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술 9 제344호 2013년 9월 2일(월)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 본교 디자인연구소에서 발표한 ‘온라인 건 강정보 이용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이라는 주제의 논문이 제9 회 국제멀티미디어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을 받았다. 이 논문의 주 저 자는 디자인연구소의 안지영 교수이며 공동저자 로 본교 디자인학부 △백진경 교수 △정의태 교 수가 참가했다. 본문은 논문의 주 저자인 안지영 교수가 보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글이다. 안지영 연구교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u헬스케어디자인 한국인터넷진흥원(2011) 조사에 따르면, 2011년 7월 현재 만 3세 이상 인구의 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 용자 비율은 78%이고, 인터넷 이용자 수는 3천 7백 18 만 명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인터넷 이용률은 각각 83.4%와 72.5%이며, 인터넷 이용자의 성별 구성 비를 살펴보면, 남성이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53.7%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구별 인터넷 환경을 살펴보면, 전 체 가구의 81.9%가 가구 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으 며, 42.9%가 스마트폰 등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가구 의 81.8%가 가구 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조 사됐다. 이와 같이, 이미 우리의 일상에서 더 이상 없어서는 안 될 생활의 필수 요건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터 넷의 영향에 의한 사회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인터넷 활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분석 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전반 적인 인터넷 활용 특성 및 변화하고 있는 방향성을 가 늠해 볼 수 있는 체계적인 자료와 분석은 부족한 실정 이라 하겠다.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인터넷 정보와 서비스 이용을 하나의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으로 보고 있지 않 으며,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매체 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화에 따른 급속한 사 회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 역시 더이상 수동적인 역할 에 머무르지 않고 있다. 더욱이 건강소비자들은 인터 넷 및 모바일로 대표되는 온라인 건강정보를 활용함 에 있어 능동적 소비 주체의 입장에서 필요한 정보만 을 선택하여 본인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것이며, 따라 서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이를 위한 제반 환경을 구성해 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할 수 있겠다. 소비자들의 온라인 건강정보 활용이 궁극적으로 긍 정적인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우선 그들의 온라 인 건강정보 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과학적인 방법 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 다.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보건의료분 야의 논문들로부터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구하 고 연구주제간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이다. 따라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체(body of knowledge)들로부터 그들의 내적 상호관계를 파악하 기 위하여 1960년대 사회학과 사회심리학 분야의 연구 자들은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이 라는 학제적인 방법론을 개발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하고 있다. 사회네트워크분석은 사람들이 일련의 관계에 의해 모인 관계망(network)을 수학적 모델로 변환하여 다 양한 형태의 데이터로부터 관련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시키는 방법이라 고 할 수 있다. 지적 구조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통상 적으로 노드(node)는 키워드를, 링크(link)는 키워드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노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의 핵심개념은 한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 된 노드의 수로 표현되는 연결정도(degree)와 가능한 총 관계 수에서 실제로 맺어진 관계 수의 비율로 정의 되는 밀도(density)이다. 노드들이 맺고 있는 관계 속 에서 연결정도에 따른 영향력은 네트워크상의 중심에 위치한 정도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를 연결정도 중심 성(degree centrality)라 한다. 그러나 동일한 수의 관 계를 가진 노드라도 집단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밀도는 낮아지므로 크기가 다른 네트워크를 비교하기 위해서 는 이를 표준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네트워크분석은 다양한 속성 변수들 사이 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으며,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 는 연구 논문의 키워드도 그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 다. 최근 국내 보건의료분야에서도 연구의 지적 구조 인 관계망을 파악하기 위해 논문의 키워드를 분석단 위로 하여 사회네크워크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미 국 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에서 규정한 의학용어인 MeSH (Medical Subject Heading) 용어를 추출하여 사회네트워크 분 석을 한 사례도 있다. MeSH 용어는 논문별로 전문가 에 의해 통일된 형태로 부여된, 계층적으로 통제된 의 학용어 분류이며 일종의 서지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와 같은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인터넷 및 모바일로 대 표되는 온라인 건강정보 활용에 관한 학문적으로 축적 된 경험적 근거(empirical evidence)를 사회네트워크분 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를 통해 해당 분야 연구주제의 흐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 후 소비자 건강정보화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함과 동 시에 사회네트워크분석의 보건의료 분야에의 적용 가 능성에 대해서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핵심 키워드를 분석해 내고자 NLM PubMed 데이터베이스의 MeSH 용어를 활용하여 분 석 대상 자료를 추출하였다.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논문 1천 1편에서 추출된 키워드는 총 1천 2백 13개(누적 키워드: 8천 21개)였다. 키워드를 선별해 중 복을 제거한 결과, 본 연구의 분석에 최종적으로 포함 된 키워드는 1백 55개(가중 빈도수: 3천 7백 80개)였 다. 모바일 건강정보 이용을 주제로 하는 논문 98건에 서는 총 9백 26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중복을 제 거한 후, 98개의 키워드(가중 빈도수: 6백 36개)가 최 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키워드를 대상으 로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분석 프로 그램인 NetMiner v. 3 (CYRAM, Korea)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이용과 관련 한 키워드는 1998년 출현하여 매년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었으나, 특히 200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가운데 ‘Patient Education as Topic’이 연결정도 중심성이 가 장 높았고, 이와 강한 연결정도를 보이는 키워드 로는 ‘Health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Health Knowledge, Attitudes, Practice,’ ‘Self Care,' 'Patient Participation' 등이었다. ‘Health Education’ 과 관련된 키워드는 ‘Health Behavior,’ ‘Consumer Satisfaction,’ ‘Health Promotion’ 및 ‘Information Dissemination' 등의 키워드와 연결돼 있었으며, 교육 후 기대효과라 할 수 있는 건강에 대한 태도(Attitude to Health) 관련 연구와도 연결이 되어 있었다. ‘Information Services’는 ‘Attitude to Computers,'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등의 키워드와 연 결되어 있었다. 이외에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정보 제공 등의 경우, 'User-Computer Interfac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omputer Literacy' 등의 컴퓨터를 매개 로 한 연구 및 'Communication,' ‘Physician-Patient Relations’ 등과 같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 구와 연결되어 있었다. 특히, 환자 교육의 경우, 신생 물(Neoplasms)과 암(Carcinoma)이 핵심 키워드로 나 타났다. 또한 건강정보를 구하는 소비자의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 및 성별, 그리고 사회경제 적 요인(Socioeconomic Factors, Educational Status) 에 대한 키워드들도 등장하였다. 모바일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키워드는 2002년부 터 출현하여 2005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 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이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atient Education as Topic”이 연결정도 중심성이 가장 높았 고, “Health Education”, “Self Care”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온라인 건 강정보 이용에 대한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자 한다. 첫째, 소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정 보격차(digital divide)와 정보 확산(diffusion of innovation)의 속도를 고려하여 연구 방법을 디자인할 것과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도 정보격차 요소가 내재 하고 있음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국내 인터넷 이용 인구는 이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해석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향후 이용자 수의 양적인 증가 는 둔화될 것이나 이메일, 메신저, 블로그, 소셜네트워 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등 인터넷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역할이 다양한 방법으로 확대되 고 있음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융합 콘텐츠 시대의 흐 름에 맞추어 스마트폰 위주의 모바일 건강정보를 포함 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사회네트워크분석의 결과를 근 거중심(evidence-based) 연구개발사업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구 결과에 대한 해당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심층적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pdf.ijnews.net › 344 › 34409.pdf ·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인터넷 정보와 서비스 이용을 ... 국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pdf.ijnews.net › 344 › 34409.pdf ·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인터넷 정보와 서비스 이용을 ... 국

