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전기 정보통신 설계기준 LH_77 1400 공동주택의 옥외전기설비

1400 공동주택의 옥외전기설비 - thehanyang.co.kr · 변압기는 에폭시몰드형을 적용하며, 계통보호를 위하여 옥내형(소음기부) 전 ... 사고 시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77

1400 공동주택의 옥외전기설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78

1400 공동주택의 옥외전기공사

1401 부하용량의 산정

1. 개 요

변압기용량 결정을 위하여 각각의 부하용량 산정기준을 규정한다.

2. 적용범위

아파트 단위세대, 공용부분 및 부대․복리시설 등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을 준용하며, 다음 항목을 참고한다.

가.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는 1201(옥내설계일반)에 의한다.

나. 아파트 공용부분 중 전등․전열은 1203(공용부분 전등, 전열시설), 승강기 설

비는 1204(전력간선시설)에 의한다.

다. 부대․복리시설의 부하는 1300(부대․복리시설의 전기공사)에 의한다.

라. 단지 내 보안등 부하는 1410(옥외조명시설)에 의한다.

마. 동력설비 부하는 기계공사의 설계도면에 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79

1402 수전설비

1. 개 요

한전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해 필요한 설비에 대한 설계기준을 규정한다.

2. 적용범위

특고압수전 설비지구 및 저압수전 설비지구의 수전 및 배전반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제1장 제4절 기계 및 기구

내선규정 제32장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기기

4. 수전설비의 설치기준

가. 저압수전지구

1) 중층 아파트단지 : 별도의 수전설비 없이 한전 배전선로(가공․지중)에서 동

별, 용도별로 직접 수전한다.

가) 수전 전압 : 1φ 2W 220V, 3φ 4W 380V

나) 한전 배전선로(가공‧지중)계획

(1) 전주는 8 m이상의 도로에 시설하며 8 m미만의 도로인 경우는 단

지 외곽에 시설한다(통신관로 맞은편에 설치).

(2) 선로 경간은 50 m이하로 한다.

(3) 선로는 건축물로부터 35,000V이하의 경우 3 m이상 이격한다.

(4) 단지 내 선로는 아파트 발코니 후면 쪽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1개 전주에서 아파트 인입은 2개소 이하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 3개

소로 할 수 있다.

나. 특고압 수전지구 : 아파트 단위세대 및 공용설비(전등․전열, 승강기 및 난방

동력 등)용 수전설비를 설치한다.

1) 수전전압 : 3φ 4W 22.9kV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0

2) 한전배전선로 계획 : 단지 밖의 한전배전선로에서 수전을 원칙으로 하되

지중선로 지역은 단지 여건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3) 적용범위 : 고층 및 초고층 아파트 단지에 적용한다.

5. 인입선로의 시설

가. 시설한계

1) 저압 수전

가) 가공선로의 경우는 한전 주상변압기 2차측(Catch Holder 이후) 연결점으로 한다.

나) 지중선로의 경우는 한전 패드변압기(PAD TR) 2차측 연결점으로 한다.

2) 특고압 수전

가) 가공선로의 경우는 한전전주 COS 2차측 연결점으로 하되 연결점의 케

이블헤드의 단말 처리를 포함한다.

나) 지중선로의 경우는 한전 패드기어스위치(PAD SW) 2차측 연결점으로

하되 연결점의 케이블헤드의 단말 처리는 한전 시공분으로 한다.

나. 인입관로

1) 일반사항

가) 전주의 입상배관은 강관으로 7.2 m까지 설치하고 고무제품과 충진제로

마감하며, 고정밴드로 3개소 이상 채운다.

나) 지중 매설되는 배관은 관경이 100 ㎜이상은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FEP), 100 ㎜미만은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CD-P)을 사용한다.

다) 지중관로의 매설깊이는 도로부분은 1.2 m이상, 보도 또는 녹지부분은

0.6 m이상으로 한다. 다만, 특고압 인입관로는 장소에 관계없이 1.2 m

이상으로 한다.

라) 지중관로의 굴곡이 90°이상 되는 곳, 100 m이상의 구간 및 건물 인입

부분에는 전력맨홀을 설치한다.

마) 전력관로와 통신관로의 터파기의 중복되는 부분은 도면에 표시하고 전

기공사에 포함한다.

2) 저압수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1

가) 인입배관 굵기는 옥내전기 배관 굵기를 참조하여 선정한다.

나) 인입배관은 별도의 맨홀을 설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특고압 수전

가) 변전실과 전력맨홀사이 벽체관통 부위는 강관배관에 실링가스켓

(Sealing Gasket)을 설치하여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나) 지중관로 배관의 굵기는 FEP 125 ㎜ 로 한다.

다) 변전실내에는 인입용 풀박스를 설치하고, 풀박스에서 특고압반까지는

금속덕트로 천정에 노출하여 시설한다.

다. 인입선로

1) 저압수전

가) 인입케이블은 가교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CV) 단심을 사용한다.

나) 케이블의 굵기는 부하 전류치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으로 선정한다.

다) 케이블 배선은 변압기 2차측 캐치 홀더(Catch Holder)까지로 한다.

2) 특고압 수전

가) 특고압 인입은 22.9kV 수밀형 가교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동심중성

선 전력케이블(CNCV-W)을 사용한다.

나) 케이블 굵기는 60 ㎟을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는 38 ㎟까지로 할 수

있다. 다만, 지중화지역은 최소 60 ㎟로 한다.

다) 인입 케이블은 2회선을 포설하고 예비회선도 단말 처리하여 사고시 즉

시 대체할 수 있도록 적절한 보호시설을 하여야 한다.

6. 특고압수전설비의 계통구성

가. 수전설비의 계통구성은 특고압에서 저압으로 직강압하여 배전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하며 대단위 아파트 단지의 경우는 경제성을 검토하여 고압 지구변

전실을 설치할 수 있다.

나. 아파트의 특고압 수전설비의 계통구성은 내선규정 3220-13(특고압 기계기

구의 배열 및 결선)항의 특고압 수전설비의 표준결선도에 의한다.

다. 특고압 수전설비는 폐쇄형 배전반 3면으로 구성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2

라. 배전반의 재질은 두께 3.2 ㎜의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2종(KSD 3503,

SB41P)을 사용한다. 다만, 계기, 보호계전기 및 기타 스위치가 부착되지 않

는 면과 문등은 두께 2.3 ㎜를 사용한다.

마. 함체는 조립식(Angleless)으로 하며 각 배전반의 규격은 기준자료 5-10

(수배전반 및 동력반 규격)에 의한다.

7. 특고압 기기

가. 특고압 인입개폐기는 퓨즈부착형 또는 단독형 LBS(Load Breaker Switch)를

사용하며, LBS설치는 정수직(상 : 개폐극, 하 : Fuse)형태로 한다.

나. 특고압 인입구의 중성선은 CNCV-W 60 ㎟의 중성선 공칭단면적이 20 ㎟

임을 감안, 최소굵기를 25 ㎟이상으로 한다.

다. 한전 배전선로로부터의 뇌서지(Lightning Surge) 방지용 피뢰기(LA)는

Disconnector(또는 Isolator) 붙임형으로 정격전압 18kV, 공칭방전전류

2.5kA를 사용한다.

라. 계기용 변성기(MOF)는 에폭시몰드형을 설치하고 최대 수요전력계(Demand

Meter)와 무효전력량계(Var Meter)의 설치 공간을 확보한다.

마. 전력용 파워퓨즈(PF)는 옥내형(소음기 부착)을 사용한다.

바. 계기용변압기(PT) 및 변류기(CT)는 특고압용은 에폭시 몰드형, 저압용은

건식형(Dry Type)을 사용한다.

사. 계기용변성기(MOF)는 단일비를 사용한다.

아. 주차단기는 진공차단기(VCB)를 사용한다.

자. 몰드변압기, 고압전동기 및 고압커페시터 설치시는 진공차단기 2차측에 개

폐서지(Switching Surge) 방지를 위한 정격전압 18 kV, 공칭방전전류 5

kA의 서지 업서버(Surge Absorber)를 설치한다.

차. 모선은 Bus-Bar(50 ㎜× 6 ㎜t 이상)를 사용한다. 다만, MOF인입, 인출은

12 ㎜ 이상 동봉을 사용한다.

카. 특고압기기 개폐기류의 정격전압은 24 kV급, 정격차단 내전류는 12.5 kA

이상의 규격으로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3

1403 변전설비

1. 개 요

수전설비 이후부터 저압반 MCCB까지의 설비에 대한 설계기준을 규정한다.

2. 적용범위

수전설비 이후부터 간선설비와 연결하는 MCCB까지의 설비로 변압기반, 저압

반, Bus-Duct등으로 구성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제1장 제4절 기계 및 기구

내선규정 제32장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기기

4. 변압기의 뱅크 구성

가. 변압기 뱅크 구성은 아파트 전등․전열용변압기와 동력용 변압기로 구성한다.

1) 전등․전열용 변압기

수전설비용량 500 kVA 이하는 3상 1대, 500 kVA 초과 시는 3상 2대로 구성하

며, 변압기 1대의 최대 용량은 1,500kVA 이하로 구성한다.

2) 동력용 변압기

3상 1대로 일반(난방)부하와 비상부하로 구분한다. 다만, 중앙난방지구로서 수

전설비 용량 1,500kVA이하 또는 지역난방지구 및 개별난방지구는 통합 설치하

며, 일반(난방)부하와 비상부하는 Feeder를 구분한다.

나. 변압기뱅크는 공동구 계통과 아파트 배치를 감안하여 구성한다.

다. 변압기는 에폭시몰드형을 적용하며, 계통보호를 위하여 옥내형(소음기부) 전

력용 파워휴즈(PF)를 사용한다. 다만, 변압기가 1대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변압기반에 PF를 설치하지 아니한다.

라. 전등․전열 변압기의 설치대수가 2대이상인 경우는 큰 용량 기준 동일규격으

로 구성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4

마. 동력변압기를 난방부하와 비상부하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경우 경부하 또는

사고 시 절환 공급될 수 있도록, 전등 1 BANK일 경우의 TIE ACB 계통구

성 방법에 준하여 계통을 구성한다.

바. 비상동력부하에는 정전 시 자가발전기전원이 공급되도록 자동절체스위치

(ATS)를 설치한다.

사. 변압기 사고 시 정전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변압기 BANK간 TIE ACB

로 계통을 구성한다.

1) 변압기 계통 구성

․ 전등 1 BANK인 경우[500 kVA이하] ․ 전등 2 BANK인 경우[500 kVA초과]

2) 변압기 고장 시 계통운용 방법

가) 동력변압기 고장 시 : 계통 변경 없이 자가 발전기로 전원 공급

나) 전등변압기 고장 시

(1) 전등 1 BANK : 전등부하는 동력변압기로, 비상동력부하는 자가발

전기로 전원공급

(2) 전등 2 BANK : 고장변압기 BANK의 전등부하까지를 포함하여 정

상운전 중인 변압기로 전원공급

다) TIE ACB조작방법 : 조작스위치에 의한 수동조작

라) 계통변경 시 부하제한

(1) 전등 1 BANK : 난방 및 일부 전등부하

(2) 전등 2 BANK : 일부 전등부하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5

3) TIE ACB 규격 선정

가) ACB 규격 : 4극용 UVT 미 부착형

나) ACB 용량

(1) 전등 2 BANK인 경우 트립전류(AT) 설정은 전등 ACB 중 작은 것

의 1/2로 한다.

(2) 전등, 동력 BANK인 경우 정격전류(AF) 및 트립전류(AT) 설정은

전등, 동력 ACB 중 작은 것과 동일한 규격으로 선정한다.

4) 단선결선도 주기에 표기할 내용

※ 전등 및 동력용 변압기가 각각 1 BANK일 경우 TIE ACB 사용

가) 전등변압기 고장 시, 동력변압기로 일부 전등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

나) TIE ACB는 전등변압기 고장 시, 모선과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 결합

시켜 조작순서에 의해 투입하되, 전등부하 및 일반동력(난방)부하는 동

력변압기용량에 적정하게 일부부하를 제한한 후 공급한다.

다) 전등 및 동력변압기가 정상적으로 운전시 TIE ACB는 모선에서 인출시

켜(Test Position), 회로와 분리되도록 한다.

라) TIE ACB 양단의 연결모선은 동일상(Phase)으로 접속되도록 모선을 조

립한다.

마) TIE ACB의 조작은 양측(전등측, 동력측)의 상태 확인 후 수동조작용

핸들 스위치에 의하되, Lever에 의한 기계적 조작은 지양한다.

바) TIE ACB와 주ACB간에 제어계통(인터록) 및 동작관계는 표준상세도를

참조한다.

사) TIE ACB 조작순서

(1) 전등변압기 고장시

① 전등변압기 2차 ACB 및 1차 PF 차단(Off)

② 발전기 가동

③ ATS를 발전기 전원측으로 전환(비상동력부하에 발전기전원 공급)

④ 전등 및 난방부하 제한(동력변압기 용량 감안)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6

⑤ TIE ACB를 모선과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 결합시키고 양측(전

등측, 동력측) 상태 확인 후 TIE ACB 투입(On)

(2) 전등변압기 원상 복구시

① TIE ACB차단(Off)후, 모선에서 분리인출(Test Position)

② 전등변압기 1차 PF 투입 후 2차 ACB 투입(On)

③ ATS를 한전측으로 전환

④ 제한부하 해제

※ (전등 1 + 전등 2) BANK일 경우 TIE ACB 사용

가) 전등변압기 고장 시, 나머지 전등변압기 1대로 전등부하

(자기회로 부하+고장회로 부하)를 제한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나) TIE ACB는 전등변압기 고장 시, 모선과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 결합

시켜 조작순서에 의해 투입하되, 부하는 변압기 용량에 적정하게 일부

부하 제한 후 공급한다.

다) 전등 1, 전등 2 변압기가 정상적으로 운전 시 TIE ACB는 모선 BUS에

서 인출(Test Position), 회로와 분리되도록 한다.

라) TIE ACB 양단의 연결모선은 동일상(Phase)으로 접속되도록 부스를 조립한다.

마) TIE ACB의 조작은 양측(전등 1, 전등 2)의 상태 확인 후 수동조작용

핸들 스위치에 의하되, Lever에 의한 기계적 조작은 지양한다.

바) TIE ACB와 주 ACB간의 제어계통 (인터록) 및 동작관계는 표준상세도

를 참조한다.

사) TIE ACB 조작순서

(1) 전등변압기 고장 시(#1, #2)

① 고장변압기 2차 ACB 및 1차 PF 차단(Off)

② 전등부하 제한(공급변압기 용량감안)

③ TIE ACB를 모선과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 결합시키고 양측 (전

등1, 전등 2)상태 확인 후 TIE ACB 투입(On)

(2) 전등변압기 원상 복구 시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7

① TIE ACB차단(Off)후, 모선에서 분리인출(Test Position)

② 교체전등변압기 1차 PF 투입후 2차 ACB 투입(On)

③ 제한부하 해제

5. 전력용변압기 정격출력용량산출

가. 전등․전열용 변압기

1) 뱅크별 부하용량은 1201(옥내설계일반)에 의하여 단위세대 부하용량을 산

정한 다음 이것을 합산하여 구한다.

2) 뱅크별 최대수요부하는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최대수요부하(kVA)=단위세대 부하합계×수용률

3) 변압기용량 산출시 수용률은 기준자료 3112(수용률)에 의한다.

