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주)생태조사단 원주지방환경청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주)생태조사단

원주지방환경청

Page 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Page 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제 출 문

원주지방환경청장 귀하

본보고서를 “2011년호소환경및생태조사” 과제의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 12

(주) 생 태 조 사 단

대표이사 원 두 희

Page 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연구진

책임연구원 : 원두희 ((주)생태조사단)

참여연구원 : 박수영 ((주)생태조사단)

전영철 ((주)생태조사단)

한승철 ((주)생태조사단)

황인철 ((주)생태조사단)

양두용 ((주)생태조사단)

임성호 ((주)생태조사단)

주정현 ((주)생태조사단)

김종희 ((주)생태조사단)

홍보람 ((주)생태조사단)

전숙례 (한국바이오시스템(주))

박주현 (한국바이오시스템(주))

문병렬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김소연 (한국바이오시스템(주))

Page 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v -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 1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 3

제1절 연구내용 ··················································································································· 3

1. 조사대상 호소···················································································································· 3

2. 조사시기····························································································································· 4

3. 조사내용····························································································································· 4

제2절 연구방법 ··················································································································· 4

1. 호소의 이용현황················································································································· 4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6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산정······································································· 8

4. 수질조사··························································································································· 14

5. 호소의 생물상조사··········································································································· 15

제3장 연구결과 ··································································································· 23

제1절 영랑호 ···················································································································· 23

1. 호소의 이용현황··············································································································· 23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24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26

4. 호소의 수질······················································································································ 28

5. 호소의 생물상·················································································································· 36

제2절 청초호 ···················································································································· 60

1. 호소의 이용현황··············································································································· 60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61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62

4. 호소의 수질······················································································································ 65

5. 호소의 생물상·················································································································· 73

제3절 매호 ························································································································ 99

1. 호소의 이용현황··············································································································· 99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100

Page 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vi -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101

4. 호소의 수질···················································································································· 104

5. 호소의 생물상················································································································· 112

제4절 향호 ······················································································································ 137

1. 호소의 이용현황············································································································· 137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138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139

4. 호소의 수질···················································································································· 142

5. 호소의 생물상················································································································· 150

제4장 결론 ········································································································ 175

제1절 호소수질개선 대책 및 관리방안 ········································································· 175

1. 영랑호····························································································································· 175

2. 청초호 ··························································································································· 175

3. 매호································································································································ 175

4. 향호································································································································ 176

제2절 요약 및 결론 ········································································································ 176

1. 영랑호····························································································································· 176

2. 청초호····························································································································· 178

3. 매호································································································································ 181

4. 향호································································································································ 183

제5장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185

참 고 문 헌 ······································································································· 187

부 록 ················································································································ 193

Page 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vii -

<표 차례>

<표 2-1-1-1> 2011년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조사대상 호소·················································· 3

<표 2-2-3-1>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8

<표 2-2-3-2> 생활계 영업장 오수발생 표준농도······································································· 9

<표 2-2-3-3> 축산분뇨 발생부하원단위··················································································· 11

<표 2-2-3-4>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 12

<표 3-1-1-1> 영랑호 유역의 일반현황····················································································· 23

<표 3-1-1-2> 영랑호의 낚시금지구역지정 현황 ····································································· 24

<표 3-1-2-1> 영랑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24

<표 3-1-2-2> 속초시의 축산현황······························································································ 25

<표 3-1-2-3> 속초시 산업현황 ································································································ 25

<표 3-1-2-4> 영랑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 25

<표 3-1-3-1> BOD 발생부하량································································································· 26

<표 3-1-3-2> TN 발생부하량··································································································· 26

<표 3-1-3-3> TP 발생부하량··································································································· 27

<표 3-1-3-4> BOD 배출부하량································································································· 27

<표 3-1-3-5> TN 배출부하량··································································································· 28

<표 3-1-3-6> TP 배출부하량··································································································· 28

<표 3-1-4-1> 영랑호의 수질 조사 결과··················································································· 32

<표 3-1-5-1> 영랑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37

<표 3-1-5-2> 영랑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 38

<표 3-1-5-3> 영랑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39

<표 3-1-5-4> 영랑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39

<표 3-1-5-5> 영랑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40

<표 3-1-5-6> 영랑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41

<표 3-1-5-7> 영랑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43

<표 3-1-5-8> 영랑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45

<표 3-1-5-9> 영랑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45

<표 3-1-5-10> 영랑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 45

<표 3-1-5-11> 영랑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46

<표 3-1-5-12> 영랑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 48

<표 3-1-5-13> 영랑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 49

Page 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viii -

<표 3-1-5-14> 영랑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50

<표 3-1-5-15> 영랑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 51

<표 3-1-5-16> 영랑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52

<표 3-1-5-17> 영랑호의 어류상································································································ 53

<표 3-1-5-18> 영랑호의 과거문헌 어류상················································································ 56

<표 3-1-5-19> 영랑호의 우점종 및 평균 군집분석·································································· 58

<표 3-2-1-1> 청초호 유역의 일반현황····················································································· 60

<표 3-2-2-1> 청초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61

<표 3-2-2-2> 속초시의 축산현황······························································································ 61

<표 3-2-2-3> 속초시 산업현황································································································· 62

<표 3-2-2-4> 청초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 62

<표 3-2-3-1> BOD 발생부하량································································································· 63

<표 3-2-3-2> TN 발생부하량··································································································· 63

<표 3-2-3-3> TP 발생부하량··································································································· 64

<표 3-2-3-4> BOD 배출부하량································································································· 64

<표 3-2-3-5> TN 배출부하량··································································································· 64

<표 3-2-3-6> TP 배출부하량··································································································· 65

<표 3-2-4-1> 청초호의 수질 조사 결과··················································································· 69

<표 3-2-5-1> 청초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74

<표 3-2-5-2> 청초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생물 지수····························· 75

<표 3-2-5-3> 청초호에서 출현한 침수조류·············································································· 76

<표 3-2-5-4> 청초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77

<표 3-2-5-5> 청초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77

<표 3-2-5-6> 청초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78

<표 3-2-5-7> 청초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80

<표 3-2-5-8> 청초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82

<표 3-2-5-9> 청초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84

<표 3-2-5-10> 청초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84

<표 3-2-5-11> 청초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 84

<표 3-2-5-12>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85

<표 3-2-5-13> 청초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 88

<표 3-2-5-14> 청초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 89

<표 3-2-5-15> 청초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89

Page 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ix -

<표 3-2-5-16> 청초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 91

<표 3-2-5-17> 청초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91

<표 3-2-5-18> 청초호의 어류상································································································ 92

<표 3-2-5-19> 청초호의 과거문헌 어류상················································································ 95

<표 3-2-5-20> 청초호의 우점종 및 평균 군집분석·································································· 97

<표 3-3-1-1> 매호 유역의 일반현황························································································· 99

<표 3-3-2-1> 매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100

<표 3-3-2-2> 양양군의 축산현황···························································································· 100

<표 3-3-2-3> 매호 배수유역의 산업현황················································································ 101

<표 3-3-2-4> 매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 101

<표 3-3-3-1> BOD 발생부하량······························································································· 102

<표 3-3-3-2> TN 발생부하량································································································· 102

<표 3-3-3-3> TP 발생부하량·································································································· 102

<표 3-3-3-4> BOD 배출부하량······························································································· 103

<표 3-3-3-5> TN 배출부하량································································································· 103

<표 3-3-3-6> TP 배출부하량·································································································· 103

<표 3-3-4-1> 매호의 수질 조사 결과····················································································· 108

<표 3-3-5-1> 매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13

<표 3-3-5-2> 매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 114

<표 3-3-5-3> 매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115

<표 3-3-5-4> 매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115

<표 3-3-5-5> 매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116

<표 3-3-5-6> 매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118

<표 3-3-5-7> 매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120

<표 3-3-5-8> 매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122

<표 3-3-5-9> 매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122

<표 3-3-5-10> 매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 123

<표 3-3-5-11>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123

<표 3-3-5-12> 매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126

<표 3-3-5-13> 매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 127

<표 3-3-5-14> 매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128

<표 3-3-5-15> 매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 129

<표 3-3-5-16> 매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130

Page 1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x -

<표 3-3-5-17> 매호의 어류상 ································································································ 131

<표 3-3-5-18> 매호의 과거 문헌 어류상················································································ 133

<표 3-3-5-19> 매호의 우점종 및 평균 군집분석···································································· 135

<표 3-4-1-1> 향호 유역의 일반현황······················································································· 137

<표 3-4-2-1> 향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138

<표 3-4-2-2> 강릉시의 축산현황···························································································· 138

<표 3-4-2-3> 향호 배수유역의 산업현황················································································ 139

<표 3-4-2-4> 향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 139

<표 3-4-2-5> 향호 배수유역 내의 환경기초시설현황····························································· 139

<표 3-4-3-1> BOD 발생부하량······························································································· 140

<표 3-4-3-2> TN 발생부하량································································································· 140

<표 3-4-3-3> TP 발생부하량·································································································· 140

<표 3-4-3-4> BOD 배출부하량······························································································· 141

<표 3-4-3-5> TN 배출부하량································································································· 141

<표 3-4-3-6> TP 배출부하량·································································································· 141

<표 3-4-4-1> 향호의 수질 조사 결과····················································································· 146

<표 3-4-5-1> 향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51

<표 3-4-5-2> 향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생물 지수······························· 152

<표 3-4-5-3> 향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153

<표 3-4-5-4> 향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153

<표 3-4-5-5> 향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154

<표 3-4-5-6> 향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155

<표 3-4-5-7> 향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157

<표 3-4-5-8> 향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159

<표 3-4-5-9> 향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159

<표 3-4-5-10> 향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 160

<표 3-4-5-11>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160

<표 3-4-5-12> 향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162

<표 3-4-5-13> 향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 163

<표 3-4-5-14> 향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164

<표 3-4-5-15> 향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 166

<표 3-4-5-16> 향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166

<표 3-4-5-17> 향호의 어류상································································································· 168

Page 1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xi -

<표 3-4-5-18> 향호의 어류상 문헌 비교················································································ 170

<표 3-4-5-19> 향호의 우점종 및 군집분석············································································ 172

Page 1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xii -

<그림 차례>

<그림 2-1-1-1> 각 호소의 지리적 위치····················································································· 3

<그림 2-2-5-1> 동해안 각 호소별 생물상 조사지점도····························································· 16

<그림 3-1-4-1> 영랑호의 수질································································································· 33

<그림 3-1-5-1> 영랑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비··············································· 36

<그림 3-1-5-2>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37

<그림 3-1-5-3> 부영양화 지수에 의한 영랑호의 영양등급 판정············································· 38

<그림 3-1-5-4> 영랑호의 현존식생도······················································································· 43

<그림 3-1-5-5> 영랑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44

<그림 3-1-5-6> 영랑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49

<그림 3-1-5-7> 영랑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50

<그림 3-1-5-8> 영랑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50

<그림 3-1-5-9> 영랑호의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52

<그림 3-1-5-10> 영랑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54

<그림 3-1-5-11> 영랑호의 1차 담수어와 2차담수어, 연안어의 구성비··································· 55

<그림 3-1-5-12> 영랑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55

<그림 3-1-5-13> 영랑호의 어류상 변화··················································································· 58

<그림 3-2-4-1> 청초호(CC)의 수질·························································································· 70

<그림 3-2-5-1> 청초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 73

<그림 3-2-5-2>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74

<그림 3-2-5-3> 부영양화 지수(TSI, LTSI)에 의한 청초호의 영양등급 판정························· 76

<그림 3-2-5-4> 청초호의 현존식생도······················································································· 82

<그림 3-2-5-5> 청초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83

<그림 3-2-5-6> 청초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88

<그림 3-2-5-7> 청초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89

<그림 3-2-5-8>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90

<그림 3-2-5-9> 청초호에서의 군집지수··················································································· 91

<그림 3-2-5-10> 청초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93

<그림 3-2-5-11> 청초호의 1차 담수어, 2차담수어, 연안어······················································ 94

<그림 3-2-5-12> 청초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94

<그림 3-2-5-13> 청초호의 어류상 변화··················································································· 96

<그림 3-3-4-1> 매호(M)의 수질····························································································· 109

Page 1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xiii -

<그림 3-3-5-1> 매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 112

<그림 3-3-5-2>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113

<그림 3-3-5-3> 부영양화 지수에 의한 매호의 영양등급 판정··············································· 114

<그림 3-3-5-4> 매호의 현존식생도························································································· 120

<그림 3-3-5-5> 매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121

<그림 3-3-5-6> 매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126

<그림 3-3-5-7> 매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127

<그림 3-3-5-8>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128

<그림 3-3-5-9> 매호의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130

<그림 3-3-5-10> 매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132

<그림 3-3-5-11> 매호의 1차 담수어, 2차담수어, 연안어························································ 132

<그림 3-3-5-12> 매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133

<그림 3-3-5-13> 매호의 어류상 변화····················································································· 135

<그림 3-4-4-1> 향호(H)의 수질······························································································ 147

<그림 3-4-5-1> 향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 150

<그림 3-4-5-2>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151

<그림 3-4-5-3> 부영양화 지수에 의한 향호의 영양등급 판정··············································· 152

<그림 3-4-5-4> 향호의 현존식생도························································································· 157

<그림 3-4-5-5> 향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158

<그림 3-4-5-6> 향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163

<그림 3-4-5-7> 향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164

<그림 3-4-5-8>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165

<그림 3-4-5-9> 향호의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166

<그림 3-4-5-10> 향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169

<그림 3-4-5-11> 향호의 1차 담수어, 2차 담수어, 연안어 비율············································· 169

<그림 3-4-5-12> 향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169

<그림 3-4-5-13> 향호의 어류상 변화····················································································· 172

Page 1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xiv -

<부록차례>

<부록 1>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 195

<부록 2>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 202

<부록 3>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 208

<부록 4>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 216

<부록 5>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224

<부록 6>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232

<부록 7>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236

<부록 8>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244

<부록 9>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248

<부록 10>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256

<부록 11>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260

<부록 12>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268

<부록 13> 영랑호 및 청초호, 매호, 향호에서 출현한 식물목록·············································· 272

<부록 14> 영랑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288

<부록 15> 영랑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291

<부록 16> 영랑호의 우점종 사진····························································································· 292

<부록 17> 청초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293

<부록 18> 청초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296

<부록 19> 청초호의 우점종 사진····························································································· 297

<부록 20> 매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298

<부록 21> 매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301

<부록 22> 매호의 우점종 사진································································································ 302

<부록 23> 향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303

<부록 24> 향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306

<부록 25> 향호의 우점종 사진································································································ 307

<부록 26> 영랑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 308

<부록 27> 청초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 310

<부록 28> 매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 312

<부록 29> 향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 314

<부록 30> 영랑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16

<부록 31>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20

Page 1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xv -

<부록 32>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23

<부록 33>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27

<부록 34> 영랑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331

<부록 35> 청초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335

<부록 36> 매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338

<부록 37> 향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342

<부록 38> 영랑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346

<부록 39> 청초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350

<부록 40> 매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354

<부록 41> 향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358

<부록 42> 영랑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362

<부록 43> 청초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366

<부록 44> 매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370

<부록 45> 향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374

Page 1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Page 1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 -

제1장 서론

국내에는 지형적 요건에 의하여 자연호는 거의 없으나, 수자원 확보를 위하여 만들어진

18,000 여개의 크고 작은 인공호가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6). 그러

나 대부분의 인공호는 흐르는 하천을 막아 형성된 정체수역이기 때문에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

으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으며 오래 지속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국내의 많은 호소에서 부영양

화로 인한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소환경 전반에 관한 일관성 있는 조

사가 미흡하여 호소별 특성에 적합한 수질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로 현재까지의 호소 조

사 및 관리는 수자원 관리의 목적상 수질 부문에만 집중되어 왔으며, 유역 전반 및 호소 내 생

물상에 대한 조사는 조사 목적에 따라 단편적으로 실시되었을 뿐이다.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는 하천과 달리 호

소는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수심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특성이 다르게 나

타난다(Merritt and Cummins, 1996). 따라서 호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서는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 요소 및 물리적인 환경 요인, 유역 상태 등 비생물적 요인

과 생물구성원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생태계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결과로 나타나기 보다는 장기적인 변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Forbes (1887)는 ‘호수생태계의 어딘가 일부에서 다른 부분으로 전해지는 작용은 반드시 어

떤 형태로든 전 생태계에 그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호소에서 일어나는 현

상을 규명하고자 한다면 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6). 예를 들면, 물리적인 관점에서 호소의 탁도를 조사하고자 할 경우

탁도를 지배하는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변동에 대해 이해하지 않는다면 올바른 해석을 할 수 없

다. 단지 식물플랑크톤의 종류와 양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 수체 내의 광조건,

수온, 영양염 농도 등의 기본적인 자료가 필요하지만, 동물플랑크톤에 의한 포식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동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상위 영양단계의

분류군 역시 결과적으로는 식물플랑크톤의 양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먹이연쇄 내에서 포

식과 피식 관계로부터 수중 생태계의 구조, 형태 및 안정성이 결정되는 경우 이는 직접적으로

수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교란은 생태계 내에서 군집의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

다(Sousa, 1984). 또한 군집은 안정적인 것이 아니라 천이를 하는 동안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교란의 효과는 발달 상태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지니게 된다. 교란

에 대한 생물군집의 반응은 공간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생태계의 환경 구배

(environmental patchiness)는 저항성(resistance)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하거나 교란 후의 회복

Page 1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 -

(resilience) 속도와 유형을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군집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소생태계를 악화시키는 수질오염물질의 경우 인근 유역에서 수체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 뿐만 아니라 수계 자체 내에 존재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이 유입

되었을 때 지속시간에 따라 단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생물군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수반

되는 결과로 생물의 성장률과 생식, 사망, 군집 등이 영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호소의 수질개선과 보전은 넓은 의미에서 생태계를 보전하고 생물다양성을 유

지하는데 있기 때문에 수질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종합적인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

존에 적용되고 있는 물리화학적인 요인에 대한 평가와 함께 생물학적 요인의 평가도 반드시 고

려되어야 한다. 생물학적 기준의 중요성은 물리․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영향으로부터 오는

피해를 생물자원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기존의 오염제어방법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수질문제를

다룰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으로 국토면적에 비해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

다. 따라서 바다와 관련된 특수 지형이 많이 나타나는데, 그 중 석호는 제 4기의 대표적 지형으

로서 해수면의 상승과 사주, 사취의 성장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석호는 동해안을 따

라 형성되어 있으며, 경포호 및 청초호, 영랑호, 화진포호, 매호, 향호 등 규모와 형태가 다양하

다. 동해안의 석호는 인공호에 비하여 주위의 자연 경관이 우수하고 생물 다양성이 높으며 생

태학적 가치가 뛰어나다. 또한 석호는 내륙의 호소와 달리 해수와 담수가 섞인 기수호로서 수

환경 뿐만 아니라 담수 생물과 해양 생물, 기수성 생물이 공존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양과 관련된 다른 지형들, 예를 들면 해안 단구나

해안 사구와 같은 지형에 비하여 석호는 연구 대상이 된 예가 드물고 최근에 와서야 비로소 관

심을 갖게 되었다.

석호에 대한 연구나 관심이 부족했던 이유는 석호가 그럴만한 가치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

라 이와 같은 형태의 호소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가질 기회가 없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더욱

이 지역민이나 행정 지도자가 석호의 기본적인 특성이나 학술적 가치는 외면한 채, 오로지 관

광 측면에서만 석호의 가치를 인식해왔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아직까지도 호소생태계를 변화시

키는 개발에만 지속적으로 역점을 두고 있는 현실이다. 안타깝게도 호소의 비과학적이고 인위

적인 변형은 석호를 담수호로 변화시키고, 나아가 호소의 환경오염과 자연적 매몰을 촉진시키

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안 일대 4개 석호, 즉 영랑호 및 청초호, 매호, 향호를 중심으

로 호소생태계 전반에 걸친 유역현황 및 수질, 생물(식물플랑크톤, 대형 수생식물, 대형무척추동

물, 어류)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시공간적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생물종 및 서식처 보전과 복원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기초

적인 생태자료 축적하고자 하는 바이다.

Page 1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 -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제1절 연구내용

1. 조사대상 호소

2011년도 조사대상 호소는 환경부 호소조사지침(환경부, 2010)에 따라 관내 18개 호소 중 4

개(영랑호, 청초호, 매호, 향호)의 호소로서 각 호소의 행정구역현황과 지리적 위치는 다음의

<표 2-1-1-1> 및 <그림 2-1-1-1>과 같다.

항목 영랑호 청초호 매호 향호

행정구역 강원도 속초시 강원도 속초시 강원도 양양군 강원도 강릉시

GPSN 38° 13' 06.00"E 128° 34' 50.60"

N 38° 11' 46.26"E 128° 35' 19.76"

N 37° 56' 48"E 128° 46' 25"

N 37° 54' 25"E 128° 48' 45"

<표 2-1-1-1> 2011년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조사대상 호소

<그림 2-1-1-1> 각 호소의 지리적 위치

Page 2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 -

2. 조사시기

2011년도 4월부터 10월까지 영랑호 및 청초호, 매호, 향호의 4개 호소에 대한 수질조사 및

식물성플랑크톤 조사는 년 4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 그 외 대형수생식물, 대형무척추동물,

어류에 대한 현장조사는 년 2회 실시하였다.

3. 조사내용

§ 호소의 이용현황 : 호소 및 유역의 일반현황, 용수이용현황, 내수면 이용현황

§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인구현황, 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축산현황, 산업

현황, 토지이용․규제현황, 환경기초시설 현황

§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산정: 오염물질 발생량 산정, 부하량 산정

§ 호소의 수질조사 : 수온, pH, DO, BOD, COD, TOC, SS, 총질소, NH3-N, NO3-N, 총인,

PO4-P, 폐놀류, 전기전도도, 클로로필-a, 투명도, 분원성대장균군수, 총대장균군수

§ 식물성플랑크톤 :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총출현량 (세포수/㎖ 단위로 환산한 출현량),

분류군별 우점종 목록 및 출현량, 우점종 및 특이종 현미경 사진 촬영

§ 대형수생식물 : 생활형 별 분포대의 폭과 우점도, 생활형 별 출현종 목록 및 우점도, 각

종별 식물량 및 밀도

§ 대형무척추동물 : 출현종 목록 및 밀도, 우점종의 현존량, 생체량, 군집분석

§ 어류 : 출현종 목록, 우점종 및 희귀종, 현존량, 주요 어종의 변천사항, 보호 필요종

제2절 연구방법

1. 호소의 이용현황

가. 호소 및 유역의 일반현황

1) 조사내용

§ 호소명, 행정구역, 수면관리자

§ 유출․입 하천 명, 유역면적, 유로연장

§ 홍수위, 연평균 수위, 저수량, 만수면적, 연평균 유출량, 수변길이

§ 제방형식, 댐(제방)의 제원

Page 2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 -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나. 용수이용현황

1) 조사내용

▪ 용도별 용수이용 현황 : 용수이용 목적별로 생활․농업․공업․유지용수로 구분하여

연간 이용현황조사

▪ 상수원 현황 :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호소의 경우, 취수장의 명칭과 위치 및 일일취수량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다. 내수면 이용현황

1) 조사내용

▪ 양식업, 낚시터로 구분하여 내수면에 대한 이용도 조사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가) 양식장

(1) 조사대상

▪ 면허 및 신고 된 양식장(가두리 및 조방양식장, 패류, 조류 및 진주양식장)과 육상양어

장(지수식, 유수식, 순환여과식) 조사

▪ 무신고, 무면허 및 초과시설은 별도조사정리

(2) 조사항목

▪ 양어장 위치, 양식형태(가두리, 지수식, 유수식, 순환여과, 패류 및 조류 양식장), 어장

(정치망어장, 공동어장, 조류채취어장), 양식어종, 연간 사료투입량, 연 생산량

(3) 조사방법

▪ 각 시․도의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조사

나) 낚시터

Page 2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 -

(1) 조사항목

▪ 위치, 관리자, 대상 종, 낚시선박, 1일 수용능력, 연간이용자수, 부대시설 등

(2) 조사방법

▪ 각 시․도의 기존자료를 이용하여 조사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가. 인구현황

1) 조사내용

▪ 인구는 최소 행정단위를 기준으로 조사한 후 유역 전체로 합계

▪ 시가화 유형, 배출원 유형, 정화조 유형, 하수관거 유형으로 구분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나. 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1) 조사내용

▪ 호소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집수구역 내 식품접객업 등 주요 오염물질 배출시설 현황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다. 축산현황

1) 조사내용

▪ 축산두수는 최소 행정단위를 기준으로 조사하여 유역 전체로 합계하여 통계화

▪ 지정구역은「한강수계상수원수질개선및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변구역, 「오수․분뇨및축산폐수처리에관한법률 시행령」 제2조 2항의 제1호,

제2호 및 제4호 내지 제7호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지역’, 그 외는 ‘일반지역’으로 구분

▪ 개별처리유형 및 규제여부에 따라 각 축종에 대해 축산두수 정리

▪ 법적 규제 여부는 축종별로「오수․분뇨및축산폐수의처리에관한법률」에 의한 허가대

상 축산폐수배출시설, 신고대상 축산폐수 배출시설로 구분하되 신고 미만 규모의 경우

에는 미 규제로 구분

Page 2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 -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라. 산업현황

1) 조사내용

▪ 폐수전수조사에 의해 지역지정 현황별, 업종별 유역의 총량을 합계

▪ 업종분류는 표준배출시설코드를 활용하고 환경부의 폐수배출시설조사표 양식을 기초

로 정리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마. 토지이용·규제현황

1) 조사내용

▪ 최소 행정단위를 기준으로 조사하여 유역 전체로 합계하여 통계화

▪ 지적법 제5조 제1항에 준한 지목별 면적을 파악하여 정리

▪ 하천부지 점용(하천법 제25조 제1항)은 직할하천, 지방하천, 준용하천을 포함하여 점용

대장 및 점용료 고지서를 근거로 작성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바. 환경기초시설 현황

1) 조사내용

▪ 하수종말처리장, 마을하수도 처리시설, 분뇨처리장, 산업폐수종말처리장, 축산폐수공공

처리장 등의 각 처리시설별로 조사

▪ 분뇨처리수, 산업폐수, 축산폐수처리수 등을 병합처리하는 경우 각각의 유입량과 유입농

도를 분리하여 정리, 방류수를 기타 처리장으로 연계 처리하는 경우 연계 처리장명 기입

▪ 유입량 및 방류량은 일평균자료의 연 평균치로 기입, 유입농도와 방류농도는 유량가중

평균 연 평균치로 기입

Page 2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 -

2) 조사방법

▪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기 조사된 최신자료 수집 및 정리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산정

가. 오염물질 발생량 산정

1) 조사항목

▪ 인구현황, 산업현황, 축산현황을 파악하여 생활계, 산업계, 축산계 별로 발생량 산정

2) 조사방법

▪ 발생부하량 산정시 적용하는 발생원 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자료가 없

는 경우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에서 제시하는 발생원 단위를 적용

3) 발생부하량 산정

가) 생활계

▪ 가정인구의 발생부하량은 가정인구에 발생부하원단위를 곱하여 산정

가정인구발생부하량 = 가정인구수 × 가정인구발생부하원단위

가정인구분뇨발생부하량 = 분뇨발생부하비 × 가정인구발생부하량

가정인구잡배수발생부하량 = (1 - 분뇨발생부하비) × 가정인구발생부하량

구 분가정인구 발생부하원단위(g/인/일) 분뇨발생부하비

BOD T-N T-P BOD T-N T-P

시 가 50.7 10.6 1.240.45 0.8 0.8

비시가 48.6 13.0 1.45

<표 2-2-3-1>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영업인구의 발생부하량은 오수발생유량에 오수발생농도를 곱하여 산정하고, 오수발생농도에

대한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 표 <2-2-3-2>의 표준발생농도를 곱하여 산정. 단, 영업장의 종류가

다양하고 각 업종의 물 사용량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는 해당 업종 오수발생농도의 평균을 적용

영업인구발생부하량 = 영업인구오수발생유량 × 영업인구오수발생농도

영업인구분뇨발생부하량 = 분뇨발생부하비 × 영업인구발생부하량

영업인구잡배수발생부하량 = (1 – 분뇨발생부하비) × 영업인구발생부하량

Page 2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 -

건축물 용도업종

코드

BOD

(g/㎥)

T-N

(g/㎥)

T-P

(g/㎥)

문화 및

집회시설

(100)

집회장예식장, 공회당, 마을회관, 회의장, 교회,

사찰, 성당, 제실, 사당, 장례식장101 150 50 5

공연장영화관, 연예장, 음악당, 연극극장,

서커스장102 150 50 5

기도원, 수도원, 수녀원 103 200 60 6

경기장체육관, 운동장, 경마장, 경륜장,

자동차경기장104 260 80 8

전시장박물관, 미술관, 기념관, 수족관, 과학관,

박람장, 관망탑, 모델하우스105 150 50 5

주거시설

(200)기숙사, 양로원, 다중주택(원룸)1), 하숙, 군대숙소 201 200 60 6

숙박시설

(300)

관광호텔, 호텔, 모텔, 여관, 여인숙 301 70 20 2

가족호텔, 콘도미니엄, 유스호스텔 302 140 40 4

위락시설

(400)

무도유흥주점 나이트클럽, 카바레 401 150 50 5

일반유흥주점 룸쌀롱, 단란주점, 요정, 스탠드빠 402 250 80 8

투전기업소, 카지노업소, 마권장외발매소 403 150 50 5

무도장, 무도학원, 콜라텍 404 150 50 5

의료시설

(500)

종합병원 501 300 100 9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정신병원,

요양소, 격리병원, 산후조리원

급식시설 있음 502 300 100 9

급식시설 없음 503 150 50 5

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침술원, 접골원, 조산소,

보건소, 진료소504 150 50 5

판매 및

영업시설

(600)

시장, 상점

도매시장, 구판장, 소매시장, 양판점,

대형할인점, 서점, 표구점, 소매점,

수퍼마켓, 사진관, 세탁소, 장의사,

동물병원, 의약품도매점, 총포판매소

601 250 80 8

백화점, 쇼핑센터 602 250 80 8

게임제공업소, PC방, 기원, 전자오락실 603 150 50 5

여객, 철도역, 종합여객, 공항 604 260 80 8

운동시설

(700)

탁구장, 당구장 701 100 30 3

체육도장, 헬스장, 에어로빅장, 볼링장, 사격장, 라켓볼장,

스쿼시장, 실내낚시터, 스케이트장, 롤러스케이트장,

수영장

702 100 30 3

골프연습장 703 100 30 3

골프장 704 100 30 3

테니스장light시설있음 705 150 50 5

light시설없음 706 150 50 5

자동차

관련시설

(800)

주차장2), 주기장3) 801 260 80 8

주유소, LPG충전소 802 260 80 8

교육연구

복지시설

(900)

초등학교, 유치원, 보육시설 901 100 30 3

중학교, 고등학교, 학원, 대학,

대학교, 직업훈련소

주간 902 100 30 3

주․야간 병설 903 100 30 3

연구소, 시험소, 동물검역소 904 100 30 3

도서관, 독서실 905 150 50 5

고아원, 일시보호시설, 보호치료시설, 자립지원시설,

경로당, 자연권 청소년 수련시설906 200 60 6

<표 2-2-3-2> 생활계 영업장 오수발생 표준농도

Page 2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 -

건축물 용도업종

코드

BOD

(g/㎥)

T-N

(g/㎥)

T-P

(g/㎥)

업무시설

(1000)

일반사무소 사무소, 신문사, 상담소, 소개소, 소방서 1001 100 30 3

방문객 많은

사무소

대사관, 전화국, 공공청사, 금융업소,

경찰서, 우체국1002 100 30 3

오피스텔 1003 200 60 6

근린생활

시설

(1100)

식품 즉석 제조 판매점, 제과점 1101 130 40 4

이용원, 미용원 1102 100 30 3

일반 목욕장4) 1103 100 30 3

공중화장실 1104 260 80 8

음식점

오염부하량 높은 경우(한식, 중식) 1105 330 110 10

일반음식점 1106 210 70 6

오염부하량 낮은 경우(양식, 일식, 커피숍,

카페)1107 130 40 4

안마시술소 1108 100 30 3

찜질방 1109 100 30 3

노래연습장, 비디오방 1110 150 50 5

공업시설

(1200)공장, 발전소, 작업소 1201 100 30 3

공공용

시설

(1300)

교도소, 구치소, 소년원, 감화원 1301 200 60 6

촬영소 1302 100 30 3

묘지관련

시설(1400)화장장, 납골시설 1401 150 50 5

관광휴게

시설(1500)휴게소 1501 260 80 8

부대

급식시설

(1600)

문화 및 집회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운동시설, 자동차관련시설,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공업시설,

묘지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 등의 상주인원에 대한

급식을 제공하는 시설

1601 330 110 10

기타

(2000)

상기용도에 속하지 않는 시설 또는 단일 용도로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2001 200 60 6

주 1) 다중주택이란, 학생 또는 직장인 등의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2) 주차장에서 건축물의 부속주차장은 제외3) 주기장이란 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건설기계 등 중기(重機)를 세워두는 시설4) 일반목욕장이란, 공동탕, 가족탕, 한증막, 사우나탕을 포함

<표 2-2-3-2> 계속

▪ 생활계발생부하량은 가정인구와 영업인구에 의한 발생부하량을 합하여 산정

생활계발생부하량 = 가정인구발생부하량 + 영업인구발생부하랑

생활계분표발생부하량 = 가정인구분뇨발생부하량 + 영업인구분뇨발생부하량

생활계잡배수발생부하량 = 가정인구잡배수발생부하량 + 영업인구잡배수발생부하량

Page 2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 -

나) 축산계

▪ 축종별 사육두수에 발생부하원단위를 곱하여 산정

축산폐수발생부하량 = Σ(축종별사육두수 × 축종별죽산폐수발생부하원단위)

축산고형물발생부하량 = Σ(축종별상육두수 × 축종별축산고형물발생부하원단위)

축산계발생부하량 = 축산폐수발생부하량 + 축산고형물발생부하량

항목 구분 젖소 한우 말 돼지 양․사슴 개 가금

BOD 합계 556 528 259 109 10 18 5.2

폐수 117 67 30 32 3 4 0

고형물 439 461 229 77 7 14 5.2

T-N 합계 161.8 116.8 77.6 27.7 5.8 8.4 1.1

폐수 63.5 40.0 26.7 14.9 4.2 5.4 0

고형물 98.3 76.8 50.9 12.8 1.6 3.0 1.1

T-P 합계 56.7 36.1 24.0 12.2 0.9 1.6 0.4

폐수 10.7 3.5 2.3 3.3 0.2 0.3 0

고형물 46.0 32.6 21.7 8.9 0.7 1.3 0.4

<표 2-2-3-3> 축산분뇨 발생부하원단위(단위: g/두/일)

다) 산업계

▪ <표 2-2-3-4>의 폐수발생유량에 발생농도를 곱하여 산정. 발생농도는 실측치 또는

업종별 표준발생농도로 함(업종별 발생농도가 없는 경우 유사업종의 원단위를 적용)

산업계발생부하량 = Σ(업종별폐수발생유량 × 업종별폐수발생농도)

Page 2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 -

배 출 시 설 표준산업분 류

업종분류코 드

오염물질 항목(mg/L)

BOD T-N T-P

석탄 광업시설 1010 1 3 0.9 0.0

금속 광업시설 1100 2 54 5.9 0.8

비금속 광물 광업시설(연료용 제외) 1200 3 8 7.3 0.4

도축, 고기, 수산물가공 및 저장․처리시설1511,1512 4 1,154 386.1 32.2

과실, 채소가공 및 저장․처리시설 1513 5 1,667 96.9 9.9

동․식물성 유지제조시설 1514 6 885 140.3 60.5

낙농제품 및 아이스크림 제조시설 1520 7 1,617 99.3 9.2

곡물 가공품 제조시설 1531 8 1,684 54.2 16.5

전분 및 당류 제조시설 1532 9 995 71.0 9.4

사료 제조시설 1533 10 4,287 151.2 28.3

설탕 제조시설 1542 11 72 12.1 1.420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제조시설 1545 12 3,680 533.5 21.0

기타식품 제조시설 1540 13 1,660 124.4 13.3

주정제조 및 주조시설1551,1552,1553

14 9,416 96.3 14.9

비알콜성 음료 및 얼음 제조시설 1554 15 649 44.8 5.0

담배 제조시설 1600 16 817 36.0 2.6

제사 및 방적시설1710,1720,1730

17 615 49.0 2.7

섬유염색 및 가공시설 1740 18 300 24.8 3.0

기타섬유제품 제조시설 1790 19 750 78.9 6.4

가죽, 모피가공 및 제품제조시설1820,1910 20 1,549 510.3 32.2

신발 제조시설 1930 21 137 9.9 0.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시설 2000 22 446 23.7 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시설 2100 23 827 18.2 1.4

출판, 인쇄, 사진처리 및 기록매체 복제시설 2200,7491

24 320 124.2 0.7

코크스 및 관련제품 제조시설 2310 25 589 192.6 -

석유정제품 제조시설 2320 26 95 103.3 0.9

석유화학계 기초화합물 제조시설 24111 27 1,042 84.6 3.3

석탄화합물 제조시설 24112 28 3 7.9 0.2

천연수지 및 나무화합물 제조시설 24113 29 302 27.6 5.4

기타 기초유기화합물 제조시설 24119 30 1,361 198.8 2.0

기초무기화합물 제조시설 2412 31 127 67.2 8.1

산업용가스 제조시설 24121 32 88 17.6 0.7

합성염료 유연제 및 기타 착색제 제조시설 24132 33 770 135.2 6.6

비료 및 질소화합물 제조시설 2414 34 90 74.9 1.3

합성고무 제조시설 24151 35 206 51.9 1.6

합성수지 및 기타 플 라스틱 물질 제조시설 24152 36 919 77.8 15.7

의약품 제조시설 2420 37 1,250 59.0 3.5

살충제 및 기타 농약 제조시설 2431 38 2,000 26.2 1.2

도료, 인쇄잉크 및 유사제품 제조시설 2432 39 690 13.3 2.8

계면활성제, 치약, 비누 및 기타 세제 제조시설24331,24332

40 2,786 87.4 8.3

<표 2-2-3-4>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

Page 2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 -

배 출 시 설표준산업분 류

업종분류코 드

오염물질 항목(mg/L)

BOD T-N T-P

화장품 제조시설 24333 41 903 20.8 0.9

표면광택제 및 실내 가향제 제조시설 24334 42 760 9.0 0.2

비감광성 기록용 매체, 사진용 화학제품 및감광재료 제조시설

24341,24342

43 3,886 309.7 1.4

가공염 및 정제염 제조시설 24391 44 8 1.3 0.0

방향유 및 관련제품 제조시설 24392 45 1,700 96.3 3.0

접착제 및 젤라딘 제조시설 24393 46 1,117 211.7 6.0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시설 24394 47 47 692.2 0.6

기타 분류안된 화학제품 제조시설 24399 48 618 58.8 12.5

화학섬유 제조시설 2440 49 737 54.1 4.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시설 2500 50 192 22.3 6.1

유리 및 유리제품 제조시설 2610 51 62 26.0 0.4

도자기 및 기타 요업제품 제조시설 2620 52 22 8.4 1.5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시설 2630 53 17 10.3 0.2

기타 비금속 광물제품 제 조시설 2690 54 6 9.1 0.5

제1차 철강산업 시설 3230 55 48 227.6 10.7

합금철 제조시설 27112 56 37 15.4 0.0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시설 2721 57 137 164.3 2.3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 품 제조시설 27221 58 561 11.3 1.7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시설 27222 59 546 18.2 2.3

기타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시설 27229 60 635 28.4 1.4

기타 제1차 비철금속 산업시설 2729 61 15 66.9 41.3

금속주조시설 2730 62 153 80.8 1.3

조립금속 제품 제조시설 (달리 분류되지아니하는 중 분류 28-35까지의 제조시설)

2800 63 36 34.2 15.9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시설 3130 64 48 11.9 0.7

축전지 및 1차 전지 제조 시설 3140 65 30 37.6 1.0

전구 및 조명장치 제조시설 3150 66 107 406.3 8.3

반도체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시설 3210 67 50 34.4 3.9

방송수신기 및 기타 영상, 음향기기 제조시설 3230 68 179 22.5 6.2

기타 방송수신기 및 영상음향기기 제조시설 3690 69 290 18.0 0.4

발전시설 4011 70 6 11.9 0.5

수도사업시설 4100 71 17 10.1 1.9

먹는샘물 제조시설 4100 72 4 2.3 1.1

수산물 판매장(면적 700㎡ 이상)51313,52213

73 422 85.7 8.7

병원시설(의료법에 의한 종합병원) 8511 74 101 21.6 1.8

폐수처리업의 폐수저장시설 및 폐기물처리업의폐수발생시설

9020 75 2,653 684.3 11.7

세탁시설(용적 2㎥이상 또는 용수 1㎥/시간 이상) 9391 76 138 9.4 2.9

산업시설의 폐가스․분진, 세정․응축시설(분무량 또는 응축량 0.01㎥/시간 이상)

공통시설 77 152 83.4 1.1

산업시설의 정수시설(정수능력 100㎥/일 이상) 공통시설 78 3 9.7 0.3

이화학 시험시설(면적 100㎡ 이상) 공통시설 79 289 10.0 1.0

도금시설 공통시설 80 45 120.1 22.1

운수장비 수선 및 세차 또는 세척시설 공통시설 81 77 47.9 4.6

기타 폐수배출시설 (1~81의 분류에 속하지아니하는 시설)

공통시설 82 157 49.2 4.9

<표 2-2-3-4> 계속

Page 3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 -

나. 부하량(BOD, T-N, T-P) 산정

1) 조사항목

▪ 인구현황, 산업현황, 축산현황을 파악하여 생활계, 산업계, 축산계 별로 부하량을 산정

2) 조사방법

▪ 배출부하량 산정시 적용하는 원단위는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의 ‘Ⅵ. 오․폐

수 발생유량 산정’시의 표본조사 방법에 따른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 지침에서 제시하는 원단위 적용

4. 수질조사

가. 조사내용

1) 조사항목

▪ 수온, pH, DO, BOD, COD, TOC, SS, 총질소, NH3-N, NO3-N, 총인, PO4-P, 폐놀류,

전기전도도, 클로로필-a, 투명도, 분원성대장균군수, 총대장균군수(18개 항목)

▪ 총 18개 항목 중 수온, pH, DO, 전기전도도의 4개 항목은 현장에서 휴대용 수질다항목

측정기(HORIBA U-52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Meter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

며, 투명도는 Davies-Colley과 Smith (2001)에 의거하여 현장에서 측정한 탁도값을 변

환하여 산출

▪ 기타 항목은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의거 산출

2) 조사지점 및 횟수

▪ 수질조사 및 식물플랑크톤 조사 지점은 해당 호소가 바다와 접하고 있는 석호라는 특

성을 감안하여 해수의 유입이 가장 활발히 일어날 것으로 판단되는 수문 인근과 이로

부터 최장 거리 지점을 선정함

▪ 영랑호(속초시), 청초호(속초시), 매호(양양군), 향호(강릉시)를 대상으로 석호의 장축을

중심으로 각 2개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함

Page 3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 -

나. 조사방법

1) 조사시기

▪ 수질조사는 2011년도 4월, 6월, 8월, 10월의 연 4회 조사를 하였으며 영랑호, 청초호, 매

호, 향호의 4개 석호를 대상으로 채수 및 분석을 실시

2) 각 호소별 조사지점

▪ 영랑호 : YR01(강원도 속초시 금호동, 영랑호리조트 인근), YR02(강원도 속초시 장사

동, 통천군 순국동지충혼비 전방)

▪ 청초호 : CC01(강원도 속초시 교동, 청초호 호수 공원 전방), CCO2(강원도 속초시 청

호동, 속초시 수협 제빙냉동공장 전방)

▪ 매호(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포매리) : M01(유출부로부터 최장거리 지점), M02(유출부)

▪ 향호(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리) : H01(유출부로부터 최장거리 지점), H02(유출부)

다. 항목별 조사 및 분석방법

▪ 수질항목별 수질조사 및 분석방법은 수질오염공정시험법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할 경우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표준시험방법(standard methods)을 따름

5. 호소의 생물상조사

가. 조사지점

Page 3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 -

(a) 영랑호

(b) 청초호

(c) 매호

(d) 향호

<그림 2-2-5-1> 동해안 각 호소별 생물상 조사지점도

Page 3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 -

나. 식물플랑크톤

1) 조사대상

▪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총 출현량(세포 수/mL 단위로 환산한 출현량)

▪ 분류군별 우점종 목록 및 출현량

▪ 우점종 및 특이종 현미경 사진 촬영

2) 조사방법

가) 시료 채취

(1) 정량분석

▪ Hydrobios 채수기(용량 1리터) 또는 Van-Dorn 채수기(용량 3리터)로 수심별로 채수하

여 식물플랑크톤 네트로 걸러 채취하며 채수량은 육안으로 판단되는 식물플랑크톤의

양에 따라 결정

(2) 정성분석

▪ 네트 플랑크톤 : 망목 25 ㎛의 네트를 사용하여 혼합층 깊이에서 수면까지 수직 예망하

여 시료를 채취

▪ 나노 플랑크톤 : 채수기로 채수하여 침전법으로 농축한 후 검경

나) 시료 고정

▪ 검체는 냉암소에 보관하여 운반하고 즉시 검경. 즉시 시험이 어려울 경우 Lugol 보존제

를 1~2 v/v%가 되도록 하여 보존. Lugol 보존제는 100 ml 증류수에 potassium iodide

(KI) 10 g과 iodine 5 g을 녹여 빙초산(acetic acid) 10 ml를 첨가하여 만듬.

다) 검체의 조제

▪ 개체수가 1 ml에 기계(계수기)적 특성에 따라 약 1,000~100,000 cells (or units)가 되도

록 검체를 조정하여 계측. 시료가 육안으로 녹색이나 갈색으로 보일 정도로 고농도이면

정제수로 희석하고, 시료가 맑아 5~100 cells (or units)/ml의 범위로 보이면 아래의 한

방법으로 검체를 농축(다만, 남조류가 우점할 때는 농축하지 않을 수 있음)

- 원심분리방법 : 검체를 원심침전관에 넣고 원심분리기에서(1000 g, 20분) 침

전시켜 농축. 다만 미세한 조류는(1500 g, 30분) 침전시키며, 부유성

이 큰 남조류를 많이 함유한 시료는 Lugol 액으로 고정하여 농축

Page 3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 -

- 자연침전법 : 일정의 검체에 Lugol액을 1~2 v/v%로 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을

고정시킨 후 실린더 용기에 넣고 24시간 정치시킨 후에 상등액을 사

이폰으로 따라 내어 농축

- 여지법 : 시료를 공극 0.45 μm인 여지로 여과하여 생물을 농축. 처음에는 50

KPa 미만으로 진공여과하고 검체액이 여지 상 약 5 mm 정도부터는

약 12 KPa로 하여 여지가 여과 과정에서 마르지 않도록 함

라) 동정 및 계수

(1) 정성시험

▪ 현미경하에서 100배의 배율로 검경하여 생물군의 구성을 조사. 각각의 생물을 시야의

중앙으로 옮기고 배율을 400~1000배로 올려 식물플랑크톤의 형태와 세포의 내부 등

미세한 사항을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스케치를 하거나 사진 촬영. 이와 같은 검경 결과

를 도감 및 검색도설을 이용하여 동정

(2) 정량시험

▪ 시료를 균일하게 섞은 후 Sedgwick-Rafter chamber에 시료 1 ml을 넣고 계수.

▪ 부유성 규조류를 동정, 분류하기 위해 정량 채집한 시료를 KMnO4법(Hendey, 1974)을

사용하여 시료를 세정하고 영구표본을 만든 다음 광학현미경(Axioscop 20, x1000~

2000) 하에서 종을 동정 및 분류.

▪ 우점종은 출현종의 총 현존량의 10% 이상을 상회하는 종 중에 최대 구성비를 나타내

는 종으로 하였으며, 그 다음의 구성비를 나타내는 종을 아우점종으로 선정.

▪ 계절별 각 수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Smith (1950)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도

록 함. 남조식물문과 녹조식물문, 황갈조식물문은 Hirose et al. (1977), Prescott (1962),

Hindak (1977), Huber-Pestalozzi (1938, 1955) 등을 참조하며, 규조식물문은

Krammer&Lange-Bertalot (1986), Rounder et al. (979), Patrick and Reimer (1966,

1975)와 정 (1993) 등을 참조.

▪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은 각 종의 현존량을 기본 자료로 하여 Shannon-Weaver (1963)의

다양도지수, Shimpson (1949)의 우점도지수, Piekou (1966)의 균등도지수와 Margalef

(1958)의 풍부도지수를 산출

Page 3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 -

다. 대형수생식물

1) 조사대상

▪ 생활형 별 분포대의 폭과 우점도

▪ 생활형 별 출현종 목록과 생활형 내에서의 우점도

▪ 각 종별 식물량 및 밀도

2) 조사방법

가) 시료 채취

▪ 정수식물 및 부엽식물, 침수식물은 지상부를 채취하고 부유식물은 전체부를 채취

▪ 정수식물과 부엽식물은 손삽이나 전정가위로 채집하고, 침수식물과 부유식물은 얕은

곳의 경우 직접 물에 들어가서 채집하거나, 채집용 닻을 던진 후 당겨서 채집

▪ 채집물은 비닐봉투에 넣어서 실험실로 운반

나) 우점도 평가

▪ 대형수생식물이 분포하는 구역 내에서 각 생활형이 점유하는 피도로서 우점도 평가

▪ 대형수생식물의 종별 우점도는 각 생활형 별로 따로 계산. 일례로 정수식물의 어떤 종

의 종별 우점도는 정수식물의 분포대 내에서의 우점도로 표시.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

유식물은 직접 생육지를 돌아다니면서 혹은 높은 곳에서 관찰하여 우점도를 평가. 침

수식물은 높은 곳에서 관찰하여 침수식물이 차지하는 수면의 총피도를 구한 후, 10회

이상 닻으로 채취한 침수식물의 종별 생중량에 따라서 이 총피도를 배분하여 결정

다) 식물량과 밀도측정

▪ 침수식물은 닻을 던져서 채집된 식물을 종별로 분류하여 망주머니에 담아서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물기를 제거하고 휴대용 저울로 생중량을 측정

▪ 부유식물, 부엽식물 및 정수식물은 균일한 개체군이 나타나는 지소를 선정하여 50 x

50 cm 방형구를 설치하며, 지면에서 경엽부를 절취하여 채집하고, 침수식물과 같은 방

법으로 생중량을 측정

▪ 이상의 방법을 5회 반복하며 생중량을 측정한 시료 중 일부(subsample)를 표집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실험실로 운반하여 80℃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

▪ 건조된 시료를 밀폐된 비닐주머니에 담아서 상온으로 식힌 후 전자저울(정밀도 0.01

g)로 건중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산출

▪ 수분함량에 의하여 현장에서 측정한 생중량을 건중량으로 환산하고 단위면적당 식물

Page 3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 -

량(gDM/m2)으로 환산

▪ 최종적으로 우점종별 건중량의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를 기재

▪ 밀도 측정이 가능한 대형수생식물은 5 개의 50 x 50 cm 방형구를 설치하여 경엽부의

수를 세고, 단위면적당 밀도(개/m2)의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를 기재

라) 동정 및 정리

▪ 직접 현지를 탐방하여 각 조사지역의 육상관속식물과 수습생식물을 기록 및 동정

▪ 식물의 동정은 이(1993)와 이(1996)를 따르고,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식물상 목록

을 작성

▪ 식물상 목록에는 현장에서 확인된 식물을 작성하고, 원주지방환경청(2009)에 수록된

식물을 첨가

▪ 출현한 육상관속식물의 분류학적 범주, 수습생식물 여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종

류 파악

라. 대형무척추동물

1) 조사항목

▪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종 목록 및 밀도

▪ 우점종의 생체량 현존량

▪ 군집분석 지수

2) 조사방법

가) 시료 채취

▪ 본 조사년도의 대상 석호에서는 흐름이 없거나 약한 수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드

렛지(폭 40 cm, 망목 0.5 mm)를 이용하여 조사 지점 당 50 cm를 2회씩 끄는 방식으로

하상채취 후 공극 지름이 0.5 mm인 체로 체질함으로써 생물시료를 채취. 또한 각 조사

지점에서 뜰채 및 족대 등을 이용하여 미소서식처에 따른 정성조사를 병행.

