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60 대학원 요람 . 교육학과 (Department of Education) 1. 학과 교육목표 1) 교육학전공 ① 교육학자로서의 능력과 자질함양 첫째, 교육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력과 종합적인 안목을 기른다. 둘째,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의 이론과 연구 성과를 탐구함으로써 교육의 여러 문제를 합 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② 교육전문가로서의 창의성과 실천능력배양 첫째, 새로운 교수 방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교육학적 이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교육현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③ 교육자로서의 인격도야 첫째,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교육에 대한 열정과 실천의지를 가지도록 한다. 둘째, 보편적 인간의 삶에 대한 풍부한 교양과 교육발전에 대한 긍정적 자신감을 가진다. 2) 교과교육전공 ① 교과교육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자질 함양 첫째, 교과교육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새로운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교과교육의 여러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교과교육의 연구 방법론을 연마하여 독자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 른다. ② 교원으로서의 창의성 함양과 실천 능력 배양 첫째, 학교 수업에 적용할 새로운 교수 방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교과교육의 변화원인, 방향 및 내용을 이해하고, 그에 대처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 ③ 교사로서의 인격 도야 첫째, 교과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교과교육에 대한 열정과 실천의지를 가지도록 한다. 둘째, 지식정보화시대를 이해하고, 시대 변화에 맞추어 교원의 역할을 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60 대학원 요람교육학과 163 3. 교육학과 내규 제정 2011. 2.28. 3차 개정 2019. 2.28. 제1조(목적) 이 내규는 학칙시행규정 제62조에 따라 학과운영에

  • Upload
    others

  • View
    8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60 대학원 요람

    . 교육학과 (Department of Education)1. 학과 교육목표

    1) 교육학전공① 교육학자로서의 능력과 자질함양첫째, 교육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력과 종합적인 안목을 기른다.둘째,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의 이론과 연구 성과를 탐구함으로써 교육의 여러 문제를 합

    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② 교육전문가로서의 창의성과 실천능력배양첫째, 새로운 교수 방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둘째, 교육학적 이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교육현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③ 교육자로서의 인격도야첫째,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교육에 대한 열정과 실천의지를 가지도록

    한다.둘째, 보편적 인간의 삶에 대한 풍부한 교양과 교육발전에 대한 긍정적 자신감을 가진다.

    2) 교과교육전공① 교과교육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자질 함양첫째, 교과교육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새로운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교과교육의 여러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둘째, 교과교육의 연구 방법론을 연마하여 독자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

    른다.② 교원으로서의 창의성 함양과 실천 능력 배양첫째, 학교 수업에 적용할 새로운 교수 방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교과교육의 변화원인, 방향 및 내용을 이해하고, 그에 대처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③ 교사로서의 인격 도야첫째, 교과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교과교육에 대한 열정과 실천의지를

    가지도록 한다.둘째, 지식정보화시대를 이해하고, 시대 변화에 맞추어 교원의 역할을 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61

    3) 한국어교육전공① 한국어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의 신장첫째, 한국어교육의 이론적 성과들을 이해하고 새로운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한국어교

    육에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둘째, 한국어교육의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및 자료 개발 능력을 기르고 독자

    적인 연구 수행능력을 키운다.② 한국어교육 전문가로서의 실천 능력 배양첫째, 다양한 한국어 교육의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한국어 교육의 원리

    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둘째, 한국어교육의 전체적인 내용과 방향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필요에 맞게

    교육 내용을 처방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③ 한국어교사로서의 인성 함양첫째, 국제화 시대에 요구되는 한국어교육의 본질적 성격과 방향성을 이해하고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열정과 책임의식을 기른다.둘째,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 습관을 기르고 한국어교사가 갖

    추어야 할 인격과 품성을 내면화 한다.

    4) 유아교육학전공① 학문적 연구능력 및 현장연구 능력 배양첫째, 유아교육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교육적 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 자질을 함양한다.둘째, 유아교육의 연구방법을 연마하여 유아교육 교수 학습을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기

    른다.②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을 갖춘 유아교육 전문가 양성첫째, 유아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현장에서의 접근이

    나 연구 활동에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둘째, 지역사회의 유아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필요 및 문제에 관심을 갖고 대안을 찾

    는 능력을 기른다.③ 유아교육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방법 함양 및 폭 넓은 전문적 시각 형성첫째, 고도의 산업기술 및 정보화 사회에서 유아교육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위한 새로

    운 이론과 지식을 갖춘다.둘째, 유아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유아를 위한 교육, 심리, 철학, 예술, 복

    지 등의 다문화적인 접근을 통하여 연구자질과 시각을 기른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62 대학원 요람

    2. 교수 명단성 명(한자) 직 위 학 위 연 구 분 야 전 화 E-mail 주소 및 홈페이지

    김경희(金慶熙) 교 수 교육학박사 평생교육 249-2314 [email protected]김성열(金聲烈)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행정학 249-2312 [email protected]김원중(金元中)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심리 및 상담 249-2315 [email protected]신미식(申美湜) 교 수 교육학박사 평생교육 249-2309 [email protected]소연희(蘇蓮姬)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과정 및 교육공학 249-2387 [email protected]최호성(崔鎬成)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과정 및 평가 249-2307 [email protected]최병옥(崔炳玉) 부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249-2311 [email protected]고창규(高昶圭) 부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사회학 249-6306 [email protected]박경희(朴敬姬) 부 교 수 교육학박사 영재창의성교육 249-2368 [email protected]장사형(張師亨) 부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철학 및 교육사 249-3650 [email protected]김영식(金永植) 조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행정 249-2313 [email protected]이진희(李眞姬) 조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방법 및 수업 249-6309 [email protected]정은희(鄭恩姬) 조 교 수 교육학박사 평생교육 249-6410 [email protected]하수경(河秀京) 조 교 수 교육학박사 교육심리 및 상담 249-2972 [email protected]김인식(金仁植) 명예교수 교육학박사 교육방법 249-2351 [email protected]이광원(李光源) 명예교수 교육학박사 교육행정학 249-2351 [email protected]이석주(李錫珠) 명예교수 교육학박사 교육심리학 249-2351 [email protected]윤경희(尹京喜) 명예교수 교육학박사 교육방법 및 심리 249-2351 [email protected]김경복(金京福) 교 수 문 학 박 사 현대시 249-2353 [email protected]변종현(卞鍾鉉) 교 수 문 학 박 사 고전시가 249-2330 [email protected]이상구(李相玖) 교 수 교육학박사 국어교육 249-2325 [email protected]이원수(李元洙) 교 수 문 학 박 사 고전소설 249-2329 [email protected]김은정(金銀晶) 부 교 수 문 학 박 사 현대소설 249-6404 [email protected]노성미(盧聖美) 부 교 수 문 학 박 사 고전소설, 구비문학 249-6323 [email protected]윤영숙(尹暎淑) 부 교 수 문 학 박 사 음운론, 한국어교육학 249-6322 [email protected]정병철(鄭炳喆) 부 교 수 문 학 박 사 국어학, 국어문법론 249-2304 [email protected]김진희(金珍嬉) 조 교 수 교육학박사 국어교육 249-2988 [email protected]조성숙(趙成淑) 조 교 수 문 학 박 사 고전산문 249-6324 [email protected]김종민(金鍾玟) 조 교 수 교육학박사 한국어교육 249-2174 [email protected]김영태(金永泰)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방언학, 문법론 249-2324 [email protected]김형철(金炯哲)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국어의미론 249-2324 [email protected]명형대(明炯大)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현대소설 249-2324 [email protected]조미원(趙美媛) 교 수 문 학 박 사 영미희곡 249-2335 [email protected]김애령(金愛鈴) 교 수 언어학박사 통사론 249-2332 [email protected]박은수(朴垠洙) 부 교 수 교육학박사 영어교수법 249-2365 [email protected]김윤정(金玧廷) 조 교 수 문 학 박 사 영어교육 249-2112 [email protected]박윤철(朴潤喆) 부 교 수 문 학 박 사 영어번역학 249-6331 [email protected]한학선(韓鶴仙) 부 교 수 교육학박사 영어교육학 249-6312 [email protected]황순향(黃淳香) 부 교 수 문 학 박 사 영미희곡 249-6411 [email protected]손병용(孫炳容) 조 교 수 문 학 박 사 영문학 249-6307 [email protected]이미선(李美善) 조 교 수 문 학 박 사 영시 249-2152 [email protected]조영교(曺永佼) 조 교 수 교육학박사 영어교육학 249-2249 [email protected]원성옥(元聖玉)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통사론 249-2331 [email protected]김정규(金井圭)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영미시 249-2331 [email protected]정승영(鄭承永) 명예교수 문 학 박 사 영어학 및 영어교수법 249-2331 [email protected]김영옥(金英玉) 교 수 교육학박사 수학교육 249-2357 [email protected]김경수(金慶洙) 부 교 수 이 학 박 사 해석학 249-2842 [email protected]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63

    3. 교육학과 내규제정 2011. 2.28.

