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137 Learning) I 1) Anders Erricson, Krampe, & Clemens Tesch-Roemer, ‘'l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pp. 363-400.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 Upload
    -

  • View
    146

  • Download
    4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서양음악학 제 10-1호 13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형성에 대한 고찰

정진원

I 들어가기

음악학습 중 악기의 연주법을 습득하고 연마하는 것은 학습자의 음악성 외에도 레슨을 받은 기간이

나 연습량과같은 학습적 요인이 가장많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다. 음악연주능력과관련된 초기의

연구는 주로 연습량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예상 할 수 있듯이 연주기량과 연습량은 매우 밀

접한 관계에 있어서, 세계적 수준의 연주자가 되게 위해서는 20세가 될 때까지 약 일만 시간 이상의

연습이 필요하다고 한다 1) 그러나 연습의 중요성은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도 중요하다 전문

연주가들은 연주전문성을 얻게 되기까지 상당양의 연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제한된 시간 안에

서 당변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그 방법도 매우 중요할 것이다. 기악연습의 학습성과 즉 연주

력 향상에 있어서 연습방법과 관련된 상당한 양의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연주 방

법의 개별적 측면들(전체를이어서 하는연습과부분연습, 양손분리 연습, 물리적 연습과정신적 연

습, 한꺼번에 하는 연습과나누어서 하는 연습등)을실험연구적 방법으로탐구하였었다. 이러한 연구

1) Anders Erricson, R띠f Krampe, & Clemens Tesch-Roemer, ‘'l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때ert

peκomlaI1ce," 퍼ιhok쩡ica1R1없ew, lαXl993), pp. 363-400.

Page 2: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38 서양음악학 제 10-1호

들이 연습방법과 그 효과와 관련된 일련의 설명을 가능하게 해준 측면도 있지만 효과적인 악기연주

학습과정을심층적으로설명히는데는한계점을보여왔다. 이에 대한제안으로기악학습에 있어서의

‘연습(practic리’ 을 학습자의 다OJ한 특성이 반영되는 복합적인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

기되고 있다 2) 이때의 복합적인 과정은 단순한 반복적 연습과 구분하여 ‘Deliberate Practice' ,

Mu!tifaceted Process’ , 또는 Metacognitive Practice' 등의 다OJ한 표현으로 묘사되지만 학습자가 자

신의 연습과정을 주도적으로 분석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데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학습과 관련된 근간의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을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규명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 이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서 선택하는 전략들

은주어진문제에 따라서 그리고학습자의 특성과학습의 전후맥락에 따라서도달라질 수 있다. 이러

한 학습성향의 누적은 결국 학습의 효과 및 결과물에 디_OJ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

락에서 볼 때 기악학습의 연습과정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과정’ 의 대표적 인 예라고 볼 수 있는 것

이다 기악 학습뿐 아니라 교육과 관련된 다OJ한 영역 안에서 (ex 수학, 체스, 운동, 글쓰기 영역 들)

‘자기조절학습과정’을 연구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 해당 영역의 전문가

(expe띠se)가 보이는 자기조절 학습 유형을 살펌으로 영역에서 요구되는 문제 해결패턴 나아가 모범

적 사고유형을 이해 할수 있으리라는 것과, 둘째, 그러한모범 사고유형을바탕으로효과적인 학습

지도 유형을 제시 할 수 있으리라는 목적을 갖는다 4)

2) Susan H때때 ψhat do we know about praaice?'’ Doesprαtiæmalæpe’ifect? Current ψaηyand msearcb on instr urnental

m따i따aαîæ, 어ited by Harald J。멍;ensen & Andreas Lehmann(Oslo, Norway: Norges musik khogskole, 199η, pp. 179-229 An이-eas Letunann “The acquisition of expe띠se in music: Efficiency of deliberate praaic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cco띠삐19 for sub-ex야rt performer." Per때ionaηdα껑n뼈η ofm따lC, 어ited by lrene [농liege&J따1 A. Sloboda (UK 짧

Sussex: Hove Psychology Press, 199η, pp. 161-179 3) Barry 깅mmemαm,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때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 Se!fr뽕u/ation 01

/eamiηgandjJeIJαmance is:sues and edtμltiorι-da{.¥7lia짜기1.\', 어i~떠 by Da1eH 앙lUnk & Barry J 깅mm야nann 뻐짧le N]:

당뼈um, l95μ), pp. 3-21.

4) Barry zirnrnermann, “Academic 없φring and the development of 야rso띠lsk피: a seιregulatory pers야ctive." Educational 며ιb따갱y, 33 (1998), pp 장86

Page 3: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I맹비ated Le뻐ling) 형성에 대한고찰 139

II 자기조절학습

자기조절학습이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목적의 성취를 위

하여 보이는 능동적인 행동 성향을 의미한다. 이때 자기조절이란 상위지식(Metacogrωon), 동기화

CMotiva디on) , 그리고 학습전략 등을 자의적으로 선택, 개선하며 펼요한 학습의 양과 순서 등을 능동적

으로 결정한다는 점에서 학습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반두라(Albert Bandura)의 연구에 근

거하여 찜머만{Ba따 Zirnmennan)등에 의해 구체화 된 자기조절학습이론은 학습의 원동력을 학습자

가 자신의 내재적 조건, 학습 환경, 그리고 학습을 위한 행통의 변인 사이에서 자기학습을 조절해 나

가려는 노력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같은 교수 방법으로 교육하여도 학업성취에 계속 개인차가 생기