나) 시료 보존 및 관찰

▪ 수서곤충류 표본은 현지에서 Kahle's fluid (증류수 59 %, 에틸알콜 28 %, 중성포르말

린 11 %, 아세트산 2%)로 고정하고 2일후 80 % ethanol에 보관

▪ 기타 무척추동물은 20 % 중성포르말린에 고정 및 보존하며, 보존시료는 해부현미경하

에서, 미세 형질은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

▪ 수서곤충검색도설(윤일병, 1995),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원색한국

Page 3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 -

패류도감(권 등, 1993),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새우류), 한국동식물도감 제14권

동물편(집게․게류)을 참조하여 동정

다) 밀도 및 현존량

▪ 채집기의 채취면적 대비 개체수와 생물량으로 단위면적당 밀도와 현존량 환산

▪ 시료는 종류별로 분류하여 이물질을 세척한 후 70℃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

조한 후 건조중량을 칭량

라) 군집분석

(1) 수리군집지수

▪ 모든 종의 출현개체수를 N, i 종의 출현개체수를 Ni, 총출현종수를 S, 제1우점종의 출

현개체수를 N1, 제2우점종의 출현개체수를 N2라 할 때,

우점도지수(DI) =N1+N2

NMcNaughton (1967)

다양도지수(H') = - ∑S

i= 1p i log 2p i, p i=

Ni

NShannon-Weaver (1949)

풍부도지수(R1) =S-1lnN

Margalef (1958)

균등도지수(J') =H'log 2S

Pielou (1975)

(2) 생태점수

▪ 환경질의 평가와 생태환경 관리기준의 판정은 ESB 지수 적용

ESB = ∑S

i= 1Q i (Kong, 1999)

ESB: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Q i: 개별분류군 환경질 점수

Si; 환경질에 대한 출현종수 합

Page 3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 -

마. 어류

1) 조사대상

▪ 어류의 출현 종 목록

▪ 우점종 및 희귀종

▪ 포획도구별 현존량

▪ 지역별 방언

▪ 주요 어종의 변천사항

▪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

2) 조사방법

가) 시료 채취

▪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투망, 뜰채, 족대, 권망, 자망 및 낚시를 사용하며, 수심 1 m 이

상의 강이나 호소에서는 자망과 삼각망을 이용

▪ 망을 이용한 포획 시 어종의 크기를 고려하여 망의 눈금을 달리함

▪ 포획횟수 및 시간은 어류상을 대변할 수 있는 유의한 수준으로 결정

나) 시료 보존 및 관찰

▪ 2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 및 보존하며 미세 형질은 해부현미경 또는 광학현미경하에

서 관찰하여 동정

Page 3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 -

제3장 연구결과

제1절 영랑호

1. 호소의 이용현황

가. 호소 및 유역의 일반현황

영량호는 강원도 속초시에 위치하며, 호소면적 0.96 km2, 수변길이 7.8 km, 연평균 수위 4 m,

유역면적 9.22 km2에 이른다. 영랑호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으로는 장천이 있다(표 3-1-1-1).

호소명 영랑호

행정구역 강원도 속초시

GPSN 38° 13' 06.00"E 128° 34' 50.60"

호소면적(km2) 0.96

수변길이(km) 7.8

연평균수위(m) 4

유입하천 장천

유로연장(km) 3.9

유역 내행정구역(동리)

금호동, 장사동 전체,영랑동, 동명동 일부

유역면적(km2) 9.22

<표 3-1-1-1> 영랑호 유역의 일반현황

나. 용수 이용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는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발전용수, 유지용수로의 용수이용을 하

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4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 -

다. 내수면 이용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에는 양식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낚시금지구역지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터 또한 없었다(표 3-1-1-2).

호소명 지정기간 지정면적(km2) 비고

영랑호 1998.5.25∼계속 호소전역 -

주) 동해안 석호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 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최종보고서(2008)

<표 3-1-1-2> 영랑호의 낚시금지구역지정 현황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가. 인구현황

영랑호 배수유역 내의 총인구는 13,030명으로 확인되었다(표 3-1-2-1).

읍면동 리 계

하수처리구역

시가지역(명) 비시가지역(명)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영랑동 4,250 3,205 918 99 28

동명동 1,960 1,842 0 118 0

금호동 4,819 2,459 95 2,181 84

장사동 2,001 213 47 1,422 319

계 13,030 7,719 1,060 3,820 431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1-2-1> 영랑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나. 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영랑호로 직접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업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 축산현황

영량호의 배수유역이 포함된 속초시의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의 수는 총 1,450

마리였으며, 그 중 개가 47 % 정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표 3-1-2-2).

Page 4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 -

시군구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 계

속초시 571 21 47 72 684 55 1,450

주) 2010년 속초시 통계연보

<표 3-1-2-2> 속초시의 축산현황(마리)

라. 산업현황

영랑호 배수유역 내에 위치한 폐수발생업체는 총 9개소로 폐수발생량은 90.5 m3/일로 나타

났다(표 3-1-2-3).

시군구 읍면동 리 폐수발생업체수(개소) 폐수발생량(m3/일)

속초시

영랑동 2 18.5

장사동 6 62.0.

금호동 1 10.0

동명동 - -

계 9 90.5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1-2-3> 속초시 산업현황

마. 토지이용 ․ 규제현황

영랑호 배수유역 내 임야의 비율이 전체의 39 %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외

기타, 대지, 답, 전 등의 순으로 토지가 이용되고 있었다(표 3-1-2-4).

시군구 읍면동 전 답 임 야 대지 기타 합계

속초시

영랑동 32,903.0 0.0 23,016.0 270,273.0 175,432.0 501,624.0

동명동 23,634.0 1,998.0 125,972.0 354,342.0 277,979.0 783,925.0

금호동 47,749.0 19,619.0 289,840.0 321,116.2 427,160.9 1,105,485.1

장사동 285,539.0 598,081.0 3,232,415.0 500,241.0 2,449,560.0 7,065,836.0

합계 389,825.0 619,698.0 3,671,243.0 1,445,972.2 3,330,131.9 9,456,870.1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1-2-4> 영랑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2010년, ㎡)

바. 환경기초시설 현황

영랑호 배수유역 내에는 환경 기초 시설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 -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영랑호 유역의 발생부하량 산정시 적용하는 발생원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

자료가 없는 경우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에서 제시하는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였다.

가. 발생부하량

1) BOD 발생부하량

영랑호 유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표 3-1-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989.79 ㎏/일이며,

생활계 발생부하량이 651.66 ㎏/일로 66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 BOD 발생부

하량은 12.5 ㎏/일로 2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BOD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651.66 66

축산계 325.63 32

산업계 12.5 2

합계 989.79 100

<표 3-1-3-1> BOD 발생부하량(㎏/일)

2) TN 발생부하량

영랑호 유역의 TN 발생부하량은 <표 3-1-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1.95 ㎏/일이며, 생

활계가 148.32 ㎏/일로 65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 발생부하량이 7.2 ㎏/

일로 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TN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148.32 65

축산계 76.43 32

산업계 7.2 3

합계 231.95 100

<표 3-1-3-2> TN 발생부하량(㎏/일)

Page 4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 -

3) TP 발생부하량

영량호 유역의 TP 발생부하량은 <표 3-1-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40.54 ㎏/일이며, 축산

계가 22.90 ㎏/일로 55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발생부하량은 0.6 ㎏/

일로 3 % 미만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P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17.04 42

축산계 22.90 55

산업계 0.6 3 미만

합계 40.54 100

<표 3-1-3-3> TP 발생부하량(㎏/일)

나. 배출부하량

1) BOD 배출부하량

영량호 유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표 3-1-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657.01 ㎏/일이며,

생활계가 358.42 ㎏/일로 55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BOD 배출부하량은

3.96 ㎏/일로 0.6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BOD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358.42 55

축산계 294.63 44.4

산업계 3.96 0.6

합계 657.01 100

<표 3-1-3-4> BOD 배출부하량(㎏/일)

2) TN 배출부하량

영량호 유역의 TN 배출부하량은 <표 3-1-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7.86 ㎏/일이며, 축

산계가 76.11 ㎏/일로 71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 배출부하량은 2.08

㎏/일로 1.8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age 4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 -

TN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29.67 27.2

축산계 76.11 71

산업계 2.08 1.8

합계 107.86 100

<표 3-1-3-5> TN 배출부하량(㎏/일)

3) TP 배출부하량

영량호 유역의 TP 배출부하량은 <표 3-1-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6.72 ㎏/일이며, 축산

계가 22.90 ㎏/일로 84.5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배출부하량은 0.41 ㎏

/일로 1.5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P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3.41 14

축산계 22.90 84.5

산업계 0.41 1.5

합계 26.72 100

<표 3-1-3-6> TP 배출부하량(Kg/일)

4. 호소의 수질

가. 환경요인

2011년도 4월부터 10월까지 4회(4월, 6월, 8월, 10월)에 걸쳐 조사된 영랑호의 수질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수온, pH, DO, 전기전도도, 염도는 수질다항목측정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측정한 값을 기록하였으며, 투명도는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탁도 값을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그

밖의 수질 항목들은 채수 후 냉장 보관하여 운반한 시료를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의거하여 실

험실에서 분석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는 다음에 간략히 기술하였으며 상세 결과는 표와 그림으

로 나타내었다(표 3-1-4-1 및 그림 3-1-4-1). 또한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1의 호소생활

환경기준에 의거하여 수질 등급을 판정하였다.

Page 4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 -

1) 수온

영랑호의 수온은 각 계절별 기온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영랑호의 수온은 최소 9.9 ℃

(10월, YR02)~ 최대 28.8 ℃ (8월, YR01)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2) pH

pH는 최소 7.5(10월, YR01, YR02)에서 최대 9.0(8월, YR01)으로 측정되었다. 영랑호의 pH

값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고수온기로 갈수록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DO

용존산소(DO)의 농도는 10.8 ~ 16.9 mg/L의 범위였다. 용존산소 농도의 최고값을 보인 지

점은 8월 YR01(16.9 mg/L) 지점이었으며, 최소값은 10월 YR01(10.8 mg/L) 지점이었다.

4) BOD

영랑호 2개 지점에 대해 4회 분석한 BOD 농도는 최고 7.2 mg/L (8월, YR01)로 나타났으

며 최소 1.0 mg/L (10월, YR01, YR02)이었다. 앞서 서술한 pH와 DO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영랑호의 BOD 농도는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5) COD

영랑호의 COD 농도는 조사 시기와 조사 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춘

계인 4월에는 YR01 2.5 mg/L와 YR02 2.4 mg/L로 COD 농도가 비교적 낮게 분석된데 반해 고

수온기인 6월에는 최고 15.5 mg/L (YR02)로 분석되었으며, 8월에는 YR01 지점에서 최고값

(15.6 mg/L)을 나타냈다. 그러나 같은 해 8월 바다와 인접한 YR02 지점의 농도는 5.0 mg/L으

로 나타났다.

6) SS

영랑호의 부유고형물(SS) 농도는 최소 4.5 mg/L (10월, YR01)에서 최대 22.0 mg/L (4월,

YR01)로 나타났다. 영랑호의 부유고형물농도는 4월과 6월에 다소 높았다가 8월 이후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7) 투명도

영랑호의 투명도 측정 결과는 평균 0.3 m로 나타났다. 투명도 측정 결과가 가장 낮게 나타

Page 4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 -

난 지점은 6월 YR01 지점(0.02 m)였으며, 가장 높게 나타난 지점은 8월 YR02 지점(0.54 m)로

확인되었다. 영랑호 수질의 투명도 값은 SS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8월 이후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8) 전기전도도

전기전도도 측정값은 춘계인 4월에는 24,100 μS/cm (YR01)과 26,000 μS/cm (YR02)로 낮

았으나, 6월 이후 5,1000,000 μS/cm(8월, YR02) ~ 16,500,000 μS/cm(10월, YR01)로 측정되었다.

9) 염도

4회에 걸쳐 영랑호의 2개 조사 지점에서 측정된 염분농도는 2.5 ‰ (8월, YR01)에서 15.3

‰ (4월, YR02)로 측정되었다. 영랑호는 수문을 경계로 바다와 접하고 있는 석호로서 해수의

영향으로 인해 내륙의 담수호들에 비해 염분농도가 비교적 높은 것(평균 7.8 ‰)으로 나타났으

나, 금년 4월부터 9월까지 속초시 인근 해양의 염분농도가 30 ‰(국립해양조사원 2011년도 관측

자료 기준) 이상인 것에 비교할 때 영랑호는 해수의 영향보다는 담수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0) 총질소

영랑호의 2개 조사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의 총질소 농도는 최소 0.730 mg/L (8월, YR01)

와 최대 2.390 mg/L (10월, YR01)의 범위로 나타났다.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의거하여 총질소 농

도에 의한 수질 등급을 분석한 결과 영랑호의 수질은 연중 “약간 나쁨” 이하 등급을 나타냈다.

11) 질산성 질소

질산성질소 농도는 0.160 mg/L (6월, YR01)에서 0.801 mg/L (10월 YR02)의 범위로 측정

되었다. 영랑호의 평균 질산성질소 농도는 0.402 mg/L로 나타났다.

12) 암모니아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의 최대 측정값을 나타낸 지점은 6월 YR02의 0.947 mg/L로 확인되었

다. 10월 채수한 시료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13) 총인

영랑호 수체의 총인 농도는 매 조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월 조사에서

Page 4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 -

채수한 시료의 총인 농도는 0.18 mg/L (YR01)과 0.15 mg/L (YR02)로 나타나 호소생활환경기

준 “매우 나쁨” 등급을 나타냈었으며, 4월 채수한 시료는 “약간 나쁨” 그리고 6월 채수한 시료

는 “나쁨” 등급을 나타냈다. 8월 채수한 시료의 총인 농도는 YR01은 0.03 mg/L와 YR02는 0.04

mg/L로 나타나 “약간 좋음” 등급을 나타냈다.

14) 인산염인

영랑호의 2개 지점은 4월과 6월에 채수한 시료에서만 인산염인이 검출되었다. 4월 시료에

서는 0.015 mg/L (YR01)과 0.024 mg/L (YR02)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6월 시료에서는 0.146

mg/L (YR01)과 0.263 mg/L (YR02)의 농도로 인산염인이 검출되었다.

15) 총대장균군수

영랑호 수체 내의 총대장균군수는 최소 9 CFU/mL(6월, YR02)에서 최대 2000 CFU/mL(4

월, YR01)로 측정되었다.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의하면 4월 시료는 “약간 나쁨”(YR01)과 “보

통”(YR02) 등급을 보이고 있으며 6월과 8월 시료는 “보통” 또는 “약간 좋음” 등급을 보이고 있

다. 그리고 10월 시료는 “약간 나쁨” 등급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16) 분원성대장균군수

영랑호에서 채수한 시료의 분원성대장균군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가 호소생활환경기준

“좋음” 이상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0월 채수한 시료에서는 분원성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17) TOC

총 유기탄소(TOC)의 농도는 전 조사 기간에 걸쳐 변화의 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

랑호 수체 내의 유기탄소 농도는 평균 3.303 mg/L로 나타났으며, 6월 YR02 지점의 3.783 mg/L

가 최고값으로 확인되었다. 8월 YR02 지점의 2.596 mg/L이 최저값으로 확인되었다.

18) 페놀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영랑호 2개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는 페놀류가 검출되지 않았다.

Page 4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 -

측정항목4월 6월 8월 10월

YR01 YR02 YR01 YR02 YR01 YR02 YR01 YR02

수온 (℃) 11.3 11.0 22.9 22.3 28.8 28.0 10.8 9.9

수소이온농도 (pH) 8.6 8.2 8.2 8.6 9.0 8.7 7.5 7.5

DO (㎎/L) 11.4 11.4 11.0 14.6 16.9 12.2 10.8 12.1

BOD (㎎/L) 3.0 2.8 4.1 4.3 7.2 6.8 0.1 1.0

COD (㎎/L) 2.5 2.4 11.0 15.5 15.6 5.0 8.0 11.0

SS (㎎/L) 22.0 12.3 14.5 9.5 6.5 5.5 4.5 5.0

투명도 (m) 0.22 0.35 0.02 0.24 0.46 0.54 0.41 0.43

전기전도도 (㎲/㎝) 24,100 26,000 6,380,000 9,350,000 4,720,000 5,100,000 16,500,000 16,000,000

Salt (‰) 14.4 15.3 3.5 5.2 2.5 2.7 9.6 9.3

Salt (ppm) 14,400 15,300 3,500 5,200 2,500 2,700 9,600 9,300

총질소 (㎎/L) 1.079 0.855 2.270 1.840 0.730 0.740 2.390 2.220

질산성질소 (㎎/L) 0.198 0.204 0.386 0.160 0.464 0.300 0.704 0.801

암모니아성질소 (㎎/L) 0.551 0.302 0.239 0.947 0.165 0.150 ND ND

총인 (㎎/L) 0.072 0.074 0.110 0.130 0.030 0.040 0.180 0.150

인산염인 (㎎/L) 0.015 0.024 0.146 0.263 ND ND ND ND

총대장균군 (CFU/㎖) 58 45 28 9 <30 42 2200 285

분원성대장균군 (CFU/100㎖) 30 17 11 3 30 17 ND ND

Chl-a (㎎/㎥) 12.7 12.7 20.3 32.4 3.2 2.1 15.5 21.9

현존량 (cell/㎖) 1,042.5 1,630.0 953.1 3,062.5 1,431.3 962.5 1,350.0 1,550.0

TOC (㎎/L) 3.541 3.532 3.647 3.783 2.732 2.596 3.214 3.380

페놀 (㎎/L) ND ND ND ND ND ND ND ND

TDS (g/L) 15.7 16.8 4.2 6.1 3.1 3.3 10.7 10.4

탁도 (NTU) 12.2 7.6 42.3 19.8 8.6 7.2 9.9 9.4

  매우좋음(Ia)   좋음(Ib)   약간좋음(II)   보통(III)   약간나쁨(IV)   나쁨(V)   매우나쁨(VI)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호소생활환경기준*ND: 불검출

<표 3-1-4-1> 영랑호의 수질 조사 결과

Page 4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 -

(a) 수온 (b) pH

(c) DO (d) BOD

(e) COD (f) SS

<그림 3-1-4-1> 영랑호(YR)의 수질(수온, pH, DO, BOD, COD, SS)

Page 5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 -

(g) 투명도 (h) EC

(i) 염도 (j) 총질소(TN)

(k) 질산성 질소 (l) 암모니아성 질소

<그림 3-1-4-1> 계속(투명도, EC, 염도, 총질소,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

Page 5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 -

(m) 총인(TP) (n) 인산염

(o) 엽록소-a 농도 (p) 총대장균수

(q) 분원성 대장균수 (r) TOC

(s) 페놀

<그림 3-1-4-1> 계속(총인, 인산염, 엽록소-a 농도, 총대장균수, 분원성 대장균수, TOC, 페놀)

Page 5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 -

5. 호소의 생물상

가. 식물플랑크톤

1) 출현종

2011년도 4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실시한 조사를 통해 영랑호 2개 지점으로부터 확인된

식물플랑크톤은 6문 18과 44속에 속하는 96분류군(82종 6변종 1품종 7미동정종)으로 나타났다.

96분류군 중 황갈조식물문 규조강에 속하는 식물의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으며(75분류군, 79%),

그 다음으로는 10분류군이 출현한 남조식물의 순이었다(그림 3-1-5-1). 각 조사 시기의 지점에

따른 출현 분류군수를 살펴보면 2개 조사 지점 모두 4월에 출현한 분류군수가 가장 많았으며, 1

0월에 출현한 분류군수가 가장 적었다.

12%

79%

1% 1%

7%

Cyanophyceae

Bacillariophyceae

Dinophyceae

Euglenophyceae

Chlorophyceae

<그림 3-1-5-1> 영랑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비

2) 현존량과 엽록소 농도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지점 YR02에서는 6월 급증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지점

YR01에서는 증가하고 감소하는 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Chl-a 농도 변화는 2개 지점 모두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하였다(그림 3-1-5-2).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측정 결과 최대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6월 YR02 지점(3,062.5 cells/m

L)이었으며, 가장 낮은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같은 6월 지점 YR01(953.1 cells/mL)로 확인되었

다. Chl-a 농도의 최대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6월 YR02 지점(32.4 mg/m3)이었으며, 가장 낮은

Chl-a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8월 YR02(2.1 mg/m3)으로 확인되었다. YR02 지점의 식물플랑크

톤 현존량 변화 경향과 Chl-a 농도 변화 경향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해당 지점으로부터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 구성이 다른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age 5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 -

(a) 현존량 (b) Chl-a 농도

<그림 3-1-5-2>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3) 우점종

2011년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된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규조식물 2분류군과

유글레나식물 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4월과 8월에는 영랑호 2개 조사 지점 모두에서 규조식

물인 Cyclotella striata가 우점하였으며 6월에는 같은 규조식물인 Skeletonema costatum이 우

점 하였다. 추계인 10월에는 유글레나식물인 Euglena gigas가 2개 지점 모두에서 우점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표 3-1-5-1).

조사 시기 조사 지점 우점종 우점율(%)

4월YR01 Cyclotella striata 64.6

YR02 Cyclotella striata 79.8

6월YR01 Skeletonema costatum 38.2

YR02 Skeletonema costatum 51.3

8월YR01 Cyclotella striata 60.5

YR02 Cyclotella striata 60.6

10월YR01 Euglena gigas 34.5

YR02 Euglena gigas 35.7

<표 3-1-5-1> 영랑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4) 군집지수

영랑호의 2개 조사 지점 중 YR01 지점의 다양도지수는 최소 1.39(4월)에서 최대 2.12(6월)

범위로 측정되었다. YR02 지점의 다양도지수는 최소 1.03(4월)에서 최대 1.96(6월, 8월)으로 나

타나 영랑호 수역에서는 YR01 지점의 다양도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풍부도지수는

YR01 지점과 YR02 지점 모두 4월 가장 높았는데, 이는 춘계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수가

가장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월 YR01 지점과 YR02 지점의 균등도 지수는 4회 조

사 기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정종의 4월에 출현한 분류군수가 전체 조사

Page 5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8 -

기간 중 가장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특정종의 우점율이 월등히 높았던 것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

된다(표 3-1-5-2).

조사 시기 조사 지점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 균등도지수(E')

4월YR01 1.39 6.33 0.37

YR02 1.03 4.33 0.29

6월YR01 2.12 2.92 0.70

YR02 1.96 3.49 0.58

8월YR01 1.49 2.61 0.50

YR02 1.48 2.77 0.50

10월YR01 2.03 2.50 0.69

YR02 1.96 2.04 0.71

<표 3-1-5-2> 영랑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 호소의 부영양화 평가

TSI 지수 산정 후 영랑호의 영양단계를 판정한 결과 TSI(SD) 측정값은 영랑호 수역이 연

중 부영양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SI(Chl) 측정값은 8월(중영양화 단계)을 제외한 모

든 조사시기에서 부영양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TSI(TP) 측정값은 10월 YR02를

제외한 전 지점에서 부영양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TSI에 의한 측정 결과에서는 부

영양화 단계에 있는 8월을 제외한 전 조사 기간 동안 영랑호의 수질이 과영양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1-5-3).

<그림 3-1-5-3> 부영양화 지수(TSI, LTSI)에 의한 영랑호의 영양등급 판정

Page 5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9 -

나. 대형수생식물

1) 식물상

가) 식물상 구성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 영랑호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66과 173속 208종 27변종 4품종으

로 총 239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3과 3속 2종 1변종으로 총 3분류군, 나자식

물은 4과 7속 8종 1변종으로 총 9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165분

류군과 62분류군이 출현하였다(표 3-1-5-3).

구 분 과 속 종 변종 품종 분류군

양치식물 3 3 2 1 - 3

나자식물 4 7 8 1 - 9

피자식물쌍자엽식물 51 118 143 18 4 165

단자엽식물 8 45 55 7 - 62

계 66 173 208 27 4 239

<표 3-1-5-3> 영랑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나) 수습생식물

영랑호에서 각각의 수습생식물 분류군 수는 침수식물 2분류군, 부엽식물 1분류군, 정수식물

7분류군, 습생식물 36분류군으로 총 46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과 습생식물이 전체 식물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영랑호 전체에서 19.3%이었다(표 3-1-5-4).

수습생식물 분류군

수생식물

침수조류 -

침수식물 2

부엽식물 1

부수식물 -

정수식물 7

소계 10

수생식물 구성비율(%) 4.2

습생식물 36

습생식물 구성비율(%) 15.1

<표 3-1-5-4> 영랑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환경부(2006)에 의하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1,116분류군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분류

군은 Ⅴ등급 237분류군, Ⅳ등급 242분류군, Ⅲ등급 279분류군, Ⅱ등급 107분류군, Ⅰ등급 251분

Page 5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0 -

류군으로 구분한다.

Ⅴ등급(평가점수 10)은 국내에 고립되어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분포지

역이 가장 협소한 지역에 나타나는 분류군이고, Ⅳ등급(평가점수 8)은 북방계나 남방계 식물로서

1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Ⅲ등급(평가점수 6)은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Ⅱ등급(평

가점수 4)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고도 약 1,000m 이상인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Ⅰ등급(평

가점수 2)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이지만 3개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한다.

영랑호에서 I등급, II등급, III등급, IV등급, V등급종은 각각 9, 4, 1, 2, 1분류군으로 총 17분

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66점으로 나타났으며,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30점으로 나타났다(표 3-1-5-5).

학 명 국 명 등 급

소나무과 ( Pinaceae )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Ⅰ

Pinus koraiensis S. et Z. 잣나무 Ⅰ

주목과 ( Taxaceae )    

Taxus cuspidata S. et Z. 주목 Ⅱ

자작나무과 ( Betulaceae )    

Alnus hirsuta Turcz 물오리나무 Ⅰ

참나무과 ( Fagaceae )  

Quercus variabilis BL. 굴참나무 Ⅰ

장미과 ( Rosaceae )    

Prunus yedoensis MATSUMURA 왕벚나무 Ⅴ

콩과 ( Leguminosae )    

Lathyrus quinquenervius (Miq.) Litv. 연리초 Ⅰ

Wistaria floribunda (Willd.) DC. 등나무 Ⅳ

단풍나무과 ( Aceraceae )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Ⅲ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Ⅰ

회양목과 ( Buxaceae )    

Buxus microphylla var. insularis Nakai 회양목 Ⅰ

현삼과 ( Scrophulariaceae )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좁쌀풀 Ⅱ

국화과 ( Compositae )    

Achillea alpia Linnaeus 톱풀 Ⅱ

Aster spathulifolius MAXIM. 해국 Ⅰ

가래과 ( Potamogetonaceae )    

Ruppia maritima L. 줄말 Ⅰ

붓꽃과 ( Iridaceae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 NAKAI 꽃창포 Ⅱ

벼과 ( Gramineae )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Ⅳ

<표 3-1-5-5> 영랑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Page 5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1 -

라) 귀화식물

귀화식물은 기존의 식물상과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생태적 지위를 반영하는데 상당히 중

요하게 취급할 수 있다.

국립환경연구원(2004)에서 발표한 귀화식물목록 287종 중 본 조사에서는 8과 21속 26종 1

변종 2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인간의 간섭에 의한 자연의 파괴도의 표시 지수로 사용되는 도시

화지수(UI=일정지역에 나타나는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100)는 우리나라에 분

포하는 귀화식물 287분류군에 대하여 9.4%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관속식물 239

분류군에 대한 귀화율(NR=귀화식물 종수/조사지역의 총 출현식물 종수×100)은 11.3%로 나타났

다(표 3-1-5-6).

영랑호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환경부에서 고시한 11종 중 애기수영, 돼지풀, 미

국쑥부쟁이의 3종이 확인되었다.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여뀌과 ( Polygonaceae )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H R2-3 D4 pr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H R5 D4 ps

자리공과 ( Phytolaccaceae )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G R5 D2 e

석죽과 ( Caryophyllaceae )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Th(w) R5 D4 b

십자화과 ( Cruciferae )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Th(w) R5 D4 ps

콩과 ( Leguminosae )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N R5 D4 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MM R5 D3 e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H R3 D4 e,b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Ch R4 D4 p

바늘꽃과 ( Onagraceae )    

Oenothera odorataJACQ. 달맞이꽃 Th(w) R5 D4.1 pr

국화과 ( Compositae )    

Achillea millefolium L. 서양톱풀 CH R2-3 D4 pr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L.) Desc. 돼지풀 Th R5 D4 e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H R5 D1 e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H R5 D1 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Th R4 D1.2 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H R5 D1 e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Th, Th(w) R5 D1 e

<표 3-1-5-6> 영랑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Page 5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2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Th R5 D1 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Th(w) R5 D1 pr

Erigeron bonariensis L. 실망초 Th(w) R5 D1 pr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Th(w) R5 D1 pr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G R3(t) D4 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Th(w) R5 D1 e,b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H R3(v) D1 r

벼과 ( Gramineae )    

Bromus tectorum L. 말귀리 H R5 D4 t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H R3 D4 t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

과 8

분류군 27

<표 3-1-5-6> 계속

휴면형 (Th : 1년생식물(Therophytes), G : 지중식물(Geophyte), H : 반지중식물 (Hemicryptophytes), Ch : 지표식물(Chamaephytes), HH : 수생식물(Hydatophytes), N : 저목, 미소지상식물(Nanophanerophytes), M :아고목, 소형지상식물(Microphanerophytes), MM : 대고목, 대형지상식물(Megaphanerophytes), E : 착생식물(Epiphyten))

번식형(R(1∼5) : 지하기관형, D(1∼4) : 산포기관형)생육형(e: 직립형. b: 분지형, t: 총생형, l: 넌출형, p: 포복형, r: 로제트형, pr: 일시적 로제트형, ps: 로제트-직립형)

2) 대형수생식물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범위

영랑호에서 가장 우점하는 식물군락은 갈대군락이었는데, 전체 수생식물의 97.6%를 차지하

였고,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이 우점하며 분포하였다. 영랑호에서 가장 우점하는 갈대군락은 호

안을 따라 분포하고, 애기부들군락은 영랑호의 유입하천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고마리, 물억새,

큰고랭이 등이 개체단위로 갈대군락 안에 분포하였다. 영랑호는 호소 주변을 따라 공원, 골프장,

펜션, 자전거 도로 등이 형성되어 있어, 도로변에 왕벚나무가 식재되어있으며, 호소 둘레를 중심

으로 인공적으로 수습생식물을 식재하여 복원한 인공호 안에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표

3-1-5-7 및 그림 3-1-5-4∼5).

가) St. 1

본 지점은 영랑호에서 족제비싸리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으로 식생천이과정 중 소택관목지

식생을 나타내는 지점이다. 본 지점의 수체 밖으로 형성된 나지에는 정수식물인 갈대가 분포하

고 있고, 갈대군락 외부에는 족제비싸리군락이 위치하고 있다. 족제비싸리군락과 외부에 위치하

는 도로 사이에는 왕벚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Page 5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3 -

나) St. 2

본 지점은 영랑호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지점으로서 식생천이과정 중 소택관목지 식

생을 나타내는 지점이다. 정수식물인 갈대가 수체 안쪽까지 분포하며 갈대군락 외부로는 족제

비싸리가 분포하고, 족제비싸리군락과 갈대군락사이에 갯버들이 개체단위로 분포하고 있다.

다) St. 3

본 지점은 영랑호의 인공섬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수체 밖으로 형성된 나지에는 정수식물인

갈대와 쑥이 분포하고 있고, 인공섬 내부에는 갈대와 족제비싸리가 분포하고 있다.

구분 식생유형 면적(m2)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53,137 97.6

정수식물 애기부들 1,320 2.4

합계 54,457 100.0

<표 3-1-5-7> 영랑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그림 3-1-5-4> 영랑호의 현존식생도

Page 6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4 -

갈대군락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그림 3-1-5-5> 영랑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Page 6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5 -

3) 각 군락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및 밀도

영랑호에서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습생식물인 물억새군락, 정수식물인 애기부들군락의 순으로 낮아졌다(표 3-1-5-8). 단위면적당

평균 건중량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수식물인 애기부들군락, 습

생식물인 물억새군락의 순으로 낮았다(표 3-1-5-8). 또한 단위면적당 평균 수분함량은 정수식

물인 애기부들군락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습생식물인 물억새군락, 정수식물인 갈대군락

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3-1-5-8).

생활형 군락명 생중량(g/m2) 건중량 수분함량(%)

정수식물 갈대 2,616.0 1,233.3 52.9

정수식물 애기부들 1,688.0 1,205.9 67.3

습생식물 물억새 1,996.0 655.8 67.1

<표 3-1-5-8> 영랑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영랑호의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66.7 ton/yr)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1.6 ton/yr), 습생식물인 물억새군락(0.2 ton/yr)의 순으로 나

타났다(표 3-1-5-9).

생활형 군락명 지상부 순 1차 생산성(ton/yr)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66.7 97.4

정수식물 애기부들 1.6 2.3

습생식물 물억새 0.2 0.3

합계 68.5 100.0

<표 3-1-5-9> 영랑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영랑호에 분포하는 정수식물인 갈대군락 및 애기부들군락과 습생식물인 물억새군락의 단위

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1 ㎡당 각각 147.8, 306.8, 114.0개체로서 애기부들군락의 밀도가 가장

높았고, 물억새군락의 밀도가 가장 낮았다(표 3-1-5-10).

생활형 군락명 밀 도

정수식물 갈대 147.8

정수식물 애기부들 306.8

습생식물 물억새 114.0

<표 3-1-5-10> 영랑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개체수/㎡)

Page 6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6 -

다. 대형무척추동물

과거 문헌조사 결과, 2008년 석호정밀조사결과에서 확인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6종이었

으며, 2009년 석호정밀조사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영랑호의 총 4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대

형무척추동물은 총 19종이 출현하였다(원주청, 2008, 2009). 본 조사의 경우, 영랑호의 2개 조사

지점에서 1차(봄) 조사 시 4문 5강 11목 13과 14종, 2차(여름) 조사 시 3문 4강 8목 9과 12종을

확인하여, 총 4문 5강 12목 15과 20종이 출현하였다. 이중 갑각강이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

현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연체동물문이 7종, 환형동물문이 4종, 편형동물문이 1종이 출현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표 3-1-5-11).

학 명 국 명 2008 2009 본조사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sp. 플라나리아류 ●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 ●

Assiminea japonica 기수우렁이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과

Physa acuta 왼돌이물달팽이 ●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Mytiloida 홍합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Mytilus edulis 진주담치 ●

Musculus senhausia 종밋 ● ●

Order Pterioida 익각목

Family Ostreidae 굴과

Crassostrea gigas 굴 ●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Psammobiidae 자패과

Nuttallia ezonis 흑빛자패 ● ●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

Corbicula papyracea 엷은재첩 ●

Family Veneridae 백합과

Ruditapes philippinarus 반지락 ● ●

<표 3-1-5-11> 영랑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Page 6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7 -

학 명 국 명 2008 2009 본조사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과

Potamocorbula amurensis 쇄방사늑조개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Order Phylldocida 부채발갯지렁이목

Family Phyllodocidae 부채발갯지렁이과

Eteone longa 작은부채발갯지렁이 ●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Tylorrhynchus heterochaetus 실참갯지렁이 ●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 ●

Prionospio japonicus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

Order Capitellida 버들갯지렁이목

Family Capitellidae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 spp. 버들갯지렁이류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Thoracica 완흉목

Balanus improvisus 흰따개비 ● ● ●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

Gnorimosphaeroma rayi 갯가잔벌레 ● ●

Family Mysidae 곤쟁이과

Neomysis intermedia 부새우 ●

Order Amphipoda 단각목 ●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

Family Talitridae 도약옆새우과

Platorchestia crassicornis 도약옆새우 ●

Family Caprellidae   바다대벌레과

Caprellidae spp. 바다대벌레류 ●

Order Tanaidacea 주걱벌레붙이목

Tanaidacea cavolinii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modestus 각시흰새우 ●

Palaemon serrifer 줄새우아재비 ●

Palaemon macrodactylus 붉은줄참새우 ● ● ●

Palaemon gravieri 그라비새우 ●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 ●

<표 3-1-5-11> 계속

Page 6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8 -

학 명 국 명 2008 2009 본조사

Family Grapsidae 바위게과

Hemigrapsus sanguineus 무늬발게 ● ●

Hemigrapsus penicillatus 풀게 ● ●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Cercion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Tipula sp. 각다귀류 ●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us salinarius 짠물깔따구 ●

Chironomidae sp.1 깔따구 sp1. ●

Chironomidae sp.2 깔따구 sp2. ●

Family Ephydridae 물가파리과

Ephydridae sp. 물가파리류 ●

총 출현종수 16 19 20

2008.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

2009.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I)

<표 3-1-5-11> 계속

2) 출현종수의 변동

각 조사지점에 따른 출현종수는 유입부인 YR01에서 총 출현 분류군수가 4문 5강 12목 15

과 18종으로 가장 다양하였으며, 유출부인 YR02에서는 총 3문 4강 9목 10과 11종으로 다소 적

었다(표 3-1-5-12). 전체적으로 영랑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10.5(±3.8)종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1-5-6(a)). 조사지점 YR01의 경우 잘 발달된 수변식생대를 근간으로 비교적 다양한 종이 서

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유출부인 YR02는 호안이 콘크리트의 인공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고

미소서식환경이 비교적 균질하여 상대적으로 생물상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분류군

YR01 YR02 Total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편 형 동 물 문 1 0 0 0 1 0

연 체 동 물 문 5 5 4 5 5 6

환 형 동 물 문 4 1 2 1 4 1

절 지 동 물 문 갑 각 강 4 4 2 2 4 5

전체 14 10 8 8 14 12

<표 3-1-5-12> 영랑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Page 6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49 -

(a) 출현종수 (b) 출현종 구성비(%)

<그림 3-1-5-6> 영랑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3) 출현 개체수 밀도

정량조사를 통하여 얻은 생물시료를 통하여 산출된 개체수 밀도를 살펴보았을 때 영랑호는

1차 조사에서 평균 218 개체/m2, 2차 조사시 평균 193 /m2개체로 호소평균 205/m2개체가 출현

하였다. 이 중에서 환형동물문이 평균 96 개체/m2로 환산되어 전체 개체수 밀도의 46.6 %를 차

지하여 가장 높은 개체수 밀도를 보였다(표 3-1-5-13). 그 다음으로는 연체동물문이 평균 79

개체/m2로 38.7 %를, 갑각강은 평균 30 개체/m2로 14.6 %를 점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1-5-7).

각 지점별로는 YR01에서 평균 311 개체/m2로 개체수 밀도가 가장 높았다. 특히 본 조사

지점에서는 갯지렁이류가 포함된 다모강(Polychaeta)은 단위면적당 개체수 밀도가 평균 168 개

체/m2로 총 밀도의 약 52.5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 지점 YR02에서는 평균

99 개체/m2의 다소 빈약한 개체수 밀도를 보였는데, 이중 좀기수우렁이, 일본재첩, 쇄방사늑조

개, 종밋 등이 출현한 연체동물문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갑각강은 두 번의 조사에서 평균 5

개체/m2로 가장 적었다(그림 3-1-5-7).

조사지점분류군

YR01 YR02 평균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 체 동 물 문 120 58 45 95 83 76

환 형 동 물 문 220 115 28 20 124 68

절지동물문 갑 각 강 18 93 5 5 11 49

전체 358 265 78 120 218 193

<표 3-1-5-13> 영랑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개체/m2)

Page 6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0 -

(a) 개체수 밀도 (b) 개체수 점유율(%)

<그림 3-1-5-7> 영랑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4) 우점종 및 점유율의 변화

본 조사결과 영랑호에서 확인된 우점종은 두 조사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참갯지렁이

(Neanthes japonica)가 제1우점종에 해당되었으며, YR01 및 YR02 지점에서 각각 30.8 %와

32.3 %의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였다(표 3-1-5-14). 또한 제2우점종의 경우 YR01에서는

작은부채발갯지렁이(Eteone longa)가 28.0 %의 점유율을, YR02에서는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가 22.6 %의 점유율로 출현하였다(그림 3-1-5-8).

문헌조사 결과 본 조사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상기 3종은 2009년 정밀조사에서는 모두 출

현하지 않았으나 갑각강의 부새우(Neomysis intermedia)가 압도적인 개체수 밀도로 출현하여

차이를 보였다(원주청, 2009).

조사지점우점종 및 점유율(%)

제1우점종 % 제2우점종 %

YR011차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30.8 작은부채발갯지렁이(Eteone longa) 28.0

2차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43.4 흰따개비(Balanus improvisus) 27.4

YR021차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32.3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 22.6

2차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54.2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16.7

<표 3-1-5-14> 영랑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그림 3-1-5-8> 영랑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Page 6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1 -

5) 생체량 변화

각 조사 시기 및 조사 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은 다음의 <표 3-1-5-15>와 같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은 평균 10.4819 gDW/m2이었으며,

이 중 갑각강이 평균 8.6973 gDW/m2 으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부족강, 환

형동물문, 복족강, 편형동물문의 순으로 생체량을 나타냈다.

1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조사 지점에서의 생체량이 평균 2.7323 gDW/m2이었으며, 이 중

연체동물문의 부족강이 평균 2.5308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약 92.6 %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일본재첩 및 쇄방사늑조개 등 개체의 생체량이 높은 패류가 비교적 많았기

때문이다. 그 외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은 평균 0.1225 gDW/m2 (4.5 %), 환형동물문은 평균

0.0513 gDW/m2 (1.9 %)으로 측정되었다. 2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지점에서의 평균 생체량이

18.2316 gDW/m2이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7.2720 gDW/m2으로 측정되어

총 생체량의 약 94.7 %을 차지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개체의 생체량이 높은 흰따개비 및 풀게

등이 출현한 YR01 지점에서 생체량이 더욱 높았다.

지점별로는 YR01 지점이 평균 19.1215 gDW/m2이었으며, YR02가 평균 1.8383 gDW/m2으

로 유입부인 YR01에서 더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1차 조사에서는 두 지점 모두에서 전체 분류

군 중 부족강(YR01 : 3.0550 gDW/m2, 88.8%; YR02 : 2.0065 gDW/m2; 99.1%)의 생체량이 가

장 높았으며, 2차 조사시 YR01 지점은 전체 분류군 중 갑각강(34.0748 gDW/m2, 97.1%)의 생체

량이 가장 높았으며, YR02 지점은 부족강(1.1325 gDW/m2, 68.5%)이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조사지점분류군

YR01 YR02평균

1st 2nd 1st 2nd

편형동물문 0.0003 - - - 0.0001

환형동물문 0.0850 0.0445 0.0175 0.0030 0.0375

연체동물문*복족강 0.0550 0.0155 0.0003 0.0477 0.0296

부족강 3.0550 0.6760 2.0065 1.1325 1.7175

절지동물문갑각강 0.2450 34.0748 - 0.4693 8.6973

곤충강 - - - - -

전체 3.4403 34.8108 2.0243 1.6525 10.4819

* 연체동물문은 패각을 제외한 SFDW (shell-free dry weight)를 측정하였음.

<표 3-1-5-15> 영랑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 (단위: gDW/m2)

6) 군집지수의 변화

영랑호의 각 조사 지점에서 산출된 군집지수는 다음의 <표 3-1-5-16>과 같다.

우점도지수(DI)는 가장 근본적이고 고전적인 지수로서 군집 내에서 가장 높은 출현도를 보

이는 두 종의 개체수에 대한 총 개체수의 상대적 구성 비율을 의미하는데, 지수값이 높을수록

특정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즉 지수값이 1에 가까울수록 생태계 내

의 군집이 매우 단순함을 의미하며, 반대로 생물다양성과 안정성이 높은 생태계에서의 우점도

Page 6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2 -

지수는 낮다. 본 조사결과 1차 조사시 YR01 지점에서의 우점도지수가 YR02 지점보다 다소 높

았으나, 2차 조사결과 두 지점에서 동일하게 증가하여 우점도지수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그림

3-1-5-9(a)). 다양도지수(H')는 출현한 각 종의 개체수와 전체 출현개체수의 상대적인 출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수값이 높을수록 다양한 종이 안정적으로 서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랑

호에서의 다양도지수는 1차와 2차 조사에서 각각 YR01에서 2.49, 2.23이었으며, YR02에서 2.31,

2.09로 YR01이 YR02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1-5-9(b)).

풍부도지수(R1)는 출현한 생물의 총 종수와 총 개체수를 고려하여 존재하는 종의 구성이

어느 정도 높은가(또는 어느 정도 풍부한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지수로 다양도지수와 마

찬가지로 값이 높을수록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종에 의한 생태적 안정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

양도지수와 비교할 때 민감도가 뛰어나 공간적으로 여러 곳에 위치하는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상호 비교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수이다. 영랑호 각 지점에서의 풍부도지수 값의 결과에 따

른 생태적 안정성은 전체적으로 다소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YR01은 1차 조사에서 1.36,

2차 조사에서 1.61이었으며, YR02는 각각 1.15(1차), 1.46(2차)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1-5-9(b)).

균등도지수(J')는 종 조성이 어느 정도 균일한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안정적인 생태계에서는 높

은 값을 나타낸다. 즉 어느 장소에서 분포하는 종들이 완전히 균등하다면 그 값은 1이 되며, 이

는 하천생태계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종이 이루고 있는 군집구조가 안정화된 것으로부터 기인한

다고 볼 수 있다. 영랑호에서의 균등도지수는 YR02가 1차조사시 0.89, 2차 조사 시 0.70 비교적

높았으며, YR01은 1차조사시 0.79, 2차조사시 0.67로 YR02에 비해 낮았다(그림 3-1-5-9(a)).

군집지수

조사지점우점도지수(DI)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1) 균등도지수(J')

YR011차 0.59 2.49 1.36 0.79

2차 0.71 2.23 1.61 0.67

YR021차 0.55 2.31 1.15 0.89

2차 0.71 2.09 1.46 0.70

평균 0.64 (±0.08) 2.28 (±0.17) 1.40 (±0.19) 0.76 (±0.10)

<표 3-1-5-16> 영랑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a) 우점도지수(DI) 및 균등도지수(J’) (b) 다양도지수(H') 및 풍부도지수(R1)

<그림 3-1-5-9> 영랑호의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Page 6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3 -

7) 생태점수(ESB)에 따른 환경질 평가

현행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는 대체적으로 담수산 대형무척추동물을 중심으로 일부

기수에 서식하는 종이 포함되어 이들의 출현에 의하여 전반적인 환경상태에 대한 평가가 이루

어지고 있다. 그러나 영랑호에서 출현한 출현종의 대부분은 해산종 또는 기수종이었으며, 현재

까지 이와 같은 해산종의 환경질 점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본 석호에 대한

ESB의 적용 및 환경질 평가는 무의미할 것으로 판단되어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의 분

석은 배제하였다.

라. 어류

1) 어류의 분포 및 서식현황

영랑호에서의 출현종은 총 5목 6과 16종 723개체였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법정보호종으로

는 멸종위기동식물Ⅱ급인 가시고기 및 잔가시고기 2종이 채집되었으나, 천연기념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고유종 및 외래종의 출현은 확인하지 못하였다(표 3-1-5-17 및 그림

3-1-5-10).

학 명 국 명1차 2차

전체 RAYR01 YR02 YR01 YR02

Clupeiformes 청어목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1 10 14 25 3.46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1       1 0.14

Carassius auratus 붕어 6   14 6 26 3.60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42 62 32 52 188 26.00

Zacco platypus 피라미     8   8 1.11

Mugiliformes 숭어목            

Mugilidae 숭어과            

Mugil cephalus 숭어 1     2 3 0.41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24 6 4 1 35 4.84

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목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17 52     69 9.54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2       2 0.28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3     3 0.41

<표 3-1-5-17> 영랑호의 어류상

Page 7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4 -

학 명 국 명1차 2차

전체 RAYR01 YR02 YR01 YR02

Perciformes 농어목            

Sparidae 도미과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4 4 0.55

Gobiidae 망둑어과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48 31 3   82 11.34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25 17 5 2 49 6.78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67   89 27 183 25.31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2       2 0.28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27 16 43 5.95

과 4 5 4 5 6

종 11 7 9 9 16

개체수 235 172 192 124 723

<표 3-1-5-17> 계속

본 조사에서 출현한 16종 중 1차 담수어종이 5종(31%), 2차 담수어 3종(19%), 연안어가 8

종(50%)이 출현하였다(그림 3-1-5-11). 과별 비교풍부도를 보면 망둑어과가 전체 16종 중 5종

(31.3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잉어과 4종(25.0 %), 큰가시고기과 3종(18.8%), 숭어과 2종

(12.5 %), 청어과와 도미과가 각각 1종(6.3 %)이 출현하였다(표 3-1-5-17). 채집된 어류의 개체

수 구성비를 살펴보면 황어(26.0%)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흰발망둑(25.3%), 날망둑(11.3%),

큰가시고기(9.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3-1-5-12).

<그림 3-1-5-10> 영랑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Page 7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5 -

<그림 3-1-5-11> 영랑호의 1차 담수어와 2차담수어, 연안어의 구성비

황어

(Tribolodon hakonensis)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그림 3-1-5-12> 영랑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2) 어류상의 변화

영랑호에 대한 과거의 어류상 조사는 조와 박(1969)의 ‘영랑호의 육수학적 연구’와 변(1984)

의 ‘기수호의 환경 및 생물상 보고서’, 1993년에 속초시에서 조사한 ‘영랑호 오염방지 타당성 조

사 및 기본설계’ 보고서에서 일부 언급한 내용과 최 등(2007)의 ‘영랑호 어류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조사 및 원주청(2009)의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연구

및 관리방안’ 등의 조사가 있다. 문헌 조사 결과 조와 박(1969)은 영랑호 서식어종으로 총 12과

14종을 보고하였고, 변(1984)의 조사에서는 7과 10종이, 1993년의 조사에서는 9과 17종, 최 등

(2007)의 조사에서는 16과 32종, 원주청(2009)의 조사에서는 20과 35종이 보고되었으며, 본 조사

에서는 6과 16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다(표 3-1-5-18). 조사 년도에 따른 출현종의 차이는 시기

에 따른 환경의 변화 및 분류체계의 차이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어구 및 조사 방

Page 7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6 -

법이 조사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으로, 즉 1984년 조사에서는 저인망과 자망이 사용되었고, 2007

년 조사에서는 투망(7×7 m, 14호) 및 족대(4×4 mm, 40분), 삼각망(5×5 mm), 삼중자망(15×15

mm, 50×50 mm, 140×140 mm, 180×180 mm) 등이, 2009년 조사에서는 족대(4×4 mm), 투망

(7×7m), 자망(15×15 mm, 50×50m), 정치망(5×5 mm) 등이 사용되었다.

학 명 국 명 1969 1984 1993 2007 2009 2011

Anguillidae 뱀장어과            Anguilla japonica 뱀장어 ● ● ●   ●  Engraulidae 멸치과            Engraulis japonicus 멸치       ● ●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 ●   ● ●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 ● ● ● ● ●Carassius cuvieri 떡붕어       ● ●  Rhynchocypris steindachneri 버들개     ● ●    Cyprinus carpio 잉어 ● ● ● ● ● ●Cyprinus carpio (Israel type) 이스라엘잉어       ● ●  Cyprinus carpio (gold type) 잉어(gold type)       ●    Hypophthalmichthys molitrix 백연어       ●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 ● ●  Ctenopharyngodon idellus 초어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 ●   ● ● ●Gobiobotia macrocephala 꾸구리   ●        Zacco platypus 피라미     ● ● ● ●Cobitidae 미꾸리과            Lefua costata 쌀미꾸리     ●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   ● ● ●  Oplegnatidae 돌돔과            Oplegnathus fasciatus 돌돔 ●          Salmonidae 연어과            Oncorhynchus keta 연어       ●    Salangidae 뱅어과            Salangichthys microdon 뱅어 ●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 ●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은어         ●  Mugilidae 숭어과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 ● ●Mugil cephalus 숭어 ● ● ● ● ● ●Adrianichthyidae 송사리과            Oryzias latipes 송사리 ●   ●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 ●    Hemiramphidae 학공치과            

<표 3-1-5-18> 영랑호의 과거문헌 어류상

Page 7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7 -

학 명 국 명 1969 1984 1993 2007 2009 2011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 ●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 ● ●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 ●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     ● ● ●Scorpaenidae 양볼락과            Sebastes Schlegeli 조피볼락       ● ●  Sllaginidae 보리멸과            Sillago japonica 청보리멸         ●  Gerreidae 게레치과            Gerres oyena 게레치         ●  Sparidae 도미과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     ● ●Kyphosidae 황줄깜정이과            Girella punctata 벵에돔         ●  Teraponidae 살벤자리과            Rhyncopelates oxyrnchus 줄벤자리       ● ●  Pholididae 황줄베도라치과            Pholis crassispina 점베도라치         ●  Gobiidae 망둑어과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 ● ●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 ●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 ● ●Favonigobius gymnauchen 날개망둑     ●      Rhinogobius giurinus 갈문망둑     ●      Gymnogobius urotaenia 꾹저구     ● ● ●  Rhinogobius brunneus 밀어       ● ●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 ●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Cottidae 둑중개과            Cottus hangiongensis 한둑중개 ●   ●      Pleuronectidae 가자미과            Hippoglossoides pinetorum 용가자미   ●        Sphyraenidae 꼬치고기과            Sphyraena pinguis 꼬치고기         ●  Paralichehyisae 넙치과            Paralichthys olivaceus 넙치         ●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a 가물치 ● ●   ●    Tetraodontidae 참복과            Takifugu niphobles 복섬 ●     ● ●  

과 12 7 9 16 20 6

종 14 10 17 32 35 16

<표 3-1-5-18> 계속

Page 7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8 -

기조사에서는 정기적으로 인위적인 갯 터짐으로 인하여 1차담수어 2차담수어 연안어 비율

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볼 때 1990년대 이후 영랑호에

서 출현하는 어종수는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과거조사와 달리 최 등(2007)

및 원주청(2009)의 조사 시 조사장비의 다양화 및 시기별 조사와 많은 조사지점으로 인하여 많

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에서는 투망과 족대와 자망을 이용하였는데, 2007년과

2009년을 제외한 과거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3-1-5-13).

