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석 사 학 위 논 문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 Upload
    -

  • View
    109

  • Download
    6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석 사 학 위 논 문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안 지 숙

Page 2: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석 사 학 위 논 문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최 병 철

이 논문을 음악치료학 석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6월 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안 지 숙

Page 3: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안지숙의 음악치료학 석사 학위 청구 논문을 인준함.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2008년 6월 일

심사위원장 서명/ 인

위 원 서명/ 인

위 원 서명/ 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Page 4: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 i -

목 목 목 목 차차차차

논문개요논문개요논문개요논문개요 …………………………………………………………………………………iv

ⅠⅠⅠⅠ. . . . 서론서론서론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2. 연구의 목적 및 가설 ……………………………………………………․ 2

3. 용어의 정의 ………………………………………………………………․ 3

II. II. II. II.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배경배경배경배경 ………………………………………………………………………․ ․ 5

1. 결손가정 …………………………………………………………………․ ․ ․ 5

1) 결손가정의 개념 ………………………………………………………․․ 5

2) 결손가정 아동의 특성 및 문제점 …………………………………‥ 6

2. 자아존중감 ……………………………………………………………‥․ ․ ․ 8

1) 자아존중감의 개념 …………………………………………………‥․ ․ 8

2) 아동의 자아존중감 …………………………………………………‥․ ․ 8

3) 결손가정 아동과 자아존중감 ………………………………………‥ 9

3. 사회성 …………………………………………………………………‥․ 10

1) 사회성의 개념 ………………………………………………………‥ 10

2) 아동의 사회성 ………………………………………………………‥ 11

3) 결손가정 아동과 사회성 ……………………………………………․ ․ 12

4. 결손가정 아동과 음악치료 …………………………………………‥․ 12

1)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 12

2)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 14

3) 집단음악치료활동 ……………………………………………………․ ․ 16

4) 결손가정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18

III. III. III. III. 연구방법연구방법연구방법연구방법 ………………………………………………………………………‥ 20

1. 연구대상 ………………………………………………………………‥ 20

Page 5: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 ii -

2. 측정도구 …………………………………………………………………․ 21

1)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 21

2) 사회성 측정도구 ……………………………………………………… 21

3. 연구방법 및 절차 ………………………………………………………․ 21

1) 사전검사 ………………………………………………………………․ ․ 21

2) 실험기간 및 방법 ……………………………………………………․ ․ 22

3) 사후검사 ………………………………………………………………․ ․ 22

4. 음악활동 프로그램 …………………………………………………․…․ ․ 22

1) 개요 ……………………………………………………………………․ ․ 22

2) 세션 구성 ……………………………………………………………‥ 25

5.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 26

IV. IV. IV. IV. 연구결과연구결과연구결과연구결과 ………………………………………………………………………‥ 27

1. 자아존중감의 변화 ………………………………………․……………․ ․ 27

1)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 27

2) 가설 1의 검증 ………………………………………………………․ ․ ․ 27

2. 사회성의 변화 ………………………………………………․………‥․ ․ 28

1)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 28

2) 가설 2의 검증 ………………………………………………………․ ․ ․ 29

V. V. V. V. 결론 결론 결론 결론 및 및 및 및 제언제언제언제언 …………………………………………………………………‥․ 30

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 ………………………………………………………………………………․ 33

부록부록부록부록 ……………………………………………………………………………………․․ 40

ABSTRACTABSTRACTABSTRACTABSTRACT ………………………………………………………………………… 43

Page 6: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 iii -

표 표 표 표 목 목 목 목 차차차차

<표 III-1> 실험집단과 통제지단의 인구학적 자료 ……………………………… ․ ․ 20

<표III-2> 집단음악치료활동 내용 및 목표 ………………………………………… 23

<표III-3> 집단음악치료활동의 구성 ……………………………………………… ․ ․ 26

<표 IV-1> 집단 간 자아존중감 사전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 ․ ․ 27

<표 IV-2> 집단 간 자아존중감 점수의 Mann-Whitney U 검증 ………………․ 28

<표 IV-3> 집단 간 사회성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 29

<표 IV-4> 집단 간 사회성 점수의 Mann-Whitney U 검증 …………………‥․ 29

Page 7: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 iv -

논 논 논 논 문 문 문 문 개 개 개 개 요요요요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Y 복지

관과 경기도 소재 S지역아동센터에 소속된 9~11세 결손가정 아동 30명이었다. 음

악활동에 참여한 S 지역아동센터의 15명을 실험집단에, 참여하지 않은 Y 복지관의

15명을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으며, 그 중 29명의 음악치료 사전 ․ 사후 설문조

사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은 2008년 3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6주간 주 2

회씩 총 12회기로 진행되었다. 독립변인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을 사용해 구성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었다.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자아존중감 검사 설문지와 사회성 검사 설문

지를 음악치료 중재 이전과 12회기의 음악치료 중재 이후에 실시하였다. 집단음악

치료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점수의 차

이는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집단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

감 점수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p< .05), 사회성 점수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향

상을 나타내었다(p< .o5). 이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적용한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

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age 8: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

ⅠⅠⅠⅠ. . . . 서론서론서론서론

1. 1. 1. 1.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및 및 및 및 의의의의의의의의

가정은 인간이 출생 후 최초로 소속되는 환경이다. 개개인의 성격특성의 기본이

형성되는 장 역시 가정이다. 아동기의 가정에서의 경험은 인간의 전 생애에 매우 강

력한 영향을 미친다. 가족 구성원과의 인간관계는 사회에서 맺게 되는 모든 인간관

계의 모형이 되므로 특히 중요하다(고정자. 이미옥, 1992). 따라서 아동은 건강한

부모와 함께 건전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나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급격한 사회 변화로 우리의 가정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로 인

해 다양한 사회ᆞ경제적 이유에 따른 이혼과 별거가 늘어났고, 부모 중 어느 한쪽이

나 양쪽이 부재한 가정 즉,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결손가정은 1966년 39만여 가구에서 2000년 112만 가구로 지난 30

여 년간 크게 증가했다(보건사회연구원, 2000). 이러한 현상의 주원인은 급격한 이

혼의 증가이다. 연간 이혼건수는 2003년 16만7천여 건으로 1970년의 1만2천여 건

에 비해 13배 이상 늘어났다. 이들 중 70% 이상이 성장기 아동을 둔 상태에서 이혼

하고 있어 한해 12만여 명의 아동이 결손가정에 속하게 된다(통계청, 2003).

이처럼 결손가정의 급속한 증가로 현재 많은 아동이 부모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

다. 중요한 동일시 대상인 부모의 부재로 자신의 role model을 상실하는 상황에 처

하고, 대개 심리ᆞ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부분의 결손가정 아동은 부

모의 관심과 도움, 지도 및 감독 측면에서 질적으로나 양적으로의 감소를 경험한다.

이러한 부모 지지의 감소는 심리적 적응의 주요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저하되는 결과

로 이어진다.

인간이 최초로 맺는 사회적 관계는 바로 부모와의 관계이다. 어릴 때 형성된 부모

-자녀관계는 최초의 대인관계인 동시에 가장 밀접한 사회관계이다. 특히 영 ․ 유아

기는 부모-자녀관계가 다른 어느 때보다 밀접한 시기이므로 그 관계의 중요성은 더

말할 나위가 없겠다. 아동이 성장할수록 가정 이외의 사회 환경에 많이 노출되어 또

래나 교사의 영향도 커지겠지만 부모의 그것을 따를 수는 없다. 물론 성장 후에도 가

정환경의 영향은 매우 클 것이다. 건강하지 못한 가정에서 생(生)의 중요한 것들을

Page 9: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

경험한 아동에게 많은 문제가 발생됨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양육적 경험이 취약한 결손가정 아동이 올바른 상호 관계를 경험하도록 도

와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치료 활동은 부족한 양육적 경험을 대신할 효과

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은 감소하고 점차

발달과업에 맞는 행동을 하게 되며, 타인에게 민감해지고, 정서적 조율에 능숙해질

수 있다. 또한 활동 집단 안에서 공감, 조화, 반응을 경험함으로써 아동의 자기만족,

가치, 양육자와의 안정된 애착이 형성되고 이는 내적 감정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다

(이화연, 2003).

