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ORIGINAL ARTICLE ISSN 1225-9330 (Print) | ISSN 2288-4955 (Online) J Korean Acad Nurs Adm (간호행정학회지) Vol. 26 No. 3, 192-20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192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현 미 숙 동국대학교의료원 수간호사 연구초빙교수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Job Crafting Model Hyun, Mi Suk Visiting Professor, Head Nurse, Dongguk University Medical Cent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ir occupations using the Job Crafting model. This study was identified that the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ffected task, cognitive, and relational craft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ere also identifie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96 participating nurses working in common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within South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is model.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motivation was positive affectivity job crafting. Cognitive craf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embeddedness. As a result of comparing by size of the hospital, the Job Crafting model validated in this study showed higher fitness at tertiary hospitals than in common general hospitals. Conclusion: We found that nurses' job crafting behavior and occupational motivation cause them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hich are factors of job effectiveness. Key Words: Nurses; Job crafting; Motivation; Effectiveness 주요어: 간호사, 잡 크래프팅, 동기부여, 직무효과 Corresponding author: Hyun, Mi Suk Dongguk University Medical Center, 27 Donggguk-ro, Goyang 10326, Korea. Tel: +82-31-961-8108, Fax: +82-31-961-8319, E-mail: mshy[email protected] - 이 논문은 제1저자 현미숙의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 This article is a based on a part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thesis from Chung-Ang University. Received: Nov 27, 2019 | Revised: Jan 14, 2020 | Accepted: Feb 11,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필요성 조직의 구성원은 자신의 일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확신할 때 동기가 부여 될 뿐 아니라 직무에 대한 열의가 높아지고 행복감 을 경험하게 되며[1], 그 결과 개인의 창의성과 업무생산성도 높 아지고 조직의 효과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2]. Wrzesniewski Dutton [3]은 직무수행 동기를 부여하는 직무의 특성과 속 성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그 모델을 제시하였다. 잡 크래프팅이란 주어진 업무를 스스로 변화시켜 더욱 의미 있게 만드는 일련의 2020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ORIGINAL ARTICLE ISSN 1225-9330 (Print) | ISSN 2288-4955 (Online)

J Korean Acad Nurs Adm (간호행정학회지) Vol. 26 No. 3, 192-204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192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현 미 숙

동국 학교의료원 수간호사 연구초빙교수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Job Crafting Model

Hyun, Mi Suk

Visiting Professor, Head Nurse, Dongguk University Medical Cent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ir occupations using the Job Crafting model. This study was identified that the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ffected task, cognitive, and relational craft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ere also identifie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96 participating nurses working in common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within South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is model.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motivation was positive affectivity job crafting. Cognitive craf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embeddedness. As a result of comparing by size of the hospital, the Job Crafting model validated in this study showed higher fitness at tertiary hospitals than in common general hospitals. Conclusion: We found that nurses' job crafting behavior and occupational motivation cause them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hich are factors of job effectiveness.

Key Words: Nurses; Job crafting; Motivation; Effectiveness

주요어: 간호사, 잡 크래프팅, 동기부여, 직무효과

Corresponding author: Hyun, Mi SukDongguk University Medical Center, 27 Donggguk-ro, Goyang 10326, Korea. Tel: +82-31-961-8108, Fax: +82-31-961-8319, E-mail: [email protected]

- 이 논문은 제1저자 현미숙의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This article is a based on a part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thesis from Chung-Ang University.

Received: Nov 27, 2019 | Revised: Jan 14, 2020 | Accepted: Feb 11,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조직의 구성원은 자신의 일에 한 의미와 가치를 확신할 때

동기가 부여 될 뿐 아니라 직무에 한 열의가 높아지고 행복감

을 경험하게 되며[1], 그 결과 개인의 창의성과 업무생산성도 높

아지고 조직의 효과성 또한 증 될 수 있다[2]. Wrzesniewski

와 Dutton [3]은 직무수행 동기를 부여하는 직무의 특성과 속

성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그 모델을 제시하였다. 잡 크래프팅이란

주어진 업무를 스스로 변화시켜 더욱 의미 있게 만드는 일련의

ⓒ 2020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Page 2: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Vol. 26 No. 3, 2020 193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활동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구성원

스스로가 긍정적인 관점으로 업무범위 및 관계를 조정하고 업

무에 한 인식을 전환하는 것을 뜻한다[3]. 이는 업무 난이도

와 범위 등의 물리적 영역을 변경하는 업무 크래프팅, 일의 의

미와 가치인식에 한 변화를 유발하는 인지 크래프팅 및 업무

와 관련하여 타인과의 상호영역을 변경하는 관계 크래프팅으

로 구분된다[3,4]

Slemp 등[5]에 따르면 직무자율성과 잡 크래프팅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정서가 높아지고 직장에서의 행복 수준도

상승되었으며,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로부터 느끼는 사회적 지

지는 개인의 역량을 발휘하고 발전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임

상현장에서도 간호사의 직무자율성이 높고, 업무환경에 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간호사가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이 높았

으며, 간호사의 직무자율성은 긍정 심리를 자극하고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친다[6]. 최근 간호업무의 복잡성

이 커지고 해결해야 할 새로운 직무요구에 의해 인식된 간호사

의 지각은 업무, 인지 및 관계 영역에의 변화가 요구된다. 잡 크

래프팅의 관점에서 임상간호사는 공식적인 직무기술에 따라

고유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지 않는

부가적인 활동을 수행 하고 있다. 잡 크래프팅의 사례로 이들

간호사를 분류한다면, 일부의 간호사는 최소한의 업무와 기본

적인 관계만을 유지함으로써 업무에 스스로 제한을 두게 되는

반면 또 다른 간호사는 기본적인 업무 외에도 추가적인 업무와

더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끌어내는 크래프팅을 끊임없이

수행한다[7].

Wrzesniewski와 Dutton [3]은 잡 크래프팅이 개인의 직무

만족, 직무정체성, 관계구축 등을 향상시켜 개인에게 이득을 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질과 생산성 향상 등의 직무효과를 통해 조

직에도 이득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동안 잡 크래프팅과 관련

하여 직무결과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일에 한 개인의 태도

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 등에 중점을 두었다[8-10].

