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132 2. 문학 활동의 방법 ‘청산별곡’은 뛰어난 음악성과 상징적인 시어가 돋보이는 고려 가요이다. 고려 시대 사람들이 염원했던 ‘청산’과‘바다’의상징적인의미에주목하여작품을감상해보자. 작품 선정 취지 ‘청산별곡’은 삶의 터전을 잃고 떠도는 유랑민의 처지를 노래한 고려 가요 로, 잘 짜여진 구성과 세련된 언어 감각, 짙은 서정성과 상징적 표현 등이 돋 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시어의 상징성이 뛰어나고 화자를 어떤 인물로 보느 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여 문학 작품을 섬세하게 읽는 능력을 기르 적합한 작품으로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작품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문학사적 맥락, 상호 텍스트적 맥락 등을 고려 하여 작품을 이해·감상·평가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작품 연구 •갈래: 고려 가요, 서정시 •성격: 현실 도피적, 애상적, 낙천적 •형식: 전 8연의 분연체 •운율: 3·3·2조, 3음보 •제재: 청산, 바다 •주제: 삶의 고뇌와 비애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 •특징 - ‘a`-`a`-`b`-`a’형태의 반복 표현이 사용됨. - ‘ㄹ’음과‘ㅇ’음을 반복하여 후렴구의 음악성을 드러냄. - 감정 이입, 반복, 상징, 의인, 비교 등 다양한 수사법을 구사함. - 고도의 상징적 시어를 통해 삶의 고뇌와 애환을 진솔하게 노래함. •구성 - 5연과 6연이 뒤바뀌지 않은 것으로 볼 때 - 5연과 6연이 뒤바뀐 것으로 볼 때 핵심 정리 1. 시어의 상징성 2.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 작품은 시적 화자를 다양하게 해석할 있으며, 그에 따라 주요 내용 및 주제가 다양하게 도출된다. 3. 후렴구의 기능 기(1연) 청산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 청산에 갔을 때 겪게 될 갈등 바다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 술을 통해 고통을 잊으려 함. 승(2~5연) 전(6연) 결(7~8연) 청산에서의 삶을 노래 바다에서의 삶을 노래 ←→ 대칭 구조 6연: 바다에 대한 동경(바다) 5연: 운명적 고독과 번뇌(돌) 7연: 기적을 소망하는 마음(사슴) 8연: 고뇌의 해소(술) 1연: 청산에 대한 동경(청산) 2연: 삶의 비애와 고독(새) 3연: 속세에 대한 미련(새) 4연: 고독과 외로움(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악률을 맞추기 위한 수단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돕고 노래의 리듬에 맞추기 위한 것 •‘ㄹ’음과‘ㅇ’음의 연속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과를 가지며 낙천적이 고 명랑한 느낌을 줌.(음악적 흥취) 1연 2연 3연 4연 5연 6연 7연 8연 청산 바다 사슴 괴로운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공간(도피처) 시름과 설움을 공감하고 토로하는 존재 버려야 하는 기존의 삶에 대한 아쉬움 극대화된 고독 가혹한 운명, 피할 수 없는 운명 괴로운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공간(도피처) 현실을 뛰어넘는 어떤 기적에 대한 소망 현실적 괴로움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시적 화자 유랑민 지식인 실연한 여인 주제 및 성격 몽골의 침략, 무신 집권기의 수탈 등 내우외환 속에서 삶이 뿌리 채 손상되어 결국 살던 터전을 버리고 유랑민으로 전락 하게 된 민중의 애환을 그린 민요 혼탁한 사회에서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 수 없어 속세의 번 뇌를 버리고 자연에 깃들고자 하는 지식인의 술 노래(창작 시가) 실연의 슬픔을 잊고자 자연으로 도피하고자 하는 사람의 노래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1 3 2 2. 문학 활동의 방법

