규제가 필요하다는 논거를 제시하고 있는 반

면, MSO가 가지는 경제적 효율성, 새로운 프로그래밍 도입 가능성, 기술혁신 투자

가능성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감안하여 지나친 소유규제의 부작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다. 미국의 케이블TV 수평결합 규제 논쟁

1) 수평 및 수직결합의 증가와 상하원 청문회

미국 케이블TV산업에 있어서 소유규제에 대한 논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활발하

게 진행되었다. 1984년 케이블TV 경쟁법의 도입으로 케이블TV 산업에 대한 규제완

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PP의 도입과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한 대

규모 투자가 이루어졌다. 서비스의 질적 상승과 함께 가격규제 완화에 따라 소비자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하 다.16) 대규모 자본이 투자되면서 수평 및 수직결합이 활발

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1980년대 후반부터 지속되어진 케이블TV 산업의 가격

상승과 소유집중 심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고조되었다.

특히, (앞의 가이드라인 (a)와 (b)에서 제시된) MSO의 비계열(non-affiliated) 독립

PP에 대한 차별적 프로그램 유통에 대한 우려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6) Rubinovits(1993)에 의하면 1984년 가격규제완화 이후 케이블TV 기본서비스(basic service)의 가격상승은 시장력의 행사에 상당부문 기인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Page 8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79

케이블TV의 소유 집중을 규제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의회청문회에서 케이블TV 산

업의 소유규제 문제를 다루게 되었다. 먼저, 상원 청문회는 몇몇 소수의 대규모 MSO

들을 방송프로그래밍을 시청자에게 최종적으로 유통하는 “미디어 문지기(media gate-

keeper)”라고 명명하면서 이들이 새로운 방송프로그래밍의 도입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하 다.17) 그리고 케이블TV산업이 이들 거대 문지기들에 의해서 과점화되면서

다양한 목소리들이 소비자에게 제공되지 못할 것을 우려하 다.

그러나 곧 이어서 이루어진 하원청문회는 MSO를 통해서 공공의 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 다.18) 특히, MSO를 형성함으로써 업, 분배, 구매 등에

서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이 증대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 다(앞의 가이드라

인 (d)). 특히, 눈에 띄는 것은 하원청문회보고서는 상원청문회 보고서와는 달리 MSO

형성을 통해서 새로운 프로그래밍 도입을 위한 자본투여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고 지적하 다(가이드라인 (g)). 다시 말해, MSO를 통해서 새로운 프로그래밍 도입

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청자 기반을 확보할 수 있어서 오히려 새로운 프로그래밍의

도입을 촉진할 수 있다고 지적하 다. 또한 하원보고서는 대규모 MSO들이 소규모

MSO들보다(새로운 서비스 및 프로그래밍 도입 등에서) 위험을 더 추구할 수 있다

고(그래서 더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가이드라인 (g)).

2) 1992년 케이블TV법과 FCC의 소유상한 규제

이러한 상/하원의 청문회 등에서의 논의와 다양한 의견개진 및 토론을 통해서 의

회는 1992년 케이블TV법을 제정하여 케이블TV산업에 대한 소유규제 및 가격규제

를 도입하 다. 곧이어 FCC는 「1993 Second Report and Order」를 통해 수평적 소유

규제의 상한을 규정하 는데, “어떤 개인 또는 법인이 자신이 소유하거나 또는 향

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attributable interest)을 보유한 케이블TV 시스템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가구의 수는 전국적으로 전체 홈패스 가구의 30%이하”로 하 다.

FCC는 특정 MSO가 전체 홈패스 가구의 30% 이상을 소유할 수 없는 상한기준을 통

17) Senate Report(1991) 참조.18) House Report(1992) 참조.

Page 8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80

해서 (ⅰ) 적절한 시장구조 유지를 통해서 대규모 MSO들이 프로그래밍의 구입에

있어서 과도한 시장지배력 행사의 가능성을 제약하고, (ⅱ) 반면에 적정수준의 기업

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규모 MSO들이 새로운 프로그래밍에 대한 투자, 다양

한 프로그램의 제공, 고도화된 케이블TV 서비스(초고속인터넷, 쌍방향 비디오, 케이

블모뎀 전화 등) 도입 및 지역방송에 대한 고도화 등에 투자할 유인을 가질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하 다(FCC, 1993).

3) MSO들의 소송 제기와 법적 논쟁

그러나 FCC의 수평 및 수직 상한 규제는 「1993 Second Report and Order」를 통해

소유규제 기준을 발표한 당해연도인 1993년부터 법적인 도전을 받기 시작하 다.

먼저 Daniels Cablevision 사는 FCC로 하여금 소유규제를 설정하도록 명령하고 있는

통신법 613(f)(1)조가 수정헌법 제1조의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할 수 있다며

위헌소송을 제기하 다. 1993년 말 법원은 통신법 613조(f)(1)가 수정헌법이 보장한

SO들의 표현을 자유를 제한할 수 있어 위헌소지가 있다고 판결하 다. 이에 대응하

여 FCC는 수평적 소유 및 수직적 소유상한 규제의 유효시기(effective date of rules)

를 Daniels Cablevision 소송 건에 대한 최종판결이 나올 때까지 유예하면서, 소유규

제의 위헌판결에 대해 즉각 항소하 다.

한편, 1994년 Time Warner사는 FCC가 「1993 Second Report and Order」를 통해 설

정한 소유상한 기준에 대해 위헌소송을 제기하 다. 1996년 법원은 통신법 613조

(f)(1)에 대한 위헌소송(Daniels v. FCC)과 FCC의 소유상한기준(47 C.F.R. 76.503)에

대한 위헌소송(Time Warner v. FCC)의 두 소송을 병합하여 심리하기로 하 으며, FCC

가 소유기준을 재검토하는 동안 법원의 심리를 일시 중지하기로 결정하 다.

4) 「1999 Cable Ownership Order」와 소유규제 논쟁

FCC는 소유규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근거 법 조항이 지방법원에서 위헌 판결

을 받으면서 소유규제 기준에 대한 재검토에 착수하 다. 뿐만 아니라, 1990년대 후

반부터 다채널 방송산업에서 DBS의 성장이 뚜렷하게 목격되면서 시장획정 등 소유

규제 기준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진행하 다. 이러한 결과 FCC는 「1999 Cable

Page 8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81

Ownership Order」를 통해 기존의 수평적 소유규제 상한을 대폭 완화하 는데 (ⅰ)

홈패스율 기준을 실질적 가입자(actual subscriber) 기준으로 변경하고, (ⅱ) 전체 가

입자의 범위를 케이블TV 가입자만이 아닌 다채널방송가입자로 확대하 다. 즉, 어

느 개인 또는 단체가 소유하고 있거나 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을 갖고 있는

MSO의 소유상한은 실질적 가입자 기준으로 전체 MVPD 시장의 30%를 상한으로

하여 소유규제 상한을 대폭 완화하 다.19)

그러나 이러한 대폭 완화된 소유규제 상한도 궁극적으로 연방순회항소법원의 위

헌판결을 받게 된다. 법원은 FCC가 케이블TV사업자에게 소유규제기준을 강제하는

합리적, 실증적 근거(reasonable evidentiary basis)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

고 있다. 또한 FCC가 변화하는 시장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시장지배력과 반경쟁적 결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근거 제시가

부족하 다고 지적하 다. 특히, FCC가 신규 프로그래밍에게 적어도 30%의 비폐쇄

된 시장(open field)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제기한 2개 MSO의 담합 가

설에 대해서 법원은 통신법 613(f)(1)조는 어느 특정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 두

개 이상의 MSO가 담합하는 상황까지 고려하여 규제할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고 지

적하고 있다.

Time Warner II 판결 이후, FCC는 수평/수직 결합 소유상한 기준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에 착수하게 되고, MSO 소유집중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반경쟁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증거를 구하 다. 또한 1992년 케이블TV 법 제정이후 달라진

시장조건에 대한 의견개진을 촉구하 다(FCC, 2001). 특히, FCC는 「2001 Further

Notice」를 통해 프로그래밍의 원활한 유통이 저해되는 수평적인 집중도(horizontal

limit)의 수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구하고자 하 다. FCC의 「2001 Further Notice」

이후, 수평 및 수직 소유규제에 대한 다양한 이해집단 간의 이론적, 실증적 논쟁이

19) 소유규제완 관련한 시장의 범위가 케이블TV산업에서 MVPD 산업으로 확대되면서 케이블TV만을 대상으로 하는 종전의 소유상한기준으로 계산한다면 케이블TV 가입자의 36.7%로 소유상한이 확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Page 8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82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FCC는 합리적인 소유규제 기준 설정을 위한 만족할만한 정보를 얻지 못

했다고 판단하면서, 「1992년 케이블TV법」이 FCC에게 부여한 권한과 의무를 다하

고, Time Warner II 판결을 통해 법원이 FCC에게 명령한 바를 이행하기 위해 「2005

Second Further Notice」를 통해 다시 한번 소유규제 기준 마련을 위한 의견개진을 요

구하고 있다(FCC, 2005b).

2. MSO의 경제사회적 비용과 편익

가. MSO의 경제적 편익

1) 규모의 경제

독립 SO들을 매입하면서 MSO를 형성을 위한 경쟁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이유는

케이블TV 산업이 갖는 규모의 경제라는 본질적인 특성 때문이다. 케이블TV산업은

규모의 경제에 따른 자연독점(natural monopoly) 산업의 성격이 강한 산업이라고 알

려져 있다. 케이블TV산업은 전화산업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등을 구축하는 데 많

은 고정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느 특정 한 개사업자에게 지역적으로 의미 있는

크기의 시장권역에 대해 독점 업 허가권을 주고 규모의 경제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규모의 경제는 다양한 곳에서 비롯될

수 있다. 예컨대, 생산설비의 통합관리를 통한 생산비의 절감이 가능하고, 기업결합

을 통한 규모 증대에 따른 노동 등 자원의 전문화와 생산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기업결합을 통한 판매 및 업 조직의 통합․공동활용에 기초한 업비용의 감소

가 가능하고, 기업결합을 통해 기술인력․조직․자금을 공동 또는 효율적으로 활

용함으로써 생산기술 및 연구능력 향상 도모할 수 있고, 그리고 시장규모 확대에 따

른 다양한 서비스제공 등을 들 수 있다.

Noam(1985)은 케이블TV 산업의 규모의 경제를 추정하면서 규모의 경제가 어디에

서 비롯되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케이블TV 산업의 규모의

Page 8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83

경제는 기술적인 네트워크의 통합에서 비롯되기 보다는 보다 넓은 가입자 기반을

가짐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조합하여 판매할 수 있는 능력에서 도출된다

고 하 다. Noam의 실증분석은 케이블TV 산업에서 MSO를 추구하는 경제적 유인

은 네트워크의 통합관리 보다는 구매, 업, 관리부문에서 비롯되는 규모의 경제에

있다.

요약하자면, 케이블TV 사업자들이 인근 케이블TV 시스템을 수평적으로 결합하

려는 이유는 네트워크와 가입자를 통합하여 관리하게 되면 망운 및 가입자관리

등에서 평균비용은 감소하고, 가입자 규모가 확대되면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효과

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범위의 경제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통신

법 613(f)(2)조의 가이드라인 (d)).

2)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위한 투자

규모의 경제와 관련된 것으로서, MSO의 형성에 의해서 가입자 기반이 증가하면

새로운 기술도입 및 서비스 개발에 대한 투자 유인이 높아져 위험선호적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감행할 수도 있다. MSO는 시장의 크기를 의미하고, 이는 새로운 서비스

를 도입하는 경우 최소한의 시장규모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하므로,

자신의 가입자 기반이 확대될수록 신규서비스 도입에 수반되는 위험은 감소하게 되

고 이에 따라 적극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가이드라인 (g)).

이와 같은 맥락으로 MSO의 경우, 최소한의 시장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직결합

을 통해 틈새시장의 신규 프로그래밍 도입이 촉진될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

을 수 있다. 이는 MSO가 수직결합을 통해서(독립 PP의 경우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도입이 어려울 수도 있는) 틈새 프로그래밍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수평

및 수직결합이 PP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가이드라인 (g)).

그러나, MSO에 의한 틈새시장의 다양한 프로그래밍이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 설

득력을 가지려면 1980년 후반 이후, 미국 케이블TV 산업에서 신규 PP의 도입에서

MSO가 어떠한 역할을 하 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경

우에도 MSO가 신규 PP의 도입에 어떠한 역할을 하 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Page 8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84

것이 필요할 것이다.20)

나. MSO의 경제사회적 비용

1) 신규 프로그램 도입의 저해와 다양성의 문제

대규모 MSO 형성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효과 중에 대표적인 것은 미국 통신

법 613(f)(2)조의 가이드라인 (a)와 (b)에서 잘 나타나 있듯이 MSO가 특정 PP를 배제

하거나 차별적 대우를 함으로써 제기될 수 있는 다양성의 제약에 있다. 프로그램의

생산과 1차 유통을 담당하는 PP부문은 사업자 수가 많고 비교적 경쟁적 시장인데

반해, 프로그래밍의 최종 유통시장인 SO부문은 거의 독점적이기 때문에 SO의 소유

집중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그래밍의 배분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즉,

어느 특정 프로그래밍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것인가, 어느 티어(tier)에 배치시킬 것

인가, 또는 몇 번 채널에 할당할 것인가는 거의 전적으로 SO에게 달려있기 때문에

상프로그램의 유통과정에서 소비자와의 접점에 위치하여 소위 문지기(gatekeeper)

역할을 하는 SO에 의해서 시청자 접근이 통제될 수 있다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그래밍 배분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TV 시장의 50% 정도

가 1∼2개의 MSO에 의해서 점유되고 있다면, 신규 프로그래밍은 이들 MSO에 접

속하지 않고서는 시청자에게 다가가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신규 프로그래밍의 유

통은 이들 소수의 MSO에 의해 좌우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새로운 프로그램이 소비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은 SO의 집중력이 높은 경

우보다 소유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시장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MSO의 크기를 적절한 수준에서 조절하는 것은 불가피할 수 있다. 유통시장이

다수의 SO들로 분산화되어 있다면 새로운 프로그래밍들이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기

회는 그만큼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상프로그램이 원활히 진입하기 위하여 소수 MSO에 의해 집중화

20) 본 보고서에서 MVPD와 관련된 프로그래밍 산업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으나, 이 주제에 대해서는 구체적 데이터의 확보와 분석에 제약이 있어 본 보고서에서 구

체적 논의를 진행하기는 어렵고, 다음 연구주제로 넘긴다.

Page 8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85

되지 않은 분산된 소유구조가 요구된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설득력을 갖지 못한

다. MSO의 소유 집중만으로 신규 프로그래밍 도입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논리는 지극히 확률론적인 접근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SO 소유 집중이 신규 프로

그래밍의 도입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과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경제학적으

로, MSO들도 신규 독립 프로그래밍이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고 높은 시청률을 확

보할 수 있다면, 그래서 MSO의 수익에 도움이 된다면, 독립적인 신규 PP의 유통을

거부할 유인은 전혀 없다.

다양성의 관점에서 방송 및 언론 전체를 보더라도, 케이블TV는 상프로그램 유

통시장의 유일한 문지기는 아니다. 소비자는 이미 다른 다양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신문, 출판, 지상파텔레비젼, 인터넷, 위성방송, DMB 등등이 그것이다. 인쇄매

체가 주도하던 시대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복합적인 미디어를 통해 아이디어를 나

누고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디지털 컨버젼스 시대에 다양성 때문에 MSO의 소유 집

중을 극단적으로 염려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2) 수평결합과 시장봉쇄 그리고 차별적 거래

케이블TV 산업에서 소수 MSO에 의해 집중화된 시장구조가 우려되는 또 다른 이

유는 신규 및 기존 프로그래밍의 유통에 있어서 MSO의 시장력에 기초한 협상력과

이에 따른 불공정, 차별적 거래일 것이다.

Waterman and Weiss(1997)는 MSO의 PP에 대한 차별적 시장행위가 기본형 서비

스(basic service)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유료채널(premium service) 채널에서는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MSO와 독립 SO의 프로그래밍 구입가격 조

건을 비교한 결과, MSO의 경우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유료채널을 구매하는

것을 발견하 다. Waterman(1995)은 수직결합과 관계없이 MSO와 독립 SO간의 PP

공급가격을 비교한 결과, MSO의 경우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프로그램을 공급받은

것을 발견하 다. 그는 PP의 공급가격은 PP와 SO와의 수직결합의 여부와 정도에

기인하기 보다는 MSO자체가 갖는 하류시장(downstream market)에서의 시장규모와

협상력에 기인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Page 8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86

그러나 Chipty(1995)의 발견에서와 같이 수평결합의 주된 이유가 PP에 대한 SO의

협상력의 확보 또는 제고에 있다 하더라도, MSO의 형성을 통해서 협상력을 갖는다

는 것이 독립적인 PP와의 거래에서 불공정한 차별적 대우를 한다는 것으로 바로 연

결되지는 않는다. 협상력이 강한 거래 당사자가 거래에서 제공되는 가치의 상당부분

을 가져가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프로그램 유통시장에서 거래 당사자 간(PP-SO)

에 존재하는 지대(rent)를 협상력에 의해서 누가 어느 정도 가져가는가에 대해 정부

가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올바른 해답을 제공하기도 쉽지 않다.

Waterman(1995)과 Waterman and Weiss(1997)가 지적하 듯이 수직결합에 따른 시

장봉쇄(market foreclosure) 문제와 차별적 대우 문제는 수직결합 자체에 있기 보다는

수평결합을 통해 형성된 MSO의 시장지배력에 기인한다. MSO를 통해서 개별 PP에

대해 우월한 협상력을 갖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비계열 신규) PP의 시청자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거나, 차별적인 프로그램 공급조건을 요구할 수 있다. 예컨대, 신

규 프로그램이 MSO와 관계가 있는(affiliated) PP와 유사한 경우, 신규 프로그램의

소비자 접근은 아예 불가능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결합되어 있건 독립 PP

건 간에 수평결합을 통한 시장지배력을 이용하여 경쟁적인 비디오유통사업자(예컨

대, DBS 또는 IPTV)에 대한 기존 PP유통을 막거나 또는 차별적으로 전송하도록 유

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MSO형성에 따라 시장력이 반경쟁적으로 활용되어 신규 및 독립 PP들의

도입과 성장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거나, 경쟁 SO나 MVPD 사업자의 시장진입과 성

장을 저해할 수 있다면 지나친 MSO의 소유집중과 수직결합을 규제할 수는 있다.

그러나 미국의 법적 논쟁에서 제시되었듯이 시장력의 집중과 반경쟁적 행동과는 실

증적으로 증명하기 쉽지 않다. 이 둘의 연결에 대한 개연성만으로 규제한다는 것에

대한 우려는 미국 법원의 판결에서 쉽게 읽을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어느 정도 수준에서 시장력의 집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이다. 사실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쉽지 않다. 여기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정책적 이슈는 실증적인 것이고, 사전적으로 적정 기준을 정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

Page 8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87

이다. 이는 앞에서 논의한 미국의 수평적 소유규제와 관련한 법정 공방 및 논쟁에서

잘 나타나 있다.

3) 소비자 가격 상승

케이블TV 시장에서 거대 MSO의 형성은 케이블TV 프로그램 또는 상프로그램

유통시장에서의 거대 하류기업의 등장을 의미하기 때문에 MSO의 시장지배력 행사

는 프로그램 유통에 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후생에 커다란 향을 미

칠 수 있다. 독점적 시장구조를 가진 케이블TV산업의 가격상승은 지난 수십 년간

미국 케이블TV 산업의 주된 정책이슈 다. 특히, 1984년 규제완화 이후 1980년대

후반에 목격한 MSO의 형성과 급속한 가격상승은 1992년 케이블TV 법을 통해 가격

규제를 다시 도입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1980년대 후반 케이블TV 가격의 상승의 원인은 서비스 질의 상승에 의한 것이라

는 케이블TV 사업자들의 주장과, 독점적 시장구조를 가진 케이블TV 산업에서 MSO

의 형성 등에 따른 시장지배력의 행사에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마주섰다.

Rubinovits(1993)에 의하면 1986∼1989년 사이 케이블TV 가격상승의 43%는 독점력

행사에서 비롯된 것이며 나머지 57%는 서비스 질의 증가 때문이라고 추정하 다.