는 이유의 일부분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차이에서 옹다고 본다. ‘자발적으로 학습에 대한 의지를 취

하여 실행하는 것’ 이라는포괄적인 의미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포함할수 있는 범위는매우 넓다고볼

수 있지만, 자기조절학습이론은주어진 상황 안에서 다양한 변인을조절하는학습자의 주체적인 역할

에 초점을 맞추어 교수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틀을 제시하고 있다 5)

〈그림 1) 자기조옐학슐의 훈환적 구조

/ 실행추진 N (Perfonnance/Volition) \

사전성찰 를

CForethought) 뼈

여。 .m

콰ι k 싸

r3 /‘、

-

5) Zimmennann, 위의 글, p.82

Page 4: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40 서양음악학 제 lC니호

자기조절학습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는 자기관찰, 수행적용, 자기반응의 세 가지 요소를

일반적으로 들고 있다 즉 주어진 학습과제를 자신과의 상호작용의 대상으로 간주함으로써 이를 효과

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들을 교사의 단순한 지시에 의해서가 아닌 자기 성찰적 과정을 통하여 적

용해 나갈 때 그 결과는 생산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적용을 위하여 찜머만은 자기

조절학습에 있어서 자아성찰적인 요인들이 어떻게 관여하게 되는지를 순환구조로 설명하고 었다. 그

림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조절학습은 ‘사전성찰(forethought)’ , ‘실행과 추진(performance

/voli디on)’ 그리고 ‘자아반영(self-reflection)’ 의 세 단계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반복순환을 통하여 상

위 단계로 발전되어간다고 보고 있다. 이 세 영역은 다시 몇 가지의 하위영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표 1).

〈표 1) 자기조철학슐의 영역 멸 하위요소

자기조절학습

사전성찰 실행/추진 자아반영

·과제분석, ‘학습전략: *자아판단

문제분석 다0.1한학습전략에 대한이해 자기명가

전략분석 자기암시 원인분석

*자기동기화 집중력조절 *자기반응

자신감 ·자기관찰 자기만족

기대결과예상 실행기록 수용적/배타적반응

흥미유발 학습효과에대한분석

목표설정 새로운전략실험

‘사전성찰(forethought)’ 의 단계는 그 하위단계로 ‘과제분석’ 단계와 ‘자기동기화’ 과정을 포함한

다 과제분석을통해서는학습을위한구체적 행동을 시도를하기 이전에 현재 자신의 능력에 대한판

단을 근거로 주어진 과제를 분석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설정하며 어떤 방법으로 접근할 지 등이

고려된다. 이 과정이 잘준비 된 학생이라면 학습도중에 직면하게 되는문제들을보다효과적으로 처

리 할 수 있을 것이다. 동기화의 과정에서는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과 자신이 과제를 수행 할

수 있다는자신감을 재정리하고과제 수행을통해서 기대할수 있는 결과를 예상함으로써 자신이 과

제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동기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자기동기화가 구체적이고 강할수록

Page 5: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행띠ated Le밍ning) 형성에 대한고잘 141

실행과정에서 어려웅을 겪더라도 계속 추진해 나갈 수 있다. ‘실행과 추진(perforrnance/volition)’ 단

계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적절한 방법을 채택하고 실제로 그를 적용해 나가는 과정으로서 과제에 대

한 바른 분석과 꾸준히 시행해 나가는 능력이 펼요하다는 점에서 ‘계획’ 의 단계와 연결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인 학생일수록 문제 해결을 위하여 더욱 다양한 전략을 적용하며 수

시로 그 효과를 점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시도도 할 것이다.

이 때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학습의 결과를 성공적으로 이꿀기 위해서 집중력 조절, 또

는 자기 암시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것이며, 자신의 학습과정을 관찰하기 위해서, 녹음, 녹화, 필

기 등의 기록방법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다. 세 번째로 ‘반성(seιreflec디on)’ 단계는 결과에 대

한 분석과 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의 단계이다 자신이 목표했던 바에 비추어 결과의 성공과 실패가 어

디에 기인하는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의 결과는 다시 향후 학습의 방향과 학습에 대한 태도, 나아가

전반적인 학습자체에 대한가치결정에 까지도 영향을주게 된다. 앞의 두단계가충실히 준비되었다

면, 비록학습의 결과가좋지 않더라도그원인이 어디에서 기언하는가를 이성적으로판단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실패에 대한 구제적 인 분석이 가능해지고 그 원인

을재능의 부족과같이 개선 불가능한 이유에 두기보다는 잘못된 목표의 선정, 또는 노력의 부족과같

이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신 스스로가 개선 할 수 있는 요인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6)

이와 같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과 관련하여 학생이 감당 해내야 하는 ‘노력’ 이라는 영역을 매

우 다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데 그 장점이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영 역특화(Field-Spec퍼c)

적 성격을 띄고 있어서 학습자가 특정 영 역에 대한 학습이 지속될수록 그 영 역에서의 자기조절학습능

력 또한심화된다고보고 있다 이미 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학습에 미치는

핵심요인으로보고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바와같이 기악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는 ‘연

습’ 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학습과정을 적극적인 자세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기

조절학습능력은 다른 어떤 영역에서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그

두 가지는 1)성향으로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 (SRL as trait)과 2) 학습진행과정에서 보이는 자기조절학

습적용유형 (SRL as ongoing event)이다 성향으로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일정기간 지속되어옹 영

역 안에서의 학습과 다Ocf한 경험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학습접근 특성이며, 자기조절학습적용유형이

란 단편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 관찰되는 학습과정-조절 유형이라고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피아노를

이 Bany Zimmennann, ‘놓If.efficacy and educational development." 5따행ìcacy ín Cba1쟁1뺑 societies, edit<벼 by 꾀bert Bandura (Cambridge 타1생때d: Cambridge 버versity Press, 1995), pp. 202-231.