4) 변압기용량은 50 kVA단위로 선정한다.

5) 변압기용량은 최대수요부하 이상으로 선정한다.

나. 동력용 변압기

1) 일반(난방)동력용 변압기

가) 일반동력부하는 중간기계실등의 부하로 구성한다.

나) 일반동력부하 합계용량은 중간기계실등 각실의 장비별(상시, 예비구분)

입력 환산용량을 산정한 다음, 이것을 합산하여 구한다.

다) 최대수요부하는 각 실의 동력부하합계에 종합수용률을 적용하여 산출한다.

‧ 최대수요부하(kVA)=부하합계×종합수용률

라) 부하용량별 종합수용률

‧ 600 kVA 이하 : 85 % ‧ 600 kVA 초과 : 80 %

다만, 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지구의 경우는 3)항 (통합동력변압기)에 의한다.

마) 용량선정방식은 전등․전열용 변압기 선정방법과 같다.

2) 비상동력용 변압기

가) 비상동력부하는 소방법에 의한 소화수 펌프, 비상조명등(아파트 공용부

분) 및 유지관리를 위한 단지내 보안등, 공동구 및 복지관 전등전열과

승강기, 급수펌프, 음식물쓰레기 감량화시설 등의 부하로 구성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8

나) 전동기부하 및 전등부하는 기준자료 3113(입력환산)의 용도별 입력용량

으로 환산 집계한다.

다) 오수처리시설 부하는 시설규모별로 표준도에 의한다.

라) 비상콘센트 부하는 1개단지 1개동 1개회로를 기준으로 하고 다음과 같

이 산정한다.

․ 단상부하 : 1.5 kVA×3개 = 4.5 kVA

․ 3상 부하 : 3.0 kVA×3개 = 9.0 kVA

계 : 4.5 kVA+9 kVA = 13.5 kVA

마) 승강기는 입력용량 합계치에 승강기 수용률을 적용하고 그외 부하는 입력

환산된 합계치에 종합수용률 50 %를 적용하여 최대수요부하를 산정한다.

․ 최대수요부하(kVA)=승강기 입력용량의 합 × 승강기수용률 + 그 외

부하의 합 × 종합수용률(50 %)

바) 변압기용량 선정방법은 전등․전열용 변압기 선정방법과 같다.

3) 통합(일반+비상) 동력변압기

가) 중앙난방지구중 수전설비 용량이 1,500kVA 이하로서 통합 설치되는 경

우에는 1), 2)의 각각의 수요부하를 합산하여 산정한다.

․ 최대수요부하(kVA)= 승강기 입력용량의 합 × 승강기수용률 + 일반

동력부하 × 일반동력부하 종합수용률 + 비상동

력부하 x 비상동력부하 종합수용률(50 %)

나) 지역난방지구 및 개별난방지구의 동력변압기 용량산출은 승강기 입력용

량 합계치에 승강기 수용률을 적용하고 그외 부하는 입력 환산된 합계

치에 종합수용률 50 %를 적용한다.

․ 최대수요부하(kVA)= 승강기 입력용량의 합 × 승강기수용률 + 그외

(일반 + 비상)부하 × 종합수용률(50 %)

다. 용량선정방식은 전등ㆍ전열용 변압기 선정방법과 같다. 다만, 전등 1

BANK인 경우로서 동력용 변압기용량이 전등변압기용량의 50 % 미만인 경

우는 50 %이상 용량으로 선정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89

6. 변압기반 구성

가. 변압기와 전력퓨즈는 변압기반에 내장한다.

나. 변압기반은 통풍이 가능하도록 전후면 Door에 통풍구를 둔다.

다. 변압기반은 변압기가 설치되는 바닥부분 하부를 개방하여야 한다.

라. 변압기반의 규격은 기준자료 3119(수배전반 및 동력반 규격)에 의한다.

7. 배전반 구성

가. 저압배전반은 폐쇄형 배전반으로 규격은 800(폭)×2,350(높이)×1,500 (깊이)로

한다.

나. 변압기 2차측 주차단기는 ACB를 사용하고 간선분기 차단기는 배선용차단

기(MCCB)를 사용한다.

다. 주차단기 또는 자동전환스위치(ATS)등 2대를 배전반에 내장시는 2단으로

적재한다.

라. 배전반내 시설하는 간선분기 차단기는 아래 기준으로 설치한다.

<간선분기 차단기 설치기준>

․ MCCB만 설치시 : ① 100 AF : 22개 이하 ② 225 AF : 14개 이하

③ 400 AF : 7개 이하 ④ 50 AF : 28개 이하

․ ACB+MCCB설치시 : ① 100 AF : 14개 이하 ② 225 AF : 8개 이하

③ 400 AF : 4개 이하 ④ 50 AF : 18개 이하

다만, 서로 다른 용량의 차단기가 혼합 배치될 경우는 위 기준을 참고하여

설치한다.

<간선분기 차단기 배치 예>

․ 400 AF(2개), 225 AF(6개), 100 AF(3개), 50 AF(4개) 일 경우

- MCCB만 설치시:2/7+6/14+3/22+4/28=0.99 (1이하는 배전반 1면)

※ 1초과시는 배전반 2면

마. 분기차단기 2차측은 배전반 뒤쪽 양측면으로 단자대를 설치하여 케이블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하며 분기차단기 2차측과 단자대 연결은 버스바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0

(Bus-Bar) 또는 케이블로 한다.

바. 배전반의 접지는 버스바(Bus-Bar, 폭 25 ㎜, 두께 3 ㎜)로 연접한다.

사. 주차단기가 설치되는 배전반은 다음 기기를 설치한다.

․ 특고압반(VCB반)은 계전기 기능과 각종 계측 및 상태감시를 위한 디지

털복합계전기

․ 저압반(ACB반)은 각종 계측 및 상태감시를 위한 디지털파워메타(Digital

Power Meter)

․ 비상동력반의 단지 내 보안등 회로에는 한전지급 전력량계, 지하저수조 시

설 등 산업용전력회로에는 최대수요전력이 계량되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설치한다.

아. 1개동의 분기차단기는 가급적 동일배전반에 설치하여 1개동이 2개 BANK

에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자. 저압배전반별로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중 가장 용량이 큰 배선용 차단기 1

개씩을 예비용으로 설치한다.

차. 반내 조명을 위하여 전․후면 각각 DC 110V 30W 백열전등을 설치하고 도

어 개폐시 자동 점멸되도록 한다.

카. 중앙감시반에서 각종계측 및 상태감시를 위해 디지털복합계전기(VCB반)와

디지털파워메타(ACB반)를 설치하며, 전면 상부에는 전력감시용 제어선을

포설할 수 있도록 공간을 두어야 한다.

타. 배선용차단기 선정은 기준자료 3114(전선굵기 선정)를 참고한다.

파. TIE ACB 설치

1) ACB반내 2단 적재방식으로 하단에 설치한다.

2) 반전면에는 조작스위치, 표시등, 시험단자, 전류계 및 전류절환스위치(전등

2 BANK일 경우)를 설치한다.

3) TIE ACB와 Main ACB간에는 오조작 방지를 위하여 인터록 장치를 한다.

4) 인터록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전등 1 BANK인 경우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1

등용 ACB : On, 동력용 ACB : On TIE ACB : Off

〃 : Off, 〃 : Off 〃 : Off

〃 : On, 〃 : Off 〃 : Off

〃 : Off, 〃 : On 〃 : On

․ 전등 2 BANK인 경우

등 1용 ACB : On, 등 2용 ACB : On TIE ACB : Off

〃 : Off, 〃 : Off 〃 : Off

〃 : On, 〃 : Off 〃 : On

〃 : Off, 〃 : On 〃 : On

5) CRT 감시내용에 TIE ACB 투입상태 및 OCR 경보기능을 포함한다.

6) TIE ACB반과 인터록할 ACB반은 다음과 같이 인접 배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2

8. 커패시터 시설

가. 변압기 2차측에 설치하는 진상용 콘덴서 용량은 변압기용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변압기용량 500 kVA 이하 변압기용량의 5 %

변압기용량 550 kVA 이상 600 kVA 이하 25 kVA

변압기용량 650 kVA 이상 2,000 kVA 이하 변압기용량의 4 %

변압기용량 2,050 kVA 이상 2,650 kVA 이하 80 kVA

변압기용량 2,700 kVA 이상 변압기용량의 3 %

나. 변전실내의 콘덴서는 저압 판넬 1면을 완전 구획하여 배터리와 통합 설치

하며 규격은 기준자료 3119(수배전반 및 동력반 규격)에 의한다.

다. 콘덴서함은 통풍이 가능하도록 전면 및 측면에 통풍구를 둔다.

라. 콘덴서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콘덴서마다 각각 설치한다.

마. 콘덴서 회로용 배선은 FR-8 케이블을 사용하며 굵기선정은 기준자료

3114(전선 굵기 선정)를 참고한다.

바. 콘덴서 회로용 배선은 반내 노출 배선한다.

9. 접지시설

가. 변전실의 각종 접지시설은 아래와 같이 시설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3

구 분 지종류 지선 비 고

∙ 피뢰기 제1종 용

지단자함에서 건

물기 지와 본딩

∙ 고압 는 특고압용의 기기 외함

〃 ″

∙ 변압기 성 제2종 TR별 용

∙ 발 기 성 제3종 용

∙ 압용 기기 외함 〃 ″

나. 접지시험단자함은 변전실 1층 외벽의 지상 500㎜ 높이에 매입 설치하고, 변전

실내 측벽 500㎜ 높이에 접지용 풀박스를 설치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한다.

다만, 변전실 1층 외벽에 접지시험단자함 설치가 불가한 경우에는 변전실

외곽에 시험용 접지극을 지중매설하고 접지시험단자함은 변전실내 측벽

500㎜ 높이에 매입 설치하며, 변전실내 측벽 상부의 지상 100㎜ 높이에 접

지용 풀박스를 설치한다.

다. 접지선은 접지대상물과 접지단자함 간은 HFIX전선, 접지단자함과 접지극간

은 접지용 절연전선(GV)을 사용한다.

라. 접지선의 최소 굵기는 6 ㎟이며, 연접 접지시 접지선은 동일 굵기로 한다.

10. 접지선 굵기 산정

가. 피뢰기 접지(제1종)

변전실의 피뢰기 접지선 굵기 선정은 다음에 의한다.

∙ S=Is2․tk

S : 소요접지선 굵기(㎟)

Is : 고장전류(A)

k : 절연도체 초기온도와 최종온도로 정해지는 계수

(KS C IEC 60364-5-54 : k = 143)

t : 고장계속시간(22KV계통 : 1.1초) : 한전설계기준2601

∙ 고장전류 ( Is)=520MVA3×22.9kV

=13,110A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4

S=1.1143

×13,110=96.15(㎟)

피뢰기 접지선은 120㎟를 선정한다.

나. 특고압 기기접지(제1종)

특고압 기기의 접지선 굵기는 차단전류를 감안한 피뢰기의 접지선과 동일하

게 120 ㎟로 한다.

다. 변압기 중성점 접지(제2종)

최대용량변압기 1상분 용량을 기준하여 기준자료 3116 (접지선 굵기 선정)

의 규격에 의한다.

․3상 변압기인 경우 변압기 1상분의 용량이라 함은 정격용량의 1/3의

용량을 말한다. 다만, 계산상 소수점이하는 절상한다.

라. 발전기 중성점 접지(제3종)

발전기용 ACB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기준자료 3116 (접지선 굵기 선정)의

접지선 규격에 의한다.

마. 저압기기 접지(제3종)

변압기 또는 발전기중 최대용량의 ACB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기준자료

3116 (접지선 굵기 선정)의 접지선 규격에 의한다.

11. 배관 및 배선

가. 배전반과 변압기 2차 배관은 절연버스덕트로 하며 규격은 설계도면에 의한다.

나. 절연버스덕트 규격선정은 기준자료 3120(절연버스덕트 규격선정)에 의한다.

다. 배전반에서 케이블 인출은 후면 상부로 하여 Wire Duct에 포설한다.

라. 변압기 1, 2차측 모선의 배선은 진동방지용 플렉시블 버스바(Flexible

Bus-Bar)를 사용하며 허용전류는 기준자료에 의한다.

마. 특고압반과 변압기반의 연결은 버스바로 한다. 다만, 특고압반과 변압기반

이 이격 설치되는 경우 특고압용 CNCV-W 케이블을 사용하고, 배관은 아

연도 강제전선관으로 매입 배관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5

1404 예비전원 설비

1. 개요

예비전원설비는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무정전 전원장치로 구성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예비전원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72조 비상용 예비전원의 시설

내선규정 제4168절 예비전원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 등

4. 자가발전설비

가. 설치기준

1) 소방 관련법에 의하여 예비전원 설치의무가 있는 시설

2) 정전 및 사고 시 필요한 급수가압시설 또는 안전시설에 예비전원이 필요한 시설

3) 기타 유지보수 관리상 필요한 경우

나. 발전기의 형식

1) 발전기는 3φ 4W 380V/220V 저압용을 사용하며 고압인 경우는 3φ 3W

6,600V 고압용을 사용한다.

2) 발전기 운전은 정전검출계전기에 의해 한전측과 발전측으로 자동 절체가

가능하고, 각종 보호 장치에 의해 기관정지, 차단기동작, 경보 및 표시가

가능하도록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3) 발전용량 정격은 발전기 기준 연속출력(kW, kVA)으로 표시한다.

4) 발전기와 한전측 전원과의 절체는 자동전환(ATS)방식으로 인터록을 구성한다.

다. 공급부하 대상

1) 급수, 소화, 배수펌프, 전동기부하( 기계실, 펌프실 등), 액화가스 저장시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6

및 오수처리시설 부하

2) 승강기 부하

3) 공용부 전등전열 및 비상조명등

4) 세대 비상전원

라. 발전기출력용량 계산

발 기출력용량은 PG 1, PG 2

, PG 3 값을 계산하여 가장 큰 값을 용량으로

선정한다.

1) PG 1 : 정상운전 상태에서 부하설비의 가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

○ PG 1=P L

ηL×Pf L

×α[KVA]

ηL : 부하의 종합효율

Pf L : 부하의 종합역률

PL : 부하출력의 합계[kW]

α : 부하율, 수용률을 감안한 계수

2) PG 2 : 부하 중 최대의 기동값[kVA]을 가지는 전동기를 기동할 때 허용전

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 용량

○ PG 2= Pm× β ×C ×Xd ×(1- △V )/ △V [kVA]

Pm : 기동[kva]값이 최 인 동기 는 동기군의 출력[kW]

β : 동기 출력[㎾]에 한 기동[kVA]계수 (유도 동기 기동계 에 따름)

C : 기동방식에 따른 계수

Xd : 발 기 정수(발 기 과도 리액턴스)

△V : Pm 동기 투입하 을 때의 압강하율

3) PG 3 : 부하중 용량이 최대인 전동기 또는 전동기군을 마지막으로 기동할

때 필요한 발전기 용량

○ PG 3={P L''-P m

ηL

+P m×β×C×Pf S}× 1COSθ

[KVA]

PL'' : 부하출력의 합계[kW]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7

Pm : 기동값이 최 인 동기 는 동기군의 출력[kW]

Pf S : Pm 동기의 기동시 역률

COSθ : 부하의 종합역률

4) PG 1 및 PG 3

계산식중 부하출력 합계 적용할 때 정전시 부하와 화재시 부

하로 전원공급 대상부하를 구분하여 그 중 큰 값을 적용 계산한다.

