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
1 2010. 6. 7/14 2010. 6. 7/14 조 조 조 조 조 조 조조조조조조조조조 조조조조 조조조조조조조조조 조조조조

2010. 6. 7/14

  • Upload
    shiro

  • View
    54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2010. 6. 7/14. 조 정 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Contents. I 부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인가 ? 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추진하는가 ? 외국에서는 어떻게 하나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주요 내용은 ? 그동안 추진 성과와 향후 계획은 ? II 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및 활용 주체 산업계 교육훈련기관 자격검정기관 정부부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소개 KRIVET 직업자격연구실과 연구 · 사업 파트너 에필로그.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010. 6. 7/14

1

2010. 6. 7/142010. 6. 7/14

조 정 윤 조 정 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Page 2: 2010. 6. 7/14

2

ContentsI 부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인가 ? 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추진하는가 ? 외국에서는 어떻게 하나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주요 내용은 ? 그동안 추진 성과와 향후 계획은 ?II 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및 활용 주체 산업계 교육훈련기관 자격검정기관 정부부처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소개KRIVET 직업자격연구실과 연구 · 사업 파트너에필로그

Page 3: 2010. 6. 7/14

3

21 세기 인재대국 ,

인재개발의 패러다임이 달라져야 합니다

세계가 우수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지금인재의 정의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

21 세기 지식기반사회는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이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 ,미래가 요구하는 변화에 맞추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키우는 인재를 요구합니다 .

어떤 인재를 원하고 , 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우리 사회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화두입니다 .

Page 4: 2010. 6. 7/14

4

Page 5: 2010. 6. 7/14

5

Page 6: 2010. 6. 7/14

6

21 세기 인재대국을 위하여 새로운 인재개발의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

Page 7: 2010. 6. 7/14

7

글로벌 무한 경쟁체제에서 사회와 기업이 요구하는 준비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기반입니다 .

Page 8: 2010. 6. 7/14

8

Page 9: 2010. 6. 7/14

9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 (KSS) 의 구성 내용 수준은 국가자격체제(KQF) 에 의해 관리됩니다 .

KQF(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 란학위 , 직업 등 다양한 학습결과를 자격으로 인정하기 위한 자격수준체계(Qualification Level System) 입니다 .각 자격간의 수직적 , 수평적 연계관계를 나타내는 각종 자격의 연계지도로서 다양한 자격의 신호가 동일 수준에서 상호 비교 가능합니다 .

KQF 구축의 목적

■ 국가직업능력표준에 맞추어 훈련기준 , 자격검정기준 , 교육과정 등의 기준을 연계합니다 .■ 이원화된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을 통합하여 교육 · 훈련의 중복을 제거합니다 .■ 통일된 학습목적의 성취를 위한 다양한 경로를 제공함으로서 경력개발의 기준이 됩니다 .■ 여러 가지 형태의 학습결과를 통합적으로 인정함으로써 , 능력중심의 평생학습사회 구축에 이바지합니다 .

Page 10: 2010. 6. 7/14

10

KQF 의 활용

■ 학위와 각종 직업자격 간 연계 기준■ 다른 기관에서 취득한 학점 및 자격의 연계 기준■ 경력개발 및 질적 인력수급의 기준■ 자격의 신설 기준■ 학점인정제도 도입으로 숙련 근로자의 능력평가 기준■ 평생학습계좌제 운영의 기본 틀■ 국내의 다양한 자격이 국제적으로 통용되기 위한 준거 기준

Page 11: 2010. 6. 7/14

11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국가의 자격 관리 · 운영 사례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하는 필수 및 선택 능력단위를 성공적으로 이수함으로써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를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자격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해서 운영되는 자격제도는 직무능력중심 평가 (competency-based assessment) 로 시행하여 능력사회 구현을 위해서 필요한 자격의 역할을 보다 강화합니다 .

자격제도를 구성하는 직무능력단위는 직무수행의 목적을 성취해야 할 결과로서 , 자격취득에 필요한 능력요소를 구성합니다 .

모든 자격은 반드시 1 개 이상의 필수능력단위와 여러개의 선택능력단위로 구성됩니다 .

개별 자격간 연계를 통해 직무수행 범위가 확장된 자격 취득이 가능합니다 .

Page 12: 2010. 6. 7/14

12

Page 13: 2010. 6. 7/14

13

직업 , 직무 그리고 고용구조 등의 변화에 자격제도가 유연하게 대처하여 산업 수요에 맞는 인력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

현장 실무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길러 개인의 경력 개발에 도움을 줌으로써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킵니다 .

일 - 교육 , 훈련 - 자격의 운영 관리를 일원화 , 체계화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인력과 예산의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Page 14: 2010. 6. 7/14

14

자격검정이 산업현장의 요구를 정확하게 반영함으로써 자격취득자에 대한 평가와 채용 ,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므로 근로자의 평생학습 참여를 높입니다 .

직무수행능력의 체계적인 관리와 질 향상으로 자격의 국제적 통용성을 확보하여 인재의 해외진출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Page 15: 2010. 6. 7/14

15

Page 16: 2010. 6. 7/14

16

Page 17: 2010. 6. 7/14

17

Page 18: 2010. 6. 7/14

18

• 인종차별로 파편화되고 흑인의 참여가 제한되어 있는 교육제도

를 개혁하기 위해 1994 년 African National Congress(ANC) 의

주도로 논의 시작

→ 초기 정책형성과정에서 호주 금속노조의 영향을 크게 받음

주요 국가별 도입사례 - 남아프리카공화국 (10 단계 )

• 능력중심주의와 정규 교육제도 밖의 흑인노동자에 대한 계속교

육 촉진의 제도화

→ 국가재건 수단으로 NQF 도입 및 활용

Page 19: 2010. 6. 7/14

19

Level

Doctoral Degree – 360 학점

Level 7

Advanced Diploma – 120 학점Diploma – 360 학점Level 6

National Certificate – 120 학점• 최소 72 학점을 Level 4 또는 그 이상의 수준에 배정• 20 학점은 언어 및 의사소통분야 배정• 16 학점은 수학에 배정• Level 3 또는 4 에 제 2 외국어 의사소통 20 학점 배정

Level 5

Level 4

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10

Masters Degree – 180 학점 Level 9

Bachelors Degree – 480 학점Bachelor Honors Degree – 120 학점Post Graduate Diploma – 120 학점

Level 8

Advanced Diploma – 120 학점Bachelors Degree - 360 학점

Higher Certificate – 120 학점

남아프리카공화국 (10 단계 )

National Certificate – 120 학점• 최소 72 학점을 Level 1 또는 그 이상의 수준에 배정• 20 학점은 언어 및 의사소통분야 배정• 16 학점은 수학 또는 수리 분야에 배정

Page 20: 2010. 6. 7/14

20

• ‘계속 교육 (FE)’ 의 활성화와 고등교육간 연계를 주목적으로 도입

→ 기존의 자격제도를 보완할 수 있도록 NQF 설계 → 고등교육 (HE) 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는 FE 간의 긴밀한 연계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진입인구를 확충함은 물론 평생학습체제 구축 기도

주요 국가별 도입사례 - 아일랜드 (10 단계 ), 스코틀랜드 (12 단계 )

• 고등교육기관은 학생모집을 증대시키기 위한 생존의 전략으로 FE 와 연계

→ 이를 위해서 NQF 도입 초기부터 HE( 예 , Universities Scotland) 가

적극적으로 개입 → NQF 의 정점에 박사학위가 위치하고 있는 이유

Page 21: 2010. 6. 7/14

21

• 궁극적으로 HE, FE, VET 간 통합과 연계를 고려한 평생학

습사회 구축수단으로 NQF 구축

주요 국가별 도입사례 - 아일랜드 (10 단계 ), 스코틀랜드 (12 단계 )

• 아일랜드는 University Act(1997), Education Act(1998),

Qualification Act(1999) 을 개정함으로써 모든 단계 , 모든

수준의 교육훈련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

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설정한 것으로 평가

Page 22: 2010. 6. 7/14

22

아일랜드 (10 단계 )

Page 23: 2010. 6. 7/14

23

스코틀랜드 NQF

SVQ1NationalCertificate

Intermediate 1Credit standard

Grade4

LEVEL SQA 자격 고등교육기관 자격 자격제도

12 Doctoral Degree

11Integrated Masters Degree/Masters

Degree / Post Graduate Diploma/Post Graduate Certificate

SVQ5

10 Honors Degree /Graduate Diploma/ Graduate Certificate

9 Professional Development

Award

Bachelors/Ordinary Degree /Graduate Diploma/ Graduate

Certificate SVQ48 Higher

National Diploma

7 Advanced Higher Higher National

Certificate

Certificate of Higher EducationSVQ3

6 Higher

5Intermediate 2Credit standard

Grade

SVQ2

3Access3

Foundation Standard Grade

2 Access2

1 Access1

Page 24: 2010. 6. 7/14

24

• 자격의 인정사례는 공공부분에 종사할 공무원을 선발할 때 이들의 교육

자격 ( 학교 졸업장 등 ) 을 인정하는 것으로 시작

주요 국가별 도입 사례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의 사립대학은 누구나 설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대학교의

질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는 현실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MQA(Malaysian Qualification Agency) 가 설립되었으며 이 기구에 의

해 NQF 를 도입 → 공립대학은 81 개 , 사립대학 528 개로 구성 (2009. 11)