2000년 이후 부분의 OECD 국가에서는 노인인구와 만

성질환 증가, 의료서비스 질 개선과 중증질환 관리요구 증가로

인해 간호서비스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간호사의 수요 증가에 비해 공급은 감소하고 있어 간호사 부족

은 세계적인 현상으로 두되고 있다[11]. 우리나라에서도 최

근 보도된 자료에 의하면 향후 2030년에는 총 면허등록 인원

35만9천명의 44.1%에 달하는 간호사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

망되어, 의료인력 중 간호사의 수급불균형 문제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12]. 새로운 간호인력의 배출도 중요한 문제

이나 기존 간호인력의 보유 또한 중요하다. 실제 2014년 간호활

동현황 실태조사에서 6개월내 이직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한

간호사 비율이 상급종합병원 16.9%, 종합병원 25.6%로 조사되

었다[13]. 잘 훈련된 간호사의 이직은 비용적으로도 큰 손실일

뿐 아니라 신규간호사로 체하여 정상적인 간호업무를 습득

하게 하기까지의 공백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병원마다 우

수한 간호사가 조직에 오래 잔류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가 자신의 업무에 긍정적인 동기를 갖도

록 지지해주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오랫동안

직장에 머무르게 하는 조직차원의 정책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국내에서의 잡 크래프팅의 연구는 일반 회사원과 근로자 등

을 상으로 한 연구가 부분이며 간호사와 관련한 연구는 매

우 드물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의료기관종별 병원급 이상의

간호사 중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비율이 78.8%에 달한다[14]. 따라서 간호사의 상당수가 종사

하고 있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상으로 잡 크래프팅의 특성을 파악하고 간호사들이 인지하는

동기부여 요인이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잡 크래프팅 모델을 근거로 일과 직무의 의미

에 한 통제욕구로 직무자율성과 직무복잡성, 개인의 긍정적

자아이미지 욕구인 긍정심리자본, 조직에서의 인관계욕구

인 사회적 지지 등을 동기부여 요인으로 선정하고, 간호사의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에 따른 조직몰

입과 이직의향에 반하는 직무배태성의 의도로 나타나는 직무

효과 요인을 결과요인으로 포함하는 통합모형을 구축하여 검

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 자신이 수행하는 개별적인

간호활동의 질을 높이고, 간호업무와 관련된 영역을 확 하여

간호전문직으로서의 의미를 찾아 궁극적으로 조직차원에서

효율적인 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잡 크래프팅의 모델에 근거하여 간호사의

동기부여가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도출하여 그 영향요인을 예측하는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함으로 잡 크래프팅의 모델의 동기

부여와 직무효과에 관한 구조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

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하여 간호사의 동기부여가 잡 크

래프팅과 직무효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한다.

Page 3: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19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현 미 숙

V1=Autonomy; V2=Job complexity; V3=Self-efficacy; V4=Optimism; V5=Hope; V6=Resilience; V7=Supervisor support; V8=Peer support; V9=Task crafting; V10=Cognitive crafting; V11=Relational crafting; V12=Organizational commitment; V13=Compatibility; V14=Links; V15=Sacrifice.

Figure 1. Hypothetical framework.

잡 크래프팅이 모델에 근거하여 간호사의 동기부여, 잡 크

래프팅 및 직무효과 요인들 간의 직, 간접 및 총 효과를 분석

한다.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규모에 따라 간호사의 동기

부여가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

형을 구축하고 그 차이를 확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관련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

로 간호사의 동기부여가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예측할 수 있는 가설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

성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Figure 1).

2. 연구대상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도 및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5개의

상급종합병원과 3개의 종합병원 등 총 8개의 의료기관을 임의

로 선정하고 그 곳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연구 상으로 하였다.

상자의 직위와 근무부서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병원의 다

양한 직위와 근무부서의 간호사를 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

다. 연구 상병원의 병상 수는 1,5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

원 2개, 7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 3개, 600병상 이상의 종

합병원 3개를 상으로 병원 당 각각 30명에서 150명의 간호사

를 편의 표집하였으며. 총 610명을 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

지를 배부하여 이중 600부를 회수하였다. 이중 응답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은 응답지 4부를 제외하고 총 596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상자 수는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한 다변량 통

계분석의 경우 최소한 200명 이상이 제안되며, 모형수정 후의

교차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별도로 유사한 크기의 유보표본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근거로 병원의 규모별로 각각 200개 이

상의 자료를 수집하였다[15].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들은 도구 개발자와 번역자들

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사전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1) 잡 크래프팅

Wrzesniewski와 Dutton [3]이 제시한 잡 크래프팅의 모델

을 근거로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을

구분하여 Slemp와 Vella-Brodrick [4]이 개발한 도구를 임명

Page 4: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Vol. 26 No. 3, 2020 195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기 등[16]이 한국형 잡 크래프팅 척도로 타당화 검증을 통해 완

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잡 크래프팅 도구는 총 15문항으로 업

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이 각각 5문항씩

구성되어 있으며, 6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문항 구성으로는 업

무 크래프팅의 ‘나는 일을 더 잘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을 시도해

본다.’, 인지 크래프팅의 ‘내 일이 내 삶의 목적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생각한다.’, 관계 크래프팅의 ‘나는 직장에서 사람들

과 잘 지내려고 노력한다.’ 등이다. Slemp와 Vella-Brodrick [4]

도구의 Cronbach’s ⍺는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이 각각 .87, .89, .83이었고 전체 문항의 Cronbach’s

⍺는 .91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의 Cronbach’s ⍺는 각각 .82, .90, .84였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s ⍺는 .91이었다.

2) 직무자율성

직무자율성 측정도구는 Morgeson과 Humphrey [17]가 개

발한 도구를 Koo [10]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총 9문

항,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에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Morgeson과 Humphrey [17] 도구의

Cronbach’s ⍺는 .87이었으며, Koo [10]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83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93이었다.

3) 직무복잡성

Maynard와 Hakel [18]이 개발한 주관적 직무복잡성을 Lee

와 Chang [19]이 번안하여 사용한 4문항을 사용하였으며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문항 구성으로는 ‘나의 업무는 새로운 생각

과 아이디어를 많이 요구한다.’, ‘나의 업무는 많은 생각과 문제

해결 과정을 필요로 한다.’등이다. Maynard와 Hakel [18]의 연

구에서 Cronbach’s ⍺는 .90이었으며, Lee와 Chang [19]의 연

구에서 Cronbach’s ⍺는 .87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86이었다.