Page 6: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42 서양음악학 제 10-1호

배우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본다면, 꾸준히 지속되어 온 학습과정을 통해서 학생은 주어진 과제곡을 해

결하는 나름 대로의 방법을 갖게 된다. 이때 ‘성향으로서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이라면 ‘피아노를 학

습하는 것’ 에 대한 학생이 보이는 일관적인 성향과 태도라고 할 수 있겠는데, 피아노 학습자체에 어

느 정도의 중요성과흥미를갖고 있는지 뿐 아니라학습에 학생 스스로가 이해하고 있는학습 접근 방

식i 새 과제곡을 받으면 건반 앞에 안기 전에 우선 곡의 구성이나 흐름을 살펴 본다든가, 과제를 몇 개

의 부분으로 나누어 연습한다든가, 연습 시간을 고르게 분배 한다든가 등,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한 이

해 정도와 학습에 있어서의 자신의 역량에 대한 자성적인 평가로 설명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하

여 ‘자기조절학습적용유형’ 이라면 실제 연습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 해결 방식의 유형이라고

할수 있다. 종종학생이 이해하고 있는효과적인학습전략이 반드시 실제 과제 해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불일치는 학습의 초보단계에서 더욱 현저 하게 나타날 수 있다η 성향으로서의 SRL과

문제해결유형으로서의 SRL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고 이해 할 수 있는데, 일련의 문제해결과정에

경험한 SRL의 전략들이나 그 결과에 대한 성찰은 성향으로서의 SRL로형성된다. 이때 교사나 학습 시

스템으로 얻게 되는 다양한 피드백들은 학습자의 단기적, 장기적 SRL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볼수있다

음악영역에서의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연구는 시작의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어, 현재는 음악내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자기조절학습성향의 확인과 보다 타당한 하부요인들을 찾는 연구들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실제 음악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적용유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

다.

111. 선행연구

예술중학교에 재학 중인 피아노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8) 에서는 ‘피아노 학습’ 에 대한

전반적인 ‘성향으로서의자가조절학습성향을알아보기위한 67개문항의 ‘실기연습성향에관한설

문’ 이 실시 되었다. 표본집단에 대한 개별 인터뷰로부터 추출된 설문명가지를 통하여 수치로 환산된

η p버ip Wmne & Nancy Perπ, ‘'Measuring self-탬내ated leaming." Handhook 01 selfreguαψn, 려i~려 byMo미(꾸le Boekaerts, Pa버 R Pin띠며 & Mashe Zeidner, 없n Diego CA: Aca뼈띠c Press, 21αlO. pp. 532-568

8) 정진원,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 성향에 관한 고찰 중등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 r음악교육

연구J(인천 한국음악교육학회, 2(05), 제 27호, pp. 197-225

Page 7: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니탁냐는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맹Jlated Le뻐m이 형성에 대한고찰 143

학생들의 SRL은 한 학기를 주기로 이루어지는 단기 성취결과인 실기시험 결과와 통계적으로 의미 있

는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설문을 통해서 나타난 문항반응결과의 분석을 통해서 볼 때

위의 표 1 에서 제시한 사전성찰, 실행-추진, 그리고 자아반영적 특성을 세 가지의 하위 영역으로 확

인 할 수 있었다.잊 그림 2는 설문결과 분석에 의해 얻어진 자기조절학습성향의 하위요인과 연주성취

와의 관계에 대한 최적화 모델이다,

〈그림 2) 자기조혈성항과 연추성휘 상효판계의 최쩍화 모멜

?와 자아반영 )응-단팩간]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실기 성적으로 비교되었던 단기간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던 주요 요인

은 과제에 대한 전략적 이해와 자신의 역량에 대한 자기펑가 요인이었다 SRL의 세 영역이 상호 순환

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고려 할 때 자기조절학습성향이 학습성취에 영횡t을 미친다는 가셜은 어느 정

도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10)는 매 학기 실기 시험을 치러야 하는 예술 중학교 학생들이란 제한된 대상의 자

기보고식 평가지를 적용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성향으로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확인 하였지만학

습자의 자기조절학습성향이 실제의 문제해결과정에서는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9) Jin Won Chung., Se!f1행뼈없/.earnit쟁 inpiaη'Oprα1αojm찌찌상'-school piano majors iηKαI?a, Docto때 Dissertation (New

York αlumbia Univ안sity, 2αδ, pp.113-116

1이 정진원, 위의 글, pp. 197-226.

Page 8: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44 서양음악학 제 10-1호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학습성취와 관련해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실행 및 추진 전략

이 실제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살펴 볼수 있다면 기악학습에서 요구되는 ‘효

과적인 연습’ 또는 학습을 관리하는 ‘inetacognitive practice’ 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예

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의 적용유형을 살펴보는

데초점을맞추었다.