<그림 3-1-5-13> 영랑호의 어류상 변화

3) 군집 분석

본조사에서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황어와 흰발망둑으로 나타나,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염분

도에 대한 내성이 강한 기수성 어종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정종의 우세한 정

도를 나타내는 우점도지수는 평균 0.60의 값을 나타냈다. 다양도지수는 군집의 종의 풍부도와

개체수의 상대적 균형성을 의미하며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 2.40을 나타냈다.

그리고 풍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지수

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게 되므로 환경의 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데, 본 조사결과에서는 평균 1.54을 나타냈다. 한편 균등도지수는 각 지수의 최대치에 대한 실

제 개체의 비로서 표현된다. 균등도지수는 군집내 모든 종의 개체수가 동일할 때 최대치가 되

므로 결국 균등도 지수는 군집 내 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 조사에서 영랑호

는 평균 0.76을 나타냈다(표 3-1-5-19).

우점종 아우점종 우점도(DI) 다양도(H') 풍부도(R1) 균등도(J')

황어 흰발망둑 0.60 2.40 1.54 0.76

<표 3-1-5-19> 영랑호의 우점종 및 평균 군집분석

Page 7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59 -

4) 특별히 보호 대책이 필요한 종 및 서식지

가) 보호대책이 필요한 종

◦ 잔가시고기

멸종위기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해안으로 흐르는 맑은 하천의 중

류 수역의 돌 틈, 바위,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5∼8월로 추정되지만 정

확한 산란 생태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체와 어린 물고기는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담수에서 일생을 지내며 주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와 같은 비교적 큰 수생동물을 먹고산

다. 산란 시 수초에 산란둥지를 지어 산란한다.

◦ 가시고기

멸종위기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해안으로 흐르는 맑은 하천의 중

류 수역의 돌 틈, 바위,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4∼8월로 추정되지만 정

확한 산란 생태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체와 어린 물고기는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담수에서 일생을 지내며 주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와 같은 비교적 큰 수생동물을 먹고산

다. 산란 시 수초에 산란둥지를 지어 산란한다.

나) 보호대책이 필요한 서식처

◦ 수변식물대

석호의 가장자리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수변식물대는 석호생태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변식물대는 육상생태계와 수변생태계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추이대 역할을 담당하며,

조류 및 포유류의 은신처뿐만 아니라 어류의 은신 및 산란처로 이용되는 중요한 서식공간이

다. 특히 큰가시고기과 어류들은 산란 시 수변식물의 줄기나 잎 등을 이용하여 산란둥지를 만

들기 때문에 수변식물이 감소하면 석호에 서식하는 생물종 역시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수중식물대

수중식물군락은 어류의 은신처, 먹이, 그리고 산란처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서식처 중

하나이다. 많은 망둑어과 어류가 수중식물 군락에 알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산란을 하며, 큰가

시고기과 어류도 산란둥지를 수중식물 줄기에 수변식물조각이나 수중식물 조각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수중식물 군락의 감소는 어류의 현존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유입지류

석호의 유입지류는 석호에 담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입지류의 오염은 석

호의 오염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유입지류에는 석호에서 출현하는 대부분의

담수어종이 서식하며 회유성 어종의 산란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유입지류의 보호

및 보존은 석호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보호 및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Page 7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0 -

제2절 청초호

1. 호소의 이용현황

가. 호소 및 유역의 일반현황

청초호는 강원도 속초시에 위치하며, 호소면적 0.89 km2, 수변길이 5.0 km, 연평균 수위 4

m, 유역면적 27.3 km2에 이른다. 청초호로 유입되는 주요 유입하천은 청초천이 있다(표

3-2-1-1).

호소명 청초호

행적구역 강원도 속초시

GPSN 38° 11' 46.26"E 128° 35' 19.76"

호소면적(㎢) 0.89

수변길이(㎞) 5

연평균수위(m) 4

유입하천 청초천

유로연장(㎞) 8.5

유역 내행정구역(동리)

교동, 금호동, 노학동,조양동, 청호동

유역면적(㎢) 27.3

<표 3-2-1-1> 청초호 유역의 일반현황

나. 용수 이용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는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발전용수, 유지용수로의 용수이용을 하

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7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1 -

다. 내수면 이용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에는 양식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낚시금지구역지정이 되어 있지

않았다.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가. 인구현황

청초호 배수유역 내의 총인구는 65,561명으로 확인되었고, 하수도 보급률은 100 %에 해당

된다(표 3-2-2-1).

읍면동 리 계

하수처리구역

시가지역(명) 비시가지역(명)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금호동 4,819 2,459 95 2,181 84

교동 13,301 12,104 0 1,197 0

노학동 23,541 376 4,067 1,602 17,466

조양동 21,030 16,193 0 4,837 0

청호동 2,870 2,157 684 22 7

계 65,561 33,289 4,846 9,839 17,557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2-2-1> 청초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나. 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청초호로 직접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업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 축산현황

청초호의 배수유역이 포함된 속초시의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의 수는 총 1,450

마리였으며, 축종별로 개가 약 47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표 3-2-2-2).

시군구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 계

속초시 571 21 47 72 684 55 1,450

주) 2010년 속초시 통계연보

<표 3-2-2-2> 속초시의 축산현황(마리)

Page 7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2 -

라. 산업현황

청초호 배수유역 내에 위치한 폐수발생업체는 총 42개소로, 폐수발생량은 283.2 m3/일로 나

타났다(표 3-2-2-3).

시군구 읍면동 리 폐수발생업체수(개소) 폐수발생량(m3/일)

속초시

금호동 1 10.0

교동 10 85.5

노학동 11 92.8

조양동 20 94.9

계 42 283.2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2-2-3> 속초시 산업현황

마. 토지이용 ․ 규제현황

청초호 배수유역 내 임야의 비율이 57 %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임야, 기타, 대지,

답, 전 등의 순으로 토지가 이용되고 있었다(표 3-2-2-4).

시군구 읍면동 전 답 임 야 대지 기타 합계

속초시

금호동 47,749.0 19,619.0 289,840.0 321,116.2 427,160.9 1,105,485.1

교동 84,558.0 55,400.0 382,989.0 1,135,356.8 823,358.3 2,481,662.1

노학동 1,038,176.0 1,719,547.0 14,564,155.0 837,298.0 1,973,296.0 20,132,472.0

조양동 748,291.0 529,510.0 2,439,441.0 994,796.1 1,264,278.7 5,976,316.8

청호동 0.0 0.0 20,625.0 204,612.3 326,399.0 551,636.3

합계 1,918,774 2,324,076 17,697,050 3,493,179.4 4,814,492.9 30,247,572.3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2-2-4> 청초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2010년, ㎡)

바. 환경기초시설 현황

청초호의 배수유역 내에는 환경기초시설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청초호 유역의 발생부하량 산정시 적용하는 발생원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

자료가 없는 경우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에서 제시하는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였다.

Page 7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3 -

가. 발생부하량

1) BOD 발생부하량

청초호 유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표 3-2-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627.36 ㎏/일이며,

생활계 발생부하량이 3,264.44 ㎏/일로 96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 BOD 발생

부하량은 37.29 ㎏/일로 1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BOD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3,264.44 96

축산계 325.63 3

산업계 37.29 1

합계 3,627.36 100

<표 3-2-3-1> BOD 발생부하량(㎏/일)

2) TN 발생부하량

청초호 유역의 TN 발생부하량은 <표 3-2-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785.22 ㎏/일이며, 생

활계가 694.62 ㎏/일로 88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발생부하량이 14.17 ㎏

/일로 2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TN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694.62 88

축산계 76.43 10

산업계 14.17 2

합계 785.22 100

<표 3-2-3-2> TN 발생부하량(㎏/일)

3) TP 발생부하

청초호 유역의 TP 발생부하량은 <표 3-2-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5.52 ㎏/일이며, 생

활계가 81.25 ㎏/일로 78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발생부하량은 1.37

㎏/일로 1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age 8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4 -

TP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81.25 78

축산계 22.90 21

산업계 1.37 1

합계 105.52 100

<표 3-2-3-3> TP 발생부하량(㎏/일)

나. 배출부하량

1) BOD 배출부하량

청초호 유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표 3-2-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28.29 ㎏/일이며,

생활계가 1795.45 ㎏/일로 84.7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BOD 배출부하량

은 7.21 ㎏/일로 0.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BOD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1,795.45 84.7

축산계 325.63 15

산업계 7.21 0.3

합계 2,128.29 100

<표 3-2-3-4> BOD 배출부하량(㎏/일)

2) TN 배출부하량

청초호 유역의 TN 배출부하량은 <표 3-2-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9.14 ㎏/일이며, 생

활계가 138.93 ㎏/일로 64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 배출부하량은 3.78

㎏/일로 1.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N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138.93 64

축산계 76.43 34.7

산업계 3.78 1.3

합계 219.14 100

<표 3-2-3-5> TN 배출부하량(㎏/일)

Page 8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5 -

3) TP 배출부하량

청초호유역의 TP 배출부하량은 <표 3-2-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39.94 ㎏/일이며, 축산

계가 22.90 ㎏/일로 57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배출부하량은 0.79 ㎏/

일로 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P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16.25 40

축산계 22.90 57

산업계 0.79 3

합계 39.94 100

<표 3-2-3-6> TP 배출부하량(㎏/일)

4. 호소의 수질

가. 환경요인

청초호의 수질 조사는 미리 선정된 2개 지점에 대해 2011년도 4월과 6월, 8월, 10월에 각 1

회씩 총 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조사는 수질 다항목측정기를 통한 현장 측정과 채수된 시료를

적정한 방법에 따라 실험실로 운반하여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의거, 분석하는 것으로 수행되었

다. 수질 분석 결과는 다음에 간략히 기술하였으며, 상세 결과는 표와 그림으로 나타내었다(표

3-2-4-1 및 그림 3-2-4-1).

1) 수온

조사 기간 중 청초호의 수온은 지점 CC01에서는 9.3 ℃(10월)에서 28.0 ℃(8월)의 변화 경

향을 보였으며, 지점 CC02에서는 10.5 ℃(10월)에서부터 26.9 ℃의 변화 경향을 보였다.

2) pH

청초호 2개 지점의 수소이온농도(pH)는 매우 적은 폭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월과 8월 그리고 10월의 pH 측정 결과는 매우 유사하였으며, 6월에는 2개 지점 모두 7.8로 측

정되어 다소 낮아진 결과를 나타냈다.

3) DO

청초호 2개 지점의 용존산소농도(DO)는 전 조사 기간에 걸쳐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좋음”

Page 8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6 -

등급 이상을 나타냈다. 특히 4월과 8월 그리고 10월 조사 결과에서는 모두 “매우 좋음” 등급이

었으며, 6월에는 이보다 다소 낮은 “좋음” 등급이었다. 용존산소 농도의 최고 측정값은 10월

CC02 지점 (17.7 mg/L)이었으며, 최소값은 6월 CC02 지점(6.9 mg/L)이었다.

4) BOD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농도 분석 결과 최저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4월 CC02 지점

(1.1 mg/L)이었으며 최대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8월 CC01(8.4 mg/L) 지점으로 확인되었다.

5) COD

청초호 2개 지점의 COD 농도 2.0 mg/L(10월, CC01) ∼ 51.0 mg/L(8월, CC01)의 범위로

변화하여 조사 시기에 따른 변화 폭이 큰 것으로 확인 되었다. 분석값을 호소생활환경기준과

비교해 본 결과 4월과 6월의 4개 시료는 “약간 나쁨” 또는 “나쁨” 등급을 나타냈으며, 8월에 채

수한 2개 시료는 모두 “매우 나쁨” 등급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10월 조사에서 채수

한 시료는 “매우 좋음”과 “좋음” 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호소 외부로부터 COD 분석

결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부정기적으로 유입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 SS

청초호의 부유고형물(SS) 농도는 “좋음” 등급 또는 “보통” 등급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유고형물농도가 가장 높았던 지점은 8월 CC01 지점(14.8 mg/L)이었으며, 가장 낮았던 지점은

같은 8월 CC02(4.3 mg/L) 지점으로 확인되었다. CCO1 지점은 하천이 호소로 유입되는 지점이

있어 하천의 수질 변화에 따른 영향이 예상되는 지점으로 하상은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원

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CC02 지점은 해수가 유입되는 수문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지점으로 하

천수 보다는 해수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대형 어선의 접안 시설에 위치하

고 있어 수심이 매우 깊은 지점이다. 따라서 동일한 시점에 채수한 시료의 부유고형물 농도값

이 큰 차이를 보인 이유는 하천수에 의해 유입된 물질의 영향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7) 투명도

청초호의 투명도 측정 결과는 평균 0.5 m로 나타나 조사 대상 4개 호소 중 가장 높은 투명

도 값을 나타냈다. 청초호의 지점 중 최소값을 보인 지점은 6월 CC01 지점으로 0.15 m의 측정

값을 보였으며, 최고값을 보인 지점은 10월 CC02 지점으로 1.12 m의 측정 결과를 나타냈다. 10

월 CCO2 지점에서 최고값을 보인 원인은 앞서 기술한 SS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깊은 수심과

적은 하천수의 영향일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7 -

8) 전기전도도

2011년도 청초호의 전기전도도 측정값은 춘계에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전기

전도도 값은 6월까지 상승한 후 8월 들어 다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10월에 급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기전도도 최고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10월 CC02 지점(21,800,000 μS/cm)이었으며, 최저

측정값을 보인 지점은 4월 CC02 지점(39,300 μS/cm)이었다.

9) 염도

2011년 조사 결과 확인된 청초호의 평균 염분농도는 13.0 ‰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4개 호

소 중 가장 높은 측정 결과로 확인되었다. 청초호는 호소의 많은 구간이 대형 어선을 위한 접

안 시설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의 통행을 위해 호소 북단의 수로가 항시 개방되어 있어 해수의

유입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청초호를 제외한 3개 호소 역시 해수의 유

입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청초호와 같이 상시 수문이 개방되어 있는 형

태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염분 농도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초호의 염분 농도는 4월에 가장

높았으며 6월에 가장 낮은 측정값을 보였다.

10) 총질소

청초호 2개 조사 지점에 대해 4회 실시한 조사 결과 확인된 총질소의 평균 농도는 1.4

mg/L로 나타났다. 총질소 농도가 가장 높았던 지점은 2.010 mg/L 농도의 총질소가 검출된 6월

CC02 지점이었으며, 가장 낮았던 지점은 0.680 mg/L 농도의 총질소가 검출된 8월 CC02 지점

으로 확인되었다.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의하면 2011년도 청초호 수계의 총질소 농도는 “약간 나

쁨” 이하 등급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6월과 10월에는 “매우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질산성 질소

청초호의 질산성 질소 농도는 평균 0.540 mg/L이었으며, 최고 측정값은 4월 CC01 지점

(1.118 mg/L)이었다. 8월 CC01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에서는 질산성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12) 암모니아성 질소

조사 기간 중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의 최대 측정값을 나타낸 지점은 4월 CC01의 0.852

mg/L이었으나, 8월 CC01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Page 8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8 -

13) 총인

청초호의 총인 농도는 4월에서 6월까지는 증가하였으며, 6월에서 8월 감소한 후 10월까지

감소폭이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회 채수한 시료 중 가장 높은 총인 농도를 보인 지점

은 0.09 mg/L의 총인이 검출된 6월 CC01과 CC02 지점이었으며, 가장 낮은 총인 농도를 보인

지점은 각 0.04 mg/L의 총인 농도를 나타낸 8월 CC01, CC02 그리고 10월 CC02 지점으로 확인

되었다. 호소생활환경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조사 기간 중 청초호의 수질은 “보통” 또는 “약간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인산염인

청초호에서 채수한 시료들의 인산염인 함유 농도를 분석한 결과 4월과 6월 시료에서만 인

산염인이 검출되었다. 인산염인이 검출된 시료 중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인 시료는 6월 CC02 지

점에서 채수한 시료(0.252 mg/L)였으며, 가장 낮은 농도를 보인 시료는 4월 CC02 지점에서 채

수한 시료(0.049 mg/L)로 확인되었다.

15) 총대장균군수

조사 기간 중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총대장균군수에 의거한 청초호의 수질 등급은 4월과 8월

CC01 지점(보통 등급)을 제외하고 모두 “약간 나쁨”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6) 분원성대장균군수

총대장균군수에 기준한 수질 등급이 “보통” 이하이었던 것에 비해 분원성대장균군수에 의

한 수질 등급은 모두 “좋음” 이상의 등급이었다. 검출된 분원성대장균군수는 평균 20

CFU/100mL이었으며, 6월 CC01 지점에서 가장 높은 수(5,420 CFU/100mL)로 검출되었다. 4월

및 8월, 10월의 CC01 지점에 채수한 시료에서는 분원성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17) TOC

4월 조사에서 2.623 mg/L(CC01)과 2.165 mg/L(CC02) 농도로 검출된 TOC는 6월까지 지속

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0월 들어 낮은 폭으로 상승하였다.

18) 페놀

청초호에서 채수한 모든 시료에서는 페놀류가 검출되지 않았다.

Page 8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69 -

측정항목4월 6월 8월 10월

CC01 CC02 CC01 CC02 CC01 CC02 CC01 CC02

수온 (℃) 10.8 9.8 22.1 21.6 28.0 26.9 9.3 10.5

수소이온농도 (pH) 8.1 8.0 7.8 7.8 8.0 8.2 8.0 8.2

DO (㎎/L) 10.0 10.5 7.3 6.9 11.1 13.6 15.7 17.7

BOD (㎎/L) 2.1 1.1 2.3 2.2 8.4 6.5 4.2 3.5

COD (㎎/L) 7.6 6.1 4.5 8.5 51.0 25.5 2.0 4.0

SS (㎎/L) 7.8 11.3 6.0 6.5 14.8 4.3 5.3 4.5

투명도 (m) 0.50 0.37 0.15 0.30 0.20 0.78 0.86 1.12

전기전도도 (㎲/cm) 42,900 39,300 3,160,000 10,900,000 1,270,000 1,970,000 21,200,000 21,800,000

Salt (‰) 27.0 24.9 1.6 5.9 7.3 11.7 12.5 12.8

Salt (ppm) 27,000 24,900 1,600 5,900 7,300 11,700 12,500 12,800

총질소 (㎎/L) 1.307 1.410 1.910 2.010 0.850 0.680 1.640 1.620

질산성질소 (㎎/L) 1.118 0.798 0.456 1.110 ND 0.216 0.041 0.041

암모니아성질소 (㎎/L) 0.852 0.358 0.784 0.572 0.014 0.005 ND 0.064

총인 (㎎/L) 0.047 0.067 0.090 0.090 0.040 0.040 0.060 0.040

인산염인 (㎎/L) 0.198 0.049 0.124 0.252 ND ND ND ND

총대장균군 (CFU/㎖) <30 165 138 126 37 78 3400 2200

분원성대장균군 (CFU/100㎖) ND 2 54 41 ND 2 ND 1

Chl-a (㎎/㎥) 1.7 1.5 1.8 0.1 3.7 2.2 1.2 7.5

현존량 (cell/㎖) 150.0 197.5 131.3 146.9 1,281.3 1,031.3 1,112.5 734.4

TOC (㎎/L) 2.623 2.165 2.492 1.784 1.372 1.450 1.482 1.620

페놀 (㎎/L) ND ND ND ND ND ND ND ND

TDS (g/L) 27.9 25.7 2.1 7.0 8.3 12.8 13.8 14.2

탁도 (NTU) 7.1 12.0 33.7 14.9 25.5 4.5 4.0 2.8

  매우좋음(Ia)   좋음(Ib)   약간좋음(II)   보통(III)   약간나쁨(IV)   나쁨(V)   매우나쁨(VI)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호소생활환경기준

*ND: 불검출

<표 3-2-4-1> 청초호의 수질 조사 결과

Page 8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0 -

(a) 수온 (b) pH

(c) DO (d) BOD

(e) COD (f) 탁도(SS)

<그림 3-2-4-1> 청초호(CC)의 수질(수온, pH, DO, BOD, COD, SS)

Page 8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1 -

(g) 투명도 (h) EC

(i) 염도 (j) 총질소(TN)

(k) 질산성 질소 (l) 암모니아성 질소

<그림 3-2-4-1> 계속(투명도, EC, 염도, 총질소,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Page 8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2 -

(m) 총인(TP) (n) 인산염

(o) 엽록소-a 농도 (p) 총대장균수

(q) 분원성 대장균수 (r) TOC

(s) 페놀

<그림 3-2-4-1> 계속(총인, 인산염, 엽록소-a 농도, 총대장균수, 분원성 대장균수, TOC, 페놀)

Page 8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3 -

5. 호소의 생물상

가. 식물플랑크톤

1) 출현종

청초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5문 9강 15과 33속 59종 2변종 3미동정종의 총 64분류

군으로 확인되었다. 64분류군 중 남조식물과 황색편모조식물 그리고 와편모조식물은 각 1분류

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녹조식물은 6분류군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규조식물은 총 55 분류군이 출

현하여 86%의 출현비를 보였다(그림 3-2-5-1). 청초호 수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4개 호

소 중 가장 낮은 출현 분류군수를 나타냈다. 가장 많은 수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한 시기는 4

월(CC01: 26분류군, CC02: 20분류군)이었으며 가장 적은 수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한 시기는 1

0월(CC01: 11분류군, CC02: 16분류군)로 나타났다.

1% 2%

86%

2%9%

Cyanophyceae

Chrysophyceae

Bacillariophyceae

Dinophyceae

Chlorophyceae

<그림 3-2-5-1> 청초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

2) 현존량과 엽록소 농도

조사 기간 동안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지점 CC01과 지점 CC02에서 동일한 변

화 양상을 나타냈다. 청초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4월에서 6월 조사 기간

중 소폭 감소하였으며 6월에서 8월 사이 급증한 후 10월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이 가장 높게 측정된 지점은 8월 CC01 지점(1,281.3 cells/mL)이었으며, 가장

낮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측정된 지점은 6월 CC01 지점(131.3 cells/mL)으로 확인되었다.

Chl-a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는 다른 변화 양상을 보였다. 지점 CC01에서 측정된

Chl-a 농도는 8월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C02 지점의 Chl-a 농도는 4월에

서 6월 사이 감소한 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3-2-5-2).

Page 9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4 -

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Apr. Jun. Aug. Oct.

Standing crop(cell/§¢)

CC01

CC02

0.0

1.0

2.0

3.0

4.0

5.0

6.0

7.0

8.0

Apr. Jun. Aug. Oct.

Chl-a(§·/§©)

CC01

CC02

(a)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b) Chl-a 농도

<그림 3-2-5-2>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3) 우점종

2011년 4월 청초호 조사 지점 CC01에서는 규조 식물인 Achnanthes alteragracillima가 78.7

%의 높은 점유율로 우점하였으며, 지점 CC02에서는 녹조 식물인 Ulothrix zonata가 우점하였

다. 6월에는 남조 식물인 Lyngbya limnetic와 규조 식물인 Navicula subminuscula가 우점하였

으며, 규조 식물인 Cyclotella striata는 8월 CC01 지점과 10월 CC01 및 CC02 지점의 우점종으

로 확인되었다(표 3-2-5-1).

조사시기 조사 지점 우점종 우점율(%)

4월CC01 Achnanthes alteragracillima 78.7

CC02 Ulothrix zonata 42.2

6월CC01 Lyngbya limnetica 70.1

CC02 Navicula subminuscula 62.0

8월CC01 Cyclotella striata 21.9

CC02 Achnanthes alteragracillima 52.9

10월CC01 Cyclotella striata 47.2

CC02 Cyclotella striata 37.2

<표 3-2-5-1> 청초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4) 군집지수

2011년도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다양성 지수는 1.14(4월, CC01)에서 2.66(8월, CC01) 사이

로 분석되었다. 청초호에 대한 전 조사 기간 중 4월 CC01 지점에서 출현한 분류군(26분류군)이

가장 많았으나, 우점종인 Achnanthes alteragracillima가 매우 높은 점유율(78.7 %)을 차지하고

있어 다양도지수는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반면 풍부도지수는 가장 많은 출현 분류군수로 인해

4월 CC01 지점에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군집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균등도지수는 출현

Page 9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5 -

분류군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우점종의 우점율(Cyclotella striata, 21.9 %)이 낮게 나타난 8월 C

C01 지점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4월 CC01 지점의 균등도지수는 전체 조사 기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2-5-2).

조사 시기 조사 지점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 균등도지수(E')

4월CC01 1.14 4.99 0.35

CC02 1.76 3.59 0.59

6월CC01 1.29 3.90 0.43

CC02 1.44 2.41 0.56

8월CC01 2.66 3.21 0.84

CC02 1.47 1.87 0.56

10월CC01 1.74 1.43 0.72

CC02 2.26 2.27 0.82

<표 3-2-5-2> 청초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생물 지수

5) 호소의 부영양화 평가

3개 수질 조사 항목(투명도, Chl-a, TP)을 이용하여 산출한 TSI와 LTSI 지수를 이용하여

조사 기간 중의 청초호 수질의 영양 등급을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 TSI(SD), TSI(TP) 그리고

LTSI 지수는 청초호 수역이 연중 부영양화 단계 이상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TSI(Chl)

지수는 8월 CC01 지점과 10월 CC02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기간 중의 지점들이 중영양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질 측정 결과를 분석했을 경우 청초호 수역의 낮

은 Chl-a 농도는 청초호 수역의 수질이 양호해서가 아니라(영양염류의 농도가 낮은 수환경) 식

물플랑크톤의 생장에 불리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요인 중 하나로 다른

호소들에서와는 달리 빈번하게 유입되는 해수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청초호에서 측정된 염

분 농도는 4개 호소 중 가장 높았으며 변화 폭도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잦은 염분 농도의 변

화는 담수성 식물플랑크톤과 해산 식물플랑크톤 모두에게 불리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판

단되며, 호소 내로 왕래하는 대형 어선들로부터 발생 가능한 물리적 화학적 서식처 교란 역시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3-2-5-3).

Page 9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6 -

<그림 3-2-5-3> 부영양화 지수(TSI, LTSI)에 의한 청초호의 영양등급 판정

나. 대형수생식물

1) 식물상

가) 식물상 구성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청초호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57과 149속 183종 17변종 1품종으

로 총 201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1과 1속 1종으로 총 1분류군, 나자식물은 3

과 5속 10종으로 총 10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159분류군과 31분

류군이 출현하였다. 침수조류는 염도가 높은 곳에서 출현하는 해양성 조류인 가시파래 1분류군

이 출현하였다(표 3-2-5-3 및 표 3-2-5-4).

분류군 종명 학명

녹조류 가시파래 Enteromorpha prolifera (Oeder) J. Agardh

<표 3-2-5-3> 청초호에서 출현한 침수조류

Page 9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7 -

구 분 과 속 종 변종 품종 분류군

양 치 식 물 1 1 1 - - 1

나 자 식 물 3 5 10 - - 10

피자식물쌍자엽식물 46 119 144 14 1 159

단자엽식물 7 24 28 3 - 31

계 57 149 183 17 1 201

<표 3-2-5-4> 청초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나) 수습생식물

청초호에서 각각의 수습생 식물 분류군 수는 침수식물 1분류군, 정수식물 3분류군, 습생식

물 18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과 습생식물이 전체 식물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청초호 전체에서 11.0 %이었다(표 3-2-5-5).

수습생식물 분류군

수생식물

침수조류 1

침수식물 -

부엽식물 -

부수식물 -

정수식물 3

소계 4

수생식물 구성비율(%) 2.0

습생식물 18

습생식물 구성비율(%) 9.0

<표 3-2-5-5> 청초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환경부(2006)에 의하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1,116분류군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분류

군은 Ⅴ등급 237분류군, Ⅳ등급 242분류군, Ⅲ등급 279분류군, Ⅱ등급 107분류군, Ⅰ등급 251분

류군으로 구분한다.

Ⅴ등급(평가점수 10)은 국내에 고립되어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분포지

역이 가장 협소한 지역에 나타나는 분류군이고, Ⅳ등급(평가점수 8)은 북방계나 남방계식물로서

1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Ⅲ등급(평가점수 6)은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Ⅱ등급(평

가점수 4)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고도 약 1,000m 이상인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Ⅰ등급(평

가점수 2)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이지만 3개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한다.

청초호에서 I등급, II등급, III등급, IV등급, V등급 종은 각각 6, 2, 8, 3, 1분류군으로 총 30

Page 9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8 -

분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122점으로 나타났으며, 식재종

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50점으로 나타났다(표 3-2-5-6).

학 명 국 명 등 급

소나무과 ( Pinaceae )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Ⅲ

Pinus koraiensis S. et Z. 잣나무 Ⅰ

Pinus parviflora S. et Z. 섬잣나무 Ⅳ

측백나무과 ( Cupressaceae )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Ⅲ

Thuja orientalis L. 측백나무 Ⅳ

주목과 ( Taxaceae )    

Taxus cuspidata S. et Z. 주목 Ⅱ

가래나무과 ( Juglandaceae )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Ⅰ

자작나무과 ( Betulaceae )    

Alnus hirsuta Turcz 물오리나무 Ⅰ

느릅나무과 ( Ulmaceae )  

Ulmus parvifolia Jacquin 참느릅나무 Ⅰ

명아주과 ( Chenopodiaceae )    

Salsola collina PALL. 솔장다리 Ⅲ

범의귀과 ( Saxifragaceae )    

Mukdenia rossii (Oliver) Koidzumi 돌단풍 Ⅲ

장미과 ( Rosaceae )    

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 명자나무 Ⅰ

Kerria japonica (L.) DC. 황매화 Ⅰ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Ⅰ

Prunus yedoensis MATSUMURA 왕벚나무 Ⅴ

콩과 ( Leguminosae )    

Wistaria floribunda (Willd.) DC. 등나무 Ⅳ

단풍나무과 ( Aceraceae )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Ⅲ

무환자나무과 ( Sapindaceae )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 Ⅲ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Ⅰ

회양목과 ( Buxaceae )    

Buxus microphylla var. insularis Nakai 회양목 Ⅰ

산형과 ( Umbelliferae )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 갯방풍 Ⅰ

용담과 ( Gentianaceae )    

<표 3-2-5-6> 청초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Page 9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79 -

학 명 국 명 등 급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 HARA 개쓴풀 Ⅲ

메꽃과 ( Convolvulaceae )    

Calystegia soldanella (Linnaeus) Roemer & Schltes 갯메꽃 Ⅰ

꿀풀과 ( Labiatae )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참골무꽃 Ⅰ

국화과 ( Compositae )    

Aster spathulifolius MAXIM. 해국 Ⅰ

Ixeris repens (Linnaeus) A. GRAY 갯씀바귀 Ⅰ

백합과 ( LiLiaceae )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el 부추 Ⅰ

붓꽃과 ( Iridaceae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 NAKAI 꽃창포 Ⅱ

벼과 ( Gramineae )    

Elymus mollis TRIN. 갯그령 Ⅲ

사초과 ( Cyperaceae )    

Carex kobomugi OHWI 보리사초 Ⅰ

<표 3-2-5-6> 계속

라) 귀화식물

귀화식물은 기존의 식물상과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생태적 지위를 반영하는데 상당히 중

요하게 취급할 수 있다.

국립환경연구원(2004)에서 발표한 귀화식물목록 287종 중 본 조사에서는 10과 23속 26종 1

변종 2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인간의 간섭에 의한 자연의 파괴도의 표시 지수로 사용되는 도시

화지수(UI=일정지역에 나타나는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100)는 우리나라에 분

포하는 귀화식물 287분류군에 대하여 9.4%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관속식물 201

분류군에 대한 귀화율(NR=귀화식물 종수/조사지역의 총 출현식물 종수×100)은 13.4%로 나타났

다(표 3-2-5-7).

청초호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환경부에서 고시한 11종 중 애기수영, 돼지풀, 단

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의 4종이 확인되었다(표 3-2-5-7).

Page 9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0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여뀌과 ( Polygonaceae )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H R2-3 D4 pr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H R5 D4 ps

석죽과 ( Caryophyllaceae )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Th(w) R5 D4 b

십자화과 ( Cruciferae )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Th(w) R5 D4 ps

장미과 ( Rosaceae )    

Potentilla supina LINN. 개소시랑개비 Ch R5 D4 b-ps

콩과 ( Leguminosae )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N R5 D4 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MM R5 D3 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Ch R4 D4 p

소태나무과 ( Simaroubaceae )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중나무 MM R5 D1 e

바늘꽃과 ( Onagraceae )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Th(w) R5 D4.1 pr

현삼과 ( Scrophulariaceae )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Th(w) R5 D4 b

국화과 ( Compositae )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L.) Desc. 돼지풀 Th R5 D4 e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Th R5 D4 e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H R5 D1 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Th R4 D1.2 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H R5 D1 e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Th R5 D1 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Th(w) R5 D1 pr

Erigeron bonariensis L. 실망초 Th(w) R5 D1 pr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Th(w) R5 D1 pr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Th(w) R5 D1 e,b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h(w) R5 D1 pr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H R3(v) D1 r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Th R5 D2 e

<표 3-2-5-7> 청초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Page 9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1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벼과 ( Gramineae )    

Bromus tectorum L. 말귀리 H R5 D4 t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H R3 D4 t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

과 10

분류군 27

<표 3-2-5-7> 계속

휴면형 (Th : 1년생식물(Therophytes), G : 지중식물(Geophyte), H : 반지중식물 (Hemicryptophytes), Ch : 지표식물(Chamaephytes), HH : 수생식물(Hydatophytes), N : 저목, 미소지상식물(Nanophanerophytes), M :아고목, 소형지상식물(Microphanerophytes), MM : 대고목, 대형지상식물(Megaphanerophytes), E : 착생식물(Epiphyten))

번식형(R(1∼5) : 지하기관형, D(1∼4) : 산포기관형)생육형(e: 직립형. b: 분지형, t: 총생형, l: 넌출형, p: 포복형, r: 로제트형, pr: 일시적 로제트형, ps: 로제트-직립형)

2) 대형수생식물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범위

청초호는 조사한 4개 석호 중 인위적인 간섭이 가장 심한 호소로서 수습생식물군락은 유입

천과 유입천하구에 조성된 일부에 국한하여 분포하였다. 청초호에서 가장 우점하는 식물군락은

갈대군락으로 전체 수생식물의 92.3%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우점하는 수생식물군락은 가시파

래군락이 있다. 청초호에서 가장 우점하는 갈대는 하천 유입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가시파

래군락은 엑스포공원측 제방에 대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표 3-2-5-8 및 그림 3-2-5-4∼5).

가) St. 1

본 지점은 청초호 유입천의 내부지역으로 수변지역인 저수호안에 정수식물인 갈대가 분포

하고 있고, 갈대군락의 내부 및 둔치와의 경계부에 족제비싸리가 분포하고 있다. 제방사면에는

교목성 식물인 버드나무와 아까시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나) St. 2

본 지점은 청초호 유입천의 유입부로서 퇴적된 토양이 섬을 이루는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본 지점의 수체 밖으로는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갈대군락 내

부에 족제비싸리가 개체단위로 분포하고 있다. 갈대군락과 인근 도로 사이에는 교목성 식물인

버드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다) St. 3

본 지점은 청초호의 엑스포공원 인근 지역으로 돌붙임으로 된 제방의 돌 사이에 소리쟁이

와 쑥이 개체단위로 분포하며, 수변부에는 침수조류인 가시파래가 대상으로 분포한다.

Page 9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2 -

구분 식생유형 면적(m2)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17,454 92.3

침수조류 가시파래 1,477 7.7

합계 18,931 100.0

<표 3-2-5-8> 청초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그림 3-2-5-4> 청초호의 현존식생도

Page 9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3 -

갈대군락

갈대군락

가시파래군락

<그림 3-2-5-5> 청초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Page 10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4 -

3) 각 군락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및 밀도

청초호에서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및 평균 건중량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침수조류인

가시파래군락보다 높았고, 단위면적당 평균 수분함량은 침수조류인 가시파래가 정수식물인 갈

대보다 높았다(표 3-2-5-9).

생활형 군락명 생중량(g/m2) 건중량 수분함량(%)

정수식물 갈대 3,192.0 970.2 69.6

침수조류 가시파래 152.0 13.6 91.1

<표 3-2-5-9> 청초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청초호의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16.93 ton/yr)이 침수

조류인 가시파래군락(0.02 ton/yr)보다 높았고, 갈대의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1㎡당 242.8

개체로 나타났다(표 3-2-5-10~11).

생활형 군락명 지상부 순 1차 생산성(ton/yr)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16.93 99.88

침수조류 가시파래 0.02 0.12

합계 16.95 100.00

<표 3-2-5-10> 청초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생활형 군락명 밀 도

정수식물 갈대 242.8

<표 3-2-5-11> 청초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개체수/㎡)

다. 대형무척추동물

1) 출현현황

과거 문헌조사 결과 동일한 조사 시기에 수행된 2009년 석호정밀조사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청초호의 총 4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22종이었다(원주청, 2009). 본

조사의 경우 1차(봄) 조사에서 청초호의 1개 조사 지점에서 3문 4강 11목 14과 15종, 2차(여름)

조시에는 2개 조사 지점에서 3문 4강 11목 15과 16종이었으며, 조사기간 동안 총 3문 4강 16목

24과 26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 조사에서 조사 지점이 일치하는(유입부 CC01) 지점의 출현종

을 비교하였을 때 2009년 봄조사에서는 갑각강에 해당하는 총 5종만이 포획되었으나, 본 조사

Page 10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5 -

에서는 연체동물문 6종 및 갑각강 5종, 환형동물문 4종 등 1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

며, 2009년 여름조사에서는 갑각강 3종만이 출현하였으나, 본 조사에서는 연체동물문 4종, 환형

동물문 1종, 갑각강 3종 등 총 8종이 출현하여 차이가 있었다(표 3-2-5-12).

학 명 국 명 2009년 본조사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

Order Neogastropoda 신복족목

Family Muricidae 뿔소라과

Ceratostoma inornatus 어깨뿔고둥 ●

Family Columbellidae 무륵과

Mitrella bicincta 보리무륵 ●

Family Nassariidae 좁쌀무늬고둥과

Niotha sp. 좁쌀무늬고둥류 ●

Reticunassa festiva 왕좁쌀무늬고둥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과

Physa acuta 왼돌이물달팽이 ●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과

Polypylis hemisphaerula 배꼽또아리물달팽이 ●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Mytiloida 홍합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Mytilus coruscus 홍합 ●

Mytilus galloprovincialis 지중해담치 ●

Musculus senhausia 종밋 ● ●

Order Pterioida 익각목

Family Ostreidae 굴과

Crassostrea gigas 굴 ●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Tellinidae 접시조개과

Macoma moesta 북방대양조개 ●

Family Psammobiidae 자패과

Nuttallia ezonis 흑빛자패 ●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

Family Veneridae 백합과

Ruditapes philippinarus 반지락 ●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과

Potamocorbula amurensis 쇄방사늑조개 ●

<표 3-2-5-12>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Page 10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6 -

학 명 국 명 2009년 본조사

Order Pholadomyoida 석공조개목

Family Myochamidae 살주름조개과

Myadropsis brevispinosas 뾰족꼬리물결주름조개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Order Phylldocida 부채발갯지렁이목

Family Phyllodocidae 부채발갯지렁이과

Anoitides koreana 한국부채발갯지렁이 ●

Eteone longa 작은부채발갯지렁이 ●

Family Glyceridae 미갑갯지렁이과

Hemipodus yenourensis 반다리미갑갯지렁이 ●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Tylorrhynchus heterochaetus 실참갯지렁이 ●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 ●

Family Nephtyidae 백금갯지렁이과

Nephtys sp. 백금갯지렁이류 ●

Order Eunicida 털갯지렁이목

Family Lumbrineridae 송곳갯지렁이과

Lumbrineris japonica 참송곳갯지렁이 ●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Spiophanes bombyx 민얼굴갯지렁이 ●

Order Cirratulida 실타래갯지렁이목

Family Cirratulidae 실타래갯지렁이과

Cirratulidae spp. 실타래갯지렁이류 ●

Order Capitellida 버들갯지렁이목

Family Capitellidae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 spp. 버들갯지렁이류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

Gnorimosphaeroma rayi 갯가잔벌레 ●

Family Mysidae 곤쟁이과

Mysidae spp. 곤쟁이류 ●

Neomysis intermedia 부새우

Order Amphipoda 단각목 ●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p. 옆새우류 ● ●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

<표 3-2-5-12> 계속

Page 10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7 -

학 명 국 명 2009년 본조사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Serrifer 줄새우아재비 ●

Palaemon macrodactylus 붉은줄참새우 ●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

Family Grapsidae 바위게과

Hemigrapsus sanguineus 무늬발게 ●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Simulium sp. 먹파리류 ●

Family Chironomidae 깔다구과

Chironomidae salinariu 짠물깔다구 ●

Chironomidae sp.2 깔따구 sp.2 ●

Chironomidae sp.3 깔따구 sp.3 ●

Chironomidae sp.4 깔따구 sp.4 ●

Chironomidae sp.5 깔따구 sp.5 ●

Family Ephydridae 물가파리과

Ephydridae sp. 물가파리류 ●

총 출현종수 22 26

2009.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I)

<표 3-2-5-12> 계속

2) 출현종수의 변동

청초호는 CC01 지점에서 1차 조사 시 3문 4강 11목 14과 15종, 2차 조사시 3문 4강 6목 7

과 8종으로 총 3문 4강 12목 16과 19종의 출현을 확인하였으며, CC02는 1차 조사 시 수심이 깊

고 접근이 어려워 조사가 불가능 하였으나, 2차 조사를 통해 총 2문 2강 7목 8과 8종의 출현을

확인하였다(표 3-2-5-13 및 그림 3-2-5-6). 조사 지점 CC01의 경우 잘 발달된 수변식생대를

근간으로 비교적 다양한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여름 조사시에는 강우로 인한 상

류역에서 유입된 토사가 본 지점 전반에 걸쳐 넓게 침적되었으며, 이로 인한 출현종 감소가 두

드러지게 확인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각종 인공구조물 및 콘크리트 호안, 항만개발 및 이용에

따른 다양한 교란이 산재하는 유출부인 CC02의 경우, 하상에 각종 쓰레기를 비롯한, 유기질이

포함된 전이층이 두껍게 침적되어 열악한 서식환경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패류의 사패 및 폐사

한 개체들이 다량 채집되는 점으로 보아 오염 및 항만이용에 따른 교란에 의하여 생물상이 다

소 열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0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8 -

조사 지점분류군

CC01 CC02 Total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체동물문 6 4 - 3 6 3

환형동물문 4 1 - 5 4 4

절지동물문 갑각강 5 3 - - 5 15

전체 15 8 - 8 15 16

<표 3-2-5-13> 청초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a) 출현종수 (b) 출현종 구성비(%)

<그림 3-2-5-6> 청초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3) 출현 개체수 밀도

정량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청초호의 평균 개체수 밀도는 3,885 개체/m2로 나타났다. 지점별

로는 CC01 지점이 1차 조사시 10,625 개체/m2, 2차 조사시 858 개체/m2가 출현하여, 평균 5,741

개체/m2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3-2-5-14). 이 중 갑각강은 단위면적당 총 10,343 개체/m2로 전

체 개체수 밀도의 97.3 %를 차지해 매우 압도적인 개체수 밀도를 보였으며(그림 3-2-5-7), 이

중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Corophium sp.)가 전체 개체수 점유율의 96.0 %를 차지해 매우 풍부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로 환형동물문이 총 208 개체/m2로 2.0 %를, 연체동물문은 총

75 개체/m2로 0.7 %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조사에서는 환형동물문이 775 개체/m2로

전체 개체밀도의 90.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갑각강이 58 개체/m2(6.7%), 연체동물문

이 25 개체/m2(2.9%)를 차지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지점의 우점종은

계절적 요인 및 물리화학적 요인에 의해 크게 변동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CC02 지점은 1

차 조사시 수심이 깊고 접근이 어려워 조사를 수행하지 못하였으나, 2차 조사결과 CC01과 출현

양상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분류군 중 환형동물문이 153 개체/m2(88.4%)로 가장 높

은 개체밀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연체동물문이 20 개체/m2(11.6%)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CC02 지점은 불리한 서식환경으로 인해 CC01 지점에 비해 낮은 개체밀도를 나타냈다.

Page 10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89 -

조사 지점분류군

CC01 CC02 평균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체동물문 75 25 - 20 75 23

환형동물문 208 775 - 153 208 464

절지동물문 갑각강 10,342 58 - - 10,342 29

전체 10,625 858 - 173 10,625 515

<표 3-2-5-14> 청초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개체/㎡)

(a) 개체수 밀도 (b) 개체수 점유율(%)

<그림 3-2-5-7> 청초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4) 우점종 및 점유율의 변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청초호에서 확인된 제1우점종은 1차 조사 시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Corophium sp.)가 10,200 개체/m2 (전체 점유율 87.5 %)가 출현하여 전체 조사 시기에서 제1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표 3-2-5-15 및 그림 3-2-5-8),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가 2

회의 조사에서 958 개체/m2의(8.2%)의 개체밀도를 나타내 제2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초호에서의 우점종에 대한 문헌조사 결과 2009년도 정밀조사에서는 갑각강의 부새우

(Neomysis intermedia)와 옆새우류(Gammarus sp.)의 두 종이 유입부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

였으며,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본 조사와 차이가 있었다(원주청, 2009).

또한 참갯지렁이는 2009년 정밀조사에서 유출부에서만 다소 빈약한 밀도(41.7 개체/m2)로 서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우점종 및 점유율(%)

제1우점종 % 제2우점종 %

CC011차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Corophium sp.) 96.0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1.7

2차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90.4 기수잔벌레(Gnorimosphaeroma anchialos) 4.4

CC021차 - - - -

2차 참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japonica) 78.3 반지락(Ruditapes philippinarus) 7.2

<표 3-2-5-15> 청초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Page 10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0 -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Corophium sp.)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

<그림 3-2-5-8>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5) 생체량 변화

각 조사 시기 및 조사 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은 다음의 <표 3-2-5-16>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은 평균 1.7932 gDW/m2이었으며, 이 중 부

족강이 평균 0.7358 gDW/m2 으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갑각강, 환형동물

문, 복족강, 곤충강의 순으로 생체량을 나타냈다.

1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조사 지점에서의 생체량이 평균 3.3569 gDW/m2이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9733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약 58.8 %의 점유율을 차지하였

는데 이는 CC01 지점에서 우점종이었던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의 개체수 밀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그 외 연체동물문의 부족강은 평균 0.8968 gDW/m2 (26.7 %), 환형동물문은 평균

0.2698 gDW/m2 (8.0 %) 등으로 측정되었다. 2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지점에서의 평균 생체량

이 1.0114 gDW/m2이었으며, 이 중 연체동물문의 부족강이 평균 0.6554 gDW/m2으로 측정되어

총 생체량의 약 64.8 %을 차지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개체의 생체량이 높은 반지락의 개체수

가 많았던 CC02 지점에서 생체량이 더욱 높았다. 그 외 참갯지렁이 및 참송곳갯지렁이를 중심

으로 환형동물문의 생체량이 평균 0.3134 gDW/m2으로 전체의 약 31.0 %를 차지하였다.

지점별로는 CC01 지점이 평균 2.4955 gDW/m2이었으며, CC02가 평균 0.3886 gDW/m2으로

유입부인 CC01에서 더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1차 조사에서는 CC01 지점의 경우 전체 분류군

중 갑각강(1.9733 gDW/m2; 58.8%)의 생체량이 가장 높았으며, CC02 지점은 깊은 수심 및 접근

성이 어려워 조사가 불가능하여 제외되었다. 2차 조사시 CC01 지점은 전체 분류군 중 부족강

(1.2930 gDW/m2, 79.1%)의 생체량이 가장 높았으며, CC02 지점은 환형동물문이(0.3708

gDW/m2, 95.4%)으로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Page 10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1 -

조사지점분류군

CC01 CC02평균

1st 2nd 1st 2nd

편형동물문 - - - - -

환형동물문 0.2698 0.2560 - 0.3708 0.2988

연체동물문복족강 0.2170 0.0175 - - 0.0782

부족강 0.8968 1.2930 - 0.0178 0.7358

절지동물문갑각강 1.9733 0.0675 - - 0.6803

곤충강 - 0.0003 - - 0.0001

전체 3.3569 1.6343 - 0.3886 1.7932

* 연체동물문은 패각을 제외한 SFDW (shell-free dry weight)를 측정하였음.

<표 3-2-5-16> 청초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단위: gDW/m2)

6) 군집지수의 변화

청초호의 각 조사 지점에서 산출된 군집지수는 <표 3-2-5-17> 및 <그림 3-2-5-9>와 같다.

특정종에 의한 높은 개체수 점유율로 인하여 청초호의 두 지점의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93(±0.06)으로 매우 높은 값으로 산출되었다. 결과적으로 군집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특정 종에

의한 군집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양도지수(H')는 평균 0.77(±0.48)로 매우

낮았고 군집의 구성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도지수에 의한 오수생물계열을 판단하였

을 때 본 수역은 강부수성인 상태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풍부도지수(R1)는 1.23(±0.17)였으

며, 균등도지수(J’)는 0.25(±0.17)로 산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은

일부 종에 의하여 서식이 제한적이며 전체적으로 생태적 안정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지수조사지점

우점도지수(DI)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1) 균등도지수(J')

CC011차 0.98 0.34 1.29 0.09

2차 0.95 0.68 1.04 0.23

CC02 2차 0.86 1.29 1.36 0.43

평균 0.93 (±0.06) 0.77 (±0.48) 1.23 (±0.17) 0.25 (±0.17)

<표 3-2-5-17> 청초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a) 우점도지수(DI) 및 균등도지수(J’) (b) 다양도지수(H') 및 풍부도지수(R1)

<그림 3-2-5-9> 청초호에서의 군집지수

Page 10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2 -

7) 생태점수(ESB)에 따른 환경질 평가

현행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는 대체적으로 담수산 대형무척추동물을 중심으로 일부

기수에 서식하는 종이 포함되어 이들의 출현에 의하여 전반적인 환경상태에 대한 평가가 이루

어지고 있다. 그러나 청초호에서 출현한 출현종의 대부분은 해산종 또는 기수종이었으며, 현재

까지 이와 같은 해산종의 환경 질 점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본 석호에 대한

ESB의 적용 및 환경 질 평가는 무의미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평가는 배제하였다.

라. 어류

1) 어류의 분포 및 서식현황

청초호의 어류조사 결과 출현한 종은 총 6목 6과 11종 513개체였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법정보호종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급인 잔가시고기 1종이 채집되었으며 천연기념물은 출현하

지 않았다. 또한 한국고유종 역시 출현하지 않았으며 외래종도 출현하지 않았다(표 3-2-5-18

및 그림 3-2-5-10).

