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T IT 산업 산업 환경변화와 환경변화와 IT IT 중소기업 중소기업 정책방향 정책방향 2007. 6. 26 2007. 6. 26 김정언 김정언

2007. 6. 26 김정언 - kisdi.re.kr · 중요해질것임(Christensen et. al(2004)) – 글로벌화와반도체산업의환경변화-> 향후전문화에성공하는개도 국의중소팹리스업체들에게는세계틈새시장진입기회가열림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Korea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ITIT산업산업 환경변화와환경변화와

ITIT중소기업중소기업 정책방향정책방향

2007. 6. 26 2007. 6. 26

김 정 언김 정 언

Content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I IT산업 환경변화 분석

IIIIII IT중소기업 발전방향

IIII IT중소기업 현황 분석

IVIV IT중소기업 정책방향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2

Korea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T산업환경 변화 분석II

3

21.7 25.7 34.451.5

75.589.9

153.2 160.9186.1 199.2

229.2 238.1248.1

59.4

117.8

부문별ᆞ기간별 IT산업 성장률 변화

2001년을 기점으로 IT산업 성장률 둔화 추세

IT산업 생산액 및 성장률 추이

IT산업 생산액(조원)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6.919.722.39.022.028.0IT산업 전체

정보통신 서비스

정보통신기기

소프트웨어

9.721.230.78.940.738.6

※ 자료 : KAIT

(단위 : %)

18.3%18.3%33.9%33.9%

49.6%49.6%

27.1%27.1%

19.0%

30.0%

5.0%

15.6%

7.0%15.1%

3.9% 4.2%

15.5%15.5%

31.1%31.1%

'01~'06'96~'01'92~'96

증가율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3

IT산업 성장둔화(1)

4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T산업 성장둔화(2)-부문별 IT수출 추세

IT기기의 수출 증가율은 2000년 이후 장기적인 하락추세를 나타냄

- 정보기기, 통신기기, 방송기기는 2000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 IT부품은 2004년 이후 하락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30

-20

-10

0

10

20

30

40

50

199701 199711 199809 199907 200005 200103 200201 200211 200309 200407 200505 200603 200701

전체 통신기기 및 장비 정보기기 디지털가전 /방송 IT 부품

(단위 : %)

주 : 추세선은 Hodrick-Prescott Filter 이용

자료 : IITA

5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글로벌화(1)

• 저임 제조기반의 IT중소기업 경쟁력 상실

• 전문화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 필요

• 저임 제조기반의 IT중소기업 경쟁력 상실

• 전문화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 필요

무역자유화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글로벌화 진전

중국의 부상

상품시장상품시장

FDIFDI생산요소시장생산요소시장

::지식지식, , 기술기술

선진기업의 탈수직화

틈새시장 창출

글로벌글로벌 경쟁경쟁 격화격화 →→

아웃소싱아웃소싱 필요성필요성 증가증가

생산이동→생산이동→R&D R&D 국제화국제화

6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글로벌화(2)-중국의 부상

주요 국가의 IT수출 추이

자료: OECD(2006)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United States China EU-15 Japan

중국은 IT제품 최대수출국으로 부상

- 중국은 생산활동의 국제적 이동이라고 하는 세계 IT산업 환경 변화를 잘 활용

- 중국의 2004년 IT제품 수출액은 1,800억 달러로 세계 1위(가공무역 약 90%)

- 중국의 주요 IT 수출품: 컴퓨터 관련 기기(전체의 46%)

- 중국의 주요 IT 수입품: IT부품(총 IT수입의 65%)

(단위 :10억 달러)

7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글로벌화(3)- 지식집약활동의 국제화(칩디자인)

• 개도국 측 요인– 비용 측면의 이점: 칩 디자인 엔지니어의 임금

– 시장 수요측면의 이점: 아시아 시장의 잠재성

• 선진국 측 요인: SoC의 도입– 플랫폼 디자인 방식의 도입

– 임베디드 SW의 비중 증가: 소프트웨어 인력의 부족

– 시스템 레벨 디자이너의 부족

• 개도국 중소 팹리스(fabless) 기업에 주는 시사점– 반도체산업의 이슈: 과거에는 ‘속도’였으나 향후에는 ‘고객 맞춤형’이

중요해질 것임(Christensen et. al(2004))

– 글로벌화와 반도체산업의 환경 변화-> 향후 전문화에 성공하는 개도국의 중소 팹리스 업체들에게는 세계 틈새시장 진입 기회가 열림

8

컨버전스(1)