자기조절학습적용과정에 대한 닐슨(Siw Nielson)l1)의 선행연구에서는 전문 오르간 연주자 한 사람

의 연습과정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문제인식과 자기평가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전략의 적

용을 거치는 연습유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대상을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확대하여 관찰

함으로써 개인의 영역 전문성에 따른 적용과정의 차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IV. 연구문제

1. 실제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과 과정에서 나타나는 해결 전략은 어떠한가?

2.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문제해결과정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3. 과제해결과정을 유형화 시킬 수 있을 것인가?

4. 기악학습 지도에 있어서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V 연구방법

대학교의 피아노 전공자 2인과 성 인 비전공자 2인에게 새로운 연습과제를 부여하고 그 연습과정을 녹

화 관찰하는 사례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각자의 교사 판단에 의해 중간

정도의 난이도로 판단되어 선돼된 과제가 제시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적용을

관찰하기 위해서 VRDuring CVerbal Reports During Practice)와 RRAfter CRetrospective Debriefing

Reports After Practice)의 두 가지 방법을 적용했다. 학습자의 진술은 전 과정 기록하여, 그 내용을문

11) Siw NieJ.sen, ‘놓lf-앵u1ation of leaming strategies dωing praaice: Does praιttæl1U짜l? fXJifect?αtηf!1Ú따;ory and 1f!sem야on

instntmenJaJ m따χpra따:e, 어itedby 없raldjorgensen & Anreas Lehmann (Oslo, Norway: Norges musik 암1。흉kole, 1997), pp.109-122

Page 9: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맹비ated Le뻐ling) 형성에 대한고잘 145

제의 인식 (Problem Recognition) - 전략의 적용(Choice of Strategies)- 수행 평가(Evaluation of

Petformance)의 틀로 분석하여 연구 대상 별, 과제유형별로 발견되는 자기조절학습유형을 비교하고

자하였다.

1.대상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음악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인 피아노 전공 학생 2명과 동 대학의 사회교육원에

서 피아노 레슨을 수강하고 있는 비전공자 2명이다 전공 학생의 경우, 두 사람 모두 전 학기 실기성

적 우수자〈펑균 AO 이상) 이다. 비 전공자의 경우, 두 사람 모두 피아노 학습 경험이 약 2년 정도 이며

사회교육원을 통하여 레슨을 받기 시작 한지는 1년이 되고 있다 특히 비 전공자의 경우는 학습 기간

이나 연주능력 정도를 비슷한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 담당 전공 지도자와의 상의 후 모집 하였다 대상

을 전공자와 비 전공자로 구분하는 것은 과제 해결과정에서 보이는 자기조절학습적용유형이 주어진

영역의 전문성에 따라서 차이를보이는가를알아보기 위한목적이었다 전공자의 경우 연주완성도가

높은 집단의 학생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과제에 대한 집중도를 비슷한 수준으로 조절하고자 하였다.

2 과제곡

과제에 대한 통일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공자와 비전공자 내에서 동일한 과제곡을 부여하였다

과제곡은 전공자의 경우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ff, 1873-1943)의 《프벨류드(Prelude Op

23, No. 2, B flat Major)~ 이 었으며, 비 전공자의 경우는 하이든 (Joseph Haydn, 1732-1809) 의 《놀람

교향곡(Symphony No. 94, G Major ‘'surprise), 2악장》을 피아노 곡으로 편곡한 곡이다 라흐마니노

프의 프렐류드는 피아노 전공 학생들에게는 비교적 잘 알려진 곡으로서 자주 연주되는 편이며, 두 전

공자 모두에게 처음 공부하는 곡이었다. 하이든의 놀람 교향곡 2악장의 피아노 편곡 물은 본 연구에

참여한 비전공자들에게는 모두 친숙하게 알려진 곡으로서 두 사람 모두에게 중급 정도의 난이도를 갖

는과제였다.곡의 길이는두곡모두 3분 내외의 연주시간을필요로한다 연습과정에 대한녹화는전

날의 한 시간의 연습 기회를 가진 후 두 번째 연습에서 이루어졌다‘ 연습 시간은 전공자와 비 전공자

모두 40분을 주었고 연습 전 과정을 녹화 하였다

Page 10: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46 서양음악학 제 10-1호

3 - 관찰방법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관찰을 하는 방법은 독해, 수학, 물리 등 일반 학습과정연구에서와 동일한 방법

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학습과정연구에서는 학생이 남긴 펼기자료Cnote-taking) 분석과 함께 문제 해

결과정 중 자신이 가졌던 생각에 대한 학생의 진술(verbal -report)을 녹취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거친

다 1 2) 기악 연습에 있어서는 펼기자료를 남기기가 어렵기 때문에 연습 전 과정을 녹화하였고 연습과

정에서 거치는 학생들의 인지과정을 추적하기 위해서 연습과정 진행 중 진술(째During)과 연습과정

종료 직후의 진술(RRAfter) 모두를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연습과정 진행 중 진술이 연습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37명의 피아노 전공 학생에게 사전 실시 한 결과 37명 중 34명(91 .8%)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으로 반응하여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VRDuring은 40분 간의 연습과정에 동반되는 다양한 인지과정을 소리 내어 말하는 방식으로 기록

된다 예를 들어 연습과정 도중 정지하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다면, ‘중요한 부분의 음들을 틀렸어!’ ,

‘빠르기가 마음에 들지 않애’ , 또는 ‘같은 방법으로 다시 한번 더! . 등, 바로 그 순간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지를 소리 내어 말함으로써 기록되도록 한다. RRAfter는 연습과정의 녹화 직후 독화자료를 학생

과 함께 보면서 VRDuring의 각 과정 중 부가로 설명하고 싶은 내용을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

전 과정 역시 녹화하여 분석 하였다. VRDuring은 40분, RRAfter는 60의 녹화시간을 주었다.