잠재적 경쟁압력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경쟁서비스가 없는 경우 또는 경쟁서비스

가 있더라도 경쟁압력을 행사하고 있지 못한 경우 독점적 사업자는 소비자 가격을

인상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할 것이다. 케이블TV산업의 독점적 시장구조 때문

에 가격이 사회적 후생을 최대화하는 수준이 아니라 소비자의 후생을 희생하고 독

점사업자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수준으로 설정될 수는 있다. 이렇기 때문에 미국의

케이블TV 산업의 역사에서 목격할 수 있는 것처럼 가격규제와 완화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케이블TV사업자가 한계비용을 초과하는 수준에서의 가격을 설정하는 것

은 케이블TV 산업의 독점적 특징에서 유래되는 것이지 MSO에 의해 높은 가격이

설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MSO가 시장력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SO보다 더 높은 가격

을 설정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실증분석 결과를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오히려

Page 8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88

MSO에 의한 공급부문의 효율성 증가(낮은 전송 및 업비용, 낮은 프로그래밍 구

입가격 등)가 가격하락으로 이어져 소비자 편익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Ford

and Jackson(1997)에서 볼 수 있듯이 수평결합 및 수직결합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

현과 프로그래밍 구입비용의 감소는 소비자 가격의 하락을 통해서 소비자 편익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Rubinovits(1993)에 의해서 제시된 것처럼 독점력이 있

는 SO에 의한 시장력의 행사가 독점가격에 가까운 가격 설정을 가능하게 하 다하

더라도 Rubinovits가 연구대상으로 하던 시기의 케이블TV 경쟁구도와 지금은 상황

이 많이 다르다.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는 DBS의 도입과 케이블TV에 대한 경쟁압

력이다. DBS와의 경쟁이외에 우리의 경우 미국과는 다른 시장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은 케이블TV 산업 내에서 동일권역에서의 복점적 경쟁구도이다. 이런 점에서 우

리의 경우 동일권역 내에서의 기업결합에 대한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3.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 규제 기준

가. MSO 수평결합 규제 기준

방송법 제8조 제7항은 케이블TV SO의 수평적 소유상한 규제를 규정하고 있는데,

“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시장점유율 또는 사업자수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

는 범위를 초과하여 다른 종합유선방송사업을 겸 하거나 그 주식 또는 지분을 소

유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 제4조 제4항에서는 “대통령이 정하

는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를 ①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매출액과 당해 종합유선방

송사업자와 특수관계인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매출액을 합한 매출액이 전체 종합

유선방송사업자의 매출액 총액 중 차지하는 비율이 100분의 33을 초과하는 경우 ②

특정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전체 종합유선방송사업구역의 5분의 1을 초과하는 구

역에서 경 을 하는 경우로 규정하고 있다. 즉, 방송법은 어느 특정 MSO의 (1) 매출

액이 전체 케이블TV 산업 매출액의 33%를 초과할 수 없으며, (2) 방송구역이 전체

종합유선방송구역의 1/5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케이블TV 산업의 소유상한 규제기준인 매출액과 방송권역 수의

Page 9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89

잣대가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새로운 소유규제 기준을 제시한다. 특히, 다

채널방송 산업(MVPD)에서의 기술적 진보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고, 매체간 경쟁

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새로운 규제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 FCC(1993)의 수평 소유규제 기준인 홈패스율 기준을 살펴보고, 우

리의 소유규제 기준인 매출액과 방송권역 수 기준을 분석해보겠다.

1) 홈패스율 기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 레이건 행정부 시절 SO간의

합병이 줄을 이었고, 케이블TV 산업의 집중도가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폐해를 걱정

하는 목소리가 증가하 다. 앞에서도 지적하 듯이 상/하원에서도 이 문제를 논의

하기 시작하 고, 이러한 사회적 논의 끝에 FCC는 1993년 홈패스율에 기초한 수평

결합 소유규제 기준을 발표하 다. FCC(1993)에 의하면 홈패스율 규제기준은 실시

간으로 변하는 실질적인 가입자 수 기준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통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홈패스율 기준은 가입자 수 기준보다 당시 규제 상한에

거의 육박한 MSO들이 추가적인 가입자 유치활동을 제약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입되었다. 그리고 MSO에게 잠재적 가입자 유치를 위한 투자를 유도하고 규모의 경

제를 추구하게 하여 신규 프로그래밍의 투자 등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그러나 홈패스율 기준은 MSO의 시장력을 추정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홈패스율에 기초한 규제기준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으로

첫째, 이론적으로 침투율은 독점력이 아니라 오히려 경쟁에 의해 가격이 낮거나 서

비스 질이 좋은 경우 높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Dertozous and Wildman,

1998). 즉, 어느 특정 SO가 독점적 사업자이더라도 해당 권역에서 시청할 수 있는

지상파 채널이 많거나,21) 2개 이상의 SO가 경쟁하는 권역(overbuild)의 경우에는 경

21) Dertozous and Wildman(1998)와 Crandall(1990)은 케이블TV 방송권역에서 시청가능한 지상파방송의 채널 수가 많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케이블TV 가입자가 낮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들의 결과는 지상파와 케이블TV와의 경쟁이 케이블시스템의 가격을 낮추고 질을 높여 케이블TV 가입자의 증가가

Page 9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90

쟁에 의해서 홈패스율이 다른 시스템에 비해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경쟁에 의한 시

장성과로 홈패스율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에도 불구하고 규제대상이 되는 결과

를 초래할 수 있다.

소유규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MSO가 수평적으로 SO의 소유를 늘려나갈 때, 전

국 단위의 프로그래밍 유통시장에서 특정 MSO가 갖게 되는 시장력(market power)

의 정도이다. 예컨대, 동일권역에서 복수사업자가 경쟁하고 있는 경우, 어느 사업자

는 홈패스율은 높더라도 다른 경쟁사업자와의 경쟁으로 가입자 수가 작은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홈패스율은 사업자의 시장지배력을 나타내는 정확한

통계치가 될 수 없다.

둘째, 홈패스율 기준 하에서는 사업자의 비효율적인 전략적 행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매출액 기준 또는 가입자 수 기준으로 산정한 시장지배력은 높으나 과도한

네트워크 투자를 통해 홈패스율을 제고시켜 소유규제를 회피할 수 있는 전략적 행

동이 가능하다.

셋째, 홈패스율은 DBS 등 새로운 경쟁매체의 등장에 따른 합리적인 규제기준을

제시하지 못한다. DBS의 경우 홈패스율은 100%이기 때문에 DBS를 포함하여 케이

블TV 산업의 소유규제 기준을 설정할 때에는 홈패스율을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FCC는 1999년 「Third Report and Oder」를 통해서 홈패스율 기준을

실질적 가입자 기준으로 변경하게 된다.

2) 매출액 기준

우리의 경우, 방송위원회가 방송법을 통해 채택하고 있는 매출액 기준은 앞에서

논의한 홈패스율 기준과 같이 소유규제의 논거를 만족하는 규제기준으로 부적절하

다. 첫째, 매출액 상한 기준은 역선택(adverse selection)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매출액 상한기준은 어느 케이블TV 사업자가 양질의 케이블TV 서비스를 더 높은 가

격에 더 많은 소비자에게 제공할 유인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MSO

나타나는 효과보다는 단순한 대체효과가 더욱 컸었음을 의미한다.

Page 9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91

인 어느 케이블TV 사업자(A라 하자)가 다른 MSO(B라 하자)에 비해서 더 많은 채널

과 다양한 서비스를 더 높은 가격에 제공한다고 하자. 이 경우, B가 A보다 더 많은

실질적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A의 매출액이 B보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A는 가입자 수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매출액 상한기준에 묶여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

를 제공하고 싶어도 제공하지 못하거나, 가입자를 늘릴 수도 없다. 이에 반해 더 많

은 가입자 기반을 갖고 있으나, 낮은 가격의 기본적인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B의 추

가적인 SO인수는 허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결국, 매출액 기준의 MSO 소

유상한규제는 규제의 근본적인 목적인 다양성의 촉진을 추구하지도 못할뿐더러, 비

효율적 자원배분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매출액 기준에 의해 시장력의 정도를 파악하려는 시도는 해당 시장에 대한

엄격한 시장획정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케이블TV SO들의 매출액은 기술적으로

계산하기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기술진보에 따라 더욱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의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 쉽게 목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케이블TV

사업자의 매출액은 다양한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대부분의 SO들은 케이

블TV 서비스와 함께 초고속인터넷 접속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전화서비스(VoIP)

도 제공할 예정이다. 그것도 두, 세 개 서비스를 묶어 하나의 상품으로 결합하여 묶

음상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묶음서비스의 가격이 개별 서비스 가격의 단순 합이 아

니고 더 낮은 경우, 매출액의 어느 정도를 방송관련 매출액으로 보아야 하는가? 묶

음상품을 판매하는 케이블TV 사업자들에게서 어느 특정 서비스의 매출액만을 분리

해 계산하기는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가능하더라도 그것을 증명하기는 더욱 쉽지

않다. 결국, 방송부문의 매출액을 통해서 MSO의 시장지배력을 옳게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더 나아가 SO의 매출액 구성 중 유료 프로그래밍의 유통(방송)과 통신으로 확연

히 구분할 수 있는 서비스의 경우에는 문제가 그리 크지 않다고 가정하더라도 앞으

로 제공될 데이터 방송, VOD 등 소위 융합서비스 등은 방송서비스 매출액으로 구

분하여 수평결합 소유상한 규제에 포함시킬 것인가 또는 제외할 것인가? 방송과 통

Page 9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92

신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통신과 방송으로 구분할 수 없는 융합서비스가 다양하게

제공되면서 방송관련 매출액을 기준으로 MSO의 시장력을 산출하려는 시도는 의미

를 잃게 될 것이다. 매출액은 엄격한 시장획정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

다. 특히, 융합화, 복합화하고 있는 방송통신 환경과, 시장획정이 보다 탄력적이고 광

범위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매출액 상한을 기준으로 MSO의 시장력을 평가하고

규제하는 것은 옳은 접근방법이 될 수 없다.

셋째, 둘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매출액 기준 소유상한 규제는 기술발전 과정

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가 충족되는 것을 저해하여 시장의 발전을 저해 할 수도

있다. 케이블TV서비스이외의 다른 부가서비스를 통해 케이블TV서비스의 수요(방

송매출)를 증대시킬 수 있는데, 매출액 상한규제는 이러한 부가서비스의 도입을 저

해할 수 있다. 특히, MSO를 중심으로 케이블TV의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VoIP, VOD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방송 관련 매출액 증대를 추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매출액 상한 규제는 MSO의 추가적인 가입자 모집 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

공을 제약할 수 있다.

매출액 기준은(일반적으로 매출액으로 계산되어지는) 전체 시장규모의 어느 정도

를 특정사업자가 차지하고 있는가를 계산함으로써 해당 사업자의 시장력과 이에 따

른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가 의미를 가지려면 규

제 대상이 되는 사업자들이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케이블TV

SO들은 서로 다른 시장(권역)에서 독점력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시장에

서 상호 경쟁하는 경쟁구도는 아니다. MSO의 크기를 규제하고자 하는 것은 하류시

장에서의 집중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상류시장인 전국적인 프로그래밍 유통시장

에서 시장지배력을 이용하여 원활한 프로그래밍의 유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

다. 즉, 수평적 소유상한을 설정하는 이유는 MSO의 시장력이 프로그래밍 유통시장

에서 불공정하게 반경쟁적으로 행사되는 것을 사전적으로 막고자 하는 것이다. 프

로그래밍 시장에서 MSO가 PP로부터 프로그래밍을 구입하는 조건 중에서 가장 중

요한 것은 MSO의 홈패스율이나 정의와 계산이 쉽지 않은 방송관련 매출액 규모도

Page 9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93

아니고, PP들이 전송할 프로그래밍의 잠재 수요의 크기인(전국적인) 가입자 수일 것

이다.

3) 케이블TV 방송권역 수의 제한

시장권역 수에 상한을 두고 MSO의 시장력을 제어하고자 한다는 것은 단순하고

쉬운 접근방법이다. 그러나 방송권역에 기초한 소유상한 기준도 문제가 있다. 먼저,

방송권역 수에 따른 기준은 MSO의 시장력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먼저, 방송권역의 시장의 크기가 비대칭적이다. 통계청의 시군구 세대수 통계를 통

해 케이블TV 방송권역별 가구 수 분포를 살펴보면, 상당히 편차가 심한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준으로 케이블TV의 방송권역 별 가구 수

분포를 살펴보아도 상당히 편차가 심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방송권역 중 거주가구

수가 10만 이하인 소규모 방송권역이 5개 으나, 이것의 7배가 넘는 70만 이상의 대

규모 방송권역이 2개가 있다. 평균적인 크기의 케이블TV 방송권역은 15만에서 25만

[그림 3-1] 케이블TV 방송 권역의 잠재가입가구의 분포

5

11

1917

9

6

32

12

0 0 01

0 01

0

2

4

6

8

10

12

14

16

18

20

계급

빈도수

.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빈도수 누적 %

자료: 통계청(www.nso.go.kr) 시군구별 세대 수 기준

Page 9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94

사이의 가구가 거주하는 권역인데, 가장 많은 47개 권역이 속해 있다. 그러나 평균

(23만)보다 2배 이상인 40만 가구 이상인 방송권역도 10개나 존재하 다. [그림 3-1]

에서 볼 수 있듯이 방송권역의 크기는 비교적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지역적인 방송시장의 크기를 무시한 채, 방송권역 중에서 1/5을 초과하여 소유할

수 없다고 한 것은 수평적 소유규제의 취지를 감안하지 못한 단순한 규제기준이 아

닐 수 없다. 대규모 방송권역을 15개 갖고 있는 경우와 소규모 방송권역을 15개 갖

고 있는 경우 동일한 시장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소규모 방송

권역을 20개 갖고 있는 MSO가 대규모 방송권역을 15개미만 소유한 MSO보다 작은

시장력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케이블TV의 수평적 소유규제의 논거를 생각하면, 케이블TV 방송허가장(charter)의

수를 기준으로 MSO를 규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프로

그래밍 유통시장에서 MSO의 시장력을 측정하는 것이 케이블TV 허가장의 수가 아니

라 MSO가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의 수와 가입자의 특성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둘째, 방송권역 수 규제기준은 현재 MSO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제한하는(binding)

규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완화될 필요성이 있다. 현재, 방송권역 1/5

과 방송매출액 33%의 기준 중에 추가적인 SO의 매입을 제한할 수 있는 규제사항은

방송권역 수에 의한 것이다. 현재 1∼2위 MSO들은 14개 방송권역에 걸쳐 SO를 소

유하고 있어 추가적으로 다른 방송권역의 1개 SO를 더 소유하게 되면 더 이상 추가

적인 SO인수는 어렵게 된다.

셋째, 가입자 기준 등을 통해 규제하는 경우 방송권역 수 기준은 이중적인 규제로

작용할 우려가 있으므로 규제기준을 단순화 일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가입자 기준

어느 특정 케이블TV 사업자가 독점적인 가입자 기반을 토대로 다양한 프로그래

밍의 유통을 저해하고 다양한 목소리와 다양한 문화적 표현을 저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평적 소유규제의 상한을 두는 것이라면 그 기준은 FCC(1999)가 채택하고

있는 실질적 가입자 기준이어야 한다. 예컨대, 프로그래밍 시장에서 MSO가 PP로부

Page 9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95

터 프로그래밍을 구입하는 조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의 홈패스율이 아니

고, 또한 매출액 규모도 아니고, 그들이 전송할 프로그래밍의 잠재 수요의 크기인

(전국적인) 가입자 수이다. 가입자 수는 홈패스 또는 매출액보다 신뢰할만한 통계치

이며, 정확하게 그리고 일관되게 계산되어질 수 있다.22)

시장획정에 있어서 케이블TV뿐만 아니라 케이블TV사업자이외의 MVPD사업자를

포함하는 경우, 가입자 기준은 더욱 설득력을 얻게 된다. 다채널 유무선방송산업의

경쟁에 따라 전체 시장을 MVPD로 확대하 을 경우, 홈패스율은 더욱 계산하기 쉽

지 않다. 위성방송의 경우 전국 모든 가구에 도달 할 수 있어서 홈패스율은 100%이

나 시장점유율은 겨우 10%에 불과하다.

강조하자면, 문제의 초점은 프로그래밍 유통시장에서 MSO의 시장력을 가장 정확

하게 그리고 일관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에 있다. 지역적 독점시장을

갖고 있는 MSO의 시장력을 계산할 수 있는 가장 일관되고, 신뢰할만한 통계는(방

송부문) 매출액 또는 소유하고 있는 방송권역의 수가 아니고 가입자 수이다.

매출액 기준과 방송권역 수 기준을 가입자 기준으로 통일하고, 전체 가입자의 30%

로 소유상한 규제를 단순화하여야 한다.

나. 시장획정

케이블TV서비스와 유사한 다채널 비디오 유통기술과 서비스들이 경쟁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이들 서비스 중 하나를 큰 비용 없이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다면, MSO

의 시장력을 분석할 때는 이들 경쟁 서비스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케

이블TV 산업의 수평결합을 규제하는 경우 시장획정은 수평결합 기준과 함께 고려

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케이블TV 서비스와 부분적으로 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매체들 중에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중계유선방송, DBS, 그리고 IPTV이다.

22) 가입자 수는 과금기록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계산되어질 수 있으나 홈패스율은 추정치에 불과하다.

Page 9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96

첫째, 케이블TV 서비스와 부분적으로 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매체들 중에 가

장 먼저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중계유선방송이다. 종합유선방송이 도입되기 이전부

터 오랫동안 존재해 왔던 RO들은 1994년 종합유선방송법을 통해 1990년대 중반 1

차, 2차 통해 케이블TV사업권을 획득한 SO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이인

찬․윤충한, 2000). 2000년 통합방송법 제정 이후, RO와 SO로 이원화된 케이블TV

산업을 일원화하는 과정에서 RO의 SO 전환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수백 개의 소

규모 RO들이 전국에 걸쳐 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2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대부분 RO들은 해당 지역 SO에게 매입되었거나,

SO와 협업을 통해서 SO의 소매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SO와 실질적 경쟁은 없는

상황이다. 2005년 현재, RO는 시장획정에서 거론할 정도로 시장규모를 갖고 있지

못하고, 그것도 SO와의 협업을 통해 잔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중계유선방송을 케

이블TV 서비스와 경쟁서비스로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둘째, 디지털 위성방송이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관해서는 본 보고서

의 제6장에서 자세히 논의하겠다. 다만,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우리의 경우에

도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장획정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디지털 위성방송은 케이블TV와 실질적으로 유사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시장점유율도 10%를 넘어서고 있으며, 지상파 재전송

이 가능하게 되어 케이블TV와의 경쟁에 있어서 핵심적인 열위 조건도 해소되었다.

케이블TV 업계가 후발주자인 위성방송에 대해 어떻게 적대적으로 대응하 는가는

일일이 거론할 필요도 없이, 시장참여자들은 서로를 경쟁적 서비스로 인식하고 있

다. 방송위원회도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경쟁관계를 고려하여 정책적 대응을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다채널 방송 산업에서 두 매체간의 경쟁관계를 실

증적으로 규명하고, 시장을 획정할 시점이다.

셋째는 IPTV이다. 유선통신사업자들은 기술적 준비는 이미 끝났고 서비스를 제공

할 준비가 되었으니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던지 아니면 시범서비스라도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하는 일은 케이블TV

Page 9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3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과 정책과제 97

와 IPTV의 경쟁관계와 시장획정에 기초한다. IPTV가 케이블TV와 비슷한 다채널

상전송서비스를 중추적인 서비스로 가져간다면 두 서비스의 경쟁은 필연적이다.

한쪽은 비디오 전송에서 데이터 접속을 지나 음성전화 쪽으로 옮겨가고 있고, 다른

한 쪽은 음성전화에서 데이터를 지나 비디오 전송 쪽으로 잰걸음을 옮기고 있는 것

이다. 결국, 전화망이건, 케이블 망이건 망은 양방향, 광대역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

문에 가구와 업점을 대상으로 하는 케이블망, 전화망 모두 고도화되면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명약관화하다. 결국은 두 서비스를 포괄할 수 있는 규제체

계를 만들어 두 서비스의 경쟁을 촉진하고, 공정경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의 편익을 위하는 길이다. 이런 점에서 (ⅰ) 케이블TV 산업에

서의 매출액 기준과 방송권역 기준을 폐지하고, (ⅱ) 케이블TV, 위성방송, IPTV 등

을 포괄하는 다채널 상전송서비스 산업으로 시장을 획정하고, (ⅲ) 다채널 상전

송서비스산업(또는 다채널방송산업)의 가입자 기준으로 단일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9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98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제1절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구조와 경쟁

1.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구조

가. 프로그래밍 산업의 진입장벽

1995년 종합유선방송의 출범당시 프로그래밍 분야는 중소기업만이 참여할 수 있

었던 케이블TV 시스템 분야와는 달리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 다. 기

술이나 자본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

하기 힘들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과감한(?) 문호개방에 불구하고 프로그래밍

분야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 는데, 그것은 프로그래밍 산업에 대한

진입장벽 때문이었다. 정부는 케이블TV를 통해 제공될 케이블 네트워크(cable net-

works)의 분야를 일일이 지정하고 프로그래밍의 진입을 일일이 허가하 다. 미국을

비롯한 대다수 국가들에서 위험이 비교적 높고, 대규모 자본이 요구되는 프로그래

밍 분야는 등록제나 신고제로 운 되지만, 우리나라에서 프로그래밍 분야에 허가제

를 적용한 것은 케이블 네트워크 분야를 산업적 차원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파급효

과를 고려하 고, 향력이 큰 지상파 방송프로그램으로 간주하 기 때문이다. 더

욱 심각했던 것은 특정 장르별 사업자 수를 정부가 정하 으며 각 채널의 장르 변경

이 불가능하게 하 다. 이렇게 정부에 의해 인위적인 장르가 설정되고, 장르에 걸쳐

프로그래밍 공급자(PP; program provider)들이 분포된 것은 시청자의 케이블 TV에

대한 프로그램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중계유선과 종합유선과의 경

쟁 등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의 실패라 하겠다.

프로그래밍 전송(video programming delivery)부문에서의 규제완화가 1999년 종합

유선방송법의 개정과 2001년 통합방송법의 시행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프로그래

Page 10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99

밍 산업에서도 관련법의 개정 또는 제정을 통해 규제완화가 이루어졌다. 1999년 개

정된 종합유선방송법은 정부의 프로그래밍 공급분야 지정 조항을 폐지하 다. 즉,

프로그래밍 산업 진입 대상에 대한 열거주의(positive listing) 조항이 폐지되었고, 2001

년 통합방송법에서는 PP의 진입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면서 프로그래밍 산업

에서의 진입규제는 완화된다.