→ NQF 에 등재 된 사립대학의 졸업장은 그 가치가 국가차원에서 인정

• 호주 , 뉴질랜드 , 유럽자격체계 (EQF) 를 벤치마킹하여 8 단계

의 NQF 구축

→ 스킬 , VET, 인문교육 3 개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트

랙간 연계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음

Page 25: 2010. 6. 7/14

25

말레이시아 NQF

LEVEL영 역 평 생

학 습SKILL Vocational and

Technical고등교육

8 Doctoral Degree 선 행 학 습

경 험 인 정

7 Master Degree

Postgraduate Certificate & Diploma

6 Bachelors Degree

Graduate Certificate & Diploma

5 Advanced Diploma Advanced Diploma Advanced Diploma

4 Diploma Diploma Diploma

3 Skills Certificate 3

Vocational and Technical

Certificate

2 Skills Certificate 2

1 Skills Certificate 1

Page 26: 2010. 6. 7/14

26

• 기존에 5 등급으로 구성된 프랑스 자격체계가 존재하며

여기에 6-10 개 부처가 운영하는 17,000 개 자격이 등록되

어 있음

- 기존 5 등급 체계를 EQF 8 단계와 연계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

주요 국가별 도입 사례 - 프랑스

Page 27: 2010. 6. 7/14

27

오스트리아

• 학습결과에 기초한 오스트리아 NQF 는 현재 개발 중에 있음

2006 년에 연방교육예술문화부 (BMUKK) 와 연방과학연구부 (BMWF) 대표자들이 포함된 프로젝트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2007 년 12월과 2008 년 6월 사이에 많은 협의회 (총 265 개의 응답을 획

득 ) 가 진행되었음 . 2007 년 2월에 설립된 National Coordination group 은 2008 년 말까지 NQF

의 실행을 위한 권고를 작성하였으며 , 2010 년까지 NQF 를 완성 예정 임

네덜란드

• NQF 설립이 결정되었고 National Coordination group 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 체계의 형식과 범위에 대한 결정이 남은 상태로 외부

계약자들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 투자는 2008 년 말까지 이루어졌으며

네덜란드교육의회는 NQF 에 관한 보고서 (2007) 를 작성하였음

Page 28: 2010. 6. 7/14

28

포르투갈

• 2007 년에 국가자격체제를 설립을 승인한 법령 396/2007 호 (12월 31 일 ) 는

2007 년에 포르투갈자격체계 (QNQ) 의 설립을 제안하였음 . 이 체계는 EQF 의

원 리 를 기 준 으 로 자 격 수 준 구 조 를 정 의 하며 QNQ 는 자 격 에 관 한

국가하부체제의 통합을 추구하고 있음 . 2007 년에는 40 개 교육훈련 분야의

123 개 자격을 통합한 국가자격 카탈로그가 제작되었으며 이 카탈로그는 EQF

와 ECVET 와 함께 국가 VET 체제를 명확히 하는데 목적이 있음

몰타

• 몰타의 QF 는 8 개의 수준으로 되어있으며 이것은 EQF 와

일맥상통하며

학습결과 접근법을 사용하게 됨 . 이것은 법률 347/10월 /2005 호에

의해 통

제되며 2005 년 10월에 설립된 몰타자격의회는 자격의 의무교육과

학위

보다는 자격의 개발 , 평가 , 증명 , 인가 등을 담당하는 국가기관 임

Page 29: 2010. 6. 7/14

29

• 2007 년부터 주요 이해관계자들 ( 국가의 주요부서 , 기관 , 민간 산업부문

대표자들 )

은 국가특별위원회를 통해 NQF 의 비전과 개념을 설립하는 업무에 참여하고

있음

• 이 개념은 최근에 국무총리의 승인을 얻었으며 대통령 자문위원회 (cabinet)

아래

있는 인적자원부위원회는 현재 정책조종단체가 되었음 . NQF 센터는

국무총리령

에 의해 곧 설립될 예정임

• 이 센터는 질 보증과 국가교육인증기관 (National Agency for Quality

Assurance and Accreditation in Education) 과 같은 모든 부서와 행정단체에

의해 실행된 의안 제출권을 위해 우산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 됨

이집트

Page 30: 2010. 6. 7/14

30

• 유럽국가간 인력이동 활성화 → 유럽국가간 실질적인 통합 촉진

•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유입되는 인력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위함

• 고령화 진전으로 평생학습 촉진 필요성 대두 → 유럽 경쟁력 확보

(2010 년까지 유럽의 경쟁력을 세계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리스본 전략 (Lisbon Strategy) 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 )

지역별 QF 도입사례 - EQF

도입배경 및 이유

• 2009 년 브뤼셀 회의를 통해 EQF 가 공식적으로 출범되었고 2012 년 본격적인 시행을 목전에 두고 있음

• ETF(European Training Foundation) 이 주축이 되어 아프리카 , 중동 , 아시아 등 많은 개도국들의 NQF 구축 및 시행을 지원

→ EQF 주도로 개별 국가의 NQF 구축을 선도하려는 의도

EQF 도입 상황

Page 31: 2010. 6. 7/14

31

• 2012 년에는 EQF 의 본격적인 적용과 활용

- 세계국가의 NQF 도입 및 시행을 선도하는 ‘ Meta Qualification Framework’ 으로 자리매김

- 주요 관련기관 : EU, ETF, CEDFOP, etc..

EQF 향후 발전계획

Page 32: 2010. 6. 7/14

32

EQFLEVEL 학 습 결 과

1 • basic, general knowledge

2 • basic factual knowledge of a field of work or study

3 • knowledge of facts, principles, processes and general concepts, in a field of work or study

4 • factual and theoretical knowledge in broad contexts within a field of work or study

5 • comprehensive, specialized, factual and theoretical knowledge within a field of work or study and an awareness of the boundaries of that knowledge

6 • advanced knowledge of a field of work or study, involving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ories and principles

7• highly specialized knowledge, some of which is at the forefront of knowledge in a field of work or study, as the basis for original thinking and/or research• critical awareness of knowledge issues in a field and at the interface between different fields

8 • knowledge at the most advanced frontier of a field of work or study and at the interface between fields

Page 33: 2010. 6. 7/14

33

국가의 자격관리 · 운영기본계획에 따라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고 각 중앙 행정기관이 세부계획 및 시행방안을 수립합니다 .

자격관리 · 운영기본계획 포함내용▶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 개선 및 활용에 관한 사항▶ KQF 의 구축에 관한 사항▶ 교육훈련 · 자격 및 산업현장의 연계에 관한 사항 ▶ 자격간 호환성의 확보 및 국제적 통용의 촉진에 관한 사항▶ 자격정보 시스템의 구축 등에 관한 사항▶ 자격제도 운영성과 및 평가에 관한 사항 등

Page 34: 2010. 6. 7/14

34

국가와 산업계가 협력하여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수행능력을 분석하여 개발합니다 .개발단계에서 노동계와 교육훈련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현장성 및 통용성을 높입니다 .

Page 35: 2010. 6. 7/14

35

산업계가 개발한 국가직무능력표준를 활용하여 교육훈련기관에서는 교육훈련과정 및 교재를 개발하고 자격검정기관에서는 자격종목을 개발하고 출제기준을 마련하는데 적용합니다 .

Page 36: 2010. 6. 7/14

36

다양한 개발 주체와 개발결과물 ( 국가직무능력표준 , 교육훈련과정 , 교재 등 )은 질관리와 표준화를 위하여 인정 및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

인정 및 인증의 주체로 전문 조사연구기관 , 해당산업 전문가 , 정부부처 , 유관단체 등이 참여할 수 있고 , 최종적으로 국가가 인정 및 인증합니다 . 인정 및 인증된 기관과 개발 결과물은 자격정보시스템에 탑재되어 관련 당사자가 검색 또는 열람할 수 있습니다 .

Page 37: 2010. 6. 7/14

37

Page 38: 2010. 6. 7/14

38

직무체계는 특정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산업 현장의 직무에 근거하여 직무분류와 각 직무의 수준을 분석한 것입니다 .

직무체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틀이며 , 개발 우선분야를 선정하는데 필요한 인력의 수요 · 공급 조사 및 경력경로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

직무체계 (Skills Framework)

Page 39: 2010. 6. 7/14

39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직무체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 대상 직무분야를 선정하여 ,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능력모형 , 직무능력명세서 , 직업기초능력 등을 개발한 것입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결과는 교육훈련과정 개발 , 자격종목 및 검정기준 개발 , 근로자의 능력인정 , 직무수행 평가의 지침 등에 활용됩니다 .

산업분야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훈련과정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결과에 제시되어 있는 핵심능력과 능력단위 , 능력요소 , 성취기준 , 평가기준 등을 활용하여 개발합니다 .

이러한 교육훈련과정은 코스 명세서와 그에 따른 모듈로 구성되며 , 이를 기초로 교재 개발이 이루어집니다 .

교육훈련과정 및 교재

Page 40: 2010. 6. 7/14

40

1996. 2.

2001. 12.

2004. 8.2007. 4.2010. 5.

5.31 교육개혁방안에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기능강화를 위해 자격제도 개편 추진 ( 직업교육과 자격의 연계 강화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국가자격체제 도입 , 부처 합의 ( 국조실 ) ※ 노동부 국가직업능력표준 시범개발 ('02-'08) : 191 개 직종개발 교과부 국가직무능력표준 시범개발 ('03-'08) : 14 개 직종개발 국조실 조정 결과를 토대로 자격기본법 개정안 국회 제출자격기본법 개정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법적 기반 마련국가직무능력표준 사업 효율화에 따른 부처 ( 교과부 , 노동부 ), 관계기관 (직능원 , 공단 ) 역할 조정 /확정 ( 총리실 ) ※ ‘ 기본계획 마련 : 교과부 , 노동부 공동’ , ‘ 관련 연구 및 지원 : 직능원’ , ‘ 표준 개발담당 : 공단’

Page 41: 2010. 6. 7/14

41

2002 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2003 년산업영역 분류 시안 개발 / 직업기초능력 개발 · 운영 체계 연구 /국가자격체계 관리 방안 연구 KSS 개발 지침서 개발 / KSS 시범개발 (1종 ) : 실내건축 분야

2004 년교육과정 , 훈련기준 , 출제기준 , 직업정보 연계 분석시스템 구축연계 분류코드 개발 (1 종 ) / KSS 시범개발 (1 종 ) : e-biz 분야 / KSS 교육훈련과정 모형 개발 (1 종 )

2005 년KSS 인정기준 및 매뉴얼 개발 / KSS 개발영역 분류 및 코드화 / KSS 사업 중간성과 분석 KSS 개발 (1 종 ) / 직무체계 개발 (1 종 ) / KSS 교육훈련과정 시범개발 (2 종 ) / KSS 자격검정 방안 연구