‘청산별곡’은 뛰어난 음악성과 상징적인 시어가 돋보이는 고려 가요이다. 고려 시대 사람들이 염원했던

‘청산’과‘바다’의 상징적인 의미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청산별곡’은 삶의 터전을 잃고 떠도는 유랑민의 처지를 노래한 고려 가요

로, 잘 짜여진 구성과 세련된 언어 감각, 짙은 서정성과 상징적 표현 등이 돋

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시어의 상징성이 뛰어나고 화자를 어떤 인물로 보느

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여 문학 작품을 섬세하게 읽는 능력을 기르

는 데 적합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작품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문학사적 맥락, 상호 텍스트적 맥락 등을 고려

하여작품을이해·감상·평가하는방법을익힐수있을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고려 가요, 서정시

•성격: 현실 도피적, 애상적, 낙천적

•형식: 전 8연의분연체

•운율: 3·3·2조, 3음보

•제재: 청산, 바다

•주제: 삶의 고뇌와비애로부터벗어나고싶은욕구

•특징

- ‘a-a-`b`-a’형태의반복표현이사용됨.

- ‘ㄹ’음과‘ㅇ’음을반복하여후렴구의음악성을드러냄.

- 감정 이입, 반복, 상징, 의인, 비교 등다양한수사법을구사함.

- 고도의상징적시어를통해삶의고뇌와애환을진솔하게노래함.

•구성

- 5연과 6연이뒤바뀌지않은것으로볼때

- 5연과 6연이뒤바뀐것으로볼때

핵심정리

1. 시어의상징성

2. 작품에대한다양한해석

이 작품은 시적 화자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요 내용

및주제가다양하게도출된다.

3. 후렴구의기능

기(1연) 청산에서살고싶다는소망

청산에갔을때겪게될갈등

바다에서살고싶다는소망

술을통해고통을잊으려함.

승(2~5연)

전(6연)

결(7~8연)

청산에서의삶을노래 바다에서의삶을노래

←→

대칭

구조

6연: 바다에대한동경(바다)

5연: 운명적고독과번뇌(돌)

7연: 기적을소망하는마음(사슴)

8연: 고뇌의해소(술)

1연: 청산에대한동경(청산)

2연: 삶의 비애와고독(새)

3연: 속세에대한미련(새)

4연: 고독과외로움(밤)

‘얄리얄리얄라셩얄라리얄라’

•악률을맞추기위한수단

•악기의의성어로, 흥을 돕고노래의리듬에맞추기위한것

•‘ㄹ’음과‘ㅇ’음의 연속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과를 가지며 낙천적이

고명랑한느낌을줌.(음악적흥취)

1연

2연

3연

4연

5연

6연

7연

8연

청산

바다

사슴

괴로운현실을벗어날수있는공간(도피처)

시름과설움을공감하고토로하는존재

버려야하는기존의삶에대한아쉬움

극대화된고독

가혹한운명, 피할 수없는운명

괴로운현실을벗어날수있는공간(도피처)

현실을뛰어넘는어떤기적에대한소망

현실적괴로움으로부터도피할수있게하는매개체

시적화자

유랑민

지식인

실연한여인

주제및성격

몽골의 침략, 무신 집권기의 수탈 등 내우외환 속에서 삶이

뿌리채손상되어결국살던터전을버리고유랑민으로전락

하게된민중의애환을그린민요

혼탁한 사회에서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 수 없어 속세의 번

뇌를 버리고 자연에 깃들고자 하는 지식인의 술 노래(창작

시가)

실연의슬픔을잊고자자연으로도피하고자하는사람의노래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

Page 2: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1 3 3[1] 문학의 수용

살어리 살어리랏다■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02 청산별곡(靑山別曲) 작가미상

■ 살어리랏다 살겠노라. 살리로

다.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멀위랑 머루랑.

■우러라 우는구나. 울어라.

■니러 일어나서.

■ 널라와 시름 한 너보다 시름

많은.

■ 가던 새 날아가던 새〔鳥〕. 혹

은‘갈던 사래(이랑)’로 보기도 함.