4) 긍정심리자본

긍정심리자본 측정도구는 Luthans 등[20]이 개발한 도구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를

Lim [21]이 번안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친 한국판 긍정심리

자본척도(K-PPC)로 측정하였다. 하위개념으로 자기효능감

5문항, 낙관주의 5문항, 희망 5문항 및 회복탄력성 3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다. Luthans 등[20]의 연구에서 각 하위개념 문

항들의 Cronbach’s ⍺는 자기효능감 .75~.85, 희망 .72~.80,

낙관주의 .69~.79, 회복탄력성 .66~.72였으며, Lim [21]의 하

위개념 Cronbach’s ⍺는 각각 자기효능감 .88, 낙관주의 .82, 희

망 .84, 회복탄력성은 .72였다. 본 연구에서 하위개념에 한

Cronbach’s ⍺는 자기효능감 .90, 낙관주의 .87, 희망 .88, 회복탄

력성 .87이었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s ⍺는 .94였다.

5)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는 O’Driscoll 등[22]이 개발한 도구를

Kim과 Ryu [23]가 수정 ․ 번안 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O’Driscoll

등[22]의 도구에서는 가족의 지지 4문항과 동료의 지지 4문항

으로 구성된 것을 Kim이 상사의 개념으로 수정한 상사의 지지

4문항과 동료의 지지 4개 문항,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임상간

호사를 상으로 한 Kim과 Ryu [2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의 Cronbach’s ⍺는 .95, 상사지지는 .94, 동료지지는 .93이었

다. 본 연구에서의 하위개념의 Cronbach’s ⍺는 상사지지 .90,

동료지지 .90이었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s ⍺는 .92였다.

6) 조직몰입

조직몰입의 측정도구는 Mowday 등[24]이 개발한 OCQ (Or-

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를 Song과 Lee

[25]등이 5문항으로 수정하고 검증한 4점 척도 도구로 측정하

였다. 조직몰입의 Cronbach’s ⍺는 Song과 Lee [25]의 연구에

서 .8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는 .87이었다.

7) 직무배태성

직무배태성은 조직구성원이 직무와 관련하여 해당 조직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Mitchell 등[26]이 개발

한 도구 중 조직에 한 차원으로 Kim 등[27]이 수정 ․ 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적합성 8문항, 연

계 4문항 및 희생 6문항의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

구에서 실시한 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직무배태성 측정

도구의 적합성 2문항과 연계 2문항이 요인적재량이 낮아 4문

항을 제거 후 14문항으로 분석하였다. 간호사를 상으로 한

Kim 등[27]의 연구에서 도구의 Cronbach’s ⍺는 .87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하위개념의 Cronbach’s ⍺는 각각 적합성 .89,

연계 .78, 희생 .77이었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s ⍺는 .90

이었다.

4. 자료수집

자료수집을 위해 편의 추출된 상기관의 간호사를 상으

로 사전에 상기관의 간호부 또는 연구자료수집 전담부서에

Page 5: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19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현 미 숙

연락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계획서와 설문

지 및 자료수집 의뢰신청서를 작성하여 직접방문 또는 이메일

로 발송하여 자료수집 허가 절차를 밟았다. 자료수집은 자가보

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각 병원의 간호부 또

는 연구자료수집 전담부서의 도움을 받아 설문지 배포 부서를

결정하고 한 개의 병동에 설문지가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연구 상자에게는 연구설문지와 함께 피험자 설명문 및 동의

서를 함께 배포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에 한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월 14일부터 2017년 2월

25일까지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연구변수의

특성은 서술적 통계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도구의 타당도는 확

인적 요인분석으로 검정하였다. 모형추정을 위해 다변량 정규

성을 가정하는 최 우도법을 사용하였고 구성개념 타당성을 검

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념신뢰도(Composite

Construct Reliability, CCR)와 평균분산추출 (Average Vari-

ance Extracted, AVE) 값을 산출하여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

성을 확인하였다.

모형적합도 평가는 일반적으로 추정되는 전반적 절 적

합지수인 x2(CMIN), Normed x2(CMIN/DF), RMR (Root

Mean-square Residual), GFI (Goodness of Fit Index), AGFI

(Adjusted GFI), RMSEA (Root Mean Squared error of Ap-

proximation)와 증분적합지수인 NFI (Normed Fit Index),

TLI (Turker-Lewis Index), CFI (Comparative Fit Index), 등

을 이용하였으며, 경쟁 모형 중 적합한 모형을 선별하기 위해

간명적합지수(간결적합지수)인 AIC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PGIF (Parsimonious GFI) 등을 이용하였다[15].

이론적 근거를 토 로 가설모형의 모수추정치 및 적합도 통계

량을 참고하여 수정모형을 개발하고 수정모형의 경로 및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모형의 간접효과와 총 효과의 통계적 유

의성 검증은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정

은 유의수준 .05를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병원의 규모에 따른 집단 간의 인과적 관계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동일성을 검

증한 후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집단 구

조모형분석에서 경로계수의 차이는 비제약 모형과 x2 검증을

실시하는데, 먼저 이때 경로계수의 차이 값(Critical Ratios for

Differences, CR Dif.)은 AMOS의 Pairwise Parameter Com-

parison으로 확인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상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D 학교병원의 기관

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IRB 승인번호: 2016-130)을 받은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 관련 특성

상자의 평균 연령은 30.3±7.3세였으며 총 임상경력은

평균 7.7±7.4년이었다. 평균 현 부서 근무기간은 3.6±3.4년

이었고, 1년 이상 5년 미만의 경우가 312명(52.4%)으로 가

장 많았다. 근무부서는 외과병동 191명(32.0%), 내과병동 187

명(31.4%), 중환자실 100명(16.8%), 특수부서는 118명(19.8%)

으로 병동 근무자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병동과 중환자

실을 제외한 응급실, 수술실, 회복실, 인공신장실, 분만실 등을

특수부서에 포함하였다. 직위는 일반간호사 488명(81.9%), 책

임/선임간호사 69명(11.6%), 관리자 39명(6.5%)으로 일반간

호사가 가장 많았다(Table 1).