가) 정전시 부하 : 공용전등전열, 승강기, 급수펌프, 배수펌프, 세대비상전

원, 기타부대시설 등

나) 화재시 부하 : 승강기, 소화수 펌프, 스프링클러 펌프, 비상등(유도등),

제연설비, 비상콘센트 등(단, 비상등 부하는 공용 전등부하를 포함 적용)

5) 부하입력 환산기준은 기준자료 3113(입력환산), 발전기 부하의 용도별 수

용률은 기준자료 3112(수용률)에 의한다.

6) 발전기 용량 선정은 기준자료 3123(발전기 용량 적용기준)에 의하며 산정

용량을 50kW단위로 선정하고 25kW 미만은 절사, 25kW이상은 직 상위

규격을 선정한다.

7) 발전기 정수 및 전동기 기동계수

발전기 정수 Xd 0.20~0.25

전동기 기동계수 ( β) E

(6.35)

F

(7.2)

G

(8.0)

H

(9.0)

J

(10.1)

K

(11.4)기동방식 Tap 전압 C

직입기동 C=1.0 4.76 5.40 6.00 6.75 7.58 8.56

Y-△기동 C=0.67 3.19 3.62 4.02 4.52 5.08 5.73

리액터

기 동

50% C=0.65 2.38 2.70 3.00 3.38 3.79 4.28

65% C=0.65 3.09 3.51 3.90 4.39 4.93 5.56

80% C=0.80 3.81 4.32 4.80 5.40 6.06 6.84

콘돌퍼

기 동

50% C=0.25 1.19 1.36 1.50 1.09 1.90 2.14

65% C=0.42 2.00 2.27 2.52 2.84 3.18 3.59

80% C=0.64 3.05 3.07 3.84 4.32 4.85 5.47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8

주 : 1) 발전기 정수Xd의 값은 각 범위의 상한 값으로 산출한 것이며 보통

0.2~0.25 선정하며 계산 적용은 0.25로 한다.

2) β 및 C 계수 용량 산정시 적용 : β는 통상 F급(7.2)를 적용하고 C는

Y-△방식은 0.67을 적용하고 리액터 기동은 0.6을 적용 계산한다.

3) 전동기 기동 계급란의 ( )안의 수치는 각 계급의 범위의 중앙값을

채용한 것.

4) 전동기 기동계수 ( β) : 1kW당의 입력[kVA]

5) 일본에서 1984년 폐지된 전동기 기동계수(β) 데이터임을 고려하여

인버터 등 기동방식의 경우 제조사 자료를 이용한다.

8) 발전기 출력 계산식 Data

기 호 내 용 적용값 비 고

ηL 부하의 종합효율 0.85

Pf L , COSθ 부하의 종합역률 0.9

α 부하율, 수용률을 감안한 계수 1

△V Pm 전동기 투입하였을 때의 전압강하율 0.25

Pf S Pm 전동기의 기동시 역률 0.4

주 : 1) ηL , (Pf L , COSθ)적용값은 부하의 특성이 불분명할 경우 0.85 및 0.8을

적용하며 LH 적용은 부하설비의 전자화 및 고효율화에 맞춰 적용값을

0.85 및 0.9를 적용한다.

2) △V 적용값은 일반적으로 0.25이하로 적용하며, 승강기 경우 0.2이하를

적용하며 LH 적용값은 0.25를 적용한다.

3) Pf S 적용값은 전동기의 특성이 불분명할 경우 0.4를 적용한다. 단, LH

적용값은 0.4를 적용한다.

마. 발전기운전반 시설

1) 발전기운전반의 주차단기는 ACB (저압) 4극 또는 VCB (고압) 4극을 사용한다.

2) 계전기 기능과 각종 계측 및 상태감시를 위한 디지털복합계전기를 설치한다.

3) 기타 운전반의 표준부품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각종 경보표시등 및 부저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99

나) 차단기 조작스위치 및 표시등

다) 상용 및 비상용 전원 절체표시등

라) 비상정지 버튼

마) 램프시험, 회로복귀 및 부저정지 버튼

바) 자동전압 조정기

사) 전압․전류절체 스위치

아) 시동․정지 스위치

자) 자동․수동 절환 스위치

차) 회전속도계

카) 운전시간계

타) 기타 필요한 사항

4) 보호장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과속도 및 과전류

나) 윤활유 압력저하

다) 냉각수 온도상승

라) 시동실패

마) 과전압 및 부족전압

바. 배관 및 배선

1) 발전기운전반과 배전반의 절체반 및 발전기운전반과 발전기단자까지는 내

화용 절연 버스덕트를 사용하며 규격선정은 기준자료 3125(발전기 내화절

연버스덕트 규격)에 의한다.

2) 발전기 단자에 내화용 절연 버스덕트를 연결할 때에는 발전기 운전시 발

생하는 진동 흡수를 위해 Flexible Bus-Bar 등으로 연결한다.

사. 기 타

1) 엔진시동에 필요한 축전지 및 충전장치는 별도 설치한다.

2) 발전기 자동운전을 위한 정전신호는 저압반 ATS 상용전원 접점에서 인출한다.

3) 발전기 운전반의 기기용량 및 비상 전원용 배선 선정시는 발전기 과부하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0

용량(정격출력의 110%)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발전기 운전반 및 기기외함 접지는 변전실 기기외함과 연접하여 변전실

접지단자함에서 건물기초접지와 본딩하고 발전기 중성점 접지는 단독으로

변전실 접지단자함에서 건물기초접지와 본딩한다.

5. 축전지 설비

가. 축전지

1) 축전지는 밀폐 고정형 납축전지를 사용하며, KS C 2207 (연축전지용 전

조), KS M 1203 (진한 황산) 규격에 준한다.

2) 전기적 특성

가) 축전지 규격 : 12V 용량 : 상세도 참조

나) 방전전류 : 10시간용 전류

다) 방전 종지전압 : (1.8±3%) V/Cell

라) 부동충전 전압 : 2.23~2.30 V/Cell

※ 다), 라)항은 2V 단전지 특성이며 12V에는 6배를 적용한다.

나. 축전지 및 정류기 용량산출

1) 공급부하대상은 순시 및 상시 부하로 다음과 같다.

가) 순시부하 : 차단기 조작전원, 보호계전기

나) 상시부하 : 배전반 표시등, 변전실 및 중간기계실 비상(직류)등

2) 순시부하는 특고압, 고압 및 저압 차단기의 동시 트립 경우를 고려한다.

3) 용량산출은 기준자료 3117(축전지 및 정류기용량산정)에 의한다.

4) 저층․저압수전지구는 발전기 시동축전지만 선정한다.

6. 무정전 전원장치

무정전 전원장치는 중앙감시반에 적용하며 1413(중앙감시반)에 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1

1405 열병합발전설비

1. 개요

열병합발전설비는 발전기에 엔진을 결합시켜 구동하여 생산된 전기를 한전전원

과 상시 병렬 운전하여 자체 공동주택 단지에 공급하고, 발전 중 발생한 폐열을

난방 및 급탕의 보조열원으로 사용하는 설비를 말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생산된 전기를 단지 내에 자체 공급하고 부수적으로 발생

하는 폐열을 이용하는 소형 열병합발전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사업법 제2조, 제61-63조, 제65조, 제68조, 제73조, 규칙 제44조

전기공사업법 제3조, 제11조, 제27조,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조 별표1

전력기술관리법 제12조

집단에너지사업법시행규칙 제43조

에너지관리공단 설계지침 등

4. 적용기준

1) 주거시설용 전력공급은 열병합발전설비와 한전계통이 병렬 운전될 수 있도

록 구성하며, 병렬운전 시 계통보호는 한전규정 및 지침에 의한다.

2) 열병합발전설비는 전기추종 모드운전으로 구성한다.

3) 중앙감시반에서 열병합발전 및 수전설비의 운전현황 감시가 가능하여야 한다.

4) 발전설비 운전시 소음 및 진동방지를 위한 설비를 하여야 한다.

5) 열병합발전설비 구성은 전력계통 안정, 부하특성, 에너지 이용, 유지관리 등

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계획한다.

6) 발전용 승압변압기(Set-up TR)는 안정권선을 내장한 결선(Y-Y-△)으로 구성한다.

7) 승압용 변압기는 효율이 우수한 기종을 선정하여야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2

1406 옥외 간선설비

1. 개요

각 동별 전력의 배전 계획에 의한 전등․전열 및 동력 간선의 선정, 배관 및 차

단기의 선정 등 설계에 필요한 기준을 규정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등․전열 및 동력 설비의 간선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제209조 고압 옥내배선 등의 시설

내선규정 제3230절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기기의 배선설계

4. 배전계획

가. 사용전압

1) 아파트 전등․전열 : 220V

2) 아파트, 난방, 급수 및 소화 설비 동력 : 380/220V, 380V

3) 부대․복리시설 : 380/220V, 220V

나. 간선의 배전방식

1) 아파트 전등․전열 : 3φ 4W 380/220V

2) 동력설비 : 3φ 4W 380/220V 또는 3φ 3W 380V

3) 부대․복리시설 : 3φ 4W 380/220V 또는 1φ 2W 220V

다. 배선 및 관로 계획

1) 옥외전력간선은 FR-8 케이블 사용한다.

2) 간선의 굵기는 기준자료 3105(허용전류)와 3110(전압강하)를 고려하여 결

정하여야 한다. 다만, 옥외 간선케이블 굵기 설계상한은 240㎟이하로 한

다.

3) 저압옥내 간선을 보호하기 위해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는 그 저압 옥내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3

간선의 허용전류 이하의 정격전류의 것이어야 한다.

※ 전등 및 동력부하(기동전류 큰 부하)가 병용하는 간선의 허용전류에 의한

굵기 산정

(1) Im > I₁ 경우

․Im > 50(A) : I = Im × 1.1 + I₁ (A)

․Im < 50(A) : I = Im × 1.25 + I₁ (A)

(2) Im ≤ I₁ 인 경우

․I = Im + I₁ (A)

Im : 기동전류 큰 부하의 합계

I₁ : 그 밖의 부하의 합계 (전등․전열 등)

I : 간선의 허용전류

4) 관로시설은 1409(공동구설비)을 참조하여 중앙(또는 지역)난방지구는 공동

구내에 케이블 트레이 및 와이어 덕트로 한다.

5. 전등․전열 간선

전등․전열 간선 케이블 굵기는 부하 전류치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으로

선정한다.

가. 저압수전지구

1) 한전변압기에서 각동 주분전반까지의 배관․배선을 말하며 1402(수전설비)

에 의한다.

2) 배전방식은 1φ 2W 220V로 한다.

나. 특고압 수전지구

1) 저압배전반에서 각동 주분전반까지의 배관․배선을 말한다.

2) 배전방식은 3φ 4W 380/220V로 한다.

6. 동력간선

가. 간선은 일반(난방)동력과 비상동력으로 구분한다.

나. 동력계통은 부하단위(중간기계실, 펌프실 등) 별로 회로를 구성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4

다. 승강기용 동력간선의 굵기는 전부하에 의한 전류 및 가속전류 각각에 대하

여 허용전류 및 전압강하를 고려하여야 한다.

라. 지역난방지구의 중간기계실은 난방부하와 비상부하를 1개 회로로 하되, 난

방부하는 발전기용량산정에 삽입하지 않는다.

마. 전동기 부하는 3φ 3W 380V 공급을 원칙으로 하며 단상부하가 1 kVA이상

있는 경우는 3φ 4W 380V/220V로 공급한다.

바. 단상부하가 1 kVA 미만인 경우는 동력반 내 강압기(380V/220V)를 설치하

여 전원을 공급한다.

사. 소화수 펌프용 배선은 전용회로로 구성한다.

아. 통합 경비실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은 해당 동 부하용량에 4 kVA를 가산한

용량으로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5

1407 동력설비

1. 개요

동력설비의 부하설비 및 차단기용량 선정 등 동력설계에 필요한 기준을 수립하

고자 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각종 동력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제174조, 175조, 176조

내선규정 제3100절, 제3110절, 제 3120절

4. 부하산정

가. 전동기 부하는 정격출력에 의한 규약전류로 산정한다.

나. 전동기의 규약전류는 기준자료 3114(전선굵기 선정)를 참고한다.

5. 분기회로 구성

가. 전동기는 1대마다 분기회로를 구성한다.

나. 0.75 ㎾ 미만의 전동기는 1회로에서 공용분기 한다.

다. 전동기의 기동방식은 다음에 의한다.

1) 11 ㎾(15 HP)미만 : 직입기동

2) 55 ㎾(75 HP)미만 : Y-△기동

3) 55 ㎾(75 HP)이상 : Reactor기동

라. 전동기는 과부하로 인한 소손방지를 위하여 과부하전류 보호계전기(디지털

식)를 설치한다.

마.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는 연결된 부하중 최대용량의 전동기 정격전류의 3

배에 다른 전기사용 기계기구의 정격전류 합계치 이하로 한다.

바. 전동기의 부하가 0.1 ㎾(1/8 HP)이하는 콘센트 회로를 구성하며 별도 스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6

치를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사. 공동구 및 중간기계실 등의 전등․전열회로는 별도로 구성하며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아. 전자개폐기의 조작전원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1) 3φ 3W : 별도회로로 구성하며 소형변압기에서 공급한다.

2) 3φ 4W : 전동기 유닛별로 전원을 공급한다.

자. 지역난방지구의 중간기계실(열교환실)에는 열량계용 전원을 다음과 같이 구

성한다.

1) 전원 : 1φ 2W 220V

2) MCCB : 2P 600V 30AF/15AT

(인출은 중간기계실 Main MCCB 1차측에서 한다.)

3) 배관 : 강제전선관

4) 배선 : 600V CV 2.5 ㎟×3C (접지선 포함임)

5) 위치 : 기계실 입구에 가까운 벽 또는 기둥

※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사용 시설기준 참조

6. 동력반 시설

가. 동력반 유닛은 인출형으로 한다. 단, 중층개별난방 지구의 유닛은 비인출형

으로 한다.

나. 유닛은 전동기별로 구성하고 0.75 ㎾미만은 1개 유닛에 2개까지 공용하여

시설할 수 있다.

다. 인출형 동력반의 규격은 1,200(폭)×600(깊이)×2,350(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라. 동력반의 계기부착은 다음에 의한다.

1) 주 차단기반 : 전압계, 전류계

2) 전동기반 : 버튼 및 램프(On-Off-Trip)

3) 기타 계통회로에 따라 자동 및 수동 선택스위치를 설치한다.

4)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계전기(OCR)는 디지털식을 적용한다.

마. 접지선은 25 ㎜ × 6 ㎜t이상의 동으로 하며 점검이 용이하게 하고, 반내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7

접지선이 접속 가능하도록 볼트 및 너트 부착, 연결단자 또는 전선 취부용

연결단자를 설치한다.

바. 동력반 유닛의 최소 높이는 200 ㎜로 한다.

