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표 제공을 통한 자가용량 조절 정도 통한 자가용량 조절 정도 서울아산병원 당뇨교육실 당뇨교육실 정림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표 제공을

통한 자가용량 조절 정도통한 자가용량 조절 정도

서울아산병원

당뇨교육실당뇨교육실

이 정림

Page 2: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차 례차 례

연구의 필요성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제언

Page 3: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의 필요성

당뇨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고당뇨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고 있다.

선행연구: 기저인슐린 투약과 자가혈당 조절 지침을

제공하여 혈당조절이 현저하게 개선됨.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면서 혈당에 따라서 용량을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면서 혈당에 따라서 용량을

조절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스스로 조절하지 않고 있다.조절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스스로 조절하지 않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량 조절 지침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다.

Page 4: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목적연구 목적

인슐린 주사시 용량 조절 지침을 표준화한다.주사시 용량 지 화 다

용량조절 지침 제공군과 기존의 방법(메모)으로 교육한 군

간의 자가용량 조절 정도와 혈당개선 정도를 확인한다.

대상자들이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에 따라서

용량을 조절하지 않는 이유를 확인한다.

효과적인 용량 조절을 위한 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한다.

Page 5: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방법연구 방법

연구대상자연구대상자

2007년 4월부터 8월까지 인슐린 주사가 처음 처방된 환자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기존의 용량 조절 법 설명한 33명

2007년 6월부터 8월까지는 용량 조절 지침을 제공한 30명

제외

정기적인 방문이 중단된 대상자 제외정기적인 방문이 중단된 대상자 제외

이식후 치료나 항암치료 등으로 혈당조절이 불량한 경우

본원 당뇨병 센터 내 교수님들과 협의하여

인슐린 주사시 용량 조절 지침을 표준화하였다인슐린 주사시 용량 조절 지침을 표준화하였다.

Page 6: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방법연구 방법

설문조사

교육시행 후 3개월 이후에 전화를 통해서 자가조절 정도 평가교육시행 후 3개월 이후에 전화를 통해서 자가조절 정도 평가

설문내용 1

처방된 인슐린 종류, 양과 주사시간 종류( )양( ) 주사시간( )

평가일 시점에 맞는 양과 주사시간 양( ) 주사시간( )

처방일 시점의 식전후 혈당, 혈색소 식전( ) 식후( ) 당화혈색소( )

지시 받은 혈당측정의 빈도는?(일) 일 ( )회

현재 혈당측정 빈도는?(일, 주) 일 ( )회, 주( )회

Page 7: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설문내용2

혈당측정 빈도를 조절한 이유는? □혈당조절이 잘 되어서

(□유지함 □조절함) □측정 시험지 비용이 부담되어서

□측정할 때 너무 아파서

□교육받은 대로 잘 지켜서 시행함

□기타:

최근의 자가혈당 측정치 값은? □조식전:

□중식전:

□석식전:

□자기전:

Page 8: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설문내용3내용

목표혈당 달성 정도 □적절 □부적절

인슐린양 조절을 스스로 하였는가? □함 □안함 □하다가 중단(충분치 않음)인슐린양 조절을 스스로 하였는가? □함 □안함 □하다가 중단(충분치 않음)

조절하는 기준은? □지침표의 사용법대로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

□기타 :

용량을 충분하게 조절하지 않은 이유는?(복수응답)

□인슐린을 많이 맞으면 안 좋을 것 같아서

□몸의 기분이나 상태가 좋아져서(복수응답)

□몸의 기분이나 상태가 좋아져서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몰라서

□혈당이 잘 조절되어서

□저혈당이 자주 생겨서

□충분하게 잘 조절함

□기타 :□기타 :

주사 맞기 시작한 이후 저혈당이 몇 번이나 생겼는가?

□없음 □( )회/주 □( )회/월

첫번째 방문( 개월 후)의 검사결과 식전( ) 식후( ) 당화혈색소( )

두번째 방문( 개월 후)의 검사결과 식전( ) 식후( ) 당화혈색소( )

Page 9: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 (하루 1회)용량

처방된 인슐린( )

주사시간( )

아침식전 혈당을 측정하여 4일 평균 혈당치를 보고 인슐린 양 조절당 정 평 당 양

( )이상일 경우 인슐린을 4단위 증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 )이상일 경우 인슐린을 2단위 증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 - )으로 유지될 때 현재 맞는 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인슐린을 4단위 감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있을 때

인슐린을 4단위 감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Page 10: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 (하루 2회)

처방된 인슐린( )

용량

처방된 인슐린( )

주사시간( )

아침식전과 저녁식전 혈당을 측정하여 4일 평균 혈당치를 보고 인슐린 양 조절아침식전과 저녁식전 혈당을 측정하여 4일 평균 혈당치를 보고 인슐린 양 조절

( ) 이상일 경우 저녁 인슐린을 2단위 증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아침식전혈당

( - )으로 유지될때

현재 저녁에 맞는 양을 그대로 유지

80 이하이며 저혈당80 이하이며 저혈당증상이 있을 때

저녁 인슐린을 2단위 감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200 이상일 경우 아침 인슐린을 4단위 증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저녁식전혈당80-200 으로 유지될 때 현재 아침에 맞는 양을 그대로 유지

80 이하이며 저혈당증상이 있을 때

아침 인슐린을 4단위 감량하고 4일 동안 혈당관찰

Page 11: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 (하루 4회)

처방된 인슐린과 주사시간( )

용량

( )

아침식전(후),점심식전(후), 저녁식전(후), 자기전 혈당을 측정하여4일 평균 혈당치를 보고 인슐린양 조절

아침식전혈당

( )이상일 경우 자기전 인슐린을 2단위 증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 - )으로 유지될 때 현재 자기전에 맞는 인슐린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 있을 때 자기전 인슐린을 2단위 감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 있을 때 자기전 인슐린을 2단위 감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아침식후혈당점심식전혈당