음악치료는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대상의 정서, 인지에 영향을 미쳐 행동의 변

화까지 유도하는 것이다. 이것은 장애나 질병을 가진 대상 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및 발견, 정서적 안정, 스트레스 관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음악은 대상의 음악적 배경과 상관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인간의 정

서에 영향을 미쳐, 미적 경험을 동반한 음악 경험을 통해 정서적 환기 및 경험의 질

을 결정짓는다(Roederer, 1974; 이은주, 1997). 집단음악치료활동 집단의 역동성

과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지지ᆞ수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 ․ 수용

하도록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호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특히 결손가정에서 상실을 경험한 아동에게 음악활동은 외부와는 다른 안정적이면

서도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러한 환경 안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여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과 친 사회적 행동으로의 변화를 유

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른 치료 프로그램에 비해 음악치료에서 이러한 아동들을 대상

으로 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늘어가는 결손가정 아동

을 위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2. 2. 2.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목적 목적 목적 목적 및 및 및 및 가설가설가설가설

본 연구는 결손가정 아동의 심리 ․ 사회적 특징을 고려해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그

들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age 10: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집단음악치료활동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자아

존중감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집단음악치료활동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사회

성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3. 3. 3. 용어의 용어의 용어의 용어의 정의정의정의정의

1) 1) 1) 1) 결손가정결손가정결손가정결손가정(broken (broken (broken (broken home)home)home)home)

결손가정이란 부모와 미성년 아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정에서 한쪽 또는 양쪽 부

모와 함께 살지 않는 가정을 말한다(장병림, 1984). 이것은 다시 형태적 결손과 기

능적 결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협의의 개념으로 가정의 기본 구성원인 부모

가 사망, 별거, 이동 등의 이유로 한쪽이 영구적으로 부재하는 가정을 말한다. 편부,

편모, 고아, 계부, 계모가 이에 포함된다. 후자는 광의의 개념으로. 부모가 현존하더

라도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나 기능에 장애가 있는 가정을 뜻한다(김수길, 1970).

본 연구에서는 협의의 개념에 국한하여 편부, 편모 가정 및 양친부재가정을 결손

가정으로 보았다.

2) 2) 2) 2)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self-esteem)(self-esteem)(self-esteem)(self-esteem)

일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자아에 대한 객관적이고 전체적인 평가를 의미하고

(Rosenberg, 1965; Coopersmith, 1967), 자신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정도를 말한다(Coopersmith, 1967; Argyle, 1991). 이는 자기 자신을 수용 혹은

거부하는 것을 나타내며, 스스로를 능력 있고, 의미 있고, 성공적이라 믿는 정도를

뜻한다. 즉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태도 속에 나타나는 스스로에 대

Page 1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4

한 가치 판단이다(송인섭, 1998).

3) 3) 3) 3) 사회성사회성사회성사회성(sociality)(sociality)(sociality)(sociality)

사회성이란 쉽게 말해 개인이 타인과 공동생활을 하려는 성향을 뜻한다. 즉, 인간

관계를 확대 ․ 심화하여 타인에 대하여 상호 의존하는 동시에, 개인적으로는 자기자

신이 사회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행동양식과 습관을 형성해 가는 것을 말한다(초

등교육학 개론, 2001). 이는 수많은 사회적 경험을 통해, 그리고 사회적 구조와 계

층에 따라 이루어지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습득되는 인간성이며, 타인과의 공동생활

을 원만히 해내고 적응할 수 있는 인성적 특성이다(이명환, 1998).

Page 12: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5

ⅡⅡⅡⅡ. . . .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배경배경배경배경

1. 1. 1. 1. 결손가정결손가정결손가정결손가정

1) 1) 1) 1) 결손가정의 결손가정의 결손가정의 결손가정의 개념개념개념개념

가정은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이자 생애 최초의 교육장이다. 그 안에서

기본적인 생활양식과 행동양식이 형성된다. 또한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를 통해 발달

된 사회성 및 대인관계 능력은 외부 사회에서 생활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부모는 최초의 교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정의 형태와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원인으로

가정이 붕괴되고 가족해체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가족해체 현상은 부모보

다 그 자녀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는 자녀 양

육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모호하게 하고, 자녀들은 정서적으로 불안한 발달을 이루

게 된다(김영숙, 이경화, 1998). 우리나라의 이혼율은 급속히 증가되는 추세로 인구

천 명당 이혼건수는 1970년 0.4건이었던 것이 98년 2.5건으로 대폭 상승한 후

2003년 3.5건을 기록하고 있다(통계청, 2003).

이와 같이 미성년자인 자녀를 둔 가정에서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없는 가정을

결손가정이라고 한다(이연경, 1998). 이는 형태적 결손가정과 기능적 결손가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부모가 아동과 함께 동거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의 기본 구성

원인 부모가 사망, 이혼, 별거, 유기, 실종, 수형, 장기부재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한쪽

이 영구적으로 부재하는 것을 말한다. 후자는 양친이 모두 있더라도 가정의 본질적

기능인 생활의 보호 ․ 보장 및 심리적, 신체적인 자녀 양육이 결여된 가정을 말한다.

우리나라 결손가정은 1966년 39만여 가구에 불과하였으나 1980년에는74만 가구,

2000년에는 112만 가구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전체가구 중 6.1%를 차

지하고 있다(보건사회연구원, 2000).

형태적 결손가정은 다시 부자가정, 모자가정, 양친 부재 가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부자가정은 모(母)결손 가정으로, 어머니가 없고 아버지와 자녀로만 구성된 가정이

Page 13: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6

다. 이 가정은 대체로 모자가정만큼 경제적으로 어렵지는 않으나 정서적 불안정으로

인해 자녀의 성격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모자가정은 부(父)결손 가정으로 아

버지가 없고 어머니와 자녀로 구성된 가정이다. 이 가정은 부자가정에 비해 정서적

으로 안정된 경우가 많으나, 아버지의 부재로 가정의 사회적응력이 저하되고 경제적

어려움이 뒤따르기도 한다. 양친이 모두 없는 양친부재가정은 흔히 소년․소녀가장세

대로 구분하며, 대부분 경제적 관리, 성격형성, 가정운영 등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2) 2) 2) 2)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아동의 아동의 아동의 아동의 특성 특성 특성 특성 및 및 및 및 문제점문제점문제점문제점

아동기는 신체적, 지적, 사회 ․ 심리적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이

때의 가정환경과 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성격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

족 간의 연대감이 파괴 되었을 때 아동에게 미치는 심리 ․ 정서 ․ 사회적 충격은 매우

심하다. 부모-자녀 관계가 원만할 때 아동은 건강하게 성장하며 그들의 의식구조는

긍정적으로 발달한다. 또한 학업 성취나 창조적인 사고와 같은 인지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발달을 이룬다. 반면 부모-자녀 관계가 거부적이거나 애정 결핍과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면 어떨까. 필시 아동의 정서 발달이나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

이 미칠 것이다. 아동이 그러한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면 공격성, 반사회성 및

정서적 불안이 높아지고 자아개념 역시 부정적인 방향으로 치우칠 것이다. 부모가

자녀에게 무관심한 양육태도를 보이거나 병약할 때, 아동은 자기훼손감과 자기비하

의식을 가지게 된다(정원식 외, 1983).

형태적 결손가정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사별과 이혼이며, 그에 따라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대한가정학회, 1990). 사별의 경우 한쪽 부모의 사망에 대한

충격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면, 남은 부모가 자녀에게 과도하게 의존해 자녀가 지나

치게 성숙하거나 잘못된 독립심을 키울 수 있다.

이혼의 경우에는 사별보다 더 큰 충격과 부정적인 사회 인식을 자녀에게 안겨줄

수 있다(강정숙, 2005). 이혼 가정 자녀는 부모의 갈등을 함께 경험하면서 이혼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는 잘못된 죄책감과 버려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게 된

다. 먼저 이혼을 제기한 부모에게 강한 적대감과 분노감을 품기도 한다. 이러한 아동

은 대개 학업 성취도가 낮고, 약물 의존도가 높으며, 가족에 대한 태도 역시 부정적

Page 14: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7

으로 나타나게 된다.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학습할 대상 즉, 부모의 상실로 인해 그 역할이 반분 혹은 소

멸되어 자녀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되지 못한 경우, 아동에게 그릇된 행동이나 부적

응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부나 모의 과도한 동정심과 책임감은 과잉 보호로

이어지고, 아동에 대한 지나친 기대 심리는 그들의 감정을 불안하게 할 수 있다(김

영금, 1996).

가정의 결손 형태에 따라 자녀들의 특성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모자가정의 경우,

어머니는 가장으로써 경제문제, 자녀 양육 및 교육을 책임져야 하는 과중한 부담을

안게 된다. 그로 인해 아동은 불안, 긴장, 열등감에 빠질 수 있게 된다. 어머니 또한

생활고와 독신 생활로 자녀에게 신경질적으로 반응하게 되어 그들의 반항성을 키우

고 심리상태를 왜곡시킬 수 있다(김주수, 이희배, 1986). 모자가정은 일반적으로 사

회참여의 부족, 대인관계의 결여, 어머니 자신의 열등의식 등으로 자녀 역시 사회적

으로 고립 ․ 위축되는 문제를 갖는다(김미라, 2007). 모자가정 남아의 경우 집중력

이 낮고 대인관계가 공격적이며, 여아의 경우 아버지와의 상호관계 경험이 부족하여

훗날 이성과의 관계 형성에 문제를 보이고 책임감이 부족하며 의존적이고 비행율이

높다(김경희, 1999).

