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의의의의의 의의 의의 의의 의의의의 의의의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의료윤리와 환자 정보 보호

이화의대 권복규

Page 2: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세계의사회 환자권리선언과 개인정보보호

• 환자의 건강상태 , 의학적 조건 , 진단 , 예후 , 치료 , 기타 모든 개인과 관련된 정보는 사후에라도 그 비밀이 보장되어야 한다 . 예외적으로 후손이 그 환자의 건강상태를 아는 것이 그들의 건강상의 위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다 .

• 환자의 정보에 대한 접근은 환자가 명백하게 동의를 하였거나 , 법적으로 명확한 때 한해 가능하다 . 환자의 동의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 하에 다른 의료인에게 공개할 수 있다 .

• 환자에 관한 모든 확인가능한 정보는 적절한 방법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 환자의 조직도 마찬가지다 .

Page 3: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우리나라 의사윤리지침• 의사윤리강령 5. 의사는 진단 및 치료와 관련하여 알게

된 환자에 대한 비밀과 사생활을 보호하며 , 환자의 이익에 반하는 제도의 개선과 환자에 대한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한다 .

• 의사윤리지침 제 5 조 ( 비밀유지의무 등 ) ① 의사는 그 직무상 알게 된 환자에 대한 비밀을 누설하거나 발표하여서는 아니 된다 . 다만 ,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 환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법정대리인에게 알릴 수 있다 .②의사는 질병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대상에게 이를 공개할 수 있다 .

Page 4: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우리나라의 법규• 보건의료기본법 제 13 조 ( 비밀보장 ) 모든 국민은

보건의료와 관련하여 자신의 신체 ·건강 및 사생활의 비밀을 침해받지 아니한다 .

• 의료법 제 19 조 ( 비밀누설의 금지 ) 의료인은 이 법 또는 다른 법령에서 특히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의료 ·조산 또는 간호에 있어서 지득한 타인의 비밀을 누설하거나 발표하지 못한다 .

•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 제 33 조 ( 유전정보의 보호 등 ) 누구든지 직무상 얻거나 알게 된 검체 또는 유전정보를 정당한 사유 없이 타인에게 제공하거나 부당한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

Page 5: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환자의 정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

• 환자의 솔직한 진술 유도• 올바른 진단과 치료 , 예후 판정에 필수적•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전문직으로서의 의무

Page 6: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정보화 시대와 개인정보 보호• 정보화 사회의 특징 - 정보의 무한 복제 - 정보의 무한 전파 - 유출된 정보의 비가역성

• 의료영역의 유의점 - 의무기록의 전산화 - 의무기록의 네트워크화 - 개인정보기기의 보급

Page 7: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논의해볼 문제

• 특정 환자의 병력과 개인사를 블로그에 올리는 행위 ?

• 연예인 등 유명인에 대한 사진이나 정보를 블로그에 올리는 행위 ?

• 해부실 , 부검실 , 수술실 등의 장면을 촬영해서 올리는 행위 ?

• 생식기 등 은밀한 부분을 촬영해서 올리는 행위 ?• 신생아나 어린이 등의 모습을 촬영해서 올리는

행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