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T T A S t a n d a r 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개정일: 2014 년 04 월 10 일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T T

A S

t a n

d a

r 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개정일: 2014 년 04 월 10 일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Page 2: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개정일: 2014 년 04 월 10 일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본 문서에 대한 저작권은 TTA 에 있으며, 이 문서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상업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s 2014. All Rights Reserved.

Page 3: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i

서 문

1.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목적은 유헬스 서비스 구축에 있어 일관된 기준의 적용과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유헬스와 관련된 세부

표준 개발의 기준이 될 수 있도록 구성요소들 간의 프로토콜 요구사항을 기술한다.

2. 주요 내용 요약

본 표준에서는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을 구성하는 유헬스 사용자, 유헬스 공급자,

의료기관 및 유관기관 등 관련 구성요소들을 정의 하고 유헬스 시스템이 갖춰야 하는

요구사항 및 표준 항목을 기술 하고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 요구 사항과

권장 사항 등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3.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본 표준은 국내 유헬스 서비스가 구축되어 나가는데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유헬스 표준 관련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구축되는 유헬스 서비스 및 시스템에 대한 호환성 확보를 통해 유헬스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4. 참조 표준(권고)

4.1. 국외 표준(권고)

- 해당 사항 없음.

4.2. 국내 표준

- 해당 사항 없음.

Page 4: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ii

5. 참조 표준(권고)과의 비교

5.1. 참조 표준(권고)과의 관련성

- 해당 사항 없음.

5.2. 참조한 표준(권고)과 본 표준의 비교표

- 해당 사항 없음.

6. 지식 재산권 관련 사항

본 표준의 ‘지식 재산권 확약서’ 제출 현황은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표준을 이용하는 자는 이용함에 있어 지식 재산권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 후 이용한다.

※본 표준과 관련하여 접수된 확약서 이외에도 지식 재산권이 존재할 수 있다.

7. 시험 인증 관련 사항

7.1. 시험 인증 대상 여부

- 해당 사항 없음.

7.2. 시험 표준 제정 현황

- 해당 사항 없음.

Page 5: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iii

8. 표준의 이력 정보

8.1 표준의 이력

판수 제정·개정일 제정·개정 내역

제 1 판 2010.12.23 제정

TTAK.KO-10.0463

제 2 판 2014.04.10 개정

TTAK.KO-10.0463/R1

8.2 주요 개정 사항

TTAK.KO-10.0463 TTAK.KO-10.0463/R1 비고

1. 개요 1. 개요 동일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동일

3. 용어 정의 3. 용어 정의 추가

(신규 용어)

4.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4.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수정

5. 기능 정의 및 요구 조건 5. 기능 정의 및 요구 조건 수정

Page 6: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iv

Preface

1. Purpose of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andard is to define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so that

a consistent application of standards and interoperability become possible in the

development of u-Health service. In addition, protocol requirements between the

components are described so that this can be the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detailed sub-standards related in u-Health.

2. Summary of Contents

In this standard, we described the related components, including users, providers,

medical institu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and

also the requirements and the items for u-Health system were described. In addition,

detailed require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ach component are also described.

3. Applicable Fields of Industry and its Effect

This standard will contribute to minimizing of the confusion which may occur in the

construction of domestic u-Health service and speed up of application services

development related in u-health service and its technologies. In addition, through the

compatibility with established u-health service and system,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xpand the u-health service market.

4.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4.1. International Standards(Recommendations)

- None

4.2. Domestic Standards

- None

Page 7: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v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 None

5.2. Differences between Reference Standards and this Standard

- None

6. Stat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related to the present document may have been declared to TTA. The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se IPRs, if any, is available on the TTA Website.

No guarantee can be given as to the existence of other IPRs not referenced on the

TTA website.

And, please make sure to check before applying the standard.