■믈 아래 강물 아래에. 하류에.

■ 잉무든 장글란 이끼 묻은 쟁기

일랑.

■ 나즈란 디내와손뎌 낮은 지내

왔건만.

■바므란 밤은.

■ 누리라 마치던 돌코 누구를 맞

히던 돌인가?

■ 리도 미워할 이도.

■괴리도 사랑할 이도.

고려 시대의 궁중 음악은 외래 음악인 아악과 당악, 그리고 고유 음악인 속악(향악)으로 나뉘는데, 현존하는 대부분의

고려 가요는 바로 이 속악으로 쓰인 것들이다. 이와 같이 속악으로 편입된 고려 가요들은 원래 특정 지역에서 유행하던

민요였거나, 아니면 주로 귀족층에 속하는 개인에 의한 창작 가요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중 다수를 차지하는 민요 계

통의 가요들은 속악으로 수용될 때 아마도 궁중 음악으로서의 요구에 맞추어 음악·사설·가창 방식 등에서 일정한 변화

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결과 이들 가운데에는 일면 민요적인 바탕을 간직하면서도, 궁중 음악적인 특징을 아울

러 지닌 복합적인 성격의 가요로 변모된 것이 적지 않았을 듯하다. ‘청산별곡’또한 이와 같은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참고| 고려 가요의 이중성

청산에대한동경

삶의비애와고독

속세에대한미련과번민

절망적인고독감

숙명적고통과서러움

갈래정리_고려가요(ppt), ‘청산별곡’_고려가요연주단(mp3) 활용

마음의안식처, 이상향, 속세와대조되는공간

ba a a →‘a-a-`b`-a’구조

청산에서의소박한음식(대유법) - 6연의‘ 자기구조개’와대응

감정이입의대상 - 화자의슬픈감정이새에이입됨.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 경쾌한음악적효과

동병상련(同病相憐)

‘이리고뎌리고’에음악적효과를주기위해‘ㅇ’을첨가한형태

평원지대, 속세(청산과대비)

속세에대한미련 - 속세를바라보며회상에잠김.

화자의고독감이극대화되는시간적배경 우려의의미

불행한운명, 인간의숙명성을상징함.

삶의고통에대한비탄

참고|‘ 산’과‘바 ’의의미

‘ 산’, ‘바 ’에 대한 시적 화자

의 소망은 현실에서 부딪히는 삶

의 괴로움을 떨쳐 버리려는 희망

에서 비롯된 것이다. 화자를 어떤

이로 보든 간에‘ 산’과‘바 ’은

수탈과 혹정으로부터의 탈출, 이

상을 펼칠 수 없는 사회로부터의

칩거, 실연의 아픔으로부터의 도

피를 원하는 이가 찾는 탈출구로

서의 자연이다. 현재의 삶을 유지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눈

물을 머금고 자신의 터전을 떠나

풀뿌리를 먹더라도, 바다풀을 주

워 먹더라도‘ 산’혹은‘바 ’에

깃들어 살겠다는 것이다. 즉, ‘

산’과‘바 ’은 현실 도피처로서의

자연을의미한다.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3 mac02 T

Page 3: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1 3 4 2. 문학 활동의 방법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

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 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악장가사(樂章歌詞)”

■ 자기 구조개 나문재〔海草〕

와 굴과 조개.

■드로라 듣는다.

■에졍지 외딴 부엌이나 마당.

■ 사 미 대예 올아셔 사슴의

가면을 쓴 광대가 장대에 올라.

■ 설진 강수를 비조라 독한 강술

을 빚는다.

■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조롱박꽃 누룩이 매워서 붙잡으니.