VRDuring과 RRAfter의 구술 내용을 모두 문장으로 기록하여 그 내용을 표2의 유형으로 분류 하였

다. 대상들의 연습과정은자기조절과정의 대표적 순환유형인과제인지-자기연주평가-전략적용의

세요소로분리하였다

l깅 P비ipWmne& N따l<.y Perry, ‘Measuring self-regulated leaming," Handl.χIOk 01 se!freguαψ% 어ited by M。미que Boekaert5,

Paul R. Pintrich & M∞he Zeidner (:앓n Diego CA: ACldemic PI용S, 2fXX)), pp. 532-568

Page 11: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멍버atedLe뻐ling) 형성에 대한고질 147

〈표 2} 연습과정 북화자료 분류기준

T 。r혀 。 분류범례

문제의인식 ‘ 학생이 오류나 문제점을 표현핸 경우 또한 오류가 아닐지라도

자신의 연주방식을 비꾸기를 원하는 경우

예. “이 부분은 어려운 부분이얘” “이 부분은 반복되는 도약이 정

말많애” “이 부분에서는손목의 움직임이 중요해!" 등

수행에대한명가 * 자신의 수행에 대한 만족이나 불만족, 또는 오류의 발견 등을 나

타내는표현등

예· “잘못된음정이얘” “이번은좋았어,"“리듬이 정확하지 않아”

-I。=

전략의적용 * 오류나 불만족한 부분을 수정하기 위해서 취하는 방법 등에 대

한언급,

예: “이 복잡한 부분을 몇 번 반복해서 치겠어l “이 부분의 손목의

움직임을바꿔 보겠에” “이 부분의 손가락변호를바꾸어 보겠어1"

τr=r

VRDuring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3명의 분류자가 각각 분류하도록 한 후에 비교한

상호 일지도는 .89로 신뢰할 수 있었다. 내용 분석은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표 3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시간 진행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을 살피기 위해서 진술과 수행을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없After의 내용도 해당 되는 부분에 연계 분류하였다. 사후의 진술을 참고하는 것은 문제 해결과

정을 실제 해결자와 함께 논의 히면서 과정에서 보이는 문제 해결자의 보다 정확한 인지과정을 확인

할수있는장점이있다

Page 12: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48 서양음악학 제 10-1호

〈표 3) VRDuring 분류기륙의 범례

문제의인식 수행에 대한명가 전략의적용

구술설명 과제

1. 처음부터 시작해 보재

마디 1-3

2. 이 부분에서 왼손과 오

른손의진행이 어긋낼

3. 빠르기를좀더 느라고 양손

을맞추어야해!

마디 3x5회

VI. 결과

녹화내용에 대한 기술기록의 분석은 연습과정에서 대상들이 주어진 과제해결과정에서 문제의 인식

과 그 해결을 위한 전략의 결정 그리고 전략적용 결과에 대한 반응의 유형을 살피는데 초점을 맞추었

다. 그 결과는주로 질적인 측면, 즉 어떤 유형의 사고를 어떤 순서로하고 있는가를중요시 했으며 사

고의 빈도뿐 아니라 다양성의 측면도 살펴 보았다.

1. 진술의 양적측면

기술된 VRDuring 내용을 통해서 학습자가 주어진 연주과제를 어떤 과정을 거쳐 해결하는지에 대

한 어느 정도의 추적이 가능했다 우선 주어진 40분의 시간 동안 4명의 연구 대상에게서 얻어진 구술

문장의 수는 다음과 같다 (표 4).

Page 13: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맹띠a않dLe뻐1ing) 형성에 대한고찰 149

〈표 4} 기륙문장의 수

대상 총문장의수 문제에대한인식 수행에대한명가 전략의적용

전공자 A 717fl 217fl 16개 347fl

전공자 B 677fl 207fl 127fl 357fl

비전공자A 377fl 4개 147fl 19개

비전공자 B 247fl 5개 9개 10개

기록된 문장의 수는 내용의 다양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같은 시간 내에 일어난 문제 해결과정에

서 더 많은 양의 사고 처리를 더 자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유형에 따른 분포를 본다면 전

공자의 경우는수행에 대한평가보다는주어진 과제의 문제 인식에 더욱자주주목한것에 비하여 비

전공자의 경우는 수행에 대한 평가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진술의 질적 측면

문제해결과정에서 대상들이 나타낸 반응들은 대부분 과제의 기교적 측면에 관한 것이었다

“이 부분의 리듬은 불안정함j(전공 A)"

“왼손의 아르폐지오가 불편하게 느껴짐 (전공 B) !"