2. 주요변수의 정규성 검증 및 상관분석

본 연구에서 평가한 표준화된 왜도와 첨도 값의 경우 -1.96~

1.96 사이의 값을 가지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는데

[[15], 연구결과 직무자율성, 직무복잡성, 긍정심리자본, 사회

적 지지,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부배태성. 및 하위변수의 왜

도는 모두 -.44~.22로 정규성에 문제가 없었다. 첨도 역시 -.42~

.51 로 정규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Table 2).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잡 크래프팅 행위는 동기

요인 및 직무효과 요인들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동기요

인인 직무자율성은 잡 크래프팅 요인인 업무 크래프팅(r=.44,

p<.01), 인지 크래프팅(r=.38, p<.01) 및 관계 크래프팅(r=.35,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복잡성은 잡 크래프

팅 요인인 업무 크래프팅 r=.35 (r=.17, p<.01), 인지 크래프팅

(r=.28, p<.01) 및 관계 크래프팅(r=.19, p<.01)과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잡 크래프팅의 직무효과 요인인 조직몰입은

업무 크래프팅(r=.39, p<.01), 인지 크래프팅(r=.49, p<.01) 및

Page 6: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Vol. 26 No. 3, 2020 197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596)

Variables Categoriesn (%) or M±SD

Size of hospitals Tertiary hospitalCommon general hospital

217379

(36.4)(63.6)

Gender MaleFemale

16580

(2.7)(97.3)

Age (yr) ≤2930~39≥40

35316875

(59.2)(28.2)(12.6)

30.3±7.3

Marital status YesNo

188408

(31.5)(68.5)

Total career (yr) <11~45~9≥10

70220144162

(11.7)(36.9)(24.2)(27.2)

7.7±7.4

Current department career (yr)

<11~45~9≥10

12731212433

(21.3)(52.4)(20.8)(5.5)

3.6±3.4

Current working department

Medical wardSurgical wardIntensive care unitSpecial unit (OR, ER, RR,

DR, AKU)

187191100118

(31.4)(32.0)(16.8)(19.8)

Job position Staff nurse Charge nurseNurse manager

4886939

(81.9)(11.6)(6.5)

OR=Operating room; ER=Emergency room; RR=Recovery room; DR=Delivery room; AKU=Artificial kidney unit.

관계 크래프팅(r=.44, p<.01)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직무배

태성은 업무 크래프팅(r=.49, p<.01), 인지 크래프팅(r=.55, p<

.01) 및 관계 크래프팅(r=.52, p<.01)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상관관계 계수가 .80 이

상으로 매우 강한 상관을 보이면 다중 공선성을 의심해 볼 수

있으나, 본 연구의 구성개념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75 이하로 다중 공선성에는 문제가 없었다[15].

3. 구조모형 분석

1)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성 검정

본 연구의 잠재변인인 변수들의 집중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표준화계수(β)모두 .57~.91로 기준치(.50) 이상이었고, 개념신

뢰도(CCR)는 .88~.92로 적합기준인 .70 이상으로 높게 나와

집중타당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5].

서로 다른 잠재변수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로 판별타당

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구성개념 간 각각의 AVE 값과 두 구

성개념 간 상관계수 제곱을 비교하여 AVE 값이 상관계수의 제

곱보다 클 경우[AVE>ø2]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

다[15]. 분석 결과 변수간 상관이 가장 높은 긍정심리자본과 직

무배태성 간의 상관계수는 .75로 제곱값이(.75)2=.56으로 직무

배태성과 긍정심리자본의 AVE 값이 상관계수의 제곱 값보다

모두 크기 때문에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최종 확인하였다

(Table 2).

2) 모형의 검증과 수정모형의 효과분석

연구의 가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Q (x2/df)의 값

이 9.30으로 크고 RMSEA가 .12로 적합기준(.8 이하)을 만족시

키지 못하며 GFI가 .9 이하로 양호하지 못한 수준으로 전반적

으로 적합 기준에 충족하지 못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모형 수

정은 수정지수(Modification Indices, MI)가 큰 순서부터 이

론적 관련성이 맞는 것을 선택하여 시행하였고[15], 수정 모형

의 절 적합지수는 Q (x2/df)의 값이 5.47, RMSEA가 .09였으

며, 중분적합지수인 NFI와 CFI가 .9 이상으로 양호하여 수정

모형의 적합도가 훨씬 더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모형의 복잡성

을 고려한 상태에서 경쟁모형 중 최고의 모형에 한 정보를 제

공하는 간명적합지수는 두 개 이상의 모형 중 어느 모형이 더

적합한지를 비교할 때 유용한 방법으로 PGFI, PNFI, AIC 등이

낮을수록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15], 분석결과 PGFI

가 .56에서 .54로 낮아졌음을 확인 하였으며 모형의 AIC는 가

설 모형이 816.94에서 최종 수정모형이 486.56으로 크게 낮아

져 수정 후 모형의 간명도가 더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수정모형의 적합도가 전체적으로 가설

모형의 적합도에 비해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나 최종 수정모형

을 채택하였다(Figure 2).

수정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가설모형 총 17개의 경로로 분석

되었으며, 이중 가설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은 1개의 경로(업무

크래프팅 → 조직몰입)를 제외한 16개의 경로는 모두 통계적

으로 유의한(p<.05) 수준으로 나타났다(Table 3).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살펴보면, 업무 크래프팅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자율성(β=.16, p=.005),

긍정심리자본(β=.28, p=.005) 및 인지 크래프팅(β=.36, p=.003)

으로 이들 변수가 업무 크래프팅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43.9%

였다. 인지 크래프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무복잡성(β=.23,

p=.003)과 긍정심리자본(β=.58, p=.004)이었으며, 이 두 요인

Page 7: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19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현 미 숙

Tab

le 2

. Des

crip

tive

Sta

tistic

s an

d C

onst

ruct

Val

idity

of M

easu

red

Var

iabl

es

(N=

596)

Var

iabl

esC

ateg

orie

sM±

SDM

inM

axSk

ewne

ssK

urto

sis

CC

RA

VE

r(p

)

12

34

56

78

9

Mot

ivat

ions

1. A

uton

omy

3.18±

0.67

15

-.26

.37

  

  

1 

  

  

  

 

2.Jo

b co

mpl

exit

y5.