아동에게 모성실조는 적절한 심리적 양육 및 지도의 결핍으로 이어져 지적, 사회

적, 정서적 발달과 성격 형성에 장애를 초래하여 사회 부적응의 원인이 된다(정원식

외, 1983). 부자가정의 아동은 어머니의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해 인내심이 부족하

고 무분별하게 감정을 폭발시킨다. 또한 대체로 일반가정의 아동보다 자아개념에 부

정적 태도를 보이게 된다(송양숙, 2001). 이처럼 부자가정은 모성애에 바탕을 둔 생

활훈련이 어려우며, 남아는 사랑의 대상을 잃고 여아는 동일시의 대상을 상실하여

역할수행 상의 혼란과 심리적 고독감, 애정 결핍, 사회적 위축감, 감정표현의 좌절,

친구 관계에 있어서의 변화 등 정서적 문제를 야기한다(김미라, 2007).

마찬가지로 양친부재가정의 아동 역시 경제적 문제와 더불어 의사표현 장애 및 불

안감, 객관성 부족, 탈선 등의 문제가 빈번히 나타나게 된다.

Page 15: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8

2. 2. 2. 2.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

1) 1) 1) 1) 자아존중감의 자아존중감의 자아존중감의 자아존중감의 개념개념개념개념

자아존중감이란 넓은 의미에서 자아사랑, 자아확신, 자아평가 그리고 자아가치

등과 유사하게 지칭되는 개념이다(허혜경 외, 2002). 자기존중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자기의 전체적인 평가의 긍정성, 자기를 좋아함을 뜻한다.

Coopersmith(1967)는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로써 긍정적

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로 표현되며, 자신의 능력, 중요성, 성공, 가치 등에 대해 스스

로 어느 정도 믿고 있는지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또한 Rosenberg(1965)는 자기존

중을 주관적이고 지속적인 현실적 자기 수용감 또는 정확한 자기지각들에 토대를 둔

지속적이고 감정적인 개인 가치감이라고 표현하였다. 이 정의에서는 단순히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 ․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보고 수용하며 존중하는 것이

‘자기존중’인 것이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자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소중

하게 여기며 좋아하면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얘기한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을 살펴볼 때, 그것은 자신에 대한 현실적인 자

기수용과 정확한 자기지각에 토대를 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자신을 사랑하

는 심리상태로 표현할 수 있다(김소연, 2004). 자신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이

미지는 외부의 사건을 보는 시각과 행동양식에도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자

아존중감은 개인의 성장 발달과 자아실현의 토대가 됨은 물론, 건강한 사회조성에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2) 2) 2) 2) 아동의 아동의 아동의 아동의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

아동의 행동 특성과 자아존중감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태도나 자기 행동 양식을 결정하므로, 효과적인

상호작용 및 사회 적응과 깊은 연관이 있다(김미성, 2001).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능

력과 사회적 평가의 산물이다. 따라서 개인의 성장 발달과 함께 변화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다. 또한 자신이 가치있고 보람된

Page 16: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9

삶을 영위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능력과 자질에 주목하고 그것을 강조하게 되므로

매사에 적극적이다. 학업이나 사회 활동에서도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공동

체 생활에도 협조적이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토론에서 자신의 의견을 당당하게 발

표하고 타인의 비판에 크게 당황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아동은 공격적이

거나 파괴적인 성향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대외 활동 시에는 창조적으로 활동하

고 자신의 판단과 능력을 신뢰하며, 흔히 지도자적 역할을 한다(오경주, 1998). 즉,

자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면 자기를 믿고 존중하며 사랑하기 때문에 자신감과 안

정감을 갖고 다른 이와 원만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은 자신의 결함이나 약점 및 좋지 못한 자질에 주목

하고 그것을 강조한다(Baumeister & Tice, 1985). 이들은 사회활동 시 집단 참여

율이 낮고 매사 억압적이며 소심하다. 자신의 판단과 능력에 대한 태도 역시 회의적

이다. 대체로 자신의 의사 표현을 분명히 하지 않으며, 타인의 비판에 쉽게 좌절한

다. 이들은 사회적 접촉을 깊이 원하지만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해 친구들로부터

오히려 소외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결국 자아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확립하지 못하면 자신의 가치와 성공감을 경험하

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가치도 인식하지 못해 반사회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3) 3) 3) 3)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아동과 아동과 아동과 아동과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

아동과 부모의 애착관계는 자아존중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어머니와 분리된

아동은 안정적 애착이 불가능해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인다(민정원, 2001). 아버지

가 아동의 인성발달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Schaeferd와 Emerson

의 연구결과는 아버지와의 애착 역시 아동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부모와의 안정적 애착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결

손가정 아동의 경우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다룬 여러 연구 중 가족 변인과의 관련을 검토한 것이 많다.

특히 부모요인이 가장 주목을 받아왔다. 결손가정에 아동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그들이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고한다. 아버지의 유무가 자아존중감

Page 17: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0

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McCandless와 Coop(1979)의 연구에서는, 특히 모자가

정의 딸이나 이혼자녀의 딸의 경우 더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인다고 했다. 황옥자

(1980) 역시 부모의 이혼은 특히 자녀의 학교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남아보다는

여야에게 더 많은 영향을 준다고 했다.

Rubenstein(1980)의 연구에 의하면, 편부모 가족에서 성장했던 성인들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고 외로움에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걱정, 자포자기, 무가

치감, 두려움 그리고 분리 불안감(seperation anxiety)은 특히 이혼 가정에서 성장

한 사람들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결손가정 아동은 정상가정 아동보다 자신의 가치에 회의적이다. 행동 역시 대체로

소극적이고 충동적이다. 정상가정 아동은 그에 비해 자신이 보람된 삶을 살고 있다

고 믿으며 가치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가정환경 가운데서도 물

리적인 환경보다는 가족 구성원간의 관계가 자아개념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을 의미한다(양연순, 1994).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결손가정 아동은 사회ᆞ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자신에 대해

부정적이며, 여러 가지 부적응 행동을 보일 위험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3. 3. 3. 사회성사회성사회성사회성

1) 1) 1) 1) 사회성의 사회성의 사회성의 사회성의 개념개념개념개념

인간은 사회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출생과 동시에 사회라는 환경에 속하게 되

며,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며 살아간다.

사회성이란 타인과 공동생활을 하려는 성향을 말한다(이병진, 2001). 인간은 원

만한 공동생활을 위해 대인관계를 확대하고 심화하여 사회 안에서 상호 의존한다.

동시에, 개인적으로 자립하여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양식과 습관을 형성한다.

이것이 곧 사회화 과정이다. 또한 사회성은 사교적이고 친절하며, 협동적이고, 인간

관계가 원만하며, 대인적응성이 강한 인성 특성을 말하기도 한다(정범모, 1971).

이상의 견해들을 종합하면, 사회성이란 사회적 행동이 내면화된 것이며 후천적 교

Page 18: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1

육에 의해 체득한 사회적 습관이자 사회적 행동의 근본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사회성이 높을수록 집단 내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력도 높을 것이다.

2) 2) 2) 2) 아동의 아동의 아동의 아동의 사회성사회성사회성사회성

아동기는 신체적 성장은 물론 지적 능력의 발달과 더불어 사회화의 폭이 넓어지는

시기이다(안윤숙, 1996). 아동은 성장과정에서 접촉하는 모든 주변 인물 즉, 부모,

교사, 또래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사회에 적응하고 사회성을 배운다. 사회와 상호

관계를 맺어가며 점차 자신의 필요와 대립하는 타인과 부딪치고 갈등을 경험하면서

사회를 알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사회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발달시킬 가능성만 타고나 그 가능

성을 키워주는 환경 속에서 발달한다(엄순해, 1997). 아동의 사회성을 바람직한 방

향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사회성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학교라는 공동

체로 생활 영역이 확대되는 초등학교 아동에 대한 사회성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Gates(1950)에 의하면, 사회성이 높은 아동은 집단생활을 즐기며 협동적이다.

친구도 대체로 많다. 또한 인정이 많고 타인의 의견을 잘 수용하여 대인 관계가 원만

하다. 이들은 자신에게 당면한 사회적 문제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줄 안다.