학 명 국 명1차 2차

Total RACC01 CC02 CC01 CC02

Clupeiformes 청어목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13   70 83 16.18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1       1 0.19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51   77 11 139 27.10

Mugiliformes 숭어목            

Mugilidae 숭어과            

Mugil cephalus 숭어 3 1 5   9 1.75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2 8 10 1.95

Beloniformes 동갈치목            

Hemiramphidae 학공치과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26   39 65 12.67

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목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8       8 1.56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26       26 5.07

<표 3-2-5-18> 청초호의 어류상

Page 10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3 -

학 명 국 명1차 2차

Total RACC01 CC02 CC01 CC02

Perciformes 농어목            

Gobiidae 망둑어과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76   34 16 126 24.56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6   13   19 3.70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6 1 20   27 5.26

과 4 4 3 5 6

종 8 4 6 5 11

5개체수 177 41 151 144 513

<표 3-2-5-18> 계속

본 조사에서 출현한 11종 중 1차담수어가 2종(18%), 2차담수어가 2종(18%), 연안어가 7종

(64%)이 출현하였다(그림 3-2-5-11). 과별 비교풍부도를 보면 망둑어과가 전체 11종 중 3종

(27.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잉어과, 숭어과, 큰가시고기과가 각각 2종씩(18.2%), 청어과

및 학공치과가 1종(9.1%)이 출현하였다(표 3-2-5-17).

채집된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를 살펴보면 황어(27.10%)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문

절망둑(24.56%), 전어(16.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3-2-5-12).

<그림 3-2-5-10> 청초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Page 11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4 -

<그림 3-2-5-11> 청초호의 1차 담수어, 2차담수어, 연안어

황어

(Tribolodon hakonensis)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전어

(Konosirus punctatus)

<그림 3-2-5-12> 청초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2) 어류상 변화

청초호에 대한 과거의 어류상 조사는 원주청(2009)의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연구 및 관리방안’ 조사가 있다. 원주청(2009)의 조사 결과에서 19과 36종

이 출현하였으며, 본 조사의 6과 11종보다 다양하였다(표 3-2-5-19). 문헌 비교 결과 출현종의

차이는 사용된 어구 및 조사 방법이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는데, 즉 2009년 조사에서는 족대

(4×4 mm), 투망(7×7 m), 자망(50×50 mm, 15×15 mm), 정치망(5×5 m) 등 본 조사에서보다 다

양한 어구들이 사용되었다.

Page 11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5 -

학 명 국 명 2009 2011

Engraulidae 멸치과    

Engraulis japonicus 멸치 ●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 ●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  

Cyprinus carpio 잉어 ● ●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  

Rhynchocypris steindachneri 버들개 ●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 ●

Zacco platypus 피라미 ●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은어 ●  

Salmonidae 연어과    

Oncorhynchus keta 연어 ●  

Mugilidae 숭어과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

Mugil cephalus 숭어 ● ●

Hemiramphidae 학공치과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 ●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 ●

Scorpaenidae 양볼락과    

Sebastes Schlegeli 조피볼락 ●  

Serranidae 농어과    

Lateolabrax japonicus 농어 ●  

Lateolabrax maculatus 점농어 ●  

Gerreidae 게레치과    

Gerres oyena 게레치 ●  

Sparidae 도미과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  

Teraponidae 살벤자리과    

Rhyncopelates oxyrnchus 줄벤자리 ●  

Pholididae 황줄베도라치과    

Pholis crassispina 점베도라치 ●  

Pholis nebulosa 베도라치 ●  

<표 3-2-5-19> 청초호의 과거문헌 어류상

Page 11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6 -

학명 국명 2009 2011

Gobiidae 망둑어과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 ●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 ●

Favonigobius gymnauchen 날개망둑 ●  

Gymnogobius urotaenia 꾹저구 ●  

Luciogobius guttatus 미끈망둑 ●  

Rhinogobius brunneus 밀어 ●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 ●

Tridentiger trigonocephalus 두줄망둑 ●  

Pleuronectidae 가자미과    

Pleuronectes yokohanae 문치가자미 ●  

Monacanthidae 쥐치과    

Rudarius ercodes 그물코쥐치 ●  

Stephanolepis cirrhifer 쥐치 ●  

Tetraodontidae 참복과    

Takifugu niphobles 복섬 ●  

과 19 6

종 36 11

<표 3-2-5-19> 계속

청초호는 바다와 직접 연접된 석호로서 대부분이 항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문헌 조사 결

과 확인된 출현종수의 차이는 대체로 조사 방법에 있었다. 원주청(2009) 조사의 경우 투망 및

족대, 자망 등 조사장비가 다양하고 본 조사보다 많은 시기 및 지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

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그림 3-2-5-13).

<그림 3-2-5-13> 청초호의 어류상 변화

Page 11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7 -

3) 군집 분석

본 조사에서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황어와 문절망둑으로 나타나, 청초호는 해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염분에 내성이 강한 어종들이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종의 우세한 정

도를 나타내는 우점도지수는 평균 0.79의 값을 나타냈다. 다양도지수는 군집의 종의 풍부도와

개체수의 상대적 균형성을 의미하며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 1.78을 나타냈다.

그리고 풍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지수

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게 되므로 환경의 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데, 본 조사 결과에서는 평균 0.99를 나타냈다. 한편 균등도지수는 각 지수의 최대치에 대한 실

제 개체의 비로서 표현된다. 균등도지수는 군집내 모든 종의 개체수가 동일할 때 최대치가 되

므로 결국 균등도 지수는 군집 내 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 조사에서 청초호

는 평균 0.72를 나타냈다(표 3-2-5-20).

우점종 아우점종 우점도(DI) 다양도(H') 풍부도(R1) 균등도(J')

황어 문절망둑 0.79 1.78 0.99 0.72

<표 3-2-5-20> 청초호의 우점종 및 평균 군집분석

4) 특별히 보호 대책이 필요한 종 및 서식지

가) 보호대책이 필요한 종

◦ 잔가시고기

멸종위기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해안으로 흐르는 맑은 하천의 중류

수역의 돌 틈, 바위,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5~8월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산란 생태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체와 어린 물고기는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담수에

서 일생 동안 지내며 주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와 같은 비교적 큰 수생동물을 먹고산다.

산란 시 수초에 산란둥지를 지어 산란한다.

나) 보호대책이 필요한 서식처

◦ 수변식물대

석호의 가장자리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수변식물대는 석호생태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을 한다. 수변식물대는 육상생태계와 수변생태계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추이대 역할을 담당하

며, 조류 및 포유류의 은신처뿐만 아니라 어류의 은신 및 산란처로 이용되는 중요한 서식공

간이다. 특히 큰가시고기과 같은 어류들은 산란 시 수변식물의 줄기 혹은 잎 등을 이용하여

산란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수변식물 군락이 감소하면 석호에 서식하는 생물종 역시 감소할

Page 11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8 -

것으로 판단된다.

◦ 수중식물대

수중식물군락은 어류의 은신처, 먹이, 그리고 산란처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서식처 중

하나이다. 많은 망둑어과 어류가 수중식물 군락에 알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산란을 하며, 큰가

시고기과 어류도 산란둥지를 수중식물 줄기에 수변식물조각이나 수중식물 조각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수중식물 군락의 감소는 어류의 현존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유입지류

석호의 유입지류는 석호에 담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입지류의 오염은 석

호의 오염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유입지류에는 석호에서 출현하는 대부분의

담수어종이 서식하며 회유성 어종의 산란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유입지류의 보호

및 보존은 석호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보호 및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Page 11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99 -

제3절 매호

1. 호소의 이용현황

가. 호소 및 유역의 일반현황

매호는 강원도 양양군에 위치하며, 호소면적 0.14 km2, 수변길이 2.16 km, 연평균 수위 1∼

2 m, 유역면적 8.77 km2이다. 매호로 유입되는 주요 유입하천으로는 포매천이 있다(표

3-3-1-1).

호소명 매호

행적구역 강원도 양양군

GPSN 37° 56' 48"E 128° 46' 25"

호소면적(km2) 0.14

수변길이(km) 2.16

연평균수위(m) 1∼2

유입하천 포매천

유로연장(km) 2.2

유역 내행정구역(동리)

현남면

인구리

광진리

전포매리

후포매리

견불리

지경리

입암리

남애리

유역면적(km2) 8.77

<표 3-3-1-1> 매호 유역의 일반현황

나. 용수 이용현황

매호는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발전용수, 유지용수로의 용수이용을 하지 않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Page 11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0 -

다. 내수면 이용현황

매호에는 양식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낚시금지구역지정은 되어 있지 않았다.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가. 인구현황

매호 배수유역 내의 총인구는 2,058명으로 확인되었다(표 3-3-2-1).

읍면동 리 계하수처리구역 외

시가지역(명) 비시가지역(명)하수처리 비하수처리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현남면

인구리 505 88 53 227 137

광진리 275 24 1 239 11

전포매리 70 0 0 0 70

후포매리 32 0 0 0 32

견불리 80 0 0 0 80

지경리 104 0 0 104 0

입암리 170 0 0 161 9

남애리 822 0 0 695 127

계 2,058 112 54 1,426 466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3-2-1> 매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나. 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매호로 직접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업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 축산현황

매호의 배수유역이 포함된 양양군의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의 수는 총 34,988

마리이며, 축종별로 돼지가 7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표 3-3-2-2).

시군구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 계

양양군 5,914 4 25,268 180 3,019 603 34,988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3-2-2> 양양군의 축산현황(마리)

Page 11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1 -

라. 산업현황

매호의 배수유역 내 위치한 폐수발생업체는 총 5개소로 폐수발생량은 396.4 m3/일로 나타

났다(표 3-3-2-3).

시군구 읍면동 리 폐수발생업체수(개소) 폐수발생량(m3/일)

양양군 현남면후포매리, 지리,원포리, 상월천리

5 396.4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3-2-3> 매호 배수유역의 산업현황(2010)

마. 토지이용 ․ 규제현황

매호 배수유역 내 답의 비율이 36%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답, 기타, 임야, 전, 대지

등의 순으로 토지가 이용되고 있다(표 3-3-2-4).

시군구 읍면동 전 답 임 야 대지 기타 합계

양양군 현남면 1,173,712.2 2,676,045.8 1,385,612.0 434,070.5 1,682,542.0 7,351,982.5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3-2-4> 매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2010년, ㎡)

바. 환경기초시설 현황

매호의 배수유역 내에는 환경기초시설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매호 유역의 발생부하량 산정시 적용하는 발생원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자

료가 없는 경우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에서 제시하는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였다.

가. 발생부하량

1) BOD 발생부하량

매호 유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표 3-3-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6,102.6 ㎏/일이며, 축

Page 11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2 -

산계 발생부하량이 5,940.01 ㎏/일로 97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 BOD 발생부

하량은 62.23 ㎏/일로 1%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BOD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100.36 2

축산계 5,940.01 97

산업계 62.23 1

합계 6,102.6 100

<표 3-3-3-1> BOD 발생부하량(㎏/일)

2) TN 발생부하량

매호 유역의 TN 발생부하량은 <표 3-3-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463.76 ㎏/일이며, 축

산계가 1,422.45 ㎏/일로 97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 발생부하량이 19.50

㎏/일로 1.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TN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21.81 1.7

축산계 1,422.45 97

산업계 19.50 1.3

합계 1,463.76 100

<표 3-3-3-2> TN 발생부하량(㎏/일)

3) TP 발생부하량

매호 유역의 TP 발생부하량은 <표 3-3-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577.27 ㎏/일이며, 축산

계가 572.39 ㎏/일로 99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발생부하량은 1.94 ㎏

/일로 0.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P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2.94 0.7

축산계 572.39 99

산업계 1.94 0.3

합계 577.27 100

<표 3-3-3-3> TP 발생부하량(㎏/일)

Page 11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3 -

나. 배출부하량

1) BOD 배출부하량

매호 유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표 3-3-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5,998.15 ㎏/일이며, 축

산계 배출부하량이 5,940.01 ㎏/일로 99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 BOD 배출부

하량은 2.94 ㎏/일로 0.1 %이하의 비율로 가장 적은 배출부하량을 나타내었다.

BOD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55.20 0.9

축산계 5,940.01 99

산업계 2.94 0.1 이하

합계 5,998.15 100

<표 3-3-3-4> BOD 배출부하량(㎏/일)

2) TN 배출부하량

매호 유역의 TN 배출부하량은 <표 3-3-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426.99 ㎏/일이며, 축

산계 배출부하량이 1422.45 ㎏/일로 99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 TN 배출부하

량은 0.17 ㎏/일로 0.1 %의 비율로 가장 적은 배출부하량을 나타내었다.

TN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4.37 0.9

축산계 1,422.45 99

산업계 0.17 0.1 이하

합계 1,426.99 100

<표 3-3-3-5> TN 배출부하량(㎏/일)

3) TP 배출부하량

매호 유역의 TP 배출부하량은 <표 3-3-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574.79 ㎏/일이며, 축산

계 배출부하량이 572.39 ㎏/일로 99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생활계 배출부하량은 0.6

㎏/일로 0.1%의 비율로 가장 적은 배출부하량을 나타내었다.

TP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0.6 0.1 이하

축산계 572.39 99

산업계 1.80 0.9

합계 574.79 100

<표 3-3-3-6> TP 배출부하량(㎏/일)

Page 12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4 -

4. 호소의 수질

가. 환경요인

강원도 양양군에 소재 하고 있는 매호에 대한 수질 조사는 2011년도 4월과 6월, 8월, 10월

에 각 1회씩 총 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조사는 호소 좌안의 M01과 호소 우안의 수문 앞 지점

인 M02의 2개 지점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는 다음에 간략히 기술하였으며 상

세 결과는 표와 그림으로 나타내었다(표 3-3-4-1 및 그림 3-3-4-1).

1) 수온

조사 기간 중 수온은 각 조사 당일의 기온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이

가장 높게 측정된 조사 시기는 8월이었으며, 이날 측정된 수온은 M01에서는 27.9 ℃와 M02에

서는 28.1 ℃로 측정되었다. 수온이 가장 낮게 측정된 때는 10월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pH

매호 수계의 수소이온농도(pH) 농도는 최소 7.6(8월, M01)에서 최대 8.8(4월, M02)로 나타

났다. 4월 일시적으로 pH 농도가 높았을 때를 제외하면 pH 변화의 폭은 크지 않았다.

3) DO

매호 2개 지점의 용존산소농도(DO)는 최소 6.7 mg/L(6월, M02)에서 최대 16.9 mg/L(10월,

M01, M02)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용존산소농도에 의한

매호의 수질 등급은 6월에는 “좋음” 등급이었으며 4월, 8월, 10월에는 “매우 좋음” 등급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BOD

4회 조사 기간 동안 매호 수계 2개 지점에서 채수된 시료의 BOD 농도를 분석한 결과 최

소 농도는 10월 M02의 1.4 mg/L로 확인되었으며, 최대 농도는 8월 M02의 8.4 mg/L로 확인되

었다. 매호의 BOD 농도는 고수온기인 8월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나머지 조사

기간 중에는 농도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5) COD

매호에서 채수한 시료의 COD 농도는 최소 1.4 mg/L(4월, M01)이었으며 최대 8.6 mg/L(8

Page 12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5 -

월, M02)이었다. 매호의 COD 농도는 4월에서 6월로 가면서 가파르게 상승한 후 10월까지 약하

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의 COD 농도 기준에 따르면 매호의

수질은 4월에 “매우 좋음” 등급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약간 나

쁨” 이하 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 SS

조사 기간 중 매호 수체 중의 SS 농도는 평균 10.2 mg/L였으며, 이는 3개 호소 중 향호

(평균 14.1 mg/L) 다음으로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매호와 향호는 영랑호와 청초호에 비해

호소의 면적이 작고 수심이 낮아 바람에 의해 하상 물질의 부유가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조

건을 가지고 있으며, 호안의 수생식물 서식밀도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에 의한 부유고형

물의 농도 증가가 예상된다. 부유고형물의 성상을 고려하지 않고 호소의 수질을 판단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나, 분석결과를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적용하였을 경우 부유고형물의

농도에 따른 매호의 수질은 “약간 나쁨”에서 “좋음” 등급 사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 투명도

투명도는 부유고형물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질 항목으로 매호에서 측정한 투명도

결과값은 부유고형물 측정값과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호 수체의 투명도는 조

사 기간 동안 0.02 m(6월, M01, M02)에서 0.85 m(10월, M02)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8) 전기전도도

매호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 값의 평균은 1,812,687.5 μS/㎝로 조사 대상 4개 호소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매호의 2개 지점에서 전기전도도 값은 4월에 가장 낮았으며, 8월에 가장

높았다.

9) 염도

2011년 조사 결과 확인된 매호의 평균 염분농도는 3.2 ‰로 4개 호소 중 가장 낮았다. 특히

4월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 중에는 0.6 ‰(6월, M01)에서 1.8 ‰(8월, M02)의 낮은 측정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 기간 중에는 매호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매우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10) 총질소

4회 조사 기간 동안 측정된 매호의 평균 총질소 농도는 0.51mg/L로 4개 호소 중 가장 낮

Page 12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6 -

았다. 매호의 총질소 농도는 2개 지점 모두에서 6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M01: 1.130 mg/L,

M02: 1.050 mg/L), M01 지점에서는 10월(0.090 mg/L)과 M02 지점에서는 8월에 가장 낮은 농

도를 보였다.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의하면 매호의 수질은 4월과 6월에는 “보통”과 “나쁨” 등급

상태였으며, 8월과 10월에는 “좋음”과 “매우 좋음” 상태로 확인되었다.

11) 질산성 질소

매호 수계 2개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지점 M01에서는

4월에서 8월까지 감소한 후 10월 들어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점 M02에서는 4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개 지점 중 가장 높은 질산성 질소 농도 값을 보인

지점은 4월 M02 지점으로 0.406 mg/L의 질산성 질소가 검출되었으며, 8월 지점 M01에서는 질

산성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12) 암모니아성 질소

매호 2개 지점에 대해 4회 조사를 통해 확보된 시료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의 평균은 0.48

mg/L로 나타났다. 이는 4개 호소의 평균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측정 결과 중 가장 높은 값으

로 확인되었다. 내륙 지점인 M01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가장 높게 측정된 4월 이후 지속적

으로 감소하였으나, 지점 M02에서는 6월 농도가 급증한데 이어 급감하는 경향을 보였다.

13) 총인

매호의 총인 농도는 0.020 mg/L(10월, M01)에서 0.071 mg/L(4월, M01)의 범위로 변화하였

다. 2개 지점 모두 총인의 농도는 4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호소

생활환경기준에 따르면 4월과 6월 매호의 수질은 “약간 나쁨”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

며 8월과 10월에는 “보통”에서 “좋음” 등급 사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4) 인산염인

매호의 수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인산염인은 6월 지점 M02을 제외하면 그 농도가 매우 적

은 것으로 나타났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6월 지점 M02의 인산염인 농도는 3.501 mg/L로 측정

되었는데, 동일한 조사일에 채수한 M01 지점의 인산염인 농도가 0.113 mg/L인 것과 비교해 볼

때, 조사당일 지점 M02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일시적인 인산염인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

된다.

Page 12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7 -

15) 총대장균군수

매호에서 채수한 8개 시료 중의 총대장균군수는 최대 1,900 CFU/mL(10월, M01)이었으며,

최소 30 CFU/mL 이하로 나타났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총대장균군수 기준에 의하면 “보통” 등

급을 보인 8월 M02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서 “약간 나쁨” 이하 등급을 나타냈다.

16) 분원성대장균군수

총대장균군수에 의한 매호의 수질 등급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는 달리 분

원성대장균군수에 의한 매호의 수질 등급은 “매우 좋음” 또는 “좋음” 등급인 것으로 확인되었

다. 특히 10월 M01에서 채수한 시료로부터는 분원성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17) TOC

매호 수체 중의 총유기탄소 농도는 평균 3.30 mg/L로 나타났다. 총유기탄소의 농도가 가장

낮게 측정된 지점은 10월 M01 지점(2.214 mg/L)이었으며 가장 높게 측정된 지점은 6월 M02

지점(4.401 mg/L)으로 확인되었다.

18) 페놀

조사 기간 중 매호에서 검출된 페놀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12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8 -

측정항목4월 6월 8월 10월

M01 M02 M01 M02 M01 M02 M01 M02

수온(℃) 14.4 14.8 23.4 21.8 27.9 28.1 11.4 9.8

수소이온농도(pH) 8.7 8.8 7.8 7.7 7.6 7.9 8.0 7.7

DO (㎎/L) 11.6 11.7 6.8 6.7 10.2 12.4 16.9 16.9

BOD (㎎/L) 2.5 2.7 2.5 2.4 7.9 8.4 1.8 1.4

COD (㎎/L) 1.4 1.6 6.6 7.2 6.8 8.6 7.2 7.6

SS (㎎/L) 13.3 14.0 18.0 17.5 4.8 11.5 1.3 1.3

투명도 (m) 0.33 0.31 0.02 0.02 0.55 0.49 0.71 0.85

전기전도도 (㎲/㎝) 13,600 17,900 1,260,000 1,410,000 2,710,000 3,460,000 2,680,000 2,950,000

Salt (‰) 7.8 10.5 0.6 0.7 1.4 1.8 1.4 1.5

Salt (ppm) 7,800 10,500 600 700 1,400 1,800 1,400 1,500

총질소 (㎎/L) 0.469 0.691 1.130 1.050 0.160 0.230 0.090 0.240

질산성질소 (㎎/L) 0.298 0.406 0.214 0.218 ND 0.088 0.051 0.089

암모니아성질소 (㎎/L) 0.992 0.211 0.411 1.153 0.059 ND 0.037 ND

총인 (㎎/L) 0.071 0.066 0.060 0.060 0.040 0.030 0.020 0.027

인산염인 (㎎/L) 0.045 0.017 0.113 3.501 ND ND ND ND

총대장균군 (CFU/㎖) 159 130 57 89 247 <30 1900 1500

분원성대장균군(CFU/100㎖) 8 3 13 18 8 3 ND 2

Chl-a (㎎/㎥) 17.1 24.7 2.1 2.0 6.7 9.7 3.4 1.8

현존량 (cell/㎖) 1,850.0 2,330.0 781.3 736.1 1,068.8 1,100.0 637.5 675.0

TOC (㎎/L) 3.896 3.276 3.501 4.401 3.362 3.226 2.214 2.518

페놀 (㎎/L) ND ND ND ND ND ND ND ND

TDS (g/L) 8.9 11.6 0.8 0.9 1.8 2.3 1.7 1.9

탁도 (NTU) 13.7 10.8 47.6 34.2 6.9 8.9 5.0 4.0

  매우좋음(Ia)   좋음(Ib)   약간좋음(II)   보통(III)   약간나쁨(IV)   나쁨(V)   매우나쁨(VI)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호소생활환경기준

*ND: 불검출

<표 3-3-4-1> 매호의 수질 조사 결과

Page 12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09 -

(a) 수온 (b) pH

(c) DO (d) BOD

(e) COD (f) 탁도(SS)

<그림 3-3-4-1> 매호(M)의 수질(수온, pH, DO, BOD, COD, SS)

Page 12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0 -

(g) 투명도 (h) EC

(i) 염도 (j) 총질소(TN)

(k) 질산성 질소 (l) 암모니아성 질소

<그림 3-3-4-1> 계속(투명도, EC, 염도, 총질소,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Page 12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1 -

(m) 총인(TP) (n) 인산염

(o) 엽록소-a 농도 (p) 총대장균수

(q) 분원성 대장균수 (r) TOC

(s) 페놀

<그림 3-3-4-1> 계속(총인, 인산염, 엽록소-a 농도, 총대장균수, 분원성 대장균수, TOC, 페놀)

Page 12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2 -

5. 호소의 생물상

가. 식물플랑크톤

1) 출현종

2011년도 4월부터 10월까지 분포가 확인된 식물플랑크톤은 5문 5강 9목 19과 44속에 속하

는 10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규조식물이 77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높은 출현비(76%)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남조식물이 13분류군 출현하였다. 녹조식물은 8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유

글레식물은 2분류군 그리고 황색편모조식물 1분류군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매호에서 출현한 식

물플랑크톤 분류군수는 4월(M01: 44분류군, M02: 41분류군)에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10월

(M01: 36분류군, M02: 24분류군)에 높은 수로 출현한 것이 확인되었다. 가장 적은 수가 출현한

조사 시기는 6월(M01: 18분류군, M02: 13분류군)로 나타났다(그림 3-3-5-1).

13% 1%

76%

2%8%

Cyanophyceae

Chrysophyceae

Bacillariophyceae

Euglenophyceae

Chlorophyceae

<그림 3-3-5-1> 매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

2) 현존량과 엽록소 농도

2011년도 매호에서 채수한 시료 중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는 동일한 변화 경

향을 나타냈다. 두 가지 항목 모두 4월 시료에서 최고값을 보였으며, 6월까지 감소한 후 8월 다

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4회 조사 기간 중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최대 측정

값을 보인 지점은 4월 M02 지점으로 이 때 측정된 현존량 측정값은 2,330 cells/mL이었다. 최

소 현존량 측정값을 나타낸 지점은 10월 M01 지점(637.5 cells/mL)로 확인되었다. Chl-a 농도의

최고 측정값을 나타낸 지점은 현존량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4월 M02 지점(24.7 mg/m3)이었

으며 최소값을 보인 지점은 10월 M02 지점(1.8 mg/m3)으로 확인되었다(그림 3-3-5-2).

Page 12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3 -

0.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Apr. Jun. Aug. Oct.

Standing crop(cell/§¢)

M01

M02

0.0

5.0

10.0

15.0

20.0

25.0

30.0

Apr. Jun. Aug. Oct.

Chl-a(§·/§©)

M01

M02

(a)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b) Chl-a 농도

<그림 3-3-5-2>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3) 우점종

조사 기간 중 매호에서 우점한 식물플랑크톤은 남조식물문에 속하는 1분류군과 황갈조식물

문의 규조강에 속하는 5 분류군이 우점하였다. 춘계에 해당하는 4월에는 2개 지점 모두에서 중

심규조류인 Cyclotella striata가 높은 점유율로 우점하였다. 6월 M01 지점에서는 Achnanthes

alteragracillima가, M02 지점에서는 Cyclotella meneghiniana가 우점하였다. 또한 고수온기인 8

월에는 Cyclotella striata (M01)와 Skeletonema costatum (M02)가 각각 우점하였다. 10월에는

지점 M01에서는 남조식물인 Merismopedia glauca가 우점하였으며, 지점 M02에서는 규조식물

인 Navicula subminuscula가 우점하였다(표 3-3-5-1).

조사 시기 조사 지점 우점종 우점율(%)

4월M01 Cyclotella striata 51.5M02 Cyclotella striata 89.9

6월M01 Achnanthes alteragracillima 72.9M02 Cyclotella meneghiniana 27.5

8월M01 Cyclotella striata 50.2M02 Skeletonema costatum 37.1

10월M01 Merismopedia glauca 31.8M02 Navicula subminuscula 38.3

<표 3-3-5-1> 매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4) 군집지수

매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다양성 지수는 0.68∼2.71의 범위로 나타났다. 4월

조사에서는 2개 지점 모두 가장 많은 출현 분류군수를 보였지만, 우점종의 출현 비율이 50% 이

상으로 높게 나타나 다양도지수가 낮게 산출되었다. 다양도지수가 가장 높게 산출된 지점은 10

월 M01 지점으로 이 시기에는 비교적 많은 수의 분류군(37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인

Merismopedia glauca의 점유율(31.8%)이 상대적으로 낮아 다양도지수가 높았다. 풍부도지수는

각 지점의 출현 분류군 수에 따라 최소 1.82(6월, M02)에서 최대 5.72(4월, M01)로 분석되었다.

Page 13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4 -

균등도지수는 최소 0.18(4월, M02)에서 최대 0.85(6월, M02)로 나타났다. 4월 M02 지점은 높은

출현분류군 수에도 불구하고 우점종인 Cyclotella striata의 출현비가 89.9%를 차지하고 있어 군

집의 안정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3-3-5-2).

조사 시기 조사 지점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 균등도지수(E')

4월M01 1.58 5.72 0.42M02 0.68 5.16 0.18

6월M01 1.24 2.55 0.43M02 2.19 1.82 0.85

8월M01 1.98 2.87 0.65M02 1.64 2.86 0.54

10월M01 2.71 5.42 0.76M02 2.10 3.53 0.66

<표 3-3-5-2> 매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 호소의 부영양화 평가

매호의 영양단계 판정은 TSI 지수와 LTSI 지수를 산정하여 실시하였다. TSI 지수 중 투

명도와 총인 농도로 산정한 결과에 따르면 매호의 수질은 전 조사 기간 동안 부영양 단계에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hl-a 농도로 판정한 매호의 수질 등급은 6월 이후 개선되는 양상을 보

이고 있으나, 10월 M02 지점을 제외한 전 조사 지점에서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TSI 지수 산출을 통해 알아본 매호의 수질 등급은 4월과 6월 동안에는 과영양 단계에 있었으

며, 8월과 10월 중에는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TSI 지수와 LTSI 지수를 통

해 알아본 2011년도 매호의 수질은 TSI(TP)를 제외한 3개 항목에서 춘계인 4월에서 추계인 10

월로 갈수록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고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영양단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3-5-3).

<그림 3-3-5-3> 부영양화 지수(TSI, LTSI)에 의한 매호의 영양등급 판정

Page 13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5 -

나. 대형수생식물

1) 식물상

가) 식물상 구성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매호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85과 229속 285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3과 3속 2종 2변종으로 총 4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4속 5종으로 총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225분류군과 88분

류군이 출현하였다(표 3-3-5-3).

구 분 과 속 종 변종 품종 분류군

양치식물 3 3 2 2 - 4

나자식물 3 4 5 - - 5

피자식물쌍자엽식물 63 161 201 21 3 225

단자엽식물 16 61 77 10 1 88

계 85 229 285 33 4 322

<표 3-3-5-3> 매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나) 수습생식물

매호에서 각각의 수습생 식물 분류군 수는 침수식물 5분류군, 부엽식물 3분류군, 부수식물

2분류군, 정수식물 13분류군, 습생식물 47분류군으로 총 70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과 습생식물

이 전체 식물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호 전체에서 22.3 %이었다(표 3-3-5-4).

수습생식물 분류군

수생식물

침수조류 -

침수식물 5

부엽식물 3

부수식물 2

정수식물 13

소계 23

수생식물 구성비율(%) 7.1

습생식물 47

습생식물 구성비율(%) 15.2

<표 3-3-5-4> 매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Page 13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6 -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환경부(2006)에 의하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1,116분류군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분류

군은 Ⅴ등급 237분류군, Ⅳ등급 242분류군, Ⅲ등급 279분류군, Ⅱ등급 107분류군, Ⅰ등급 251분

류군으로 구분한다.

Ⅴ등급(평가점수 10)은 국내에 고립되어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분포지

역이 가장 협소한 지역에 나타나는 분류군이고, Ⅳ등급(평가점수 8)은 북방계나 남방계식물로서

1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Ⅲ등급(평가점수 6)은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Ⅱ등급(평

가점수 4)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고도 약 1,000m 이상인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Ⅰ등급(평

가점수 2)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이지만 3개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한다.

매호에서 I등급, II등급, III등급, IV등급, V등급종은 각각 19, 4, 5, 2, 2분류군으로 총 32분

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120점으로 나타났으며,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94점으로 나타났다(표 3-3-5-5).

학 명 국 명 등 급

소나무과 ( Pinaceae )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Ⅰ

측백나무과 ( Cupressaceae )    

Thuja orientalis L. 측백나무 Ⅳ

자작나무과 ( Betulaceae )    

Alnus hirsuta Turcz 물오리나무 Ⅰ

참나무과 ( Fagaceae )  

Quercus variabilis BL. 굴참나무 Ⅰ

여뀌과 ( Polygonaceae )    

Persicaria amphibia (L.) S.F. GRAY 물여뀌 Ⅴ

차나무과 ( Theaceae )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Ⅰ

장미과 ( Rosaceae )    

Kerria japonica (L.) DC. 황매화 Ⅰ

Potentilla egedei var. groenlandica (Tratt.) Polunin 누운양지꽃 Ⅳ

Prunus yedoensis MATSUMURA 왕벚나무 Ⅴ

콩과 ( Leguminosae )    

Lathyrus quinquenervius (Miq.) Litv. 연리초 Ⅰ

단풍나무과 ( Aceraceae )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Ⅲ

Acer triflorum KOM. 나도박달 Ⅱ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Ⅰ

피나무과 ( Tiliaceae )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Ⅰ

산형과 ( Umbelliferae )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 갯방풍 Ⅰ

<표 3-3-5-5> 매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Page 13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7 -

학 명 국 명 등 급

물푸레나무과 ( Oleaceae )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이팝나무 Ⅰ

메꽃과 ( Convolvulaceae )    

Calystegia soldanella (Linnaeus) Roemer & Schltes 갯메꽃 Ⅰ

꿀풀과 ( Labiatae )    

Scutellaria dependens MAXIM. 애기골무꽃 Ⅰ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참골무꽃 Ⅰ

현삼과 ( Scrophulariaceae )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좁쌀풀 Ⅱ

Linaria japonica MIQ. 해란초 Ⅲ

질경이과 ( Plantaginaceae )    

Plantago camtschatica Chamisso ex Link 개질경이 Ⅰ

국화과 ( Compositae )    

Achillea alpia Linnaeus 톱풀 Ⅱ

Ixeris repens (Linnaeus) A. GRAY 갯씀바귀 Ⅰ

택사과 ( Alismataceae )    

Alisma plantago-aquatica var. orientale SAMUEIS 질경이택사 Ⅲ

Sagittaria aginashi MAKINO 보풀 Ⅰ

가래과 ( Potamogetonaceae )    

Ruppia maritima L. 줄말 Ⅰ

백합과 ( LiLiaceae )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el 부추 Ⅰ

물옥잠과 ( Pontederaceae )    

Monochoria korsakowi Regel & Maack 물옥잠 Ⅲ

붓꽃과 ( Iridaceae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 NAKAI 꽃창포 Ⅱ

벼과 ( Gramineae )    

Elymus mollis TRIN. 갯그령 Ⅲ

사초과 ( Cyperaceae )    

Carex kobomugi OHWI 보리사초 Ⅰ

<표 3-3-5-5> 계속

라) 귀화식물

귀화식물은 기존의 식물상과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생태적 지위를 반영하는데 상당히 중

요하게 취급할 수 있다. 국립환경연구원(2004)에서 발표한 귀화식물목록 287종 중 본 조사에서

는 10과 24속 27종 1변종 2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인간의 간섭에 의한 자연의 파괴도의 표시

지수로 사용되는 도시화지수(UI=일정지역에 나타나는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

×100)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287분류군에 대하여 9.8%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관속식물 322분류군에 대한 귀화율(NR=귀화식물 종수/조사지역의 총 출현식물 종수

×100)은 8.7%로 나타났다(표 3-3-5-6).

매호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환경부에서 고시한 11종 중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

쑥부쟁이의 3종이 확인되었다.

Page 13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8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여뀌과 ( Polygonaceae )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H R2-3 D4 pr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H R5 D4 ps

자리공과 ( Phytolaccaceae )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G R5 D2 e

석죽과 ( Caryophyllaceae )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Th(w) R5 D4 b

십자화과 ( Cruciferae )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Th(w) R5 D4 ps

장미과 ( Rosaceae )    

Potentilla supina LINN. 개소시랑개비 Ch R5 D4 b-ps

콩과 ( Leguminosae )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N R5 D4 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MM R5 D3 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Ch R4 D4 p

소태나무과 ( Simaroubaceae )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중나무 MM R5 D1 e

바늘꽃과 ( Onagraceae )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Th(w) R5 D4.1 pr

국화과 ( Compositae )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L.) Desc. 돼지풀 Th R5 D4 e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H R5 D1 e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H R5 D1 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Th R4 D1.2 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H R5 D1 e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Th R5 D1 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Th(w) R5 D1 pr

Erigeron bonariensis L. 실망초 Th(w) R5 D1 pr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Th(w) R5 D1 pr

Galinsoga ciliata (Rafin.) S. F. Blake 큰별꽃아재비 Th R4 D4 e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G R3(t) D4 e

Rudbeckia bicolor NUTT 원추천인국 G R3 D4 pr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h(w) R5 D1 pr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H R3(v) D1 r

벼과 ( Gramineae )    

Bromus tectorum L. 말귀리 H R5 D4 t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H R3 D4 t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

과 10

분류군 28

<표 3-3-5-6> 매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Page 13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19 -

휴면형 (Th : 1년생식물(Therophytes), G : 지중식물(Geophyte), H : 반지중식물 (Hemicryptophytes), Ch : 지표식물(Chamaephytes), HH : 수생식물(Hydatophytes), N : 저목, 미소지상식물(Nanophanerophytes), M :아고목, 소형지상식물(Microphanerophytes), MM : 대고목, 대형지상식물(Megaphanerophytes), E : 착생식물(Epiphyten))

번식형(R(1∼5) : 지하기관형, D(1∼4) : 산포기관형)생육형(e: 직립형. b: 분지형, t: 총생형, l: 넌출형, p: 포복형, r: 로제트형, pr: 일시적 로제트형, ps: 로제트-직립형)

<표 3-3-5-6> 계속

2) 대형수생식물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범위

매호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군락은 갈대 군락이었는데, 전체 수생식물의 91.5 %

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5.3 %), 물옥잠군락(1.2 %), 줄군락(0.7 %), 이삭물수

세미군락(0.6 %),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군락(0.4 %), 마름군락(0.3 %)의 순이었다. 매호에서 가

장 우점하는 갈대군락은 호안을 따라 분포하였고, 남측 농경지 사이에 과거 호소였던 부분이

육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기부들군락은 호소 안쪽에 담

수의 영향이 있는 지역에서 부분적으로 분포하였다. 이삭물수세미군락,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

군락은 갈대군락 및 애기부들군락 내부에 소규모로 분포하였고, 줄군락은 유입하천 내에 분포

하고 있었다. 물옥잠군락은 경작지 인근에 위치한 둠벙에서부터 경작지 내부까지 분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표 3-3-5-7 및 그림 3-3-5-4∼5).

가) St. 1

본 지점은 매호 내 정수식물인 갈대군락과 애기부들군락이 분포하는 지역으로서 노출된 나

지에 갈대가 분포하고 있고, 수변부에는 애기부들군락이 수체 안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제방부

에는 환삼덩굴군락이 분포하고 있다.

나) St. 2

본 지점은 매호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지점으로 경작지와 수변부 사이에 정수식물인

갈대가 수체 안까지 분포하고 있다.

다) St. 3

본 지점은 매에서 족제비싸리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으로 식생천이과정 중 소택관목지 식생

을 나타내는 지점이다. 본 지점의 수체 밖으로 형성된 나지에는 정수식물인 갈대가 분포하고

있고, 갈대군락 내부에는 족제비싸리군락이 위치하고 있다. 갈대군락과 외부에는 소나무군락이

위치하고 있다.

Page 13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0 -

구분 식생유형 면적(m2)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89,108 91.5

정수식물 줄 710 0.7

침수식물 이삭물수세미 617 0.6

침수식물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 410 0.4

정수식물 애기부들 5,143 5.3

부엽식물 마름 223 0.3

정수식물 물옥잠 1,141 1.2

합계 97,352 100.0

<표 3-3-5-7> 매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그림 3-3-5-4> 매호의 현존식생도

Page 13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1 -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물옥잠군락

<그림 3-3-5-5> 매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Page 13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2 -

3) 각 군락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및 밀도

매호에서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은 정수식물인 애기부들군락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수식물인 줄군락, 물옥잠군락, 갈대군락, 부엽식물인 마름군락, 침수식물인 이삭물수세미군락,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군락의 순으로 낮아졌다(표 3-3-5-8).

매호에서 단위면적당 평균 건중량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 줄군락, 부엽식물인 마름군락, 정수식물인 물옥잠군락, 침수식물인 이삭물수세미

군락,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군락의 순으로 낮아졌다(표 3-3-5-8).

단위면적당 평균 수분함량은 정수식물인 물옥잠군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부엽식물인 마름군락, 침수식물인 이삭물수세미군락,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군락, 정수식물인

줄군락, 애기부들군락, 갈대군락의 순으로 낮아졌다(표 3-3-5-8).

생활형 군락명 생중량(g/m2) 건중량 수분함량(%)

정수식물 갈대 2,532.0 1,171.6 53.7

정수식물 애기부들 4,420.0 873.2 80.2

정수식물 줄 3,336.0 580.0 82.6

정수식물 물옥잠 3,056.0 200.7 92.8

부엽식물 마름 2,324.0 223.3 90.4

침수식물 이삭물수세미 612.0 64.8 89.4

침수식물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 434.0 47.6 89.0

<표 3-3-5-8> 매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매호의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104.40 ton/yr)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4.49 ton/yr), 줄군락(0.41 ton/yr), 물옥잠군락(0.25

ton/yr), 부엽식물인 마름군락(0.05 ton/yr), 침수식물인 이삭물수세미군락(0.04 ton/yr), 이삭물수

세미-거머리말군락(0.02 ton/yr)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3-3-5-9).

매호에 분포하는 정수식물인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줄의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1

㎡당 각각 303.6와 337.6, 265.2 개체로서 애기부들군락, 갈대군락, 줄군락의 순으로 높았다(표

3-3-5-10).

생활형 군락명 지상부 순 1차 생산성(ton/yr)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104.40 95.20

정수식물 애기부들 4.49 4.09

정수식물 줄 0.41 0.38

정수식물 물옥잠 0.25 0.23

부엽식물 마름 0.05 0.05

침수식물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 0.02 0.01

침수식물 이삭물수세미 0.04 0.04

합계 109.55 100.00

<표 3-3-5-9> 매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Page 13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3 -

생활형 군락명 밀 도

정수식물 갈대 303.6

정수식물 애기부들 337.6

정수식물 줄 265.2

<표 3-3-5-10> 매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개체수/㎡)

다. 대형무척추동물

1) 출현현황

과거 문헌조사 결과 1997년 동해안 석호 자연생태계 연구보고서에서는 총 15종이 출현하였

으며, 2001년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에서는 총 5종, 2008년 수행된 석호정밀조사에서는 총

9종, 2009년 석호정밀조사의 결과에서는 총 12종이 출현하였다(원주청, 1997, 2008, 2009; 환경

부, 2001). 본 조사의 경우 봄 조사 시기에 매호의 2개 조사지점에서 총 3문 5강 13목 15과 17

종, 여름 조사에서 3문 5강 13목 17과 18종이 확인되었으며, 전체기간 동안 총 3문 5강 16목 23

과 27종이 출현하여 다소 높은 출현종수를 확인하였다. 분류군별 출현종 구성은 갑각강이 10종

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연체동물문과 환형동물이 각각 5종씩 출현

하였고, 곤충류는 딱정벌레목이 3종, 노린재목이 2종, 잠자리목과 파리목이 각각 1종씩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3-5-11).

학 명 국 명 `97 `01 `08 `09 본조사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과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논우렁이 ● ●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 ● ●

Assiminea japonica 기수우렁이 ●

OrderNeogastropoda 신복족목

Family Elachisnidae 기수깨고둥붙이과

Elachisina ziczac 기수깨고둥붙이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Radix auricularia 물달팽이 ●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Mytiloida 홍합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Musculus senhausia 종밋 ●

Order Veneroida 백합목

<표 3-3-5-11>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Page 14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4 -

학 명 국 명 `97 `01 `08 `09 본조사

Family Psammobiidae 자패과

Nuttallia ezonis 흑빛자패 ●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 ● ● ●

Corbicula fluminea 재첩 ●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과

Potamocorbula amurensis 쇄방사늑조개 ● ●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Tylorrhynchus heterochaetus 실참갯지렁이 ● ● ●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 ● ●

Class Oligochea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eata 물지렁이목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Parnanais sp. 실지렁이류 ●

Class Hirudinia 거머리강

Order Arhycobdellida 턱거머리목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

Hirudo sp. 참거머리류 ●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Prionospio japonicus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

Order Capitellida 버들갯지렁이목

Family Capitellidae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 spp. 버들갯지렁이류 ●

Order Sabellida 꽃갯지렁이목

Family Sabellidae 꽃갯지렁이과

Sabellidae spp. 꽃갯지렁이류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Thoracica 완흉목

Balanus improvisus 흰따개비 ● ● ●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

Gnorimosphaeroma ovatum 개펄잔벌레 ●

Gnorimosphaeroma rayi 갯가잔벌레 ● ●

Family Mysidae 곤쟁이과

Mysidae spp. 곤쟁이류 ●

Neomysis intermedia 부새우 ● ● ●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Anisogammaridae  아니소옆새우과

Anisogammarus (Eogammarus) kygi ●

Family Ampithoidae 참옆새우과

Peramphithoe sp. 참옆새우류 ●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

<표 3-3-5-11> 계속

Page 14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5 -

학 명 국 명 `97 `01 `08 `09 본조사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

Melita dentata ●

Family Talitridae 도약옆새우과

Platorchestia crassicornis 도약옆새우 ●

Order Cumacea 올챙이새우목

Family Diastylidae 긴꼬리올챙이새우과

Dimorphostylis sp. 긴꼬리올챙이새우류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pacificus 태평줄새우 ●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 ●

Family Crangonidae 자주새우과

Crangon affinis 자주새우 ● ●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Cercion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

Family Aeshnidae 왕잠자리과

Anax parthenope julius 왕잠자리 ●

Family Corduliidae 청동잠자리과

Somatochlor greseri 밑노란잠자리 ●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Muljarus japonicus 물자라 ● ● ●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Laccotrephes japonensis 장구애비 ●

Ranatra chinensis 게아재비 ●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Aquaris sp. 소금쟁이류 ●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

Rhantus pulverosus 애기물방개 ●

Family Haliplidae 물진드기과

Peltodytes intermedius 물진드기 ●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Enochrus simulans 애넓적물땡땡이 ●

Helochares striatus 좀물땡땡이 ●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us salinariu 짠물깔다구

Chironomidae sp.1 깔따구 sp1. ● ●

총 출현종수 15 5 9 12 271997.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자연생태계 연구보고서.

2001. 환경부. 전국 내륙 습지 자연환경조사(매호, 향호)

2008.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

2009.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I)

<표 3-3-5-11> 계속

Page 14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6 -

2) 출현종수의 변동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는 유입부인 M01에서 1차 조사 시 출현 분류군수가 3문 4강

10목 10과 14종, 2차 조사 시 3문 4강 10목 10과 10종으로 총 3문 5강 14목 17과 20종이 출현

하였으며, 유출부인 M02에서는 1차 조사 시 3문 5강 7목 7과 7종, 2차 조사 시 3문 5강 10목

12과 12종으로 총 3문 5강 12목 15과 15종이 출현하여 다소 출현종이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3-5-12 및 그림 3-3-5-6). 전체적으로 매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10.8(±3.0)종으로 조사되

었다. 조사 지점 M01의 경우 수변식생대가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미소서식환경이 비교적 다

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02 지점은 사질의 하상구조가 주를 이루며 유기물 퇴적이 다소

심한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생물서식환경은 열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분류군

M01 M02 Total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체동물문 4 1 2 3 4 4

환형동물문 2 2 2 2 3 3

절지동물문갑각강 6 4 2 3 7 5

곤충강 2 3 1 4 3 6

전체 14 10 7 12 17 18

<표 3-3-5-12> 매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a) 출현종수 (b) 출현종 구성비(%)

<그림 3-3-5-6> 매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3) 출현 개체수 밀도

정량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개체수 밀도는 1차 조사에서 평균 384

개체/m2, 2차 조사에서 평균 416 개체/m2가 출현하여 전체 평균 400 개체/m2가 출현하였다. 이

중에서 연체동물문이 평균 248 개체/m2로 전체 개체수밀도의 64.9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개

체수밀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10 개체/m2로 28.8 %를, 환형

Page 14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7 -

동물문이 평균 35 개체/m2로 4.6 %, 곤충강은 평균 7 개체/m2로 1.8 %를 차지하였다(표

3-3-5-13).

각 지점별로는 유입부인 M01이 평균 375 개체/m2였는데, 1차 조사 시에는 연체동물문의

복족강에 해당하는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2차 조사 시에는 해수의 유통에 따라 갑각

강에 해당하는 곤쟁이류(Mysidae sp.)의 개체수밀도가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으며, 그 외 출현종

의 개체수밀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M02에서의 단위면적당 개체 수밀도는 평균 390 개체/m2로

나타났으며, 유입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좀기수우렁이와 곤쟁이류의 개체수 밀도가 매우 높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두 조사 지점에서의 개체수밀도는 미소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라 큰 차이를 보

였으나 군집의 개체 수 구성비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3-5-7).

조사 지점분류군

M01 M02 평균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체동물문 385 13 183 413 284 213

환형동물문 28 15 15 13 43 28

절지동물문갑각강 95 205 13 128 54 166

곤충강 0 10 8 10 4 10

전체 508 243 218 563 384 416

<표 3-3-5-13> 매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개체/㎡)

(a) 개체수 밀도 (b) 개체수 점유율(%)

<그림 3-3-5-7> 매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4) 우점종 및 점유율의 변화

본 조사결과 매호에서 확인된 우점종은 1차 조사에서 두 조사 지점 모두 공통적으로 좀기

수우렁이(Assiminea lutea)가 제1우점종에 해당되었으며, 2차 조사에서는 M01이 곤쟁이류

(Mysidae spp.), M02는 좀기수우렁이로 확인되었다(표 3-3-5-14 및 그림 3-3-5-8). 또한 제2우

점종의 경우 1차 조사에서 M01은 곤쟁이류, M02에서는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이었으며,

2차 조사에서는 M01은 좀기수우렁이, M02는 곤쟁이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4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8 -

문헌조사 결과, 2009년도 석호 정밀조사에서는 부새우(Neomysis intermedia)가 높은 개체

수 점유율로 출현하였으며, 좀기수우렁이는 제2우점종에 해당하였다(원주청, 2009). 이러한 결과

는 분류학적 특성에 의하여 종 분류가 어려운 곤쟁이과(Mysidae)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본

조사와 그 결과가 유사하다 할 수 있겠다.

조사지점우점종 및 우점율(%)

제1우점종 % 제2우점종 %

M011차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66.5 곤쟁이류(Mysidae spp.) 15.8

2차 곤쟁이류(Mysidae spp.) 76.3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5.2

M021차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79.3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 4.6

2차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69.8 곤쟁이류(Mysidae spp.) 16.9

<표 3-3-5-14> 매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곤쟁이류(Mysidae spp.)

<그림 3-3-5-8>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5) 생체량 변화

각 조사 시기 및 조사 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은 다음의 <표 3-3-5-15>와 같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은 평균 2.7924 gDW/m2이었으며, 이 중 갑

각강이 평균 2.2606 gDW/m2 으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복족강, 부족강, 곤

충강, 환형동물문의 순으로 생체량을 나타냈다.

1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조사 지점에서의 생체량이 평균 4.3201 gDW/m2이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3.8164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약 88.3 %의 점유율을 차지하였

는데, 이는 M01 지점의 출현종인 자주새우(Crangon affinis)의 생체량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

외 좀기수우렁이의 밀도가 높았던 연체동물문의 복족강은 평균 0.4437 gDW/m2 (10.3 %), 환형

동물문은 평균 0.0490 gDW/m2 (1.1 %) 등으로 측정되었다. 2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지점에서

의 평균 생체량이 평균 1.2647 gDW/m2이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0.7049

Page 14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29 -

gDW/m2으로 측정되어 총 생체량의 약 55.7 %을 차지하였다. 그 외 연체동물문의 부족강은 평

균 0.2351 gDW/m2 (18.6 %)로, 연체동물문의 복족강은 평균 0.2103 gDW/m2 (16.6 %) 등으로

측정되었다. 2차 조사의 경우 M01 지점에서는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M02 지점에서는 연체동

물문의 부족강의 생체량이 각각 높았다.

지점별로는 M01 지점이 평균 4.8668 gDW/m2 이었으며, M02가 평균 0.7180 gDW/m2 으로

유입부인 M01에서 더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1차 조사 시 M01 지점은 전체분류군 중 갑각강

(7.6198 gDW/m2; 91.7%)이 가장 높은 생체량을 나타냈으며, M02 지점은 복족강(0.3036g

DW/m2; 91.8%)이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2차 조사 시 M01지점은 전체분류군 중 갑각강

(1.3593 gDW/m2, 95.4%)의 생체량이 가장 높았으며, M02지점은 부족강(0.4703 gDW/m2,

42.6%)으로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조사지점분류군

M01 M02평균

1st 2nd 1st 2nd

환형동물문 0.0860 0.0053 0.0120 0.0070 0.0276

연체동물문복족강 0.5838 0.0598 0.3036 0.3608 0.3270

부족강 0.0110 - 0.0018 0.4703 0.1208

절지동물문갑각강 7.6198 1.3593 0.0130 0.0505 2.2606

곤충강 0.0088 - 0.0005 0.2165 0.0564

전체 8.3093 1.4243 0.3309 1.1051 2.7924

* 연체동물문은 패각을 제외한 SFDW (shell-free dry weight)를 측정하였음.