40±

0.94

2.5

7-.1

4 -.4

2  

  

 .1

6***

1 

  

  

  

3.Po

siti

ve p

sych

olog

ical

cap

ital

Hop

eO

ptim

ism

Self

-eff

icac

yR

esili

ence

3.28±

0.63

3.40±

0.69

3.36±

0.63

3.23±

0.78

1 1 1 1

5 5 5 5

-.25

-.39

-.22

-.33

.43

.21

.27

-.15

 <

.001

<.0

01<

.001

.91

.83

.71

.63

.92

.76

.47*

**.6

91

       

       

       

       

       

       

4.So

cial

sup

port

Peer

sup

port

Supe

rvis

or s

uppo

rt3.

72±

0.65

3.52±

0.71

11.

255 5

-.39

-.44

.51

.14

 

<.0

01.7

5 .8

5

.89

.80

.31*

**.2

0***

.41*

**1

      

      

   

Job

craf

ting

5. T

ask

craf

ting

3.71±

0.76

1.6

6.2

2 .0

5  

  

 .4

4***

.17*

**.5

4***

.27*

**1

  

  

6.C

ogni

tive

cra

ftin

g3.

96±

0.90

16

-.11

-.01

  

  

.38*

**.2

8***

.62*

**.3

7***

.59*

**1

  

 

7.R

elat

iona

l cra

ftin

g3.

82±

0.83

16

-.04

.00

  

  

.35*

**.1

9***

.53*

**.3

5***

.51*

**.5

2***

1 

 

Eff

ectiv

enes

s8.

Org

aniz

atio

nal c

omm

itmen

t2.

76±

0.55

14

.02

.09

  

  

.31*

**.1

0.5

5***

.54*

**.3

9***

.49*

*.4

4***

1 

9.Em

bedd

edne

ssSa

crif

ice

Link

sC

ompa

tibi

lity

2.69±

0.74

3.33±

0.66

3.14±

0.68

1 1 1

5 5 5

.07

-.11

-.07

-.13

.48

.09

 <

.001

<.0

01

.70

.57

.89

.88

.71

.51*

**.0

4.7

5***

.56*

**.4

9***

.55*

**.5

2***

.64*

**1

*p<

.05,

***

p<.0

01; β=

Stan

dard

ized

coe

ffic

ient

s; C

CR

=Com

posi

te c

onst

ruct

rel

iabi

lity;

AV

E=A

vera

ge v

aria

nce

extr

acte

d.

Page 8: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Vol. 26 No. 3, 2020 199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Table 3. Standardize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the Final Model (N=596)

Endogenous variables

Exogenous variables B* β† SE CR p SMC(R2)

Direct effectβ (p)

Indirect effectβ (p)

Total effectβ (p)

Task crafting Autonomy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Cognitive crafting

0.170.430.31

.16

.28

.36

.04

.08

.04

4.16 5.26 8.76

<.001<.001<.001

.44 .16 .28 .36

(.005)(.005)(.003)

.21 (.005) .16 .49 .36

(.005)(.003)(.003)

Cognitive crafting

Job complexity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ocial support

0.211.040.15

.23

.58

.10

.03

.09

.06

7.05 11.42 2.43

<.001<.001.015

.44  

.23

.58

.10

(.003)(.004)(.068)

  

  

.23

.58

.10

(.003)(.004)(.068)

Relational craf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ocial supportCognitive crafting

0.620.180.22

.37

.13

.24

.09

.06

.04

6.84 3.09 5.41

<.001.002

<.001

.38 .37 .13 .24

(.004)(.010)(.004)

.14

.02 (.003)(.050)

.50

.15

.24

(.005)(.005)(.004)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ocial supportTask craftingCognitive craftingRelational crafting

0.300.320.010.090.06

.27

.34

.01

.15

.08

.06

.04

.03

.03

.03

4.70 7.65 .31 3.31 2.01

<.001<.001.758

<.001.045

.44  

.27

.34

.01

.15

.08

(.003)(.003)(.739)(.003)(.037)

.13

.03

.03  

(.003)(.007)(.148) 

.40

.37

.01

.17

.08

(.004)(.003)(.739)(.003)(.037)

Embeddedn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ocial supportOrganizational commitment

0.760.190.27

.57

.17

.23

.06

.04

.04

11.87 4.49 6.25

<.001<.001<.001

.68  

.57

.17

.23

(.004)(.004)(.002)

.09

.09  

(.002)(.002) 

.67

.26

.23

(.004)(.004)(.002)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CR=Critical ratio; SE=Standard error;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s.

*p<.05, **p<.01, ***p<.001Note. Fit indices: x2 (71, N=596)=388.56, p<.001, RMR (Root Mean-square Residual)=.03, GFI (Goodness of Fit Index)=.91, AGFI (Adjusted GFI)=.85, RMSEA (Root Mean Squared error of Approximation)=.09, NFI (Normed Fit Index)=.91, TLI (Turker-Lewis Index)=.889, CFI (Comparative fit index) =.93, PGIFI (Parsimonious GFI)=.54.

Figure 2. Path diagram for the modified model.

이 인지 크래프팅을 43.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경로 추정에서 통계적인 유의성(β=.10, p=.015)을 나

타냈으나 인지 크래프팅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지는 못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β=.10, p=.068). 잡 크래프팅의 마지막 변수인

관계 크래프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분석 결과, 긍정심

리자본에서 직접(β=.37, p=.004), 간접(β=.14, p=.003) 및 총효

Page 9: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2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현 미 숙

과(β=.50, p=.005) 모두 유의하였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직접

효과(β=.13, p=.010)와 총효과(β=.15,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간접효과(β=.02, p=.050)는 유의하

지 않았다. 인지 크래프팅은 직접효과(β=.24, p=.004)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들 요인들이 관계 크래프팅을 37.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 크래프팅과 동기부여 변수가 직무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

인을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업무, 인지, 관계 크래프팅을

통한 조직몰입(β=.13, p=.003)과 직무배태성(β=.09, p=.002)

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β=.17, p=.003), 인지 및 관계 크래프

팅을 통한 조직몰입에의 간접효과가 더해져서 유의하여 총효

과는 유의하였다(β=.26, p=.004). 잡 크래프팅 중 인지 크래프

팅(β=.15, p<.001)과 관계 크래프팅(β=.08, p=.045)은 직무효

과인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직무배

태성(β=.23, p<.00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조직몰

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업무 크래프팅(β=.01, p=.739)은 조

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경로 추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경로임을 알 수

있다. 선행요인들에 의한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의 설명력은

각각 44.1%, 67.9%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외생변수인 직무복잡성,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지지는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

프팅을 통해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에 직 ․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5).