프로그래밍 소유규제도 1999년 종합유선방송법의 개정으로 완화되었는데, SO와

PP의 수직결합이 허용되고 프로그래밍 산업의 수평결합(즉, MPP)도 허용되었다. 이

에 따라 SO는 전체 PP중 1/5이내에서 겸 할 수 있고, PP는 전체 SO중 1/10이내에

서 SO를 겸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PP는 전체 프로그램 공급업의 1/5이내에서 다

른 PP를 겸 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 제정된 통합방송법에서 PP는 전체 SO구역

의 1/5이내에서 SO를 겸 할 수 있게 되었고 MPP는 전체 PP 매출액의 33%까지 허

용되었다.

한편, 외국인의 PP(보도 채널 제외)에 대한 소유지분 상한은 기존 15%에서 33%로

확대되었다. 2004년 개정된 방송법에서는 PP의 외국인 소유지분 상한이 49%로 확

대되었다.

나. 규제완화와 활발한 진입 및 퇴출

1) 활발한 시장진입과 퇴출

1995년 출범이후부터 줄곧 적자를 기록하던 PP들은 1997년 외환위기가 겹치면서

PP경 난에 봉착하게 되고 결국, 매각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1995년 종합유선방송

도입과 함께 사업을 시작한 29개 PP의 70%이상이 대주주가 변경되어 경 난의 심

각함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성과에도 불구하고, 2000

년 이후 PP 허가제가 등록제로 바뀌면서 PP의 시장진입은 크게 증가한다. 프로그래

밍 산업에 대한 제도적 진입장벽의 실질적 폐지와 함께 프로그래밍을 전송하는 새

로운 전송매체인 위성방송이 도입되면서 PP의 시장진입은 큰 폭으로 증가하 다(<표

4-1> 참조).

Page 10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00

<표 4-1> 프로그래밍 수의 변화

시기 1999년 이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PP 총수 29개 44개1) 157 201 168 204 178주: 1) 2000년 1월 PP의 등록제 도입이 결정되었으나, 통합방송법 제정이 지연되면서 PP는

2000년 12월까지 한시적으로 방송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하 다. 이에 따라 방송위원회는 2000년 5월, 15개의 PP 사업자를 승인하여, 기존의 29개 채널을 포함하여 PP 채널은 모두 44개로 증가하 다.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PP의 등록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1년부터 PP의 시장진입과 퇴출을 장르별로

살펴보면 <표 4-2>와 같다. 먼저, 우리는 <표 4-2>를 통해 프로그래밍 산업에서

PP의 시장 진입이 활발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매년 수십 개의 채널이 진입하고 또

한 퇴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래밍 산업의 진입장벽이 철폐된 이듬해인 2002

년에는 59개의 채널이 신규 진입하고 18개의 채널이 퇴출하 고, 2003년에는 24개

의 채널이 신규 진입하 으나 진입한 채널의 3배에 가까운 66개 채널이 퇴출하 다.

이러한 시장 진입과 퇴출이 활발한 것은 프로그래밍 시장이 장르별 다소 차이가 있

겠으나 비교적 경쟁적 시장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23) 그리고 위성방송의 도입 등

전송부문의 경쟁도입으로 프로그래밍 패키징 분야에서 신규진입이 늘어난 것이다.

프로그래밍 시장의 진입과 퇴출을 추세적으로 살펴보면, 2003년과 2004년에 진입

과 퇴출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진 후, 2005년에 들어서면서 다소 안정화되는 추세

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케이블TV 산

업의 시장구조 재편이 마무리되고, 위성방송의 도입에 따른 다채널 방송산업의 경

쟁과 이에 따른 프로그래밍의 진입, 경쟁, 그리고 퇴출 등이 지난 2∼3년 동안 활발

히 이루어진 결과, 매체별, 장르별 프로그래밍 분포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어가고 있

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23) 이들 채널의 일부는 프로그래밍을 송출한 적은 없는, 단지 서류 상 등록과 등록말소 등을 통해 시장에 진입․퇴출한 채널들이어서 통계는 실제보다 다소 과도하게

프로그래밍 시장의 역동성을 제시할 수도 있다.

Page 10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01

<표 4-2> 프로그래밍의 시기별, 장르별 진입 퇴출(단위: 개)

2001 2002 2003 2004 2005

진입 퇴출 총계 진입 퇴출 총계 진입 퇴출 총계 진입 퇴출 총계 진입 퇴출 총계

취미

11(9.9)

0(0)

12(7.7)

5(8.5)

2(11.1)

14(7.0)

1(4.2)

8(12.1)

10( 6.0)

5( 8.0)

1(7.2)

13(6.4)

1(5.9)

4(10.8)

11(6.2)

종교

4(3.6)

0( 0)

6(3.8)

1(1.7)

0( 0)

7(3.5)

0( 0)

1( 1.5)

6( 3.6)

0( 0)

1(7.2)

5(2.5)

1( 5.9)

0( 0)

6(3.4)

정보

25(22.5)

0( 0)

40(25.5)

16(27.1)

7(38.9)

51(25.4)

6(25.0)

15(22.7)

43(25.6)

17(10.5)

5(35.8)

50(24.5)

5(29.4)

11(29.7)

39(34.2)

음악

6(5.4)

0( 0)

8(5.1)

5(8.5)

1(5.6)

13(6.5)

1(4.2)

5( 7.6)

11( 6.6)

4(6.5)

0( 0)

13(6.4)

1(5.9)

2(1.1)

13(7.3)

오락

8(7.2)

0( 0)

11(7.0)

4(6.8)

1(5.6)

16(8.0)

2(8.3)

8(12.1)

8(12.1)

5(8.1)

1(7.2)

12(5.9)

1(5.9)

2(1.1)

12( 6.8)

화13

(11.7)0

( 0)17

(10.8)13

(22.0)1

(5.6)30

(14.9)3

(12.5)5

(7.6)31

(18.5)14

(22.6)3

(21.4)41

(20.1)1

(5.9)5

(29.4)34

(19.1)스포츠

9(8.1)

1(100)

12(7.7)

0(0)

1(5.6)

9(4.5)

0(0)

3(4.6)

6(3.6)

3(4.8)

0(0)

9(4.4)

1(5.9)

0(0)

9(5.1)

보도

0(0)

0( 0)

2(1.3)

0(0)

0(0)

2(1.0)

0(0)

0(0)

2(1.2)

0(0)

0(0)

2(0.9)

0(0)

0(0)

2(1.1)

만화

2(1.8)

0(0)

3(1.9)

0(0)

0(0)

3(1.5)

0(0)

1(1.5)

2(1.2)

0(0)

0(0)

2(0.9)

0(0)

0(0)

2(1.1)

드라마

2(1.8)

0(0)

2(1.3)

4(6.8)

0(0)

6(3.0)

0(0)

1(1.5)

7(4.1)

1(1.6)

0(0)

5(2.5)

0(0)

0(0)

5(8.9)

대상

7(6.3)

0(0)

7(8)

1(1.7)

4(22.2)

4(2.0)

0(0)

2(3.0)

1(0.6)

0(0)

0(0)

1(0.5)

1(5.9)

0(0)

3(1.7)

교육

8(7.2)

0(0)

11(7.0)

5(8.5)

0(0)

16(8.0)

6(25.0)

5(7.6)

19(11.3)

6(9.7)

3(21.4)

21(10.3)

2(11.8)

6(16.2)

16(9.0)

교양

8(7.2)

0( 0)

15(9.6)

4(6.8)

0(0)

17(8.5)

3(12.5)

8(12.1)

12(7.2)

4(6.5)

0(0)

17(8.3)

2(11.8)

4(10.8)

15(8.4)

게임

8(7.2)

0(0)

11(7.0)

1(1.7)

1(5.6)

13(6.5)

2(8.3)

4(6.1)

10(5.9)

3(4.8)

0(0)

13(6.4)

1(5.9)

3(8.1)

11(6.2)

총계 111 1 157 59 18 201 24 66 168 62 14 204 17 37 178

주: ( )안은 각 열의 총계에서 차지하는 %를 나타냄.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하 으며, 자료

보완을 위해서 각 PP의 홈페이지 참고

2) 장르별 진입과 퇴출

프로그래밍 산업의 진입과 퇴출을 장르별로 살펴보면 화, 음악, 오락, 취미, 교

Page 10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02

육, 교양, 게임, 스포츠 분야 등을 중심으로 많은 채널들이 진입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PP들의 진입이 가장 눈에 띄게 활발하 던 분야는 정보장르 다. 정보장르는

그 안에 세부 분야로서 증권정보, 경매정보, 부동산정보, 생활정보, 의료정보, 홈쇼

핑, 창업정보, 패션정보 등 다양한 틈새시장들을 갖고 있어, 틈새시장별로 신규 채널

들의 진입이 활발하 다. 정보 분야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실은 진입하는

채널이 많으면서 또한 퇴출하는 채널도 많다는 것이다. 이는 이 분야에 대한 진입비

용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많은 시장진입자가 있으나, 틈새시장으로서 시장 규모

는 크지 않고 경쟁이 심해 퇴출도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많은 채널이 분포하는 분야는 화인데, 2001년에 13개의 새로운 화

채널이 진입한 것을 시작으로, 2002년 13개, 2003년 3개, 2004년 14개, 2005년 1개가

지속적으로 진입하 다. 화분야에서는 정보 분야와는 달리 퇴출은 상대적으로 적

게 일어나 2002년 1개, 2003년 5개, 2004년 3개, 2005년 5개가 퇴출되어 2005년 6월

현재 총 34개의 화채널이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화채널의 분포는 좀 과다할 정

도이나 이는 다채널 방송매체가 지상파 등과는 달리 화 등 엔터테인먼트 매체라

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교육 장르에 대한 진입도 꾸준히 증가되어 2005년 현재 총 16개의 채널이 교육 장

르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교육열과 이에 따른

수요의 크기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2. MPP의 성장과 시장 집중도

가. MPP 중심의 시장구조

현재 국내 케이블TV 산업은 몇몇 복수채널사용사업자(MPP; multiple program pro-

vider)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 최대의 MPP를 구성하고 있는 온미디어와

CJ미디어, 그리고 지상파방송 계열의 3개 MPP들이 시장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온

미디어와 CJ 미디어는 화산업에서 배급부문에서의 향력을 바탕으로 2∼3개의

채널을 운용하고 있으며, 음악, 만화, 오락 등 인기채널들을 운용하고 있다. 지상파

Page 10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03

계열의 PP들은 자사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과 재구성을 통해 드라마 채널을 중심으

로, 스포츠, 화채널에 진출하고 있다. 스포츠 채널은 많은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여

지역 네트워크 등을 운용하는 지상파 방송국 이외에는 진입하기 어려운 시장이어서

지상파 방송사들이 과점하고 있다.

양대 MPP의 경우 지속적으로 신규 프로그래밍을 도입하면서 MPP를 형성한 것에

반해, 지상파 방송사의 경우 추가적인 채널의 증가가 없었다. 이는 규제당국의 채널

정책과 케이블TV 업계 저항에 기인하는데, 방송위원회의 중장기방송발전연구위원

회 보고서에 따르면 지상파방송사가 시첨점유율이 높은 드라마, 화, 스포츠 등 인

기장르에서 신규채널을 도입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시장상황을 감안하여

지상파방송사의 PP진입을 제한토록 하는 관련 법령을 개정할 것을 추진하는 쪽으

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특정 플랫폼별로 지상파 계열의 PP 송출 수를

3∼5개로 제한하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어 지상파방송사는 앞으로 PP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표 4-6>에서 시청점유율 상위 20대 채널분포에서 15개 채널이 이들 5대

MPP들이 운용하는 채널들이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비교적 높은 순위에 속하는

MPP인 YTN 미디어가 코미디TV를 소유한 것을 고려하면, 상위 20대 채널의 거의

대부분 이 MPP에 속한 채널들이다. 이들 MPP들이 케이블TV 산업에서 차지하는 위

치를 가늠할 수 있다.

나.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집중도

프로그래밍 시장에서 시장참여자별 집중도를 매출액 기준으로 살펴보면, 시장집

중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표 4-3>을 통해서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집중도 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 상위 4개 MPP 사업자가 전체 프로그

래밍 시장 매출액의 15.1%정도를 점유하 으나, 그 비중은 점차 증가하여 2004년

32.5%에 이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01년 MPP 사업자의 매출액은 전체 프로그

래밍 매출액의 20%정도를 차지하 으나, 2004년에는 45%에 이르면서 전체 프로그

래밍 매출액의 절반에 약간 못 미칠 정도에 이르 다.

Page 10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04

<표 4-3> 매출액 기준 PP 산업의 시장집중도 변화

CRn 2001 2002 2003 2004CR3 13.5% 22.1% 26.3% 26.9%CR4 15.1% 25.9% 30.7% 32.5%CR5 16.4% 27.7% 35.1% 37.9%CR6 17.6% 29.5% 37.3% 40.5%CR7 18.4% 30.6% 38.7% 41.6%CR8 19.1% 31.7% 39.9% 42.5%

전체MPP 20.1% 33.7% 43.2% 45.3%주: 홈쇼핑 채널은 제외하 음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표 4-4> MPP의 매출액 분포 (단위: 백만원)

지배주주 운 채널 운 채널 수 PP 사업자법인 매출액

온미디어

OCN, Super Action, Catch On, On Style, Catch On Plus 5 오리온

시네마네트워크75,042

투니버스 1 온미디어 32,944Ongamenet 1

온게임네트워크 17,006퀴니 1MTV 1 온뮤직네트워크 7,506바둑TV 1 바둑텔레비전 10,337

ON PPV, ON Demand 2 디지털 온미디어 18,653

온미디어 합계 12 161,488(13.9%)

와이티엔YTN STAR 1 YTN 68,282

코미디TV, 무비플러스 2 YTN 미디어 16,885

와이티엔 합계 3 85,167(7.4%)

CJ

m.net, m.net Nonstop,CJ on Demand, Home CGV,

XTM, OZIC, CGVChoice, Foodchannel

8 씨제이미디어 56,526

KMTV 1 씨제이사운드 6,336National Geographic Ch. 1 씨제이엔지씨코리아 2,114

Page 10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05

지배주주 운 채널 운 채널 수 PP 사업자법인 매출액

CJ 합계 10 64,976(5.6%)

MBCMBC게임 1 MBC 게임 8,832

MBC드라마넷/MOVIES 2 MBC 드라마넷 35,385MBC-ESPN 1 MBC ESS 스포츠 20,162

MBC 합계 4 64,379(5.5%)

SBS

SBS 드라마플러스 1 SBS 드라마플러스 23,418SBS 골프채널 1 SBS 골프채널 23,198

SBS 스포츠채널 1 SBS 스포츠채널 15,815SBS 위성 3 SBS

SBS 합계 6 62,431(5.4%)

KBSKBS Sky Drama,KBS Sky Sports 2 KBS Sky 30,490

KBS Korea 1 KBS

KBS 합계 3 30,490(2.6%)

중앙일보 Q채널, 히스토리채널 2 중앙방송12,190(1.1%)

주: 1. 2004년 말 기준임2. 매출액 구성은 방송 수신료 수익, 광고수익, 프로그램 판매수익, 상품판매수익, 비 리

사업수익, 기타사업수익의 합으로 되어있다. 3. 전체 PP 매출액의 1% 이상을 차지하는 PP만 제시하 음

4. 홈쇼핑 채널은 제외하 음

5. ( )안은 전체 PP매출액의 비중을 나타냄 자료: 방송위원회, 2005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를 토대로 구성

프로그래밍 산업의 매출액 집중도를 주요 MPP 사업자별로 살펴보면 <표 4-4>와

같다. 홈쇼핑 채널을 제외할 경우, 가장 큰 MPP인 온미디어가 전체 프로그래밍 매

출액의 13.9%를 차지하면서 매출액 기준 1위 사업자이고, 그 뒤를 YTN, CJ미디어,

그리고 지상파 계열의 MPP들이 뒤따르고 있다. 이들의 6대 MPP의 매출액 합은 <표

4-3>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PP 매출액의 40.5%를 차지하고 있다.

Page 10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06

다. 장르별 경쟁과 시청점유율

우리는 <표 4-2>에서 장르별 프로그래밍의 진입과 퇴출, 그리고 채널 수의 분포

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장르에 따라 채널 수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장르별로 진입비용과 시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장르별 진입 비용은 장르별

로 콘텐트의 생산기술 및 유통방식에 의존하는 반면, 수요의 크기는 케이블TV 시청

자들의 선호분포에 의존한다. 시청자들의 선호가 크다는 것은 다른 조건이 동일하

다면 시청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광고비의 증가로 이어진다(수신료 수입

이 낮은 상황에서). 시청율은 PP들의 수입을 결정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선호

분포에 따른 장르별 수요의 크기는(진입 및 운 비용이 동일하다면) 경쟁하는 채널

의 수와 채널별 시장점유율을 결정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선호가 높은 장르,

예컨대 화 장르에는 많은 수의 채널들이 분포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정보 장르에

채널 수가 많이 분포하는 것은 선호분포에 따른 수요의 크기라기보다는 공급측면에

서의 진입비용과 생산 및 유통비용이 낮은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공급측면에서 제

도적 진입장벽, 많은 고정비용, 지적재산권 등의 진입장벽이 있는 경우에는, 채널별

수요의 크기와 채널 수와의 관계는 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장르에 대한 소비자의 시청율 분포는 시청자의 선호분포에 의해

서 단순히 결정되지는 않는다. 장르별 시청율 분포는 다채널 프로그래밍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내생적으로 결정된다. 장르 간 채널들의 질적 수준의 차이에 의해서

소비자 채널 선택은 선호분포와는 달리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장르 내

채널 간 경쟁으로 어느 특정 장르의 질적 수준이 다른 장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

은 경우, 여기에 속한 채널들의 시청 점유율은(장르에 대한 시청자의 선호분포보다)

높을 수도 있을 것이다.

<표 4-5>는 한국 케이블TV 시청자들이 주로 시청하는 상위 20개 프로그래밍의

장르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2005년 6월 현재, 상위 20위내 프로그래밍이 전체 프

로그래밍 시청점유율의 약 78%를 차지하고 있다. 2005년 6월 현재, SO에 송출되고

있는 채널 수가 107개임을 감안하면 상위 20위의 시청점유율은 상당히 높은 것임을

Page 10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07

알 수 있다.

<표 4-5>는 케이블TV 시청점유율이 높은 장르가 드라마, 화, 만화, 스포츠, 교

육, 오락, 음악 채널 등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TV에 대한 선호분포를

잘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드라마, 화, 스포츠 장르의 채널들이

상위 20위 중 12개를 차지하여 60%를 점유하고 있다. 케이블TV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장르는 드라마, 화, 스포츠라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표 4-5> 상위 20위 채널의 장르별 분포 현황

채널장르 채널명 시청점유율(%) 채널별 평균시청률(%) 채널수

드라마

MBC드라마넷

23.1 0.61 4SBS드라마플러스

KBSSKY DRAMAmin

OCN

18.3 0.39 5SUPERACTION

HOME CGVMBC MOVIES

XTM만화 Tooniverse 11.2 1.19 1

스포츠

MBC ESPN7.9 0.28 3SBS 스포츠채널

KBSSKY SPORTS

어린이/교육JEI 재능방송

4.8 0.26 2어린이TV

게임/퀴즈ongamenet

4.6 0.24 2Qwiny

보도/뉴스 YTN 3.7 0.39 1연예/오락 코미디TV 2.8 0.30 1음악 Mnet 1.7 0.18 1합 계 78.1 0.43 20

주: 2005년 1. 1∼11. 9일까지의 평균 시청율임자료: TNS 2005년상반기 시청율 자료

Page 10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08

이 중에서도 시청점유율이 가장 높은 장르는 드라마이다. TV 시장에서 드라마가

가장 선호되는 장르라는 것은 지상파 프로그램표에서 드라마의 분포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선호도가 높고, 시청율도 높다고 진입이 쉬운 것만은 아니

다. 드라마는 프로그램의 생산비용이 높기 때문에 직접 생산하는 것은 수익성이 맞

지 않고, 양질의 드라마를 많이 확보한다는 것은 지상파방송사들의 관계회사들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경쟁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드라마 장르에 속한 채

널들의 시청점유율도 비교적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화에서는 5개 채널이 상위 20위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25%를 차지하고 있다.

<표 4-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등록된 화 채널이 30여개가 된다는 사실을 감안

하면(위성방송에만 전송하는 화채널이 있긴 하지만) 화장르 내의 채널 간의 경

쟁의 정도와 시장성과의 비대칭성을 짐작할 수 있다.

제2절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성과

1. 프로그래밍 산업의 매출액 구조 변화

가. 단체 수익분배와 수신료 수입

<표 4-6>은 프로그래밍 산업의 매출액 구조를 년도별로 살펴본 것인데, 이를 통

해서 프로그래밍 산업의 변화를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매출액 규모로 계

산한 프로그래밍 산업의 시장규모는 등록제 시행이 이루어진 2000년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RO의 SO 전환과 함께 SO 가입자가 증가하고,

이와 함께 프로그래밍 산업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채널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표 4-2> 참조).

우리는 <표 4-6>에서 1990년대 중반 PP의 수신료 수입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

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999년대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수신료 수입은 절

대액 규모면에서 오히려 큰 폭으로 감소하 고, 2000년도의 PP의 수신료 수입규모

Page 11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09

는 5백9억원으로 1998년도의 수신료 규모인 4백8십6억원을 겨우 넘어서는 정도이

다. 그러나 <표 4-7>에서 볼 수 있듯이 1999년, 2000년 SO의 유료가입자 수는 전

년에 비해 각각 116%, 60.9% 상승하 다. SO의 유료가입자 증가추세를 감안하면

1990년대 하반기 PP산업의 수신료 수입의 감소와 정체를 이해하기 힘들다.