이 작품은 작가·연대 미상의 고려 가요로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소박한 바람이 진솔하게 드러난 작품이다. 시어의 상

징성이 강하여 화자를 어떤 상황에 처한 어떤 계층의 인물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다양해질 수 있다. 적절한 비유와 고

도의 상징성, 빼어난 운율미와 정제된 형태미로 고려 가요 중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궁중에서 노래

되었던 것으로 짐작되며 민간의 노래였던 것이 궁중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술을통한고통해소

기적을소망하는마음

바다에대한동경

1연의‘멀위랑 래’에대응. 화자가소망하는소박한삶의상징(대유법)

기적이일어나기를소망하는마음의상징적표현

현실적삶의괴로움을술을통해달래려는인생고의우수적표현

배가불룩한독(항아리)에 강술+을. ‘강술’은삶의고뇌를잠시잊게하는일시적해소책

바 +애. ‘바 ’은‘ 산’과함께현실의반대에위치하는공간으로, 새로운도피처에해당함.

외딴부엌

참고|국어학의도전그리고반전

결론적으로‘청산별곡’은지적인남자가속세의괴로움을잊기위해청산에이르지만, 거기서 평안을구하지못하고다시바다로가다가끝내술에빠지고마

는, ‘허무주의적세계’를그리고있다. “속세든, 청산이든, 바다든, 어디에간들괴로움이없으랴. 그저 술마시고잊는수밖에. 그것만이위로가되니어찌하리.”

라고나할까.

그런데 이에 대해 어학 쪽에서 날카로운 공격이 시작된다. 국어학자 김완진은 8연의‘잡사와니’에 주목한다. 이 단어의 형태소를 분석하면‘잡+삽+아니’인데,

이때‘-삽-’이라는형태소를포함하는타동사는그목적어로‘나’를취할수없다. ‘-삽-’은 객체높임에쓰이므로, 객체(목적어)가‘나’라면자신을높이는꼴이

되어 높임법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따라서‘잡사와니’의 목적어로는‘임’이 적합하다. 그렇다면 8연의 2행은“A(술)가 B(임)를 붙잡으니 난들 어찌하랴.”로 풀이

해야한다. 이때 B가남성이라면화자는여성(예컨대, 기녀)이 되어, “술이임을붙잡아임께서아니가시니내탓이아닙니다.”라는의미를지닌다.

이쯤 되면 우리가 그동안 쌓아올린 해석의 금자탑이 와르르 무너지는 소리가 들린다. 이것은 영화‘식스 센스’에 버금가는 반전이다. ‘기녀의 노래’라는 관점

에서다시해석해도모든것이맞아떨어지니, 오싹하고허탈한기분마저든다. 사랑을잃은여인이속세를떠나청산으로간다. 그녀는밤새시름에겨워잠못

이루다가새에게말을건넨다. “새야새야, 부디 내일울어라.”라는애원은여성적으로들린다.

하지만 다음 날 아침, 새는 떠나고, 여인은 이끼 묻은 쟁기를 들고 새가 날아간 쪽만 바라본다. 쟁기에 이끼가 묻은 것은 노동을 하지 않은 탓이다. 이 또한

화자가 여성이라는 증거가 아닐까. “이럭저럭 낮은 보냈지만 오고 갈 사람 하나 없는 밤은 어찌할꼬.”라는 대목에서 황진이가 떠오르지는 않는가? 게다가 미워

할이도사랑할이도없이돌에맞아울고또울다니, 이 시에는눈물이왜이리많이나오는걸까.

바다를 향해 떠난 뒤에도 다를 바 없다. ‘에졍지’의 해석을 놓고 이견이 분분하지만, 그 단어가 정말‘부엌’을 가리킨다면 이 또한 여성 화자에게 더 잘 어울

린다. 그런가 하면‘빚+오+라’의‘-오-’는 중세 국어에서 주어가 1인칭일 때만 쓸 수 있는 형태소이므로, 술을 빚은 것은 화자(기녀)다. 그래서“잡 와니 내 엇

디 리잇고.”는 기녀의 애교 내지 권주가로 들린다. 원래 이 노래는 궁중의 잔치에 쓰였다지 않은가. 무엇이 진실인지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진실을 찾아

가는괴로움조차즐겁지아니한가. - “고교독서평설”(지학사, 2007년 10월호)

현대어풀이

1⃞살으리살으리로다. 청산에서살으리로다.