사회적응으로 인한 정서적 안정은 학습과제에 대한 집중을 높여 학교생활에 충실

하도록 돕는다. 만족스런 사회 적응에서 비롯된 안정감과 그에 따른 높은 사기는 아

동이 정서적 불안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은 대체로 충동적인 경향이 있다. 또한 인간관계에 잘 대처

하지 못해 심각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조한숙, 2000). 부적절한 대인관

계는 결국 갈등과 정서적 긴장을 일으켜 아동의 정서적 성장을 더디게 한다(김미성,

2001). 자기 안정이 없는 상태에서는 타인에 대한 적응 역시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아동은 사회적 기능 및 태도의 발달이 저하되어 정신 건강상의 문제를 겪거나 문제

행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

Page 19: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2

3) 3) 3) 3)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아동과 아동과 아동과 아동과 사회성사회성사회성사회성

결손가정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약하다. 이에 그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단절 또는 감소를 경험하고 결국 대인관계

상의 문제로 이어진다. 그들은 대부분 본능적으로 고립감을 느낀다. 또한 효과적인

대화 수단과 상대를 찾지 못해 많은 문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결손가정 아동이 겪는 갑작스러운 가정환경의 변화는 그들의 정서와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별거와 이혼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거부적인

상호관계를 반복적으로 겪게 된다. 이는 무의식중에 반사회적 시각을 야기하여 가

출, 비행, 학교 부적응 등 복합작인 문제로 파생되곤 한다. 아동들은 갈등 상황에 놓

이면 학교가기를 거부하거나 퇴행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때 그들

을 이해해주는 가족 구성원의 부재로 심한 외로움과 좌절감을 느껴 더욱 악순환적

고리에 빠지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은숙(2006)에 의하면, 갈등이나 대립, 일방적 주

도, 무시나 고립과 같은 또래관계 질의 부정적 요인에서 일반가정 아동보다 결손가

정 아동이 훨씬 더 높은 수준을 보인다고 한다. 그들의 의사소통 기술 역시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며, 연령증가에 따른 발달속도도 더 늦은

경향을 보였다(김진경,2002).

정리해 보면, 결손가정의 아동일수록 일반가정의 아동에 비해 사회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만한 또래 관계를 위해서는 사회성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며, 그들

의 부족한 사회성을 보완하고 강화시키는 교육과 활동이 필요하다.

4. 4. 4. 4.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아동과 아동과 아동과 아동과 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

1) 1) 1) 1)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향상을 향상을 향상을 향상을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

가가가가. . . . 음악과 음악과 음악과 음악과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

Page 20: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3

인간은 음악을 통해 성공적인 경험을 할 수 있고, 자신이 중요한 존재임을 느끼며,

자긍심을 향상시킬 수 있다(Sears, 1968). 이때의 자긍심 향상은 자기 성찰을 통한

것이다. 음악 안에서의 비경쟁적 성취가 바람직한 자아상을 갖도록 돕기 때문이다

(Gaston, 1968).

또한 음악은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자아존중감을 증진시

킬 수 있다. 음악활동을 통한 자기표현은 감정의 배출구가 되며 공격성, 적대감 감소

에 효과적이다(Gaston, 1968). 따라서 음악은 부정적인 감정을 건설적으로 표출하

고 심리적인 긴장을 다루기 위한 치료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Louise & Edgar,

1978). 우리는 음악 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노력을 통해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감정을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악 활동은 자기표현과 자아성찰, 자기이해에 대한 격려, 그리고 상호

간의 지지와 타인에게 수용되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고

자신의 행위를 변화시킬 동기를 얻게 된다. 즉 음악활동에서 주어지는 만족감과 보

상의 결과가 자긍심의 향상과 변화로 이어지는 것이다(지은미, 2001).

나나나나. . . . 관련 관련 관련 관련 선행연구선행연구선행연구선행연구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음악의 치료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들은 다양하게 이루

어져 왔다. 음악을 통한 만족감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김미성,

2001). 만족감은 경쟁보다는 주로 성취감에서 비롯되며, 성공적인 음악적 경험에

따른 성취감은 자긍심 향상에 유용하다(김미경, 1996). 김경희(1999)는 음악적 경

험을 통해 아동이 창의적으로 시도하고 표현할 때에 자신감과 만족감, 다양한 성취

감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악기활동 경험은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을 돕는다(Nordoff & Robbins,

1971). 악기 활동이 음악적 구조를 통해 이루어져 아동이 그룹 안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타인을 자연스럽게 인식하여 사회적 행동을 하도록 돕

기 때문이다. 음악활동에 사용되는 악기 역시 특별한 기술 없이 성공적인 연주가 가

능하다. 이러한 경험은 아동의 만족감을 높이고 긍적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도움을

준다(Boxill, 1984; Lathom, 1980; Howery, 1968). Lathom(1980)과

Page 2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4

Boxill(1984)도 그룹 악기연주활동을 통해 아동의 자긍심이 증진되었다고 하였다.

김계영(2000)은 즉흥악기연주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개념이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했다.

Meade(1984)는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개별 음악치료를 실시한 결과, Song

writing 기법이 성격 발달과 자아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Edgerton(1990) 역시 Song Writing 기법을 적용한 음악활동이 정서장애 청소년

의 상호 교류를 촉진시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하였다.

집단음악활동이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과 자아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지은미, 2001; 조인행, 1991; 최승학,

1999; 오승아, 2000). 김미성(2001)과 윤소연(2001)은 정서적 문제를 가진 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는데, 다양한 음악적 상호작용이 자아

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들을 통해 음악활동을 통한 자기표현과 성공적인 과제 수행은 대상의 자

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들에게 다양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해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는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2) 2) 2) 2)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향상을 향상을 향상을 향상을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

가가가가. . . . 음악과 음악과 음악과 음악과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음악은 사회적 ․ 의사소통적 기능을 수행하는 가장 오래되고 자연스러운 매개체이

다. 인간은 음악적 표현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음악적 표현을 통

해 인간은 타인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참된 자아 및 자신의 잠재력과 만날 수 있다.

음악은 참여를 증진하고 동기를 유발하며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사

회적 인정과 보상을 동시에 받는 기회를 마련해준다(Sears, 1968).

음악은 개인을 그룹으로 통합시키는 역할을 통해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Merriam, 1964). 음악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이다. 언어구사 능력에 제한이

있을지라도 노래와 악기연주를 통해 기쁨, 슬픔, 분노와 같은 감정을 표현할 수 있

Page 22: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5

다. 그러한 감정은 음악을 통해 집단 구성원들에게 전달되고 서로에 대한 음악적 지

지는 강한 연대감을 형성시킨다(김종인, 2004). 인간은 음악활동 속에서 다른 이와

공통된 경험을 하게 되고 이는 집단적 사회 교류로 이어지게 된다(도경희, 2006).

별다른 친분이 없던 사람들도 음악을 통해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음악적 관계는 곧

사회적 관계로 발전하는 것이다. 음악활동은 느낌의 표현을 유도하고, 다른 이의 느

낌 역시 쉽게 인식하도록 돕는다. 또한 집단 구성원과 협조하고 함께 즐기는 경험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도록 하여 사회성 발달을 촉진한다.

다시 말해 인간은 그룹과 함께 하는 음악활동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타인과 상호 관계를 가지며 그 속에서 자신의 욕구를 방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

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상호작용기술을 습득하여 조화로운 사회성을 형성

하게 되는 것이다(김정화, 1995).

나나나나. . . . 관련 관련 관련 관련 선행연구선행연구선행연구선행연구

사회성 향상에 대한 치료적 음악활동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늘고 있다. 이승

현(2000)은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음악활동 후 사회성, 사회성숙도, 상

호작용에 현저한 상승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구광서(2001)는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음악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사회적 기술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있다고 했다.

또한, 홍화진(2000)은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음악활동 후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고 하였다.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한 최방희(2001)의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

로그램이 그들의 불안감을 낮추고 안정감을 높이며 사회성을 향상시켜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돕는다고 하였다. 시설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선화, 1999; 김

말희, 2001) 역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은 물론 사회 ․ 정서적

인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그룹의 조직화를 촉진

하고 그룹의 느낌과 가치를 교류하도록 하는 음악의 잠재력은 사회적 기술 학습의

훌륭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Thaut, 1989).

아동은 성장과 함께 활동영역이 넓어지고 사회적 관계도 다양해진다. 이 시기에

또래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면 성장 후에도 사회 적응에 문제를 보일 가능성

Page 23: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6

이 높다. 따라서 아동기의 사회성 발달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악활동은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특히 사회성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에

서는 그룹으로 진행되는 음악활동이 효과적이다(김말희, 2001). 많은 연구들(서경

아, 1996; 이선화, 1999; 김혜숙, 2000; 박소영, 1999; 이상은, 2001; 진소영,

2001; 현수경, 1999,)에서 음악치료활동은 그룹의 형태로 진행되어 사회성 향상에

대한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이 가진 특성을 고려하여 그룹원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음악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적절한 사회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그들에게 사회성

을 향성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3) 3) 3) 3) 집단음악치료활동집단음악치료활동집단음악치료활동집단음악치료활동

집단음악치료활동은 동료와의 교류, 사회적 발달 등이 요구될 때 사용되는 방법이

다. 이때 집단의 응집력과 역동성 자체가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이는

음악이 사회적이라는 것과(Gaston, 1968) 음악치료가 타인과 관련된 경험이라는

(Sears, 1968)이론을 바탕으로 한 치료형태이다. 집단음악치료활동은 효과적인 자

기이해와 수용을 돕는다. 또한 다른 사람들 가운데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고 타인

을 이해하도록 한다(Mahler, 1969).