<표 4-6> PP의 매출액 구성 변화(단위: 백만원)

구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2 2003 2004수신료

수입

19,488(10.7)

39,158(17)

48,641(23.3)

36,704(18.2)

50,983(16.7)

91,198(13.3)

115,493(17.6)

177,029(20.8)

광고수입105,275

(57.9)115,698

(50.4)87,999(42.1)

109,640(54.5)

174,087(54.6)

252,877(37.0)

312,287(47.5)

373,223(43.7)

프로그램

판매수입

57,090(31.4)

74,915(32.6)

72,426(34.6)

55,006(27.3)

5,512(1.8)

20,584(3.0)

6,157(0.9)

9,226(1.1)

상품판매

수입

75,325(24.6%0

17,274(2.5)

7,530(1.1)

22,808(2.7)

비 리수입302,104

(44.2)215,472

(32.8)

27,882(3.3)

기타사업

수익

243,618(28.5)

합계181,853

(100)229,771

(100)209,066

(100)201,350

(100)305,907

(100)684,037

(100)656,939

(100)853,787

(100)주: 1. 홈쇼핑 채널은 제외

2. ( )안은 프로그래밍 산업의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냄3.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년도는 재능교육에 대한 수입에 방송관련 사업수입 이외의 수익도 반 하고 있기 때문에 방송관련 수입만 반 하여 재구성하 음

4. 2001년도 PP 매출액 구성 자료는 타 년도와 비해 통계수집 체계의 일관성을 결여하여 포함하지 않음

자료: 1996년: 한국방송진흥원, 방송 상산업통계백서 , 1997년 이후: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1990년대 하반기에 볼 수 있는 이러한 PP의 수신료 수입 감소는 1999년경에 등장

한 티어링 제도와 SO와 PP 사이의 계약제도의 변경에 기인한다. 티어링 제도와 PP

의 수신료 수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채널의무 송신제와 SO와 PP의 단체계약을 이

Page 11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10

해해야 한다. 먼저, 채널의무 송신제는 1995년 케이블TV 도입 시에 허가된 모든 PP

의 경 안정 및 시청자의 다양한 채널 접근 보장 차원에서 모든 SO가 모든 PP들의

채널을 의무적으로 송출하도록 하는 제도 다. 따라서 모든 SO가 단일 소비자 이용

약관으로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 서비스를 동일 가격으로 제공하 다.

다음은 SO와 PP 간의 수익배분 구조인데 SO와 PP 간의 단체계약에 의한 수익배

분구조 다. SO와 PP 간의 이러한 단체수익배분구조는 2000년까지 지속되었는데,

SO협의회와 PP협의회간 단체계약을 통하여 SO의 총 수신료 수입액의 일정 부분(그

당시는 32.5%)을 PP협의회에 일괄 분배하고, PP들은 개별 PP의 시장성과와 큰 관계

없이 수신료 수입을 배분받았다.24) 따라서 그 당시 가입자가 월 수신료로 지불하

던 1만 5천원 중에서 PP에게는 4,875원(32.5%)이 배분되었다. 이러한 단체 계약 형

태는 2000년까지 유지되었지만 2001년 일부 계별계약 형태로 변환되었고 2002년부

터는 완전 개별 계약의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결국, SO의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SO의 수신료 수입은 증가하게 될 것이고, 수신

료 수입의 일정 비율을 배분받게 되는 PP의 수신료 수입은 증가하 던 것이다. 이는

<표 4-6>에서 1998년까지의 PP의 총 매출액 증가에서 수신료 수입의 비중이 증가

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표 4-6>의 매출액 구성비율을 그림으로 나타낸

[그림 4-1]에서 수신료 수입 비중이 199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에서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O와 PP의 단체계약 형태는 PP 간의 경쟁을 제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01년

부터 시작된 PP의 등록제로 인해 다수의 PP가 진입하여 상호 경쟁하고, 동일권역에

서 복수 SO가 경쟁하는 상황에서 차별적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되는 새로운 케이블

24) PP 간의 수익배분은 일률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PP별 방송시간에 따라 차등을 두거나, PP의 시청률에 따라 차등을 두는 비중을 늘리는 등 단체일괄수익배분 제도의 비합리성이 제기되면서 점차 시장기능을 도입하려고 제도변경

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손창용․여현철, 2003). 2001년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시장기능을 도입하려고 시도하 고 결국 2002년부터 개별 PP의 시장성과에 따른 배분으로 바뀌게 되었다.

Page 11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11

TV 산업 환경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2002년부터는 SO와

PP간 개별 계약이 전면적으로 이루어졌다.

전 채널 의무전송, 전 채널 일괄수익배분 규제는 소비자에게 전 채널을 고가에 강

매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RO에 대한 SO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왔으며 결국 소비자의

케이블TV 가입을 저해하 다. 시장참여자의 경제적 유인을 무시하는 이러한 제도

는 오래 지속될 수가 없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림 4-1] 프로그래밍 산업의 매출액 비중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2 2003 2004

년도

점유율

수신료 수입 광고수입 기타수입

주: 기타수입은 수신료 수입과 통산적인 광고수입을 제외한 프로그램 판매수익, 상품판매수익, 기타수익 등을 포함한다.

자료: <표 4-7>과 동일

나. 채널티어 제도와 수신료 수입

한편, [그림 4-1]에서 볼 수 있듯이 1998년에서 2002년까지 PP의 수신료 수입

비중이 감소하는 것은 이 기간 중 광고수입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

으나, 더욱 중요한 요인은 채널티어 제도의 도입과 수신료 수입의 상대적 감소 때문

이다.

RO에 대한 SO의 효과적인 경쟁을 위해 도입된 채널티어 제도는 1999년 초, 부산,

Page 11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12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먼저 도입되었다. SO들은 전채널 의무송신 패키지인 기본형

(월 15,000원) 이외에 국민형(3,000원 내외), 보급형(5,000원 내외), 가족형(6,000원

내외) 등 다양한 패키지를 제공하 다. 이러한 다양한 패키지는 기본형보다는 매우

낮은 가격 수준이었으며, 이는 RO에 대한 경쟁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

이었다.

전채널 의무 송신에 따른 고가의 서비스 강매는 결국 낮은 티어로의 가입자 전환

을 가져왔고, 티어제도가 도입된 1999년부터 SO 유료가구 수의 절반 이상이 기본형

보다 낮은 티어에 가입하 다. 우리는 이 시기부터 PP의 수신료 수입 비중이 감소하

기 시작한 것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당 수신료 수입은 1/2 이하로

급감하게 되었다. 물론 가격의 하락은 가입자의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RO의 SO 전

환으로 종합유선 가입자는 큰 폭으로 증가하 으나, 대부분 전환 가입자들은 중계

유선방송서비스와 유사한 보급형 티어에 가입되었다. 즉, 경쟁권역에서 두 개의 SO

가 상호 경쟁하게 되면서 가격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었고, PP에 대한

수익 분배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케이블TV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증가

함에도 불구하고 PP의 수신료 수입은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은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표 4-2>에서 볼 수 있듯이 2002년까지는 PP의 시장진입이 최고

조에 달하는 시기이다. 소비자에게 검증받지 못한 많은 신규 PP들이 시장에 진입하

지만, 이들은 수신료와 광고수입에 의존하기 보다는 기타수익25)에 의존하 기 때

문에, 1998년에서 2002년까지 PP의 수신료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

소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다. SO와 PP간 수신료 분배

1) 채널티어 제도와 수신료 PP 분배비율

RO의 SO 전환이 지속되면서 낮은 저가 티어의 가입자 비중은 증가하 다. <표 4

-7>에서 볼 수 있듯이 기본형보다 낮은 티어에 가입하는 가구 비율은 2000년 63.4%

25) 기타수익은 상품판매수익, 비 리 수익, 기타사업 수익 등을 포함한다.

Page 11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13

에서 2004년 80%로 증가하 다. 이는 신규 케이블TV 가입자 뿐 아니라, RO 전환

가입자가 저가 티어에 가입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결국, 케이블TV 가입가구의 대

부분이 저가 티어에 속해있다고 할 수 있는데, 결국 이러한 저가의 티어 수신료는

PP에게 수신료 수익을 분배되는 데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표 4-7> PP의 수신료 수입과 티어 가입자와의 관계(단위: 수입, 백만원)

구분PP 총수입

PP 수신료

수입

SO 총가구

SO 유료방송

가구수

SO 기본형

가입가구

SO 티어가입

가구

SO 총 수입

SO 수신료

수입

수신료

PP분배비율

1996 181,853 19,488(10.7%) 1,536,160 502,874

(32.7%)502,874(32.7%) - 85,668 81,208

(94.8%) 24.0%

1997 229,771 39,158(17%) 2,529,782 825,075

(32.6%)825,075(32.6%) - 159,469 115,846

(72.6%) 33.8%

1998 209,066 48,641(23.3%) 1,002,866 829,403

(82.7%)829,403(82.7%) - 199,610 144,103

(72.2%) 33.8%

1999 201,350 36,704(18.2%) 1,955,889 1,794,798

(91.7%)878,622(44.9%)

916,176(46.8%) 236,035 175,272

(74.3%) 20.9%

2000 305,907 50,983(16.7%) 3,086,267 2,887,845

(93.6%)932,526(30.2%)

1,955,319(63.4%) 364,224 200,511

(55.1%) 25.4%

2001 635,518 52,691(8.3%) 5,603,814 5,376,120

(95.9%) 858,289(15.3%)

4,517,831(80.6%) 547,897 275,782

(50.3%) 19.1%

2002 684,037 95,833(14.0%) 6,911,514 6,614,417

(95.7%) 1,270,310

(18.4%) 5,344,107

(77.3%) 788,698 381,332(48.3%) 20.9%

2003 669,974 112,559(16.8%) 9,401,606 8,966,532

(95.4%) 874,554

(9.3%) 8,091,978

(86.1%) 1,074,954 516,805(48.1%) 13.2%

2004 853,787 177,029(20.8%) 11,724,055 11,341,777

(96.7%)1,957,691

(16.7%) 9,384,086

(80.0%) 1,347,948 655,050(48.0%) 9%

주: 1. 홈쇼핑 채널 제외2. 수신료 PP 분배비율(1996∼2001)=(PP 수신료 수입/SO 수신료 수입)*1003. 수신료 PP 분배비율(2002∼2004)=((PP 수신료 수입-스카이라이프 수신료 PP분배액)/

(SO 수신료 수입)*100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그러나 SO의 수신료 수입과 PP의 수신료 분배비율의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표

Page 11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14

4-7>에서 볼 수 있듯이 2002년 이후 PP에 대한 수익분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

고 있는 것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전채널 의무전송제와 단체 수익분배를 실시

하 던 1998년까지는 SO의 PP에 대한 수신료 분배 비율이 30%이상을 유지하 으

나, 1999년 채널티어 제도가 도입된 이후, SO 수신료의 PP 분배비율은 20%대로 낮

아졌다. 그러나 이 비율조차도 RO의 전환이 마무리된 2003년에는 13.2%로 최저 수

준을 나타낸 후, 2004년 14.9%로 다소 증가하 으나 2000년 상반기 전체 평균보다

는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결국, 중계유선의 종합유선 전환을 앞두고 시행된 티어제도의 도입이 확산되면서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은 케이블 TV에 가입하지 않은 신규 가입자 확보와 RO와의

경쟁으로 저가의 티어를 대대적으로 도입하 고, 이로 인해 종합유선가입자수는 급

격히 증가한 반면, 가입자 수의 증가로 인한 수신료 수익증가가 PP에 대한 수신료

분배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00년대 중반은 케이블TV 산업에서 큰 의미를 갖는 시기이다. 제2장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SO의 RO 통합이 완결되면서 케이블TV 산업구조가 안정화되어 가는 시

기이다. 또한 경쟁권역의 SO에 대한 기업결합과 MSO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가고

있다. 케이블TV 산업의 구조가 안정화되어 가고, 집중화되어 가면서 SO와 PP의 수

익분배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이고, 수익분배 결과가 프로그래밍 산업에 미치는 효

과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작업이 될 것이다.

2) PP의 크기와 수신료 수입 비중

SO와 PP 간의 수신료 분배율은 어느 수준이 적정한가를 일률적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의 생산 및 유통기술, PP의 시청율, 그리고 PP의 협

상력에 의존할 것이다. <표 4-7>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프로그래밍 산업 전체로

볼 때 SO의 수신료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P에 대한 수신

료 수입 분배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다른 조건이 동일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SO

의 협상력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P에 대한 낮은 수준의 수신료 수입 분배가 SO의 독점적 시장구조와 MSO의 협

Page 11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15

상력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MSO의 협상력에 대응하여 PP들도 MPP를 형성

하여 MSO에 대응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표 4-3>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렇다면, MPP의 형성은 PP의 수신료 수익 분배에 향을 미치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장르에 비슷한 시청율을 보이는 2개 이상의 채널이 각각 MPP와

독립 PP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는 개별 SO의 수신료 수입이 각각의 PP에 대해 어떻게 분배되는가에

대한 통계를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MPP와 개별 PP의 전체 수입에서 수신료 수입

이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분석함으로써 PP의 크기가 수신료배분에 미치는 효과를

간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표 4-8> 수신료 수입과 광고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의 차이

MPP PPN 45 87

수신료 수입 비율 28.6* 19.7광고수입 비율 50.1* 38.3

광고+수신료 수입 비율 78.7** 57.9주: 1. 홈쇼핑 제외, 총수입이 0인 PP는 제외

2. *** p<.01, * p<.1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 2004

PP의 총 수입에서 수신료와 광고가 차지하는 비율은 90% 유의 수준에서에서 MPP

가 독립 PP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신료와 광고수입의 합이 전체 매출

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9% 유의 수준에서 MPP가 PP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래밍 시장에서 높은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MPP는 수신료

와 광고수입에 대부분의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반면, MPP를 제외한 대부분의 독립

PP들은 수신료 수입 비중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광고수입은 PP의 SO 전송율(carriage percent)과 시청율에 의존한다. 따라서

MPP이기 때문에 단독 PP보다 광고수입의 비율이 높다고 단순히 결론짓기는 어렵

Page 11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16

다. 그러나 <표 4-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청율 상위 20위내에 속한 채널들 중

3개 채널만 제외하고 모두 MPP 계열의 채널이라는 것은 결국 MPP 계열의 채널들

이 단독 PP보다 시청율이 높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광고수입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청율이 높은 경우, 다른 조건이 동일한 가운데 PP의 수신료 수익

분배비율도 높을 수 있다.

2. 위성방송과 케이블TV의 경쟁과 프로그래밍 산업

가. 위성방송과 케이블TV에 대한 PP의 전송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각 매체의 기술적 특성에 기초하여 소비자에게 가격과

서비스 구성을 제시하면서 경쟁하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차별적인서

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하고 있다. 먼저, 케이블TV 또는 위성방송에 채널을 송출

되고 있는 채널 수는 2004년 6월 현재, 총 140개이다. 이중에서 케이블TV에 송출되

는 채널 수는 109개이고, 위성방송에 송출되는 채널 수는 88개이다. 위성방송이 기

술적으로 더 많은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데에 반해 위성방송에 송출되는 채널의 수

가 케이블TV SO들에게 송출되는 채널의 수보다 작다. 이는 케이블TV와 위성방송

<표 4-9> 케이블TV와 위성방송에 송출되는 채널 현황

케이블TV 위성방송

케이블TV에만 전송하는 채널 수 50개(35.7%) -

위성방송에만 전송하는 채널 수 - 29개(20.7%)케이블TV와 위성방송 모두 전송하는 채널 수

59개(42.1%)

합 계 109개(77.9%) 88개(62.9%)주: 케이블TV에 송출 중인 96개사 109개 채널과 위성방송에만 송출 중인 총 28개사의 31개 채널을 합한 총 124개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140개 채널을 기준으로 작성

자료: 방송위원회, 2004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를 토대로 작성

Page 11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17

의 가입자 기반의 차이에서 기인하며, PP들의 위성방송에 대한 송출을 직간접적으

로 위협하는 케이블TV 업계의 압력에 저항할 수 없는 PP들의 입장이 반 된 것이

다. 케이블TV 업계의 PP에 대한 압력은 케이블TV에만 전송하는 채널의 수가 50개

이고, 두 매체에 모두 전송하는 채널이 59개인 것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한편,

위성방송에만 전송하는 채널은 대부분 PPV 또는 프리미엄 채널들이다.

한편, 케이블TV에 전송 중인 109개 채널 중 시청률 상위 20위내의 채널들 중 위

성방송에 송출되고 잇지 않는 채널도 4개나 되고 있다. 케이블TV는 90%에 가까운

가입자 기반을 가지고 선점적으로 위성방송의 시장침투율을 막으려하고 있고, 이러

한 전략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가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의 위성방송 송

출을 시장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표 4-10> 케이블TV 시청률 상위 20위 채널들의 위성방송 송출 현황

케이블TV 위성방송

시청률 상위 20위 채널 수 20개 16개주: 2004년 케이블TV 시청률 상위 20위 채널들은 Tooniverse, MBC드라마넷, SBS드라마플러스, OCN, KBSSKY DRAMA, YTN, SUPER ACTION, Home CGV, JEI재능방송, MBC ESPN, 코미디TV, SBS스포츠채널, Qwiny, MBC MOVIES, 어린이TV, ongamenet, Mnet, KBSSKY SPORTS, Q채널, 바둑TV임. <표 4-6>의 2005년도 상반기 자료와 비교하면 Q채널, 바둑TV 대신 XTM, Champ, min이 신규 진입함.

자료: TNS 2004년 시청율 자료, 방송위원회, 2004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나. 위성방송과 케이블TV의 PP 수신료 분배 비율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이 경쟁은 프로그래밍 산업에서 활발한 시장진입으로 나타

났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규 상유통매체가 진입하면서 프로그래밍 산업에

는 활발한 시장진입이 있었다. 위성방송이 방송을 시작한 해인 2002년에는 59개의

PP가, 2003년에는 24개가, 2004년에는 62개가 신규로 프로그래밍 시장에 진입하

다. 물론 RO가 SO로 전환되면서 케이블TV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이

러한 PP의 활발한 시장 진입의 주요요인이 될 수 있으나, 위성방송이라는 새로운 다

Page 11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18

채널 전송매체의 도입은 신규 PP에게 새로운 시장기회를 가져다 준 것임에는 틀림

이 없다.

그러면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은 PP의 수신료 수입에는 어떠한 향을 미

칠 것인가? 이 두 프로그래밍 전송매체가 PP에게 분배하는 수신료 비율은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우선, 위성방송과 케이블TV가 PP에 분배하는 수신료의 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

이고 있다. <표 4-11>를 통해서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PP에 대한 수신료 분배비

율을 비교해 보면, 케이블TV보다는 비교적 고가인 위상방송의 경우, 수신료 수입의

40%이상을 PP에게 배분하고 있으나, 케이블TV의 경우 PP에 대한 수신료 배분비율

이 2002년 20.9%에서 2004년 14.9%로 나타났다. 2000년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케이

블TV와 위성방송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도 케이블TV의 PP에 대한 분배비

율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위성방송의 PP에 대한

분배규모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11>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PP 수신료 배분 비율 비교(단위: 백만원)

2002 2003 2004케이블TV 수신료 수입 381,332 516,805 655,050

케이블TV의 수신료 PP 분배금액 79,573(20.9%)

68,039(13.2%)

98,087(14.9%)

위성방송 수신료 수입 36,687 101,089 182,471

위성방송 수신료 PP 분배금액 16,260(44.3%)

44,520(44.0%)

78,942(43.3%)

주: 케이블TV 수신료 PP 분배액은 PP의 총 수신료 수입에서 위성방송의 수신료 분배금액을 뺀 것임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 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한국디지털위성방송 내부자료.

이러한 수신료 분배비율의 차이는 현재, MVPD 시장에서 케이블TV가 절대적인

시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수치이다. MVPD 시장에서 90%의

Page 12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4장 프로그래밍 산업의 성장과 경쟁 119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케이블TV는 PP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협상력의 우위를

점하면서 비교적 낮은 수준의 분배비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위성방송과

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절대적인 가입자 규모를 앞세워 소위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에

대해서는 위성방송에 대한 전송을 못하도록 할 정도의 협상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협상력은 케이블TV 산업의 시장 집중도가 커지면서 더욱 증가할 것이다.

Page 12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20

제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제1절 서 론

1. 분석의 의의

제2장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 케이블TV 산업구조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매우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경쟁권역(overbuild)이 전체 방송권역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 것인데, 2004년 6월 현재 독점적인 케이블시스템이

전체 77개 방송권역의 52%이고 경쟁권역이 48%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점

과 경쟁권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시장성과의 차이를 이해하는 일은 한국

케이블TV 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케

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와 시장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최근 케이블TV 산업

에서 주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동일 방송권역에서의 수평결합 문제에 대한 중

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최근 케이블TV 산업에서는 중계유선방송의 종합유선방송으로 전환과 함께 다양

한 규제완화가 이루어지면서 MSO 중심으로 시장구조가 집중화되고 있고, PP와의

수직계열도 이루어지는 등 케이블TV산업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시장구조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MSO, MPP 등

다양한 구조적 변화가 함께 고려되어져야 될 것이다.