2006 년국가자격체계 (KQF) 수준별 배치기준 연구 (Ⅰ) / KSS 교육훈련과정 시범개발 (3 종 ) / KSS 자격출제기준 시범개발 (1 종 ) / KSS 교육과정 시범운영 (2 건 ) / KSS 시안 개발 (2 종 ) / 직무체계 개발 (2 종 )

2007 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관련 법령 정비 방안 연구 / 자격관리운영 계획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 제도 시행 방안 연구 / 국가자격체제 (KQF) 수준별 배치기준 및 제도 시행방안 연구 (Ⅱ)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에 따른 KSS 활용방안연구 / KSS 교육과정 시범운영 (3 건 ) / 직무체계 개발 (3종 )

Page 42: 2010. 6. 7/14

42

2008 년

국가자격체제 (KQF) 구축과 운영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자격제도 구축 자격정보종합시스템 정보전략계획 수립 /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선행학습경험의 자격 인정 방안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인증체제 구축 / 교육훈련과정개발 매뉴얼 구안 / 교육훈련기관 인정 및 평가체제 개발 / 직무체계 개발 (5 종 )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 건축설계 등 (9 종 ) / 교육과정 개발 : 건축설계 , 조경분야 각 3 개 학교급( 고교 , 전문대 , 대학 )

2009 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인증 시스템 구축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일원화를 위한 TF 운영 / 직무체계 개발 ( 문화예술 , 농림수산 , 관광 .레크레이션 3 종 ) / 교육훈련기관 교육과정 개발 연수 / 자격검정기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활용 연수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 ( 전문계고 , 전문대학 각 1 개교 ) / 자격정책 포럼 운영 / 자격 국제화 방안 연구 등

2010 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절차 정비 / 직무체계 개발 ( 해양 , 운전운송 , 보건의료 3 종 )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자동차정비분야 교육과정 개발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 ( 전문계고 , 전문대학 각 1개교 ) / 전문계고 직업기초능력 연구학교 운영 지원 등

2011 년

계획 :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인프라 구축 및 운영 ( 표준의 적용 , 활용 , 확대 관련 연구 및 가이드 마련 등 ) / 표준 및 교육훈련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검토 및 인증 수행 / 교육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컨설팅 , 표준 ( 일 )-교육훈련 - 자격 연계 시스템의 정착을 위한 연구 및 지원 등

Page 43: 2010. 6. 7/14

43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체계적 추진과 외연 확대를 위한 산 · 관 · 학 · 연 정책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필요성

•경제 5 단체 , 산학연계협의회 , 산업별인적자원개발 협의체 (SHRDC) 등 산업계의 적극적 참여 유도•관계 부처의 지속적 참여유도를 위한 부처별 개발 영역 분담 등 역할 정립•자격정책심의회 , 국가인적자원위원회 등 인적자원 개발 정책 협의기구의 실효성있는 구성 ,운영•사업 계획 수립 , 총괄 모니터링 , 인프라 구축 등의 역할을 수행할 조사연구기관 지정•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 활용을 위한 지방교육청 , 자격검정기관 , 교육훈련기관 참여유도•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컨설팅 등

Page 44: 2010. 6. 7/14

44

Page 45: 2010. 6. 7/14

45

21 세기 기업의 경쟁력은 글로벌 인재의 확보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 기업과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역량을 갖춘 인재에 대한 정보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업의 요구를 대변하는 산업별 · 업종별 대표기구가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여 현장 중심의 인재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산업별 · 업종별 대표기구가 기업의 요구를 수렴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기여함으로써 , 산업계는 신입사원 교육 및 경력사원의 재교육 비용을 경감하고 , 현장중심의 직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Page 46: 2010. 6. 7/14

46

산업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자로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의 직무수행능력을 구체화하고 이를 교육훈련기관에 전달하여 산업현장에 적합한 인재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합니다 .또한 기업환경의 변화와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계의 요구가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반영될 수 있도록 SHRDC 등은 기업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야 합니다 .

Page 47: 2010. 6. 7/14

47

01 농림 · 수산02 섬유03 화학 · 에너지04 재료05 기계06 전기 · 전자07 정보통신08 건설 · 해양09 운전 · 운송10 환경11 금융 · 보험 · 부동산12 경영관리 13 자연과학 · 사회과학14 공공보안15 교육 · 훈련16 보건 · 의료17 문화 · 예술 · 디자인 · 방송18 스포츠 · 관광 · 레크레이션19 식품가공 · 조리20 대인서비스

Page 48: 2010. 6. 7/14

48

■ 실내건축 (2003)■ e-biz(2004)■ 반도체 소자 설계 · 개발 · 생산(2005)■ 디스플레이 설계 · 개발 · 생산(2006)■ RF 회로 설계 · 개발 · 생산 (2006)■ 건축설계 (2008)■ 토목설계 (2008)

■ 조경 (2008)■ 지적 및 측량 (2008)■ 반도체 장비 제조 · 운영 (2009)■ 임베디드 시스템 (2009)■ 전지회로보드 설계 및 개발(2009)■ 송 · 배전 설비 설치 및 운영(2009)■ 선박 생산 설계 (2009)

Page 49: 2010. 6. 7/14

49

교육훈련과정이 산업현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재의 공급자인 교육훈련기관과 수요자인 기업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가 강화돼야 합니다 .

교육훈련기관은 산업계의 요구를 체계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으로 산업현장 직무수행능력 중심의 교육훈련 여건을 마련하고 수요자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 · 관리합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과정 시행으로 교육훈련의 실효성을 증대하여 교육훈련기관 이수자 · 졸업자의 취업 기회 확대와 경력 개발에 기여합니다 .

Page 50: 2010. 6. 7/14

50

교육훈련기관은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하여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훈련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합니다 .또한 표준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 이수자가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 , 검증 , 관리 역할을 수행합니다 .

Page 51: 2010. 6. 7/14

51

■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과정 시범 운영 : 문항 개발 매뉴얼 (2006)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과정 시범 운영 : 교육과정 개발 · 적용 매뉴얼 (2006) ▶ 교육훈련과정 개발 매뉴얼 (2008)

Page 52: 2010. 6. 7/14

52

■ 교육과정 시범 개발 ▶ e- 비즈니스 분야 교육과정 시범 개발 : 전문대 , 4 년제대학 (2005) ▶ 반도체분야 실업계고교 / 전문대학 / 대학 · 대학원 교육과정 시범 개발(2006) ▶ 건축설계분야 전문계고교 / 전문대학 / 대학 교육과정 개발 (2008) ▶ 조경분야 전문계고교 / 전문대학 / 대학 교육과정 개발 (2008)

■ 교육과정시범운영 ▶ 반도체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 시범 운영 ( 고등학교 )-2007 ▶ 반도체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 시범 운영 ( 전문대학 )-2007 ▶ 반도체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 시범 운영 ( 대학교 )-2007

Page 53: 2010. 6. 7/14

53

자격검정기관이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평가 , 인정하기 위해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하여 교육훈련과 자격검정간의 내용 및 수준을 긴밀하게 연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을 둔 자격제도의 관리운영은 공급자 중심의 자격제도를 자격의 활용주체인 산업계 중심으로 변화시켜 자격 수요자에 대한 만족도 및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국가기술자격과 국가자격 , 공인민간자격 , 민간자격의 현장성과 공신력을 향상하여 실무능력 중심의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산업계 및 교육훈련계와 협력기관과 기존 자격의 검정 및 출제 기준을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부합하게 개선함으로써 자격의 통용성을 제고하고 실무 중심의 교육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선도합니다 .

Page 54: 2010. 6. 7/14

54

Page 55: 2010. 6. 7/14

55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기존 자격 제도와 연계하여 , 직무수행능력 위주로 자격검정 내용 및 수준을 개선합니다 .

사회 및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 및 선행학습과 교육훈련기관에서 학습결과를 종합하여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Page 56: 2010. 6. 7/14

56

21 세기 국가의 가장 중요한 자산은 ‘우수한 직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의 확보’입니다 .국가적 차원의 인재개발 정책을 수립 ·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인재개발 제도를 체계화 및 일원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통합적 인재개발 시스템 구축 차원에서 일 - 교육훈련 - 자격을 연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제도 도입을 통해 , 교육훈련 및 자격제도 운영시 산업계의 필요 인력에 대한 요구전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 교육훈련 따로 , 자격 따로”로 인한 능력개발 중복투자 문제를 해결하고 , 다양한 학습경험과 경력 등을 능력으로 인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Page 57: 2010. 6. 7/14

57

•부처별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영역을 설정하고 산업계 수요를 반영 한 우선 개발 분야 선정•교육훈련 및 자격 수요가 많고 산업별 협의체 (SC : Sector Council) 가 전문역량을 갖춘 분야를 우선 선정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개발기관으로 산업별 · 직종별 대표 기구 선정

개발영역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Page 58: 2010. 6. 7/14

58

국가직무능력표준 인증 체계 구축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질 보장을 위한 인증 기준 마련•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질 관리를 위해 표준 개발과정의 적정성 모니터링 및 컨설팅

교육훈련기관 인증 체계 구축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교육훈련내용 , 시설 , 장비 등을 고려한 인증 기준 개발•교육훈련기관을 평가 , 인증하여 교육훈련과정의 질 관리 강화

Page 59: 2010. 6. 7/14

59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교육훈련과정 개발 · 운영 지원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근거한 교육 및 직무훈련과정 개발과 운영을 위한 방법 · 절차 마련•산업현장에서의 자율적 교육훈련과정 편성 · 운영 지원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교육훈련과정 개발 · 운영 지원

•교육훈련과정 개발 초기부터 산업 현장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체계 개선•기존 자격제도에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 활용하여 국가자격의 검정 및 출제기준 , 민간자격 공인기준 등을 •직무중심으로 일원화하여 , 미래 수요가 예상되는 자격종목 개발 검토

Page 60: 2010. 6. 7/14

60

Page 61: 2010. 6. 7/14

61

Page 62: 2010. 6. 7/14

62

Page 63: 2010. 6. 7/14

63

Page 64: 2010. 6. 7/14

64

Page 65: 2010. 6. 7/14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의 구조 및 개발 방법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의 구조 및 개발 방법

발표자 : 박종성 박사발표자 : 박종성 박사

Page 66: 2010. 6. 7/14

66

목 차

1

2

3

4

국가직무능력표준국가직무능력표준 (NCS)(NCS)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국가직무능력표준 (NCS)(NCS) 개발 절차개발 절차

직무의 개요직무의 개요

직무능력명세서직무능력명세서

5

6

직업기초능력직업기초능력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부록 직업분석직업분석

Page 67: 2010. 6. 7/14

67

제 1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양 식양 식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양 식양 식1111

번호 영역분류 ( 대분류 )

01 농림 수산∙02 섬유03 화학 에너지∙04 재료05 기계06 전기 전자∙07 정보통신… …12 경영관리… …18 스포츠 관광 레크레이션∙ ∙19 식품가공 조리∙20 대인서비스

Page 68: 2010. 6. 7/14

68

제 1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작성요령작성요령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작성요령작성요령111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여건과 개발 후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전체 산업영역을 크게 20 개의 영역으로 분류함 .