그룹원으로부터 지지ᆞ수용되는 안전한 환경에서 대상은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음악 안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상호교류를 통해 사회

적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Priestly(1975)는 집단음악활동의 주요 목

표를 개인 내면의 감정 인식 및 표현, 자기 정체성의 정립, 상호교류적 기술 습득으

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가들은 집단 안에서 극대화되는 음악의 특성을

이용해 치료적 음악활동을 집단 활동으로 계획, 시행하였다.

가가가가. . . . 집단음악치료활동의 집단음악치료활동의 집단음악치료활동의 집단음악치료활동의 치료적 치료적 치료적 치료적 기법기법기법기법

집단음악치료활동은 다양한 치료적 기법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치료사는 집단 구

성원의 특징과 기능, 활동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한 기법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다음은

Page 24: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7

주로 사용되는 기법에 대한 설명이다.

①①①① 노래 노래 노래 노래 부르기부르기부르기부르기(Sing (Sing (Sing (Sing along)along)along)along)

도구 없이 음악을 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방법이다. 노래에는 많은 요소

들(가사, 멜로디, 리듬, 화성, 역동성 등)이 함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언어를 통한

것보다 풍부하고 덜 공격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독창이나 합창을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타인과의 교류를 경험할 수도 있다.

특히 합창은 집단의 분위기를 일원화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서경아, 1996). 합창의

목표는 다수의 사람이 함께 이뤄가는 것이다. 따라서 합창활동은 사회성을 향상시키

는 훌륭한 장이랄 수 있다(이명환, 1998).

②②②② 송라이팅송라이팅송라이팅송라이팅(Songwriting)(Songwriting)(Songwriting)(Songwriting)

스스로 노래가사를 만들어 보며 재인식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인지체계를 형성하

는 방법이다. 주로 자기를 표현하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며, 억압되어 있는 감정

과 욕구를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된다. 그룹 안에서 실시될 경우, 타 그룹원의

감정과 경험을 공유하도록 돕고 상호교류를 증진시킨다. 또한 함께 노래를 만드는

과정에서 신뢰감이 형성되고 자아존중감도 증진된다(Ficken, 1976).

③③③③ 악기연주악기연주악기연주악기연주(Instrument (Instrument (Instrument (Instrument playing)playing)playing)playing)

가장 적극적인 음악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연주자와 감상자 모두 다양한 자극을

받게 되고 그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게 된다. 연주자는 연주를 통해 자

기표현의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그룹원의 경청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다.

감상자는 연주를 들으며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지지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Slotoroff(1994)와 Meyberg(1989)는 드럼연주활동이 자아개념과 자신감 회

복, 분노조절 및 그룹원 간의 관계 형성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이는 악기를

표출 매개체로 사용하여 억압된 정서를 표출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Page 25: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8

④④④④ 즉흥연주즉흥연주즉흥연주즉흥연주(Improvisation)(Improvisation)(Improvisation)(Improvisation)

즉흥적으로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는 활동이다. 음악적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도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연주되는 소리가 자유연상의 대상이나 자신의 투사된 모습일

수 있다(Brucia, 1993). 즉흥연주는 감정적인 에너지의 해소를 통해 강한 감정의

표현과 정신적 자유를 제공하고, 자기표현을 증진시키며 정서적 변화도 유도할 수

있다(Robb, 1996).

치료사는 현 상태 그대로의 아동과 소통하여 아동이 매순간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역시 즉흥연주로 지원을 하게 된다. 이 활동은 표현의 자유와 상호반응성을 학

습하게 한다(Nordoff & Robbins, 1971).

⑤⑤⑤⑤ 음악과 음악과 음악과 음악과 신체활동신체활동신체활동신체활동(Music (Music (Music (Music & & & & Movement)Movement)Movement)Movement)

음악은 신체ᆞ생리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자극성 음악은 교감신경을 자극시켜

근육운동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진정성 음악은 부교감 신경을 자극해 안정된 상태

로 유도한다(최병철, 1999).

음악과 신체활동을 혼합한 활동은 적극적인 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자기 표현의 기

회를 제공한다. 또한 음악에 맞춰 자신의 신체를 조절해 동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고, 스스로 만족감을 경험하게 된다(홍지원, 1994).

4) 4) 4) 4)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결손가정 아동을 아동을 아동을 아동을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음악치료

그동안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었으

나 최근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김은정(2007)의 연구에서는 결손가정 청소년의 자기표현을 위해 노래만들기 기

법이 적용되었는데, 그 결과 대상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 ․ 정리 ․ 통찰하는 데에 효과

적이었음이 나타났다. 강정숙(2005)은 결손가정 자녀들의 정서변화에 대한 연구에

서, 집단음악활동에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앟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정서는 향상

되고 부정적인 정서는 감소하였다고 보고했다.

Page 26: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19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김미성

(2001)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적인 문제를 지닌 시설 아동에게 음악을 통해

내재된 감정을 표현케 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주어 더 나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한

다고 하였다. 황경은(2005)은 오르프와 고든의 오디에이션 활동을 적용한 음악치

료가 시설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과 과잉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

고하였다. 또한 그룹 홈 시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김재옥(2007)의 연구에서는 음

악치료활동 후 그들의 우울과 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음이 나타났고, 김말희

(2001)는 그의 연구에서 시설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치료적 그룹 음악활동

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연구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고, 앞서 살펴본 대로 음악활

동이 대상의 심리 ․ 정서 ․ 사회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집단음악치

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발전적인 자극을 주리라 예상할

수 있겠다.

Page 27: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

III. III. III. III. 연구방법연구방법연구방법연구방법

1. 1. 1. 1. 연구대상연구대상연구대상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의 Y복지관과 경기도 소재의 S지역아동센터에

소속된 결손가정 아동 각 15명씩 총 30명이다. 모든 아동은 음악치료의 경험이 없

으며 Y복지관의 15명은 통제집단, S지역아동센터의 15명은 실험집단으로 무선배

치 하였다. 이들 중 연구기간 동안 2회 이상 결석한 아동(통제집단 0명, 실험집단 1

명)을 제외한 총 2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의 평균연령, 성별, 결손유형 등 두 집단 간의 인구학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표 III-1> 실험집단과 통제지단의 인구학적 자료

모든 대상은 만 9세~ 11세의 연령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기능적 결손가정은 분류

상 애매한 점이 있어 선정 대상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구분구분구분구분 변인변인변인변인 실험집단실험집단실험집단실험집단((((총총총총14141414명명명명)))) 통제집단통제집단통제집단통제집단((((총총총총15151515명명명명))))

평균연령

(표준편차)

10.73세

(0.63)

10.61세

(0.24)

성별남 6명 5명

여 8명 10명

결손유형

편모가정 7명 4명

편부가정 4명 6명

양부모 결손 3명 5명

Page 28: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1

2. 2. 2. 2. 측정도구측정도구측정도구측정도구

1) 1) 1) 1)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측정도구측정도구측정도구측정도구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척도(CSEI: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와 Piers(1985)의 아동의 자아개념척도

(PHCSCS: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를 기초로 하여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최보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장연주

(2003)가 수정, 보완한 것을 본 연구자가 재수정하여 사용했다. 총 18문항이며, 각

문항의 반응은 ‘매우 그렇다’의 5점에서 ‘전혀 아니다’의 1점까지 5단계로 구

성되었다. 총 점수 범위는 18점~108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 α값은 .81이었다.

2) 2) 2) 2)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측정도구측정도구측정도구측정도구

사회성 측정을 위해 김학수, 이윤수(1975)가 제작한 검사 도구를 기초로 김제봉

(1999)이 수정하고 이연숙(2002)이 재구성한 뒤 문애순(2006)이 다시 수정ᆞ 보

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총 16문항이며, 각 문항의 반응은 ‘항상 그렇다’의 5점에

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까지 5단계로 구성되었다. 총 점수 범위는 16점~80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 α값은 .79이었다.

3. 3. 3. 3. 연구 연구 연구 연구 방법 방법 방법 방법 및 및 및 및 절차절차절차절차

1) 1) 1) 1) 사전 사전 사전 사전 검사검사검사검사

본 연구의 사전 검사는 2008년 3월 24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측정 설문지를 이

Page 29: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2

용해 모든 대상에게 시행되었다.

2) 2) 2) 2) 실험기간 실험기간 실험기간 실험기간 및 및 및 및 방법방법방법방법

본 연구는 2008년 3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6 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12 회기

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통제집단은 해당 기관에서 진행되는 다른 프로

그램(영어 교습, 단체 견학, 미술치료)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은 자아존중

감 및 사회성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계획한 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하였다. 한 회기 당

세션 시간은 40분이었다.

