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구효정 21142102 김희선 21142107 신선미 21142109 황정진 21142113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구효정 21142102

김희선 21142107

신선미 21142109

황정진 21142113

Page 2: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Page 3: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서론

Page 4: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이혼율

1990년 이후 급격한

증가

2012년

114,316

1992년

53,539건

60,777건 늘어남

Page 5: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1992년

이혼 사

부부불

86.3%

2012년

이혼 사

부부불

64.7%

21.6%감

Page 6: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1992년

이혼 사

경제문

1.9 %

2012년

이혼 사

경제문

12.7%

10.8 %증

Page 7: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1990년 이후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

여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이 이혼율 변

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

목적

Page 8: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연구방법

Page 9: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이혼 사유에서 경제문제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통계

자료도 공개 되었으며, 우리나라 이혼의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 위기로 대변되는 경제 지표들과

이혼율과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가설 수준에서 규정되어 있는 경제 위기가 이혼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 경제지표와

이혼율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Page 10: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분석에 사용된 모델은 다음과 같다.

이혼율의 변화추이를 판단하기 위해 경제불황만이 아닌 이혼율,

GPD(국내총생산), 실업률, 여성경제활동참가율, 경제성장률,국민소

득(GNI),고용률, 출산율도 이용해 보았다.

66554433221 ttttttY

Page 11: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연구배경

Page 12: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경제지표와 이혼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이전에 알아보아야 할 것이 경제문제

가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라 할 수 있겠다.

시점 계부부불화 + 가족

간불화배우자 부정

정신적,육체적 학

대가족간 불화 경제문제 성격차이 건강문제 기타 미상

1990 45,694 38,836 0 0 0 927 0 673 5,258 0

1991 49,205 41,988 0 0 0 961 0 668 5,494 94

1992 53,539 46,127 0 0 0 1,042 0 736 5,567 67

1993 59,313 50,278 0 0 0 1,366 0 661 6,917 91

1994 65,015 54,025 0 0 0 1,843 0 689 8,316 142

1995 68,279 56,713 0 0 0 2,023 0 639 7,580 1,324

1996 79,895 66,538 0 0 0 2,819 0 769 8,924 845

1997 91,160 75,090 0 0 0 3,866 0 908 10,804 492

1998 116,294 93,926 0 0 0 7,708 0 1,111 13,512 37

1999 117,449 94,340 0 0 0 8,328 0 1,028 13,717 36

2000 119,455 0 9,729 5,205 26,195 12,786 48,067 1,053 15,500 920

2001 134,608 0 11,777 6,307 23,743 15,607 57,985 974 17,043 1,172

2002 144,910 0 12,540 6,945 20,828 19,709 64,905 922 17,840 1,221

2003 166,617 0 12,277 7,147 21,707 27,335 75,587 1,024 19,876 1,664

2004 138,932 0 9,692 5,850 13,958 20,472 68,704 888 16,873 2,495

2005 128,035 0 9,708 5,706 12,159 19,105 63,028 803 15,448 2,078

2006 124,524 0 9,434 5,637 11,092 18,277 62,004 953 14,872 2,255

2007 124,072 0 9,658 5,956 9,982 16,946 58,229 913 18,779 3,609

2008 116,535 0 9,430 5,882 8,977 16,565 55,649 750 17,278 2,004

2009 123,999 0 10,351 6,246 9,159 17,871 57,801 743 20,548 1,280

2010 116,858 0 10,001 5,559 8,564 14,017 53,032 794 23,605 1,286

2011 114,284 0 9,228 5,328 8,072 14,031 51,315 783 24,141 1,386

2012 114,316 0 8,616 4,759 7,381 14,472 53,292 747 23,654 1,395

Page 13: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이혼율의 변화와 경제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이혼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 보도록 하겠다. 이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다음과 같다.

변수 변수명칭

이혼율 DR(a divorce rate)

국민 총 생산 GDP(grossdomesticproduct)

실업률 UR(unemployment rate)

출산율 BR(birth rate)

소득수준 GNP (gross national product)

경제성장률 EDR(economic growth rate)

여성경제활동참

여율

WEAR(women’s economic activity

rate)

고용률 ER(employmenttopopulationratio)

구하는방법

조이혼율(‰)=(특정1년간의총이혼건수/당해년도의연앙인구)×1,000

GDP = 소비자 지출 + 정부 지출 + 투자 + 수출 - 수입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100

일반출산율 = 특정 1년간의 총출생아수 / 당해년도의 15~49세 여자인구 ×

1,000

1인당GNI(GNP) = 원화표시 1인당GNI(GNP) ÷ 연평균 환율

경제성장률=(년도 불변 GDP -전년도 불변 GDP)/전년도 불변 GDP x 100

여성경제황동참여율=여성경제활동인구/전체 경제활동인구×100

고용률(%) = [ 취업자 ÷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

100

출처 : 통계청

Page 14: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Page 15: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연구내용

Page 16: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Page 17: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GDP(국내총생산)와 이혼율의 변화추이>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GDP변화추이

gdp

0

0.5

1

1.5

2

2.5

3

3.5

4

199019921994199619982000200220042006200820102012

이혼율 변화추이

이혼율

GDP의 변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하고 이혼율도 마찬가지로 점점 증

가하며 둘 관계는 양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GDP(국내총생산)

이혼하면 한쪽 부모가 아이를 키우는 상대에게 양육비를 지불하게 된다.