”이 부분의 음들을 계속 틀리고 있음 (비전공 A)!"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과제곡의 음악적 해석, 또는 표현적인 면에서의 문제점이나 그에 따른 전략

의 적용을 언급한사람은 없었다. 이는아마도 연습과정 녹화가새 과제곡을받은직후의 연습시간에

이루어졌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해결과정에서 보이는 사고의 내용은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서 다%댄f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자의 경우는 과제곡에서 ‘문제의 발견’ 을 다각적으로 하고 있음

을보여주었다.

a. “이 부분에서의 왼손 도액 (전공자 A: VRDUling η”

b. “앞에서와 비슷한 때턴 이지만 도약의 범위가 매우 넓은 부분! (전공자 B: VRDuring 38)"

C. “음형의 유형이 바뀌는 부분임! (전공자 B: VRDuring 41)"

d. “적당한 손가락번호를 정해야 함H전공자 B‘ 매During 13)"

Page 14: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50 서양음악학 제 10-1호

e “정확한 터치를 위한손목의 유연한움직임이 필요 (전공자 A: VRDuring 42) “

f “양손의 정확한 도약이 멸요! (전공자 B: VRDuring 45) “

g “연속 코드를 정확히 집도록 (전공자 A: VRDuring 20)"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제의 발견’ 은 과제의 특성에 근거하는 부분{a , b, c) 과 자신의 기량

에 근거한 경우 어, e, f, g)로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비 전공자의 ‘문제의 발견’ 은 주로 수행 도중

에 겪게 되는 잘못된 음정들이나 3도나 6도의 진행들에 대한 언급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a “임시표(#)를자꾸 잊고 침 l (비전공자 A’ VRD뻐g 5)"

b. ‘5도 진행이 어렵슴1 (비전공자 B: VRDuring 9)"

c “오른손의 넓은 진행(6도 진행)이 어렵슴l (비전공자A’ VRDuring 23)"

3. 전략의 적용적 측면

‘수행에 대한 평가’ 부분은 연습 도중에 발견되는 자신의 실수나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 수정이 펼요

하다고 생각 되는 부분에서의 언급틀이 포함된다. 자신의 연주에서 발견되는 문제 인식에 따라서 그

것을해결하기 위한전략의 선택과적용방법이 결정 될 것이므로 이 부분에서 어떤 유형의 사고를보

이느냐는 자기조절학습적용에서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서도 전공자의 경우는

단지 잘못된 음정들이나 정확하지 못한 터치들 이외에 손 움직임의 안정성이나 펀하고 불펀함 또는

리듬의 정확함이나 균형 등 세부적인 사항 까지를 언급하고 있는데 비해 비전공자의 경우는 바른 음

정 VS. 틀린 음정, 또는 바른 리듬 vs 틀린 리듬 의 양분법적인 평가를 반복적으로 보이는 것이 발견되

었다. 따라서 연계되는 연습 전략에 있어서도 전공자는 어려운 부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적용되고 있는 반면에 비전공자에게서는 단순히 반복해서 연습하는 방법이 자주 도입되고 있

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은 전략 적용의 과정을 보여주는 관찰기록의 예이다 (표5)

Page 15: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철학습(Self-R앵.ùated Le뻐ling) 형성에 대한고질 151

〈표 5} VRDuring 기혹의 예 (전공자 B)

문제의인식 수행에대한명가 전략의적용

구술설명 수행

R:오른손

L:왼손

B: 양손

마디 1-3

2 왼손진행의 손움직 마디 3-6 x 3회 (B)

임을정확히해야함.

3. 빠르기를 좀더 느리게 하여

서 양손의 움직임을 익힐 것

4 왼손의 fmgering을 확인 할 마디 3-4 (L)

켜〈

5. 좀더 빠른 템포로 확인! 마디 3-4 (υx2

6. 왼손진행이불안함

7 점음표 연습으로다시 한 번! 마디 3-6 (L)x 2

8 양손을함께! 마디 3-6(B)

9. 많이면해졌음

10 오른손의 음형처리 마디 7-12 (B)

에주의할것

위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전공자 B의 경우는 도약이 큰 까다로운 왼손의 아르페지오 진행을 해결하

기 위해서 반복, 빠르기 조절, 점음표 연습 그리고 핑거링 조절 등의 다양한 방법의 전략들을 적용하

고 있는것을볼수 있다. 다음은 비전공자두사람의 모두의 경우어려운부분으로분석 했던 연속 3

도 진행의 부분에 대한 구술기록의 예이다 (표6).

Page 16: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52 서양음악학 제 10-1호

〈표 6) VRDuring 기록의 여I(비전공자 B)

문제의인식 수행에대한평가 전략의적용

구술설명 수행

R 오른손

L 왼손

B: 양손

마디 11-13CB)

9‘ 3도 음형진행이 어렵

스n ’,

10 반복하기 마디 11-13x5CB)

11. 정확히 연주되지 않음

12 다시 반복하기 마디 11-13 x 4 (B)

비 전공자의 경우는 반복되는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서 다%댁f 방법을 적용하기 보다는 단순히 반복

해서 연습하는 전략만을 적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3도 진행음형은 오른손 부분에서 나타나지만 반

복 연습 내내 양손 모두를 함께 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자기조절화과정

VRDuring 에서 나타난 구술 내용의 분석을 통해서는 학습자가 얼마나 다양하고 분석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거치는지를 살펴 볼 수는 있지만 과정 내에서의 반복적으로 적용되는 사고 패턴을 찾기는 어

려웠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부분이 없After를 통한 보충 관찰이라고 할 수 있다. RRAftel

과정에서는 이미 녹화된 연습 과정을 함께 보면서 집중적으로 연습전략이 적용된 부분에서 어떤 과

정으로 문제를 처리했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During 과정에서는 문제의 인식, 수행

의 평가, 그리고 전략의 적용이 다양한 분포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문제 해결의 패턴

에 있어서 학습자가 문제의 인식에 중점을 두는지 또는 자신의 수행에 대한 평가를 근거로 하는지는

불 분명하다. RRAfter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

다다음은전공자A와 B가RRAfter 과정에서 언급한과제에 대한접근과정이다.