7. Statemen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7.1. Objec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7.2. Standards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Page 8: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vi

8. History of Standard

8.1. Change History

Edition Issued date Outline

The 1st edition 2010.12.23 Established

TTAK.KO-10.0463

The 2nd edition 2014.04.10 Revised

TTAK.KO-10.0463/R1

8.2. Revisions

TTAK.KO-10.0463 TTAK.KO-10.0463/R1 Remarks

1. Introduction 1. Introduction equal

2. Scope of this standard 2. Scope of this standard equal

3. Terms and Definitions 3. Definitions added

4.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4.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modified

5. Functional Description and

Requirement

5. Functional Description and

Requirement modified

Page 9: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vii

목 차

1. 개 요 ····························································································· 1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 1

3. 참조 표준(권고) ················································································· 1

4. 용어 정의 및 약어 ·············································································· 2

5.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 5

5.1.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 5

5.2. 호환성 ····················································································· 7

5.3. 보안 ························································································· 7

6. 기능정의 및 요구조건 ·········································································· 8

6.1. 유헬스 사용자 ············································································· 8

6.2. 유헬스 공급자 ············································································ 12

6.3. 외부기관 ··················································································· 15

6.4. 통신망 ····················································································· 16

Page 10: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viii

Contents

1. Introduction ······················································································ 1

2. Constitution and Scope········································································ 1

3.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 1

4. Terms Definitions and Abbreviations ························································ 2

5.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 5

5.1.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 5

5.2. Interoperability ··········································································· 7

5.3. Security ····················································································· 7

6. Functional Description and Requirement ··················································· 8

6.1. u-Health Service User ··································································· 8

6.2. u-Health Service Provider ······························································ 12

6.3. The other organizations ································································· 15

6.4. Network ···················································································· 16

Page 11: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1. 개요

‘유헬스란 개인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유무선 초고속 통신 인프라 등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상태파악, 예후, 건강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본 표준은 유헬스 와 관련된 여러 구성요소들을 정의 하고 표준화된 유헬스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프로토콜과 참조모델을 명시 하고 있다. 또한 이들간의 원활한 서비스 지원

및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해 각 구성요소들이 갖춰야 할 요구사항들을 제시 한다. 이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있어 일관성 및 상호운용성, 그리고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유헬스 서비스는 개인용 건강 단말부, 건강정보 중계부, 유헬스 서버, 유헬스 서비스,

의료기관, 외부기관 등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본 문서에서는 이러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한 유헬스 서비스의 필수요구사항과 프로토콜 등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관련 기술 개발의 내용을 반영해 서비스의 상호운용 보장 및 관련 응용

서비스의 구축과 보급이 가능 하도록 했으며 이를 위해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

요구조건 및 구성요소 간 프로토콜 요구 사항도 기술 하였다. 특히 유헬스와 관련된

세부 표준 개발의 기준이 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참조모델 형태의 구조를 제시 하고

있다

3. 참조 표준(권고)

3.1. 국외 표준(권고)

- 해당 사항 없음.

Page 12: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2

3.2. 국내 표준

- 해당 사항 없음.

4. 용어 정의 및 약어

4.1. 용어 정의

4.1.1. 개인용 건강 단말부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전송, 조회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전용 단말 혹은 스마트 기기를 말한다.

4.1.2. 건강정보 중계부

개인용 건강단말부로 부터 수집된 정보를 유헬스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부분

4.1.3. 무결성

데이터를 인가되지 않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성질

4.1.4. 서버간 통신망

유헬스 서버와 유헬스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간의 통신망

4.1.5. 외부기관

유헬스 공급자 이외 유헬스 서비스와 관련된 외부기관

4.1.6. 외부기관연동 통신망

유헬스 공급자와 의료기관 및 유관기관 과의 연동에 사용되는 통신망

Page 13: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3

4.1.7. 원격진료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모든

활동을 말함

4.1.8. 유관기관

보건복지부 , 보험회사 등 유헬스 서비스와 연관이 있는 외부 기관

4.1.9. 유헬스

개인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유무선 초고속 통신 인프라 등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상태파악, 예후, 건강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4.1.10. 유헬스 공급자

온/오프라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하는 주체

4.1.11. 유헬스 사용자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

4.1.12. 유헬스 서버

유헬스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측정된 생체정보(혈압, 혈당, 체중,

체온, 체지방, 산소포화도 등), 라이프로그(활동량, 수면, 운동 정보 등) 등의

데이터와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고 사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의 건강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4.1.13. 유헬스 서비스