    3차 개정 2019. 2.28.

    제1조(목적) 이 내규는 학칙시행규정 제62조에 따라 학과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타전공입학자의 추가지정과목 이수) ① 타전공입학자의 경우 학칙시행규정 제17조에 따라 추가지정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② 추가지정과목은 석사학위과정의 경우 9학점 이내, 박사학위과정의 경우 12학점 이내로 하되, 학과장이 전공주임교수와 협의를 거쳐 추가로 이수하여야 할 교과목을 선정한다.③ 추가지정과목의 이수범위는 석사학위과정은 동일전공계열 학사학위과정 과목 또는 해당 전공 석사학위과정 과목, 박사학위과정은 동일전공계열 석사학위과정 과목 또는 석·박사학위과정 공통과목으로 한다.④ 학칙시행규정 제17조제4항에 따라 추가지정과목의 이수범위를 축소하거나 이수를 면제할 수 있다.⑤ 추가지정과목의 이수학점은 수료학점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제2조의2(한국어교육전공의 운영) ① 제2조 ①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전공은 타전공입학자의 추가 지정 과목 이수를 면제한다.② 외국 국적의 입학생은 학위와는 별도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 6급 성적증명서가 있

    성 명(한자) 직 위 학 위 연 구 분 야 전 화 E-mail 주소 및 홈페이지박부성(朴富成) 부 교 수 이 학 박 사 대수학 249-2359 [email protected]변지수(卞支洙) 부 교 수 이 학 박 사 복소기하학 249-2348 [email protected]현호근(玄虎根) 부 교 수 이 학 박 사 해석학 249-2815 [email protected]서샛별(徐샛별) 조 교 수 이 학 박 사 해석학, 응용수학 249-6445 [email protected]김종규(金鍾圭) 명예석좌교 수 이 학 박 사 해석학(비선형함수해석) 249-2356 [email protected]남영만(南永滿) 명예교수 이 학 박 사 복소수함수론 249-2356 [email protected]한미라(韓美羅) 교 수 문 학 박 사 유아교육과정 249-2318 [email protected]제경숙(諸京淑) 교 수 이 학 박 사 부모교육 249-2319 [email protected]노진형(盧眞亨) 부 교 수 교육학박사 유아사회정서교육 249-2068 [email protected]김정희(金正姬) 부 교 수 교육학박사 유아교육행정 249-2576 [email protected]정혜인(鄭惠仁) 조 교 수 철 학 박 사 유아교사교육 249-2493 [email protected]김현주(金炫住) 부 교 수 문 학 박 사 영유아프로그램 249-2731 [email protected]고희선(高僖善) 조 교 수 교육학박사 유아놀이치료 249-2543 [email protected]김병만(金炳萬) 조 교 수 교육학박사 유아교육정책및평가 249-6427 [email protected]박향아(朴香俄) 명예교수 학 술 박 사 유아놀이연구 249-2317 [email protected]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64 대학원 요람

    어야 국립국어원에서 심사하는 2급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③ 외국인은 입학 지원 서류에 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의 성적증명서를 첨부해야 한다.④ 2급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1영역과 2영역에서 3학점, 3영역에서 9학점, 4영역과 5영역에서 각각 3학점 이상 학점을 취득하여, 전체 18학점 이상의 필수 이수 학점을 충족시켜야 한다.(국어기본법 시행령 제13조 제1항 및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자격 심사규정).[본조 신설 2016.2.28.]

    제2조의3(석사학위논문 대체) ① 석사학위청구논문 외 연구보고서 제출 또는 추가학점이수로 석사학위를 취득(이하 석사논문 대체) 할 수 있다.② 석사논문 대체를 희망하는 학생은 소정기한내 석사과정 학위취득계획서(석사논문대체신청서)를 지도교수, 전공주임교수,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 대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③ 연구보고서 제출로 석사논문 대체를 하고자 하는 자는 연구보고서 제출 학기에 학과 교수 및 원생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실시하는 최종 발표 후에 제출한다.④ 추가학점 이수로 석사논문 대체를 희망하는 학생은 4차 학기 수업연한 내 전공과목 6학점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본조 신설 2019.2.28.]

    제3조(학위청구논문의 중간발표 등) ① 박사학위청구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자는 논문제출 1학기 전까지 학위논문에 대한 중간발표를 하여야 한다.② 박사학위청구논문을 심사받는 자는 학내·외 논문집에 1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여야 한다. 다만 교육학전공의 경우 이 조항을 적용하지 않는다.

    부칙(2011.2.28.)① (시행일) 이 내규는 2011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② (적용례) 2011학년도 이전 입학자에게도 이 내규를 적용한다.

    부칙(2018.2.28.)① (시행일) 이 내규는 2018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② (적용례) 2018학년도 이전 입학자에게도 이 내규를 적용한다.

    부칙(2019.2.28.)① (시행일) 이 내규는 201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② (경과조치) 이 내규 시행일 이전에 시행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 내규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65

    4. 교과목 구성1) 학과 공통과목

    2) 전공별 교과목 ■ 교육학전공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박사과정공통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ICT수업개발과실제공교육제도론교육경제학교육과사회발전교육과정과교과서분석교육과정및수업연구방법론교육과정편성및운영교육인사행정론교육정책론교육학의최근동향교육행정이론교육행정에서의윤리적쟁점교직단체와교원노조연구상담사례연구Ⅰ상담이론연구성격장애의이해수업컨설팅수업연구세미나연구지도법Ⅰ영재교육프로그램개발영재교육과정모형론학습이론연구인지과정과교육전문성개발과평생교육정신분석과상담지능이론과교육진로발달이론연구청년발달과교육평생교육과성인학습이론연구평생교육과전문성개발연구평생교육방법연구평생교육실습평생학습도시와평생교육평생교육연구방법론

    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가족상담교사상연구교육개혁의세계적동향교육과정개혁론교육과정치교육법연구교육심리연구법교육조직론교육프로그램평가론교육행정가연구상담과인간관계동서양평생교육론비교인성교육론비판적평생교육론상담사례연구Ⅱ수업심리학과효율적학습연구지도법Ⅱ원격교육체제개발웹기반수업설계인간특성과교육정서와교육지역공동체평생교육실천론창의성과영재교육통일교육론영재교육정책과평가평생교육과노인교육평생교육경영론연구평생교육과반성적실천연구평생교육과민주시민교육평생교육실습평생교육론연구평생교육철학연구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평생학습이론연구

    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3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박사과정공통

    공통공통공통공통

    현장연구방법론통계처리방법론문화비교론멀티미디어교육세미나

    3333

    공통공통공통공통

    양적연구방법론질적연구방법론논리적글쓰기가족생태학

    3333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66 대학원 요람

    ■ 교과교육전공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학습동기이론연구Ⅰ학습상담한국교육개혁론한국현대교육행정사연구현대사조와교육과정

    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학교경영론학교경영효과연구학습동기이론연구Ⅱ학습자특성및학습행동연구학습조직과평생교육한국교육정책사례연구한국교육행정문제연구현대사회이론과평생교육연구행동수정

    333333333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

    석·박사과정공통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국어과교육과정연구화법교육연구한국현대문학론연구국어교육학특강국어과교재연구어휘교육연구고전문학교육연구한국문학작가연구한국문학특강한국고전소설연구국어학특강한국현대소설연구영어음성음운론영어통번역의이론과실제영문학과영어교육영어교육학특강영어교실수업연구영어교수학습론영문법지도론영어교육논문작성법영미단편소설교육론영어연극지도법영어작문지도법영어쓰기지도법영미희곡연구고급수학I수학교육세미나I수학교육심리