※ 동력반 유닛 규격 참고치

구 분 용 량 유 닛 규 격

◦MAIN100 AF, 225 AF

400 AF, 600 AF

600 ㎜ x 400 ㎜ x600 ㎜

600 ㎜ x 600 ㎜ x600 ㎜

◦직입기동 11 ㎾(15 HP) 미만 600 ㎜ x 200 ㎜ x600 ㎜

600 ㎜ x 300 ㎜ x600 ㎜(액면계전기 설치시)

◦Y-△기동 55 ㎾(75 HP) 미만 600 ㎜ x 600 ㎜ x600 ㎜

◦급·배기팬 600 ㎜ x 200 ㎜ x600 ㎜ (Fan x 2)

◦REACTOR

기동 55 ㎾(75 HP) 이상

600 ㎜ x 600 ㎜ x600 ㎜

(+500 ㎜ : Reactor 취부공간)

사.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60V 초과 기계기구용 전로지락 차단장치 적용기준

구분 적용기준 비고

전동기용

저압전로

정격전류50A

초과중감도형(100,200,500mA) -중간기계실,펌프실,오수

정화조내

-소화수펌프,배수펌프등

전동기의 정지로 2차파

급사고의 피해가 큰경우

와 배기팬은 누전차단기

적용제외

-누전차단기는 고속형임

정격전류50A

이하고감도형(30mA)누전차단기

기타기구용

저압전로

정 격 전 류

100A초과중감도형(100,200,500mA)

정 격 전 류

100A이하고감도형(30mA)누전차단기

7. 배 선

가. 간선 및 사용전선은 FR-8 케이블을 사용한다.

나. 전동기에 공급하는 분기회로의 전선굵기는 다음에 의한다.

1) 정격전류가 50 A이하일 경우는 1.25배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

2) 정격전류가 50 A를 초과할 경우는 1.1배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

3) 전동기 회로의 최소굵기는 2.5 ㎟이상으로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8

다. 전선의 굵기가 240㎟초과하는 경우는 내선규정 1430-11 전선의 병렬사

용, 제2245절 버스덕트 배선에 의한다.

8. 배 관

가. 중간기계실 전등, 팬용 콘센트 및 전동기 배관은 강제전선관으로 노출 배관한다.

나. 전동기의 배관은 개별로 한다. 다만, 2대중 1대가 예비이고 용량이 7.5 ㎾

(10 HP) 이하인 경우는 2대를 1개 배관으로 한다.

다. 1개 배관이 전동기 2대를 공용하는 경우는 조인트 박스를 설치하여 가요전

선관(제2종)으로 기기자체 접속함까지 배관한다.

라. 0.2 ㎾(1/4 HP)이상인 급배기 팬 등은 노출 배관하고 기타 소형기계 기구

는 콘센트 마감을 원칙으로 한다.

마. 배관은 2 m이하 간격으로 행거로 지지한다.

바. 조인트박스는 0.5 m높이에 적절히 고정한다.

9. 접지시설

가. 접지선은 GV전선을 사용한다.

나. 중간기계실등과 같이 조인트박스가 설치되는 경우 MCC에서 조인트박스까지

는 공용접지하며, 조인트박스에서 전동기까지는 개별 접지한다.

다. 접지선 배관은 전동기 전원배관을 이용한다.

라. 접지선 굵기는 기준자료 3114(전선 굵기 선정)에 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09

1408 공동구 설비

1. 개요

공동구의 전등․전열설비 및 래크시설의 설계 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2. 적용범위

공동구에 설치되는 전등․전열 설비 및 래크시설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176조

내선규정 제3315절

4. 전등․전열설비

가. 회로구성

1) 공급전원은 1φ 2W 220V로 전등, 전열 구분하여 공급한다.

2) 공동구내 전등, 전열의 전원은 동LEM 및 주차장,중간기계실에서 구간별로 공

급한다.

3) 동LEM 및 주차장에서 중간기계실구간, 각동 지하실에서 공동구 교차구간에

는 구간별로 3로 또는 4로 스위치를 설치한다.

4) 전등, 전열회로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한다.

나. 배선 및 배관

1) 배선은 HFIX전선을 사용하며 굵기는 다음에 의한다.

가) 전등 : 2.5 ㎟ 나) 전열 : 6 ㎟ 다) 접지선 : 2.5 ㎟

2) 전등, 전열용 배선은 공용 배관한다.

3) 전등, 전열배관은 강제전선관 노출 배관한다.

4) 전등, 전열배관은 기계설비 찬넬 옆면 1.7 m높이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1.2 m높이에 설치한다.

5) 박스는 환형 주물제를 사용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0

6) 배관고정은 3 m이하마다 새들 또는 u-Bolt로 한다.

7) 전등, 전열 설치간격은 다음에 의한다.

가) 전등 : 9 m이하 나) 전열 : 39 m이하

5. 공동구 래크시설

가. 래크의 구성

1) 공동구내 기계설비 맞은편에 수직․수평 찬넬로 구성되며 2 m간격을 표준

으로 설치한다.

2) 찬넬 규격은 41×41×2.6 ㎜t을 사용하고, 공동구 폭 규격을 산정할 경우

에는 41 ㎜를 50 ㎜로 계상한다.

3) 수직 찬넬 고정은 공동구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된 인서트에 고정한다.

4) 인서트 규격은 12 φ로 수직찬넬 상하로 2개소이상 50 ㎝간격으로 고정한

다.

5) 래크의 상하 설치 간격은 전력용은 200 ㎜, 약전용은 250 ㎜, 전화인입은

300 ㎜를 원칙으로 하되, 공동구 폭, 작업 공간 확보, 덕트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상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다.

6) 래크의 수평찬넬 길이는 덕트 또는 트레이 중 최대폭에 50 ㎜를 가산하여

산정한다.

7) 수직찬넬과 수평찬넬(Bracket)은 스프링 너트로 고정한다.

8) Bracket의 길이에 따라 지지보강은 다음에 의한다.

가) 550 ㎜ 이하 : 수직찬넬에 Bracket를 상하로 스프링 너트로 고정한다.

나) 550초과 650 ㎜이하 : 수직찬넬에 Bracket 상부는 스프링 너트로 고정

하고 하부는 L형 Bracket로 보강한다.

다) 650 ㎜ 초과 : 수직찬넬을 양쪽에 설치하여 가)와 같이 고정하고 통로

쪽에 L형 Bracket로 보강한다.

나. 트레이 및 배관시설

1) 케이블은 래크위에 트레이를 설치하여 포설한다.

2) 트레이 규격은 케이블 회선수에 따라 50 ㎜ 단위로 결정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1

3) 트레이 시설은 교차구 및 기계실 부분 등에서 끊기지 않고 연결되도록 한다.

4) 제어선과 약전류용 전선은 와이어덕트에 포설한다.

5) 교차구 및 분기부분에는 필요시 풀박스 또는 덕트를 설치한다.

6) 간선별 케이블은 케이블 타이로 2 m이하 마다 고정한다.

7) 간선별 케이블 포설 간격(이격거리)은 동일간격으로 한다.

8) 트레이, 덕트의 연결부위에는 접지용 본딩을 설치하고 저압반에서 제3종

연접 접지한다.

9) 지하주차장과 공동구 연결부위 덕트 및 트레이 설치는 다음과 같다.

가) 공동구내 전기배관이 1~2단인 경우 (말단구간) : 덕트, (트레이시공)

나) 공동구내 전기배관이 3단이상인 경우 : 풀박스 설치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2

1409 케이블 트레이 공사

1. 개 요

아파트 단지내의 전등․전열 및 비상동력 등의 배선을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재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설계 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2. 적용범위

아파트 단지내의 전등․전열 및 비상동력 등의 배선을 설치하기 위한 알루미늄재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설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194조

내선규정 제2289절

전력산업기술기준 ECD 3000 (준용할 수 있다)

한국산업표준 KS C 8464

주택건설 전문시방서 및 전기 표준상세도

4. 케이블 트레이 및 부속재

가.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5 이상으로 한다.

나. 지지대는 트레이 자체하중과 포설된 케이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

도를 가져야 한다.

다. 배선의 방향 및 높이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부속재 기타 적당한 기구를 갖춘

것이어야 한다.

라. 케이블 트레이 각 연결부위는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하며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마. 케이블 트레이에서 금속관, 합성수지관 등이 연결되는 곳에는 케이블에 압

력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바. 별도로 방호를 필요로 하는 배선부분에는 필요한 방호력이 있는 불연성의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3

커버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사. 케이블 트레이가 방화구획의 벽, 마루, 천장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개구

부에 연소방지시설이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아. 케이블 트레이 및 그 부속재의 규격은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ECD

3000)을 준용할 수 있다.

5. 케이블 트레이 규격

가. 폭 : 케이블 회선수에 따라 최소 150 ㎜부터 50 ㎜ 단위로 선정.

단, 최대폭은 하중등을 감안 950 ㎜로 한다.

나. 직선재 길이 : 3미터 (3미터이상~7미터이하)

다. 가로대(rung)의 간격 : 300 ㎜ 이하

라. Side Rail

구 분 높이(H) 너비(W) 두께(T)

폭 350 ㎜이하Side-Rail 60 20 2.0

Rung 15 30 1.5

폭 400 ㎜이상Side-Rail 60 30 2.5

Rung 15 30 2.0

6. 트레이내 케이블 포설 (전등․전열 및 비상동력)

가. 간선은 트레이용 난연성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비상용간선은 내화배선)

나. 케이블 트레이 내에서는 전선의 접속점이 없어야 한다.

다. 수평으로 포설하는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의 가로대에 견고

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라. 케이블 트레이 포설은 기준자료 3118(케이블트레이 포설 예시)에 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4

1410 옥외조명시설 (보안등, 공원등)

1. 개 요

단지내 조명시설은 건물높이 및 배치, 도로의 폭, 수목의 종류, 조형물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단지환경에 적합하고 쾌적한 조명설계와 차량통행과 보행안전을

고려한 조명설계기준을 수립하여 설계의 합리화와 적정성을 확보함에 있다.

2. 적용범위

본 설계기준은 아파트 단지내 설치되는 옥외조명시설 및 도시기반시설 중 근린

공원, 어린이공원의 조명시설 설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가. 주택건설 전문시방서 60420 “옥외조명설비”

나.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 제33조

다. 시설용도별 옥외조명시설의 조도 : KS A 3011, KS A 3701

라. 옥외조명시설의 조명기구 배치․배열 : KS A 3701

마. 고효율에너지기자재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지경부)

4. 시공한계

가. 옥외조명시설은 저압반의 차단기 2차측으로부터 등주(등기구 포함), 기초,

배관․배선, 핸드홀 설치로 한다.

나. 조경공사중(조경에서 선정한) 조명시설은 다음에 따라 옥외조명공사로 한다.

다만, 등기구 모양선정, 설치위치는 조경설계에 의한다.

1) 조형물에 내장되는 부분의 조명기구 및 배관․배선은 조경공사로 한다.

2) 조형물 외부 및 독립된 조경 조명시설의 등주(등기구 포함), 기초, 배관,

배선, 핸드홀 설치는 옥외조명공사로 한다.

5. 배 관

가. 전선관은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CD-P)을 사용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5

보안등의 배선산정은 교류 단상 2선식의 전압강하식을 적용

전압강하 = 송전단전압 - 수전단전압

e = Vs - Vr = 2․I (R․cosθ + X․sinθ)

여기서, cosθ = 1

표준연동선의 고유저항 ρ =1/58,

동선의 도전율 σ = 97%로 하면

× × × × × × [V]

× × × ×

× × × ×

× [V]

위 식에서,

부하분포의 불균일,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전선의 구간별 부하부담율에 대한 전압강하를

적용하고, 전구간의 전선규격이 다수 종류로 선정되는 경우 시공, 자재구매 등을 고려하여 수정.

나. 지중관로의 매설깊이는 보도 600 ㎜이상, 차도 1,200 ㎜ 이상으로 한다.

6. 배 선

가. 배선은 CV 케이블 2심이며 최소 굵기는 단면적 4.0 ㎟이상으로 한다. 다

만, 저압반에서 최초 보안등까지는 FR-8케이블 4.0 ㎟이상으로 한다.

나. 등주내의 안정기에서 램프 배선은 CV 2.5 ㎟을 사용한다.

다. 회로의 전압강하를 5 % 이내로 한다. 다만, 중층지구, 근린공원, 어린이공

원의 회로전압강하는 변압기 2차에서 주 분전반까지 1~2 %, 주 분전반에

서 부하말단까지 4~5 %로 하고, 변압기 2차에서 부하말단까지 전압강하

합이 6 % 이내가 되도록 한다.

마. 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전선 굵기 산정시는 안정시의 전류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고효율메탈헬라이드램프 및 안정기 사용시 간선 및 차단기의 용량 산정

은 Choke Coil형 안정기의 손실을 감안하고 시동전류(시동시 차단기 Trip 방

지)를 고려한다.

※ 시동전류(정격전류의 1.5배 적용), 역률(0.9)

I = (W × 1.5) / (220 × 0.9)

바. 보안등 회로는 에너지절감을 위하여 상시(A), 격등(B) 회로로 구성한다.

<다중분산부하(조명)의 구간별 전압강하, 배선산정식>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6

부하부담율을 고려한 전압강하식

다중 분산부하에서 전선규격 및 거리당 전압강하가 고루 분포하지 않으면 부분적인 줄(Joule)

열의 누적으로 장기적으로 절연체를 노화시켜 누전 등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다중 분산

부하에서 최적의 전선규격을 선정하는 체감식 배선에 대한 전압강하식을 규정한다.

× ×

× × × × ×

× × ×

×

×선단 또는 말단에서 해당구간까지의 구간거리×구간전류 의 합계

× 총전압강하 이전 구간의전압강하 합 여기서, Ln × In : 당해 구간의 거리 × 전류

∑(*Ln-1 × In-1) : (선단 또는 말단에서 이전구간까지의 거리 × 전류)의 합

∑(Lt × It) : (각 구간의 거리 × 전류)의 총합

e - e' : 총 전압강하( 11 [V]) - 이전구간의 전압강하 합

<다중분산부하(조명)의 구간별 전압강하, 배선산정(예시)>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7

7. 부하구성

<보안등 회로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8

가. 분양, 임대 혼합단지는 관리단위별로 구분하여 시설한다.

나. 회로용 주차단기는 MCCB, 분기차단기는 ELB(누전차단기)를 사용한다.

다. 보안등 1회로는 보안등 10개 이하로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라. 차단기, 전자접촉기 등 개폐기 선정시는 안정시와 시동시의 전류 중 큰 것

을 기준으로 한다.

마. 점멸장치는 현재시간 및 계절, 지역별 일몰, 일출시간이 저장되어 자동, 수

동으로 점소등이 가능한 전자식 자동점멸제어기를 시설한다.

바. 중층 아파트 지구,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1) 장소별로 전원은 1Φ2W 220V로 저압수전 한다. 다만, 부하용량에 따라 3

Φ4W 380V로 수전할 수 있다.

2) 보안등 회로는 별도 전력량계(한전지급)를 설치하고, 1개 가로등 구좌로 한다.

3) 분전반은 자립형(스테인리스)을 설치한다. 다만, 전등 또는 동력과 통합할

경우는 제외한다.

사. 고층 및 초고층 아파트 지구

1) 변전실의 비상동력용 배전반내에서 1Φ2W 220V로 공급한다.

2) 비상용 저압 배전반내에 보안등용 전력량계(한전지급 : 모자계량)를 설치

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다.