유헬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 및 관계들의 집합

Page 14: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4

4.1.14. 유헬스 응용 서비스

유헬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포탈, 컨텐츠, 개인별

건강정보 관리 기능 등으로 구성

4.1.15. 유헬스 시스템

유헬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등으로 구성되는 통합체계

4.1.16. 의료기관

유헬스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수집된 개인 건강정보를 진료 혹은 환자관리에

참조하기 위해 별도 계약이나 관련 법규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

4.1.17. 의료정보 데이터

HL7, DICOM 등의 의료정보 표준 데이터

4.1.18. 키 관리

보안 정책에 의해 키의 생성 등록 인가 등록 취소 분배 설치 저장 압축 폐지

유도와 파괴를 감독하는 것

4.1.19. 통신망

각 통신망 내부 및 통신과 통신망 간의 규약과 관련된 부분

4.1.20. 프로토콜

컴퓨터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

Page 15: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5

4.1.21. 피드백 장치

유헬스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고 특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

4.2. 약어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EHR Electronic Health Record

HIPP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L7 Health Level 7

IHE 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AN Personal Area Network

XDS Cross-Enterprise Document Sharing

5.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본 표준은 유헬스 서비스의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 제공을 위해 표준화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참조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서비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 및

프로토콜에 대한 최소한의 규격 및 권장사항에 대한 정의를 표준의 범위로 한다.

5.1.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그림 5-1)에서는 유헬스 서비스를 위한 참조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유헬스 서비스의

참조모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범주로 구성된다. 각 세부 구성요소 별

요구사항은 6. 기능 정의 및 요구 조건 에서 기술 한다.

- 유헬스 사용자

- 유헬스 공급자

Page 16: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6

- 의료기관

- 유관기관

- 연계서비스

(그림 5-1) 유헬스서비스 참조모델

유헬스 사용자는 개인용 건강단말부, 건강정보 중계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유형에 따라 피드백 장치 등 부가 사항이 추가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개인용

건강단말을 이용해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는 건강정보 중계부로 전송되어

유헬스 서버에 전달 된다.

유헬스 공급자는 측정된 개인건강정보를 수집하고 통합하기 위한 유헬스 서버를

중심으로 서비스포탈, 컨텐츠 서비스, 과금서비스, 타 매체와의 연계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제공을 위한 인프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유헬스 사용자는 여러 서비스

공급자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헬스 공급자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서로 다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유헬스 서버 및 서비스는 확장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표준에서는 구체적인 유헬스 서비스 유형에 대해 따로 언급하지 않는다.

의료기관은 병원, 약국 등 의료 서비스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기관을 말하며

유헬스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수집된 개인 건강정보를 진료 혹은 환자관리에 참조하기

위해 별도 계약이나 관련 법규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의료기관에는 약국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유헬스 서비스를 통해 처방전 공유 및 처방 의약품 배송 서비스

등을 고려한 것이며 관련 법의 제정이 있어야 가능하며 제도 개선 이후 수정사항이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이 경우 의료기관 내부 시스템의 구성은 본 표준의 범위가

아님을 밝힌다.

Page 17: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7

유관기관은 보건복지부, 보험회사 등 유헬스 서비스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외부

기관을 말하는 것으로 관련 규정이나 법규에 의해 정해진 규약에 따른 데이터의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와 별도의 계약 관계가 필요 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각 구성요소 내부 및 구성요소 간의 통신 규약과 관련된 부분으로 건강

단말부–중계부 프로토콜(P-1), 건강정보 중계부-서버 프로토콜(P-2), 유헬스 공급자-

의료기관 프로토콜(P-3), 유헬스 공급자-유관기관 프로토콜(P-4), 유헬스 공급자-

연계서비스 프로토콜(P-5)로 정의 한다.