Page 17: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가조절학습(Self-R멍띠atedLe라ning) 형성에 대한고잘

악보 읽기 과정을 거치면서 과제곡이 갖고 있는구성적인 특정을 먼저 살핀다, 대부분 기교적 부분들도

곡의 구성과 맥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다 녹화된 연습과정에서는 우선 부분적으로 과제의 주안점이 무

엇인지를 확인하고 거기에 맞는 연습 방법을 적용 했다 해결이 얼만 람 되고 있는지는 방법을 적용하면

서 이미 느낌으로알수있지만반복연습후에는확인하는작업이 필요했다〈없AfteI 전공자 B)‘

과제곡의 부분들 중에는 연습으로 해결되는 부분들도 있지만 어떤 부분들은 내가 테크닉적으로 갖고 있

는 약점인 것도 있는데 이 곡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넓은 묘드들의 빠른 진행들이다 이런 부분

은 곡의 구성과 상관 없이 많은 시간 다양한 방법으로 연습해야 한다 (뻐After 전공자 A)

153

위의 예에서 보듯이 전공자의 경우는문제해결의 진행은문제의 인식에서부터 시작하고 있는데 이

는과제의 구성이나특정에 근거 할수도 있으며 장기간 인식된 자신의 약점이나 기량에 대한분석에

근거 할수도 있음을알수 있었다 문제인식-전략의 적용-수행에 대한평가의 패턴은과제곡에서

보이는 기교적 구성에 근거 하는 듯이 보였다 두 전공자의 경우 전략의 적용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부분은 마디 3-6, 18-27, 28-31 , 그리고 53-58로 분리 되는데 이는 악곡의 음형의 진행이 다른 성격으로

바뀌는 부분이다 결국 과제곡 익히기 초기의 과정에서는 기교패턴을 중심으로 과제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짐을추측할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 비전공자의 경우는RRAfter 과정에서도 VRDuring 에서와

마찬가지로 error- correct 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 보였다.

VII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적용유형의 진행과정을 살펴 보기 위해서 피아노 연주과제의 연습과정

과 그에 대한 구술 설명을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통해서는 연습과정의 많은 부

분이 기교적 문제 해결에 주로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 했지만 이는 향후 연구에 있어서의 다O,}한 성격

의 과제를 포함 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 틀을 통해서 문

제 해결과정이 문제인식-전략선택-수행 평가에 구성으로분석 될 수 있음을확인 할수 있었다‘ 특

히 과정에 대한 기술기록을 통해서 학습자가 과제의 어떤 부분에서 어떤 방식의 해결과정을 거치는

지를 비교적 정확히 살필 수 있었으며 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개인의 특성과 과제에

따라서 그유형에 차이를확인 할수 있었다

비전공자와 전공자의 문제 해결 유형의 차이는 향후 연구에서 보다 다수의 대상을 포함하는 다각

Page 18: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54 서양음악학 제 10-1호

적 데이터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본 사례관찰을 통해서 볼 때 과제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가장 차이를 보였던 부분은 ‘문제에 대

한 인식’ 부분이었는데 그 원인은 일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의 차이이기 보다는 SRL 까leory 에서 제시

하고 있는 영역 특화적 학습능력차이로 보여진다 즉 전공자의 경우는음악과관련된 지속적인 학습

을 통해서 과제 자체를 분석하는 경험을 많이 할 수 있었을 것이고 이런 학습능력은 단위 문제해결에

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기악학습에 있어서 SRL 성향이나 문제해결과정에서 보이는 SRL 적용유형은 그 결과로 어떤 유형이

나 모형을 꿀어 낼 수 있는가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확인되는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접근과정

에서의 시사점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VRDuring 이나RRAfter의 과정은교사가학습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법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으나 이러

한 관찰 방법 자체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고 나아가 자

기조절학습과정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검색어

기악학습(Learning Music Instrument) I 연습(Practice) I 자기조절학습(Self - Regulated Learning)

Page 19: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명띠ated Le밍ning) 형성에 대한고잘 155

참고문헌

정진원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 성향에 관한 고찰: 중등 피아노 전공자를

대상으로" r음악교육연구J , 인천: 한국음악교육학회, 2005 , 제27호, pp. 197-225

Bandura, Albert‘ Self -e./fic,αcy’ the exercise of coηtrol. New York: W. H. Freeman,1997.

Bandura, Albert & CelVone, David “Differential engagement of self-reactive influences in

cognitive motivation." Orgaηizational Behavior and Humaη decision Process, 38 (986) ,

pp.92-113

Bany, Nacy & Hallam, Susan. ‘'praαice." 7be science aηd psychology of music fX까formaηce,

edited by Richard Pamcutt & Gary McPherson, Oxford, England: 0강ord University Press,

2002. pp. 151-166.

Chung, ]in Won “S싸regullχed leamiηigiηpμno practice of middle-school piaηomajoη tη

Korea."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2006.