3) 병원 규모에 따른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 및 모형 검증

본 연구에서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

와 직무효과의 구조모형에서 각각의 경로가 병원의 규모에 따

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해 병원의 규모에 따라 종합병원

(n=379)과 상급종합병원(n=217)으로 분리한 후, 확인적 요인

분석을 이용하여 집단간 요인부하량 제약모델(constrained

model: measurement weights)과 자유 모델(free model: un-

constrained model)간 x2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

유모델의 경우 x2=457.24, dF=120이며, 요인부하량 제약모

델의 경우 x2=463.68, df=126으로 자유모형과 제약모형은 자

유도가 6으로 증가하면서 x2의 차이는 Δx2=6.44 (df=6)로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df=6일때

Δx2=12.59 이상이면 유의함). 그 외 적합도 검증 지수인 RMR,

GFI, AGFI, RMSEA, NFI, TLI, CFI 등도 거의 변화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두 집단에서

측정도구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요인

부하량과 공분산의 측정동일성이 검증되어 두 집단을 비교하

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고 다중집단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하기 위해 AMOS의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결과표에서 경로계수 차이값(CR Dif.)을 확인하였다(Table 4).

분석 결과,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CR Dif. 값이 ±1.965 이상)가 나타나는 경로는 각

각 직무자율성에서 업무 크래프팅(CR Dif.=2.0), 긍정심리자

본에서 업무 크래프팅(CR Dif.=-2.1), 인지 크래프팅에서 업무

크래프팅(CR Dif.=3.27)의 3개의 경로로 확인되었다.

먼저, 직무자율성에서 업무 크래프팅의 경로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로 가설이 모

두 채택되었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다중집단 분석으로 비교

한 결과, 상급종합병원 집단(β=.23, p<.001)이 종합병원 집단

(β=.10, p=.04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강하게 영향을 미

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로는

긍정심리자본에서 업무 크래프팅의 경로이다. 이 경로는 종합

병원에서 유의한 경로로 채택되었고,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유

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된 경로였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비교한 다중집단 분석 결과에서도 종합병원 집단(β=

.36, p<.001)이 상급종합병원 집단(β=.13, p=.083)보다 통계

적으로 유의하고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

지막으로 인지 크래프팅에서 업무 크래프팅의 경로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경로는 종합병원

과 상급종합병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로 나타나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다중집단 분석

으로 비교한 결과, 상급종합병원 집단(β=.51, p<.001)이 종합

병원 집단(β=.28, p<.00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논 의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가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

모형을 구축하고, 병원의 규모에 따른 잡 크래프팅의 동기부여

와 직무효과 간의 요인과 영향을 규명하였다. 모형의 수정과정

을 통해 선정된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잡 크래프팅 모델의 결과변수인 직무효과에 높은 설명력

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잡 크래프팅은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많

Page 10: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Vol. 26 No. 3, 2020 201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Table 4. Path Analysis and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by Sizes of the Hospital (N=596)

Path

Common general hospital

Tertiary hospital CR for

Dif.β* CR p β* CR p

Autonomy → Task crafting .10 1.97 .049 .23 4.20 <.001 2.00

Job complexity → Cognitive crafting .21 4.93 <.001 .25 4.98 <.001 0.3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Task crafting .36 4.98 <.001 .13 1.73 .083 -2.06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Cognitive crafting .56 8.34 <.001 .58 7.42 <.001 -0.33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Relational crafting .40 5.68 <.001 .29 3.49 <.001 -1.13

Social support → Cognitive crafting .07 1.33 .185 .17 2.53 .011 1.21

Social support → Relational crafting .08 1.45 .147 .22 3.24 .001 1.77

Cognitive crafting → Task crafting .28 5.31 <.001 .51 7.87 <.001 3.27

Cognitive crafting → Relational crafting .20 3.51 <.001 .31 4.31 <.001 1.41

Task crafting → Organizational commitment .03 0.49 .621 -.02 -.33 .743 -0.57

Cognitive crafting → Organizational commitment .13 2.33 .020 .21 2.58 .010 0.79

Relational crafting → Organizational commitment .07 1.31 .190 .12 1.71 .088 0.55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Organizational commitment .29 3.95 <.001 .14 1.64 .101 -1.54

Social support → Organizational commitment .32 5.63 <.001 .41 5.43 <.001 0.9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Embeddedness .53 8.40 <.001 .61 8.38 <.001 0.28

Social support → Embeddedness .16 3.29 .001 .23 3.52 <.001 0.94

Organizational commitment → Embeddedness .23 4.96 <.001 .21 3.59 <.001 -0.20

*Standardized coefficient; CR=Critical ratios; Dif.=Differences.

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호사의 학력이 높고,

경력과 연령이 많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업무, 인지 및 관계 크

래프팅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를 상으로 한

선행연구[28]결과와도 유사하였다. 병원의 규모에 따른 잡 크

래프팅의 차이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종합병

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보다 업무, 인지 및 관계 크래프팅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잡 크래프팅에 의한 직무효과

측면에서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무배태성을 가늠

하는 역지표로 이직의향을 유추해 볼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되

었듯이 2014년 간호활동현황 실태조사에서 종합병원 간호사

가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보다 이직의향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의료기관을 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병원간

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에서도 간호사 이직율이 상급종합

병원 8.4%, 종합병원 17.2%로 보고되고 있다[29]. 주목할 점은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원인이 업무부적응(15.9%)과 결

혼/출산 및 육아(15.4%)가 가장 많았던 반면, 종합병원에서는

타병원 이직(21.6%)이 원인인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상

급종합병원의 간호사의 경우 업무에 한 부담감이 크고 특히

임상 경력이 부족한 간호사의 경우 임상 실무에 한 어려움을

많이 느끼게 되어 업무에 한 자신감이 위축되고, 현 직장에

근속하고자 하는 직무배태 의욕이 낮아졌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종합병원 간호사의 경우 좀 더 나은 근무환경과 급여, 복

지 등의 조건을 위해 이직을 결심하게 되고, 이는 수도권으로의

집중현상을 유발하게 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연구의 수정모형 분석결과 간호사의 동기부여는 잡 크래프