    33333333333333333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국어과교육방법연구국어의미교육연구국어문법교육연구현대문학교육연구한국문학작품연구한국문학세미나국어과수업설계국어화용론한국고전문학론연구한국현대시연구한국고전시가연구독서교육론영어교육학연습영미산문교육론영미시이해영어교육세미나영어교수학습세미나영문법의이해영어담화의이해영어교육과영미문화지도영어발음의이해와지도현대언어학영어평가이론과방법론아동문학과영어교육연구고급수학II수학교육세미나II수학특론II복소해석학특강

    3333333333333333333333333333

    석사과정전선전선

    영미문학사교육론응용복소함수론

    33

    전선전선전선전선

    영어학과영어교육영어교육과문화적응영미단막극지도법확률통계특강

    3333

    박사과정 전선 영어학주제연구 3 전선 영미소설연구 3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67

    ■ 유아교육학전공

    과정 구분 1학기 학점 구분 2학기 학점전선전선전선

    수학특론I수학교수방법론영어학의 이론적 탐구

    333

    전선전선전선전선

    교실수업연구영어의미론수학교육철학수학교육연구동향

    3333

    과정 구분 과목명 학점 구분 과목명 학점

    석ㆍ박사공통과정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유아과학교육세미나구성주의와유아과학아동연구방법유아심리측정아동심리상담유아기건강과안전유아놀이세미나영유아놀이연구세미나영유아복지세미나유아교육철학성격형성이론세미나유아언어교육세미나유아연구의질적접근유아기사회적관계및적응연구유아교육행정세미나유아교육행정가의지도성개발영유아교육및보육정책세미나유아교육교수법영유아교육및보육연구동향영유아교육및보육세미나유아교육및심리통계연구지도및세미나Ⅰ연구지도및세미나Ⅲ현장연구Ⅰ현장연구Ⅲ평생교육연구디자인

    33333333333333333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유아교육과정탐구구성주의유아교육과정레지오에밀리아의이해부모교육및상담부모교육프로그램아동행동관찰및평가영유아발달과교육유아사회및정서발달세미나인지발달과교육한국전통사회의아동교육유아다문화교육창의성과유아의예술활동유아교육의심미적이해유아수학교육세미나유아문학교육세미나특수아동지도연구통합교육세미나유아기심리장애의이해심리치료세미나영유아교사교육론영유아교사의역할과윤리유아를위한다매체연구논문지도법유아교육과컴퓨터활용연구지도및세미나Ⅱ연구지도및세미나Ⅳ현장연구Ⅱ현장연구Ⅳ

    3333333333333333333333333333

    석사과정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유아기언어교육유아교육교수법세미나유아교재연구및지도법유아안전교육유아수학교육부모교육유아교육연구의이론과실제유아교육행정유아과수업실기

    333333333

    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전선

    영유아교육과정아동발달세미나질적연구세미나세계유아교육동향유아관찰및실습아동복지유아과학교육영유아문제행동행동지도세미나

    33333333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68 대학원 요람

    ■ 한국어교육전공

    5. 교과목 해설1) 학과공통과목통계처리방법론(Statistical Analysis Methodology)이 교과목은 양적연구방법론에 대한 전체적 개념정리와 함께 기술통계 및 추론통계에

    서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들을 비 수학 전공자들도 이해 할 수 있는 수준에서 다루게 된다. 특히 이 교과목에서는 기술통계(상관연구 및 단순회귀분석) 및 추론통계(t-test, Z검정, F검정, 카이검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등을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실습을 병행하게 된다.

    현장연구방법론(Action Research Methodology)이 강좌는 교육현장에서 연구주제를 찾는 방법과 과학적인 절차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방법들에 대한 이해를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장연구의 역사와 목적, 현장연구

    영역 편성 과목 학점 영역별 필수 이수 학점

    1. 한국어학한국어음운론 3

    3~4학점한국어학특강 3한국어문법론 3한국어의미론과화용론 3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인지언어학연구 3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한국어교육개론 3

    9~10학점

    한국어교수법 3한국어교재론 3한국어화법교육론 3한국어쓰기교육론 3한국어읽기교육론 3한국문화교육론 3한국어한자교육론 3한국어평가론 3한국어교육과정론 3

    4. 한국 문화

    한국문학의이해 3

    2~3학점

    한국현대소설연구 3한국현대문학론연구 3한국현대시연구 3한국고전소설연구 3한국구비문학의이해 3한국고전시가연구 3

    5. 한국어교육 실습 한국어교육실습 3 2~3학점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69

    의 특징, 유형 및 윤리적 근거, 현장연구의 방법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연구단계별로 실질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습을 한다.

    양적연구방법론(Quantitative Approaches in Research)이 강좌는 학생들로 하여금 효과적이고 생산적으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논문의 체

    제와 형식, 작성 방법 등을 안내해 줄 것이다. 연구 아이디어 착상으로부터 연구 문제 설정, 연구 설계와 도구 및 방법의 개발, 연구의 실행과 결과 보고 및 활용에 이르는 연구 행위의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게 되며 특히 실험 연구나 조사 연구 등을 중심으로 한 계량적 연구 방법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SPSS나 SAS 등 통계처리 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초 통계학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자료 수집 및 분석 능력을 신장한다.

    문화비교론(Comparative Studies in Cultures)본 강좌는 세계 여러 나라 문화가 각기 나름대로 문화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감

    안하여 문화적 특수성과 차이점에서 오는 문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 세계화(Globalization)에 잘 적응, 기여하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화가 투영된 언어표현의 특징, 의사소통 양식(communication styles)의 차이, 사고방식(ways of thinking)의 차이, 생활습관이나 양식의 차이점을 상호 비교 고찰하게 된다.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Approaches in Research)이 강좌는 현상에 대한 인위적 통제나 조작이 아니라 자연 상태에서 현상을 보다 신빙성

    있게 기술, 이해하려는 연구 노력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상의 실상을 파악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으로부터 벗어나, 인류학적, 생태학적, 문화비평학적 관점 등으로 연구의 시야를 넓히게 된다. 관찰법, 면접법을 포함한 문화기술학적 연구방법론 등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고유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응용할 수 있게 한다.

    논리적글쓰기(Practice of Logical Writing)학술적 연구의 결과는 논문으로 발표되는데, 논문은 연구를 통해 새로 발견한 사실을 객

    관적으로 논증해 보이는 글이다. 따라서 학술적 연구에서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견해 낸 사실을 정확하고 논리적인 글로 표현해 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논리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는 학술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 과목은 학위논문 작성이나 장래의 연구 활동을 위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정확하게 논리적인 글로 표현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글쓰기에서 논리성을 떨어뜨리는 요인들이나 의미의 정확성 ․ 명료성을 흐리게 하는 요인들을 찾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런 부정적 요인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데 강의의 주안점을 둔다.

    멀티미디어교육세미나(Seminar in Multimedia in Education)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70 대학원 요람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에듀테인먼트는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의 교육방법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선정된 교육활동의 교육목적을 위해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는 시간을 가진다. 그리고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평가와 반성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교사들이 교육의 현장에서 멀티미디어를 적절히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가족생태학(Ecological Approach in Family and Relationship)가족이론을 소개하고, 현대사회에서 역동적으로 기능하는 가족의 생태학적 구조를 이

    해한다. 그리고 아동의 생활을 중심으로 가족구성원의 다양한 역학과 관계를 살펴본다.

    2) 교육학전공ICT수업개발과실제(ICT-based Teaching : Theory & Practice)교실에서의 ICT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교육 전문가들에게 그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천 능력이 요구된다. 이 강좌는 ICT 활용 수업의 특성, 활용 방법, 개발 실무, 운영 및 관리 체제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게 된다.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가족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의 촉진을 통하여 부부관계, 부모 자녀 관계, 형제자매 관계에

    서 비롯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건전한 가정을 영위해 가는 원리와 상담기법을 학습한다.