8. 조명디자인 컨셉

단지기본계획수립 등 상위계획에 따라서 설계분야별 일관성 (Total Design) 있

게 추진되도록 사전협의하여 지구별 설계 적용하고, 업무흐름상 설계에서 준공

까지는 장기간이 소요되어 단지조경 등 현장여건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현장에

서 지역특성 및 단지계획과 조화롭게 보완한다.

가. 지구별 디자인 컨셉 설정

C : 전통적인 Design (Classical grace Style)

M : 현대적인 Design (Modern Style)

N : 친환경(자연)적인 Design (Natural Style)

F : 미래지향적인 Design (an Image of the Future)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19

E : 기타 (et cetera)

나. 광원의 종류 선정

M : 메탈헬라이드 램프(Metal-Halide Lamp) : 50~400 W(주광원으로 적용)

N : 고압나트륨 램프 (Natrium Lamp) : 50~ 400 W

I : 백열등 (Incandescent Lamp) : 30~100 W

F : 광섬유 조명 (Optical-Fiber Lighting)

L : 레이저 광선 조명(LASER Beam :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Beam)

U : 수중 조명 (underwater lighting)

G : 가스등 (Gas lighting)

E : 기타 (et cetera)

※ 종류 및 광색은 효율, 수명, 연색성을 고려하여 지구별 선정

- 주광색 : 연색성이 좋으므로 전반조명

- 기타 광색 : 강조조명, 경관조명

- 50~100 W : 은은한 경관조명(정원, 수목조명 등)

- 150~200 W : 전반 확산조명(도로, 놀이터, 주차장 등)

- 250~400 W : 조형물, 건물외벽, 체육시설 등의 조명

다. 광원의 높이 선정

1) 도로, 옥외주차장 조명 (Load lighting) 4 m

2) 체육시설, 놀이터 (Sports, play yard lighting) 4~5 m

3) 보행로, 산책로, 조깅코스 (Promenade lighting) 0.2~2.5 m

4) 정원, 전정 (Garden, front yard lighting) 0.2~2.5 m

5) 광장 (Public square lighting) 0.2~5 m

6) 조형물,국기게양대,수목,조경,건물외벽,기타 0.2~5 m

7) 분수, 수경, 벽천 등(waterscape) (-) 1~1 m

8) 기타 (et cetera) 0.2~5 m

※ 광원의 높이(등주높이)는 조명범위, 대상,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0

광원에 의한 글레어(Glare)와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장소별 선정

라. 등주, 등기구 재질 선정

1) 알루미늄다이캐스팅(Aluminum die-casting)

2) 주물강 (Cast-Iron)

3) 스테인리스 스틸 (Stainless Steel)

4) 강관 (Steel Pipe)

5) 기타 (et cetera)

마. 등기구 모양 선정 : Cut-off, Semi cut-off, Non cut-off

1) 정자형 (Pavilion Style)

2) 투광형 (Spot lighting Style)

3) 구 형 (Globular shaped Style)

4) 타원형 (Oval shaped Style)

5) 각 형 (Square shaped Style)

6) 간접조명형 (Indirect lighting Style)

7) 기타 (et cetera)

바. 공종간 업무협의

설계 소위원회를 개최하여 단지계획 등의 디자인 컨셉에 어울리는 조명 디자

인을 도출하고 설계반영

1) 위원회구성 : 각 사업처 단지계획, 조경, 전기담당차장

2) 개최시기 : 실시설계 착수 10일 이내

3) 시행방법 : 단지계획을 기초로 하여 각 공종간 협의

9. 설치장소

가. 설치기준 (광속법)

N x F x U x M = E x A (x D)

여기서, F : 조명기구당 광속의 합(㏐)

A : 단위면적(㎡)

E : 조도 (㏓)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1

D : 감광보상율 (=

, M : 보수율(=0.65))

N : 조명 개수

U : 조명률 (0.25)

나. 시설장소별 설치기준

1) 단지내 도로

․ 평균조도 : 3 ㏓ (면적 약 750 ㎡/기, 약 30 m 간격)

․ 등주높이 : 4 m

․ 광 원 : 메탈헬라이드 150 W

․ 등 기 구 : 세미 컷오프

․ 등주형태 : 보안등주

2) 체육시설 및 놀이터

․ 평균조도 : 6 ㏓ (면적 약 350 ㎡/기, 약 20 m 간격)

․ 등주높이 : 4 m (놀이기구 등을 고려 높이 조정)

․ 광 원 : 메탈헬라이드 150 W

․ 등 기 구 : 세미 컷오프

․ 등주형태 : 보안등주, 투광등주, 타워형 등

3) 지상 주차장

․ 평균조도 : 2 ㏓ (면적 약 1100 ㎡/기, 약 38 m간격)

․ 등주높이 : 4 m

․ 광 원 : 메탈헬라이드 150 W

․ 등 기 구 : 세미 컷오프

․ 등주형태 : 보안등주

4) 단지 진입구, 진입광장

․ 평균조도 : 10 ㏓ (면적 약 220㎡/기, 약 15 m간격)

․ 등주높이 : 4 m

․ 광 원 : 메탈헬라이드 150 W

․ 등 기 구 : 세미 컷오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2

․ 등주형태 : 보안등주, 문주등, 열주등, 타워형 등

5) 산책로, 정원, 이와 유사한 장소

․ 평균조도 : 1 ㏓ (면적 약 250㎡/기, 약 15 m간격)

․ 등주높이 : 1 m (주변 환경에 따라 조정)

․ 광 원 : 전구식형광등 23 W

․ 등 기 구 : 세미 컷오프, 컷오프, 실루엣 등

․ 등주형태 : 산책로, 정원, Floor-lighting 등

6) 조형물(조각), 국기게양대

․ 평균조도 : 20 ㏓ (조형물/기, 조형물 형태에 따라 협의)

․ 광 원 : 메탈헬라이드 150 W, 기타

․ 등 기 구 : 세미 컷오프

․ 등주형태 : 투광등(Up-light, Down-light)

7) 기타 장소(수경시설, 건물외벽, 옥탑, 경관조명 등)

․ 목적물의 디자인 컨셉 등을 고려하여 조도, 광원, 등기구 등을 정한다.

․ 지하저수조출입구, 오수처리시설출입구, 지하주차장출입구, 쓰레기소각

장, 수거함 주위 및 지상구조물 주위에는 보안등을 설치한다.

․ 단지의 외곽 경계 부분에 조명을 고려한다.

다. 기타 고려사항

1) 단지전체 평균조도는 약 4 ㏓가 되도록 등수를 배치하되(보안등, 산책로,

정원 등 포함) 단지의 경관 등 디자인 컨셉에 따라 조정한다.

2) 등기구 배치시 구조물의 경관, 수목의 생장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3) 배광의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배치한다.

4) 아파트 세대 발코니 전면배치는 지양하고 조명이 직접 세대내로 투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적정거리이격, 알루미늄증착, 컷오프 등)

5) 주택단지안의 폭 15 m이상인 도로의 경우에는 도로 양측에 보안등을 설

치한다.

6) 보안등에는 외부의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켜지고 꺼지는 장치 또는 시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3

조절장치(24시간 정전 보상형)를 부착한다.

7) 간격은 원칙적으로 설치높이의 5배 이하의 거리로 한다.

8) 차량 동선인 경우(주차장, 도로 등) 경계석에서 일정거리 이격하여 녹지(약

1 m)에 설치한다.

9) 등주는 가급적 일렬 배열한다.

10) 보안등주에는 접지단자를 시설하고 제3종 개별접지하며, 각 보안등간에

회로별 연접 접지한다.

10. 태양광 가로등(보안등)

가. 태양전지를 이용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저장한 후 야간

에 점등하는 태양광 가로등(보안등)을 계획할 수 있다.

나. 태양광 가로등(보안등)의 설치 위치는 어린이놀이터, 산책로, 운동시설 등을

기준으로 계획하되, 단지 내 동 건물 등 태양광 장애물의 배치 상태 및 태

양전지의 발전효율성(남향이 최적)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다. 날씨 등으로 인한 태양광발전 불가능을 고려하여 상용전원으로 조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한다.

11. 근린공원 및 어린이공원의 보안등 시설은 다음에 의한다.

가. 근린공원 및 어린이공원은 단지내 보안등 시설에 준한다. 다만, 사업승인조

건 및 지자체와 협의에 따라 조정한다.

나. 공원 출입구 부근에 설치한다.

다. 화장실 출입구 부근에 설치한다.

라. 공원 이용자가 휴식할 수 있는 파고라, 의자 부근에 설치한다.

마. 조경시설물 및 식재 배치 등을 참고하여 수목 등에 가리지 않도록 적정한

위치에 설치한다.

바. 소요등수를 계산 후 적정위치에 설치한다.

사. 에너지사용계획 등에 의한 태양광 보안등을 계획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4

1411 옥외조명시설 (가로등)

1. 개 요

도로에 적절한 조명시설을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원활한 교통소통에 기여

하며, 도로이용 효율의 향상, 차량운전자의 불안감 제거와 피로감의 경감, 보행

자의 불안감 제거, 범죄의 방지와 감소 등을 도모함에 있다.

2. 적용범위

본 설계기준은 도시계획 도로상의 가로등공사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가. 도로의 분류 : 도로계획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제8조 3항

구 분 폭 원

광로

1류 70 m이상

2류 50 m이상 70 m미만

3류 40 m이상 50 m미만

대로

1류 35 m이상 40 m미만

2류 30 m이상 35 m미만

3류 25 m이상 30 m미만

중로

1류 20 m이상 25 m미만

2류 15 m이상 20 m미만

3류 12 m이상 15 m미만

소로

1류 10 m이상 12 m미만

2류 8 m이상 10 m미만

3류 8 m미만

※ 도로의 폭은 차도, 갓길, 분리대 보도 등을 말한다.

나. 도로터널 조명시설 설계기준 : 국토해양부

다. 시설용도별 옥외조명시설의 조도 : KS A 3011, KS A 3701

라. 옥외조명시설의 조명기구 배치․배열 : KS A 3701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5

4. 도로조명의 종류

가. 가로등 : 도로 폭 12 m이상의 공공도로에 시설하는 도로조명을 말한다.

나. 보안등 : 도로 폭 12 m미만의 공공도로에 시설하는 도로조명을 말한다.

다. 보행등 : 공공도로의 보행자의 편리와 지역의 특수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설

치하는 조명등을 말한다.

5. 광원의 선정 (기준자료 3127 참조)

도로조명에 사용하는 광원은 고압나트륨램프 설치를 원칙으로 하되 관련지자체

와 협의하여 선정하도록 한다.

6. 조명기구 배열방식 (기준자료 3128 참조)

가. 편측배열 : 차도 폭이 등주의 높이와 같거나 좁을 때

나. 지그재그 배열 : 차도 폭이 등주의 높이에 비해 1배와 1.5배 사이일 경우

다. 마주보기 배열 : 차도 폭이 등주의 높이보다 1.5배 이상일 경우

라. 중앙배열 : 각각의 도로에 편측 배열된 것으로 본다(중앙분리대가 있는 경우)

마. 교차로 배치

1) T자로 2) +자로

3) Y자로 4) 곡선부 : 곡선부에서는 곡선 외측에 편측배열 하도록 한다.

7. 설치기준

가. 조명기구의 높이 및 간격

배 열컷오프형 세미 컷오프형 논 컷오프형

H S H S H S

편 측 배 열

지 그 재 그 배열

양 측 및 중 앙 배 열

1.0W이상

0.7W이상

0.5W이상

3H이하

3H이하

3H이하

1.2W이상

0.8W이상

0.6W이상

3.5H이하

3.5H이하

3.5H이하

1.4W이상

0.9W이상

0.7W이상

4H이하

4H이하

4H이하

1) 컷오프형(Cut-off) :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눈부심을 엄격히 제

한한 배광으로서 아주 중요한 도로에 적용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6

2) 세미 컷오프형(Semi cut-off) : 눈부심을 어느정도 제한한 배광으로서 비

교적 주변이 밝은 도로에 적용한다.

※ 시가부(市街部)에서는 일반적으로 세미 컷오프형을 사용한다.

3) 논 컷오프형(Non cut-off) : 눈부심에 대한 고려를 적재한 배광을 말한다.

4) 도로종류별 조명기구 배열방식

구 분 도 로 비 고

‧ 편측배열

‧ 지그재그배열

‧ 마주보기배열

15 m이하

15 초과~25 m이하

25 m초과

나. 조도, 경간 계산 (표 1410-3 참조)

등주간격 경간 ×××××

( 세미 컷오프형 =< 3.5H )

조도 ×××

××××

R : 차도의 폭, W2=아암길이-(연석(0.4m), W1=R-보도폭-W2

H : 광원이 높이

F : 광속

K : 평균조도환산계수 (㏓/nt) (일반도로 기준 휘도 L=1nt임)

N : 조명기구 배열에 의한 계수

(편측, 지그재그배열=1, 마주보기배열=2)

U : 조명률

M : 보수율 (0.65)

P : 비율 (차도폭/조명기구 높이)

8. 가로등 등주 간격 산출(예시)

가. W : 차도폭(m) W1 : 광원에서 차도측까지의 거리

W2 : 광원에서 보도측까지의 거리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7

나. H :등주높이(m)-도로면에서 광원까지의 높이

다. 차도측비율 차도측비율

라. U : 조명률 (U1 : 차도측 조명률 U2 : 보도측 조명률)

마. F : 광원의 광속(㏐)

바. E : 도로면에 필요한 최소 조도()

사. M : 보수율(0.65)

아. S : 등주간격(m)

FU=DAE, A=S×W, D(감광보상률)=1/M

S= F×U×MW×E

(m) (단, S≧3.5H)

자. 검산

E=F×U×MW×S

(㏓)

9. 제어반 회로 구성

제어반은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8개 이하의 분기회로로 구성하며, 회로별 10등

이내로 구성 한다.

10. 태양광 가로등

가. 도로 조명시설로 태양광 가로등을 계획할 수 있다.

나. 태양광 가로등은 1410(옥외조명시설)에 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8

1412 교통신호기 시설

1. 개 요

도로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도로이용 효율의 향상, 차량운전자, 보행자의 시인

성 확보와 불안감 제거 등을 도모함에 있다.

2. 적용범위

본 설계기준은 도시계획 도로상의 교통신호등공사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가. 도로의 분류 : 도로계획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제8조 3항

※ 도로의 폭은 차도, 갓길, 분리대 보도 등을 말한다.

나. 교통체계효율화법

다. 교통신호기설치․관리메뉴얼 : 경찰청

라. LED 교통신호등 표준지침 : 경찰청

마.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

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규격서

사.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표준지침

4. 시설기준

가. 신호기의 종류

1) 일반교통신호기

일반교통신호기는 인접 교차로의 운영을 고려하지 않고 그 교차로만의교통

류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2) 전자교통신호기

중앙컴퓨터에 의해 지역 내의 신호등 전 체계를 운영, 감독, 통제하므로써

신호운영에 효율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도로망내의 교차로 신호기를 연

동시키는데 사용하면 효과적이고, 간선도로 연동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29

3) 실시간 제어 관련 기능 권고 규격

실시간 교통신호제어시스템이 구축된 관제센터에 연결 및 제어용으로 사용

될 때 필요한 기능을 말한다.

4) 제어기의 제어방식과 용도별 적용범위는 다음과 같다.