3) 3) 3) 3) 사후 사후 사후 사후 검사검사검사검사

사후 검사는 2008년 5월 9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측정 설문지를 이용해 모든

대상자에게 실시되었다. 사전 검사의 학습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설문지 각 문항의

배치를 바꾼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2회 이상

결석한 1명을 제외한 총 2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4. 4. 4. 4. 음악활동 음악활동 음악활동 음악활동 프로그램프로그램프로그램프로그램

1) 1) 1) 1) 개요개요개요개요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치료사와의 라포 형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음악적 상호작용 및 대상 간

의 상호교류에 초점을 두어, 궁극적으로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을 목표로 진행

하였다.

선곡과 프로그램 구성 시 대상의 연령과 선호도를 고려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노

래 부르기, 송라이팅(song writing), 동작 활동, 악기 즉흥연주, 음악 만들기 등을

Page 30: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3

포함한 여러 형태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기법을 세션에 적용하였다.

매 세션은 '반기는 노래→ 타 그룹원과의 음악적 교류→ 자신과 타 그룹원의 활동

에 대한 피드백 주고받기→ 종결 활동 및 헤어지는 노래' 와 같은 비교적 일정한 구

조 안에서 진행되었다.

<표III-2> 집단음악치료활동 내용 및 목표

회회회회

기기기기제목제목제목제목 목표목표목표목표 활동 활동 활동 활동 내용내용내용내용

1 소개하기

∙rapport 형성

∙자기/ 타인에

대한 인식 강화

∙상호교류증진

∙론도 형식의 자기소개 노래를 통해 노래로

자신을 소개하기

∙노래의 특정 부분에서 지시에 맞춰 옆 사람

과 다양하게 인사하기.

∙자신이 듣고 싶은 별명을 정해 노래의 특정

부분에 넣어 불러보고, 별명에 대한 이유 함께

나누기

2 따라하기

∙표현력 증진

∙자신감 고취

∙상호교류증진

∙치료사가 제시하는 음악을 듣고 연상되는

것을 각자 자유롭게 얘기하기

∙위에서 얘기한 내용에 어울리는 간단한 동

작을 각자 하나씩 만들어 발표해보기

∙음악에 맞춰 자신의 동작을 옆 사람에게 전

달하고 따라해보기

3 나의 노래

∙자기/ 타인에

대한 인식 강화

∙상호교류증진

∙표현력 증진

∙각자가 좋아하는 노래가 담긴 CD(치료사가

사전에 준비)를 듣고, 누구의 애창곡인지 맞춰

보기

∙자신의 애창곡에 대해 각자 설명(가수, 분위

기, 좋은 이유 등)하고 함께 불러보기

∙가장 인기있는 애창곡에 맞춰 자유롭게 악

기 연주하기

4 나의 리듬∙표현력 증진

∙상호교류증진

∙흥겨운 곡에 맞춰 자신만의 리듬 만들어 악

기로 연주해보기

Page 3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4

∙자존감 향상

∙자신의 리듬을 옆 사람에게 전달하고 따라

해보기

∙한 명씩 가운데로 나와 새로운 리듬을 즉흥

적으로 몇 차례 만들어보고, 나머지 구성원은

따라해보기

5꿈

∙자기/ 타인에

대한 인식 강화

∙자존감 향상

∙상호교류증진

∙자신의 장래 희망(혹은 닮고 싶은 사람)에

대해 함께 얘기해보기

∙메기고 받는 형식의 노래에 자신의 장래 희

망을 가사로 넣어 부르면, 나머지 구성원은 받

는 부분에서 그것을 그대로 따라 부르기

6좋아하는

∙자기/ 타인에

대한 인식 강화

∙상호교류증진

∙주제를 정한 후(음식, 색깔, 연예인, 교과목,

여행지 등)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해 함께

얘기해보기

∙노래에 맞춰 쉐이커를 돌리다가 누군가 걸리

면, 그 사람이 좋아하는 게 무언지 다른 구성원

이 맞춰보기

∙가장 많이 맞춘 아동에게 ‘관심왕’타이틀

부여하고 칭찬해주기

7함께하는

연주

∙표현력 증진

∙상호교류증진

∙자존감 향상

∙성취감 고취

∙치료사와 함께 피아노의 검은 건반만을 이용

해 즉흥연주 해보기

∙구성원 간에 2인 1조가 되어 위와 같은 방식

으로 자유롭게 즉흥연주 해보기

∙짝꿍을 바꾼 후, 서로 묻고 답하는 형식의 즉

흥연주 해보기

8내 마음을

장단으로

∙자존감 향상

∙음악적 교류

증진

∙자진모리 장단에 맞춘 짧은 길이(2소절 정

도)의 구음을 다함께 크게 외쳐보기

∙구음의 특정 부분에 자신의 현재 마음을 표

현할만한 형용사를 넣어 돌아가며 한 명씩 크

게 외쳐보기

∙치료사의 지시에 맞춰 자진모리 장단을 간단

한 사물놀이 형식으로 함께 연주하며 위의 활

동 해보기

Page 32: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5

2) 2) 2) 2) 세션 세션 세션 세션 구성구성구성구성

실헙 집단에 실시한 활동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처음 3분은

반기는 노래로 시작하여 아동-치료사, 아동-아동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했

다. 그 후 30분간은 연구자가 계획한 음악활동 시간으로 자존감 및 사회성 향상을

9 나의 기분

∙자기/ 타인에

대한 인식 강화

∙표현력 증진

∙상호교류증진

∙언제 가장 화가 나는지/ 기쁜지 얘기해보기

∙함께 노래하다가 돌림판 돌리기로 걸린 사람

이 위에서 얘기한 기분을 악기로 자유롭게 표

현하기

∙다른 사람의 악기 연주를 듣고 어떤 기분인

지 맞춰보기

10 누구일까요

∙자기/ 타인에

대한 인식 강화

∙언어적 표현

력 증진

∙자존감 향상

∙옆 사람의 특징에 대해 함께 얘기해보기

∙오스티나토적 진행 위에서 술래가 투바노를

연주하며 특정 구성원의 특징을 크게 외치면,

그게 누구인지 맞춰보기

11 무언극

∙상호교류증진

∙표현력 증진

∙성취감 고취

∙‘흥부놀부’노래에 맞춰‘흥부전’의 줄거

리 함께 얘기해보기

∙팀을 나눈 뒤, 노래의 특정 가사 내용에 맞는

흥부전의 장면을 팀원이 역할 분담하여 동작으

로 연출해보기

∙상대 팀의 연출 장면을 보고 누가 무슨 역할

을 맡았는지 맞춰보기

12모두

하나되어

∙상호교류증진

∙자신감 및 성

취감 고취

∙표현력 증진

∙치료사가 준비한 짧은 스토리에 맞춰 각자

역할을 분담해 자신의 부분에서 악기 연주한

뒤 스토리의 제목 함께 정해보기

∙자신의 악기를 이용해 흥겹게 드럼써클 진행

한 후 마무리

Page 33: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6

꾀한 뒤, 그날의 활동에 대해 자신과 타 그룹원에 대해 평가하는 시간과 함께 헤어지

는 노래로 세션을 마감하였다.

<표III-3> 집단음악치료활동의 구성

5. 5. 5. 5. 자료의 자료의 자료의 자료의 처리 처리 처리 처리 및 및 및 및 분석분석분석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버전의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대

상이 특정 집단으로 그 크기가 작은 것을 고려해 비모수 통계법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양측검정 .05로 설정하였다.

시간시간시간시간 구성구성구성구성 내용내용내용내용

3분 반기는 노래 노래하며 반기는 인사하기

지난 활동 내용 확인

30분 프로그램 활동 계획된 집단음악활동

5분자신과 타 그룹원에

대한 피드백 주고받기

그날 세션 중 특기할만한 점이나 인상적인 경험

함께 나누기

2분 헤어지는 노래 세션 내용 정리

노래 부르며 작별하기

Page 34: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7

IV. IV. IV. IV. 연구 연구 연구 연구 결과결과결과결과

본 연구는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치료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그에 따른 데이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 1. 1. 자아존중감의 자아존중감의 자아존중감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변화변화변화

1) 1) 1) 1) 두 두 두 두 집단의 집단의 집단의 집단의 동질성 동질성 동질성 동질성 검증검증검증검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비교를 통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표 IV-1> 집단 간 자아존중감 사전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p < .05

2) 2) 2) 2) 가설 가설 가설 가설 1111의 의 의 의 검증검증검증검증

가설 1. 집단음악치료활동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자아

존중감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구 구 구 구 분분분분 집 집 집 집 단단단단평 평 평 평 균균균균

((((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UUUU ZZZZ pppp

자아존중감실험 66.83(20.54)

70.50 -0.09 .931통제 65.83(17.49)

Page 35: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8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아존중감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후점수

와 사전점수의 차를 구한 후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에 대한 검

증 결과는 <표 IV-2>와 같다.