5.2. 호환성

유헬스 서비스는 유헬스 사용자, 유헬스 공급자, 의료기관 및 유관기관 들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으로 (그림 5-1) 의 P-1 ~ P-5 의 전송 규격을 비롯해 서비스 에서

사용하는 의료정보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서도 기존 시스템 과의 호환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 건강관리 단말은 새롭게 추가되는 건강정보 중계부, 응용프로그램, 유헬스

서비스에 대한 확장이 가능해야 하며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 에서 사용되는 의료정보 데이터는 HL7, DICOM 과 같은 의료정보

표준 규격을 따라야 한다.

- 건강관리 단말은 각 단말과 관련된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단말간 호환성을

보장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는 표준을 준수하는 구성요소의 변화에 대해 호환성을 보장해야

하며 새로운 규격에 대한 확장이 용이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및 통신 프로토콜은 하위버전에 대한

호환성 및 확장성을 제공해야 한다.

5.3. 보안

유헬스 서비스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개인 건강기록 등을 다루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 및 운용 시 생체정보 보호, 시스템 보호, 사용자인증과 관련된 보안이 요구 된다.

본 표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보안 요구사항을 권장 한다.

Page 18: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8

- 유헬스 사용자, 유헬스 공급자, 의료기관, 유관기관, 그리고 외부 서비스 등의

모든 네트워크 구성요소들 간의 전송되는 정보들은 비 인가된 접속, 비 인가된

수정, 또는 비 인가된 상제로부터 보호 되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개인건강단말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를 포함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인증, 키 관리, 암호화, 무결성 등의 보안기능을 가질

것은 권장 한다.

- 개인 및 의료기관 종사자 유헬스 서비스 관리자, 유관기관 등 유헬스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필요 하다.

- 효과적인 보안을 위해 사용자 별 권한 관리 및 사용내역이 관리 되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는 원격진료와 관련된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미국 내 규정인

HIPPA 혹은 그에 준하는 보안 체계를 제공해야 한다.

- 개인건강 단말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를 포함한 무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6. 기능 정의 및 요구 조건

본 장 에서는 5 장에서 정의한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의 세가지 범주를 정의하고

각각의 구성기술, 요구사항 및 상호 간 프로토콜을 기술한다.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이

제시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는 응용소프트웨어, 정보기기, 통신 기기 등이 요구되며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와 서버간의 자유로운 서비스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6.1. 유헬스 사용자

6.1.1. 정의 및 구성요소

유헬스 사용자 영역은 개인용 건강단말부, 건강정보 중계부로 구성된다. 개인용

건강단말부는 혈압, 혈당, 심전도와 같은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전용 기기를 말하며 건강

정보 중계부는 개인용 건강단말부로 부터 수집된 정보를 유헬스 서버에 전송하는

부분으로 통신기능 및 사용자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개인용 건강단말은 구현 방식에

따라 유헬스 서버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 하는 방식과 건강정보 중계부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P-1 사용)으로 구현 될 수 있다. 본 표준 에서는 확장 및 다양한 이용 환경을

고려해 P-1 을 통해 건강정보 중계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권장 한다.

Page 19: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9

(그림 6-1)는 유헬스 사용자의 상세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그림 6-1) 유헬스 클라이언트예시

6.1.2. 기능요구조건

가. 개인용 건강단말

개인용 건강단말은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기구로

대표적인 유형으로 혈압, 맥박, 혈당,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이 있다. 이러한 개인용

건강단말이 갖춰야 할 주요 요구조건은 생체정보 측정의 고유 기능을 제외하고 다음과

같다.

- 모든 개인용 건강단말은 각 단말에 요구되는 의료기기 등의 인증 및 승인을

마친 제품이어야 하며 측정 데이터에 대한 오차 범위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

이어야 한다.

- 단말의 형태는 전용기기 이외 스마트 폰, 태블릿과 같은 범용기기와 통합된

형태가 가능 하며 개인용 건강단말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 최소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야 한다.

- 건강정보 중계부와의 통신 혹은 내장된 전송 모듈을 통해 유헬스 서버로의

전송이 가능해야 하고 사용자가 이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 (P-1) 건강 단말부 – 건강정보 중계부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한다.

Page 20: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0

- 개인용 건강단말은 ISO/IEEE11073 에서 정하고 있는 표준을 따를 것을 권장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에 준하는 자체 규격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공개할

것을 권장 한다.