제어용도

범위일반제어기 전자제어기

실시간 제어 관련

기능 권고 규격

MCU

CPU보드

전원장치

CPU보드

전원장치

모뎀

CPU보드

전원장치

모뎀

검지기보드, 옵션보드

SCU

컨트롤러

점멸기,LSU

컨트롤러

점멸기,LSU

컨트롤러

점멸기,LSU

확장보드

기능적용범위지역TOD제

어 한정

모든 지역제어기능

중앙 TOD 제어 한정

모든 지역제어기능

모든 중앙제어기능

적용 용도

지방/교외부

독립교차로

독립 또는 관제센터

연결되는 연동, TOD

제어 교차로

항상 관제센터와 연결되

는 실시간 제어교차로

5) 일반제어기와 전자제어기의 용도는 관할경찰서(설치 수요처)에 따르며, 정

해진 용도에 맞는 구성을 취할 수 있고, 지정된 구성품들과 관련된 기기

및 기능사항은 모두 준수되어야 한다.

6) 단, 실시간 제어능력이 있는 센터에 연결, 제어되어 실시간 운영이 요구되

는 경우에는 권고규격을 포함한 모든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7) 실시간 제어기의 기능중 다음사항은 모든 제어기에 적용

․원격 운전 기능

․중앙제어모드(Online Mode)

․앞막힘제어 관련기능

․검지기의 신호 처리

․검지기 상태 판단

․검지기 정보의 작성

․중앙 시스템 프로토콜

․기타 실시간 제어 관련 기능을 위해 필요한 제반 기능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0

8) 기타세부 내용은 「경찰청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에 의함

나. 설치기준

교통신호기는 지구별 교통영향평가서의 설치위치와 아파트 진․출입부위, 등에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관할지자체와 협의후 조정한다.

1) 차량신호기

․기준 1(차량교통량) : 평일의 교통량이 아래 기준을 초과하는 시간이 모두

8시간 이상일 때

접근차로수 주도로교통량(양방향)(대/시간)

부도로교통량(교통량이 많은 쪽)(대/시간)주도로 부도로

1

2 이상

2 이상

1

1

1

2 이상

2 이상

500

600

600

500

150

150

200

200

․기준 2(보행자교통량) : 평일의 교통량이 아래의 기준을 모두 초과할 때

차량교통량(8시간, 양방향 : 대/시간)

횡단보행자(1시간, 양방향, 자전거 포함 :

대/시간)

600대 150명

․기준 3(통학로) : 어린이보호구역내 초등학교 또는 유치원의 주출입문에

서 300미터 이내에 신호등이 없고 자동차 통행시간 간격이 1분이내인 경

우에 설치하며, 기타의 경우 주출입문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횡단

보도에 설치

2) 보행자신호기

․차량신호기가 설치된 교차로의 횡단보도로서 1일중 횡단보도의 통행량이

가장 많은 1시간 동안의 횡단보행자가 150명을 넘는 곳

․번화가의 교차로, 역전 등의 횡단보도로서 보행자의 통행이 빈번한 곳

․차량신호만으로는 보행자에게 언제 통행권이 있는지 분별하기 어려울 경우

․차량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

․어린이보호구역내 초등학교 또는 유치원의 주출입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1

위치한 횡단보도

3)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시각장애인 밀집거주지역, 시각장애인 영구임대주택 지역 등

․시각장애인 이용시설 주변(사회복지관, 수용시설, 기타 사회복지시설 등)

․시각장애인 교육기관 및 학원 주변

․시각장애인 직장 밀집지역(관광호텔, 안마시술소 등)

․전철, 철도역, 여객터미널 주변 등

․국가, 지방자치단체 청사등 공공건물 주변

․기타 시각장애인 단체에서 요청하는 장소

4) 보행신호등 보조장치(구 잔여시간표시장치)

․왕복 6차로 이상인 도로 중에서 보행자 통행이 빈번하고 보행자 횡단사고

가 잦은 횡단보도

․왕복 6차로 미만의 도로라도 교통안전상 부득이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관할 경찰기관 관계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설치

5) 가변형 가변등

․일자 또는 시간에 따라 교통량의 변동이 많은 간선도로 중 가변차로로 지

정된 도로구간의 입구, 중간 및 출구에 설치

6) 경보형 경보등

․학교앞 300m 이내에 신호등이 없고, 통학시간의 차두시간 간격이 1분 이

내인 경우에 설치

․다른 신호기가 설치되지 아니하고 차량통행이 빈번한 횡단보도에 설치

․차량통행이 빈번한 철길건널목에 설치

다. 신호기 설치장소

신호등은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적절한 시계 내에서 계속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며, 설치장소는 접근 방향별로 최소한 2개의 신호등면을 교차

로 건너기전 정지선과 황단보도사이 및 교차로 건너편에 설치 하여 접근차

량이 계속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차량이 정지선에 도달하기 이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2

에 신호등을 시인할 수 있어야 하며, 최소거리(정지선까지 거리)는 차량의

접근속도에 따라 다음과 같다. (지구별 교통영향평가서를 참조한다.)

1) 정지선까지의 최소 가시거리

85% 주행속도

(km/h)30 40 50 60 70 80 90 100

최소 가시거리

(m)35 50 75 110 145 165 180 210

2) 신호등면은 정지선으로부터 전방 5~40 m범위에 위치해야 한다.

3) 신호등면은 진행방향으로부터 좌우 각각 20°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4) 2개의 신호등면은 2.4 m이상 떨어져야 한다.

5) 교차로 건너편의 신호등이 정지선에서 40 m보다 더 멀리 있는 경우에는

교차로 건너기 전 위치에 추가로 신호등을 설치한다.

6) 신호등은 주행선 중앙녹지 등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보행자신호등 높이는 보도의 노면으로부터 신호등 하단까지 2~3 m로 한다.

8) 신호등은 양면으로 설치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9) 경보등은 장애물의 하부 또는 전방에 설치하며 중앙주식으로 도로 중앙에

설치해서는 아니된다.

10) 가변차로의 가변형 가변등은 250 m간격으로 설치하며 신호등이 설치된

교차로에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변형 가변등을 설치하지 말아야한다.

11) 제어기는 평상시 자동으로 제어 운영되어야 하나 특정 교통상황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하므로 교차로 부근에 설치하고, 설치장소는

각 유입부의 교통류가 잘 보이는 장소, 제어되는 신호등을 많이 볼 수 있

는 장소, 제어기 점검 및 고장수리시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소, 교통사고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소 등에 설치 한다. 차

량검지기는 검지목적 및 방식에 따라 차도, 노측, 도로 상류부 또는 측면

에 설치한다.

12) 차량신호등의 설치높이는 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그 하단이 450㎝이상,

500㎝이하에 위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3

13) 계속해서 신호등을 볼 수 없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대해서는 신호기 주

의표지, 경보등 또는 신호등면을 추가로 설치한다.

․정상적으로 설치된 신호등의 시인성 확보가 어려운 곳, 운전자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곳, 대형차량 혼입률이 높은 곳

14) 보행등의 설치위치는 횡단중인 보행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보행자 진행

방향 우측에 설치한다.

15)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고, 보행자의 수가 적어 보행자 신호등을 설치할 필

요성은 적으나 보행자가 반드시 도로를 횡단해야 하는 경우에는 보행자작

동신호기를 설치한다.

16) 보행자작동신호기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와 함께 설치되어서는 아니된다.

17)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설치장소

․교차로의 형태, 지주의 위치등을 고려하여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

․음향발생장치는 각 신호기마다 독립식으로 설치

․음향발생장치와 버튼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설치

․압버턴 장치는 1m 내외의 높이로 설치

라. 신호등면의 수

보행자 신호등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신호등은 정지선상에서

운전자가 고개를 움직이지 아니하고 볼 수 있는 가시범위내 최소한 2면에

서 5개면의 신호등을 설치한다. 신호등면의 수는 접근로 폭과 횡단교차로의

직선거리(정지선에서 신호등까지) 등에 의하여 결정하며 기준자료3129(교통

신호기 설계기준)를 참고한다.

마. 신호등의 배열순서

1) 신호등은 횡형(수평) 또는 종형(수직)으로 배열하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

신호등 종류 횡형(수평배열) 종형(수직배열)적색,황색,녹색화살,녹색 왼쪽부터 적,황,녹화,녹 위로부터 적,황,녹화,녹적색,황색,녹색 왼쪽부터 적,황,녹 위로부터 적,황,녹적색,녹색 왼쪽부터 적,녹 위로부터 적,녹적색×,녹색화살 왼쪽부터 적×,녹화 설치할 수 없음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4

2) 보행등은 종형(수직)으로 배열하며, 순서는 위로부터 적색,녹색의 순서로 한다.

바. 신호등의 등화순서

1) 신호등의 등화순서는 적색→녹색→황색→적색을 원칙으로 한다.

2) 보행등의 등화순서는 녹색→녹색점멸→적색의 순서로 한다.

사. 검지기

1) 현장의 교통상태를 검지하여 교통신호제어에 이용할 수 있는 교통정보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현장여건에 따라 시설한다.

2) 종류는 전기유도식 루프검지기, 초음파검지기, 초단파검지기, 적외선검지

기, 화상검지기가 있다.

아. 신호제어

1) 제어방법은 인접교차로와의 간격, 주 교통류의 교통량 대소등을 종합적으

로 검토하여 판단한다.

2) 분류기준에 따라 독립교차로 신호제어, 연동신호제어, 지역연동방식, 중앙

연동방식, 고정시간제어, 실 시간교통대응제어등으로 분류한다.

5. 회로 구성

가. 제어반은 교차로 마다 설치를 원칙으로 한다.

나. 제어반의 인입은 1Φ 2W 220V로 공급한다.

다. 제어반은 교통흐름을 원활히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내장하여야 하

며, 구성품은 함체, 수동조작부, 주제어기, 신호등 구동부, 모순 검지부 및

점멸부, 등기배선 및 단자판 등이 설치되어야 한다.

6. 배관 및 배선

가. 배관

1) 전선관은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CD-P)을 지중 매설하되 직경 100 ㎜ 이

상은 피상형 경질 폴리에틸렌전선관(FEP)을 사용하며, 부속품은 해당규격

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지중관로의 매설깊이는 보도 600 ㎜ 이상, 차도 1,200 ㎜ 이상으로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5

3) 도로 횡단시 배관은 예비공관을 시공하여야 한다.

나. 배선

1) 제어함에서 각각의 설비까지의 케이블 및 최소규격은 다음과 같다.

가) 신호등 : CVV 1.5 ㎟ × 5C

나) 보행등 : CVV 1.5 ㎟ × 5C

다) 연동신호시 인접 제어반 : CVV 1.5 ㎟ × 2C

2) 한전인입에서 제어함까지 전원선은 CV 전선을 사용한다.

7. 지주 및 부착대 설비

가. 신호등 지주 및 부착대의 설치기준

지주

기준

차량등지주

(267.4)

차량등지주

(216.5)

차량등지주

(216.5)

보행등지주

(216.5)

지 주 높이 8 m 8 m 8 m 4 m

부착대 설치

높이 및 길이

높이

길이

6 m

11 m

6 m

9 m

6 m

7 m없 음

※ 지주는 지상에서 2.5m까지 스티카가 붙지 않는 도료로 도색하여야 한다.

나. 신호등 기초 콘크리트의 크기 : 표준상세도 참조

8. LED(Light Emitting Diode) 신호등

경찰청 LED(Light Emitting Diode) 교통신호등 표준지침(경찰청 교통관리관실)

에 따른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6

1413 중앙감시반

1. 개요

승강기, 수변전설비, 소방설비, 태양광발전시스템(설치하는 경우) 등의 작동 상

태를 일괄적으로 중앙감시반에서 감시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설계 기준을 수립

하고자 한다.

2. 중앙감시반의 구성

가. 중앙감시반은 승강기 및 전력계통 감시등으로 구성한다.

나. 감시반 구성은 컴퓨터 본체(PC), LCD 모니터, Key board, Mouse, Printer

및 무정전 전원장치로 이루어지며, 현장과의 입․출력은 제어신호 전송장치

(DDC : Direct Digital Controller) 제어기 및 디지털복합계전기, 디지털파

워메타(Digital Power Meter)로 한다.

다. DDC는 각동 승강기 기계실에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1) 승강기 DDC는 승강기의 각종 감시․제어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2) DDC는 승강기별로 각각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시방서에 정한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경우에는 승강기 2대 이상의 제어신호를 전송

하는 복합 DDC를 사용할 수 있다.

3) 변전실 특고압반(VCB반) 및 저압반(ACB반)의 디지털복합계전기, 디지털

파워메타(Digital Power Meter)는 전력계통의 상태감시, 계측, 오수처리시

설의 만수위경보 신호 등을 입․출력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라. 중앙감시반에 신뢰성 있는 양질의 AC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무

정전 전원장치(UPS)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한다.

1) 중앙감시반의 입력전원은 220V로 하고 계통자체 필요전원을 10분 이상

공급한다.

2) On-Line CVCF방식으로 AVR 기능 및 축전지 보호기능, 과전압․과전류 보

호 및 순간 정전경보장치, Surge 및 Noise 방지기능을 내장하여야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7

마. 컴퓨터 본체 (PC), LCD 모니터, Key board, Mouse 및 Printer는 별도 책

상에 설치한다.

바. 기기접지 (FG) 및 신호선접지 (SG)는 각각 단독 3종 접지를 한다.

사. 중앙감시화면은 중앙 감시반화면 구성 및 운영지침서에 의한다.

3. 중앙감시반의 기능

가. 감시기능

1) 각종설비의 상태감시

2) 각종설비의 경보감시

나. 제어기능 : 승강기 운전제어(홀․짝수 운전, 기준층복귀)

다. 계측 및 표시기능

1) 각종 계기의 계측 및 적산

2) 각 설비의 상태 및 경보 표시

3) 주 컴퓨터의 고장시에도 운전기록은 현장 DDC에 저장되어야 하고, 복귀

시에는 주 컴퓨터로 데이터전송이 가능토록 한다.

4) 정전 시에도 운전 데이터는 보존되어야 한다.

라. 기록기능

1) 시간별 상태, 조작 및 경보의 기록

2) 각종 계측치 및 적산치의 시보, 일보, 월보 작성

3) 고장 또는 경보시 자동 기록

4. 배관․배선

가. 아파트내 약전단자함에서 승강기 제어반까지의 승강로 배선은 STP Cat.5E

이며 승강기공사에 포함한다.

나. 아파트내 동단자함에서 약전단자함까지의 배선은 UTP Cat5e 0.5㎜ x 4페

어 x 2 x 승강기대수로 한다.

다. 아파트내 동단자함에서 MDF실까지의 배선은 비상통화 및 중앙감시반용으

로 UTP Cat3 0.5㎜ x 8페어(비상통화-4페어,감시제어-4페어) x 승강기대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8

수이며 구내통신간선에 포함하여 산정한다.

라. MDF실에서 중앙감시반까지의 배선은 UTP Cat5e 0.5㎜ x 2페어 x 승강기

대수 로 산정한다.

마. 주컴퓨터와 디지털복합계전기, 디지털파워메타(Digital Power Meter)간의

통신방식은 직렬통신방식(최종단 DDC로부터 주컴퓨터까지 1회선)이며 통

신선로는 UTP Cat5e 0.5㎜ x 4페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바. 현장과 디지털복합계전기 및 디지털파워메타(Digital Power Meter)까지의

배선은 다음과 같다.