2. 기존 연구

특정 케이블TV 방송권역이 경쟁적 시장구조를 나타내는 경우 독점적 시장구조를

나타내는 방송권역에 비해 가격은 낮고, 서비스의 질은 높을 것이다. 경쟁권역의 경

Page 12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21

우 경쟁압력에 의해서 독점적 가격 설정이 쉽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독점권역에 비

해 낮은 소비자 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 현상일 것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도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 이탈을 막고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려 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도 독점권역에 비해 높을 것이다.

이러한 경제학적 이론을 케이블TV 산업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들이 있

었다. Levin and Meisel(1991)은 경쟁적 케이블시스템의 경우 가격이 독점권역의 독

점가격에 비해, 22∼30%가량 낮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Beil et. al.(1993)

은 경쟁권역의 경우 독점권역에 비해 기본서비스의 가격은 $3.85가 낮고, 프리미엄

서비스의 가격은 $1.10가 낮다고 주장하 다. FCC(1994)도 경쟁적 시장구조를 나타

내는 케이블시스템의 경우 비교 가능한(comparable) 독점적 시장과 비교하여 가격이

17%가 낮다고 추정하 다.

이들의 연구들은 1984년 케이블TV 가격규제완화가 이루어진 후, 1980년대 후반

케이블TV 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고 시도한 연구들로서

경쟁이 부재한 독점권역에서 독점력 행사에 따른 가격상승이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들 논문들은 독점력 행사에 따라 케이블TV 가격이 상승하 다고

지적한 Rubinovits(1993) 등의 연구결과와 함께 1992년 케이블TV산업에 대한 추가

적인 가격규제를 이끌어 내는데 기여하 다.26)

그러나 경쟁권역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케이블TV 산업의 가격상승이 서비스

질(즉, 채널 수)의 상승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시장독점력의 행사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는 데는 미흡하 다. 즉, 가격상승이 채널 수의 증가, 고

급화된 프로그램의 구입 등 비용의 상승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독점력의 행사인

지, 아니면 두 요인이 어느 정도 복합적으로 작용하 는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

26) Rubinovits(1993)는 1980년대 중반 가격규제완화 이후 케이블TV 기본서비스의 실질가격은 18% 상승하 는데, 이 중에서 43%는 독점력의 행사에 의한 것이고 나머지 57%는 서비스의 질의 상승 등 비용상승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함으로써 가격규제가 다시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 다.

Page 12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22

시하고 있지 못하 다.

케이블시스템의 시장구조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대표적 논문은 Em-

mons and Prager(1997)를 들 수 있다. 그들은 기존의 연구가 간과한 케이블TV 서비

스의 질을 케이블TV 사업자가 경쟁환경에 대응하여 선택하는 종속변수라는 점을

강조하 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케이블TV 시스템의 시장구조뿐 아니라 소유구조

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향도 함께 분석하 다.

국내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와 시장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으로는 윤충

한․이인찬(2001)을 들 수 있다. 윤충한․이인찬(2001)은 중계유선방송이 종합유선

으로 전환되기 이전의 1997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선방송시장을 종합유선과 중

계유선이 경쟁하는 구역(종합유선방송 1차 허가구역으로서 중계유선방송이 종합유

선방송과의 경쟁하는 시장구조를 가진 권역)과 중계유선만 서비스되고 있는 독점권

역(종합유선방송이 허가되지 않아 중계유선방송이 독점적인 시장구조를 가지는 권

역)으로 나누어 중계유선방송의 가격과 수신료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당시에는 종합유선의 가격과 서비스 질은 전국에 걸쳐 동일하 으므로, 시장성

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중계유선방송의 가격과 채널 수를 활용한 것이다.

그들의 실증결과는 경쟁권역의 경우 중계유선방송의 채널당 수신료(가격/채널수)가

독점권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합유선방송과의 경쟁으로 가격을 낮추

거나 또는 채널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가격을 낮추고, 채널을 늘렸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실증결과를 단지 경쟁에 의해서 공급하는 채널의 수가 증가하 고,

월수신료가 하락하 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들이 지적하 듯이 경쟁적 시

장구조를 갖는 권역은 종합유선 1차 허가지역인 대도시로서 인구특성상 소득이 높고,

문화수요가 커서, 다채널선호가 강하고, 지불의사가 높아 채널 수는 많고 수신료 또한

높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시장구조의 차이에 의해서 가격책정과 채널 공

급이 달리 나타날 수도 있으나, 대부분 대도시인 경쟁권역(1차 SO 허가지역)의 지역

적 특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채널당 수신료에 큰 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독점지역과 경쟁지역에서의 케이블 TV 사업자의 매출성과와 서비스, 그리고 가격

Page 12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23

을 비교한 권호 ․김도연(2004)의 연구에서는 경쟁지역에 비해 독점지역의 매출성

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고 독점지역의 서비스 티어가 경쟁지역의 그것보다 약간

많았으며 가격에 있어서는 독점지역과 경쟁지역간 차이가 미세하다다는 것을 밝혔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동일지역 복수 SO 간의 경쟁은 미약하고 가격경쟁이 약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주장하 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서비스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서비스 티어의 수와 채널수(SO가 제공하는 총채널의 수)를 사용하 고, 서비스의 가

격을 비교하기 위해 티어의 평균가격과 티어의 최저가격을 사용하 다. 그러나 이러

한 변수들이 서비스의 질과 가격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여기서는 윤충한․이인찬(2001)과는 달리 RO가 SO로 전환되어 일원화된 케이블

TV 산업에서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겠다. 우리는

경쟁권역과 독점권역이 서로 다른 시장성과를 나타내는 지에 관심을 갖는다. 우리

는 먼저 경쟁권역과 독점권역은 지역적으로 어떻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

떠한 시장의 특성을 갖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시장특성을 고려한 후,

가격, 서비스 제공, 그리고 가입자 등 시장성과에 미치는 향을 살펴본다. 마지막으

로 동일권역 SO의 합병에 관한 정책적 제언으로 본 장을 마무리한다.

제2절 경쟁권역과 독점권역의 특징

1. 독점권역과 경쟁권역

가. RO의 SO 전환과 경쟁권역(overbuild)

경쟁권역은 2000년 통합방송법의 시행으로 이루어진 RO의 SO 전환으로 나타났

다. RO의 SO 전환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2001년 1차 허가권역에서 3차

SO가 33개, 그리고 2003년 2차 허가권역에서 4차 SO가 9개, 총 42개 케이블TV 사

업자가 RO에서 SO로 전환되었다. 이리하여 전체 77개 방송권역 중에서 55%인 42

개의 권역에서 2개 이상의 SO가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SO와 경쟁하고 있는 전환

되지 않은 RO를 무시한다면, 35개 권역에서는 독점적 SO가 업하고 있고, 42개 권

Page 12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24

역에서는 2개의 SO가 상호 경쟁하는 시장구조가 형성되었다.

사실 42개 권역에서 모두 복점구조가 형성된 것은 아니다. 앞에서도 언급하 듯

이 2000년 통합방송법의 시행으로 RO의 SO 전환은 이미 예고된 것이고, 이에 따라

자신의 방송권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RO의 SO 전환에 따라 전면적인 경쟁이 예상되

므로, 이를 피하고자 동일 방송권역 내의 RO에 대한 인수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에 따라 RO의 SO 전환을 전후로 경쟁 RO 또는 SO를 매입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이어져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04년 6월 현재, 42개의 복수 SO가 업하고 있는

권역(overbuild) 중에서 32개 권역이(전체의 42%) 서로 독립적인 SO 간의 경쟁구조

를 나타내고 있다. 경쟁권역에서 동일한 법인 또는 개인이 두 SO(기업결합이 이루

어진 경우는 한 개 SO)를 소유하여 실질적인 경쟁은 모면하 다 하더라도 그동안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 독점권역보다는 다른 시장성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으로, 실질적인 경쟁권역의 수는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이는 앞으로 분

석하겠지만 경쟁의 결과 가격이 낮고, 채널 수는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수

익성을 제약하고 있어 경쟁 SO를 매입하여 독점화하려는 유인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04년 32개 권역에서 실질적인 경쟁이 있었으나, 1년 뒤인 2005년 6월

에는 8개가 줄어들어 24개 권역에서만 실질적인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쟁권역의 SO 매입은 MSO의 형성과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MSO가

근처 지역의 SO를 매입하는 과정에서 함께 진행되고 있다(<표 5-1> 참조).

나. 지역별 경쟁권역의 분포

각 지역별로 경쟁권역의 분포를 살펴보면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표 5-1> 참조). 먼저,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은 전체 방송권역의 절반에 가까

운 35개 권역 중에서 15개 권역에서만 중계유선의 SO 전환 승인이 이루어졌다. 이

는 전국 평균인 54.5%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특히, 수도권 중에서 인천의 경

우에는 중계유선의 전환 승인이 전혀 없어, 모두 독점권역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수

도권 지역은 난시청 지역이 비교적 드물고, 인구가 집되어 있어 중계유선방송이

탄탄한 기반을 내린 지역이 많지 않고, 이에 따라 전환조건을 만족할 만큼 대규모

Page 12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25

<표 5-1> 지역별 독점권역, 경쟁권역, 그리고 실질적 경쟁권역 분포

지역방송

권역수

SO 수

경쟁

권역 수

실질적

경쟁권역 수

(2004. 6)

실질적

경쟁권역수

(2005. 6)특징 및 MSO

전국 77 119 42 32 24

서울 21 32 11 8 650%가 경쟁권역이었으나, 사전 매입 등으로 현재는 20%가 경쟁권역: C&M, 큐릭스, HCN(1), 태광(1) 등이 추가 매입

부산 8 14 6 2 1경쟁권역 비중 높으나 실질경쟁 비율은 낮음

태광(2), CJ(1), NGN(2)이 권역 독점

대구 6 12 6 6 5경쟁권역 비중이 높고 실질적 경쟁권역 비중도 높음, 아직 집중화되지 않았으며, 큐릭스, CMB, 온미디어, HCN 등이 분할 소유

인천 5 5 0 0 03, 4차 허가 사업자가 없어 모든 권역이 독점구조 태광(3), CJ(1) 소유

광주 2 4 2 2 12개 권역에서 모두 SO전환되어 경쟁심화. CMB가 거의 독점적 소유

대전 2 4 2 1 02개 권역에서 RO가 SO로 전환하 으나, CMB가 2권역 모두 단일화

울산 1 2 1 1 1 비교적 큰 시장인 1개 권역에서 2개 사업자가 경쟁

경기 9 13 4 3 2RO의 전환이 비교적 적어 경쟁권역이 많지 않음.태광(4), C&M(1) 소유

강원 3 4 1 1 1RO의 전환이 적었고, MSO의 관심이 비교적 작은 지역, 온미디어만 1개권역 독점

충북 2 3 1 1 12개 권역에서 1개는 경쟁. HCN이 경쟁권역의 1개 SO 소유

충남 3 6 3 2 2충남북부는 태광이 경기권역과 함께 군집화, 부여권역은 대전 중심의 CMB가 경쟁권역의 1개 SO 소유

경북 4 6 2 2 24개 권역 중 2개권역이 경쟁권이고, 포항지역의 HCN을 제와하고는 MSO의 관심이 낮은 지역

경남 4 4 0 0 04개권역이 모두 독점권역이며, CJ가 이중 3개 권역을 소유하여 부산과 군집화 도모

전북 3 4 1 1 0 태광의 한빛 인수로 1개의 경쟁권역이 독점화

전남 3 5 2 2 23개 권역 중 2개 권역이 경쟁권역이며, 온미디어, 태광, CMB가 상호 경쟁

제주 1 1 0 0 0 제주는 독점 지역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보사보고서 각년도를 토대로 작성

Page 12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26

RO로 성장한 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수도권 지역의 경쟁권역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경쟁 RO에 대한

사전 매입으로 실질적인 경쟁자를 매입하거나, 사후적으로 경쟁권역 SO를 매입하

고, 게다가 인근 SO의 매입을 통한 군집화(clustering) 추진 등으로 43%에 육박하던

경쟁권역 수는 감소하여 2005년 6월 현재에는 수도권 지역에서 20%정도가 실질적

인 경쟁권역으로 남아있다. 이는 MSO 중에서 C&M과 큐릭스가 수도권의 북부지역

을 중심으로 MSO의 군집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HCN과 태광 등도 서울지역에서 경

쟁 SO를 매입하면서 경쟁권역이 감소하 다.

그러나 <표 5-1>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도권지역을 제외한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등 대도시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방송권역에서 중계유선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광역시에서는 거의 모든 방송 권역에서 독점권역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경쟁권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은 오래전부

터 중계유선을 통한 재전송이 성행하 던 지역이고, 중계유선사업자가 대규모 가입

자 기반을 통해 자본을 축적한 곳이라는 점이다. 특히, 대전 및 광주지역은 모든 방

송권역이 경쟁권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다. 경쟁권역의 특징

미국의 경우 경쟁권역은 지방정부가 기존의 케이블TV사업자 이외에 새로운 케이블

TV사업자에게 업권을 추가적으로 교부하면서 나타난다. 새로운 케이블TV사업자

(entrant)는 기존의 사업자(incumbent)와 주어진 시장규모 하에서 경쟁을 통해서 가입

자를 확보하고 적어도 부(negative)의 이윤은 얻지 않는다는 기대가 있기 때문에 시장

에 진입하 고 또한 살아남아서 경쟁권역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미국의 경쟁

권역은 다른 독점권역에 비해서 시장규모가 크고, 또한 소득수준도 높아 케이블TV

시장수요가 비교적 큰 권역에서 경쟁권역이 형성되었다(Emmons and Prager, 1987).

우리의 경우에는 시장규모,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해당 지역에서 RO가 SO로 전환

할 수 있을 정도의 가입자 기반 및 기술수준 그리고 시설기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SO로 전환된 것이므로, 전통적으로 RO가 비교적 큰 규모와 높은 수준으로 서비스

Page 12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27

를 제공해 왔던 지역들이다. 또한 이러한 지역의 RO들 중에서 SO에게 매입되지 않

고 자체적으로 가입자 기반을 갖고 SO와 경쟁이 가능한 경 및 자본능력을 가진

경우 경쟁권역이 형성된 것이다.

2. 시장구조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효과

가. 데이터

본 보고서에서 활용한 우리의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방송위원회의 방송산업실태

보사보고서 에서의 종합유선방송, 중계유선방송, 그리고 위성방송과 관련한 사업자

별 데이터를 집계하여 구축한 데이터를 활용하 다. 그러나 방송산업실태보사보고

서 는 가격과 채널 수에 대한 통계를 결여하고 있어 방송위원회의에서 분석하는

“케이블TV 이용요금실태조사”의 SO별 채널상품별 평균가액 및 ARPU 데이터를 방

송산업실태보사보고서 의 데이터와 병합(pooling)하여 이용하 다.

우리가 이용한 데이터에 대한 정의와 계산방법은 <표 5-2>와 같다.

<표 5-2> MVPD 통계 변수의 정의 및 측정

구 분 변수명통계용변수

정의 및 측정방법

SO_ID 사업자번호

SO_ID SO 사업자를 방송권역 순으로 지정. 119개 사업자에 대해 1∼119 번호 부여

시장구조

허가 회차 License SO사업자들의 허가 회차에 따라 1∼4차 까지 부여 MSO 여부 MSO MSO여부를 나타낸 dummy variable MSP 여부 MSP SO가 PP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dummy variable

경쟁권역 여부 Overbuild 동일 방송권역에 2개 이상의 SO가 사업하는 권역을 나타내는 dummy

실직적 경쟁 RealComp Overbuild 중에서 SO의 소유 주체가 달라 상호 실질적으로 경쟁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dummy

SO

SO 총가입자 SubSO 해당 SO에 가입한 가구의 총 수(2003. 6, 2004. 6월 기준)

SO평균 채널 ChannelSOSO가 제공하는 평균채널: 각 티어의 가입자 수로 가중 평균함 - (q1*Q1+q2*Q2+...+qb*Qb)/(Q1+...+Qb) 여기서 qi는

ith tier의 채널 수, Qi는 ith tier의 가입자 수를 나타냄

Page 12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28

구 분 변수명통계용변수

정의 및 측정방법

SO SO 평균가격 PriceSOSO의 평균가격: 각 티어의 가격을 가입자 수로 가중 평균함- (p1*Q1+p2*Q2+...+pb*Qb)/(Q1+...+Qb) 여기서 pi는

ith tier의 채널 수, Qi는 ith tier의 가입자 수를 나타냄

RO

RO의 평균채널 ChannelRO 해당 SO와 같은 방송권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여러 RO의 채널수를 해당 RO의 가입자로 가중 평균한 것

RO의평균가격

PriceRO 해당 SO와 같은 방송권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여러 RO의 가격을 해당 RO의 가입자로 가중 평균한 것

RO 가입자수 Sub_RO 케이블TV 방송권역별 RO 가입가구 수권역별 RO 수 NoRO 케이블TV 방송권역별 RO 수

DBS

DBS 가입자 SubDBS 케이블TV 방송권역별 위성방송의 묶음별 가입자 합위성방송평균채널

ChannelDBS 묶음별 가입자 수로 가중평균한 가격(전국적으로 동일한 묶음과 채널 수이나 권역별로는 달리 나타남)

위성방송평균가격

PriceDBS 묶음별 가입자 수로 가중평균한 가격(전국적으로 동일한 묶음과 채널 수이나 권역별로는 달리 나타남)

BBInternet

인터넷 가입자 SubIntenet SO별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인터넷 제공여부 Internet SO가 BB internet 을 제공하는지의 여부

인터넷제공형태

type SO가 BB internet을 직접 제공하는지(=1), Thrunet, Hanaro 등을 통해 제공하는지(=2), or Both(=2)

자가망 OwnNW 인터넷을 제공할 때 자가망을 이용하는지의 여부 ‘0’=자가망, ‘1’=타망, ‘2’-자가망+타망

Capacity SO의 가용채널 수 Capacity 가용한 채널 수로 환산한 SO의 네트워크의 용량

Penetra-tion

권역별 SO의 penetration PenetSO Sub_SO/TotalHH

권역별 cable의 penetration Penetmarket 권역별 SO 가입자의 합/TotalHH

market

방송권역별 density Density

방송권역별 단위 면적 1㎢당 가구수 도(=권역별 가구수/권역별 면적)

가구주의 교육수준

EDU 방송권역별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대학교 졸업이상인 비율(2000년 인구총조사(Census) 자료)

권역별집단가구비율

Multi 방송권역별 집단가구수(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 연립가구를 합함)/TotalHH

market Size

방송권역별총 가구 수

TotalHH 해당연도의 권역별 가구수: (행정자치부, 2004년 6월 기준, 통계청 2000년 기준)

주: 2004년 방송권역별 가구 수는 방송위원회 통계와의 일관성을 위해서 통계청, 주민등록 기관별 인구현황을 참고하 고, 방송권역별 가구주의 교육수준, 집단가구비율 등은 통계청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참고하 음. 기타 SO 및 RO 관련 데이터는 방송위원회의 2004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와 “2004년 6월 채널상품운용현황”을 기초로 하여 작성

Page 13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29

나. 통계분석 결과

1)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의 비교

우리는 여기서 간략한 통계분석을 실시하 다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으로 나누고

주요 변수에 있어서 두 권역간의 평균을 비교하는 통계 방법을 이용하 다.

앞에서 간략하게 언급하 듯이 미국의 경우(Emmons and Prager, 1997) 경쟁권역

의 특징은 소득이 높고, 시장규모가 비교적 큰 시장이고, 2개 이상의 시스템이 경쟁

함에 따라 가격은 낮고, 채널 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쟁의 결과 다른

독점권역에 비해 침투율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케이블TV 산업의 경우에도, 경쟁권역은 독점권역에 비해 침투율(Penet-

market)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권역(real competition)은 독점권역에 비해

침투율이 약 20%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권역이 이렇게 높은 침투율을 나타내

는 것은 다른 권역에 비해 가격(Pricecable)은 낮고, 서비스 질(채널 수, Channel-cable)

은 높기 때문이다. 기존의 SO(1, 2차 허가 사업자)와 RO에서 전환한 SO(3, 4차 허가

사업자)가 동일한 권역에서 한정된 가입자를 놓고 상호 경쟁하면서, 더 낮은 가격에

또는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한 결과, 더 많은 가구가 케이블TV서비스에 가입한 것이

다. 실질적인 경쟁권역은 독점권역에 비해 약 10개 정도 더 많은 채널을 공급하고

있으며, 가격은 약 8%가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채널방송 시장의 경쟁을 분석하는 관점에서 중계유선방송이 종합유선방송의

시장구조와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통계적 유의성은 다소 떨어

지지만 독점권역에서 업하고 있는 RO의 수(NoRO)가 경쟁권역에 비해 약 2배 가

까이 많으며, 독점권역 RO의 가격은 경쟁권역 RO의 가격에 비해 16.5%가 높았다.