머루랑다래랑먹고청산에서살으리로다.

2⃞ 우는구나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우는구나새여.

너보다근심이많은나도자고일어나울며지내노라.

3⃞ 가던새가던새보았느냐? 평원지대로가던새를보았느냐?

이끼묻은연장을가지고평원지대로가던새를보았느냐?

4⃞ 이럭저럭하여낮은지내왔으나

올사람도갈사람도없는밤은또어찌하리오.

5⃞ 어디에던지던돌인가? 누구를맞히려던돌인가?

미워할사람도사랑할사람도없이 (돌에) 맞아서울고있노라.

6⃞ 살으리살으리로다. 바다에서살으리로다.

해초랑굴조개를먹고바다에서살으리로다.

7⃞ 가다가가다가듣노라. 외딴 부엌을지나다가듣노라.

사슴(사슴으로분장한광대)이 장대에올라가서해금켜는것을듣노라.

8⃞ 가더니불룩한독에독한술을빚는구나.

조롱박꽃같은누룩이매워 (나를) 붙잡으니, 낸들 어찌하리.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4 mac02 T

Page 4: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1 3 5[1] 문학의 수용

2 ‘청산별곡’의 고려 가요로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설명을참고하여이작품의갈래적특징에대해구체적으로지적해보자.

(2) 고려 시대는 무신 정권의 집권, 외적의 침입으로 인한 전란, 변방 수비를 위한 백

성들의 강제 이주 등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상황으로 민중들의 삶은 괴로울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시대적상황을고려하여이작품에나타난생활상을구체적으로설

명해보자.

깊게이해하기다양한 맥락을 고려하며 읽기

문학 작품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작용하는 다양한 맥락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작품의 사회적·문화적 상황이나 작품의 문학사적 특징, 다른 작품과의 상호 관련성 등을 염두에 두고 작품을

섬세하게 읽어야 깊고 풍부한 감상이 가능해진다.

1 ‘청산별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작품에서리듬감을느끼게하는요소는무엇인지찾아보자.

(2)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현재 처한 상황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시어들을 찾아

보자.

(3) 이 작품에서시적화자가갈망하는공간을상징하는시어를모두찾아보고, 그 뜻

을말해보자.

(4) 이 작품의 화자는 현실 공간 속에서 자신의 괴로움을 무엇을 통해 해소하고 있는

지찾아보자.

다가서기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에 궁중에서 불리던 노래인데, 그 대부분은 민간에서 유행하

던 노래를 궁중에서 받아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고려 가요에는 백성들의 진솔

한 감정을 담은 작품이 많다. 시가 형식에 있어서는 3음보의 율격과 후렴구를 갖춘

작품이 비교적 많은데, 이러한 특징은 민간의 노래가 궁중 음악으로 편입되는 과정에

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예시답|•3·3·2조의음수율을바탕으로한 3음보의율격

•‘a(살어리) - a(살어리랏다) - b( 산애) - a(살어리랏다)’와같은형식의반복구조

•‘ㄹ’음과‘ㅇ’음의반복으로경쾌한느낌을주는후렴구

예시답|•‘시름’- 슬픔

•‘밤’- 외로움, 쓸쓸함

•‘돌’- 가혹한운명

예시 답|‘ 산’, ‘바 ’- ‘ 산’은 침입과 수탈과 혹정으로부터의 탈출, 이상을 펼칠 수 없는 사

회로부터의 칩거, 실연의 아픔으로부터의 도피를 원하는 이가 찾는 탈출구 등 가혹한 현실로부터

의도피처를, ‘바 ’은‘ 산’에서도평안을찾을수없었던화자가달리찾는또하나의도피처를

상징한다. 즉, ‘ 산’이나‘바 ’은 모두 내우외환에 시달려 자신의 근거지를 버리고 자연 속에 깃

들어외롭게라도살아가려는민중들의도피처를상징한다.