1) 차단기 On-Off 및 계전기 동작상태 감시, 누전경보(ELD)용 배선 : CVV 1.5㎟

2) 계측용 배선 : CVV-S 1.5㎟

3) 오수처리시설 경보용 배선 : CVV 1.5㎟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39

1414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1. 개요

아파트단지내 차량 출입을 통제하며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입․출차정보

를 세대내에 통보할수 있는 설계기준을 정함에 있다

2. 적용범위

가. 아파트 단지내 주출입구 및 부출입구의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계에 적용한다.

나. 적용요건 판단기준

1)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치위치는 주도로에서 단지내 출입구도로까지 6m이

상 확보하여야 한다.(그림1)

2)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치공간을 위해 차선폭은 6.5m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그림2)

3)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치공간을 위해 차량동선은 3.8m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그림3)

3. 적용규준(관련근거)

전기공사업법 시행령 제2조2항(별표1)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제2조2항(별표1)

4. 기기의 구성 및 설치

가. RF 카드리더기(Card Reader)

이 기기는 RFID 안테나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가 전방

4~6m 거리에서 자동 인식되어 차량 차단기가 자동으로 열려 통과할 수

있는 By-pass 기능이 작동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나 . RF 컨트롤러(Controller)

정기주차권 차량의 실시간 정보 조회와 정상 유무를 판단하며, RF 카드리

더기(Card Reader) 및 차량차단기와 연계되어 차량의 출입시 자동으로

Open/Close 신호를 발생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RFID CARD의 등록ㆍ삭제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0

다. RF 카드

RF 카드는 고유ID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이 있으며, RF 카드리더기

(Card Reader)와의 수신주파수는 900㎒ 대역을 사용한다.

라. 차량차단기

1) 입구 및 출구에서 차량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2) 차단기 개방신호에 의해 신속하게 암(Arm)을 개방하고 차량이 차단기에서 완

전히 빠져나가면 루우프 검지에 의해 암(Arm)이 자동으로 Close되어야 한다.

3) 암(Arm)이 내려오는 도중에 후미차량이 루우프코일(Loop Coil)에 감지되면

차량의 보호를 위해 자동으로 Open되는 리바운딩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마. 차량출입통제 서버

1) 모든 Local 기기를 원격감시 및 제어하며, 기초 운영정보를 Local 기기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2) 각 Local 기기와 통신으로 데이터(Data)를 수집하여 각종 집계, 통계 관리

및 인쇄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설정된 운영정보는 자동으로 Local 기기에 전송되어 각 기기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어야 한다.

4) 정기권 관리는 그룹별/개인별로 관리 및 상태변경 등을 할 수 있으며 입주

자의 인적 사항을 입력시킬 수 있어야 한다.

5) 일간집계, 월간집계, 연간집계 등을 산출하여 효율적인 주차장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6) 입주자 정기차량이 정기권 인식기를 통과하여 입ㆍ출차 하였을 때 홈네트

위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세대에 자동으로 통보하여 세대 내에서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

바. 루우프코일(Loop Coil)

이 기기는 차량 검지기로부터 일정한 고주파 신호를 받아서 코일 주변에 자

기를 형성시켜 차량통과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사. 차량출입용 공동현관기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1

아파트 방문객 또는 상가고객 등 주차장 이용목적에 따라 효율적인 출입통

제를 위해 관리소와 상호통화가 가능하여 신속한 주차유도를 하여야 한다.

아. 수동 ON/OFF 스위치

아파트 방문객 또는 시스템 고장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자동차단기를 수동

으로 ON/OFF 해줄 수 있는 스위치이어야 한다.

자. 설치

1) 루우푸코일의 매설깊이는 콘크리트 마감면에서 30∼50㎜ 이내로 시공하여야 한다.

2) 루우프코일은 철근과 100㎜ 이상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3) 검지기 박스의 설치높이는 박스하단 1500㎜로 한다.

5. 배관 및 배선

1) 전용선 통신(RF 컨트롤러↔차량출입통제 서버)은 UTP(Cat5e) 케이블을 사용한다.

2) 배관공사는 전기설비 기준자료 3107(배관굵기산정) 자료에 준용하여 전선

관의 굵기(케이블 점적율의 32% 이하)를 설계한다.

ㅇ 그림1

- 내 용 :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치위치가 주도로에서 단지내 출입구 도로 까

지 6m 미만시 외부방문객(RF카드 미장착)차량으로 인한 주도로 차량흐름 방해

ㅇ 그림2

- 내 용 :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치시 차선폭 6.5m 이하로 단지계획시 시스템설치곤란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2

ㅇ 그림3

- 내 용 : 부출입구의 차선이 3개차로일 경우 차량출입통제 시스템 설치위치

조정 차량동선 확보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3

1500 엘리베이터설비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4

1500 엘리베이터 설비

1501 승객용 엘리베이터

1. 개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설계에 필요한 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승강기검사기준

한국산업규격 KS B ISO 4190-1

4. 규격산정

가. 엘리베이터의 내부규격은 KS B ISO4190-1 부속서에 의거 다음 규격으로 설계 한다.

인승 적재하중(㎏) 내부치수(폭 × 안길이) 유효 출입구 (폭 × 높이)

11 750 1400 × 1350 800 × 2100

13 900 1600 × 1350 900 × 2100

15 1000 1600 × 1500 900 × 2100

17 1150 1800 × 1500 1000 × 2100

20 1350 1800 × 1700 1000 × 2100

나. 아파트에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인승규격은 동별 세대조합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5

1) 2004년 7월 이전 사업승인신청지구 적용

구 분 2호 3호 4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11호

10 층 13 13 13 15 15 15 17 17 17 15+13

11 층 〃 〃 15 〃 〃 17 〃 15+11 15+13 〃

12 층 〃 〃 〃 〃 15+11 15+11 15+11 15+13 〃 〃

13 층 〃 〃 〃 〃 〃 〃 15+13 〃 〃 〃

14 층 〃 15 〃 17 〃 15+11 〃 〃 〃 〃

15 층 〃 〃 〃 〃 15+11 15+13 〃 〃 〃 〃

16 층 〃 〃 17 〃 〃 〃 〃 〃 〃 15+15

17 층 〃 〃 〃 〃 15+13 〃 〃 〃 15+15 15+17

18 층 〃 〃 〃 15+11 〃 〃 〃 〃 15+17 〃

19 층 15 〃 〃 〃 〃 〃 〃 15+15 〃 15+15+11

20 층 〃 〃 〃 〃 〃 〃 15+15 15+17 15+15+11 〃

21 층 〃 17 15+11 15+13 〃 〃 〃 15+15+11 〃 〃

22 층 〃 〃 〃 〃 〃 〃 15+17 〃 〃 15+15+13

23 층 〃 〃 〃 〃 〃 15+17 〃 〃 15+15+13 15+15+15

24 층 〃 〃 〃 〃 〃 〃 〃 〃 〃 15+17+17

25 층 〃 〃 〃 〃 〃 〃 15+15+11 15+15+13 15+15+15 〃

2) 2004년 7월 ~ 2006년 2월 사업승인신청지구부터 적용

구 분 2호 3호 4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11호

10 층 13 13 13 15 15 15 13+13 13+13 13+13 15+13

11 층 ” ” 15 ” ” 13+13 ” 15+13 15+13 ”

12 층 ” ” ” ” 13+13 13+13 15+13 15+13 ” ”

13 층 ” ” ” ” ” ” 15+13 ” ” ”

14 층 ” 15 ” 13+13 ” 15+13 ” ” ” ”

15 층 ” ” ” ” 15+13 15+13 ” ” ” ”

16 층 ” ” 13+13 ” ” ” ” ” ” 15+15

17 층 ” ” ” ” 15+13 ” ” ” 15+15 15+17

18 층 ” ” ” 15+13 ” ” ” ” 15+17 ”

19 층 15 ” ” ” ” ” ” 15+15 ” 15+15+13

20 층 ” ” ” ” ” ” 15+15 15+17 15+15+13 ”

21 층 ” 13+13 15+13 15+13 ” ” ” 15+15+13 ” ”

22 층 ” ” ” ” ” ” 15+17 ” ” 15+15+13

23 층 ” ” ” ” ” 15+17 ” ” 15+15+13 15+15+15

24 층 ” ” ” ” ” ” ” ” ” 15+17+17

25 층 ” ” ” ” ” ” 15+15+13 15+15+13 15+15+15 ”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6

구분 2호 3호 4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11호 12호

10층 15 15 15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1층 " " " " " 15+15 " " " " "

12층 " " " " 15+15 " " " " " "

13층 " " " " " " " " " " "

14층 " " 17 15+15 " " " " " " 17+15

15층 " " " " " " " " 17+15 17+15 "

16층 " " 15+15 " " " " " " " 17+15+15

17층 " 17 " " " " " 17+15 " " "

18층 " " " " " " 17+15 " " 17+15+15 "

19층 " " " " " " " " 17+15+15 " "

20층 " " " " " 17+15 " " " " "

21층 " 15+15 " " " " " 17+15+15 " " "

3) 2006년 3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적용

구분 2호 3호 4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11호 12호

10층 15 15 15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1층 " " " " " 15+15 " " " " "

12층 " " " " 15+15 " " " " " "

13층 " " " " " " " " " " "

14층 " " 17 15+15 " " " " " " 17+15

15층 " " " " " " " " 17+15 17+15 "

16층 " " 15+15 " " " " " " " 17+15+15

17층 " 17 " " " " " 17+15 " " "

18층 " " " " " " 17+15 " " 17+15+15 "

19층 " " " " " " " " 17+15+15 " "

20층 " " " " " 17+15 " " " " "

21층 " 15+15 " " " " " 17+15+15 " " "

22층 " " " " 17+15 " " " " " 17+17+15

23층 17 " 17+15 17+15 " " 17+15+15 " " " "

24층 " " " " " " " " " 17+17+15 "

25층 " " " " " " " " 17+17+15 " 17+15+17+15

4) 2008년 1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적용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7

22층 " " " " 17+15 " " " " " 17+17+15

23층 17 " 17+15 17+15 " " 17+15+15 " " " "

24층 " " " " " " " " " 17+17+15 "

25층 " " " " " " " " 17+17+15 " 17+17+15+15

26층 " " " 15+15+15 " 17+15+15 " " " 17+15+15+15 "

27층 " " " " " " " " " " "

28층 " " 17+17 " " " " 17+17+15 17+17+17 17+17+15+15 "

29층 " 17+15 " " 15+15+15 " " " 17+17+15+15 " "

30층 15+15 " " " 17+15+15 " 17+17+15 " " " 17+17+17+17

31층 " " " " " " " 17+15+15+15 " " "

32층 " " 17+15+15 " " " " " " "17+17+

17+15+15

33층 " " " " " " " 17+17+15+15 " " "

34층 " " " 17+17+15 " 17+17+15 " " " " "

35층 " " " " " " 17+15+15+15 " 17+17+17+1717+17+

17+15+15"

36층 " " " 17+17+17 " " " " " " "

37층 " 17+17 " " " " 17+17+15+15 " " "17+17+17

+17+17

38층 " " "15+15

+15+15" " " "

17+17+

17+15+15" "

39층 " " " " 17+17+15 17+15+15+15 " 17+17+17+17 " "17+17+17

+17+17+15

40층 " " " " " " " " "17+17+17

+17+17"

구분 2호 3호 4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11호 12호

7층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8층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15 15+15

9층 15 15 15 15 15 15 15 15 15+15 15+15 15+15

10층 15 15 15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1층 15 15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2층 15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3층 15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4층 15 15 17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7+15

15층 15 15 17 15+15 15+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

* 8호, 10호, 12호 조합은 각각 4호, 5호, 6호의 대칭형으로 설치가능하다.

* 피트층 주진입의 경우에는 승강기 설치기준에서 세대조합의 층수를 상향

적용한다.(2006년 2월까지 사업승인 신청지구에 한함)

5) 2009년 7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적용

(전용면적 30㎡초과)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8

16층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15

17층 15 17 15+15 15+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 17+15+15

18층 15 17 15+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 17+15+15 17+15+15

19층 15 17 15+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5+15

20층 15 17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5+15

21층 15 15+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5+15 17+15+15

22층 15 15+15 15+15 15+15 17+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5+15 17+17+15

23층 17 15+15 17+15 17+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5+15 17+15+15 17+17+15

24층 17 15+15 17+15 17+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5+15 17+17+15 17+17+15

25층 17 15+15 17+15 17+15 17+15 17+15 17+15+15 17+15+15 17+17+15 17+17+1517+17+

15+15

26층 17 15+15 17+15 15+15+15 17+15 17+15+15 17+15+15 17+15+15 17+17+1517+15+

15+15

17+17+

15+15

27층 17 15+15 17+15 15+15+15 17+15 17+15+15 17+15+15 17+15+15 17+17+1517+15+

15+15

17+17+

15+15

28층 17 15+15 17+17 15+15+15 17+15 17+15+15 17+15+15 17+17+15 17+17+1717+17+

15+15

17+17+

15+15

29층 17 17+15 17+17 15+15+15 15+15+15 17+15+15 17+15+15 17+17+1517+17

+15+15

17+17

+15+15

17+17

+15+15

30층 15+15 17+15 17+17 15+15+15 17+15+15 17+15+15 17+17+15 17+17+1517+17

+15+15

17+17

+15+15

17+17

+17+17

31층 15+15 17+15 17+17 15+15+15 17+15+15 17+15+15 17+17+1517+15

+15+15

17+17

+15+15

17+17

+15+15

17+17+

17+17

32층 15+15 17+15 17+15+15 15+15+15 17+15+15 17+15+15 17+17+1517+15

+15+15

17+17

+15+15

17+17

+15+15

17+17+

17+15+15

33층 15+15 17+15 17+15+15 15+15+15 17+15+15 17+15+15 17+17+1517+17

+15+15

17+17

+15+15

17+17

+15+15

17+17+

17+15+15

34층 15+15 17+15 17+15+15 17+17+15 17+15+15 17+17+15 17+17+1517+17

+15+15

17+17

+15+15

17+17

+15+15

17+17+

17+15+15

35층 15+15 17+15 17+15+15 17+17+15 17+15+15 17+17+1517+15

+15+15

17+17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5+15

36층 15+15 17+15 17+15+15 17+17+17 17+15+15 17+17+1517+15

+15+15

17+17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5+15

37층 15+15 17+17 17+15+15 17+17+17 17+15+15 17+17+1517+17

+15+15

17+17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17

+17+17

38층 15+15 17+17 17+15+1515+15

+15+1517+15+15 17+17+15

17+17

+15+15

17+17

+15+15

17+17+

17+15+15

17+17+

17+15+15

17+17+17

+17+17

39층 15+15 17+17 17+15+1515+15

+15+1517+17+15

17+15

+15+15

17+17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5+15

17+17+17

+17+17+15

40층 15+15 17+17 17+15+1515+15

+15+1517+17+15

17+15

+15+15

17+17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17

+17+17

17+17+17

+17+17+15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49

(전용면적 30㎡이하)

구분 6호 7호 8호 9호 10호 11호 12호

8층 15 15 15 15 15 15 15

9층 15 15 15 15 15 15 15+15

10층 15 15 15 15 15+15 15+15 15+15

11층 15 15 15 15 15+15 15+15 15+15

12층 15 15 15 15+15 15+15 15+15 15+15

13층 15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4층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층 15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6층 15+15 15+15 15+15 15+15 15+15 15+15 17+15