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직무차원

의 동기 요인인 직무자율성의 욕구가 높을수록 간호사는 업무

크래프팅을 많이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 이외의 다른

직종을 상으로 한 선행연구[5,7]에서도 직무자율성이 잡 크

래프팅, 특히 업무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를

나타내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동기부여 요인 중 직무복잡성은

간호사의 인지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업무수행 과

정에서 복잡함을 인식한 개인은 업무에 필요한 추가적인 장비

Page 11: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202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현 미 숙

를 필요로 하거나 기존과 다른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스스로 새

로운 시도를 하게 된다[7]. 이러한 과정이 간호사의 인지 크래

프팅을 유발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 특성에서

의 직무복잡성에 한 간호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간호관리자

의 직무복잡성이 가장 높았고, 책임/선임간호사, 일반간호사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당하는 업무의 난이도가 높고 책임의

영역이 넓어질수록 만족스러운 성과를 생산하기 위한 고차원

의 업무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이 더 요구됨을 알 수 있다. 간호

사는 업무에 한 인지를 개별 또는 총체적인 관점으로 받아들

이게 되며, 직위가 높아질수록 업무수행을 위한 높은 기술의

수준이 필요하다. 즉, 간호업무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시간적인

압박과 환자들의 새로운 요구 사항, 해결해야 할 간호 문제의

난이도 등 증가된 직무요구에 의한 간호사의 인식된 지각이 인

지 크래프팅의 부가적인 변화를 유도한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사의 동기부여 요소 중 개인차원의 자아욕구 요인인 긍

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업무, 인지 및 관계 크래프팅을 많이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긍정적인 자아이미지 추구에 한

욕구가 긍정적인 정체성을 찾으려 하는 동기부여 요인에 의해

개인의 일에 한 의미와 정체성이 변화하게 되어 잡 크래프팅

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되며, 선행연구[7, 9]와 유사하였

다. 동기부여 요인의 마지막 변수인 조직차원의 사회적 지지는

인지 및 관계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간호사를

상으로 한 선행연구[8, 30]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는데,

관계 크래프팅을 통한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개인으로 하여금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하게 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포함한 상사

와 동료의 지지는 개인이 잡 크래프팅을 촉진하도록 유도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구성원들이 잡 크래프팅

행위를 수월하게 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

일 필요가 있다.

잡 크래프팅의 요인 중 인지 크래프팅과 관계 크래프팅은 조

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업무 크래프팅은 영향을 미

치지 못했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7,16]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구성원 개개인의 업무내용과 범위, 업무량 등의

변경을 통한 제한적인 잡 크래프팅은 조직에 한 몰입을 강화

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즉, 간호사가 자신이

수행할 업무와 간호행위에 한 스스로의 인식변화 없이 단순

히 간호 업무량이나 간호활동의 범위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간호사가 직업에 해

인지하는 개인의 소명, 가치 더 나아가 간호사의 전문직에

한 가치관과 간호조직 내외부의 동료 및 구성원들과의 관계에

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 없이 행해지는 단순한 업무의 확장

은 결국 진정한 잡 크래프팅으로 보기 어려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규모에 따른 연구

변수들의 차이를 종합하여 비교해 본 결과 종합병원에 비해 상

급종합병원의 간호사가 잡 크래프팅과 관련한 동기부여와 직

무효과에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쉽게도 지금까지의 연구는 잡 크래프팅을 임상간호사에게

적용하여 조사한 보고가 드물고, 더욱이 병원의 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과 연관된 연구가 부족해 기존 연구와의

비교가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잡 크래프

팅이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잡

크래프팅에 유의한 경로로 나타났지만, 종합병원에서는 유의

하지 않았다. 이는 병원의 규모에 따른 잡 크래프팅의 선행연구

가 없어 비교가 어려운 부분이나,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간호사

개인 차원의 직무욕구와 자아욕구 외에 의료기관과 간호부서

의 조직분위기와 근무 환경, 제도 등이 관계차원에서 사회적 지

지를 강화하도록 작용했을 수도 있다고 본다. 잡 크래프팅의 요

인인 인지 크래프팅은 병원의 규모와 관계없이 업무 및 관계 크

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

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업무 및 관계 크래프팅은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그룹에서 모두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의 규모와는 무관하

게 Wrzesniewski와 Dutton (2001)의 이론에 근거하여 간호

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지각하는 직무에서의 요구를 해결

하기 위한 인지적인 변화가 더 나아가 업무적, 관계적인 측면의

변화를 유발하고, 그 결과 직무효과인 조직몰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재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잡 크래프팅의 동기부여 요인이 직무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

인을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종합병원 그룹에서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MOS 프

로그램의 부트스트래핑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급

종합병원에서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던 긍정

심리자본은 간접적으로 업무, 인지 및 관계 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의 간접효과와 총효과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이는 상급종합병원의 체계화된 인적자원 관리와

간호부서의 근무 분위기 및 근무환경, 복지나 처우 등의 외적

자원으로 인해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했던 개

인의 긍정심리자본이 잡 크래프팅을 통한 긍정성이 강화되어

Page 12: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Vol. 26 No. 3, 2020 203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나타난 결과라 유추해 볼 수 있다. 즉,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긍정심리를 자본화

하기 위한 간호조직의 개입과 함께 긍정심리자본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적극적인 중재와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모두에서 직무효과 요인인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병원 규모와는

무관하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모두에서 직무배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

데, 이는 간호사 스스로가 긍정성을 가지고 자신의 업무를 수

행하는 과정에서 상사 및 동료의 지지를 받고 있음을 강하게 인

지할 때 일과 조직에 한 긍정성이 고조되어 조직에 한 몰입

의 정도가 더 높아졌음을 유추 할 수 있는 결과이다. 또한 병원

의 규모와는 상관없이 상사와 동료로부터 받게 되는 지지는 임

상간호사로 하여금 조직에 남으려는 직무배태의 경향에 주요

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병원의 규모별로 지금까지 살펴본 요인들에 의한 잡 크래프

팅과 직무효과를 비교해본 결과 종합병원보다 상급종합병원

에서 모형의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던 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본 연구에서 검증된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동기

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방정식모형이 종합병원보다 상급종

합병원에서 더 잘 표현되어 그 영향력이 상급종합병원의 간호

사에 더 적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본 연구결과 종합병원

과 상급종합병원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병

원과 조직의 다양한 집단적 특성을 별도로 고려하지 않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제한이 있다. 즉, 병원 내 간호조직의 다

양성과 간호사의 인적 관리차원의 조직적인 정책반영 등의 외

적, 환경적인 변수를 배제한 채 단순히 병원의 규모 차이로 잡

크래프팅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모형 경로 차이를 비

교하여 해석하고 결론 내리기에는 어려운 한계점을 갖는다.