예시답|화자는현실에서의괴로움을술(‘설진강술’)을 통해체념혹은초극하고자하고있다.

예시 답|이 작품은 3·3·2조, 3음보의 분연체로, 매 연마다 후렴구가 반복되고 있으며,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고

도의상징적시어를통해진솔하게노래하고있다.

예시 답|이 작품에는 당시 고려 민중들이 현실에서 겪는 고통에 대한 하소연이 매우 진솔하고 절실하게 표현되어

있다. 작품 속에서 그들은 현실의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차라리 권력자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자연 속으로 숨어

들어 살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은 산에서도 바다에서도 평안과 행복을 찾았다기보다는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외

로움과싸우고술을통해괴로운현실을잊고달래려하는모습에머무르고있다.

이끌기|1-(1) 이 작품은

3·3·2조, 3음보의 분

연체로, 매 연마다 후렴

구가 반복되는 등 고려

가요의 형식적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작품의

고려 가요로서의 특징 및

대칭미에 주목하면서 운

율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찾아보도록한다.

이끌기|1-(4) 이 작품의

8연에서 술은 현실의 고

통을 잊기 위한 도구로

나타난다. 술에 취해 슬

픔을 잊어 보려는 화자의

태도를 통해, ‘ 산’도

‘바 ’도 삶의 고통을 해

결해 주지는 못했음을 알

수있다.

고려가요의특징

•형식면

- 대부분 분연체, 연장

체구성

- 아무런 뜻이 없는 후

렴구의 반복으로 운율

형성

- 3·3·2조 또는 3·

3·4조의 3음보율

•내용면: 현세적이고 향

락적인 내용,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 예찬, 이

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

이끌기|2-(2) 고려 말

외침과 혹정으로 고난의

삶을 살았던 민중들의 소

망이 무엇이었을지 상상

해 보고, 작품 속에 나타

난 화자의 삶의 모습과

태도를 통해 당시 민중들

의 생활상을 정리해 보도

록한다.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문학사적맥락파악

→사회·문화적맥락파악

(112~137)169Ⅰ-2(1)OK 2012.1.2 7:10 PM 페이지135 mac02 T

Page 5: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4 다음은 박두진의 시‘청산도(靑山道)’의 일부이다. 이 시에 나타난‘청산’과‘청산별곡’

에 나타난‘청산’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보자.

넓게생각하기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히 무성

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둥 산을 넘어, 흰구름 건넌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너멋 골 골짜기서 울어 오는 뻐꾸

기…….

산아, 푸른 산아. 네 가슴 향기로운 풀밭에 엎드리면, 나는 가슴이 울어라. 흐르는

골짜기 스며드는 물소리에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 아득히 가 버린 것 잊어버린

하늘과, 아른아른 오지 않는 보고 싶은 하늘에, 어쩌면 만나도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히 무성

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둥 산을 넘어, 흰구름 건넌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너멋 골 골짜기서 울어 오는 뻐꾸

기…….

산아, 푸른 산아. 네 가슴 향기로운 풀밭에 엎드리면, 나는 가슴이 울어라. 흐르는

골짜기 스며드는 물소리에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 아득히 가 버린 것 잊어버린

하늘과, 아른아른 오지 않는 보고 싶은 하늘에, 어쩌면 만나도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1 3 6 2. 문학 활동의 방법

3 이 작품의 다음 구절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각각의 견해

에 따를 때, 작품의 전체적인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야기해 보자.

•살어리랏다: ① 살겠노라, 살리로다. ②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가던 새: ① 날아가던 새. ② 갈던 사래(이랑).

•믈 아래: ① 강물 아래. ② 하류. 자기가 전에 살던 곳.

•사 미 대예 올야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① (산대잡희를 하는 광대 중) 사

슴으로 분장한 사람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② 사슴이 장대 위에

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즉,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남.