17층 15+15 15+15 15+15 15+15 15+15 17+15 17+17

18층 15+15 15+15 15+15 15+15 15+15 17+17 15+15+15

19층 15+15 15+15 15+15 15+15 17+15 15+15+15 15+15+15

20층 15+15 15+15 15+15 17+15 17+17 15+15+15 15+15+15

21층 15+15 15+15 15+15 17+17 15+15+15 15+15+15 15+15+15

22층 15+15 15+15 17+15 15+15+15 15+15+15 15+15+15 17+15+15

23층 15+15 15+15 17+15 15+15+15 15+15+15 15+15+15 17+17+15

24층 15+15 15+15 17+17 15+15+15 15+15+15 17+15+15 17+17+17

25층 15+15 17+15 15+15+15 15+15+15 15+15+15 17+17+1515+15+

15+15

26층 15+15 17+17 15+15+15 15+15+15 17+15+15 17+17+1715+15+

15+15

27층 15+15 17+17 15+15+15 15+15+15 17+17+1515+15+

15+15

15+15+

15+15

28층 15+15 15+15+15 15+15+15 15+15+15 17+17+1715+15+

15+15

15+15+

15+15

29층 17+15 15+15+15 15+15+15 17+15+1515+15+

15+15

15+15+

15+15

17+17+

15+15

30층 17+17 15+15+15 15+15+15 17+17+1515+15+

15+15

15+15+

15+15

17+17+

17+17

31층 17+17 15+15+15 15+15+15 17+17+1715+15+

15+15

17+15+

15+15

17+17+

17+17

32층 15+15+15 15+15+15 17+15+1515+15+

15+15

15+15+

15+15

17+17+

15+15

17+17+

17+15+15

33층 15+15+15 15+15+15 17+17+1515+15+

15+15

15+15+

15+15

17+17+

17+17

17+17+

17+15+15

34층 15+15+15 15+15+15 17+17+1715+15+

15+15

17+15+

15+15

17+17+

17+15+15

17+17+

17+15+15

35층 15+15+15 15+15+1515+15+

15+15

15+15+

15+15

17+17+

15+15

17+17+

17+15+15

17+17+

17+15+15

36층 15+15+15 17+15+1515+15+

15+15

15+15+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5+15

37층 15+15+15 17+17+1515+15+

15+15

17+15+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7+17

38층 15+15+15 17+17+1515+15+

15+15

17+17+

15+15

17+17+

17+15+15

17+17+

17+15+15

17+17+

17+17+17

39층 15+15+15 17+17+1715+15+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5+15

17+17+17+

17+17+15

40층 15+15+15 17+17+1715+15+

15+15

17+17+

17+17

17+17+

17+15+15

17+17+

17+17+17

17+17+17+

17+17+15

* 한 동에 30㎡초과 평형과 혼합된 경우는 30㎡초과 기준에 맞게 설치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0

다. 승강기 속도는 지상층수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다만, 2004년 7월 ~

2006년 2월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의 엘리베이터 속도는 운행층수 기준으로 한다.

구 분‘06년 2월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

‘06년 3월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08년 1월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60m/min 15층 이하 10층 이하 10층 이하90m/min 16층 ~ 19층 11 ~ 19층 11 ~ 19층105m/min 20층 이상 20층 이상 20 ~ 25층120m/min - - 26 ~ 30층150m/min - - 31 ~ 40층180m/min - - 41층 이상

라. 모든 엘리베이터는 장애인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다음의 편의시설을 갖춘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

1) 장애인편의시설 안내표지 부착

2) 휠체어사용자용 조작반 설치

3) 모든 버튼은 점자버튼 적용

4) 카 후면에 거울 부착(13인승)

마. 화재발생시 안내방송과 함께 피난층으로 복귀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지상 10층 이상 공동주택에는 화재발생시 피난층으로 복귀된 엘리베이터를

소방관리 소화 및 구조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다음 시설을 갖

춘 비상용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

1) 카내 조작반 : 1차, 2차 소방운전 선택스위치

2) 승강장 : 비상호출스위치(피난층 강제복귀 버튼)

3) 방재실 : 비상호출스위치(key조작형) 패널

바. 승강로 상부에 장비인양용 고리(3000kgf)를 설치하고, 권상기 지지빔 거치

용 슬리브 또는 헌치보 설치 지지빔 거치용 슬리브(또는 헌치보)의 위치 및

규격은 제작사 기준에 의거 설치한다.(건축시공분)

사. 피트내 물 유입시 자연배수가 가능한 2중 슬라브 구조이거나 자동배수펌프

가 설치된 집수정 연결 구조이어야 한다.

아. 승강로의 오버헤드 및 피트깊이는 속도별 기준치 이상을 확보한다.

1) 오버헤드 : 최상층 승강장 바닥 마감면에서 승강로 천정 하부까지의 수직거리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1

2) 피트깊이 : 최하층 승강장 바닥에서 승강로 최하단까지 거리

(피트바닥에는 무근콘크리트 100 ㎜마감 고려)

*‘06년 2월 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

속도(m/min) 오버헤드(㎜) 꼭대기틈새(㎜) 피트깊이(㎜)

60 4,650이상 1,400 이상 1,500 이상

90 4,850이상 1,600 이상 1,800 이상

105 5,050이상 1,800 이상 2,100 이상

*‘06년 3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속도(m/min) 오버헤드(㎜) 꼭대기틈새(㎜) 피트깊이(㎜)

60 4,800이상 1,400 이상 1,500 이상

90 5,000이상 1,600 이상 1,800 이상

105 5,200이상 1,800 이상 2,100 이상

*‘08년 1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속도(m/min) 오버헤드(㎜) 꼭대기틈새(㎜) 피트깊이(㎜)

60 4,800이상 1,400 이상 1,500 이상

90 5,000이상 1,600 이상 1,800 이상

105 5,200이상 1,800 이상 2,100 이상

120 5,400이상 1,800 이상 2,100 이상

150 5,600이상 2,000 이상 2,400 이상

180 6,100이상 2,300 이상 2,700 이상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2

자. 승강로의 내부규격은 인승별 기준치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06년 2월 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

단 독 배 치 병 렬 배 치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11 2,100x2,500 11+15 4,300x2,500

13, 15 2,350x2,500 13(15)+15 4,550x2500

17, 20 2,650x2,500 15+17 4,850x2,500

*‘06년 3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단 독 배 치 병 렬 배 치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13 2,150x2,150 13+13 4,350x2,150

15 2,150x2,300 13+15 4,350x2,300

17 2,400x2,300 15+15 4,350x2,300

20 2,400x2,500 15+17 4,650x2,300

15+20 4,650x2,500

17+17 4,900x2,300

17+20 4,900x2500

20+20 4,950x2,500

15+15+15 6,550x2,300

17+17+17 7,350x2,300

20+20+20 7,350x2,500

차 옥외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승강장의 삼방틀은 광폭형이며, 옥외에

서 직접 출입이 가능한 층의 삼방틀에는 상부 막판을 적용한다.

5. 제어반

가. 제어반 인입용 배관 및 배선은 아래와 같다.

1) 전원용 : 전기분전반에서 3Ø4W 공급

2) 접지용 : 전기분전반 외함과 연접

3) 방송용 : 인근 스피커에서 분기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3

4) 중앙감시반용 및 인터폰, CCTV용 : 전용배관 및 배선

나. 제어반은 구동부와 기계대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6. 비상통화장치

가. 배선은 MDF에서 동단자함까지 구내통신간선에 포함하여 산정한다.

나. 동단자함에서 승강기 제어반까지 승강로 배선은 STP케이블을 사용하며,

제어반에서 카와 기계실, 동단자함에서 경비실 통화장치에 개별 배선한다.

다. 비상통화용 교환기는 MDF실에 배치하고, 방재실(감시반)과 관리사무소에

통화 장치를 설치한다.

7. 감시카메라

가. 카메라는 탑승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이중 천정내에 고정한다.

나. 엘리베이터 이동케이블과 함께 1조를 이루는 승강로내 배선은 연선을 사용한다.

다. 감시모니터는 경비실 또는 방재실의 지하주차장 DVR과 통합 배치하여 녹

화가 되도록 한다.

8. 중앙감시반

중앙감시반은 1413(중앙 감시반)에 의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4

1502 전망용 엘리베이터

1. 개요

승강카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용 엘리베이터가 건축물 주변 조

망 및 경관이 양호한 특화단지에 적용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망형 엘리베이터 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한국산업규격 KS B ISO 4190-1

승강기검사기준

4. 설계기준

가. 1501(승객용 엘리베이터)의 4. 규격산정 가~사항 및 5.제어반 을 준용한다.

나. 건축물 주변 조망 및 경관이 양호하고, 인근동 세대의 안면방해나 사생활

침해가 발생되지 않는 동(棟)에 적용한다.

다. 카내부 온도상승에 의한 엘리베이터 오동작과 탑승자의 불쾌감 해소를 위하

여 일조량이 많은 서향 또는 남서향 배치는 가능한 지양한다.

라. 승강로 전망유리 파손에 대비하여 승강로로부터 2 m이내에 사람이 보행 또

는 체류하지 않도록 난간이나 화단 등을 계획하여야 한다.

※ 단지계획상 불가한 경우 전망유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1.8 m까지는 콘크리트벽체 시공

※ 10층 이상건축물에 비상겸용으로 설치시 전망유리는 한국산업규격의 내

화성능 시험방법에 적합한 내화구조 이어야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5

마. 승강로의 내부규격은 인승별 기준치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06년 2월 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

승강로 최소규격(전망용)승강로 오버헤드 및

피트깊이(전망용)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속 도 오버헤드[㎜] 피트깊이[㎜]

11 2,100 x 2,000 60 5,000 2,000

13 2,350 x 2,000 90 5,200 2,200

15 2,350 x 2,150 승강카 상하부의 기기노출을 방지

하기 위한 의장판 설치를 고려 확장17 2,650 x 2,150

*‘06년 3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승강로 최소규격(전망용)승강로 오버헤드 및

피트깊이(전망용)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속 도 오버헤드[㎜] 피트깊이[㎜]

13 2,400 x 1,950 60 5,150 2,000

15 2,400 x 2,100 90 5,350 2,200

17 2,800 x 2,100 105 5,550 2,400

20 2,800 x 2,300승강카 상하부의 기기노출을 방지

하기 위한 의장판 설치를 고려 확장

바. 엘리베이터 전력은 외장 조명용 용량 2 kVA을 추가 산정하고 외장 조명의

제어를 위한 장치를 제어반에 내장하여야 한다.

사. 외장 조명용 전원은 옥탑층 전기분전반(LP1)에서 상 평형을 고려하여 분기

차단기(ELB 30/15 AT)를 사용하여 별도 배선한다.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6

1503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

1. 개요

고도제한지구의 사업성 제고 및 건축물 미관향상 등을 위해 적용하는 기계실

없는 승강기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설계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2. 적용범위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한국산업규격 KS B ISO 4190-1

승강기검사기준

4. 설계기준

가. 1501(승객용 엘리베이터) 4. 규격산정 가~사항 및 5.제어반 을 준용한다.

나. 일반건축물에는 상부 구동형 적용을 원칙으로 한다.

다.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 측면에 권상기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승강로

내부규격을 아래와 같이 100 ㎜ 확장하여야 한다.

*‘06년 2월 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

단 독 배 치 병 렬 배 치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8,11 2,250 x 2,500 11+15 4,800 x 2,500

13, 15 2,450 x 2,500 13(15)+15 5,000 x 2,500

17 2,750 x 2,500 15+17 5,300 x 2,500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7

*‘06년 3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단 독 배 치 병 렬 배 치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인 승 승강로 규격(폭x깊이)[㎜]

13 2,450x2,000 13+13 5,000x2,000

15 2,450x2,150 13+15 5,000x2,150

17 2,750x2,150 15+15 5,000x2,1500

20 2,750x2,350 15+17 5,300x2,150

15+20 5,300x2,350

17+17 5,500x2,150

17+20 5,500x2,350

20+20 5,500x2,350

라. 피트깊이는 일반승강기와 동일하나, 카하부에 도르레를 설치한 Underslung

방식으로 로핑하여 오버헤드는 축소(약 700 ㎜)가 가능하다.

*‘06년 2월 까지 사업승인신청지구

속도(m/min) 오버헤드(㎜) 피트깊이(㎜)

60 3,950이상 1,500 이상

90 4,100이상 1,800 이상

*‘06년 3월 이후 사업승인신청지구

속도(m/min) 오버헤드(㎜) 피트깊이(㎜)

60 4,100이상 1,500 이상

90 4,250이상 1,800 이상

105 4,400이상 2,100 이상

마. 최상층 또는 최하층 승강장 출입문 측면에 제어반을 매입설치하기 위하여

승강장 출입구 개구부 폭을 확장하고, 승강장 출입구 벽체에 PD 설치를 지

양하여 제어반과 간섭을 방지한다.

1) 상부 구동형 : 최상층 승강장 출입구 좌측으로 +500 ㎜ 확장

※ LP분전반에 전력량계를 설치하고 제어반으로 전력공급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8

2) 하부구동형 : 최하층 승강장 출입구 좌측으로 +500 ㎜ 확장

※ 하부 구동형은 최하층 승강장에 전용으로 설치(전력량계 내장)

3) 병렬배치인 경우에 우측승강기는 출입문 우측으로 +500㎜ 확장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59

1504 보도육교 엘리베이터

1. 개요

보도육교를 이용하는 장애인․노약자 등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승강기

의 설계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2. 적용범위

보도육교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적용한다.

3. 적용규준(관련근거)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승강기검사기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4. 정의

보도육교 주변의 현장여건 등으로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

률에 적합한 경사로 설치가 곤란하거나, 보도육교(대지조성공사)에 엘리베이터 설치

하도록 지방자치단체에서 특별히 요구하는 경우에 장애인용 승강기를 적용한다.

5. 설계기준

가. 제원

1) 용도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2) 정치층수 : 2개층 (2방향 개폐)

3) 용량 : 14인승

4) 속도 : 12 m/min

나. 승강로

1) 오버헤드 : 4.7 m이상 (최상층 승강장에서 승강로 천정면까지)

2) 피트깊이 : 1.2 m이상 (최하층 승강장에서 피트 바닥면까지)

전기․정보통신 설계기준

LH_160

3) 내부크기 : W 2.4 m × D 2.1 m용

4) 승강로내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로 상하부에 공기환류용 2중

갤러리창 설치

다. 기계실

1) 계단하부에 설치(현장여건상 불가능한 경우 승강로 측벽에 설치)

2) 내부는 2000 ㎜ × 1500 ㎜이상으로 기기배치 및 관리에 지장이 없어야

하며, 유효개구부 W 700 ㎜ × H 1800 ㎜이상의 방화문 설치

라. 배선 및 배관

1) 전원인입(3Ф 4w) 배관배선

가) MCCB 50/30 AT

나) 인입배관 및 배선 : CV 16 ㎟ x 2C x 1(CD-P 36)

다) 접지 : GV(제3종접지)

2) 기계실

가) 분전반의 위치는 환풍기 하단에 설치한다.

나) 전열배선 : HFIX 2.5 ㎟ x 2, 2.5 ㎟(E) (HI 16), ELB 30/20 AT

마. 비상통화장치 및 CCTV용 공배관(CD-P 22)을 설치하여야 한다.

(인근 통신맨홀에서 기계실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