    공교육제도론(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Structure)각국의 공교육제도의 형성요인을 분석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나서 비교교육학적 관

    점에서 공교육제도의 유형적 고찰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공교육제도의 변천과정과 그것의 배후요인을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교육제도 전반에 관한 조감도를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교사상연구(Studies in Ideal Teachers)교사는 교육의 실패와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이상적인 교사상을 설정하고 기존의 교사들이 그러한 모습을 갖추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상적 교사를 길러내지 못하고 있느냐 아니면 기존의 교사들은 왜 이상적인 교사로 발달해 나가지 못하느냐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심을 덜 기울여 왔다. 이 강좌에서는 동서양을 통하여 어떤 모습의 교사가 이상적 교사로 여겨져 왔는지 그리고 그러한 교사를 길러내기 위한 노력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현실에서는 교사들이 왜 이상적 교사로 발달해 나갈 수 없는지를 탐색해 보려고 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71

    교육개혁의세계적동향(Recent Trends in World Education Reform)이 강의는 세계교육의 최근동향을 이론적으로 소개하고 선정된 국가의 교육 및 교육제

    도를 살펴봄으로써 세계교육을 이해하는 기초소양을 쌓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강의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부의 강의는 이론적인 것으로서 비교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여기에서는 먼저 비교교육학의 개념과 목적, 비교교육학의 발전과정을 설명한다. 그리고 나서 비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을 주요 학자들의 저서를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제2부의 강의는 선정된 주요 국가의 교육 및 교육제도의 실제적 양상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 부분의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외국의 교육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스스로의 교육학적 교양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적으로나 종합적으로 관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지게 될 것이다. 여기에 다루어지는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와 독일, 일본, 중국 등이다. 각국의 교육제도, 각급 학교의 교육양상, 교원양성제도와 교원의 사회, 경제적 지위, 교육자치제도, 교육개혁의 동향을 이 부분 강의의 중점내용이 될 것이다.

    교육경제학(Studies in Economics of Education)교육경제학은 196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사실 교육은 인간자

    본을 형성하는 활동이다. 한 사회는 교육을 통하여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고, 각 개인들은 교육을 통하여 노동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일정한 특성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사회와 개인들은 비용을 부담하지만, 동시에 결과적으로는 수익을 얻는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교육은 경제학적 탐구대상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 이 강좌에서는 인간자본의 형성, 교육의 비용과 수익, 교육과 노동시장, 교육과 소득, 교육계획모형과 교육재정 등이 다루어진다.

    교육과사회발전(Education and Social Development)교육의 본질과 사상적 기초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사회발전 방향 모색에 목표를 둔

    다. 그러기 위해 현대 사회산업사회에 있어서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교육이 사회발전에 끼치는 긍정적 ․ 부정적 측면과 사회발전이 교육에 끼치는 긍정적 ․ 부정적 측면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교육과정개혁론(The Structure of Curriculum Reform)교육과정은 항상 변화한다. 변화는 언제나 주체가 있기 마련이며 그 가운데 사회-정치적

    영향은 중심적인 역할을 행사해 왔다. 이 과목에서는 학교교육과정이 어떠한 구조속에서 개혁되고 현행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은 무엇이며 미래에 어떠한 변화를 겪을 것인지에 관하여 국제적인 교육과정 개혁의 동향과의 관련속에서 분석해 본다.

    교육과정과교과서분석(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교과서는 학교 지식의 공식적 표현물로서 교육과정과 수업을 연계하는 주된 통로이다.

    이 강좌는 교과서를 둘러싼 제반 정책과 개발의 체제를 분석하며, 교과서 내용에 관한 여러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72 대학원 요람

    가지 해석의 관점들을 논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교과서의 의의와 기능, 교과서 정책, 교과서 편찬 및 제작의 절차, 교과서 내용의 분석 등의 주제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과정및수업연구방법론(Research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이 강좌는 학생들에게 교육과정 및 수업에 있어서 교육연구의 논리와 절차에 관한 기존

    의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이 분야의 문헌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스스로 자신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연구형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실습을 포함한다.

    교육과정치(Education and Politics)교육과 정치는 상호 작용한다. 한 국가의 교육은 정치에 의하여 좌우되기도 하지만 교육

    수중에 따라 정치의 발전정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 강좌에서는 교육과 정치의 관계를 수동성과 능동성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한다. 교육이 정치에 의하여 영향받는 수동적 측면과 교육이 정치에 영향을 주는 능동적 측면을 몇 가지 대표적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한국에서의 교육과 정치와의 관계는 어떠했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려고 한다.

    교육법연구(Educational Law)이 강의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의 교육법체계와 그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 강의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 부분은 교육법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중점으로 한다. 우선, 교육법은 교육 또는 교육정책이나 교육제도 및 그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규로서 다른 법규와는 구별되는 성격을 가지므로 이를 먼저 검토한다. 그리고 나서 교육법의 존재형식을 살펴본다. 그리고 교육법의 기본원리와 구조를 학습한다. 나머지 한 부분은 교육법의 실제 적용사례를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검토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교사의 지위와 관련된 판례, 교과서정책과 관련된 판례, 체벌과 관련된 판례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교육과정편성및운영(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구조화해 놓은 청사진이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

    칠 것인가에 대해 이론가들은 다양한 관점을 제안해왔으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 계획을 마련하는 방법이나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이 강좌에서는 교육과정 체제 요인들의 효과적인 상호연계망을 설계하는 이론적 모형을 개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자의 핵심역량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학생은 다양한 교육 장면의 교육 목표, 학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육 평가, 그리고 교육과정 보급 및 실행 등 교육과정 체제를 개발해 내고 연구자 입장에서 적합성과 현실성 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게 된다.

    교육심리연구법(Research Method)연구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체계적인 과정이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73

    다. 따라서 연구의 본질은 계획적인 자료수집과 분석, 설명 등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달하는 것이며, 교육연구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교육적 지식이나 가치가 개발될 수 있으며, 이렇게 개발된 지식이나 가치는 교육과정의 개선에 적용된다. 본 강좌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와 논문 작성의 지식은 교육 문제를 과학적인 눈으로 보고 해결하는 새로운 안목을 제공할 것이다.

    교육인사행정론(Human Resource Administration in Education)교육을 위해서 활용되는 인적 ․ 물적 자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물적인 자원을

    다루는 것도 결국은 교육조직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이들을 선발 ․ 배치하고 지원하며 관리하는 교육인사행정 행위는 교육행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교육인사행정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직원을 확보 ․ 충원하고 그들의 동기를 유발시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근무조건을 개선해 주며, 사기를 드높이고, 더 나아가서는 그들의 자질과 능력을 더욱 개발 ․ 신장하는 내용 및 영역들을 포함한다. 이 강좌에서는 먼저 인사행정의 본질과 영역을, 다음으로 자격제도와 신규채용제도를 양성제도 및 인력계획과의 관련 하에 다룬다. 그리고 근무성적 평정과 승진제도를 분석 ․ 기술하고, 교육직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현직교육과 훈련을 다룬다. 또한 보수와 근무조건 및 복지 후생 등 근무여건과 관련되는 부분을 분석 ․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원의 권리 및 의무와 교직단체의 단체교섭에 관하여 다룬다.

    교육정책론(Theories of Educational Policy)이 강좌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교육정책의 본질, 형성과정, 교육정책

    의 집행 및 변화, 분석과 평가 기법 등 주로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문제를 다룬다. 2부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실제를 사례를 중심으로 다룬다. 이 부분의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특성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교육조직론(Organizational Behavior in Education)교육행정조직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아울러 실제 교육행정조직에 대한 분석적 고찰이

    이루어진다. 교육행정기구의 편제, 권한과 역할의 배분, 조직풍토와 갈등문제, 조직의 목표와 효율성, 그리고 조직발전 등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유형을 달리하는 여러나라의 교육행정조직에 대한 비교, 분석도 함께 이루어진다.

    교육프로그램평가론(Program Evaluation: Theory and practice)교육과정은 거시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한 부분이다. 교육목적에 충실하여 개발, 실행된

    교육과정은 자기 개선의 정보를 수집하고 총체적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합리적 평가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과목에서는 프로그램 평가의 시각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과정을 어떻게 평가할 것이며, 이때 각 평가도구들을 활용할 것인지에 관하여 논의하게 된다.