<표 3-3-5-15> 매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단위: gDW/m2)

6) 군집지수의 변화

조사 기간 동안 매호의 두 지점에서 산출된 평균 우점도지수(DI)는 0.84(±0.02)로 나타났으

며, 평균 다양도지수(H')는 1.50(±0.19), 평균 풍부도지수(R1)는 1.52(±0.28), 균등도지수(J')는

0.46(±0.03)로 나타났다(표 3-3-5-16). 군집지수 산출 결과 모든 조사 지점에서 우점도지수는 매

우 높고, 다양도지수․균등도지수․풍부도지수가 낮게 나타나 두 조사 지점에서의 군집구조는

전반적으로 단순하고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분류군에 의한 군집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3-5-9). 특히 이러한 결과는 유입부보다 유출부에서 더욱 두드

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4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0 -

군집지수조사지점

우점도지수(DI)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1)

균등도지수(J')

M011차 0.82 1.71 1.61 0.50

2차 0.81 1.48 1.64 0.45

M021차 0.84 1.26 1.11 0.45

2차 0.87 1.56 1.74 0.43

평균 0.84 (±0.02) 1.50 (±0.19) 1.52 (±0.28) 0.46 (±0.03)

<표 3-3-5-16> 매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a) 우점도지수(DI) 및 균등도지수(J’) (b) 다양도지수(H') 및 풍부도지수(R1)

<그림 3-3-5-9> 매호의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7) 생태점수(ESB)에 따른 환경질 평가

현행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는 대체적으로 담수산 대형무척추동물을 중심으로 일부

기수에 서식하는 종이 포함되어 이들의 출현에 의하여 전반적인 환경상태에 대한 평가가 이루

어지고 있다. 그러나 매호에서 출현한 출현종의 대부분은 해산종 또는 기수종이었으며, 현재까

지 이와 같은 해산종의 환경질 점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본 석호에 대한

ESB의 적용 및 환경질 평가는 무의미할 것으로 판단되어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의 분

석은 배제하였다.

라. 어류

1) 어류의 분포및 서식현황

매호의 어류조사 결과 출현한 종은 총 8목 8과 18종 867개체였다. 본 조사에서 법정보호종

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급인 가시고기와 잔가시고기 2종이 채집되었으며, 천연기념물은 출현

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고유종 역시 출현하지 않았으며, 외래종으로는 떡붕어 1종이 출현하였다

(표 3-3-5-17 및 그림 3-3-5-10).

Page 14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1 -

학 명 국 명1차 2차 Tota

lRA

M01 M02 M01 M02

Anguilliformes 뱀장어목            

Anguillidae 뱀장어과            

Anguilla japonica 뱀장어   1     1 0.12

Clupeiformes 청어목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97 97 11.19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2     3 5 0.58

Carassius auratus 붕어 76 49 35 16 176 20.30

Carassius cuvieri 떡붕어 18 8     26 3.00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2     2 4 0.46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3 42 16 47 108 12.46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2 6 8 0.92

Mugiliformes 숭어목            

Mugilidae 숭어과            

Mugil cephalus 숭어 5 8     13 1.50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2 12 14 1.61

Beloniformes 동갈치목            

Adtanichthyidae 송사리과            

Oryzias latipes 송사리 14 3   2 19 2.19

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목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3 4     7 0.81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9 12 6   27 3.11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5     5 0.58

Perciformes 농어목            

Gobiidae 망둑어과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24 3   27 3.11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15 22 11 48 5.54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44 81 79 25 229 26.41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11 17 18 7 53 6.11

과 5 6 5 6 8

종 11 13 9 11 18

개체수 187 269 183 228 867

<표 3-3-5-17> 매호의 어류상

본 조사에서 출현한 18종 중 1차담수어가 6종(33 %), 2차담수어가 5종(28 %), 연안어가 7

종(39 %)씩 각각 출현하였다(그림 3-3-5-11). 과별 비교풍부도는 잉어과가 5종(27.8 %)으로 가

장 많았고, 망둑어과 4종(22.2 %) 및 큰가시고기과 3종(16.7 %), 숭어과 2종(11.1 %), 뱀장어과,

청어과, 바다빙어과, 송사리과가 각각 1종(5.6 %) 등의 순서로 출현하였다(표 3-3-5-16).

Page 14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2 -

채집된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를 살펴보면 흰발망둑(26.41 %)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붕어(20.30 %), 황어(12.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3-3-5-12).

<그림 3-3-5-10> 매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그림 3-3-5-11> 매호의 1차 담수어, 2차담수어, 연안어

Page 14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3 -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붕어

(Carassius auratus)황어

(Tribolodon hakonensis)

<그림 3-3-5-12> 매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2) 어류상의 변화

매호에 대한 과거 어류상 조사는 변(1984)의 ‘기수호의 환경 및 생물상 보고서’와 김 등

(1997)의 ‘동해안 석호 자연생태계 연구보고서’, 환경부(2001)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원주

청(2009) ‘동해안 석호 생태계 조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연구 및 관리방안’ 의 연구

가 있다. 1984년 조사에서는 6과 9종이 출현하였으며 1997년 조사에서는 5과 7종, 2001년 조사에

서는 5과 10종, 2009년 조사에서는 14과 30종, 본 조사 시에는 8과 18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다(표

3-3-5-18). 조사 년도에 따른 출현종의 차이는 시기에 따른 환경의 변화 및 분류체계의 차이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어구 및 조사 방법이 조사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으로, 즉 과거

에 사용된 조사도구를 살펴보았을 때 1984년 조사에서는 저인망과 자망이 사용되었고, 1997년

조사에서는 투망 및 족대, 자망(50×1 m 기준)이 사용되었으며, 2009년 조사에서는 족대(4×4

mm), 투망(7×7 m), 자망(15×15 mm, 50×50 m), 정치망(5×5 m)이 사용되었다.

학명 국명 1984 1997 2001 2009 2011

Anguillidae 뱀장어과          

Anguilla japonica 뱀장어 ●       ●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     ● ●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 ● ● ● ●

Carassius cuvieri 떡붕어       ● ●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

Cyprinus carpio 잉어 ●   ●   ●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 ● ● ● ●

Gobiobotia macrocephala 꾸구리 ●        

Aphyocypris chinensis 왜몰개     ● ●  

Hemiculter leucisculus 살치       ●  

<표 3-3-5-18> 매호의 과거 문헌 어류상

Page 15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4 -

학명 국명 1984 1997 2001 2009 2011

Cobitidae 미꾸리과          

Koreocobitis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   ● ●

Salangidae 뱅어과          

Salangichthys microdon 뱅어       ●  

Mugilidae 숭어과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 ●

Mugil cephalus 숭어 ● ● ● ● ●

Adrianichthyidae 송사리과          

Oryzias latipes 송사리 ●   ● ● ●

Hemiramphidae 학공치과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 ● ● ●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 ●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 ● ●

Sparidae 도미과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     ●  

Teraponidae 살벤자리과        

Rhyncopelates oxyrnchus 줄벤자리     ●  

Repomucenus curvicornis 동갈양태     ●  

Gobiidae 망둑어과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 ●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   ● ●

Favonigobius gymnauchen 날개망둑   ●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 ●

Gymnogobius urotaenia 꾹저구 ●

Rhinogobius brunneus 밀어 ●

Tridentiger bifasciatus 민물두줄망둑 ●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   ● ●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a 가물치 ●

Tetraodontidae 참복과  

Takifugu niphobles 복섬 ●

과 6 5 5 14 8

종 9 7 10 30 18

<표 3-3-5-18> 계속

Page 15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5 -

본 조사 결과에서의 출현종수는 과거 1984년 및 1997년, 2001년의 문헌과 크게 다르지 않았

으나, 원주청(2009)의 조사와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대체로 조사 방법에 있어 지점의 선정

및 어구 사용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3-3-5-13).

<그림 3-3-5-13> 매호의 어류상 변화

3) 군집 분석

본 조사에서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흰발망둑, 붕어로 나타나, 우점종과 아우점종들은 대부분

염분도에 대한 내성이 강한 기수성 어종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정종의 우세한

정도를 나타내는 우점도지수는 평균 0.59의 값을 나타냈다. 다양도지수는 군집의 종의 풍부도와

개체수의 상대적 균형성을 의미하며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 2.61을 나타냈다.

그리고 풍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지수

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게 되므로 환경의 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데, 본 조사결과에서는 평균 1.86을 나타냈다. 한편 균등도지수는 각 지수의 최대치에 대한 실

제 개체의 비로서 표현된다. 균등도지수는 군집내 모든 종의 개체수가 동일할 때 최대치가 되

므로 결국 균등도 지수는 군집 내 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 조사에서 매호는

평균 0.76을 나타냈다(표 3-3-5-19).

우점종 아우점종 우점도(DI) 다양도(H') 풍부도(R1) 균등도(J')

흰발망둑 붕어 0.59 2.61 1.86 0.76

<표 3-3-5-19> 매호의 우점종 및 평균 군집분석

Page 15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6 -

4) 특별히 보호 대책이 필요한 종 및 서식지

가) 보호대책이 필요한 종

◦ 잔가시고기

멸종위기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해안으로 흐르는 맑은 하천의 중유

수역의 돌 틈, 바위,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5∼8월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살란 생태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체와 어린 물고기는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담수에

서 일생동안 지내며 주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와 같은 비교적 큰 수생동물을 먹고산다.

산란 시 수초에 산란둥지를 지어 산란한다.

◦ 가시고기

멸종위기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해안으로 흐르는 맑은 하천의 중유

수역의 돌 틈, 바위,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4∼8월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살란 생태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체와 어린 물고기는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담수에

서 일생동안 지내며 주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와 같은 비교적 큰 수생동물을 먹고산다.

산란 시 수초에 산란둥지를 지어 산란한다.

나) 보호대책이 필요한 서식처

◦ 수변식물대

석호의 가장자리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수변식물대는 석호생태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을 한다. 수변식물대는 육상생태계와 수변생태계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추이대 역할을 담당하

며, 조류 및 포유류의 은신처뿐만 아니라 어류의 은신 및 산란처로 이용되는 중요한 서식공

간이다. 특히 큰가시고기과 같은 어류들은 산란 시 수변식물의 줄기 혹은 잎 등을 이용하여

산란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수변식물 군락이 감소하면 석호에 서식하는 생물종 역시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수중식물대

수중식물군락은 어류의 은신처, 먹이, 그리고 산란처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서식처 중

하나이다. 많은 망둑어과 어류가 수중식물 군락에 알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산란을 하며, 큰가

시고기과 어류도 산란둥지를 수중식물 줄기에 수변식물조각이나 수중식물 조각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수중식물 군락의 감소는 어류의 현존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유입지류

석호의 유입지류는 석호에 담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입지류의 오염은 석

호의 오염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유입지류에는 석호에서 출현하는 대부분의

담수어종이 서식하며 회유성 어종의 산란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유입지류의 보호

및 보존은 석호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보호 및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Page 15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7 -

제4절 향호

1. 호소의 이용현황

가. 호소 및 유역의 일반현황

향호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호소면적 0.32 km2, 수변길이 3.34 km, 연평균

수위 1∼3 m, 유역면적 7.94 km2에 이른다. 향호로 유입되는 유입하천은 견불천이 있다(표

3-4-1-1).

호소명 향호

행적구역 강원도 강릉시

GPSN 37° 54' 25"E 128° 48' 45"

호소면적(㎢) 0.32

수변길이(㎞) 3.34

연평균수위(m) 1∼3

유입하천 견불천

유로연장(㎞) 3.1

유역 내행정구역(동리)

주문진읍

유역면적(㎢) 7.94

<표 3-4-1-1> 향호 유역의 일반현황

나. 용수 이용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는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발전용수, 유지용수로의 용수이용을 하

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15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8 -

다. 내수면 이용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에는 양식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낚시금지구역지정이 되어있지

않았다.

2. 수질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

가. 인구현황

향호 배수유역 내의 총인구는 20,154명으로 확인되었다(표 3-4-2-1).

읍면동 리 계

하수처리구역 외

시가지역(명) 비시가지역(명)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하수처리 비하수처리

주문진읍 20,154 17,228 0 489 2,437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4-2-1> 향호 배수유역 내의 인구현황

나. 오염물질 배출업소 현황

본 조사대상 호소들에는 호소로 직접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업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다. 축산현황

향호의 배수유역이 포함된 강릉시의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의 수는 총 82,804

마리였으며, 축종별로 돼지가 7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표 3-4-2-2).

시군구 한육우 마필 돼지 사슴 개 산양 계

강릉시 9,061 20 61,514 679 10,172 1,358 82,804

주) 2010년 강릉시 통계연보

<표 3-4-2-2> 강릉시의 축산현황(마리)

라. 산업현황

향호의 배수유역 내 위치한 폐수발생업체는 총 7개소로 폐수발생량은 679 m3/일로 나타났

다(표 3-4-2-3).

Page 15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39 -

시군구 읍면동 리 폐수발생업체수(개소) 폐수발생량(m3/일)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 7 679

주) 전국오염원조사 (2010)

<표 3-4-2-3> 향호 배수유역의 산업현황(2010)

마. 토지이용 ․ 규제현황

향호 배수유역 내 임야의 비율이 전체의 72%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임야, 기타,

답, 전, 대지 등의 순으로 토지가 이용되고 있다(표 3-4-2-4).

시군구 읍면동 전 답 임 야 대지 기타 합계

강릉시 주문진읍 3,470,423.0 5,247,112.0 43,716,916.0 1,612,799.0 6,292,632.0 60,339,882

주) 전국오염원조사(2010)

<표 3-4-2-4> 향호 배수유역 내의 토지현황(2010년, ㎡)

바. 환경기초시설 현황

향호 배수유역 내에 주문진 향호 소규모 하수처리장이 위치하고 있었다(표 3-4-2-5).

처리시설명 시설용량(m3/일)처리공법

처리용량(m3/일)처리공법

물리 생물 고도 물리 생물 고도

주문진 향호 30 - 15 15 9 - 9 -

주) 전국오염원조사 (2010)

<표 3-4-2-5> 향호 배수유역 내의 환경기초시설현황

3. 호소주변 오염물질 발생량 및 부하량 선정

향호 유역의 발생부하량 산정시 적용하는 발생원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자

료가 없는 경우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에서 제시하는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였다.

가. 발생부하량

1) BOD 발생부하량

향호 유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표 3-4-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3,308.46 ㎏/일이며,

Page 15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0 -

축산계 발생부하량이 12,186.60 ㎏/일로 91.9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 BOD 발

생부하량은 106.20 ㎏/일로 0.7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BOD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1,015.66 7.4

축산계 12,186.60 91.9

산업계 106.20 0.7

합계 13,308.46 100

<표 3-4-3-1> BOD 발생부하량(㎏/일)

2) TN 발생부하량

향호 유역의 TN 발생부하량은 <표 3-4-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261.38 ㎏/일이며, 축

산계가 3,007.37 ㎏/일로 92 %의 비율을 차지해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 발생부하량이 33.40

㎏/일로 1 %의 비율로 가장 낮은 발생부하량을 나타내었다.

TN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220.61 7

축산계 3,007.37 92

산업계 33.40 1

합계 3,261.38 100

<표 3-4-3-2> TN 발생부하량(㎏/일)

3) TP 발생부하량

향호 유역의 TP 발생부하량은 <표 3-4-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74.93 ㎏/일이며, 축

산계가 1,146.01 ㎏/일로 97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발생부하량은 3.32

㎏/일로 0.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P발생부하량

구 분 발생부하량 비율(%)

생활계 25.60 2.7

축산계 1,146.01 97

산업계 3.32 0.3

합계 1,174.93 100

<표 3-4-3-3> TP 발생부하량(㎏/일)

Page 15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1 -

나. 배출부하량

1) BOD 배출부하량

향호 유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표 3-4-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758.79 ㎏/일이며,

축산계가 12,186.60 ㎏/일로 95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BOD 배출부하량

은 13.58 ㎏/일로 0.7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BOD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558.61 4.3

축산계 12,186.60 95

산업계 13.58 0.7

합계 12,758.79 100

<표 3-4-3-4> BOD 배출부하량(㎏/일)

2) TN 배출부하량

향호 유역의 TN 배출부하량은 <표 3-4-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52.51 ㎏/일이며, 축

산계가 3,007.37 ㎏/일로 98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N 배출부하량은

1.01 ㎏/일로 0.1%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N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44.13 1.9

축산계 3007.37 98

산업계 1.01 0.1

합계 3,052.51 100

<표 3-4-3-5> TN 배출부하량(㎏/일)

3) TP 배출부하량

향호 유역의 TP 배출부하량은 <표 3-4-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55.14 ㎏/일이며, 축

산계가 1,146.01 ㎏/일로 99.3 %의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산업계의 TP 배출부하량은

4.01 ㎏/일로 0.3 %의 비율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P배출부하량

구 분 배출부하량 비율(%)

생활계 5.12 0.4

축산계 1,146.01 99.3

산업계 4.01 0.3

합계 1,155.14 100

<표 3-4-3-6> TP 배출부하량(㎏/일)

Page 15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2 -

4. 호소의 수질

가. 환경요인

향호에 대한 2011년도 수질 조사는 다항목수질측정기를 이용한 현장측정과 함께 실험실에

서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는 다음에 간

략히 기술하였으며 상세 결과는 표와 그림으로 나타내었다(표 3-4-4-1 및 그림 3-4-4-1).

1) 수온

향호의 수온은 조사 기간 중 9.0 ℃(10월, H1, H2)에서 28.6 ℃(8월, H2)의 범위로 변화하였

다.

2) pH

향호 4개 지점에 대해 4회 조사한 수소이온농도(pH)는 최소 7.9(6월, H01)에서 최대 9.0(4

월, H01, H02)로 측정되었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의 pH 기준에 의하면 4월 향호 2개 지점과 10월

H02 지점의 수질은 “매우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호의 평균 수소이온농

도는 8.42로 4개 호소 중 가장 높았다.

3) DO

현장 측정으로 통해 확인된 향호 수역의 용존산소농도는 최대 19.2 mg/L(10월, H01)에서

최소 6.5 mg/L(6월, H01)로 나타났다. 용존산소농도에 의한 향호의 수질등급은 호소생활환경기

준에 의거 대부분 “매우 좋음” 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BOD

금번 조사를 통해 분석된 향호의 BOD 농도는 2개 지점 모두에서 동일한 변화양상을 나타

냈으며,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였다. BOD 농도가 가장 낮았던 지점은 6월 지점

H01(3.0 mg/L)이었으며, 농도가 가장 높았던 지점은 10월 지점 H01(19.2 mg/L)로 확인되었다.

5) COD

향호의 COD 농도는 2.0 mg/L(4월, H02)에서 10.5 mg/L(6월, H02)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 지점에서 모두 4월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의

COD 농도 기준에 의하면 향호의 수질은 “매우 좋음” 등급에서 “매우 나쁨” 등급까지 다양한

Page 15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3 -

등급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향호의 수질은 외부 요인에 영

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6) SS

향호에서 채수한 시료의 부유성고형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 4월 시료(H01: 35.3 mg/L, H02:

16.6 mg/L)가 비교적 높은 부유성고형물 농도를 나타냈으며, 6월과 8월, 10월 시료는 보통 수준

(호소생활환경기준 “보통” 등급)의 농도를 나타냈다. 4월 시료는 호소생활환경기준 “약간 나쁨”

에 해당하는 수질 등급을 보였다. 향호의 부유성고형물 농도 평균은 4개 호소 중 가장 높은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앞서 기술한 매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향호의 수면적이 영랑호와 청초

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수심이 얕아 하상 물질의 교반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수생식물의 서식밀도가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7) 투명도

현장에서 측정한 탁도값을 변환하여 얻은 투명도 측정결과 향호의 투명도는 4월 이후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투명도가 가장 낮게 측정된 지점은 4월 H01 (0.15 m)이

었으며, 가장 높게 측정된 지점은 10월 H02 (0.55 m)였다.

8) 전기전도도

향호의 2개 지점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 값은 최소 11,800 μS/cm (4월, H01, H02)에서 최

대 7,420,000 μS/cm(8월, H02)를 나타냈다. 향호 수체의 전기전도도 변화 경향은 4월에서부터 8

월까지 증가한 후 8월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염도

조사 기간 중 향호의 염분농도는 평균 3.64 ‰로 나타났다. 4월 2개 지점에서 측정된 값이

가장 높은 염분농도 값(6.7 ‰)으로 확인되었으며 6월 H01의 0.7 ‰이 가장 낮은 측정 값으로

확인되었다. 향호를 포함한 4개 호소 모두 염분농도 측정결과는 4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해수의 유입이 항시 일어나는 청초호의 경우도 4월 염분농도가 가장 높았던 결과로 미

루어 볼 때 금년 동해안 석호들에서 4월 중 가장 높은 염분농도가 측정된 이유는 해수의 유입

에 의한 영향보다는 담수 유입의 감소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6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4 -

10) 총질소

향호의 평균 총질소 농도는 0.99 mg/L로 확인되었으며, 4월에서 6월 사이에 증가한 후 10

월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질소 농도의 최고 측정값은 6월 H02 지점의 1.860 mg/L이

었으며, 최소 측정값은 10월 H02 지점의 0.560 mg/L으로 확인되었다.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의하

면 향호의 수질은 4월과 8월에는 “약간 나쁨” 등급에 해당하며, 6월에는 “매우 나쁨” 그리고 10

월에는 “보통”에 해당하는 등급을 보여 수체의 총질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유입이 부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1) 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의 농도 변화는 총질소의 농도 변화와 마찬가지로 2개 지점에서 모두 6월에 가

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총질소 분석 결과와는 달리 8월과 10월 사이에서 소폭 증

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4회 조사 기간 중 향호 2개 지점에서 측정된 질산성 질소 측정 결과의

최대값은 6월 H01 지점의 0.436 mg/L로 확인되었으며, 최소값은 8월 H02 지점의 0.030 mg/L

로 확인되었다.

12) 암모니아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또한 총질소와 질산성 질소와 유사한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4월 이후 6월까

지 증가한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이후 10월까지 감소하였으며, 8월 지점 H02와 10월 지점 H01

과 H02에서 채수한 시료 중에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총인

향호의 총인 농도는 0.06 mg/L (10월, H01)에서 0.12 mg/L (6월, H02)의 범위로 변화하였

다. H01과 H02 지점 모두 총인의 농도는 4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암모니아성 농도를 기준으로 할 때 향호의 수질은 “약간 나쁨” 또

는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관리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14) 인산염인

4회 조사를 통해 채수한 시료 중 8월과 10월 채수한 시료들로부터는 인산염인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4월 조사에서 채수한 시료들로부터도 적은 양의 인산염인이 검출되었으나, 6월

채수한 시료에서는 비교적 높은 양의 인산염인이 검출되었다(H01: 0.248 mg/L, H02: 0.236

mg/L).

Page 16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5 -

15) 총대장균군수

향호에서 채수한 8개 시료 중의 총대장균군수는 최대 1,700 CFU/mL (10월, H01)이었으며

최소 30 CFU/mL 이하로 나타났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총대장균군수 기준에 의하면 향호의

수질은 “보통” 등급을 보인 8월 H01 지점을 제외한 지점들에서 “약간 나쁨” 이하 등급을 나타

냈다.

16) 분원성대장균군수

6월 “좋음” 등급을 나타낸 H02 지점을 제외한 전 지점에서 향호의 수질 등급은 “매우 좋

음” 등급을 나타냈다. 특히 10월 H02 지점에서 채수한 시료 중에는 분원성대장균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7) TOC

조사 기간 중 향호의 총 유기탄소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회 조사 기간 중 6월

지점 H02 (6.917 mg/L)에서 가장 높은 유기탄소농도가 측정되었으며 10월 H02 지점(2.743

mg/L)에서 가장 낮은 유기탄소농도가 측정되었다.

18) 페놀

2011년도 4회 실시한 향호의 수질조사 결과 페놀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Page 16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6 -

측정항목4월 6월 8월 10월

H01 H02 H01 H02 H01 H02 H01 H02

수온(℃) 15.3 14.8 23.3 23.4 28.4 28.6 9.0 9.0

수소이온농도(pH) 9.0 9.0 7.9 8.2 8.1 8.1 8.4 8.7

DO (㎎/L) 11.9 11.5 6.5 8.8 9.9 9.9 19.2 19.1

BOD (㎎/L) 4.4 4.0 3.0 3.4 7.0 7.5 4.2 3.5

COD (㎎/L) 2.2 2.0 6.5 10.5 7.0 7.5 10.0 9.0

SS (㎎/L) 35.3 16.6 11.0 7.5 10.0 11.5 14.0 6.5

투명도(m) 0.15 0.27 0.22 0.19 0.29 0.29 0.45 0.55

전기전도도(㎲/㎝) 11,800 11,800 1,310,000 2,190,000 6,990,000 7,420,000 5,460,000 5,780,000

Salt(‰) 6.7 6.7 0.7 1.1 3.8 4.1 2.9 3.1

Salt(ppm) 6,700 6,700 700 1,100 3,800 4,100 2,900 3,100

총질소(㎎/L) 0.883 0.911 1.710 1.860 0.690 0.710 0.600 0.560

질산성질소(㎎/L) 0.198 0.110 0.436 0.150 0.042 0.030 0.051 0.055

암모니아성질소(㎎/L) 0.246 0.103 0.456 0.426 0.059 ND ND ND

총인(㎎/L) 0.11 0.10 0.09 0.12 0.09 0.09 0.06 0.07

인산염인(㎎/L) 0.059 0.013 0.248 0.263 ND ND ND ND

총대장균군(CFU/㎖) 68 51 35 184 <30 101 1700 1500

분원성대장균군

(CFU/100㎖)10 2 4 32 10 2 1 ND

Chl-a (㎎/㎥) 20.1 17.9 6.2 14.0 3.2 3.7 14.7 11.5

현존량(cell/㎖) 1,732.5 800.0 625.0 921.9 1,156.3 993.8 1,006.3 1,275.0

TOC (㎎/L) 5.784 6.486 5.116 6.917 3.305 3.239 2.876 2.743

페놀(㎎/L) ND ND ND ND ND ND ND ND

TDS (g/L) 7.7 7.7 0.9 1.4 4.5 4.8 3.6 3.8

탁도(NTU) 18.1 12.3 21.4 25.5 15.6 15.3 8.8 6.9

  매우좋음(Ia)   좋음(Ib)   약간좋음(II)   보통(III)   약간나쁨(IV)   나쁨(V)   매우나쁨(VI)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1 호소생활환경기준

*ND: 불검출

<표 3-4-4-1> 향호의 수질 조사 결과

Page 16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7 -

(a) 수온 (b) pH

(c) DO (d) BOD

(e) COD (f) 탁도(SS)

<그림 3-4-4-1> 향호(H)의 수질(수온, pH, OD, BOD, COD, SS)

Page 16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8 -

(g) 투명도 (h) EC

(i) 염도 (j) 총질소(TN)

(k) 질산성 질소 (l) 암모니아성 질소

<그림 3-4-4-1> 계속(투명도, EC, 염도, 총질소,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Page 16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49 -

(m) 총인(TP) (n) 인산염

(o) 엽록소-a 농도 (p) 총대장균수

(q) 분원성 대장균수 (r) TOC

(s) 페놀

<그림 3-4-4-1> 계속(총인, 인산염, 엽록소-a 농도, 총대장균수, 분원성 대장균수, TOC, 페놀)

Page 16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0 -

5. 호소의 생물상

가. 식물플랑크톤

1) 출현종

조사 기간 중 향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07분류군으로 이를 분류체계에 맞춰 정

리하면 5문 5강 8목 18과 43속 92종 7변종 8미동정종으로 확인되었다. 황갈조식물 규조강에 속

하는 식물은 81분류군이 출현하여 향호 수계에 가장 많은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다음으로 많은 출현 분류군수를 보인 식물은 15분류군이 출현한 남조식물로 확인되었다

(그림 3-4-5-1). 향호 수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수는 전체 조사 대상 4개 호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4% 1%

76%

2%

7%

Cyanophyceae

Rhodophyceae

Bacillariophyceae

Euglenophyceae

Chlorophyceae

<그림 3-4-5-1> 향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문별 구성

2) 현존량과 엽록소 농도

2011년도 4월, 6월, 8월 그리고 10월 실시된 조사를 통해 확인된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

량은 내륙에 가까운 지점인 H01과 수문과 인접한 지점인 H02에서 다르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향호는 호소의 규모가 작은 편으로 두 개 조사 지점의 거리가 멀지 않지만 수문을 통

한 해수의 유입이 일어나는 석호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 및 생체량의

변화가 일어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H01 지점은 향호의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입하천과 가

까운 지점에 있어 담수와 하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것으

로 예상되며, H02 지점은 수문 전방에 위치하고 있어 조위 상승이나 강한 파랑에 의한 해수의

직접적 유입이 예상되는 지점이다. H01 지점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추계인 4월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6월 최소 측정값을 나타낸 후 8월까지 증가하고 이후 10월 조사에서는 다시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H02 지점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4월 최소 측정값을 보인 후 지속적으

Page 16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1 -

로 상승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는 달리 Chl-a 농도는 2개 지점에서 모두 4월에서 8월까

지 감소한 후 10월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그림 3-4-5-2).

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Apr. Jun. Aug. Oct.

Standing crop(cell/§¢)

H01

H02

0.0

5.0

10.0

15.0

20.0

25.0

Apr. Jun. Aug. Oct.

Chl-a(§·/§©)

H01

H02

(a)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b) Chl-a 농도

<그림 3-4-5-2>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

3) 우점종

향호 수역 2개 지점에서 4회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107분류군 이었

으며, 이 중 각 조사 시기에 따른 지점별 우점종으로 확인된 분류군은 황갈조식물문 규조강에

속하는 2종(Cyclotella striata 및 Achnanthes alteragracillima)이었다. 규조강 중심목에 속하는

Cyclotella striata는 4월과 6월에는 2개 조사 지점 모두에서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8월과 10

월 H01 지점의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규조강 우상목에 속하는 Achnanthes alteragracillima는

8월과 10월 지점 H02의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표 3-4-5-1).

조사 시기 조사 지점 우점종 우점율(%)

4월H01 Cyclotella striata 58.7

H02 Cyclotella striata 39.1

6월H01 Cyclotella striata 19.7

H02 Cyclotella striata 40.6

8월H01 Cyclotella striata 39.6

H02 Achnanthes alteragracillima 62.7

10월H01 Cyclotella striata 31.5

H02 Achnanthes alteragracillima 43.8

<표 3-4-5-1> 향호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4) 군집지수

향호 수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다양도지수는 최소 1.62(4월, H01)에서 최대 2.

67(6월, H01/8월, H01)로 나타났으며, 4개 호소 중 다양도지수가 가장 높았다(표 3-4-5-2). 다양

Page 16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2 -

도지수가 높게 산출된 원인은 향호 수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수가 다른 호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우점종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

은 이유로 풍부도지수와 균등도지수 역시 타 호소에 비해 높게 산출되었다. 풍부도지수가 가장

높았던 지점은 4월 H01 (5.90)이었으며 균등도지수는 10월 H01 (0.81) 지점에서 높았다.

조사 시기 조사 지점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 균등도지수(E')

4월H01 1.62 5.90 0.43

H02 2.14 5.39 0.59

6월H01 2.67 3.42 0.58

H02 1.89 3.37 0.59

8월H01 2.67 4.96 0.75

H02 1.85 4.78 0.52

10월H01 2.43 2.75 0.81

H02 2.22 2.66 0.74

<표 3-4-5-2> 향호 2개 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생물 지수

5) 호소의 부영양화 평가

TSI 지수로 판정한 향호의 수질은 연중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수질

항목(투명도, Chl-a, 총인)의 분석 결과로 산출한 TSI 지수는 변화 경향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

나 전 조사 기간 중 향호의 수질은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LTSI 지수 산

정을 통한 향호의 수질 등급은 연중 과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4-5-3).

<그림 3-4-5-3> 부영양화 지수(TSI, LTSI)에 의한 향호의 영양등급 판정

Page 16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3 -

나. 대형수생식물

1) 식물상

가) 식물상 구성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향호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70과 194속 237종 36변종 5품종으로

총 278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1과 1속 1종으로 총 1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2

속 3종 1변종으로 총 4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190분류군과 83분

류군이 출현하였다(표 3-4-5-3).

구 분 과 속 종 변종 품종 분류군

양치식물 1 1 1 - - 1

나자식물 2 2 3 1 - 4

피자식물쌍자엽식물 51 136 164 23 3 190

단자엽식물 16 55 69 12 2 83

계 70 194 237 36 5 278

<표 3-4-5-3> 향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

나) 수습생식물

향호에서 각각의 수습생 식물 분류군 수는 침수식물 4분류군, 부엽식물 4분류군, 부수식물

1분류군, 정수식물 12분류군, 습생식물 50분류군으로 총 71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과 습생식물

이 전체 식물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향호 전체에서 25.6 %이었다(표 3-4-5-4).

수습생식물 분류군

수생식물

침수조류 -

침수식물 4

부엽식물 4

부수식물 1

정수식물 12

소계 21

수생식물 구성비율(%) 7.6

습생식물 50

습생식물 구성비율(%) 18.0

<표 3-4-5-4> 향호에서 출현한 수습생식물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환경부(2006)에 의하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1,116분류군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분류

군은 Ⅴ등급 237분류군, Ⅳ등급 242분류군, Ⅲ등급 279분류군, Ⅱ등급 107분류군, Ⅰ등급 251분

류군으로 구분한다.

Page 17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4 -

Ⅴ등급(평가점수 10)은 국내에 고립되어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분포지

역이 가장 협소한 지역에 나타나는 분류군이고, Ⅳ등급(평가점수 8)은 북방계나 남방계식물로서

1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Ⅲ등급(평가점수 6)은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Ⅱ등급(평

가점수 4)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고도 약 1,000 m 이상인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Ⅰ등급

(평가점수 2)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이지만 3개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한다.

향호에서 I등급, II등급, III등급, IV등급, V등급종은 각각 13, 2, 3, 2, 2분류군으로 총 22분

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88점으로 나타났으며,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62점으로 나타났다(표 3-4-5-5).

학 명 국 명 등 급

가래나무과 ( Juglandaceae )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Ⅰ

자작나무과 ( Betulaceae )    Alnus hirsuta Turcz 물오리나무 Ⅰ

여뀌과 ( Polygonaceae )    

Persicaria amphibia (L.) S.F. GRAY 물여뀌 Ⅴ

장미과 ( Rosaceae )    

Potentilla egedei var. groenlandica (Tratt.) Polunin 누운양지꽃 Ⅳ

Prunus yedoensis MATSUMURA 왕벚나무 Ⅴ콩과 ( Leguminosae )    

Lathyrus quinquenervius (Miq.) Litv. 연리초 Ⅰ

Wistaria floribunda (Willd.) DC. 등나무 Ⅳ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Ⅰ

회양목과 ( Buxaceae )    Buxus microphylla var. insularis Nakai 회양목 Ⅰ

산형과 ( Umbelliferae )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 갯방풍 Ⅰ

메꽃과 ( Convolvulaceae )    

Calystegia soldanella (Linnaeus) Roemer & Schltes 갯메꽃 Ⅰ

꿀풀과 ( Labiatae )    Lycopus maackianus (Maximowicz) Makino 애기쉽싸리 Ⅰ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참골무꽃 Ⅰ

현삼과 ( Scrophulariaceae )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좁쌀풀 Ⅱ

Linaria japonica MIQ. 해란초 Ⅲ

국화과 ( Compositae )    Artemisia selengensis Turczaninow ex Besser 물쑥 Ⅰ

Ixeris repens (Linnaeus) A. GRAY 갯씀바귀 Ⅰ

택사과 ( Alismataceae )    

Alisma plantago-aquatica var. orientale SAMUEIS 질경이택사 Ⅲ

가래과 ( Potamogetonaceae )    

Ruppia maritima L. 줄말 Ⅰ붓꽃과 ( Iridaceae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 NAKAI 꽃창포 Ⅱ

벼과 ( Gramineae )    

Elymus mollis TRIN. 갯그령 Ⅲ

사초과 ( Cyperaceae )    

Carex kobomugi OHWI 보리사초 Ⅰ

<표 3-4-5-5> 향호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Page 17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5 -

라) 귀화식물

귀화식물은 기존의 식물상과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생태적 지위를 반영하는데 상당히 중

요하게 취급할 수 있다. 국립환경연구원(2004)에서 발표한 귀화식물목록 287종 중 본 조사에서

는 10과 28속 32종 1변종 3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인간의 간섭에 의한 자연의 파괴도의 표시

지수로 사용되는 도시화지수(UI=일정지역에 나타나는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

×100)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287분류군에 대하여 11.9 %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지역

에 출현한 관속식물 278분류군에 대한 귀화율(NR=귀화식물 종수/조사지역의 총 출현식물 종수

×100)은 12.2 %로 나타났다(표 3-4-5-6).

향호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환경부에서 고시한 11종 중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

쑥부쟁이의 3종이 확인되었다.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여뀌과 ( Polygonaceae )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H R2-3 D4 pr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H R5 D4 ps

자리공과 ( Phytolaccaceae )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G R5 D2 e

십자화과 ( Cruciferae )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Th(w) R5 D4 ps

장미과 ( Rosaceae )    

Potentilla supina LINN. 개소시랑개비 Ch R5 D4 b-ps

콩과 ( Leguminosae )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N R5 D4 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MM R5 D3 e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H R3 D4 e,b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Ch R4 D4 p

소태나무과 ( Simaroubaceae )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중나무 MM R5 D1 e

바늘꽃과 ( Onagraceae )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Th(w) R5 D4.1 pr

꼭두서니과 ( Rubiaceae )    

Diodia teres WALTER 백령풀 Th R5 D4 b

국화과 ( Compositae )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L.) Desc. 돼지풀 Th R5 D4 e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H R5 D1 e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H R5 D1 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Th R4 D1.2 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H R5 D1 e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Th R5 D1 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Th(w) R5 D1 pr

Erigeron bonariensis L. 실망초 Th(w) R5 D1 pr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Th(w) R5 D1 pr

Galinsoga parviflora Cav. 별꽃아재비 Th R5 D4 e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G R3(t) D4 e

Rudbeckia bicolor NUTT 원추천인국 G R3 D4 pr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Th(w) R5 D1 e,b

<표 3-4-5-6> 향호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Page 17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6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

Solidago serotina AIT. 미국미역취 H R2-3 D1 pr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h(w) R5 D1 pr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H R3(v) D1 r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Th R5 D2 e

벼과 ( Gramineae )    

Bromus tectorum L. 말귀리 H R5 D4 t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H R3 D4 t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Th(w) R5 D4 t

Lolium perenne L. 가는보리풀 Th(w) R5 D4 t

과 10

분류군 34

<표 3-4-5-6> 계속

휴면형 (Th : 1년생식물(Therophytes), G : 지중식물(Geophyte), H : 반지중식물 (Hemicryptophytes), Ch : 지표식물(Chamaephytes), HH : 수생식물(Hydatophytes), N : 저목, 미소지상식물(Nanophanerophytes), M :아고목, 소형지상식물(Microphanerophytes), MM : 대고목, 대형지상식물(Megaphanerophytes), E : 착생식물(Epiphyten))

번식형(R(1∼5) : 지하기관형, D(1∼4) : 산포기관형)생육형(e: 직립형. b: 분지형, t: 총생형, l: 넌출형, p: 포복형, r: 로제트형, pr: 일시적 로제트형, ps: 로제트-직립형)

2) 대형수생식물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범위

향호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군락은 갈대군락이었는데, 전체 수생식물의 96.1 %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마름군락(2.2 %), 애기부들군락(1.7 %) 순이었다. 향호에서 가장 우점

하는 갈대군락은 호안을 따라 분포하였고, 애기부들군락 및 마름군락은 갈대군락 내에 소규모

로 분포하였다. 향호의 서측에는 배후성 담수 못이 분포하는데 이 지역에는 갈대, 애기부들, 마

름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3-4-5-7 및 그림 3-4-5-4∼5).

가) St. 1

본 지점은 향호 내 갈대군락이 넓게 분포하는 지역으로서 수변지역인 저수호안에 정수식물

인 갈대가 수체 내부까지 분포하고 있고, 관찰데크가 설치된 제방에는 쑥이 분포하고 있다.

나) St. 2

본 지점은 향호 서측 배후성 담수지역으로 수변부에 정수식물인 갈대가 분포하고 있고, 갈

대군락 외부로 습생식물인 골풀이 분포하고 있다. 조사당시 유량의 증가로 인해 일부 갈대군락

이 침수된 것이 확인되었다.

Page 17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7 -

다) St. 3

본 지점은 향호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지점으로 정수식물인 갈대가 수체 밖으로 대

상분포하고 있고, 갈대군락 외부에 돌피가 분포하고 있다.

구분 식생유형 면적(m2)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45,425 96.1

정수식물 애기부들 824 1.7

부엽식물 마름 1,036 2.2

합계 47,285 100.0

<표 3-4-5-7> 향호의 식생유형별 분포 면적

<그림 3-4-5-4> 향호의 현존식생도

Page 17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8 -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마름군락

<그림 3-4-5-5> 향호의 주요 식생군락 사진

Page 17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59 -

3) 각 군락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및 밀도

향호에서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은 정수식물인 애기부들군락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

수식물인 갈대군락, 습생식물인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인 마름군락의 순으로 낮았다(표 3-1-5-8).

향호에서 단위면적당 평균 건중량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정수

식물인 애기부들군락, 습생식물인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인 마름군락의 순으로 낮았다(표

3-4-5-8).

단위면적당 평균 수분함량은 부엽식물인 마름군락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수식물인

애기부들군락, 습생식물인 고마리군락,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의 순으로 낮아졌다(표 3-4-5-8).

생활형 군락명 생중량(g/m2) 건중량 수분함량(%)

정수식물 갈대 3264.0 1335.3 59.1

정수식물 애기부들 5500.0 863.8 84.3

부엽식물 마름 600.0 82.0 86.3

습생식물 고마리 2152.0 416.7 80.6

<표 3-4-5-8> 향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건중량 및 수분함량

향호의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은 정수식물인 갈대군락이 60.7 ton/yr로 가장 높

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0.7 ton/yr), 습생식물인 고마리군락(0.3 ton/yr), 부엽식

물인 마름군락(0.1 ton/yr)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3-4-5-9).

생활형 군락명 지상부 순 1차 생산성(ton/yr) 백분율(%)

정수식물 갈대 60.7 98.2

정수식물 애기부들 0.7 1.2

부엽식물 마름 0.1 0.1

습생식물 고마리 0.3 0.5

합계 61.8 100.0

<표 3-4-5-9> 향호의 조사지역 내 식생유역별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향호에 분포하는 정수식물인 갈대군락과 애기부들군락의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1㎡

당 각각 296.2, 184.4 개체로서 갈대군락이 애기부들군락보다 높았다(표 3-4-5-10).

Page 17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0 -

생활형 군락명 밀 도

정수식물 갈대 296.2

정수식물 애기부들 184.4

<표 3-4-5-10> 향호의 식생유역별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개체수/㎡)

다. 대형무척추동물

1) 출현현황

과거 문헌조사 결과 2001년 수행된 전국 내륙습지조사와 2008년 수행된 석호 정밀조사 결

과에서 모두 8종씩 출현하였으며, 2009년 석호정밀조사의 3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대형무척

추동물은 총 14종이 출현하였다(환경부, 2001; 원주청, 2008, 2009). 본 조사에서는 총 2개 조사

지점에서 총 3문 5강 12목 15과 17종의 출현종수를 확인하였다. 정량 및 정성조사를 통하여 채

집된 대형무척추동물은 갑각강이 7종으로 가장 다양하였고, 그 다음으로 곤충강 6종, 환형동물

문 3종, 연체동물문 1종이 출현하였다(표 3-4-5-11).

학 명 국 명 `01 `08 `09 본조사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과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논우렁이 ●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Austropeplea ollula 애기물달팽이 ●

Radix auricularia 물달팽이

Radix sp. 물달팽이류 ●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Tylorrhynchus heterochaetus 실참갯지렁이 ●

Perinereis nuntia 눈썹참갯지렁이 ●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 ● ●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Prionospio japonicus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

<표 3-4-5-11>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Page 17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1 -

학 명 국 명 `01 `08 `09 본조사

Class Oligochea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eata 물지렁이목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Limnodrilus gotoi 실지렁이 ●

Class Hirudinia 거머리강

Order Arhycobdellida 턱거머리목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

Hirudo sp. 참거머리류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Thoracica 완흉목

Balanus improvisus 흰따개비 ● ●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

Gnorimosphaeroma rayi 갯가잔벌레 ● ●

Family Mysidae 곤쟁이과

Mysidae spp. 곤쟁이류 ●

Neomysis intermedia 부새우 ● ● ●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Hyalidae   해조숨이옆새우과

Allochaestes angusta 짧은자루해조숨이옆새우 ●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

Gammaropsis sp. 극동육질꼬리옆새우류 ●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

Family Talitridae 도약옆새우과

Platorchestia crassicornis 도약옆새우 ● ●

Order Tanaidacea 주걱벌레붙이목

Tanaidacea cavolinii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Atyidae 새뱅이과

Paratya compressa 생이 ●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pacificus 태평줄새우 ●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Cercion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Cercion hieroglyphicum 등줄실잠자리 ●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 ●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Deielia phaon 밀잠자리붙이 ●

<표 3-4-5-11> 계속

Page 17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2 -

학 명 국 명 `01 `08 `09 본조사Order Hemiptera 노린재목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Muljarus japonicus 물자라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Laccotrephes japonensis 장구애비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Aquaris sp. 소금쟁이류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Enochrus simulans 애넓적물땡땡이 ●Order Diptera 파리목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us salinariu 짠물깔다구 ●Chironomidae sp.1 깔따구 sp.1 ● ●Chironomidae sp.2 깔따구 sp.2 ●Chironomidae sp.3 깔따구 sp.3 ●Chironomidae sp.4 깔따구 sp.4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Family Molannidae 날개날도래과

Molanna sp. 날개날도래류 ●총 출현종수 8 8 14 17

2001. 환경부. 전국 내륙 습지 자연환경조사(매호, 향호)

2008.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

2009. 원주지방환경청. 동해안 석호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연구 및 관리방안(II)

<표 3-4-5-11> 계속

2) 출현종수의 변동

각 조사지점에 따른 출현 종수는 유입부인 H01에서는 출현 분류군수가 1차 조사 시 2문 3

강 5목 5과 5종, 2차 조사 시 1문 2강 7목 8과 8종으로 조사기간 전체 총 2문 4강 10목 12과 12

종이 출현하였으며, 유출부인 H02는 1차조사시 2문 2강 2목 2과 2종, 2차조사시 2문 3강 7목 8

과 9종으로 조사기간 전체 총 3문 4강 8목 9과 10종이 출현하였다(표 3-4-5-12). 전체적으로

향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6.0(±3.2)종으로 조사되어 생물상이 빈약하였고, 군집의 종구성도 매우

단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4-5-6). 현장조사 결과 향호는 수변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

중에 있어 공사에 의한 영향이 다소 잔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탁수발생에 의한 영향과 단단

한 사질의 하상구조가 전반적인 생물상을 열악하게 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분류군

H01 H02 Total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체동물문 0 0 1 0 1 0

환형동물문 3 0 0 2 3 2

절지동물문갑각강 2 4 1 4 2 6

곤충강 0 4 0 3 0 6

전체 5 8 2 9 6 14

<표 3-4-5-12> 향호의 각 분류군별 출현종수

Page 17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3 -

(a) 출현종수 (b) 출현종 구성비(%)

<그림 3-4-5-6> 향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출현종수 및 구성비(%)

3) 출현 개체수 밀도

정량조사를 통하여 얻은 생물시료를 통하여 산출된 개체수 밀도를 살펴보았을 때 향호는 1

차 조사에서 평균 188 개체/m2, 2차 조사에서 평균 784 개체/m2로 전체 평균 486 개체/m2 가

출현하였다. 이 중에서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472 개체/m2로 전체 개체수 밀도의 97.2 %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개체수 밀도를 보였다(표 3-4-5-13). 그러나 나머지 분류군의 경우 개

체수 밀도가 매우 미미하였는데, 환형동물문은 평균 8 개체/m2로 1.7 %를, 곤충강은 총 4 개체

/m2로 0.9 %, 연체동물문은 총 3 개체/m2로 0.3 % 정도로 그 구성비가 매우 낮았다(그림

3-4-5-7).

각 지점별로는 유입부에서 보다 유출부에서 그 개체수 밀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

한 개체수 밀도는 미소서식환경의 차이에 의하여 차이를 보였으나 군집을 구성하는 개체수 구

성비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갑각강의 곤쟁이류(Mysidae sp.)의 점유율이 매우 높았다(그림

3-4-5-7).

조사지점분류군

H01 H02 평균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연체동물문 0 0 5 0 3 0

환형동물문 25 0 0 8 13 4

절지동물문갑각강 63 773 283 770 173 771

곤충강 0 10 0 8 0 9

전체 88 783 288 785 188 784

<표 3-4-5-13> 향호의 각 지점별 단위면적당 개체 밀도(개체/㎡)

Page 18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4 -

(a) 개체수 밀도 (b) 개체수 점유율(%)

<그림 3-4-5-7> 향호의 각 조사 지점에 따른 개체수 밀도 및 점유율(%)

4) 우점종 및 점유율의 변화

본 조사결과 향호에서 확인된 우점종은 두 조사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2회 조사 모두에서

곤쟁이류가 제1우점종에 해당되었으며, 두 지점 평균 80.2 %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였다(표

3-4-5-14). 또한 제2우점종의 경우, 1차 조사시에는 H01가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Corophium

sp., 25.7 %), H02는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1.7 %) 였으나, 2차 조사에서는 두 지점 모

두에서 기수잔벌레(Gnorimosphaeroma anchialos, 각각 1.6 % 및 15.6 %)인 것으로 확인되었

다.(그림 3-4-5-8).

문헌조사 결과, 2009년도 석호 정밀조사에서는 부새우(Neomysis intermedia)가 높은 개체

수 점유율로 출현하였으며, 깔따구류(Chironomidae spp.)는 제2우점종에 해당하였다(원주청,

2009). 이러한 결과는 분류학적 특성에 의하여 종 분류가 어려운 곤쟁이과(Mysidae)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본 조사와 그 결과가 유사하다 할 수 있겠다.

조사 지점우점종 및 우점율(%)

제1우점종 % 제2우점종 %

H01

1차 곤쟁이류(Mysidae spp.) 45.7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Corophium sp.) 25.7

2차 곤쟁이류(Mysidae spp.) 95.5기수잔벌레(Gnorimosphaeromaanchialos)

1.6

H02

1차 곤쟁이류(Mysidae spp.) 98.3 좀기수우렁이(Assiminea lutea) 1.7

2차 곤쟁이류(Mysidae spp.) 81.2기수잔벌레(Gnorimosphaeromaanchialos)

15.6

<표 3-4-5-14> 향호의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점유율(%)

Page 18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5 -

곤쟁이류(Mysidae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Corophium sp.)

<그림 3-4-5-8>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5) 생체량 변화

각 조사 시기 및 조사 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은 다음의 <표 3-4-5-15>와 같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은 평균 1.0169 gDW/m2이었으며, 이 중 갑

각강이 평균 0.9488 gDW/m2 으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곤충강, 환형동물문,

복족강의 순으로 생체량을 나타냈다.

1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조사 지점에서의 생체량이 평균 0.2830 gDW/m2이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0.2811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약 92.3 %의 점유율을 차지하였

는데, 이는 두 조사 지점의 우점종인 곤쟁이류와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의 서식 밀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그 외 환형동물문은 평균 0.0014 gDW/m2 (0.1 %)로 측정되었으나, 갑각강을 제외하

면 그 값은 매우 낮았다. 2차 조사 결과에서는 두 지점에서의 평균 생체량이 1.7508 gDW/m2이

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6165 gDW/m2으로 측정되어 총 생체량의 약 92.3

%을 차지하였다. 그 외 절지동물문의 곤충강은 평균 0.1341 gDW/m2 (7.7 %)로, 환형동물문은

평균 0.0001 gDW/m2 (0.0 %) 등으로 측정되었다. 2차 조사에서의 생체량은 1차 조사에서와 같

이 우점종이었던 곤쟁이류에 의한 생체량이 높았다.