이 중 개발하고자 하는 직무가 속해 있는 영역을 음영 처리함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여건과 개발 후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전체 산업영역을 크게 20 개의 영역으로 분류함 .

이 중 개발하고자 하는 직무가 속해 있는 영역을 음영 처리함 .

Page 69: 2010. 6. 7/14

69

제 1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sample)(sample)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sample)(sample)1111

번호 영역분류 ( 대분류 )

01 농림 수산∙02 섬유03 화학 에너지∙04 재료05 기계05 전기 전자∙07 정보통신… …12 경영관리… …18 스포츠 관광 레크레이션∙ ∙19 식품가공 조리∙20 대인서비스

Page 70: 2010. 6. 7/14

70

제 1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양 식양 식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양 식양 식2222

직무군항목수 직무

중분류 소분류

Page 71: 2010. 6. 7/14

71

제 1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작성요령작성요령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작성요령작성요령2222

개발하고자 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가 속해있는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의 틀을 제시함 .

개발하고자 하는 직무가 속해 있는 영역을 음영 처리함 .

개발하고자 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가 속해있는 중분류 , 소분류 , 직무의 틀을 제시함 .

개발하고자 하는 직무가 속해 있는 영역을 음영 처리함 .

Page 72: 2010. 6. 7/14

72

제 1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영역 및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sample)(sample) << 정보통신정보통신 >>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체계 (sample)(sample) << 정보통신정보통신 >>2222

직무군항목수 직무 (Skill)

중분류 소분류

A. 전략 및 기획

기획 1 전략 및 계획수립

컨설팅 2전략 컨설팅구축 컨설팅

감리 1 IT 감리

B. 관리 운영프 로 젝 트 관 리 및 지원

2프로젝트 관리품질관리 ( 보증 )

C. S/W 개발 및 구현

시 스 템 개발 6

시스템 S/W 개발패키지 S/W 개발응용 S/W 개발통신 S/W 개발임베디드 S/W 개발데이터베이스 개발

… … ……

Page 73: 2010. 6. 7/14

73

제 2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절차

1. 개발계획수립

2. 현장분석실시

3. 수준체계설계

6. 직무능력표준내용 작성

5. 능력요소결정

7. 활용방안작성

8. 절차, 수준체계,표준 수정/보완

4. 능력개발 경로개발

Page 74: 2010. 6. 7/14

74

제 2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절차

개발절차 세부 활동 내용

1. 개발 계획 수립 단계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관련한 주요 이해당사자간의 합의하에 개발 분야와 개발 절차 그리고 개발 방법 등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

2. 현장 분석 단계

․ 설문 또는 면담조사기법을 이용한 현장 조사를 통해 국가표준직무능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산업 현장의 현재의 상태와 미래 변화 전망 등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

․ 해당 산업을 둘러싼 환경 요인과 향후 발전 전망 그리고 이에 따른 고용 전망과 필요 직무능력 등을 분석함으로써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장 - 단기 기초자료를 수집․분석한다 .

3. 수준체계 설계 단계․ 직무능력 수준을 국가적으로 인정하기 위해 사전에 개발된 국가자격 체계 (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 에 따라 해당 직무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수준의 직무능력이 필요한지를 의무 , 선택 , 직업기초능력 단위별로 결정하는 단계이다

4. 능력개발 경로개발 단계

․ 해당 직무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훈련을 통하여 습득한 학습 결과와 현장 실무경력을 국가자격체계의 틀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인정하고 , 어떻게 연계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

5. 능력단위요소 결정 단계

․ 수준체계 설계 단계에서 결정된 능력단위를 구성할 능력단위요소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

6. 직무능력표준 내용 작성 단계

․ 전 단계에서 결정한 능력단위요소 항목별로 직무능력표준 작성 지침에 따라 수행기준 , 지식․기술․태도 , 작업상황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단계이다 .

7. 활용 방안 작성 단계

․ 개발된 직무능력표준을 어떠한 용도로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 이 단계에서 교육훈련기준ᆞ자격 등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지시해 준다 .

8. 절차 , 수준체계 , 직무능력표준의 수정․보안 단계

․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모든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단계이다 .

Page 75: 2010. 6. 7/14

75

제 3 장 직무의 개요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양 식양 식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양 식양 식1111

직무능력의 정의 직무능력의 정의 양 식양 식 직무능력의 정의 직무능력의 정의 양 식양 식2222

1. 1.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 ○ ○ ○: ○ ○ ○1. 1.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 ○ ○ ○: ○ ○ ○

Page 76: 2010. 6. 7/14

76

제 3 장 직무의 개요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작성요령작성요령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작성요령작성요령1111

직무능력의 정의 직무능력의 정의 작성요령작성요령 직무능력의 정의 직무능력의 정의 작성요령작성요령2222

개발하는 직무의 명칭을 기재함 .

가능한 현장에서 사용하는 명칭으로 하되 한국표준직업분류 또는 한국직업사전의 표기 양식에 따름 .

개발하는 직무의 명칭을 기재함 .

가능한 현장에서 사용하는 명칭으로 하되 한국표준직업분류 또는 한국직업사전의 표기 양식에 따름 .

수행하는 직무의 목적을 성취하여야 할 결과로 표현한 것으로써 수행하는 직무의 목적을 성취하여야 할 결과로 표현한 것으로써

행동용어를 사용하여 간략히 기술함행동용어를 사용하여 간략히 기술함 ..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평이한 단어로 문장으로 구성함 .

     예예 ) ) 건축목공기능사 건축목공기능사 : : 각종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각종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 , , 목구조의 목구조의 골조를 구성하고골조를 구성하고 , , 건축물의 내건축물의 내․․외부를 목재로 마감한다외부를 목재로 마감한다 . .

수행하는 직무의 목적을 성취하여야 할 결과로 표현한 것으로써 수행하는 직무의 목적을 성취하여야 할 결과로 표현한 것으로써

행동용어를 사용하여 간략히 기술함행동용어를 사용하여 간략히 기술함 ..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평이한 단어로 문장으로 구성함 .

     예예 ) ) 건축목공기능사 건축목공기능사 : : 각종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각종 수공구와 목공기계를 사용하여 , , 목구조의 목구조의 골조를 구성하고골조를 구성하고 , , 건축물의 내건축물의 내․․외부를 목재로 마감한다외부를 목재로 마감한다 . .

Page 77: 2010. 6. 7/14

77

직무능력명 및 직무능력의 정의 직무능력명 및 직무능력의 정의 (sample)(sample) 직무능력명 및 직무능력의 정의 직무능력명 및 직무능력의 정의 (sample)(sample)1, 21, 21, 21, 2

1.1.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 : RF 회로 설계ᆞ개발

2.2. 직무능력의 정의직무능력의 정의

1.1. 직무능력명 직무능력명 : : RF 회로 설계ᆞ개발

2.2. 직무능력의 정의직무능력의 정의

 RF 부품회로 설계 개발 생산 직무는 ⋅ ⋅ RF 회로의 기초 지식 및 전․

자기적 특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각종 전자제품 및 회로의 구성에 사용되는 RF 회로의 설계 개발하는 과정을 통하여 생산하는 ⋅업무로서 , RF 회로의 설계 , 공정 및 패키지 개발 , 특성 시험 및 검증 , 장비 운영을 통한 생산 등을 수행하는 직무이다 .

제 3 장 직무의 개요

Page 78: 2010. 6. 7/14

78

제 3 장 직무의 개요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양 식양 식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양 식양 식3333

A

B

C

D

B1

B6

C1

D1

A1

B2

B7

C2

D2

A2

B3

B8

C3

D3

A3

B4

B9

C4

D4

A4

B5

C5

A5

능력단위군능력단위군능력단위군능력단위군 능력단위능력단위 능력단위능력단위

Page 79: 2010. 6. 7/14

79

제 3 장 직무의 개요

직무에 대한 능력단위군 , 능력단위의 관계를 파악해서 먼저 이들의 관계를 흐름도 (Flow-chart) 로 작성 . 이러한 흐름도를 바탕으로 직무능력 모형을 설정함 .

능력단위군은 직무능력의 정의에서 도출된 ‘직무수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위 기능을 몇 개의 큰 일 덩어리로 묶은 것임 .

직무가 가지고 있는 논리적 순서에 따라 위에서 제시한 분류기준을 채택함 . 제조업의 경우 제품생산의 순서를 따를 수 있을 것임 .

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 . . 능력단위군은 능력단위군은

A, B, CA, B, C 의 순으로 코드를 부여하고의 순으로 코드를 부여하고 , ,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는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는

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 . . 즉 능력단위는 즉 능력단위는 A1, A2, B1, B2 A1, A2, B1, B2

등으로등으로 , , 능력단위요소는 요소별 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능력단위요소는 요소별 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 ..

직무에 대한 능력단위군 , 능력단위의 관계를 파악해서 먼저 이들의 관계를 흐름도 (Flow-chart) 로 작성 . 이러한 흐름도를 바탕으로 직무능력 모형을 설정함 .