    교육학의최근동향(Current Trends in Education)교육학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연구주제와 탐구방법들을 개괄하는 강좌이다. 교육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74 대학원 요람

    학의 하위 연구영역별로 국내외의 학회지와 세미나 등에서 발표된 논문과 학위논문들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최근의 교육학 연구동향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강좌는 학생의 탐구활동 중심으로 진행된다. 강좌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영역이나 관심영역에서 최근 3년 동안에 발표되어 주제와 방법의 새로움 때문에 연구자들 사이에 회자되었던 논문들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이제 막 학문공동체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학문세계의 흐름을 이해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교육행정가연구(Educational Administrator and Leadership)교육행정가는 교육행정행위를 집행하는 사람이다. 교육행정가가 어떠한 사람이냐에 따

    라 교육행정작용이 성공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강좌에서는 교육행정가의 행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성공한 교육행정가와 실패한 교육행정가를 사례 연구함으로써 교육행정가가 교육행정의 수준별로 성공적인 교육행정가가 되기 위하여 갖춰야 할 능력과 자질들은 무엇인지를 탐색해본다.

    교육행정에서의윤리적쟁점(Ethical Issu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교육행정에는 행정적 효율성뿐만 아니라 도덕적 정당성의 문제가 깊이 관여되고 있다.

    사실 이제까지 우리의 교육행정은 다른 분야의 행정과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행정적 효율성이 강조되어 왔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교육은 가치로운 것을 전달하는 활동으로서 도덕적 사업이다. “교육적”이라고 해서 전적으로 “도덕적”인 것은 아니지만 도덕문제가 교육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당연히 교육행정에서도 그러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간과해왔던 교육행정의 도덕적 측면을 고찰하면서 중요한 도덕적 개념들을 분석하고 행정사례에 적용해 볼 것이다.

    교육행정이론(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교육행정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조직 및 행정이론의 발달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나타

    난 현상이다. 교육행정이론은 먼저 생겨난 이론을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하면서 20세기에 들어와 학교체제의 발달과 더불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강좌에서는 우선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교육행정이론의 발달을 역사적으로 탐구한다. 그리고 교육조직에 대한 기존의 지배적인 이론들을 종설하면서 교육행정이론의 쟁점과 발전전망을 이해한다.

    교직단체와교원노조연구(Teaching Profession & Teachers' Union)우리나라에는 교직단체와 교원노조가 병행하고 있다. 전문직단체를 표방하고 있는 한

    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노동조합을 표방하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한국교원노동조합이 바로 그것들이다. 이들 단체들은 지향점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교원의 권익보호와 전문성신장 등을 조직의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교직의 성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논의를 기초로 하여 전문직단체의 발생과 성장 그리고 전망을 다룬다. 그리고 나서 교원노조의 기원과 성장, 전망을 다룬다. 물론 이 과정에서 국내외의 사례가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75

    망라된다. 그리고 나서 이들 단체가 교육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분석해보며, 그리고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전망해본다. 마지막으로 이들 성격이 다른 두 단체간의 통합가능성도 탐색해 본다.

    상담과인간관계(Counseling and Human Relations) 이 교과는 로저스의 상담에서의 인간관계의 필요충분조건을 진정성, 수용, 공감이라고

    하였다. 본 과목에서는 이 세 가지 요소의 이론적 의미를 살펴보고 그 특성들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논의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상담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도록 한다. 본 과목의 선수과목으로는 상담이론과 실제가 있다.

    동서양평생교육론(Comparative Studies on East and West Lifelong Education Thoughts)이 강의는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대표적인 동서양의 이론가인 소크라테스와 공자의 이

    론을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이 이론들이 현재 평생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 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첫째, 소크라테스의 이론을 살피고,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재해석해본다. 둘째, 공자의 이론을 살피고,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재해석해본다. 셋째, 두 이론을 비교하고, 이 두 이론부터 현재 평생교육이 얻어야할 시사점은 무엇인지 도출해본다.

    비교인성교육론(Comparative Character Education)한국, 일본, 미국의 인성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 과정,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비교

    한다. 각국은 서로 다른 문화, 교육 풍토 속에서 서로 다른 목적, 내용, 방법으로 인성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사실의 확인과 이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비판적평생교육론(Critical Perspectives on Lifelong Education)평생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과 관련한 비판 이론을 탐색한다. 파울로 프레리의 실천과

    이론,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론적 사회비판이론, 메지로의 전환적 학습이론, 진보교육론, 비판교육론 이론 등등을 살펴본다. 이러한 이론 등을 이해함으로서 평생교육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 시사하는 바에 대해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기회를 갖는다.

    상담사례연구I (Counseling Case Study I)학생들이 실천한 상담의 사례나 기존의 상담사례들을 분석하여 사례 속에 담겨진 상담

    원리를 도출하고 검토함으로써 상담의 구조를 이해하고, 상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상담사례연구II(Counseling Case Study II)실제 상담사례의 축어록 분석을 통해 효과적 상담의 특징과 비효과적 상담의 원인을 탐

    색한다. 각 상담사례의 이론적 배경은 무엇이며, 상담자의 언어적 반응은 적절한지, 내담자의 문제는 무엇이며 심리적 특성은 어떠한지, 효과적 상담전략은 어떤 것인지 함께 분석하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76 대학원 요람

    고 토의한다.

    상담이론연구(Counseling Theories)상담의 여러 이론들을 인간적, 주요 개념, 상담의 목적, 과정 및 기법 측면에서 비교, 학습

    한다. 그리고 상담이 적용되는 영역을 각 영역별 특수 문제의 이론적 기초와 그 문제를 다루는 특수한 기법을 중심으로 개관한다. 마지막으로 상담교육과 전문가 관리와 관련되는 문제를 다룬다.

    성격장애의이해(Understanding of Personality Disorder)성격장애는 어린 시절부터 서서히 발전하여 성인기에 개인의 성격으로 굳어진 성격적

    특성이 부적응적 양상을 나타내는 장애이다. 성격장애는 3가지 군집의 10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분된다. 3가지 군집은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기이한 성격특성을 나타내는 A군 성격장애, 정서적이고 극적인 성격특성을 나타내는 B군 성격장애, 불안하고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C군 성격장애이다. 본 강좌에서는 성격장애의 유형과 각 유형의 주요 증상, 임상적 특징, 사례, 원인과 치료에 관해 살펴본다.

    수업컨설팅(Instruction Consulting)수업컨설팅이란 교사가 컨설턴트와 협력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현재 수업의 문제

    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업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과정이다. 또한 교사와 컨설턴트 간의 수평관계가 유지되며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다. 이 과목은 수업컨설턴트의 역량과 수업컨설팅 과정의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수업전문가로서의 자질을 높이는데 역점을 둔다.

    수업연구세미나(Seminar on Instructional Research)수업 분야의 연구자들은 독자적으로 연구 주제를 설정하여 적합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

    며, 연구 결과를 보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강좌에서는 수업 분야의 전공자들이 주체적으로 연구 문제의식을 지니고 연구 설계를 수립하며, 실질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전 과정에 걸친 논의와 실습을 수행한다.

    수업심리학과효율적학습(Instructional Psychology and Effective Learning)수업의 효율성은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달려 있다. 효과적인 학습은 학습자의 심리적 제

    특성에 관한 지식을 요구한다. 이 과목에서는 수업을 구성하는 제 변인들에 어떠한 심리적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논의하며, 나아가서 학습 개별화를 포함한 효과적인 수업전략들을 탐색해 볼 것이다.

    연구지도법I(Research Methodology I)논문지도교수가 지도학생들에게 논문의 지도 및 방법과 관련한 세미나나 개별 교수법

    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학위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지적 기반을 마련해 준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77

    연구지도법II(Research Methodology II)연구지도법I을 수강한 학생들이 세미나나 개별교수법을 통해 보다 심도 깊은 논문지도

    를 받는다.

    영재교육프로그램개발(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영재 교육 프로그램은 영재아의 특성이나 영재 교육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운영

    되어 왔다. 정규 학교는 물론이고 지역사회 교육 자원 전반에 걸쳐 폭넓게 제공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속진·심화학습을 중심으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요소별 개발 방법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이론적 논의와 함께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

    영재교육모형론(Systems and Models of Gifted Education)영재교육 이론가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모형들이 제안되어 왔다.