지점별로는 H01 지점이 평균 1.6743 gDW/m2 이었으며, H02가 평균 0.3595 gDW/m2 으로

유입부인 H01에서 더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1차 조사 시 두 지점 모두 전체분류군 중 갑각강

(H01 : 0.2580 gDW/m2; 98.9%; H02 : 0.3043 gDW/m2; 99.7%)이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2

차 조사의 결과도 1차 조사와 유사하였는데, 두 지점 모두 전체분류군 중 갑각강(H01 : 2.8335

gDW/m2; 91.8%; H02 : 0.3995 gDW/m2; 96.6%)이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Page 18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6 -

조사 지점분류군

H01 H02평균

1st 2nd 1st 2nd

환형동물문 0.0028 - - 0.0002 0.0008

연체동물문 복족강 - - 0.0010 - 0.0003

절지동물문갑각강 0.2580 2.8335 0.3042 0.3995 0.9488

곤충강 - 0.2542 - 0.0140 0.0671

전체 0.2608 3.0877 0.3052 0.4137 1.0169

* 연체동물문은 패각을 제외한 SFDW (shell-free dry weight)를 측정하였음.

<표 3-4-5-15> 향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생체량(단위: gDW/m2)

6) 군집지수의 변화

향호에서 산출된 군집지수의 결과는 다음의 <표 3-4-5-16>과 같다.

향호의 두 조사 지점에서 산출된 평균 우점도지수(DI)는 0.91(±0.13)로 나타났으며, 평균 다

양도지수(H')는 0.80(±0.78), 평균 풍부도지수(R1)는 0.83(±0.45), 균등도지수(J')는 0.33(±0.31)로

나타났다. 군집지수 산출 결과 모든 조사 지점에서 우점도지수는 매우 높고, 다양도지수․균등

도지수․풍부도지수가 낮게 나타나 두 조사지점에서의 군집구조는 전반적으로 단순하고 불안정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분류군에 의한 군집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4-5-9). 특히 이러한 결과는 유입부 보다 유출부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지수조사지점

우점도지수(DI) 다양도지수(H') 풍부도지수(R1) 균등도지수(J')

M011차 0.71 1.80 0.89 0.78

2차 0.97 0.38 1.05 0.13

M021차 1.00 0.13 0.18 0.13

2차 0.97 0.90 1.20 0.29

평균 0.91 (±0.13) 0.80 (±0.78) 0.83 (±0.45) 0.33 (±0.31)

<표 3-4-5-16> 향호 각 조사지점에서의 군집지수 산출 결과

(a) 우점도지수(DI) 및 균등도지수(J’) (b) 다양도지수(H') 및 풍부도지수(R1)

<그림 3-4-5-9> 향호의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Page 18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7 -

7) 생태점수(ESB)에 따른 환경질 평가

현행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는 대체적으로 담수산 대형무척추동물을 중심으로 일부

기수에 서식하는 종이 포함되어 이들의 출현에 의하여 전반적인 환경상태에 대한 평가가 이루

어지고 있다. 그러나 향호에서 출현한 출현종의 대부분은 해산종 또는 기수종이었으며, 현재까

지 이와 같은 해산종의 환경질 점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본 석호에 대한

ESB의 적용 및 환경질 평가는 무의미할 것으로 판단되어 ‘생태점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의 분

석은 배제하였다.

라. 어류

1) 어류의 분포 및 서식현황

향호의 어류조사 결과 출현한 종은 총 9목 10과 17종 646개체였다. 본 조사에서는 법정보

호종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급인 가시고기 1종이 채집되었으며, 천연기념물은 출현하지 않았

다. 또한 한국고유종 역시 출현하지 않았으며, 외래종으로는 떡붕어와 베스 2종이 출현하였다

(표 3-4-5-17 및 그림 3-4-5-10).

본 조사에서 출현한 16종 중 1차담수어가 6종(35 %), 2차담수어가 4종(24 %), 연안어가 7

종(41 %)이 출현하였다(그림 3-4-5-11). 과별 비교풍부도를 보면 잉어과 5종(29.4 %)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망둑어과 4종(23.5 %), 뱀장어과, 청어과, 바다빙어과, 숭어과, 송사리과, 큰가시

고기과, 검정우럭과, 가자미과가 각각 1종(5.9 %) 등의 순서로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를 살펴보면 황어(22.45 %)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흰발

망둑(14.86 %), 날망둑(12.23 %), 붕어(10.06 %), 살치(8.05 %), 문절망둑(4.49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3-4-5-12).

Page 18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8 -

학 명 국 명1차 2차

Total RAH01 H02 H01 H02

Anguilliformes 뱀장어목            

Anguillidae 뱀장어과            

Anguilla japonica 뱀장어     1   1 0.15

Clupeiformes 청어목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6   21   27 4.18

Cypriniformes 잉어목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2   2   4 0.62

Carassius auratus 붕어 23 5 37   65 10.06

Carassius cuvieri 떡붕어     3   3 0.46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52 44 19 30 145 22.45

Hemiculter leucisculus 살치     52   52 8.05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17 10     27 4.18

Mugiliformes 숭어목            

Mugilidae 숭어과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2 1 9 2 14 2.17

Beloniformes 동갈치목            

Adtanichthyidae 송사리과            

Oryzias latipes 송사리 20 8 1   29 4.49

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목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19   6   25 3.87

Perciformes 농어목            

Centrar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베스     13 5 18 2.79

Gobiidae 망둑어과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41 38     79 12.23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11 17 1 29 4.49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5   29 62 96 14.86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13 15     28 4.33

Pleuronectiformes 가자미목            

Pleuronectidae 가자미과            

Platichthys stellatus 강도다리       4 4 0.62

과 7 5 8 5 10

종 11 8 13 6 17

개체수 200 132 210 104 646

<표 3-4-5-17> 향호의 어류상

Page 18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69 -

<그림 3-4-5-10> 향호 출현 어류의 개체수 구성비

<그림 3-4-5-11> 향호의 1차 담수어, 2차 담수어, 연안어 비율

황어

(Tribolodon hakonensis)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그림 3-4-5-12> 향호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

Page 18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0 -

2) 어류상의 변화

향호에 대한 과거 어류상 조사는 속초시(1979)에서 조사한 ‘동해안 기수호군의 개발을 위한

비교조사’, 변(1984)의 ‘기수호의 환경 및 생물상 보고서’와 환경부(2001)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

조사’, 원주청(2009) ‘동해안 석호 생태계 조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연구 및 관리방안’

의 연구가 있다. 속초시(1979) 조사에서는 8과 9종이 출현하였으며, 변(1984) 조사에서는 7과 11

종이, 환경부(2001) 조사에서는 6과 11종이, 원주청(2009) 조사에서는 13과 28종이 출현하였으며,

본 조사에서는 10과 17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다(표 3-4-5-18). 조사 년도에 따른 출현종의 차이

는 시기에 따른 환경의 변화 및 분류체계의 차이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어구 및

조사 방법이 조사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으로, 즉 1984년 조사에서는 저인망과 자망이 사용되었

고, 2001년 조사에서는 족대와 투망, 자망을, 2009년 조사에서는 족대(4×4 mm), 투망(7×7 m),

자망(15×15 mm, 50×50 m), 정치망(5×5 mm)이 사용되었다.

학 명 국 명 1979 1984 2001 2009 2011

Anguillidae 뱀장어과          

Anguilla japonica 뱀장어   ●   ● ●

Engraulidae 멸치과          

Engraulis japonicus 멸치       ●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 ●   ● ●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 ● ● ●

Carassius cuvieri 떡붕어       ● ●

Cyprinus carpio 잉어 ● ● ● ● ●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 ●  

Ctenopharyngodon idellus 초어   ●      

Pungtungia herzi 돌고기       ●  

Gobiobotia macrocephala 꾸구리   ●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 ● ● ● ●

Hemiculter leucisculus 살치     ● ● ●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 ●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은어       ●  

Salangidae 뱅어과          

Salangichthys microdon 뱅어       ●  

Mugilidae 숭어과          

Chelon haematocheilus 가숭어 ●     ● ●

Mugil cephalus 숭어   ● ● ●  

Adrianichthyidae 송사리과          

Oryzias latipes 송사리   ● ● ● ●

Hemiramphidae 학공치과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        

<표 3-4-5-18> 향호의 어류상 문헌 비교

Page 18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1 -

학 명 국 명 1979 1984 2001 2009 2011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 ●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 ●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베스         ●

Serranidae 농어과          

Lateolabrax japonicus 농어 ●     ●  

Haemulidae 하스돔과

Parapristipoma trilineatum 벤자리 ●         

Sparidae 도미과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 ●      

Sillaginidae 보리멸과          

Sillago sihama 보리멸 ●

Gobiidae 망둑어과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     ● ●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 ●

Favonigobius gymnauchen 날개망둑       ●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 ● ●

Gymnogobius urotaenia 꾹저구       ●  

Tridentiger bifasciatus 민물두줄망둑       ●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 ●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a 가물치   ● ●    

Pleuronectidae 가자미과          

Platichthys stellatus 강도다리         ●

Tetraodontidae 참복과          

Takifugu niphobles 복섬       ●  

과 8 7 6 13 10

종 9 11 11 28 17

<표 3-4-5-18> 계속

문헌 조사 결과 타 조사에 비하여 원주청(2009) 조사에서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호소 내 지점의 선정과 현장조사를 위하여 채택한 어구 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환경부(2001)와 본 조사는 2개 지점을 대상으로 족대와 투망과 자망을 이용하여 조사한 반

면, 원주청(2009) 조사에서는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족대 및 투망, 자망, 정치망 등 다양한 어구

를 사용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그림 3-4-5-13).

Page 18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2 -

<그림 3-4-5-13> 향호의 어류상 변화

3) 군집 분석

본 조사에서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황어 및 흰발망둑으로 나타나, 향호는 해수의 영향을 많

이 받고 염분에 내성이 강한 어종들이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종의 우세한 정도

를 나타내는 우점도지수는 평균 0.60의 값을 나타냈다. 다양도지수는 군집의 종의 풍부도와 개

체수의 상대적 균형성을 의미하며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 2.51을 나타냈다. 풍

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지수 값이 높을

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게 되므로 환경의 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본 조

사 결과에서는 평균 1.66을 나타냈다. 한편 균등도지수는 각 지수의 최대치에 대한 실제 개체의

비로서 표현된다. 균등도지수는 군집내 모든 종의 개체수가 동일할 때 최대치가 되므로 결국

균등도 지수는 군집 내 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 조사에서 향호는 평균 0.78

을 나타냈다(표 3-4-5-19).

우점종 아우점종 우점도(DI) 다양도(H') 풍부도(R1) 균등도(J')

황어 흰발망둑 0.60 2.51 1.66 0.78

<표 3-4-5-19> 향호의 우점종 및 군집분석

Page 18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3 -

4) 특별히 보호 대책이 필요한 종 및 서식지

가) 보호대책이 필요한 종

◦ 가시고기

멸종위기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동해안으로 흐르는 맑은 하천의 중유

수역의 돌 틈, 바위,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4~8월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살란 생태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성체와 어린 물고기는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담수에

서 일생동안 지내며 주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와 같은 비교적 큰 수생동물을 먹고산다.

산란 시 수초에 산란둥지를 지어 산란한다.

나) 보호대책이 필요한 서식처

◦ 수변식물대

석호의 가장자리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수변식물대는 석호생태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을 한다. 수변식물대는 육상생태계와 수변생태계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추이대 역할을 담당하

며, 조류 및 포유류의 은신처뿐만 아니라 어류의 은신 및 산란처로 이용되는 중요한 서식공

간이다. 특히 큰가시고기과 같은 어류들은 산란 시 수변식물의 줄기 혹은 잎 등을 이용하여

산란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수변식물 군락이 감소하면 석호에 서식하는 생물종 역시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수중식물대

수중식물군락은 어류의 은신처, 먹이, 그리고 산란처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서식처 중

하나이다. 많은 망둑어과 어류가 수중식물 군락에 알을 부착시키는 형태로 산란을 하며, 큰가

시고기과 어류도 산란둥지를 수중식물 줄기에 수변식물조각이나 수중식물 조각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수중식물 군락의 감소는 어류의 현존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유입지류

석호의 유입지류는 석호에 담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입지류의 오염은 석

호의 오염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유입지류에는 석호에서 출현하는 대부분의

담수어종이 서식하며 회유성 어종의 산란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유입지류의 보호

및 보존은 석호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보호 및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Page 19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Page 19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5 -

제4장 결론

제1절 호소수질개선 대책 및 관리방안

1. 영랑호

○ 조사 기간 중 영랑호의 수질은 연중 대부분 부영양 상태 이상을 나타냈으며, LTSI 지

수 산출을 통해 검증한 결과 부영양 단계인 8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 기간에서 과영양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랑호의 수질 조사 항목 중 총인과 총질소의 농도는 4개

호소 중 가장 높았다. 영랑호의 수질 저해 요인은 인접 도시 지역과 골프장 등으로 이

용되는 리조트 시설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이 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영

랑호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비점오염원 모니터링과 이에 대한 관리 대책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청초호

○ 2011년도 4월부터 10월까지 청초호 수역에 대해 실시한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조사 결

과 TSI(Chl)를 제외한 3개 항목(TSI(SD), TSI(TP), LTSI)의 분석 결과에서 청초호의

수질은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청초호의 낮은 식물플랑크톤 생물

량(Chl-a 농도)은 TSI(Chl) 산출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써 이로 인하여

청초호 수질의 영양 등급은 대부분 중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초

호 수계의 낮은 생체량은 양호한 수질의 영향이라기보다는 식물플랑크톤의 서식에 적합

하지 않은 환경(염분농도의 잦은 변화, 대형 선박의 빈번한 왕래, 어항으로 사용을 위해

콘크리트 호안 구조물 설치, 대도시 인접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TSI(Chl)에 의한 청초호 수질의 영양 단계 판정은 다소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청

초호는 상시 해수의 유입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호소들에 비해 고농도의 염분농

도를 보이고 있으며 해수의 유입으로 인해 인근 도시 지역과 어항에서 배출되는 영양염

류의 희석․배출 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6월과 10월 조사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총질소가 검출되어 이에 대한 관리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매호

○ 본 조사 년도의 4개 석호 중에서 매호의 수질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호소

생활 환경 기준). 조사 대상 수질 항목 중 매호에서 가장 높게 측정된 항목은 암모니아

Page 19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6 -

성 질소와 인산염인의 2개 항목이었다. TSI와 LTSI 지수 산출을 통한 수질의 영양 단

계 판정 결과 대부분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호는 영랑호와 청초호

와 같이 인근에 대도시가 인접하지는 않으나 호소 상류부에 비교적 넓게 농경지(논)가

분포하고 있어 이로부터 영양염류의 유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매호의 수질 개선

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관리 방안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향호

○ 개별적인 수질 측정 항목 중 6월 조사 결과 분석된 COD와 총질소 농도만이 “매우 나

쁨” 등급을 나타냈으나, TSI 지수 산정을 통해 판정한 향호의 영양 단계는 연중 부영양

단계에 있었으며, LTSI 지수 산정 결과는 향호의 수질이 연중 과영양 단계로 평가되었

다. 따라서 향호의 수질은 조사 대상 4개 호소 중 가장 낮았다.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

한 향호의 유역환경은 매호와 유사하게 호소 상류부는 주로 농경지로 이용되며, 인근에

소규모 주거지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소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주로 농경지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인공습지와 같이

비점오염원의 저감을 위한 시설을 조성하는 것이 향호의 수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그 이전에 오염원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오염원의 종류와

배출원을 찾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2절 요약 및 결론

1. 영랑호

가. 수질

○ 영랑호의 수온은 9.9∼28.8 ℃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평균 pH는 8.3이었으며 4월 YR01

및 6월 YR02, 8월 YR01, YR02에서 측정된 pH는 호소생활환경기준 “매우 나쁨” 해당

하였다. 영랑호의 평균 용존산소농도(DO)는 타 호소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이에 따른

영랑호의 수질은 “매우 좋음” 등급을 나타내었다. BOD 농도는 0.1 mg/L에서 7.2 mg/L

범위였으며 COD 농도는 2.4 mg/L에서 15.6 mg/L로 측정되어 조사 기간 동안 “나쁨”

에서 “좋음”까지 수질 등급이 다양하였다. 총질소 및 총인 농도 측정 결과 호소생활환

경기준에 의거 다양한 수질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이 결과는 주거지, 리조트, 공원 등

영랑호를 다양한 형태로 이용하고 있는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랑호의 평균

염분농도는 7.8 ‰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초호 다음으로 높은 값이었으며 해당 호소가

Page 19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7 -

해양과 인접한 석호라는 특성에 의해 염분농도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랑호의 총

대장균군수는 9 CFU/mL에서 2,200 CFU/mL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특히 10월 조사에서

채수한 시료의 총대장균군수가 다른 기간에 채수한 시료보다 현저히 높았는데 이에 대

한 관리대책이 요구되나 분원성대장균군수는 모든 조사 기간 동안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좋음” 이상 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식물플랑크톤

○ 영랑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6문 18과 44속에 속하는 96분류군(82종 6변종 1품종

7미동정종)이었으며 이 중 황갈조식물문 규조강에 해당하는 식물의 출현비율이 75분류

군(79 %)으로 가장 높았다. 조사 기간 동안 영랑호에서 출현한 우점종은 규조식물 2분

류군과 유글레나식물 1분류군이었다. 영랑호에서는 4∼8월까지 규조식물이, 10월에는 유

글레나 식물이 우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지수를 산출한 결과 우점종의 높은 점

유율로 인하여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는 낮게 산출되었다. TSI 지수 산출을 근거로

영랑호의 수질은 조사 기간 중 대부분이 부영양 단계에 있었으며 LTSI 지수 산출을 통

해서는 부영양 상태인 8월을 제외한 모든 시기에서 과영양 상태로 확인되었다.

다. 대형수생식물

○ 영랑호에서 출현한 육상관속식물은 66과 173속 208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39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3과 3속 2종 1변종으로 총 3분류군, 나자식물은 4과 7속

8종 1변종으로 총 9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165분류군과

62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17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

점수는 66점이었으며,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30점

이었다. 귀화식물은 총 8과 21속 26종 1변종 27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도시화지수는 9.4

%, 귀화율은 11.3 %로 산출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쑥부쟁

이의 3종이 출현되었다.

○ 영랑호에서는 갈대군락이 가장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이 우점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및 건중량은 갈대군락이 가장 높았고, 단위면적당 평균 수분함

량은 애기부들군락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은 갈대군락이 가

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물억새군락, 애기부들군락의 순으로 높았다.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애기부들군락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라. 대형무척추동물

Page 19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8 -

○ 영랑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5강 12목 15과 20종이 출현하였으며, 절지동물

문의 갑각강이 8종으로 가장 다양하였다. 또한 유입부에서의 출현종수가 총 18종으로

11종이 출현한 유출부에서 보다 많았다. 영랑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10.5종이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밀도는 유입부가 유출부보다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다모강을

포함한 환형동물문이 전체 개체수 밀도의 약 46.6 %로 가장 풍부하였다. 조사 지점별로

는 유입부에서 환형동물문의 단위면적당 개체수 밀도가 높았으나, 유출부에서는 연체동

물문이 높았다.

○ 우점종으로는 참갯지렁이와 좀기수우렁이, 작은부채발갯지렁이, 흰따개비 등이 있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은 1차 조사에서 연체동물문의 부족강이 평균 2.5308 gDW/m2

으로 총 생체량의 92.6 %를, 2차 조사에서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7.2720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94.7 %를 차지하였다.

○ 군집지수 산출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64, 평균 다양도지수는 2.28, 평균 풍부도지수

는 1.40, 평균 균등도지수는 0.76으로 산출되어 비교적 다양한 종이 안정된 군집을 이루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 어류

○ 영랑호의 어류상은 총 5목 6과 16종 723개체였다. 영랑호에서 출현한 법정보호종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급인 가시고기 및 잔가시고기의 2종이 출현하였고, 천연기념물은 확인

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고유종 및 외래종의 서식도 확인하지 못하였다.

○ 영랑호에 대한 문헌 조사 결과 과거의 어류상은 1969년에 12과 14종, 1984년에 7과 10

종, 1993년에 9과 17종, 2007년에 16과 32종, 2009년에 20과 35종 등으로 확인하였으며,

본 조사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2. 청초호

가. 수질

○ 청초호의 춘계 수온은 조사 기간 동안 9.3∼28.0 ℃의 범위로서 측정되었으며. pH는 8.1

에서 8.2의 범위로로 측정되었다. 청초호의 평균 pH 측정값은 4개 조사 대상 호소 중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량(DO)는 “좋음” 이상 등급을 나타내는 6.9∼17.7 mg/L로 측정되

었으며 BOD와 COD는 각각 1.1~8.4 mg/L, 2.0~51.0 mg/L 범위로 측정되었다. COD측

정결과를 바탕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에 의거 청초호의 수질 등급을 판정한 결과 10월

청초호의 수질은 비교적 양호한 것(“좋음” 등급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조사 기간

Page 19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79 -

동안 채수한 시료들은 “약간 나쁨” 이하 등급을 보였다. 특히 8월 채수한 시료는 “매우

나쁨” 등급을 보였다. 청초호의 부유고형물 평균 농도는 7.54 mg/L이었는데, 이는 4개

호소 중 가장 낮은 값이었다. 청초호는 어항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수심이 깊어 하상

물질의 교반이 잘 일어나지 않는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수생식물의 서식밀도 역시

타 호소에 비해 낮기 때문에 부유고형물질의 농도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

사 기간 중 청초호 수계의 평균 염분농도는 13.0 ‰로 조사 대상 4개 호소 중 가장 높

았는데 이는 청초호가 대형 어선의 출입을 위해 상시 개방된 수로로 조성되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 염분농도는 타 호소와 마찬가지로 4월 가장 높았다. 청초호의 경우 해수의

유입이 상시 일어나는 점을 고려할 때 4월 고농도의 염분이 측정된 결과는 해수의 유입

에 의한 것보다는 하천수의 유입 감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수의 빈번한 유입과

대형 선박의 출입 그리고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청초호의 수생태계는 지속적으로 교란

이 일어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교란에 의해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은 가장 낮은 생

체량(Chl-a 평균 농도: 2.48 mg/㎥)을 보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 식물플랑크톤

○ 청초호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은 총 5문 9강 15과 33속 59종 2변종 3미동정종의 총 64분류

군이었으며, 규조식물의 출현이 가장 높았다. 청초호는 4월 조사에서 가장 다양한 식물

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10월에 가장 적은 종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남조식물과 녹조식물 각 1분류군과 3분류군의 규조식물이었다. 4개 호소 중에서는 청초

호에서의 출현 분류군 수가 가장 적었으며, 현존량과 Chl-a 농도도 가장 낮았다. 따라

서 타 호소에 비하여 청초호의 수환경 상태가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다소 불리할 것으

로 판단된다. 청초호의 영양 단계는 4개 호소 중 가장 양호하였으나 TSI(Chl)을 제외한

항목에서 부영양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대형수생식물

○ 청초호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57과 149속 183종 17변종 1품종으로 총 201분류군이 출

현하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1과 1속 1종으로 총 1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5속 10종으

로 총 10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159분류군과 3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침수조류는 해양성 조류인 가시파래 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등급, II등급, III등급, IV등급, V등급종에서 총 20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66점이었다.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50점이었다. 귀화식물은 8과 21속 26종 1변종 27분류군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9.4 %,

Page 19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0 -

귀화율은 13.4 %이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

부쟁이의 4종이 확인되었다.

○ 청초호에서는 갈대군락이 가장 우점하였으며, 다음으로 가시파래군락이 분포하였다. 단

위면적당 평균 생중량 및 건중량은 갈대군락이 높았고, 단위면적당 평균 수분함량은 가

시파래군락이 높았다.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은 갈대군락이 높았으며, 단위

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갈대군락의 밀도가 1 ㎡당 242.8 개체로 나타났다.

라. 대형무척추동물

○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4강 16목 24과 26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연체동물

문이 11종으로 가장 다양하였다. 또한 유입부가 총 19종이 출현하여 9종이 출현한 유출

부에서 보다 출현종수가 높았다. 청초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10.3종이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밀도는 유입부가 유출부보다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절지동물

문의 갑각강이 전체 개체수 밀도의 약 97.9%로 가장 풍부하였다. 조사 지점별 개체수

밀도는 유입부에서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유출부에서는 환형동물문이 높았다.

○ 청초호에서는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및 참갯지렁이, 참송곳갯지렁이, 반지락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 분석 결과 1차 조사에서는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9733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58.8 %를, 2차 조사에서는 연체동물문의 부족강이 평

균 0.6554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64.8 %를 차지하였다.

○ 군집지수 산출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93, 평균 다양도지수는 0.77, 평균 풍부도지수

는 1.23, 평균 균등도지수는 0.25로 산출되어 특정 종에 의한 군집의 의존도가 높을 뿐

만 아니라 군집구조가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어류

○ 청초호의 어류조사 결과 출현한 종은 총 6목 6과 11종 513개체였다. 청초호에서 출현한

법정보호종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급인 잔가시고기의 1종이 출현하였고, 천연기념물

및 한국고유종, 외래종의 서식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 청초호에 대한 문헌 조사 결과 과거의 어류상은 2009년에 19과 36종으로 조사에 투입된

어구의 차이에 의하여 본 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Page 19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1 -

3. 매호

가. 수질

○ 매호의 수온은 9.8∼28.1 ℃의 범위였다. pH는 7.6에서 8.8까지 측정되었는데, 특히 춘계

인 4월 pH가 높았다. 용존산소농도(DO)는 6.7 mg/L~16.9 mg/L로 측정되어 호소생활

환경기준 “좋음” 이상의 등급을 보였다. COD 농도에 의한 수질 등급 판정 결과 4월 매

호의 수질은 “매우 좋음” 등급으로 판정되었으나, 6월 및 8월, 10월에는 “약간 나쁨” 이

하의 수질 등급을 보였다. 매호의 부유고형물 농도는 조사 초기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

으나, 하계와 춘계를 거치며 감소하였다. 매호의 염분농도는 4개 호소 중 가장 낮았는

데, 특히 4월을 제외한 모든 기간에서 1.8 ‰ 이하의 염분농도로 측정되어 해수의 영향

이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월 염분 농도가 높았던 이유는 해수의 유입보다는

하천수 유입에 의한 감소로 판단된다. 매호에서 채수한 시료의 평균 총질소 및 총인 농

도는 4개 호소 중 가장 낮았으며, 분원성대장균군수도 가장 적었다. 이는 매호 주변에

분포하는 오염원 발생원이 타 호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나. 식물플랑크톤

○ 매호에서 확인된 식물플랑크톤은 총 5문 5강 9목 19과 44속에 속하는 101분류군으로 확

인되었다. 이중 규조식물이 77분류군으로 가장 높은 출현비(76 %)를 보였으며 그 다음

으로 남조식물이 13분류군 출현하였다.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 농도는 동

일한 변화 경향을 보였는데, 두 항목이 4월 시료에서 최고값을 보이다가 6월까지 감소

한 후 8월 이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매호에서의 우점종은 남조

식물문에 속하는 1분류군과 황갈조식물문의 규조강에 속하는 5 분류군이었다. TSI 지수

중 투명도와 총인 농도로 산정한 결과에 따르면 매호의 수질은 모든 조사 기간에서 부

영양 단계로 평가되었다. Chl-a 농도를 근거로 판정한 매호의 수질은 6월 이후 개선되

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나, 10월 M02 지점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부영양 단계에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LTSI 지수 산출을 통해 알아본 매호의 수질 등급은 4월과 6월 동

안 과영양 상태였으며 8월과 10월에는 부영양 상태에 있었다.

다. 대형수생식물

○ 매호에서의 육상관속식물은 85과 229속 285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이 출현하

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3과 3속 2종 2변종으로 총 4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4속 5종으

로 총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225분류군과 88분류군이 출

Page 19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2 -

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32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120점으

로 나타났으며,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94점이었다.

귀화식물은 10과 24속 27종 1변종 28분류군이 출현되었고, 도시화지수는 9.8 %, 귀화율은

8.7 %이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쑥부쟁이의 3종이 확인되었다.

○ 매호에서는 갈대군락이 가장 우점하였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 물옥잠군락, 줄군

락, 이삭물수세미군락,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군락, 마름군락의 순으로 분포하였다. 단위

면적당 평균 생중량은 애기부들군락이 가장 높았고, 평균 건중량은 갈대군락이 가장 높

았으며, 평균 수분함량은 물옥잠군락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역 내 지상부 순 1차 생산성

은 갈대군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 줄군락, 물옥잠군락, 마

름군락, 이삭물수세미군락, 이삭물수세미-거머리말군락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위면

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애기부들군락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라. 대형무척추동물

○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6목 23과 27종이 출현하였으며, 절지동물문의 갑

각강이 10종으로 가장 다양하였다. 또한 유입부가 총 20종이 출현하여 15종이 출현한

유출부에서 보다 출현종수가 매우 높았다. 매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10.8종이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밀도는 유출부가 유입부보다 다소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

다. 전체적으로 연체동물문이 전체 개체수 밀도의 약 64.9 %로 가장 풍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약 28.8 %를, 환형동물문은 약 4.6 %를 차지하였다.

○ 주요 우점종으로는 좀기수우렁이와 곤쟁이류가 매우 높은 점유율로 출현하였으며, 그

외 일본재첩 또한 점유율이 높은 편이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 분석 결과 1차 조사에서는 평균 4.3201 gDW/m2으로 산출되

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3.8164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88.3 %를

차지하였다. 또한 2차 조사에서의 생체량은 평균 1.2647 gDW/m2이었으며, 이 중 절지

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0.7049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55.7 %를 차지하였다.

○ 군집지수 산출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84, 평균 다양도지수는 1.50, 평균 풍부도지수는

1.52, 평균 균등도지수는 0.46으로 산출되어 특정 종에 의한 군집의 의존도가 높았다.

마. 어류

○ 매호의 어류상은 총 8목 8과 18종 867개체였으며, 법정보호종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

급인 가시고기 및 잔가시고기의 2종이 출현하였으나, 천연기념물 및 한국고유종은 확인

하지 못하였다. 매호에서 확인된 외래종으로는 떡붕어의 1종이 있었다.

Page 19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3 -

○ 매호에 대한 문헌 조사 결과 과거 어류상은 1984년에 6과 9종, 1997년에 5과 7종, 2001

년에 5과 10종, 2009년에 14과 30종 등으로 확인하였으며, 본 조사와는 조사 지점 및 어

구 사용 등의 차이에 의하여 다소 차이가 있었다.

4. 향호

가. 수질

○ 향호의 평균 수온은 19.0 ℃였으며 평균 pH는 8.42로 측정되었다. 향호의 pH 측정 결과

는 4개 호소 중 가장 높았으며 평균 BOD 및 부유고형물 또한 4개 호소 중 가장 높았

다. 영랑호와 청초호에 비하여 매호와 향호의 부유고형물 농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낮은 수심과 비교적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수생식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

호의 염분농도는 0.7 ‰에서 6.7 ‰의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매호의 다음으로 낮았다.

총질소 측정 결과 6월 향호의 수질은 “매우 나쁨” 등급이었으며, 총인은 “약간 나쁨” 또

는 “나쁨”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나. 식물플랑크톤

○ 향호에서는 총 5문 5강 8목 18과 43속 92종 7변종 8미동정종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

였다. 이 중 황갈조식물 규조강에 속하는 식물은 81분류군이 출현하여 향호 수계에 가

장 많은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호에서의 우점종은 황갈조식물문 규

조강에 속하는 2종(Cyclotella striata, Achnanthes alteragracillima)이었다. 한편 TSI 지

수로 판정한 향호의 수질은 연중 부영양 상태로 판정되었으며, LTSI 지수에 의해서는

연중 과영양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대형수생식물

○ 향호에서의 육상관속식물은 70과 194속 237종 36변종 5품종으로 총 278분류군이 출현하

였는데, 이중 양치식물은 1과 1속 1종으로 총 1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2속 3종 1변종으

로 총 4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은 각각 190분류군과 83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22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총 평가점수는 88점

으로 나타났으며, 식재종을 제외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총 평가점수는 62점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10과 28속 32종 1변종 34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는 11.9 %, 귀화

율은 12.2 %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쑥부쟁이의 3종

이 확인되었다.

Page 20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4 -

○ 향호에서는 갈대군락이 가장 우점하였고, 그 다음으로 마름군락, 애기부들군락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단위면적당 평균 생중량은 애기부들군락이, 단위면적당 평균 건중량은

갈대군락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 수분함량은 마름군락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역 내 지상

부 순 1차 생산성은 갈대군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애기부들군락, 고마리

군락, 마름군락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평균 개체밀도는 갈대군락의 밀도

가 가장 높았다.

라. 대형무척추동물

○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2목 15과 17종이 출현하였으며, 절지동물문의 갑

각강이 7종으로 가장 다양하였다. 또한 유입부가 총 12종이 출현하여 10종이 출현한 유

출부에서 보다 출현종수가 다소 높았다. 매호의 평균 출현종수는 6.0종이었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밀도는 유출부가 유입부보다 높은 편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절

지동물문의 갑각강이 개체수 밀도의 약 97.2 %로 가장 풍부하였다. 그 외 분류군의 경

우 서식 밀도가 매우 저조하였는데 환형동물문은 전체 개체수 밀도의 약 1.7 %를, 절지

동물문의 곤충강은 약 0.9 %를 차지하였다.

○ 주요 우점종은 모든 조사 시기 및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곤쟁이류가 매우 높은 점유율로

출현하였으며, 그 외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및 기수잔벌레가 시기에 따라 점유율이 높

았다.

○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체량 분석 결과 1차 조사에서는 평균 0.2830 gDW/m2으로 산출되

었으며, 이 중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0.2811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99.3 %를

차지하였다. 또한 2차 조사에서의 생체량은 평균 1.7508 gDW/m2이었으며 마찬가지로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평균 1.6165 gDW/m2으로 총 생체량의 92.3 %를 차지하였다.

○ 군집지수 산출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91, 평균 다양도지수는 0.80, 평균 풍부도지수

는 0.83, 평균 균등도지수는 0.33으로 산출되어 특정 종에 의한 군집의 의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군집구조가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어류

○ 향호의 어류상은 총 9목 10과 17종 646개체였으며 법정보호종으로는 멸종위기동식물Ⅱ

급인 가시고기 1종이 확인되었으나, 천연기념물 및 한국고유종은 포획되지 않았다. 향호

에서 확인된 외래종으로는 떡붕어와 베스 2종이 있었다.

○ 향호에 대한 문헌 조사 결과 과거의 어류상은 1979년에 8과 9종, 1984년에 7과 11종,

2001년에 6과 11종, 2009년에 13과 28종 등이었으며 본 조사 결과보다 다소 적었다.

Page 20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5 -

제5장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계절별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및 군집 변화분석을 통하여 영양상태 및 부영양화정도를

명확히 판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및 수초류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생체량 분석을 통한 생산력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수호의 어류상 및 대형무척추동물상의 생물다양성 및 특이성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 석호생태계 정밀조사 통하여 새롭게 석호의 가치를 평가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석호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석호생태계의 보존상태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석호의 생물서식자료를 통하여 생물종 및 서식처 보전과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

용할 수 있다.

○ 석호의 수질환경과 건강성 평가지표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Page 20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Page 20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7 -

참 고 문 헌

Davies-Colley, R. J. and Smith D. G. 2001. Turbidity, suspended sediment, and water clarity:

A review. Water Res. 37: 1085-1101.

Forbes, S. A. 1887. The lake as a microcosm. Bull. Sci. Assoc., Peoria, Illinois, pp 77–87.

Hendey, N. I. 1974.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s.

Microscopy 32: 423-426.

Hindak, F. 1977.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Chlorophycea). Biologické Práce 23/4. 192

pp.

Hirose, H. and T. Yamagishi. 1977.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ho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933 pp.

Huber-Pestalozz, G. 1938, 1955. Das Phytoplankton des Süsswassers. Systematic und

Biologie. Die Binnengewässer, 16 (8 voll.). E. Schweizerbart’'sche Verlagsbuchhandlung,

Stuttgart.

Karr, J. R. 1995. Protecting aquatic ecosystems: clean water is not enough. Pages 7-13. In:

W. S. Davis and T. P. Simon, (eds.)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tools for water

resource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CRC Press, Lewis, Boca Raton. 415 pp.

Karr, J. 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Karr, J. R. and D. R. Dudley. 1981. Ecological perspective on water quality goals.

Environmental Management 5(1): 55-68.

Kelly, M. G. 1998. Use of community-based indices to monitor eutrophication in European

rivers. Env. Conserv. 25(1): 22-29.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86. Bacillariophyceae 1.eh Teil Naviculaceae. in H.

Ettl, J. Gerloff, H. Heynig, D. Mollenhauer (eds.).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2/1,

gustav Fischer,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88. Bacillariophyceae 2. Bacillariace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 in H. Ettl, J. Gerloff, H. Heynig, D. Mollenhauer (eds.).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2/2, gustav Fischer,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a. Bacillariophyceae 3. Centrales, Fragilariaceae,

Eunotiaceae. in H. Ettl, J. Gerloff, H. Heynig, D. Mollenhauer (eds.).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2/3, gustav Fischer, Stuttgart.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b. Bacillariophyceae 4. Achnanthaceae Kritische

Erganzungen zu Navicula (Lineolatae) und gomphonema. in H. Ettl, J. Gerloff, H.

Page 20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8 -

Heynig, D. Mollenhauer (eds.).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2/4, gustav Fischer,

Stuttgart.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Margalef, R. 1958. Temporal succession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phytoplankton. In:

Perspectives in Marine biology, Buzzati-Traverso (ed.), Univ. Calif. Press, Berkeley. pp.

323-347

McCafferty, W. P. 1983.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nc., 1st edition.

448 pp.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n grassland.

Nature. 216: 168-169

Merritt, R. W. and K. 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lnsects of North

America (third edition). Kendall Hunt Publishing, Iowa, USA.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Columbus, Ohio, USA.

Patrick, R. and C. W. Reimer. 1966. The diatoms of United States. Vol.Ⅰ.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 of Philadelphia, USA. No. 13. 688pp.

Patrick, R. and C. W. Reimer. 1975. The diatoms of United States. Vol.Ⅱ.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 of Philadelphia, USA. No. 13. 213pp.

Peckarsky, B. L, P. R. Fraissinet, M. A. Penton and Conklin, Jr. D. J. 1990.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Connell Univ. Press, Ithaca and

London. 442 pp.

Pennak, R. W. 1989.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3r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628 pp.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rescott, G. W. 1962.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Otto Koeltz Science Publisher,

Germany. 977 pp.

Sanders, R. E., R. J. Miltner, C. O. Yoder, and E. T. Rankin. 1999. The use of external

deformites, erosion, lesions, and tumors (DELT anomalies) in fish assemblages for

characterizing aquatic resources: a case study of seven Ohio streams. Pages 225-248. In:

T. P. Simon (ed.).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CRC Press, Boca Raton.

Shannon, C. E. and W. Wien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77 pp.

Page 20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89 -

Shannon, C. 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Champaign, IL.

Simpson, E. 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pp.

Smith, G. M. 1950. The fresh‐.water algae of the United States. McGraw‐Hill,

London.719pp.

Sousa, W. P. 1984. The role of disturbance in natural communities. Ann. Rev. Ecol. Syst. 15:

353-91.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Cincinnati, Ohio 45268.

U.S. EPA. 1999. P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2nd eds.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U.S. EPA. 2000. Evaluation guidelines for ecological indicators.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Washington D.C., EPA/620/R-99/005.

U.S. EPA. 2002. Biological Assessments and Criteria: Crucial Components of Water Quality

Programs. EPA 822-F-02-006.

Watanabe, T. and K. Asai. 1990. Numerical simulation using diatom assemblage of organic

pollution in stream and lakes. Rev. Inquiry and Research (Kansai Univ. Foreign Studies)

52: 99-139.

Wiederholm, T.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 Part Ⅰ -

Larvae. Ent. Scand. Suppl. 19. 457 pp.

川合禎次. 1985. 日本産水生昆虫檢索図說. 東海大學出版會. 409 pp.

川合禎次, 谷田一三. 2004. 日本産水生昆虫. 東海大學出版會. 1342 pp.

岡田要. 1965a. 新日本圖鑑(上). 北隆館. 679 pp.

岡田要. 1965b. 新日本圖鑑(中). 北隆館. 803 pp.

岡田要. 1965c. 新日本圖鑑(下). 北隆館. 763 pp.

강릉시. 2010 강릉시 통계연보. 강릉시청.

공동수, 류재근, 윤일병. 1999. 저서생물에 의한 수환경 진단과 복원기법의 현황과 전망 -

biomonitoring, biomaniqulation, ecothechnology를 중심으로. 환경변화와 곤충자원 심포지

움.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pp. 69-92

국립환경과학원. 2008. 수계오염총량관리지침. 국립환경과학원. 99 pp.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Ⅰ). 문교부. 446 pp.

권오길, 민덕기, 이종락, 이준상, 제종길, 최병래. 2001. 신원색한국패류도감. 민패류박물관. 332

Page 20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0 -

pp.

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1993.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46 pp.

김익수, 박종영. 2002. 원색도감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6 pp.

김훈수. 1977.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새우류). 문교부. 414 pp.

문덕수, 김현주, 최미연, 정동호, 이승원. 2007. 동해안 석호의 수질특성. 한국해양과학기술협회

공동학술대회. 7: 2388-2393.

변화근. 1984. 기수호의 환경 및 생물상 조사 보고.

배연재, 박선영, 황정미. 1998. 깜장하루살이(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기재 및 한국

산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검색표. 한국육수학회지. 31(4): 282-286.

속초시. 1979. 동해안 기수호군의 개발을 위한 비교조사. 속초시청

속초시. 1993. 영랑호 오염방지 타당성 조사 및 기본설계. 속초시청

속초시. 2010. 속초시 통계연보. 속초시청.

양양군. 2010. 양양군 양양군 통계연보. 양양군청.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도서출판 생태조사단. 414 pp.

원주지방환경청. 1997. 동해안 석호 수질개선 대책. 원주지방환경청.

원주지방환경청. 2008. 동해안 석호의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연구 및 관

리방안 연구(I). 원주지방환경청.

원주지방환경청. 2009. 동해안 석호의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연구 및 관

리방안 연구(II). 원주지방환경청.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840 pp.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 pp.

이민부, 김남신, 이광률. 2006.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한국지리학회지.

12: 449-460.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688 pp.

이인규, 강제원. 1986.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한국조류학회지.

이창복. 2003a. 원색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914 pp.

이창복. 2003b.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910 pp.

정준. 1993. 한국 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496pp.

조규송, 박양생. 1969. 영랑호의 육수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 51-66

최의용, 최재석, 박승철, 장영수, 이광열, 최준길. 2007. 영랑호 어류군집의 시ㆍ공간적 분포. 한

국환경생태학회지. 21: 506-514.

한국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 건국대 출판부. 714 pp.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아카데미서적. 489 pp.

Page 20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1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1. 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관리방안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90 pp.

허우명, 김범철, 전만식. 1999. 동해안 석호의 부영양화 평가. 환경연구. 16: 274-284

환경부ㆍ국립환경과학연구원. 2002. 2001 전국내륙 습지 자연환경조사(매호, 향호). 환경부ㆍ국

립환경과학연구원

환경부. 2006.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298 pp.

환경부ㆍ국립환경과학연구원. 2010. 전국오염원조사. 환경부ㆍ국립환경과학연구원.

환경부. 2010. 하수도통계. 상하수도전책관실 생활하수과.

Page 20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Page 20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부 록

Page 21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Page 21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5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Phylum Cyanophyta 남조식물문                

Class Cyanophyceae 남조강                

Order Chroococcales 소구체목                

Family Chroococaceae                

Aphanocapsa elachista         47.6      

Dactylococcopsis acicularis         4.0      

Synechocystis acuatilis           78.5    

Synechocystis pevalekii 7.1   13.1 99.8 4.0   7.3 138.4

Order Nostocales 염주말목                

Family Rivulariaceae                

Calothrix fusca       99.8        

Family Oscillatoriaceae                

Lyngbya hieronymusil var. crassivaginata       13.3        

Oscillatoria profunda   55.1 196.8 33.3   98.2   96.9

Oscillatoria splendida var. trncata       33.3        

Oscillatoria valderianum var. tenuis     6.6          

Phormidium tenue             14.6  

Spirulina meneghiniana         11.9      

Phylum Rhodophyta 홍조식물문                

Class Rhodophyceae 홍조강                

Order Bangiales                

<부록 1>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단위: cells/㎖)

Page 21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6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Family Bangiaceae                

Bangia sp.       66.5        

Phylum Chrysophyta 황갈조식물문                

Class Bacillariophyceae 규조강                

Order Centrales 중심목                

Suborder Coscinodiscineae                

Family Melosiraceae                

Melosira nummuloides 1.8   6.6   4.0      

Melosira varians         4.0      

Family Thalassiosiraceae                

Aulacoseira ambigua         4.0      

Aulacoseira granulata 5.3         9.8    

Cyclotella meneghiniana 1.8   6.6     9.8    

Cyclotella radiosa     98.4          

Cyclotella stelligera 1.8   45.9       182.2  

Cyclotella striata 673.7 181.8 865.8 365.8 1,300.8 166.9 582.9 332.1

Skeletonema costatum 5.3 363.6     23.8 1,570.5 7.3  

Thalassiosira eccentrica         4.0      

Thalassiosira sp.   5.5 6.6          

Order Pennales 우상목                

Suborder Araphidineae                

<부록 1> 계속

Page 21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7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Family Diatomaceae                

Asterionella formosa 1.8              

Fragilaria capitellata 1.8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 1.8              

Fragilaria pinnata     6.6          

Fragilaria sp.   5.5       19.6    

Hannaea arcus 5.3              

Synedra fasciculata         4.0      

Synedra inaequalis 1.8              

Synedra rumpens var. familiaris         4.0      

Tabellaria flocculosa 1.8              

Suborder Raphidineae                

Family Achnanthaceae                

Achnanthes alteragracillima   82.6 104.9 13.3 4.0 392.6 14.6 13.8

Achnanthes convergens 141.8 5.5   26.6 4.0     41.5

Achnanthes exigua             7.3  

Achnanthes kuwaitensis         4.0      

Achnanthes lanceolata 1.8         58.9 14.6 27.7

Achnanthes subhudsonis   33.1 13.1 26.6       41.5

Cocconeis diminuta 1.8              

Cocconeis pediculus   27.5            

<부록 1> 계속

Page 21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8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Cocconeis placentula 1.8         19.6    

Family Entomoneidaceae                

Entomoneis paludosa         4.0      

Family Naviculaceae                

Amphora acutiuscula   38.6 19.7 33.3     7.3 13.8

Amphora copulata 1.8       4.0      

Amphora montana 1.8              

Amphora ovalis 1.8       4.0      

Amphora pediculus           78.5    

Cymbella affinis 1.8              

Cymbella delicatula 1.8              

Cymbella gracilis           9.8    

Cymbella lacustris 1.8         9.8    

Cymbella minuta 5.3 22.0 6.6   4.0   7.3  

Cymbella silesiaca           9.8    

Cymbella sinuata   11.0       9.8   13.8

Diploneis ovalis         4.0      

Gomphonema clevei 1.8         19.6 7.3  

Gomphonema gracile 1.8              

Gomphonema minutum 1.8 5.5 6.6     19.6 21.9  

Gomphonema parvulum 1.8 11.0 6.6   4.0 39.3 7.3  

<부록 1> 계속

Page 21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199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Gyrosigma pseudokuetzingii   5.5     4.0      

Gyrosigma sp. 1.8              

Navicula capitata 1.8              

Navicula cincta     6.6     9.8 7.3  

Navicula clementis         4.0      

Navicula cryptocephala 1.8 5.5       9.8    

Navicula cryptotenella 1.8 11.0     4.0 9.8 7.3  

Navicula decussis 1.8              

Navicula gregaria 1.8     6.7 4.0 39.3 7.3  

Navicula peregrina 1.8              

Navicula pseudolanceolata 1.8              

Navicula pupula           9.8    

Navicula subminuscula   5.5   6.7   225.8 43.7 207.6

Navicula symmetrica         4.0      

Navicula trivalis 1.8       7.9 9.8   13.8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1.8              

Navicula sp.               13.8

P innularia gibba 1.8              

Pleurosigma salinarum       6.7       13.8

Stauroneis sp.         4.0      

Family Nitzschiaceae                

<부록 1> 계속

Page 21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0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Bacillaria paradoxa 1.8       4.0      

N itzschia amphibia           9.8    

N itzschia dissipata   5.5   13.3        

N itzschia filiformis             7.3  

N itzschia inconspicua       26.6   39.3 7.3  

N itzschia palea 1.8 11.0 6.6 6.7   29.4   13.8

N itzschia sp.     6.6          

Family Surirellaceae                

Cymatopleura solea         4.0      

Surirella angusta 1.8              

Phylum Dinophyta 와편모조식물문                

Class Dinophyceae 와편모조강                

Order Peridiniales 페리디니움목                

Family Glenodiniaeae                

Glenodinium oculatum 1.8              

Phylum Euglenophyta 유글레나식물문                

Class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Order Euglenales 유글레나목                

Family Euglenaceae                

Euglena gigas       465.5       553.6

Phylum Chlorophyta 녹조식물문                

<부록 1> 계속

Page 21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1 -

Scientific NameYR01 YR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Class Chlorophyceae 녹조강                

Order Volvocales 볼복스목                

Family Chlamydomonadaceae                

Chlamydomonas globosa   60.6     19.8      

Order Chlorococcales 녹색소구체목                

Family Oocystaceae                

Chlorella vulgaris           49.1   13.8

Eremosphaera viridis       6.7        

Westella botryoides 120.6       115.0      

Family Characiaceae                

Characium limneticum         4.0      

Schroederia setigera     1.3       0.7  

Family Scenedesmacea                

Scenedesmus acutus f. constulatus 14.2              

No. of cells(cells/㎖) 1,043.4 953.1 1,431.3 1,350.0 1,630.8 3,062.5 962.5 1,550.0

출현종수 45 21 20 19 33 29 20 16

<부록 1> 계속

Page 21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2 -

Scientific NameCC01 CC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Phylum Cyanophyta 남조식물문                

Class Cyanophyceae 남조강                

Order Chroococcales 소구체목                

Family Chroococaceae                

Synechocystis acuatilis             4.7 34.2

Synechocystis pevalekii     3.1 30.9       17.1

Order Nostocales 염주말목                

Family Oscillatoriaceae                

Lyngbya limnetica   92.1       13.6    

Oscillatoria frmosa     31.2          

Oscillatoria nigra       216.3        

Oscillatoria planctonica     31.2          

Oscillatoria profunda   3.3 46.8       9.4 51.2

Oscillatoria quasiperforta var. crassa     77.9          

Order Stionematales 스티고네마목                

Family stigonemataceae                

Westiellopsis prolifica               34.2

Phylum Chrysophyta 황갈조식물문                

Class Chrysophyceae 황색편모조강                

Order Ochromonadales 오크로모나스목                

Family Dinobryaceae                

<부록 2>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단위: cells/㎖)

Page 21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3 -

Scientific NameCC01 CC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Dinobryon seturalia         1.2      

Class Bacillariophyceae 규조강                

Order Centrales 중심목                

Suborder Coscinodiscineae                

Family Melosiraceae                

Melosira nummuloides 2.4              

Family Thalassiosiraceae                

Aulacoseira granulata 4.7       2.4 1.4    

Cyclotella radiosa     62.3       235.2  

Cyclotella stelligera     62.3          

Cyclotella striata   1.3 280.6 525.3 9.5   112.9 273.3

Skeletonema costatum               85.4

Order Pennales 우상목                

Suborder Araphidineae                

Family Diatomaceae                

Fragilaria capitellata 1.8              

Fragilaria capucina 1.2       1.2      

Fragilaria vaucheriae           1.4    

Fragilaria sp.               17.1

Hannaea arcus 1.2       1.2      

Meridion circulare   0.7     1.2      

<부록 2> 계속

Page 22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4 -

Scientific NameCC01 CC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Synedra inaequalis 4.1       1.2      