능력단위군은 직무능력의 정의에서 도출된 ‘직무수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위 기능을 몇 개의 큰 일 덩어리로 묶은 것임 .

직무가 가지고 있는 논리적 순서에 따라 위에서 제시한 분류기준을 채택함 . 제조업의 경우 제품생산의 순서를 따를 수 있을 것임 .

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 . . 능력단위군은 능력단위군은

A, B, CA, B, C 의 순으로 코드를 부여하고의 순으로 코드를 부여하고 , ,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는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는

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 . . 즉 능력단위는 즉 능력단위는 A1, A2, B1, B2 A1, A2, B1, B2

등으로등으로 , , 능력단위요소는 요소별 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능력단위요소는 요소별 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 ..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작성요령 작성요령 11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작성요령 작성요령 113333

Page 80: 2010. 6. 7/14

80

제 3 장 직무의 개요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작성요령 작성요령 22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작성요령 작성요령 223333

유의사항유의사항- 능력단위군은 직무능력의 정의에서 기술된 직무능력의 목적을 달성하기 능력단위군은 직무능력의 정의에서 기술된 직무능력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제시한 것이다위하여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제시한 것이다 . .

- 추출할 수 있는 능력단위군의 개수는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추출할 수 있는 능력단위군의 개수는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 .

- 지나치게 함축적으로 추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지나치게 함축적으로 추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

- 능력단위는 능력단위군을 한 단계 더 분석한 것으로 직무능력 명세서 능력단위는 능력단위군을 한 단계 더 분석한 것으로 직무능력 명세서

작성시 능력단위요소가 어느 정도 열거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작성시 능력단위요소가 어느 정도 열거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표현한다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표현한다 ..

- 개별 능력단위는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개별 능력단위는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 . .

- ‘‘ 효과적인효과적인 , , 효율적인효율적인’’과 같은 형용사적 표현은 삼간다과 같은 형용사적 표현은 삼간다 ..

유의사항유의사항- 능력단위군은 직무능력의 정의에서 기술된 직무능력의 목적을 달성하기 능력단위군은 직무능력의 정의에서 기술된 직무능력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제시한 것이다위하여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제시한 것이다 . .

- 추출할 수 있는 능력단위군의 개수는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추출할 수 있는 능력단위군의 개수는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 .

- 지나치게 함축적으로 추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지나치게 함축적으로 추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

- 능력단위는 능력단위군을 한 단계 더 분석한 것으로 직무능력 명세서 능력단위는 능력단위군을 한 단계 더 분석한 것으로 직무능력 명세서

작성시 능력단위요소가 어느 정도 열거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작성시 능력단위요소가 어느 정도 열거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

-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표현한다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표현한다 ..

- 개별 능력단위는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개별 능력단위는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 . .

- ‘‘ 효과적인효과적인 , , 효율적인효율적인’’과 같은 형용사적 표현은 삼간다과 같은 형용사적 표현은 삼간다 ..

Page 81: 2010. 6. 7/14

81

제 3 장 직무의 개요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sample)(sample) 직무능력 모형 직무능력 모형 (sample)(sample) 3333

능력단위군   능력단위                

ARF 시스템

설계 

A1 

제품기획 

A2RF archite-

cture 설계기술

 A3

RF system budget 기술

 A4

RF system 기술

   

                     

BRF 회로 설계 기술

 B1

RF 회로 설계 이론

 

B2RF front end

회로 설계 

B3Synthesizer

설계 

B4RF

주변회로 설계

 

B5Base Band

Analog 설계 기술

                     

   

B6Post

Simulation 설계 기술

 

B7수율 최적화 설계 기술

           

                     

CRF 회로

layout 기술 

C1설계된 회로의

layout 기술

 

C2 DRC & LVS

기술           

                     

… … … … … … 

< RF 회로 설계ᆞ개발 >< RF 회로 설계ᆞ개발 >

Page 82: 2010. 6. 7/14

82

제 3 장 직무의 개요

능력단위군별 능력단위능력단위군별 능력단위 (sample)(sample) 능력단위군별 능력단위능력단위군별 능력단위 (sample)(sample) 3333 < RF 회로 설계ᆞ개발 >

< RF 회로 설계ᆞ개발 >

능력단위군 능력단위코드 능력단위명 페이지

 A. RF 시스템 설계

A1 제품기획  

A2  RF architecture  설계기술  

A3  RF system budget 기술  

A4  RF system 기술  

 B. RF 회로 설계 기술

B1  RF 회로 설계 이론  

B2  RF front end 회로 설계  

B3  Synthesizer 설계  

B4  RF 주변회로 설계  

B5  Base Band Analog 설계 기술  

B6  Post Simulation 설계 기술  

B7  수율 최적화 설계 기술  

C. RF 회로 layout 기술C1  설계된 회로의 layout 기술  

C2  DRC &LVS 기술  

 …   …   …   …

Page 83: 2010. 6. 7/14

83

제 3 장 직무의 개요

능력단위요소 능력단위요소 양 식양 식 능력단위요소 능력단위요소 양 식양 식4444

A.A2

A3

A1 A11.능력단위군능력단위군능력단위군능력단위군 능력단위능력단위능력단위능력단위

A12.

A21.

A22.

A23.

A24.

A31.

A32.

A33.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요소

Page 84: 2010. 6. 7/14

84

제 3 장 직무의 개요

능력단위요소 능력단위요소 작성요령작성요령 능력단위요소 능력단위요소 작성요령작성요령4444

직무능력 모형에서 도출된 능력단위군과 능력단위를 바탕으로 능력단위요소를 도출함 .

능력단위요소는 직무를 시범 보일 수 있고 평가할 수 능력단위요소는 직무를 시범 보일 수 있고 평가할 수

있도록 행위 형태 또는 결과물로 나타냄있도록 행위 형태 또는 결과물로 나타냄 . .

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 . .

능력단위요소는 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능력단위요소는 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 . . 즉 즉

능력단위요소별로 능력단위요소별로 A11, A12, A13, A21, A22 A11, A12, A13, A21, A22 등으로 등으로

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 . .

직무능력 모형에서 도출된 능력단위군과 능력단위를 바탕으로 능력단위요소를 도출함 .

능력단위요소는 직무를 시범 보일 수 있고 평가할 수 능력단위요소는 직무를 시범 보일 수 있고 평가할 수

있도록 행위 형태 또는 결과물로 나타냄있도록 행위 형태 또는 결과물로 나타냄 . .

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분석된 수준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코드를 부여함 . .

능력단위요소는 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능력단위요소는 분석되는 수준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 . . 즉 즉

능력단위요소별로 능력단위요소별로 A11, A12, A13, A21, A22 A11, A12, A13, A21, A22 등으로 등으로

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순서를 부여하여 기술함 . .

Page 85: 2010. 6. 7/14

85

제 3 장 직무의 개요

능력단위요소 능력단위요소 (sample)(sample) 능력단위요소 능력단위요소 (sample)(sample)4444

능력단위군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

A. RF 시스템 설계

 

A1. 제품기획

  A11. 제품시장 및 개발동향조사   

    A12. 경쟁자 제품개발동향조사     

    A13. 내부개발 능력평가     

    A14. 개발제품사양결정     

    A15. 제품개발계획결정       

 

A2. RF architecture 설계기술

  A21. RF system spec. 해석 기술     

    A22. 다양한 RF 구조에 대한 이해     

    A23. Calibration 기술 이론       

 

A3. RFsystem budget 기술

  A31. RF 송신부 budget 기술     

    A32. RF 수신부 budget 기술     

    A33. BBA 및 interface budget 기술     

    …

< RF 회로 설계ᆞ개발 >

< RF 회로 설계ᆞ개발 >

Page 86: 2010. 6. 7/14

86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 / 수행준거 수행준거 //지식지식 ·· 기술기술 ·· 태도태도 양 식양 식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 / 수행준거 수행준거 //지식지식 ·· 기술기술 ·· 태도태도 양 식양 식1111

능력단위 ( 능력단위코드 ). ( 능력단위명 )

능력단위 정의

이능력단위는

능력단위요소 수행 준거 및 지식 ∙ 기술 ∙ 태도

( 능 력 단 위 요 소 코드 ).

( 능력단위요소 명 )  

1.2.3.4.

【지식 ◦】 ◦

【기술 ◦】 ◦

【태도 ◦】 ◦

Page 87: 2010. 6. 7/14

87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작성요령 작성요령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작성요령 작성요령 1111

능력단위를 기입함 .

능력단위 설명은 무엇에 관한 직무능력인지 명확하고 간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 능력단위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

단위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것임 . 능력단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간단한 단어로 기술함 .

각각의 능력단위에 속하는 능력단위요소를 기입함 .

능력단위를 기입함 .

능력단위 설명은 무엇에 관한 직무능력인지 명확하고 간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 능력단위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

단위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것임 . 능력단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간단한 단어로 기술함 .

각각의 능력단위에 속하는 능력단위요소를 기입함 .

Page 88: 2010. 6. 7/14

88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수행준거 수행준거 작성요령 작성요령 11수행준거 수행준거 작성요령 작성요령 111111

수 행 준 거 를 서술하 는 요령은 핵심 용 어수 행 준 거 를 서술하 는 요령은 핵심 용 어 (key word)(key word) 가 반 영 되 어가 반 영 되 어 , ,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기술하며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기술하며 , , 가능한 조건가능한 조건 (~(~ 을 사용하여을 사용하여 ), ),

기준기준 (~(~까지까지 , ~, ~ 하게하게 ), ), 행동행동 (~(~ 할 수 있다할 수 있다 )) 을 나타내도록 해야 함을 나타내도록 해야 함 . .

수행준거는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절차와 방법을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수행준거는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절차와 방법을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하며구체적으로 기술하며 , , 작성 시 작업행동을 가장 잘 기술할 수 있는 동사를 작성 시 작업행동을 가장 잘 기술할 수 있는 동사를

사용해야 함사용해야 함

수행준거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동사의 예수행준거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동사의 예

수 행 준 거 를 서술하 는 요령은 핵심 용 어수 행 준 거 를 서술하 는 요령은 핵심 용 어 (key word)(key word) 가 반 영 되 어가 반 영 되 어 , ,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기술하며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기술하며 , , 가능한 조건가능한 조건 (~(~ 을 사용하여을 사용하여 ), ),

기준기준 (~(~까지까지 , ~, ~ 하게하게 ), ), 행동행동 (~(~ 할 수 있다할 수 있다 )) 을 나타내도록 해야 함을 나타내도록 해야 함 . .