본 연구결과 잡 크래프팅 행위와 이를 유발하는 동기부여요

인이 직무효과 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게 되므로, 병원과 간호관리자는 구성원들이 잡 크래프

팅 행위를 수월하게 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조건이 무엇인지

를 인식하고 직장에서 동기부여 요소를 확 하도록 다양한 기

회를 제공하는 한편 간호사 스스로 업무, 인지 및 관계의 영역

을 확 할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동

료, 선후배 간호사 간의 지지적인 역할을 체득할 수 있는 다양

한 소통과 공감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적인 지원이 함께 수반된다면, 간호사의 조직에

한 몰입과 충성도가 강화되어 그 조직에 오랫동안 잔류하게

하는 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

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직무자율성, 직무

복잡성,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지지의 동기부여가 업무 크래

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모형을 구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

과 잡 크래프팅의 행위와 이를 유발하는 동기부여요인이 직무

효과 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간호사의 업무 수행 과정에서 나타

나는 인지적인 변화가 더 나아가 업무적, 관계적인 측면의 변

화를 유발하여 그 결과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

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원의 규모에 따라 간호사의 동기부여 요인이 잡 크래프팅

에 영향을 주는 유효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바, 병원의

인적 관리차원에서 구성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잔류하도록 전

략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구성원들이 잡

크래프팅 행위를 수월하게 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조건이 무

엇인지를 인식하고, 간호사의 동기부여 요소가 확 되도록 다

양한 소통과 공감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간호사를 위한 잡 크래프팅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Berg JM, Grant AM, Johnson V. When callings are calling: Craft-

ing work and leisure in pursuit of unanswered occupational call-

ings. Organization Science. 2010;21(5):973-994.

http://lps3.doi.org.sproxy.dongguk.edu/10.1287/orsc.1090.

0497

2. Amabile T, Kramer S. Do happier people work harder. New

York Times. 2011 9. 3. Available from:

http://www.nytimes.com/2011/09/04/opinion/sunday/do

-happier-people-work-harder. html

3. Wrzesniewski A, Dutton JE.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

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

ment review. 2001;26(2):179-201.

https://doi.org/10.5465/amr.2001.4378011

4. Slemp GR, Vella-Brodrick DA.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2013;3(2):

126-146. https://doi.org/10.5502/ijw.v3i2.1

5. Slemp GR, Kern ML, Vella-Brodrick DA. Workplace well-being:

The role of job crafting and autonomy support. Psychology of

Well-Being. 2015;5(1):1-17.

Page 13: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 · 2020-07-03 ·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20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현 미 숙

https://doi.org/10.1186/s13612-015-0034-y

6. Park SH.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

sional autonomy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Enter-

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5;9(4):325-334.

7. Ghitulescu BE.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

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

ing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2006. p. 1-247.

8. Gordon HJ, Demerouti E, Le Blanc PM, Bipp T. Job crafting and

performance of dutch and american health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2015;14(4):192-202.

9. Lee SH, Ko SH, Moon TW.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virtue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job perform-

ance: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16;35(5):

81-108.

10. Koo J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proactive

behavior.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9. p. 1-

61.

11. Joumard I, André C, Nicq C. Health care systems: Efficiency

and institutions (May 27, 2010).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769.

https://doi.org/10.2139/ssrn.1616546

12. Mohw press release [Internet]. In 2030, 158,000 nurses and

7,600 doctors will have a tribal perspectiv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asures to manage medical personnel supply

and demand. May 4, 2017 Sejong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cited 2017. 5. 8]. Available from:

https://www.gov.kr/portal/ ntnadmNews/1071869

13. Survey of nurse activity status [Internet]. Korea Health Indus-

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cited 2017. 6. 13].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

14. Current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Internet].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2017

[cited 2017. 6.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

_HIRA4A

15. Yu JP.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p. 160-176.

16. Lim MK, Ha YJ, Oh DJ, Sohn YW. Validation of the Korean ver-

s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 (JCQ-K). Korean Corpora-

tion Management Review. 2014;21(4):181-206.

17. Morgeson FP, Humphrey SE. The work design questionnaire

(WDQ):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omprehensive measure

for assessing job design and the nature of work. Journal of Ap-

plied Psychology. 2006;91(6):1321-1339.

https://doi.org/10.1037/0021-9010.91.6.1321

18. Maynard DC, Hakel MD.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task

complexity on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1997;10(4):

303-330.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004_1

19. Lee SK, Chang JY, The impact of superior's anger out on em-

ployees' creative process engagement. Korean Journal of In-

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14: 27(2): 339-366.

20. Luthans F, Avolio BJ, Avey JB, Norman SM. Positive psycho-

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2007;60(3):541-572.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83.x

21. Lim TH.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

logical capital (K-PPC).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2014;

16(3):157-166.

22. O'Driscoll MP, Brough P, Kalliath TJ.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

longitudinal study in new zealand. Equal Opportunities Inter-

national. 2004;23(1/2):36-56.

https://doi.org/10.1108/02610150410787846

23. Kim MJ, Ryu E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lity of

work life in clinical nurse based on the culture-work-health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6):

879-889. https://doi.org/10.4040/jkan.2015.45.6.879

24.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

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

14(2):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5. Song YS, Lee HS.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organization cul-

ture type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level on organiza-

tional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9;11(2):115-151.

26. Mitchell TR, Holtom BC, Lee TW, Sablynski CJ, Erez M. Why peo-

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1;44(6):1102-1121.

https://doi.org/10.5465/3069391

27. Kim EH, Lee EJ, Choi HJ.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it-

izenship behavior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394-401.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394

28. Shusha A.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itizen-

ship behavior: Evidence from egyptian medical centers. Inter-

national Business Research. 2014;7(6):140-9.

29.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Internet]. Korea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cited 2017. 6. 13]. Available

from: https://khna.or.kr/

30. Esteves T, Lopes MP. Leading to crafting: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perception and nurses job crafting. Western Jour-

nal of Nursing Research. 2016:1-21.

https://doi.org/10.1177/0193945916659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