그럼 소비가 늘어나, 이혼하면 GDP가 증가한다.

Page 18: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GDP와 이혼율의 회귀분석 결과>

R-squared 는 0.2366 값을 지니기 때문에 GDP 와 이혼율 사이에 상관관계를 가지

는 것을 나타낸다.

GDP가 P>|t|에서 0.019값을 가지기 때문에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Page 19: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2. 출산율

<출산율과 이혼율의 변화추이>

0

0.5

1

1.5

2

2.5

3

3.5

4

이혼율과 출산율

출산율

이혼율

출산율과 이혼율을 비교해보니 시간이 흐를수록 출산율은 낮아지는데

이혼율은 높아지며 둘의 관계는 음의관계 이다.

자녀가 없으면 이혼율이 증가한다. 이는 저출산 일수록 이혼율이 증가함을 뜻한다. 우리나

라 합계출산율 추이를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보면 출산율 하락시기는 늦은 반면 그 속도는

매우 빠르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전통적인 저출산 국가들인

유럽보다 훨씬 더욱 낮은 수준이다.

Page 20: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출산율과 이혼율의 회귀분석 결과>

R-squared 는 0.7351 값을 지니기 때문에 출산율 와 이혼율 사이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P>|t|에서 0.000값을 가지기 때문에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Page 21: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3. 실업률

실업률이 증가하면 금전이 부족하고 이에 따라 가정이 파탄될 수도 있으며,

아주 극단적인 결과로는 이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업률이 증가하면 이혼율이 증가한다는 인과관계가 성립할 수 있으므로

이혼율이 원인이라는 주장은 뒤바뀐 인과에 해당한다.

<실업률과 이혼율의 변화추이>

0

1

2

3

4

5

6

7

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이혼율과 실업률

실업률

이혼율

실업률과 이혼율은 외환위기 때문의 큰 차이 빼고는 시간이 흐를수록

실업률은 높아지는데 이혼율도 높아지며 둘의 관계는 양의관계이다.

Page 22: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실업률과 이혼율의 회귀분석>

R-squared 는 0.2846 값을 지니기 때문에 실업률과 이혼율 사이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P>|t|에서 0.009값을 가지기 때문에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Page 23: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4. 여성경제활동참가율

여성의 사회진출 시 길지 않은 근속기간과 출산 시 쉽게 퇴직을 하는 현상의

만연하고 상대적으로 여성의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불신과 여성이

선택할 수 있는 직군 의 협소해서 참가율이 높을수록 이혼율이 높은 관계 가 있다.

<여성경제활동참가율과 이혼율의 변화추이>

45

46

47

48

49

50

51

19

90

19

92

19

94

19

96

19

98

20

00

20

02

20

04

20

06

20

08

20

10

20

12

여성경제활동참여율

여성경제활동참여율

0

0.5

1

1.5

2

2.5

3

3.5

4

199019921994199619982000200220042006200820102012

이혼율 변화추이

이혼율

여성경제활동 참여율은 점점 증가추세이고 그럴수록 이혼율도 점점 증가하는

그런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Page 24: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여성경제활동참가율과 이혼율의 회귀분석 결과>

R-squared 는 0.4347 값을 지니기 때문에 여성경제활동참여율과 이혼률 사이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P>|t|에서 0.001값을 가지기 때문에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Page 25: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5. 경제성장률

-8

-6

-4

-2

0

2

4

6

8

10

12

이혼율과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

이혼율

이혼율은 경제성장률과 반대로 움직인다. 이홍재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의 '이혼율 추이의

거시경제 분석' 논문에 따르면 1980∼2004년 우리나라의 이혼율과 경제성장률을 회귀분석 한

결과 이혼율과 경제성장률은 강한 '음(陰)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성장률과 이혼율의 변화추이>

경제성장률은 호황기와 불황기가 순환하고 있고, 1998년 때 는 IMF 때

경제성장률이 급격히 떨어졌다.

Page 26: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경제성장률과 이혼율의 회귀분석 결과>

R-squared 는0.2031 값을 지니기 때문에 경제성장률과 이혼율 사이에 상관관계

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P>|t|에서 0.031 을 가지기 때문에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Page 27: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6. 1인당 국민소득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1인당GNI 변화추이

1인당GNI

0

0.5

1

1.5

2

2.5

3

3.5

4

199019921994199619982000200220042006200820102012

이혼율 변화추이

이혼율

<1인당 국민소득과 이혼율의 변화추이>

국민소득인 1인당 GNI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혼율 역시 점점 증가하는 추

세이다.