( )이상일 경우 아침 식전 인슐린을 2단위 증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 - )으로 유지될 때 현재 아침식전에 맞는 인슐린양을 그대로 유지한다점심식전혈당

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 있을 때 아침 식전 인슐린을 2단위 감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점심식후혈당( )이상일 경우 점심식전 인슐린을 2단위 증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 )으로 유지될 때 현재 점심식전에 맞는 인슐린양을 그대로 유지한다저녁식전혈당

( - )으로 유지될 때 현재 점심식전에 맞는 인슐린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 있을 때 점심식전 인슐린을 2단위 감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저녁식후혈당( )이상일 경우 저녁식전 인슐린을 2단위 증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저녁식후혈당자기전혈당

( - )으로 유지될 때 현재 저녁식전에 맞는 인슐린 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80이하이며 저혈당 증상이 있을 때 저녁식전 인슐린을 2단위 감량하고 4일동안 혈당관찰

Page 12: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결과

대상자의 특성특성 N b (%) ± SD특성 Number(%) or mean ± SD

구두설명(메모)군 지침표 제공군

나이 54.3 ± 13.8 55.4 ± 8.6

성별

여성 10(30.3) 8(26.7)

남성 23(60.7) 22(73.3)

당뇨병 유병기간(years) 11.8 ± 8.32 14.2 ± 7.4

교육시 공복혈당(mg/dL) 212 2 ± 64 2 191 3 ± 64 4교육시 공복혈당(mg/dL) 212.2 ± 64.2 191.3 ± 64.4

교육시 식후 2시간 혈당(mg/dL) 314.0 ± 98.8 310.3 ± 85.3

교육시 당화혈색소 (%) 10.0 ± 2.3 9.6 ± 1.9

처방된 인슐린 종류

NPH 17(51.5) 14(46.7)

Lantus 10(30 3) 13(43 3)Lantus 10(30.3) 13(43.3)

혼합형 5(15.2) 3(10.0)

다회주사 1(3.0) 0(0)

Page 13: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결과

자가용량 조절시 용량 조절 지침 준수 정도자가용량 절시 용량 절 지침 준수 정

지침 기준 준수정도

준수함 준수 안 함 p

구두설명(메모)군 7(21.2) 26(78.8)

279.279

지침표 제공군 10(33.3) 20(66.7)

Page 14: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결과

자가용량 조절시 용량 조절 기준자가용량 절시 용량 절 기준

N(%)

구두설명(메모)군 지침표 제공군 전체구두설명(메모)군 지침표 제공군 전체

안함, 의사의 처방대로 6(18.2) 4(13.3) 10(15.9)

지침표대로 7(21.2) 10(33.3) 17(27.0)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19(57.6) 14(46.7) 33(52.4)

기타 1(3.0) 2(6.7) 3(4.8)

Page 15: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결과

혈당조절 개선정도

혈당조절 개선 정도

낮아짐 N(%) 높아짐 N(%) p

구두설명(메모)군 20(66.7) 10(33.3)

공복혈당 .850지침표 제공군 20(69.0) 9(31.0)

식후 2시간혈당구두설명(메모)군 20(71.4) 8(28.6)

.711지침표 제공군 16(66 7) 8(33 3)지침표 제공군 16(66.7) 8(33.3)

당화혈색소구두설명(메모)군 21(70.0) 9(30.0)

172당화혈색소 .172지침표 제공군 23(85.2) 4(14.8)

Page 16: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연구 결과

인슐린 용량을 증량하지 않는 이유인슐린 용량을 증량하지 않는 이유

N(%)

구두설명(메모)군 지침표 제공군 전체

인슐린을 많이 맞으면 안3(9 1) 7(23 3) 10(15 9)

인슐린을 많이 맞 면 안좋을 것 같아서

3(9.1) 7(23.3) 10(15.9)

몸 상태가 좋아져서 3(9.1) 0(0) 3(4.8)

혈당조절이 잘 되어서 16(48.5) 12(40.0) 28(44.4)

저혈당이 자주 생겨서 4(12 1) 4(13 3) 8(12 7)저혈당이 자주 생겨서 4(12.1) 4(13.3) 8(12.7)

어떻게 할지 몰라서 2(6.1) 0(0) 2(3.2)

기타 5(15.2) 7(23.3) 12(19.0)

Page 17: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결론 및 제언

지침준수 정도가 전체 17(27 0%)명에 지나지 않았고지침준수 정도가 전체 17(27.0%)명에 지나지 않았고본인의 판단에 의해 용량조절을 하는 경우가33(52.4%)명이었다.

1

인슐린 용량 조절 지침표를 제공한 군과 제공하지 않고구두로 설명한 군간에 자가용량 조절정도와 혈당조절정도의 향상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2

정도의 향상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당조절이 잘 되었다고 스스로 판단하여 인슐린을 증량을 하지 않는 경우가 전체 28(44.4%)명이었다. 3

Page 18: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결론 및 제언

용량조절 지침을 통해 자가용량 조절을 하도록 한 그

룹과 주기적인 전화 또는 메일을 통한 상담을 제공한4그룹과의 인슐린 용량 조절 정도와 혈당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4

인슐린 주사와 용량 증가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전략이 필요하고 적극적으로 자가관리를 지

속하도록 돕는 당뇨병 교육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5

Page 19: 2 이정림.ppt [호환 모드] - diabetes.or.kr ·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2007년4월부터8월까지인슐린주사가처음처방된환자 2007년4월부터5월까지기존의용량조절법설명한33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