현재 ISO/IEEE11073 에서 표준으로 정해진 개인용 건강단말 규격은 <표 6-1>과

같다.

<표 6-1> ISO/IEEE11073 표준 현황

표준명 구분 내용

IEEE P11073-00103 Technical Report Overview

IEEE P11073-10400 Dev specialization Common framework

IEEE P11073-10404 Dev specialization Pulse oxymeter

IEEE P11073-10406 Dev specialization Heart rate monitor

IEEE P11073-10407 Dev specialization Blood pressure monitor

IEEE P11073-10408 Dev specialization Thermometer

IEEE P11073-10415 Dev specialization Weighting scale

IEEE P11073-10417 Dev specialization Glucose Meter

IEEE P11073-10441 Dev specialization Cardiovascular

IEEE P11073-10442 Dev specialization Strength

IEEE P11073-10471 Dev specialization Activity hub

IEEE P11073-10472 Dev specialization Medication monitor

IEEE P11073-20601 Optimized exchange protocol

나. 건강정보 중계부

건강정보 중계부는 개인용 건강단말부와 P-1 프로토콜을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습득하고 유헬스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표준 에서는 다수의 건강단말부

와의 연결이 지원되는 하드웨어로 정의하고 PC 혹은 유헬스 전용으로 설계된 내장형

시스템 혹은 스마트폰 태블릿에 탑재된 형태등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단, 일부

개인용 건강단말부의 경우 유헬스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 기능이 내장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개인건강 단말부는 P-2 프로토콜 규격을 지원해야 한다. 건강정보

중계부는 방식에 따라 구성요소가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건강정보 중계부는 ISO/IEEE-11073 에서 요구하는 표준 규격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따르는 개인용 건강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Page 21: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1

- 유헬스 서버 및 네트워크 문제 등 일시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 발생시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문제 해결 시 이를 재전송 할 수

있어야 한다.

- 건강정보 중계부는 다수의 개인용 건강단말과의 연결을 지원해야 하며 다수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의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 제공을 위해 응용프로그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 API 가 제공되어야 한다.

- P-1 프로토콜 규격을 지원하고 개인용 건강 단말부와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 P-2 프로토콜 규격을 지원하고 유헬스 서버와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다. 건강 단말부 – 건강정보 중계부 프로토콜(P-1)

건강 단말부 – 건강정보 중계부 프로토콜은 개인용 건강단말과 중계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기기등록, 연결, 대기, 종료, 측정요청, 측정결과 전송 등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규약으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표준 에서는 ISO/IEEE-11073

에서 정의하는 규격에 따를 것을 권장 한다.

라. 건강정보 중계부 – 서버 프로토콜(P-2)

건강정보 중계부 – 서버 프로토콜은 중계단말과 유헬스 서버와의 통신 규약으로

유헬스 사용자와 유헬스 공급자간의 데이터 교환에 대해 정의 한다. 주요 요구 조건은

다음과 같다.

- 개인용 건강단말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 서비스에 필요한

일련의 데이터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유헬스 서버까지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 인터넷과 같은 공개된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네트워크 보안이

요구 된다.

- 사용자 인증, 개인용 건강단말 인증, 서비스 요청, 피드백 등 유헬스 사용자 및

공급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 확장 가능한 프로토콜 구조를 제공해 유헬스 서비스의 기능 변경 및 확장이

용이 해야 한다.

- 서버와 단말간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을 제공해야

한다.

Page 22: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2

- 본 표준 에서는 HL7 과 같은 의료정보 표준 메시지 및 전송 규격 사용을 권장

한다.

6.2. 유헬스 공급자

6.2.1. 정의 및 구성요소

유헬스 공급자는 유헬스 사용자에게 다양한 유헬스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외부

서비스 및 유관 기관과의 연동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유헬스 공급자는 시스템 관점에서

서버, 서비스, 프로토콜로 구성되며 유헬스 서비스의 실질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시스템 영역 이다. 유헬스 공급자의 구성은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본 표준

에서는 유헬스 서버, 유헬스 응용서비스, 유헬스 공급자 - 연계 서비스 프로토콜(P-5),

유헬스 공급자 - 의료기관 프로토콜(P-3), 유헬스 공급자 - 유관기관 프로토콜( P-4)을

기본 구성요소로 정의 한다.