이는 다른 조건이 일정한 가운데, 경쟁권역의 경우 두 SO 간의 경쟁으로 인해 RO의

사업기회가 축소되어 RO의 업기반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

다. 또한, 경쟁권역의 RO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가격과 높은 채널을 제공하는 두 SO

들와 경쟁하기 위하여 더욱 낮은 가격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age 13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30

<표 5-3>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의 비교

구 분독점권역

(monopoly)경쟁권역

(overbuild)실질적 경쟁권역

(Real competition)obs (N=35) (N=42) (N=32)

Cable SOSubSO 142437 80223.4 *** 80307.8 ***

Channelcable 48.2954 53.7505 *** 55.2777 ***Pricecable 6371.9 5171.55 *** 5036.58 ***Capacity 80.9143 79.8333 79.2969

Penetmarket 0.6068 0.72023 *** 0.73577 ***RO

ChannelRO 26.9476 26.931 24.1931PriceRO 4727.2 4056.7 * 4344.69SubRO 27323.3 16951.3 15729.7NoRO 6.68571 3.69048 * 4.14063DBS

SubDBS 19818 13540.3 ** 13978.5**ChannelDBS 94.2286 93.5238 92.0313

PriceDBS 16319.2 16231 16003.8Data ServiceSubInternet 27631.4 15301.8 ** 15636.8**

System CharacteristicsDensity 2.96971 2.70357 2.62531

EDU 0.18264 0.17762 0.17489Multi 42.1762 42.4726 42.2784

TotalHH 238798 236316 224880주: 2004년 6월 기준. ***, **, *는 각각 평균의 차이가 99%, 95%, 90%의 유의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

다채널 방송산업의 관점에서 발견할 수 있는 또 다른 흥미로운 사실은 디지털 위

성방송(DBS) 가입자 수가 경쟁권역의 경우 독점권역에 비해 현격하게 낮다는 것이

Page 13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31

다. 이것은 독점 및 경쟁권역의 시장조건이 크게 다르지 않은 가운데 나타나는 흥미

로운 결과이다. 먼저,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의 경우 잠재적 가입자수 또는 시장권역

의 크기(TotalHH)에서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또한 위성방송의 보급률과

큰 관계를 가질 수 있는 지역적인 집도(Density)도 차이가 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

라, 집단가구비율(Multi)과 소득수준(EDU)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즉, 시장조

건이 거의 동일한 가운데,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독점권역인 경우 경쟁권역

에 비해 DBS의 가입자 수(SubDBS)가 46.4%가 많게 나타난 것은 경쟁권역에서 두

개 이상의 SO들이 경쟁한 결과이다. 두 SO 간의 경쟁에 의해 더 낮은 가격에 더 많

은 채널이 제공되면서 케이블TV 가입자가 증가하 고, 또한 케이블TV 가격 당 서

비스 질이 높은 상황에서 DBS 서비스의 매력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케이블TV 산업 또는 다채널위성방송 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와

관련하여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즉, 동일 방송권역에서의 SO 간의 합병 허용문제

와 디지털 위성방송과 케이불TV산업이 서로 대체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가이다.

여기서 독점 및 경쟁권역의 시장조건에 대해서는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미국

의 경우, 독점 및 경쟁권역 간에 시장조건의 차이는 분명하 다. 그것은 경쟁권역이

나타난 것이 시장참여자의 경제적 선택의 결과 기 때문이다. 후발 사업자가 시장

에 진입하더라도 기존사업자와 경쟁하여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시장규모와 엔

터테인먼트 수요를 발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우에는 정책적 오류

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케이블TV 산업을 일원화하면서 나타난 정책적 결과이므로

시장조건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경쟁권역은 인천을 제외한 전국

60% 가까운 방송권역에 분포하기 때문이다.

2) 경쟁권역의 두 SO의 비교

경쟁권역의 두 SO를 비교하면 두 SO(즉, 1,2차 SO와 3, 4차 SO)는 상당히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경쟁권역의 두 SO 간의 가입자 수를 비교해 보면 1, 2차 SO가

약 10%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두 SO의

가입자 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두 SO가 책정한 채널에

Page 13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32

있어서도 비록 후발 사업자들이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고, 두 SO가 제공하는 채널 수에서 별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시장조건이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하는 두 SO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5-4> 경쟁권역에서 경쟁하는 두 SO의 비교

경쟁권역(overbuild) (실질적 경쟁권역)Real competition(N=42) (N=32)

변수 1, 2차 SO 전환 SO 1, 2차 SO 3, 4차 SOSub_Cable 83918.91 76347.61 83441.94 77173.59

Channel_cable 51.8837 55.7244 53.0781 57.4906Price_cable 5591.8372 4730.7561** 5536.6563 4536.4688**

주: **는 9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냄

그러나 두 SO가 제공하는 가격에는 다소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4차

SO들은 1, 2차 SO들에 비해서 약 17∼20% 정도 낮은 수준으로 케이블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후발 허가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채널 수가 다

소 많다는 것에 기인한다기보다는 오랫동안 저가의 중계유선서비스에 익숙한 가입

자들에게 SO 전환에 발맞추어 갑자기 가격을 올리지 못하는 소비자의 가격에 대한

관성(inertia)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후발사업자인 이들 3, 4차 SO들은 그들의 경

쟁자인 1, 2차 SO들과 비교적 유사한 서비스 질을 더 낮은 가격에 제공하면서 기존

의 저가 서비스에 익숙한 RO가입자를 유지하면서, 자본력, 조직력, 마케팅력 등에

서 우수한 1, 2차 SO들에 대항하고 있는 것이다.

3. 동일권역 경쟁 SO간의 합병문제

가. 소비자 편익과 규모의 경제

경쟁권역에서 경쟁하는 두 SO 간의 합병 문제는 합병에 따른 시장성과에 대한 분

Page 13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33

석, 소비자의 대안적 매체 선택 가능성 여부, 진입장벽 등 기업결합과 관련한 포괄

적인 분석을 요구한다. 우리의 실증분석 결과는 경쟁권역은 독점권역에 비해 가격

이 낮고, 제공 서비스의 질(채널 수)은 더욱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 권역에

서의 이중 투자로 사회적 비용은 증가하 으나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이 경쟁하면서

경제적 효율성이 증가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두 시스템이 동일한 시장권역에서 경

쟁하면서 서비스의 질을 감안하더라도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소비자에게 편

익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쟁권역의 시장성과가 독점권역에 비해 좋다는 사실은 동일한 권역에서 경쟁하

는 두 SO의 합병문제를 어렵게 한다. 합병으로 인해 독점적 가격설정이 가능해지고

소비자 편익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SO가

독점력을 행사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경쟁압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이러한 정태적 효율성이 반드시 좋은 것

만은 아닐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진보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어 적정

한 수준으로 기술개발과 투자가 뒤따라야 하는 산업임을 감안하면, 기업결합에 제

약이 있어 소규모 시스템으로 남아있어야 한다는 것은 불확실성이 높은 미래 사업

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투자를 지연시킬 수 있다. 기업결합을 통해 덩치를 키우고

어느 정도의 가입자 기반과(수익을 통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

은 경우보다 미래의 불확실한 서비스에 대한 투자와 기술도입을 보다 과감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기업이 비교적 작은 가입자 기반을 갖고 있는 경우, 소규모

시장에서 첨예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는 경우, 자금조달도 쉽지 않고 새로운 서비스

의 도입을 위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소

비자의 편익을 제약할 수도 있다.

나. Comcast와 AT&T의 합병 vs. Echostar와 DiecTV의 합병

동일 권역에서의 경쟁 SO의 합병 문제를 고려할 때, 미국 미디어 업체들 간의 합

병사례가 좋은 선례를 제공해 준다. 앞에서 강조하 듯이 지역 독점권을 가진 SO들

의 합병은 소비자의 선택에는 직접적인 향을 미치지 않는다. 어느 특정 권역의 독

Page 13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34

점사업자인 SO가 다른 시장권역의 독점사업자인 다른 SO를 결합하는 경우, 해당권

역의 소비자들의 선택에는 직접적인 향이 없다. 이러한 사실은 효율성 추구를 위

해서 케이블TV 산업에서 SO 간의 기업결합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논리적인 출발점

을 제공한다.

미국의 경우, Comcast와 AT&T 케이블 부문의 합병 허용은 미국 케이블TV 시장

에서 1위와 3위 간의 합병으로서 케이블TV 시장에서 거대 MSO의 등장을 의미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CC와 FTC가 이들 두 거대 MSO 간의 합병을 승인하 는

데, 이것은 지역독점권을 가진 MSO 간의 합병이 소비자의 선택에는 직접적인 향

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에서 합병을 통해 독점적 시장구조가 형성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

약하는 경우, 합병은 엄격히 제한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러한 원칙은 미국에서 Echo-

star와 DiecTV의 합병이 허락되지 않은 것에서 쉽게 알 수 있다. MVPD 시장이라는

범주 안에서 이 두 위성방송 사업자의 합병은(Comcast와 AT&T의 합병에 비해서)

커다란 시장점유율 증가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점유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두 기업의 합병을 허용하지

않은 이유는(Comcast와 AT&T의 합병 허용과는 달리) 케이블TV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특히, 지방)에서 두 위성방송사업자의 합병이 소비자의 선택을 심각하게 제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 경쟁권역 두 SO 합병과 소비자 편익

우리의 경우, 케이블TV 이외에 소비자에게 대안적인 다채널방송서비스가 활성화되

지 않은 상황에서는 동일 방송권역 내의 SO간의 합병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경쟁권역의 소비자는 경쟁을 통해 낮은 가격에 더 높은 서비스의 질을 향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위성방송이 케이블TV에 대한 경쟁매체로서의 역

할을 하지 못한다면, 동일 권역에서의 SO 합병은 소비자의 선택을 위협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MVPD 산업에서 DBS가 케이블TV와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고, 또

한 경쟁압력을 행사하고 있다면 동일 권역에서 업하고 있는 두 SO간의 합병을 허

Page 13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5장 케이블TV 산업의 시장구조가 가격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효과 135

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소비자가 DBS 또는 IPTV 등과 같이 MVPD시장에서 케

이블TV에 경쟁하는 매체가 존재하고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매체전환을 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비슷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동일 권역 내에서 케이블시스

템 간의 기업결합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과 방송이 융합하는 등 디지털 융

합(convergence) 시대에 케이블TV가 다른 상매체 예컨대, 위성방송 또는 광대역

인터넷 등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소규모) 동일 권역을 다른 케이블TV 시스템과

양분하고 있는 케이블TV사업자가 경쟁 케이블TV기업을 결합하여 규모를 키우고

기술적, 업적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약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

을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안양방송 등을 소유하고 있는 태광산업의 한빛아이앤비에 대한

기업결합 승인을 허용하면서 그 이유로 (ⅰ) 향후 위성방송이 보다 성장할 경우 SO

의 독점력을 견제할 수 있고, (ⅱ) 방송위원회에서 (케이블TV의) 이용요금 규제를 하

고 있으며, (ⅲ) 현재 ‘1개 사업구역 내 1개 SO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점 등을 들었

다. 그리고 기업결합의 단서조항으로 향후 2년간 묶음2 상품 이용요금을 직전년도 말

기준 묶음2 상품의 전국 평균 이용요금을 초과하여 인상할 경우에는 사전에 공정거

래위원회와 협의토록 함으로써 독점력 행사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 다.27)

여기에 주목할만한 점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동일권역 경쟁 SO의 합병 전제조건으

로 “위성방송이 서비스를 개시한 지 2년이 경과한 현재 시장점유율이 9.2%에 이르

는 등 성장가능성이 높고 케이블TV방송의 대체제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

단된다”고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공정거래위원회가 구체적인 실증분석에 기

초하고 있지는 않으나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관계를 감안하여 두 시장을 동

27)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HCN 소속의 관악유선과 관악케이블TV와의 합병에서도 합병기업은 향후 2년 간 매 반기별로 ‘서울지역 종합유선방송사(SO) 및 위성방송의 이용요금 부과현황’을 가입자들에게 고지해야한다고 의결했다. 이는 가입자에게 업계 및 경쟁매체의 요금을 고지함으로써 소비자들이 효과적으로 독점력 행사

에 따른 요금인상을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2004년 7월의 태광과 한빛병의 기업결합 허용 조건보다는 상당히 완화된 것이다.

Page 13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36

일시장으로 획정하여 동일권역의 경쟁 SO 간의 합병을 허용했다는 점이다.

최근 DBS의 꾸준한 성장과 지상파 재전송 허용으로 DBS가 케이블TV와 대등하

게 경쟁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의 선택권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과연 DBS가 케이블TV에 대한 효과적인 경쟁압력을 행사할 수 있을 정도로 경쟁력

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의 여지가 있다. DBS와 케이블TV와의 경쟁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Page 13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37

제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제1절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미국의 경우

1. DBS의 성장과 MVPD로 시장획정

케이블TV와 유사한 다채널 비디오유통서비스들이 경쟁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이들

서비스 중 하나를 큰 비용들이지 않고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다면, 시장을 분석하거

나 정책적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 이들 경쟁 서비스들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미국 통신법 613(f)(2)조의 가이드라인 (e)에서는 FCC가 수평 소유규제를 설정함

에 있어 시장의 동태적인 변화를 적절히 반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에

서는 매년 MVPD에 대한 경쟁상황평가보고서(Annual Report)를 통해 MVPD 시장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규제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표 6-1> 미국 MVPD 시장에서 케이블TV와 DBS의 점유률 추이(단위: 백만, %)

매체 변 수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케이블TV케이블TV 가입자 수(백만) 66.7 67.7 68.55 68.8 65.9 66.1케이블TV 가입자 비율(%) 82.5 80.8 77.6 76.5 73.4 71.6

DBS위성방송 가입자 수(백만) 10.1 13 16 18 20.4 23.2위성방송 가입자 비율(%) 12.5 15.4 18.2 20.3 22.7 25.1

총 MVPD 가입자 수(백만) 80.9 84.4 88.3 89.9 89.8 92.3TV보유가구 중 MVPD 가입자 수(%) 81.4 83.8 86.4 85.3 84.2 85.1주: 기타 MMDS 등의 MVPD 가입자 수는 생략자료: FCC의 6th∼11th Annual Report 각권의 자료를 토대로 작성

1990년대 하반기와 2000년대 초반 MVPD 시장에서 목격할 수 있었던 변화 중에

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역시 DBS의 성장이었다. MVPD 시장에서 케이블TV가 아

Page 13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38

직 지배적인 서비스이나 케이블TV의 시장점유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DBS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1999년 DBS의 시장점유율은 MVPD 시장의 12.5%

에서 2004년에는 25%를 넘어서고 있으나. 반면 케이블TV는 1999년 82.5%에서 71.6%

로 감소하고 있다.

1999년 FCC는 DBS의 시장 점유율이 10%를 넘어서고 지상파프로그램 재전송을

허용하면서, 케이블TV 산업의 수평 소유규제 기준을 정함에 있어 케이블TV 시장뿐

만 아니라 DBS, MMDS 등을 포함하는 MVPD 시장으로 시장범주를 확장하여 소유

규제 기준을 채택하게 된다(FCC, 1999). 앞에서도 지적하 듯이 이러한 폭넓은 시

장획정은 케이블TV 산업에 대해서는 규제완화를 의미한다. 일부에서는 MVPD 시

장에서 지배적인 사업자인 케이블TV에 대한 규제완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강하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관계에 대한 논의는 경쟁관계의 유무보다는

경쟁의 정도와 특성에 관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사실 여러 실증연구에서 두

서비스간의 경쟁관계가 밝혀졌지만, 경쟁의 강도가 MVPD 시장에서 어떠한 시장성

과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형이다.

다음에서는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대한 몇몇 연구를 살펴보면서, 케이

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 양상과 두 매체의의 대응전략을 살펴보겠다.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관한 실증연구

가. GAO(2000)의 연구

GAO(2000)는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위성방송이 케이

블TV에 대해서 아직 경쟁압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FCC가 1999

년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을 MVPD 시장으로 획정함으로써 케이블TV에 대한 규제

를 완화한 것을 간접적으로 비판하 다. GAO(2000)은 1998년의 데이터(이 때는 DBS

가 지역방송의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던 시기)를 통한 실증분석에서 DBS의 성장은

다채널방송시장에서에서 기존 사업자인 케이블TV의 가격 하락을 가져올 정도로 경

Page 14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39

쟁압력을 행사하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하 다. 오히려 DBS의 점유율이 높은 케이

블시스템들에서 케이블TV의 채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발견하 다. GAO는 이

러한 현상은 케이블TV 사업자들이 DBS의 시장침투에 대해 가격을 낮추어 대응하

기 보다는 채널 수를 늘리는 등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전략으로 대응한 것으로 해석

하 다. DBS의 점유율이 높은 케이블TV시스템들의 채널 수가 많다는 것은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국, 케이블TV 가격의 상승을 의미한다.

GAO의 추정식에서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낮지만 DBS의 침튜율과 케이블TV 가격

은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GAO의 추정결과, 케이블TV 가격은 케이블 가입자가 많고(시장이 크고), DBS

의 점유율이 높고, 채널 수가 많고, 케이블TV 시장구조가 독점적인 지역, 그리고 MSO

이며, SO의 나이(age)가 높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전의 실

증연구에서의 추정결과와 비슷하다.

케이블 시스템들 중에서 (1) 지상파 채널 수가 낮아 케이블TV에 대해 DBS 이외

의 경쟁대안이 없거나, (2) 망용량(capacity)이 낮고(그래서 초고속인터넷 등의 제공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채널 수를 높여 DBS에 대항하기도 어려웠던 지역), (3)

SO의 업기간(system age)이 짧고(그래서 케이블TV의 인지도가 비교적 낮고), (4)

농촌(rural) 지역(그래서 DBS의 침투가 기술적, 업적으로 쉽고)에서 DBS 침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AO(2000)은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MVPD 시장에서 DBS의 점유율이 증

가한 것이 케이블TV로부터 가입자가 전환된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MVPD 서비스

에 대한 신규 가입이 증가인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지는 못하 다. <표 6-1>에서

보듯이 2001년까지 MVPD 가입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DBS 및 케이

블TV 가입자가 모두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케이블TV 시스템별 집계자료(aggre-

gate data)를 통해 두 서비스의 경쟁관계를 규명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나. GAO(2002)의 연구

GAO(2002)는 1999년부터 가능하게 된 DBS의 지역방송 채널 재전송이 케이블TV

Page 14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40

에 대한 DBS의 경쟁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쳤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GAO(2002)는

GAO(2000)의 모형을 수정하여 케이블TV의 채널 당 가격(cable price per channel)을

이용하 고, DBS의 점유율 대신에 침투율을 이용하 으며, 지상파 재전송 가능 여

부를 더미변수(dummy variable)로 하여 DBS의 경쟁효과를 추정하 다.

GAO(2002)의 연구결과는 GAO(2000)에서와 같이 교차탄력성 부호를 통해서 케이

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데에는 실패하 다. 그러나

GAO(2002)는 DBS의 지역방송채널 전송은 현격히 높은 DBS 침투율을 나타낸 것을

발견하 다. 1999년 이후 DBS가 지역신호를 해당 지역에만 전송하는(local-into-local)

방식으로 지역방송을 재전송하기 시작하고, ADSL을 번들로 하여 초고속인터넷 서

비스까지 제공하면서 케이블TV와의 본격적 경쟁이 시작되었다. GAO(2002)의 실증

분석결과에 의하면, 두 DBS제공자로부터 지역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의

DBS 침투율은 지역방송 채널을 받지 못하는 지역의 침투율보다 32%가 높았다. 그

러나 DBS가 지역방송 채널을 전송할 수 있고 그래서 침투율이 증가하여 MVPD 시

장에서 점유율이 증가하 으나, 케이블TV의 가격 하락까지는 유도하지 못한 것이다.

다. Goolsbee and Petrin(2004)

Goolsbee and Petrin(2004)는 GAO(2000)과 GAO(2002)가 케이블TV 시스템 단위의

자료를 이용한 것과는 달리, 가국 단위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케이블TV 시스템의

시장특성 변수를 이용하여 DBS의 성장에 따른 다채널방송서비스 시장에서의 수요

대체 가능성을 추정하고, 신규 서비스(DBS) 도입에 따른 소비자의 편익을 추정하

다. 그들의 실증적 발견은 첫째, DBS와 프리미엄 케이블에 대한 수요는 확장된 기

본형(expanded basic)서비스보다 더 탄력적이었으며, 소비자들은 DBS를 확장된 기

본형 서비스의 대체재라기보다는 프리미엄 케이블의 대체재로 받아들이고 있다. 둘

째, 위성의 서비스가 케이블TV보다 월등히 좋은 곳에서는 낮은 케이블TV 가격과

관련이 있으며, DBS의 도입으로 케이블TV 서비스 질이 작게나마 상승한 것으로 추

정하 다.

이들은 케이블TV와 경쟁하는 새로운 서비스인 DBS의 도입에 따라 수요 및 공급

Page 14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41

의 반을 추정함으로써 소비자가 얼마만큼의 편익을 얻는가를 계산하고자 하 다.

그들은 DBS의 도입으로 DBS 가입자는 일년에 $127∼$190의 편익을 얻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케이블TV에 머물러 있는 가구는 일년에 약 $50∼60의 편익을 얻은

것으로 추정하 다. 경쟁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기존의 서비스에 머문 소비자도 혜택을 보게 된 것이다.