그러므로 둘의 관계는 양의관계를 나타낸다.

경제적 호황은 부부간의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고 높은 만족 수준의

부부관계는 이혼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경제호황이 부부관계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경제적 호황기에 오히려 이혼이 감

소된다는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 가설이 설정된다.

Page 28: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1인당 국민소득과 이혼율의 회귀분석 결과>

R-squared 는 0.4093 값을 지니기 때문에 국민소득과 이혼률 사이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P>|t|에서 0.001을 가지기 때문에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Page 29: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7. 고용률

경제하락은 이혼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데, 단순히 돈이 없어서라기 보다는

고용이 불안정해서라고 봐야 한다.

집안에 복잡한 일이 있으면 직장에서 힘들 듯이, 직장에서 해고를 당하면 마음이 불안해서 결

혼에도 영향을 미친다.

<고용률과 이혼율의 변화추이>

54.0

55.0

56.0

57.0

58.0

59.0

60.0

61.0

62.0

고용률 변화추이

고용률

0

0.5

1

1.5

2

2.5

3

3.5

4

199019921994199619982000200220042006200820102012

이혼율 변화추이

이혼율

고용률과 이혼율은 그래프로 봐서는 관계를 알 수 없다.

그래서 회귀분석을 하면 관계를 알 수 있다.

Page 30: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고용률과 이혼율의 회귀분석 결과>

R-squared 는 0.0266 값을 지니기 때문에 고용률과 이혼률 사이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Page 31: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결론

Page 32: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이혼율 영향에 미치는 변수와 이혼율의 총 회귀분석>

Page 33: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이혼율에 관련된 7가지 변수들 (국민총생산(GDP),출산율, 실업률, 고용률, 여성의 경

제활동 참여율, 1인당 GNI) 을 총 회귀분석 했을때

R-squared 는 0.9097 , 조정된 R-squared 0.8676의 값을 지니기 때문에 각 변수들과

이혼율 사이에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P>|t|에서 국민총생산, 실업률,출산율,소득수준은 5%의 유의수준 하에 기각된다.

이중 국민총생산과 출산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다중공선성에 대한 검사결과에 대하여

15.56으로 비다중공선성을 가지고 있다.

Page 34: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총 회귀분석에 대한 OUTLIAR 제거 후>

P>|t|에서 국민총생산, 실업률, 여성경제활동참가율, 1인당 GNI는 5%의 유의

수준 하에 기각된다. 이중 국민총생산과 출산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앞서보인 총회귀분석의 결과값과 큰 차이는 없다.

Page 35: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경제상황만이 아닌 GDP(국내 총생산), 출산율, 실업률,

고용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1인당 GNI,경제성장률이 이혼율 변화에 얼

만큼 영향을 주는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 알아볼 수 있었다.

GDP(국내 총생산): GDP와 이혼과의 관계는 음(-)의 관계로 국민총생산이 늘어

나면 이혼이 감소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출산율: 저출산 일수록 이혼율이 증가하였다.

고용률: 고용률과 이혼율은 양의관계로 , 고용률이 증가할때 이혼율도 증가한다.

Page 36: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 여성경제 활동참여율과 이혼과의 관계는 양

(+)의 관계이다.

여성의 사회진출시 길지 않은 근속기간과 출산시 쉽게 퇴직을 하는 현

상의 만연하고 상대적으로 여성의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불신과 여성이

선택할 수 있는 직군의 협소해서 참가율이 높을수록 이혼율이 높은 관

계가 있다.

1인당 GNI: 양(+)의 관계로, GNI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이에

따라 이혼율도 증가추세를 보여준다. 이는 가계의 실질소득이 하락

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이혼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업률: 실업률이 증가하면 이혼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 이혼율이 올라간다.

Page 37: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

1)남은자, "우리나라 이혼의 양상분석" ,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 2001 2)

유동영“경제지표와 이혼율의 관계분석”호서대학교 학생논문 . 2002

3)한성현, 최민자, 이진석 , "우리나라 여성 이혼율의 최근 변화추세" ,

한국보건학회학회지, 제25권 제 1호, p1-10, 2001

4)곽배희 “한국 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미발간 박사학

위청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2001

5)이무영·이소희 “이혼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

학> 8(2):39-61 . 2003

6)e-나라지표

<출처 : 통계청「이혼통계」 >

<관련자료 : 총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 >

7)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 1990-2012

8)네이버 블로그 “집나온 암탉”

http://trip5959.tistory.com/128

9)네이버 블로그 “경제와 이혼의 관계”

http://blog.naver.com/springlaw?Redirect=Log&logNo=130165315

885

Page 38: 경제불황만이 이혼율을 증가시키는가 Stata이용 경제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