Synedra ulna 0.6       1.2      

Suborder Raphidineae                

Family Achnanthaceae                

Achnanthes alteragracillima 118.1 14.4 249.4 30.9 30.9 4.1 545.7 34.2

Achnanthes convergens 2.4       47.6   18.8  

Achnanthes exigua       30.9   12.2    

Achnanthes lanceolata   1.3 15.6     1.4    

Achnanthes subhudsonis   0.7 46.8 61.8     37.6  

Achnanthes oblongella         1.2      

Cocconeis placentula   2.6   30.9 2.4   9.4 17.1

Family Naviculaceae                

Amphora acutiuscula   0.7 15.6 30.9        

Amphora copulata 0.6              

Amphora pediculus             9.4  

Cymbella affinis 0.6              

Cymbella delicatula 0.6              

Cymbella lacustris 0.6              

Cymbella minuta 0.6       2.4 1.4    

Cymbella silesiaca 1.8              

Cymbella sinuata 0.6 5.2 31.2   1.2      

<부록 2> 계속

Page 22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5 -

Scientific NameCC01 CC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Cymbella tumida         1.2      

Diploneis ovalis 0.6              

Gomphonema minutum 0.6 0.7 15.6         17.1

Gomphonema parvulum 1.2 2.6 62.3   1.2 10.9 9.4  

Gyrosigma spencerii         1.2      

Navicula capitatoradiata 0.6              

Navicula cincta 0.6              

Navicula cryptocephala   0.7 15.6       9.4  

Navicula cryptotenella   1.3 46.8     1.4    

Navicula gregaria   0.7 62.3     1.4 9.4  

Navicula halophila               17.1

Navicula subminuscula     46.8 92.7   91.1 18.8 17.1

Navicula trivalis     15.6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0.7 15.6          

Navicula viridula var .rostrata     15.6          

Navicula sp.   0.7            

Family Nitzschiaceae                

N itzschia amphibia   0.7            

N itzschia dissipata 0.6             17.1

N itzschia filiformis       30.9        

N itzschia frustulum 0.6       1.2      

<부록 2> 계속

Page 22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6 -

Scientific NameCC01 CC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N itzschia inconspicua   0.7            

N itzschia linearis 0.6              

N itzschia palea   0.7   30.9        

Phylum Dinophyta 와편모조식물문                

Class Dinophyceae 와편모조강                

Order Peridiniales 페리디니움목                

Family Glenodiniaeae                

Glenodinium oculatum             0.9  

Phylum Chlorophyta 녹조식물문                

Class Chlorophyceae 녹조강                

Order Ulotrichales 주름말목                

Family Ulotrichaceae                

Ulothrix zonata         83.3     51.2

Order Chlorococcales 녹색소구체목                

Family Oocystaceae                

Chlorella vulgaris           1.4   34.2

Eremosphaera viridis               17.1

Family Characiaceae                

Schroederia setigera     15.6          

Family Scenedesmaceae                

Scenedesmus armatus           5.4    

<부록 2> 계속

Page 22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7 -

Scientific NameCC01 CC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Scenedesmus bicaudatus 2.4       4.8      

Scenedesmus sp.     15.6          

No. of cells(cells/㎖) 149.7 131.3 1,281.3 1,112.5 197.7 146.9 1,031.3 734.4

출현종수 26 20 24 11 20 13 14 16

<부록 2> 계속

Page 22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8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Phylum Cyanophyta 남조식물문                

Class Cyanophyceae 남조강                

Order Chroococcales 소구체목                

Family Chroococaceae                

Chroococcus minutus         16.8   2.9  

Dactylococcopsis acicularis       4.1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0.3  

Merismopedia glauca       203.0       125.0

Synechococcus minervae var. major             291.7  

Synechocystis acuatilis     10.7   4.2   116.7  

Synechocystis pevalekii 6.3   10.7 4.1     2.9 4.2

Order Nostocales 염주말목                

Family Oscillatoriaceae                

Oscillatoria chlorina       24.4        

Oscillatoria profunda   5.9       28.9    

Phormidium inundatum       20.3        

Phormidium tenue     1.1          

Phormidium valderinum     21.5          

Phylum Chrysophyta 황갈조식물문                

Class Chrysophyceae 황색편모조강                

<부록 3>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단위: cells/㎖)

Page 22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09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Order Ochromonadales 오크로모나스목                

Family Dinobryaceae                

Dinobryon cylindrica     5.4          

Class Bacillariophyceae 규조강                

Order Centrales 중심목                

Suborder Coscinodiscineae                

Family Melosiraceae                

Melosira nummuloides 3.2       4.2      

Melosira varians           28.9    

Family Thalassiosiraceae                

Aulacoseira granulata       4.1     5.8  

Cyclotella meneghiniana   47.0   4.1   202.1    

Cyclotella radiosa             2.9  

Cyclotella striata 952.0 23.5 536.5 93.4 2,095.3 115.1 207.1 83.3

Skeletonema costatum 15.9   107.3 8.1 12.6   408.4 12.5

Thalassiosira sp.   5.9            

Order Pennales 우상목                

Suborder Araphidineae                

Family Diatomaceae                

Diatoma vulgare 3.2         28.9    

Fragilaria capitellata         4.2      

<부록 3> 계속

Page 22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0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Fragilaria capucina 3.2       4.2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 3.2       4.2      

Fragilaria construens         4.2      

Fragilaria pinnata   5.9       28.9   4.2

Hannaea arcus           28.9    

Meridion circulare 3.2 5.9     4.2 28.9    

Synedra fasciculata     42.9 32.5 8.4   2.9  

Synedra inaequalis 3.2              

Synedra rumpens var. familiaris       4.1       4.2

Synedra ulna 3.2     4.1   28.9    

Synedra sp. 12.7              

Suborder Raphidineae                

Family Achnanthaceae                

Achnanthes alteragracillima 571.2 569.8   12.2   144.3   4.2

Achnanthes clevei               4.2

Achnanthes convergens 38.1     8.1        

Achnanthes delicatula       12.2        

Achnanthes exigua               62.5

Achnanthes kuwaitensis 3.2              

Achnanthes lanceolata 6.3 5.9   8.1 4.2      

Achnanthes minutissima           28.9    

<부록 3> 계속

Page 22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1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Achnanthes subhudsonis 3.2 47.0 96.6 8.1     14.6 12.5

Achnanthes temperei       4.1        

Cocconeis diminuta         4.2      

Cocconeis pediculus         4.2      

Cocconeis placentula 3.2   21.5 12.2     2.9  

Family Entomoneidaceae                

Entomoneis paludosa 12.7     4.1 4.2     4.2

Family Naviculaceae                

Amphora acutiuscula     10.7 8.1     2.9 4.2

Amphora inariensis 3.2              

Amphora montana         8.4      

Amphora ovalis 9.5       4.2      

Amphora pediculus   5.9            

Cymbella affinis 3.2       4.2      

Cymbella gracilis             2.9  

Cymbella lacustris     10.7   4.2      

Cymbella minuta 6.3 5.9     4.2      

Diploneis ovalis       4.1     2.9  

Diploneis subovalis         4.2      

Frustulia vulgaris 3.2              

Gomphonema clevei 3.2              

<부록 3> 계속

Page 22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2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Gomphonema parvulum 3.2   32.2 8.1 4.2   2.9 20.8

Gyrosigma spencerii         33.5      

Navicula cincta   5.9 10.7 4.1       4.2

Navicula cryptocephala 3.2 5.9   1.4 4.2     8.3

Navicula cryptotenella 3.2     12.2 4.2     4.2

Navicula cuspidata 19.0              

Navicula gregaria   5.9 32.2 16.2 4.2   2.9 12.5

Navicula goeppertiana 3.2       4.2      

Navicula lanceolata 3.2              

Navicula peregrina 3.2       4.2      

Navicula pupula         4.2      

Navicula subminuscula   11.7 21.5 16.2     5.8 258.3

Navicula symmetrica         4.2      

Navicula trivalis 3.2     12.2 8.4     4.2

Navicula viridula var. rostrata             2.9  

Navicula sp.   5.9 10.7 4.1       4.2

P innularia gibba         4.2      

P innularia sp.         4.2      

Stauroneis sp. 3.2       4.2      

Family Nitzschiaceae                

Bacillaria paradoxa 3.2       4.2      

<부록 3> 계속

Page 22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3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Hantzschia amphioxys         4.2      

N itzschia acicularis 3.2              

N itzschia amphibia 3.2              

N itzschia dissipata   11.7   4.1       4.2

N itzschia filiformis       4.1        

N itzschia frustulum 3.2              

N itzschia inconspicua   5.9 32.2 8.1     11.7 4.2

N itzschia levidensis var. victoriae 3.2              

N itzschia nana         4.2      

N itzschia palea 9.5   32.2 44.7 4.2 28.9 5.8 8.3

Family Surirellaceae                

Cymatopleura solea 3.2       4.2      

Surirella angusta                

Surirella biseriata var. bifrons                

Surirella minuta 3.2       4.2      

Phylum Euglenophyta 유글레나식물문                

Class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Order Euglenales 유글레나목                

Family Euglenaceae                

Traachelomonas dybowski       8.1       16.7

Trechelomonas oblonga var. australicia         4.2      

<부록 3> 계속

Page 23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4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Phylum Chlorophyta 녹조식물문                

Class Chlorophyceae 녹조강                

Order Volvocales 볼복스목                

Family Volvocaceae                

Pandorina morum 25.4              

Order Chaetophorales 케토포라목                

Family Chaetophoraceae                

Stigeoclonium subsecundum     10.7          

Family Protococcaceae                

Protococcus viridis 53.5              

Order Cladophorales 클라도포라목                

Family Cladophoraceae                

Rhizoclonium fontanum       4.1        

Order Chlorococcales 녹색소구체목                

Family Oocystaceae                

Westella botryoides 19.0              

Family Characiaceae                

Characium limneticum         4.2      

Schroederia setigera           14.4    

Family Scenedesmaceae                

Scenedesmus sp.     10.7          

<부록 3> 계속

Page 23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5 -

Scientific NameM01 M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No. of cells(cells/㎖) 1,850.2 781.3 1,068.8 637.5 2,330.4 736.1 1,100.0 675.0

출현종수 44 18 21 36 42 13 21 24

<부록 3> 계속

Page 23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6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Phylum Cyanophyta 남조식물문                

Class Cyanophyceae 남조강                

Order Chroococcales 소구체목                

Family Chroococaceae                

Aphanocapsa elachista         25.2      

Chroococcus bituminosus         25.2      

Chroococcus distersus var. minor 135.4 8.8            

Chroococcus minutus         50.5 6.9    

Chroococcus pallidus 34.8              

Chroococcus turgidus 3.9              

Chroococcus sp.         32.8      

Dactylococcopsis acicularis   8.8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10.9     6.9    

Gomphosphaeria lacustris   8.8            

M icrocystis flosaquae 11.6              

Synechocystis acuatilis   26.4 10.9     138.6 25.7  

Synechocystis pevalekii 7.7       63.1 6.9 15.4 26.6

Order Nostocales 염주말목                

Family Oscillatoriaceae                

<부록 4>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종 목록(단위: cells/㎖)

Page 23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7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Oscillatoria angustissima             5.1  

Oscillatoria profunda   8.8 10.9     6.9 5.1  

Oscillatoria valderianum var. tenuis           6.9    

Phormidium treleasei   8.8            

Spirulina meneghiniana         2.5      

Phylum Rhodophyta 홍조식물문                

Class Rhodophyceae 홍조강                

Order Bangiales                

Family Bangiaceae                

Bangia sp.     10.9         79.7

Phylum Chrysophyta 황갈조식물문                

Class Bacillariophyceae 규조강                

Order Centrales 중심목                

Suborder Coscinodiscineae                

Family Melosiraceae                

Melosira nummuloides 15.5       2.5      

Melosira varians       18.6        

Family Thalassiosiraceae                

Aulacoseira granulata             5.1 26.6

Cyclotella meneghiniana   96.8     2.5 27.7 5.1 26.6

Cyclotella radiosa   79.2   18.6   6.9 10.3  

<부록 4> 계속

Page 23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8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Cyclotella stelligera 3.9 17.6     2.5      

Cyclotella striata 1,017.1 123.2 458.1 316.8 312.9 374.3 46.3 159.4

Skeletonema costatum 324.8     93.2 176.7     26.6

Thalassiosira sp.     10.9         26.6

Order Pennales 우상목                

Suborder Araphidineae                

Family Diatomaceae                

Eunotia minor 3.9              

Fragilaria capitellata         2.5      

Fragilaria capucina 3.9              

Fragilaria construens var. venter         2.5      

Fragilaria crotonensis               26.6

Fragilaria elliptica 3.9              

Fragilaria exigua             5.1  

Fragilaria pinnata     43.6       5.1  

Hannaea arcus 3.9              

Hannaea arcus var. recta         2.5      

Meridion circulare 3.9       2.5   5.1  

Synedra fasciculata 3.9   10.9   2.5      

Synedra ulna         2.5      

Suborder Raphidineae                

<부록 4> 계속

Page 23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19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Family Achnanthaceae                

Achnanthes alteragracillima 3.9 44.0 21.8 37.3   228.7 622.7 557.8

Achnanthes convergens 3.9       2.5      

Achnanthes delicatula 3.9   10.9          

Achnanthes lanceolata   35.2 43.6 18.6 2.5     26.6

Achnanthes lutheri             25.7  

Achnanthes subhudsonis   35.2 21.8 149.1     5.1  

Achnanthes wellsiae     10.9       5.1  

Achnanthes sp.     10.9          

Cocconeis placentula 3.9   54.5     6.9 10.3  

Family Entomoneidaceae                

Entomoneis japonica       18.6        

Entomoneis paludosa 7.7   10.9   2.5   5.1 26.6

Family Naviculaceae                

Amphora acutiuscula   8.8 21.8       15.4  

Amphora ovalis 19.3       5.0      

Amphora pediculus           6.9    

Caloneis bacillum 3.9              

Cymbella affinis           6.9    

Cymbella minuta         2.5 6.9 10.3  

Cymbella sinuata   8.8         15.4 26.6

<부록 4> 계속

Page 23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0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Diploneis boldtiana         2.5      

Diploneis interrupta 3.9              

Diploneis subovalis 3.9              

Frustulia vulgaris 3.9              

Gomphonema clevei       18.6     5.1  

Gomphonema minutum   8.8 10.9 18.6   6.9 5.1  

Gomphonema parvulum 3.9   10.9   2.5 6.9 25.7  

Gomphonema truncatum     10.9          

Gyrosigma spencerii 3.9   10.9   2.5      

Navicula bacillum 3.9       2.5      

Navicula capitata 3.9 8.8     2.5      

Navicula cincta     10.9       5.1  

Navicula cryptocephala 7.7 8.8   18.6     5.1 26.6

Navicula cryptotenella 11.6   32.7 37.3 2.5 6.9 10.3  

Navicula elginensis 3.9              

Navicula gregaria 7.7     74.5 2.5 6.9    

Navicula goeppertiana     10.9          

Navicula hasta 3.9              

Navicula pupula   17.6 10.9       5.1  

Navicula subminuscula   26.4 76.4 18.6   20.8 36.0 26.6

Navicula symmetrica               26.6

<부록 4> 계속

Page 23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1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Navicula trivalis 3.9   10.9   2.5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3.9              

Navicula viridula var. rostrata     21.8       5.1  

Navicula sp.               26.6

P innularia viridis     10.9          

P innularia sp. 3.9              

Family Epithemiaceae                

Rhopalodia operculata     10.9          

Family Nitzschiaceae                

Bacillaria paradoxa 3.9       2.5      

N itzschia amphibia 3.9   10.9          

N itzschia dissipata 3.9     18.6     15.4 26.6

N itzschia inconspicua   8.8 54.5 37.3     10.3  

N itzschia levidensis       18.6        

N itzschia levidensis var. victoriae 3.9       2.5      

N itzschia linearis 3.9              

N itzschia nana 7.7              

N itzschia palea 3.9 17.6 32.7   2.5   5.1  

N itzschia sp.     10.9 18.6        

Family Surirellaceae                

Cymatopleura solea         2.5      

<부록 4> 계속

Page 23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2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Surirella robusta           6.9    

Phylum Euglenophyta 유글레나식물문                

Class Euglenophyceae 유글레나강                

Order Euglenales 유글레나목                

Family Euglenaceae                

Euglena gigas               26.6

Traachelomonas dybowski     21.8 37.3     0.5  

Phylum Chlorophyta 녹조식물문                

Class Chlorophyceae 녹조강                

Order Volvocales 볼복스목                

Family Chlamydomonadaceae                

Chlamydomonas globosa         5.0 6.9   53.1

Family Volvocaceae                

Pandorina morum         25.2      

Order Chlorococcales 녹색소구체목                

Family Oocystaceae                

Chlorella vulgaris     10.9          

Westella botryoides         12.6      

Family Characiaceae                

Schroederia setigera 3.9     18.6       26.6

Family Scenedesmaceae                

<부록 4> 계속

Page 23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3 -

Scientific NameH01 H02

4월 6월 8월 10월 4월 6월 8월 10월

Scenedesmus armatus   8.8       6.9    

Scenedesmus intermedius           6.9 10.3  

Scenedesmus opoliensis           6.9    

No. of cells(cells/㎖) 1,733.4 625.0 1,156.3 1,006.3 799.2 921.9 993.8 1,275.0

출현종수 45 23 36 20 37 24 34 20

<부록 4> 계속

Page 24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4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4. 19

지점명 YR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043.4Cyclotella striata 673.7

Achnanthes convergens 141.8

규조류 899.7Cyclotella striata 673.7

Achnanthes convergens 141.8

녹조류 134.8Westella botryoides 120.6

Scenedesmus acutus f. constulatus 14.2

남조류 7.1Synechocystis pevalekii 7.1

- -

기타1) 691.5Glenodinium oculatum 1.8

- -

<부록 5>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5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4. 19

지점명 YR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630.8Cyclotella striata 1,300.8

Westella botryoides 115.0

규조류 1,424.5Cyclotella striata 1,300.8

Skeletonema costatum 23.8

녹조류 138.8Westella botryoides 115.0

Chlamydomonas globosa 19.8

남조류 67.5Aphanocapsa elachista 47.6

Spirulina meneghiniana 11.9

기타1) -- -

- -

<부록 5>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6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YR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953.1Skeletonema costatum 363.6

Cyclotella striata 181.8

규조류 837.2Skeletonema costatum 363.6

Cyclotella striata 181.8

녹조류 60.6Chlamydomonas globosa 60.6

- -

남조류 55.1Oscillatoria profunda 55.1

- -

기타1) -- -

- -

<부록 5>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7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YR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3,062.5Skeletonema costatum 1,570.5

Achnanthes alteragracillima 392.6

규조류 2,836.5Skeletonema costatum 1,570.5

Achnanthes alteragracillima 392.6

녹조류 49.1Chlorella vulgaris 49.1

- -

남조류 176.7Oscillatoria profunda 98.2

Synechocystis acuatilis 78.5

기타1) -- -

- -

<부록 5>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8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YR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431.3Cyclotella striata 865.8

Oscillatoria profunda 196.8

규조류 1,213.8Cyclotella striata 865.8

Achnanthes alteragracillima 104.9

녹조류 1.3Schroederia setigera 1.3

- -

남조류 216.5Oscillatoria profunda 196.8

Synechocystis pevalekii 13.1

기타1) -- -

- -

<부록 5>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29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YR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962.5Cyclotella striata 582.9

Cyclotella stelligera 182.2

규조류 940.2Cyclotella striata 582.9

Cyclotella stelligera 182.2

녹조류 0.7Schroederia setigera 0.7

- -

남조류 21.9Phormidium tenue 14.6

Synechocystis pevalekii 7.3

기타1) -- -

- -

<부록 5>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0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YR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350.0Euglena gigas 465.5

Cyclotella striata 365.8

규조류 532.3Cyclotella striata 365.8

Amphora acutiuscula 33.3

녹조류 6.7Eremosphaera viridis 6.7

- -

남조류 279.5

Synechocystis pevalekii 99.8

Calothrix fusca 99.8

Oscillatoria profunda 33.3

Oscillatoria splendida var. trncata 33.3

기타1) 532.0Euglena gigas 465.5

Bangia sp. 66.5

<부록 5>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1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YR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550.0Euglena gigas 553.6

Cyclotella striata 332.1

규조류 747.0Cyclotella striata 332.1

Navicula subminuscula 207.6

녹조류 13.8Chlorella vulgaris 13.8

- -

남조류 235.3Synechocystis pevalekii 138.4

Oscillatoria profunda 96.9

기타1) 553.6Euglena gigas 553.6

- -

<부록 5> 계속

(주)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4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2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년도 2011. 4. 19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6> 영랑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4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3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년도 2011. 6. 28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6>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5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4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년도 2011. 8. 29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6>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5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5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년도 2011. 10. 26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6>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5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6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4. 19

지점명 CC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49.7Achnanthes alteragracillima 118.1

Aulacoseira granulata 4.7

규조류 147.3Achnanthes alteragracillima 118.1

Aulacoseira granulata 4.7

녹조류 2.4Scenedesmus bicaudatus 2.4

- -

남조류 -- -

- -

기타1) -- -

- -

<부록 7>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7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4. 19

지점명 CC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97.7Ulothrix zonata 83.3

Achnanthes convergens 47.6

규조류 108.4Achnanthes convergens 47.6

Achnanthes alteragracillima 30.9

녹조류 88.1Ulothrix zonata 83.3

Scenedesmus bicaudatus 4.8

남조류 -- -

- -

기타1) 1.2Dinobryon seturalia 1.2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8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CC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31.3Lyngbya limnetica 92.1

Achnanthes alteragracillima 14.4

규조류 36.4Achnanthes alteragracillima 14.4

Cymbella sinuata 5.2

녹조류 -- -

- -

남조류 95.4Lyngbya limnetica 92.1

Oscillatoria profunda 3.3

기타1) -- -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39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CC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46.9Navicula subminuscula 91.1

Lyngbya limnetica 13.6

규조류 126.7Navicula subminuscula 91.1

Achnanthes exigua 12.2

녹조류 6.8Scenedesmus armatus 5.4

Chlorella vulgaris 1.4

남조류 13.6Lyngbya limnetica 13.6

- -

기타1) -- -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0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CC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281.3Cyclotella striata 280.6

Achnanthes alteragracillima 249.4

규조류 1,060.0Cyclotella striata 280.6

Achnanthes alteragracillima 249.4

녹조류 31.2Schroederia setigera 15.6

Scenedesmus sp. 15.6

남조류 190.2Oscillatoria quasiperforta var. crassa 77.9

Oscillatoria profunda 46.8

기타1) -- -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1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CC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031.3Achnanthes alteragracillima 545.7

Cyclotella radiosa 23.52

규조류 1,016.0Achnanthes alteragracillima 545.7

Cyclotella radiosa 23.52

녹조류 -- -

- -

남조류 14.1Oscillatoria profunda 9.4

Synechocystis acuatilis 4.7

기타1) 0.9Glenodinium oculatum 0.9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2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CC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112.5Cyclotella striata 525.3

Oscillatoria nigra 216.3

규조류 865.2Cyclotella striata 525.3

Navicula subminuscula 92.7

녹조류 -- -

- -

남조류 247.2Oscillatoria nigra 216.3

Synechocystis pevalekii 30.9

기타1) -- -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5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3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CC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734.4

Cyclotella striata 273.3

Skeletonema costatum 85.4

규조류 195.5Cyclotella striata 273.3

Skeletonema costatum 85.4

녹조류 102.5Ulothrix zonata 51.2

Chlorella vulgaris 34.2

남조류 136.7

Oscillatoria profunda 51.2

Synechocystis acuatilis 34.2

Westiellopsis prolifica 34.2

기타1) -- -

- -

<부록 7>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6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4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년도 2011. 4. 19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부록 8> 청초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6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5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년도 2011. 6. 28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8>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6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6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년도 2011. 8. 29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8>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6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7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년도 2011. 10. 26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8>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6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8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4. 20

지점명 M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850.2Cyclotella striata 952.0

Achnanthes alteragracillima 571.2

규조류 1,746.0Cyclotella striata 952.0

Achnanthes alteragracillima 571.2

녹조류 97.9Protococcus viridis 53.5

Pandorina morum 25.4

남조류 6.3Synechocystis pevalekii 6.3

- -

기타1) -- -

- -

<부록 9>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6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49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4. 20

지점명 M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2,330.4Cyclotella striata 2,095.3

Gyrosigma spencerii 33.5

규조류 2,301.0Cyclotella striata 2,095.3

Gyrosigma spencerii 33.5

녹조류 4.2Characium limneticum 4.2

- -

남조류 21.0Chroococcus minutus 16.8

Synechocystis acuatilis 4.2

기타1) -- -

- -

<부록 9>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6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0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M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781.3

Achnanthes alteragracillima 569.8

Cyclotella meneghiniana 47.0

Achnanthes subhudsonis 47.0

규조류 775.6

Achnanthes alteragracillima 569.8

Cyclotella meneghiniana 47.0

Achnanthes subhudsonis 47.0

녹조류 -- -

- -

남조류 5.9Oscillatoria profunda 5.9

- -

기타1) -- -

- -

<부록 9>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6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1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M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736.1Cyclotella meneghiniana 202.1

Achnanthes alteragracillima 144.3

규조류 692.7Cyclotella meneghiniana 202.1

Achnanthes alteragracillima 144.3

녹조류 14.4Schroederia setigera 14.4

- -

남조류 28.9Oscillatoria profunda 28.9

- -

기타1) -- -

- -

<부록 9>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6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2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M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068.8Cyclotella striata 536.5

Skeletonema costatum 107.3

규조류 997.9Cyclotella striata 536.5

Skeletonema costatum 107.3

녹조류 21.4

Stigeoclonium subsecundum 10.7

Scenedesmus sp. 10.7

남조류 44.0

Phormidium valderinum 21.5

Synechocystis acuatilis 10.7

Synechocystis pevalekii 10.7

기타1) 5.4Dinobryon cylindrica 5.4

- -

<부록 9>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6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3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M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100.0Skeletonema costatum 408.4

Synechococcus minervae var. major 291.7

규조류 685.3Skeletonema costatum 408.4

Cyclotella striata 207.1

녹조류 -- -

- -

남조류 414.5Synechococcus minervae var. major 291.7

Synechocystis acuatilis 116.7

기타1) -- -

- -

<부록 9>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7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4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M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637.5Merismopedia glauca 203.0

Cyclotella striata 93.4

규조류 367.2Cyclotella striata 93.4

Nitzschia palea 44.7

녹조류 4.1Rhizoclonium fontanum 4.1

- -

남조류 255.9Merismopedia glauca 203.0

Oscillatoria chlorina 24.4

기타1) 8.1Traachelomonas dybowski 8.1

- -

<부록 9>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7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5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M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675.0Navicula subminuscula 258.3

Merismopedia glauca 125.0

규조류 529.4Navicula subminuscula 258.3

Cyclotella striata 83.3

녹조류 -- -

- -

남조류 129.2Merismopedia glauca 125.0

Synechocystis pevalekii 4.2

기타1) 16.7Traachelomonas dybowski 16.7

- -

<부록 9> 계속

(주)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7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6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년도 2011. 4. 20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10> 매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7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7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년도 2011. 6. 28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10>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7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8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년도 2011. 8. 29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10>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7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59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년도 2011. 10. 26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10>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7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0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4. 20

지점명 H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733.4Cyclotella striata 1,017.1

Skeletonema costatum 324.8

규조류 1,536.1Cyclotella striata 1,017.1

Skeletonema costatum 324.8

녹조류 3.9Schroederia setigera 3.9

- -

남조류 193.4Chroococcus distersus var. minor 135.4

Chroococcus pallidus 34.8

기타1) -- -

- -

<부록 11>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지조사표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7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1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4. 20

지점명 H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799.2Cyclotella striata 312.9

Skeletonema costatum 176.7

규조류 557.1Cyclotella striata 312.9

Skeletonema costatum 176.7

녹조류 42.8Pandorina morum 25.2

Westella botryoides 12.6

남조류 199.3Synechocystis pevalekii 63.1

Chroococcus sp. 32.8

기타1) -- -

- -

<부록 11>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7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2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H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625.0

Cyclotella striata 123.2

Cyclotella meneghiniana 96.8

규조류 545.6Cyclotella striata 123.2

Cyclotella meneghiniana 96.8

녹조류 8.8Scenedesmus armatus 8.8

- -

남조류 70.4

Synechocystis acuatilis 26.4

Chroococcus distersus var. minor 8.8

Dactylococcopsis acicularis 8.8

Gomphosphaeria lacustris 8.8

Oscillatoria profunda 8.8

Phormidium treleasei 8.8

기타1) -- -

- -

<부록 11>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7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3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6. 28

지점명 H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921.9Cyclotella striata 374.3

Achnanthes alteragracillima 228.7

규조류 720.5Cyclotella striata 374.3

Achnanthes alteragracillima 228.7

녹조류 27.6

Chlamydomonas globosa 6.9

Scenedesmus armatus 6.9

Scenedesmus intermedius 6.9

Scenedesmus opoliensis 6.9

남조류 173.1

Synechocystis acuatilis 138.6

Chroococcus minutus 6.9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6.9

Synechocystis pevalekii 6.9

Oscillatoria profunda 6.9

Oscillatoria valderianum var. tenuis 6.9

기타1) -- -

- -

<부록 11>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8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4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H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156.3Cyclotella striata 458.1

Navicula subminuscula 76.4

규조류 1,079.5Cyclotella striata 458.1

Navicula subminuscula 76.4

녹조류 10.9Chlorella vulgaris 10.9

- -

남조류 32.7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10.9

Synechocystis acuatilis 10.9

Oscillatoria profunda 10.9

기타1) 32.7Traachelomonas dybowski 21.8

Bangia sp. 10.9

<부록 11>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8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5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8. 29

지점명 H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993.8Achnanthes alteragracillima 622.7

Cyclotella striata 46.3

규조류 930.6Achnanthes alteragracillima 622.7

Cyclotella striata 46.3

녹조류 10.3Scenedesmus intermedius 10.3

- -

남조류 51.3Synechocystis acuatilis 25.7

Synechocystis pevalekii 15.4

기타1) 0.5Traachelomonas dybowski 0.5

- -

<부록 11> 계속

(주)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8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6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H01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006.3

Cyclotella striata 316.8

Achnanthes subhudsonis 149.1

규조류 950.1Cyclotella striata 316.8

Achnanthes subhudsonis 149.1

녹조류 18.6Schroederia setigera 18.6

- -

남조류 -- -

- -

기타1) 37.3Traachelomonas dybowski 37.3

- -

<부록 11>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8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7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10. 26

지점명 H02 분석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강(class)

총 생물량2)

(cells/㎖)

우점종

제 1, 2 우점종3,4)생물량(cells/㎖)

전체 1,275.0Achnanthes alteragracillima 557.8

Cyclotella striata 159.4

규조류 1,063.0Achnanthes alteragracillima 557.8

Cyclotella striata 159.4

녹조류 79.7Chlamydomonas globosa 53.1

Schroederia setigera 26.6

남조류 26.6Synechocystis pevalekii 26.6

- -

기타1) 79.7Bangia sp. 79.7

- -

<부록 11> 계속

(주) 1) 기타는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를 제외한 나머지 조류의 합

2) 생물량은 군체나 사상형 모두 반드시 세포수로 환산하여 표기함

3)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식물플랑크톤을 의미함

4)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

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 출현종의 목록은 부록을 참조하여 작성

Page 28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8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년도 2011. 4. 20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12> 향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8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69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년도 2011. 6. 28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12>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8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0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년도 2011. 8. 29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12>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8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1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년도 2011. 10. 26

처리장명 조사자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부록 12>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28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2 -

학 명 국 명Numata식생활형

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갈파래과 ( Ulvaceae )                  

Enteromorpha prolifera (Oeder) J. Agardh 가시파래 none     ○ ○

속새과 ( Equisetaceae )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G R2-3 D1 e     ○ ○ ○ ○ ○

Equisetum ramosissimum var. japonicum Milde 개속새 G R2-3 D1 e         ○   ○

고사리과 ( Petridaceae )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ood ex Heller 고사리 G R1-2 D1 e     ○   ○   ○

면마과 ( Aspidiaceae )                  

Thelypteris palustris (Sallisb.) Schott. 처녀고사리 G R2-3 D1 e   습생 ○   ○   ○

은행과 ( Ginkgoaceae )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MM R5 D4 e     ○   ○   ○

소나무과 ( Pinaceae )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MM R5 D1 e     ○   ○   ○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MM R5 D1 e       ○     ○

Cedrus deodara (Roxb.) Loudon 개잎갈나무 MM R5 D1 e     ○       ○

Pinus densiflora S. et Z. 소나무 MM R5 D1 e     ○ ○ ○ ○ ○

Pinus koraiensis S. et Z. 잣나무 MM R5 D1 e     ○ ○     ○

Pinus parviflora S. et Z. 섬잣나무 MM R5 D1 e       ○     ○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 MM R5 D1 e     ○     ○ ○

Pinus strobus L. 스트로브잣나무 MM R5 D1 e       ○     ○

Pinus thunbergii Parl. 해송 MM R5 D1 e       ○ ○ ○ ○

측백나무과 ( Cupressaceae )                  

Chamaecyparis pisifera (S. et Z.) Endl. 화백 MM R5 D1 e     ○       ○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MM R5 D1 e       ○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Hort. 까이즈카향나무 none     ○     ○ ○

Thuja occidentalis L. 서양측백 MM R5 D1 e       ○     ○

Thuja orientalis L. 측백나무 MM R5 D1 e       ○ ○   ○

주목과 ( Taxaceae )                  

Taxus cuspidata S. et Z. 주목 MM R5 D2 e     ○ ○     ○

가래나무과 ( Juglandaceae )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MM R5 D4 e       ○   ○ ○

Juglans regia var. orientalis (Dode) Kitamura 호두나무 MM R5 D4 e     ○       ○

버드나무과 ( Salicaceae )                  

Populus deltoides Marshall 미류 MM R5 D1 e     ○     ○ ○

Populus euramericana Guinier 이태리포푸라 MM R5 D1 e     ○ ○ ○ ○ ○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은사시나무 MM R5 D1 e     ○ ○ ○ ○ ○

Salix caprea LINN. 호랑버들 M R5 D1 e   습생 ○ ○   ○ ○

<부록 13> 영랑호(YR) 및 청초호(CC), 매호(M), 향호(H)에서 출현한 식물목록

Page 28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3 -

학 명 국 명 Numata식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N R5 D1 b   습생 ○ ○ ○   ○

Salix koreensis ANDERSS. 버드나무 MM R5 D1 e   습생 ○ ○ ○ ○ ○

Salix koriyanagi KIMURA 키버들 N R5 D1 b   습생       ○ ○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REHDER 용버들 MM R5 D1 e   습생 ○     ○ ○

Salix pseudo-lasiogyne LEV. 능수버들 MM R5 D1 e   습생       ○ ○

Salix subfragilis ANDERSS. 선버들 M R5 D1 e   습생     ○ ○ ○

자작나무과 ( Betulaceae )                  

Alnus hirsuta Turcz 물오리나무 MM R5 D1 e     ○ ○ ○ ○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ara 자작나무 MM R5 D1 e     ○     ○ ○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BL. 개암나무 M R5 D4 e           ○ ○

참나무과 ( Fagaceae )                  

Castanea crenata S. et Z. 밤나무 MM R5 D4 e     ○   ○ ○ ○

Quercus aliena BL. 갈참나무 MM R5 D4 e         ○   ○

Quercus dentata THUNB. 떡갈나무 MM R5 D4 e         ○   ○

Quercus mongolica FISCH. 신갈나무 MM R5 D4 e     ○   ○ ○ ○

Quercus serrata THUNB. 졸참나무 MM R5 D4 e     ○   ○   ○

Quercus variabilis BL. 굴참나무 MM R5 D4 e     ○   ○   ○

느릅나무과 ( Ulmaceae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MM R5 D1 e       ○      

Ulmus davidiana for. suberosa (Turcz.) Nakai 흑느릅나무 MM R5 D1 e       ○     ○

Ulmus parvifolia Jacquin 참느릅나무 MM R5 D1 e       ○     ○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MM R5 D1 e     ○ ○ ○ ○ ○

뽕나무과 ( Moraceae )                  

Ficus carica L. 무화과나무 M R5 D2 e         ○   ○

Humulus scandens (Lour.) Merr. 환삼덩굴 Th R5 D4 l     ○ ○ ○ ○ ○

Morus alba L. 뽕나무 MM R5 D2 e       ○ ○ ○ ○

Morus bombycis KOIDZ. 산뽕나무 MM R5 D2 e         ○   ○

쐐기풀과 ( Urticaceae )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좀깨잎나무 Ch R3 D4 e     ○   ○   ○

여뀌과 ( Polygonaceae )                  

Persicaria amphibia (L.) S.F. GRAY 물여뀌 HH R4 D4 e   습생     ○ ○ ○

Persicaria lapathifolia (L.) S. F. Gray 흰여뀌 Th R5 D4 e     ○   ○ ○ ○

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 개여뀌 Th R5 D4 e     ○ ○ ○ ○ ○

Persicaria nodosa (Persoon) Opiz 명아자여뀌 Th R5 D4 e     ○   ○   ○

Persicaria perfoliata (L.) H. Gross 며느리배꼽 Th R5 D4 b-l     ○   ○ ○ ○

Persicaria senticosa (Meisner) H. Gross 며느리밑씻개 Th R5 D4 b-l       ○ ○ ○ ○

Persicaria sieboldi (Meisner) Ohki 미꾸리낚시 HH(Th) R4 D4.1 b-l   습생 ○   ○ ○ ○

<부록 13> 계속

Page 29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4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aarini) H. Gross 고마리 HH(Th) R4 D4.1 b-l   습생 ○ ○ ○ ○ ○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Th R5 D4 b     ○ ○ ○ ○ ○

Reynoutria japonica HOUTT. 호장근 G R2-3 D1 e       ○     ○

Rumex acetosa L. 수영 H R5 D4 ps       ○   ○ ○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H R2-3 D4 pr     ○ ○ ○ ○ ○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H R5 D4 ps     ○ ○ ○ ○ ○

Rumex japonicus HOUTT. 참소리쟁이 H R5 D4 ps   습생   ○     ○

자리공과 ( Phytolaccaceae )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G R5 D2 e     ○   ○ ○ ○

쇠비름과 ( Portulacaceae )                  

Portulaca grandiflora HOOKER 채송화 Th R5 D4 b         ○    

Portulaca oleracea L. 쇠비름 Th R5 D4 b     ○ ○ ○ ○ ○

석죽과 ( Caryophyllaceae )                  

Arenaria serpyllifolia L. 벼룩이자리 Th(w) R5 D4 b     ○   ○ ○ ○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Nakai) Mizushima 점나도나물 H R5 D4 b     ○ ○ ○ ○ ○

Dianthus chinensis L. 패랭이꽃 H R5 D4 b       ○     ○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 술패랭이꽃 H R5 D4 b         ○   ○

Melandryum firmum (S. et Z.) ROHRB. 장구채 H R5 D4 e       ○   ○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개별꽃 H R(s) D4 b       ○     ○

Sagina japonica (Swartz) Ohwi 개미자리 Th(w) R5 D4 b       ○   ○ ○

Sagina maxima A. GRAY 큰개미자리 Th(w) R5 D4 b         ○ ○ ○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Th(w) R5 D4 b     ○ ○ ○   ○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Thunberg) Ohwi 벼룩나물 Th(w) R5 D4 b     ○ ○ ○ ○ ○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Th(w) R5 D4 b     ○   ○ ○ ○

명아주과 ( Chenopodiaceae )                  

Atriplex subcordata KITAGAWA 갯능쟁이 Th R5 D4 e     ○ ○     ○

Chenopodium acuminatum Willdenow 버들명아주 Th R5 D4 e       ○ ○   ○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명아주 Th R5 D4 e     ○ ○ ○ ○ ○

Chenopodium bryoniaefolium BUNGE 청명아주 Th R5 D4 e     ○       ○

Kochia scoparia (L.) Schrader 댑싸리 Th R5 D4 b       ○     ○

Salsola collina PALL. 솔장다리 Th R5 D4 b       ○     ○

Salsola komarovi ILJIN 수송나물 Th R5 D4 b       ○ ○   ○

Suaeda glauca (Bunge) Bunge 나문재 Th R5 D4 e       ○ ○   ○

비름과 ( Amaranthaceae )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H R5 D2 e     ○   ○ ○ ○

Amaranthus lividus L. 비름 Th R5 D4 e         ○ ○ ○

목련과 ( Magnoliaceae )                  

<부록 13> 계속

Page 29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5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Liriodendron tulipifera L. 튜울립나무 MM R5 D4 e         ○    

Schizandra chinensis (Turczaninow) Baillon 오미자 N R5 D2 l       ○     ○

녹나무과 ( Lauraceae )                  

Lindera obtusiloba BL. 생강나무 N R5 D2 e     ○   ○   ○

계수나무과 ( Cercidiphyllaceae )                  

Cercidiphyllum japonicum S. et Z. 계수나무 M R5 D2 e       ○     ○

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 )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N R5 D1 e     ○   ○ ○ ○

Ranunculus chinensis BUNGE 젓가락풀 Th(w) R5 D4 ps       ○   ○ ○

Ranunculus sceleratus L. 개구리자리 HH(THw) R5 D1.4 ps   습생     ○ ○ ○

새모래덩굴과 ( Menispermaceae )                  

Cocculus trilobus (Thunberg) De Candolle 댕댕이덩굴 N R2-3 D1 l     ○   ○ ○ ○

Menispermum dauricum De Candolle 새모래덩굴 N R2-3 D1 l     ○       ○

수련과 ( Nymphaeaceae )                  

Nelumbo nucifera GAERTNER 연꽃 HH R3 D4 e 정수       ○   ○

차나무과 ( Theaceae )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M R5 D4 e         ○   ○

물레나물과 ( Hypericaceae )                  

Hypericum erectum THUNB. 고추나물 H R3 D4 e   습생 ○ ○ ○ ○ ○

양귀비과 ( Papaveraceae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애기똥풀 Th(w) R5 D4.2 e       ○ ○ ○ ○

Corydalis incisa (Thunb.) Pers. 자주괴불주머니 Th(w) R5 D3 b     ○       ○

십자화과 ( Cruciferae )                  

Barbarea orthoceras LEDEB. 나도냉이 HH(Thw) R5 D4 pr   습생   ○     ○

Brassica campestris s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유채 Th(w) R5 D4 pr         ○ ○ ○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냉이 Th(w) R5 D4 ps     ○ ○ ○ ○ ○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Th(w) R5 D3 ps       ○     ○

Cardamine flexuosa var. fallax (O.E. Schulz) T. Y.cheo et R.C.Fang 좁쌀냉이 Th(w) R5 D3 ps     ○ ○ ○ ○ ○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 Schulz 미나리냉이 H R3 D4 e         ○   ○

Draba nemorosa L. 꽃다지 Th(w) R5 D4 ps     ○ ○ ○ ○ ○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Th(w) R5 D4 ps     ○ ○ ○ ○ ○

Rorippa indica (L.) HIERN 개갓냉이 Th(w) R5 D4 pr     ○ ○ ○ ○ ○

Rorippa islandica (OED.) BORB. 속속이풀 Th(w) R5 D4 ps         ○ ○ ○

버즘나무과 ( Platanaceae )                  

Platanus orientalis L. 버즘나무 MM R5 D4 e           ○ ○

돌나물과 ( Crassulaceae )                  

Sedum kamtschaticum FISCH. 기린초 H R3 D4 b       ○ ○   ○

<부록 13> 계속

Page 29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6 -

학 명 국 명 Numata식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Sedum oryzifolium MAKINO 땅채송화 H R4 D4 e       ○     ○

Sedum sarmentosum BUNGE 돌나물 H R4 D4 b-p     ○ ○ ○ ○ ○

범의귀과 ( Saxifragaceae )                  

Astilbe rubra Hook. 노루오줌 H R3 D4 ps   습생     ○   ○

Hydrangea paniculata SIEB. 나무수국 N R5 D5 e         ○    

Mukdenia rossii (Oliver) Koidzumi 돌단풍 E R4 D4 r       ○     ○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MAXIM. 가마귀밥여름나무 N R5 D4 e         ○    

장미과 ( Rosaceae )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G R3 D2 ps         ○   ○

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 명자나무 N R5 D2 e,b       ○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모과나무 M R5 D2 e       ○ ○   ○

Crataegus maximowiczii SCHNEID. 아광나무 M R5 D2 e         ○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M R5 D2 e         ○   ○

Duchesnea chrysantha (ZOLL. et MORR.) MIQ. 뱀딸기 Ch R4 D2 p-ps     ○   ○ ○ ○

Kerria japonica (L.) DC. 황매화 N R2-3 D4 e,b       ○ ○   ○

Kerria japonica for. plina (Witte.) Rehder 죽단화 N R2-3 D4 e,b           ○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M R5 D2 e       ○     ○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Ch R5 D4 ps       ○ ○   ○

Potentilla egedei var. groenlandica (Tratt.) Polunin 누운양지꽃 Ch R5 D4 p-ps         ○ ○ ○

Potentilla freyniana BORNM. 세잎양지꽃 Ch R3 D4 b-ps     ○   ○ ○ ○

Potentilla nipponica TH. WOLF 넓은딱지 Ch R5 D4 ps           ○ ○

Potentilla supina LINN. 개소시랑개비 Ch R5 D4 b-ps       ○ ○ ○ ○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살구 MM R5 D2 e         ○   ○

Prunus jamasakura Sieb. 벚나무 MM R5 D2 e     ○ ○     ○

Prunus persica (L.) BATSCH 복숭아나무 M R5 D2 e     ○   ○   ○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MM R5 D2 e       ○   ○ ○

Prunus yedoensis MATSUMURA 왕벚나무 MM R5 D2 e     ○ ○ ○ ○ ○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배나무 MM R5 D2 e         ○ ○ ○

Rosa banksiae R. Br. 덩굴장미 M R5 D4 l     ○   ○ ○ ○

Rosa multiflora THUNB. 찔레나무 N R3 D2 e     ○ ○ ○ ○ ○

Rosa rugosa THUNB. 해당화 N R5 D2 e,b     ○ ○ ○ ○ ○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나무 N R5 D2 e     ○ ○ ○ ○ ○

Rubus oldhamii MIQ. 덩굴딸기 N R5 D2 p-l     ○ ○ ○ ○ ○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N R5 D2 p-l     ○   ○ ○ ○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G R3(s) D4 ps         ○   ○

Sorbus commixta HEDL. 마가목 M R5 D2 e       ○     ○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조팝나무 N R5 D4 e,b     ○   ○   ○

<부록 12> 계속

Page 29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7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N R5 D4 e,b         ○   ○

콩과 ( Leguminosae )                  

Aeschynomene indica L. 자귀풀 Th R5 D4 e   습생 ○       ○

Albiz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M R5 D4 e     ○ ○ ○ ○ ○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N R5 D4 e     ○ ○ ○ ○ ○

Amphicarpaea trisperma (Miq.) Baker ex Jacksom 새콩 Th R5 D3 l-b     ○ ○ ○ ○ ○

Cassia nomame (SIEB.) HONDA 차풀 Th R5 D3 e     ○ ○ ○ ○ ○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 N R5 D3 e     ○   ○   ○

Glycine soja S. et Z. 돌콩 Th R5 D3 l-b       ○   ○ ○

Indigofera kirilowii MAXIM. 땅비싸리 N R5 D3 e,b     ○   ○ ○ ○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매듭풀 Th R5 D4 e,b     ○ ○ ○ ○ ○

Lathyrus davidii HANCE 활량나물 G R5 D3 e,b         ○   ○

Lathyrus japonica WILLD. 갯완두 G R2-3 D3 e,b         ○ ○ ○

Lathyrus quinquenervius (Miq.) Litv. 연리초 G R2-3 D3 l     ○   ○ ○ ○

Lespedeza cuneata (Dumont d. Cours.) G. Don 비수리 H R5 D4 b     ○ ○ ○ ○ ○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N R5 D4 e     ○ ○ ○ ○ ○

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er 조록싸리 N R5 D4 e     ○   ○ ○ ○

Lespedeza thunbergii var. angustifolia (Nakai) Ohwi 풀싸리 N R5 D4 e,b           ○ ○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벌노랑이 H R5 D3 b     ○ ○     ○

Maackia amurensis Rupr. et MAXIM. 다릅나무 MM R5 D3 e         ○   ○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Ch R5(s) D4 l-b     ○ ○ ○ ○ ○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MM R5 D3 e     ○ ○ ○ ○ ○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고삼 G R3 D4 e,b       ○ ○ ○ ○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H R3 D4 e,b     ○     ○ ○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Ch R4 D4 p     ○ ○ ○ ○ ○

Vicia amoena FISCH. 갈퀴나물 G R2-3 D3 l       ○     ○

Vicia amurensis OETTINGEN 별완두 G R5 D3 l           ○ ○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Ohashi 새팥 Th R5 D3 l     ○ ○ ○ ○ ○

Wistaria floribunda (Willd.) DC. 등나무 MM R5 D3 l     ○ ○   ○ ○

괭이밥과 ( Oxalidaceae )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Ch R4 D3.2 p-b     ○   ○ ○ ○

쥐손이풀과 ( Geraniaceae )                  

Geranium thunbergii S. et Z. 이질풀 H R5 D3 ps-b       ○ ○ ○ ○

대극과 ( Euphorbiaceae )                  

Acalypha australis L. 깨풀 Th R5 D3 e           ○ ○

Securinega suffruticosa (Pallas) Rehder 광대싸리 M R5 D4 e         ○   ○

운향과 ( Rutaceae )                  

<부록 13> 계속

Page 29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8 -

학 명 국 명 Numata식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Zanthoxylum piperitum (L.) DC. 초피나무 N R5 D4 e         ○   ○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산초나무 M R5 D4 e     ○   ○   ○

소태나무과 ( Simaroubaceae )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중나무 MM R5 D1 e       ○ ○ ○ ○

옻나무과 ( Anacardiaceae )                  

Rhus javanica Linnaeus 붉나무 M R5 D4 e     ○   ○   ○

Rhus trichocarpa MIQ. 개옻나무 M R5 D4 e     ○   ○ ○ ○

단풍나무과 ( Aceraceae )                  

Acer buergerianum MIQ. 중국단풍 MM R5 D1 e       ○   ○ ○

Acer ginnala MAXIM. 신나무 M R5 D1 e         ○   ○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MM R5 D1 e     ○ ○ ○   ○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MM R5 D1 e     ○   ○   ○

Acer triflorum KOM. 나도박달 MM R5 D1 e         ○   ○

무환자나무과 ( Sapindaceae )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 MM R5 D4 e       ○     ○

봉선화과 ( Balsaminaceae )                  

Impatiens balsamina L. 봉선화 Th R5 D3 e         ○   ○

Impatiens textori MIQ. 물봉선 Th R4 D3 e   습생 ○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Euonymus alatus (THUNB.) SIEB. 화살나무 N R5 D2.4 e     ○   ○   ○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N R5 D2.4 e     ○ ○ ○ ○ ○

고추나무과 ( Staphyleaceae )                  

Staphylea bumalda De Candolle 고추나무 M R5 D4 e         ○   ○

회양목과 ( Buxaceae )                  

Buxus microphylla var. insularis Nakai 회양목 N R5 D4 e     ○ ○   ○ ○

포도과 ( Vitaceae )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etter 개머루 N R3 D4,2 l       ○ ○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 ET Z.) Planchon 담쟁이덩굴 M R5 D2,4 p-b     ○ ○ ○ ○ ○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on 머루 MM R3 D2 l     ○   ○   ○

Vitis flexuosa THUNB. 새머루 M R3 D2 l         ○ ○ ○

피나무과 ( Tiliaceae )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MM R5 D4 e         ○   ○

아욱과 ( Malvaceae )                  

Hibiscus syriacus L. 무궁화 N R5 D4 e     ○ ○   ○ ○

보리수나무과 ( Elaeagnaceae )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M R5 D2 e         ○   ○

제비꽃과 ( Violaceae )                  

<부록 13> 계속

Page 29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79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H R3(v) D3 b-ps         ○   ○

Viola mandshurica W. BECKER 제비꽃 H R3(v) D3 r     ○ ○ ○ ○ ○

Viola tricolor L. 삼색제비꽃 Th(w) R5 D3 e       ○     ○

Viola variegata Fischer ex Gingins 알록제비꽃 H R3(v) D3 r         ○   ○

Viola verecunda A. GRAY 콩제비꽃 H R3(v) D3 b-ps   습생 ○     ○ ○

부처꽃과 ( Lythraceae )                  

Legerstroemia indica L. 배롱나무 M R5 D4 e     ○ ○ ○ ○ ○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부처꽃 G R2-3 D4,1 e   습생 ○   ○ ○ ○

마름과 ( Hydrocaryaceae )                  