수행준거는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절차와 방법을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수행준거는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절차와 방법을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하며구체적으로 기술하며 , , 작성 시 작업행동을 가장 잘 기술할 수 있는 동사를 작성 시 작업행동을 가장 잘 기술할 수 있는 동사를

사용해야 함사용해야 함

수행준거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동사의 예수행준거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동사의 예

가가 . . 수행준거수행준거가가 . . 수행준거수행준거

활성화한다시행한다조절한다평가한다확인한다

활성화한다시행한다조절한다평가한다확인한다

세척한다수집한다수행한다조정한다수립한다

세척한다수집한다수행한다조정한다수립한다

결정한다처분한다문서화한다설정한다세운다

결정한다처분한다문서화한다설정한다세운다

검사한다만든다

파악한다찾아낸다측정한다

검사한다만든다

파악한다찾아낸다측정한다

조작한다계획한다준비한다분류한다추천한다

조작한다계획한다준비한다분류한다추천한다

요청한다검토한다제시한다확보한다조사한다

요청한다검토한다제시한다확보한다조사한다

Page 89: 2010. 6. 7/14

89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수행준거 수행준거 작성요령 작성요령 22 수행준거 수행준거 작성요령 작성요령 221111

내용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 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 가급적 세부 단위로 나누어서 제시함 .

지식지식 , , 기술기술 , , 태도의 정의 태도의 정의

내용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 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 가급적 세부 단위로 나누어서 제시함 .

지식지식 , , 기술기술 , , 태도의 정의 태도의 정의

나나 . . 내용내용나나 . . 내용내용

지식 (Knowledge)

기술 (Skill)

태도 (Attitude)

• 해당 작업수행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에 따라 작업에 적용해서 기대성과 (Performance) 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 . 실제 작업의 결과 , 행동의 결과 형태로 표현함 .※ 특히 컴퓨터 관련 직종은 지식 , 기술을 구분하기 애매한 부분도 있으나 세분화하여 명확하게 기재하며 , 특정 소프트웨어 명칭도 언급 가능

• 개인이 어떤 사건이나 문제 , 물건이나 사람 등에 관해서 어떤 인식과 감정 및 평가를 가지며 , 거기에 입각하여 그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반응의 준비 상태이고 , 실제 행동으로 나오지 않더라도 그렇게 반응하려는 내적 경향

•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 정의 ), 개념 , 원리 등을 말하며 , 작업수행을 위해 공통적으로 알아야 할 것과 특정 작업 수행에 필요한 것을 포함한 것임 .

Page 90: 2010. 6. 7/14

90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 / 수행준거 수행준거 // 지식지식 ·· 기술기술 ·· 태도 태도

(sample)(sample) < RF 회로 설계ᆞ개발 >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 / 수행준거 수행준거 // 지식지식 ·· 기술기술 ·· 태도 태도 (sample)(sample)

< RF 회로 설계ᆞ개발 > 1111

능력단위 : A1. 제품기획

능력단위 정의

이 능력단위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RF 회로를 설계하기 위하여 Si 기반의 CMOS, SiGe, BiCMOS 소자 또는 화합물 기반의 GaAs HBT, HEMT 등의 소자를 이용한 RF 회로와 RF module 혹은 RF system 의 제품시장 , 개발동향 및 경쟁자 제품개발동향을 조사하고 , 내부의 기술 개발 능력을 참조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과 특성 및 사양을 결정하며 제품 개발에 대한 일정을 계획하고 수립하여 추진하는 직무이다 .

능력단위요소 수행준거 및 지식 · 기술 · 태도

A11. 제 품 시 장 및 개발동향조사

1. 제품시장을 조사할 수 있다 .2. 제품개발동향을 조사할 수 있다 .

【지식】 ○ 제품이 속한 산업 및 시장의 이해 ○ 수요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요구사항 및 사양파악 ○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제품 및 시스템의 성능과 특성에 대한 이해 ○ 시장의 크기 및 개발 제품의 시장 진입 가능성에 대한 자료수집 및 분석

【기술】 ○ 수요자의 요구 파악을 위한 자료 조사 ○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정보 확인 및 정리 ○ 조사된 수요자의 요구 및 시장 환경의 분석 및 정리 ○ 통계 패키지 및 문서작성 Tool 을 사용한 문서작성 기술 ○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제품 시장변화 추세 분석 및 조사

【태도】 ○ 통계 자료 등에 대한 분석적 사고 능력 ○ 수요자 요구 및 시장파악을 위한 수리력을 겸비한 객관적 태도 ○ 시장 및 제품 전체의 흐름을 보기 위한 총괄적이고 전략적 사고

Page 91: 2010. 6. 7/14

91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작업상황 양 식양 식 작업상황 양 식양 식2222

능력단위요소 :  (코드 )

마 . 작업 상황활용 및 고려사항 내용

1.  2.   3.

4.

 

자료 및 서류1.2.

장비 및 도구 1. 2.

Page 92: 2010. 6. 7/14

92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작업상황 작성요령 작성요령 11 작업상황 작성요령 작성요령 113333

능력단위 내에서 해당 능력단위요소의 지식과 기술이 적용되는 환경․상황 등을 주요 고려사항과 세부내용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함 . 즉 , 유능한(competent) 작업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절차 , 고객 , 작업장 환경 등의 작업조건을 제시함 . 구체적인 기술 , 방법 , 절차에 대한 명칭이 아닌 특징적인 유형을 제시하도록 함 .

수행준거에 제시된 지식과 기술이 모든 작업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지 수행준거에 제시된 지식과 기술이 모든 작업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조직규모않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조직규모 , , 작업조건작업조건 , , 작업방식 등에 따라 달리 작업방식 등에 따라 달리

적용될 경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적용될 경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 . .

주요 고려사항에 제시된 용어들은 수행기준의 지식과 기술에 제시된 주요 고려사항에 제시된 용어들은 수행기준의 지식과 기술에 제시된

용어들을 사용함용어들을 사용함 . .

능력단위 내에서 해당 능력단위요소의 지식과 기술이 적용되는 환경․상황 등을 주요 고려사항과 세부내용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함 . 즉 , 유능한(competent) 작업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절차 , 고객 , 작업장 환경 등의 작업조건을 제시함 . 구체적인 기술 , 방법 , 절차에 대한 명칭이 아닌 특징적인 유형을 제시하도록 함 .

수행준거에 제시된 지식과 기술이 모든 작업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지 수행준거에 제시된 지식과 기술이 모든 작업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조직규모않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조직규모 , , 작업조건작업조건 , , 작업방식 등에 따라 달리 작업방식 등에 따라 달리

적용될 경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적용될 경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 . .

주요 고려사항에 제시된 용어들은 수행기준의 지식과 기술에 제시된 주요 고려사항에 제시된 용어들은 수행기준의 지식과 기술에 제시된

용어들을 사용함용어들을 사용함 . .

가가 . . 작업상황작업상황가가 . . 작업상황작업상황

Page 93: 2010. 6. 7/14

93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작업상황 작성요령 작성요령 22 작업상황 작성요령 작성요령 223333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되는 장비 및 도구를 주장비 및 도구와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되는 장비 및 도구를 주장비 및 도구와 보조장비 및 도구로 나누어 기재하며보조장비 및 도구로 나누어 기재하며 , , 필요한 도구는 분석 대상 필요한 도구는 분석 대상 기업체는 물론기업체는 물론 , , 그 이외의 모든 관련 자료를 수집그 이외의 모든 관련 자료를 수집 , , 검토하여 누락되는 검토하여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며일이 없도록 해야 하며 , , 필요시 작업에 필요한 양식필요시 작업에 필요한 양식 , , 대장대장 , , 목록표목록표 , , 메뉴얼 등을 제시함메뉴얼 등을 제시함 . .

단단 , , 분야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주장비 및 도구나 보조 장비 및 도구에 분야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주장비 및 도구나 보조 장비 및 도구에 포함포함 . . 여기서 말하는 장비 및 도구는 작업 활동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여기서 말하는 장비 및 도구는 작업 활동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와 설비들로 다음 기구와 설비들로 다음 44 가지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임가지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임 . . ①① 기계기계 (Machines) (Machines) ②② 도구도구 (Tools) (Tools)

③③ 장비장비 (Equipment) (Equipment) ④ ④ 보조기구보조기구 (Work Aids) (Work Aids)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되는 장비 및 도구를 주장비 및 도구와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되는 장비 및 도구를 주장비 및 도구와 보조장비 및 도구로 나누어 기재하며보조장비 및 도구로 나누어 기재하며 , , 필요한 도구는 분석 대상 필요한 도구는 분석 대상 기업체는 물론기업체는 물론 , , 그 이외의 모든 관련 자료를 수집그 이외의 모든 관련 자료를 수집 , , 검토하여 누락되는 검토하여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며일이 없도록 해야 하며 , , 필요시 작업에 필요한 양식필요시 작업에 필요한 양식 , , 대장대장 , , 목록표목록표 , , 메뉴얼 등을 제시함메뉴얼 등을 제시함 . .

단단 , , 분야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주장비 및 도구나 보조 장비 및 도구에 분야에 따라 소프트웨어는 주장비 및 도구나 보조 장비 및 도구에 포함포함 . . 여기서 말하는 장비 및 도구는 작업 활동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여기서 말하는 장비 및 도구는 작업 활동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와 설비들로 다음 기구와 설비들로 다음 44 가지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임가지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임 . . ①① 기계기계 (Machines) (Machines) ②② 도구도구 (Tools) (Tools)

③③ 장비장비 (Equipment) (Equipment) ④ ④ 보조기구보조기구 (Work Aids) (Work Aids)

나나 . . 자료 및 서류자료 및 서류나나 . . 자료 및 서류자료 및 서류

다다 . . 장비 및 도구장비 및 도구다다 . . 장비 및 도구장비 및 도구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정보나 정보원해당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정보나 정보원 , , 서류 등을 서류 등을 기술함기술함 ..