    창의성, 다중지능, 자기 주도 학습 역량, 무한 재능(Unlimited Talents) 등 영재교육 분야의 핵심 요인을 중심으로 한 교육 체제이론과 모형에 대해서 논의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영재교육 모형을 구안해 볼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교육 체제 및 모형에 적합한 교수-학습 전략을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원격교육체제개발(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System)정보통신 공학의 발달은 학습의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을 해체시키고 있다. 우편물에 의

    한 학습으로부터 시작된 원격 학습 체제는 웹기반 학습 환경의 구축으로 그 실효성을 증대해 가고 있다. 원격교육의 개념과 발전, 원격교육의 유형별 특성과 개발, 그 활용 가치와 미래 전망 등 다양한 원격 교육 유형을 이론적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실천수행 능력에 제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웹기반수업설계(Development & Application of Web-based Instruction)교육공학의 발전은 정보통신공학의 발전과 비례한다. 웹 기반 학습이 정착되어 가는 현

    실을 감안할 때, 그에 적합한 수업 매체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웹기반 수업의 본질, 그에 따른 수업매체의 제작 방법과 요령, 웹기반 수업체제의 활용 가능성 등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인간특성과교육(Human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학습자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들 특성이 교육장면에서 의

    미하는 바를 파악하며, 인지적, 정의적 특성의 학습원리를 탐구한다.

    학습이론연구(Learning Theories)현존하는 학습이론들을 이해하고 이들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들을 살펴본다. 구체적으

    로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발달이론적 접근들을 역사적 흐름에 따라 고찰할 것이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78 대학원 요람

    전문성개발과평생교육(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ifelong Education)급변하는 사회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것이 자기계발이다. 자기계발의 중심은 전문성

    계발과 연결되는 데 이를 위해 평생교육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다룬다. 경험과 전문성간의 관계, 반성적 실천과 전문성간의 관계, 의식의 변화와 전문성간의 관계를 구체적 사례와 실천중심의 학습을 중심으로 전문적 능력, 기술, 태도, 의식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정서와교육(Emotion and Education)정서와 정서지능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정서와 정서지능에 대한

    개념발달, 측정의 문제, 관련변인들, 심리치료 및 교육과 일상생활에의 적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견해를 교환한다.

    정신분석과상담 (The Psychoanalysis and Counseling)본 과목에서는 프로이트의 저서에 나타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내용을 고찰하고 상

    담의 기법에 관해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실수행위의 심리, 꿈, 신경증에 관한 일반이론 등에 대해서 다룬다.

    지능이론과교육(Intelligence and Education)지능이론의 발달과정을 고찰하여 지능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형성하고, 각 이론의 시사

    점에 근거하여 여러 교육실천적 방법을 모색한다.

    지역공동체평생교육실천론(Study on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Practice)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교육적 관점으로 지역사회의 성장과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지

    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의 실천 영역들을 함께 탐구하여 지역사회교육, 평생학습을 통한 도시의 재구조화, 지역사회 안의 다양한 쟁점들을 평생교육 과제로 인식할 수 있는 안목과 실천능력을 개발하고자 한다.

    진로발달이론연구(Study of Career Development Theory)진로는 학업과 더불어 학생들의 가장 큰 관심사이자 고민거리이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학업 지도에만 열성을 쏟을 뿐 진로지도는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교사들이 진로 지도의 원리와 방법을 잘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본 강좌에서는 이제까지 나온 다양한 진로발달이론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후 각 이론을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그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해 본다.

    창의성과영재교육(Creativity and Gifted/Talented Education)영재성의 본질은 창의성에 있다. 창의성에 대한 제 이론가들의 주장을 분석하고, 창의성

    관련 변인과 그에 따른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들을 이해한다. 창의성에 관한 연구 성과들을 종합하여 영재교육 실천 프로그램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79

    청년발달과교육(Adolescence Development and Education)청년기의 신체적, 정신적, 지적, 사회적 측면의 발달적 특성을 발달심리학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청년기의 건강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문제를 연구한다.

    통일교육론(Education for Unification of Korea)이 강의는 민주평화통일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아직까지 우리에게 생소하게 여겨지고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북한교육의 이념, 내용, 구조, 정책일반 등에 대하여 총

    체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북한을 탐구대상으로 객관적, 비판적인 관점에서 단순 대상화 시켜 인식한다.

    이 강의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부분은 북한의 교육이념을 다루는데 강의의 중점을 둔다. 북한교육의 성립근거로서 마르크스, 레닌 교육관의 개요를 살피고 북한교육의 전개과정 및 북한교육의 기본원리를 알아본다. 둘째 부분에서는 북한교육론의 이론과 체제를 다룬다. 여기에서는 주체론적 교육이념과 교육내용, 교육제도와 행정, 교육과정, 교육심리, 방법론들을 알아본다. 셋째 부분에서는 북한이 의도하는 인간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의 실제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다룬다. 여기에서는 취학전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사회교육, 영재교육, 조총련교육 등을 알아본다.

    영재교육정책과평가(Gifted Education Policy & Evaluation)영재교육은 관련 법규와 정책에 의해 제도화된다.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동

    법 시행령과 관련 법률의 변화를 이해하고 영재교육진흥과 관련한 국가 정책의 특성과 추이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영재아의 학습 진보에 대한 평가와 영재교육과정·수업의 평가 및 영재교육 질 관리를 위한 정책 평가 등 교육 체제 전반에 걸쳐 객관적인 평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평생교육경영론연구(Studies of Lifelong Education Management)학교에 국한되지 않는 여러 형태의 비형식, 무형식 교육활동이 크게 부상하고 있다. 이러

    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조직하고 운영하는 데 요구되는 관점, 태도,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적이다. 평생교육에 관한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구체적 교육활동을 조직하고 운영할 줄 아는 데 요구되는 이론적, 실천적 개념들에 관해 논의한다.

    평생교육과 노인교육(Lifelong Education & Gerogogy)한국은 OECD 국가 중에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의 삶의 질 향

    상을 위해 복지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교육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교육을 담당한 전문 인력에 대한 요구 또한 커지고 있다. 이 강좌는 이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노인교육을 담당할 전문 인력이 가져야 할 지식, 태도, 기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강의 내용은 첫째, 노인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노인에 대한 시각 전환의 필요성을 타진한다. 둘째, 한국 노인교육의 유형, 특성, 문제점을 고찰한다. 셋째, 노인교육이 상대적으로 발전한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넷째, 앞으로 한국 노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80 대학원 요람

    인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평생교육과민주시민교육(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이 강의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한 사회 과제로서의 민주화와 민주시민 양성

    을 위해 평생교육이 담당해야할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첫째, 민주시민 교육의 개념, 필요성, 그리고 관련 이론을 살펴본다. 둘째, 한국 민주 시민교육의 발전 과정, 현황, 문제점을 알아본다. 셋째, 한국에서 민주 시민 교육과 평생교육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평생교육이 민주화와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해 어느 정도 기여해 왔는지, 앞으로는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할지 짚어본다.

    평생교육과반성적실천연구(Lifelong Education and Action Research)이 강의는 평생교육의 중요한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반성적 실천 연구를 집중적으로 살

    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첫째, 다양한 연구 방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왜 반성적 실천연구가 평생교육의 중요한 연구 방법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알아본다. 둘째, 학습자는 반성적 실천연구의 발전과정, 유형, 특징 등을 살펴본다. 셋째, 학습자는 반성적 실천연구의 대표적인 이론가인 듀이의 연구 방법인 과정탐구논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아울러 듀이의 과학적 탐구논리에 근거하여 반성적 실천연구가 진행된 사례를 살펴본다.

    평생교육과성인학습이론연구(Adul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Lifelong Education)변화의 시대에 중요한 것은 변화할 줄 아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능력은

    평생교육적 차원의 성인학습에서 중요한 영역이다. 이 강의에서는 성인의 변화능력개발과 관련한 몇몇 성인학습이론을 다루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전환적 학습이론, 의사소통행위학습이론, 반성적 실천학습이론, 자기주도적 학습이론 등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평생교육전문성개발연구(Lifelong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ies)이 강의는 지식사회에 적합한 전문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전문성을 어떻게 개발해야 하

    고,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지식사회에 적합한 전문성이 무엇을 말하는지 이해한다. 다음으로 지식사회에 적합한 전문성을 기른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길러야 한다는 것인가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전문성, 전문성개발, 전문성개발과정과 관련된 연구를 탐색한다.