Como, Lyn “Student volition and education: Outcomes, influences, and practice." Self-r쟁uμtion

ofleamiη:g and performance, edited by Dale Schunk & Barry Zimmermann, Hilsdale NJ: Erlbaum, 1994. pp. 229-251.

Enicson, Anders, Ralf Krampe, & Clemens Tesch-Roemer ‘The role of deliberate prac디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nnance." Psychological Revielν" 100(993), pp. 363-406

Gruson, Linda. ‘Rehearsal skill and musical competence: does prac디ce make perfect?"

Gα1eratiæ processes iη mUSIι edited by]olm Slobod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pp. 91-112.

Hallam, Susan ‘What do we know about practice?" Does practice make peη'èct?Curreηttheoη

and research 0η instrumeηtal music practice, edited by Harald ]orgensen & Andreas

Lehmann, Oslo, Norway: Norges musik khogskole, 1997. pp. 179-229.

Harnishmacher, Christian. ‘l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ivation, volition, and

maturational processes on practice behavior of young instrumentalist." Does practice make

R깐fece CIμηrmttheoη aηdresearch 0η inst:πtmentalmlι)Íc practice, edited by Harald.

]orgensen & Andreas Lehmann, Oslo, NOlway: Norges musikkogskole, 1997‘ pp.71-88.

Page 20: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156 서양음악학 제 10-1호

Lehmann, Andreas. ‘깨e acquisition of expertise in music: Efficiency of deliberate practic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ccounting for sub-expert performer." perceptioη aηd cognitioη of

music, edited by Irene Deliege & John A. Sloboda, UK East Sussex: Hove Psychology

Press, 1997. pp. 161-179

M짜I\cPhe히얹rso아on,π1, Ga까 &Z긴irnmermann, Barr띠띠y. ‘호S놓뻐e리lκf-약reg왜u비Jlatiωi띠o이on ofmu뼈IS임S잉ic때C떠떼a띠l le뼈e않amin뺑n맹g." The ηew

haηdbook of research 0η music teaching aηd learning , edited by Richard Colwell & Carol

Richardson, New York: 0강ord university Press, 2002. pp. 327-347.

Nielsen, Siw. ‘'self-regulation of leaming stα tegies during praαice." Doespnιtice make perfect?

Curreηt theory and research on inst~μmeηtal music practice, edited by Harald ]orgensen &

Anreas Lehmann, Oslo, Norway: Norges musik 때ogskole, 1997. pp. 109-122

Winne, Philip & Pe띠1, Nancy. ‘Measuring self-regulated leaming." Handbook of se!fr쟁ulatioη,

edited by Monique Boekaerts, Pa비 R. Pintrich & Moshe Zeidner,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pp. 532-568.

Zimmermann, Barry.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ming." .fiαtrnalof

EdUc,ιtional Psychology, 81(1989), pp.329-339.

--- ‘'Dimensions of academic seιregul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Se!f regulation of learniη'g aηdperformaηce.’ $μ:e5 and educational atψlic,ations, edited by

Dale H. Schunk & Barry J. Zimmennann, Hisdale l'{J: Erlbaum, 1994. pp. 3-21 .

---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development.’‘ S째l:.e.lJicacy in chaη'gtηig societie5, edited by

A1bert Bandura,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pp. 202-231.

--- “Academic studying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skill: a self-regulatory

perspective ... 없uc,αtional Psycholo.망" 33 (998), pp. 73-86

--- “Ätta뼈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Handbook of se!fregulatioη,

edited by Monique Boekaerts, Paul R. Pintrich & Moshe Zeidner,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pp .13-39.

Page 21: 정진원2007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정의_유형과_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_learning)_형성에_대한_고찰

연주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문제해결과정의 유형과자기조절학습(Self-R앵띠atedLe뻐ling) 형성에 대한고잘 157

[Abstracαt]

Patterns of Problem-Solving and Self-Regulated Leaming Process

detected from Practice Session

Chung, Jin-Won

Studies on learning efficacy insist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practice is the prin1ary factor

inf]uencing superior performance. Recent research in music practice argues that researchers must look

beyond the quantity of practice when considering the acquisition of skills required for advanced levels

of music performance. A focus on the diverse and individual ways in which music students apply to

solve problems they encoun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quality of their students' practice,

teachers may effectively improve teaching and assessment of student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The present study stressed a naturally occuITing activity and focused on two groups of piano

students(two piano major college students and two intermediate adult beginners). 까le study reports

on how djfferendy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self-regulated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ies during

prac디ce sessions. The study capitalized on ongoing activities in prac디ce session, and th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verbal reports both during and after the sessions as they prepared newly assigned piece.

The findings indicated all the students to have self-regulatory skills that enable them to optimize their

learning. It is found that students followed analysis and confme the problems - lookirlg for and apply

practice strategies- evaluate CUITent-status. Piano major students showed strong evidence of using

more vivid strategies of self-regulation. Especially major students and amateur students were djffered

in configuration of the problems. Advanced students applied more strategies to confine the problem

in reJation to their performance s뻐s. 깐1ey set specific goals, engaged in strategic planning, used self­

instruction, task strategies and monitored themselves at a detailed level. In contrast, novice students

showed mostly repetition of eITor-trial. However, the routine of analyzing problem-selecting and

applying strategies- trial evaluation was commonly found from both advanced and novic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