(그림 6-2)은 유헬스 공급자의 상세 구성요소를 보여 준다.

(그림 6-2) 유헬스 공급자 구성 예시

Page 23: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3

6.2.2. 기능요구조건

가. 유헬스 서버

유헬스 서버는 유헬스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측정된 생체정보,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고 사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의 건강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 한다. 유헬스 서버의 주요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유헬스 서버는 사용자 별 건강관리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 사용자별 프로파일 설정을 지원해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이용 설정 및 현황

관리 가 가능 해야 한다.

- 각각의 서비스는 별도의 과금 체계를 가질 수 있으며 유헬스 서버는 사용자 별

통합 서비스 과금 체계를 지원해야 한다.

- 사용자 요청에 대한 적절한 서버 및 서비스와의 연동을 지원해야 한다.

- 다수의 동시 사용자에게 요구수준의 QoS 를 만족하는 수행성능을 제공 하여야

한다.

- 서비스 추가 변경 시 확장성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 유헬스 사용자와 개발환경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해야

한다.

나. 유헬스 서비스

유헬스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서버간 통신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다. 서비스의 구성은 유헬스 공급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표준 에서는 다음과 같은 필수 및 부가 서비스 유형을 제시 한다.

- 유헬스 서비스는 다음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유헬스 서비스 포탈을 통한 웹 기반 사용자 이용환경 제공

§ 유헬스 인증 서비스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및 프로파일 관리

§ 유헬스 과금 서비스를 통한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관리

단, 유헬스 과금 서비스는 상용서비스 제공 시에만 요구 된다.

Page 24: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4

- 유헬스 서비스는 부가적으로 다음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각각의 서비스는 별도의 독립적인 과금 정책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경우

유헬스 공급자는 통합 과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다양한 의료 컨텐츠 및 개인별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유헬스 컨텐츠

서비스

§ 모바일, IP-TV 등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한 지속적이고 확장이

가능한 유헬스 연계 서비스

위에 언급한 모든 유헬스 서비스는 유헬스 서버 및 다른 서비스와의 상호운용을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제공해야 한다.

라. 유헬스 공급자 - 연계서비스 프로토콜(P-5)

유헬스 공급자 - 연계서비스 프로토콜은 유헬스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 되는

유헬스 데이터 및 서비스를 다양한 외부 플랫폼과 연동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휴대폰/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환경 및 IP-TV, 홈 네트워크, 텔레매틱스 등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응용 기기 및 서비스와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이다.

유헬스 공급자 – 연계서비스 프로토콜은 외부 서비스 플랫폼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유헬스 공급자 간의 정보 교류 및 서비스 제공도 포함 한다.

유헬스 공급자 - 연계서비스 프로토콜이 갖춰야 하는 요구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서비스와의 호환성, 상호운용성 등의 보장을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제공해야 한다.

- 유헬스 데이터의 전송 시 데이터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 외부 서비스 추가 변경 시 확장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 공급자 간 정보 교류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 정보 연동을 위해 별도의 보안 및 인증 체계를 갖춰야 한다.

- 공급자 간 사용자 정보 교류 시 사용자에 의한 정보 제공 동의 및 제공 범위에

대한 설정이 가능해야 하고 공급자는 교류 요청 및 제공 현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

Page 25: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5

6.3. 외부기관

6.3.1. 정의 및 구성요소

외부기관은 유헬스 서비스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외부기관으로 서비스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병원, 보건소, 약국을 포함하는 의료기관과 관리/감독 및

자료제공의 필요가 있는 유관기관으로 구분 된다. 이들 외부기관은 (그림 6-2) 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유헬스 공급자와 연결 되고 이를 위해 의료기관과의 연동을 위한

유헬스 공급자 – 의료기관 프로토콜 및 유헬스 공급자 – 유관기관 프로토콜이 요구

된다.