학술 9제344호 2013년 9월 2일(월)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

본교 디자인연구소에서 발표한 ‘온라인 건

강정보 이용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이라는 주제의 논문이 제9

회 국제멀티미디어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을 받았다. 이 논문의 주 저

자는 디자인연구소의 안지영 교수이며 공동저자

로 본교 디자인학부 △백진경 교수 △정의태 교

수가 참가했다.

본문은 논문의 주 저자인 안지영 교수가 보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글이다.

안지영 연구교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u헬스케어디자인

한국인터넷진흥원(2011) 조사에 따르면, 2011년 7월

현재 만 3세 이상 인구의 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

용자 비율은 78%이고, 인터넷 이용자 수는 3천 7백 18

만 명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인터넷 이용률은

각각 83.4%와 72.5%이며, 인터넷 이용자의 성별 구성

비를 살펴보면, 남성이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53.7%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구별 인터넷 환경을 살펴보면, 전

체 가구의 81.9%가 가구 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으

며, 42.9%가 스마트폰 등의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가구

의 81.8%가 가구 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조

사됐다.

이와 같이, 이미 우리의 일상에서 더 이상 없어서는

안 될 생활의 필수 요건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터

넷의 영향에 의한 사회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인터넷 활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분석

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전반

적인 인터넷 활용 특성 및 변화하고 있는 방향성을 가

늠해 볼 수 있는 체계적인 자료와 분석은 부족한 실정

이라 하겠다.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인터넷 정보와 서비스 이용을

하나의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으로 보고 있지 않

으며,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매체

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화에 따른 급속한 사

회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 역시 더이상 수동적인 역할

에 머무르지 않고 있다. 더욱이 건강소비자들은 인터

넷 및 모바일로 대표되는 온라인 건강정보를 활용함

에 있어 능동적 소비 주체의 입장에서 필요한 정보만

을 선택하여 본인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것이며, 따라

서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이를 위한 제반 환경을 구성해

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할 수 있겠다.

소비자들의 온라인 건강정보 활용이 궁극적으로 긍

정적인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우선 그들의 온라

인 건강정보 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과학적인 방법

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

다.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보건의료분

야의 논문들로부터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구하

고 연구주제간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이다. 따라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체(body of

knowledge)들로부터 그들의 내적 상호관계를 파악하

기 위하여 1960년대 사회학과 사회심리학 분야의 연구

자들은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이

라는 학제적인 방법론을 개발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하고 있다.