예예 ) ) 계약서류계약서류 , , 설계도면설계도면 , , 기상자료기상자료 , , 유상 공사자료유상 공사자료 , , 관련법규 등관련법규 등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정보나 정보원해당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정보나 정보원 , , 서류 등을 서류 등을 기술함기술함 ..

예예 ) ) 계약서류계약서류 , , 설계도면설계도면 , , 기상자료기상자료 , , 유상 공사자료유상 공사자료 , , 관련법규 등관련법규 등

Page 94: 2010. 6. 7/14

94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작업상황 (sample)(sample) < RF 회로 설계ᆞ개발 > 작업상황 (sample)(sample) < RF 회로 설계ᆞ개발 > 3333

능력단위요소 A11 : 제품시장 및 개발동향 조사 마 . 작업 상황활용 및 고려사항 내 용

1. 조사 기획과정

○ 목적 및 목표 설정○ 세부추진일정 및 내용 , 추진전략 수립○ 모집단 및 표본 추출○ 기대효과 및 활용계획

2. 주요요소 ○ 수요자 Needs : 시스템 요구사항 및 사양 파악○ 기 개발제품 현황 , 타사 제품의 품질비교

3. 조사방법 및 과정

○ 조사방법 : 방문 인터뷰 , 전화인터뷰 , 설문조사 , 그룹회의○ 조사과정 : 설문지 배포→작성요령 안내→작성 독려→설문지 회수

4. 분석기법 ○ 데이터 집계 , 가중치 부여 , 차이 및 집중분석○ 통계적 기법과 조건을 충족하는 다양한 방법론 사용

5. 리포팅 (Reporting)

○ 레포트 서술방식 등이 프로젝트 , 조직의 접근 방법에 따라 다양함○ 결과 활용방안에 따라 리포트 작성 방식 다양

<< 표 계속표 계속 >><< 표 계속표 계속 >>

Page 95: 2010. 6. 7/14

95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활용 및 고려사항 내용

6. 사업대책

○ 다음 사항을 포함할 것  - 디지털컨버전스 제품동향에 대한 대책  - 해외산업 및 기술동향에 대한 대책  - 수요자 요구분석을 통한 사양 적용  - 타사 제품동향 파악 및 경쟁력 제고방안

7. 제약○ 예산 , 조직 , 프로젝트 규모 , 수행기간 등에 따라 달라짐○ 조사데이터 신뢰성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짐○ 경쟁사 반응

8. 작업장 환경○ 다음사항을 포함할 것  - 비밀유지를 위한 작업장 내 관계자만 입출입  - 조직 전체 및 구조상의 변화  - 사업개선 과정

자료 및 서류1. 계약서류2. 설계도서

장비 및 도구

  1. Computer 및 프린터  2. 정보처리를 위한 S/W(SPSS, SAS, Excel 등 )

작업상황 (sample) (sample) < RF 회로 설계ᆞ개발 > 작업상황 (sample) (sample) < RF 회로 설계ᆞ개발 > 3333

Page 96: 2010. 6. 7/14

96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평가지침 양 식양 식 평가지침 양 식양 식4444

능력단위 ( 코드 ) ○ ○ ○○ ○ ○

바 . 평가방법 능력단위요소 A B C D E F G H I J( 코드 )                    

( 코드 )                    

( 코드 )                    

( 코드 )                    

 … …  …  …  …  …  …  …   … …  … 

개요A - 작업 포트폴리오B -문제해결 시나리오C - 필기 시험D - 사례 연구E - 평가자 질문

F - 체크리스트를 통한 관찰과 자기평가G - 일지 /저널H - 역할연기 /구두 발표 I –작업장 평가 J - 기타 ( 상술해 주시오 )

평가 시 고려사항1. 이론 평가 보다는 실기를 통한 관찰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2. 구두를 통해 RF system 기술에 대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다 . 3. 실기 평가 시 반드시 평가자의 관찰을 통해 작업과정 전체에 걸쳐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Page 97: 2010. 6. 7/14

97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평가지침 작성요령작성요령 평가지침 작성요령작성요령4444

평가방법은 능력단위 내 각 능력단위요소는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지침임 .

각 능력단위요소별 수행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한 평가방법을 각 능력단위요소별 수행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한 평가방법을

예시를 참조하여 선정하되 단일한 평가방법만으로 평가가 어려운 경우 예시를 참조하여 선정하되 단일한 평가방법만으로 평가가 어려운 경우

복수의 평가방법을 함께 선정할 수 있음복수의 평가방법을 함께 선정할 수 있음 . .

평가방법 양식의 능력단위요소별 해당 평가란에 평가방법 양식의 능력단위요소별 해당 평가란에 ‘‘√√’’로 표시함로 표시함 ..

평가시 고려사항은 해당 능력단위를 수행하는데 있어 물리적평가시 고려사항은 해당 능력단위를 수행하는데 있어 물리적 ·· 환경적 환경적

조건 등을 기술함조건 등을 기술함 . .

평가방법은 능력단위 내 각 능력단위요소는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지침임 .

각 능력단위요소별 수행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한 평가방법을 각 능력단위요소별 수행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한 평가방법을

예시를 참조하여 선정하되 단일한 평가방법만으로 평가가 어려운 경우 예시를 참조하여 선정하되 단일한 평가방법만으로 평가가 어려운 경우

복수의 평가방법을 함께 선정할 수 있음복수의 평가방법을 함께 선정할 수 있음 . .

평가방법 양식의 능력단위요소별 해당 평가란에 평가방법 양식의 능력단위요소별 해당 평가란에 ‘‘√√’’로 표시함로 표시함 ..

평가시 고려사항은 해당 능력단위를 수행하는데 있어 물리적평가시 고려사항은 해당 능력단위를 수행하는데 있어 물리적 ·· 환경적 환경적

조건 등을 기술함조건 등을 기술함 . .

Page 98: 2010. 6. 7/14

98

제 4 장 직무능력명세서

평가지침 평가지침 (sample) (sample) < 디스플레이 설계ᆞ개발 ᆞ생산 > 평가지침 평가지침 (sample) (sample) < 디스플레이 설계ᆞ개발 ᆞ생산 > 4444

능력단위 : F4 장비운영 바 . 평가방법

능력단위요소 A B C D E F G H I JF41. Run sheet 판독     √              

F42. Run sheet 입력     √     √          

F43. 기판이동           √          

F44. 원부자재관리           √          

개요

A - 작업 포트폴리오B -문제해결 시나리오C - 필기 시험D - 사례 연구E - 평가자 질문

F - 체크리스트를 통한 관찰과 자기평가G - 일지 /저널H - 역할연기 /구두 발표 I –작업장 평가 J - 기타 ( 상술해 주시오 )

평가 시 고려사항1. 이론 평가 보다는 실기를 통한 관찰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2. 구두를 통해 RF system 기술에 대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다 .  3. 실기 평가 시 반드시 평가자의 관찰을 통해 작업과정 전체에 걸쳐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Page 99: 2010. 6. 7/14

99

제 5 장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 양 식양 식 직업기초능력 양 식양 식1111

직업기초능력

능력단위

자기개발능력

의사소통능력

수리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기술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문화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변화관리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로설계능력

문서의

분석적

읽기능력

문서의

논리적

작성능력

경청능력

프리젠테이션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연산활용능력

정량적자료해석능력

정보수집및관리능력

컴퓨터활용능력

문제인식및이해능력

분석적ㆍ창의적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팀워크능력

네트워킹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다양성이해능력

다문화이해능력

조직체제이해능력

비즈니스이해능력

조직혁신능력

업무혁신능력

A1A2A3

…AN

Page 100: 2010. 6. 7/14

100

제 5 장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 작성요령작성요령 직업기초능력 작성요령작성요령1111

직업기초능력은 자기개발능력 , 의사소통능력 , 수리활용능력 , 정보활용능력 , 문제해결능력 , 자원관리능력 , 기술활용능력 , 대인관계능력 , 문화이해능력 , 조직이해능력 , 변화관리능력 등 11 개 영역임 .

능력단위 별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제시함 . 각 직업기초능력은 2 개 이상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총 30 개로 영역별 수준을 제시하도록 함 .

또한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영역별 수준에 따른 성취기준과 행동지표를 고려하여 능력단위별로 수준을 제시함 .

직업기초능력은 자기개발능력 , 의사소통능력 , 수리활용능력 , 정보활용능력 , 문제해결능력 , 자원관리능력 , 기술활용능력 , 대인관계능력 , 문화이해능력 , 조직이해능력 , 변화관리능력 등 11 개 영역임 .

능력단위 별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제시함 . 각 직업기초능력은 2 개 이상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총 30 개로 영역별 수준을 제시하도록 함 .

또한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영역별 수준에 따른 성취기준과 행동지표를 고려하여 능력단위별로 수준을 제시함 .

Page 101: 2010. 6. 7/14

101

제 5 장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 수준체계 : 자기개발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구분구분 성취기준성취기준 (( 안안 )) 행동지표행동지표 (( 안안 ))

1 수준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 등과 관련하여 주어진 학습과제를 수행한다 .

상사나 주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관심분야를 탐색한다 . 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주어진 학습과제를 적극 수행한다 .

2 수준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지식과 기술과 관련하여 주어지거나 자신에게 요구되어 지는 학습과제를 수행한다 .

자신의 관심분야를 정확히 알고 , 강약점과 개발 필요영역을 이해한다 . 상사의 도움을 받아 개발 필요영역에 대한 자기개발 계획과 목표를 수립한다 .

3 수준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다소 복잡한 지식과 기술과 관련하여 자신에게 요구되어지거나 필요한 학습과제를 능동적으로 수행한다 .

자신의 업무와 관심분야와 관련한 전문지식을 탐색하여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 자신의 업무와 관련한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학습방법과 시간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한다 .