6.3.2. 기능요구조건

가. 유헬스 공급자 – 의료기관 프로토콜(P-3)

유헬스 공급자 – 의료기관 프로토콜은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의료기관

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요구조건을 가진다.

- EMR 혹은 EHR 과 같은 의료정보 시스템과의 데이터 호환을 위해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를 가져야 한다.

- 의료정보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해 의료정보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한다.

- 의료기관 추가에 따른 확장성과 호환성을 제공해야 한다.

- HL7 CDA, IHE XDS 등 의료정보 표준 규격을 따르는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

나. 유헬스공급자 – 유관기관 프로토콜(P-4)

유헬스 공급자–유관기관 프로토콜은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보건 복지 ,

건강보험관리공단, 보험회사 등 서비스에 대한 관리/감독 기관 및 이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외부 기관과의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요구조건을

가진다.

Page 26: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6

- 각각의 유관기관은 전용의 데이터 구조와 통신 프로토콜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프로토콜 레벨에서 다양한 연결모듈에 대한 동적 관리 기능을 제공 해야 한다.

- 정해진 일정에 따른 배치 작업 및 실시간 연동을 지원해야 한다.

- 각 유관기관별 프로파일 형태의 통합 연동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 각 유관기관별 전송규약 변경이나 확장 시 적용이 용이해야 한다.

6.4. 통신망

통신망은 본 표준의 구체적인 대상은 아니나 유헬스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관계로 유헬스 사용자, 유헬스 공급자, 의료기관, 유관기관 등

각 구성요소들간에 구성될 수 있는 기본적인 통신망의 형태를 제시 하고 필수

요구사항에 대해서만 정의 한다.

가. PAN(Personal Area Network)

PAN 은 개인용 건강 단말부 및 건강정보 중계부 사이의 통신망으로 유헬스 사용자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통신영역을 말하며 다음의 요구사항을 가진다.

- 개인용 건강 단말부와 건강정보 중계부는 유선 혹은 무선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 근거리 통신망으로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이 가능 하다.

나. 단말부 - 서버간 통신망

서버간 통신망은 유헬스 서버와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간의 통신망으로

유헬스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유헬스 서버와 다수의 서비스를 모두 관리 할 수도 있고

서비스는 다른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구조도 가능 하다. 이때 서버간 통신망은

전용망 이외의 인터넷 망이 될 수 있으며 서버간 통신망이 갖춰야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서버간 통신망은 내부 네트워크 혹은 전용망으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 서비스 제공 서버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경우 인터넷 망의 사용이 가능하다.

- 여러 통신망간의 서비스 상호 연동이 가능해야 한다.

Page 27: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7

다. 외부기관연동 통신망

외부기관연동 통신망은 유헬스 서비스 공급자와 의료기관 및 유관기관 과의 연동에

사용되는 통신망으로 전용망, EDI 혹은 인터넷 망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망

사용은 해당 기관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Page 28: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0463/R1 18

표준 작성 공헌자

표준 번호 : TTAK.KO-10.0463/R1

이 표준의 제정·개정 및 발간을 위해 아래와 같이 여러분들이 공헌하였습니다.

구분 성명 위원회 및 직위 연락처 소속사

표준(과제) 제안 유돈식 TTA PG419 의장 [email protected] ETRI

표준 초안 제출 황희정 TTA PG419 위원 [email protected] 가천대학교

표준 초안 에디터 황희정 TTA PG419 위원 [email protected] 가천대학교

표준 초안 검토 유돈식 TTA PG419 의장 [email protected] ETRI

외 프로젝트그룹 위원

표준안 심의 이헌중

정보기술 융합 기술위원회

의장 [email protected] NIA

외 기술위원회 위원

사무국 담당 박정식 부장 [email protected] TTA

강석규 선임 [email protected] TTA

Page 29: 2013-1316 초안 ed - tta.or.kr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로 건강정보 측정, ... 체지방, 산소포화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 u-Health Service Reference Model)

발행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발행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463-82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47

Tel : 031-724-0114, Fax : 031-724-0109

발행일 : 20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