기술기술

디지털화·지능화·스마트화

Ubiquitous Network

IT와 이종기술간 융합기업기업

신규시장 창출 필요

기존사업의 고부가가치화

수요자 Needs 충족

고객고객

고도화된 서비스 욕구

편리한 삶 추구

개인화 및 다양화

디지털 컨버젼스디지털 컨버젼스

• 컨버전스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신제품에 대한 수요발생

• 대기업이 담당하기 어려운 틈새시장 진출

• 컨버전스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신제품에 대한 수요발생

• 대기업이 담당하기 어려운 틈새시장 진출

9

컨버전스(2) - 산업별 IT 중소기업의 역할

다양한 형태의 융합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개별 산업의 특성에 따라

대 • 중소기업의 역할이 다를 것으로 예상

중소기업 역할이기존 IT산업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일정한 성장 기회가기대되는 융합산업

지능형 로봇- 대기업 투자 부진, 주로 중소기업들이 로봇개발에 의욕적으로 참여- 로봇 부품 산업은 기존 중소 IT부품업체들에게 성장기회 제공중소기업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융합산업

RFID- SI영역보다는 단말(tag, reader)영역에서 중소기업 역할이 클 것임

이는 신규산업으로 볼 수 있으며, 새로운 시장 참여자들의 기회가 될 것임

u-Home- 건설, 가전, 통신 등 대기업이 주도하는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 부품 영역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커질 전망, 홈네트웍 시장도 하나의 성장기회임

모바일 TV- 기존 통신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나 단말기 영역에서의 중소기업 역할 한계- 부품 영역에서 중소업체 역할 기대

WiBro- 기존 통신시장과 크게 다르지 않은 시장구조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IPTV- 기존의 통신시장 구조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 대중소기업의 위상에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

Telematics- 기존의 통신서비스 시장과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 단말기 생산 영역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일정부분 가능할 수도 있음

Korea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T중소기업 현황 분석IIII

10

11

IT산업 내 사업체 수의 98.7%가 IT 중소기업

IT 중소기업은 IT산업 고용의 53.7%, 생산의 29.1%를 차지

IT 중소기업 현황-일반 현황

주 : 2006년은 잠정치, ()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임. 사업체수는 3월 기준임

자료: KAIT

구 분 2002 2003 2004 2005 2006p

IT 전체 19,056 16,705 15,542 17,149 19,787

IT 중소기업 18,803(98.7) 16,485(98.7) 15,306(98.5) 16,901(98.6) 19,539(98.7)

IT 전체 639,927 656,455 658,350 717,665 728,965

IT 중소기업 373,886(58.4) 369,807(56.3) 359,841(54.7) 385,238(53.7) 391,454(53.7)

IT 전체 186.1 199.2 229.2 238.1 248.1

IT 중소기업 54.0(29.0) 60.7(30.4) 69.2(30.2) 69.5(29.2) 72.3(29.1)생산액

종사자수

사업체수

IT 중소기업 현황 (’02-’06년) (단위 : 개, 명, 십억 원)

12

0.0

0.5

1.0

1.5

2.0

2.5

3.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IT대기업 IT중소기업 비IT대기업 비IT중소기업

IT중소기업 현황-노동생산성

IT중소기업의 생산성은 IT대기업 생산성에 크게 못 미칠 뿐만 아니라 비IT산업중소기업의 생산성보다 낮은 수준

- 제조업 생산성(’05년 기준, 억 원/명): IT대기업 2.5, IT중소기업 0.7

비 IT대기업 2.2, 비IT중소기업 0.8

IT제조업내 기업규모별 노동생산성 추이

주: IT제조업은 통계청 정보통신산업 특수분류를 따름, 노동생산성 = 부가가치액/종사자수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조사보고서 각호

0.4

2.8

2.5

2.0

1.2

0.4 0.50.6

0.7

0.2

2.2

0.8

(단위: 억 원/명)

13

참조: IT-비IT 기업규모별 비교-생산성

13

자료: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호주: 산업 전체 생산성 대비 기업규모별 생산성

(단위 : %)

0

20

40

60

80

100

12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IT 20인 미만

IT 20-49

IT 50-299

비IT 20인 미만

비IT 20-49

비IT 50-299

14

IT 중소기업 현황-설비투자

주: 2004(2)는 2005년 표본재정비에 따라 변경된 수치임, ( )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임자료: 한국산업은행 설비투자조사 DB