<표 IV-2> 집단 간 자아존중감 점수의 Mann-Whitney U 검증

+p < .05

검증 결과, 두 집단은 평균적으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향상된 모습을 보

였다. 그러나 향상된 정도에 대해서는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실험 집단이 평

균 12.33의 향상을 보인데 비해 통제집단은 평균 1.41의 향상을 보여 집단음악치

료활동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였다(p< .05).

2. 2. 2. 2. 사회성의 사회성의 사회성의 사회성의 변화변화변화변화

1) 1) 1) 1) 두 두 두 두 집단의 집단의 집단의 집단의 동질성 동질성 동질성 동질성 검증검증검증검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비교를 통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집 집 집 집 단단단단평 평 평 평 균균균균

((((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UUUU ZZZZ pppp

실험 12.33(9.74)13.00 -3.21 .004

통제 1.41(5.90)

Page 36: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9

<표 IV-3> 집단 간 사회성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p < .05

2) 2) 2) 2) 가설 가설 가설 가설 2222의 의 의 의 검증검증검증검증

가설 2. 집단음악치료활동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사회

성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회성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사후점수와 사전점수의

차를 구한 뒤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에 대한 검증결과는 <표

IV-5>와 같다.

<표 IV-4> 집단 간 사회성 점수의 Mann-Whitney U 검증

+p < .05

검증 결과, 두 집단은 평균적으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

다. 그러나 향상된 정도에 대해서는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실험 집단이 평균

10.5의 향상을 보인데 비해 통제집단은 평균 2.08의 향상을 보여 집단음악치료활동

이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였다(p< .05).

구 구 구 구 분분분분 집 집 집 집 단단단단평 평 평 평 균균균균

((((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UUUU ZZZZ pppp

사회성실험 54.83(13.98)

67.00 -0.29 .772통제 52.00(11.95)

집 집 집 집 단단단단평 평 평 평 균균균균

((((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표준편차))))UUUU ZZZZ pppp

실험 10.5(6.40)

15.50 -3.02 .005

통제 2.08(4.56)

Page 37: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0

V. V. V. V. 결론 결론 결론 결론 및 및 및 및 제언제언제언제언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Y 복지

관과 경기도 소재 S지역아동센터에 소속된 9~11세 결손가정 아동이며, Y 복지관의

15명을 통제집단에, S 지역아동센터의 15명을 실험집단에 무선배치 하여 그 중 29

명의 사전 ․ 사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매 회기 4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유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적용된 음악활동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을 사용해 구

성한 것으로,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이란 목적에 부합하도록 짜여진 것이었다.

본 연구의 가설에 대한 검증은 다음과 같다.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집단

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004). 따라서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룹 내 교류와 그 안에서 이루어진 자기표현 및 이해 ․ 수용에 비

중을 두었던 활동의 방향성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모든 대상은 음악치료 경

험이 전무 하였는데, 실험집단의 아동들에게 음악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은 일종의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진 듯하다. 아동들은 방과 후 시간의 대부분을 소속 기관

에서 보내고 있었는데, 그 시간 동안 주로 교과학습 보충이나 단순한 레크리에이션

을 하며 지내던 중이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음악 자체의 즐거운 분위기, 새로운 활

동, 독특하고 다양한 악기들 및 음악적 구조 안에서의 역동이 아동들에게 흥미로운

자극제가 되어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낳은 것이라 여려진다.

또한 위의 결과는 치료적 음악활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는 이종미(2006)의 연구와 음악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에 효과적임을 입증

한 김미성(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음악극을 통해 저소득

층 아동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는 한정혜(2007)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한다.

Page 38: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1

다음으로, 집단음악치료활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실험집단은 통

제집단에 비해 사회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005). 따라

서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

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김성희(2002)의 연구와 방과 후 음악지도 활동이 아동의 친 사회적 행동

에 효과적임을 입증한 도경희(2006)의 연구와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음

악치료를 통한 또래와의 상호교류와 프로그램을 통한 간접적인 사회적 기술 경험이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김미성(2001)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치료 분야에서 결손가정 아동의 심리 ․ 사회적

필요를 위한 연구와 협력을 지속해 나간다면 결손가정 구성원들에 대한 건강한 가정

환경 조성 효과에 그에 따른 지원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심화 ․ 발전시키기 위해 앞으로의 과제와 개선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6주라는 단기간에 실시된 12회기의 세션 결과를 바탕으

로 29명이라는 소규모의 대상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

반화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자 자신이 직접 치료에 개입하였기

때문에 연구자의 의도성과 주관적 해석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

구의 일반화 및 객관화를 위한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는 집단음악치료활동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법들을 실험집단 아동

에게 다양하게 접목하여 시행하였는데, 그 중 어떤 기법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검증도 필요할 것이다. 각각의 기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대상에게

적용해본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기법을 특화시켜나가고 부족한 점들을 보

완해나간다면, 향후 결손가정 아동에 대한 치료적인 접근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매 회기 15명의 아동이 모두 한 그룹에서 함께 활동에 참가

하였는데, 이는 세션 진행에 다소 많은 인원이다. 활동의 깊이를 더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체 그룹원을 몇 개의 소그룹으로 나눠 진행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집단의 성격과 각 대상의 특징을 더욱 면밀히 파악

Page 39: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2

해 소그룹 또는 개별 형태의 치료적 접근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프로그램의 회기를 좀 더 장기간으로 확대하여 음악치료의 다양한 모델들을

적용해보는 것 또한 고려해 볼 만한 사항이다. 다양한 모델 적용을 통해 아동들은 음

악 안에서 좀 더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결손된 환경에

서 충분히 누리지 못한 즐거움을 얻게 될 것이다. 또한 음악적 기능 수준이 높고 학

습능력이 뛰어난 아동의 경우, 새로운 취미거리를 습득하게 되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것이다. 결손가정 아동의 취약한 가정환경과 자신을 위한 다양한 경험의 부재

를 고려할 때, 새로움을 경험하는 활동 자체가 치료로서 큰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

이며 이는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뿐 아니라 심리 ․ 정서 ․ 인지적 측면 전반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을 향상시키는 집단음악치료활동 접근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40: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3

참 참 참 참 고 고 고 고 문 문 문 문 헌헌헌헌

강정숙 (2005).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자녀들의 정서변화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고정자, 이미옥 (1992). 가족구조 변인에 따른 정상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

동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구광서 (2001).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기술수행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교육

대학원.

김광률 (1987). 교육교회.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김계영 (2000).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경희 (1999). 보육시설 아동의 정서 ․ 사회적 발달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의 효과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김말희 (2001). 치료적 그룹 음악활동이 시설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김미경 (1996). 음악활동이 자폐아동의 사회성 기능증진에 미치는 영향.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김미라 (2007).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김미성 (2001). 시설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미숙 외 5명 (2000).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보건사회

연구원.

김소연 (2004). 사회극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

원.

김수길 (1970). 한국 소년범죄의 사회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Page 4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4

김영금 (1996). 정상가정과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김영숙, 이경화 (1998). 유아․ 아동을 위한 정신건강. 서울: 교육과학사.

김은정 (2007). 결손가정 청소년의 자기표현을 위한 노래 만들기 활동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정화 (2000). 비만 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신체상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김정화 (1995).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음악놀이지도. 서울: 창지사.

김종인 (2004). 행복을 주는 음악치료. 서울: 지식산업사.

김주수, 이희배 (1986). 가족 관계학. 서울: 학현사.

김진경 (2002). 시설거주 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관계 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재옥 (2007). 음악치료가 그룹 홈 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안

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김혜숙 (2000). 그룹 음악치료가 청소년 정신 질환자의 정서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대한가정학회 (1990). 아동학 ․ 가정학 연구의 최신정보. 서울: 교문사.

도경희 (2006). 방과 후 아동지도 음악활동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애순 (2006). 구조적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탐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민정원 (2001).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자아지각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소영 (1999). 정신과 음악치료에 나타난 Yalom의 집단치료적 요인.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방명애 (1998). 자폐아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전략. 정서 ․ 학

습장애연구, Vol.15, No. 2.

서경아 (1996). 적극적인 음악치료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감소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Page 42: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5

송양숙 (2001). 결손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양식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안윤숙 (1996). 역할놀이 수업이 대인 인지적 문제 해결력 및 사회성에 미치

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양연순 (1994).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성격특성 비

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엄순해 (1997). 어린이집 아동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오경주 (1998). 소외아동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

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오승아 (2000). 청소년의 정서에 음악요법이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윤소연 (2001). 집단음악활동이 취학 전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미

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명환 (1998). 합창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병진 (2001). 초등교육학 개론. 서울: 문음사.