예시답|

예시 답|‘청산별곡’에 나타난‘청산’은 가혹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들이 찾는 일종의 도피처이지만, ‘청산

도’에나타난‘청산’은생명력이넘치는공간으로, 아름답고순수한미래의도래를약속하는곳이다.

이끌기|4 박두진의‘청

산도’는희망과생명의목

소리를내는작품이다. ‘청

산도’에서‘산’이 어떤 이

미지를 띠고 있는지를 파

악한 후‘청산별곡’의 그

것과비교해보도록한다.

*‘가던 새’를‘갈던 사

래’로 해석할 때에는 시

의 화자를 경작지를 잃고

유랑하게 된 농민으로 보

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잉무든 장글란’을‘이끼

묻은 쟁기일랑’으로 해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

의 화자를‘병사’로 풀이

할땐‘녹슨병장기’로해

석하기도 하고, 사랑을

잃은 여인으로 볼 땐‘은

장도’로해석하기도한다. 살어리랏다

① ②

청산에살고싶다는소망의의지적표출 일찌감치청산에들어가살지못한것에대한후회

화자의슬픔을위로해주던유일한벗 평화롭게농사를짓던옛날을그리워하는심정

새가날아가는방향, 물에 비친새의모습 옛생활에대한아쉬움과미련

흥겨운놀이판을바라보는고독감 불가능한일에대한소망, 세상에대한조롱

가던새

믈아래

사 미~ 드로라.

첩첩이쌓여있는산의모습을흐르는강의이미지로형상화함.

햇살의생명력있고건강한모습을감각적으로나타냄. 구름 한점없이깨끗한‘하늘’을의인화한표현

만날수도있을 기다림의대상

화자가동경하는세상이아직도래하지않았음을암시함.

‘산’의의인화, 반복법

작품연구|‘청산도’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서경적,

서정적

•제재: 푸른 산의모습

•주제: 깨끗한 세상이

오기를 바라는 소망과 기

다림

•특징

- 반복을 통해 소망의

간절함을표현함.

- 음성 상징어와 묘사를

통해 선명한 심상을 제

시함.

- 자연물을 소재로 삼아

의인화하여 정서를 표출

함.

*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6 mac02 T

Page 6: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2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후렴구(조흥구, 여흥구) - 밝고경쾌한음악적효과

1 3 7[1] 문학의 수용

5 ‘청산별곡’의 마지막 연에 나타난 화자의 문제 해결 방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러

한 해결 방식이 타당한지 토론해 보자.

6 ‘청산별곡’에 나오는‘청산’의 의미를 생각하며, 다음 방법에 따라 이 작품을 패러디해

보자.

|방법|

•자신이생각하는이상향의의미가잘드러나도록내용을구성한다.

•‘청산별곡’과유사한통사구조를활용한다.

•리듬감을살려후렴구를새로만들어본다.

예시답|술로삶의고단함을달래려한다.

토론 주제: •술은고통의해소에도움이된다/안 된다.

•술에의존하는것은옳다/그르다.

예시답|살어리살어리랏다무인도에살어리랏다.

돌도끼랑부싯돌들고무인도에살어리랏다.

처얼썩꾸르릉처얼썩쏴아

살어리살어리랏다청석골에살어리랏다.

꺽정이랑오주랑데리고청석골에살어리랏다.

삘리리삘리리삘리리삐

살어리살어리랏다동막골에살어리랏다.

강냉이랑감자랑먹고동막골에살어리랏다.

오르랑도르랑하루랑다루랑

살어리살어리랏다시험없는세상에살어리랏다.

지필도수행도없는무시험세상에살어리랏다.

딩동딩동딩동딩동

- 학생작품

이끌기|5 이 작품의 마

지막 연에서 화자는 이럴

수도저럴수도없는상황

에처한괴로움을술로달

래려 하고 있다. 이러한

화자의 태도에 대해 어떻

게 생각하는지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도록한다.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112~137)169Ⅰ-2(1)OK 2011.11.25 7:34 PM 페이지137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