규모별 IT산업과 비IT산업간 설비투자 투자액 추이(단위 : 억 원,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IT산업 대규모108,209

(44.3)

67,239

(31.5)

68,903

(32.5)

108,351

(41.0)

208,027

(49.8)

4,792

(1.1)

2,083

(0.5)

132,596 (31.7)

42,719

(10.2)

27,607

(6.6)

417,824

199,229

(44.4)

중견규모11,452

(4.7)

13,409

(6.3)

3,735

(1.8)

5,515

(2.1)

3,792

(0.8)

중소규모1,568

(0.6)

555

(0.3)

934 (0.4)

720

(0.3)

1,433

(0.3)

비IT산업 대규모87,959

(36.0)

96,865

(45.4)

95,316

(45.0)

102,582(38.8)

175,324 (39.1)

중견규모24,495(10.0)

23,685(11.1)

26,381

(12.5)

31,094

(11.8)

43,544

(9.7)

중소규모10,556(4.3)

11,546

(5.4)

16,493

(7.8)

16,121

(6.1)

25,342

(5.6)

전체 제조업 244,239 213,299 211,762 264,383 448,664

IT 중소기업의 설비투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

- IT 제조업 설비투자 비중: 대기업 99.3%, 중소기업: 0.7%

- 비IT 제조업 설비투자 비중: 대기업 89.6%, 중소기업: 10.4%

- 제조업 설비투자 비중: IT중소기업 0.3%, 비IT중소기업: 5.6%

15

IT 중소기업 현황- R&D 역량(1)

2001년 이후 IT 중소기업 R&D투자 위축, IT대기업과의 격차 확대

- ‘95~’01 기간 동안 중소기업 R&D투자 전반적으로 증가

자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비중 추이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0

20

40

60

80

100

(단위: %)

16

IT 중소기업 현황-R&D역량(2)

IT 산업 연구개발투자는 소수 대기업에 의해 수행

- 2005년 기준 상위 5사의 연구개발비는 IT제조업 전체의 78.8%에 달함

IT제조업내 기업규모별 연구개발투자 추이

자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 DB

-

2,000,000

4,000,000

6,000,000

8,000,000

10,000,000

12,000,00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IT대기업 IT중소기업 상위5사 점유율

(단위: 백만원) (단위: %)

17

참조: IT산업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

-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비용절감, 표준화 등의 영향으로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면서, 매출액이 확대될수록 총요소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해석됨(모형1)

- 대규모 사업체의 경우 IT자본스톡이 총요소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반면, 중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추정계수가 양(+)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모형2)

17

사업체 규모별로 IT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결정요인이 상이함

자료: 김정언 외(2006), IT산업의 양극화 현황과 정책적 대응방향

IT산업 사업체 규모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결정요인

(7)=2.14(0.95)

0.34*(0.21)

0.27(0.21)

0.20(0.21)

0.24(0.21)

0.34*(0.19)

0.57*(0.30)

0.22***(0.06)

모형2

Hausman검정

d4*RITd3*RITd2*RITd1*RIT개방도정책금융

지원부가가치증가율

변수

(7)=2.29(0.94)

0.30***(0.09)

0.17*(0.09)

0.22***(0.08)

0.20**(0.10)

0.34*(0.19)

0.58**(0.30)

0.26(0.18)

모형1

Hausman검정

d4*RGDPd3*RGDPd2*RGDPd1*RGDP개방도정책금융

지원IT

자본스톡변수

18

IT중소기업 경영성과

IT중소기업 양적 성장세, 수익성은 여전히 취약

- IT대기업의 경우 매출 둔화에도 불구, 수익성은 비IT대기업보다 양호

- 반면, IT중소기업들은 높은 매출 증가에도 불구, 수익성은 비IT중소기업보다 취약

자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각호

규모별 수익성 및 성장성 추이 비교

1998-01 2002-05 2002 2003 2004 2005

대기업 7.9 9.1 15.9 11.2 24.5 -6.1

중소기업 11 18.2 56.1 21.4 8.4 25.4

대기업 6.8 10.5 9.4 3.8 18.2 9.8

중소기업 12.7 11.5 15.6 9 11.7 13.8

대기업 9.3 9.9 8.4 9.3 13.4 8.5

중소기업 3.6 3.7 3.3 4.6 2.8 3.9

대기업 6.3 7.4 7.3 7.8 8 6.8

중소기업 5.4 4.8 5.6 4.6 4.3 4.4비IT

IT

매출액영업이익률

비IT

IT

매출액증가율

19

IT중소기업 경영성과-변동성 비교

IT산업 수익구조 경영여건 변화에 다소 취약

- IT 기업들의 경우 비IT 기업들에 비해 성장과 수익의 변동성이 높음

- IT중소기업들의 경우 IT대기업에 비해 성장성, 비IT중소기업에 비해서는 성장성과

수익성 두 부문 모두 변동성이 높게 나타남

자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각호(1990~2005년 각 지표의 표준편차 기준)