이상은 (2001). 음악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이선화 (1999). 시설아동을 위한 음악활동 중심의 친 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

그램의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이승현 (2000). 음악치료가 자폐아동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연경 (1998). 담임교사에 대한 결손가정 아동의 행동특성.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은숙 (2006).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증진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이은주 (1997). 음악치료에 대한 이론적 접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Page 43: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6

학교 대학원.

이화연 (2003).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

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장병림 (1984). 아동심리학. 서울: 법문사.

장연주 (2003). 초등학생의 성희롱 경험과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범모 (1971). 인성검사요강 고학년용. 서울: 코리아 테스팅 센터.

정원식, 이상노, 이상진 (1983) 현대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조인행 (1991). 음악요법을 통한 정서불안 청소년의 정서순화에 관한 탐색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안대학교 대학원.

조한숙 (2000).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지은미 (2001). 음악활동이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아존중감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진소영 (2001). 음악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우울성향 감소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진용일 (1997). 교육심리학신강. 서울: 동문사.

최방희 (2001).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불안감소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

학원.

최병철 (1999). 음악치료학. 서울 : 학지사.

최승학 (1999). 음악치료가 비행청소년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03). 인구동태조사.

허혜경, 김혜수 (2002). 청년발달심리학. 서울 : 학지사.

현수경 (1999). Songwriting을 사용한 음악치료가 알코올 환자의 자아존중

감 및 통제소 인식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

교 음악치료대학원.

홍지원 (1994). 신체활동 중심의 교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Page 44: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7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홍화진 (2000). 음악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주증상 감소 및 친사

회적 행동증가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

악치료대학원.

황경은 (2007). 오르프와 고든의 오디에이션 활동을 적용한 음악치료가 시설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황옥자 (1980). 부모의 이혼이 자녀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Argyle, M. (1991). Cooperation: The basic of sociability.

London:Routledge.

Boxil, E, H. (1984).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y Disabled.

Rockvills, MD: An Aspen Publication.

Bruscia, K. E. (1998). The dynamics of music psychotherapy. SAN:

Barcelona.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n. San

Francisco: W. H. Freeman.

Edgerton, C. D.(1990). Creative group song writing. Music Therapy

Perspectives, 8, 15-19.

Gaston, E. T. (1968). Music in Therapy. New York; MacMillian Co.

Gates, A. I.(1950). Educational Psychology 3rd. ed. NY: Macmillam

Co.

Ficken, T. (1976). The use of song writing in a psychiatric setting.

Journal of music therapy. 13(4), 163- 172.

Howery, B. I. (1968). Music Therapy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and

adults. In Gaston. (Ed.). Music in Therapy. New York :

MacMillian Co.

Lathom, W. (1980). Role of music therapy in the edu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and youth. Lawrence, KS: National

Page 45: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8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INC.

Louise, Montello. & Edger, E. Coons.(1978). Effects of Active Versus

Passive Group Music Therapy on Preadolscents with Emotional,

Learning and Behavioral Disorders. Journal of Music Therapy,

49-67.

Mahler, C. A. (1969). Group Counselling in the school. Boston:

Houghton Miffin.

McCandless, B. R., & Coop, R. H. (1979). Adolescents. N. Y.: Holt,

Reinhart and Winston, Inc.

Meade, F.(1984). Personality development and functions as Reflected

in the Manifest Content of Song Lyrics Normal Latency Aged

Children. M.C.A.T. Thesis, Hannemann University.

Merriam, A. P. (1964). The Anthology of music. Chicago, IL:

Northwest University Press.

Nordoff, P., Robbins, C.(1971).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Victor Gollancy, Ltd.

Robb, S. L. (1996). Techniques in songwriting: Restoring emotional

and physical well being in adolescents who have been

traumatically injured. Music Therapy Perspectives, 14, 30-37.

Roederer, J. (1974). The psychophysics of musical perception. Music

educator journal. 60, 20-30.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tion University press.

Rubenstein, C.(1980). The children of divorce as adults. Psychology

Today, 14, 74-75.

Sears, W. (1968). Processes in music therapy. In E. T. Gaston(Ed.);

Music in Therapy. New York; MacMillian Co.

Slotoroff, C. (1994). Drumming technique for assertiveness and anger

management in the short-term psychiatric setting for adult and

Page 46: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39

adolescent survivors of trauma. Music Therapy Perspectives,

12(2), 111-116.

Thaut, M. H. (1989). Music Therapy, Affect Modification and

Therapeutic Change. Music Therapy Perspectives, 7, 55-62.

Page 47: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40

부 부 부 부 록록록록

1. 자아존중감 설문지

2. 사회성 설문지

Page 48: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41

1. 1. 1. 1.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설문지설문지설문지설문지

질질질질

문문문문내 내 내 내 용용용용

전혀전혀전혀전혀

그렇그렇그렇그렇

지지지지

않다않다않다않다

약간약간약간약간

그렇그렇그렇그렇

지지지지

않다않다않다않다

보통보통보통보통

이다이다이다이다

약간약간약간약간

그렇그렇그렇그렇

다다다다

매우 매우 매우 매우

그렇그렇그렇그렇

다다다다

1111 나는 친구들에게 인기가 있다.

2222나는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려고 애

쓴다.

3333 나는 친한 친구들이 많다.

4444선생님이 설명하실 때 내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면 좋겠다.

5555 나는 어떤 일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6666나를 사귄 친구들은 모두 나를 좋아한

다.

7777 나는 학교 생활을 잘 하고 있다.

8888 나는 스스로 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9999친구들은 나와 함께 어울리는 것을 좋

아한다.

10101010선생님은 나를 착하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

11111111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잘 알고 있다.

12121212 나는 친구들의 마음을 즐겁게 해 준다.

13131313 나는 학교성적이 만족스럽다.

14141414 나는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여긴다.

15151515나는 여러 사람 앞에 나가서 말하는 것

이 좋다.

16161616 나는 친구들에게 화를 내지 않는다.

17171717나는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말

하는 편이다.

18181818 나는 좋은 친구이다.

Page 49: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42

2. 2. 2. 2.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사회성 설문지설문지설문지설문지

질질질질

문문문문내 내 내 내 용용용용

전혀전혀전혀전혀

그렇그렇그렇그렇

지지지지

않다않다않다않다

약간약간약간약간

그렇그렇그렇그렇

지지지지

않다않다않다않다

보통보통보통보통

이다이다이다이다

약간약간약간약간

그렇그렇그렇그렇

다다다다

매우 매우 매우 매우

그렇그렇그렇그렇

다다다다

1111나는 친구들 앞에서 이유나 근거를 대

가며 말을 잘한다.

2222나는 친구들과의 모임이나 놀이를 이끌

어가는 데 흥미가 있다.

3333 나는 친구들의 대장이다.

4444 친구들은 항상 내 의견을 잘 따라준다.

5555나는 재미있게 놀다가도 공부해야 할

때는 열심히 공부한다.

6666나는 어떤 일을 할 때, 노력하면 반드

시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7777나는 내가 맡은 일이 끝날 때까지 포기

하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

8888나는 해야 할 일이 있으면 반드시 그

일을 마친 다음에 논다.

9999나는 친구들과 재미있는 이야기를 잘

나눈다.

10101010나는 내 또래의 친구들에게 인기가 있

다.

11111111나는 다른 친구가 준비물이 없을 때 내

학용품을 잘 빌려준다.

12121212나는 친구들과 잘 어울려서 사이좋게

지낸다.

13131313나는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물건을 항

상 조심히 사용한다.

14141414나는 연필깎은 찌꺼기나 휴지를 아무

곳에나 버리지 않는다.

15151515나는 실내에서 뛰거나 큰소리로 떠들지

않는다.

16161616나는 도로를 건널 때 반드시 횡단보도

로 건넌다.

Page 50: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43

AbstractAbstractAbstractAbstract

The The The The Effects Effects Effects Effects of of of of group group group group musical musical musical musical activities activities activities activities to to to to improve improve improve improve

self-esteem self-esteem self-esteem self-esteem and and and and sociality sociality sociality sociality of of of of broken broken broken broken home home home home childrenchildrenchildrenchildren

An, Ji-Sook

Major of Clinical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what effects group musical

activities have on the broken home children. The study was done

on 30 broken home children of social welfare center and local

child welfare center. After measuring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ociality,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N=15) and controlled group(N=15), on random base. It

was performed the program of group musical activities for six

weeks from March 28th 2008 to May 6th 2008.

To evaluate the changes in self-esteem and sociality,

self-esteem scale and sociality scale were administered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12 treatments.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self-esteem and sociality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 was, in the level of self-estee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led

Page 5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44

group(p< .05). Also, in the level of sociality,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experimental group(p< .05).

It is concluded that group musical activities were effective to

improv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broken hom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use of group

musical activities can bring about efficient therapeutic effects in

broken hom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