3. 경쟁과 대응

미국의 경우, DBS의 성장은 PP에게는 새로운 유통채널로 역할을 하고 있고, 소비

자에게는 케이블TV 이외의 대안적인 MVPD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는 것에 큰 의미

를 갖고 있다. 특히, 머독의 Fox사가 DirecTV의 대주주인 Huges사를 인수하면서 거

대 콘덴트 및 미디어 기업이 DiecTV를 소유하면서 프로그래밍 유통이 보다 원활해

지고, DBS의 케이블TV에 대한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DBS라는 경쟁서비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케이블TV 가격이 의미

있게 하락하지 않는 것은 위성방송과의 경쟁이외에 다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일수도

있다. 예컨대, 케이블TV는 초고속인터넷접속서비스를 상유통서비스와 함께 제공

할 수 있다는 점은 케이블TV 서비스를 비탄력적으로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GAO(2002)가 언급하 듯이 다채널유료방송매체의 선택에 있어서(약 1/3의 응답자

들이) 초고속인터넷서비스의 가능여부가 매체 선택결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한

다는 것이다. 케이블모뎀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 DBS보다 케이블TV를 더욱 선

호하게 한다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고소득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인

구통계학적으로 전형적인 DBS 가입자들이다. DBS는 케이블TV보다 범위의 경제에

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수요측면에서의 소비자 대응은 케이블TV 사업자의 대응에서도 잘 나타난

다. 예컨대, 위성방송의 성장과 경쟁에 대응하여 가격경쟁을 하기 보다는(위성방송

이 제공하기 어려운)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양방향TV, VOD 등 고도화된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가

Page 14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42

따르기 마련이다. 초고속인터넷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고도화 투자, IPTV 도입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 개발을 위한 투자,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기 위

한 SO매입을 위한 투자 등에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어 케이블TV 가격을 인하할 여

력이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 오히려 다채널비디오유통 부문에서 위성과 전면적

인 경쟁을 하기보다는 초고속인터넷서비스 고도화, VoIP 서비스의 제공 등을 통해

서 곧 닥쳐올 거대한 유선통신사업자의 IPTV 도입에 대응하는 것이 더 중대한 일일

것이다.

제2절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한국의 경우

1. DBS의 성장

우리의 경우에도 DBS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000년 통합방송법의 시행으로

수년을 겉돌다 겨우 도입된 디지털위성방송은 2005년 6월 현재, 182만 가구가 가입

하고 있다. 2005년말에는 약 200만의 가입자를 유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 6-2> 다채널방송서비스 가입가구 추이 (단위: 천명, %)

2001 2002 2003 2004 2005종합유선 가입자 수

시장점유율

5,844(52.7)

6,912(60.0)

9,402(75.2)

11,724(82.6)

13,589(85.3)

중계유선 가입자 수

시장점유율(%)5,062(45.7)

4,502(38.4)

2,323(18.6)

1,179(8.3)

519(3.3)

위성방송가입자 수

시장점유율(%)176

(1.6)302

(2.6)779

(6.2)1,297(9.1)

1,826(11.5)

다채널방송 가입자수 11,082 11,716 12,504 14,200 15,934주: 1. 괄호안은 전체 MVPD 가입자 중 해당 서비스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냄

2. 종합유선방송가입자수는 가입가구수가 아니라 가입대수(단자수)를 의미. 2005년부터 가입가구수를 중심으로 통계를 작성하고 있으나 2000년대 초반과의 비교를 위해 단자 수(가입대수) 기준으로 작성

자료: 방송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각년도의 자료를 토대로 구성

Page 14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43

DBS와 케이블TV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성 등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아 상호 경쟁적 서비스라는 인식이 강하고, 정책적 접근에 있어서도 두 서비스의

경쟁관계를 고려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동일권역 경쟁 SO 간

의 기업결합 심사에 있어서 이미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을 경쟁적인 서비스로 보고

있으며, 두 서비스를 다채널 유료방송으로 시장획정을 하고 있다.28)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의 경우, 위성방송 서비스 실시 후의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경쟁상황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전송 등 유료방송 정

책방안에 대한 두 매체 간의 대립은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 왔고, 최근에는 몇몇 인

기 있는 케이블TV 프로그래밍의 위성방송에 대한 전송을 거부하는 일도 일어났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은 시장에서는 존재하고 또한 격렬하지만 정책과 학문

역에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은 것 같다.

가. 윤충한․이인찬(2005)

케이블TV와 유사한 위성방송 서비스의 경쟁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로는 윤충한․

이인찬(2005)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연구는 다채널 유료 방송시장의 여러 가지 시장

특성을 발견하고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두 서비스 간 공정

경쟁을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는 기

존의 언론학 분야의 연구에서 볼 수 없었던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으로서

정책 입안자들에게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해준다.

이들은 비연속 소비자 선택모형(discrete consumer choice model)에 기초하여 소비

자가 유료방송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 케이블TV에 가입하는 경우, 그리고 위성방송

에 가입하는 경우로 나누어 매체선택의 결정요인을 분석하 다. 이를 위해서 이들

은 전국 77개 케이블TV 방송권역을 가구비례로 표본 추출한 약 1,000가구 수를 대

28) 공정거래위원회(2004)와 공정거래위원회(2005) 참조.

Page 14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44

상으로 한 가구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대상 가구의 다채널유료방송 가입 또는 선택

여부뿐 아니라, 나이, 가구크기, 소득 등의 인구특성, 거주지 특성, 미디어 이용행태

(TV시청시간, 지상파TV 시청 선호도, 인터넷 이용정도 등) 등의 마이크로 데이터

(micro data)를 수집하 다. 그리고 우리가 본 보고서에서 활용한 케이블TV 시스템

별 집계자료(aggregate data)로부터 방송권역의 경쟁구도(시장구조), 방송권역 해당

SO의 채널 수 및 요금 등의 데이터를 합하여(pooling)하여 다채널 유료방송 가입의

선택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이러한 미시적인 데이터와 시스템별 집계데이터

를 모 두 활용한 분석은 우리가 지금까지 본 보고서에서 분석해 온 시스템별 데이터

에 기초한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있다.

그들의 실중분석 결과는 먼저, 위성방송과 케이블TV가 서로 대체재라는 것을 보

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위성방송 가입확률이 케이블TV의 채널당 가

격이 높을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보 다. 즉, 케이블TV의 가격이 높거나, 채널 수가

작은 경우 또는 둘 다인 경우, 개별 가구의 위성방송 가입 확률이 높을 것을 발견하

다.

둘째, 가구주의 소득이 높고,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주의 연령은 낮을수록, 그리고

가구원의 수가 많을수록 지상파방송만 시청하기 보다는 유료방송에 가입하며, 또한

유료방송 중에서도 위성방송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난시청 거주

자일수록 위성방송 가입율은 낮았다.

셋째, 디지털 TV를 보유하는 등 고화질 디지털TV방송에 대한 수요가 강할수록

유료방송에 가입하며 케이블TV에 비해 위성방송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케이블TV가 아직 도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위성방송이 가지는 이점 중

의 하나가 화질이 좋다는 것이며, 위성방송의 가입자들이 위성방송의 이점을 즐기

기 위해 디지털 TV를 구입하 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케이블TV 시장구조와 관련하여 가구가 거주하는 지역의 케이블TV방송의

경쟁이 치열할수록(즉, 경쟁권역일수록) 지상파 대신 유료방송을, 유료방송 중에서

도 케이블TV방송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즉, 어느 특정 방송권역에서 복수의 케

Page 14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45

이블TV사업자가 경쟁할수록 케이블TV에 가입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에 가구가 거

주하는 권역의 케이블TV시장이 경쟁이 없는 권역일수록 가격대비 품질이 낮으며

(채널당 수신료가 높아), 해당 권역의 가입자들이 위성방송 서비스에 가입할 확률이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케이블TV 시장구조와 관련한 이들의 실증결과는 우리가 케

이블TV시스템 데이터를 통해서 제5장에서 확인한 결과와 일치한다.

나. 향후 연구 과제

윤충한․이인찬(2005)의 연구결과가 DBS와 케이블TV의 경쟁관계를 실증적으로

발견하 다고 하나 아직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 먼저, GAO가 GAO(2000), GAO

(2002) 등을 통해 꾸준히 점검하려 하 듯이 우리도 케이블TV 시스템 데이터를 통

해서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경쟁관계를 살펴보아야 한다. 위성방송의 성장에

대해 케이블TV SO는 각각 어떠한 대응전략을 펴왔으며, 특히, 위성방송 침투율의

증가가 케이블TV 가격에 어떠한 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둘째, 올해 초에 이루어진 지상파 방송의 재전송의 효과에 대한 분석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케이블TV와의 경쟁에서 디지털 위성방송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지상파

방송의 재전송 허용이 후발 주자인 디지털 위성방송의 침투율에 어떠한 향을 미

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디지털 위성방송의 침투율 변화와

케이블TV에 대한 경쟁압력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가구 데이터도 Goolsbee and Petrin (2004)의 경우처럼, 보다 방대한 데이터

를 통해 윤충한․이인찬(2005)의 연구결과를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윤충한․이

인찬(2005)의 1,000가구 표본데이터는 전체 가입가구 수에 비해 비교적 작은 표본이

다. 보다 대규모 표본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가구데이터 확보가 필요하고, 이에 기

반한 두 서비스의 경쟁관계 규명이 필요하다. 특히, 케이블TV 방송권역의 특수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사전적인 지역 시장에 대한 면 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

한 지역별 분석결과가 마이크로 데이터 확보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GAO(2002)에서 언급되었듯이 초고속인터넷의 시장이 케이블TV 가입에 미

Page 14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46

치는 향이 적지 않으므로, 케이블TV의 결합서비스 제공이 케이블TV와 위성방송

의 경쟁에 미치는 향을 보다 면 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케이블TV가 범위의 경

제에 기초하여 다양한 묶음상품으로 소비자 층을 공략하는 경우, 이것이 케이블TV

가입과 위성방송의 침투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일은 융합시대의 공정경쟁 정

책 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제3절 케이블TV와 DBS의 경쟁과 정책과제

1. MVPD 시장 획정

미국의 경우, 1999년 위성방송이 MVPD 시장점유율이 10%가 넘어서고, 지상파

재전송이 가능해지면서 시장을 새롭게 획정하 듯이 우리도 2005년 6월 현재 DBS

가 MVPD 시장에서 약 12%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있고, 2005년 초 지상파재전

송이 이루어져 케이블TV에 대한 DBS의 효과적 경쟁이 가능해졌으므로 두 서비스

를 포함하는 시장으로 확대하여 획정할 것인지에 대한 면 한 실증작업이 필요한

시점에 왔다. 앞에서도 언급하 지만 공정거래위원회는 2004년 중반부터 동일권역

SO의 기업결합을 심의하면서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을 경쟁적인 시장으로 보고 독

점적 요금설정과 관련한 조건을 걸고 기업결합을 승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

하여 방송분야의 전문 규제기관인 방송위원회는 지상파재전송, 채널운용 등 세부적

인 정책에 있어서는 두 서비스 간의 경쟁을 고려하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진입

및 소유규제 등에 있어서는 독립적인 규제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을 포함하여 다채널 방송 또는 다채널 상전송(MVPD) 산

업으로 시장의 범주를 좀더 포괄적으로 확대하는 것은 단지 케이블TV와 위성방송

의 경쟁이 단일한 규제체계에서 공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

채널방송 산업으로 시장을 획정하는 것은 앞으로 도입될 IPTV 등 새로운 다채널

상전송서비스의 도입을 원활히 하고 이들 다양한 매체들 간의 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이다.

Page 14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47

이인찬(2005)에서 제기하 듯이 케이블TV와는 달리, 물리적인 시장권역 설정이

불가능한 DBS와 IPTV의 성장과 도입에 발맞추어, 케이블TV 산업의 방송권역에 기

초한 소유상한 규제를 폐지하고, DBS와 IPTV에 대해서도 케이블TV와 동일한 가입

자 규제를 설정하여, 서로 대체적인 다양한 서비스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상호 공정

한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TV에 대한 소유

규제 기준 개선과 규제완화, 그리고 다채널 방송산업으로의 시장 획정이 전제되어

야 한다.

문제는 케이블TV, 위성방송, 그리고 IPTV 등은 상호 경쟁하는 서비스들인가를 실

증적으로 확인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일은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관계를 규

명하는 실증분석에서 출발하여야 하고, 결과에 따라 경쟁관계라면 이 두 서비스를

먼저, 다채널 방송산업으로 시장을 획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공정경쟁

가. 지상파 재전송 규제

2001년 11월, 방송위원회는 위성방송의 도입에 발맞추어 지상파 동시 재전송을

현 방송법에 따라 KBS와 EBS는 전국적으로 즉시 실시하며, MBC, SBS는 KDB와

자율계약에 따라 수도권에 한해 즉시 실시하고, 지방의 경우 2년 유예 후에 실시하

기로 정책을 발표하 다. 그러나 위성방송의 자상파방송 재전송에 대해서 지역 지

상파방송사들이 강력하게 반발하 다. 방송위원회는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

시하지 못하 고, 스카이라이프는 2002년 3월 개국당시, MBC와 SBS를 제공하지 못

한 채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2년 4월에는 위성방송의 지상파재송신 관련 방송법 개정안이 공포되었는데,

KBS1과 EBS에 대한 의무 재전송은 허가하고, 역외 지상파 동시 재전송은 방송위원

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따라 스카이라이프는 KBS2와 SBS의

재송신 승인을 방송위에 신청하 으나, 이런 저런 이유로 계속된 승인 요청이 거부

되었다.

Page 14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48

스카이라이프는 제한수신시스템(CAS)이 장착된 셋톱박스를 통해 지상파 방송사

업자의 방송권역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 ‘권역내 재송신’을 하는 것을 윈칙으로 하는

재송신 안을 제시하 고, 지역 지상파방송사들이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방

송위원회는 2004년 7월,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을 6개월 유예 뒤 시행하고 SO의

지상파방송 의무 재송신, 지상파방송 역외 송신 허용방안 등을 골자로 한 방송채널

정책을 최종 의결했다.

최근에는 위성 DMB 및 지상파 DMB의 도입과 관련하여 지상파 재전송이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상전송매체가 도입될 때마다 지상파재전송 문제가 불거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동안 무시되어진다는 것은 정말 한심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지상파방송과 지상파 DMB의 관계, 그리고 위성 DMB와 지상파 DMB

의 경쟁관계를 고려하면, 지상파 재전송에 대한 원칙을 바로 세워야 하는 방송위원

회가 지상파방송사들의 부당 공동행위를 방조하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도 든다. 지

상파 재전송과 관련한 원칙을 하루빨리 바로 세워야 할 것이다.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이 허용된 것이 아직 1년도 채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다채널 방송산업에서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의 효과를 분석하기는 쉽지 않다.

GAO(2002)에 의하면 미국에서 지상파 재송신 허용으로 인하여 DBS의 보급이 증가

하 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효과가 있는지 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미치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나. SMATV와 SCN

2002년부터 위성방송이 다채널 방송시장에서 케이블TV의 경쟁사업자로 등장함

에 따라, 케이블TV 사업자와 위성방송사업자 간에는 서비스 제공방식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충돌하 다. 대표적인 예가 SMATV와 SCN 문제이다.

SMATV가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쟁점사항으로 떠오른 이유는 서비스를 제

공할 수 있는 망의 확보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SMATV는 개별 세대별로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고 공동주택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 1대를 설치하고,

구내선로(공청선로 등)를 이용하여 가입자 댁내 설치된 수신기(STB)와 연결하여 위

Page 15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49

성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SMATV는 개별세대에 위성안테나 설치가

어렵거나 설치할 필요성이 적은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 빌딩, 주상복합, 오

피스텔 및 음 지역) 등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이다.

위성방송사업자의 SMATV 제공에 대해 케이블TV 측은 공동주택내의 구내전송선

로 설비는 케이블TV 사업자만 사용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위성방송의 SMATV 제

공은 ‘SO의 사업 역무를 침해한 것’으로 불법방송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스

카이라이프는 공시청시설과 구내선로설비는 거주자의 소유물로서 공동주택에 거주

하는 사람들에게 구내선로설비를 이용해 케이블 TV를 서비스하도록 하는 것은 구

내선로설비를 케이블사업자만 이용하라는 독점권의 부여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누

구나 다양한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구내선로설비를 특정한 사업

자에게 국한시켜 사용권을 부여하는 것은 사유재산의 배타적 이용으로 헌법 정신에

위배된다는 주장이다. 특히 난시청 해소와 시청자의 실질적인 시청권 보장, 공동주

택 거주자의 비용절감을 위해 위성방송사업자의 SMATV제공은 바람직하다고 주장

한다. 케이블TV에서 주장하는 ‘사업자 역무에 기반한 MATV에 대한 독점 이용 보

장’은 국내 주거형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공동주택에 대한 점유율을 고수하겠

다는 의도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스카이라이프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단체계약

형태로 저가형 유료방송시장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블TV의 전략에 대해 정부

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MATV를 통한 위성방송

수신’의 법제화를 통해 공동주택 거주자의 서비스 이용권을 확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케이블TV는 위성수신 음 지역에 대해 이미 유선방송 전송선로설비를

이용하여 위성방송 등 다채널 방송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어 위성방송의 보편적 시청

권 확보를 위한 SMATV 이용 명분은 허구라고 주장하면서, 공동주택 거주자의 시

청권 확보를 위한다면 이미 구축되어 있는 케이블TV망을 통한 SCN방식으로 보편

적 서비스를 실현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비용절감 부분에 대해서도 스카

이라이프가 제시하고 있는 방식이 막대한 초기 투자를 유발하여 경 부실을 초래할

Page 15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50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SCN방식도 케이블TV 업체들이 현재 지닌 인프라의 한계

상 실현이 어렵다고 보고 있으며 SCN으로 제공되는 위성채널 패키지 구성 및 공급

방식, 가격 및 업 등 세세한 이해관계를 조율해가는 것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다수의 SO들이 자체 전송망을 확보하지 못한 상

황에서 스카이라이프를 동일한 역무를 제공하는 경쟁사업자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

이며 이런 상황에서 SO로 하여금 SCN방식으로 위성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SO의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사업자로서의 위치를 포기하고 위성방송사업자의 서비

스를 판매하는 지역단위 대리점 내지 업소로 전락하라는 의미로 해석되는 바, SO

로서는 SCN방식 도입을 선뜻 받아들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케이블TV 입장에서는 SCN이든 SMATV든 모두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SCN은 SO가 종합유선방송용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인가 아니면 위성방송용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인가의 선택의 문제이지 위성방송 자체가 SO의 역무를 침해

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SMATV도 주된 설비인 옥내배선과 공시청시설이 공동

주택소유자의 소유이며, 이에 부수되는 위성안테나 등이 누구의 소유인가는 중요치

않다. 공시청설비와 관련된 기술적 기준은 정보통신부령인 텔레비전공동시청안테

나시설등의설치기준에관한규칙을 통하여 정해지지만, 그 설비를 이용하여 SMATV

사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동주택소유자 및 부수시설소유자의 합의가 이루어져

야 한다. 따라서 SO든 위성방송이든 공시청안테나를 이용하여 사업확대를 추구할

수 있으므로 SO와 위성방송사업자를 차별적으로 적용하거나 신규사업자의 등장을

제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공정경쟁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다. 프로그래밍의 배타적 거래

2002년 위성방송인 스카이라이프가 출범한 이후,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에는

우수한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일어나고 있다. 유료

방송 시장간 콘텐츠 확보를 둘러싼 경쟁과 대립은 위성방송이 도입된 이듬해인

2003년부터 시작되었다. 2003년 초 국내 최대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인 온미디어는

그 당시 최고 시청점유율을 보이고 있던 만화채널인 투니버스, 화채널 수퍼액션,

Page 15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51

음악채널 MTV를, 또 다른 MPP인 CJ미디어는 화채널인 홈CGV를 스카이라이프

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 다. 스카이라이프는 투니버스, 수퍼액션, MTV, 홈CGV의

공급중단에 대해 불공정거래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다.

위성방송과 케이블TV 간의 콘텐츠 확보 경쟁은 최근 위성방송에 대해 지상파 재

전송이 허용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05년 초 CJ미디어는 인기 음악채널인 m.net

과 화채널인 XTM을 위성방송에는 송출하지 않고, 케이블TV에만 공급하겠다고

선언하 다. 심각한 문제는 XTM의 경우 아직 계약기간이 남아 있으나 일방적인 계

약 파기행위에 해당한다는 점이고, m.net은 계약이 종료되었다 하더라도 당사자 간

협의를 위해 60일간 방송을 송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CJ미디어는 송출 중단 결정

을 내렸다는 것이다.29)

온미디어나 CJ미디어들이 주요 채널에 대해 케이블TV SO들과 독점적 계약을 체

결하는 배경에는 케이블TV가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에서 90%의 시장점유율을 이용

하여 PP들에 대해 시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본격

적 경쟁이 프로그래밍 산업에 향을 미치고 있고, 프로그래밍의 원활한 유통을 저

해하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PP의 입장에서 볼 때, 온미디어와 CJ미디어

의 스카이라이프에 대한 주요 채널의 송출중단 결정은 인기채널 공급을 가입자 기

반이 훨씬 많은 케이블TV에만 집중함으로써 SO들과의 계약에서 가격 및 비인기 채

널 공급에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에 바탕을 두고 있다. MPP나 PP들이

케이블TV에게 독점 계약을 체결할 경우, 이들 프로그래밍들은 보급형 패키지에 포

함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가입자 기반의 증가와 광고 수익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MPP들의 인기 채널들을 공급하는 조건으로 해당 MPP의 비인기 채널을

강제로 구매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공급하는 채널에 대해 높은 수신료 배분을 요

29) XTM의 경우 계약기간이 2005년 12월 31일로 그 당시 아직도 1년이 남아있는 상황이고, m.net의 경우 2004년 12월 31일로 계약이 만료가 되지만, 계약만료가 되더라도 최종협상을 위해 60일간은 송출을 계속해야 한다.