주요 성과지표의 변동성 비교

매출액 증가율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경상이익률 매출액 순이익률

제조업 6.0 0.8 2.4 2.8

전체 9.7 3.1 4.1 3.5

대기업

중소기업

전체

대기업

중소기업

11.8 3.4 4.8 4.1

16.6 2.0 2.9 2.9

5.9 0.5 2.4 3.1

7.5 0.8 3.4 4.5

비IT산업

12.0 0.5 1.2 1.2

IT산업

Korea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T중소기업의 발전방향IIIIII

20

21

환경 변화와 IT중소기업의 역할

HW산업과 대기업 의존적 성장만으로는지속성장 불투명

IT 중소기업의 현황환경변화

컨버전스컨버전스

글로벌화글로벌화

시장의시장의

불확실성불확실성

증가증가

ITIT산업산업 성장둔화성장둔화

ITIT제조기반제조기반 악화악화

NutcrackerNutcracker현상현상

경영성과, 혁신역량 등 IT중소기업의

경쟁력은 IT대기업에 비해 크게 미흡

하고, 비IT중소기업들 보다 낮은 수준

IT중소기업들의 경쟁력 개선을 통해 IT산업 재도약의 틀을 마련IT중소기업들의 경쟁력 개선을 통해 IT산업 재도약의 틀을 마련

IT산업내 사업체 수 98%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 다수

대기업에 대한 부품 공급 등을 통해 중요한 인프라 역할 담당

22

참조: IT산업의 기업규모별 생산성 격차의 문제

22

IT제조업 생산성과 IT대기업-중소기업간 생산성 격차와의 상관계수는 0.987로

IT산업 전체 생산성과 부문별 성과격차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주: 노동생산성=부가가치/종사자수, IT제조업 기준IT대기업: 총사자 300인 이상 IT중소기업: 종사자 300인 미만 사업장

자료: 김정언 외(2006), IT산업의 양극화 현황과 정책적 대응방향(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IT제조업 생산성과 IT대기업-IT중소기업 생산성 격차 추이 (단위 :억 원/명)

0.0

0.5

1.0

1.5

2.0

2.5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IT대기업-중소기업 생산성격차 IT산업 노동생산성

23

IT중소기업의 발전방향

지금까지 대기업 高의존도

국내외 환경변화

- 글로벌 시장경쟁 가속화

- 산업연관효과 약화

환경변화에 맞는 독립적인성장주체로써 역량 구축 필요

글로벌화의 진행- 정부의 자국기업 지원 한계- 기업경쟁력 확보방안 시급글로벌 경쟁 환경에 맞는 경영활동지향 필요- 기존 통제위주의 경영 지양,

제휴 및 파트너쉽 중시 필요

환경변화로 틈새시장에 대한IT 중소기업의 역할 증대- IT제품의 소비자 니즈 다양화- 글로벌 기업의 탈수직화 확산대기업은 틈새시장 공략 제약- 사업우선순위 결정, 타겟시장