사회네트워크분석은 사람들이 일련의 관계에 의해

모인 관계망(network)을 수학적 모델로 변환하여 다

양한 형태의 데이터로부터 관련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시키는 방법이라

고 할 수 있다. 지적 구조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통상

적으로 노드(node)는 키워드를, 링크(link)는 키워드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노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의 핵심개념은 한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

된 노드의 수로 표현되는 연결정도(degree)와 가능한

총 관계 수에서 실제로 맺어진 관계 수의 비율로 정의

되는 밀도(density)이다. 노드들이 맺고 있는 관계 속

에서 연결정도에 따른 영향력은 네트워크상의 중심에

위치한 정도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를 연결정도 중심

성(degree centrality)라 한다. 그러나 동일한 수의 관

계를 가진 노드라도 집단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밀도는

낮아지므로 크기가 다른 네트워크를 비교하기 위해서

는 이를 표준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네트워크분석은 다양한 속성 변수들 사이

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으며,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

는 연구 논문의 키워드도 그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

다. 최근 국내 보건의료분야에서도 연구의 지적 구조

인 관계망을 파악하기 위해 논문의 키워드를 분석단

위로 하여 사회네크워크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미

국 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에서 규정한 의학용어인 MeSH (Medical

Subject Heading) 용어를 추출하여 사회네트워크 분

석을 한 사례도 있다. MeSH 용어는 논문별로 전문가

에 의해 통일된 형태로 부여된, 계층적으로 통제된 의

학용어 분류이며 일종의 서지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와

같은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인터넷 및 모바일로 대

표되는 온라인 건강정보 활용에 관한 학문적으로 축적

된 경험적 근거(empirical evidence)를 사회네트워크분

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를 통해 해당

분야 연구주제의 흐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

후 소비자 건강정보화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함과 동

시에 사회네트워크분석의 보건의료 분야에의 적용 가

능성에 대해서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핵심 키워드를 분석해 내고자 NLM

PubMed 데이터베이스의 MeSH 용어를 활용하여 분

석 대상 자료를 추출하였다.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논문 1천 1편에서 추출된 키워드는 총 1천 2백

13개(누적 키워드: 8천 21개)였다. 키워드를 선별해 중

복을 제거한 결과, 본 연구의 분석에 최종적으로 포함

된 키워드는 1백 55개(가중 빈도수: 3천 7백 80개)였

다. 모바일 건강정보 이용을 주제로 하는 논문 98건에

서는 총 9백 26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중복을 제

거한 후, 98개의 키워드(가중 빈도수: 6백 36개)가 최

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키워드를 대상으

로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분석 프로

그램인 NetMiner v. 3 (CYRAM, Korea)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이용과 관련

한 키워드는 1998년 출현하여 매년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었으나, 특히 200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가운데 ‘Patient

Education as Topic’이 연결정도 중심성이 가

장 높았고, 이와 강한 연결정도를 보이는 키워드

로는 ‘Health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Health Knowledge, Attitudes, Practice,’ ‘Self Care,'

'Patient Participation' 등이었다. ‘Health Education’

과 관련된 키워드는 ‘Health Behavior,’ ‘Consumer

Satisfaction,’ ‘Health Promotion’ 및 ‘Information

Dissemination' 등의 키워드와 연결돼 있었으며, 교육

후 기대효과라 할 수 있는 건강에 대한 태도(Attitude

to Health) 관련 연구와도 연결이 되어 있었다.

‘Information Services’는 ‘Attitude to Computers,'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등의 키워드와 연

결되어 있었다.

이외에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정보 제공 등의

경우, 'User-Computer Interfac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omputer Literacy' 등의 컴퓨터를 매개

로 한 연구 및 'Communication,' ‘Physician-Patient

Relations’ 등과 같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

구와 연결되어 있었다. 특히, 환자 교육의 경우, 신생

물(Neoplasms)과 암(Carcinoma)이 핵심 키워드로 나

타났다. 또한 건강정보를 구하는 소비자의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 및 성별, 그리고 사회경제

적 요인(Socioeconomic Factors, Educational Status)

에 대한 키워드들도 등장하였다.

모바일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키워드는 2002년부

터 출현하여 2005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

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이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atient

Education as Topic”이 연결정도 중심성이 가장 높았

고, “Health Education”, “Self Care”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온라인 건

강정보 이용에 대한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자 한다.

첫째, 소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정

보격차(digital divide)와 정보 확산(diffusion of

innovation)의 속도를 고려하여 연구 방법을 디자인할

것과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도 정보격차 요소가 내재

하고 있음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국내 인터넷

이용 인구는 이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해석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향후 이용자 수의 양적인 증가

는 둔화될 것이나 이메일, 메신저, 블로그, 소셜네트워

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등 인터넷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역할이 다양한 방법으로 확대되

고 있음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융합 콘텐츠 시대의 흐

름에 맞추어 스마트폰 위주의 모바일 건강정보를 포함

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사회네트워크분석의 결과를 근

거중심(evidence-based) 연구개발사업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구 결과에 대한 해당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심층적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