4 수준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과 관련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과제를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

다양한 분야에 대해 폭 넓은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전문 영역을 넓혀간다 . 조직의 중장기적 사업계획을 점검하고 이에 요구되는 전문 기술 습득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스스로 탐색하고 학습 전략을 수립하여 실천한다 .

5 수준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이고 복잡한 지식과 기술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위해 필요한 학습과제를 전략적으로 수행한다 .

자신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업무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 조직의 장기적 비전에 따라 학습과제와 학습전략을 스스로 설정하고 학습결과를 평가한다 .

하위요소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자기주도적으로 획득하는 능력

정의

Page 102: 2010. 6. 7/14

102

제 5 장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 (sample)(sample) 직업기초능력 (sample)(sample)1111

직업기초능력

능력단위

자기개발능력

의사소통능력

수리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기술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문화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변화관리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로설계능력

문서의

분석적

읽기능력

문서의

논리적

작성능력

경청능력

프리젠테이션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연산활용능력

정량적자료해석능력

정보수집및관리능력

컴퓨터활용능력

문제인식및이해능력

분석적ㆍ창의적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팀워크능력

네트워킹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다양성이해능력

다문화이해능력

조직체제이해능력

비즈니스이해능력

조직혁신능력

업무혁신능력

제품기획 2 3 3 2 2 2 3 2 2 4 3 4 5 3 2 2 3 3 4 4 3 3 2 2 2 1 2 3 3 3

RF architecture설계기술

2 3 3 2 2 2 2 2 3 4 4 3 4 2 3 2 3 2 4 4 3 3 2 2 2 3 3 3 3 2

RF system budget

기술

2 3 3 3 2 3 2 4 4 5 4 3 3 2 2 3 4 4 4 3 4 3 3 3 3 3 3 3 3 3

… …

Page 103: 2010. 6. 7/14

103

제 6 장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능력단위군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 L1 L2 L3 L4 L5 L6 L7

A. 

A1. 

A11.               A12.               A13.               …              

A2.A21.               A22.               …              

A3. A31.               …              

B.  

B1. B11.               B12.               …              

B2.  B21.               …              

C. C1.  C11.               

C12.               

C2.  C21.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양 식양 식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양 식양 식1111

Page 104: 2010. 6. 7/14

104

제 6 장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작성요령 작성요령 11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작성요령 작성요령 111111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교육훈련 및 자격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직업 또는 자격 및 교육에 필요한 능력단위요소를 수준별로 구분․

제시하여 향후 교육과정 및 자격에 활용할 수 있음 .

자격을 구성하고 있는 능력단위요소는 필수 단위 (M: Mandatory unit)

와 선택 단위 (O: Optional unit) 로 구성 할 수 있음 .

자격의 레벨을 자격의 레벨을 Level 1(L1), Level 2(L2), Level 3(L3), Level 4(L4), Level 1(L1), Level 2(L2), Level 3(L3), Level 4(L4),

Level 5(L5), Level 6(L6), Level 7(L7)Level 5(L5), Level 6(L6), Level 7(L7) 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은 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을 설정함기준을 설정함 . .

∙ ∙ L1 : L1 : 고졸 사원 정도의 수준고졸 사원 정도의 수준 ∙ ∙ L2 : L2 : 전문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전문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 ∙ L3 : L3 : 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 ∙ L4 : L4 : 대리급 정도의 수준 대리급 정도의 수준

∙ ∙ L5 : L5 : 과장과장 //차장급 정도의 수준 ∙차장급 정도의 수준 ∙ L6 : L6 : 부장급 정도의 수준 부장급 정도의 수준

∙ ∙ L7 : L7 : 임원급 정도의 수준 임원급 정도의 수준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교육훈련 및 자격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직업 또는 자격 및 교육에 필요한 능력단위요소를 수준별로 구분․

제시하여 향후 교육과정 및 자격에 활용할 수 있음 .

자격을 구성하고 있는 능력단위요소는 필수 단위 (M: Mandatory unit)

와 선택 단위 (O: Optional unit) 로 구성 할 수 있음 .

자격의 레벨을 자격의 레벨을 Level 1(L1), Level 2(L2), Level 3(L3), Level 4(L4), Level 1(L1), Level 2(L2), Level 3(L3), Level 4(L4),

Level 5(L5), Level 6(L6), Level 7(L7)Level 5(L5), Level 6(L6), Level 7(L7) 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은 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을 설정함기준을 설정함 . .

∙ ∙ L1 : L1 : 고졸 사원 정도의 수준고졸 사원 정도의 수준 ∙ ∙ L2 : L2 : 전문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전문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 ∙ L3 : L3 : 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대졸 사원 정도의 수준 ∙ ∙ L4 : L4 : 대리급 정도의 수준 대리급 정도의 수준

∙ ∙ L5 : L5 : 과장과장 //차장급 정도의 수준 ∙차장급 정도의 수준 ∙ L6 : L6 : 부장급 정도의 수준 부장급 정도의 수준

∙ ∙ L7 : L7 : 임원급 정도의 수준 임원급 정도의 수준

Page 105: 2010. 6. 7/14

105

제 6 장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작성요령 작성요령 22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작성요령 작성요령 221111

개발 대상 직무의 적정한 수준을 국가자격체계개발 대상 직무의 적정한 수준을 국가자격체계 (KQF)(KQF) 를 참고하여 를 참고하여 자격의 분야와 수준의 자격의 분야와 수준의 22 차원으로 자격구조를 작성차원으로 자격구조를 작성 . . 직종별 특성에 직종별 특성에 따라서는 자격의 분야가 별도로 추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따라서는 자격의 분야가 별도로 추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 . . 이때는 단일 분야의 자격으로 개발하고이때는 단일 분야의 자격으로 개발하고 , , 수준만을 구분하도록 함수준만을 구분하도록 함 . .   ����모든 자격은 반드시 모든 자격은 반드시 11 개 이상의 필수단위와 선택단위로 구성되어야 함개 이상의 필수단위와 선택단위로 구성되어야 함 . . ���� 필수단위와 선택단위를 구성하는 데 정해진 요소의 개수는 없음필수단위와 선택단위를 구성하는 데 정해진 요소의 개수는 없음 . . 자격개발 시 기존의 국가기술자격자격개발 시 기존의 국가기술자격 , , 국가자격국가자격 , , 민간자격 등과의 관계를 민간자격 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개발하되고려하여 개발하되 , KQF, KQF 에 기초하도록 함에 기초하도록 함 . . 아래의 예는 개발한 표준에 아래의 예는 개발한 표준에 의하여 의하여 22 개 분야의 자격이 개발된 것을 예시한 것임개 분야의 자격이 개발된 것을 예시한 것임 . .

개발 대상 직무의 적정한 수준을 국가자격체계개발 대상 직무의 적정한 수준을 국가자격체계 (KQF)(KQF) 를 참고하여 를 참고하여 자격의 분야와 수준의 자격의 분야와 수준의 22 차원으로 자격구조를 작성차원으로 자격구조를 작성 . . 직종별 특성에 직종별 특성에 따라서는 자격의 분야가 별도로 추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따라서는 자격의 분야가 별도로 추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 . . 이때는 단일 분야의 자격으로 개발하고이때는 단일 분야의 자격으로 개발하고 , , 수준만을 구분하도록 함수준만을 구분하도록 함 . .   ����모든 자격은 반드시 모든 자격은 반드시 11 개 이상의 필수단위와 선택단위로 구성되어야 함개 이상의 필수단위와 선택단위로 구성되어야 함 . . ���� 필수단위와 선택단위를 구성하는 데 정해진 요소의 개수는 없음필수단위와 선택단위를 구성하는 데 정해진 요소의 개수는 없음 . . 자격개발 시 기존의 국가기술자격자격개발 시 기존의 국가기술자격 , , 국가자격국가자격 , , 민간자격 등과의 관계를 민간자격 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개발하되고려하여 개발하되 , KQF, KQF 에 기초하도록 함에 기초하도록 함 . . 아래의 예는 개발한 표준에 아래의 예는 개발한 표준에 의하여 의하여 22 개 분야의 자격이 개발된 것을 예시한 것임개 분야의 자격이 개발된 것을 예시한 것임 . .

< 자격명 A> < 자격명 B>

수준 4  ▪필수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11, A13, B12, …)▪선택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22, B21, C14…) 수준 3▪필수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34, A15, B23, C12…)▪선택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31, B32, C33…)

수준 3▪필수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14, A25, , C22…)▪선택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31, B32, C23…) 수준 2▪필수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44, A45, , C22…)▪선택단위 : 능력단위요소 번호 (A31, B42, C43…)

Page 106: 2010. 6. 7/14

106

제 6 장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sample)(sample)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 (sample)(sample)1111

RF 회로 설계ᆞ개발RF 회로 설계ᆞ개발 ○○ 자격명 자격명 : RF : RF 소자 설계 기술소자 설계 기술○○ 자격명 자격명 : RF : RF 소자 설계 기술소자 설계 기술

능력단위군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 L1

L2

L3

L4

L5

L6

L7

A. RF 시스템설계

A1. 제품기획

A11. 제품시장 및 개발동향조사 O M A12. 경쟁자 제품개발동향조사 O M A13. 내부개발 능력평가 O M A14. 개발제품사양결정 O M A15. 제품개발계획결정 O M

A2. RF architecture 설계 기술

A21. RF system spec. 해석 기술 A22. 다양한 RF 구조에 대한 이해

… … … … … … … …

B. RF 회로 설계 기술

B1. RF회 로 설 계 이론

B11. RF 선형성 이론 이해 O O B12. RF Gain 이론 이해 O O

… … … … … … … …

Page 107: 2010. 6. 7/14

107

< 부록> 직업분석

1. 산업의 현황산업의 현황

2. 산업의 경쟁력산업의 경쟁력

3. 산업의 동향 및 발전 방향산업의 동향 및 발전 방향

4. 인력수요 전망인력수요 전망

<< 부록부록 >> 은 직업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다음 목차에 따라 기술함은 직업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다음 목차에 따라 기술함 . . << 부록부록 >> 은 직업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다음 목차에 따라 기술함은 직업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다음 목차에 따라 기술함 . .

Page 108: 2010. 6. 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