    평생교육방법연구(Studies of Teaching Methodology in Lifelong Education)평생교육대상인 아동, 청소년, 성인의 특성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교수 학습방법론에 대

    해 이해하고 실천적 사례에 대해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토론학습(Dialogical Learning), 프로젝트 학습(Project-oriented Learning),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의사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81

    소통행위학습(Communicative Learning)을 중심으로 한다.

    평생교육실습(Practicum in Lifelong Education)이 강의는 학습자에게 수업시간에 배운 평생교육의 이론을 실제 현장에 적용, 실천해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평생교육사로서의 전문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첫째, 실제 현장에서 평생교육사는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해야 할지 알게 된다. 둘째, 수업 시간에 배운 평생교육과 관련한 이론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한다. 셋째, 현장에서 평생교육사로서 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실제로 활용해본다.

    평생교육론연구(Studies of Lifelong Education)이 강좌는 평생교육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를 재조명함으로써 평생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한국 평생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요 논쟁 즉 평생교육 개념, 평생교육과 교육 불평등, 평생교육법, 평생교육 행·재정, 평생교육사제도,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축제 등과 관련된 논쟁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아울러 이런 문제들과 관련한 외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해본다.

    평생교육철학연구(Philosophical Exploration on Lifelong Education)본 강의는 지식사회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철학적으로 탐색하는 강의이

    다. 이를 위해 먼저 지식사회에 적합한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성격에 대해 철학적으로 탐색한다. 두 번째로 듀이의 경험이론과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중심으로 지식사회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천적 토대에 대해 철학적으로 탐색한다. 세 번째로 지식사회에서 평생교육이 직면한 도전적 과제를 풀어가는 데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비판적소통연구방법론(Critical Communicative Research Methodology)을 중심으로 탐색한다.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Studies of Program Development in Lifelong Education)이 강좌는 성인의 학습심리와 발달과업상의 특징 등을 감안하여 이들의 필요에 부합하

    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설계와 개발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 기획, 실행 및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실천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 기획, 목표설정, 요구분석, 설계, 홍보 및 마케팅, 실행과 운영, 평가 등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평생학습도시와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Cities and Lifelong Education)이 강좌는 평생학습도시의 선정과 발전이 평생교육 발전과 평생학습사회 건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평생학습도시의 정의, 목적, 역사적 전개 과정, 유형, 현황, 특징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어보고 아울러 평생학습사회 건설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의 문제점을 진단해본다. 또한 외국의 평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82 대학원 요람

    생학습도시와 한국 평생학습도시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 본다.

    평생교육연구디자인(Research Design for Lifelong Education)이 강의의 목적은 평생교육과 관련된 연구디자인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양

    적연구패러다임은 무엇이고, 질적연구패러다임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다음으로 양적연구패러다임에 근거한 연구디자인과 질적연구패러다임에 근거한 연구디자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양적연구를 어떻게 디자인하고 질적연구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를 이해한다.

    평생학습이론연구(Studies of Lifelong Learning Theory)이 강의는 지식사회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제기되고 있는 평생학습이론을 이해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식사회라는 시대적 성격에 대해 이해한다. 다음으로 지식사회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강조되고 있는 평생학습이론인 자기주도적 학습이론, 전환학습이론, 확장학습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학교경영론(School Administration & Classroom Management)이 강좌는 학교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행정을 이해하고 학급을 경영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개념과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강의는 크게 학교행정 부분과 학급경영 부분으로 구성된다. 학교행정부분의 강의는 우선 학교조직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현장인 학교는 목적 ․ 인적구조 ․ 인간관계 ․ 과업수행 ․ 통제면 등에서 특수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학교조직의 운영과정과 학교행정가의 행정행위를 다룬다. 이 부분에서는 학교의 의사결정구조의 변화와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학교의 의사결정 ․ 의사소통 ․ 동기부여 ․ 지도성이론 등을 학습한다. 그리고 학교의 조직풍토와 문화를 다룬다. 학교조직은 다른 조직과는 구분되는 풍토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학교풍토와 문화에 초점을 맞춘다. 다음으로, 학급경영 부분의 강의는 교수학습조직으로서의 학급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학급조직은 성인인 교사와 미성숙자인 학생들로 구성된 만큼 다른 조직과는 구분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나서 학급경영의 과정을 학습한다. 여기에서의 주요한 주제는 학급의 인간관계 ․ 의사소통 ․ 학습동기의 유발 ․ 학급규범의 개발 등이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학급관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여기에는 수업시간의 질서유지와 시간관리 ․ 생활지도 ․ 훈육 등이 주요 주제가 된다.

    학교경영효과연구(Effectiveness of School Management)학교는 한 국가의 교육기관으로서 효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물론 학교는 교육기관

    이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그 경영효과가 평가되어야 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곤란한 것을 양화할 수 없는 요인들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학교경영이 효과적으로 되어야 하고 경영효과가 높아야 한다는 주장이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학교경영의 효과를 평가하는 지표를 설정하고, 학교경영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83

    들을 분석하면서 학교경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탐색한다.

    학습동기이론I (Studies in Theories of Academic Motivation I)이 강좌에서 학생들은 동기의 본질을 이해하고 여러 동기이론들을 고찰한다. 각 동기이

    론들이 시사하는 학습동기의 실천적 전략을 탐색한다. 그리고 일상에서 만나는 학업문제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동기문제를 진단하고 그에게 실천적 전략을 적용하여 변화의 과정을 관찰하여 보고한다.

    학습동기이론II (Studies in Theories of Academic Motivation II)주요 동기이론들을 소개하고 이 이론들을 교육이라는 맥락 속에서 학업과 연결시켜 진

    행한 경험적 연구들을 소개한다. 외국에서 개발된 학업동기이론들이 한국 학생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다양한 실증 연구결과들을 고찰한다. 이러한 이론들이 어떻게 한국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고, 실질적인 동기유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행동수정(The Behavior Modification)본 과목에서는 행동주의 관점에서 학습현상을 이해하고 행동주의에 기초한 행동수정

    기법을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은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과 도구적 조건형성이론을 고찰하고 다양한 행동수정기법들을 익힌다.

    학습자특성및학습행동연구(Studies i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첫째,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특성이 학습활동 및 학업성

    취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검토한다. 둘째, 학습활동 시 학습자가 사용하는 학습양식과 학습전략의 유형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양식 및 학습전략의 활용 방안을 탐구한다.

    학습상담 (The Counseling of School Learning)본 과목에서는 학교에서의 학습과 관련된 문제 및 관련요인들을 확인하고, 학업부적응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상담적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전략들을 탐색하여 일반학생들의 학습향상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학습조직과평생교육(Learning Organization and Lifelong Education)변화의 시대에 핵심이 되는 것은 변화할 줄 아는 능력이다. 변화는 학습을 통해 일어나고

    학습을 통해 변화하기 위해선 조직자체가 이러한 변화와 학습을 촉진하고 격려하는 학습조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평생교육의 접근으로 학습조직으로 전환하는 데 요구되는 데 기본적 능력인 시스템사고, 자아완성, 사고모형, 공유비젼, 팀학습 등을 중심으로 다룬다.

    한국교육개혁론(Educational Reform in Korea)교육개혁론은 기존의 교육을 보다 나은 상태로 바꾸기 위한 조직적, 체계적 노력이다. 이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84 대학원 요람

    강좌에서는 교육개혁의 주체로서 국가에 대한 논의에서 출범하여 교육개혁의 배경에서 일 터의 변화를 다룬다. 그리고 나서 교육개혁을 범주화하고, 우리나라 교육개혁을 개관하면서 유형화를 시도한다. 또한 교육개혁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한다. 이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한국의 교육개혁 사례에 대한 개인적 연구를 통하여 어떤 경우에 교육개혁의 성공하고 실패하는지에 대하여 안목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한국교육정책사례연구(Case Studies in Korean Educational Policy)교육정책은 국가가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운영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정책

    이 결정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집단들이 자신들의 교육적 이해관계를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며 국가는 이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면서 교육정책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교육정책은 각 집단에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해 나간다. 이 강좌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한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교육정책결정과정에서의 교육관련 이해집단의 역할과 기능, 국가의 역할, 그리고 교육정책의 효과와 변화과정을 분석해 나갈 것이다.