Page 15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52

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콘텐츠에 대한 배타적 권리는 콘텐츠를 조달하고 패키지하고 채널을 출범시

키는 데에 수반되는 위험을 떠안은 것에 대한 보상이라는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

다. 프로그래밍을 전송할 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는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패키징하는 것의 유인체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정도 특화된 장르의 새로

운 프로그래밍은 충분한 가입자 기반을 가지고 있는 MSO와 수직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PP에 의해서 보다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다. 안정된 가입자 기반을 갖고 있는

MSO의 분배창구를 통해서 위험성이 높은 특화된 콘텐츠의 제작, 패키지를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MSO는 해당 프로그래밍을 경쟁 매체인 DBS에 전송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

문제는 송출 중단된 프로그래밍을 소유한 MPP들이 SO와 수직결합(integrated)되

었거나 관련이 있는(affiliated) PP들이라는 점이다. 이런 경우에 PP들은 그들의 독립

적인 이윤을 극대화하기 보다는 관계된 SO들의 이윤을 함께 고려한 결합이윤(joint

profit)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할 것이다. 그러나 온미디어와 CJ의 송출 중단이 PP

의 이윤극대화는 물론이고, SO와의 결합이윤을 극대화한 최적의 전략인가? 아니면,

케이블TV 업계의 송출중단 압력에 MPP들이(송출 중단 손실에 대한 부분적인 보상

을 조건으로) 굴복한 것인가?

먼저, 두 MPP의 위성방송에 대한 프로그래밍 송출 중단은 CI미디어와 CJ Cable-

net(계열관계) 그리고 온미디어의 프로그래밍 부문과 SO 부문(수직결합 관계)의 결

합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선택은 아니다. 송출 중단으로부터 CJ Cablenet과 온미디

어 SO부문이 얻는 이익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2005년 6월 현재, 온미디어가 소유한

SO는 6개이고 온미디어 소유의 MSO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가구는 53만이다. 이는

전체 케이블 가입가구의 3.8%밖에 되지 않는다. CJ미디어의 경우에도 모기업인 CJ

가 지분을 투자한 8개의 MSO 가입가구는 160만으로 전체 케이블 가구의 11.9%에

해당한다. 따라서 온미디어와 CJ미디어는 프로그래밍 최종유통시장에서 시장지배

력을 행사할 만큼 규모가 큰 사업자도 아니고 경쟁관계에 있는 스카이라이프를 배

Page 15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6장 케이블TV와 DBS의 경쟁 153

제시킬 유인도 크지 않다. 오히려 케이블TV에 비해 수신료 분배를 상대적으로 많이

해 주는 위성방송 송출을 통해 수익을 얻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MPP들이 주요 채널들을 케이블TV와 경쟁관계에 있는 위성방송에

송출하지 않는 것이 케이블TV SO들과의 계약에서 보다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

기 때문만도 아니다. 왜냐하면, 온미디어와 CJ미디어가 송출 중단을 결정한 채널들

은 대부분 시청률 20위내의 인기채널들이고, 이들 MPP들은 경쟁력 있는 프로그래

밍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위성방송에 송출하더라도 SO들과의 개별 협상에서 협

상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송출을 중단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협상력의 우위가 위성방송 송출 중단에서 오는 손실보다 커야하는데 그러기에

는 SO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득의 크기와 그 이득의 실현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

다. 이들 MPP들은 위성방송에 송출하지 않음으로써 입게 되는 손실을 독점적으로

송출하게 되는 모든 SO들로부터 보상받아야 하는데, SO들이 이를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은 쉽지 않다. 우선, 보상을 하기 위해는 비대칭적인 SO들 간의 공정한 해법을

찾아야 하는데, 그러한 해법의 도출은 담합이 아니고서는 거의 불가능하다.30) 따라

서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프로그래밍의 배타적 차별적 거래행위는 케이블TV와

위성간의 경쟁, 혹은 향후 IPTV 진입 시에는 방송과 통신간의 경쟁구도 측면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방송위원회는 프로그램에 대한 배타적, 차별적 거래에 대해 분명한 원칙을 아직

갖고 있지 못하고 있다. 케이블TV과 위성방송 간의 콘텐츠 확보 경쟁은 두 매체간

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지속적으로 불거져 나올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접근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접

근 문제는 앞으로 새로운 매체들이 등장하면서 계속해서 제기될 것이다. 기존 매체

들은 거래하는 PP들에게 압력을 행사하여 IPTV 등 신규매체들에게 프로그래밍을

30) 뿐만 아니라, 케이블TV 업계에서(시장지배력이 크지도 않은) 소규모 일부 MSO들이 계열 또는 수직결합된 프로그래밍의 송출을 중단하고 있는 일종의 담합은 장

기간 그리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기는 쉽지 않다.

Page 15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54

전송하지 않도록 요구할 것이고, 새로운 매체들은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해 인기 있

는 채널을 전송하려고 할 것이다. 방송업계에서는 벌써부터 통신기반의 IPTV가 유

료방송시장에 진입할 경우 콘텐츠의 확보가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라. 신규 서비스도입과 공정경쟁

케이블TV가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 나은 화질의 더 많은 전문 채널들을 지리

적 권역에 제한받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위성방송의 도입이 종합유선방송사업자와

지역민방사업자 등 기존 방송사업자들의 강한 저항을 불러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

다. 사실 기술혁신에 의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도입되는 경우, 기존의 생산 및

유통방식 등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변화는 비용을

수반하고, 때론 기존 사업자의 생존을 위협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존사업자는 기술

혁신이 가져오는 변화에 대한 저항과 대응을 동시에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방송산

업과 같은 규제산업에서는 기존 법제도의 틀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 기득권을 유

지하려는 기존 사업자의 움직임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제당국은 기존사

업자와 신규 진입자 간의 이해 조정을 위해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게

된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기존사업자에 의해서 도입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도

입되는 경우, 기존 사업자의 반발은 더욱 거세고, 규제당국이 이해조정을 위해 투입

하는 시간과 노력은 더 크기 마련이다. 2000년대 초반 위성방송 도입이 그러했고,

2000년대 중반 IPTV가 그러하다.

기술의 흐름은 막을 수 없다. 그것이 보다 나은 기술이고, 보다 효율적인 경우엔

더욱 그렇다. 새로운 기술은 도입되고 기존 서비스와 경쟁하게 된다. 두 서비스는

경쟁과정에서 진화하게 되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서 소비자에게 선택 받게 된다. 정

책당국은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시장참여자들이 공정하게 경쟁하게 하고, 소비자가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에 힘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Page 156: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7장 결 론 155

제7장 결 론

우리는 케이블TV 산업을 중심으로 다채널 유료방송의 시장구조 변화와 성과분석

을 통해 케이블TV, 위성방송이 상호 경쟁하는 다채널 방송산업의 변화를 실증적으

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지난 10년의 케이블TV 산업 역사에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이원화된 산업구조의 일원화 과정이었다. 1990년대 후반 비합리적인 정책 및

규제체계와 이원화된 불공정 경쟁구조에서 케이블TV 산업이 통합해 가는 과정은

망의 중복투자라는 커다란 사회적 비용을 치 고, 산업의 합종연횡 과정에서 불공

정 거래 등 혼탁한 시장질서를 경험했다.

그러나 2000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종합유선으로 케이블TV 산업이 성공적으로 일

원화되면서 중계유선방송은 다채널방송시장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중

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 방송과의 경쟁을 통해서 케이블TV 산업은 비교적 낮은 수

준의 가격에 보다 많은 채널을 공급하는 가격-채널 조합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한편, 2002년 위성방송의 도입으로 국내 다채널 방송시장이 상이한 기술을 가진

매체간 경쟁상태로 전환되었다. 종합유선과 위성방송의 가입자들이 꾸준히 증가하

고 있는 현상은 위성방송과 케이블이 아직까지 본격적인 경쟁상태에 접어들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위성방송과의 경쟁에 위협을 느낀 케이블 사업자들은 케이

블 모뎀을 통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성방송과 차별화된 서비스

를 제공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위성방송에 대한 케이블TV의 경쟁력은 단일한

망을 통해 방송과 초고속서비스 등 다양한 결합상품을 제공함으로써 범위의 경제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케이블TV 사업자들 중에서, 자신들의 망을 통해 초

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사업자들의 비중이 늘고 있고, 이들의 가입자

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Page 157: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56

제3장에서는 케이블TV산업의 시장집중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았

다. 2005년 6월 현재, 5∼7개의 MSO가 전체 77개 케이블 권역의 2/3가 넘는 57개

권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또한 상위 5개 사업자가 전체 매출액과 가입자 기준에서

모두 60%이상을 차지함으로써 MSO의 시장집중도가 높아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MSO의 형성은 케이블TV 산업에서의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PP와의 거래관계 및

신규 프로그램 투자에도 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소유규제를 통한 적정한 크

기의 MSO를 형성하도록 하는 규제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MSO 소유규

제 상한 기준은 매출액과 권역이 혼재된 비합리적인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제3장

에서는 매출액기준과 권역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가입자 기준의 새로운 MSO

소유규제 상한 기준을 제시하 다. 가입자 기준은 지역적 독점시장을 형성하고 있

는 MSO의 시장력을 가장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통계이기 때문이다.

MSO의 소유제한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점은 시장획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

채널 방송시장에서 시급히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는 케이블TV와 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매체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장획정에 대해 진지하게

논하는 것이다. 향후, IPTV가 도입되어 위성방송과 케이블TV와 경쟁하는 경우, 각

서비스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을 추구할 것이고, 다양한 서비스들의 상호 공

정경쟁을 위한 일원화된 소유규제기준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래밍 부문을 다루고 있다.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의 이원적 산

업구조, 중계유선의 종합유선방송으로 전환으로 인한 SO의 복점체제, 그리고 위성

방송의 등장으로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은 증가하 으나 이들 전송매체에게 프로

그래밍을 공급하는 산업은 유통시장의 다양화와 경쟁으로부터 큰 혜택을 얻고 있지

못한 것 같다. 프로그래밍의 수로 가늠한 다양성은 증가하 으나, 프로그래밍의 질

적 수준이 증가하 다는 평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프로그래밍 전송매체들도

프로그래밍의 차별성을 통한 경쟁보다는 가격경쟁을 통한 가입자 뺏기에 매진하

던 측면이 강하다. 특히,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의 경쟁, 그리고 경쟁권역에서 두 SO

간의 경쟁,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 등으로 다채널 방송시장은 낮은 수준의 균

Page 158: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7장 결 론 157

형가격을 형성하 고, 이는 PP들의 수신료 수입 또한 낮은 수준이 되게 하 다. 이

는 결국, PP 산업에서 새로운 프로그래밍의 진입을 저해하고, 과감하고 혁신적인 투

자를 저해하 다. 새로 진입한 PP들도 중계유선의 종합유선 통합으로 넓어진 가입

자 기반을 목표로 하여 수신료 수입보다는 광고나 기타수입을 주된 목표로 하여 투

자는 적게 하고, 가입자 도달율은 높이는 전략을 취하 다.

제5장에서는 케이블TV 산업에서의 시장구조가 가격, 서비스 및 수요에 미치는 효

과를 분석하 다. 우선 경쟁권역의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서울, 경기 등의 수도권 지

역은 전체 방송권역의 절반정도인 35개 권역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5개

권역에서만 중계유선의 SO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는 수도권 지역이 난시청 지역이

드물고 인구가 집되어 중계유선방송이 성장하기에는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었

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등 전통적으로 중계유선이

강했던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방송권역에서 중계유선의 SO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

로 나타났다. 결국, 우리나라의 경쟁권역은 미국과 같이 시장규모가 크고 소득수준

도 높아 케이블TV의 시장수요가 큰 권역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RO가 SO로 전환

할 수 있을 정도의 가입자 기반, 기술수준, 그리고 시설기반을 가지고 있는 RO들이

SO로 전환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을 비교해 본 결과, 경쟁권역이 독점권역에 비해 침투

율이 훨씬 높다는 것을 발견하 다. 이는 경쟁권역이 독점권역에 비해 가격이 낮고

서비스의 질(채널 수)이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위성방송의 가입자수는 독점권역보

다 경쟁권역에서 현격하게 낮다는 것을 발견하 다. 독점권역과 경쟁권역의 시장조

건이 다르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이러한 차이는 경쟁권역에서 두 개 이상

의 SO들이 경쟁하면서 더 낮은 가격에 많은 채널들을 제공하면서 케이블TV의 가입

자가 증가하 고, 이는 위성방송의 매력도를 떨어뜨릴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실증분석 결과는 경쟁권역에서의 SO 합병문제에 시사점을 던진다. 경쟁권역이 독

점권역보다 가격이 낮고, 서비스의 질이 높다는 실증적 분석결과는 경쟁권역이 독

점권역에 비해 경쟁으로 인한 효율성이 증가하면서 소비자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있

Page 159: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58

음을 의미한다. 만일 위성방송이 케이블TV에 대한 경쟁매체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

한다면 SO의 합병은 소비자의 선택에 부정적 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위성방

송이 케이블TV에 대한 경쟁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면 경쟁권역에서의 SO 합병은 허

용될 수 있다. 결국, 경쟁권역에서의 SO 합병이슈를 논하기 위해서는 위성방송이

케이블TV에 경쟁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6장에서는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을 분석하고 있다. 윤충한․이인찬(2005)

의 실증적인 연구는 전국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두 서비스 간 공정경쟁을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

공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TV와 위성의 경쟁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케이블TV

시스템 데이터를 통해서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간의 경쟁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필

요하다. 위성방송의 성장에 대해 케이블TV SO는 각각 어떠한 대응전략을 펴왔으

며, 특히, 위성방송 침투율의 증가가 케이블TV 가격에 어떠한 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다채널 방송시장은 2000년까지 중계유선과 종합유선방송의 경쟁, 그

후 종합유선방송과 위성방송의 경쟁양상을 취하면서 발전하고 있고 이제 IPTV의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기술혁신에 의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도입되는 경우,

기존의 생산 및 유통방식 등은 이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밖에 없다. 특히, 그 기술이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경우, 기존사업자의 변화의 폭은 더욱 크고, 변화의 속도는 더

빨라야 한다. 그러나 방송산업은 기존 규제를 고수하고 기존 규제 틀 안에서 기득권

을 유지하려는 사업자의 움직임이 있어 왔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간, 매체간 상호 진입과 경쟁이 활발히 전개되는 상

황에서 기술발전에 걸맞는 정책 및 규제체계를 수립하는 일은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경쟁관계의

형성은 관련한 법과 규제의 변화를 요구한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제기되고 있는 다채널 방송시장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배

타적 거래, 위성과 종합유선방송간의 프로그램 차별화 전략과 같은 수직적 결합 이

Page 160: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제 7장 결 론 159

슈는 자세히 다루고 있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프로그래밍

시장보다는 프로그래밍을 최종 유통하는 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데에 기인한

다. 이러한 연구들은 후속연구에서 다루기로 한다.

본 연구의 또 다른 한계는 케이블TV 및 위성방송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이슈들을

이론적 모형에 기초하여 실증분석 모형을 도출하여 추정하는 학문적 접근이 다소

부족하다는 점이다. 케이블TV 산업에 대한 실증분석에 적합한 계량경제학적 방법

론을 활용하여 케이블TV에 대한 수요 및 공급함수를 도출하고, 다양한 탄력성의 추

정 등 보다 정교한(rigorous) 학문적 접근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사실, 이러한 보다

학문적 연구들은 우리가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다양한 통계적 검증과 분석을

거쳐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앞으로 보다 학문적인 경로를 통해 연구결과가 제시될

예정이다.

Page 161: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60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공정거래위원회(2004), “(주)한국케이블TV 천안방송 등, (주)씨제이케이블넷양천방

송 등의 기업결합에 대해 시정조치,” 보도자료, 2004년 7월 21일.

______________(2005), “현대홈쇼핑 등의 관악유선방송국 인수에 대해 시정조치,”

보도자료, 2005년 12월 7일.

방송위원회(2003), 방송매체의 소유제한 및 경쟁정책 연구 .

__________,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 각년도.

권호 ․김도연(2004), 케이블TV 시장에서의 독점과 경쟁: 동일지역 복수 SO 정책

의 효과 분석,《한국언론학보》, 제48권 5호, 5-29.

김희수․이종화․김형찬․이상규․변정욱․김민철․김정현(2004), “통신서비스 시장

획정: 방법론 및 주요 이슈,”《KISDI 이슈리포트》, 04-0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손창용․여현철(2003), 한국케이블TV 산업론 , 커뮤니케이션 북스.

윤충한․이인찬(2001), “유선방송시장에서의 경쟁권역과 독점권역의 특성비교,”《산

업조직연구》제9집 제4호.

______________(2005),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의 경쟁-가구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실증분석-,” 미발표논문.

이인찬․고동희․김도연(1999), 케이블TV 산업연구 , 연구보고 99-04,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이인찬․윤충한(2000), “케이블TV 산업의 이원적 시장구조와 시장성과,”《경제학

연구》제48집 제1호.

이인찬(2005), “케이블TV 산업의 수평적 소유규제,”《KISDI 이슈리포트》05-18, 정

보통신정책연구원.

Page 162: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참고문헌 161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2005a), 한국케이블TV 10년사 .

____________________(2005b), “한국케이블TV방송국 MSO현황”.

<해외문헌>

Beil, R. O.Jr., Dazzio, P.T. J., Ekelund, R. B. Jr., and Jackson, J. D.(1993) Competition

and the price of municipal cable television services: an empirical studies, Journal

of Regulatory Economics, Vol. 5, 401-415.

Chan-Olmsted M. Slyvia.(1996). Market competition for cable television: reexamining

its horizontal mergers and industry concentration, Journal of Media Economics

9(2), 25-41.

Chipty, Tasneem.(1995). Horizontal integration for bargaining power: evidence from the

cable television industry,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Strategy, Vol.

4, Number 2, Summer, 375-397.

Crandall, R. W.(1990). Elasticity of demand for cable service and the effect of broad-

cast signals on cable prices, appended to TCI reply in FCC MM Docket 90-4.

Crandall W, Robert and Harold Furchtgott-Roth.(1996). CABLE TV: Regulation or Com-

petit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Washington D.C.

Doyle Gillian.(2002). Media Ownership, SAGE Publications, London.

Dertouzos N, James and Steven S. Wildman.(1998a). Problems with Penetration standards

for cable regulation, Unpublished Manuscript.

Dertouzos N, James and Steven S. Wildman.(1998b). Regulatory standards: the effect of

broadcast signals on cable television, in R. Noll and M. E. Price (ED.), A Com-

munication Cornucopia: Market Foundation Essay on Information Policy, 499-

517, Brookings Institute Press.

FCC.(1993). Implementation of Section 11(c) of the Cable television consumer protec-

tion and Competition act of 1992, Second Report and Order, FCC Rcd 8565

Page 163: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162

(1993 Second Report and Order).

FCC.(1999). Implementation of Section 11(c) of the Cable television consumer pro-

tection and Competition Act of 1992, MM Docket No. 92-264, Third Report and

Order, FCC 99-289(1999 Cable Ownership Order)

_____.(2001). Futher Notice of Proposed Rulemaking in the matter of implementation of

Section 11 of the Cable television consumer protection and Competition Act of

1992(CS Docket No. 98-82)

_____.(2003). In the matter of 2002 biennial regulatory review of the Commission’s broad-

cast ownership rules and other rules adopted pursuant to Section 202 of the

Telecommunications Act of 1996, cross-ownership of broadcast stations and

newspapers, rules and policies concerning multiple ownership of radio broadcast

stations in local markets, definition of radio markets, definition of radio markets

for areas not located in an arbitron survey area. Report and Order and Notice

of Proposed Rulemaking. FCC 03-127.

_____.(2005a). Annual assessment of the status of competition in the market for the

delivery of video programming, 11th Annual Report

_____.(2005b). Second Further Notice and Proposed Rulemaking, FCC 05-96, (2005

Second Further Notice).

GAO(2000). The effect of competition from satellite providers on cable rates, GAO/

RCED-00-164.

____. (2002). Issues in providing cable and satellite television services, GAO-03-130.

Goolsbee, A. and Petrin, A.(2004). The consumer gains from direct broadcast satellite

and the competition with cable TV, Econometrica, Vol. 72, No. 2, 351-381.

Hazlett, T. W.(1990). Duopolistic competition in cable television, (And “Reply.”) Yale

Journal on Regulation 7: 65-119, 141-148

House Report.(1992). Report on House Committee on Energy and Commerce, H.R. Rep.

Page 164: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참고문헌 163

No. 102-628, 102d Cong., 2nd Sess. 43.

Levin, S.L. and Meisel, J.B.(1991). Cable television and competition: theory, evidence,

and policy,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 15, pp. 519-28.

Noam, E. M.(1985). Economics of scale in cable television: a multiproduct analysis, in

E. M. Noam (ED.), Video Media Competition: Regulation, Economics and Tech-

nology (pp. 93-120).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Rubinovitz, N. Robert.(1993). Market power and price increases for basic cable since

deregulation,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 24, No. 1, 1-18.

Senate report.(1991). Report of Senate Committee on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

tation, S. Rep. No. 92, 102d Cong., 1st Sess. 34

Smiley, A. K.(1990). Regulation and competition in cable television, Yale Journal on

Regulation 7: 121-139

Waterman David.(1995). Vertical integration and program access in cable television

industry, Federal Communication Law Journal, Vol. 47, No. 3, 511-534.

Waterman, David and Andrew A. Weiss.(1997). Vertical integration in cable television,

The MIT Press: AEI Press.

Page 165: Ë ³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 2 à D À × J ¿ 8 J à a Ý ¸ & õ ; Ñ ³ a 5 ý K ç û Ò x Ì > b D > Þ à I Ø Ï , K Ý

저 자 소 개

이 상 우

․연세대학교 화학과 졸업․Indiana University 언론학 박사․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인 찬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University of Pennsylvania 경제학 박사․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연구보고 05-10

다채널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관한 연구

2005년 12월 일 인쇄 2005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 이 주 헌발행처 정 보 통 신 정 책 연 구 원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1-1TEL: 570-4114 FAX: 579-4695∼6

인 쇄 인 성 문 화

보급가 1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