Trapa biopinosa Roxburgh 마름 HH(rd) R5 D1,2 p-b 부엽       ○ ○ ○

Trapa incisa Siebold & Zuccarini 애기마름 HH(rd) R5 D1,2 p-b 부엽       ○ ○ ○

바늘꽃과 ( Onagraceae )                  

Ludwigia prostrata ROXB. 여뀌바늘 HH(Th) R5 D1,4 e   습생 ○       ○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Th(w) R5 D4.1 pr     ○ ○ ○ ○ ○

개미탑과 ( Halorrhagaceae )                  

Myriophyllum spicatum L. 이삭물수세미 HH R2-3 D1 b 침수       ○ ○ ○

층층나무과 ( Cornaceae )                  

Cornus controversa Hemsley ex Prain 층층나무 MM R5 D2.4 e       ○     ○

Cornus kousa Buerger ex Miquel 산딸나무 MM R5 D2.4 e       ○     ○

두릅나무과 ( Araliaceae )                  

Aralia elata (Miq.) Seemann 두릅나무 M R5 D2.4 e     ○   ○   ○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음나무 N R5 D2.4 e         ○   ○

산형과 ( Umbelliferae )                  

Angelica dahurica (Fischer) Bentham $ Hooker apud Franchet & Savatier 구릿대 G R5(s) D4 ps       ○ ○ ○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 갯방풍 G R5 D4 ps       ○ ○ ○ ○

Hydrocotyle maritima HONDA 선피막이 Ch R4 D4 p       ○     ○

Oenanthe javanica (BL.) DC. 미나리 HH R4 D1.4 p-ps   습생 ○   ○ ○ ○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er) Fischer ex De Candolle 기름나물 H R5 D4 ps         ○   ○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참나물 G R3 D4 ps           ○ ○

Sium suave WALTER 개발나물 HH R5 D4 ps   습생 ○   ○ ○ ○

Torilis japonica (HOUTT.) DC. 사상자 Th(v) R5 D2 ps         ○ ○ ○

Torilis scabra (Thunb) DC. 개사상자 Th(v) R5 D2 ps           ○ ○

철쭉과 ( Ericaceae )                  

Rhododendron mucronulatum for. ciliatum (Nakai) kitagawa 털진달래나무 N R5 D4 e     ○   ○ ○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나무 N R5 D4 e     ○   ○   ○

앵초과 ( Primulaceae )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염 G R2-3 D4 e       ○ ○   ○

<부록 13> 계속

Page 29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0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갯질경이과 ( Plumbaginaceae )                  

Limonium tetragonum (THUNB.) A. A. BULLOCK 갯질경 Th(w) R5 D4 r           ○ ○

감나무과 ( Ebenaceae )                  

Diospyros kaki THUNB. 감나무 MM R5 D2 e     ○   ○   ○

때죽나무과 ( Styracaceae )                  

Styrax japonica S. et Z. 때죽나무 MM R5 D4 e         ○   ○

노린재나무과 ( Symplocaceae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ai) Ohwi 노린재나무 N R5 D4 e     ○       ○

물푸레나무과 ( Oleaceae )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 이팝나무 MM R5 D2.4 e         ○   ○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N R5 D5 e     ○ ○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MM R5 D1 e     ○ ○   ○ ○

Ligustrum obtusifolium S. et Z. 쥐똥나무 M R5 D2 e     ○ ○ ○ ○ ○

Syringa dilatata NAKAI 수수꽃다리 N R5 D4 e       ○     ○

용담과 ( Gentianaceae )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 HARA 개쓴풀 Th(w) R5 D4 e       ○      

박주가리과 ( Asclepiadaceae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G R2-3 D1 l     ○ ○ ○ ○ ○

꼭두서니과 ( Rubiaceae )                  

Diodia teres WALTER 백령풀 Th R5 D4 b           ○ ○

Galium spurium L. 갈퀴덩굴 Th(w) R5 D2 b-l     ○ ○     ○

Galium verum var. asiaticum NAKAI 솔나물 H R2-3 D2 e     ○       ○

메꽃과 ( Convolvulaceae )                  

Calystegia hederacea WALL. 애기메꽃 G R2-3 D5.4 l     ○       ○

Calystegia japonica Choisy 메꽃 G R2-3 D5.4 l     ○ ○ ○ ○ ○

Calystegia soldanella (Linnaeus) Roemer & Schltes 갯메꽃 G R1-3 D4 p       ○ ○ ○ ○

Cuscuta australis R. BR. 실새삼 Th R5 D4 l     ○ ○ ○ ○ ○

Pharbits nil (L.) Choisy 나팔꽃 Th R5 D4 l       ○ ○    

지치과 ( Borraginaceae )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anus) Bentham ex Baker &Moore 꽃마리 Th(w) R5 D4 b     ○ ○ ○   ○

마편초과 ( Verbenaceae )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누리장나무 MM R5 D2.4 e     ○   ○   ○

꿀풀과 ( Labiatae )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ara 층층이꽃 H R2-3 D4 e     ○   ○ ○ ○

Elsholtzia pseudo-cristata var. splendens (Nakai) Kitagawa 꽃향유 Th R5 D4 e           ○ ○

Lamium amplexicaule L. 광대나물 Th(w) R5 D4 b     ○       ○

Leonurus Japonicus Houttuyn 익모초 Th(w) R5 D4 pr       ○ ○ ○ ○

<부록 13> 계속

Page 29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1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Lycopus lucidus Turczaninow 쉽싸리 HH R2-3 D4 e   습생 ○ ○ ○ ○ ○

Lycopus maackianus (Maximowicz) Makino 애기쉽싸리 HH R2-3 D4 e   습생       ○ ○

Mosla punctulata (J. E. Gmelin) Nakai 들깨풀 Th R5 D4 e         ○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들깨 Th R5 D4 e     ○     ○ ○

Plectranthus excisus MAXIM. 오리방풀 G R3 D4 e     ○   ○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꿀풀 H R4 D4 p-ps     ○ ○ ○   ○

Scutellaria dependens MAXIM. 애기골무꽃 H R2-3 D4 e   습생     ○   ○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참골무꽃 H R2-3 D4 e       ○ ○ ○ ○

Stachys japonica MIQ. 석잠풀 H R2-3 D4 e   습생     ○ ○ ○

가지과 ( Solanaceae )                  

Solanum nigrum L. 가마중 Th R5 D2 b       ○ ○ ○ ○

현삼과 ( Scrophulariaceae )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좁쌀풀 Th R5 D4 e   습생 ○   ○ ○ ○

Linaria japonica MIQ. 해란초 H   습생     ○ ○ ○

Mazus pumilus (BURM. F.) VAN STEENIS 주름잎 Th(w) R5 D4 b-ps       ○ ○ ○ ○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MM R5 D1 e     ○ ○     ○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 참오동나무 MM R5 D1 e     ○       ○

Pedicularis resupinata L. 송이풀 G R3 D4 e           ○ ○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Th(w) R5 D4 b       ○     ○

Veronica didyma var. lilacina (HARA) YAMAZAKI 개불알풀 Th(w) R4 D4 b-p       ○     ○

능소화과 ( Bignoniaceae )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 능소화 MM R5 D1 l       ○ ○   ○

파리풀과 ( Phrymaceae )                  

Phryma leptostachya L. 파리풀 G R3 D2 e     ○       ○

질경이과 ( Plantaginaceae )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H R3(o) D2.4 r     ○ ○ ○ ○ ○

Plantago camtschatica Chamisso ex Link 개질경이 H R3(v) D2.4 r         ○   ○

Plantago major for. yezomaritima (koidz.) Ohwi 갯질경이 H R3(o) D2.4 r         ○    

인동과 ( Caprifoliaceae )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M R3 D2.4 l-b     ○ ○ ○   ○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NAK.) HARA 딱총나무 M R5 D2 e           ○ ○

Viburnum erosum THUNB. 덜꿩나무 N R5 D2 e         ○   ○

Viburnum opulus L. 백당나무 M R5 D4 e     ○ ○     ○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병꽃나무 N R5 D4 e     ○ ○     ○

마타리과 ( Valerianaceae )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er ex Treviranus 마타리 H R3 D4 pr         ○ ○ ○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H R4 D1 p-ps         ○ ○ ○

<부록 13> 계속

Page 29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2 -

학 명 국 명 Numata식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초롱꽃과 ( Campanulaceae )                  

Lobelia chinensis LOUR. 수염가래꽃 H R5 D4 p-e   습생     ○ ○ ○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도라지 G R3 D4 e         ○ ○ ○

국화과 ( Compositae )                  

Achillea alpia Linnaeus 톱풀 H R2-3 D4 pr     ○   ○   ○

Achillea millefolium L. 서양톱풀 CH R2-3 D4 pr     ○       ○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L.) Desc. 돼지풀 Th R5 D4 e     ○ ○ ○ ○ ○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Th R5 D4 e       ○     ○

Arctium lappa L. 우엉 Th           ○ ○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G R3 D1 e     ○ ○   ○ ○

Artemisia japonica THUNB. 제비쑥 H R3 D4 pr     ○   ○ ○ ○

Artemisia keiskeana MIQ. 맑은대쑥 H R2-3 D4 pr     ○   ○ ○ ○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쑥 Ch R2-3 D4 pr     ○ ○ ○ ○ ○

Artemisia selengensis Turczaninow ex Besser 물쑥 H R2-3 D4 e   습생       ○ ○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H R5 D1 e     ○ ○ ○ ○ ○

Aster spathulifolius MAXIM. 해국 Ch R2-3 D1 b     ○ ○     ○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H R5 D1 e     ○   ○ ○ ○

Aster tataricus L. 개미취 H R3 D1 e   습생     ○ ○ ○

Atractylis japonica (Koidzumi) Kitagawa 삽주 G R3 D1 e         ○   ○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Th R5 D2 e     ○ ○ ○ ○ ○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Th R4 D1.2 e   습생 ○ ○ ○ ○ ○

Bidens tripartita L. 가막사리 HH(Th) R5 D1.2 e   습생   ○   ○ ○

Centipeda minima (Linnaeus) Al. Braun & Ascherson 중대가리풀 Th R5 D4 b-p           ○ ○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Makino 산국 H R2-3 D4 e       ○ ○ ○ ○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구절초 H R5 D4 e         ○   ○

Coreopsis drummondii TORR. et GRAY 금계국 Th, Th(w) R5 D1 e       ○     ○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H R5 D1 e     ○ ○ ○ ○ ○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Th, Th(w) R5 D1 e     ○       ○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Th R5 D1 e     ○ ○ ○ ○ ○

Eclipta prostrata L. 한련초 Th R5 D1.4 e   습생 ○   ○ ○ ○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Th(w) R5 D1 pr     ○ ○ ○ ○ ○

Erigeron bonariensis L. 실망초 Th(w) R5 D1 pr     ○ ○ ○ ○ ○

Erigeron canadensis L. 망초 Th(w) R5 D1 pr     ○ ○ ○ ○ ○

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 (Makino) Kitamura 등골나물 G R3 D1 e         ○ ○ ○

Galinsoga parviflora Cav. 별꽃아재비 Th R5 D4 e           ○ ○

Galinsoga ciliata (Rafin.) S. F. Blake 큰별꽃아재비 Th R4 D4 e         ○    

Gnaphalium affine D. DON 떡쑥 Ch R5 D1 ps-b       ○     ○

<부록 13> 계속

Page 29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3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Aster koraiensis (Nakai) Katamura 벌개미취 H R3 D4 e   습생     ○   ○

Helianthus annuus L. 해바라기 Th R5 D4 e         ○   ○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G R3(t) D4 e     ○   ○ ○ ○

Hemistepta lyrata BUNGE 지칭개 Th(w) R5 D1 pr     ○ ○   ○ ○

Hieracium umbellatum L. 조밥나물 H R3 D1 e   습생     ○   ○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et Sav. 금불초 G R5 D1 e   습생 ○   ○ ○ ○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URA 버들금불초 H     ○       ○

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Lév. et van.) Ohwi 선씀바귀 Th R5 D1 ps           ○ ○

Ixeris dentata (THUNB.) NAKAI 씀바귀 H R5 D1 ps     ○ ○     ○

Ixeris japonica (Burman) Nakai 벋음씀바귀 H R4 D1 p-ps     ○ ○     ○

Ixeris polycephala CASS. 벌씀바귀 H R5 D1 e     ○ ○   ○ ○

Ixeris repens (Linnaeus) A. GRAY 갯씀바귀 Ch R4 D1 ps       ○ ○ ○ ○

Kalimeris yomena Kitamura 쑥부쟁이 Ch R3 D4 pr     ○       ○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O. KUNTZE) HARA 왕고들빼기 Th,Th(w) R5 D1 pr     ○ ○ ○ ○ ○

Lactuca raddeana MAXIM. 산씀바귀 Th R5 D1 e     ○   ○    

Leibnitzia anandria (L.) Turcz. 솜나물 H R5 D1 r         ○ ○ ○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IM. 머위 H R2-3 D1 ps   습생     ○ ○ ○

Rudbeckia bicolor NUTT 원추천인국 G R3 D4 pr         ○ ○ ○

Senecio integrifolius var. spathulatus (MIQ.) HARA 솜방망이 H R5 D1 ps         ○   ○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Th(w) R5 D1 e,b     ○ ○   ○ ○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진득찰 Th R5 D2 e         ○   ○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미역취 H R3 D1 pr     ○   ○ ○ ○

Solidago serotina AIT. 미국미역취 H R2-3 D1 pr           ○ ○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h(w) R5 D1 pr       ○ ○ ○ ○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H R3(v) D1 r         ○ ○ ○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H R3(v) D1 r     ○ ○ ○ ○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edt 민들레 H R3(v) D1 r       ○   ○ ○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Th R5 D2 e       ○   ○ ○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Th(w) R5 D1 ps     ○ ○ ○ ○ ○

Youngia sonchifolia (Bunge) MAXIM. 고들빼기 Th(w) R5 D1 ps     ○ ○ ○ ○ ○

택사과 ( Alismataceae )                  

Alisma plantago-aquatica var. orientale SAMUEIS 질경이택사 HH R5 D1 r 정수       ○ ○ ○

Sagittaria aginashi MAKINO 보풀 HH R5 D1 r 정수       ○   ○

자라풀과 ( Hydrocharitaceae )                  

Hydrilla verticillata (Linnaeus fil.) L. C. Richard 검정말 HH R5 D1 e 침수       ○   ○

가래과 ( Potamogetonaceae )                  

<부록 13> 계속

Page 30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4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Potamogeton crispus L. 말즘 HH R2-3 D1 e 침수   ○   ○ ○ ○

Potamogeton distinctus A. BENN. 가래 HH R2-3 D1 r 부엽   ○   ○ ○ ○

Potamogeton malaianus Miquel 대가래 HH R2-3 D1 e 부엽         ○ ○

Ruppia maritima L. 줄말 HH 침수   ○   ○ ○ ○

거머리말과 ( Zosteraceae )                  

Zostera marina L. 거머리말 HH 침수       ○ ○ ○

백합과 ( LiLiaceae )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el 부추 G       ○ ○   ○

Hemerocallis fulva (Linnaeus) Linnaeus 원추리 G R3(s) D5 t         ○ ○ ○

Hosta longipes (FR. et SAV.) MATSUMURA 비비추 H R5 D4 r   습생     ○ ○ ○

Hosta plantaginea ASCHERS. 옥잠화 H     ○        

Lilium lancifolium Thunb. 참나리 G R3(b) D3,5 e         ○ ○ ○

Liriope platyphylla WANG & TANG 맥문동 G R3(s) D2 r     ○       ○

Polygonatum odoratum (Miller) Druce 둥굴레 G R3 D2.4 e         ○   ○

Scilla sinensis (Loureiro) Merrill 무릇 G R5(b) D4 t     ○   ○   ○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N R3(s) D2.4 l         ○ ○ ○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G R5 D2 e         ○   ○

수선화과 ( Amarylidaceae )                  

Lycoris radiata (L Herit.) Herb. 석산 G         ○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수선화 G         ○   ○

마과 ( Dioscoreaceae )                  

Dioscorea batatas DECNE. 마 G R5(s) D1 l         ○ ○ ○

물옥잠과 ( Pontederaceae )                  

Monochoria korsakowi Regel & Maack 물옥잠 HH(Th) R5 D1.4 ps 정수       ○   ○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Roxburgh) Solm-Laubach 물달개비 HH(Th) R5 D1.4 ps 정수         ○ ○

붓꽃과 ( Iridaceae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 NAKAI 꽃창포 G R3 D3 ps   습생 ○ ○ ○ ○ ○

Iris pseudoacorus L. 노랑꽃창포 G R3 D3 ps   습생   ○     ○

Iris sanguinea Hornemann 붓꽃 G R3 D3 ps         ○   ○

골풀과 ( Juncaceae )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 골풀 HH R3 D1.4 t   습생 ○ ○ ○ ○ ○

Juncus papillosus Franchet & Savatier 청비녀골풀 HH R3(b) D1.4 t   습생     ○ ○ ○

Luzula capitata (MIQ.) MIQ. 꿩의밥 H R5 D4 t     ○ ○ ○ ○ ○

닭의장풀과 ( Commelinaceae )                  

Aneilema keisak HASSK. 사마귀풀 HH(Th) R4 D1.4 b-p   습생 ○     ○ ○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Th R5 D4 b-p     ○ ○ ○ ○ ○

<부록 13> 계속

Page 30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5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곡정초과 ( Eriocaulaceae )                  

Eriocaulon cinereum R. Brown 곡정초 HH(Th) R5 D1.4 t   습생     ○ ○ ○

벼과 ( Gramineae )                  

Agropyron ciliare (TRIN.) FR. 속털개밀 Th           ○ ○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개밀 Th(w) R5 D4 t     ○ ○ ○ ○ ○

Alopecurus aequalis Sobolewski 뚝새풀 Th(w) R5 D1.4 t     ○ ○ ○ ○ ○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조개풀 Th R4 D4 b-p   습생 ○   ○ ○ ○

Arundinella hirta (THUNB.) C. TANAKA 새 H R2-3 D4 t     ○   ○ ○ ○

Beckmannia syzigachne (STEUD.) FERN. 개피 HH(Thw) R5 D1.4 t   습생 ○ ○ ○ ○ ○

Bromus japonicus THUNB. 참새귀리 Th R5 D4 t     ○ ○ ○ ○ ○

Bromus tectorum L. 말귀리 H R5 D4 t     ○ ○ ○ ○ ○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실새풀 G R3 D4 t     ○   ○ ○ ○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산조풀 G R2-3 D4 t     ○       ○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H R3 D4 t     ○ ○ ○ ○ ○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Th R4 D4 t-p     ○   ○ ○ ○

Spodiopogon cotulifer (Thunberg) A. Camus 기름새 H R3 D4 t           ○ ○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돌피 HH(Th) R5 D1.4 t-p   습생 ○ ○ ○ ○ ○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OHWI 물피 HH(Th) R5 D1.4 t-p   습생 ○   ○ ○ ○

Eleusine indica (L.) GAERTNER 왕바랭이 Th R5 D4 t     ○ ○ ○ ○ ○

Elymus dahuricus Turczaninow ex Grisebach 갯보리 H R3 D4 t       ○      

Elymus mollis TRIN. 갯그령 G R2-3 D4 t       ○ ○ ○ ○

Eragrostis curvula Nees 능수참새그령       ○   ○ ○ ○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 BEAUV. 그령 H R3 D4 t     ○ ○ ○ ○ ○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     ○ ○ ○ ○ ○

Festuca ovina L. 김의털 H R3 D4 t     ○   ○ ○ ○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H     ○       ○

Hierochloe odorata (L.) BEAUV. 향모 G R3 D4 t     ○   ○   ○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erson 보리 Th(w) R5 D4 t           ○ ○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ius) Durand & Schinz ex A. Camus 띠 G R1-2 D1 e         ○ ○ ○

Isachne globosa (THUNB.) O. KUNTZE 기장대풀 H R2-3 D1.4 t-p   습생 ○ ○ ○ ○ ○

Leptochloa chinensis (L.) Nees 드렁새 H R3 D4 t         ○   ○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Th(w) R5 D4 t           ○ ○

Lolium perenne L. 가는보리풀 Th(w) R5 D4 t           ○ ○

Microstegium vimineum (trinius) A. Camus 나도바랭이새 Th R5 D4 b-p     ○   ○ ○ ○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am 물억새 H R2-3 D1 t   습생 ○ ○ ○ ○ ○

Miscanthus sinensis ANDERSS. 참억새 H R3 D1 t     ○   ○ ○ ○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ANDERSS.) NAKAI 억새 H R3 D1 t         ○ ○ ○

<부록 13> 계속

Page 30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6 -

학 명 국 명 Numata식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Beauv. 주름조개풀 H R4 D2 p         ○ ○ ○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수크령 H R3 D2 t     ○   ○ ○ ○

Phalaris arundinacea L. 갈풀 HH R2-3 D1.4 e   습생 ○   ○ ○ ○

Phragmites communis TRIN. 갈대 HH R1-2 D1 e 정수   ○ ○ ○ ○ ○

Phragmites japonica STEUD. 달뿌리풀 HH R4 D1 e   습생 ○ ○ ○ ○ ○

Phyllostachys nigra (Lodd) Munro 오죽 MM R1-2 D1 e         ○   ○

Poa annua L. 새포아풀 Th(w) R5 D4 t       ○ ○ ○ ○

Poa sphondylodes TRIN. 포아풀 H R5 D4 t         ○ ○ ○

Pseudosasa japonica (Sieb. et Zucc.) 이대 M R1-2 D4 e     ○   ○   ○

Sasa borealis (HACK.) MAKINO 조릿대 N R1-2 D4 e     ○       ○

Setaria glauca (L.) BEAUV. 금강아지풀 Th R5 D4 t     ○ ○ ○ ○ ○

Setaria viridis (L.) BEAUV. 강아지풀 Th R5 D4 t     ○ ○ ○ ○ ○

Spodiopogon sibiricus (Trinius) Steudel 큰기름새 H R3 D4 e     ○       ○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Willd.) Makino 솔새 H R3 D4 t     ○       ○

Zizania latifolia TURCZ. 줄 HH R2-3 D1 t 정수   ○   ○ ○ ○

Zoysia japonica STEUD. 잔디 H,G R1-2 D4 t-p     ○ ○ ○ ○ ○

Zoysia sinica HANCE 개잔디 H R1-2 D4 t         ○   ○

천남성과 ( Lemnaceae )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BESS. 창포 HH R2-3 D4 r 정수         ○ ○

개구리밥과 ( Lemnaceae )                  

Lemna perpusilla Torrey 좀개구리밥 HH(Th) R5 D1 n,r 부수       ○ ○ ○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 개구리밥 HH(Th) R5 D1 n,r 부수       ○   ○

부들과 ( Typhaceae )                  

Typha angustifolia L. 애기부들 HH R2-3 D1 t 정수   ○ ○ ○ ○ ○

Typha latifolia L. 참부들 HH R2-3 D1 t 정수         ○ ○

Typha orientalis PRESL 부들 HH R2-3 D1 t 정수       ○ ○ ○

사초과 ( Cyperaceae )                  

Bulbostylis barbata (Rottboell) Kunth 모기골 Th         ○   ○

Carex breviculmis R. BR. 청사초 G R3 D4 t     ○       ○

Carex dispalata Boott ex A. Gray 삿갓사초 HH R2-3 D1 t   습생 ○   ○ ○ ○

Carex jaluensis KOM. 참삿갓사초 H R3 D4 t           ○ ○

Carex kobomugi OHWI 보리사초 G R2-3 D4 t       ○ ○ ○ ○

Carex lanceolata Boott 그늘사초 H R3 D4 t     ○ ○ ○ ○ ○

Carex leiorhyncha C.A. MEYER 산괭이사초 H R3 D4 t   습생 ○     ○ ○

Carex pumila THUNB. 좀보리사초 H R1-2 D4 r     ○ ○ ○ ○ ○

Carex schmidtii MEINSH. 참뚝사초 H R3 D4 t   습생       ○ ○

<부록 13> 계속

Page 30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7 -

학 명 국 명 Numata식 생활형수생

식물

습생

식물Y C M H R

Cyperus amuricus MAXIM. 방동사니 Th R5 D4 t     ○     ○ ○

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is (Fr. Et Sav.) T. Koyama 파대가리 HH R3 D1.4 t,e   습생 ○     ○ ○

Cyperus difformis L. 알방동사니 HH(Th) R5 D1.4 t   습생     ○   ○

Cyperus exaltatus var. iwasakii (Makino) T. Koyama 왕골 HH(Th) R5 D4 t   습생     ○ ○ ○

Cyperus microiria STEUD. 금방동사니 Th R5 D4 t     ○   ○ ○ ○

Cyperus orthostachyus Franchet & Savatier 쇠방동사니 HH(Th) R5 D1.4 t   습생 ○   ○ ○ ○

Eleocharis acicularis for. longiseta T. Kotama 쇠털골 HH R3 D1.4 t   습생       ○ ○

Eleocharis attenuata var. laeviseta (Nakai) Hara 참바늘골 Th   습생     ○   ○

Eleocharis congesta D. DON 바늘골 HH(Th) R5 D1.4 t   습생     ○   ○

Eleocharis kuroguwai OHWI 올방개 HH R2-3(t) D1.4 t 정수       ○   ○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KITAGAWA 물꼬챙이골 HH(Th) R2-3 D1.4 t 정수   ○   ○ ○ ○

Fimbristylis dichotoma (L.) Vahl 하늘지기 HH(Th) R5 D1.4 t   습생     ○ ○ ○

Fimbristylis miliacea (L.) VAHL 바람하늘지기 HH(Th) R5 D1.4 t   습생 ○       ○

Fimbristylis subbispicata Nees & Meyer 꼴하늘지기 H   습생     ○   ○

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 매자기 HH R2-3(t) D1.4 t 정수   ○   ○ ○ ○

Scirpus tabernaemontani GMEL. 큰고랭이 HH R2-3 D1 e 정수   ○   ○ ○ ○

Scirpus triqueter L. 세모고랭이 HH R2-3 D1.4 e 정수   ○ ○ ○ ○ ○

난초과 ( Orchidaceae )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타래난초 G R5(s) D1,4 ps           ○ ○

<부록 13> 계속

휴면형 - 휴면형 (Th : 1년생식물, G : 지중식물, H : 반지중식물, Ch : 지표식물, HH : 수생식물, N : 저목, 미소

지상식물, M : 아고목, 소형지상식물, MM : 대고목, 대형지상식물, E : 착생식물)

번식형 - R(1∼5) : 지하기관형, D(1∼4) : 산포기관형

생육형 - e: 직립형. b: 분지형, t: 총생형, l: 넌출형, p: 포복형, r: 로제트형, pr: 일시적 로제트형, ps: 로제트-직립

주1) Y : 영랑호, C : 청초호, M : 매호, H : 향호, R : 참고문헌

Page 30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8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08. 29

지점명 St. 1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7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14> 영랑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0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89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08. 29

지점명 St. 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15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14>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0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0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08. 29

지점명 St. 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10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14>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0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1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08. 29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식 물 량

종 명1) 코드1)생 중 량 (g)2) 수분

함량(%)

식물량 (g DM/m2)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hragmites communis 197 1,524.7 1,327.5 1,041.5 915.5 1,307.1 52.9 1,223.3 243.2 5

Typha angustifolia 217 1,184.3 1,545.7 1,405.7 1,043.8 850.1 67.3 1,205.9 277.8 5

Miscanthus sacchariflorus - 345.4 842.1 684.6 684.7 722.4 67.1 655.8 185.2 5

경 엽 부 밀도

종 명1) 코드1)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개/m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hragmites communis 197 164 207 141 130 87 147.8 41.0 5

Typha angustifolia 217 294 245 205 540 250 306.8 134.1 5

Miscanthus sacchariflorus - 110 82 142 134 102 114.0 24.3 5

<부록 15> 영랑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주) 1) 별표 3 참조(종명은 학명으로 기입)

2) 생중량을 현장에서 기록하고 실험실에서 건중량으로 환산하여 기재

3) 방형구당 경엽부의 수를 기록하고 밀도로 환산

Page 30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2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 08. 29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정수식물 정수식물

- -

부유식물 부유식물

- -

부엽식물 부엽식물

- -

침수식물 침수식물

<부록 16> 영랑호의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사진은 각 생활형별로 우점종만 촬영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0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3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09. 01

지점명 St. 1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30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17> 청초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1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4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09. 01

지점명 St. 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75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17>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1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5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09. 01

지점명 St. 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 - - 2

우점도2) - - - 5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가시파래 Enteromorpha prolifera 5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 - - - -

<부록 17>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1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6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 09. 01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식 물 량

종 명1) 코드1)생 중 량 (g)2) 수분

함량(%)

식물량 (g DM/m2)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hragmites communis 197 645.4 1,342.1 884.6 724.7 1,254.2 69.6 970.2 313.1 5

Enteromorpha prolifera - 8.2 15.4 15.5 12.3 16.8 91.1 13.6 3.5 5

경 엽 부 밀도

종 명1) 코드1)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개/m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hragmites communis 197 310 242 184 124 354 242.8 92.8 5

<부록 18> 청초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주) 1) 별표 3 참조(종명은 학명으로 기입)

2) 생중량을 현장에서 기록하고 실험실에서 건중량으로 환산하여 기재

3) 방형구당 경엽부의 수를 기록하고 밀도로 환산

Page 31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7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9.01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정수식물 정수식물

- -

부유식물 부유식물

- -

부엽식물 부엽식물

-

침수조류 침수식물

<부록 19> 청초호의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사진은 각 생활형별로 우점종만 촬영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1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8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08. 30

지점명 St. 1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15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4 -

217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3 -

<부록 20> 매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1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299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08. 30

지점명 St. 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12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20>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1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0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08. 30

지점명 St. 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30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20>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1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1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08. 30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식 물 량

종 명1) 코드1)

생 중 량 (g)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2)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Monochoria korsakowi 186 184.3 245.7 125.7 234.8 313.1 92.8 220.7 70.2 5

Myriophyllum spicatum 78 44.7 87.5 61.5 75.5 54.8 89.4 64.8 16.9 5

Phragmites communis 197 1,349.3 645.7 705.7 1,543.8 1,613.5 53.7 1,171.6 463.4 5

Trapa biopinosa 70 389.3 245.7 124.1 173.8 183.7 90.4 223.3 102.4 5

Typha angustifolia 217 1,284.3 645.7 705.7 543.8 1,186.4 80.2 873.2 337.4 5

Zizania latifolia 203 884.3 645.7 705.7 343.8 320.5 82.6 580.0 242.8 5

Myriophyllum spicatum-Zostera marina

78

-18027.8 39.4 67.1 46.8 56.8 89.0 47.6 15.2 5

경 엽 부 밀도

종 명1) 코드1)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개/m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hragmites communis 197 409 246 205 504 154 303.6 147.2 5

Typha angustifolia 217 294 245 355 278 516 337.6 107.4 5

Zizania latifolia 203 383 345 205 213 180 265.2 92.0 5

<부록 21> 매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주) 1) 별표 3 참조(종명은 학명으로 기입)

2) 생중량을 현장에서 기록하고 실험실에서 건중량으로 환산하여 기재

3) 방형구당 경엽부의 수를 기록하고 밀도로 환산

Page 31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2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 08. 30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정수식물 정수식물- -

부유식물 부유식물

-

부엽식물 부엽식물

-

침수식물 침수식물

<부록 22> 매호의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사진은 각 생활형별로 우점종만 촬영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1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3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08. 31

지점명 St. 1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23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23> 향호의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2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4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08. 31

지점명 St. 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5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23>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2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5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08. 31

지점명 St. 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1) 13 - - -

우점도2) 5 - - -

생활형 코드3)종 명3)

우점도4) 비 고국 명 학 명

침수식물

- - - - -

부유식물

- - - - -

부엽식물

- - - - -

정수식물

197 갈대 Phragmites communis 5 -

<부록 23> 계속

(주) 1) 생활형별로 수변의 식생폭을 기록

2) 수생식물분포면적 100%에서 각생활형이 차지하는 면적비(피도)를 6단계로 등급화

피 도 >76% 51-75% 26-50% 6-25% 1-5% <1%

우점도 등급 5 4 3 2 1 +

3) 별표 3 참조. 생활형은 도감의 기재사항 참조. 별표에 누락된 종은 코드 없이 기입

4) 각 생활형별 분포면적 100%에서 각 종이 차지하는 면적비를 위 등급기준으로 등급화

Page 32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6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08. 31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식 물 량

종 명1) 코드1)생 중 량 (g)2) 수분

함량(%)

식물량 (g DM/m2)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ersicaria thunbergii 217 664.3 215.7 415.7 324.3 463.4 80.6 416.7 167.7 5

Phragmites communis 203 845.4 1,642.1 1,777.6 1,224.7 1,186.8 59.1 1,335.3 375.5 5

Trapa biopinosa 217 84.3 85.7 45.7 63.8 130.5 86.3 82.0 31.7 5

Typha angustifolia 197 924.7 627.5 441.5 915.1 1,410.4 84.3 863.8 367.2 5

경 엽 부 밀도

종 명1) 코드1)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개/m2)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Persicaria thunbergii 217 364 215 215 224 463 296.2 112.7 5

Typha angustifolia 197 213 176 98 315 120 184.4 86.0 5

<부록 24> 향호의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주) 1) 별표 3 참조(종명은 학명으로 기입)

2) 생중량을 현장에서 기록하고 실험실에서 건중량으로 환산하여 기재

3) 방형구당 경엽부의 수를 기록하고 밀도로 환산

Page 32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7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 08. 31

지점명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정수식물 정수식물

- -

부유식물 부유식물

-

부엽식물 부엽식물

- -

침수식물 침수식물

<부록 25> 향호의 우점종 사진

[기재요령]

1. 사진은 각 생활형별로 우점종만 촬영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2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8 -

학 명 국 명YR01 YR02

1차 2차 1차 2차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sp. 플라나리아류 ●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25.0 2.5 ● 65.0

Assiminea japonica 기수우렁이 12.5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Mytiloida 홍합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Musculus senhausia 종밋 12.5 2.5 12.5 5.0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70.0 37.5 17.5 10

Corbicula papyracea 엷은재첩 2.5

Family Veneridae 백합과

Ruditapes philippinarus 반지락 ●

Order Myoida 우럭목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과

Potamocorbula amurensis 쇄방사늑조개 12.5 2.5 ● 12.5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Order Phylldocida 부채발갯지렁이목

Family Phyllodocidae 부채발갯지렁이과

Eteone longa 작은부채발갯지렁이 100.0 2.5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110.0 115.0 25.0 20.0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Prionospio japonicus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5.0

Order Capitellida 버들갯지렁이목

Family Capitellidae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 spp. 버들갯지렁이류 5.0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Thoracica 완흉목

Family Balanidae 따개비과

<부록 26> 영랑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단위: 개체/m2)

Page 32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09 -

학 명 국 명YR01 YR02

1차 2차 1차 2차

Balanus improvisus 흰따개비 72.5 2.5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 7.5 ●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17.5 5.0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modestus 각시흰새우 2.5

Palaemon Serrifer 줄새우아재비 ●

Palaemon macrodactylus 붉은줄참새우 ●

Palaemon gravieri 그라비새우 7.5

Family Grapsidae 바위게과

Hemigrapsus penicillatus 풀게 5.0

총 종수 14 10 8 8

총 개체수 밀도 357.5 265.0 77.5 120.0

※ ●은 정성조사 시 확인 종

<부록 26> 계속(단위: 개체/m2)

Page 32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0 -

학 명 국 명YR01 YR02

1차 2차 1차 2차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10.0

Order Neogastropoda 신복족목

Family Nassariidae 좁쌀무늬고둥과

Reticunassa festiva 왕좁쌀무늬고둥 7.5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Mytiloida 홍합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Mytilus coruscus 홍합 5.0

Musculus senhausia 종밋 42.5

Order Pterioida 익각목

Family Ostreidae 굴과

Crassostrea gigas 굴 5.0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Tellinidae 접시조개과

Macoma moesta 북방대양조개 7.5

Family Psammobiidae 자패과

Nuttallia ezonis 흑빛자패 5.0 2.5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5.0

Family Veneridae 백합과

Ruditapes philippinarus 반지락 5.0 12.5

Order Myoida 우럭목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과

Potamocorbula amurensis 쇄방사늑조개 2.5

Order Pholadomyoida 석공조개목

Family Myochamidae 살주름조개과

Myadropsis brevispinosas 뾰족꼬리물결주름조개 10.0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Order Phylldocida 부채발갯지렁이목

Family Phyllodocidae 부채발갯지렁이과

Anoitides koreana 한국부채발갯지렁이 7.5

Eteone longa 작은부채발갯지렁이 12.5

Family Glyceridae 미갑갯지렁이과

Hemipodus yenourensis 반다리미갑갯지렁이 10.0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182.5 775.0

<부록 27> 청초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단위: 개체/m2)

Page 32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1 -

학 명 국 명YR01 YR02

1차 2차 1차 2차

Family Nephtyidae 백금갯지렁이과

Nephtys sp. 백금갯지렁이류 2.5

Order Eunicida 털갯지렁이목

Family Lumbrineridae 송곳갯지렁이과

Lumbrineris japonica 참송곳갯지렁이 135.0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Spiophanes bombyx 민얼굴갯지렁이 5.0

Order Cirratulida 실타래갯지렁이목

Cirratulida sp. 실타래갯지렁이류 2.5

Order Capitellida 버들갯지렁이목

Family Capitellidae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 spp. 버들갯지렁이류 2.5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37.5

Order Mysida 곤쟁이목

Family Mysidae 곤쟁이과

Mysidae spp. 곤쟁이류 115.0 12.5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p. 옆새우류 7.5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10,200.0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27.5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serrifer 줄새우아재비

총 종수 15 8 - 8

총 개체수 밀도 10,625.0 857.5 - 172.5

※ ●은 정성조사 시 확인 종

<부록 27> 계속(단위: 개체/m2)

Page 32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2 -

학 명 국 명M01 M02

1차 2차 1차 2차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과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논우렁이 17.5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337.5 172.5 392.5

Assiminea japonica 기수우렁이 10.0 12.5

Class Bivalvia 이매패강

Order Mytiloida 홍합목

Family Mytilidae 홍합과

Musculus senhausia 종밋 2.5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japonica 일본재첩 35.0 10.0 2.5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Order Phylldocida 부채발갯지렁이목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Tylorrhynchus heterochaetus 실참갯지렁이 17.5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2.5 10.0 10.0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Prionospio japonicus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2.5

Order Capitellida 버들갯지렁이목

Family Capitellidae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 spp. 버들갯지렁이류 10.0 5.0

Order Sabellida 꽃갯지렁이목

Family Sabellidae 꽃갯지렁이과

Sabellidae spp. 꽃갯지렁이류 12.5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5.0 7.5 15.0

Order Mysida 곤쟁이목

Family Mysidae 곤쟁이과

Mysidae spp. 곤쟁이류 80.0 185.0 7.5 95.0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Ampithoidae 참옆새우과

Peramphithoe sp. 5.0

<부록 28> 매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단위: 개체/m2)

Page 32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3 -

학 명 국 명M01 M02

1차 2차 1차 2차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2.5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7.5

Family Talitridae 도약옆새우과

Platorchestia crassicornis 도약옆새우 17.5

Order Cumacea 올챙이새우목

Family Diastylidae 긴꼬리올챙이새우과

Dimorphostylis sp. 긴꼬리올챙이새우류 5.0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pacificus 태평줄새우 ●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5.0

Family Crangonidae 자주새우과

Crangon affinis 자주새우 2.5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Cercion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2.5 2.5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Muljarus japonicus 물자라 2.5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Laccotrephes japonensis 장구애비 2.5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Haliplidae 물진드기과

Peltodytes intermedius 물진드기 2.5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Enochrus simulans 애넓적물땡땡이 2.5

Helochares striatus 좀물땡땡이 ●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1 깔따구 sp.1 5.0 7.5

총 종수 14.0 10.0 7.0 12.0

총 개체수 밀도 507.5 242.5 217.5 562.5

※ ●은 정성조사 시 확인 종

<부록 28> 계속(단위: 개체/m2)

Page 33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4 -

학 명 국 명M01 M02

1차 2차 1차 2차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과

Assiminea lutea 좀기수우렁이 5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Polychaeta 다모강

Order Phylldocida 부채발갯지렁이목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과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2.5 2.5

Order Spionida 얼굴갯지렁이목

Family Spionidae 얼굴갯지렁이과

Prionospio japonicus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20 5

Class Oligochea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eata 물지렁이목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Limnodrilus gotoi 실지렁이 2.5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Sphaeromatidae 잔벌레과

Gnorimosphaeroma anchialos 기수잔벌레 12.5 122.5

Order Mysida 곤쟁이목

Family Mysidae 곤쟁이과

Mysidae spp. 곤쟁이류 40 747.5 282.5 637.5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Corophiidae 육질꼬리옆새우과

Corophium sp.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22.5

Gammaropsis sp. 극동육질꼬리옆새우류 2.5

Family Melitidae 멜리타옆새우과

Melita sp. 멜리타옆새우류 7.5

Family Talitridae 도약옆새우과

Platorchestia crassicornis 도약옆새우 5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Palaemon pacificus 태평줄새우 7.5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Cercion hieroglyphicum 등줄실잠자리 2.5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2.5 2.5

<부록 29> 향호에서의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및 밀도(단위: 개체/m2)

Page 33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5 -

학 명 국 명M01 M02

1차 2차 1차 2차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Muljarus japonicus 물자라 2.5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Laccotrephes japonensis 장구애비 2.5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Enochrus simulans 애넓적물땡땡이 2.5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1 깔따구 sp.1 2.5

총 종수 5 8 2 9

총 개체수 밀도 87.5 782.5 287.5 785

※ ●은 정성조사 시 확인 종

<부록 29> 계속(단위: 개체/m2)

Page 33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6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1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143

참갯지렁이 44

작은부채발갯지렁이 40

환형동물 88

참갯지렁이 44

작은부채발갯지렁이 40

연체동물 48

일본재첩 28

좀기수우렁이 10

절지동물 7

멜리타옆새우류 7

- -

기타 -

- -

- -

<부록 30> 영랑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3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7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2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31

참갯지렁이 10

일본재첩 7

환형동물 11

참갯지렁이 10

작은부채발갯지렁이 1

연체동물 18

일본재첩 7

쇄방사늑조개 6

절지동물 2

멜리타옆새우류 2

- -

기타 -

- -

- -

<부록 30>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3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8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1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103

참갯지렁이 46

흰따개비 28

환형동물 46

참갯지렁이 46

-

연체동물 23

일본재첩 15

기수우렁이 5

절지동물 34

흰따개비 28

기수잔벌레 3

기타 -

- -

- -

<부록 30>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수정 기재함

Page 33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19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2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48

좀기수우렁이 26

참갯지렁이 8

환형동물 8

참갯지렁이 8

-

연체동물 38

좀기수우렁이 26

쇄방사늑조개 5

절지동물 2

흰따개비 1

각시흰새우 1

기타 -

- -

- -

<부록 30>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3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0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지점명 CC01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4,250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4,080

참갯지렁이 73

환형동물 83

참갯지렁이 73

작은부채발갯지렁이 5

연체동물 30

종밋 17

뾰족꼬리물결주름조개 4

절지동물 4,137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4,080

곤쟁이류 46

기타 -

- -

- -

<부록 31> 청초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3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1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지점명 CC01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340

참갯지렁이 310

기수잔벌레 15

환형동물 310

참갯지렁이 310

- -

연체동물 7

좀기수우렁이 4

일본재첩 2

절지동물 23

기수잔벌레 15

곤쟁이류 5

기타 -

- -

- -

<부록 31>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3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2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지점명 CC02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68

참송곳갯지렁이 54

반지락 5

환형동물 60

참송곳갯지렁이 54

반다리갑갯지렁이 4

연체동물 8

반지락 5

홍합 2

절지동물 -

- -

- -

기타 -

- -

- -

<부록 31>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3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3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1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203

좀기수우렁이 135

곤쟁이류 32

환형동물 11

실참갯지렁이 7

버들갯지렁이류 4

연체동물 154

좀기수우렁이 135

일본재첩 14

절지동물 38

곤쟁이류 32

기수잔벌레 2

기타 -

- -

- -

<부록 32> 매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4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2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87

좀기수우렁이 69

일본재첩 4

환형동물 6

참갯지렁이 4

버들갯지렁이류 2

연체동물 73

좀기수우렁이 69

일본재첩 4

절지동물 8

곤쟁이류 3

깔따구 sp. 1 3

기타 -

- -

- -

<부록 32>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5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1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97

곤쟁이류 74

꽃갯지렁이류 5

환형동물 6

꽃갯지렁이류 5

참갯지렁이 1

연체동물 5

기수우렁이 5

- -

절지동물 86

곤쟁이류 74

기수잔벌레 2

기타 -

- -

- -

<부록 32>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6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2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224

좀기수우렁이 157

곤쟁이류 38

환형동물 5

참갯지렁이 4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1

연체동물 165

좀기수우렁이 157

논우렁이 7

절지동물 54

곤쟁이류 38

도약옆새우 7

기타 -

- -

- -

<부록 32>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7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1

조사일 2011051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35

곤쟁이류 16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9

환형동물 10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8

참갯지렁이 1

연체동물 -

- -

- -

절지동물 25

곤쟁이류 16

가시육질꼬리옆새우류 9

기타 -

- -

- -

<부록 33> 향호의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8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2

조사일 2011051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115

곤쟁이류 113

좀기수우렁이 2

환형동물 -

- -

- -

연체동물 2

좀기수우렁이 2

- -

절지동물 113

곤쟁이류 113

- -

기타 -

- -

- -

<부록 33>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29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1

조사일 20110818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312

곤쟁이류 299

기수잔벌레 5

환형동물 -

- -

- -

연체동물 -

- -

- -

절지동물 312

곤쟁이류 299

기수잔벌레 5

기타 -

- -

- -

<부록 33>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0 -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2

조사일 20110818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분류군1)총 생물량

(indiv./m2)

우점종

제 1, 2 우점종2,3)생물량

(indiv./m2)

전체 314

곤쟁이류 255

기수잔벌레 49

환형동물 3

매끈예쁜얼굴갯지렁이 2

참갯지렁이 1

연체동물 -

- -

- -

절지동물 311

곤쟁이류 255

기수잔벌레 49

기타 -

- -

- -

<부록 33> 계속

(주) 1) 생물량은 반드시 개체수 으로 표기함

2)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인 1, 2번째의 대형무척추동물을 의미함

3) 동정이 어려운 종은 일단 미기록종 (sp.)로 기재하고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확인한

다음 수정 기재함

Page 34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1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1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4> 영랑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4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2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2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4>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4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3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1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4>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4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영랑호 지점명 YR02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4>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5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지점명 CC01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5> 청초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6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지점명 CC01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5>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7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청초호 지점명 CC02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5>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8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1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6> 매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39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2

조사일 20110512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6>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0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1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6>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1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매호 지점명 M02

조사일 20110817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6>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2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1

조사일 2011051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7> 향호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5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3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2

조사일 20110513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7>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6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4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1

조사일 20110818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7>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6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5 -

<우점종의 현미경 사진>

호소명 향호 지점명 H02

조사일 20110818 조사자 (주)생태조사단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부록 37>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6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6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YR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잉어 Cyprinus carpio 1 1

붕어 Carassius auratus 4 2 6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42 42

숭어 Mugil cephalus 1 1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24 24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17 17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2 2 f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13 35 48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3 22 25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8 59 67 a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2 2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38> 영랑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7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YR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1 1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62 62 a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6 6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4 4 8 52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3 3 f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2 2 9 31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3 1 4 17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38>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8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YR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2 8 10

붕어 Carassius auratus 2 12 14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28 7 32

피라미 Zacco platypus 1 7 8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1 3 4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3 3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5 5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9 80 89 a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1 26 27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24

(hrs)

<부록 38>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4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YR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14 14

붕어 Carassius auratus 5 1 6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52 52 a

숭어 Mugil cephalus 2 2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1 1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4 4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2 2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6 21 27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4 12 16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38>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0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CC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잉어 Cyprinus carpio 1 1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51 51

숭어 Mugil cephalus 3 3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8 8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26 26 f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2 74 76 a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1 5 6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6 6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39> 청초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1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CC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13 13

숭어 Mugil cephalus 1 1

학공치 Hyporhamphus sajori 26 26 a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1 1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부록 39>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2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CC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황어 Tribolodon hakonensis 24 53 77 a

숭어 Mugil cephalus 1 4 5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2 2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3 25 6 34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1 12 13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2 18 20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24

(hrs)

<부록 39>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6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3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CC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70 70 a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11 11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8 8

학공치 Hyporhamphus sajori 39 39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16 16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부록 39>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4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M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잉어 Cyprinus carpio 2 2

붕어 Carassius auratus 32 44 76 a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7 1 18 e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2 2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3 3

숭어 Mugil cephalus 5 5

송사리 Oryzias latipes 14 14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3 3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9 9 f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4 40 44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2 9 11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40> 매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5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M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뱀장어 Anguilla japonica 1 1

붕어 Carassius auratus 39 10 49

떡붕어 Carassius cuvieri 6 2 8 e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40 2 42

숭어 Mugil cephalus 8 8

송사리 Oryzias latipes 3 3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4 4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12 12 f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5 5 f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3 21 24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1 14 15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27 54 81 a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2 15 17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40>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6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M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붕어 Carassius auratus 26 9 35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16 16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2 2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2 2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1 5 6 f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3 3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5 17 22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47 32 79 a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2 16 18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40>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7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M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1 96 97 a

잉어 Cyprinus carpio 2 1 3

붕어 Carassius auratus 14 2 16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2 2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43 4 47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6 6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6 6 12

송사리 Oryzias latipes 2 2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3 8 11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10 15 25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1 6 7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24

(hrs)

<부록 40>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8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H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전어 Konosirus punctatus 6 6

잉어 Cyprinus carpio 2 2

붕어 Carassius auratus 13 10 23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52 52 a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17 17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2 2

송사리 Oryzias latipes 1 19 20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19 19 f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21 20 41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1 4 5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1 12 13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41> 향호의 어류 현지조사표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5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H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붕어 Carassius auratus 3 2 5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44 44 a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10 10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1 1

송사리 Oryzias latipes 8 8

날망둑 Gymnogobius castaneus 21 17 38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6 5 11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5 10 15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417>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0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818

지점명 H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뱀장어 Anguilla japonica 1 1

전어 Konosirus punctatus 13 8 21

잉어 Cyprinus carpio 1 1 2

붕어 Carassius auratus 15 8 14 37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 2 3 e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16 3 19

살치 Hemiculter leucisculus 7 45 52 a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4 5 9

송사리 Oryzias latipes 1 1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6 6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13 13 e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11 6 17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15 12 2 29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24

(hrs)

<부록 41>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1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818

지점명 H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종 명1) 출현개체수2)특3)

어종

비4)

드국 명 학 명

포획도구코드합

계A B C D E F G기

타황어 Tribolodon hakonensis 30 30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2 2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5 5 e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1 1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51 11 62 a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4 4

포획횟수 또는 시간 5) 1

(hrs)

1

(hrs)

<부록 41> 계속

(주) 1) 별표 5을 참조하여 각 출현종의 코드, 국명 및 학명 기재

2)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삼각망

A B C D E F G

3)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4)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등 미소서식처 기입

5) 포획도구 A~D는 횟수, 포획도구 E~G는 시간단위(hrs)로 기입

Page 37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2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YR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2> 영랑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7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3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YR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2>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4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YR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2>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5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영랑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YR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2>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6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CC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3> 청초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7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CC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3>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4: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8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CC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3>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5: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69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청초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CC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3>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6: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0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M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4> 매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7: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1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M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4>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8: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2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M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4>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89: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3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매호 조사일 20110817

지점명 M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4>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90: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4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H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5> 향호 어류 우점종의 사진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91: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5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512

지점명 H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5>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92: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 376 -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818

지점명 H01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5>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

Page 393: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mewebbook.me.go.kr/DLi-File/091/018/005/5512441.pdf · 2015-11-02 · 2011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최종보고서 - 2011. 12 연구기관

<우점종의 사진>

호소명 향호 조사일 20110818

지점명 H02 분석자 (주)생태조사단

제 1 우점종 제 2 우점종

- -

<부록 45> 계속

[기재요령]

1. 현미경 사진은 고정시료와 비고정 시료로 나누어서 촬영하고 분류학적 특성이 반드시 포함하여야

2. 사진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정밀스케치와 적절한 분류학적 설명을 삽입하여야 함.

3. 참고한 자료의 총목록을 뒷면에 년도 순으로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