    한국교육행정문제연구(Current Issu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한국의 교육행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강좌는 현재 교육행정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여러 가지 개념과 이론들을 총동원하여 그 문제의 현상적 특징, 근원, 해결방안들을 학생들로 하여금 탐색해보게 하는 학생 중심의 강좌이다.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교육행정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한국현대교육행정사연구(History of Moder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교육행정은 교육에 대한 국가의 권력작용이다. 그것의 구체적 모습은 교육활동을 조성

    하기도 하고 통제하기도 한다. 해방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교육행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교육행정의 모습을 드러내고 그 기저의 논리를 추출하려고 한다.

    현대사조와교육과정(Contemporary Thoughts and Curriculum)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현대적 사조는 다양하다. 이 강좌에서는 포스

    트모더니즘, 구성주의, 신자유주의 등의 다양한 배경에서 성장한 현대 사조를 개관하여 교육과정 탐구와 해석의 안목을 넓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사회이론과평생교육연구(Social Theory and Lifelong Education)현대사회이론의 시각에서 교육의 과제와 쟁점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다

    룬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이론가인 하버마스, 푸코, 카스텔의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변화의 속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현대사회의 도전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대사회의 도전과 과제가 현대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현대 교육이 부응해야 하는 교육적 도전적 과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85

    3) 교과교육전공국어과교육과정연구(Studies in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일반 교육과정의 본질, 구성과 실천, 평가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국어과 교육과정

    의 성격, 목표, 내용 및 평가, 교수‧학습 방법 등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실제 중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그것이 실제 국어과 교과서에서의 구현 양상을 탐구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화법교육연구(Studies in Korean Speech Education)인간의 모든 능력 가운데 언어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고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 능력인데 이는 또한 인간만의 독특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국어화법과목은 이러한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언어능력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강좌는 화법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화법의 원리, 유형, 기능 등을 익히게 하며, 대화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실제 사회생활이나 직장 생활에서 능동적으로 언어활동을 할 수 있는 기량을 키우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구조로 바뀐 언어와 화맥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언어사용자들의 능력에 관한 연구, 지시 연구, 함축, 전제, 담화행위, 담화구조의 양상에 대한 연구, 대화간의 사회적 요인이나 사회심리적 동기에 의해 달라지고 결정되는 경어 체계를 다루기로 한다. 또한 담화 상에 있어서의 협동의 원리(CP)와 공손함의 원리(PP)를 다루고 문법과 관련된 요소인 화맥과 서법, 지시와 조응관계,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발화행위, 초점과 주제 등을 다룬다.

    한국현대문학론연구(Studies of Literature Theory in Modern Korean)한국현대문학 전반에 대한 이론 연구로서 학습자의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강의의 분야

    를 정한다. 이 강좌는 학습자의 현대문학에 대한 이해와 지도능력 향상을 위해서 마련되었으며, 발표자의 연구 논문과 관련지어 대상 작품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해석을 위한 이론 습득을 목표로 한다.

    국어교육학특강(Special Topic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에 대한 개별 영역적 접근을 통합하여 국어교육학에 대한 총괄적 이해를 심화

    하는 데 목적을 둔 과목이다.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 등에서 배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등 영역별 교육이론을 토대로, 영역 통합적 관점에서 이들을 어떻게 상호 연계시켜 효과적인 국어교육을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연구하고 모색한다.

    국어과교재연구(Studies in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교육활동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사이에 매개체가 있어야 되는데, 이것을 교재라 한다. 교

    재는 국어교육 전문가들에 의해 정선되어 체계적으로 조직된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현물인 교과서를 뜻하는 협의의 개념과, 교과서외 참고서, 비디오테이프 등의 각종 보충자료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된다.

    연구방법을 고려한 교재연구의 대상에는 언어 기능에 관련되는 교재와 언어지식에 관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186 대학원 요람

    한 인지적 교재, 문학적 교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재연구에는 교재자체에 대한 객관적 연구와 수업을 전제로 한 실제적 연구가 있다. 전자는 교육자료 자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 교재가 어떤 영역에 속하고, 어떤 형식과 구성, 또는 어떤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어떤 계열과 어떤 단계에 있는가 등에 대한 연구이다. 후자는 전자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실제 수업에 투입시키는 연구로서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흥미, 욕구에 맞게 교재를 재구성하는 일이다. 교재연구는 중심교재인 교과서를 교육활동에 직접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측면이 있는가 하면,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교과서의 괴리를 찾아내어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들을 교재화하는 작업도 병행해야 한다.

    어휘교육연구(Studies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국어 어휘론으로 확장하여, 어휘 자료의 수집 정리에 관한 이론과

    구체적인 성과물에 대해서 분석 비판하고, 실제로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어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그 의미 해석을 시도해 볼 수도 있다. 어휘의 공시적 체계, 통시적 변화 양상, 어휘의 통계적 연구 등에 대해서 이해하고, 실용적인 측면으로 어휘 교육과 국어 순화, 사전 편찬 등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한국고전문학론연구(Studies in Old Korean Literary Theories)한국고전문학 시대의 문학관 및 문학론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통해, 고전문학 작품을 보

    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과목 개설의 목표가 있다. 고전문학 담당층의 계층적 성격과 사회 ․ 문화적 위치, 그들의 문학관․문학론을 이해함으로써, 그들에 의해 생산, 향유된 고전문학 작품들의 주제의식과 미의식 등을 당대 세계관 및 가치관, 동양적 미의식과 연관시켜 이해하게 한다.

    한국문학작가연구(Studies in Writers of Korean Literature)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작가들에 대해 그 생애, 문학사상, 시대적

    배경, 그의 계층적 성격과 가치관 등에 대해 알아본다. 이때 구체적으로 다룰 작가는 중 ․ 고등학교 국어과 교재에 그의 작품이 실려 있거나, 그에 대한 언급이 있는 작가를 중심으로 선정함으로써, 대학원 강의가 중 ․ 고등학교 문학교육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문학특강(Special Topics in Korean Literature)한국문학의 보편성과 개별성, 전반적 전개 양상, 갈래의 생성과 변화 등 갈래체계의 역사

    적 흐름, 한국문학 연구에 있어 문제되고 있는 주요 쟁점들에 대해 검토한다. 이를 통해 학부, 대학원 석사과정 등에서 배운 한국문학에 대한 이론과 지식 등을 총괄적으로 종합하고 정리함으로써 한국문학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심화하고, 한국문학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가능하게 한다.

    한국고전소설연구(Studies in Old Korean Novel)한국고전소설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학술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학자로

  • GRADUATE SCHOOL KYUNGNAM UNIVERSITY 교 육 학 과 187

    서의 능력을 기르는 데 과목 개설의 목표가 있다. 먼저 한국고전소설이 한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 한국 소설사의 전개 과정, 고전소설의 존재 양상, 작품의 창작과 수용, 고전소설과 다른 문학 갈래의 교섭 양상 등 한국고전소설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한다. 여기에 한국고전소설을 학술적으로 연구하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접목시킴으로써, 한국고전소설에 대한 학문적 탐구가 가능하게 한다.

    국어학특강(Special Topics in Korean Language)언어와 언어학에 관한 일반적인 이해와 국어과 국어학, 국어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이해

    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탐구물인 논문을 대상으로 발표 토론 수업을 함으로써, 이론의 이해와 이론의 실제 적용의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점검해 보고자 한다.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섭렵하고, 또는 동일한 주제에 관한 다양한 주장들을 이해함으로써 국어학에 관한 안목을 넓히고 자기주장의 터를 마련하게 된다. 이론의 일반적인 이해 차원에서 구체적인 적용의 문제까지 발전하게 되며, 국어에 관한 이론과 실용의 접목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게도 된다.

    한국현대소설연구(Studies of Modern Korean Novel)한국현대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소설이 가지는 문학교육으로서의 본질에 대하여 살피

    고, 둘째로 소설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을 정보이론으로 재해석하여 교육의 현장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것이 구체적인 삶의 현실에 어떻게 닿을 수 있는가를 함께 연구한다.

    국어과교육방법연구(Studies in Methodolog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과 교육의 근본 목적인 국어사용 능력 신장을 어떻게 하면 달성할 것인가를 목표로

    한다. 즉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및 문법과 문학 등 국어과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