의 규모 등이 걸림돌

글로벌 혁신의 대응력 차이로, 대기업과의 역량격차가 확대- 중소기업의 혁신역량부족은

생산입지 위축으로 나타남혁신역량 강화로 전문기업 지향- 대기업 생산활동의 국내 유지,

해외 다국적 기업의 국내 유치

IT중소기업대기업과의 상생협력 구축

IT산업성장의

능동적 주체

글로벌 경쟁 위한

경영활동 지향혁신역량강화로

전문기업 지향

틈새시장

발굴 및 공략

Korea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T중소기업 정책방향IVIV

24

25

IT중소기업 정책의 기본방향

전문화전문화

국제화국제화대형화대형화

글로벌 시장에서 자생력을 갖춘 IT중소기업 육성글로벌 시장에서 자생력을 갖춘 IT중소기업 육성

•• 창업활성화창업활성화

•• 위험요소위험요소 회피할회피할 수수 있는있는

환경조성환경조성

•• 창업창업 및및 퇴출퇴출 생태구조의생태구조의

건전화건전화 유도유도 방안방안 마련마련

생태계 순환구조 개선

혁신역량 강화

국제화 인프라 구축

•• R&D R&D 인센티브인센티브 제고제고

•• 산학연산학연 공동연구공동연구 개발개발 지원지원

•• 지적재산권지적재산권 시스템시스템 인지인지

및및 활용을활용을 지원지원

•• ITIT혁신시스템혁신시스템 구축구축

•• 경쟁우위경쟁우위 원천원천 제공제공

•• 국제화를국제화를 위한위한 인프라인프라 구축구축

•• 글로벌글로벌 네트워크네트워크 편입편입 지원지원

•• 국제시장국제시장 정보를정보를 제공할제공할 수수

있는있는 시스템시스템 구축구축

26

혁신역량 강화

IT대기업보다 지나치게 낮은 R&D 규모 증대 필요

정부와 공공부문의 IT 중소기업 R&D를 위한 재원증대 필요

공공 R&D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을 높일 수 있도록 불필요한 행정절차 및 형식 제거

혁신활동 투자에 대한 조세감면과 같은 조세유인을 통해 IT중소기업의 R&D투자 유도

공공-민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혁신활동의 효율화

외부자원에 대한 접근을 위해 네트워크, 파트너쉽, 클러스터에 기반한 활동에 IT 중소기업이 참여할수 있는 기회 확대

대기업 또는 역량있는 타 중소기업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암묵적 지식의 흡수를 늘려야 함

지적재산권 시스템에 대한 인지도 개선 및 지원

지적재산권의 등록, 상업적 이용, 특허DB이용, 지적자산의 평가 등 지적재산권 시스템에 대한 인지도개선 및 법·제도적 지원

지적재산권 관련 전문가 양성과 IT 중소기업에 대한 지적재산권 적용 등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지원

IT중소기업 혁신시스템 구축

IT중소기업들의 혁신활동이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포괄적인 혁신시스템 구축 필요

IT NIS(National Innovation System)와의 연계

27

국제화 인프라 구축

수출업체간, 수출업체와 지원기관간의 학습네트워크 구축 필요

상담 혹은 대행 위주에서 탈피하여 경험 정보 전수 및 확산 촉진(영국 Export Club Movement)

IT중소기업들의 수출역량 단계별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IT중소기업들의 글로벌 능력 및 의지를진단하는 프로그램 확충 필요

다국적 기업의 유치를 통해 IT 중소기업의 국제가치사슬 편입을 지원

규제완화를 통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해외직접투자(FDI)를 증대시켜야 함

선진기업들과의 공동연구 활동 촉진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필요

국제화에 필요한 전문 인력과 관련 정보를 맞춤 지원

중소기업 국제화 추진의 가장 큰 어려움은 전문 인력과 관련 정보가 부족

국제시장에서 상업화시킬 수 있는 지식,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지원

국제시장으로부터 생성된 지식과 정보를 적기에 IT중소기업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28

생태계 순환구조 개선

IT 중소기업의 창업활성화를 위해 능력을 갖춘 기업가 저변 확충 필요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을 토대로 사업의 불확실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

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업가 저변 확충 필요

창업교육을 통한 창업마인드의 보급과 창업인에게 기업가 정신을 고취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창업보육사업의 창업성공률 제고, 기술창업 활성화 등 질적 고도화 추구

창업보육시설의 경쟁을 통해 질적 고도화를 추구

※ 중소기업청(2006)에 의하면, 제조업 창업이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성장성과 수익성이 우수한 업종의 창업이 부진

규제완환 등 기업친화적 시장 환경 조성

중소기업이 자율적인 결정에 의해 위험요소를 회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요구

혁신 및 성장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에 의해 성공여부가 결정

자금조달의 한계를 제거하기 위해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시장을 통한 건전한 금융환경 조성

한계기업의 자율적인 퇴출을 통해 건전한 시장기반 조성

한계기업의 퇴출지연은 중소기업들의 과당경쟁을 야기하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의 생존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창업유인을 저해

사전적인 진단을 통해 한계기업들의 폐업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고, 폐업이 요구되는 기업에 대해서는시장을 통해 퇴출을 유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필요

Korea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KOREA INFORMATION SOCIETYDEVELOP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